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고캠페인을 통한 기독교 이미지 제고

        박규상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영상세대로 접어들면서 대중미디어의 영향으로 높은 접촉문화(high touch culture)의 사회로 바뀌고 있고, 그에 따른 기독교의 대중적 이미지는 부정적으로 흐르고 있음을 보면서 광고캠페인을 통해서 기독교의 이미지를 제고할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어졌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문헌을 중심으로 한국교회의 이미지 제고의 필요성과 우리나라 광고에 나타난 종교 이미지를 살펴보았으며, 그에 따른 광고의 형태와 한계, 그리고 종교광고의 색채를 드러내지 않으면서 기독교 이미지 제고를 위한 대안제시로 공익광고를 제안했다. 본 연구의 결과 기독교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 공익광고를 제안했고, 그에 따른 구체적 사례로 싱가포르 교회연합의 광고 캠페인을 들었다. 특별히 공익광고를 대안으로 삼는 두 가지의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첫째, 공익광고는 사회 전반의 공익적 주제를 선정하여 광고하기 때문에 모두가 동감하는 공익적 소재만 발굴된다면 다양한 계층의 시청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다. 둘째, 공익적 주제로 인하여 공익광고 제작업체의 긍정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상파 방송을 통한 기독교 이미지 제고를 위한 공익광고를 전개할 때 방송법의 규제와 한계를 인정하면서도 그 한계를 넘어서 생각할 구체적 방법들을 두 가지로 요약하였다. 첫째, 공익광고 제작 협찬사로 참여하는 방안으로, 방송사업자가 방송법에 의해 일정 비율을 공익광고를 제작하여 방송할 때 제작비를 협찬하여 공익광고의 제작에 동참하는 방안이다. 둘째, 기독교방송을 활용해 공익 캠페인을 전개하는 방안으로 기독교방송 매체를 활용해 공익적 주제로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펼치는 방안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독교가 사회에서 좋은 이미지로 다가가지 못하고 있고, 오히려 부정적 이미지로 더욱 각인되고 고착화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영상매체와 인터넷의 빠른 발전으로 전파의 수용자로서가 아니라 직접 참여하고 재생산하는 생산자로서 소비자들이 참여하고 있어 임기응변(臨機應變)식 대처보다 적극적인 긍정적 이미지 구축이 절실히 필요함도 알게 되었으나, 우리나라에서 구체적으로 지상파 방송을 통한 긍정적 이미지 구축을 위해 공익광고를 활용한 예가 종교적 차원에서는 없어 이것이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하겠는가는 앞으로 방송 사업자들의 반응에 대한 연구가 보충적으로 필요하며, 이에 따른 후속 연구가 수행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Entering the image generation, a society is changing to high touch culture, thereby the Christian image goes to negative direction generally. At this moment in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of Christian image through the advertising campaig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searches on a necessity of the enhancement of Christian image of the Korean Church and religious image mentioned in current advertising campaigns and documents. This study proposes public advertising campaign is an alternative proposal that can enhance of christian image without religious color, and the specific case of the public advertising campaign: the Singapore Church. The reasons that this study proposes the public advertising campaign as an alternative proposal are as follows. First, public advertising campaign can appeal to viewers of every class because it deals with themes of general public interes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rouse a person's sympathy if it can find out good subject matters. Second, The manufacture company can get positive image because of a theme of general public interest. And this study proposes specific methods overcoming the broadcasting law when the public advertisement runs through terrestrial mobile broadcasting. First, church can take part in producing public advertising campaign as a sponsor when a broadcasting company makes public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broadcasting law. Second, church can advertise into public interest using Christian broadcaster continuously. Finally this study points out that Christian image haven't gone out into the world in a positive light, on the contrary have imprinted itself in the negative. With remarkabl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media, consumers participate as not a passive consumers but an active producer who reproduces advertisement. Therefore it's necessary building up positive image aggressively not as occasion demands. But they are rare to use public advertising campaign religiously to enhance of positive image through terrestrial mobile broadcasting. Therefore it's possibly necessary that supplement researches are accomplished suchlike broadcasters's response and follow-up researches to actualize this study realistically.

