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초등학교 교육시설의 복합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

        김형옥 건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시설의 복합화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 그 목적이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교육시설과 운영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하며 이러한 인식은 교사의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평생 교육의 차원에 있어서 교육시설 개방화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하며 이러한 인식은 교사의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교육시설 복합화에 따른 효율적인 교수·학습에 대해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하며 이러한 인식은 교사의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광주시, 의정부시 지역 초등학교중 개교한지 10년 정도 지난 학교 중 20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 중 318명을 임의 표집하였으며 그중 314부를 유효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문항은 교육 시설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평생교육의 차원에서 학교를 개방하는 것에 대한 교사의 인식,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교육시설 복합화 대한 교사의 인식 등 3개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지는 4지선다형이며 총 30 문항으로 설문지의 구성내용은 교육 시설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문제 10문항, 평생교육의 차원에서 학교를 개방하는 것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문제 9문항,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교육시설 복합화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문제 11문항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하권진(2001)의 초등학교 교육시설 배치와 효율적 활용방안과 서아미(1998)의 초등학교 시설을 이용한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및 다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본인이 제작하였으며 연구자가 직접 작성하여 20명의 교사들을 통한 사전검사로 타당도를 검토 받았다. 본 연구의 자료의 처리 방법은 각각의 수집된 설문지는 코딩 작업을 거쳐 SPSS for Windows 10.0을 이용하여 배경 변인별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집단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x^2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유의 수준은 p≤.05 수준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육시설과 운영에 대한 인식 현재 교육시설이 학생의 학습과 생활에 적합한가에 대한 응답은 대체로 잘되어 있다가 51.6%로 나타났고 경력이 높고 부장 교사들은 잘되어 있다고 답한 반면 경력이 낮은 교사들은 잘되어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교육시설이 교수·학습을 포함하여 학교업무에 효율적인가에 대해서는 효율적이지 못하다가 48.4%, 효율적이다가 37.9%로 나타났으며 21년 이상의 경력교사들이 효율적이라고 응답했다. 교육 시설에 교사의 편의·복지시설이 잘되어 있는가에 대한 응답은 잘되어 있지 않다가 52.9%, 매우 부족하다가 22.3%로 응답하여 복지 시설이 잘 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 교육 시설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잘되어 있는가에 대한 응답은 잘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다가 48.7%,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가 42.7%로 나타났다. 교육 시설이 학생과 교사의 움직임에 적합한가에 대한 응답은 적합하지 않은 편이다가 53.5%로 나타나서 학교설계를 할 때 학생의 움직임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교육시설의 운영 관리가 계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하는가에 대한 응답은 계획적인 편이다가 48.7%, 계획적이지 않은 편이다가 40.8%로 나타났으며 교육경력이 낮은 교사보다 교육경력 11년 이상의 교사들이 계획적이라고 응답했으며 교사보다는 부장 교사들이 계획적이라고 답했다. 교육시설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교사, 학부모, 학생의 참여 정도에 대한 응답은 잘 반영되고 있지 않다가 54.8% 잘 반영되고 있는 편이다가 36.0%로 나타났고 경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부장교사일수록 잘 반영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교육시설 외에 공공 복지시설을 학교에 설치하는 것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가 51.3%, 매우 바람직하다가 25.8%로 응답했다. 학교 수익을 위한 민간시설 설치에 대해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가 44.3%, 바람직한 편이다가 33.5%, 전혀 바람직하지 않다가 16.3%로 나타났으며 교육경력이 낮은 교사들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했다. 교육시설의 복합화에 대한 개념을 알고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잘 알지 못한다가 53.8%, 잘 알고 있는 편이다가 34.1%로 나타났으며 교사들보다는 부장 교사들이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2. 평생교육의 차원에 있어서 교육시설 개방화에 대한 인식 평생교육 차원에서 교육시설을 모두 개방하는 것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가 58.6%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가 23.9%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차원에서 교육시설의 일부만 개방하는 것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가 69.7%로 나타났다. 위의 두 설문에 응답한 것으로 보아 교육시설의 개방에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차원에서 외부강사를 초빙하여 주민교육을 실시하는 것에 대한 것에는 바람직한 편이다가 56.9%,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가 23.0%, 매우 바람직하다가 14.1%로 나타났다. 교육시설을 개방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전제 조건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41.7%, 운영비 및 시설의 확보가 40.1%로 나타났는데 남교사들은 운영비 및 시설비의 확보를 중요하다고 보았고 여교사들은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각종 문화활동 공간으로서의 교육시설 개방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가 68.5%,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가 15.6%, 매우 바람직하다가 12.7%로 나타나서 대체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는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구성원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54.8%, 학교정책 및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18.2%, 지속적인 여론 수렴을 위한 통로개발 15.9%, 학운위 등 학부모 조직강화 11.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체적으로 다양한 구성원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에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5년 미만, 5-10년 경력교사, 21년 이상 교사들은 지속적인 여론 수렴을 통한 통로 개발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반면 11-20년 교사들은 학교정책 및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라고 답하고 있다. 그리고 교사들은 지속적인 여론 수렴을 통한 여론 수렴을 통한 통로개발이 중요하다고 응답하고 있고 부장교사들은 학교정책 및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차원에서 개인시설에 위탁하여 교육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63.7%,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가 19.7%로 나타났다. 교육시설을 이용한 평생교육을 발전방향에 대해서는 운영비와 시설의 확보 및 보조 41.1%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 36.0%, 지역사회의 협조 16.2%로 나타나고 있다. 교육시설을 개방하는데 있어서 유지비를 받고 개방하는 것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가 67.8%,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 14.6%, 매우 바람직하다 11.8%로 나타나서 대체로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육시설 복합화에 따른 효율적인 교수·학습에 대한 인식 교육시설을 복합화하여 학생들이 방과후 활동에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 62.7%, 매우 바람직하다 24.8%로 나타나서 다양한 교육시설을 이용한 교육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학생 이동형 교과교실을 설치하는 것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 49.7%,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 24.8%, 매우 바람직하다 20.7%로 나타나서 학생 이동형 교과 교실설치에 긍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시설을 복합화하여 운영을 민간에 위탁하여 교수·학습과 평생교육에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가 61.1%,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 23.6%, 매우 바람직하다 11.8%로 나타나서 교육시설의 운영을 민간에 맡기는 것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특별실의 효율적인 운영에 대해서는 전담 인력의 확충 37.6%, 충분한 예산의 확보 33.1%, 시설의 확충 21.3%로 나타나서 전담인력과 예산확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학교 외부에 있는 공공 시설을 이용하여 교수·학습을 하는 것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 66.9%,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 11.5%, 매우 바람직하다 11.5%로 나타났다. 학교 외부에 있는 개인 시설을 활용하여 교수·학습을 하는 것은 바람직한 편이다 60.5%,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 21.3%, 매우 바람직하다 11.1%로 나타나서 교수·학습을 위해서는 공공시설뿐만 아니라 개인시설도 효율적으로 이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을 위해 복합화를 시도한다며 어떤 시설이 좋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예체능 시설 45.2%, 문화시설 24.5%, 도서관 16.2%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의 운영에 있어서 학생이 선택하여 개인적으로 학습하는 것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 69.1%, 매우 바람직하다 14.3%,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 13.4%로 나타나고 있다. 학습과 학교 생활을 위해서는 필요하나 학생이 정규 교과 시간에 출입하기 어려운 독립된 시설을 설치하는 것에 바람직한 편이다 61.1%,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 17.5% 매우 바람직하다 14.6%로 나타났다. 교육시설의 복합화를 시도하는 것에 대한 것에는 바람직한 편이다 67.5%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 15.0%, 매우 바람직하다 14.0%로 나타났다.

