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공교육제도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분석

        이주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부모의 초등 공교육제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초등공교육제도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가-1. 학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라 초등공교육제도에 대한 인식의 차는 어떠한가? 가-2. 공교육제도의 하위항목에 따라 초등공교육제도에 대한 인식의 차는 어떠한가? 이 문제에 대한 연구를 위해 지도교수의 지도 조언을 받아 제작한 질문지를 조사도구로 전라북도에 소재한 41개 학교에 840부를 배포하였다. 배포한 840부 중 748부가 회수되었고, 불성실 답변이나 무응답 문항을 포함한 자료는 통계분석에서 제외하고 692부를 SPSSWIN(ver 12.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은 초등공교육제도에 대한 조사대상자의 배경변인별 특성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교차분석(x2)을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공교육의 목적에 대해서는 사회의 가치 규범 및 문화전수 48.1%, 개인의 지적 욕구 충족 20.7%, 직업을 갖기 위한 준비과정 13.7%, 국가와 사회에 공헌하기 위한 과정 12.9%, 대학입시를 위한 출발점 4.6% 순이었고, 학부모의 월평균 수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공교육제도의 만족 정도는 만족한다 48.3%, 그저 그렇다 43.5%, 만족하지 않는다 순이었고, 통계적으로 아버지 연령과 주거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공교육제도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입시위주의 교육풍토 43.2%, 공교육제도의 잦은 제․개정 35.4%, 교사들의 자질부족, 국가가 교육을 독점하는 그 자체 , 단위학교의 교육 방식 순이었고, 통계적으로 월평균 수입과 주거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공교육제도의 제․개정에 대해서는 학부모의 참여기회가 없고 학부모의 의견과 다르다 46.5%, 학부모의 참여기회가 적지만 요구는 그런대로 반영된다 40.2% 순이었고, 통계적으로 월평균 수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무취학에 대해서는 그렇다 76.6%, 그렇지 않다 14.7%, 그저 그렇다 순이었고, 통계적으로 주거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배정에 대해서는 그렇다 57.8%, 매우 그렇다 21.5%, 그렇지 않다 순이었고, 통계적으로 어머니 연령,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 주거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홈스쿨링에 대해서는 학교가 집보다 낫다 39.0%, 집과 학교 병행 37.5%, 고려해 보겠다 19.3%, 집에서 직접 교수 순이었고, 통계적으로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 어머니 직업, 월평균 수입, 주거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무상교육의 범위에 대해서는 그렇다 60.0%, 그저 그렇다 20.5%, 매우 그렇다 순이었고, 배경변인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교에 납부하는 납부금에 대해서는 적당하다 68.1%, 적다 21.4%, 많다 10.5% 순이었고, 통계적으로는 아버지 연령, 월평균 수입, 주거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교육의 만족분야에 대해서는 인성교육 49.2%, 지식관리 18.9%, 학력인증제도 18.9% 순이었고, 통계적으로는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 주거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환경에 대해서는 그렇다 53.8%, 그저 그렇다 33.4%, 그렇지 않다 12.9% 순이었고, 배경변인에 따른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개선해야 할 교육환경에 대해서는 다양한 실습실 50.7%, 냉난방 시설 21.8%, 체격에 맞는 책걸상 11.0%, 실내 체육시설 8.7%, 넓은 운동장 5.5%, 넓은 교실 2.3% 순이었고, 통계적으로는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 월평균 수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급 학생 수에 대한 생각에 대해서는 적당하다 43.6%, 많다 37.1%, 너무 많다 9.5%, 적다 6.9%, 너무 적다 2.7% 순이었고, 통계적으로는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 어머니 직업, 월평균 수입, 주거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적정 학급 학생 수에 대해서는 20명 이상 30명 이하 62.7%, 20명 미만 29.8%, 31명 이상 7.5% 순이었고, 통계적으로는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 주거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과목 수에 대해서는 많다 52.6%, 적당하다 46.0%, 적다 1.4% 순이었고, 통계적으로는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 어머니 직업, 주거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과목의 난이도에 대해서는 적당하다 48.8%, 어렵다 45.7%, 쉽다 5.5% 순이었고, 통계적으로는 아버지 직업, 월평균 수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교육의 이유에 대해서는 공부를 잘했으면 하는 바람 54.9%, 교과내용 보충 30.6%, 학교교육 불신 7.3%, 불안감 7.3% 순이었고, 통계적으로는 아버지 연령,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 아버지 직업, 월평균 수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보면 초등학교 학부모들은 대체로 공교육제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의무교육과 무상교육에 대해서도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다만 학교교육제도에 대해서 개선을 요구하고 있었다. 현재 정책을 입안, 결정하는 단위는 교육인적자원부이지만 학부모들은 그들의 이야기를 현실적으로 들어주길 원하고 있었고, 그들의 요구가 반영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앞으로 정부는 교육제도를 개선해 나가는데 있어서 학부모들의 이야기를 듣고, 반영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통합교육 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태도 단계 연구

