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동주택단지 거주자의 경관요구도 분석 연구 : 인천 송도국제업무단지를 중심으로

        이민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공동주택단지 경관에 대한 거주자의 요구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공동주택단지 경관 구성 요소에 대한 자료를 설문조사법으로 수집하고 통계적 분석 방법을 실시하여 거주자의 경관요구도를 실증하였다. 조사대상은 공동주택단지의 거주자와 공동주택단지 공급에 관여하는 전문가로 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우리나라 최초로 경관상세계획을 수립한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국제업무단지이다. 시간적 범위는 2021년 2월부터 2021년 10월까지이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자가 생각하는 공동주택단지 경관 구성 요소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모든 구성 요소에 중요도가 만족도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거주자는 공동주택단지 경관의 현재 수준을 필요 수준보다 낮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거주자와 전문가가 생각하는 경관 구성 요소의 중요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총 7개 요소에 대해서 거주자는 전문가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거주자는 공동주택단지 경관의 필요 수준을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실생활과 밀접한 단지 내부 경관뿐만 아니라 공공성을 갖는 단지 외부 경관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셋째, 2011년 경관지침 변경이 되어 공동주택단지 경관 특성이 다른 거주자 집단 간 경관요구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10개 요소에 대해 A 유형(변경 전) 단지 거주자가 B 유형(변경 후) 단지 거주자보다 요구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B 유형 단지 거주자가 A 유형 단지 거주자보다 단지 경관에 대한 부정적 감정인 불만족, 실망감 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검정을 통한 요구분석은 중요도의 가중치가 고려되지 않아 정밀성을 높인 요구분석 방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밀한 요구분석이 가능한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거주자의 경관요구도를 실증한 결과 A 유형 단지는 3개 요소가 최우선순위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B 유형 단지는 6개 요소가 최우선순위로 도출되었다. B 유형 단지 거주자가 더 많은 요구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2011년 경관지침 변경되어 단지 경관이 악화되었고 지침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t-검정, Borich의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요구분석은 특정 집단의 인식을 규명하는 다양한 경관 분야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둘째, 현행 공동주택 관련 경관지침과 관리정책은 요구분석을 통해 실효성을 진단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거주자 요구를 공동주택단지 설계 및 경관관리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절차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거주자(사용자) 입장에서 공동주택단지 경관을 고찰하였다는 데 있다. 경관 분야에서는 최초로 거주자의 실질적인 요구를 확인하였다. 향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회적, 공간적 배경을 달리한 다양한 경관요구 분석이 축척된다면 공동주택단지 경관 향상을 위한 실무적, 정책적 근거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공동주택단지, 도시경관, 경관요구도, 경관관리정책, 경관인식, 요구분석,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

      • 공동주택단지의 환경친화적 리모델링에 관한 연구

        김희철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나라 주택시장은 1980년대 달에 시작된 주택 200만호 건설로 인해 대규모 주택공급의 영향으로 1990년대 늘어 주택 보급률이 크게 늘어나는 등 주택부족문제가 완화되었다. 그러나, 대량의 획일적인 공급으로 인한 제반 문제들이 그러한 주택들이 노후화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이르러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 ‘주택의 질’에 대한 관심과 함께 재고주택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더욱이 1980년대, 1990년대 늘어 본격적으로 시작한 고층, 고밀도 중심의 공동주택단지들이 노후화되는 향후 2010년 정도에 이르러 엄청난 물량의 재고 노후주택이 생길 경우, 그것이 미칠 사회적·경제적 파급효과는 짐작하기도 어렵다. 1980년대 이후 고층·고밀도 중심의 주택공급으로 인하여 재건축 사업이 점차위축 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재고주택의 노후화의 개선 방안으로 재개발이나 재건축이 아닌 리모델링사업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학계 및 업계에서 그런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아울러 국민주택기금 지원확대 등 정부의 관심도 높아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리모델링에 관한 움직임은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전반에 걸친 여러 가지 부분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겠으나,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시대의 주요한 사회적 패러다임인 인간의 삶을 자연환경과의 공생을 통해 영위하려 하는 환경문제에 대한 공통되고 절실한 인식에서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재건축은 건축물을 재산 증식의 수단으로 경제성만을 추구하여 자원 및 에너지의 낭비, 환경의 오염에 일조하였고, 경제적, 시간적, 환경적인 측면에서 여러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시대의 패러다임에 입각하여 주거단지의 환경친화성 제고 및 삶의 질의향상을 목표로 하는, 공적자산인 주택의 재활용, 즉 주택의 리모델링에 대한 필요성을 연구의 배경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논의 중인 리모델링의 개념과 범위를 정의하고, 국내 공동주택 리모델링 시장의 등장배경 및 공동주택 리모델링 시장의 규모를 예측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부여하고자 한다. 또한 리모델링의 원인과 유형을 살펴본 후 공동주택단지 환경친화적 리모델링의 개념 밑 계획목표를 설정하고, 공동주택단지 리모델링시 적용가능한 환경친화적 계획요소를 추출하여 계획요소의적용가능성을 타진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특성과 리모델링의 제약요인을 고찰하고 공동주택단지의 환경친화적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향후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There has been endeavor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ll over the world after the Rio World Summit and the idea of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come common paradigm. Now, Korea has come to a situation where we need to apply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evitably. Especially multi-dwelling residental estates must be fundamentally change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ulti-dwelling residental estates has been built in Seoul in 1969 and become a representative hosing