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규모 복합용도시설의 기능복합 특성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사례를 중심으로

        김종윤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소득의 증가에 따라 다양한 문화적 욕구가 확대되면서 대도시권 내 복합용도시설의 개발에 대한 욕구가 증대하고 있다. 국내의 각 지역에서도 지역경제의 활성화나 도시의 랜드마크(Landmark) 조성을 위하여 경쟁적으로 대규모 개발사업의 형태로 복합용도시설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복합용도시설의 기능이 복잡화되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유치 기능과 그에 따른 개발환경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활발하게 진행 중인 도심재개발사업 및 신도시 PF사업에서 대규모 복합용도시설이 진행되고 있으나 체계적인 기능 도입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고 획일적인 유형으로 계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대규모 복합용도시설의 실태를 분석하고, 개발환경에 따라 복합용도시설의 기능이 체계적이고 다양하게 도입될 방향 제시와 복합용도시설의 개발에서 지향해야 할 방향 제시를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대규모 복합용도시설을 대상으로 복합기능의 점유율에 따라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하고, 4개의 유형이 개발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복합의 정도가 어떠한 개발환경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에 앞서 복합용도시설의 기능복합 특성에 대한 유형 분류를 위해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여 유형을 구분하여 일원분산분석(ANOVA)과 빈도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후 복합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오차분산(error variance)을 줄이고 종속변수에 대한 보다 충실한 설명이나 예견이 가능한 다중회귀모형(Multiple Regression Model)을 사용하였다. 대규모 복합용도시설의 사례를 선정하기 위해 복합용도시설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복합용도시설의 정의를 내리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 본격적으로 복합용도시설이 선보이게 된 1980년대 초부터 2009년 9월까지 개발 유무와 상관없이 현재 계획 중인 사례도 함께 선정하였다. 선정 기준은 세 가지 이상의 상이한 기능요소들을 갖춘 시설이며, 개발대상지의 연면적이 약 100,000㎡ 이상인 사업이고, 사업의 대상지가 단일 사업지에 있는 사업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한 총 34개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용도시설을 기능의 점유율에 따라 ‘주거중심복합형’, ‘교통중심복합형’, ‘업무중심복합형’, ‘상업중심복합형’으로 4개의 군집으로 구분하였는데, 각 군집과 개발환경 특성과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거중심복합형’은 상업지역에 주상복합의 형태로 개발되어 높은 층수를 나타냈으며 주변 종사자수가 적고, 가구수가 많은 지역에 입지하여 개발되고 있음을 나타냈다.‘교통중심복합형’은 노후 철도역, 지하철역, 버스터미널 등을 재개발한 것으로 다른 군집에 비해 낮은 층수로 개발되었으며, 대중교통과 연계한 개발이 이루어 졌다. ‘업무중심복합형’은 오피스 특성 상 랜드마크(Land Mark)가 강조되기 때문에 높은 층수를 보였으며, 광로에 접하고 주변 종사자수가 높은 기존 업무중심지역에 개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중심복합형’은 고객 집객을 위하여 대중교통수단이 잘 이루어진 역세권 주변에 개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통중심복합형’과 같이 대중교통과 연계한 역세권에 개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용도시설의 기능복합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복합의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연면적이 클수록 다양한 기능이 복합되며, 종사자수가 적을수록 기존 주거, 업무, 상업기능 외에 문화 및 여가 등 다양한 컨텐츠들을 개발하여 고객을 유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민간에서 개발할 경우 다양한 기능을 복합화 보다는 수익성이 있는 특정기능들만이 복합되어 개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아직 개발 사례가 적은 대규모의 복합용도시설의 범주에서만 다루었기 때문에 기능군집별과 개발특성 사이에 관계와 복합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아직 국내 복합용도시설이 확실하게 자리 잡지 못하였으며, 향후 도심재개발과 관련하여 많은 복합용도시설이 개발될 예정이기 때문에 현재에서 유의한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 시기 상 이르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개발되었거나 계획 중인 사례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발전해야 할 국내 복합용도시설 과정에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대규모의 복합용도시설을 개발할 시 체계적인 기능 도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aimed at large-scale mixed-use facilities. It divided the mixed functions of the large-scale mixed-use facilities into 4 types according to the occupancy and analyzed how 4 types have changed according to an environment. In addition, it examined the mix is influenced by what element of development environment. The division of types was made by conducting the cluster analysis for the classification of types toward the functional mixed-use characteristics of the mixed-use facility prior to the empirical analysis. For the analysis, one-way ANOVA were conducted.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degree of the mix,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used in which the error mean square (error variance) was reduced and the more substantial description about the dependent variable or prediction is available. Mixed-use facility was defined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about the mixed-use facility and preceding researches in order to select the cases of the mixed-use facility.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mixed-use facility, cases were selected from the early of 1980s, which was the time when the mixed-use facility got down to be exhibited in a nation on a full scale, to September of 2009, which is inclusive of being currently planned, regardless of the development and non development. The standard of selection was the facility that has more than 3 different functional elements and the total area of the development subject area is about over 100,000㎡. The subject site puts business at the single business site, and total 34 cases were analyzed. In this research, the mixed-use facility was classified into 4 clusters; 'Residence centered cluster-type', 'Transportation centered cluster-type', 'Task centered cluster-type', and 'Marketplace cluster-type' according to the occupancy of function. The analysis result between each cluster and developmen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Most mixed-use facilities are being developed in the sub-center of a metropolis and newly built urban community. In case of residence centered type, mixed-use facilities are relatively more distributed in the outskirts of the city like the newly built urban community than in the existing center of a city. In case of the center of a city, the business promotion seems to be difficult due to the compensation expense of the land and the high compensation of the business profit. It is judged that the method for the activation of city regeneration is requir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siness subject, mixed-use facility which is developed in the public sector appeared to be exceedingly rare.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tribution to the activation of the center of a city is needed by promoting the mixed-use facility, which is led by the public sector. Since 'Residence centered cluster-type' was developed as a form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in the commercial area so that it is displayed with the high stories and it is located and developed in the region where there is a small number of commercial population and a large number of households. 'Transportation centered cluster-type' was to redevelop the superannuated station, the subway station, the bus terminal, and etc. It was developed as the low stories compared to other cluster, in which the development is connected to the 'public transportation,'. ‘Since the Land mark is emphasized in the 'Task centered cluster-typ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office, high stories are shown. It is in contact with the wide road and is seen to be developed in the existing business central region where the neighboring commercial population is high. 'Marketplace cluster-type' appeared to be developed around the railway station sphere in which the public transport is well established for the gathering of clients. It appeared to be developed in the railway station sphere which is connected with public transportation like 'Transportation centered cluster-type'.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clusters were analyzed between the functional mixed-use cluster and developmen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environment were analyzed by using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environment, which has an effect on the extent of the mix after grasping the degree of the mix by marking the function, which is applied to each case as quantity.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are as follows: as the total area is large, various functions are mixed. As the commercial population is small, various contents such as culture, leisure, and etc besides the existing residence, a task, and the commercial function are developed in order to allure customers. In addition, in case of being developed by the private sector, it is revealed that specific functions which hold the profitability rather than various functions were mixed and developed. The limit in performing this research is as follows: Since the development cases are confined to the category of the small number of large-scale mixed-use facility in this research, the access to the significant result is insufficient in the aspect of th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 clusters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the degree of the mix. It indicates that the research of the mixed-use facility should be settled in a nation. Many mixed-use facilities in connection with the urban redevelopment are scheduled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of cases which are currently developed and planned will be conducive to in future study of the mixed-use facility. It is considered that it will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atic function in case of developing the large-scale mixed- use facility.