      • 태권도 교육시설 명칭에 따른 교육관 비교 연구

        정환히 한국체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Comparative Exploration on Educational View through the Names of Taekwondo Educational Facilities Jeong, Hwan-hee Graduate school of Physical Educatio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Ahn, Yong-kyu Advising Professor Educational view in Taekwondo education is the values that governs behaviors in educational situations, and is the compound of one’s view on educational goal, contents, and methods for desirable Taekwondo education. Therefore,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discuss what names are appropriate for Taekwondo educational facilities. Particularly, the reason for applying different names for identical facilities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t educational views based on those names accordingly are examined. Another important point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or not there is relativity between the levels of awareness of names of these facilities and educational views or theories that go along with these names. Most Taekwondo instructors use Taekwondojang, gym, club, or academy to indicate Taekwondo educational facilities. Among them, they felt positive about the word ‘gym’, used it the most, and were aware of its essential meaning.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cases where instructors onl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aekwondo, taught Taekwondo as a means to train mind and body, and not put meaning to the name itself. That is, those who used Taekwondojang understood their facility as a place where one trains body and mind, learning basics to high-level techniques, with martial-art aspect to it; there were others who placed no big importance to the name itself, and only focused on faithful teaching of Taekwondo. Hence,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inconsistency between the name selection and their educational view. This means that some Taekwondo instructors are not aware of the importance of name of Taekwondo educational facilities; some think the name does not matter as long as they carry out professional training and teaching, or as long as the trainees find the place safe and fun while they train. In conclusion, the discussion on importance and meaning of names of Taekwondo educational facility is insignificant to most Taekwondo instructors. 국문요약 태권도 교육시설 명칭에 따른 교육관 비교 연구 정 환 히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태권도 교육에서 교육관이란 태권도 교육 상황에서 행위를 지배하는 가치관이라고 할 수 있으며, 태권도를 지도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교육을 위한 태권도의 목표나 내용, 방법에 대한 자신의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주된 연구 목표는 태권도 교육시설의 명칭이 무엇으로 되어야 가장 적합한 표현인가를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태권도 교육시설의 명칭을 각기 다르게 적용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이며 태권도 지도자들이 그 명칭에 따르는 교육관은 어떠한가를 밝혀내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그들은 태권도 교육시설의 명칭에 대한 분명한 인식정도와 명칭에 따르는 교육관이나 지도 이념은 상호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분석해 내는 것은 연구의 주요 관점이다. 대부분의 태권도지도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태권도 교육시설의 명칭은 태권도장, 체육관, 클럽, 아카데미이다. 이 중 대부분의 지도자들은 통념적으로 체육관이라는 용어를 가장 많이 사용해온 것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그대로 적용해왔으며, 태권도장이란 명칭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지도자들은 명칭에 대한 본질적 의미를 인식하고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으로 태권도 교육시설의 명칭에는 의미를 두지 않고 교육의 내용에만 태권도의 특성을 이해하고 심신수련의 의미로써 태권도 교육을 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즉 태권도장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지도자들의 대부분은 태권도의 기본기에서부터 기술훈련에 이르기까지 무도성이 잠재되어 있는 심신수련의 장으로써 이해하고 지도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태권도 교육시설 명칭에는 커다란 의미를 두지 않고 교육 내용에만 태권도를 충실히 지도하면 된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는 지도자들도 있었다. 