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敎育行政公務員의 士氣振作을 위한 人事管理의 合理化 方案

        권봉철 全北大學校 行政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8703

        行政組織의 效率的인 目標를 達成하기 위해서는 그 組織에 종사하는 構成員의 士氣管理가 매우 중요하다. 組織構成員에 높은 士氣가 維持될 때에는 能動的인 자세로 職務遂行에 임하게 될 것이고, 士氣가 低下되면 個人에게는 葛藤이 나타나 意慾이 喪失되고 組織에는 沈滯가 持續되어 行政의 서비스는 기대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敎育行政에 從事하는 公務員들이 能動的인 敎壇支援行政具現을 위해서는 士氣昻揚을 위한 人事管理가 시대의 變化에 따라 重要性을 더해가고 있는 실정이다. 本 硏究에서는 公務員組織에서 가장 關心이 많고 士氣昻揚과 直結되는 昇進·轉補 運營에 대한 公務員들의 態度 調査를 통하여 問題點을 導出하고 그에 대한 改善策을 提示해 보았다. 昇進·轉補 制度의 問題를 보면 다음과 같다. 昇進制度의 問題點을 보면, 첫째, 地方敎育行政公務員은 上位職級으로 昇進의 門이 좁다. 즉, 昇進할 수 있는 定員이 絶對的으로 不足하다는 것이다. 둘째, 職級別 昇進소요 最低年數가 現實과 너무나 乖離가 있다. 즉, 昇進所要年數 經過 後 바로 되거나 3년이내에 昇進이 되기를 希望하는 의견이 높지만, 現實的으로는 10년이상이 되어야 昇進이 가능한 실정이다. 세째, 勤務成績 平定點에 대해서 昇進후보자 명부작성시 年度別 反映 비율이 不合理하다. 즉, 대부분의 公務員들이 실제로 昇進하는 데 昇進所要 最低年數보다도 많은 期間이 經過되어 昇進되고 있음에도 최근의 1,2년의 실적만 昇進에 反映되고 나머지는 사장되는 矛盾이 있다. 네째, 下級敎育廳 職員의 勤務成績平定 確認을 상급 기관인 도교육청에서 관장하는 것은 형평에 맞지 않다. 즉, 하급교육청 산하(교육청, 중학교, 국민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6급공무원 전원에 대해서만 도교육청에서 부교육감이 확인자로 指定된 것은 衡平에 맞지 않는 管理라고 보여진다. 轉補의 制度上의 問題點을 보면, 첫째, 敎育行政組織에서 國家職과 地方職과의 보직관리에서 差別이 심하다. 국가직과 지방직간에 직급에 있어 아무런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現實에서는 差別的인 대우로 인하여 지방직 공무원들의 많은 葛藤을 誘發하는 要因이 되고 있다. 둘째, 個人의 發展과 組織에 活力을 주기 위한 轉補의 時期가 定期化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轉補가 適期·適時에 이루어짐으로써 組織發展에 寄與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現實的으로는 業務成果와는 관련이 없는 감정이나 외부의 압력, 청탁에 의해 좌우되어 빈번한 轉補가 施行됨으로써 豫測性의 不足과 不安感이 造成되어 業務에 지장을 초래하게 될 可能性이 있다. 다음으로 昇進·轉補의 行態上의 問題를 보면 다음과 같이 나타나고 있다. 먼저 昇進 行態의 문제를 보면, 첫째, 昇進의 基準은 職務能力을 제일로 삼아야 되는데 그렇지 못하고 다른 要素에 의거 昇進이 되고 있는 것은 公正性에 문제가 있다. 즉, 能力있는 사람이 昇進된다고 믿는 분포가 15%이내에 불과함으로써 意識과 現實에 많은 乖離現象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근무성적 평정의 公正性 問題로서 근무실적 우수자가 좋은 평점을 받지 못하고 同一職級 先任者가 우선적으로 혜택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직무수행 우수자보다 동일직급 선임자가 勤務平定을 잘 받고 있음으로써 行政發展의 沮害와 士氣저하가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세째, 一般昇進試驗 응시횟수를 衡平을 고려하여 축소·조정되어야 한다. 즉, 昇進적체가 深化되어 있는 現實에서 5년간의 장기추천은 형평에 불합리하고, 經歷爲主의 推薦으로 젊고 有能한 公務員의 士氣가 低下되고 組織의 노쇠가 나타날 수 있다. 네째, 昇進 欲求가 과도하게 나타나고 있다. 즉, 昇進의 욕구가 지나친 경우 비정상적인 方法의 昇進을 기대하게 되며, 이는 인사상의 폐해를 가져올 수 있고 동료간의 지나친 競爭으로 組織에 저해를 가져오게 된다. 轉補制度에 대한 行態上의 問題點을 보면, 첫째, 個人的인 適性과 專門性을 고려하지 않고 轉補가 이루어지고 있다. 個人의 發展과 住民들에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공무원들의 適性과 專門性을 把握하여 配置되어야 함에도, 인사배치가 客觀的인 基準보다는 인사권자의 主觀的인 基準이나 자의성에 의해 좌우되어 組織구성원의 士氣가 低下되고 行政서비스의 質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둘째, 合理的인 轉補管理를 위한 補職管理規程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 한번 배치되면 3년동안은 勤務할 수 있어야 함에도 이의 遵守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음으로써 공무원의 不滿이 나타나고 轉補秩序가 문란하게 되어 行政의 信賴性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세째, 敎壇支援의 敎育現場인 學校勤務를 忌避하는 現象이 나타나고 있다. 즉, 特定部署에 대한 勤務를 忌避함으로써 行政의 效率性이 弱化될 可能性이 있다. 위와 같이 分析된 問題點을 중심으로 本 論文에서는 다음과 같은 改善方案을 昇進·轉補의 制度的인 側面과 行態的 側面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 制度上 改善方向으로는, ① 上位 職級의 定員 擴大 方案, ② 昇進所要 最低年數를 현실에 부합되도록 調整, ③ 勤務成績 平定點에 대한 年度別 反映 比率의 재조정, ④ 下級敎育廳의 6級職員도 勤評確認者를 敎育長으로 조정, ⑤ 도교육청의 課長 補職을 國家職에서 地方職으로 조정, ⑥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定期轉補日을 指定 運營할 것을 제시하였고, 둘째 行態上 改善方向으로는, ① 能力爲主의 昇進決定, ② 實績爲主의 勤務成績 評定, ③ 一般昇進試驗 응시횟수를 3회로 조정, ④ 公職觀의 再定立 方案, ⑤ 專門性을 고려한 配置轉換, ⑥ 轉補管理 規程의 철저한 준수, ⑦ 學校 勤務 選好의 誘引策 講究를 提示하였다. 그러나 인사관리의 改善方案이 제시된다 하여도 모든 人事가 合理的으로 解決될 수는 없는 것이다. Fred W. Riggs 제시한 것처럼 同一한 制度와 構造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制度와 構造를 運營하는 組織構成員의 行態에 따라 相異한 結果를 가져오는 比較行政論的 接近方法으로 實證된 바 있다^1). 교육행정공무원의 士氣昻揚을 위한 人事管理는 좋은 制度改善에 합리적인 運營이 따라 주었을 때 客觀性과 公正性이 보장되겠으나 이것이 實現되기 위해서는 制度를 運營하는 人事權者의 合理的인 意識과 組織 構成員들의 肯定的 姿勢로의 變化가 要求되고 있다. This is a study on raising morale levels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public officials, and it also aims to suggest a rational palm for the personnel management. The administration of public affairs has recently become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new techniques of management. To raise the morale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public officials within a short time the government authority we must take an effort to resolve officials dissatisfaction about the factors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In addition to this kind of thing the promotion and the transference system must be improved and the fair personnel management must be achieved as well. The promotional system must be developed and improved through a reasonal promotional system because it is means of raising the public officials morale. The proced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 discussed to purpose, object,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Chapter Ⅱdiscussed to the theoretical base of morale management, the relation between morale management and personnel problems and model of analysis. According to this theoretical background, chapter Ⅲ analyzed the real condition of management about promotion, transference and attitude of public officials. Chapter Ⅳ discussed to the rational method of promotion, transference administration for morale elevation. Throughout these analyzing process in chapter V discussed to summery and conclusion. From this view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clear meaning of promotion and transference system of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public officials in personnel management system of public officials of the mordern country effected manifold variables and factors, and present improvement methods of rational and efficient personnel management for morale elevation by analyzing real condition and problems of personnel management.

