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자의 인(仁) 사상에 대한 소고 : 인 개념의 역사와 함의

        편동원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仁)은 공자 사상의 핵심인 동시에 모든 덕목(德目)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즉, 인 개념은 공자 사상을 관통하는 최고의 가치로 이해될 수 있다. 공자 사상에 있어 인은 생명의 최고 가치이자 모든 사람에게 품부(稟賦)된 선천적 가치이다. 공자가 인 개념을 통해 인간의 본질을 회복하고 완전한 인간성에 도달하려 했던 것은 이 때문이었다. 춘추 시대 말에 생존했던 공자는 예악(禮樂)의 붕괴를 의미하는 주 왕조의 갑작스런 몰락을 지켜봐야 했다. 이런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공자는 당시의 사회적 무질서를 극복하기 위한 의도로 인 개념을 제시했다. 이러한 인 개념은 분명히 공자에게 이르러 그 개념이 명확해진 덕목이었다. 다시 말해, 공자는 인 개념을 근본적으로 재해석한 사상가였다. 인은 공자 이전 시기에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던 용어였다. 다만, 공자는 인을 윤리적 본성의 근거로 파악함으로써 그것이 인간의 행위 규범으로 기능하게 했다. 공자에 의하면 인은 모든 인간에게 부여된 선천적인 본성이다. 따라서 수양의 첫 단계는 자신에게 내재된 인의 본성을 깨닫는 일이다. 요컨대, 인간 존재는 스스로의 자각을 통해 윤리성을 확보한다. 하지만 인간 존재가 동일한 본성을 지녔다고 해서 모든 사람이 윤리적 존재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인이 덕으로 표현될 때, 그것은 저절로 주어지는 게 아니라 인간 주체의 지속적인 노력과 실천을 통해 구현되는 탓이다. 이런 이유로 인을 자각한 사람은 반드시 사회적 규범에 따라 행동해야만 윤리적 인간이 될 수 있다. 즉, 인간은 스스로를 자제하고 이기적인 욕망을 극복해야 한다. 인의 실천 개념에는 극기복례(克己復禮), 효제(孝悌), 충서(忠恕)가 있다. 극기복례는 곧 자신을 잘 단속하여 사회적 규범에 부합되도록 행동하는 것이다. 효는 부모님을 극진히 모시고 그 말씀에 순종하는 것이다. 제는 동생이 형을 또는 연소자가 연장자를 섬기는 것이다. 한편 충은 참되고 진실한 마음을 갖는 것이며, 서는 자기 잘못을 스스로 용서 하듯이 남의 잘못을 너그럽게 용서하여 주는 것이다. 충서는 효제와 함께 인을 수행하는 중요한 실천 개념이다. 이러한 인은 부자지간과 형제에서 시작하여 타인과 인류에 대한 사랑으로 구체화된다. Ren(仁) is the central concept of Confucius thought and represents all other important concept in Confucius thought. So Confucius considered ren as the best virtue. Because he believed that ren was the best value in life, which was a mission for every human being. He restored human nature through it and tried to perfect humanity.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721~479 B.C.), Confucius experienced the sudden end of the Chou Dynasty which also resulted in the end of li(禮) and yue(樂). In this context, Confucius tried to overcome the social confusion with the idea of ren. The idea of ren has been developed very well when it came to Confucius. As it were Confucius is the one who made the glorious idea of ren essential. Term of ren had already been used before Confucius. Nothing but Confucius deepened the significance of ren as a basis of moral nature, which then became the principle of all human behaviors. Ren, in Confucius, was the innate human nature that everybody possessed. Therefore the first step of self-culture was to recognize the ren within. In sum human being has the morality as the nature by dint of self-awaking. However human being is born with the same nature, all man cannot always become moral on. The virtue of ren is not obtained or possessed spontaneously, but is acquired by the constant efforts and practices. For this reason the man's consciousness of ren is just the principle of norm that makes the man moral being. That is to say man had to restrict himself and overcome any selfish desire. The practice ideas of ren are Keji fuli(conquering the self and return to ritual), Xiao(孝), Ti(悌), Zhong(忠), and Shu(恕). Keji fuli, that is, is to control oneself well and act corresponding with social norms. Xiao is based on serving one's parents heartily and obeying them. Ti is based on attending one's older brothers and people sincerely and assisting them. Zhong goes with sincerity and true heart, while forgiveness is to generously forgive others' faults as one forgives one's own faults by oneself. For this reason the idea of ren is concretized by loving father and son, brothers, further, mankind.