이에 대한 전체적인 결과는 태권도 교육시설의 명칭과 그들의 교육관이 뚜렷하게 일치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여 지고 있다. 이것은 태권도지도자들이 태권도 교육시설의 명칭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는 않으며, 어떠한 명칭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교육내용만 태권도 전문교육을 행하면 된다는 생각을 하는 지도자가 있는가 하면, 또한 태권도 교육시설의 명칭이 어떠하더라도 관원들이 안전하고 신나게 땀 흘릴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결론적으로 태권도 교육시설의 명칭이 어떠한가에 대한 논의는 지도자들에게 그다지 큰 관심사가 아닌 것으로 생각하며 태권도를 지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시설의 명칭 = 교육관 = 바람직한 태권도 교육의 방향’에 대한 등호관계를 인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의식 = 행위 = 실천’의 등식을 위한 바람직한 태권도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태권도 교육시설에 대한 통일된 견해의 정착과 태권도 관련기관의 태권도지도자를 위한 연수교육의 과정에서 태권도 용어나 명칭에 대한 지식을 갖출 수 있는 학습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태권도 교육시설, 명칭, 교육관, 인식

      • 미래교육 대응 학교공간혁신 활성화 방안 연구 : 경상남도교육청 학교공간혁신사업을 중심으로

        박선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교육에 대응할 수 있는 학교공간혁신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선행 연구 및 문헌을 고찰하였다. 이후 경상남도교육청 학교공간혁신사업 추진 학교 중 2019년 ‘영역단위’ 학교공간혁신사업 추진 학교 1개교와 2020년 ‘학교단위’ 학교공간혁신사업 추진 학교 6개교를 대상으로 학교공간혁신사업의 추진 방향과 관련한 영역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공간혁신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인식 및 요구를 비교‧분석하여 도출한 연구 결과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학교공간혁신사업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인식 제고와 관련하여 첫째, 학교 구성원, 학부모, 지역사회의 다양한 참여와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맞춤형 연수 과정을 개설하여 학교공간혁신사업에 대한 마을교육공동체의 참여 인식을 높여야 한다. 둘째, 교육(소속)기관 및 내부 업무망을 이용한 홍보 및 정보 공유 방식에서 인터넷 및 스마트 환경 기반에 근거한 SNS(유튜브, 카카오톡 등), 포털사이트(다음, 네이버) 등을 통한 홍보로 전환되어야 한다. 셋째, 시·도별 학교공간혁신사업 전용 홈페이지를 구축하여 지역 여건 및 특색, 학생용 콘텐츠 자료, 교수 학습 자료, 지역 인사이트 투어 등과 관련한 지역사회 연계 학교공간혁신사업의 정보 기반을 구축하여야 한다. 2. 교육과정과 연계한 미래학교공간 조성과 관련하여 첫째, 정규 교과 시간 외 소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촉진자 주도로 진행하던 학교공간혁신 프로젝트 수업 방식을 관련 교과목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정규 교육과정에 편성하고 교육 수요자 참여를 활성화하여야 한다. 둘째, 학생들이 학교공간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산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에서 자기주도 학습 자료(콘텐츠)를 연구·개발하여 학습 자료로 지원·보급하여야 한다. 셋째, 시·도별 자율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학교공간혁신 스페이스 프로그램의 적용 기준을 표준화하고, 학교 특색 및 학교 구성원들의 다양한 요구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학교급별, 규모별, 지역별(도심, 농·산어촌, 구도심 등) 요소 등을 고려한 미래형 학교 모델을 다양하게 개발해야 한다. 3. 학교공간혁신 사용자 참여 설계 과정 개선과 관련하여 첫째, 사용자 참여 설계 과정에 학교 구성원 및 학부모, 지역사회의 참여 범위에 대한 기준안을 마련하여 참여가 저조한 학부모 및 지역사회의 참여를 이끌고 활성화하여야 한다. 둘째, 학교공간혁신 사용자 참여 설계 과정에 대한 기본 로드맵 및 사업 추진 표준 매뉴얼을 교육부나 시·도교육청에서 제작·보급하여 단위 학교에서 업무 추진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셋째, 학교공간혁신사업 촉진자의 역량 검증에 대한 자격 기준을 마련하고, 대규모 학교 단위 사전 기획 단계의 촉진자 구성은 건축 전문가, 교육과정 전문가, 행정가 등을 컨소시움 형태로 참여시켜 학교공간혁신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과 검토를 가능하게 하여야 한다. 넷째, 학교공간혁신사업의 사전기획 단계와 설계 단계가 분리되어 있으나, 상호 연계 및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 설계 단계부터 사전기획단을 참여시켜 사전기획 결과물이 설계 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지역사회 연계 학교공간혁신 활성화와 관련하여 첫째, 지역사회 연계 학교공간의 공유 및 개방에 대하여 시설은 학교가 제공하고, 운영·관리는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책무를 명시하여 학교시설복합화 설치·운영에 대한 법률적 근거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둘쨰,『학교복합시설 설치 및 운영·관리에 관한 법률』제6조(학교복합시설의 운영·관리 원칙) 및 제7조(학교복합시설 운영협의회)와 관련한 임의 규정을 강행 규정으로 개정하여 학교가 학교복합시설의 설치·운영으로 학생의 교육과정, 교직원의 업무 부담 등 해당 학교의 정상적인 교육 활동 및 학교 운영에 제한 또는 침해를 받지 않도록 보장하여야 한다. 셋째, 교육공동체와의 공동체 문화 조성 및 공유를 활발하게 하기 위하여 경상남도교육청에서 혁신교육 확대 정책으로 추진 중인 행복교육지구사업 내 마을교육공동체와 연계한 학교시설복합화 정책의 추진이 필요하다.