      • 敎育行政公務員 敎育訓練體制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 忠淸南道敎育硏修院 敎育을 中心으로

        김성우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With the advent of 21st century, which opens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era and globalization, both Korean government and industries are bound to face great many challenges that require competitiveness in this fast-changing world. Public administrators are expected to be equipped with positiveness, development-driven value,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s, as well as capabilities of maximizing administrative effectiveness and professionalism. In particular, educational administration can be defined to have a supporting and fostering role in its nature. That is, the specific group which education administrators are expected to support includes students, parents, and faculty members. Therefore, public education administrators need not only the pertinent qualifications of administrators but also the expertise and capabilities of public(government) employees. With the above mentioned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system and programs of Chongcheongnam-do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henceafter,CETI), presenting the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Firstly, the survey in search for the needs and desires of the trainees has not been systematically implemented. Consequently, educational training expenditures are not considered as positive investment but simply as expenses. Therefore,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guarantee the corresponding budget at each fiscal year. Secondly, since educational training (of CETI) has been conducted not as a way of fostering professional public education administrators but simply as a periodical training program, the curriculum is not flexible enough for the effective interactions between schools and CETI. Thirdly, due to the lack of competent faculty members and the rigorous uniformity in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is unlikely to be obtained. Fourthly, the content of the program is not directly related to what the trainees need to learn, which leads again to the lack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Finally, since the post-training evaluation is mostly on the basis of superficial achievements, the effect of the training program is not widely transferred to other relevant areas. For those problems, the following solutions are suggested in this thesis. First,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program at CETI, a diagnostic pre-training program is necessary. Second, the entire curriculum needs to be diversified so that the trainees can choose whatever is actually helpful for their jobs. Third, it is imperative to recruit competent instructors in each of the specific field such that the program recipients would become an expert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upon the completion of the courses. Fourth, a diagnostic pre-training test as well as post-training evaluation must be activated such that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is taken into an account a potential future appointment of the trainees. Finally, the results and the consequences of the training program can be evaluated based on two factors: one is the transferring effects of the program, and the other is the degree of adaptability to the position that is held by the trainees upon the completion of the training program.

