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교육연극의 효과성 분석 :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태도 변화를 중심으로

        이준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부정적인 태도는 심각하며 보편적인 현상으로 이를 해결하는 것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부정적인 태도는 장애아동에게 마음의 상처를 줄 수 있고 비장애아동의 자아와 가치관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또한 모든 이들이 동등한 대우를 받아야 할 평등한 민주사회의 관점에서도 차별과 소외를 야기하는 비장애아동의 부정적인 태도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교육연극’이 참여자들의 상호작용과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경험적 특성이 있기 때문에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태도 개선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부정적인 태도 개선을 위한 교육연극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장애아동의 태도 변인에 대해 밝혀 통합학급 운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연구방법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는 장애아동 1명과 비장애아동 19명이 참여하였다. 1차 프로그램은 연극놀이, 2차 프로그램은 DIE로 구성하였다. 연구자는 놀이시간 관찰, 비장애아동의 자기태도서술, 비장애아동과의 면담으로 질적 자료수집 경로를 다원화하여 연구 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놀이시간 관찰, 자기태도서술, 면담의 결과가 일치하여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였다. 프로그램 실행 전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태도는 부정적이었다. 1차 프로그램인 연극놀이를 실행한 후 비장애아동의 인지적·감정적 태도가 개선되거나 변화가 없었고 일부는 악화되기도 하였으며, 행동적 태도는 유의미한 개선이 없었다. 2차 프로그램인 DIE 실행 후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인지적·감정적·행동적 태도의 개선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태도변인을 추론하면 다음과 같다.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인지적 태도 또는 감정적 태도 변화가 선행되어야 행동적 태도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반성적 사고를 유도하여 장애아동에 대해 인지적으로 이해하고 감정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경험이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태도 개선에 효과적이다. 교육연극은 이러한 경험 제공에 적합하며 특히 DIE가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반해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유도하여 장애아동을 재평가하거나 장애아동에게 친밀감을 느끼는 의미 구성은 비장애아동의 행동적 태도 변화에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 교육연극을 통한 희곡지도 방법 연구

        나윤정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교 현장에서의 희곡수업은 대체로 교사들의 수업 부담, 진도에 대한 강박감, 입시 위주의 교육 등으로 희곡을 희곡답게 가르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희곡 수업이 소설이나 다른 문학 수업과 별로 다른 것이 없다는 것이 더 큰 문제다. 소설 수업을 할 때처럼 그저 희곡의 특성, 인물의 성격이나 갈등구조, 사건, 배경 등을 파악하고 주제를 이야기하는 정도로 수업을 마친다. 희곡은 다른 장르와는 다른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수성은 이중성이라는 말과 동일 개념으로 희곡은 '문학성'과 '연극성'의 속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는 뜻이다. 이 말은 하나의 희곡 작품 속에는 이 두 가지 성격이 상호 침투되어 있기 때문에 그 어느 것을 무시하고는 작품 전체의 통일성이 제대로 파악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한편의 희곡을 읽는다는 것은 그 속에서 문학성과 함께 연극성을 탐구하는 일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희곡을 가르치기 위한 방법으로 '교육연극'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극은 공연을 전제로 해 최종목표를 공연에 두는 것에 반해 교육연극은 공연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공연뿐 아니라 공연 후의 평가나 감상 등 제반활동을 모두 포함해 학생들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더욱 높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제 Ⅰ장에서는 연구목적과 선행연구를 검토한 뒤 연구 대상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수업에서 제시하는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연극을 교육적으로 도입하는 것을 교육연극의 정의로 제시하고, 다양한 교육연극의 유형 중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D.I.E(Drama-In-Education), T.I.E(Theater-In-Education), Creative Drama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기존에 연구자들이 제시한 교육연극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간략하게 제시한 후 교육연극의 방법으로 '공연 전 단계(pre-work)-공연 단계(presentation)-공연 후 단계(post-work)'를 제안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교육연극의 목표와 유의점을 제시한 후 함세덕의 <동승>을 텍스트로 해 실제 수업에 교육연극 방법을 적용시켜 보았다. 