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새로운‘영웅형 공주서사’로서 백제 계산공주 설화

        정재남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As one of the old tales related to princess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tale related to Princess Gyesan(桂山) of Baekje(百濟) dynasty, which were not only recorded in various documents like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三國遺事』), The Miscellaneous records on the Eastern Capital 'Tongkyeong'(『東京雜記』) and On Shamanism of Korea (『朝鮮の巫覡』), buy has been passed down orally utill recently. The story of Princess Gyesan has been little known compared to other ancient Korean princess stories of the same period. Born as the daughter of King Uija(義慈王) of Baekje at the end era of the kingdom, she was competent enough to master swordsmanship in her earliest years, and had mysterious abilities, such as the invention of the "self-propelled bravely fighting weapon(自勇兵器)" after getting training under the tutoring of woman Taoist master in the South Sea region. When the Allied Army of Shilla(新羅) and Tang(唐) dynasties invaded Baekje, she turned into a magpie and was discovered by General Kim Yu-shin's mysterious sword while searching for the Silla army camp. She then returned to Baekje and reportedly went into hiding in the Buso Mountain(扶蘇山) after failing to persuade King Uija to reconcile with Silla. The story, which has a narrative structure and key elements of the ancient hero's story, is also specific to the major common characteristics and labeling of the Korean general tales. And compared to other princess-related literature narrativ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such as Princess Nakrang(樂浪), Princess Pyeonggang(平岡), and Princess Seonhwa(善花), there are common features including the narrative background of the conflict between father and daughter, who had the historical princess records in a biographical narrative structure with mysterious and strange narrative elements. In the tale of Princess Gyesan, there are no narrative elements such as marriage, male spouse, women's suffering, and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On the other hand, the heroine who did not rely on men have a female hero-seeking character who decides and pioneered her life independently and aggressively. This tale, which seems to reflect the mythical goddess statue of Korean shaman mythology, could be evaluated positively from a feminist point of view, as it presented the image of a female warrior or heroine who breaks down stereotypes about gender and social taboos and opens new horizons. Therefore,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e follow-up study of the tale, it may be classified as a new type of "Princess narrative" in the history of Korean epic literature. In addition, the female hero narrative of the tale can be a valuable basis and asset for the historical and stylized Korean fantasy. Key words : princess of the Baekjae Kingdom, princess tale, general's tales, Princess Gyesan(桂山), General Kim Yu-sh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三國遺事』), The Miscellaneous records on the Eastern Capital 'Tongkyeong'(『東京雜記』), On Shamanism of Korea (『朝鮮の巫覡』) 고대 공주 서사의 하나로서 고려시대 『삼국유사』, 조선시대 『동경잡기』 및 일제강점기 『조선의 무격(朝鮮の巫覡)』 등 여러 문헌 기록 및 구비전승으로 전해진 백제공주 관련 설화는 삼국시대의 여타 공주 설화에 비해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백제 말기 의자왕의 딸로 태어난 미녀공주 계산(桂山)은 어려서 검법을 통달하고 남해 여도사로부터 신술(神術)을 전수받으며 ‘자용병기(自勇兵器)’를 발명하는 등 신이한 능력을 갖추었는데,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침공하자 까치로 변신하여 신라군 진영을 정탐하던 중 김유신 장군의 신검에 의해 발각되고, 이어 백제로 귀환하여 부왕 의자왕에게 신라와의 화해를 설득하지만 실패하자 부소산(扶蘇山)으로 잠적하였다고 전해진다. 동 설화를 같은 삼국시대의 공주 설화인 낙랑공주, 평강공주 및 선화공주 서사와 비교하면, 모두 ‘역사성을 가진 공주’ 이야기를 소재로 하고, ‘아버지와의 갈등’이 핵심화소이면서, 신이한 요소까지 구비한 ‘일대기’적 서사구조라는 공통점이 있다. 반면 계산공주 설화는 혼인 및 남성 배우자 화소가 전혀 등장하지 않고, 여성 수난이나 발복(發福) 등의 요소가 없는 차별점이 있으며, 여주인공은 남성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자기 인생을 결정하고 자아성취를 이루어 나간다. 삼국통일 주역인 ‘김유신 영웅만들기’와 관련이 깊어 보이는 동 설화의 일부 변이형은 고대 영웅이야기의 서사구조와 핵심 요소를 두루 갖추고 있으며, 한국 장군설화의 주요 공통특징 및 표징과도 구체적으로 부합된다. 한국 장군설화 유형에서 계산공주 설화를 분류하자면, 인간계 혈통의 주인공이 과업에 실패한 후 사후 입신(入神)되지 못한 유형인 ‘인손(人孫) 실패후 미입신형’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동 설화의 서사 주체는 남다른 조건을 갖추며 자라나, 일정한 ‘통과의례’과정을 거쳐 특별한 능력을 획득하고, 이어 자신이 속한 공통체가 직면한 엄청난 과제에 적극 도전하여 큰 위기에 처하며, 극적 반전을 통해 비장하게 마무리된다. 따라서 동 설화는 조동일(1973), 조셉 캠벨(1999) 및 반 겐넵(2000) 등이 제시한‘영웅의 일생’이나 영웅이 치루는 신화적 모험의 표준궤도인 ‘통과의례’ 양식에 부합되는 서사구조와 핵심화소를 다수 갖추고 있어, 한국 서사문학사에서 그간 찾아보기 어려웠던‘영웅형 공주서사’로 새로운 유형화를 시도할 수 있다고 본다. 한국 무속신화의 신화적 여신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 동 설화는 성(gender)에 관한 고정관념이나 사회적 터부 등을 깨고 새로운 지평을 개척하는 여전사 내지 여성영웅적 형상을 제시하였기에,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긍적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셰익스피어의 <리어왕(King Lear)>이나 동화 <백설공주(Snow White)>처럼 공주관련 역사적 서사물이 풍부한 서양에 비해 다양한 공주 서사가 부족한 한국 서사문학사에서, 자주적이고 진취적인 여성영웅 탐색담적 성격을 갖춘 계산공주 설화는 후속 연구 결과에 따라 새로운 ‘영웅형 공주서사’유형으로 착근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백제왕녀, 공주설화, 장군설화, 계산공주, 김유신 장군, 삼국유사, 동경잡기『東京雜記』, 조선의 무격(朝鮮の巫覡)