      • 생활SOC와 연계한 학교시설 복합화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 중심으로

        이광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2001년 서울 금호초등학교 학교복합화시설인 금호교육문화회관을 시작으로 약 19년간 학교 유휴공간에 주차장, 수영장, 체육관, 문화센타, 도서관 등을 복합적으로 설치하여 개방하는 등 학교와 지역사회가 긴밀한 연계성을 맺고 추진되었다. 그러나 2010년을 기점으로 학교시설 BTL 사업의 수요가 대폭 줄면서 그 명맥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학교 현장은 저출산 기조에 따라 소규모 학교 통·폐합 및 유휴교실 활용, 교육공간 재구조화 등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교육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학교 체제와 재구조화를 시도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지역균형발전, 일자리 창출,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2022년까지 생활SOC 사업을 학교시설 복합화와 연계하여 다양한 연령층의 지역주민에게 5분∼15분 도보권 내 교육, 문화,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정책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 개방과 관련하여 학교시설에 대한 시민의 사용권을 확대하려는 지역주민 및 서울특별시의회와 이를 막으려는 학교 사이의 갈등이 발생하는 등 학교 현장은 개방을 둘러싸고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또한 서울특별시의회에서도 학교 복합화 시설을 포함한 학교 수영장 시설을 운영·관리하는데 업무부담과 수익성 등의 어려움을 지적하면서 운영·관리방식의 정책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생활SOC를 학교시설 복합화와 연계하여 확대 추진하기 위해 학교장이 관리하는 기존 학교 복합화 시설을 중심으로 학교 관계자와 지역주민의 인식을 비교하고 학교시설 복합화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생활SOC와 연계한 학교 복합화 시설의 필요성과 복합화로 인한 교육·시설환경 수준의 향상 정도에 대해 학교 관계자보다 지역주민이 더 긍정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학교 관계자가 다소 부정적 인식이 높은 이유로 학생들의 안전사고 우려, 학교업무 과중, 시설의 소유권 및 운영·관리 주체 이원화로 인한 책임소재 불분명 등이 나타났다. 복합화 시설 이용자의 84.8%가 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으며 도보로 20분 이내, 매주 2회 이상, 주당 2∼3시간 정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학생을 위해 교육과정과 연계한 필요 공간으로 학교 관계자와 지역주민 모두 체육스포츠 공간, 학생안전교육 공간, 다양한 경험중심 공간을 요구하고 있으며, 지역주민을 위한 생활SOC 공간으로 국민체육센터, 생활문화 공간, 아동복지시설 등으로 학교 관계자와 지역주민 모두 동일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라 아래와 같은 시사점과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복합화 시설과 밀접한 이해관계자의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복합화 시설을 통해 다양한 교육활동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낙후된 학교시설 환경개선 모범사례를 적극 홍보하여 다른 학교보다 차별화된 교육의 질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대상별, 학교별,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기능을 갖춘 복합화 시설공간을 확충하여야 한다. 학생들을 위해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키울 수 있는 체험중심 학생안전교육 공간, 과학영재정보화 교육 및 메이커 교육을 위한 다양한 경험중심 공간 설치가 요구된다. 또한 지역주민의 수요와 체감도가 높은 생활SOC를 인구구성과 생활환경 등 지역별 생활 인프라 특성에 맞게 다양하게 공급해야 할 것이다. 셋째, 복합화 시설의 교육적 활용도를 높이고 지역주민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설의 운영·관리 측면에서 실제적으로 발생하는 학생 안전문제, 학교 행정실 업무 과중, 권한과 책임 소재 불분명 등 제약요인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먼저 학생 및 시설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물리적 공간 분리와 배치가 필요하다. 복합화 시설 건축계획 단계부터 학생들과 동선이 겹치지 않도록 학생 전용공간과 분리배치 하고 학생 출입과 별도로 지역주민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출입구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방과 후 주로 개방되는 체육관, 돌봄교실, 도서관 등은 개방구역을 설정하여 학생 활동공간과 연결된 통로가 완벽히 분리되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로 학교 업무경감 및 전문성 확보를 위해 복합화 시설 매뉴얼 구축과 직무연수 프로그램 개설이 필요하다. 복합화 기획단계부터 시설 운영관리단계까지 관련 주체 간의 명확한 업무 매뉴얼을 구축한다.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복합화의 이해, 회계 처리 방법, 갈등조정 방법 등 복합화 유형별 성공사례를 공유하고 시설유지관리 분야는 전기·기계·건축 영역별로 교육지원청에 현장지원단을 구성하여 즉각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세 번째로 복합화 시설의 소유권과 운영·관리 주체를 단계적으로 일원화하여 권한과 책임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지역주민이 대부분 이용하는 복합화 시설의 운영·관리권을 지방자치단체장으로 일원화하고 이후 중장기적으로 학교시설은 교육감이 소유하고 복합화 시설은 지방자치단체장이 소유하는 것으로 소유권도 적극적으로 일원화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네 번째로 복합화 시설 관련 기관들이 긴밀하게 연계될 수 있는 통합관리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통합운영지원센터를 자치구에 설치하고 이와 연계한 중앙정부 차원의 학교시설 복합화 지원센터를 설치하여 지역별 생활SOC 분포 현황, 학교시설 현황 등 복합화 정보 수집과 현황을 누적 관리하여 시설 설치부터 사후관리까지 종합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 교육시설관리센터 운영 체제 분석 : 경기도교육청 중심으로

        김영봉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에서 운영 중인 교육시설관리센터의 학교 현장 지원 업무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등 전반적인 운영 체제 실태를 분석하고, 정부의 개정교육과정과 ‘경기미래교육’ 변화와 연계한 다양한 형태의 미래 학습 환경 속에서 학교 교육시설 유지 관리 지원을 위한 업무 영역 재구조화 인식 수준과 개선 방향을 탐색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시설관리센터의 학교 현장 지원 업무에 대한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인식 및 만족도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둘째, 학교 시설 유지 관리 업무가 다양화·복잡화·전문화됨에 따라 교육시설관리센터의 요구되는 중요한 업무 영역은 어떠한 것이 있는가? 셋째, 미래학교의 학습 환경과 연계한 교육시설관리센터의 학교 시설 유지 관리 업무 재구조화 인식 정도와 개선 방향은 어떠한 것이 있는가? 본 연구 문제 분석을 위해 경기도 내 25개 교육지원청의 학교에 근무하는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교육시설관리센터의 운영 체제, 재구조화 인식 정도와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교육시설관리센터에 대한 일선 학교 현장 공무원들의 전반적인 인식과 만족도 수준은 ‘보통 이하’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2020년 모든 교육지원청에 교육시설관리센터를 구축 완료하면서 학교 시설 유지 관리 지원 업무의 양적 확장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학교 현장의 직접적인 수혜자들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질적 업무 영역(즉시성, 적시성, 체계성, 효율성, 전문성, 안전성, 미래교육 연계성 등)의 다양한 업무 영역의 요구는 충족하지 못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조직 운영 영역에 있어서 각종 학교 시설 관리 유지·보수 업무시스템을 도입하여 교육시설관리센터의 체계성과 효율성을 강화 하고자 노력하였으나, ‘보통 이하’ 수준의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시설관리센터의 전반적인 운영 체제를 분석하여 간단한 학교 지원 업무는 지양하고, 체계성·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업무 체제 전환과 운영 방안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시설 환경 영역은 학교 시설 유지 관리 업무 중에서 전문성과 안전성 2가지 분야이며,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학교 현장에서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교육시설관리센터의 전문성과 안전성 보유 및 업무 처리 수준은 ‘보통 이하’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시설 유지 관리 업무의 전문성과 안정성 확보를 위해 ① 시설 전문성 및 안전성 역량 강화 교육 연수 확대 ② 시설 관련 자격 취득 시 인센티브 제공, ③ 전문 자격 및 기술 보유자의 센터 우선 근무제 ④ 시설 관련 전문 위탁기관 교육 연수 등 센터 근무자의 전문성과 안전성 업무 역량 제고가 될 수 있도록 운영 체제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넷째, 사회·교육정책 변화 영역의 연구 결과, ”교육시설관리센터는 정부 개정교육과정과 함께 학생들의 미래교육 활동에 적합한 학습 환경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는 설문에 평균 3.91점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 문제의 미래학교 지원에 적정한 교육시설관리센터의 업무 영역과 재구조화에 대한 필요성이 확인된 결과이다. 따라서, 교육시설관리센터는 향후 미래교육과 연계한 학습 환경 관점에서 업무 영역을 확장이 필요해 보이며, 연계해서 전담 조직 요구 수준과 일선 학교 현장에 상주하는 시설 관리 인력 요구 수준에 대한 정책적 검토도 필요해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교육시설관리센터 3가지 업무 영역과 하위 요인들 간의 문제점과 우선 순위를 파악한 결과, 1순위는 조직 운영 영역 ‘업무 처리 적시성’(학교 시설 관리 지원의 시기 적절성 한계), 2순위는 조직 운영 영역의 ‘효율성’(순회 점검, 소규모 수선, 통합 발주 등 한계), 3순위는 조직 운영 영역 ‘업무 처리 즉시성 순으로 도출되었다. 현재 경기도교육청에서 운영 중인 교육시설관리센터에 있어 가장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업무 분야가 조직 운영 면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현재 교육시설관리센터의 개선이 가장 시급한 조직 운영 영역은 물론, 시설 환경 영역과 연계해서 업무의 양적 팽창 정책 보다 학교에 양질의 업무를 지원할 수 있도록 우선 순위와 중요도 분석 통해 운영 체제 개선이 시급하다. 더하여, 사회·교육정책 변화에 맞춘 미래교육 학습 환경 관점에서 교육시설관리센터의 업무 영역 재구조화 인식 수준에 적합한 개선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