공연 전 단계에서는 희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수업취지를 설명한 후 희곡에 대한 이해를 위해 5모둠으로 나누어 각각 장면, 인물의 성격, 갈등, 희곡의 특성과 주제, 다른 장르와의 차이점을 조사해 발표하도록 함으로써 희곡과 연극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공연 단계에서는 모둠별로 공연할 부분을 나눈 뒤, 대본을 함께 읽고, 무대 장치와 소품을 준비하고, 무대연습 후 공연에 이르게 하였다. 여기서 교사는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표현을 중시하도록 하였다. 공연 후 단계에서는 연극한 소감, 다른 모둠의 연극을 본 소감을 이야기하고, 결말을 다시 맺거나, 등장인물에게 편지쓰기 활동을 함으로써 이해나 비평가적 안목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교육연극을 활용한 희곡수업의 성과로 표현력, 집중력, 언어에 대한 이해력, 자율적 활동을 위한 능력과 습관 형성, 또래집단 간의 상호작용 가능, 토론능력, 문어 개발 등을 인용을 통해 예측해보았다. 본고에서는 교육연극을 통한 희곡지도 방법을 연구하면서 실제로 수업에 적용하지 못해 성과를 예측해보는 단계에 그친 한계점이 있어 아쉬움으로 남는다. 따라서 다음 연구에서 다시 검토하고 보완해 제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Generally, conducting a drama class is very difficult for teachers in a school.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at : teachers' burden on many students, pressure on the progress of classwork, and education mainly focusing on an entrance examination. In addition, a drama class is mot very different from novel or other literature classes. Teachers are just talking about a peculiarity of a drama, characteristics and conflict structures of actors or actresses, events, backgrounds, and a theme. After that, the class is dismissed. A drama has more distinctiveness than any other genres of a literature. It has not only a nature of a literature, but a nature of a play. Both of them in the same way, are very important. If either a nature of a literature or a nature of a play is ruled out in a drama, a drama cannot achieve unity. So to read a drama means to investigate a nature of a literature and a nature of play at the same time. This paper suggests 'education play' in teaching a drama. A play is on the premise of a presentation, and its ultimate object is also a presentation on a stage. But 'education play' includes a variety of activities such as performance by students. It can inspire imagination and initiation of students. First of all, chapter Ⅰ explains a study object and a preceding work a study target and a way of implementing a study. Chapter Ⅱ suggests that 'education play' is introduced to attain learning goals f a drama class. It shows a number of types of 'education play' , especially D.I.E.(Drama-In-Education), T.I.E.(Theater-In-Education), Creative Drama. It also shows effects produced by existing education plays shortly. At last, it proposes 'pre-work-presentation-post-work' as a way of 'education play' Chapter Ⅲ shows goals of 'education play' and matters to be attended to an actual class wits < A little monk > by Ham se-deok, a writer. The pre-work step focuses on general understandings about a drama. A teacher explains an object of the class to his students. He derides students into five groups-scenes, characteristics of actors or actresses, their conflicts, the peculiarity and the theme of the drama, and different special quality from other genres of a literature. Students can easily acquire essential knowledge on a drama and a play by making publick their parts. The presentation step focuses on voluntary and creative expressions. Students reed play-books together, set a stage, prepare for properties, conduct a rehearsal on a stage and present. Post-work focuses on having an eye for a critic. Students are freely talking about their impression on the play presented by themselves and other groups. They reorganize an ending of the play and even write letters to actors or actresses. Chapter Ⅳ predicts positive results of a drama class through 'education play' : bounteous expressions, intense concentration, full understandings about language, autonomous activities, reciprocal actions of an age group, discussion skills, development off literary language. This paper shows a way of teaching a drama through 'education play' . However, it has limits that it just predicts the results. So next paper will come to examine throughly and supplement.