      • 복합기능전통목욕탕 이용자의 건강성 지각에 관한 연구

        김미경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웰빙(Well-being)의 트렌드에 맞추어 각종 찜질방, 사우나, 온천탕들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2~3년 전부터 여러 가지 특성과 기능을 갖춘‘찜질방’이란 복합기능전통목욕탕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연인들의 데이트장소로 가족단위의 휴식처로 그리고 나아가 직장인들의 모임장소로도 그 목적이 다양해지고 삶에 지친 현대인의 육체적 피로와 각종 질병, 스트레스로부터 회복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자하는 수단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과연 이용객들의 건강성 지각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우후죽순으로 늘어나는 복합기능전통목욕탕의 필요성이 중요시되는 가운데 실제로 건강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이에 본 연구는 복합기능전통목욕탕 이용자의 이용 행태를 조사하고, 복합기능전통목욕탕이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이용자들의 건강성 지각 측면에서 살펴보며 공간 디자인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첫째, 복합기능전통공중목욕탕의 이용행태를 파악한다.둘째, 현재의 건강상태 지각 수준을 파악한다.셋째, 복합기능전통목욕탕이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이용자들의 건강성지각을 통해 파악한다.넷째, 복합기능전통목욕탕의 공간구성 특성에 따른 이용행태를 파악한다.다섯째, 복합기능 전통목욕탕의 공간구성 및 디자인에 대한 요구를 파악한다.이 다섯 가지 연구문제를 가지고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복합기능전통목욕탕을 직접 방문하였으며, 조사대상 장소는 시설규모면에서 500py 이상의 복합문화시설을 갖춘 복합기능전통목욕탕이다. 실내 공간 구성의 적합성이나 잘 계획된 사례로서의 대표성을 지닌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실내디자인 관련 잡지에 게재된 서울시 소재의 4 곳을 선정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예비조사와 본 조사로 진행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예비조사는 조사도구의 이해도를 측정하고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점검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복합기능전통목욕탕을 이용해 본 적이 있는 대상에 한해 30명을 선정하여 배포하였다.예비조사 결과 개방형 문제는 모두 폐쇄형으로 바꾸고 애매한 문구나 답변하기 곤란한 질문을 다시 다듬어서 본 조사용 설문 도구를 작성하였다.본 조사는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 보완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실시되었으며, 2006년 5월 10일부터 5월 28일에 걸쳐 조사가 진행되었다. 복합기능전통목욕탕을 직접 방문하여 이용자들에게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그 중 221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나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2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SPSS ver.11.0의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단순통계분석으로 빈도, 백분율, 평균을 이용하였으며, 변인 특성에 따라 교차분석, 분산 분석, t 검증을 하였다. 한편, 복합기능전통목욕탕의 디자인 특성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31개 문항에 대해서는 요인분석을 하여 같은 속성의 문항을 묶어서 분류한 후 통계 분석하였다.복합기능전통목욕탕의 개선과 이용자 요구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구체적인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본 연구의 결과는 복합기능 전통목욕탕이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건강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를 도모할 수 있는 환경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었고, 특별히 평소 건강을 관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결과가 나왔듯이 삶의 질을 높이고 웰빙을 추구하는 삶의 코드로 여가시간의 소요에 대한 요구들이 접합되면서 발전하고 전통을 되돌아보게 하며 발달하게 하는 양상으로 보여 진다.이것이 진정한 삶의 총체적이고,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공간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실내 공간 특성들이 보다 계획적으로 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이론적 배경에 기인한 보다 발전됨을 시사한다. 특히 문헌고찰을 통해 본 치료환경으로의 접근 방법은 국내 문헌에 나타난 비과학적인 요소를 배제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한계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차후의 연구자들은 의과학적 사례를 기초로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과정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향후 복합기능전통목욕탕의 시설 및 실내공간은 더욱 의과학적인 관점에서 다가가 그 방향을 제시하는데 현재의 수준에서 배려되어야 하고, 서양의학에서도 기성의학의 한계를 극복해 보려는 하나의 돌파구로 동양의학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이에 우리의 고유의 찜질을 좀 더 전통의학의 과학적 연구를 통해 미학적으로 공간을 발전시킨다면 전 세계 인류의 수명연장과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된다. The paper has researched on users about health perception for the traditional multi-functioned traditional public baths(TMFPB). For this study, the paper surveyed 200 visitors of TMFPB regular users.The paper analysis TMFPB for the environment of TMFPB, its health affection, design of bath room style including survey of the users. As a result of that, regular users of multi-function Korean style public bath are conscious of keeping their health and getting rid of their stress at multi-function Korean style public bath also regarding the place as their eligible place. The TMFPB regular users count the place a cultural and well-being place for remedy their sickness also. TMFPB regular user women regard the place as social meeting place gathering together. They pursuit their health from the TMFPB when they stay TMFPB utilizing fomentation, sports utilities ect.As the research showed before, our country’s bath, which mainly handle cleanness, has gotten over from type of the West, now it has been changed not just town bath but multi-function Korean style public bath. This is also the place of society of people, the place of stress grievance, and the place of constructing relationship, so it is important to give mental health to users. The research shows that users keep their sociable health here.As using these systems, the users could think that they are healthy or they can be healthy that make them get over from a sense of isolation, lost of self - which pointed out mental as a mental disease and evil of modern society ? that give social health of relationship, and help them to keep physical health as using fomentation system, infrared rays instrument, and many kinds of health systems.Therefore, multi-function Korean public bath helps users in health, aliment treatment. Its interior design also affects users’reduction mental and physical stress. So, the multi-function Korea public bath’s system and design should construct human harmony, and environmental intimacy. Public bath, which has the tradition yellow earth or infrared ray instrument, exist the clinic pathological treatment, so that needs to manage and operate delicately and effectively. Also, we should make multi-function Korea public bath’s function and instrument to nationalize, so that helps to keep and maintain people’s health.