        정주한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통합교육은 특수교육 대상학생이 통합학급의 수업시간에 단순히 함께 있는 물리적 통합단계를 넘어서서, 통합학급에서 일반학생과 상호작용하며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회적 통합과 통합학급의 교수-학습 상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교수적 통합의 단계를 지향하고 있다. 표면상으로 고등학교의 통합교육은 물리적인 측면에서 보다 완전통합이 이루어진 듯 보인다. 하지만 사회적 통합과 교수적 통합이라는 실직적 측면에서의 질적 향상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더 이상 선택 사항이 아닌, 법적 테두리 안의 강제력이 있는 제도가 된 통합교육을 위해서, 고등학교 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 제도에 대한 태도 단계의 특성을 밝히고, 통합교육 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태도 단계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보다 타당하고 실효성 있는 교사 연수의 근거를 마련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안양(평촌), 과천, 군포(산본), 시흥 등에 위치한 일반 고등학교 11개 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의 태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317부의 설문지가 연구 자료로 활용되었다. 사용된 설문지의 앞부분은 고등학교 일반교사의 배경 변인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뒷부분은 미국의 Hall et al.(1979)이 개발한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SoCQ)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12.0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합교육 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태도 단계의 특성, 통합교육 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태도 단계의 차이를 분석하기에 앞서 SoCQ의 신뢰도 분석, 태도 단계별 상관관계 분석, 요인분석 등을 우선 실시하였다. 그 후 전체 고등학교 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가 어떤 태도 단계에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SoCQ 하위 태도 단계별로 평균점수를 구하고 전체 프로파일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독립변인에 해당하는 각각의 교사 배경 변인에 따른 하위 태도 단계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M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사로는 어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e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통합교육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태도 단계의 특성은 통합교육을 실행해 보지 않은 교사(Nonuser)의 단계 모형과 통합교육에 미숙한 교사(Inexperienced User)의 단계 모형의 중간 단계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통합교육 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태도 단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연령대, 종교, 교내 특수학급 유무, 연수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교직 경력, 특수교육 과목 이수 유무, 통합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0단계(인식)에서만, 학급 담임 여부에 따라서는 0단계(인식), 4단계(실행결과), 5단계(협력), 6단계(대안)에서, 담임 학년에 따라서는 1단계(정보), 5단계(협력), 6단계(대안)에서, 통합교육 경험에 대한 느낌에 따라서는 1단계(인식), 2단계(정보), 4단계(실행결과), 5단계(협력), 6단계(대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위 결론을 근거로 교사 연수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은 모든 교사가 당면하게 될 업무라는 점을 주지시켜야 한다. 둘째, 행정 및 법규적 내용을 연수 내용에 포함시켜야 한다. 셋째, 교사들이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장애 영역이나 정도 별로 연수 내용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연수 내용에 통합교육 상황에서의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교수적합화에 대한 내용을 포함시켜야 한다. 다섯째, 학년에 따라 학생들에 대한 지도 중점이 바뀐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여섯째, 특수교육 대상학생을 지도하는 교과전담 교사들 역시 의무적인 연수대상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일곱째, 대학 및 대학원에서의 특수교육 관련 과목 이수자의 경우 연수 시 별도로 학급 편성하여 연수 시간 및 내용에 있어서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연수 내용을 특성화하여 필요한 연수를 선택해 들을 수 있게 해야 한다. 아홉째, 통합경험 경험시 부닥뜨려던 문제 상황, 내지 현재 접하고 있는 해결해야 문제들에 대해 교사들간의 충분한 의사소통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열 번째, 통합교육 경험을 긍정적으로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곧 통합교육을 할 때 생기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는 지원서비스 전문가나 기관 등을 이용하는 방법을 연수 내용에 포함시켜야 한다.