      • 중고등학생의 기독교에 대한 이미지 분석

        유우열 聖潔大學校 神學專門大學院 2006 국내박사

        RANK : 232318

        본 연구는 점점 영향력이 증대되는 이미지 시대에 살고 있는 중고등학생에게 어떻게 기독교의 긍정적 이미지를 제시함으로 그들에게 복음을 효과적으로 확산 시킬 것인가에 대한 연구이다. 이미지는 실체가 아니지만 실체를 접근하는 데 있어서 이미지는 매개 작용을 한다. 기독교를 수용하려면 기독교에 대한 이미지를 먼저 받아들이게 마련이다. 이미지는 모든 분야에서 선택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미지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중고등학생에게 긍정적인 기독교 이미지를 제고하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문헌을 연구하였으며, 중고등학생의 기독교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내용은 8개의 기초조사를 위한 질문이 있으며, 응답자의 생활양식에 관한 질문으로 학생의 성격과 가치관 등을 포함한 6개의 질문과 학생의 생각과 현실을 묻는 10개 항목의 질문이 있고, 교회를 다니지 못하게 된 이유를 묻는 질문이 9개 있다. 그리고 기독교 이미지에 대한 항목으로 교회 이미지에 대한 질문을 4개 요인인 정체성, 관계성, 정의성, 활동성으로 36개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목사 이미지에서는 3개 요인으로 나누어 경건성, 전문성, 친밀성으로 30개 질문과 신자에 대해서 3개 요인으로 나누어 진실성, 경건성, 절제성으로 30개의 질문을 하였다. 전도 받을 때 이미지에 대해서는 3개 요인으로 전도자 태도의 친절성, 전도자 태도와 방법의 합리성, 전도 받을 때의 확신성과 부가하여 전도방법 등을 묻는 21개의 질문이 있다. 마지막으로 교회봉사에 대한 이미지를 묻는 질문으로 13개의 질문이 있다 총 항목이다 본 연구자의 . 164 . 조사는 인천광역시 서구에 소재한 중고등학생에게 700부를 배부하여 358부가 회수되어 문항 분석과 요인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제인 “중고등학생의 기독교 이미지에 대한 분석”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부 목표를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첫째, 중고등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생활양식의 조건에 따라 교회 이미지는 좋은지 나쁜지의 차이를 파악한다. 둘째, 중고등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생활양식의 조건에 따라 목사 이미지는 좋은지 나쁜지의 차이를 파악한다. 셋째, 중고등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생활양식의 조건에 따라 신자 이미지는 좋은지 나쁜지의 차이를 파악한다. 넷째, 중고등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생활양식의 조건에 따라 전도 받을 때 전도 이미지는 좋은지 나쁜지의 차이를 파악한다. 다섯째, 중고등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생활양식의 조건에 따라 기독교 사회봉사에 대한 이미지는 좋은지 나쁜지의 차이를 파악한다. 위 문제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지 검사를 하였고 설문지를 부호화(coding)하여 SPSS 11.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기독교 중고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회 이미지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 검증에서는 여학생이 긍정적이었고, 학년에 따른 차이에서는 불교 학생이 가장 부정적이며 천주교 학생은 긍정적이었다. 천주교 신자인 어머니를 둔 학생은 긍정적이었고, 교회 출석경험이 높을수록 긍정적이었다. 기독교 중고등학생의 경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 긍정적이었으며, 부모가 기독교인일 때 자긍심도 높았다. 교회 출석경험은 경험이 많을수록 긍정적 이미지를 나타냈다. 둘째, 비기독교 중고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목사 이미지 차이에서 성별의 차이에서는 여학생의 목사 이미지가 높았고, 학년에 따른 차이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 높았고, 종교에 따른 차이에서는 불교 신자가 부정적이었으며, 아버지 종교에 따른 차이에서는 기독교 신자인 아버지를 둔 비기독교 학생의 기독교 이미지가 부정적이었다 어머니의 . 경우 기독교보다 천주교 어머니 경우가 높았다. 출석경험이 많을수록 긍정적 이미지를 나타냈다. 기독교 중고등학생의 목사 이미지 차이에서는 성별에 따른 목사 이미지는 여학생이 긍정적이었고, 학년별 검증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 긍정적이었고, 어머니가 기독교인 경우는 매우 긍정적이었다. 10년 이상 출석한 학생의 경우 경건성 이미지가 긍정적이었다. 셋째, 비기독교 중고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자 이미지 차이 검증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긍정적이었고, 종교에 따른 차이에서는 천주교 신자에게서 긍정적인 경향성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아버지가 천주교 신자일 경우 긍정적이었고, 어머니의 경우도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기독교 중고등학생의 신자 이미지 차이 검증에서 학년에 따른 차이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 긍정적이었고, 교회출석 기간이 10년 이상인 학생들이 긍정적이었다. 넷째, 비기독교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전도이미지 조사에서는 전 항목에서 10%대로 매우 부정적이었고, 기독교 중고등학생은 전 부분에서 매우 긍정적이었다. 다섯째, 비기독교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기독교 봉사활동에 대한 이미지에 대한 검증 결과는 비교적 긍정적이었고, 기독교 중고등학생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고등학생의 기독교에 대한 기초적 이미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은 큰 효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세부적이고 전국적인 조사 검증을 통하여 중고등학생들의 기독교 이미지에 대한 정확한 분석으로 미래의 주역이 될 중고등학생의 전도전략의 다각화와 효율성이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hristian and church image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researcher's interest was how church is a able to evangelize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a good Christian image. Even though a Christian image is not a reality but a media approach to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First of all, in order to accept a Christian doctrine, one accepts a Christian Image. Image becomes a standard for all thing which one chooses. Accordingly, this researcher wanted to find the best method to evangelize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exact and positive understanding of a Christian image. This was literature research. The questionnaire for a Christian image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was made by this researcher. The questionnaire contains nine parts. (1) First part of the survey was basic questions which contains 8 questions on demographical informations. (2) There were 8 questions concerning the participants' life situation such as character, and a sense of values. (3) There were 10 questions about