      • 서동설화연구 : 선화공주를 중심으로

        박현우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2319

        The Saribongangi, found from the process of disassembling Miruk-remains stone tower in January 2009, revealed that the founder of Miruk temple was not the princess Sunhwa who was recorded in the Seo-dong tale, but the queeon of Satek, a wife of the Baekje's King Mu. Therefore, Seo-dong tale which had been perceived as a historical fact, was redefined as fictitious story. Especially people became skeptical about existence of the princess Sunhwa. The view that the princess Sunhwa was created by Baekje migrants became more believable, because Seo-dong tale was composed with Yaraeja tale, Nabok-e-sanda folktale, and legend of Miruk temple foundation. However, it was hard to define the princess Sunhwa's existence, because there were no records of her in Samgukyusa and the Saribongangi did not have enough evidence. Therefore, this thesis tried to understand the feature of Seo-dong tale and to redefine existence of Seo-dong and princess of Sunhwa by making close inspection of religious and mythological background. At the chapter I, it handled purpose and method of the research in historical facts, and examined issues with Saribogangi. At the chapter II-1, it estim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een Satek and princess Sunhwa by examining existing studies and records.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at princess Sunwha was wife of Seo-dong, but she was banished by anti-Silla party and thereafter queen Satek became King Mu's wife. At the chapter II-2, the creation of Seo-dong tale was analyzed by focusing on the princess Sunhwa to define Yeinbalbok tale's mythical foundation, princess Sunwha, and Miruk belief. It is discovered that the princess comprehended a man-woman love, folk belief, and Miruk religion which newly introduced. Seo-dong tale was not just descendant's creation, but composition of historical fact, folktale, and Miruk belief. Whether it is true or not, Seo-dong tale could be considered as a medium that contains context of the era by shedding mythological and religious meaning on the historical figures of the time. 2009년 1월 미륵사지 석탑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출토된 사리봉안기에서는 미륵사를 창건한 주체가 서동설화에 기록되었던 선화공주가 아닌 백제 무왕의 왕비인 사택왕후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여졌던 서동설화는 실제적 기록과는 먼 허구적 설화로 세간에 인식되었고, 특히 선화공주라는 인물 자체가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서동설화의 구성도 야래자설화, 내복에산다민담, 미륵사창사전설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서동과 선화공주의 이야기는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 일연이나 후대의 백제유민에 의해서 창작되었다는 주장에 힘이 실렸다. 그러나 『삼국유사』 이외에는 선화공주에 대한 기록을 찾을 수 없으며 최근에 발굴된 사리봉안기에 기록된 내용도 그 전후 상황이 모두 기록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택왕후의 실존여부에 따라 선화공주의 존재를 긍정하거나 부정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선화공주를 중심으로 서동설화의 형성과 관련된 신화적, 신앙적 배경을 좀 더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서동설화의 성격을 다시 이해하고, 서동과 선화공주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려 했다. 우선 Ⅰ에서는 연구목적과 연구방법을 밝히고 기존의 연구사와 사리봉안기를 둘러싼 쟁점들을 검토했다. 다음으로 Ⅱ-1에서는 기존의 연구와 문헌들을 검토하면서 선화공주와 사택왕후의 관계를 추정했다. 선화공주는 서동설화의 내용대로 서동의 부인이었지만 백제내의 반신라세력에 의해서 왕후가 되지 못한 채 배척당했고, 사택왕후는 그 이후에 무왕의 비가 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Ⅱ-2에서는 서동설화의 형성배경을 선화공주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여인발복설화의 신화적 기원과 선화공주와 미륵신앙에 대해 접근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Ⅱ-3에서는 서동설화의 역사적, 설화적 성격과 문학적 의미를 밝혔다. 선화공주는 남녀의 사랑으로 대표되는 인간성과 내 복에 산다는 토속적 신앙, 그리고 새로 유입된 종교인 미륵신앙까지 이 모든 것을 아우르고 있음을 발견했다. 서동설화는 후대인의 바람을 담은 창작물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과 신화, 그리고 미륵신앙이 결부되어 탄생한 설화인 것이다. 이는 단순히 그 이야기의 사실여부를 떠나, 그 배경이 되는 당대의 역사적 인물에게 시대적 이상을 투영하여 신화적, 신앙적 의미가 부여된 것으로, 당대 상황을 폭넓게 엿볼 수 있는 사료로 이해할 수 있다.