      • 남·북한 교육제도에 대한 비교 연구 : 통일 후 교육제도를 중심으로

        윤세정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not only our Koreans' long cherished desire but unavoidable historic task. Since the German reunification, there has been only one partitioned country left in the world. For over the 50 years of the severed communication, the two Koreas have been experiencing the increasing difference in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s. Political and economic parts are very important for our reunification. But the social union for the Korean reunification depends on the task how to overcome the difference of values and life-style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which was caused by the disconnection for over 50 years. That is, It is influenced by whether the two Koreas can regain the national identity and form the south and north community. It is impossible to achieve only by education, of which the functions are to union the society and to change people's consciousness and behavior styles. While the political reunification means the external and formal one, the educational reunification implies the internal and essential one. As you can see, the south and the north have very different educational ideologies, systems, contents, and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unified plan for educational system between the two Koreas, which is much more important and urgent than anything else. First, we must adopt the 1-5-3-3-4 system as the basic school grade system, and the elastic promotion system and the standardized graduation conditions are needed to increase educational responsibility. Second, the preschool education must be divided into the pre-kindergarten and the kindergarten. and they must be included in public education, which is financed by the nation and the community. In addition, Children's school attendance must be on the control of the parents. Third, the year of compulsory education must be 10 years. It must be adjusted up to the middle school in the early 8 years of the reunification, and then turn into the complete no-compensation education. Fourth, in the regard of higher education, we have to develope the industry-related universities such as industrial technology universities, open universities, and other technical colleges. Our reunification will and should be promoted and completed by education. To regain the national identity and to achieve the real national union, we should be sure to make the educational union, as well as the political and economic one. For the educational union, we should propel and activate th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the educational part on the base of the solid preparation for the reunification. And besides, we should find and remove the obstruction factors, and minimize the social disorder in the reunified country as possible. Of course, the progress is very difficult for us, but it will lead the reunified Korea to be the center in the Asia-Pacific area and moreover the power in the world. Therefore the south and the north should try to work together and achieve the satisfactory educational union.

      • 통일 후 교육제도에 관한 연구

        김현실 동아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는 40여년 동안 너무도 다른 이념과 체제에 익숙해져 있을 뿐만 아니라 교류, 이해의 경험도 쌓여 있지 못한 채 여전히 불신의 늪에 빠져 있어 통일이 이루어진다 해도 휠씬 큰 휴우증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남북 현실을 냉철히 인식하여 진정한 민족의 화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일교육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그러므로 통일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교육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통일은 형식적으로는 정치적 통일로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교육을 통한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고 공동체를 형성하지 못하고서는 민족의 화합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은 명약관화한 사실이다. 통일이 성취된다고 하더라도 새로운 통일 한국을 건설할 수 있는 교육제도가 마련되지 않고서는 민족의 동질성도 회복되지 못할 것이며, 정체성도 확립하지 못해 혼란과 갈등만을 야기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통일 전부터 통일에 대비한 교육제도 대책들이 수립되어 신뢰를 다지고 통일의 바탕을 굳건히 하는 한편, 통일 후 혼란과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절실히 요청된다. 그런데, 통일 후 교육에 있어서 간과할 수 없는 점이 있다. 그것은 이질성 극복을 통한 동질성 회복이라는 논리를 최우선시 하는 관점으로부터 다양성, 다원성의 인정을 상위의 기준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우리가 통일을 달성할 앞으로의 시대는 가치관이나 생활방식 등 모든 면에서 다원화, 다양화를 존중하는 시대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상위의 기준 속에는 물론, 이질성을 그대로 인정하는 관용의 논리도 포함되는 것이다. 모든 것을 획일화하고 하나로 통일시키려는 노력은 교육적으로 쓸모 없는 일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본 논문에서 간략하게 사례로 제시한 새 교육제도 모델에 관한 연구가 더욱 발전, 보완하여 이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진척되어야 할 것이다. It has been more than fifty years since the Koreans were separated into two and respectively became familiar with too opposite ideologies and systems. There have been no experiences of exchange and understanding, but only distrust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is reason, their reunification, if any, is expected to be involved with even more serious aftermaths. Based on a thorough review of the expectation, therefore, we have to establish educational policies that can make sure a really significant national reunification between the two parts. Education plays a very critical role in realizing the reunification. Such integration between two separated groups may be accomplished politically, but a true accommodation between two parts of the same origin would never be possible only unless they could stand on one community with national similarity restored through education. Even if the two opposite parts on this peninsular are integrated into the reunified state of Korea, without an educational system fit for the new condition, national similarity and identity would be never restored under confusions and conflicts. Preparing for the upcoming national reunification, we should establish new policies and systems education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which any confusions and conflicts as may follow the reunification are prior prevented. It must be never ignored in the education of post-reunification that views which consider as most important the overcoming of differences and thereon restoration of similarity should be converted into those which set the recognition of variety and plurality as preferred standards, for the future when we reach reunification will have paid respect to the two qualities in all aspects including values and ways of living. At that time, of course, differences themselves may be recognized as a part of toleration under the standards mentioned above. In contrast, any efforts to make everything unified into one would be not permitted any longer from the view of education. Under these expectations, the researcher herein briefly suggested a new model of educational system, which should be complemented and developed through further studies.