the participants' thoughts of Christianity and reality. (4) For non-Christian, there were 9 questions which asked the reason that he/she does not attend church. (5) There were 36 questions about a Christian and church image which contains 4 sub-factors: identification, relationship, justification, and activity. (6) There were 30 questions on a pastor's image which had three parts: faithfulness, professionality, and intimacy. (7) There were 30 questions concerning a Christian image which contained three parts: truthfulness, piousness, and control. (8) There were 21 questions on evangelism and/or evangelists which contained three factors: evangelists' kindness, evangelists' reasonability, and evangelists' assurance. Lastly, (9) There were 13 questions about church service. Total questions were 164. The participants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Incheon. The researcher distributed 700 questionnaires, and got back 358 questionnaires. The researcher treated ques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The research purpose was as follows: (1) to grasp the image of churches by demographical traits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and life situations and conditions. (2) to analyze a pastor's image by demographical traits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and life situations and conditions. (3) to investigate a Christian image by demographical traits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and life situations and conditions. (4) to study evangelism/evangelists by demographical traits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and life situations and conditions. (5) to appraise the image of a Christian social service by demographical traits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and life situations and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image of churches by demographical traits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and life situations and conditions, girl students in the case of non-Christians had the highest positive image for a Christian and church. The Buddhist students in the case of non-Christians had the lowest negative image for a Christian and church. The students who attend a church frequently had the highest positive image for a Christian and church. In the case of a Christian, the students who were in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had the highest positive image for a Christian and church. The students whose parents were Christians had the best positive image for a Christian and church. Second, in a pastor's image by demographical traits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and life situations and conditions, girl students in the case of non-Christians had the highest positive pastors' image. In the case of non-Christian, the students who were in the third grade of high school had the highest positive pastor's image. The Buddhist students in non-Christians had the lowest negative pastors' image. Students whose fathers were Christians had the lowest negative pastors' image. The students who attend a church frequently had the highest positive pastors' image. Girl students in the case of a Christian had the highest positive pastors' image. In the case of a Christian, the third grade of high school had the highest positive pastors' image. Students whose mothers were Christians had the highest positive pastors' image. Students who attent church more than 10 years had the highest positive pastors' image. Third, in a Christian image by demographical traits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and conditions of life situations, girl students in the case of non-Christians had the highest positive Christian image. The Roman Catholic students in non-Christians had the highest positive image. Students in non-Christian who parents were Roman Catholic Church members had the highest positive Christian image. Christians students who were in second grade of high school had the highest positive Christian image. Students who attent church more than 10 years had the highest positive pastors' image. Fourth, in the image of evangelism/evangelists by demographical traits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and life situations and conditions, all students in non-Christians had the lowest negative image of evangelism/evangelists. All Christian students had the highest positive image of evangelism/evangelists. Fifth, in the image of a Christian social service by demographical traits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and life situations and conditions, all students both non-Christians and Christians had a positive imag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a Christian imag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a base fir methods and strategies of evangelism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modern evangelism.