      • 중학교 특수학급의 교육시설 연구 : 서울시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안남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서울시내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중학교 특수학급의 교육 시설 현황을 파악하고, 그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으로 중학교 특수학급의 교실 환경을 조사하여, 중학교 특수학급 교실의 시설·설비 현황과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중학교 특수학급의 환경 및 시설·설비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서울특별시 서부지역내의 8개 중학교의 특수학급 12학급을 직접 방문하여 특수학급 교사와의 면담과 특수학급에 대한 관찰 등의 질적인 연구방법을 부분적으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의 교실 위치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특수학급 교사들이 1층, 특별실 옆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급의 교실 면적은 8개 학교 중 4개교가 일반교실의 1/2크기였다. 셋째, 특수학급 교실의 공간배치는 학습공간만 확보되어 있는 상태였다. 작업 공간이나 놀이 공간, 개별학습 공간이 부족하였다. 넷째, 특수학급의 시설·설비에서 중학교 특수학급은 현재 교육부의 제시기준에 맞추어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확보하고 있는 시설·설비를 주 1회에서 한달 간격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HP등은 사용 빈도가 낮았으며, 약품상자, 사육·재배상자, 어항 등은 제외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수도시설을 갖춘 학교는 매우 적었으며, 타자기, 슬라이드 등은 시대성에 맞지 않았다. 직업·작업용품은 거의 모든 중학교가 갖추고 있지 않았으며 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제기된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관리자는 일반학교에서 특수학급의 위치를 최우선적으로 적합한 환경에 배치하여야 한다는 인식과 의무조항이 필요하다. 둘째, 특수학급의 교실 면적이 일반학급의 크기와 같거나 더 커야 한다는 법령을 학교관리자가 이해하고 준수하여야 한다.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최상의 교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교육행정가를 대상으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특수학급이 설치된 학교의 학교관리자를 대상으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지속적인 책자의 배포 등 특수학급의 교육 시설의 개선을 위한 인식 개선이 시급히 이루어져야겠다. 셋째, 공간배치는 특수교육대상자의 다양한 학습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특수학급 교실의 공간배치는 교실 면적과의 연관성 속에서 파악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특수학급은 보유하고 있는 시설·설비가 많으므로 효율적인 공간배치를 위해서는 교실 면적을 넓게 확보하거나 부속실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중학교 특수학급의 시설·설비안이 초등학교 기준안과 별도로 장기적이고, 계획적으로 짜여져야 하며, 장애유형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sent condition and its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special class in middle school mainly in Western Seoul. The major research problems were as follows: 1) Studying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of the special class in middle school. 2) Studying of the present condition and operation status of the facility and equipment of the special class in middle school. 3) Proposing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and facility and equipment for the special class in middle school. Used qualitative methodology partially by visiting 12 special classes of 8 middle schools in Western Seoul and then having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of the special classes and by observations of those special classes. This proces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lassrooms of special classes were located at various positions. It was shown that most teachers of special classes preferred to the room next to the special room on the first floor. Second, the floor space of a classroom of special class was half of a normal classroom in four out of 8 schools. Third, the space layout of the classroom of special class was only for learning space. The spaces for working, play and individual learning were insufficient. Fourth, the facility and equipment of the special class in middle school were meeting the standard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t was known that the facility and equipment were used between once a week and once a month. The frequency of using OHP was low. It was said that the medicine box, the feeding and cultivation box and the glass fish bowl should be removed. A very few schools had regular tap water system and the typewriters and slide machines were outdated. Almost all schools were not equipped with job/working supplies and they were rarely used.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improvements: First, the school administrator should recognize, and it should be obligatory, that the classroom of special class be located at the most suitable place. Second, the school administrator should understand and observe the law that the classroom floor space of special class be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e normal classroom. The education administrator should be trained in order to provide the best education environment to the students who need special education and the recognition of education facility improvement should be made immediately by means of continuous distribution of pamphlets and other methods. Third, the classroom layout of special class should be made in relation to the classroom space because it should fulfill the various learning needs for the students who need special education. The classroom space of special class should be sufficiently large or an attached room should be provided because lots of facility and equipment are needed to be placed in the classroom of special class. Fourth, the plan for the facility and equipment of special class in middle school should be made with a long term in view separately from that for primary school by taking the types of disability into consideration. 1) The standard for the facility and equipment of special clas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be readjusted and updated in harmony with the current needs and living ages and the different standards should be made for primary school and middle school. 2) The budget should be set up and executed for the regular tap water system. 3) The standard for the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should be made immediately according to the types and extents of disability in the goal and course of education. 4) Methods to lend and borrow the facility and equipment of special class among schools or to reuse them according to the types and extents of disability should be studied and reviewed.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학교 성인학습자의 학습체험 연구