      • 구한말 신교육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백상호 전주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1876 Chosun agreed to the "Treaty of Kanghwado" with Japan under the threat of Japanese army. It was the result of the battle caused by that Japanese ship, "Unyangho", which intrude into the territory of Chosun with no information. Japan threatened Chosun to have a conference with itself and Chosun, too weak, couldn't help agreeing to the "Byongjasuho Treaty". From then Japan set about the conquer of Chosun. Hongjang Lee, who worried about the expansion of Japan, wanted to arbitrate between Chosun and America. Once a treaty was formed between both nations, Choun agreed to the treaties with many European powers. The immediate future of Korea is certainly a riddly ; but whatever it is to be, it must be a complete severance from her past. Already has the beginning of the end appeared. For not only is Russia acting magnetically upon her north, but the Japanese have at length "dared", in spite of the "majestic terror" of the manchus, the inaugurate a new system, which, for the sake of the Korean people and civilization, impart the blessings of a just government, and introduce the religion of righteousness and peace. Chosun had to introduce science and industry of the West so rapidly that it might achieve an autonomous modernization. The best way toward such modernization was to raise those minds who could realize and make the most of the western knowledges. Okgyun Kim, Younghyo Park and other intellects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modern education system for the national enlightenment. Kojong, considering the situation like the above, proclaimed an edit for education in 1895. By the edict everyone had to enter an elementary school and was able to get a higher education. Since then a modern education system was provided in Chosun. I will study the process in which that education system was established.

      • A Comparative Study on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s in Cambodia and Korea

        AKASY, LACH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Cambodia's educational environment is generally poor, and the human resources of education are evaluated at a level of concern. Due to the civil war, which lasted for 30 years, the education system was demolished. Therefore, a top priority is promoting a stable and systematic teacher training system to secure human resources in the education sector. Recently the Cambodian government has set up policie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is improving the system. However, to what extent Cambodia's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has improved remains a question, so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problems and degree of improvement to examine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in Cambodia, point out its limits and problems, overview the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in Korea, and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Cambodia by comparing the two countries' systems. This study'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current state, and the limits and problems of Cambodia's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2. What are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e of the current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in Korea? 3. Which implications does the Korean system give for Cambodia's future reform of the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In this study, the system of Cambodia was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the system of Korea was review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temporary implications were derived after conducting a comparative study using the 'comparative study method in education' and 'policy borrowing framework;’ last, the final implications were derived after surveying to confirm the perceptions of significant actors of the temporary implications. The comparison focu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selection into training (attracting competent candidates and selecting the most suitable candidates), progress through training (curriculum),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supporting beginning teachers,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two countries had the same type of initial training, a closed training system, and their systems had developed similarly. Through gradual development, Cambodia has progressed to a step that resembles