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선호도 연구

        전상미 인천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요 약 현재 우리나라는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하여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들의 경제적 독립, 자녀와의 별거지향, 질병 및 장애발생률의 증가 및 이에 따른 보호의 어려움 등으로 물리적, 서비스 환경과 사회적 및 심리적인 면에서 노인이 생활하기에 적합한 주택 즉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급 확대가 예상되는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선호도를 물리적 환경 및 서비스 환경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으로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미래 잠재적 수요층인 40〜65세의 연령층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는 노인복지주택의 선호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2-test), t-test,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복지주택의 선호도 차이를 살펴보면 입지에 대해서는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도시근교형을 선호하였으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기존의 주거지와 가까운 도시지역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공급주체로서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를 선호하였다. 주거형태에 대해서는 아파트 및 연립주택형을 선호하였고 여자인 경우 그 선호도가 높았다. 배치에 대해서는 전용단지 및 단지내 노인동 분산배치를 선호하고 규모는 100가구 미만의 노인복지주택을 선호하였다. 서비스 환경 선호도에 있어서는 성별, 수입, 학력에 따라 일상생활 서비스 선호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남자이거나, 수입이 적거나 학력이 높은 집단에서 일상생활서비스 선호도가 높았다. 둘째, 현재 주거 특성에 따른 노인복지주택 선호도의 차이는 현재 주거 소유형태에 따라서는 물리적 환경의 배치와 서비스 환경 중 건강관리 서비스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배치에 대해 전세인 경우 전용단지 및 분산배치에 대한 선호가 두드러졌으며 자가를 소유하고 있는 집단이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현재 주거에서의 거주기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현재 주거 만족도에 따라서는 배치, 규모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규모에 대해 주거 만족도가 불만족인 경우 50-100가구를 선호하였고, 보통 및 만족인 집단에서는 50가구 미만을 선호하였다. 셋째, 미래 희망 주생활에 따른 노인복지주택 선호도 차이는 미래 희망 거주형태에 따라 공급주체, 주거형태, 규모, 서비스 환경의 건강관리 서비스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거형태에서 자녀와의 동거를 희망하는 집단은 단독주택형을 선호하고 기타집단에서는 아파트 및 연립주택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시에서 독립생활을 희망하는 경우 건강관리서비스에 대한 선호가 높았다. 미래 희망 주거유형에 따라서는 희망 주거의 유형이 노인복지주택의 형태에 동일하게 반영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노인복지주택의 선호는 도시 및 도시근교 지역에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공급주체로서 100가구 미만의 소규모 단지로 공급되고 주택 유형, 단지 배치에 있어서는 수요의 다양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소규모와 높은 서비스 요구라는 상충되는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 Nowadays, the need of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is growing in our country due to low birth rate and graying that increases the third age population. This third age population needs a proper housing that can offer physical environment and services for this population, that's economically independent; that aims to live separately from their children; who can have diseases and increase of handicaps. This research has as an objective,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which will continuously expand its supply, by investigating the preference to housing thru analysi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service environment. The subject of study was 200 people between 40~65 years old that lives in Seoul. To observe the preference differentiation of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measurement instruments such as, the cross analysis (-test), t-test and dispersion analysis were used and for statistical handling the SPSS 12.0 program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 In the first place, depending on the age, the results were meaningfully different by choosing the location of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On the whole, people preferred suburban areas but as getting older, people started to prefer places nearby their preexisting residence, nearby the city areas. As the object of supply, they preferred local autonomous entity. As the type of residence, they preferred apartment house or row houses and in case of women the preference rate for this type was higher. About the arrangement, they preferred exclusive complexes or dispersed arrangements of third age blocks inside of the complex. About the service environment preference, a meaningful difference appeared. In case of men or groups of high academic backgrounds or low income groups preferred everyday life related services. In the second place, the preference rate for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actual residence style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when observing physical environment's arrangement, and health care service environment. When the house was deposit basis lease, they preferred exclusive complex and dispersed arrangement while the group who has their own residence showed low preference for health care service. About the dwelling period of the actual residence they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atisfaction of the actual residence, meaningful differences were showed according to arrangement and scale. The unsatisfied group preferred 50 to 100 families per complex and satisfied to indifferent group preferred less than 50 families per complex. In the third place, meaningful differences appeared when analyzing preference for future residence by the investigation of supplying subject, type of residence, scale and health care service of each type of residence. The group that hopes to live with their children prefers detached houses and other groups prefers apartment houses or row houses. Those who want to live independently in the city showed high preference for health care services. It was also, possible to verify that the future residing pattern was similarly reflected on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Putting all these results together,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should be supplied by local autonomous entity or the government of the city or suburban areas; should be a small complex for less than 100 families and inside of the complex, the diversity the supplement should be considerate for choosing the type of residence and arrangement of the complex. Also, a political strategy will be needed to solve the clash between small scale project and high demand for services.