      • 공자의 교육철학과 그 실현에 관한 연구

        김성인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현대 우리사회는 물질적로는 풍요로운 삶을 누리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도덕성, 정신적 성숙 등의 내면적 가치보다는 물질적 가치를 숭배하는 물질만능주의가 팽배하는 등 다양한 사회병리현상과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현상과 문제점이 사회 정의와 도덕성에 깊은 관련이 있다면 가정과 더불어 학교 교육이 갖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교육은 사회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사회의 중요한 구성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오늘날 교육은 타인과의 끊임없는 경쟁과 출세, 명성만을 위한 ‘위인지학(爲人之學)’을 추구하기 때문에 자기 수양과는 거리가 먼 길을 가고 있다. 그러므로 자기 수양을 추구하는 공자의 교육철학은 오늘날 교육현장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하여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공자는 “옛날의 학자들은 자신을 충실히 하기 위해 공부했고, 오늘날의 학자들은 남에게 인정받기 위해 공부한다.”라고 말하였다. 공자의 공부는 자신과 더불어 타인과의 올바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자기 수양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에 논자는 공자의 교육철학을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 등으로 세분화하여 오늘날 교육현장에 적합한 실현방안으로 연구했다. 공자는 인(仁), 의(義), 예(禮)의 윤리적 토대 위에서 학식과 도덕성을 갖추고 현실에 참여하는 지성인인 군자(君子)를 육성하고자 했다. 인은 사람을 향한 사랑이며, 의는 인의 표현에 있어서 그것이 올바른 것인가에 대한 도덕적 판단기준이며, 예는 인의 표현으로서 바른 마음가짐과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양식이다. 공자는 군자에 이르는 실현방안으로 제자들에게 시(詩), 서(書), 예(禮), 악(樂)과 육예(六藝)를 교육했다. 시는 정치적 외교적인 능력을 키우고 인격도야와 덕성의 함양을 추구하기 위함이고, 서는 선왕들의 치국의 경험과 교훈을 배움으로서 장차 정치에 종사하게 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고, 예는 사회의 구성원으로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기 위하여 필요함이고, 악은 정서의 순화와 사회의 풍속을 바로잡는 역할을 위한 교육이었다. 나아가 다섯 가지의 개인과 국가에 관련된 예로 이루어진 오례(五禮), 여섯 가지의 음악으로 이루어진 육악(六樂), 네 가지의 활 쏘는 법과 겸양의 예로 이루어진 오사(五射), 다섯 가지의 수레를 모는 법으로 이루어진 오어(五御), 문자의 습득과 문서작성을 위한 육서(六書), 아홉 가지의 계산법으로 이루어진 구수(九數) 등을 말하는 육예(六藝)를 가르친 것은 공자의 교육이 실용성을 추구하였음을 말해준다. 공자는 이러한 교육을 행함에 있어서 제자들의 생활환경, 학문의 성취수준, 인성적 특성 등을 파악하여 가르치는 방법과 교육 수준을 달리했다. 이러한 수준별, 개별 교육법은 오늘날 교육 현장에서 개인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교육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들의 해결 방안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공자는 스스로 “배우되 싫증 내지 않고, 남을 가르침에 지치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는 공자의 교육철학에서 나타나는 교육자와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태도를 그가 솔선수범하며 실천하였음을 말한다. 교육자는 배우고 가르친다는 것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끊임없는 노력을 해야 하며, 학습자는 배움을 향한 쉼 없는 노력과 열정을 가져야 한다. 교육자와 학습자의 이러한 태도는 교육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공자가 살아간 시대와 약 2500년이라는 시간적인 차이가 있는 오늘날의 교육 현장과 우리의 삶을 살펴보면, 사람과 사람이 어울려 살아가며 상호 작용하는 속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은 정도의 차이는 있을 지라도 본질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공자가 보여준 교육자로서의 솔선수범하며 실천하는 모습은 오늘날의 교육자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며, 또한 학식과 도덕성을 갖춘 군자를 육성하기 위해 인, 의, 예라는 윤리적 바탕위에 실시한 실용적인 학문 교육과 제자들의 개별 특성을 고려한 세밀한 교육 방법은 오늘날 학교 교육에도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각종 사회병리 현상과 문제들이 혼재되어 있는 현대사회에서 사회정의와 도덕성을 갖춘 학교 교육의 실현을 위한 진정한 지침으로 삼기에 손색이 없음을 의미한다.

      • 공자사상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고찰 :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유아름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 록 본 연구는 ‘인성교육진흥법’이 발의 된 이 후 공자의 교육사상을 사회적 이념과 성향에 흔들리지 않는 인성교육을 위한 교육사상적 지표로서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공자사상의 인성교육에 대한 선행연구가 공자의 교육방법과 교육중점사항의 설명에 국한 되어 있어, 오늘날의 인성교육에 공자의 교육이 어떠한 교육철학적 의의를 갖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공자사상의 교육철학적 지표로서 가능성과 타당성을 교육학적으로 밝히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인성함양의 교육방안에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교육학적 타당성의 증명을 위해 계몽 철학과 경험론 철학의 원조로 불리는 John Locke, 실용주의를 미국의 철학으로 자리잡게 한20세기의 가장 유명한 교육가 John Dewey, 인지발달이론의 대표학자 Lawrence Kohberg의 교육이론을 활용하였다. 공자의 교육사상은 공자사상의 정수인 『論語』를 중심으로 하되, 공자의 교육사상적 면모를 찾아 볼 수 있는 『周易』, 『中庸』, 『大學』등의 유교서적을 참고로 하였다. 인성교육 방안의 단초는 현재 ‘인성교육진흥법’이 제시하고 있는 핵심 가치 덕목 중, 공자의 교육사상과 부합하는 ‘禮’, ‘孝’, ‘修己’, ‘反省’, ‘讀書’에서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공자의 인성교육이 교육철학적 지표로서 타당성과 효용성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 하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을 통해 공자의 인성교육은 ‘삶’ 그 자체일 때 가장 완벽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르치는 것이 아닌 성숙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시한 인성교육을 하였다는 것에, 공자의 교육은 현 인성교육이 나아가야 할 진정한 방향성에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공자(孔子)의 교육사상에 기초한 초등학교 인성교육 방안