type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970's. The housing policy of Korea has been focused on the increase of housing supply in order to increase supply rate of housing on the basis of the national proposition of housing stability, and the housing of Korea has been expanded in volume. So in most estates constructed nearly 20 years ago, the problems and the increasing cost of maintenance has arisen as a result of the deterioration process. And redevelopment has been attempted to solve these problems redevelopment have neglected urban context and influenced badly on the society. High density, over-sizing of the city and the polarization between people has become worse than ever. Therefore, based on the necessity of sustainability of building and remodeling, as an alternative for redevelopment remodeling has been encouraged. Remodeling is to use the old buildings considered for economic feasibility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Remodeling has been a social issue for its sustainability and possibility to create new market compared with other construction methods. This study is aimed to apply the remodeling methods especially focused o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I call this Green Remodeling. The content of this study was to define Green Remodeling, to establish the basic principles and detailed design method Green Remodeling of multi-dwelling residental estates. The basic principles of Green Remodeling were found as follows ① saving energy and resources ② use of nature and recycling energy ③ saving and reuse of water resources ④ use of environmental friendly material ⑤ improvement of interior environment ⑥ conservation of nature bio-system and high contact of nature ⑦ design for interior flexibility and revitalization of community

      • 공동주택단지 보행환경 분석을 통한 외부보행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김성용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논문은 공동주택단지 외부공간을 구성하는 보행로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다양화되고 있는 외부 보행공간의 종류를 알아보고 단지 내 개발 가능성을 파악함으로써, 친환경 계획공간들이 주민들의 외부 보행로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사례대상지 현황분석을 통해 보행로 사용환경에 따른 계획방향을 설정하고, 분석함으로써 문제점으로 도출하였고, 공동주택단지 외부 보행로와 커뮤니티시설, 보행환경과의 연계성을 통해 보행로 계획을 보다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공동주택단지 외부 보행공간의 현황을 총체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보행환경을 고려한 계획요소를 보다 체계적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ypes of exterior pedestrian space installed in multi-unit residential complex by investigation ever diversifying pedestrian passages that form exterior space and to see whether nature-friendly designed space is used effectively on exterior pedestrian passages for residents. The study has obtain several points by setting up and analyzed plans in accordance with usage environment of a pedestrian passage through analysis on a case study area and was able to systematically categorize a pedestrian passage plan through integration with multi-unit residential complex, exterior pedestrian passages, community facility and pedestrian environment. By understanding the status of multi-unit residential complex and exterior pedestrian passages on the whole, it is feasible to grasp the controversial points and specific character and be able to suggest a systematic plan that considered the pedestrian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he study will find a way to improve the problematic points by grasping the special character of the current plan on the exterior pedestrian space for multi-unit residential complex. Second, the study will explore the types of the pedestrian space that are becoming systematically diversified and grasp development possibility for the pedestrian space usage environment within building complex. Third, the study will seek a systematic linking method whether the nature-friendly designed space could promote various activities in the pedestrian space. Fourth, the study will seek a way whether the nature-friendly designed space is being used variously in the pedestrian space within multi-unit residential complex. The analyzing method for this study is as following. The procedure to device a plan to organize the nature-friendly pedestrian space of multi-unit residential complex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as realiz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First, obtain the pedestrian environment plans that based on study results of nature-friendly residence plans and treatises of exterior space elements of multi-unit residential complex in Korea. Second, prepare a design list that could coincide with researches examined from the cases of nature-friendly residential complex and carry out interviews with residents as well as site investigation in order to analysis organizing condition of the exterior pedestrian space plan. Base on the result obtain from the above steps, the study grasped special character of the pedestrian space of complex entrance, mutual relation of life street in building complex