      • 고령화사회에서의 여성노인의 복지에 관한 연구

        이수진 명지대학교 지방자치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An aging society in which the proportion of the aged of a society is growing faster than the of the young is becoming an worldwide phenomenon owing to low birth rate, the upgraded medical art and so on. Korea is one of the most rapidly aging societies in the world today. Since aging society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in the many field, potential problems must be expected and countermeasure must be considered. Previous experiences of other nations imply that rapid aging has serous impacts on employment, wages, pension systems, and demand for welfare. One of the potential problems it may cause is the issue of supporting subject of the aged. Parent-supporting and welfare for the aged become important social issues. Especially the supporting of the aged woman is more important issue because of their longer average life than man and their exposure to sexual discrimination and their welfare is very important issue of social welfare system.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actical countermeasure to the supporting of the aged woman. The prior studies on the supporting of the aged woman has been focused on the responsibility of supporting subject : "Who is responsible for the supporting of the aged?". These studies can be divided into traditional approach which insists on the family supporting and modern approach which asserts government(or social) supporting. Comprehensive literature study reveals that both of government and family are responsible for the supporting of the aged woman. But a full examination of pros and cons of the both alternatives presents that the practical way is family support. Some reasons are as follows. - social infrastructure of the welfare system is not well-developed to support the aged - 'family ties' is still one of the most important morality of Korean society - the aged's preference of family supporting to government supporting. - family welfare is considered as good starting point of social welfare. Although there is no one-best-way, family supporting is practical countermeasure for the supporting of the aged woman at least for the time being. But it has its own limitations to generaliz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 social infrastructure is developing - 'family ties' is not everlasting - the preference can be changed

      • 한국교회의 노인복지에 관한 목회방안

        김병한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예수님은 가장 작은 자 하나에게 예수님의 제자라는 이름으로 대접할 때 상을 잃지 않으리라고 하신 가운데 그러한 일이 바로 생명이신 예수님을 영접하는 것이며 복지목회를 하는 것임을 나타내셨다. 노인은 육체적으로 연약하고 동시에 사회적 약자다. 예수님은 이러한 사회적 약자들과 함께 하는 이웃 사랑의 정신을 실천하셨다. 바로 이러한 예수님의 삶을 쫒는 것이 교회의 길이 다. 교회 내에서 노인복지 목회를 할 때에는 우선 신앙을 기반으로 해야 하며 교회가 주체가 되어 활동해야 한다. 교회 건물의 안과 밖이 노인의 신체적 연약함을 배려해서 설계 되어져야 하고, 적용되는 모든 프로그램은 분명한 목표와 목적이 있어야 한다. 교회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신앙성숙에 중점을 두는 것이 당연하지만 일반적인 노년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공하는 것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교회 내에서의 노인복지가 하루 이틀만에 끝나는 것이 아니기에 중·장기 계획에 의한 내·외부적 프로그램 개발에 좀 더 세심함을 기우려야 할 것이다. 교회는 무엇보다 영적인 자원으로 역할을 해야 하고 다른 사람들을 보호하고 돌보는 자원으로서도 역할을 해야 하며, 노인들에 대한 통합적 목회를 하는 기관으로서도 역할을 해야 한다. 목회자는 바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고 활용하여 목회를 구체적으로 실천, 이행해야 한다. 결국 노인복지 목회도 목회라는 의미로 볼 때 하나님의 생명사업에 교회가 동참하는 맥락에서 노인들의 안녕과 삶을 지탱하고 지속하는 과정에 평안을 누리도록 서비스하는 일을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모두가 협력하여 목회에 동참할 수 있게 하고 통합적 노력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노인복지 목회 이행에서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교회 내에서의 노인복지와 목회는 시대의 필연적 요청이라 할 수 있다. 교회의 잠재력과 수년 내로 기하급수적으로 교회 내의 팽창될 노인인구의 무한한 인적자원의 활용이 노인복지에 대한 국가적 한계를 다소나마 극복하고 교회내의 노인복지 목회에도 성공적인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노인 인력개발의 관심에 힘써서 노인을 통한 교회의 참된 봉사와 질서 확립과 권위가 세워지게 하며 교회가 교회답기 위해서는 노인에 대한 애정과 존경, 관심과 복지와 더불어서 노인들로 하여금 봉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계속 개발되어야겠다. As developing medical science &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death rate is decreasing. In addition, development of contraception & increasing social life of women caused decreasing of birth rate. So population structure is changing into increasing old age. Average life span of Advanced country passed over 70 years old in 1990's. Maybe average life span of children who are born from in 2000's will pass over 80 years old. The case of our society, average of life span was 76.5 years old in 2001. But it will pass over 81.5 years old in 2030. According to statistics of Korea, ratio of old age who is over 65 years old reached 7.0% in 2000. And ratio of old age will pass over 14.0% in 2019. That is population number of old age will increase from 3.39 million in 2000 to 12million in 2030. Now, we must deeply consider role of old age in the church society and take the spiritual care of congregation of Christian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priately improve pastoral duties for old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ly, instituting of old age's university or senior education section in the church. They will enforce old age ability which is needed for regional society and have to give old age more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their welfare. Secondly, focusing our attention on enforcing old age association each other. And the churches have to provide finance & facility to the old age including nursing & spiritual care. Thirdly, managing the consulting office for council of old age. Especially in order to solve problem of old age, the council is organized with experts who can advise with life pattern, health, family problems etc.