      • 地域施設로서 初等學校의 機能複合化에 관한 硏究

        李載燻 순천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순천시 도심지의 연향초등학교와 농촌지역의 해룡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의 교육여건과 환경의 특성에 의한 학교시설의 기능복합화에 대해 교사와 지역주민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주민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학교의 개방, 유휴교실 등의 전용, 지역의 공공시설과 학교와의 시설복합정비, 지역사회와 학교와 교류를 포함한 학교와 지역시설과의 기능복합화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평생교육의 장으로서 학교의 역할을 파악하고 초등학교가 지역시설로서 기능을 복합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제7차 교육과정에 부합하며 지역사회 중심시설로서의 초등학교의 역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학교시설을 단순히 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장뿐만 아니라 지역특성에 맞는 지역주민의 요구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을 선정·개발함으로서 지역의 공공시설로서 그 기능을 담당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학습활동, 학생들의 활동, 학교시설의 개방, 학교시설의 고도화, 평생교육의 장소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을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을 교육시킬 수 있는 제도적인 지원방침과 기존 학교시설에서는 신교육과정을 뒷받침할 수 있는 교육관련 제반 시설 및 교육기자재의 보완이 절실하다. 지역시설로서 초등학교의 기능복합화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시설은 개방을 통해 부족한 지역시설의 보완, 지역주민의 편의제공,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 향상, 평생교육 등 교육의 연속, 지역사회와의 교류 등을 위해서 개방되어야 한다. 또한 학교시설의 개방은 단순히 운동장이나 체육관 개방에 그치지 않고 일반·특별교실, 옥외공간, 주차장 등 지역주민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학교측과 지역주민간의 상호신뢰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실의 배치계획 등 건축계획적 배려에서 뿐 만 아니라 관리운영상의 제도적 문제점의 해결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시설과 학교시설의 복합화는 부족한 지역시설의 충족, 학교시설의 이용효율향상, 지역주민 활동의 장 제공,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 향상 측면에서 필요하다. 지역시설과 복합가능한 학교시설로는 체육시설, 도서관, 평생교육공간, 전시장, 유치원 등이며, 도심지의 경우 생활수준 등의 향상으로 콘서트, 전시회 등을 위한 문화시설을, 농촌지역의 경우 아동을 위해 유치원을 요구하고 있었다. 따라서 지역주민이 학교시설을 이용함에 있어서 단순히 학교의 시설·설비·공간을 활용하는 측면이 아니라 시설규모나 내부공간 등의 구성에 있어 지역주민의 사용에 적절한 건축계획 및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하며 지역사회의 공공시설로서의 기능과 지역주민의 평생교육 학습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측과 지역주민과의 교류활동은 대부분 운동회 및 학교행사, 지역행사의 장으로만 개방하는 일방적인 경향이 강하다. 교류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역행사의 장소뿐 만 아니라 학교시설의 대폭적인 개방과 체계적인 시설 관리 및 운영 등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유대강화와 학교시설이용의 극대화 방안에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상호보완적인 관계가 유지되어야 한다. 넷째, 초등학교는 지역주민의 의식구조, 사회환경변화 및 생활수준 향상으로 문화활동, 교육활동의 기회 증가로 인해 평생교육의 장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역주민이 학교에 요구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흐름에 의해 부합할 수 있는 적절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지역주민의 인식변화, 교육프로그램에 적절한 학교시설의 보완,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는 인적자원 확보 등 다양한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 다섯째, 학교건축 계획시 지역주민의 이용을 전제로 한 시설·설비·공간은 학생들의 수업, 시설의 관리·유지와 함께 이용자층을 고려한 공간의 영역구분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이용자의 원활한 이용을 위해 학생들만의 공간, 학생과 지역주민이 공동 이용하는 공간, 지역주민의 이용공간 등의 영역구분을 명확히 하여 학생들의 기본적인 학습활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공간성격별, 이용자 계층별 계획을 통하여 각 출입동선의 혼잡을 사전에 방지하여야 한다. 여섯째, 재정투자와 운영은 학교측만의 부담이 아니라 교육부, 교육청, 지역자치단체에서도 지역주민의 평생교육시설 차원에서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며, 기능복합화에 적절하도록 관련법을 개정하거나 신설하여야 한다. 또한 관리운영·유지비문제, 시설설치비 문제, 제반사고시 책임소재 및 대책 등의 문제에 대해 강구되어야 한다. 복합시설의 관리운영이 가능하도록 수요자를 고려한 지역주민의 특성에 따른 복합시설과 이에 적절한 프로그램을 선정·개발하여야 한다. 하지만 학교측과 지역주민간에 신뢰와 시설을 활용하는 이용자들의 주인의식이 필요하며, 예기치 못하는 제반 사고에 대한 대책 및 책임소재 등에 대해 학교측과 지역주민간의 협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순천에 위치한 2개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것으로서 연구결과에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순천지역의 모든 초등학교가 비슷한 여건임을 감안 할 때 연구결과의 활용에는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학교시설을 지역시설로서 기능복합화를 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과 학교와의 공동의 공감대 형성을 위한 공청회나 워크샵 등의 노력이 필요하고 보다 구체적인 보완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among local residents and teachers regarding the multi-function of school facilities, based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circumstances of the local society on Haeryong Elementary School in the rural area and Yonhyang Elementary School in the urban area in Sunchon city. Accordingly, this research presented a multi-function scheme of school and local facilities, including the interchange between local society and school, facility multi-maintenance of school and local public facilities, exclusivity of idle classrooms, and opening of schools for the use of local residents. This research aimed to present a plan to compound the functions of the elementary school as a local facility and understand the role of the school as a place of lifelong education. The role of the elementary school as a central facility of the local community complying with the 7th education proces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chool is not simply a place for the education of students; it must also undertake the function of a local public facility by selecting and developing programs that comply with the needs of the local resident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it must provide a place for lifelong education, enhancement of school facilities, opening of school facilities, student activities, and effective and systematic educational activities. Likewis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7th education process require a systematic support scheme that is capable of educating teachers, as well as supplementary educational materials and fundamental facilities related to education that can support the new education process in existing school facilities. The multi-function scheme of elementary schools as a local facility is as follows: for one, school facilities must be provided in order to enhance inadequate local facilities, provide convenience to local residents, enhance community orientation of the local residents, continuance of education such as lifelong education, and interchange with local society. In addition, provision of school facilities should not stop merely at opening a school playground or gymnasium; it is also necessary to maintain an inter-trust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and local residents, in order to allow local residents to use the parking lot, outdoor space, and general*special classrooms. This requires the resolution of systematic issues in management, as well construction plans such as arrangement of classrooms. Moreover, a compound of local facilities and school facilities is necessary to satisfy the shortage of local facilities, expand the use of school facilities, provide a place for the activities of local residents, and enhance the community orientation of local residents. School facilities that are compoundable with local facilities include sports facilities, library, space for lifelong education, exhibit hall, kindergarten, etc. Urban areas demanded cultural facilities for exhibits, and concerts based on the enhancement of living standards, whereas rural areas demanded kindergartens for children. Therefore, the use of the school facilities by local residents is not merely an aspect of utilizing the facilities equipment space of schools; it must enable management and adequate construction planning for the use of local residents in composing interior space or facility size. Likewise, plans that can use the school as a place of lifelong education of local residents, as well as schemes that function as the public facilities of the local community are necessary. In addition, there is a misleading trend of opening the school as a place for local events, field day, and school events as the interchanging activity between the school and local residents. In order to encourage active interchange, the school must not merely be a place for local events; it must also maintain a mutual supplementary relationship by actively complying with the maximization scheme of school facilities utilization and enforcement of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ommunity. This can be done through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control of facilities and full-fledged provision of school facilities. Furthermore, the elementary school must take on an important role as a place of lifelong education, what with more opportunities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cultural activities based on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change in social conditions, and mental structure of local residents. Thus, effectively managing the lifelong programs demanded by the local residents require considering various aspec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programs complying with the social trend as well as the change in the cognition of local residents, supplementary school facilities appropriate for the education program, and securing human resources capable of implementing programs. In planning the school construction, facilities equipment space based on the use by local residents must have an area division that consider the user groups as well as the class of students and management maintenance of facilities. In other words, area division such as utilization space of local residents, shared space between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and for-students-only space must be clearly executed. This will prevent in advance confusion of flow or exit by planning according to the user groups and character of space. Likewise, disruption of the basic scholastic activities of the students can be avoided. Finally, the school should not fully shoulder the financial investment and management; the ministry of education, education office, and local government must cooperate from a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for local residents. Related laws must either be reformed or established appropriately for function compound. Likewise, issues on management maintenance, installation of facilities, and responsibility in case of various accidents must be discussed. In order to enable the management of compound facilities, appropriate programs and compound facil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residents must be select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consumer. However, users of the facilities must develop a sense of ownership. Likewise, trust between the school and the local residents are required. Consultation must be practiced in order to formulate countermeasures. This is especially critical in designating responsibility between the school and local residents in case of accident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unchon. While there may be some limitations in the research, the results are applicable since all elementary schools in the Sunchon area are likely to be similar. Finally, efforts for public hearing or workshop are necessary to create a united response between local residents and schools. This way, the functions of the school facilities as a local facility are compounded. A detailed supplementary research is therefore recommended.