Korea's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during the 1980s. At this stage, the training institutions started to be promoted to 4-year universities; there was a tighter entrance to the institutions, but the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systems remained loose, and the demand for teachers was relatively high. Despite making significant development in recent years, Cambodia's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is still subject to limitations. After the comparison, the following limitations and problems of Cambodia's primary school training system were found: 1. The PTTC (2-year institution) has difficulty implementing the new curriculum due to time shortages and declining learning outcomes. 2. The curriculum has little flexibility and diverse subjects and does not have liberal arts and intensive courses. 3. Cambodia emphasizes more scholastic and teaching abilities than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As a result, teachers' teaching profession aptitude and personality are not considered in the admission screening,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processes. 4. Cambodia has a loose graduation examination and recruitment, making becoming a teacher uncompetitive, which leads to low teacher quality. 5. Supporting beginning teachers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have limited effectivenes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 conclusion was made as follows. Cambodia can learn from Korea to promote competition rates and emphasize outcomes rather than inputs to promote evidence-based improvement. Cambodia is focusing on tight admission while leaving the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loose, making improving the quality of training less likely to be accurate. With the weak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systems, the teacher candidates see no need to work hard on developing their capacity, as the chance of employment is secured,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do not have to work hard to produce quality teachers, and they do not have an evidence-base for their improvement. Firs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teaching force, Cambodia needs to ensure that the process of becoming a primary school teacher must be competitive for teacher candidates and training institutions. Therefore, the certification (gradation exam) and recruitment (probationary teacher evaluation) must be stricter to ensure that teacher candidates work hard for the teaching positions and the training institutions work harder to produce quality teachers. To promote competition rates, Cambodia must maintain the attractiveness of the teaching profession. Second, by focusing on outcomes—how teacher candidates can pass the strict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tests—training institutions can make practical improvements in their training programs. By supporting beginning teachers in the probation and recruitment tests, training institutions can strengthen their connections with unit schools and obtain evidence-base for their improvement, as they know what is needed in the schools and what their teacher candidates lack. Based on the results and conclusion, implications for future improvement of Cambodia's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and subsequent studies were derived as follows: 1. Cambodia should prepare a document evaluation and an interview for admission to ensure the candidates have appropriate personalities and aptitude for the teaching profession. 2. The curriculum should have liberal arts courses, intensive courses, elective subjects, and volunteer activities. 3.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tests must be strict and comprehensively evaluate teacher candidates' teaching ability, philosophy, knowledge, personality, and aptitude appropriate for teaching. 4. There should be a regular support program and training for beginning teachers to ensure they adapt well to the school field. 5. For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frequent follow-ups,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unit schools, and more productive and effective Thursday technical meetings are necessary. 6. There should be more in-depth studies on improving student teachers' learning achievement, how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reforms can affect the whole training system, and ICT training for schoolteachers. 