      •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웹툰 변용 연구 : 《계룡선녀전》을 중심으로

        구선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69

        본 연구는 디지털 이야기판인 웹툰에서 고전서사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변용 양상을 분석하여 현대인들의 의식 변화를 파악하고 고전서사를 전승 및 발전시키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특히 OSMU(One Source Multi Use)로 기능하여 대중적 공감과 함께 작품성을 획득한 《계룡선녀전》을 중심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현대 대중은 <나무꾼과 선녀> 설화 속 은폐된 폭력성을 포착하여 나무꾼과 사슴을 비판의 대상으로 삼는다. 따라서 웹툰의 소재로 활용할 때 나무꾼, 사슴을 악인으로 형상화하여 선녀와 대립하게 하고 갈등이 극대화되어 공포물이나 풍자물로 재매개하는 것이 전반적인 양상이었다. 이러한 변용 방식은 사회의 문제를 짚어내어 대중의 인식을 변화하게 하는 장점이 있지만 이러한 방식만으로 고전서사를 활용하는 것은 고전서사의 전반적 인식을 부정적으로 악화시킬 염려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돌배가 그린 《계룡선녀전》은 나무꾼과 선녀의 합일에 초점을 두고 화해와 치유의 서사로 주제를 확장해 새로운 변용 방향을 제시한다. 《계룡선녀전》은 <나무꾼과 선녀> 설화를 재매개하여 현대의 이야기로 변용하기 위해 인물, 사건, 사상적 배경을 수정하였다. 사건 면에서는 주제를 애정에서 치유로 확장하고 사건의 필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원전 설화의 선녀승천형을 중심으로 선녀의 지상시련담과 지상회귀담을 추가하고, 나무꾼과 사슴의 전생과 후생을 설정해 이야기를 확장하였다. 인물면에서는 인물들의 역할이 원전 설화와는 달리 전환되었다. 선녀와 나무꾼은 각각 주체와 대상으로서 역할이 뒤바뀌고 그에 따라 특성이 변화하였다. 원전 설화 속 나무꾼과 선녀의 역할을 전도해 여성의 대상화, 타자화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나무꾼은 원전 설화의 폭력성과 무능이 제거되고 선한 성품과 능력을 갖추게 되었고, 선녀는 강인하고 주체성을 가진 인물이 되어 현대인의 이상이 반영된 인물로 변형되었다. 사슴은 원전 설화의 주변인물에서 중심인물로 변화하며 현대의 시각으로는 이해할 수 없었던 사슴의 행동에 납득할 만한 사연이 부여되었다. 사슴은 현실적인 인간의 속성을 반영한 인물로 전 생애를 걸쳐 늘 세계와 갈등하고 끝내 화해하여 이용자들이 자신의 내면 이야기를 투영하게끔 했다. 사상적 배경 면에서는 현대적 패러다임에 따라 기존의 질서를 벗어나 경계를 넘어서는 세계관을 구축하였다. 설화 시절과는 다른, 인간과 신에 대한 현시대의 관념을 상반된 요소의 결합으로 드러내었다. 또한, 주도 세력에 의해 시선의 경계 밖으로 밀려났던 타자에 대한 관심을 작품의 서사, 인물, 세부 삽화에 드러내어 이용자의 시선 안으로 타자를 들여놓았다. 《계룡선녀전》이 <나무꾼과 선녀> 설화를 바탕으로 한 웹툰으로 재매개되면서 매체의 특성이 두드러졌다. 우선, 웹툰이란 매체의 주요 목적인 흥미를 유지하기 위해 여러 전략이 사용되었다. 첫째, 추리 서사적 요소를 활용하여 웹툰 이용자가 지적 유희를 즐기며 작품에 몰입하게 하였다. 이를 위해 시간 순서에 따라 서사를 전개하지 않고 교차하며 설화의 변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나무꾼과 선녀> 설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고전서사의 모티프와 전통적 이미지로 인물과 서사, 세부 장면을 수식하여 친근하지만 낯선 볼거리를 만들었다. 셋째, 성과 속 사이의 환상적 공간을 현대의 생활 속 휴식공간으로까지 확장하여 이용자들이 자신의 일상을 투영하며 잠시나마 현실에서 도피하도록 도왔다. 또한, 디지털 이야기판으로 변화하면서 창작 도구와 소통 도구가 달라졌다. 웹툰은 창작 도구로 시각적 도구를 활용한다. 웹툰《계룡선녀전》은 파스텔 색감을 바탕으로 선녀와 선인은 물론 의인화된 동식물을 다양하게 등장시켜 환상적이고 동화 같은 세계를 가시화했다. 웹툰의 소통 도구로서 댓글이 등장한다. 《계룡선녀전》의 이용자들이 작성한 댓글에서 고전서사에 대한 담론화 과정이 일어나며 제도권 밖에서 고전 서사 향유의 가능성을 보았다. 고전서사를 매개로 공감대를 형성하고 원전 서사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도 하며 재구성된 작품을 통해 위안을 얻는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현대의 관점에서 불편하게 여길 만한 요소가 많은 <나무꾼과 선녀> 설화가 웹툰에서 어떻게 변화하여 기능하는지 양상을 살필 수 있었다. 특히나 웹툰은 10~20대가 즐겨 보는 매체로 고전서사가 더는 미래세대에게 외면받지 않고 매력적인 대상으로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한 변용 방향을 알 수 있었다. 과거 설화의 역할과 같이 재미와 위안을 전하는 이본으로 거듭난다면 설화는 더는 옛이야기가 아닌 현재의 이야기로 기능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aspects of changes of the Korean classical tale Woodcutter and Fairy in the Webtoon.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understand the consciousness changes of modern people and to suggest a direction to pass on and develop Korean old tales. Webtoon Gyeryong Seonnyeojeon became the good subject of this study because it has succeeded in getting popularity and the quality of work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functioning as OSMU(One Source Multi Use). In the modern viewpoint, the woodcutter and deer in Woodcutter and Fairy are criticized for their veiled violence. Therefore, when the tale is used in modern stories in webtoon, it is mainly recreated as a horror or satire story focusing on the fairy's sorrow. However, this way of reinterpreting classical tales may raise negative awareness about overall classical tales. At this point, Gyeryong Seonnyeojeon written by Dolbae shows us a new way of making use of classical tales extending its topic to