      •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분석 : 광주지역 전문계고교를 중심으로

        김용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NEIS stands for the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which they put into effect from March, 2003 passing through 3 years' preliminary arrangements. In order to provide the most suitable service, raise productivity and transparency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renovate the administration by utilizing IT technolog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ame to propel a building project of NEIS on a nationwide basis which is synthetic and well organized unification system. This NEIS make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be on-line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chools, improves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into ICT-based works, and persue standardization and integration of the system and software. By this, They tried to maximiz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enhance the service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construct the system which can provide basic materials about education policies in real-time. After stabilization of NEIS management, as a part of enhancing the national service, service for the student's parents use was enforced nationwide from the 1st, September, 2006 and it started by providing the initial six domains but it did not meet the need of parents of the students for information, so it caused the low participation rates. According to this, so as to satisfy various desires of the parents of the students, the necessity was brought up to maximize the educational utility by processing a database of school administration regions or system for school affairs and give satisfaction to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was desperately asked to increase the low participation of the parents of the students to the service for them and provide information of a much higher quality. To achieve these, as of September, 2007, throughout the preliminary management, the service for the parents was put into effect nationwide which was extensively reorganized from the existing six regions to the new twenty six regions. According to this, this study focused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arents' practical use of Internet, the parents' recognitions to the service for them or their satisfaction for each menu which the service for the parents provided, and tried to elicit the implications. First, as a result of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arents' practical use of Internet, it turned out that most of the students' parents have an access to the Internet and make use of it and especially the students' parents make use of it more deftly who were well-educated and works in the position of office management than housewives do who don't have enough educational backgrounds. Second, from the study on the parents' recognitions to the service for them, it turned out that although the authorities concerned tried to inform the public about its service, there were not many students' parents who knew if the service for them exist or not. And come to think of the fact that the opportunity by which they recognized it was due to the home correspondence from the schools, it was found necessary to inform the public in the collective and dramatical manner. Furthermore,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utility frequency of the service for the students' parents was low, it is essential to do study on ways to increase the utility frequency. La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satisfaction for each menu which the service for the parents provided, generally the students' parents showed the satisfying reactions to menu they use and it was known that they are looking forward to utilizing menu for one's course/counseling guidance, a personal health record and etc which are going to be provided in the near future. All in all, the service for the students' parents in NEIS should find its ways to enable the students' parents to have an easy access to it and keep developing and improving itself into the way that the students' parents can conveniently figure out the status about their son or daughter's school life at home. In addition, plans should be drawn up to make schools communicate with students' parents actively, and to do this, the authorities concerned are asked the constant systematic support and study.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은 3년여의 준비기간을 거쳐 2003년 3월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어온 온라인 교육행정망을 의미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대국민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교육행정의 생산성과 투명성을 높이며,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행정을 혁신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통합형 시스템인 전국단위의 교육행정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이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은 교육인적자원부와 교육청, 학교를 온라인화하고, 교육 행정을 ICT 기반의 업무 방식으로 개선하며, 시스템과 소프트웨어의 표준화, 통합화를 추구한다. 이를 통하여 교육 행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교육 행정의 서비스를 개선하며, 교육 정책의 기초 자료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려고 하였다.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면서 대국민 서비스 강화의 일환으로 2006년 9월 1일부터 전면 시행된 학부모 서비스는 초기 6개 영역을 제공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였으나, 학부모의 정보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여 참여율이 저조하였다. 이에 따라 학부모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학교행정영역 및 교무업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가공하여 교육적 활용도를 최대화하고 학생·학부모에게 만족도를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학부모서비스에 대한 학부모의 저조한 참여율을 높이고 보다 더 알찬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이를 위하여 2007년 9월부터 기존 6개 영역에서 26개 영역으로 확대 개편된 학부모 서비스가 시범 운영을 거쳐 전국적으로 전면 시행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학부모의 인터넷 활용실태, 학부모의 학부모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학부모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각 메뉴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학부모의 인터넷 활용 환경실태에 대한 연구결과 대부분의 학부모가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 속에서 인터넷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고학력이면서 사무 관리직에 있는 학부모가 저학력 전업주부보다 능숙하게 인터넷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서비스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정도 연구결과 관계당국의 홍보노력에도 불구하고 학부모서비스의 존재 여부조차 모르고 있는 학부모가 많았고, 학부모서비스를 인지하게 된 계기도 학교의 가정통신문을 통해 알게 되었다는 학부모가 많아 종합적이고 획기적인 홍보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학부모서비스의 사용 빈도도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도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파악된다. 학부모서비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영역별 만족도에 대한 조사결과 대체로 사용되는 메뉴에 대해서는 만족한다는 반응 분포를 많이 보였으며, 차후 제공될 예정인 진로/상담지도 메뉴나 건강 기록부 등에 대한 기대가 큰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학부모서비스는 학부모가 쉽고 편하게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며, 학부모가 가정에서도 학생의 학교생활에 대해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각각의 메뉴들을 개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와 학부모간의 의사소통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며, 이를 위해서 관계당국의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지원과 연구가 필요하다.

      •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의 LMX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학습조직화 수준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다중매개효과

        김흥복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지방교육행정 조직 구성원들의 LMX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학습조직화 수준의 다중매개 효과를 검증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방교육행정 조직과 구성원들의 LMX, 자기주도학습 능력, 학습조직화 수준, 혁신행동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의 LMX, 혁신행동, 자기주도학습 능력, 학습조직화 수준의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의 LMX, 혁신행동, 자기주도학습 능력, 학습조직화 수준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Liden과 Maslyn(1998)이 개발한 LMX 측정도구, 배을규, 이민영(2010)이 개발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측정도구, Yang, Watkins와 Marsick(2004)이 개발한 학습조직 수준(DLOQ) 측정도구, Janssen(2000)이 개발한 혁신행동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는 경기도교육감 소속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을 대상으로 533부를 배포하여 479부를 회수(회수율: 89.8%)하고, 불성실 응답 9부를 제거하여 최종 470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을 활용하여 분석 하였고,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변인에 대한 집단별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 및 Scheffe를 이용한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LMX, 혁신행동, 자기주도학습 능력, 학습조직화 수준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과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정된 연구모형과 경합모형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다중매개 효과 검정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실시하고, 팬텀변수(phantom)를 통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 절차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의 집단 간(성별, 직급, 근무지별) 차이 분석 결과 LMX의 집단 간 차이는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직급별에서 유의하게(p<.01)나타났다. 사후 검증결과 5급(4.01)과 7급(3.72) 그리고 5급(4.01)과 8급 이하(3.75)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조직화 수준의 집단 간 차이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으며, 혁신행동은 직급별에서 유의하게(p<.01)나타났다. 사후 검증결과 5급(3.79)과 7급(3.25), 5급(3.79)과 8급 이하(3.23), 6급(3.56)과 7급(3.25)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방교육행정 조직과 구성원들의 LMX, 혁신행동, 자기주도학습 능력, 학습조직화 수준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한 결과 연구모형인 부분매개 모형이 경합모형인 완전매개 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모형 적합도는 두 모형 모두 기준을 충족하였고, 모형적합도 수치는 PGFI, TLI를 제외하고 모두 같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연구 모형과 경합모형간의 간명적합지수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LMX, 혁신행동, 자기주도학습 능력, 학습조직화 수준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완전 매개 모형과 부분 매개 모형의 자유도 값 차이는 1이며, p<.05 수준에서 의 차이 값의 임계치는 3.84이다. 분석결과 의 차이 값이 임계치 이하(.551)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검증 결과에서는 연구모형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나타났으며, 선행연구 결과에 따라 LMX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 경합모형(완전매개 모형)보다 연구모형(부분매개 모형)이 이론적, 논리적으로 구축되었기 때문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셋째, 최종 연구 모형(부분 매개모형)에서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의 LMX는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 .333(p<.001), LMX는 학습조직화 수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 .515(p<.001),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 .616(p<.001), 학습조직화 수준은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 .169(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중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팬텀 변수를 활용하였는데, 분석 결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는 95% 신뢰구간에서 .112 ∼ .379의 하한 값과 상한 값을 보이고 있어 0을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187, p<.01). 또한 학습조직화 수준의 매개효과는 95% 신뢰구간에서 .025 ∼ .139의 하한 값과 상한 값을 보이고 있어 0을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080, p<.05).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몇 가지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경기도 교육감 소속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을 연구 대상으로 실행하였기 때문에, 타 시·도 교육감 소속 지방교육행정공무원과 다른 기업 조직 등에 본 연구의 결과를 적용하기에는 제한점을 갖는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다른 직렬의 공무원 혹은 다양한 직종의 기업 조직을 대상으로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 중 LMX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유의하지 않은 연구 결과가 나옴에 따라 후속 연구에서는 다른 직렬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으며, 더 나가 공무원 조직과 일반 민간 조직 간을 비교 하여 LMX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본 연구는 독립변인, 매개변인, 종속변인을 동일한 시점에 측정하였기 때문에 동일방법편의의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측정 대상 변인의 측정 시점을 달리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야함을 제안한다.