and correlation of approaching strategy about the development of initial multi-unit residential complex and finds betterment for the pedestrian environment. These idea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paper explored about pedestrian studied in previous researches and general concept of multi-unit residential complex pedestrian based on existing literatures. Second, a check list, an analyzing tool on the pedestrian space designed elements was prepared and utilized in analyzing and investigating status through the site investigation on the case study area. Third, grasp the specific character of pedestrian space which was analyzed through the case study area and find a way to improve the pedestrian environment. Amid emerged brand-name apartments around the year 2000, varieties of exterior common space were introduced at the same time, thus this study has defined its range of the case study area within the multi-unit building and based on this fact, this paper choose 7 case study areas targeting brand apartments that marked top 10 from the 2007 construction ranking in multi-unit residential complex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is a fundamental study necessary for planning an exterior pedestrian space in multi-unit residential complex given the fact that it grasped and analyzed the recent increasing usage environment and pedestrian linkage of nature-friendly plans in the building complex from the pedestrian environment. The study analyzed space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by segregating the specific character of the plan in an exterior pedestrian passage by investigating status of the study case area of multi-unit residential complex. The result obtained in the study up to this investig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The cor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practical and yet problematic points through inquire into the usage environment of a pedestrian passage through analyze and investigation of actual usage of an exterior pedestrian space in multi-unit residential complex and by exploring the character of nature-friendly in terms of a pedestrian space, types and varieties of exterior space in multi-unit residential complex that are gradually under development. The evaluation by usage environment plans for pedestrian space is as following. (1) First, the evaluation on land usage pattern and allocation method that includes space utilization, convenience and connection demonstrate consistency, and showed difference in providing comfortable environment. The cause of difference in relation of pedestrian space, a green tract of land and community showed significant importance. Second, in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d parking system evaluation, the utilization of the program parking space in front of the main building in each case study unit showed unsatisfying result except the S unit. Moreover, all case study target showed over 60% of organized pedestrian passages that are nature-friendly. Third, in the evaluation for community space connection, a system that approach to main building of each complex instead of going through the sub-life-street from the main life street has been observed in general. Fourth, in composing nature habitat and preserv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organical connection with recreation space and the study has observed rich green space complex thanks to buffer zone green expansion around outer ring of the complex. (2) The key plan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of multi-unit residential complex are space utilization, nature-friendly feasibility, convenience, safety and connection and in terms of 'connection' among these five plans, the case study complex were demonstrating a similar level of reflection. (3) The importance of the level of reflection on the goal of the pedestrian passage space plan were showing the importance in the order of community space integration, forming a nature habitat and its preservation, land using pattern and allocation,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d the parking system. The pedestrian environment plan for the main building and the entrance should be designed a variety and effective way thus, there should be emphasis on integration with the pedestrian environment plan. The case study on multi-unit residential complex showed several aspects; while the exterior pedestrian space can encourage activity of residents based on many elements of the space, it was inadequate to influence in terms of systematic integration with green space and resting area, playing area and community facility which should be utilized collectively. Though the analyzing tool of this paper has been created based on planning elements, on activity that showed while using exterior space in multi-unit residential complex through literature inquiry, additional researches are necessary as objective data that focused on the viewpoint of the residents and on configuration psychology.