      • 기독교 세계관을 통한 시각적 형상(Image)에 관한 연구

        강지웅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03

        이미지로 표출된 예술은 인류의 역사와 같이 해왔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긴 시간과 내용을 가진다. 또한 이미지는 인류가 문자를 사용한 문화보다 훨씬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미지와 예술이 시간과 역사로서만 중요성의 공통분모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삶 전체의 기저(基底)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 더 귀중한 사실이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이미지는 서구의 인식론에 기인하여 실재하는 만큼 중요하게 평가되지 못했다. 기독교에서는 16세기 종교개혁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이미지 예술을 보호하고 넓은 범위에서 활용했다. 특히나 고대에서 중세에 이르기까지 문자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이미지로 전달되는 성경의 메시지는 엄청나게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했다. 이미지를 통하여 기독교의 복음의 내용을 전하고자 했던 교회의 전통은 조각, 건축, 회화를 통한 기독교 신앙의 표현에 엄청난 발전을 가져왔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가 위대한 작품들을 남길 수 있었던 이유도 기독교 신앙과 신학에서 기인한다. 그러나 루터에 의한 종교개혁 이후에 가톨릭교회의 이콘 영성에 반대한 개신교는 16세기 중반에 취리히에서 처음으로 성상파괴운동이 일어나 그동안 교회가 간직해왔던 수많은 성화와 성상, 건축물 등을 파괴하거나 불태워버렸다. 이러한 반달리즘(vandalism)은 ‘우상숭배의 말살’이라는 명목으로 이어져 결국 교회의 벽면은 어떠한 장식도 사라진 하얀 회벽의 상태로 변화하게 되었다. 그러한 교회사의 아픔을 뒤로하고 시간이 흐른 지금의 교회는 멀티미디어의 발달로 성화와 성상이 치워진 자리를 차지한 백색 스크린 위에 국적을 알 수 없는 수 없이 많은 이미지들이 스쳐지나간다. 이러한 지금의 현실 속에서 연구자는 지금의 우리의 삶과 예배의 모습이 과연 종교개혁자들이 소망하던 결과인지 의문을 갖게 되었다. 때문에,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 홍수와 같이 이미지가 범람해오는 현실 가운데 이미지에 대한 새로운 지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대상을 바라보는 수용자의 관점에서 발생 될 수 있는 가시적·비가시적 영역 인식에 대한 문제를 기독교 세계관을 통해 해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하에 본 연구를 진행한 이유를 다음의 항목으로 간추릴 수 있다. 첫째, 우리에게 익숙한 과거 서구의 인식론을 통해 이미지를 경시하는 사유의 방식이 이미지를 대량 생산·대량 소비하는 이미지 폭발의 시대와 상호 모순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이 결코 모든 이미지가 옳고 선한 영향력을 미친다고 두둔하고 편드는 옹호론을 말하고자 함이 아니다. 다만 이미지의 강력한 힘과 영향력을 인식하고 이미지 쏠림 시대에 과연 이미지를 우리가 어떻게 바르게 수용해야 하는 가를 고민한다. 둘째, 서구 중심의 인식론을 통한 이미지 경시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작금(昨今)의 시대가 요구하는 폭넓고 새로운 이미지에 대한 인식의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셋째, 기독교세계관을 통해 우리의 삶과 문화 형태 가운데 나타나는 ‘문화 시대’의 현실을 살피기 위함이다. 이미지 그 자체가 지닌 가공할 만한 힘이 잘못된 방향으로 사용되면 우리의 삶을 위협하는 매우 위험한 존재가 될 수 있다는 경각심을 통해 우리의 현실 문화 속에서 우리를 터치하고, 영향을 미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이미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서로 간에 폐쇄적인 학문들 사이의 경계를 허물고 서로를 잇는 융합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교육에 있어서도 소통과 융합을 이끌어 내기 위한 이미지 이해와 동시에 이미지 사용의 방법에 대한 적절한 제언의 필요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미지 연구에 대한 것으로서 어떠한 특정 예술가나 예술작품, 또는 어떤 이즘과 같은 미술사의 특정 사조를 분석하거나 의미를 부여하기 위함이 아니다. 비단 이미지를 매개로 활용하는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나는 이미지의 잠재된 힘과 그것이 가지는 시대적 중요성을 분석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미지를 통한 새로운 인식과 교육의 확산 가능성을 재고하고자 위함이다. 이미 국제적으로 이미지의 중요성과 가능성에 대해 활발한 논의와 되고 있으며 특히 유럽이 그러하다. 이미 선행된 다양한 이미지 연구들 가운데 기독교 세계관을 통한 새로운 인식과 조망으로 간과되었던 부분들이 본 논문에서 밝혀지길 소망한다. 본 연구를 통해 진리와 진실에 입각하여 현대사회와 현대미술의 요구를, 교회와 세상의 감수성에 동시에 호소하는 지평 위에서 이미지의 새로운 미학적 가능성이 태동하기를 기대하며, 본인의 접근이 그 하나의 단초이기를 기도하고 바란다.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art expressed in images has been with the history of mankind. In addition, images have a much longer history than the culture in which mankind used letters. Furthermore, image has a way longer history than the use of letters. Still, time and history are not the only common features of image and art. The more important fact is that they underlie the whole life of the humanity. Nevertheless, image has not been deemed important as its existence due to the western epistemology. Before the reformation in 16th century, the Christians protected the image art and utilized in extensive fields. Especially, the messages of Bible were delivered to the illiterate people in the form of image and they had a powerful influence from ancient times to the medieval times. The tradition of delivering the words of God through the images brought a huge development to the expression of Christian faith in the means of