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이주영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류의 가치적 소산이자, 시대의 보고(寶庫)가 문화이다. 문화의 다양한 측면들이 있지만, 이를 총체적으로 결집시킬 수 있는 것은 축제이다. 축제의 유형 중 단시간에 가장 심미적이면서도 효과의 정도가 높은 것이 공연예술축제이다. 그 중에서도 현대사회에서 국제공연예술축제를 통해 국가간의 상호 이해 증진, 경제의 활성화, 국가 이미지 제고 등 여러 효과를 증진 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공연예술을 대표하는 국립극장이라는 상징성을 바탕으로 극장의 프로그래밍 차원에서 2007년부터 특별기획 되어져 현재까지 시행되어 오고 있는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의 운영실태를 토대로 운영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주된 연구방법은 문헌적 연구 방법이 동원되었다. 연구 주제에 관련한 문헌자료, 논문, 이론서적, 축제 주최기관 결과보고서, 간행물, 통계자료 등을 참고하여 분석함으로써 성공적인 축제의 운영을 위하여 갖추어야 할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을 알아보고, 페스티벌의 운영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문헌 연구와 자료조사,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등 관련 기관에서 발간한 자료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의 결과보고서 및 인터넷 자료 검색, 국립극장의 간행물인 연보와 월간지 ‘미르’ 등 내부자료, 보도현황 및 기사 검색, 인터뷰 등을 통하여 수집. 활용하였다. 특히 페스티벌 운영실태에 담겨진 관객 설문 자료 등은 본 연구의 실증적 자료로 활용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운영결과 분석으로 정리되어져 연구의 객관성을 높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운영 활성화 방안을 요약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에서 초기 설정한 방향성 유지이다. 이는 페스티벌의 정체성이자 고유성으로 직결된다. 수요자 중심 측면에서 볼 때 페스티벌의 방향성이 명징하게 포지셔닝 되는 것은 물론 프로그래밍 확정 및 총괄 운영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서 정부차원에서도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이 요구된다. 둘째, 조직재편 및 인력운영 측면에서는 우선 세계국립페스티벌 사무국의 정규인원이 부족한 바, 전문성 획득과 연속성 확보차원에서 극장 내에 페스티벌(축제)팀을 신설, 운영함이 요구된다. 인력 운용 매뉴얼을 설정하여 자원봉사자들을 비롯한 시민 축제 요원들에 대한 적극 발굴과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 셋째, 운영자문위원회의 역할 강화이다. 위촉기간을 만 2년으로 둠으로써 사무국과 더불어 실질적 프로그래밍 업무에 함께 하도록 창구를 확장해야 할 것이다. 해당년도의 프로그램을 감안하여 자문위원의 구성원 보강을 통해 실질적인 조직위가 구성되는 체계를 구축함이 중요하다. 넷째, 페스티벌 방향에 부합되는 프로그램 조기 확정이다. 이는 극장 기획공연으로서의 프로그래밍 측면과 국제공연예술축제로서의 측면 모두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질적인 고양과 실질적 검증을 위해 가급적 현장을 통한 작품 선정, 면밀한 필터링을 통한 초청작, 우수작에 대한 엄격한 선별과정이 필요하다. 결국은 충분한 시간과 재원확보, 전문성이 근간이므로 조직 차원에서 이를 충족시켜야할 것이다. 다섯째, 홍보 및 마케팅 측면에서는 기본적인 툴 외에 지속적인 홍보 소스 개발 및 마케팅 실행 전략 수립을 기해야 한다. 기관 및 단체들과의 공동(연계) 홍보, 마케팅은 지속적인 발굴과 실행이 요구된다. 해당년도의 프로그램에 맞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통합 마케팅이 필요하다. 극장 및 페스티벌의 인지도 확산 프로그램 운영을 시작으로 페스티벌 콘텐츠 정보가 전략 홍보에 연동되어져, 마케팅의 결과물로 이어지는 단계별 운영 소스 개발이 필요하다. 국제교류 관점에서 참가국들의 기업, 기관과 파트너 마케팅의 추진은 적실성이 높다 하겠다. 본 연구는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의 운영실태를 토대로 문제점 도출 및 운영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대한민국 공연예술의 중심이자 대표 공연장인 국립극장이 세계 공연예술문화의 중심으로 성장하며 해외 우수 공연예술단체들과의 교류확대를 진작 시켜 차별화된 국제공연예술축제의 장이 활성화 되는데 기여할 것이다. Culture is one of the most valuable legacies of human beings and their treasure chest of times. Among many aspects of culture, festivals can unify most cultural activities the best. Performing arts festivals are the most aesthetic and effective as concentrated culture among others in short times.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s have been boosting up mutual understanding, economic growth, and global images between nations in contemporary societies. The National Theatre of Korea(NTOK hereinafter) is symbolic for performing arts of Korea. This study has been done into systematic analysis and revitalization measures of management for <The World Festival of National Theatres> (TWFNT hereinafter), specially programed, managed, and hosted by NTOK since 2007. The main method of the study i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es about the theme. By analyzing and researching bibliographical data, theses, theoretical books, and publications, statistics and reports from festival hosts, the study shows rational and effective ways to successful management and activation of cultural festivals. Data are from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rean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and Arts Council Korea and so forth. Used and collected reports are from TWFNT between 2007 and 2010, related web sites, annals and MIR(the monthly magazine) of NTOK, journals and interviews. Especially the study utilizes the audience surveys on festival management as empirical data, and thus enhances the objectivity of the study by analyzing the result of festivals' management.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WFNT needs to keep its direction as early planned. This leads to identity and uniqueness of the festival. From audience's point of views, pellucid positioning of festivals' direction is an extremely significant and critical element for confirmation and general management of the programs. An active support and cooperations from government are needed. Second, lacking regular employees, TWFNT office needs to organize and run (a) festival team(s) for professionalism and continuity of the work. By setting up its own human resource management manual, it can maximize employing and using civil festival staff and volunteers. Third, TWFNT needs to strengthen the role of the management council. It should expand the period of appointment for the council members for two years so that the council can cooperate with TWFNT office for actual programming work. Considering programs of the year, TWFNT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the council members and build the system for practical unition between TWFNT and the council. Fourth, TWFNT needs to fix programs matching with the direction of the festival in earlier stage. This is very critical for programming as theatre's planned performances and as an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For quality elevation and thorough checking on the spot, the programs should be chosen after being watched, invitations be posted after a close filtering, and the best ones must be taken strict standards for selection. These are for the organization to obtain enough time, secure finances, and professionalism. Fifth, TWFNT needs to develop advertisement resources continuously and set up executive marketing strategies except for the basic tools in terms of advertisement and marketing. Co-advertisement and co-marketing plans allied with related organs must be set and done in a long run. Integrated marketing plans must be built through proper choices of the programs and concentration on the chosen programs of the year. Development of progressive management resources is effective for festival contents information to be connected to strategical advertisement and finally to get successful marketing outcomes, such as wider public awareness plans for the theatre and festivals. Marketing partnerships with corporations and institutions from participant countries to the festival are highly precise and efficient in terms of international exchanges. Based on the management of <The World Festival of National Theatres>, this study shows what TWFNT lacks for better management and programs, analyzes the results of the festival, and suggests revitalization methods of it.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contribute for the National Theatre of Korea as the capital of performing arts and as the representative theatre in Korea to grow as the international pivot in performing arts culture, to expand its global exchange with excellent performing arts theatres and organizations in the world and to activate the differentiated performing arts festival internationally.