      • 공동주택단지의 도로교통소음 평가를 위한 실용적인 등급법 연구

        김지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ercentage of multiple unit complexes has nearly taken the half of the whole housing units as the population density increases. Various apartment contractors compete one another to house more tenants in their apartment complexes. They highlight the benefits of multiple housing units, stressing the location of the complexes, the right to a view, and the contractor brand recognition. This study expands the options for the prospective tenants to select their homes by including the noise level and the degree of its probable damage in the criteria. For this dissertation, the CadnaA program (Germany) and the RLS90 (Germany) as its formula are adopted in order to predict the road noise of ten apartment complexes under the project approval stage. The noise levels of the complexes are contrasted in general. The noise levels between buildings and floors are illustrated for comparison with the maximum values and the averages. This study introduces an effective grading method of the noise level and its damage for road noise, dividing the levels as 3dB(A) and 5dB(A) in the numeric and alphabetic serial. 인구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공동주택의 주거비율이 절반에 달하고 있으며, 주택의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공동주택간의 입주자 유치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시공사들은 공동주택의 이점을 부각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건으로는 단지의 위치, 조망권, 건설사 브랜드 등이 있다. 이처럼 입주할 단지를 선택할 때 소음의 피해정도를 일반인이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현재 주택성능등급표기에 실외소음에 대한 항목이 포함되어있으나 전체세대에 대해 4단계의 등급으로 10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에 대해서만 평가하고 있고, 녹색건축인증제도에 실외소음을 평가하는 항목이 있으나 최고소음에 대해 등급을 매기는 것으로 대부분의 공동주택이 최하위의 점수를 받는 실정이다. 단지의 평가와 더불어 단지 내의 입지조건에 따라 세대가 차별화되는 경우도 있으며, 실제로 조망권에 따라 분양가가 차이가 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음을 예측하는 프로그램으로 독일의 CadnaA, 예측식은 RLS90을 사용하였고, 최근 사업승인단계에서 소음도를 예측한 10개 단지에 대해 평가하였다. 공동주택단지 간의 소음도를 비교하였고, 단지 내의 여러 세대의 층별 소음도와 동별 소음도의 분포를 비교하고 최대값과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도로교통소음의 등급을 3dB(A), 5dB(A) 간격으로 나누어 알파벳과 숫자로 표기하는 것을 제시하였으며, 각각 5등급과 9등급으로 나누어진다. 단지의 소음평가를 하나의 등급으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소음범위를 등급화 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평균값이나 최대값의 소음으로 단지를 평가하는 것은 변별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단지 내 소음도의 분포가 20dB(A)이상이거나 각 동의 소음도 차이가 큰 단지가 다수 존재하므로 동단위의 평가로 소음등급을 차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한국과 일본의 공동주택단지 디자인 가이드라인 비교분석 연구

        조성모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as announced 'Design Guideline in the Multi Housing'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multi housing scenery' in 2009. This suggests the design standards, including the plan to harmonize with nature environments and diverse housing plans, in order to improve the ‘scenery’ of residential area. Also, metropolitan council, local communities, development districts as which the department of Land and Housing has designated, and the city of Seoul have been establishing all the design guidelines to improve quantity of the existing monotonous and standardized housing forms. However, such contents or the range of the design guideline differ by subjects, so there is a possibility to cause confusion, and also the effectiveness is being questioned.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design guideline, which is operating domestically, and defines the role. Also,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multi housing planning system of Japan which is similar to that of Korea as it would elaborate the characteristics and propose the implications The analysis on the concept of several domestic and foreign design guidelines shows that design guideline in multi housing is defined as a method of controlling·leading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proces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better environment, targeting the multi housings and complexes. It is a guide which suggests principle, standard, and consideration to be applied on the works related to design starting from housing design process to construction stage, and to a greater extent, managing·operating stage. In addition, targeting certain areas, utilizing various subjects, maintaining consistency of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uggesting detailed standards are the characteristics. Design-control elements which composed the design guidelines of multi housing are divided by spatial hierarchy: urban spatial, housing and architectural planning hierarchy. When comparing domestic cases with Japanese ones, the characteristics are