      • 정철의 <속미인곡> 교육 방안 연구 - 교육연극을 활용하여 -

        김지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철의 <속미인곡> 교육 방안 연구 - 교육연극을 활용하여 - 요약 고전 문학 작품들을 통해서 우리는 우리의 선조들의 생활과 풍습과 전통적인 사상과 감정을 이해할 수 있다. 또 그것을 통해 오늘날 우리의 삶에서 본받을 만한 훌륭한 밑거름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의 고전문학 작품 지도는 과거의 사상과 체험, 그리고 가치관과 현재의 그 것을 접목시켜 새롭게 적용할 수 있는 그러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문학 교육은 입시 위주의 암기 혹은 주입식 교육으로 이루어져 왔다. 작품 자체를 내면화하기 보다는 그 작품 자체를 학습시키는 데에 큰 목적을 두고 이루어져 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학습 방법은 학습자로 하여금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흥미를 잃어버리게 하는 지루한 수업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참여와 창의력, 그리고 독창성을 개발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도입하여 고전 문학 교육을 제안해보았다. 본고 Ⅱ장에서는 본고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교육연극의 개념과 디-아이-이(D.I.E) 대해 살펴보았다. 또 교육연극을 활용함으로 얻을 수 있는 문학교육적 의의에 대해 생각해보고, 특히나 교육연극이 고전문학 교육에 있어서의 이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D.I.E 기법의 고전문학 교수 학습 적용 방법과 교육연극을 활용한 수업 모형을 도식화 시켜 D.I.E를 활용한 수업 모형을 제시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속미인곡>의 특징과 교육적 의의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속미인곡>이 대화체적 특징과 사랑이라는 인간의 보편적인 정서를 담고 있다는 것이 교육연극을 활용하는데 적절한 작품이라는 것을 살펴보았다. <속미인곡>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정리한 후 Ⅳ장에서 총 3차시 학습으로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속미인곡>이라는 작품을 단순히 받아들이는 수동자적 입장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가 작품을 이해하고, 모둠원이 서로 고민하여 스스로 각색하여 봄으로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이 이루어지게 했다. 교사의 주입식 위주의 고전문학 작품 교육이 아니라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로 이루어지게 한 것이 교육연극을 활용한 <속미인곡> 교육의 큰 의의라고 볼 수 있다. 학습자 위주의 수업을 오래전부터 운운해왔지만 여전히 교실에서는 입시위주의 수업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 한계를 느낀다. 고전작품은 현재의 학습자들에게 거리감이 형성될 수밖에 없는 장르이다. 그만큼 익숙하지 않고, 작품 자체를 이해하기 위한 배경지식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우리의 소중한 고전문학을 가르치는 것을 그만 둘 수도 없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대로 고전문학은 그 자체로서 소중하고 중요한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교육연극 뿐만 아니라 앞으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한 고전문학 학습이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교육현장에서도 불가능하다고만 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위한 새로운 시도가 다방면으로 활발히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 교육연극을 통한 고전소설의 수업 방안 연구-홍계월전을 중심으로

        정수성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문학교육에서 학습자의 능동적인 활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으로 교육연극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7차 교육과정 이후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교육연극은 학습자가 자신의 체험을 스스로 성찰해 보고, 삶의 의미를 재구성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연극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교육과정과 교육연극에 대한 연구들이 교육연극에 대한 지평을 확대했다는 점에서는 의의가 있지만 대부분 선언적 내용에 그치고 있어 한계가 있다. 실제 교육현장에서 '고전소설교육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명확한 대답을 할 수 있는 교사와 학생은 많지 않다. 기존의 문학 교육에서는 고전소설이란 가깝지 않은 먼 교육이라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다. 그리고 효과적인 고전소설 교육이라는 개념은 모호할 뿐더러, 그 범주를 설정하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문학 교육에서 고전소설 교육은 문학작품을 옛 사람들의 이야기와 또 그 시대상을 알려주고 교훈을 알게 해 준다는 점에서 꼭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7차 교육과정에서 문학의 교육목표는 학습자의 문학 감상 능력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나아가 자신의 감정과 정서를 진솔하게 표현하는 능력, 일체의 행위로 정의할 수 있다. 문제는 고전문학교육을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학습자에게 지도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본고의 주요 관심사인 "고전소설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이냐?"라는 질문과도 연결된다. 현장의 교육주체들은 고전소설 교육의 필요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지만 이를 수업에서 실천할 때 어려움을 호소한다. 7차 교육과정에서 교육연극이라는 방법이 언급된 이후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이는 수업모형을 개발할 뿐 필요성을 언급하는 수준에서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장에서 교사와 학습자가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고전소설 교수·학습방안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자 한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극을 대하며 의사소통하고 있는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해, 고전소설 교육에 교육연극기법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학습자의 능동적인 활동이 중요해진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와도 부합하는 것이다.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은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정신을 계승하여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학습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실제'를 내용 체계의 상위 항목으로 설정해 표현과 이해를 통합하는 교육과, 이를 실제 활동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문학 교육의 지향점임을 명시하고 있다. 고전소설 교육에서도 문학교육의 이러한 변화를 받아들여 교육연극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문학의 이해를 돕고 학습자의 능력을 확대시키기 위해 다양한 연극 기법들을 활용해 대본쓰기를 통한 쓰기 능력의 향상으로 학습자의 흥미와 또 수업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등 다양한 것들이 있다. 고전소설 교육에서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하는 방안은 고전에 대한 학습자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 이외에도 상상력 확대를 통한 연극대본쓰기를 통해 쓰기능력 향상이라는 교육적 가치가 있다. 앞으로 교육연극기법을 활용한 고전소설 교육이 지닌 가치를 실제 수업에서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어야 하며 본고의 목적도 여기에 있다. 특히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고, 학습자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모형을 구안하고, 실천으로 옮겨 이를 궁극적으로 문학 능력의 함양으로 이어지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실현할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교육연극의 개념과 의의를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효과적인 고전소설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전문가적인 방법이 아니라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다양하게 표현하는 교육으로 재규정해 보았다. 또 교육과정의 정신을 실현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구안해 실제에 적용해 보았다. 