      •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 초·중·고등학교 근무자를 중심으로

        이종근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교 행정실에 근무하는 교육행정직공무원은 교육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한 인적ㆍ물적 조건을 정비하고 의도된 교육이 소기에 성과를 이루도록 지원ㆍ조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학교 교육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직무만족향상과 역할인식 제고가 그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구지역 초ㆍ중ㆍ고등학교 행정실에 근무하는 교육행정공무원들이 학교현장에서 업무를 처리하면서 직무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전체적인 직무만족도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별로 직무만족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를 설문지 225부를 기초로 하여 실증 분석을 하였다. 설문 조사 및 통계 처리를 통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직무만족도는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타나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 보면 50대이상이 가장 높게 나온 반면 30대는 가장 낮고, 직급별로 보면 7급까지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고, 6급과 5급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직무만족도를 보였다. 근무경력별로 보면 15년 미만까지는 만족도가 낮게 나왔고, 15년 이상 경력자의 경우 매우 높으며, 근무학교별로는 일반고가 가장 높게 나온 반면 초등학교와 전문고는 상대적으로 낮다. 상대적으로 직무만족도가 낮은 30대와 경력이 15년 미만, 그리고 초등학교와 전문고를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둘째, 직무분야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으나 권한에 비해 책임이 높고 업무량이 많으며 학교 사정이나 강요에 의한 행정실 직원의 고유 업무와 무관하게 처리하고 있는 업무는 하루빨리 개선해야 할 것이며, 교무영역과 행정영역, 교장과 교감, 행정실 직원의 직무한계를 명확히 구별할 수 있는 지침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인사 분야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사적체의 해소와 승진제도 및 전보발령과 근무성적평정 제도의 개선을 모색함은 물론 심사의 공정성 유지가 중요할 것이다. 본청, 지원청 위주로 근무성적평정을 실시하다 보니 학교 근무자들의 사기는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본청 단위, 지원청 단위, 직속기관 단위, 학교 단위 등으로 구분하여 각 단위별로 불이익이 당하지 않도록 근무성적평정을 실시하는 제도 마련이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낸 보수에 있어서는 하위직 공무원의 직무만족 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보수 인상시 기본급 대비 일률적으로 인상율을 적용하는 것보다는 하위직에 인상율을 높이고 상위직에는 인상률을 낮추는 방안을 도입하여 사회 전체적으로 물가수준 등 현실을 감안한 보수의 현실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상벌분야에 있어서는 공로나 업적에 대한 포상의 확대 및 심사의 공정성 유지가 필요할 것이며, 교육청에서 실시하는 종합감사, 부분감사, 공직기강 등 각종 감사에 있어서도 규정에 잣대를 두어 감사를 하는 것보다는 학교 현장의 실태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현실과 너무 괴리되지 않도록 하는 감사기법 개발이 요구된다. 여섯째, 근무환경 분야 만족도에서는 행정실의 근무환경이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만족도가 높으나 학교의 특성상 조직 구성원의 이원화로 교사나 교육행정직공무원은 상대 업무에 대한 중요성과 곤란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측면도 있으므로 학교사회의 갈등해소를 위한 노력과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인간관계 및 의사전달 분야에서는 직장 내의 인간관계를 돈독히 하여 교육행정조직의 특성상 조직구성원의 이원화로 초래되는 갈등을 해소하고, 업무 처리 시 갈등이 가장 심한 계층인 교장, 교감 등에 대하여도 교육청 차원에서 조직생활, 상호 업무 역할 바꾸기 등 인간관계개선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환경을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이 모색 되어야 할 것이다. 여덟째, 발전가능성 및 인정 분야에서는 교육행정직공무원으로 보람과 긍지를 높이기 위한 우대 방안과 업무관련으로 인해 가장 근무하기를 회피하는 학교가 전문고등학교라는 사실을 인식해 전문고등학교에 획기적인 교육행정 인력을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을 강화하여야 하겠다. 지금까지 학교현장에서 직접 학교교육을 지원하는 학교 행정실 근무자들에 대한 직무만족 실태와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학교에 근무하는 교육행정직 공무원들은 학교교육 목표 달성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만큼, 교육행정직 스스로 직무에 보람과 긍지를 가질 수 있도록 직무, 인사, 보수, 승진, 근무환경 등 근무여건을 개선하여야 하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통한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 교육행정서비스의 질이 만족도와 애교심에 미치는 영향 : 대구·경북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성석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1. 연구의 목적 및 분석의 틀 세계화와 정보화 시대의 급격한 환경변화 속에서 국내외를 막론하고 오늘의 대학들은 내외적으로 예측하기 어려운 다양한 변화에 대응해야 하는 힘든 환경에 처해있다. 최근 학교경영의 혁신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는 종합적 품질경영은 교육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경영개선활동의 하나이다. 이는 교육행정서비스를 극대화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교육을 교육적 이론만으로 접근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루는 시장경제원리에 입각하여 교육행정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행정서비스의 질이 학생들의 교육행정서비스 만족도와 어떤 관련성이 있고, 그것이 애교심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고객만족도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미흡했던 학생들의 애교심에 관한 연구를 통해 향후 대학의 경쟁력 제고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교육행정서비스에 대한 요구와 기대를 파악하고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함으로써 변화하는 교육행정수요에 대응하고 학생들의 모교에 대한 만족도를 제고시켜 대학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행정서비스를 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교육행정서비스의 질이 만족도와 애교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잠재적 수요자와 현재 재학생들의 요구에 적절히 부응할 수 있는 발전적 생존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9년 3월 2일부터 4월 20일까지 대구․경북 소재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대구․경북으로 한정하였으며, 대구․경북지역 4년제 종합대학을 그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는 대구․경북의 대표적인 4년제 종합대학을 선정하여 다양한 학생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교육행정서비스가 실질적으로 제공되는 일선교육 현장이라는 점과 보다 현실적으로 제한된 비용과 시간적 조건을 충족하면서 자료수집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었다. 연구의 방법적인 측면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문헌 중에서 만족도와 관련된 이론을 검토하고, 각 이론에서 도출된 만족도의 특성을 종합하였다. 그리고 교육행정서비스의 질이 만족도와 애교심 및 이들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존연구를 검토하여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실증연구는 연구모형에 따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조사대상지역은 대구․경북지역 6개의 4년제 종합대학 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회수된 설문지 450부중 42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15.0과 AMOS V.7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교육행정서비스 질이 만족도와 애교심에 어떤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한 실증연구모형은 아래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연구의 모형 2. 분석의 결과와 교육행정학적 시사점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행정서비스질의 4개 속성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편의성이 학생들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책임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행정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켜 만족도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교육행정서비스를 체계적이고 다원적 차원에서 공급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행정서비스의 질은 애교심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행정서비스 질의 차원별 만족이 미치는 영향요인은 각각 상이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애교심측면에서는 대응성과 편의성이 교육행정서비스의 만족도와 애교심향상에 모두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육행정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애교심의 관계에서는 학생들의 교육행정서비스 질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하여 반드시 학교에 대한 애교심도 높은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 분석되었다. 따라서 교육행정서비스 질적 수준도 중요하지만 애교심 향상을 위해서 대학의 이미지 향상과 학생들이 학교에 대한 애착과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교육행정서비스 질의 차원별 속성은 만족도와 애교심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저학년보다 고학으로 갈수록 만족도와 애교심이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대학당국의 행정서비스가 서비스공급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좌우되거나 공급자의 사적인 입장이 강조될 경우, 교육행정의 수요자이며 서비스의 대상인 학생들의 입장이 대학행정에 원만하게 반영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교육수요자인 학생들의 입장을 고려하고, 그들의 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교육정책적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 근무하는 교직원들의 편의에 따른 탁상공론적 행정이 아니라 실제로 학생들이 무엇을 필요로 하며,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가를 파악하여 소위 “찾아가는 교육행정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라는 점이다. 둘째,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만족도와 애교심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대학 전체의 수준을 제고시키고 이미지를 향상시킴으로써 학생들의 소속감을 키워나가야 할 필요성이 크다는 점이다. 셋째 대학의 이미지를 제고시켜 재학중에는 물론 졸업 이후까지 학생들의 애교심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대학구성원 모두가 학교에 대해 자긍심을 갖도록 하고, 나아가 학교를 자랑스럽게 생각함으로써 모교에 대한 입학을 적극 추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넷째, 고학년이 될수록 학교에 대한 만족도와 애교심이 떨어지는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을 개선하는 새로운 대안을 개발하고 적극 시행할 필요성이 크다. 3. 연구의 한계와 향후방향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면에서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실증분석에 사용된 응답표본의 한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지역에 소재한 종합대학을 대상으로 이들 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수와 재학생들을 고려한다면 표본대표성의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둘째, 일반화 문제와 관련하여 지역적 표본의 한계이다. 