      • 有料老人福祉施設(Silver Town)의 敎育 프로그램 要求度에 關한 硏究

        조현정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노인 문제 중 주거 관련사업인 유료노인복지시설에 입주한 입주자들의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여 고령화에 대비한 사회경제적 실정과 입주자들의 교육요구에 부합되는 유료노인복지시설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서울 근교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유료노인복지시설 5곳의 입소자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153(71.5%)부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현황에서는 남성보다 여성 입소자들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으며, 나이에서는 71세부터 80세까지의 입소자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부부가 함께 보다는 독신으로 입소한 노인이(88.7%)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입주자들은 여가선용을 위한 교양과 취미활동의 교욕프로그램에 대하여 교육 욕구를 보였고 특히, 여성보다 남성이 그리고 나이에서는 70세 이사의 입주자가 교육의 필요성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3) 건강관련 지식과 배우자 사망 시 생활적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대하여 입주자들은 교육의 필요성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편 여성보다는 남성의 인식도가 높았으며 또 학력이 높을수록 생활적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필요성에 요구성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인간관계 분야에 관한 가치교육의 프로그램에 있어서 입주자들은 교육의 필요성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그 중에서 80세 이전의 입소자가 가치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81세 이전의 입소자가 가치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81세 이후의 입소자들은 인간관계 분야에 관심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환경보호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에서는 성별과 가족사항에서 여성보다는 남성이 독신보다는 부부가 함께 생활하는 입주자들이 교육의 필요성에 강한 욕구를 보였다. 자녀의 입장에서 보면 딸만 둔 입주자가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한 반면에 아들과 딸을 둔 입주자는 가장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학력에서는 대졸이상이 긍정적인 반면에 무학이 가장 부정적인 반응을 보여 학력이 높을수록 환경보호에 대한 필요성에 관심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6) 청소년 선도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에서 연령을 살펴보면 70세 이하가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입소 전의 직업에서는 공무원을 하였던 입주자가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자영업을 하였던 입주자가 가장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7) 사회·경제 생활분야에 대한 교육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입주자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특히 남성과 자녀가 없는 입주자가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으며 입소 전의 직업에서는 회사원, 공무원, 상업, 자영업 순으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입주 노인들은 개인적인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여러 분야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입주자들의 요구성향을 잘 파악하여 유료노인복지시설 내의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심신이 건강한 노후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효율적인 대책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It is reported that the elderly matters are one of the social issues in this century. To solve the problem, a host of for-profit elderly welfare facilities have been founded. Unlike the increasing interest in developing the welfare system, relatively few studies have been tried to examine an educational program that fits the need of the elderly in Silver Town. The program should reflect an educational need of the elderly in the welfare facilities and consider socio-economic status of them.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what is the best way to activate the best educational program in for-profit elderly welfare organiz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the participants in five for-profit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suburbs of Seoul. 153 participants among 214 people who were asked returned the mail survey questionnaire.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 1) The number of female participants was more than that of male participants. People who are between 71 and 80 years old were more than the other age group. Majority of people(88.7%) are single rather than couples. 2) It wa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had an educational need or want for cultural and recreational programs. Especially, male participants and age group of less than 70 years old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an educational program. 3) In addition, participants were positive to adaptive programs for a life in a preparation for when their spouse would be dead as well as a health information program. It was also shown that the male participants had high recognition for the educational program. The more participants are educated, the more they have educational want. 4) Participants had positive want for a program that aims to learn values for human relationships. Especially, participants who were less than 80 years old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an value-laden program. On the contrary, participants who were more than 81 years old had little interest in the program. 5) As far as a need for an education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male and couple rather than female and single participants showed strong need for the educational program. Those who have only daughters showed the most positive attitude toward it. In contrast with it, participants who have sons and daughters showed the most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educational program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 for an educational difference,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showed positive attitude. In contrast, those who were not educated at school showed the most negative attitude. Therefore, the higher a person has an educational background, the more he or she has interest in need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6) In an examination of the need for juvenile guidance, those who are less than 70 old showed the highest positive attitude toward it. As for the former occupation, the people who had worked as public servants showed the highest positive response. In contrast, the participants who had run their own business showed the most negative response. 7) Participants had a positive response to the socio-economic program. Especially, participants who are male or has no children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rogram. Participants who had been salary people before entering the facilities showed the most positive response to the program, followed by public servants and business people. Even though the participants had an individual gap, they had an interest in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in general. Therefore, an effective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to provide the elderly with well-prepared educational programs after examining the needs and wants of them.