as below. Looking into the urban spatial hierarchy, domestic cases lay emphasis on the uniformity and harmony of the area as a whole and mainly deals with alignment of separate blocks or visual appearance from a distant view. But in Japan, it is more focused on the street space which builds urban frame and architectures to create close-range images. From the housing planning hierarchy, domestic cases prefer arranging the elements of facilities planning and tend to hold neutral value perspective on the concept of space in general. But in Japanese cases, they are detailed-oriented and propose housing space from principle to applying way and propose lots of control elements, especially to the outer space application. As in the architectural planning hierarchy, no elements control architectural shape and form, but guideline, such as case photos, are applied to deliver the concepts in domestic cases. However, there were wide variations according to the size of housings in Japan. While in case of large size housings it proposes architectural principle in detail considering the elevation and cross-section of buildings, no guidelines but only conceptual words are mentioned in small housings. When comparing the design guideline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osition and management, in Korea, MA/MP group, who makes out the design guidelines, and BA group, who carries them out, are separated from ‘space planning step’ to ‘site planning step’as it proposes the design as well as its characteristics. In Japan, MA group, Advisor group, and BA group maintain their relationships from the beginning of the space planning step until construction step. Also, they maintain the design guidelines or modify·renew some processes when required, while concentrating on design meetings. Japanese holds distinct design guidelines on certain areas and strongly builds the specific image of the housing from urban spatial hierarchy to architectural planning hierarchy, while Korean has been focused on the connectivity of blocks and the uniformity of the area under the perspective of improving the closed development form Therefore these differences cause guidelines to hold broad and abstract contents. However due to the diversity of analysis, there are cases which design guidelines become ineffective under screening and examination. Institutional rigidity, such as design competition·TK design, has led the design guidelines to limit on space planning. But currently, district unit plan, derived from design guidelines, has been controlling housing planning and architectural planning elements. Various and concrete studies should take place in order to overcome such problems and maximize the strong point of design guidelines. 2009년 국토해양부는 ‘공동주택 미관증진’을 목적으로 ‘공동주택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주요 내용은 주택지구의 ‘미관’을 증진하기 위하여, 주변의 자연환경과 조화로운 계획과 주동형태의 다양화 등을 포함한 디자인 기준을 제시함에 있다. 또한 서울시를 비롯한 각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는 물론, 주택공사 등에서 조성하는 택지개발지구에서도 기존의 단조롭고 획일적인 공동주택의 주거유형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고자 속속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내용이나 범위는 각 주체별로 상이하며 오히려 혼란을 부추기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으며, 그 실효성에 대한 논란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국내에서 운용되고 있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역할을 정립하며, 우리나라와 유사한 공동주택 계획체계를 지니는 일본사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그 특징을 도출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외의 여러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념을 분석한 바, 공동주택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공동주택 및 단지를 그 대상으로, 양질의 공간환경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계획과정․개발과정을 제어․유도하는 수단’으로 ‘공동주택의 설계과정에서 시공단계까지, 넓게 보면 관리․운영단계에 이르기까지, 디자인 관련 업무의 수행 전반에 걸쳐 적용해야 할 원칙과 기준, 고려사항 등이 제시된 지침’이라 정의하였다. 또한 그 특징으로는 ‘특정 지역․지구를 대상으로 함’,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고 활용함’, ‘개발과정의 일관성을 유지함’, ‘상세한 기준을 제시함’ 등이 있을 수 있다. 공동주택단지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구성하는 디자인컨트롤 요소들은 단지를 구성하는 공간적 위계에 따라 ‘도시 공간적 위계’, ‘단지 계획적 위계’, ‘건축계획적 위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국내사례와 일본사례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도시 공간적 위계에서 살펴볼 때, 국내사례는 해당 지구 전체의 통일되고 조화로운 이미지를 중시하며 개별 블록간의 정합성이나 원경으로서의 단지경관에 대하여 주로 다루고 있으나 일본사례의 경우에는 도시적 골격을 형성하는 가로공간과 건축물이 만들어내는 근경의 이미지에 집중하고 있다. 단지 계획적 위계에서 살펴볼 때, 국내사례는 시설계획요소의 배치를 중시하며 개념적인 공간방향 설정이 대부분으로 가치중립적인 경향을 띠고 있으나 일본사례의 경우에는 단지공간의 구성 원칙부터 연출방식까지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외부공간의 연출에 많은 제어요소를 제시하고 있다. 건축계획적 위계에서 살펴볼 때, 국내사례는 건축물의 형태나 형상을 제어하는 요소가 없거나 개념을 전달하는 사례사진 위주의 가이드라인을 활용하고 있었고, 일본사례에서는 단지의 규모에 따라 편차가 심하게 나타났다. 