아이들의 참여로 한층 효과적인 연구가 진행될 수 있었다. 앞으로 직접교수법으로 교사만이 주체적으로 되는 수업이 아닌 아이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고전소설교육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한다. 학습자와 교사가 끊임없이 피드백하며 수업을 만들어 가는 역동적인 수업 현장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문학 교육주체가 앞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 교육연극을 활용한 감성중심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최혜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습 현장에서 교육연극을 활용한 감성중심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검증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연극과 감성교육에 관한 문헌연구와 함께 선행 연구 사례의 고찰을 통하여 교육연극을 활용한 감성중심 환경교육의 교수ㆍ학습 모형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을 학습 현장에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그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D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연구 대상으로 정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었다. 환경소양에 대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실험 처치 전,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이 동질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그 후 실험집단에는 교육연극을 활용한 감성중심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은 정규 교육과정에 따른 일반적인 강의식 교육방법으로 환경교육을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의 효과는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환경소양의 향상 정도를 검증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검사 도구는 동일하며,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정량적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ㆍ처리하였다. 또한 연구자가 학생들의 학습 태도를 관찰ㆍ기록하고 수시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포트폴리오를 통해 정성적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학년 교육과정에서 환경관련 내용을 추출ㆍ재구성하여 교육연극을 활용한 감성중심 환경교육을 위한 교수ㆍ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 프로그램을 구안ㆍ적용시킬 수 있었다. 둘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감성중심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감성중심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환경소양에 있어 4개의 환경 목적 수준의 모든 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감성지능이 높은 학생일수록 교육연극을 활용한 감성중심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의 환경소양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론을 종합적으로 볼 때, 교육연극을 활용한 감성중심 환경교육은 초등학교 학교현장에 적용 가능하며, 5학년 학생들의 환경소양 함양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 다양한 환경교육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새로운 교육방법으로서 그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심층적인 연구와 교수ㆍ학습 활동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develops the Emo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at is using the Educational Theatre, applied it to the real scene of elementary school, and verifies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study focuses, especially, on what kind of influence the program have on the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For the stud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Emotion-center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mapping model of the relationship of professor-learning through researching references and case studies about Educational Theatre and Emotional Education. The researcher divided 5th grade 64 Students at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Yeongdeungpo-gu Seoul into two groups, Testing group and Comparative group, and confirmed that the two groups are the same group before the experiment by the pre-test, which is using the test tool about the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Then, the Testing group had the Emotion-centere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using Educational Theatre, and the Comparative group had the regular education process, which is a general lecture about the environment. The effect of the experiment is verified by the post-test result to the two groups measuring the knowledge of the environment. The test tools of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are the same, the quantitative data acquired on the procedure of study is processed and analyzed by the SPSS 12.0 statistic program. The researcher had observed and recorded the students’ attitudes having a conversation several times, and also analyzed the qualitative data through the portfolio.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earcher was able to develop and apply Professor-Learning model for the environment education using the Educational Theatre by abstracting and recreating environment-related contents from the 5th grade curriculum. Secondly, the study has showed that applying the emotion-centered program using the education plays for the environment education certainl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knowledge of the elementary students. Thirdly, the emotion-centere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has influenced evenly on the elements of the environment knowledge divided by the four goal levels of the environment education. Finally, the higher the student’s emotional quotient is, the mor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knowledge the student gets when using the emotion-centere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using the education plays. The consequence of the study as a whole shows that the emotion-centere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using the education plays is a usable method to the elementary schools,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the environment knowledge of 5th grade students. In the time of requiring the diverse environment education methods, this program is worth to try as a new education meth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more on the Professor-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his study.