sculptures, architectures, and paintings. The reasons why Leonardo da Vinci, Michelangelo, and Raffaello could leave such masterpieces are associated with the Christian faith and theology. However, after the reformation by Luther, the Protestants opposed against the icon spirituality of the church and started the iconoclasm for the first time at Zurich around mid-16th century. This resulted in burning and destroying numerous architectures, icon paintings, and icon sculptures that church had been keeping. Such vandalism led to the destruction of worship. Eventually, the walls of churches changed into the white plastered wall without any decoration. After going through such painful history,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brought changes to the church. Nowadays, countless numbers of images that no one knows where they are from are filling up the white screens that once were filled with icon paintings and icon sculptures. In such reality, researchers wonder whether the ways of living and worshiping are the results that the reformers once hoped for. In response, this study tried to recognize the need for new awareness on the images in facing the flood of images in the modern society, observe the perception of the visible and invisible areas in relation to the viewpoint of recipients gazing at the object under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and find the desirable image perception and directions for the new image culture in the digital media era. The reasons for conducting this study under such purpo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ople are familiar with the western epistemology and this resulted in the attitude of looking down on images. However, this contradicts with the era of explosive images involving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of images. Still, this is not saying that all images have right and good influences. Instead, this encourages people perceive the strong power of images in this era and think about how to accept the images properly in the flood of images. Secondly, this study monitors how the western epistemology looks down on images and tries to find the possibilities in coming up with new and broad image perception required in the present times. Third,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reality of “Cultural Era” associated with life and culture through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what touches and influences on the life and culture by being aware that the images can threaten people’s lives when its impressive power is used in a wrong way. Lastly,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new perception on the image can be the medium of fusion that breaks the boundary of closed fields and connects each other. This is because understanding on the image and appropriate thoughts on using images are necessary for deriving the communication and fusion in the education.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images and it is not to grant meaning or analyze specific artists, artworks, or specific trends of the art history such as “-Is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otential power of images in various environments utilizing image as medium and the importance of image in this era.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about the possibilities in expansion of education and new perception through images. Researchers around the world, especially European countries, are actively discussion on the importance of images and related possibilities. While there have been prior researches on images, this study hopes to clarify parts that have been overlooked by perceiving and viewing from the Christian viewpoint. This study looks forward to the beginning of the new aesthetic possibilities of the images on the horizon appealing to the sensibility of the church and the world along with the demands of the modern society and modern art based upon the truth and verity and this study also hopes that its approach would be the part of the beginning.