reconciliation and healing with the focus on the fairy and woodcutter's union. Gyeryong Seonnyeojeon revised characters, events, and ideological backgrounds to translate the story of Woodcutter and Fairy into a modern story. First of all, in the eventual aspect, Gyeryong Seonnyeojeon extended the topic from love to healing, and make necessity in the story by adding the story of fairy's overcoming obstacles on earth and her returning to the earth to the content of fairy's ascension to heaven. Also, it extended the story by setting the woodcutter and deer's previous and next lives. In the characters' part, the characters' roles have been changed from the original. The role of fairies and woodcutters has been reversed and their personality has changed accordingly. It tries to eliminating the objectification and otherness of female by switching the roles of the woodcutter and fairy in the original story. Ideal elements of modern people have been reflected in the story by eliminating the woodcutter's incompetence and violence and setting the fairy as a strong and independent character. The deer changed from the surrounding person to the central person. The story has come to understand the deer's behavior. The deer, having human being's realistic property, is portrayed as a character who always has conflicts with the world. In ideological background part, the story established the world view going beyond the existing order and boundaries based on the modern paradigm. Gyeryong Seonnyeojeon reveals the modern ideas of man and God through the combination of conflicting elements. It also attracts users' attention on the others that were veiled in the power of leading characters by including them in the story's narration, characters, and detailed illustration. Based on woodcutters and fairies, Gyeryong Seonnyeojeon shows evident characteristics as a webtoon. For the most part, it uses various strategies to maintain interest,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webtoons. First, using reasoning narrative elements, webtoon users can be immersed in the story while enjoying intellectual entertainment. For this, events are not organized in time sequence. Second, various classical motifs and traditional images were used to create familiar but new attractions to elaborate characters, narratives, and small scenes. Third, by diversifying the fantastic spaces in the border between the heaven and earth, it offers showy attractions and gets users to reflect their daily lives and escape them for a moment. Also, the creation and communication tools also changed as the story was changed into a digital version. Webtoons use visual tools as creative tools. The webtoon Gyeryong seonnyeojeon visualized the fairy tale-like world by featuring heavenly beings and personified animals and plants on the pastel-colored background. Comments appeared as a communication tool for webtoons. Webtoon users have discourse on the classical tale writing comments on the story online, which leads to the possibility of enjoying classical tales in real life. Forming empathy based on the tales and sharing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story, they showed how they are consoled by the reorganized stor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aspect of how the storyline of Woodcutter and the Fairy, which has many factors that can be considered uncomfortable from the modern perspective, has changed in the webtoon. Webtoons are especially popular among teenagers and twenties. I could see that classical narratives should no longer be shunned by future generations and must change to become attractive targets. When reorganized this way with the role of delivering consolation and wisdom which original tales show, classical tales can be adapted to the present times, not only to the old times.