      • 토론연극을 통한 교육연극 교육과정 연구

        이명아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1970년대 이후부터 국내에서는 교육연극 분야에 대한 관심이 일기 시작했다. 이후로 교육연극의 개념을 소개하고 전파하는 실천사례들이 계속 늘어나 교육연극에 대한 대중적 인식이 확산되었고, 그 프로그램과 형식에 있어서도 매우 다양한 형태로 끊임없이 실험되고 도전되어지고 있다. 한편, 브라질 출신의 연극 연출가 아우구스또 보알(Augusto Boal)의 ‘토론연극(Forum Theatre)’은 1996년 국내에 처음 소개된 이후 보알 연극 메소드를 활용하는 다양한 작업을 통해 일반인에게도 소개되고 있으며, 교육연극의 방법으로도 확산되고 있다. 교육과정을 계획하는 일은 다양한 기준에 대한 요구에 맞추어져야 한다. 그 다양한 기준의 하나는 바로 인간의 드라마적인 성장이다. 인본주의 관점에서 교육내용은 학생의 성장과 자아실현에 도움을 주는 것이어야 하며, 교육내용은 그 자체로서 가치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다운 발달에 기여할 때 빛을 발하는 것이다. 연령에 따른 발달 특성을 고려한 토론연극 수업 설계는 학습자들이 평균적인 발달 과정을 따르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되며 학습자들의 발달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 수 있는 환경으로써 토론연극이 어떠한 기능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지표를 마련해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습자의 드라마 발달단계에 따른 수업요구와 토론연극 과정이 어느 지점에서 일치하는지 밝혀보고 학습자의 연령과 교육과정에 따른 토론연극 수업을 설계 및 실행하였다. 본 연구는 실행된 토론연극 수업사례를 통해 토론연극 기법이 교육과정 목표와 학습목표 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대상별 토론연극 수업이 각각 어떠한 교육적 효용과 한계를 가지는지에 대해 밝히고 있다. 본 논문은 서론, 본론, 결론으로 구성되었으며 본론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절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토론연극과 아동 및 드라마 발달 단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토론연극의 개념과 출현배경에 대해 살펴보고 토론연극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 리차드 코트니(Richard Courtney)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드라마 발달단계와 아동의 발달 단계에 대한 이론 연구를 하여 실험수업의 대상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를 돕도록 하였다. 2절에서는 교육과정별 목표와 대상의 발달 단계에 따른 수업을 설계하여 실행하고 평가하였다. 연구의 실험수업 대상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도덕교과와 연계된 통합교과 수업에서 토론연극 수업을 진행하였다. 5학년 도덕 교과서의 2, 3단원의 내용을 토론연극의 주제로, 문제 상황극 대본은 학습자들이 직접 작성하여 스토리텔링 씨어터 기법으로 발표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연극교과 수업에서 토론연극 수업을 진행하였다. 동화의 등장인물들 간의 갈등을 주제로 하였고 교사가 제공하는 완성된 대본을 가지고 학습자들이 문제 상황극을 발표하였다. 셋째,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방과 후 수업에서 토론연극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교 내 공동체 문제와 역할 갈등을 주제로 하였고, 교사가 문제 상황극의 상황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이 즉흥극 형식으로 발표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 수업을 통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토론연극 수업 과정은 대상자의 드라마 발달단계에 적합한 극적 행위의 모델, 드라마 역할, 드라마 형식을 제공한다. 둘째, 토론연극 수업은 교육과정별 학습목표 성취를 위한 순항적 과정을 제공한다. 셋째, 드라마 발달 단계를 고려한 토론연극의 수업설계와 실행 결과를 통해 학습자들이 평균적인 발달 과정을 따르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으며, 학습자들이 제 발달 단계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토론연극의 기능을 제시한다. 또한 각 실험수업의 특징과 장단점을 비교하여 정리하고 본 연구의 실행과정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토론연극 수업에 대해 제언하였다.