본 연구에서 실증분석한 두 개 지역의 6개 대학으로는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본 연구의 모델을 기반으로 하되 전국적 대표성을 가진 표본추출을 통해 비교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연구방법에 있어서 교육행정서비스 질의 속성과 만족도, 그리고 애교심에 미치는 영향만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향후 보다 깊이 있는 연구를 위해서는 이들 요인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대학의 내부구성원들과 졸업생들에게 미치는 영향까지 파악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1. The purpose and framework of this study Today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alike are under severe environment which expects them to cope with the unpredicable diverse changes in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era. Recently Total Quality Management (TQM) performance, an important note as a innovation strategy of school management is one of improvement of management activitie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education. In other words, deviating from the way simply approaching to education with educational theory, universities are trying to maximize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 to ensure competitive advantage and to elevate its quality based on the market-economy principles that supply and demand keep their balanc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relevance does university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 have in students' satisfaction and how far does it affect their love of school. This study also expects research on students' loyalty which have been comparatively flat in section of customer satisfaction research serves to improve competitive power of universities. Having a grasp of students' expectation and needs and handling the situation without passivity, it attempts to cope with changing demand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make for development of universities as increa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This study fleshed out its purpose with the research on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 of universities and its scope is as follows. First, its subject is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on satisfaction and loyalty. Combining this research result with needs of potential users in the future and the present students, it attempted to seek developmental strategy of surviving. The temporal range is from March 2, 2009 to April 20 and its spatial range is limited to Daegu and Gyeongbuk. 4-year curriculum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are selected as objects of study. The reason why those typical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buk are selected is that first, it is easy to hear diversity of opinions from students, second, those are the real fields of education which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 is providing, third, data aquisition is actually available within limited time and money. As research methods, literature study went side by side with empirical study through survey. First, through literature study, theories related to satisfaction from existing research papers were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each theories were integrated and further, existing researches on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on satisfaction, loyalty and its relationship were investigated. Next, in empirical study a hypothesis was set up based on research model and structualized survey was made to verify the hypothesis. 500 students of six 4-year universities in Daugu and Gyeongbuk a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420 out of 45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applied to the analysis. Gathered data verified the hypothesis through statistics programs, SPSS WIN V.15.0 and AMOS V.7.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empirical study model(diagram 1) which defines what influence does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have effects on satisfaction and loyalty is like below. (diagram 1) study model 2. The result of analysi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ve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ur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have effects on satisfaction. 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convenience influenced on satisfaction, while responsibility didn't. Therefore, due to raise the quality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 and uplift the satisfaction, its systematic and multilateral supply is needed. Second, this study shows that quality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 partially have effects on the love of school. However, causes which have effects on satisfaction vary according to dimens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Therefore, in aspect of students' loyalty, responsiveness and convenience are main factors which affect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 and rise of loyalty. Third,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 and loyalty show that high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 does not always lead to high loyalty. Therefore, level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is important, of course, but to enhance university image and to lead students to have affection for school are also necessary to boost of the love of school. Fourth, this study shows that the dimension-by-dimension properti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ve different satisfaction and loyalty. Satisfaction and loyalty generally decrease to higher school year(senior). As a result of this, in case that administrative service of university authorities is under the control of service providers' stake or providers' individual position is emphasized, university administration does not reflect stand of students, who are educational clients and target of the service. Therefore, universities need to put themselves in educational clients' place and response to their requirements efficiently. Research results stated above show educational political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e staffs of university have to provide not an armchair theory administration but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 before demand" which grasps what students need, what students are requiring. Second, due to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and the love of school, it is necessary to increase student's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as enhancing the quality of school and its image. Third, it is necessary to lay out a scheme to enhance students' love of school through raise of school image not only during school days but also after graduation. Making all university memberships take pride in school, they can firmly recommend the entrance of university they graduated. Fourth, it is necessary to remedy the undesirable phenomenon that loyalty generally decrease to higher school year(senior) and developing alternative plan against it and its positive effect are also needed. 3. The limitation and prospect of this study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as follows. First, the limitation of response sample used in empirical analysis. To consider the number of university and the present students within the limit of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rea is this study's limitation that missed representative of sample. Second, the limitation of regional sample related to generalization problem. The empirical analysis of only six universities in two regions has not done enough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e study. Hence, in the future, based on of the model of this study, comparative analysis research through sampling with nationwide representative is needed. Third, as research methods, mere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s characteristic, satisfaction and influence in the love of school were examined. Therefore, for an in-dept study, the research up to the influence of reciprocal action among those factors on membership on the university inside and graduates is needed.