      • 단면구획기술을 이용한 다층구조 복합기능성 가공 연구

        장종명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직물 내에 표면과 이면을 단면상 구획 분할하여 그 각각에 상이한 기능성을 부여하여 입체형 복합기능성을 가지게 하는 것이다. 원단에 입체형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먼저 원단을 단면상으로 구획 분할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이 방법은 적정 점도를 가지는 호료를 사용하여 날염의 방법으로 원단에 원하는 두께 및 침투정도를 차단 피막 층을 형성한 후, padding방법으로 발수 가공과 같은 1차 기능성 가공을 부여한 다음 호료의 차단 피막 층을 탈호, 수세공정을 통해 제거한 후, padding 방법으로 제 2의 기능성을 부여함으로써 한 원단 내에 표면, 이면이 서로 다른 다층구조 복합기능성을 가지는 원단을 제조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creates the three-dimentional multi-layer structure's complex functionality by sectionally dividing external and internal side of fabric and giving the different functionallity. In order to grant fabric with three- dimentional functionality, technology of sectionl division on the fabric is needed. This technology uses appropriate viscocity and with the printing method, adjust the amount of application through penetration and pressure of viscous material, and create preventative film. And then, with padding method, the fabric goes through water repellent finishing, the first functional process. Through desizing and washing process, Thickner that creates preventative film is removed. In addition, with padding method, the secondary functionallity is granted to the fabric and the fabric is equipped with the Multi-layer structure's complex funtionality that has different external and internal side.