        김인혜 서울敎育大學校 敎育專門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인성교육이 필요하나 이에 상응하는 교육적 실천이 부재하고 있다는 점을 문제의식으로 삼아, 우리나라의 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공자(孔子)의 교육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인성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는 교육적인 노력을 통해 인성교육의 근본적인 의미를 제고하고 인성교육에 관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도덕과 교육에 일조가 되기를 바라는 기대감의 일환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인성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구체적인 인성교육의 지향점을 논의하였다. 인성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이 미래 사회를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기본적인 가치 및 존중, 정의, 민주 시민적 자질 등의 핵심 윤리적 가치를 이해하고, 이를 실천하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성교육의 내용은 가치와 자질로 이해되는 도덕과 교육과정의 인성요소가 그 중심이 되며, 그 지향점은 인성교육에 앞서서 인성 개념을 올바르게 정립하고, 도덕·윤리과 교육을 인성교육의 중핵교과로 여겨 그 계열성을 확보하고, 교사와 학부모 더 나아가 학교와 지역사회가 서로 협조하며 그 안에서 학생 스스로 지켜야 할 규범을 정하고 반성할 수 있는 안내자의 역할 수행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초등학교에서 인성교육은 교과교육이나 창의적 체험활동 등 다양한 교육적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의 인성교육은 주로 담임교사에 의해 진행되고 있으며, 현실적인 여러 여건의 제약으로 인해 인성교육 본래의 목표가 충분히 구현되고 있지 못하다. 특히, 인성교육은 이론적인 지식의 영역에 국한하지 않고 자신의 실제 생활에서의 실천 영역에 보다 비중을 두어야만 그 의미가 분명해질 수 있다는 점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성교육은 학교·가정·지역사회가 서로 협력했을 때 교육 내용이 더 다양해지고 풍부해질 수 있으며, 학생들의 만족도 측면에서 교과내용 뿐만 아니라 예술 및 스포츠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성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성교육 본래의 취지를 살려 학생 주도의 자율적이고 실천·체험적인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인성교육 현황 분석의 일환으로 제시된 인성교육 우수학교 사례 및 사설 단체의 인성교육 우수 사례를 통하여, 현재의 인성교육은 다양화 하고 있으며 일부의 가시적인 효과를 도출하고는 있으나, 상대적으로 여전히 인성교육자의 전문성 신장이나 이론적 내용 및 교육방법 심화 등에 있어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한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인성교육의 내용과 방법의 심화 측면에서 공자의 교육사상은 실천, 공감, 개별화 등의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공자(孔子)의 교육사상과 인성교육에 관하여 탐구하였다. 첫째, 공자를 비롯한 유가(儒家) 철학에서 덕은 본성적 측면보다는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본성의 실현은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하는 도리를 실천해야 한다는 실천성의 측면이 늘 강조되었다. 구체적인 실천의 문제에 있어서, 인(仁)을 실천하는 양식으로서 예(禮)와 점진적인 가치관계 확장으로서의 효제(孝弟) 등을 들 수 있다. 인(仁)의 시작은 효도와 공경이며, 이를 확대하여 가정, 사회, 국가, 천하에 실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자가 강조하는 덕의 실현 즉, 덕행(德行)은 사회적 인간으로 거듭나는 노력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공자가 제시한 충서지도(忠恕之道)의 의미처럼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은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이러한 타자와의 소통방식과 소통과정은 교육적인 측면에서 강조하는 공감이며, 유가에서의 공감은 가장 기본적인 소통단위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공자가 발문을 중심으로 제자들을 교육한 방법을 󰡔논어(論語)󰡕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제자들의 평소의 성격이나 행동 양식, 지식과 인격의 정도, 성장 과정 등을 고려하여 각자의 상황에 맞는 눈높이 교육 또는 맞춤식 교육을 진행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맞춤식 교육의 이면에는 기본적으로 시중(時中)이라는 교육 원칙이 바탕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공자의 교육론을 바탕으로 인성교육의 원칙으로서 사덕(四德)과 관련한 실천적 덕론을, 인성교육의 방법적 원리로서 충서지도(忠恕之道)를, 수업 운영과 관련한 문답식 수업의 의미 등을 󰡔논어(論語)󰡕 원전 분석과 연관하여 논의함으로써 실천성, 공감, 개별화 등을 중심으로 하는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서의 인성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공자의 교육사상은 현 시대의 인성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풍부한 내용과 다양한 접근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이고도 지속가능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character education plan based on the educational ideas of Confucius, who had a profound influence on education in Korea, by taking issue with the need for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at present, but there is no corresponding educational practice. This is also part of the expectation that the fundamental meaning of character education will be enhanced through educational efforts and that it will contribute to morality and education by seeking various ways of character education. To this end, in this study, the goals and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were first examined and the specific directing point of character education was discussed. The goal of character education i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and practice basic values and core ethical values such as respect, justice and democratic civic qualities in order to live successfully in a future society. Therefore, the purpose of character education can be set up as the right establishment of character concept prior to character education, morality, ethics, and education as the core subjects of character education to secure its affiliation, furthermore, teachers and parents,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within them, the role of a guide who can set and reflect on the rules that students should follow on their own. In elementary schools, character education is conducted through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but it is generally implemented as subject education or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recall that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mainly conducted by homeroom teachers, and its meaning can only be clarified if it is not limited to the area of theoretical knowledge but also places more weight on the area of practice in one's real life.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character education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best cases of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he best cases of character education in private organizations, which are presented as part of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Character education can become more diverse and rich when schools, families, and local communities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it is desirable to operate program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art and sports as well as curriculum in terms of students' satisfaction, and it is necessary to operate student-led autonomous, practical and experiential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character education. Next is the exploration of Confucius' educational ideas and character education, which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research topic. In the philosophy of Confucian scholar, including Confucius, it has always been emphasized that the realization of the nature of virtue granted by heaven rather than the nature of virtue should practice the proper duty of human beings. In the matter of concrete practice, propriety(禮) can be cited as forms of practicing benevolence(仁) and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孝弟) as gradual expansion of value relations. The beginning of the benevolence(仁) is filial piety and reverence, which is to expand and realize in the home, society, state and world. Therefore, the realization of virtue emphasized by Confucius, or virtue, can be seen as a process of efforts to be reborn as a social human being. Also, the meaning of faithfulness and benevolence(忠恕之道) as Confucius suggested, the love of others begin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others' minds. This method of communication and process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is a sympathy that is emphasized in terms of education. Sympathy in the philosophy of Confucian scholar is the most basic unit of communication. In addition, if you look at the way Confucius educated his disciples based on their learning in the Analects of Confucius(論語), you can see that the disciples were educated at an eye level or a customized level, considering their usual characteristics, behavior patterns, level of knowledge and character, and the process of growth. Behind this custom-made education was the principle of education, which is basically time-based(時中). Finally, based on Confucius' theory of education, this study suggested a plan for character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by discussing practical virtues related to four virtues(四德) as a principle of character education, faithfulness and benevolence(忠恕之道) as a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question-and-answer classes related to teaching methods in connection with the analysis of the original text of the Analects of Confucius(論語). As we saw above, Confucius's educational ideas provide future-oriented and sustainable educational implications by providing various approaches and rich contents in exploring ways to educate character in the present era.

      • 제7차 중등 도덕윤리 교과서의 孔ㆍ孟 윤리사상 서술 및 관점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