      • 韓末 開化期 敎育行政의 分析的 硏究(1876-1910)

        이원기 建國大學校 地域開發大學院 199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and real fact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he enlightened age of Korea. I hope that this stud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systematizing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is study was done through analytic method in view of the histor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was focused on the central organiz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researched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s related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histor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literature materials analyzed in this study are as fellows : Korean history, educational history, histor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policy, official gazette, newspaper, thesis for a degree, school history and every periodical magazine. Through the above study I came to Set the following conclusion. 1. The aim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he enlightened age is to raise whole personality with knowledge, virtue and health and become patriotic nation. Every school in the enlightened age had curriculum regulated with school term, school year, learning period and class hour per week. The editorial section of the learning bureau is in charge of publishing text books. This educational systems were well developed for itself, but Japanese invasion reduced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and made Korean become ignorant an pro-Japanese people. 2. As 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organization in the enlightened age , learning bureau in charg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was organized, which grade system was classified into three degrees : a cabinet minister, a vice minister and the chief of bureau. Dae-sin-kwang-Bang, the cabinet minister office , consists of three departments such as secretary, archives and account , and two bureaus such as educational affairs and edit. In 1907 the department of educational affairs was divided into two sections :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Many Japanese were appointed as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the post of vice minister. Officials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al affairs were also serving as a principal at the same time. Japanese were appointed as a vice principal and led all the educational activities actually. 3. In the teacher's personel management, Hansung normal school was founded for tra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only those who had a teacher's certificate were appointed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t in case of school above Biddle school there was no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and no criterion of regulating teacher's qualification. This could be a good excues of colonizing Korea by appointing a Japanese middle school teacher on account of the lack of teachers. In the teacher's working conditions a teacher was paid less than the general public servant and the teacher who had graduated from the normal school must be engaged for bib compulsory term of service. Teacher's disciplinary punishment was done according to "public servant's disciplinary punishment order". This punishment order was misused to persecute the teacher who was in the way in performing the colonial policy. Promotion and prize systems were executed to encourage teacher's morale. 4. In the student educational administration, special care such as helping a student with bib school expenses was given for more students to go to school at the beginning. In the field of student guidance, students were educated to let them have a sound spirit, humanity and healthy body through moral training and physical exercise. Students were punished according to school regulation if they violated it. Dormitary was built and run for the student welfare. Students were allowed to go abroad for studying in early days. But, after setting up the inspector general in Korea they were sent to only Japan for studying at the expense of the government and must serve a specific compulsory term of service after their return. 5. Educational finance was imposed according to a rule of taxation and financial law was made, promulgated and enforced. But because of the poverty of national finance and lack of acknowledge about education, the amount of educational finance get to only about two percentage of the total amount of the government budget. But after setting up inspector-General in Korea by Japan much budget was used irrationally and most of it was spent for the pay of Japanese government officials and teachers. As mentioned above, Korean education was developed for itself a lot, imposing many problems in hand. But Japanese intervention led Korean education to colonial one.