      • 국립중앙극장 대안콘텐츠로서의 NT(National theatre) live 도입방안 연구

        이서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for NT Live introduction and its methods, as NT Live can play a role of alternative content of National theatre of Korea. Current government let koreans to enjoy 'life in culture' and set the nations's role and status by leading the creative economic era through culture and bringing cultural prosper forward. Cultural institutions also engage in governmental policy and pursue cultural diversity. It is a green light for performance arts market which predicts huge change. Researcher could read the change in performance arts market paradigm, by observing korean audiences encounter NT Live of English national Theatre. The study had theoretical consideration looking at National Theatre of Korea itself and its repertoires and analysed cases of English National Theatre, Seoul Arts Center. Based on these theoretical inspection, the study designed model for empirical analysis and performed a survey. The study tried to empirically verify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NT Live as an alternative content by looking at general condition and tendency of audiences who show active demand for NT Live programs. The survey took place in 24th February, 2016 at National theater of Korea, theatre Hae and asked with questionnaire sheets to 350 audiences of NT Live 'Hamlet'. First, correlation analysis for NT Live as alternative contents of National Theatre of Korea and satisfaction, royalty showed significance in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T Live subfactor performance,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royalty. Second, determination factor of NT Live watch appears to be a character of over 20 years old and holds undergraduate degree. Subfactor reveals that audiences interested the most in program, director, producing company and curiosity, in the order named. Cognitive route for NT Liv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factor curiosity and recommendation, respectively. Third, credibility and comments concerning NT Live had over 70% of responses that were positive for introduction of NT Live. It revealed correlation with validity and credibility in introducing NT Live and had positive interrelationship. Thus, according to empirical analysis and case studies, it seems reasonable to introduce NT Live as an alternative contents for National Theatre of Korea. It is time to request active monitoring for proper introduction. However, studies are not found which deals with the impact or the factors of NT Live to its audience. In conclusion, National Theatre of Korea should not only stay introducing NT Lives of English National Theatre, but have to reach further to produce own NT Live and provide a platform for showing off and distribute korean traditional contents globally. It would be nice for the study to be a help in decision making of National Theatre of Korea. And hope to affect positively in energizing korean performance arts market. It is necessary for researchers and markets to keep on investigate the methods of NT Live introduction. The study to be a touchstone for developing new benefit models or reading new trends in performance arts market. 본 연구는 한국의 공연예술을 대표하고 극장운영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 국립중앙극장 대안콘텐츠서의 NT(National Theatre) Live 도입방안 연구로 국내에 NT Live의 적용가능성과 방법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현 정부는 문화를 통한 창조경제 시대를 선도하며 문화융성을 앞당김으로서 국민 모두가 ‘문화가 있는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고 대한민국의 위상과 역할을 확립하고 있다. 또한 문화예술기관들도 정부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문화의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공연예술시장에 있어 희망의 청신호로 큰 변화가 예측된다. 본 연구자는 국내 국립중앙극장에서 영국 국립극장이 제작한 NT Live 실황중계 공연을 접하게 된 국내 관객들의 반응을 보면서 NT Live 제공방식에 대한 공연예술시장 패러다임의 변화를 읽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문헌연구를 위한 이론적 고찰로서 국립중앙극장의 개관 및 국립중앙극장의 레퍼토리를 살펴보고, 영국 국립극장의 개관 및 영국 국립극장의 NT Live의 사례를 분석, 국내 예술의전당의 개관 및 예술의전당 SAC ON SCREEN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 설계에서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설문조사 대상의 선정과 측정항목을 41개 문항으로 구성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의 주된 목적은 NT Live에 대한 적극적 수요자인 관객을 대상으로 관람자의 전반적인 관람 실태 및 관람 동향을 파악하여 대안콘텐츠로서의 NT Live 의 도입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은 국내 국립중앙극장 해오름극장에서 2016년 2월 24일 오후 3시에 상영된 영국 국립극장이 제작한 ‘햄릿’공연의 NT Live 프로그램 공연관람자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극장 대안콘텐츠 NT Live와 공연만족도 및 충성도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안콘텐츠 NT Live의 하위요인별 공연요소, 환경요소가 만족도 및 충성도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안콘텐츠 NT Live 공연관람 결정요인은 연령은 20대 이상, 학력은 대재(졸)이상, 하위요인별로 작품과 연출자 및 제작사, 호기심 순으로 나타나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NT Live 인지경로는 관람결정요인의 하위요인별로 호기심과 추천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셋째, 국립중앙극장 NT Live 도입관련 신뢰도 및 의견에서는‘도입이 필요하다’, ‘도입 시 관람의향에서 관람하겠다’,‘도입 시 친밀감’ 등에서 전체 평균 70%이상의 의견이 나타났다. 또한 국립극장 NT Live 도입관련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에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위의 사례분석과 실증분석을 토대로 보았을 때 국립중앙극장은 대안콘텐츠 NT Live의 도입에 무리가 없어 보이며, 도입을 위한 적극적인 모니터링이 오히려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그러나 NT Live 실황공연이 국내 관객에게 미치는 영향이나 요인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국립중앙극장은 영국 국립극장의 NT Live를 선보이는데서 끝나서는 안되며, 직접적인 제작방식을 도입해서 국내 관객들에게 다가가고, 이를 통해 세계 여러 나라에 한국의 전통공연 콘텐츠를 소개하고 보급하는 창구로서의 플랫폼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 연구가 향후 국립중앙극장 정책수립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또한 본 연구가 국내 공연시장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기대한다. 따라서 대안콘텐츠 NT Live 실황중계의 제공방식에 대하여 학계와 공연계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가 국내외 공연예술시장 트렌드 파악이나 새로운 수익모델을 개발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한국전통예술극장 레퍼토리 구축 방안 연구