      • 무속신화 <바리공주> 지도방안 연구

        박은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15871

        This study is purposed to define the significance and the purpose of mythology education consistent with the nature and the purpose of the 7th educational course and thereby propose general direction of mythology education and then grope effective and practical teaching method of <Bari princess> based on the purpose and method of education required by current educational course. In chapterⅡ, at the beginning before the discussion on mythology education, to prepare theological ground, was to review the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and the method of teaching-learning and based on it, define the significance and purpose of mythology education in literature educational context. Also reviewed the content of teaching of <Bari princess> written on current schoolbooks. Although the content of teaching presented on schoolbooks is useful to learn the structure of the stor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grasp of the structure of works of literature is the proces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works, brought up the necessity to complement the purpose of learning and deepen the content of learning. In chapter Ⅲ, to establish concrete content and purpose of learning of <Bari princess>, analyzed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story and examin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Bari princess>. Through the process of analysis of structure and internal significance of <Bari princess>, revealed that when <Bari princess> is accommodated in education, it could be utilized as an useful text to acquire the structure of literature and can enlarge the view of the world of learners and has an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the principle of respect of life and equality, importance of filial piety and the preciousness of altruistic life could be learnt. Moreover, it has the significance that racial self conceit and pride may be given. In chapter Ⅳ, established the purpose of teaching of <Bari princess> and actually planned the learning activities. Before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of lesson, reviewed 'Cooperative Integrated Reading and Composition' that is considered to be a method to vivify the character of the unit of <Bari princess> and literary character of the theme and examined a model of Group Investigation as one of concrete methods of study of reading area. In this writing, revised and complemented it and proposed a method of teaching of <Bari princess>. The result of teaching reveal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lesson of this writing was useful for the learners to reach the goal of learning and the reaction on Group Investigation was affirmative. Also the lesson of creation is evaluated that it stimulated the imagination of learners and provided opportunities for them to express critical thinking about the values presented in <Bari princess>on their own and internalize the structure of the story. Although it will widen the range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works and enhance the interest in the lesson of creation, the fact that the amount of study should be adjusted to fit to the level of learner remains as a problem to be solved. Although this writing defined the value and proposed teaching method limited to <Bari princess>, expect that the themes of mythology area will be keep extended and the study on the methods to effectively teach mythologies in middle school education will be activated.

      • <바리공주>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방안

        홍가희 부산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99551

        최근 한류의 확산 및 다문화 가정의 증가로 인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와 더불어 한국어 교육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와 교수 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한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원활한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한국 문화가 잘 반영되어 있는 문학 작품 활용을 활용한 학습의 필요성도 중요하다. 한국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는 드라마, 대중가요, 소설 등 다양한 장르가 있다. 그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본질적 특성, 가치관, 생활 모습 등을 보여줄 수 있는 문학 작품, 그 중에서도 고전 서사문학의 한 갈래인 ‘설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수 학습 방안에 대해 집중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설화 문학은 문화가 가지고 있는 성격 중 여러 나라들이 같이 공유하고 있는 보편성과 함께 한국인만 가지고 있는 특수성을 모두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통해 설화 문학은 모국어 학습자에 비해 한국의 전통, 고전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현저히 낮은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모국어 학습자와 같은 문화적 가치관을 공유할 수 있는 좋은 매개체로써 큰 가치를 지닌 설화 문학의 작품의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설화 문학 작품은 다양한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적 가치에 비해 실제 초등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설화문학은 미흡한 편이다. 현행 초등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 및 비문학 작품은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가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국어 교육과정 내 문학 작품을 분석해 본 결과 설화 문학의 비중은 다른 종류의 문학 작품에 비해 현저히 낮다. Ⅳ 장에서는 교육과정 내 설화 문학 작품이 낮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설화 작품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설화 문학 작품 중에서도 삶과 죽음, 효, 인간의 도리 등을 보여 줄 수 있는 <바리공주>에 대해 살펴보고 실제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바리공주> 작품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문화가 가지는 특성인 보편성과 특수성의 관점에서 <바리공주>가 가지는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활용하여 실제 <바리공주> 작품을 활용한 교수·학습과정안을 작성해본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는 설화 문학 작품을 활용한 문화교육의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고, <바리공주>가 가지는 교육적 효과와 설화문학 작품을 한국 문화 교육에 사용해야하는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게임의 구비문학 활용과 그 가치