      • 교육행정공무원의 리더십 역량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교육청 교육행정 5급 공무원을 대상으로

        정규남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교육행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조직의 변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5급 중간 관리층 공무원들의 리더십 역량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리더십 역량 제고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즉 리더십 역량과 관련된 문헌분석과 대전광역시교육청 교육행정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를 통해 조직의 허리라고 할 수 있는 5급 중간 관리층 공무원들의 핵심적인 리더십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하여 교육행정조직의 긍정적 변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취지였다. 이 연구를 위해 리더가 발휘하는 리더십 역량은 학습될 수 있고 개발이 가능한 능력으로 전제하며, 리더십의 핵심역량으로 이석재(2006)의 ‘18가지 리더십 핵심역량 모델’에서 제시하고 있는 리더십 역량모델을 수용하여 대전광역시교육청 5급 중간 관리층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본인들의 인식과 부하직원들의 평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는데, 분석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역량은 직속기관과 시교육청이 비교적 높고, 30년 이상 근무한 경험 있는 공무원들의 인식이 높았는데, 인지역량 특성상 주로 개인의 내적 특성, 가치관, 신념, 태도 등을 의미하므로 사회적 경험이나 조직의 환경변화에 따라 그 해석과 대응이 달라지게 마련으로 이러한 현상은 기관별로 어떠한 특징적인 요소가 존재하는 것보다는 부하직원의 소속 상사에 대한 인지역량 해석을 달리 했다고 볼 수 있으며, 30년 이상 근무한 중간 관리층 공무원들은 대체적으로 자기인식의 관대화 경향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적으로 지방 교육행정 조직에서는 공무원들이 승진에 유리한 시교육청에 진입하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대체로 역량 있는 공무원들(특히 위로 올라갈수록) 이 시교육청에서 근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인지역량은 주로 개인의 내적 특성, 개인이 지닌 가치관, 신념, 태도 등을 의미하는 데, 사회적 경험이나 조직 환경 변화에 따라 그 해석과 대응이 달라지게 마련이다. 둘째, 대인관계역량은 10년 미만 근무자들의 인식과 여성보다는 남성공무원, 그리고 소속별로는 시교육청 단위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 역시 5급의 자기인식의 관대화 경향이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가가 나왔던 의사소통이나 갈등관리, 고객지향성 등 대인관계역량 요소에서 여성보다는 남성이, 규모가 작은 기관보다 시교육청 같은 큰 조직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5급 중간관리자의 대인관계역량을 높게 평가했다. 지방의 교육행정조직에서 5급 중간관리자의 경우 아직까지도 남성공무원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이성인 여직원보다 동성인 남직원에 보다 많은 대화와 어울릴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주어지는 주변환경적인 요소가 작용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한편, 시교육청 중간관리자들의 갈등관리 능력을 높이 평가한 것은 계급층하가 많은 큰 조직일수록 결재단계가 많고 갈등관리를 비롯한 조정능력을 필요로 하며, 또 실제로도 5급 공무원이 그러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대인관계역량 평가에서는 중간관리자인 5급 자기인식이 부하직원 평가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특성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관대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고, 또 5급 공무원 본인들의 중간적 조정역할을 대인관계역량에 보다 치중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었다. 셋째, 전략적 역량인식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로 10년 미만의 20대 젊은층 공무원들이 5급 중간관리자의 전략적관리역량을 비교적 높게 평가했다. 코칭, 팀워크 형성, 추진력 등 제반 전략적관리역량 요소에 대한 평가가 여성보다 남성이 높다는 것은, 지방의 교육행정조직에서 5급 중간관리자의 경우 아직까지도 남성공무원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이성인 여직원보다 동성인 남직원에 보다 많은 대화와 어울릴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주어지는 주변환경적인 요소가 작용했다고 생각해 볼 수 있으며, 10년 미만의 젊은층 공무원들이 소속 상사의 전략적관리역량을 높게 평가한 것은 각종 행사나 업무추진에 있어 5급 중간관리자와 접촉이 잦을 수 있는 근무환경이 작용한 것이 아닌가 해석해 볼 수도 있다. 한편, 응답자들의 역량별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단순 응답자의 비율로 보면 전략적관리역량과 대인관계역량을 거의 같은 비중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중치를 부여한 종합적 분석에서는 대인관계역량을 보다 중요시 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대인관계역량과 전략적관리역량은 목표를 향해 배를 저어가는 두 개의 노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전략적관리역량에 치중한 관리자는 조직에서 좋은 성과를 낼지는 몰라도 직원들의 지지를 받지 못할 수 있다. 이런 관리자는 타인과의 관계를 일 중심으로만 형성한다. 반면 관리자가 대인관계역량에만 치우치면 조직의 분위기가 부드러워지고 직원들에게 자율성이 부여되므로 일할 맛이 나는 듯하지만, 일의 성과가 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두 역량군을 균형 있게 발휘해야 리더십 효과도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응답자 비율로 보아 두 역량이 비슷하게 중요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나, 가중치를 부여한 종합적 분석에서는 대인관계역량을 보다 중요시 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 10년-20년 근무자와 연령상 20대, 30대, 40대는 전략적 관리 역량을 중요시하는 반면 30년이상 근무자와 연령상 50대는 주로 대인관계 역량을 중요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직장에서 30년 이상 근무하여 어느 정도 경험과 노하우를 갖춘 50대 이상의 중견공무원들일수록 5급 중간관리자의 역할에 대하여, 10-20년 정도 근무한 20-40대 실무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업무를 협조하고 조정할 수 있는 힘인 대인관계역량을 중요시 여긴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현상은 7,8급보다 5,6급 등 직급이 높을수록 또한 대인관계 역량을 중요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 지역교육청, 직속기관은 전략적 관리역량을 중요시하고, 시교육청은 대인관계 역량을 중요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방에서는 시교육청이 보다 큰 조직이고 계층이 많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많은 결재단계를 거치면서 행정을 추진하기 때문에 시교육청 단위의 행정에서 5급 중간관리자의 역할에 대해 업무의 조정과 협력을 중요시하는 대인관계역량이 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향후 지방교육행정조직에서의 5급 중간 관리층 공무원들의 리더십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끊임없는 교육훈련과 스스로의 자기계발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다음과 같이 제언해본다. 첫째, 5급 중견 공무원들은 실무자로서의 업무수행능력뿐만 아니라 관리자로서의 역량도 갖추어야 한다. 이들 공무원은 업무수행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해를 조정하여야 하며, 관련부서의 공직자들과 업무상의 협력을 할 필요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시․도교육청 공무원들은 자신의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 내․외부의 관련자들의 이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능력을 가져야 하며, 더불어 하위 공직자들의 갈등을 해결하고, 조절하기 위한 리더십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팀워크 구축 및 유지, 인력의 육성 및 관리능력, 하급자의 교육활동 및 능력개발지원, 조직 내 상하 및 동료 간의 의사소통 기술, 조직변화관리 역량 등이 요청된다. 둘째, 부족한 역량을 개발하기 위하여 필요한 방법으로 교육훈련, 코칭, 업무의 경험 등을 들 수 있다. 특별히 역량은 교육훈련의 측면에서 "획득"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조직 구성원의 "역량"개발을 위해서 많은 조직에서는 교육훈련을 활용하게 된다. 교육훈련은 업무의 효과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기술, 지식, 그리고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조직의 가치와 전략에 교육훈련의 내용을 일치시킴으로서 조직구성원의 "역량"을 개발할 수 있다. 셋째, 이를 위해서 우선 교육행정직의 역량별 강화 수단이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할 것이며, 교육행정직에게 실질적으로 요구되는 역량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훈련에 대한 개인의 교육선택 폭을 대폭 확대시켜야 한다. 이와 더불어 e-learning의 활성화, 민간위탁교육의 확대실시, 직장교육의 활성화, 멘토링 제도의 도입과 확대, 각종 동호인회 등 학습활동의 지원, 그리고 교육훈련예산의 확대 등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스스로의 역량개발을 위한 자기노력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결국 리더십을 개발하는 것은 결국 자기 자신과의 싸움이다. 또 리더십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관리자 개개인의 행동변화와 더불어 의식변화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 중국 유학생의 한국 대학원 진학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 교육행정학전공을 중심으로