        이주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한국전통예술극장 레퍼토리 구축 방안 연구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전통예술극장의 레퍼토리 구축 방안 제시이다. 이를 통해 신개념인 ‘극장레퍼토리’의 의미를 밝혀 극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고, 공공제작극장의 효율적인 레퍼토리 운용을 하기 위함이다. 한국전통예술극장의 레퍼토리의 구축을 위한 모색과 대안은 한국의 극장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국립극장, 국립국악원, 도립국악단체 등의 실제 사례에 근거하여 레퍼토리론의 가능성과 의의를 진단한 것이 이 논문의 주요한 맥락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극장레퍼토리 구축 순환 구조’에 따른 분석과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병행 실시하였다. 그것을 통해서 ‘극장레퍼토리’의 확장 가능성과 기대치를 충족시키고 있음이 드러났다. 특히 국립창극단의 <청>과 같은 사례는 매우 소중한 면모를 지닌 ‘극장레퍼토리’의 구체적 사례로 감지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적극적 의미의 레퍼토리 구축 개념’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하면 ‘극장레퍼토리’란 극장의 레퍼토리가 축적되어 확산될 수 있는 단계로, 극장레퍼토리 3요소인 대표성, 예술성, 지속성을 갖춘 극장 레퍼토리 목록이다. 이 개념을 시론(試論)격으로 제시하는 것의 의의는 ‘레퍼토리’에서 ‘극장레퍼토리’로의 개념적 진전을 이룬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통해 공공제작극장의 레퍼토리 양상 분석과 극장레퍼토리의 구축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자면, 한국전통예술극장 레퍼토리 구축 방안인 대분류 3가지와 소분류 12가지이다. 첫째, 대표성 있는 레퍼토리 정책결정이다. 여기에 해당되는 세부 레퍼토리 구축 방안으로는 극장의 미션에 부합에 되는 정전(正典) 작품의 선정, ‘우리시대의 음악극’을 위한 보편적 음악극의 지향, 고전(古典)을 근간으로 한 신작과 레퍼토리의 균형, 혜안 있는 기관장의 예술적 리더십 등이다. 둘째, 예술성 높은 레퍼토리 제작환경이다. 여기에 해당되는 세부 레퍼토리 구축 방안으로 전문 제작시스템의 구축, 보편적 음악극의 예술적 구현, 다양한 작가군의 발굴과 지원, 전통예술자원에 기반한 무대예술 구현 등이다. 셋째, 지속성 있는 레퍼토리 환류체계이다. 여기에 해당되는 세부 레퍼토리 구축 방안으로는 순회공연을 통한 레퍼토리의 축적과 확산, 레퍼토리의 기록화,공연 기반 확대와 건실화, 효율적 평가 체계의 운영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레퍼토리의 가치와 의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한국전통예술극장의 레퍼토리 구축 방안 제시를 통해 극장경영의 핵심 전략 수립 및 실행에 이론적, 실증적 기틀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예술성과 공공성을 중시하는 공공제작극장에서 극장레퍼토리의 구축과 효율적 활용은 극장의 브랜드 구축 등 극장경영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공연예술 콘텐츠의 개발과 유통, 문화예술정책, 고객에 대한 서비스 증진, 문화적 자산 가치 확장이라는 점에서 다각적으로 유용하기 때문이다. 한국전통예술극장의 극장레퍼토리가 견실하게 뿌리 내려지기를 기대해본다.