        나주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99181

        오늘날 구비문학은 점차 대중에게서 멀어지고 있다. 이때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문화콘텐츠에 구비문학을 활용한다면 구비문학의 대중화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문화 산업의 질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한국 구비문학은 오랜 세월 한국인에게 향유되며 전승된 문화적 산물이며 예술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한국 구비문학을 문화콘텐츠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그 가치는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있다. 특히 문화콘텐츠의 여러 분야 중 게임에 구비문학을 활용하는 방안을 중심으로 한다. 구비문학을 게임에 활용하기 위한 접목 가능성, 기존에 구비문학을 활용한 게임의 현황 및 문제점, 앞으로의 방안 및 방법 제시의 순서로 연구하였다. 먼저 구비문학과 게임의 공통점을 분석하여 접목 가능성을 따져보았다. 구비문학과 게임은 모두 견고한 기본 스토리를 갖고 있다. 화자나 게이머는 이 기본 스토리에 개입하여 서사를 완성해나간다. 때문에 각편이 발생하며 구비문학과 게임은 불변성과 가변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또한 구비문학과 게임은 쌍방적이며 실시간으로 완성된다. 이를 특성들이 구비문학과 게임의 외적 구조에 있어서의 공통점이다. 또 서사의 환상성과 캐릭터의 전형성, 성장성은 내용상의 공통점이다. 이것들을 분석한 뒤에는 실제적인 활용에 있어 어떤 가치가 있을지, 활용 방법은 무엇인지도 언급했다. 다음으로 기존에 구비문학을 활용한 게임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폈다. 모바일 게임과 온라인 게임에 구비문학이 활용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고전 소설이나 동화책으로 널리 알려진 몇몇 구비문학 작품만이 활용되고 있었다. 모바일 게임에서는 구비문학의 일부 요소만이 단순 차용되었고 코믹하게 개작하는 것에 편중되어 있었다. 온라인 게임에서는 맵이나 퀘스트에 활용되었으며 모바일 게임에 비해 개작이 심한 편은 아니었다. 마지막으로 구비문학을 어떻게 게임에 활용할 수 있을지, 기존 게임의 한계를 극복하는 올바른 활용 방법이 무엇인지를, 실제적인 예를 통해 제시했다. 한국 무속신화인 바리공주를 액션어드벤처 게임으로 구상해 본 것이 그것이다. Today, oral literature gradually becomes alienated from the public. At this point, if applied to cultural contents including movies, animations, and games, that will enable popularization of oral literature and contribute to qualitative development of the culture industry, because oral literature in Korea is an inherited cultural product and art, which has been loved by Koreans for a long time.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the Korean oral literature can be applied to cultural contents and what is the value. In particular, focusing on how to apply oral literature to games, among many other areas of cultural contents, the study discusses applicability of oral literature to games, present situations of games based on oral literature and problems, and strategies and methods for the future in order. First of all, the applicability of oral literature to games is assessed in terms of common features of oral literature and games. Both oral literature and games have a well-organized basic plot. Intervening in such a basic plot, the speaker or gamer completes narration. As a result, different versions come out and oral literature and games have invariability and variability at the same time. Also, both are interactive and made perfect on a real-time basis. These characteristics are shared by oral literature and games in terms of external structure, while they have fantasy of narration and stereotyping and growth of characters in common in light of content. Following the analysis of above characteristics, the study states what the value of using and how to apply oral literature in practice.Next, present situations of games based on oral literature and problems are investigated. Although oral literature has been used for mobile and on-line games, the application is limited to some widely known works in the form of classic novels or fairy tales. Mobile games use simply some elements borrowed from oral literature, leaning upon comic adaptation. Even though online games apply to map or quest, much adaptation has not been made, compared to mobile games. Finally, the study suggests how to apply oral literature to games and what is the right way to overcome the limits of existing games, through actual cases. Action adventure game based on a Korean traditional shamanist myth Bari Princess is one of those examples.