        김수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has been written to suppose that the writing of Confucius(孔子) and the Mencius(孟子) ethics in the current 7th educational curriculum need some complements in a trial to show alternatives in examining topic points related to them. Currently, the social and historic background the Confucius and Mencius ethics has come up is so simply explained in the current middle-high school ethics textbooks that students are unable to have a basic grasp of their thoughts. Furthermore, the main concepts and items are so separately defined or written that the novices can make themselves misunderstood, which leads them to think incomprehensively, not including extensive thoughts which involves co-related concept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other similar issue. The mentioning of the source book which involves Confucius and the Mencius ethics is so ultimately restricted, written in the current textbook. As a result, it is issued critically that middle&high school students memorize the simple fact when they learn moral & ethical curriculum. This point of view has been said to be a problem that the East Asian ethics curriculum has since past years been considered not to be appropriate for the achievement of the educational aims in ethics curriculum. The Confucian and Mencius ethics forms at the time when ancient China is more confused than ever, the main contents of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ocial and historic background in which two men of thought live. Therefore, we can’t proper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onfucius and Mencius ethics unless we don’t apprehend the situation to some degree where the Confucius and Mencius live at that time. What the Confucian and Mencius ethics in the current textbooks has been described, by overlooking or omitt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phases of the times and the formation of ethics, makes the learners understand the meaning of ethics of them improperly and be doubtful of whether or not the ancient ethics has been of profound significance nowadays. 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the Confucian and Mencius ethics in the current textbooks has been considered to be fragmented and disjunctive because the describers of ethics prefer arranging the cores to citing the living source book. This method of explanation of ethics causes the middle-high school students to simply memorize the fact. The Confucian and the Mencius ethics that was first made in the confused period, Chunqiu-Zhanguo(春秋戰國) epoch of China history was supposed as an attempt to straighten out the orders of the confused society in disorder. If we look at the description of the Confucian and the Mencius ethics, we know that the backgrounds of two men of thought were explained by connecting them to ethics rather than to the formation of ethics. The Confucius and the Mencius view the age of Yao(堯), Shun(舜), Yu(禹), Tang(湯) Wenwang(文王), WuWang(武王) in Zhou(周) as the ideal society. As the Confucian ethics is prior to the Mencius’ by 100 years,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contents they put emphasis on.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can easily have a grasp of the main concepts of ethics provided that the social & ideological background the Confucius and the Mencius belongs to and close connections among the formation of their ethics is more emphasized and presented. Another issue that needs improving in the description of the textbook is that we should stop the Confucius and the Mencius’ crucial concepts and items from being written separately and have a distinct view of the co-relationship and their own organic association. Confucius and the Mencius’ crucial concepts and items not only have a mutual effect on each other but also is so similar internally as pursues and streamline they eventually aim for. It is possible that the students who learn moral & ethical textbooks wrongly take into account that the Confucius and the Mencius’ crucial concepts and items are not mutual but separated. This is because the definition of their concepts and items were separately written. The Confucius and the Mencius’ crucial concepts exist not by themselves; they mutually affect each other. In addition, the main point of view of their concepts changes according to the era and social environment. That’s why the Confucius and the Mencius’ crucial concepts are written as they are an organic structure, not existing separately. One of the issues which has been mentioned about the East Asian ethics is that making use of the source book is barely considered when the main concepts or items are explained. The main contents of ethics are asserted and fragmented by showing the basic meaning of ethics using the key words which are used to explain what ethics is. Nevertheless, one can be understood by citing the living words in the source book. You can find the cores of ethics only in the source book. The more focused on you are on only depicting the ethics without taking source book into consideration, the more passively students are liable to learn, excluding the active thoughts with which students try to find meaning. The textbook writer and teachers help students form the process of thoughts with suitable and effective citation of source book so that students can easily have a grasp of ethics throughout the process of thoughts and sights. The argument over complements and improvements of the writing of textbook in the current curriculum is urgent and important, as the curriculum is being devised and the textbook writing regulations are published. It is said that this argument is of great importance and urgency as a trial to have learners make the education of Confucius and Mencius ethics meaningful and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aims of ethics curriculums. What I have discussed to find improvements for the 7th curriculum textbook writing has some limits such as a restraint to arguments or being confined to textbook writing. However, what I’ve argued for is to bestow a tinge of meaning on the subsequent textbook ethics education. 본 논문은 현행(제7차) 道德倫理科 중ㆍ고교 교과서에 실려 있는 孔子와 孟子의 倫理思想에 대한 서술에 몇 가지 補完의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하고, 이와 관련된 논점들을 論究하는 가운데 그 代案을 제시한 시도이다. 현재 중ㆍ고교 도덕윤리 교과서 내에서의 孔ㆍ孟 윤리사상에 대한 서술은, 그 시대의 상황에서 공자와 맹자의 윤리사상이 나타나게 된 時代的ㆍ社會的 배경에 대한 설명이 단순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孔ㆍ孟의 윤리사상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어렵게 하는 면이 있다. 또한 주요 개념 및 덕목들이 각기 따로 定義되거나 서술되고 있어서 학습자가 전혀 다른 개념으로 이해할 가능성이 있고, 다른 개념들과 聯關지어 이해하고 생각하는 擴張된 思考를 유발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한편으로 기왕에 지적이 나온 것으로는 다음 사항도 있다. 현행 교과서들에서는 그 윤리사상이 담겨 있는 原典의 발언을 극히 제한적으로만 활용하고 있어 중등 학생들의 도덕윤리 학습이 단순한 개념의 암기 수준에 머무를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는 지적이 그것이다. 이 점은 그 동안 현행 도덕윤리 교과서 중 東洋倫理 부분의 서술이 안고 있는 문제점으로 제기되어 왔고, 사실상 도덕윤리 교과의 교육 목표 달성에도 그리 적합하지는 못한 면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孔子와 孟子의 윤리사상은 고대 중국 역사상 가장 혼란한 시기에 탄생한 思想들로, 그 주요 내용은 두 思想家가 각각 활동한 시대적ㆍ사회적 배경과 不可分의 관계를 갖는다. 그러므로 공자와 맹자가 살았던 당시의 상황에 대한 이해가 어느 정도 갖추어져 있지 않고서는 그 의미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어렵다. 현행 교과서의 공ㆍ맹 윤리사상에 대한 서술은 거의 대부분이 그 時代의 상황과 倫理思想 형성 간의 관계를 생략하거나 소홀히 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이해를 어렵게 하고 있고, 또 古代의 윤리사상이 오늘날에도 모종의 살아 있는 倫理的 意味를 지닐 수 있는지에 대해 의구심을 갖게 하고 있다. 중국의 역사 가운데 春秋戰國時代라는 혼란의 시기에 제시된 孔子와 孟子의 윤리사상은 기본적으로 고통스럽고 어지러운 현실 사회의 질서를 바로잡기 위한 動機에서 출발되었고 展開되었다. 현행 道德倫理科 교과서의 공자와 맹자의 서술을 보면, 각자의 사회적 배경이 윤리사상 형성에 연결되어 서술되기보다는 단지 윤리사상 설명에 덧붙여 서술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공자와 맹자는 고대 중국의 堯(요), 舜(순), 禹(우), 湯(탕), 周나라 文王과 武王의 시대를 理想的인 社會의 모습으로 보았는데, 한편으로 공자와 맹자의 이론 또는 주장 간에 약 100년 정도의 차이가 있으므로 각자 강조했던 내용 간에도 차이가 있다. 孔子와 孟子가 각각 처했던 시대적ㆍ사회적 배경과 각자의 倫理思想 형성 간의 긴밀한 관련성을 부각시켜 교과서의 서술이 이루어진다면, 핵심 윤리 개념들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가 훨씬 용이해질 것이다. 교과서 서술에 改善이 요청되는 또 한 가지 방면은, 공자와 맹자의 주요 개념 및 덕목들을 分節된 의미로 제시하는 서술을 지양하고 상호 간의 밀접한 상관관계 또는 有機的 관계를 최대한 드러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공ㆍ맹의 윤리사상에서 각각의 덕목은 분절되어 있다기보다 상호작용을 주고받을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방향이나 맥락에서는 그것들 간에 서로 내면적 類似性을 갖고 있다. 현행 교과서는 각각의 定義가 따로 서술되어 있는 부분이 많아 학습자가 덕목들을 서로 無關한 것으로 잘못 이해할 소지가 있다. 孔ㆍ孟 윤리사상의 주요 개념들은 독립되어 존재하지 않고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또 시대적ㆍ사회적 배경에 따라 강조의 내용이 바뀌기도 한다. 그러므로 그것들은 分節된 개념들로서가 아니라 有機的으로 연결되어 있는 덩어리로서 서술되어야 한다. 東洋倫理思想의 서술 전반에 관하여 그 동안 지적되어 온 것의 하나는 기본적 개념 또는 덕목의 설명에 있어 原典의 인용 및 활용이 소극적이라는 점이다. 윤리사상의 주요 내용들에 대해 원전의 살아 있는 발언들을 인용하여 설명하기보다는 核心語를 들어 주요 개념들을 나열하고 설명하는 방식을 주로 취함으로써 단편적이고 선언적이라는 지적이다. 思想의 핵심적인 내용을 발견할 수 있는 뿌리는 原典이다. 원전의 내용을 살피지 않고서 그저 내용을 간추려 설명하는 데에만 급급할수록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의미를 파악하는 思考의 과정을 생략한 채 수동적인 학습에 머무를 가능성은 그 만큼 커진다고 할 수 있다. 교과서 개발자와 교사가 해야 할 역할은 학생들로 하여금 思考와 自覺의 과정을 통해 倫理思想의 意味를 파악할 수 있도록 原典 발언의 풀이와 적절하고 유효한 인용을 통해 思考 過程의 형성을 도와주는 역할이다. 현행 敎育課程의 교과서 서술에 대한 補完 사항의 논의와 改善方案에 대한 논의는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 집필 지침이 公布된 현 시점에서 긴요한 사안이고 時宜 적절한 작업이다. 공ㆍ맹의 윤리사상에 대한 교육이 道德倫理科의 교육 목표에 부합하고 학습자에게 충분히 의미 있는 倫理敎育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노력으로서는 더욱 이 작업이 절실하고 중요하다고 하겠다. 儒敎 윤리사상의 定礎 단계에 속하는 공자와 맹자를 대상으로 교과서 서술의 개선방안을 모색한 본 논의가, 비록 그 準據(준거)가 제한적이고 그 범위가 교과서 서술에 한정되는 등 여러 가지 한계가 있긴 하지만, 次期 교과서 집필 및 윤리교육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을까 하여 논의를 해보았음을 밝혀둔다.