      • 국립극장과 한국공연예술센터의 무용 제작과정 분석을 통한 무용제작시스템의 효율적 모델 방안 연구

        최혜정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인들의 질적 풍요로움을 추구하면서 ‘문화예술’을 보고 즐기며 체험하는 활동들로 여가활동이 확산되고 점차 비중의 확장과 함께 대중예술뿐만 아니라 순수예술에 대한 관심도 확장되었다. 순수예술 분야 중 ‘무용’은 일반인들의 발레예술교육과 함께 보편화되어 예전에 비 관심분야의 장르라는 예술적 포지션에서 벗어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발레를 제외한 한국무용분야나 현대무용의 분야는 아방가르드적인 전문적인 예술적 이상향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레 장르를 제외한 순수공연예술로써의 ‘무용’은 대중의 흥행과는 상반될 수 없어 산업적 영역으로 들어서기에는 아직 어려운 점이 있다. 모든 산업은 기초과학이나 기초예술 위에서 발전의 촉매제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음으로 순수예술의 예술적 가치를 산업적인 가치로만 성과를 치부해서는 안 된다. 순수예술이 기초예술로서의 가치를 보존․유지 할 필요가 있으며, 그 가치 안에서 공연예술로써의 무용제작 방식에 대한 현대화와 체계적 과정이 확립되어져야 한다. 사실 현 상황에서 순수 무용계의 개인단체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현실이며, 이러한 개인단체의 높은 비중은 제작방식에서의 현대화나 기술화를 이루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순수예술 분야 중 대중성이 낮은 ‘무용’을 대상으로 무용장르의 발전적 방안 모색의 한 방편으로서 무용제작 방식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특히 개인단체들을 배제하고 체계화와 현대적 제작시스템이 존재하는 국공립 극장 중 국립극장과 한국공연예술센터를 중점으로 제작과정을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제작과정 속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각각의 기관의 장점을 서로 대입하여 무용제작 공연의 체계적인 과정확립과 무용제작과정을 통한 질 높은 무용공연작품 생산을 위한 이상적 모델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 각각의 기관에서 무용작품 제작과정의 문제점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국립극장의 경우는 산하 단체인 무용단을 위한 관리 인력이 부족하다는 점, 작품의 새로운 캐스팅이 필요하다는 점, 레퍼토리 작품과 기획 작품의 효율적 배분이 필요하다는 점이 나타났다. 한국공연예술센터의 경우는 무용작품 제작을 위한 계약직고용으로 인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문 인력의 부족과 획일화된 홍보방식에 따른 관객층의 한계성, 적은 예산에 따른 창작비용의 부족에 있었다. 두 기관의 문제점을 살펴본 결과, 공통적인 점은 전문적 구성인력이 부족과 제한적인 마케팅 전략방식의 문제점을 도출해 낼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무용제작 분야의 전문적 인력 발굴과 양성 및 환경 구축 두 번째, 다양한 홍보방식의 방안마련과 성공적 전략의 DB 구축 두 기관의 문제점 및 보완점 도출과정에서 각각의 기관의 다른 장점이 서로 교차하여 시스템에 대입하였을 때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의 가능성을 보였으며, 그에 따른 각 기관의 효율적인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국립극장의 효율적 모델에 대한 제안 첫 번째, 한국공연예술센터의 공연프로젝트의 안무가 선정방법을 대입, 국립극장 작품의 외부안무가를 섭외, 무용공연의 발전과 작품의 다양성을 추구 두 번째, 한국공연예술센터의 다양한 무용수 선정을 대입, 주역무용수의 오디션방식을 도입하여 고정적 레퍼토리의 예술적 성장과 고정적 관객을 유치 (2) 한국공연예술센터의 효율적 모델에 대한 제안 첫 번째, 국립극장의 고정적 인력배치방식을 대입, 무용제작 분야의 전문적 인력 구축으로 제작과정의 효율성을 높임 두 번째, 국립극장의 제작공연에 대한 전체구성의 비중도를 높였던 점을 바탕으로 한국공연예술센터에서의 무용제작 프로젝트의 정기적 진행과 발전가능성을 열어둠 세 번째, 제작비중도에 따라 무용제작비용에 대한 투자를 확대, 창작과정의 비용부담을 덜어 작품의 다양한 콘텐츠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함 As contemporary men have pursued qualitative richness, leisure has expanded to activities watching, enjoying, and experiencing ‘Cultural Art’ and interest about not only popular art but also pure art has expanded with graduated extension of portion. ‘Dance’ among pure arts is generalized with ballet education for ordinary people, so has diverged from artistic position like the nonmainstream. However, Korean dance or modern dance except for ballet have pursued avant-garde, professional, and artistic utopia. ‘Dance’ as pure performing art except for ballet cannot be separated from popular run in such situation, so it is difficult for this dance to enter industrial field. All industries can hold role of catalyst for development on basic science or basic art, so value of pure art should not be evaluated with industrial value. It is necessary to preserve and keep value of pure art as basic art, and modernization and systemat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about method of making dance as performing art in this value. In fact, individual organizations in the world of pure dance represent an increasing share in this situation, and such high sharing of individual organizations makes modern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making method difficult. Therefore, this study desires to discuss about method of making dance as one expedient of groping expansive method of dance targeting ‘dance’ whose popular appeal is low among pure arts. Especially, the researcher excluded individual organizations, and examined pros and cons of making process, focusing on the National Theater and Korea Performing Arts Center among national theaters having systematic and modern making system. Through this, this study substituted strength of each institution by grasping problem in making process, so desires to establish systematic process of dance production performance and to build ideal model for production of dance performing works of a high quality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dance. As a result of analysis, problems of making process of dance works can be drown from each institution. In case of the National Theater, administration manpower is insufficient for Dance Company under the National Theater, new casting of works is necessary, and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repertoire works and the planning works economically. Problems of Korea Performing Arts Center are insufficient continuous and stable specialty manpower by hiring contract employees for production of dance works, limitation of audience type according to standardized public relations, and insufficient making cost by a low budget. As a result of examining problems of two institutions, common problem is the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problem of restrictive marketing strategy, so the study suggested methods according to this. First, hunting and training professional manpower for field of making dance and building environment. Second, preparation of various public relations and building DB with successful strategy. Different strength of each institute has mixed each other in generating process of problems and supplement points of two institutions, so when this substituted to system, it is possible to build effective system. And according to this, effective methods of each institution were suggested as follows. (1) The suggestions about effective model of the National Theater First, substituting methods of choreographer choice of performing project in Korea Performing Arts Center, casting outside choreographer of works of the National Theater, seeking development of dance performance and diversity of works. Second, substituting selection of various dancers of Korea Performing Arts Center, artistic growth of static repertoire and inducement of static audience by audition to delegate the principal dancers. (2) The suggestions about effective model of Korea Performing Arts Center. First, substitution of static method about manpower arrangement of the National Theater, enhancing efficiency of making process by building professional manpower of field of making dance. Second, opening regular progress and development possibility of the project for making dance in Korea Performing Arts Center based on enhancing portion of the whole composition about making performance of the National Theater. Third, extension of investment about cost of making dance according to portion of production, realizing various contents of works by lightening the burden about cost of making process.