        최행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oncrete learning experiences and its meanings of adult learners at school with lifelong facilities recognized as academic career by applying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It is to examine learning experiences of adult learners who did not benefit from school education and started school study since middle age and to search its lifelong educational meanings. Research problems are what was the life experience and learning motivation of adult learners before entering school with lifelong facilities recognized as academic career, how about learning experiences and which means those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this, it was investigated by their language and searched essential value of learning experience how learning of adult learners would be connected and produces responses and signified. Study participants were adult learners who enroll or graduated from ‘J Middle and High School’ which is a school with lifelong facilities recognized as academic career located in N city, J province. Four male and 10 female adult learners in 50~60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learning experiences appeared in their lives were searched with in-depth interview and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motivation of adult learners from school with lifelong facilities recognized as academic career is study to satisfy their wishes or to solve their feeling of inferiority to academic career. It was appeared that the reasons to stop study appeared through their background of life history were come from social contexts rather than individual contexts such as poverty, value due to sexual discrimination,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 by death etc. Most of adult learners suffered from an inferiority complex to academic career and resentment against learning due to education interruption in the credentialism society. This worked as a motivation to learn continuously and enthusiastically and to enter adult school. Second, learners from adult school sensed psychological, cognitive and relative changes toward themselves through learning experience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at is a school with lifelong facilities recognized as academic career. Learning from adult school as psychological changes is the passage to solve the sense of inferiority against academic career and resentment against learning, and as cognitive changes, adult learners undergo changes such as knowing the joy of study from negative self awareness before entering and changing perspective to see the world etc. As relative changes, school lives of adult learners undergo changes to form educational relationship newly during the process to realize resentment and enthusiasm not to get regular school education. Third, learning experiences of adult learners to bring about these changes do not stop by learning only but certain responses by connecting lives of adults and are process to be signified in their lives through their own introspection. And learning experiences worked as a mechanism that adult learners from school with lifelong facilities recognized as academic career enable valuable educational growth after the middle years of their lives as a medium of lifelong learning.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o suggest clue how learning experience have an effect on their lives and would be appeared by being signified in the practical field of education by examining learning experiences toward adult learners from school with lifelong facilities recognized as academic career from their point of view. And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to expand the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of adult learning by revealing essential value of learning experiences by getting out of fragmentary perspective that the learning motivation of adult learners from school with lifelong facilities recognized as academic career would be to get academic career only. 이 연구는 생애사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학교에서 성인학습자들의 구체적인 학습체험과 그 의미를 탐구한 것이다. 학교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한 중년 이후에 학교 공부를 시작한 성인학습자들의 학습 체험을 학습자의 입장에서 조망해보고 그 평생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문제는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학교에 입학하기 전 성인학습자의 생애경험과 학습 동기는 무엇이고, 학습체험은 어떠하였으며, 그러한 학습체험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 지이다. 이를 통해 성인학습자의 학습이 그들의 삶과 연계되어 어떤 반응을 하게 되고, 어떻게 의미화 되는지를 그들의 언어로 알아보고 학습 체험의 본질적 가치를 찾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J도 N시에 있는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학교인 ‘J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한 성인학습자이다. 이 연구에서는 50~60대 남성 4명과 여성 10명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심층면담과 반 구조화된 설문지로 그들의 삶 속에 출현하는 학습 체험을 탐색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학교 성인학습자들의 학습 동기는 한풀이를 위한 공부이거나 학력에의 열등감 해소이다. 이들의 생애사적 배경을 통해 나타난 학업중단의 원인은 가난, 성차별적 가치관, 부모와의 사별 등 개인적인 맥락보다는 사회적인 맥락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학습자 대부분은 학력주의 사회에서 학업중단으로 인한 배움에 대한 한과 학력에 대한 열등감이 가슴속 깊이 자리하고 있었다. 이것은 오히려 성인학교에 입학하게 하는 동기와 지속적이고 열정적으로 학습하게 하는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성인학교 학습자들은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학교라는 교육의 장에서 학습체험을 통하여 자기 자신에 대한 심리적, 인지적, 관계적 변화를 감지한다. 심리적인 변화로서 성인학교에서의 학습은 배움에 대한 한과 학력에 대한 열등감이 해소되는 통로이며, 인지적 변화로서 성인학습자는 입학하기 전 부정적 자아인식에서 공부에 대한 맛을 알게 되고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지는 등의 변화가 일어난다. 관계적 변화로서 성인학습자의 학교생활은 정규 학교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한과 열망이 실현되고 있는 과정에서 교육적 관계를 새롭게 형성하는 변화가 일어난다. 셋째, 이러한 변화를 가져오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체험은 단지 학습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성인들의 삶과 연계되어 어떤 반응을 하게 되고, 스스로의 성찰을 통하여 자신의 삶 속에서 의미화 되는 과정이었다. 그러면서 학습체험은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학교의 성인학습자가 평생학습이라는 매개체로서 중년기 이후에 가치 있는 교육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기제로 작용하였다. 이 연구는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학교 성인학습자에 대한 학습체험을 그들의 시각으로 들여다봄으로써 실제적인 학습의 장에서 학습체험이 그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의미화가 되어 나타나는지 단서를 제공해 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학교 성인학습자는 단지 학력취득이 학습의 동기일 것이라는 단편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학습체험의 본질적 가치를 드러내어 성인학습의 평생 교육적 의미를 새롭게 확장시켜 주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의미를 지닌다.