      • 孔子의 統治觀에 關한 硏究

        손영자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3 국내석사

        RANK : 247807

        以上 孔子의 統治觀에 關하여 『論語』를 中心으로 考察해 보았다. 孔子의 政治思想은 時代的 背景은 다르지만 孔予時代의 社會的 狀況과 오늘날의 狀況은 여러가지 点에서 類似点이 많다. 孔子는 周社會 秩序의 崩壤를 社會的 危機로 간주했으며 同時에 周社會秩序의 反映인 禮를 總對的이고 普遍要當한 社會秩序로 抽象化시켰다. 그리고 이미 變化된 社會狀況에서 이 社會秩序를 再建하기 위하여 孔子는 德治를 主張했다. 孔子는 當面한 社會的 危機의 根本原因이 바로 統治者인 君子의 道德的 墮落에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墮落한 君子(世襲貴族 또는 統治者)에 대해서 孔予는 새로운 類型의 統治者인 君子를 提示했다. 孔子는 政府와 統治者, 官吏 등의 役割 및 充員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信念을 갖고 있었다. 「政府의 固有한 目的은 全體 白姓의 福利와 幸福이다. 이 曆的은 政治에 가장 有能한 사람이 國政을 擔當할 때 비로소 達咸될 수 있다. 爲政者의 能力은 家門, 財産 또는 地位와 必然的인 關聯性이 없으며, 오직 人格과 知識에 달려 있다. 人格과 知識은 適切한 敎育의 産物이다. 가장 뛰어난 人材들이 能力을 發揮하도록 敎育은 널리 普及되어야 한다. 따라서 適切한 敎育을 받은 結果 가장 能力을 發揮할 수 었는 存在가 된 사람을 全體 國民 중에서 選拔하여 政治를 委任해야 한다. 」 새로운 統治者像인 君予는 百姓들이 統治를 委任할 수 있도록 반드시 높은 道德性을 쌓은 道德的 存在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以前의 君子와는 區別된다. 孔子는 當時 權座를 차지하고 있는 君主와 같은 사람들이 繼續 政治를 左右하는 한, 自已가 생각하는 理想世界가 具現될 수 없다는 것을 認識하였다. 그래서 孔子는 政府의 行政機能을 有德·有能하며 適切한 敎育을 받은 大臣들에게 委任할 것을 君主에게 說得하였고, 靑年들을 敎育하여 그러한 大臣들을 만들려고 努力하였다. 그러나 民主主義의 觀點에서 본다면 孔予의 態度에는 가장 有能한 사람이 任用되는 것을 保障할 수 있는 制度的인 裝置가 없다는 缺陷이 있다. 孔子는 投票하는 方法도 利用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항시 이에 필요한 平民敎育도 전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며 보다 중요한 점은 古代 그리스에서는 投票라는 것이 잘 알려졌을지라도 古代 中國에는 이것을 생각해 본 사람도, 들어본 사람도 전혀 없었을 것이다. 이것은 그의 歷史的인 立場에서 본다면 不可避한 일이었다. 孔子는 道德的 修養을 한 君子에 의한 統治야말로 統治받는 百姓들과의 社會階層的 矛盾을 뛰어넘어 百姓과 함께 더불어 살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했다. 孔子思想을 評價한다면 古代中國의 政治生活과 文化生活에 巨大한 影響을 미졌다는 점, 中國思想史上 가장 처음 提示된 系統的인 理論體系라는 점, 그리고 그의 哲學觀點이 神權的인 束縛에서 벗어나 "人間"의 實際生活에서 考察되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孔子는 社會的인 問題를 結局 人間的인 즉 '主觀的 倫理的' 問題와 同一視함으로써 社會發展의 '客觀的'인 問題를 充分히 考慮할 수가 없었다. 그는 그 當時에 일어나고 있는 根本的인 社會變化의 客觀的인 根據를 當代의 社會生産力의 本質的인 增加와 聯關하여 說明할 수가 없었다. 孔予는 當時의 社會的 危機의 原因을 統治의 所任을 맡은 君子들의 道德的 墮落에 있다고 보는 主觀的 要因만을 强調했을 뿐이다. 또한 孔子의 制度에는 全體 百姓이 政治에 影響力을 行使할 수 있는 效果的인 方法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理論的 限界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孔子의 統治思想이 提示하고 있는 道德政治의 理想은 時代와 場所와 制度를 超越한 共同體와 그 長의 人間問題에 結付되어 普遍的 價値를 이루고 있는데 그 永續性을 認定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지급은 올바른 統治者像이 喪失된 時代라 할 수 있다. 이미 言及하였듯이 統治에 대한 意味를 擴大 解釋하여 韓國 社會의 모든 社會集團에 適用시켜 볼 때 家庭에서는 治者의 位置에 있는 家長에게, 企業에서는 企業主에게, 學校에서는 스승에게 君子의 德이 要求되어진다. 그리고 國家에서는 統治者에게 道德的 修養을 지니고 統治하기를 要求하고, 模範을 보여 아랫사람들을 바르게 이끌어 가기를 期特한다. 특히 國民에게 權限을 위임받은 政治人은 투철한 責任意識이 있어야 하고, 君子의 德으로서 政治에 임할 때 비로소 國民的 信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民主主義 時代에 무엇보다도 重要한 것은 統治者만이 이러한 德을 지니려고 努力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被治者인 一般國民도 道德的 修養에 의한 德을 갖추려고 끊임없이 努力하여 一般的인 道德水準을 높이는 일이다. 그리고 治者는 韓國 社會가 志向해야 할 올바른 價値觀을 提示하고 模範을 보일 때 被治者인 모든 國民도 政府를 믿고 각자 自身의 位置에서 올바른 方向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 孔子의 敎學思想에 나타난 人性敎育 硏究