      •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경기도 용인지역을 중심으로

        안혜원 백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서비스 질 수준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경기도 용인 지역에 소재한 유료노인복지시설의 종사자(사회복지사, 간호사, 요양보호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304부를 회수하였으며, 이중 23부를 제외하고 총 281부가 본 연구의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2.82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직무요구(3.18), 조직체계(3.00), 보상부적절(2.99), 직무자율(2.78), 물리환경(2.74), 직무불안정(2.53), 직장문화(2.51), 관계갈등(2.32)순으로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에서 직무요구에서는 간호사가 3.48로 가장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나타냈으며, 직무자율에서는 요양보호사가 3.30으로, 관계갈등에서는 사회복지사가 2.51으로, 직장문화에서는 사회복지사가 2.83으로 가장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나타내므로 인해 종사자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서비스 질 수준을 살펴본 결과, 평균 3.84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하위영역별로는 보증성(4.03), 신뢰성(3.98), 대응성(3.97), 공감성(3.74), 유형성(3.56)순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대응성에서는 요양보호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공감성에서는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간호사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전체 서비스 질에서는 요양보호사가 3.96으로 가장 서비스 질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은 간호사가 3.80, 사회복지사가 3.70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서비스 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 수준은 낮아지며, 반대로 직무스트레스가 적을수록 서비스 질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보증성, 공감성 모든영역의 수준이 낮아지고,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보증성, 공감성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이 서비스 질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물리환경 요인은 서비스 질과 유형성, 신뢰성 영역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직무불안정 요인은 보증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조직체계요인에서는 서비스 질과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공감성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발견되었다. 직장문화 요인에서는 대응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났다. 한편, 직무요구, 직무자율, 관계갈등, 보상부적절 요인은 전체 서비스 질과 서비스 질 하위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서비스 질과 서비스 질 하위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려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사회복지사, 간호사, 요양보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 조사대상자들은 직무요구에서 가장 강하게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이는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업무가 과중함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더 많은 수발인력을 시설에 배치하여 업무를 줄여줘야 할 것이다. 종사자들 가운데서는 간호사가 직무요구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왔다. 간호사의 경우는 일반병원의 간호사 업무보다 노인에 대한 특수하고 전문적인 업무를 요하므로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 같다. 유료노인복지시설에 근무를 하기 전에 노인에 대한 특성이나 이해를 기본으로 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요양보호사의 경우에는 직무자율에서 가장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요양보호사는 간호사의 밑에서 지시를 받고 일을 하므로 직무에 대한 결정권이나 영향력 행사가 크지 않아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 같다. 노인의 직접적인 케어를 담당하는 요양보호사의 업무를 존중해주며 이 업무에 대한 전문성도 인정해주어 서로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사회복지사의 경우에는 관계갈등과 직장문화에서 다른 종사자들보다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의 업무보다는 상사나 동료와의 관계, 직장의 분위기에 따른 스트레스가 큰 것으로 나왔다. 이는 업무를 하는데 있어서 협동 작업이나 커뮤니케이션이 많이 필요로 하는 직종의 특성인 것 같다. 이는 상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권위적이고 수직적이 아닌 수평적인 직장분위기 안에서 업무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서비스 질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를 보면 서비스 질 하위영역에서 유형성의 질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사자들이 생각하기에 어르신들에게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설이나 장비가 갖춰져 있지 않으며 외관상보이는 것들도 부족하다고 보고 있다. 이는 앞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시행함에 있어 유형성에 관한 항목도 포함함으로써 서비스 질을 높여야 할 것이며 종사자들도 업무가 과중하지만 복장이나 시설관리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 결과 서비스 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된 직무스트레스 영역, 즉 물리환경, 조직체계 요인의 스트레스를 줄이려는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물리환경 요인에 있어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려면 깨끗하고 쾌적한 직무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할 것이며 노인을 수발함에 있어 사고나 위험요인을 줄여줘야 할 것이다. 조직체계 요인에 있어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려면 업무의 과중함을 서로 이해해주고 적절한 보상이나 승진 등의 인센티브가 있어야 할 것이며 업무수행에 필요한 인원, 공간, 장비 등의 지원이 잘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또한 타부서 간에 업무협조가 잘 이루어지도록 유동적인 조직체계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job stress of employees of paid senior welfare facilities,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them and the impact of their job stress on the quality of servi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0 employees of paid senior welfare facilities in the region of Yongin, Gyeonggi Province, who included social workers, nurses and care protector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304 respondents were gathered, and 281 answer sheets were analyzed except for 23 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ees of the paid senior welfare facilities got a mean of 2.82 out of possible five points in job stress.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they felt the most job stress about job requirements(3.18), followed by organizational system(3.00), improper reward(2.9), job autonomy(2.78), physical environments(2.74), job instability(2.53), organizational culture(2.51), and interpersonal conflicts(2.32). Secon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the employees, they got a mean of 3.84, which was a relatively high score. In the case of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service, assurance(4.03) ranked first, followed by reliability(3.98), responsiveness(3.97), empathy (3.74) and tangibility(3.56). The care protectors ranked first(3.96) in the overall quality of service, followed by the nurses(3.80) and social workers(3.70). The gaps among them were significant. Third, a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job stress of the employees on the quality of service, and the degree of job stress appeared to affect the quality of service in a negative manner. A heavier job stress led to the lower quality of service, and a less job stress was followed by the better quality of service. Four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on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service, physical environ- ment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service, tangibility and reliability, and job instability affected assurance in a significant way. The organizational system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service,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empathy, and organizational culture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sponsivenes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First, the kind of management strategies