      • 초등 국어교과서 연극 단원 구성을 위한 교육내용 범주와 계열 연구 : 호주 드라마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윤혜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호주 드라마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초등 국어교과서 연극 단원 구성을 위한 교육내용 범주와 계열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의 연극 단원과 관련하여 제시된 성취기준 해설은 ‘극의 원리 이해’와 ‘다른 학습을 위한 도구’이다. 그러나 국어과 연극 단원의 성취기준에는 ‘극의 원리 이해’가 적절하게 마련되지 않았다. 적절한 극의 원리 이해가 없는 상황에서 ‘듣기·말하기’, ‘쓰기’, ‘문학’ 영역 학습을 위한 도구로써 연극 단원의 활동 내용이 마련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연극 단원이 ‘다른 학습을 위한 도구’로써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극의 원리 이해’를 토대로 드라마 활동이 구성되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연극 단원의 교육내용 범주와 계열을 연구하였다. 따라서 극의 원리 이해를 기반으로 한 호주 드라마 교육과정에서 그 근거를 찾고자 한다. 국어교과서 연극 단원 구성을 위해 호주 드라마 교육과정을 연구하여 시사점을 도출했다. 호주 드라마 교육과정에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데는 다음의 이유가 있다. 첫째, 호주는 한국보다 앞선 2015년 국가 중심 교육과정에 ‘드라마’를 도입하였고, 다양한 방면에서 관련 연구가 축적되어 있다. 둘째, 호주의 ‘드라마’ 교육과정의 방향이 인문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통섭과 범교과적인 위계를 갖추고 있다. 셋째, 호주 드라마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현장 안착을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과 노력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호주 드라마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한국의 초등 국어교과서 연극 단원 구성을 위한 교육내용 범주와 계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호주 드라마 교육과정은 5가지 예술 교과 범주 안에서 주제 중심으로 통합하여 운영한다. 다른 예술 교과와 마찬가지로 드라마 교육 활동은 창작과 감상 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11가지 드라마 요소를 기반으로 한다. 드라마 요소를 중심으로 점차 높은 수준의 요소를 성취하는 것으로 계열을 마련한다. 국어과 연극 단원 교육내용의 범주는 호주 드라마 교육과정의 ‘11가지 드라마 형식’을 활용하여 창작과 감상의 층위를 마련하였다. 학교 특성 및 학생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드라마 형식’을 교육내용으로 범주화하였으며, 창작과 감상이 다각적으로 통섭 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였다. 국어과 연극 단원 교육내용의 계열은 호주 드라마 교육과정의 위계를 분석하여 반영하되, 5, 6학년 연극 단원 신설에 따라 3수준으로 체계화하였다. 드라마 요소의 수준과 위계를 구조화하여 학습의 비약과 중복을 피하고, 학습 수준에 적합한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의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배움을 중시하는 인문 소양 교육을 지향한다. 연극교육 역시 학습자의 자기 이해와 타인 이해 나아가 세계 이해를 위한 인문학적 목표에 부합해야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의 연극 단원 신설은 이러한 차원에서 의의가 높다. 이러한 연극 단원 신설의 의의를 교육과정에 잘 실현하기 위해 초등 국어교과서 연극 단원의 교육내용 범주와 계열을 제안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자는 호주 드라마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연구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연극 단원 신설의 의의를 실현할 수 있는 교육내용 범주와 계열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연극 단원이 학습자의 실제적 협력과 실천을 돕고, 표현과 이해가 담긴 소통이 가능하게 되길 바란다.