      • 전철역의 구조와 기능적 차이가 주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 지상역사 및 복합기능역사의 부정적 영향을 중심으로

        이재명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85

        The previous studies have provided evidence-based arguments that focused on the positive effects of the accessibility to subway on the housing price. Within the subway influential areas, the positive effects could be absolute. However, several studies conducted abroad have shown that residential areas located very close to subway stations can receive negative externality in form of noise and crowdedness from the station. In this study, we wanted to confirm whether these negative externalities of the subway system exist in South Korea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ce of the apartment and the accessibility to the subway. Through the analysis,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the subway system in South Korea not only makes the positive influence on nearby residential areas but it also creates various negative economic impacts depending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station. There are three main points of our analysis results. There are main contents below. First, the subway stations at ground level that simply serve its basic function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make negative impacts on residential area within a 140-meter radius to the station. On the other hand, underground stations have no negative affect on surrounding area. This is because the noise and vibrations from ground subway stations travels more directly thorough residential areas. Secondly, the subway stations that serves complex functions due to the commercial facilities developed inside make negative impacts on residential area within a 230-meter radius to the station if the stations are built at ground level, and within a 200-meter radius if the stations are underground. Through this we can conclude that complex subway station on the ground have more negative influence than the simple station. Also, unlike stations that only serve its simple function, the complex stations make negative effect even if they are constructed underground. In other words, the complex function station has more negative affect on the residential area nearby the station than the simple function station. This is because the stations that serve complex functions not only creates loud noise and vibrations but also causes crowdedness of the floating population and the automobiles. 지하철이 주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연구는 그동안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지하철의 부정적 영향의 가능성을 검토한 선행연구들은 수도권 전체 노선을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일부 노선에 한정하거나 몇 개의 역만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전철역의 소음과 복잡함을 더미변수화하여 분석을 시행했기 때문에 직접적인 원인을 언급하고 있을 뿐, 소음과 복잡함이 인근지역 어디까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영향권을 제시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도권 전체에 대해 지상과 지하에 건설된 전철역을 대상으로 구체적으로 복합기능역(민자역사 등 상업이나 업무기능을 겸한 역)과 단순기능역(순수 전철역 기능만 하는 역)으로 구분하여 주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일반적인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부정적 영향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를 스플라인분석과 다수준 회귀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상형 구조의 전철역의 경우 역사 및 철도노선이 지상에 위치하고 있어 지하형 구조의 전철역보다 소음과 진동이 많이 유발되어 주변 주택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부정적인 영향을 가격으로 환산해보면 전철역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지역인 100m이내 지역의 아파트의 경우 지하역사 100m이내 지역의 아파트보다 아파트가격이 평균 632만원/3.3㎡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복합기능역의 경우 역 주변 주거민들이 상업, 업무, 위락 시설을 한 공간 안에서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편의성으로 단순기능역보다 역 주변 주택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민자역사 등 상업 및 업무기능을 겸한 복합기능역은 많은 유동인구를 유발시켜 번잡함 및 교통 혼잡을 발생시켜 역 인접 지역의 주택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전철역 구조 및 기능별로 부정적 영향의 범위를 살펴보면, 지상형이면서 단순기능역의 경우 약 140m까지, 지상형이면서 복합기능역의 경우 약 230m까지, 지하형이면서 복합기능역의 경우 약 200m까지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지하형이면서 단순기능역의 경우 부정적 영향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전철역으로부터 접근성이 좋을수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전철역 인근 주거지 개발 시 토지이용 및 주거지 설계에 있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지상형이면서 단순기능으로 새로운 역을 신축할 경우 역사예정지로부터 약 140m까지, 지상형이면서 복합기능으로 새로운 역을 신축할 경우 약 230m까지, 지하형이면서 복합기능으로 새로운 역을 신축할 경우 약 200m까지는 주거지 개발보다는 상업 또는 공원으로 활용하는 토지이용을 통해 전철역으로부터 발생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키는 완충 공간 활용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새로운 역을 신축함과 동시에 역 인접 지역을 주거지로 개발하는 사업이 시행된다면, 사업을 시행하기 이전 타당성 및 수익성 분석을 통하여 주거지 개발 이후 역사로부터 발생하는 부정적 영향으로 인해 하락할 주거지 가격 폭이 지상형 역사를 지하형으로 변경하여 건설하는 비용보다 큰지를 면밀히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만약 주거지 가격 하락 폭이 역사 구조를 변경하여 신축하는 비용보다 크다면 경제적 가치를 생각하여 지상형 보다는 지하형으로 역사 구조를 변경하여 건설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존 지상형 역사 인근에 주거지를 개발하는 사업이 시행된다면, 역사와 인접한 주거단지의 공간은 소공원, 어린이 공원, 관리사무소, 노인정을 배치하여 주거지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충시켜주는 공간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 친환경 복합기능성(내마모/내오염/향균) 광경화형 PVC Tile 코팅액의 개발

        윤현정 순천향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70

        휘발성 유기화합물질(VOC)의 배출에 대한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유기용매를 많이 사용하는 도료산업은 큰 난관에 봉착하였다. 이에 따라서 용제형 도료에서 환경친화적인 도료의 대체가 시급한 시점에 놓이게 되었다. 환경친화형 도료에는 100% 고형분으로 구성되어 휘발분이 존재하지 않는 분체도료, 물을 용제로 사용하는 수용성 도료, 그리고 반응성 용매인 모노머를 사용하여 휘발분이 적은 자외선 경화형 도료 등이 있다. 이 중, 자외선 경화형 코팅은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환경친화적 첨단 코팅방법들 중의 하나이다. 코팅은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품을 보호하고 외관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기술이다. 최근에는 단순히 제품을 보호하는 것뿐만 아니라 특수 기능을 부여하는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PVC Tile의 표면을 마찰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내마모기능, 정전기로 인한 먼지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내오염기능, 전염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항균기능을 부여하여 표면개질을 향상시키고, 용제형 도료를 대체한 친환경 복합기능성 광경화형 PVC Tile 코팅액을 개발하였다. PVC 바닥상재용으로 사용되는 우레탄-아크릴 수지에 내마모제(Al₃O₃, Al(OH)₃, SiO₂), 내오염제(수용성 대전방지제, UV경화 아크릴용 대전방지제, 폴리우레탄용 대전방지제), 항균제(은나노)의 함량을 조절하여 기능성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기능성 코팅액은 코팅층의 두께조절이 가능한 코팅(Bar-coating)을 사용하여 PVC 바닥상재에 코팅한 후 단일기능성 코팅층 표면물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우레탄-아크릴 수지에 Al₂O₃ 30wt%, 수용성 대전방지제 15wt%, 은나노 1wt%를 혼합하여 첨가한 코팅액을 Bar-coater No.12로 코팅한 코팅 층이 내마모성, 내오염성, 항균성에서 가장 좋은 물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내마모제와 대전방지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코팅두께가 두꺼울수록 코팅 층의 물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24주간의 복합 기능회복운동프로그램이 비만 근위경골절골술 환자의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김민아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70