      • 애착과 하나님 이미지와의 관계

        추원심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226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tual relationships with the differences of parental attachments in terms of socio -demographic factors, and to verify the correlations of attachments and God image. This study implemented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ith 212 young persons who are mostly composed of highschool and college christian students lived in Kyunggi-Incheon province. In this study, 'IPPA'(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by Armsden & Greenburg was used for measuring the level of parental attachments and 'the Attachment Style Questionnaire' by Hazan & Shaver was used for discriminating the parental attachment style. In addition, 'GIA'(God Image Assessment) test by Kim Nanyae was used for a test tool to measure the factors of God image. For analysing the response of interview, the subordinate scales of IPPA are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alienation and the subordinate scales of GIA are belonging, permission, and control. The Summary of results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for paternal attachmen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Father attachment increased as the father's education level was higher, as parental religions was christian and catholic not others, and as the respondents believe in his/her father than mother. Besides, Mother attachment increased as respondents are female than male, as older and young, and as the father's education level was higher. Secon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for God image according to ages of the respondent, the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religion, and some characters about the respondent's religious life. Third, regarding the parental attachment styles, the highest style of paternal attachment is secure attachment, the second is anxious- ambivalent attachment, and the last is anxious-avoidant attachment. the rate(percentage) of secure attachment was higher mother than father. Fourth, there was higher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attachments and God image, but non-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the confidence factor of paternal attachment and the control factor of God image. Besides, maternal attachment has more meaningful relationship than paternal attachment with regards to God image.

      • 어머니의 신앙적 양육태도가 초등학생 자녀의 하나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정혜영 평택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32235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의 주일학교에 초등학생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들 의 신앙적 양육태도의 경험을 알아보고 그러한 경험이 갖는 의미를 연구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연구자는 어머니는 가정에서 자녀들 과 어떤 방식으로 신앙생활을 하는지, 가정에서 자녀들의 행동과 정서적인 훈육을 시킬 때 어떤 방식을 적용하는지, 자녀들에게 하나님에 대하여 무 엇을 가르치는지, 자녀들에게 어떤 신앙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로 인해 자 녀들에게 나타난 결과는 무엇인지에 대해 네 가지로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어머니의 신앙적 자녀양육의 경험을 알아보고 그 의미 를 연구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 가운데 하나인 클랜디닌과 코넬리의 내 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신앙의 연수는 다르지만 신앙적인 자녀양육의 경험이 있는 주일학교에 초등학생 자녀를 보내는 40 대의 어머니들이다. 이들은 2018년 2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예비 면담을 통해서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고 자료 수집은 2018년 5월부터 2020년 10 월까지 이루어졌다. 방법은 주로 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이야기 안에 서의 의미를 찾고자 분석 및 해석을 반복하였고, 그 외 연구일지, 메일, 문 자, 카톡, 전화 통화, 녹음파일, 그림 자료 등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살펴본 어머니의 신앙적 양육 태도가 초등학생 자녀의 하나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참여자인 어머니들은 결혼생활의 어려움과 자녀 양육의 한계에 부딪히면서 간절한 기도를 통해 하나님 경험을 하였고 이로 인해 왜곡된 하나님 이미지가 변화되고 신앙이 성숙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러한 어머니들의 변화와 교회의 어머니들을 위한 상담, 성경공부, 심리학 교육의 다각적인 도움을 통해 어머니들과 자녀들의 관계가 개선되고 신앙 적 자녀 양육이 가능해졌다. - iv - 둘째, 참여자인 어머니들은 자녀들에게 매일의 삶과 가정예배를 통해 하 나님의 사랑을 들려주고, 성경을 근거로 하여 행동과 정서적인 훈육을 하 며, 신앙의 본을 보여주기 위해 애쓰면서 신앙적 자녀 양육에 최선을 다하 였다. 