대규모 단지의 경우, 건축물의 입면, 단면 등을 활용한 건축물의 구성 원칙을 상세하게 제시하였으나 소규모 단지의 경우에는 가이드라인에 대한 언급이 없거나 개념적인 단어만을 제시하는 특징을 보였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그 조직구성과 운용방식의 관점에서 비교해 보면, 국내사례의 경우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 MA/MP 그룹과 이를 실행하는 BA그룹의 관계가 ‘공간계획단계’에서 ‘단지설계단계’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분리되며 설계방향을 제시하는 수준의 단발적인 성격을 보이고 있다. 일본사례의 경우에는 MA그룹, 어드바이저 그룹, BA그룹이 공간계획 초기부터 실시설계 단계까지 그 관계를 지속해가는 경향을 보이며, 디자인 회의를 중심으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유지하거나 필요에 따라 수정․갱신해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차이점은 일본의 사례가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해당 지역의 특색을 반영하는 맥락중심의 구성으로 도시공간적 위계부터 건축계획적 위계까지 그 단지만의 이미지를 만들어가는 도구로서의 성격이 강하다면, 국내사례는 기존의 자기 완결적이고 폐쇄적인 개발행태의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블록간의 연계성이나 해당 지구 전체의 통일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광의적이고 추상적인 내용 위주의 가이드라인이 만들어 지는 것에서 기인한다. 그러나 지나친 해석의 다양성으로 인해 심의, 심사과정에서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무력화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으며, 현상설계․TK설계 등 제도적 경직성으로 인해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공간계획차원에 그치고 디자인 가이드라인에서 파생한 지구단위계획이 단지계획적, 건축계획적인 요소들을 컨트롤하는 현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녹색단지 계획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김효종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world is now being grown temperature and sea level due to global warming. A continuous rise is being expected hereafter. Thus, it is the real situation of arranging a measure worldwide. As the Kyoto Protocol came into effect, the reduction-targeted countries centering on the advanced countries are driving the compulsory reduction. Even our country is in the real situation of being necessary for the thorough preparation for being included in the 2nd reduction-targeted states. As for several kinds of environmental burden chemicals including carbon, the global warming takes place due to metabolism of dwelling population in housing complex. To reduce global warming, it is very important to reduce carbon emission and increase carbon absorption source. What becomes the most basis out of this carbon absorption source can be said to be green. The green absorbs carbon, thereby lowering atmospheric concentration, and supplies oxygen, thereby producing oxygen to the dwelling population. In this way, the carbon absorption and oxygen emission in trees become the major factor of deciding on quality of green space. Especially, the carbon storage is different depending on kind of tree in greens. This is because the difference in carbon absorption and oxygen output occurs depending on a kind and density in trees of being gardened even if being apartment complex in similar area. In other words, for comfortable residential space in apartment complex, there is a need of examining a plan for promoting the devised green effect available for introduction like the green living space within the apartment complex, by calculating carbon absorption and oxygen emission in greens and by fixing density according to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bout warming depending on a climate change, which is becoming an issue globally, and is to suggest an improvement for a green plan through carbon absorption within the apartment complex henceforth through a cause for evolution of carbon, which is major factor of causing warming, and through problems. For this, it examined the literature on the actual condition of green space in the existing apartment complex, and on carbon absorption calculation and density, and tree-based feature in the green space, and considered literature on improvement in green planting density within apartment complex. To examine how the carbon absorption is being formed within apartment complex, a case survey was conducted by being recently limited to the outworn and deteriorated areas(Cheonho New Town, improvement promotion district, etc.) within Gangdong-gu in Seoul and to 3 apartments, which were completed construction in 2004∼2007 with 15,000㎡∼25,000㎡ in large-scale apartment complex. Through the results of calculating carbon dioxide absorption according to the green trees and the kinds in a case site, the following are the designed aspects of improvements in a green plan through carbon absorption. First. what evaluates atmospheric environment on landscape area and density in apartment complex is desirable to evaluate with carbon absorption by kind in green. Second, to form the apartment complex of coping with a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for expanding green space and for increasing carbon absorption and oxygen evolu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lanting density in trees and the kinds in