        Abstract Effects of 24-Weeks combined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on the functional recovery in obese high tibial osteotomy Patient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24-week combined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on the subjective questionnaire, isokinetic muscle function test and dynamic balance test of high tibial osteotomy patients with normal and obese body weights. 16 high tibial osteotomy patients at Hospital M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patients diagnosed with Outer Bridge grade 3~4, degenerative injury in the anterior medial meniscus and varus deformity who were treated with high tibial osteotomy by the same group of physicians. The recruited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the patients who underwent isolated high tibial osteotomy with no combined surgery. 8 participant were assigned to the normal body weight group (56.10±6.41), and the other participant to the obese group (52.80±3.33) based on their body mass index. A pre-test consisting of subjective questionnaire, isokinetic muscle function test and dynamic balance test was conducted a week before high tibial osteotomy was performed. Post-test using the same measurements was conducted 12 weeks after the surgery and 24 weeks after the surgery, respectively. All groups completed the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for the duration of 12 weeks. The participants visited the center to complete three 50-minute sessions every week. After the first 12 weeks, the existing exercise programs were blended into a home-based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which composed of three 50-minute sessions every week.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body weight group and the obese group were: from the isokinetic muscle test, involve bilateral flexor strength deficits and involve bilateral flexor endurance deficits. Second, the variabl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across the duration of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were the Lysholm score and the KKS score from the subjective questionnaire. From the isokinetic muscle test, involve extensor peak toque/body weight and bilateral extensor strength deficits, involve flexor peak toque/body weight and bilateral flexor strength deficits, involve extensor total work and bilateral extensor endurance deficits, involve flexor total work and bilateral flexor endurance deficits. From the dynamic balance test, the anterior reach distance, posteromedial reach distance and bilateral deficits, involve composite reach distance. The variables with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s were the involve bilateral flexor strength deficits and involve bilateral flexor endurance deficits. Third, the variables that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dura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and weight groups were the involve bilateral flexor strength deficits, from the isokinetic muscle test and the posteromedial reach distance of the affected side from the dynamic balance test. To conclude, at 12 weeks after the surgery, a drastic increase in the involve bilateral flexor strength deficits and a sharp decrease in the posteromedial reach distance on the affected side were found in the obese group in comparison to the normal body weight group, which negatively affected the overall patient recovery. To sum 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no recovery was observed within 12 weeks of surgery, but in 24 weeks of time, an identical level of functionality as pre-surgery was observed. This suggests that a 24-week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is needed after high tibial osteotomy in order to restore the same level of activity as before surgery. 요 약 제목: 24주간의 복합 기능회복운동프로그램이 비만 근위경골절골술 환자의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의 목적은 24주간의 복합 기능회복 운동프로그램이 정상체중 및 비만체중 근위경골절골술 환자의 주관적 설문평가, 등속성 근기능 검사, 동적 평형성 검사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의 M 병원에서 동일 의료진에게 Outer Bridge grade 3~4, 내측 반월 연골판의 퇴행성 손상, 내반 변형을 진단받고, 근위경골절골술 시행한 16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은 동반 수술을 하지 않은 단독 근위경골절골술 시행한 자로, 모집된 대상자들은 체질량지수에 따라 정상체중집단 8명(56.10±6.41)과 비만체중집단 8명(52.80±3.33)으로 구분하였다. 사전 검사는 근위경골절골술 전 일주일에 주관적 설문평가, 등속성 근기능 검사, 동적 평형성 검사를 실시하였고, 사후 검사는 수술 후 12주, 수술 후 24주에 수술 전과 동일한 검사를 각각 실시하였다. 모든 집단에서 총 12주 동안 주 3회 1일 50분씩 센터방문하여 기능회복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12주 이후부터는 기존의 운동프로그램을 조합하여 주 3회 1회 50분씩 가정기반 운동 프로그램으로 전환하여 실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정상체중집단과 과체중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은 등속성 근기능 검사 중 환측의 굴곡근 양측 근력 결손율, 환측의 굴곡근 양측 근지구력 결손율이었다. 둘째, 기능회복운동 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은 주관적 설문 평가 중 Lysholm 점수, KKS 점수, 등속성 근기능 검사 중 환측의 신전근 최대근력 및 양측 근력 결손율, 환측의 굴곡근 최대근력 및 양측 근력 결손율, 환측의 신전근 근지구력 및 양측 근지구력 결손율, 환측의 굴곡근 근지구력, 동적 평형성 검사 중 환측의 전방도달거리, 환측의 후내측도달거리 및 양측 후내측도달거리 결손율, 환측의 동적 평형성 복합 도달 거리 계수 이었다. 정상체중집단과 과체중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은 등속성 근기능 검사 중 환측의 굴곡근 양측 근력 결손율, 환측의 굴곡근 양측 근지구력 결손율이었다. 셋째, 기능회복운동기간과 정상체중집단과 과체중집단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한 변인은, 등속성 근기능 검사 중 굴곡근 양측 근력 결손율과 동적 평형성 검사 중 환측의 후내측도달거리 이었다. 결론적으로 정상체중집단에 비해 비만체중집단에서 수술 후 12주에 굴곡근 양측 근력 결손율의 급격한 증가와 동적 평형성 기능 중 환측 후내측 도달거리에서 급격한 감소가 나타나 전반적인 회복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수술 후 12주에는 완전한 회복을 보이지 않았지만 수술 후 24주에는 수술전과 동일한 수준의 기능적 능력을 보였다. 이는 근위경골절골술 후 24주 동안 기능회복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해야 수술 이전의 일상생활로 활동이 가능 할 것이다.