        이미영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적 질서가 붕괴되어 가는 과정 속에서 인간의 가치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했던 공자의 인성교육을 살펴봄으로써, 오늘날의 경쟁논리와 경제논리가 교육현장에 작용하여 발생하는 비교육적인 문제를 공자가 실천한 인성교육을 통해 도덕의식과 윤리의식을 회복하는데 있어 그 단초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공자의 《論語》를 기본 텍스트로 삼아 인성교육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공자의 교육관과 인성의 본질을 인성교육의 내용과 학습방법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아울러 공자의 인성 교육을 통해서 오늘날 우리의 인성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여 공자의 교학사상에 나타난 인성교육을 연구하였다. 첫째, 공자는 인간을 교육을 통해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의 존재로 인식하였다. 자득에 의해 본연의 순수한 본성을 회복할 수 있다고 보고 각자의 능력과 재질에 따른 교육을 통해 개인의 인격완성을 추구함으로써 이상적인 사회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공자는 군자를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인간이 실천해야 할 仁을 중심사상으로 삼았다. 둘째, “시에서 흥기하고, 예에서 바로 서며, 음악에서 완성한다(興於詩, 立於禮, 成於樂<論語/泰伯>.”에서 알 수 있듯이, 공자는 배움과 실천의 내용으로 본성계발을 위한 시, 도덕실천을 위한 예, 인성함양을 위한 음악을 가장 중시하였다. 셋째, 공자의 교육사상이 오늘날 교육사적으로 그 의의를 가지는 이유는 학습자의 인격형성을 위해 인성교육을 실시하였고, 또한 학습자의 개성과 자질에 따른 개별화 교육을 함으로써, 학습자의 중심의 계발교육에 중점을 두고 생활중심의 교육을 실천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볼 때, 공자의 인성교육에 대한 연구는 오늘날 만연하고 있는 교육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방향을 제시하여 해결방안을 도출해 내기에 충분한 이론적 바탕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ersonality education of Confucius who tried to restore the value of human beings in the process where moral order is being destroyed and to provide a clue to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as the logic of competition and economics are applied to the education by restore the sense of moral and sense of ethics through the personality education that Confucius practiced. Based on the 《Analects(論語)》, his philosophy of education which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ersonality education,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were reviewed. Additionally, humanity education shown in instruction ideology of Confucius was studied by setting the direc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his theory and principles. First, Confucius perceived human beings as the existence of possibility that can be changed through education. He thought that human beings could restore their natural purity through self-realization and tried to realize the ideal society by pursuing the completion of personality through the education matching with their own talents and capabilities. As such Confucius presented an ideal model role called Junzi(君子) and placed importance on Selflessness and considered it as the core ideology that human beings should go for. Second, as we can see “It comes from poem, stands right from courtesy and completes from music (興於詩, 立於禮, 成於樂<論語/泰伯>), Confucius placed the biggest importance on Poem to develop natural characteristics for learning and practice, courtesy to practice moral and music to nurture and develop one's personality. Third, the reasons why his ideology is meaningful in the history of education are because he performed personality education to nurture the personality of the learners and practiced life-oriented education emphasizing the learner-oriented development education by introducing personalized education matching with the learn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alents. Considering this, the study on personality education of Confucius will present a direction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various educational problems and can be a theoretical ground to induce solutions.