      • 고전서사 속 ‘나쁜 엄마’의 유형과 자녀의 대응에 대한 연구 : 계모설화를 중심으로 한 문학치료학적 고찰

        우진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894

        본 논문에서는 고전 서사를 활용하여 현대의 ‘나쁜 엄마’에 대하여 자녀의 대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문학치료학의 부모서사와 자녀서사의 서사이론을 주요한 연구방법으로 삼고, 이를 중심으로 부모와 자녀사이에 일어나는 부정적인 관계 속에서 자녀가 주체적으로 성공적인 삶의 길을 추구해나가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에 2장에서는 옛이야기 속에서 나타나는 ‘나쁜 엄마’와 ‘계모’의 상관관계를 다양한 이론을 통해 탐색해보고, 그 관련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의 맥락을 따라 본 논의에서 주장하는 ‘나쁜 엄마’의 개념을 제시하고, ‘나쁜 엄마’와 계모 형상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프로이트의 ‘가족로맨스’와 융의 ‘이중 모성의 원형’에 대한 논의, 브루노 베텔하임이 주장하는 계모의 상징을 통해 모성의 양가적인 모습을 고찰하였다. 또한 계모와 관련된 고사, 서양 민담과 우리나라의 계모 관련 연구를 통해 ‘나쁜 엄마’와 계모의 관련성에 이론적인 근거를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나쁜 엄마’의 모습을 잘 드러내는 자료를 탐색하여 유형화하였다. 여기에 먼저 ??구비문학대계??와 ??한국구전설화??(임석재 전집)를 대상으로 117편의 계모 설화를 선별하였다. 이 117편의 설화를 계모의 심리나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하여, 2가지 이상 나타난 것을 분류하여 15가지의 종류로 유형화 하였다. 그리고 다시 비슷한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재분류하여 최종적으로 대표적 세 가지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세 가지 유형 중 첫 번째는 ‘편애와 차별의 유형’으로, 이 유형의 특징은 정서적 편향, 물질적 차별로 나타나며, 외부 행사에 대하여 대외 관계의 기회 차별이 드러난다. 두 번째는 ‘소유와 착취 유형’으로, 이 유형의 특징에서는 무능력한 계모가 자녀를 자신의 소유라고 생각하여 물질적으로 의존하며, 그에 대한 대가를 착취하고, 집착하여 자녀가 독립하는 것에 대해 과민 반응과 차단을 행한다. 세 번째는 ‘분리와 축출 유형’으로, 이 유형에서는 자녀를 타인으로 생각하는 이기심의 발현, 방치하고 외면하는 면모, 자녀를 분리하여 축출하고, 책임에 대해 회피하는 계모의 모습이 주로 나타난다. 위 논의를 근거로 하여 4장에서는 계모의 부정적인 양육과 ‘나쁜 엄마’에 대한 자녀 대응의 의의와 한계를 논하고, 자녀가 주체가 되어 자신의 삶을 세우고 관계를 개선하는 서사를 탐색하였다. 첫째, ‘편애와 차별 유형’에 속하는 <콩쥐 팥쥐>의 주인공 콩쥐는 계모와 관계를 회복시킬 수 있는 지점에서 관계의 회복을 포기하거나 보복하는 등의 모습을 나타낸다. 한편 같은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홍길동>의 길동은 부모의 편애와 차별 행위에도, 콩쥐 행위의 한계점이 보완된 대응 방식을 견지하고, 주체적인 삶과 관계 개선을 제시하였다. 둘째, ‘소유와 의존 유형’을 대표하는 <겨울 나물과 정도령>의 주인공인 딸은 계모에 대한 체념과 순종, 단절을 통한 독립 등을 통해 대응방식의 일정한 한계를 가진다. 이에 대하여 개선의 서사로 <삼공본풀이>를 견주고, 대비되는 인물로 감은장애기를 제시하였다. 감은장애기는 ‘내복에 살 수 있다’라는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삶과 독립에 대한 자신감을 통하여 자신의 배우자를 스스로 찾아 자신의 삶을 세우고, 이후 부모를 되찾는 서사까지 나아가는 성공적인 삶을 확립하였다. 셋째, ‘분리와 축출 유형’인 <손 없는 색시>의 딸은 계모에게 자녀로 인정받고 싶은 욕구에 수동적인 자포자기 방식으로 대응하고, 한편으로는 응징하고자 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이와 대조되는 서사로 <바리공주>의 바리공주의 서사를 제시하였다. 바리공주는 자신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적극적인 수용 방식을 통해 부모를 포용한다. 이로써 <손 없는 색시>속 ‘딸’의 제한적인 대응방식을 보완할 수 있고, 자신을 세우고 부모를 이해하며 포용하였다. 바리공주의 이 같은 관계 개선적인 대응방식과 잇따르는 성공적인 삶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며 문학치료학의 인간관계 맺기인 가르기, 밀치기, 감싸기, 되찾기의 의미를 더불어 탐구하였다. 요컨대 본고에서는 문학치료학의 방법론을 바탕으로 고전 서사를 분석하여 ‘나쁜 엄마’에 대한 자녀들의 성공적인 대응 방식을 유형화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작품의 의미를 실제적으로 적용하여 현실에서 ‘나쁜 엄마’와 갈등을 겪는 자녀들이 대응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고전 서사를 활용하여 현대의 어머니와 자녀의 갈등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가족관계와 인간관계 개선을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무엇보다 문학이 우리 삶을 치유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 주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joins a vibrant conversation about the modern ‘mean mother’ as well as the responding of their children towards them with a close link in the Korean classical narrative.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literary pres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nder children to become the main agent to restore negative parent-child relationships. Human history have been long time associated with family matters, and it is well known that the bond between mother and the child is the most strongest connection and influential relationship that could affect until later in life. In this respect, a large number of researches have been made mostly under the discussion of the positive sides of maternal attachment. It was difficult to capture any kind of collective material taking fairy tale stepmothers as the negative aspects of motherhood. This was because the myths of the ideal mother role showed a huge gap between the qualities of real mothers, which brought about confusion and conflicts within their children to regard the unclear, unstable role of their mother as ‘mean mother’. Collectively, the classic novels in this study articulate and adapt the aspects of‘mean mother’, under the name of ‘step mother'. Therefore this dissertation will address