캄보디아의 교육환경은 전반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으며 특히 교육 인적자원 부분은 우려되는 수준으로 평가되는 실정이다. 30년간 지속된 내전은 더욱 이러한 상황을 악화시킨 원인으로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지적과 함께 교육인적자원 확보를 위한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교원양성 체계를 추진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최근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캄보디아 정부는 정책을 세웠고 제도를 개선하고 있는데 그 새로운 정책과 제도에 관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으로 이 주제에 중점을 두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연구는 캄보디아 초등교사 야성 및 재교육 제도의 한계점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한국 초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의 발전과정 및 현황을 고찰한 후 양국의 제도를 비교하여 캄보디아 초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 개선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캄보디아의 초등교사 야성 및 재교육 제도의 역사적 특성, 현황, 한계와 문제점은 무엇인가? 2. 현재 한국 초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의 역사적 특성과 현황은 어떠한가? 3. 한국의 제도가 캄보디아의 초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의 향후 개선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가? 연구 방법에 있어서, 캄보디아의 초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는 문헌 탐구와 면담을 통해 분석되었고, 한국의 제도는 문헌 탐구를 통해 검토되었다. 연구자는 ‘비교교육방법(comparative study method in education)’을 이용하여 비교연구를 실시한 후 1차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마직막으로 1차 시사점에 대한 교육구성원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거쳐 최종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연구의 비교 대상은 교사양성기관 입학(유능한 학생 유치 및 가장 적절한 후보생 선발), 교사양성과정(교육과정), 교사자격 및 임용 제도, 신임교사 지원, 재교육 제도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캄보디아와 한국은 같은 유형의 초등교사 양성제도(폐쇠적인 양성제도)를 가지고 있으며, 양국의 초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는 비슷하게 발전해왔다. 점진적인 발전을 통해 캄보디아는 1980년대 한국의 초등교사 양성 제도와 비슷한 단계로 발전하였다. 이 단계에서 양성기관들은 4년제 대학으로 승격되기 시작했는데, 입학제도는 엄격해졌지만 교사자격과 임용제도는 느슨했고, 상대적으로 교사 수요가 높았다. 최근 몇 년 동안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볼구하고, 캄보디아의 초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한국의 제도와 비교한 후 캄보디아 초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제도는 다음과 같은 한계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PTTC(2년제 양성기관)는 시간 부족과 예비교사의 학습성과 저하로 인해 새로운 교육과정을 시행하는 데 어려움을 격고 있다. 둘째, 교육과정은 유연성이 부족하고 과목이 다양하지 않으며, 교양과정과 심화과정이 없다. 셋째, 캄보디아는 교직 적성과 인성보다 교수능력과 수학능력을 강조한다. 그 결과, 입학제도, 자격제도, 임용제도에서 교직 적성 및 인성이 고려되지 않는다. 넷째, 캄보디아는 교사자격 및 임용제도가 는슨해 교사가 되기에는 경쟁률이 낮아 교사의 자질 문제가 야기된다. 다섯째, 신임교사 지원과 재교육제도는 효과가 제한적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캄보디아가 한국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은 경쟁률을 높이는 것과 근거 기반으로 한 개선(evidence-based improvement)을 촉진하기 위해 투입(input)만 집중하기보다 성과(outcome)를 강조하는 것이다. 캄보디아는 엄격한 입학제도에 집중하고 교사자격 및 임용을 느슨하게 하기 때문에 양성과정의 질을 향상하는 데 정확하고 효과적이지 못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자격제도 및 임용제도가 취약해 예비교사는 취업기회가 확보되기 때문에 노력을 안 하고, 교사 양성기관들은 양질 교사를 양성하는 데 노력하지 않는다. 그리고 교사 양성기관들은 예비교사의 임용에 대한 관심이 낮기 때문에 학교 현장과의 연계성이 낮아 양성과정 향상을 위한 근거기반(evidence base)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 첫쩨. 교사의 질을 높이기 위해 캄보디아는 초등교사가 되는 과정에 경쟁률을 높여 예비교사와 양성기관이 노력하게 해야 된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이 임용되기 위해 노력하고 양성기관들이 양질의 교사를 배출히기 위해 노력하도록 교사자격시험(졸업시험) 및 임용(수습교사 평가)은 엄격해져야 한다. 아울러, 경쟁률을 안정적으로 높이기 위해 캄보디아는 교직의 매력성을 계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둘째, 교사양성기관들은 성과, 즉 예비교사의 임용률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양성과정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교사양성기관들은 수습과정과 임용평가에서 수습교사를 지원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무엇이 필요한지, 예비교사가 무엇이 부족한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단위학교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개선 근거 기반(evidence base)을 확보할 수 있다. 연구 결과와 결론을 바탕으로, 캄보디아의 초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의 향후 개선과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캄보디아는 후보생들이 교직에 적합한 인성과 적성을 갖추도록 서류평가와 입학 면접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캄보디아는 초등교사양성 교육과정을 향상하기 위해 교육과정에 교양과정, 심화과정, 선택과목을 설계하며 봉사활동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격시험(졸업시험)과 임용평가(수습교사 평가)는 예비교사의 교수능력, 교직에 대한 철학과 지식, 교직에 적합한 적성과 인성을 엄정하고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신임교사들이 학교 현장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지원 프로그램과 연수가 있어야 한다. 다섯째, 재교육제도에 있어서는 잦은 후속조치, 단위학교에서의 교사학습 공동체, 보다 생산적이고 효과적인 목요일 기술미팅이 필요하다. 여섯째, 예비교사의 학습성취도 향상, 교사자격 및 임용 제도 개혁이 전체 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교사를 위한 ICT 연수 등에 대한 심도적인 연구들이 실시될 필요가 있다.

      • 한국과 중국의 교육·학위제도 비교조사 연구