      • 한국 국립극장의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윤용준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2

        한국 국립극장의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국립극장은 1950년 설립 이후 장르별 전속단체와 함께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하여 꾸준하게 노력하였으며, 2000년도에는 문화정책의 변화에 부응하여 국립발레단 등 3개 전속단체를 법인화하여 독립시킨 후 책임운영기관으로 운영체제를 변경하였다. 2010년도에는 국립극단도 법인화하면서 국립창극단 등 전통예술 장르 중심의 체제로 운영하게 되었다. 따라서 국립극장은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면서 새로운 이미지를 정립하고 미래에도 공연예술부문의 대표 극장으로서 위상과 아울러 정체성을 유지해야 할 과제를 안게 되었다. 국립극장이 설립된 이후 관료 중심의 유연하지 못한 운영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면서 효율성과 책임성에 중점을 둔 책임운영기관으로의 변경은 기존의 관료주의적 운영에 변화를 주어 경영성과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여전히 문화예술기관으로서의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적잖은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만족할만한 운영체제로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전속단체를 포함한 국립극장의 운영 전반에 걸쳐 심층적인 분석과 아울러, 해외의 주요 공연예술기관의 운영 사례를 검토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국립극장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향상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다양한 환경과의 교류와 수용으로 고객 우선과 미래 지향적인 입장에서 국립극장의 운영에 관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국립극장의 다양한 환경변화를 감안하면서 연관성이 긴밀한 분야인 조직 운영, 공연 진흥사업과 프로그램, 예술감독과 전속단체 등을 분석하여 쟁점과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해외 공연예술기관의 운영 현황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쟁점과 비교 분석사항으로 SWOT 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미션과 개선전략을 설정하고 고객 지향의 장기적인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였다. 국립극장의 미션으로는 문화예술의 창조적 계승발전을 위한 역량 강화, 예술성 높은 작품 제작 및 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국민의 문화향수 증대를 위한 사업, 국내외 문화예술의 교류 협력사업, 공연예술 자료수집 및 연구기능 강화, 문화예술에 관한 인력 양성 등을 제시하였으며, 개선전략으로서는 극장과 전속단체의 변화와 소통 그리고 활성화, 작품의 창작과 연구 그리고 활발한 교류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공연예술 진흥을 위하여 정보화와 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하고 풍부한 예술교육을 제안할 수 있었다. 국립극장의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직 운영과 구조개선 그리고 극장과 전속단체의 관계 재설정과 함께 재정 체계의 경직성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과 경영관리시스템의 도입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립극장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극장장을 비롯한 직단원의 인사정책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립극장이라는 명칭을 공연예술분야를 포괄적으로 상징하는 것으로 변경과 함께 국립극장 무대에 올리는 공연예술 작품에 대하여 질적 수준을 보장하는 방안을 강구함으로써 브랜드 가치와 이미지를 높여야 한다. 그리고 국립극장의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진입로를 이설하는 방안과 함께 새로운 국립극장의 건립 방안도 검토하며, 문화예술 창작기관으로서 국민이 골고루 문화예술을 향수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과 더불어 지역 국립극장이나 분관의 설립을 검토하여야 한다. 그리고 장르별 전용 공연장으로 특성화와 함께 무대미술 제작 및 보관창고를 마련하며, 관객과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 환경을 활용하여 온라인을 통한 접근성도 높여야 한다. 예술 창작의 지원을 위한 자문위원회의 개선방안이 있어야 하며, 민간 지원을 위하여 설립한 발전기금과 후원금에 대한 투명성과 객관성을 높임과 아울러, 후원회와 회원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문화예술로서 잠재적 능력과 창조적이고 통합적인 인간을 형성할 수 있는 예술교육과 관객개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전속단체의 기획 역량과 예술성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레퍼토리시스템과 시즌 공연제 등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국립극장 무대에 걸맞은 작품을 발굴하고 선정하기 위하여 레퍼토리개발위원회 구성이 필요하다. 극장장과 예술감독의 역할과 책임성에 대하여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상호간 역할의 범위를 정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예술감독에게 제작과 공연에 관한 권한의 위임에도 불구하고 일관된 예술적 성과와 정체성을 위해서는 극장장에게 운영과 프로그래밍의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여 총감독으로서 경영부문과 예술부문이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문화 복지를 위한 예술향수의 확대와 함께 공연 창작사업의 전문화를 위하여 프로그램의 선택과 집중, 홍보 마케팅 역량 강화, 해외 초청공연의 특성화라는 원칙을 제안할 수 있었다. 전속단체와 단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작품 제작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며 창작 중심의 예술조직으로 전환하고, 운영의 효율성을 제