      • 신축초등학교 거주후 만족도 분석 연구

        윤진구 건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거주후 평가는 사용자 입장에서 건물의 성능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시설의 문제점 해결과 다른 시설 개선을 위한 피드백 절차에 직접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의 직접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기초적이고 중요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향후 새로운 시설을 기획하는데 밑바탕이 될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설계 계획 지침을 만들 수 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1992년 교육환경 개선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 위하여 예비 단계로 실시된 현대화시범학교 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신축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사용자의 거주후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사용자들의 학교 시설에 대한 의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2년 이후 신축된 서울특별시에 소재하고 있는 3개 초등학교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통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일반적인 편의 시설 사항, 정보화 교육시설, 위생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2) 학급교실, 특별교실, 운동장과 실내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학교시설의 주요 목적이 교육활동 수행이라고 했을 때, 학급교실, 특별교실, 운동장과 실내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높지 않은 것은 앞으로 학교시설 계획시 이 분야에 대한 사용자의 참여를 통한 전문적인 연구와 배려가 더욱 더 요구된다 하겠다. 그리고, 조사 대상의 개인적 특성, 학교특성에 대한 만족도 문항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에 대한 휴게실의 '만족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2) 담임 학년에 대한 교구설치와 수납을 위한 공간의 만족도는 학년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낮아졌다. 3) 교사 연구실의 형태에 대한 휴게실, 교사 연구실의 만족도는 학년별로 교사 연구실이 있을 때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4) 학급교실과 다목적공간의 구성형태에 대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위한 융통성과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다양성의 만족도는 항상 오픈되어 있을 때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5) 학급교실과 다목적공간의 구성형태에 대한 건물내부의 소음 감소와 차단의 만족도는 항상 오픈되어 있을 때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만족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시설 계획을 위하여 다음과 내용을 제안하였다. 1) 실내체육시설을 필수적으로 시설하고, 그 형태는 한 학급이 독립적으로 체육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2) 학급교실과 다목적 공간을 항상 오픈 시키는 것은 융통성과 다양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지만 소음 문제의 해결을 전제로 하여야 한다. 3) 신체 장애아를 위한 시설은 통합교육의 기반 시설이며, 신체발달이 미흡한 초등학교 학생들에게는 필수적인 시설로 신축 단계부터 시설되어야 된다. 4) 학급교실의 면적은 학년의 신체발달 특성과 지역적인 조건에 따른 학생수의 변동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적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학생을 조사 대상에서 제외한 점에서 연구의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수준에 알맞은 조사 방법을 개발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ost-residence evaluation means that building performance is assessed by users after they start to dwell in the building, and that could contribute to turning it into a better space of residence and improving other facilities. Also, it could lay the groundwork for the design of new facilities and provide important experiential information on design guidel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users of newly constructed elementary schools were satisfied with the school buildings, and the school-modernization model case, which had been attempted as part of the 1992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was taken into accou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teachers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hich had newly been built since 1992.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perception of the school facilities, an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1. The teachers investigated expressed high satisfaction with amenities, information facilities and sanitation facilities. 2. They weren't pleased with classrooms, labs, playing ground and indoor physical-education equipment. Given the primary object of school facilities, the fact that classrooms, labs, playing ground and indoor physical-education equipment weren't satisfactory indicated that school facilities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user opinions.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school facilities by personal traits and school characteristics was as follows: 1. Their satisfaction with rest rooms differed with gender. 2. The teachers in charge of upper graders were less pleased with teaching aids and storage space. 3. The teachers in the school outfitted with separate research rooms for individual grades were more satisfied. 4. Regarding whether classrooms and multipurpose spaces were flexible and changeable to keep up with changing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the teachers were more pleased when those spaces were always open. 5. Concerning internal noise and soundproofing in classrooms and multipurpose spaces, the teachers were less satisfied when those spaces remained open.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better facility planning: 1. Indoor physical-education facilities must be installed, where perfect physical-education instruction could be provided. 2. Classrooms and multipurpose spaces should keep open to ensure their flexible use, but soundproofing should be guaranteed. 3. Facilities for physically challenged children are one of the mandatory infrastructures for integrated education, especially for elementary schoolers who are in the beginning stage of physical growth. Every new school should be equipped with such facilities. 4. Classroom size should be flexib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growth and possible change in the number of students that might be caused by geographic condition. As students were not examined in this study,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delve into student satisfaction with school facilities by developing an appropriate instrument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er.

      • 初等學校 敎育施設 配置와 效果的 活用方案 : 전라남도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하권진 湖南大學校 行政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시설·설비의 배치와 활용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육시설·설비의 배치와 활용 방향을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들을 설정하여 추진하였다. 1. 초등학교 교육시설·설비의 배치와 활용 현황은 어떠한가? 2. 초등학교 교육시설·설비의 배치와 활용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3. 초등학교 교육시설·설비의 배치와 활용 방안은 어떻게 설정되어야 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들을 규명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는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구성되었다. 조사연구는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연구자가 작성한 초등학교 교육시설·설비의 배치와 활용도 측정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비비례 유층표집으로 선정하였고, 전라남도 교육청 소속 10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168명을 대상으로 배부하여 회수된 질문지 중 가용성이 있는 128부를 본 연구의 기초자료로 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사용된 통계방법은 빈도와 백분율로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교시설·설비의 배치와 활용에 관한 현황 인식에는 영역별로 차이는 있었지만 대체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학교규모가 클수록 여러 종류의 특별교실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 현황인식에서 부정적 인식을 보면, 보통교실의 교과지도 고려(86.7%), 보통교실의 특활지도 고려(96.1%), 보통교실의 생활지도 고려(93.0%), 보통교실의 개별 학습 지도 고려(96.1%) 보통교실의 소집단 학습고려(96.1%), 보통교실의 자료활용수업 고려(94.6%), 특별교실 활용(96.1%)으로 전 영역에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교 규모별 특별교실 보유실태는, 18학급 이상의 학교에서는 과학실과 컴퓨터실을, 19-36학급 이하의 학교에서는 과학실, 음악실, 컴퓨터실을, 37학급 이상의 학교에서는 과학실, 음악실, 어학실, 컴퓨터실, 예절실을 보유하는 등 학교규모가 큰 학교일수록 여러 종류의 특별교실을 보유하고 있었다. 2. 