trees. Third, there is a need of having it as a means of qualitative assessment on eco-friendly property of green space in housing complex by calculating O2 output and atmospheric(CO2, SO2, NO2) purification of trees in comparison with the dwelling population and the gross area. Carbon storage grows through a plan for securing area according to greenness as for a tree kind with carbon absorption and through a conversion from the center on a coniferous tree to the center on a broad-leaf tree. Thus, there is a need of expanding the coniferous tree planting given a plan for apartment complex. Fourth, the standard is needed for density in green area in line with our country's multi-housing complex, for carbon absorption calculation and tree-based planting in greens according to the needs of dwellers in apartment complex, through the planting standard for the overseas advanced trees. 세계는 지금, 지구의 온난화로 인하여 기온 및 해수면이 상승되고, 향후 계속 상승이 예측되고 있어 전 지구적으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토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감축대상국은 의무 감축을 추진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제2차 감축대상국에 포함될 것을 대비하여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탄소를 비롯한 각종 환경부하물질들은 주거단지 거주인구의 대사 작용으로 인해 지구온난화가 발생하는데, 지구온난화 감축을 위하여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것과 탄소흡수원을 증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탄소흡수원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녹지라고 할 수 있는데, 녹지는 탄소를 흡수하여 대기농도를 낮추고, 산소를 공급하여 거주인구에게 산소를 생산한다. 이처럼 수목의 탄소흡수와 산소배출은 녹지공간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인이 된다. 특히 녹지의 수목 종류에 따라 탄소저장량이 다른데, 이는 비슷한 면적의 공동주택단지라도 조경하는 수목의 종류와 밀도에 따라서 탄소흡수량과 산소생산량이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공동주택단지의 쾌적한 주거공간을 위해서는 녹지의 탄소흡수와 산소배출량을 산정하고 그에 따른 밀도를 정하여 공동주택단지 내 생활공간 녹화와 같은 도입 가능한 계획적 녹지 효과증진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따른 온난화에 대해 알아보고, 온난화를 일으키는 주요인인 탄소의 발생원인과 문제점을 통해서 향후 공동주택단지 내 탄소흡수를 통한 녹지계획 개선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공동주택단지 녹지공간의 실태 등과 녹지공간에서 탄소에 관한 흡수산정 및 밀도, 수목별 특징에 대한 문헌을 알아보고, 또한 공동주택단지 내 녹지식재밀도 개선 등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공동주택단지내의 탄소흡수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최근 서울시 강동구 내 노후, 불량 지역(천호뉴타운, 재정비촉진지구 등) 및 대규모 아파트 단지 15,000㎡∼25,000㎡로 2004년∼2007년에 완공된 아파트 3곳으로 한정하여 사례조사를 하였다. 사례지의 녹지 수목량과 종류를 따라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산출한 결과를 통해서 탄소흡수를 통한 녹지 계획 개선방안의 계획적 측면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단지에서 조경면적과 밀도에 대한 대기환경을 평가하는 것은 녹지의 종류별 탄소흡수량으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공동주택단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녹지공간의 확충 및 수목의 식재밀도와 수목의 종류를 고려하여 탄소 흡수량과 산소 발생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거주인구 및 연면적 대비 수목의 산소(O2) 생산량과 대기(CO2, SO2, NO2) 정화량을 산출하여 주거단지 녹지공간 친환경성의 질적 평가 수단으로 삼는 것이 필요하며, 탄소흡수 수종을 녹시율에 따른 면적확보에 대한 계획과 침엽수 위주에서 활엽수 위주로 전환을 통해 탄소저장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공동주택단지 계획시 활엽수 식재에 대한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해외 선진 수목의 식재기준을 통해 우리나라 공동주택단지에 맞는 녹지면적의 밀도와 공동주택단지 거주자수의 필요에 따른 녹지의 탄소흡수산출 및 수종별 식재 기준이 필요하다.

      • 공동주택단지 옥외공간의 일상생활공간화에 관한 연구

        백혜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공동주택단지에서 주거동 주변을 둘러싼 주거근접생활영역이 실질적으로 거주자들의 ‘일상적인 생활공간’으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공동주택단지내 일상생활공간으로서 옥외공간에 서 발생하는 생활내용과 그 의미를 실증하고, ‘생활과 공간간의 대응’이라는 측면에서 다양한 일상생활행위를 수용하는 공동주택단지 공간구성방식의 개념틀 변화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 한국 공동주택단지의 공간구성방식의 현상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일상생활공간으로서 도시 공동주택 단지공간이 갖는 의미를 재해석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인 자료검증을 통해 공동주택단지 옥외공간의 일상생활공간화의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각기 다른 공간구성체계를 갖고 있는 5개 단지를 대상으로 옥외공간이용실태를 관찰조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얻어진 주요한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1) 도시 공동주택단지내 옥외공간의 공간간 단절과 생활내용과의 불일치 문제 는 현재 기능별 공간대응이라는 이분법적인 공간구성작법으로 인해 야기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주거동 주변의 근접생활영역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는 중첩적이고 복합적인 일상생활행동들의 특성과 의미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기존 공동주택단지 공간구성방식의 개념틀 변화가 필요하다. 즉 전체 단지공간을 단순 기능공간들의 합으로 상정하지 않고, 私的영역과 公的영역 간의 매개 역할을 하는 중간영역으로서 ‘私的 중첩영역’개념의 도입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공동주택단지 공간계획을 위한 公的영역과 私的영역간의 관계설정과정에서 ‘私的영역을 중첩영역으로 확장하고, 이를 公的영역으로 연결하는 것’을 궁극적인 계획의 지향점으로 상정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2)각기 다른 공간구성특성을 갖고 있는 5개 단지를 선정하여, 각 단지별 거주자 옥외공간 이용행태를 관찰조사 하였다. 주요 조사결과 및 분석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현재 공동주택단지 옥외공간의 주요 이용계층은 유아, 어린이, 성인여자이다. 