that aim to relieve paid senior welfare facility employees involving social workers, nurses and care protectors of their job stress should be devised. Job requirements put the heaviest pressure on the employees investigated, which indicated their workload was heavy. In order to lower their job stress, employment of more personnels is requested. Second, the sort of strategies that aim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employees of paid senior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mapped ou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service, the quality of tangibility lagged behind the most. The employees didn't think that the facilities were well equipped enough to render superb service to elderly people, and the facilities weren't considered to look good enough, either. It's needed to pay attention to tangibility whe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rogram is implemented so that the elderly could benefit from excellent service, and employees should care about their own dress and facility maintenance though they are responsible for heavy workload. Third, the quality of service was negatively affected by physical environments and organizational system,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and careful efforts should be made to ease their stress about physical environments and organizational system. To relieve their stress related to physical environments, clean and pleasant environments should be created, and it's required to get rid of the possibility of accidents or risk factors that they might face when take care of elderly people. As for stress about organizational system, the fact they are responsible for heavy workloa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nd proper incentives such as promotion or due reward should be provided. The preparation of additional personnels, spaces and equipment required for their successful job performance is important, and a flexible organizational system should be built to step up smooth collaboration among different departments.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

        이현배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Society fluctuation has accelerated and social phenomena became more complex, members try to get knowledges and information to adjust themselves to social life. Most people understand social welfare through the news and information from the news media and form image about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news trends by analyzing how the media report long-term care program, which complete a framework of social welfare system. I chose 'long-term care program' because it lately become a big issue as the fifth social insurance with health insurance, pension, unemployment insurance and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has been always reported in the social welfare system related to the aged, has experienced many changes as the early step of the main one and I can study the reporting attitude by internal news media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it.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purpose of study to find the news trends about long-term care program. First, It found general trends of the reports about social welfare system by analyzing the number of article, article volume, article types, informers, etc related to long-term care program. Second, It analyzed if there were any changes in the reporting attitudes by period by dividing the steps into four such as discussion, finance, execution, evaluation, etc for easy survey analysis. Third, it verified professionalism how exact and deep reports of main daily papers were. It studied the articles related tolong-term care program reported in DongA Ilbo, The Hankyore from 2009 to now on the basis of 2000, the point that it was discussed. It searched them with a keyword, 'long-term care program' using 'article search system' of KIND for easy collection of them. As the result, the number of the article in this study was total 160. The analysis method was executed by quality and content ones to find the news trends about long-term care program from DongA Ilbo and The Hankyore of Korean News media. The content analysis was divided into three items such as general trends, reporting attitude, professionalism. And each items of analytical standard were analyzed by the detailed ones each. The results that it analyzed the articles related to long-term care program from DongA Ilbo and The Hankyore are as follow: First, In the result to analyze the number of article, article volume, reporting types, informers, etc to find general trends about social welfare news related to long-term care program, the articles related to it are quantitatively very short. And interest of news media and value of news is very low by the simple report that just copy announcements of the governmental policy. Second, in the result to analyze types of reporting attitude by the articles related to the long-term care program that is the most important analysis in this paper, the report of the news media was usually 'positive' and 'neutral or simple' in preparatory steps of laws and financial steps. It's because there were many quoted reports by the necessity for enactment of laws until the laws will be in force. But after the government got down to receive the applicants in the execution and evaluation steps, negative reports has largely increased. the positive reports has increased to 12 and neutral․simple reports has decreased to 11. Like the preparatory step, the reporting view has largely changed from the execution step because many problems about the long-term care program happened after the execution step is actually the law enforcement step and got down to execute it while the simple guide about the new system was reported in the financial step right after enactment of the law. Third, It analyzed informers, types of the titles, resources, presentation of alternatives, etc to verify the news about thelong-term care program. In the result, they were usually simple reports and the deep reports that the reporter directly c reected the data were not enough. And presentation of alternatives sucht theuture resolutions in the professional position also was not very enough and has low professionalism. 사회변동이 가속화되고 사회현상이 복잡해지면서 구성원들은 사회생활에 적응해 나가기 위해 지식과 정보를 얻으려는 노력을 기울인다. 대부분의 국민들은 사회복지에 대해 언론매체에서 제공하는 관련뉴스와 정보를 통해 이해하고, 그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제도의 틀의 완성을 이루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해 국내 언론에서 어떻게 보도했는지 보도내용을 분석하여, 그 보도태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중에서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선택한 이유는 건강보험, 연금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에 이어 제5대 사회보험으로서 최근 이슈화되고, 노인과 관련한 보도에서 빠짐없이 다루고 있는 사회복지제도이며, 최근 정착 초기단계로 가장 큰 변화를 겪은 주요 사회복지제도로서 제도도입 이전 쟁점들과 제도 도입 이후 국내 언론의 보도태도를 연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국내 언론의 보도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구체적으로 연구목적을 다음과 같이 세웠다. 