      • 심볼마크의 기호학적 분류에 따른 기능복합이론의 유형별 평가의 관한 연구 : On-line, off-line 각각 상위 20대기업 심볼마크를 중심으로

        안준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69

        현대사회에 있어서 정보의 확산은 대중매체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과거에는 언어에 의한 방법으로 정보를 공유하였지만 문자의 생성과 인쇄 의 발달로 인해 문자체제를 통한 대량 유포로 정확한 정보의 전달이 실현되었으며, 오늘날에는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시각커뮤니케이션이 실현됨으로써 정보의 형태를 주로 읽는 정보에서 보는 정보로 바뀌게 되었고 다양한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테크놀러지의 발달과 미디어의 확산으로 국제적인 시각언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요구로 인해 시각언어의 일종인 심볼마크가 등장하게 되었다. 초기의 심볼마크는 자연물을 기호화하여 사용하다가 시대의 변화에 따른 다양 한 문화와 환경의 영향을 받아 지금의 상징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국제화에 따른 언어적 기호의 한계성이 나타나면서 인간은 수많은 기호체계를 형성하게 되었고 멀티미디어의 발달에 편승하여 심볼마크는 이미지 정보로서의 중요한 상징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오늘날의 시각커뮤니케이션은 사람과 사람사이의 시각적 기호를 통한 상호 의사전달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시각적 기호를 만들게 되었고, 이러한 시각기호는 단순히 전달의 개념에서 발전하여 의미와 정 보의 생산과 전달의 개념으로 파악될 수 있으며, 이것은 기호학의 발달을 의미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심볼마크는 기호와 상징의 대표적인 비언 어 커뮤니케이션으로 규정 지울 수 있으며, 정보전달의 핵심적 전달수단으로 볼 수 있다. 심볼마크는 기업 또는 단체가 그들의 이념과 존재를 명확하게 해주는 중요 한 핵심요소의 하나이며, 조직적 일체감을 심화시키고 기업과 고객간 상호 커뮤니케이션의 일종의 시각기호이다. 기업의 주체적 정보전달 수단인 심볼마크는 소비자에게 기업의 이념과 존재를 상징화시켜 커뮤니케이션하고 그로 인해 소비자에게 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도록 쉽고 강한 메시지를 표현해야 하며, 기업은 소비자 행동유발을 위해 어떠한 방식으로서 기호화 할 것인가를 계획하여야 한다. 이러한 심볼마크의 의미 전달은 기호학적 접근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상징적 의미와 조형적 요소를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퍼어스(Charles Sanders Feirce)의 기호학 3원론에 의해 기업의 심볼마크를 도상, 지표, 상징의 유형별로 분류하였으며, 심볼마크의 성격 과 의미를 빅터 파파넥(Victor Papanek)의 기능복합체이론에 근거한 용도, 필요 성, 방법, 심미성, 연상, 목적지향 등의 6가지 기능으로 심볼마크를 분석하여 기업의 성격과 이념에 의한 효과적 전달매체로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시각기호 로서의 정보전달매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심볼마크 제작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wide spread of information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in modem society. Although people conveyed and shared information by the means of verbal communication in the past, the development of characters and printing technology enabled precise and mass communication through printed words. Nowadays, the realization of visual communic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mass communication has replaced text information with visual information allowing faster and more precise sharing of informati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wide spread of media brought out the need for international visual language, and symbol marks have appeared as a solution. Symbol marks, in their early stage, were made by symbolizing the shapes of natural matters, and various cultur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through time has set up current symbol system. As globalization revealed the limitation of verbal signs, people have created diverse symbol systems, and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helped settlement of the system and the acceptance of symbol marks as important image information. The visual communication of today's world may be defined as the process of exchanging information via the means of visual symbols. Visual symbols are created for mutual communication, and these symbols have developed from the simpl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to production and transmission of information and meaning, which means the development of semiotics. in this sense, the symbol marks can be defined as the typical non-verbal communication of symbols of sign., and the core mechanism of communicating information. A symbol mark is one core elements that clarifies the ideology and existence of a company or an organization. It can also be defined as a visual identity that unifies an organization and enables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a company an its customers. Therefore, a symbol mark, which is subjective communication tool of a company, should communicate to the customers the ideology and existence of a company in a symbolic from expressing simple and strong message to call them to action. A company should then plan how to symbolize its ideology and existence in order to induce the actions of customers. This non-verbal communication mechanism of the symbol marks may be analyzed by semiotic approach. The Symbol mark's semiotic meanings and the modeling elements may be analyzed objectively. Corporate symbol marks were classified by patterns and the symbolic meanings implied in them according to Charles Sanders Peirce's three rules of semiotics in this thesis. The corporate symbol marks were classified even further by their six functions of use, need, method, aesthetics, association and telesis on the basis of Victor Papanek's theory of Complex functional forms. These classifications were made in attempt to set a more detailed and professional direction of symbol mark, and to suggest a new production direction of a symbol mark which can function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medium representing a company's character and ideology.