      • 공연예술 시즌티켓이 관객의 구매행동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안호상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83

        최근 몇 년간 국내 공연계는 전반적으로 꾸준한 성장을 보여 왔지만, 공연예술실태조사에 나타난 관객통계를 보면 연극, 무용, 전통장르 등은 관객이 소폭증가하거나 오히려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명공연 및 뮤지컬 장르로의 관객편중이 심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런 한 장르로의 관객편중과 승자독식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시즌제를 주목하였으며, 시즌제의 어떤 요인들이 관객의 구매 행동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어떤 관객이 시즌티켓을 5년간 계속 구매한다면 이는 저관여 결정이며, 이같은 구매 결정을 즉각적 재구매 라고 할 수 있다”라는 필립코틀러의 주장에서 저관여 결정 개념과 엥겔과 블랙웰의 관여도 이론 중 정보탐색을 중심으로 국립극장 시즌티켓 구매 관객이 비구매 관객과 어떤 구매행동의 차이를 보이는지 연구,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가설로 시즌티켓구매경험이 관객의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가설1)과 시즌티켓구매경험이 관객의 탐색 수준에 미치는 영향(연구가설2)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국립극장 공연을 관람하러 온 관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Amos(version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증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극장 시즌티켓구매경험이 관객의 구매 후 행동에 긍정적—정(+)의 방향으로—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1에 대해, 시즌티켓 구매 경험이 구매 후 행동에 대해 직접적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신뢰와 몰입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성고객일수록 국립극장 공연에 대해 신뢰와 몰입을 강하게 형성하며, 그처럼 강하게 형성된 신뢰와 몰입이 더욱 적극적인 구매 후 행동 의사로 연결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국립극장 시즌티켓 구매경험이 공연작품 구매를 위한 관객의 탐색 수준에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2에 대해, 시즌티켓 구매 경험이 정보탐색 시간, 그리고 정보 탐색부터 대안 비교를 거쳐 구매를 결정하기까지의 총시간(정보탐색부터 구매결정까지의 총시간) 각각에 미치는 영향은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설의 검증에서 시즌티켓 구매 경험이 한 단위(연도) 더 늘어날수록 국립극장 공연에 대한 신뢰와 몰입이 더 높아졌지만, 신뢰나 몰입이 높아졌다고 해서 정보탐색 시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마찬가지로 정보탐색부터 구매결정까지의 총시간의 경우에도 시즌제 구매 경험이 늘어날수록 신뢰와 몰입이 더 높아졌지만, 신뢰나 몰입이 정보탐색부터 구매결정까지의 총시간에 직접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이는 탐색 수준이 신뢰, 몰입 등이 매개가 되어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시즌티켓을 구매한 경험 정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결과이며, 이는 시즌티켓의 구매 경험이 일정 수준 쌓여갈수록 습관적인 구매로 전환될 수 있는 어떠한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시즌제가 장르편중 및 승자독식을 막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구매빈도를 높여 공연시장 확대에 기여함을 자료를 토대로 검증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로써 시즌제 도입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제시한 점과 향후 관객개발에 시즌제를 적용함에 있어 타당성을 제시한데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Performing arts in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in recent years. However, according to research, the performing arts, play, dance, and traditional arts have only slightly increased or even declined. The audience heavily favors musicals and big name theater productions. This study focuses on a season system, which a theater runs in order to mitigate inequality in audience ticket purchasing and aims to find out which factors of a season system affects the audiences’ purchasing behavior. This research studies the consumer’s behavior of those who buy National Theater of Korea's repertory season tickets and non-buyers. It utilizes Philip Kotler's analysis, "If continual subscribers who were responding for at least five seasons, it is unknown at what pace they committed themselves to the organization," and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Model from Blackwell. The empir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buying season tickets will positively affect the audience’s post purchase behavior. Second, the experience of buying season tickets will result in less commitment to the theater production. For testing, a researcher surveys the audience who attends performances at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The results empirically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ng model (Amos version21) show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direct causal link between buying season tickets and audience post-purchasing behavior. If a customer is a loyal audience member, s/he believes in the performances produced by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This results in more active audience post purchase behavior. Second, the experience of buying season tickets affects to a time to search for information and a time taking from information searching to decision making. Although the audience buys more season tickets than the previous year and gain stronger belief and immersion, it affects to a time searching for information. It applies the same to a time taking from information searching to decision making. This suggests that more experiences to buy season tickets results the habitual purchase of audience. I conclude that a season system prevents a season ticket holder from watching specific genres to which the season ticket holder may have a predilection and that it contributes to an increase of the performance arts market by enabling more purchase frequency. The study suggests that a season system is empirically valid, which is both practical and positive in performing arts market development.