첫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관련 신문보도의 기사수량, 보도유형, 정보원 등을 분석해 사회복지제도 보도들의 일반적 경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조사분석용이를 위해 논의단계, 제정단계, 시행단계, 평가단계 등 4단계로 구분해 각 시기별로 언론의 보도태도에 변화가 있었는지 분석했다. 셋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해 얼마나 정확하고 심층적으로 보도했는지 전문성을 검증해보았다. 연구대상은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논의된 시점인 2000년을 기준으로 2009년 현재까지 동아일보, 한겨레신문에 보도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신문기사를 대상으로 했다. 기사수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한국언론재단의 신문기사검색시스템 ‘KINDS'를 활용해 ‘노인장기요양보험’ 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했다. 그 결과, 이번 연구에서 분석대상이 된 기사수는 총 160건이었다. 분석방법은 한국 언론매체 중에서도 동아일보와 한겨레신문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보도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양적분석과 내용분석을 병행했는데, 일반적 경향과 보도태도, 전문성으로 3가지 항목으로 분석기준을 구분하였다. 또한 분석기준 각 항목마다 세부항목을 마련해 분석했다. 동아일보와 한겨레신문에 보도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관련기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관련 사회복지보도에 대한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사수량, 보도유형, 정보원을 분석한 결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관련 신문기사는 양적으로 상당히 부족했고, 정부의 정책발표를 그대로 보도하는 단순보도의 비율이 높아 언론의 관심과 뉴스로서의 가치 비중이 상당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논문의 중요한 분석이라고 할 수 있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관련 신문기사의 보도태도에 대한 분석결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언론보도는 법 ‘준비단계’와 ‘재정단계’에서는 ‘긍정적’ 보도와 ‘중립 또는 단순사실’ 보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법이 시행되기 이전까지 법 제정의 필요성 등에 대한 인용보도들이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정부가 본격적으로 수급자 신청을 받기 시작한 ‘시행단계’와 ‘평가단계’ 이후부터는 부정적 보도태도가 크게 증가했다. ‘시행단계’보다는 긍정적 보도태도가 12건으로 증가했고, 중립․단순사실 보도태도가 11건으로 줄어든 경향을 보였다. 이처럼 ‘준비단계’와 달리 ‘시행단계’에서부터 보도관점이 크게 달라진 것은 ‘제정단계’가 법 제정 직후부터 새로운 제도에 대한 단순 홍보가 주로 보도됐던 것과 달리 수급자신청을 받기 시작한 ‘시행단계’는 사실상 법 집행기간으로서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가면서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노인성질병의 범위, 장기요양인정 등급판정기준, 장기요양인정의 신청방법, 의사소견서 제출제외자의 범위 및 발급절차, 발급비용, 재가급여를 제공할 수 있는 장기요양요원(요양보호사)의 범위 및 자격, 장기요양기관의 지정기준 및 재가장기요양기관의 시설, 인력, 운영기준 등의 제도 시행에 필요한 변경 및 절차상의 문제점들이 발생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셋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언론보도에 대한 전문성을 검증하기 위해 정보원, 제목의 서술형태, 출처의 밝힘 여부, 대안제시 여부 등을 분석했는데, 그 결과 단순보도 위주로 기자가 직접 발로 취재한 기획보도 등 심층적인 보도가 부족했고, 전문가적 입장에서 앞으로의 전망 해결방안 등을 제시하는 대안제시 역시 상당히 미흡해 전문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단순인용의 보도를 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제도시행에 대한 지속적인 문제제기와 감시노력이 부족이 부족했음을 알 수 있었다.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유료노인복지주택 수요추정에 관한 연구

        정경훈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는 2025년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하며, 베이비붐 세대 전부가 노인인구로 편입되는 2040년에는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약 35% 차지할 예정이다. 노인들의 특성상 건강하더라도 나이가 들면 일상생활에 적절한 도움이 필요하므로 노인들의 주거복지는 국가에서 공적으로 제공하거나, 민간영역에서의 복지 서비스 제공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인 유료노인복지주택은 민간영역에서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노인을 위하여 시설을 제공하는 유료복지 주택서비스이다. 그러나, 시대적 변화 속에서 유료노인복지주택은 지속적인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공급이 이뤄지지 않는 실정이다. 무엇보다도 유료노인복지주택의 수요예측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유료노인복지주택 수요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유료노인복지주택 수요량 추정을 위하여 M-W 수정모형과 곰페르츠 성장모형을 사용하여 2022년부터 2050년까지의 유료노인복지주택 수요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주택 수요 변화량은 2023년에 정점을 찍으며, 전체 수요량은 2049년에 최고치를 기록한 후 감소하기 시작한다. 유료노인복지주택의 예상 입소인원의 경우 수요예측을 추정한 2050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유료노인복지주택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2023년 기준으로 유료노인복지주택의 예상입소인원과 실제입소인원을 비교한 결과, 예상입소인원이 약 17,000명 더 많아, 단기적인 공급량이 수요에 비해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노인인구 변화와 유료노인복지주택의 예상입소인원 변화를 비교시 장래인구추계 상 2026년에서 2029년, 2047년에서 2050년에는 노인인구가 급격한 감소세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유료노인복지주택 입소인원 변화율은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장기적으로 곰페르츠 성장모형의 입소비율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결과로 추론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2050년 이후에는 노인인구와 유료노인복지주택 입소비율이 함께 감소하여 유료노인복지주택의 수요 공급량 불균형이 일정부분 해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As South Korea enters a super-aged society by 2025, the elderly population, which will include the entire baby boomer generation by 2040, is expected to account for approximately 35% of the total population. Given that elderly individuals, despite being healthy, will require appropriate assistance in daily life as they age, the residential welfare for the elderly must be provided either publicly by the state or through welfare services in the private sector. The subject of this study, paid senior welfare housing, is a private sector service that provides facilities for the elderly who do not have impairments in daily life. However, despite the continuous increase in demand, there has not been adequate supply of paid senior welfare housing. More importantly, the lack of continuous research on the demand forecasting for paid senior welfare housing necessitates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its demand.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demand for paid senior welfare housing from 2022 to 2050 using the modified M-W model and the Gompertz growth model, and to present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ange in demand for senior housing would peak in 2023, with the total demand reaching its highest point in 2049 and then starting to decline. The expected number of occupants in paid senior welfare housing was analyzed to continuously increase until 2050, the forecast end year. Furthermore, to assess the imbalance between the demand and supply of paid senior welfare housing, a comparison between the expected number of occupants and the actual number of occupants in 2023 revealed that the expected number was approximately 17,000 more, indicating that the short-term supply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demand. When comparing the changes in the elderly population with the expected number of occupants in paid senior welfare housing, it was found that despite a sharp decline in the elderly population from 2026 to 2029 and from 2047 to 2050 based on future population projections, the rate of change in the number of occupants in paid senior welfare housing showed a gradual decrease. This could be attributed to the long-term impact of the increasing occupancy rate predicted by the Gompertz growth model. Ultimately, after 2050, as both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occupancy rate in paid senior welfare housing decrease, the im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is expected to be partially resolved.