초등학교가 교사들은 학교시설·설비 중 보통교실과 특별교실의 시설·설비배치와 활용에 있어서 각 영역별로 다양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각 영역별로 가장 많은 문제점을 지적한 것은, 보통교실의 교과 지도에서는 학습형태에 부적합한 교과지도(35.1%), 특활지도에는 개인의 창의력을 육성할 수 있는 지도 곤란(34.1%), 생활지도에서는 개인상담의 어려움(30.3%)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개별 학습 지도에서는 개별화된 책상의 부족(35.8%)소집단 학습지도의 영역에서는 소집단 학습을 운영하기 위한 교실 크기의 부적절(35.8%)자료활용 수업에서는 자료보관실의 원거리 위치(38.8%)특별교실 활용 부진의 원인으로서는 특별교실수의 부족(35.8%)때문임을 지적했다. 3.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교시설·설비 중 보통교실과 특별교실의 시설·설비배치와 활용방안에서 각 영역별로 다양한 방향을 제시했다. 각 영역에서 가장 많이 제시한 의견들을 고찰해 보면, 초등학교에 적합한 보통교실의 형태에서는, 저학년은 종합교실형, 고학년은 교과교실형(56.3%)을, 보통교실의 개별 학습 지도에서 가장 긴요한 시설·설비에는 개별 학습지도에 적합한 교실 크기의 적정화(32.8%)를, 보통교실의 소집단 학습지도에서 가장 긴요한 시설·설비로는 교실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가동식 벽의 설치(32.0%)를 제시했다. 한편, 원활한 자료활용수업을 위해서는 자료보관시설을 보통교실과 같은 건물이나 동학년마다 설치(35.9%)를, 교과전담제 정착에 가장 긴요한 특별교실로는 과학실험실(39.1%)을, 특별교실 시설·설비의 활용 방향으로서는 특별교실의 시설이나 설비를 교과나 학년에 맞게 편리하게 배치(39.1%)해야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보통교실의 교육시설·설비는 여러 학습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작은 학교일수록 특별교실에서 운영해야 할 수업을 보통교실에서 운영하고 있다. 2.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교시설·설비 중 보통교실과 특별교실의 시설·설비 배치와 활용에서 각 영역별로 다양한 문제점을 경험하고 있다. 이는 교사들의 수업운영에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3. 초등학교 보통교실의 형태는 교과지도, 특활지도, 생활지도를 고려할 때, 가장 적합한 보통교실의 형태는 저학년 종합교실형, 고학년은 교과교실형으로 학년수준에 따라서 교실의 형태를 다르게 하여야 한다. 또 보통교실은 개별 학습과 소집단 학습에 적합한 교실 크기로 재구성하여, 교실 크기의 융통성을 부여해야 할 것이며, 원활한 자료활용수업을 위해서는 자료보관시설을 같은 건물이나 동학년 마다 설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교과전담제의 정착을 위해 가장 시급히 확보되어야 할 특별교실은 과학실험실이며, 특별교실 이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특별교실의 시설이나 설비를 교과나 학년의 특성에 맞게 배치해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direction for allocation and utiliz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eaching equipments in elementary school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three following specific questions are identified as follows: 1. How is the present situation on allocation and utiliz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eaching equipments in elementary schools? 2. What is the problems to be solved on allocation and utiliz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eaching equipments in elementary schools? 3. How is to set up the direction for allocation and utiliz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eaching equipments in elementary school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literature review for this study is performed with survey. The instrument used for the survey is the questionnaire on the Present situation, the problems to be solved, the direction on allocation and utiliz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eaching equipments in elementary schools, developed by researcher supervised by academic advisor.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data analysis is frequency, Percentile.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findings: 1.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allocation and utilization of facilities and teaching equipments in elementary schools is negative response. The large-size schools have more various kind of special classroom than small-size schools. The negative perceptions are resulted from the overall area like the teaching subject-matter(86.79%), the extra-curricular activity(96.1%), the counseling(93.0%), the individualized learning(96.1%), the small group learning(96.1%), and the utiliza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 in regular classroom(94.6%), and in special classroom (96.1%), In viewing of Present situation of special classroom by school size, the school which is bellow eighteen class has a science classroom and a computer classroom, the school which is in between nineteen class and thirty six class has a science classroom, a music classroom, and a computer classroom, and the school which is above thirty seven class has a science classroom, a music classroom, a language laboratory, a computer classroom, and a propriety classroom. 2.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proposing a various problems of regular classroom and special classroom from the allocation and utiliz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eaching equipments in elementary schools. The serious problems by area are unsuitable learning form for subject management in regular classroom(35.1%), difficulty of enhancing personal creativeness in extra-curricular activity(34.1%), difficulty of personal counseling in guidance and counseling(30.3%), insufficient quantity of personal desks in individualized learning(35.8%), unsuitable size of classroom for small group learning(35.8%), far located from materials deposit facilities for instruction of material utilization(35.8%), shortage of quantity of special classroom for reasons of scarcely using of special classroom(35.8%). 3. Teachers propose a Various direction on the allocation and utiliz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eaching equipments in elementary schools. The most desirable direction to regular classroom is a comprehensive classroom form in lower grade, a subject classroom form in higher grade(56.3%), proper size classroom in individualized learning(32.8%) movable wall building(32.0%) in small learning group, allocating the same building or grade of materials deposit facilities(35.9%) in utiliza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s. The most necessary special classroom for settling down the subject exclusive charge system is a science classroom(39.1%) and the desirable direction for utiliz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eaching equipments of special classroom is to make adjust them to the subject-matter or grade(39,1%)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various learning conditions are not considered in the alloc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eaching equipments in the regular classroom in elementary schools. The instruction that ought to be in a special classroom is often done in the regular classroom. 2.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point out a various problem on allocation and utiliz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eaching equipments by. area. These make teachers more difficult to manage the instruction. 3. Considering the subject-matter, extra-curricular activity, counseling, the most proper type of regular classroom of elementary schools should be different type of classroom by grade. That is a comprehensive classroom form for lower grade, and subject classroom form for higher grade. The regular classroom size should he reconstructed so as to adjust for the individualized learning and small. group l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regular classroom to have a flexibility in classroom size and to have an adjacency in allocating materials deposit facilities at the same building or same grade for the utiliza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s. First of all, a science classroom for laboratory should be established for subject exclusive charge system. The educational facilities and teaching equipments of the special classroom should be allocated by characteristics of subject or grade for the active ut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