        여희구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에 접어들어 세계 각국의 치열한 경쟁구도 속에서 중국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하였고 오늘 날 세계 속 중국의 지위는 어떤 선진국과 비견해보아도 뒤쳐지지 않을 정도로 정치․경제․사회 각 방면에서 그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발전은 학문분야에도 영향을 끼쳐서 1992년 8월 24일 한․중 수교 이후 중국의 한국 유학생 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비단 한국만이 아닌 전 세계 각국에서 중국의 학문을 익히기 위해 중국으로 유학을 떠나고 있다. 한국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통계에 따르면 2009년 중국에서 유학 중인 한국인 유학생(고등교육 이상)은 총 66,806명으로 미국에 이어서 두 번째로 많은 한국인이 유학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2008년 한국인 중국유학생 수(57,504명)와 비교해 볼 때 약 9,300여명이나 증가한 것으로 전체 외국유학생 중 중국유학생의 비율은 2007년 19.4%에서 불과 1년 후인 2008년에는 26.5%로서 무려 7%나 증가하였고, 2009년에는 27.5%로서 전체 유학국가 1위인 미국(28.4%)과도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중국으로 유학을 가는 학생들이 증가하고 그들이 중국의 학사․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함에 따라 이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 역시 증가하였다. 중국 학위는 진학과 취업 시 중시되는 자료이며 이는 반드시 공정한 인증절차를 거쳐 그 진위여부를 검증받아야만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 학위의 진위성에 대해서는 쉽게 간과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가짜 학위의 양산과 관련된 사회적인 문제들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다시 말해 사람들은 중국에서 취득한 학위를 중시하고 우대하지만 이러한 중국의 학위들이 ‘과연 정당한 수단과 절차를 통하여 취득한 것인가?’ 라는 문제에 있어서는 확실한 인증절차의 미비와 사람들의 관심 부족으로 인하여 부적격학위가 마치 정식학위인 양 둔갑하기도 하며 이에 대한 연구는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교육제도 및 학위제도의 구조와 체계, 그리고 그 안에 내재된 특징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아울러 우리나라와의 비교고찰을 시도할 것이다. 특히, 중국의 유학생 교육제도 및 학위취득과정, 한국과 중국의 학위인증절차 등을 심층 분석하고 그 과정에 내재된 문제점을 파악하여, 끊임없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중국에서 취득한 학위의 진위 여부를 제대로 인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进入21世纪以来,在世界各国的激烈竞争中,中国经济取得了突飞猛进的发展,中国的国际地位与世界发达国家平起平坐,在政治、经济和社会等各领域崭露头角。 中国的发展给学问领域带来了积极影响。1992年8月24日韩中建交以来,在华韩国留学生剧增,除了韩国以外,世界各国的学生也为了学习中国的学问而选择赴华留学。根据韩国教育科学技术部的有关统计数据显示,2009年,在华韩国留学生有66806名,继美国之后,位居世界第二。该数字跟2008年的留学生数量(57504名)相比,增加了约9300名,赴华韩国留学生在留学生总数中的比重从2007年的19.4%增长至2008年的26.5%,仅仅在一年的时间里,竟增长了7%,其数字到2009年高达27.5%,与留学国家排名位居榜首的美国差距不大。 随着赴华留学生数量的增加,他们取得中国的本科、硕士、博士学位,这引起人们对此的高度关注。中国的学位是在升学和就业时非常重要的资料,它只有经过公正的认证核查程序,并得到验证,其价值才能得到认可。 然而,严重的问题在于人们往往忽视学位的真伪,导致假学位证和有关社会问题的出现。换而言之,虽然人们重视在中国取得的学位,并给予优惠待遇,但在保证学位的真实性方面 ,因认证程序规范不健全和人们对此漠不关心,导致“假”学位往往摇身一变成为“真”学位,因此进行有关研究是当务之急。 在本论文中,我主要要全面分析中国的教育制度、学位制度的结构和体制及其特征,并与韩国的情况进行比较,观察研究。尤其是,我要对中国的留学生教育制度、取得学位的途径以及韩国和中国的学位认证流程差距等进行深入分析,并抓住问题。我希望这篇论文可以成为能够正确辨别中国学位的真假的良好开端。

      • 통일이후 교육제도 통합에 관한 연구

        윤희광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통일에 대비하여 정치체제와 맞물려 이질화되어 있는 남북한의 교육체제를 비교ㆍ분석하여 동질성을 확보하면서 교육제도상의 통합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통일의 방식에 있어 ‘한민족 공동체 건설을 위한 3단계 통일방안’에 나타난 남북협상에 의한 통일을 전제로 하였으며, 교육제도가 교육이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교육이념을 연구내용에 포함하고 남북한 기본교육구조(학제), 초ㆍ중등 교육제도에 한정되는 기본 교육제도만을 연구하였다. 먼저, 남북한 교육제도를 비교ㆍ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제도의 기본구조(학제)는 남한과 북한이 공히 단선형으로 유사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기본학제는 남한은 초등 6년, 중등 6년, 고등 4년(6-3-3-4제)인데 비하여, 북한은 초등 4년, 중등 6년, 고등 4년(4-6-4제)으로 남한보다 2년이 짧은 초등교육 연한을 가지고 있었다. 남한의 학제는 <그림 Ⅲ-1>에 북한의 학제는 <그림 Ⅲ-2>로 나타냈다. 둘째, 남북한의 교육이념과 목적을 보면 남한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자아실현에 목적을 두고 있는데 반하여, 북한은 공산주의적 혁명인재 양성에 중점을 두고 투철한 혁명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남북한 교육이념의 근본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그것은 지덕체를 겸비한 전인적 인간의 육성, 기초적 생활규범, 도덕적 품성의 중시, 교육목적으로서 전통적 도덕규범인 효도, 신의, 우애, 공경 등의 덕목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비교, 분석하여 <표 Ⅲ-2>로 나타냈다. 셋째, 남북한의 초ㆍ중등교육에서 의무교육제도는 모두 무상 의무교육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는 유사하다. 하지만 의무교육 단계와 연한에 있어서 북한은 남한 보다 매우 급진적이라 할 수 있다. 남한은 9년제 의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데 북한은 4차례에 걸쳐 의무교육을 연장하여 현재 중등학교 교육 단계뿐만 아니라 취학전 교육단계까지 범위를 넓혀 11년 의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취학의무에 대해서는 남한이 강제교육의 성격을 띠고 있는데 비해 북한은 의무교육 대상자들을 빠짐없이 교육시킨다고만 규정하고 있다. 이상의 남북한 교육제도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바탕으로 통일 후 남북한 교육제도의 통합방향은 다음과 같다. 가. 교육제도 기본구조의 통합 (1) 기본학제는 (유치원)-5-3-4-(4)제를 표준형으로 하여 개편하되, 지역적인 특성과 여건에 따라 연한의 차이를 융통성 있게 운영하도록 한다. (2) 중등교육제도는 적성에 따른 진로확립에 중점을 두도록 한다. 중등교육기간은 전기 3년과 후기 4년으로 구분하여 진로탐색 및 진로준비가 철저히 이루어지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3) 의무교육 연한은 중학교 과정까지 8년을 설정하고 이후 내실을 다진 다음 후기중등교육단계 전반과정에서 진로탐색 기간인 2년을 연장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판단된다. (4) 교육의 책무성을 제고하기 위해 탄력적인 진급제도를 두며, 졸업 기준도 표준화되어야 한다. (5) 학교명칭을 개칭하도록 하고 특히 북한의 개인 우상화를 위한 학교 명칭은 민족통합을 위해 개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의 각급 학교 명칭 또한 혼란을 시정하기 위해서 초등학교와 초급중학교, 고급중학교의 명칭을 긍정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나. 