      • 문화마케팅 개념을 통해 본 전통예술 공연 사례 연구 : 국립중앙극장 <여우락>, <정오시리즈>를 중심으로

        노수연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69

        본 연구는 문화마케팅을 통한 전통예술 공연에 대한 연구로 국립중앙극장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였다. 국립중앙극장에서 진행하는 비 시즌제 공연 <여우락>과 상설공연 <정오시리즈>를 사례로 어떠한 문화마케팅이 이루어졌는지 분석한 뒤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마케팅은 4P로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Place), 촉진(Promotion)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즉, 전통예술 공연이 과거에 비해 현재 마케팅에 대한 관심과 활성화를 이루고자 하는 것에 주목하여 관객에게 정신적인 만족감을 심어줄 수 있는 문화마케팅을 통해 분석한 것으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2년 <여우락>은 유통(Place)의 변화가 가장 크다. 이전에 실내공연장에서만 이루어지던 공연이 야외 문화광장으로 공연공간이 확대되면서 문화공간을 이루었다. 무료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공간 제공이라는 유통전략(Place)은 관객개발이라는 촉진전략(Promotion)으로 이어질 수 있다. 둘째, 2013년 <여우락>은 촉진전략(Promotion)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여우락 아카데미의 등장으로 다양한 교육과 체험의 제공을 통해 관객은 더욱 <여우락> 공연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만족감을 더욱 높였다. 또한 이러한 촉진전략을 통해 <여우락>에 대한 홍보를 이루며 관객개발에 도움을 주었다. 셋째, 2014년 <여우락>은 이전에 비해 제품전략(Product)이 잘 이루어졌다. 모든 공연프로그램이 콜라보레이션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하나의 공연 특징을 잡고 공연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이전의 <여우락>공연에서 더욱 새로운 도전과 시도를 하였다. 넷째, 정오시리즈의 <정오의 음악회>와 <정오의 춤>은 국내 공연장에서 최초로 시도한 정오의 브런치 국악콘서트를 기획하여 제품전략(Product)이 돋보인다. 특히 <정오의 음악회>는 주관객인 주부와 중장년층을 겨냥한 브런치 제공이라는 이벤트가 관객에게 문화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촉진전략(Promotion)이 뛰어났으며 브런치를 즐기며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모임의 장소로 발전되어 공연관람과 브런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하나의 문화 공간(Place)을 이루었다. <정오의 춤>은 정오에 열리는 한국전통무용 공연이라는 새로운 공연기획을 통해 외국 관광객을 위한 영문 자막 해설 및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설명 등의 교육적인 정보의 전달을 통한 제품전략(Product)이 체계적으로 잘 짜여있다. 다섯째, <여우락> 페스티벌은 관객에게 관심을 끌 수 있는 작품의 느낌에 대하여 또는 매년 변화되는 공연 주제의 특성에 맞춘 부제와 이미지에 대하여 더욱 변화를 줄 것을 권장하며 남산 N타워와 문화광장에서 열린 다양한 유통(Place)전략의 긍정적인 영향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축제’의 분위기를 맞춘 문화공간의 기획이 바람직하다. 여우락 아카데미에서는 초등학생과 국악전공 대학생을 위한 악기 체험 및 교육뿐만 아니라 국악을 전공하지 않은 젊은 관객층과 국악에 관심이 많은 중장년층을 위한 악기체험 및 교육 제공을 권장한다. 여섯째, <정오시리즈>는 잠재관객에게 더욱 관심을 줄 수 있는 이미지와 공연명에 대한 부제의 개발을 권장하며 좀 더 다양한 패키지 티켓의 구성과 제휴를 통해 상설공연의 충성관객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설공연인 만큼 공연과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교육프로그램 및 체험프로그램의 기획을 통해 더욱 활발한 촉진전략(Promotion)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서항석 연구 : 생애와 작품활동을 중심으로

        김태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68

        본 논문은 1930년대부터 1980년대 이후까지 연극계에서 활동하며 우리 음악극 발전의 초석을 다지고 전후 국립극장의 재건을 이룬 연극인 서항석의 활동을 살펴보고 그의 활동이 각 시대의 공연예술계에 미친 영향을 규명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 연구에서 자세히 다루어지지 못했던 연극인 서항석을 조명함으로써 우리 연극사를 바라보는 시야를 넓힐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1930년대는 서항석이 본격적으로 연극 활동을 시작하던 시기였다. 서항석은 1920년대 유학생활을 통해 독일의 표현주의, 고전주의 희곡을 접하며 연극의 기초를 닦았다. 1930년대 초 귀국한 서항석은 극예술연구회를 조직하고 단체의 실질적인 지도부로 활동하였다. 1930년대 중반 극예술연구회가 재정적으로 어려움에 처하면서 서항석은 대중성과 예술성에 대한 고민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 시기의 그의 고민은 1940년대 악극활동으로 반영되었다. 1940년대 일제의 감시 속에서 기존의 신극운동을 지속할 수 없다고 판단한 서항석은 신극 대신 대중극이었던 악극을 선택했다. 당시 악극은 상업적 성격이 강하고 버라이어티 쇼에 가까운 형식으로 공연이 진행되고 있었다. 서항석은 설의식, 안기영과 함께 설화를 기반으로 한 악극을 만들었고, 일제의 감시와 소극적 저항 사이에서 위태로운 줄타기를 하며 그의 연극적 활동을 지속해 나갔다. 그가 만든 악극은 완전한 음악극의 형식에 가까웠으며 일제의 폭압으로 지친 민중들을 위로하는 대중예술의 본질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서항석이 1940년대 악극 제작을 시작하게 된 것은 특수한 시기에 일어난 하나의 사건이 아니었다. 그가 악극을 창작 할 수 있었던 데에는 그의 인적기반과 학창시절의 경험들, 극예술연구회 시기 습득하게 된 대중성의 감각이 결합 된 결과물이었다. 해방 후 서항석은 국립극장 설립에 앞장섰다. 전후 대구중앙국립극장에 2대 극장장으로 부임한 서항석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국립극장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비록 연극계와 정치계로부터 제대로 된 지원을 받지 못했으나 그가 가지고 있었던 균형적인 행정적 감각과 예술적 감각을 토대로 국립극장을 지켜냈다. 서항석은 다양한 공연예술 장르에 무대를 대여해 주었고 이로 인해 오페라, 창극, 무용 등 여러 장르의 공연예술이 부흥기를 맞이할 수 있었다. 그가 재직했던 시기 닦아 놓았던 기틀이 기반이 되어 국립오페라단, 국립국극단 등이 만들어질 수 있었으며 오늘날로 이어지고 있다. 서항석은 오랜 시간 우리 연극계를 지켜오며 공연예술의 발전을 이끌어온 연극인이었다.