        Cai, Xiha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는 두 가지 연구문제가 있다. 첫째, 중국 유학생들은 왜 한국에 와서 대학원을 진학하는가? 둘째, 중국 대학원생이 왜 교육행정학을 전공하는가? 이 두 가지 연구문제에 따라 중국 학생들이 한국 유학을 선택한 동기, 특히 이들이 한국 대학원에 진학하기로 한 이유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질적연구방법 중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 대학원 교육행정학과를 선택한 이유를 탐색해보았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합리적 선택이론과 Maslow의 욕구위계이론을 살펴보았으며 중국 유학생들이 전공을 선택할 때 고려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수행을 통해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 대학원 교육행정학 전공을 선택하는 원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원생들은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계속 교육받고자 하는 동기에서 한국 대학원에 진학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사학위를 취득했다는 것은 취업시장에서 더 강한 경쟁력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집안에 명예를 안겨주기도 한다. 또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은 학문적 욕구를 추구하는 학생들이 미흡한 학부생활에서 벗어나 더 나은 삶으로 나아갈 기회가 되기도 한다. 둘째, 최근 중국에서 유학생을 중요시하고 있어 인재 관리와 정착 정책에 대한 혜택이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국에서 대학원 진학을 하려면 전문 지식뿐 아니라 영어, 정치, 수학 등 다양한 과목을 포함한 전국통일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이는 중국의 2차 대학수학능력시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입시 경쟁률이 워낙 높아 상위권 대학원에 진학하기가 쉽지 않다. 또 한 번에 한 학교, 한 학과만 선택할 수 있는 입시제도로 인해 오랜 기간 대학원 입시를 준비해야 하며 입시에 떨어질 가능성도 있어 중국 학생들에게 큰 부담이 된다. 이 때문에 미국, 유럽 등 선진국 대학원에 비해 교육의 질이 떨어지지 않고 지리적으로 우수해 여러 학교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한국 대학원은 중국 대학원생들에게 좋은 선택지가 되고 있다. 한국어를 유창하게 사용할 수 있는 중국인 유학생은 더욱 한국 대학원을 선호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중국 유학생들이 대학원 전공을 선택할 때 교육행정학을 선택하는 이유는 교육행정을 교육학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며, 교육행정학을 선택하는 데 있어 자신의 진로계획이나 연구취미를 고려하는 특징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인이나 관계자들의 추천도 전공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육행정전공 석사과정을 선택한 중국 유학생 대다수는 학교 관리직을 맡고자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y do Chinese students go to graduate school in Korea? Second, why do Chinese graduate students study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Based on these two research questions, we first reveal the reasons why Chinese students choose to study in Korea, especially the reasons among Chinese students why they decide to go to graduate school in Korea. Next, we explored the reasons why Chinese students choose to major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fter entering graduate schools in Korea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mainly on rational choice theory and Maslow's hierarchy of needs theory,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consider when choosing their major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hinese graduate students mainly choose to enter Korean graduate schools because of their desire to obtain a master's degree and their desire to continue their education. A master's degree implies a stronger financial position in the job market and is something that brings honor to the family. In addition, it is an opportunity for students entering graduate school to pursue their academic pursuits and move away from their less-than-ideal undergraduate life to a better life. Secondly, studying abroad is a good option for Chinese students because China has recently placed great importance on international students and has many preferential policies in terms of talent management and settlement in China. In addition, entry into Chinese graduate schools requires passing a national unified exam that tests not only professional knowledge, but also various subjects such as English, politics, and mathematics.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call it the second college entrance exam in China. Nevertheless, the competition rate is very high and it is difficult to get into top graduate schools. In addition, the examination system where you can only choose one school and one major at a time is a huge pressure for graduate students even after a long preparation for the graduat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Therefore, compared to graduate schools in developed countrie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Korean graduate schools are not inferior in educational quality and are strategically located so that you can apply to multiple schools at the same time, making them a good choice for Chinese 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Chinese students who speak fluent Korean are more likely to apply to Korean graduate schools. Finally, when choosing a graduate program, most Chinese graduate students choose to apply to education programs. Chinese graduate students view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pedagogy and can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educational administration major choice based on their career plans or research interests. In addition, recommendations from nearby acquaintances and related individuals were found to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choice of majors. Chinese graduate students who chose to major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hope to take up school management position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