      • 공자의 윤리사상에 대한 연구

        김형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는 현재에도 보이지 않는 사회 윤리와 가치관 속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그것에 의해 행동이나 사고에 제약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그런 사회 윤리와 가치관 역시 인간 활동의 문화적 소산이며 유산이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 맞는 새로운 윤리 확립을 위해서라도 우리는 과거를 돌아보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면 지금의 우리를 규정하고 제약하는 인간관계와 윤리는 언제 어디서 누구에 의해 시작되었을까. 인류가 발생하여 공동생활을 하면서부터 인간관계에 대한 규칙이 생겼을 것이 분명하지만 그것을 세련된 형태로 집대성하고 그 가장 핵심적인 것을 다듬어 낸 것은 지금보다 2500년 전에 살았던 공자가 아니었을까 한다. 따라서, 오늘날까지도 공자에 대한 수많은 專論이 계속 쏟아져 나오는 것도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그러나, 그 수많은 전론들이 바라보는 공자 상이 모두 같은 것은 아니다. 공자 사상은 봉건사상의 총화이며 극단적 보수 반동의 이데올로기라는 의견에서부터 가장 극단적이고 현실적인 혁명가라는 의견까지 그 수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이다. 더구나 공자의 그것은 박물관에 모셔 놓고 지적 호기심을 채우는데 그치는 선조의 유물이 아니라 오늘 이 순간에도 우리의 곁에서 숨쉬고 있으며 우리의 행동에 끊임없이 영향을 끼치는 가장 현재적인 것이기에 그 논쟁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 그러나 공자 자신은 저서를 남긴 일이 없을 뿐더러 공자 사후 각종 공자 설화의 발전과 중국 사회의 변화에 따른 왜곡이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이 공자 사상에 대한 논쟁은 그 정답을 가리기 힘들게 되었다. 그렇다면 과연 공자 사상에 현대적 가치를 부여할 만한 요소가 없는 것일까? 아니면 그런 일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는 사람들이 청산해야 할 전근대적인 사고 방식을 아직도 버리지 못하고 있는 것뿐일까? 우리는 역사 속에서 올바른 공자상과 공자 사상의 밝힘으로써 현재에 벌어지는 사상의 왜곡을 알아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예를 들어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박정희 군사 정권이 유교에서 충의 개념을 독재 정권에 대한 지지의 획득에 이용한 것을 공자 사상, 즉 유교의 본질을 밝힘으로써 타파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 모든 것은 공자와 공자의 사상이 현재에도 우리 곁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공자 사상에 대한 왜곡은 사상 자체에 대한 공격 뿐 아니라 공자 개인에 대한 공격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따라서 개인으로서의 공자가 속해 있던 사회를 이해하는 것은 올바른 공자 사상을 밝히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자가 살았던 시대적 배경과 생애, 공자의 강의와 저술을 통해 학문으로 발전한 유가의 기원을 알아보고, 공자사상에서 주요 핵심 용어인 仁과 禮를 통하여 공자의 윤리사상을 바탕으로 그의 윤리의 본질과 근본정신을 검토함과 동시에 구체적 내용들을 알아봄으로써 현대사회의 윤리규범으로 재정립하고자 한다. AT present, we live in a society where invisible social ethics and value judgement which control our actions and thoughts. But invisible social ethics and value judgments are our cultural heritages. So we cannot help looking back in order to establish new ethics coming up with our modern society. Who, where and when made human relationship and ethics which regulate our actions now? I'm sure that the rules about human relationship were born with the appearance of humankind and community living together, but it was Confucius who lived 2500 years before that trimmed the most important heart of the rules. Because of that, it is natural that there are a lot of constant researches about Confucius. There are countless opinions about Confucius because he was either one of the leaders of the feudal age or an extreme and realistic revolutionist. Is it possible for us to put modern value into Confucius's thought? The distortion about not only Confucius himself but also Confucius's thought itself are conspicuous. So, to understand a society which Confucius involved as an individual at his times is a good method to learn his thought more clearly. This paper is intended to delineate Confucius's lifetime, the background of the era, his lectures and his main concept of Li(propriety) and Jen(humanity) in order to re-establish ethics criterion in our modern society.

      • 孔子의 敎育方法 硏究 : 논어를 중심으로

        이영란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공자의 학문에 대한 연구는 그간 孔學이라는 학문분야가 성립될 정도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이 다분히 추상적인 용어로 되어 있고 모호하고 난해한 개념의 전문가적인 풀이에 그쳐, 공자의 교육사상과 교육방법에 대한 이해에 어려움과 아쉬움을 가져다주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공자의 학문 활동이 잘 나타나는 論語를 대상으로, 다가가기 쉽게 명확하고도 구체적으로 분석하려고 노력하였다. 論語의 문장 중에서 공자의 교육적 관점이 나타나 있는 문장들을 심혈을 기울여 모두 가려 뽑아 공자의 교육사상과 교육방법을 분석하였다. 특히나 본 논문은 공자의 교육방법 연구로 방향을 잡았다. 이는 교육방법이 교육사상의 토대로 나온 것으로 실제 학교현장에 있는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 가운데 가장 밀접한 연관을 가지며 보다 실질적인 부분이기 때문이다. 공자의 교육방법은 인격을 완성하게 하는 교육방법이기 때문에 예부터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銘記 되어 왔다. 더욱이, 서양학문에 바탕을 둔 현재의 교육학이론과 나란히 견주어도 전혀 손색이 없음을 발견하고 논자는 신이 나서 공자의 교육방법을 연구했고, 논문 쓰는 동안에도 흥미로웠다. 따라서 자연스레 현재 중시되는 주요 교육학이론과 접목시켜 쓰게 되었고, 공자의 교육방법이 현재에 주는 의의와 시사점도 함께 밝혔다. 19세기 계발주의 이념을 실천한 교육학자 페스탈로치는 올바른 교육만이 바른 사람과 바른 사회를 만든다고 말한 바 있다. (페스탈로치가 말한 계발의 의미는 공자가 말한 계발과 같은 인간성의 계발과 잠재능력의 계발이다.) 올바른 교육방법이야 말로 개인의 정체성을 확립시키고 더불어 사는 사회를 유지시키는 초석임을 명심해야겠다. There has been active studies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education method of Kongzi with the active studies with new academic field in Confucius established. However, such studies have brought substantial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education method of Kongzi for insufficiency in concrete analysis and abstract terminologies. Accordingly, this study has focused on intense and concrete analysis for the Analects of Confucius where the academic activities of Kongzi was well displayed. In other words, the focus was made for the writings that represented well of the educational point of Kongzi from the writings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analyzing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education method of Kongzi. In particular, this thesis has focused on the education method.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education method is formulated from the foundation of the philosophy that this is the part with the closest relationship in very practical part among the interaction of teacher and student in actual school site. The education method of Kongzi is the method to complete the human nature that it has been reminisced as the most ideal one from the old days. Furthermore, this method is completely comparable to the contemporary education methodologies based on the western academic background that this writer was able to concentrate more in the education method of Kongzi and such a passionate interest has continued throughout writing this thesis. Therefore, attempt was made to link and use with the currently valued key educational theories, and it indicated the implication in the educational of Kongzi in contemporary point of view. An education scholar who practiced the 19th century developmentalism principle, Pestalozzi, once said that the correct education would make correct people and correct society. (Meaning of development as mentioned by Pestalozzi would be the development of human nature and development of potential competency as mentioned by Kongzi.) It would be prudent to remember that the correct education method would be the way of establishing the personal identity and maintain the society where people live in harmony.