stepmothers as a form of the unfavourable side of motherhood, and continue to tap into the classic narratives in order to seek reconciliation from the outcomes determined from such relationships. Literary therapy is the academic study that finds literature as a remedy to ensure human beings to not become a cropper, or fail to live life to the full. To be specific, it utilizes the existing novels to aid people during the process of dynamic interaction between the personality of the reader and literature-interaction for better personal assessment and adjustments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Human beings generally build relationships by exploring, usually through trial and error, to realize that the tolerance and the realization of trust develop the affectional tie, and that rejection and bullying turn down relationships. Taking in concern of the definitions of literary therapy, it is clear that a child’s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highly involves in the development of building relationships. The concept of ‘mean mother’ will be explained in chapter two, depicting the relevancy with traditional roles of step mother in tales by observing a variety of theories related to this scheme. Pscho-analysis and the mental state of stepmothers according to the text are listed to reveal the double-sideness of mothering. Also, features that symbolize negative parenting will also be explored, which is indicated in tales both east and west classics via stepmothers, witches, or particular animals. The chapter strongly focuses the possible link with ineffective parenting and the parenting style of stepmothers and discuss the symbolic character in account for the hidden conflicts of motherhood. Chapter three, 117 korean classic natives were examined to observe 'mean mother' concretely. The natives were separated and sorted into more than two same types as psychology of stepmother or parenting. Korean classic natives were reclassified into 15 types and finally 117 classic novels were categorized as three types. In chapter three, the idea of ‘mean mother’is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of motherhood described in the stepmother stories of Im-Suk-Jae’s version of Korean traditional tales. The ‘mean mother’ idea is categorized in to first, ‘Partial and Unfair’type and Second, ‘Exploiting and Highhanded behavioral’type, and finally, ‘Segregator and Expellant’ type, and describes how the mean mother works. Chapter Four enters a step further into chapter three by offering a range of responses that could likely be derived from children having such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s, and seeking for ways which children could take the principal role of reclaiming the relationship. Three types of narratives are introduced respectively, for each type of parenting. For the ‘Partial and Unfair’ parenting type, <The story of Hong-gil-dong> showed alternative behaviors by releasing independent attitudes in comparison of children who are biddable and woe their circumstances. For the ‘Exploiting and Highhanded behavioral’ parenting type, <Sangongbongpuri> narrates how the heroine emerge from poverty without the supportive efforts of her parents, and her forgiving soul embraces her crippled parents by becoming an independent person. Lastly, for the case of ‘Segregator and Expellant’ type, <The story of Baridaegi>suggests the attitudes how to overcome depression that is derived from being rejected from parental attention, instead of fall in despair and wander around life. This dissertation takes in regard of the importance of family relationship and seek for resolutions children can make by understanding the hidden conflicts and difficulties of mothers masqueraded in the names of ‘mean mothers’ The chances of children taking the position in restoring family bond are described in the novels introduced and shed new light in this research. Through collecting materials for this dissertation, I have learned that not only Korean tales but stories world wide are possible to be discussed in this perspective, and would like to leave them as my next as project research. I hope this work will have a positive impact in searching remedies for those who are under unsatisfying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o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