      • 專門老人福祉施設의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정은섭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선진사업사회로 진입하면서 우리나라의 노인인구가 급속히 증가되어 2018년에는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의 고령인구 비율이 14.3%를 넘어 고령사회로 진입 될 예정이며, 2026년에는 20.8%를 넘어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사회 진입은 다른 나라에 비해서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이에 따른 실제적인 대비가 상당 부분 미흡한 실정이다. 사람들의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고령기가 늘어나면서 만성질환과 기능쇠퇴로 인해 여러 가지 제약을 받고 있는 노인을 어떻게 부양할 것 인가 하는 문제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노인들은 자녀들과의 동거를 원하지만 부양할 자녀들 중에는 부모를 모시는 것이 거추장스럽고 귀찮게 여기는 경향이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부모부양을 기피하는 것은 단지 경제적인 여유가 없기 때문만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경제력이 있는 젊은이 일수록 부모와 별거하는 경향이 많은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현대사회에서 나타나는 노인들의 욕구와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지원체제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노인들은 만성질환이 있어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가정에서 부양하는데 에는 한계가 있으며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노인들의 가치관도 변하여 자식들이 결혼을 하면 분가를 시켜 자녀들과 함께 동거하며 생활하는 것도 기피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인들에게 필요한 서비스와 생활편의시설을 제공하는 곳이 유료노인복지시설이다. 우리나라의 전문노인복지시설은 아직까지 초기단계로 시설의 수와 서비스의 규모 및 유형도 제한적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고령친화사업이 활성화되고 발전되려면 정부와 민간단체, 그리고 비영리단체들도 이에 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하고 차별화된 전문노인복지시설이 개발되어야 하며, 민간단체 및 개인시설 등의 참여로 앞으로 다가올 초 고령사회의 노인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 본 연구는 전문노인복지시설의 이용자들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향후 전문노인복지시설을 운영하고자 하는 운영자와 현재 운영하고 있는 운영자들에게 이용만족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만족도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는 전문노인복지시설의 입소이유는 여가시간활용을 위해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60%로 가장 높았고, 시설선택기준에 있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이라는 응답이 6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노인들이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서 필요한 여가프로그램으로는 다양한 취미생활이 40%로 가장 높았다. 또한 시설 이용에 따른 어려움으로는 동료노인들과의 관계설정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노인복지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직원들의 서비스 성향이 시설환경 보다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이용자들이 하드웨어적인 시설보다 소프트웨어적인 감성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따라서 전문유료복지시설 경영자는 건강ㆍ편익ㆍ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시설 인프라를 기반으로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과 종업원들의 지속적인 서비스 교육을 통해 이용자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운영체계의 정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우리나라의 노인복지 서비스는 저소득층 노인과 일반노인까지를 포함하는 대상층의 확대가 필요하다. 즉 다양한 노인계층의 등장에 따라 건강하고 경제력이 있는 노인들이 노후를 풍요롭고 보람 있게 보낼 수 있는 각종 프로그램과 이용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며 기존의 노인복지시설의 존재가치를 인정하는 한편, 중산층까지도 포함 할 수 있는 양질의 전문노인복지시설 서비스의 개발과 공급이 필요하다. In Korea in 2004 the population of aged over 65 by Jung Cun-Sup have in 8.7% in the fall population. It's getting more and more rapidly. It means Korean society entered into a fall-scale a gaining society. That leads us to think of the issues of the aged we will be confronted now. In this view, this study puts its principal objective on activating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projecting for appropriate improvements of pay welfare facilities in order to old people to make use independently convenient and quiet facilities. Consequently today old people can not take an authoritative status and their desire to live their children is even dislike. The aged began to sincerely agonize their old age and to gradually change in the affirmative consciousness of old-age welfare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old age welfare facilities and their improving proposal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eded to expand and supply a wide variety of old age welfare facilities fit to their economic abilities. And also it is required to cope with the needs of training th specialized, medical service. Besides it its important to develop various programs, services and facilities and provide good care facilities for healthy and rich elderly old aged life.