      • 孔子의 美學思想과 藝術敎育에 관한 硏究 : 詩敎를 中心으로

        김희정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는 공자의 美學思想과 藝術敎育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孔子(기원전 551-479)가 살았던 춘추시대 말기는 경제, 정치, 사회적 변혁기로 사회제도와 질서가 해체되었으며, 잦은 전쟁으로 人倫이 무너지고 백성의 삶은 매우 피폐해 있었다. 孔子는 제자들을 全人的 인간상인 「君子」로 교육해서 亂世를 改革하고 주대의 질서를 회복하여 理想的인 社會를 건설하고자 했다. 孔子는 藝術의 政治的&#8228;敎育的 效用에 관심을 가지고 情緖를 涵養하고 人格을 陶冶하는 방법으로 藝術敎育을 실시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하려는 藝術敎育은 예술이 갖는 교육적 효용에 근거해서 예술을 통해 인간의 심적 능력이라고 할 수 있는 지성, 의지, 정감 등을 배양하는 것으로, 인격의 발달을 원리로 하며 그 실현 방법을 예술에서 찾고자 하는, 예술을 통한 人間敎育이다. 즉 문학, 음악 등의 예술교과를 통해 인간 의식의 밑바탕이 되는 美的情緖를 형성하여 人性을 함양하고 조화로운 인간인 全人으로 나아감을 목표로 하는 교육을 뜻한다. 아울러 교사가 審美的 태도를 지니고 藝術의 原理를 통해 敎育의 &#21177;果를 높이는 것 또한 넓은 의미의 藝術敎育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술교육은 美를 추구하는 예술과 예술적 원리에 의한 교육으로 여기서 藝術的이라는 말의 함의는 절제와 조화, 균형과 질서로 유가미학, 즉 공문인학의 특성과 상통한다. 孔子의 교육사상은 仁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사마천의 『史記』, 「孔子世家」에는 孔子가『詩』&#8228;『書』&#8228;『禮』&#8228;『樂』으로 가르쳤는데, 제자가 3,000에 이르고 六藝에 몸으로 통달한 자가 72人이라고 되어 있다. 孔子는 예와 악과 시가 인이 겉으로 구현된 인의 구현형식이라고 보았으며, 예악과 시의 구현원리를 인으로 보았다. 따라서 연구자는『論語』를 통해 미적 정신인 인의 개념과 인의 구현형식인 예악과 시에 관해 논의하고 시교를 중심으로 공자의 예술교육에 관해 논의하였다. 『論語』는「仁」으로 一以貫之한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仁」에 대한 언급이 많이 나오지만, 孔子는 「仁」의 개념을 한마디로 규정하지 않았으며, 다양한 事例를 들어 그 모습을 밝히고 있다. 「仁」은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인간의 본성으로 「&#24910;」,「恭」,「寬」,「信」,「敏」,「惠」,「敬」,「忠」의 총체적 개념이지만, 제 덕의 算術的 合이 곧 「仁」이라고 할 수는 없으며 모자이크된 하나하나가 아니라 모두가 한 마음에서 나가는 것으로 圖解하자면 인간을 原點으로 하는 同心圓에 가깝다. 즉 「仁」은 상황에 따라 多樣하게 발현되면서도 결국은 一元的인, 다시 말해 다양성이 갖는 彈力性을 유지하면서도, ‘인간’과 ‘인간다움’이라는 求心點으로 집약된다. 따라서 개괄적으로 본다면「愛」라고 할 수 있는 미적 정신이다. 따라서「仁」은 人本主義的 實踐哲學으로 공자는 인본주의적 美學觀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禮」는 「仁」을 具現하는 形式이다. 節制, 調和, 秩序, 均衡이라는 藝術의 원리로 인간을 사회화시키며, 사회 속에서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기능을 한다. 또 「禮」는 고정불변의 형식이 아니라 「仁」이라는 본질과 유기적인 관계를 지니고 상황에 맞게 진보한다. 「樂」 또한 「禮」처럼 「仁」의 具現形式으로, 시와 음악으로 교육하는 것이 같은 것임을 알 수 있다. 「禮」와 마찬가지로 「樂」도 제사에서 근원했으며, 고대의「禮」와 「樂」은 본래 나눌 수 없는 것으로 「禮樂」은 調和와 秩序의 원리, 즉 藝術의 원리로 사람의 정감을 社會化시킨다. 孔子는 「詩」를 思無邪라고 정의하여 그 본질이 「仁」임을 밝히고 인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시로써 교육하였으며 본고에서는 시교를 중심으로 공자의 예술교육에 관해 논하고자 하였다. 詩는 인간과 사물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는 것이며, 관심은 곧 인간과 사물에 대한 사랑[愛]이고, 따라서 詩心은 곧 仁心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孔子는 시의 효용에 관해 “너희들은 어찌하여 詩를 배우지 않느냐? 詩는 意志를 興起시킬 수 있으며, 정치의 득실을 관찰할 수 있으며, 무리 지을 수 있으며, 원망할 수 있으며, 가까이는 어버이를 섬길 수 있으며, 멀리는 임금을 섬길 수 있고, 새와 짐승 풀과 나무의 이름을 많이 알게 한다.”라고 언급하고 시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詩는 인지적, 정의적, 심미적 복합구조물로 그 자체가 仁이며 欲仁, 行仁의 原動力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문학의 쾌락적 기능과 교훈적 기능은 동전의 양면과 같은 것으로 쾌락과 만족이 주는 힘이 우리를 자발적으로 움직이게 해서(感動 : move us) 바른 것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으로 이다. 詩敎를 제외하고서도 孔子는 인간적이며 심미적 태도를 지닌 교사로서 예술적인 방법을 통해 인간의 정감을 자극하고 성찰의 과정을 통해 연민과 공감의 세계로 이끌어 全人으로서 自我를 完成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知識敎育과 道德敎育, 人性敎育을 따로 보지 않았다. 이것이 孔子의 藝術敎育이다. 무엇보다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는 인간의 소외, 인간성 상실의 문제라는 점에서 인간과 인간의 현실에 주목한 공자의 교육사상과 교육방법이 교육의 지표가 될 수 있음을 확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