      • 전래놀이를 활용한 "창의적 연극"만들기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소현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논문요약 전래놀이를 활용한 “창의적 연극”만들기 지도방안 연구 (초등학생 대상으로) 제 7차 교육과정 개정 기본방향은 21세기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에 두며 건전한 인성과 창의성을 함양하는 기초?기본 교육의 충실을 목표로 두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변화로 교육연극이 대두 되었는데, 교육연극은 전인교육이라는 궁극적인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보다 효과적인 매개체로써 연극을 교육현장에 활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연극 활동은 자기 자신의 표현과 협동적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며 그 과정에서 확산적 사고 뿐 아니라 자발적이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창의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연극은 영국에서 그 처음이 시작되었고 우리나라에 그대로 도입되면서 지도방법과 내용이 해외에서 만들어진 그대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의 교육연극 기법과 내용이 아닌 우리나라 전래놀이를 활용하여 “창의적 연극”만들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 현장에서 수용되고 사용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본론, 서론, 결론으로 구성되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창의적 연극놀이와 전래놀이의 개념, 전래놀이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연구하였다. 두 번째 본론에서는 전래놀이를 활용한 “창의적 연극” 만들기 프로그램을 설계, 실행,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안양에 위치한 Y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연극부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한 단일 집단이며 연구기간은 회당 80분씩 10회를 실시하였다. 수업설계는 발달단계에 따른 전래놀이를 선정하고 전래놀이를 활용한 연극 만들기 프로그램으로 설계하였으며 참여자의 변화과정을 관찰일지로 기록하였다. 세 번째 결론에서는 연구의 결과 및 분석으로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에서 보급하고 전경원. 전경남이 연구개발한 K-FCTES 초등 도형 창의성 검사를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로 나누어 검사한 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적용 후 평균치의 변화를 보였으며 유의수준 p<.05으로 분석되어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전래놀이를 활용한 “창의적 연극”만들기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다. 둘째, 전래놀이를 활용한 “창의적 연극”만들기 프로그램 수업과정은 대상자들이 스스로 연극의 주제를 정하고 그에 적절한 전래놀이를 선택하여 자발적으로 연극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제공한다. 셋째. 전래놀이를 활용한 “창의적 연극”만들기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이 민속놀이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한다. 넷째, 전래놀이를 활용한 “창의적 연극”만들기는 학교에서 연극 만들기를 할 수 있도록 지도방안을 제공한다. 따라서 앞으로 전래놀이를 활용한 “창의적 연극”만들기를 적용할 경우 아동의 창의성 신장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아이들이 우리의 전통과 민족성이 담긴 전래놀이를 활용한 “창의적 연극” 만들기를 함으로서 우리 정서를 바탕으로 한 미래형 창의 인재를 육성 및 배출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교육연극을 통한 「토끼전」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류효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improve the research on application of the Educational Drama in existing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Because I thought the extraordinary nature of classical literature was not considered on the research and the research was monotonous. The Education Drama, as it is written, is a drama for an educational purpose. In the Education Drama, the drama is used for an instrument or a method for education. I tried to use sense of distance about a classical novel to apply the Education Drama for classical novel education. And for this, these were covered that a classical novel as the other, making a different version of a classical novel, modernizing of a classical novel through analogical inference, etc. The reason why a classical novel is accepted as the other is learning and teaching are possible when the object is accepted as the other. I tried to use the process of making a different version for educational purpose and it originated from the idea that classical novel's way of existing was different from modern novel's. The educational contents extracted from the process of making a classical novel's different version are understanding(a critical thought through a different version), expression(learning a critical and creative thought and making another different version), way to enjoy literature(an active and positive attitude as a man who enjoys literature) and so on. And also, I searched for a method to modernize a classical novel by using analogical inference. The most specific feature which constitutes analogical inference is similarity and reasoning. There are two types of similarity. One is surface similarity, the other is structure similarity. They are related to classical novel's character, event(story), vocabulary and literary style, background and plot. Based on this, I suggest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pursuing critical, creative and considerable thoughts. It is for achieving the basic education goal to unite intelligence and sensibility. In other words, achieving education for the whole man. There are four steps in the model. They are perceptive activity, definitive activity, executive activity, expansive activity and the activities are based on contemplative faculty aimed at each step. To put this in practice, I considered main story, diversity of character, background, main theme of Tokkijeon(mainly a different version of Tokkijeon) and adapted the model to it. Lastly, I mentioned educational effectiveness gained from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classical novel education in aspect of a critical, creative, considerable 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