      • 흡한속건 성능과 항균성을 갖춘 복합기능성 텍스타일 개발 및 착용환경에서의 성능 평가

        이세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68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ultifunctional textile system with excellent water transfer properties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The water transfer properties were achieved by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structure textile by adjusting the hydrophilicity and capillary size of the material, and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were imparted by adding zinc oxide nanoparticles. In addition, through wear trial in the actual environment, the possibility of using it as a multifunctional textile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multi-layered textile system manufactured in this study with a cotton jersey and a moisture-wicking functional fabric on the market. In this study, two types of multi-layered textile systems were fabricated. A multi-layered textile system with three layers consists of a polyester tricot (hydrophobic layer) - polyurethane(PU)/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PEGDA) nanofibrous membrane (weakly hydrophobic layer) - PEGDA/zinc oxide coating (hydrophilic layer) (MZ1). A polyester mesh was laminated to a coating layer of the MZ1 to protect the coating layer and enhance durability. Thus, a four-layered structured textile system consists of a polyester tricot – PU/PEGDA nanofibrous membrane - PEGDA/ZnO coating - polyester mesh (MZ2). In this study, absorbency, horizontal wicking, water contact angle, moisture management properties, drying properties,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were evaluated for the two types of multi-layered textile systems (MZ1, MZ2), a cotton jersey (CO), and a commercial functional fabric (CF). For the wear trial evaluation, a skin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was attached to the back of a human subject’s neck, and then a specimen in the form of a neck cooler was worn. Each trial consisted of 20 min of running at a speed of 6 km/h on the treadmill and 25 min of resting. In the wear trial, the skin temperature, skin humidity, and comfort sensation were evaluated after 20 min of running, after 15 min of seated rest, and after additional 10 min of seated rest. The weight of the specimen before and after the wear trial and the number of bacteria remaining in the specimen after the wear trial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Z1, which is a multi-layered textile system, had better absorption, horizontal wicking, and drying properties than CO and CF that both composed of a single layer. This result suggests a multi-layered textile system manufactured by adjusting the hydrophilicity and capillary size of the material showed excellent water transfer properties because of the push-pull effect. Also, MZ1 and MZ2 showed excellent bacterial reduction rates compared to CO and CF because of zinc oxide nanoparticles added to the coating layers of MZ1 and MZ2. 2. MZ2 had a negative value of accumulative one-way transport capacity, as determined by the moisture management test, indicating that it had a low one-way moisture transfer capability. By comparison, MZ1 had a 255.75% accumulative one-way transport capacity. This difference may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MZ2 has a polyester mesh laminated to the coating layer. The moisture in the polyester mesh layer that the lower sensor of the moisture management tester contacts is used to evaluate the water transfer. However, MZ2 performed similarly to MZ1 and CF in water transfer and in the changes of skin temperature and humidity during the wear trial evaluation. We think that the very sparse and thin structure of the mesh did not hinder the transmission and drying of water absorbed by the specimen. 3. In the wear trial evaluation, MZ1 and MZ2 showed fast-drying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better than or comparable to those of commercial materials, CO and CF, with respect to the skin temperature, skin humidity, the weight of the specimens before and after the wear trial evaluation,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after wear trial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our types of specimen in the subjective comfort evaluation since the amount of sweat produced by the subject was not enough for the subject to accurately judge the subjective comfort. We developed multifunctional textile systems with excellent moisture transfer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multifunctional textiles for sportswear. 본 연구의 목표는 우수한 수분 전달 성능과 항균성능을 갖춘 복합기능성 소재 개발로, 수분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 텍스타일 시스템에 땀으로 인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자 산화아연 입자를 첨가하였고, 다층 구조 텍스타일 시스템의 코팅층에 Polyester mesh 를 라미네이팅하여 코팅층을 보호하고 내구성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제 환경에서 착의 평가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조한 다층 구조 텍스타일 시스템 소재와 일반 소재인 면과 시판 중인 흡한속건 기능성 소재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실제 복합기능성 의류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3 층 구조 텍스타일 시스템(Polyester tricot(소수성 층) – polyurethane(PU)/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PEGDA)나노섬유 멤브레인 (약소수성 층)– PEGDA/zinc oxide 코팅(친수성 층))을 제조하였으며, 최외층인 코팅층을 보호하고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해 Polyester mesh 를 3 층 구조 소재의 코팅층에 라미네이팅하여 Polyester tricot – PU/PEGDA 나노섬유 멤브레인 – PEGDA/ZnO 코팅 - Polyester mesh 로 구성된 4 층 구조 텍스타일 시스템을 제작하였다.시료는 총 4 종으로, 본 연구에서 제조한 다층 구조 텍스타일 시스템 2 종, 일반 면 소재, 시판용 기능성 소재에 대해 흡수성, Horizontal wicking, 접촉각, 수분 제어 성능, 건조 성능, 투습성, 항균 성능을 비교·분석하였으며, 피험자의 목 뒤부분에 피부 온·습도 센서를 부착한 후, 의류 소품 형태인 시료를 착용하고 트레드밀 6km/h 속도에서 20 분 러닝 후, 러닝 후 15 분 경과, 러닝 후 25 분 경과 시점에 피험자의 피부온도, 피부습도, 주관적 쾌적성, 러닝 전 ·후 시료의 무게, 착의 평가 후 시료에 잔존하는 생균수를 측정하는 착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다층 구조 텍스타일 시스템은 일반 면 소재와 시판용 기능성 소재 대비 흡수성, Horizontal wicking, 초기 접촉각, 건조 성능, 항균 성능에서 우수한 수분 전달력과 균 감소율을 보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조한 mesh 를 부착한 4 층 구조 텍스타일 시스템의 경우, Moisture management tester 를 이용하여 측정한 일방향 수분 전달 성능에서 예상보다 낮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MMT 의 센서가 4 층 구조 텍스타일 시스템의 표면(mesh)에서 감지한 수분에 의거하여 일방향 이동 성능을 평가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4 층 구조 텍스타일 시스템의 건조 성능이나 이 외 수분 전달 성능 및 착의 평가에서 피부온·습도의 변화 거동 등을 고려할 때 매우 성글고 얇은 구조의 mesh 가 시료에 흡수된 수분의 전달과 건조를 저해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착의 평가에서 다층 구조 텍스타일 시스템 2 종은 피부온도, 피부습도, 착의 평가 전·후의 시료의 무게, 착용 환경에서의 항균 성능에서 시판용 기능성 소재보다 높거나 이에 필적할 만한 흡한속건 성능과 항균 성능을 보였다. 하지만, 주관적 쾌적성 평가에서 시료 4 종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피험자가 주관적 쾌적감을 보다섬세하게 판단하기에 피험자의 발한량이 충분하지 못하였던 점과, 시료가 부착된 목 뒷부분만 집중하여 주관적 쾌적감을 세밀하게 판단하기 어려웠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진행 시, 본 연구에서 제작한 시료보다 큰 크기로 시료를 제조하여 이를 적용한 프로토타입을 고안하고, 목 뿐만 아니라 발한이 잘 일어나는 여러 인체 부위에 시료를 부착하여 착의 평가를 실시한다면 보다 명확한 차이가 나타날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착용자가 땀을 배출하는 환경에서 복합기능성 소재의 흡한속건 성능과 항균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착용 과정 중에 복합기능성의 발현 여부를 검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는 스포츠웨어용 복합기능성 소재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