교육이념의 통합 교육이념의 방향은 남북한이 공히 추구하는 교육의 본질적이고 근본적인 가치인 인간의 존엄성, 도덕적인 품성, 개성의 존중 등의 보편적인 가치에 기반해야 할 것을 함의(含意) 한다. (1) 민주주의 이념이 추구하는 인간의 존엄성, 도덕적인 품성, 개성의 존중 등의 보편적인 가치에 기반해야 한다. (2) 민족의 전통적인 문화와 생활 공동체를 유지 발전시키는 민족공동체 의식을 함양한다. (3) 남북한 상호간의 이해와 협력을 도모하며, 나아가 인류공영의 이상실현에 이바지하도록 한다. 다. 초ㆍ중등 교육제도의 통합 (1) 의무교육 연한은 10년간으로 후기중등교육단계 중반까지 연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통일 초반기에는 전기중등단계(8년)까지만 실시하면서 내실을 다진 후 연장하도록 한다. (2) 1단계 8년 의무교육이 정착된 후, 2단계로 10년간의 의무교육을 실시하도록 한다. 선진국 여러 나라들이 16세까지 의무교육을 제공하는 현실과 통일이후의 재정의 한계 등을 감안할 때, 2단계 의무교육은 16세가 되는 후기중등단계 2년까지만 실시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3) 10년 의무교육은 지역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우선 순위를 정하여 중점 추진하도록 하다. 1차 농ㆍ어촌ㆍ벽지지역부터 시작하고, 통일 후 산업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기능인력을 양성하는 차원에서 직업계에서 시작되어 종합계, 예ㆍ체능계, 일반계 학교로 점차 확대하도록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searching for the method to unite the two educational system, preparing for the Unified Korea, keeping similarit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ystem of compulsory educ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which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I adapted the South Korean Unification Project "the Three Step for Unity of Han People" which is based on unity of society premised on the agreement of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method of the unification. The limit of this study includes the educational philosophy, which is related with the educational system, the school year system, the pre-school system, and finally the elementaryㆍsecondary educational system. To begin with, the result of analysis of educational systems in South and North Korea is like this: First, school year systems are both single lines. But South Korea has 6-3-3-4 system in elementary school, while North Korea has 4-6-4 system which is 2 years shorter. Second, although South and North Korea have the similar educational philosophy: To raise whole people who have knowledge, virtue, health, South Korea aims for self-realization, but North Korea aims for communistic revolutional people Third, pre-school educational system: South Korea has placed emphasis on it by degrees since 1980's while North Korea has emphasized it including compulsory education since 1970's to gain women labor and to realize communism. Fourth,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both Korea intend to apply the fee-free compulsory education. But South Korea apply it for 9 years while North Korea 11 years. I suggest the following solutions to unite the two educational systems in the unified Korea according to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given above: First, the school year system can be formally made (kindergarten)-5-3-4-(4) and it can b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ocal conditions and situations. Second, we should make educational philosophy aim at common value : dignity of human, moral virtue, respect for the individual. Third, pre-school education should consist of education in nursing institutes and kindergartens aiming at sound growing of body and mind. It should be public and in the first state, nation (or society) and the individual who gains profit must pay for it together. Fourth, the period of compulsory education can be 10 years(7∼16 years old), at the beginning of unification, the period can be 8 years (7∼14 years old) to make sure and lengthen the period. The unification does not simply mean making two divided nations into one nation. If we faced unification suddenly, with deep psychological differences and complications like nowadays, we would meet serious troubles in the political and economical aspects. So,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s all must understand each other, try to be in harmony, should prepare for one society. Education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ituation. To realize educational unity, the politic tends should be removed and educational unity should be realized little by little, ccording to the appropriate steps, from non-politic to sensitive field, and finally recovering the similarities and independence of our people. And to motivate these studies, we need to activate trades and communications of South and North Korea, compliment the system for examining the North Korean education. We need to train the experts, make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and experts, supply them to reeducate post-unified North Koreans, and finally we should make sure that we can easily contact with the North Korean educational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