셋째, 참여자인 어머니들의 이러한 신앙적 자녀 양육을 통해 자녀들에게 전인적인 인성 형성과 신앙의 성장이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해 자녀들의 왜곡된 하나님 이미지가 성경적으로 새롭게 형성되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주일학교에 초등학생 자녀를 보 내는 어머니들의 신앙적 자녀 양육 경험의 의미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어머니의 신앙적 양육 태도의 경험은 어머니의 신앙 성숙과 왜곡된 하나님 이미지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가 회복 되고 이로 인해 자녀의 전인적 인성 형성과 신앙의 성장으로 인한 성경적 인 하나님 이미지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기독교 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의 관계

        김경탁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99503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의 관계는 어떠하며 성별, 학년 그리고 신앙생활년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또한 하나님 이미지와 관련성을 나타내는 자존감의 하위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P지역 H대학생 315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하나님 이미지 측정도구는 Lawrence(1997)의 God Image Scale 4점 척도로 평가하는 자기보고형 검사 도구를 황혜리(2003)가 번안한 72문항과 Gorsuch(1968)가 개발한 하나님 이미지에 대한 형용사 척도를 박민수(2000)가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존감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것과 Rosenberg(1965)의 Global Self-Esteem 척도를 이훈진, 원호택(1995)이 번안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 남녀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하나님이미지와 자존감의 학년에 따른 차이와 신앙생활년수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ANOVA(일원변랑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의 하위요인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님 이미지의 하위요인 중 도전과 자아존중감 하위요인 중 타인관계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개인변인(성별, 학년, 신앙생활년수)에 따른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의 관계에서는 성별에 따라 자존감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나님 이미지는 하나님 형용사척도와 하나님 이미지척도 하위영역 중 영향, 임재, 섭리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는 자아 존중감 하위영역 중 주장확신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신앙생활년수에 따라서는 자아존중감과 그 하위요인 중 지도인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나님이미지의 하위요인 중 수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부모 양육태도와 하나님 이미지가 기독청소년의 사회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이창옥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199503

        This dissertation aimed at verifying the effect of the parenting attitude and image of God on the social adjustment in Christian adolescents. The best model to show their relationships were specified and presented, The participants include 466 adolescents, who were composed of 88 male and 114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grades 7 through 9 and 121 male and 143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grades 10 through 12. They were located at most of South Korea, but more than half of them were located at the North Chungcheong Province. Their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were categorized with the Parent Attitude Test (Kim & Lee, 2008) translated and modified from Buri(1991)'s Parental Authority Questionnaire. Their images of God were categorized with Kim (2002)'s God Image Assessment translated and modified from the God Image Scales (Lawrence, 1997). Their social adjustments were categorized with the Church Community Adjustment Assessment (Kim & Lee, 2012).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nalysis of variance,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generated with SPSS 18.0., whil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with Amos 20.0. and Bootstrapping. There were six results. First, parents' Christian religiosity made a difference in mother's authoritative and authoritarian attitudes, and the adolescents' presence, challenge, benevolence, and providence images of God. Second, when both of their parents were Christians, the authoritative and authoritarian parenting attitudes made differences in their images of God. When their mothers were Christians and their fathers were not, all of the parenting