      • 한국 노인보건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이혜화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According to this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ealth-welfare policy for the aged in our country, our country as a late mover has very fallen behind the advanced countries in the health-welfare policy for the ag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plans for the expansion of old-age income guarantee shall be formulated for the time being. Second, it showed that the old-age income guarantee policy shall be urgently systematized and actualized. Third, it showed that for medical insurance the aged should receive a discount benefit from their liability in medical expenses through the health policy. Fourth, it showed that government, private organizations, businesses, religious organizations and people should understand the fact that old-age welfare is investment for the social integrated development as well as every citizen's obligation, to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old-age welfare. Young people should also understand the fact that the establishment of old-age welfare system can remove future uneasy factors, and think of present liability as future investment, which will have need of the enlightening activities for these facts. Fifth, it showed that the various services of old-age welfare shall be widely applied up to general old people. For the utilization fee, it is desirable to provide poor and low-income old people with the services for nothing, and discriminatively provide general old people with the services according to the income level. Generally, the old-age welfare policy shall be taken effect from the respect for seniors who make us to live a bountiful life, and from the right of dignity which will have to enjoy as a human, not benevolent or favorable attitudes. For the present old-age welfare policy in Korea, there is little recipients or facilities. The service benefits for the aged are also keeping to a minimum, and the contents aren't even realistic, which nominal benefits are only provided to the aged. Consequentl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old-age population group is the highest in the rate of population short of the social lowest standard out of the whole population group,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vision of substantial welfare services for the old-age population as a top priority from now on. 우리나라 노인복건 복지정책의 발전을 위한 본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우리나라 노인보건복지정책은 후발주자로서 선진국에 비해 매우 뒤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소득보장의 확충을 위한 방안이이 우선 수립되어야 할 것을 시사해 주었다. 둘째, 소득보장정책의 제도화와 현실화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강 의료정책으로 의료보험인 경우 자부담율을 노인에게 할인혜택을 주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복지는 국민으로서의 의무뿐만 아니라 사회의 통합적 발전을 위한 투자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정부, 민간, 기업, 종교단체, 그리고 국민 모두가 적극 참여하여야 한다. 젊은 층에서도 노인복지체계의 구축이 미래에 대한 불안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현재의 부담을 미래에 대한 투자라고 생각하여야 하며, 이러한 사실에 대해서 많은 계몽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서비스의 다양성측면에서 일반 노인에게까지 확대 적용 되어야 하며 이용료의 경우 빈곤 및 저소득층 노인에게는 무료로, 일반 노인에게는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과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노인복지정책은 자선적이거나 은혜를 베푼다는 식의 태도가 아닌 현재의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게 만들어 준 연장자에 대한 존경과 인간으로 누려야 할 존엄성의 권리차원에서 시행되어야 할 것이 요구되며 현재,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노인복지정책은 대상이나 시설 등이 적고, 또한 노인에 대한 서비스 혜택도 최소한에 그치고 있고, 그 내용에 있어서도 현실적이지 못한 채 명목상의 혜택만 주어지고 있는 실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인구 집단 중에서 사회적 최저기준에 미달되는 인구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집단이 노인인구 집단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제부터라도 노인인구를 위한 실질적인 복지서비스제공을 최우선적으로 확충할 필요가 있다.

      • 교회 노인복지 프로그램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김재원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Social welfare is the one of the sphere of ministry to stride urgently for being adapted 21th century and future society in the traditional pastoral work of korean church. Especially, ministry for the old age seems to be the absolutely necessary sphere to solve the problem which caused by increase the span of human life by high growth of economy, better condition of nutrition and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To relieve the pressure, government attempt carrying out the variety policy for the old generation. Owing to the want of financial resource, expert and a public institution to take care of old people, there is a hard situation they are not satisfied. So then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welfare for the old age, it is thought that the aid of church among society or religion group is needed. The local church has the possibility with excellent potential power for the supplementation the problem of the 노인 welfare policy of the government and the silver industry policy of the company because the church knows local characteristic to be located well. The church has to change of missionary direction not to evangelize but to serve with the service for an area society and inhabitants and should be grow and serve area society. In the result the area society and church have the relation to be the organic and will become the gauge to do together a growth development. Even if the church has the many sphere of ministry to do, the church should be activity on the work to leave to get a good settlement for the old man problem with systematic policy and program. We can arrange the problem in the church with the necessity of the welfare program for the old age to find an activation plan and research presentation program to manage by itself. The problem of the program is as follows. 1. There is no course to be unified Though own direction of education course is prepared, the great part of the school are not managed with their own curriculum and cannot expect a educational effectiveness because of lacking unity and unification in the education content. The consistency of a study method knowledge and cramming method in teaching education of the lecturer about old man is a shortage not to become, the educational direction they have executed is not thought to be a modern. 2. The necessity of new program development and operation which the level is high. Most of the school show a tendency to collect an entertainment accumulation. Though a few educational element with song and dance in wide meaning, it is difficult to expert of the method like that. The present time's program con not be satisfied so the program of new method is requested. As a whole the kind of the program or quality seems to be the stage of the first steps yet. 3. The preparation of space, equipment, implement and The deficiency of finance. The most of school are faced with a difficult situation to be lacking of itself equipment and text book, teaching tools for the education. they have the difficulty of the operation due to the want of operating cost because only some people who is like area celebrity contribute to them. Because of such reasons the church of small scale have difficult reality to carry out the plan except sufficient church with finance. 4. The positive, systematic and expert execution of old man welfare with straight recognition. The old man welfare to be carrying out by the church can not be long-term and long-term policy has the difficulty of the execution to the shortage of the finance. Most event for the old men are therefore one round service so the program to be form now on long-term needs remarkably. To the natural disposition such problem, present as follow an activation plan for the old man welfare involvement of the church. 1. The church has to change their direction from the evangelism to the society salvation of missionary. Such viewpoint through area society service the church put into action of the old man welfare program with taking local characteristic and necessity into acount. 2.The church need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o be itself. Especially the old man school prevent the dummy and to be amused education course, need the operation with efficient plan for the education course. According to social characteristic of old men, the man of affairs assort the concern and requirement in the study content. Through such effort the church can expect the study effectiveness of the old man school. 3. The activation of the old man welfare by the application of the church resource The advantage of the church is resource of finance, human, equipment and system. The church frame a policy which is handed basic knowledge and technique to the operation member or volunteer to be the important for the progress of the activity and has to find competent people have a service spirit and expert knowledge. Finally, the church can improve the old man welfare to efficient practical use the resource. Through such activity the church can consists the soul salvation by society salvation. 4. The importance of spontaneous involvement of the volunteers. The volunteers are not a expert but member to collect for the carrying out the old man welfare. Being the practice of an activation plan which present up there, if the church lead actively the old man welfare, the healthy area society will be achieved. The healthy area society will build the healthy country. Not only access to new concern the church to society welfare but also become a place to share their lot with area inhabitants, it will be a right direction of mission. Finally, the church will secure the growth and revival from glad tiding to whole the local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