      • 재소한인 희곡연구 : 소련국립조선극장 레파토리를 중심으로

        이정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8653

        본고는 제소한인사회에서 조선극장이 가지는 의의를 규명하는 동시에 연극사와 희곡작품을 통해 재소한인문학사, 연극사의 일장을 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작업은 한국문학사와 연극사의 총체상을 정립하는 데 일조 할 수 있을 것이다. 소련조선극장은 한국이 일제통치하에 있던 당시 러시아 연해주에서 항일독립운동을 하던 지사들과 조국을 빼앗긴 한인 이주민들이 이국땅에서 한민족의 전통과 문화를 보존하겠다는 의지로 설립한 극장이다. 이 극장은 한국어 학교도 없고 서적도 발간되지 못하던 소련의 현실에서 60년간 존립하면서 모국어로 된 연극을 보여주고 한국의 고전에 접할 수 있는 유일한 문화보급장치로서의 기능을 하였다. 게다가 한인 관객들에게 한인극작가들의 창작품을 소개함으로써 한국문학의 맥을 잇는 역할까지도 담당하였던 것이다. 현재 재소한인들 중에 한국어를 구사하고 한글을 쓸 수 있는 사람이 몇몇이나마 존재할 수 있었던 이유는 조선극장이 존재하였기 때문이다. 스탈린이 한인들을 이주시킨 목적의 하나가 중앙아시아의 황무지를 개간하기 위해서였듯이 한인들은 농촌에서 땅을 일구며 살았다. 농경 전원사회는 산업사회와는 달리 인정어린 사랑의 헌신성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소련한인들의 창작품들은 농경적인 전원무대를 공간적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저항과 돌발이 아니라 수용과 순응의 차원에서 한국적인 것을 확인하려고 하였다. 한편 재소한인들의 연극은 신파에서부터 시작하여 메예르홀드식 연극을 거쳐 쓰타니쓸랍쓰키이론에 이르기까지 복잡한 과정의 길을 걸었으며 희곡들도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바탕으로 하여 내용은 민족적이면서 형식은 사회주의적 경향을 띠고 있다. 본고에서는 극장과 한께 활동한 대표작가로서 태장춘과 연성용, 한진의 창작품들을 고찰하여 소련사회에서 적응하려는 한인 주인공들의 삶을 고찰하여 역사의식이 부족한 상태에서도 생존문제에 치열하게 맞서는 인간 삶의 가치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 의의를 부여할 수 있었다. Цель настоящей научной работы состоит в изучении влияния и значекия Корейского театра в развитии и становлении Советского корейского общества, создания корейского театрало ведения посредством исследования истории корейского театра и драматургических произведении. Подобная работа способствует созданию целостной картины развития и станов ления всеобщей истории корей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и театрало-ведения. СовтскииКорейскии театр создан в 1932году во Влади-востоке, усилиям и волею переселнцев бежавщих в Россию в поисках свободнай земли и иммигрантами боровщимися за независимомть Кореи противяпонских захватчикав,. движимые желанием сохранить национальную культуру и традицию ко-рейского народа. Кореискии театр в течении 60 лет в условиях полного уничтожения книг и школ на родном языке был одним из един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ных очагов, который нес язык и культуру обрусевшим Совеиским корейцам, потеравшим свой родной язык. Театр также был единственным учреждением который прокладывал мост между Советской корейской обще-ственностью и корейской литературой. В том чтосегодня в некоторой степени сохранилась бытовая разговорная речь среди корейцев, немалая заслуга принадлежит театру. Одной из причинн асильственного переселения корейцев в Среднюю Азию из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во времяс талинщины это освоение богатой целиной земли Среднеазиатской зоны и подъем сельского хозяйства этого края. В силу таких обстоятельств, корейцы долгие годы в большинстве своем проживали в сельской местности. Деревенская жизнь в отличие от городской жизни до сих пор более бережно сохраняет доброжелательность, доверие и самоотверженность любви. Главная тема Советских корейскихписателей - тема деревен ской жизни. Они отражая жизнь на фоне сельск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пытаются утвердить национальное бытьё и культурное начало не через борьбы и сопротивления а способностью выжить в любых условиях и адаптацией к существующей срвде. Советскии корейскии театр начиная с синпхасик, через Меерхольда и кончая Станзслвским прошел сложный и труд-ный путь становления. Советская корейская драматургия на сегодня полностью отвечает нормом социалистицеского реа-лпзма-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е по форме и национальное по со-держанию. Это и есть адаптация к советской действительности В настоящей работе сделана попытка исследовать проанализировать драматургические произведеия основате-лей корейского театра, прошедщих долгии и трудный путь творчества вместе с театром Тхай Дян Чун, Ен Сен Ен и представитель поколения творивщих в шестиесятые годы Хан Дин. Изучение жизни героев произведении этих писателей дает вошможность более полнее представить условия быта идумы Советских корейцев. Дйтературный уровень качества произведении невозможно измерить лишь существующими ли-тературными каноеами, они значимы тем, что сумели доказать достоинство человеческого бытья во имя жизни в условиях хронического отсутствия исторического сознаия.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