attitudes made differences in their images of God. This size of effect was bigger than that. Third, generally, the parenting attitudes made a difference in their images of God. Particularly, only mother's permissive attitude made a partial difference in their images of God. Fourth, generally, the parenting attitudes made a difference in their social adjustments. Particularly, father's authoritarian attitudes and mother's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attitudes made partial differences in their social adjustments. Fifth, generally, their images of God made differences in all of social adjustments. Their acceptance image of God had no impact on their empathic expressions. Lastly, for their fathers, their images of God were intermediate variables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social adjustments. But, for their mothers, their images of God were not. Further researches on other religious adolescents or comparative researches between different religious adolescents were suggested. And longitudinal researches on their relationships were suggested.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 양육태도와 하나님 이미지가 청소년들의 사회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부모 신앙 유무에 따라 부모 양육태도, 하나님 이미지, 사회적응성에 차이가 있는지, 2) 부모 신앙 유무에 따라 부모 양육태도가 하나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3) 부모 양육태도가 하나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4) 부모 양육태도가 사회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5) 하나님 이미지가 사회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6) 부모 양육태도와 사회적응성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가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배경을 통한 개념 정리와 질문지를 통한 실험연구를 병행하였다. 질문지는 개인변인 10문항, 부모 양육태도 46문항, 하나님 이미지 60문항, 사회적응성 23문항으로 구성하여 서울, 경기, 대전, 충남, 충북, 전남, 강원, 제주에 거주하는 교회학교 중․고등학생 466명을 대상으로 표집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신앙 유무에 따른 부모 양육태도, 하나님 이미지, 사회적응성 차이는 1) 아버지 양육태도는 차이가 없었고, 어머니는 허용적 양육태도를 제외하고는 차이가 있었다. 2) 하나님 이미지의 경우는 전체적으로 차이가 있었고, 용납과 영향력에만 차이가 없었다. 3) 사회적응성의 경우는 전체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부모 신앙 유무에 따른 부모 양육태도와 하나님 이미지 관계는 1) 부모 모두 믿을 때 부모의 권위적, 권위주의적 양육태도는 하나님 이미지에 영향을 미쳤고 허용적일 때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2) 아버지만 믿을 때는 표본수가 적어서 제외했다. 3) 어머니만 믿을 때는 부모의 권위적, 권위주의적, 허용적 양육태도는 하나님 이미지의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오히려 부모 모두 믿을 때 보다 더 많은 하나님 이미지에 영향을 미쳤다. 4) 부모 모두 안 믿을 때는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부모 양육태도가 하나님 이미지에는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다만 어머니의 허용적 양육태도일 때만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부모 양육태도가 사회적응성에는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쳤지만 아버지가 권위주의적일 때와 어머니가 권위주의적, 허용적일 때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하나님 이미지가 사회적응성에는 전체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영향을 미쳤다. 다만 하나님 이미지의 용납이 사회적응성의 우호적 자기표현에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부모 양육태도와 사회적응성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는 아버지의 경우는 매개효과가 있었고, 어머니의 경우는 없었다.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하나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고 하나님 이미지는 사회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파악되었다. 그러나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하나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응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청소년들의 마음과 생각을 교회학교가 공감하지 못하기 때문에 교회에 적응하지 못한다. 또한 어머니 양육태도는 사회성보다는 정의적 특성이 강하여 청소년들의 개인적인 하나님 이미지 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교회공동체 사회적응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 연구를 통해 확인 된 것은 청소년의 사회적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아버지의 경우는 자녀 양육에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고, 어머니의 경우는 권위주의적 양육태도에서 권위적 양육태도로 전환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부모 양육태도는 하나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고 하나님 이미지는 사회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의 경로를 찾은 것이 본 연구의 장점이자 공헌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