전체 행위 중 필요활동인 이동행위의 발생률이 가장 높으나, 생활행위만을 기준으로 하면, 자녀들은 놀이행위, 성인들은 자녀와의 놀이행위, 대화, 휴식행위를 가장 활발하게 하고 있다. ·계층별 이용특성을 보면, 유아들은 공간의 안전성이 확보되거나 적절한 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곳, 보호자가 유아들의 놀이행위를 관찰할 수 있는 공간이나 주거동 주변의 활동률이 높다. 초등학생 이상의 어린이들은 상대적으로 활동영역이 넓고 동적인 놀이행위를 즐겨, 놀이터 뿐만 아니라 주거동 주변 주차장, 자전거 전용로에서의 활동률이 높다. ·생활영역별 공간이용행태특성 분석결과, 주거동으로부터 물리적 거리보다는 공간간의 통합 및 연계성 확보가 공간이용율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거주자들의 일상적인 생활동선에 연계된 공간의 이용률이 높아진다. ·공간내에 행위지원시설이 설치되거나, 공간의 안전성이 확보된 경우 공간이 용률이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용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거동 주변의 근접생활영역은 공간의 안전성, 양호한 공간환경의 질 확보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량 이상의 생활행위가 발생하고 있고, 생활행위지원시설이 설치된 경우에는 주거동 주변을 중심으로 생활영역이 확장, 활성화된다. ·단지내 옥외광장의 규모, 시설 수준 등은 공간이용률 변화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옥외광장으로의 접근성이 낮거나 주거동 주변 가까운 곳에 적절한 생활지원시설이 설치된 경우에는 적극적인 생활공간으로 기능하지 못한다. ·단지내 보행자 전용로는 기타 놀이터, 휴게소 등의 행위지원시설과 주거동 출입구와 연계된 경우에는 거주자들의 자연스러운 만남을 유도하는 생활공간이 될 수 있다. 3)실제 사례단지를 대상으로 조사분석작업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私的 중첩영역의 도입을 통한 공동주택단지 공간구성방식의 새로운 개념틀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공동주택단지 옥외공간의 일상생활공간화를 위한 주요 계획개념으로, ‘생활행위와 공간의 정합성 확보’, ‘일상생활공간의 안정성 확보’, ‘생활공간 의 통합 및 연계’를 상정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계획적 제안을 하고 있다. 주거동 주변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거주자들의 다양한 일상생활행위들의 복합적, 연속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일상생활행위를 몇 개의 목적활동으로 구분하고 이에 대응하는 기능공간들을 계획하는 방식을 지양할 필요가 있다. 결국 ‘생활과 공간의 대응’이라는 측면에서 일상생활의 내용을 수용해주는 물리적 환경을 갖춘 개인활동영역이 주거동 주변을 중심으로 확장되고, 확장된 개인활동영역들이 지속적으로 중첩, 확장되어 공적영역으로 연계되는 것은, 궁극적으로 전체 단지공간이 하나의 생활영역으로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Surrounding areas of the residential buildings in multi-family housing estates currently do not function as the residents' "everyday living space." From this apparent problem, this study focuses on the meaning of the outdoor multi-family housing estates as everyday living space and suggested possible changes in designing multi-family housing that embraces various kinds of everyday life activities based on the idea, "interaction between life and space." In order to establish the case, problems and flaws of the existing public housing system were diagnosed. Also, five different multi-family housing systems were chosen and analyzed to account for the variations among unique multi-family housing systems. The following are the main conclusions from the present study. 1. Disagreement between the outdoor multi-family housing estates and residential living style comes from the current designing technique that attempts divide the living area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ceptual changes in multi-family housing design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living structures happening in the peripheral residential areas are essential. That is, the overall residential complexes should not simply be estimated as a whole. Rather, "private intermediate space" that mediates the functions between private space and public space. This study essentially suggests "the expansion of private space into the private intermediate space, which in turn connects to the public space" when designing and assigning both private and public space in the upcoming housing projects. 2. Five unique multi-family housing systems were chosen, and the outdoor activities of the residents from each system were studied. The following are the main results and analyses. Main users of the outdoor public housing areas were infants, children, and female adults. Among the activities, movement was the highest in occurrence, but looking at the living activities alone, children focused on playing, and adults focused on playing with children, conversation, and resting. Looking at each user category, infants spent most time in the places where safety equipments were maintained as well as where guardians could easily watch over them. Children above the elementary school ages comparatively preferred wider areas such as playgrounds, parking lots, and bicycle roads, where they could participate in the dynamic activities. In terms of utilizing housing areas according to the living space, residents preferred places that are closely tied with their everyday lives to places with mere physical distance advantages. In case of areas where equipments for specific activities are in place, or where safety is well-maintained, the space utilization rate increased tremendously. Especially, this rate was most affected by the younger users. Peripheral residential areas always showed a certain amount of activities regardless of safety or equipments. With the presence of equipments that assist any kind of everyday activities, the living space vigorously expanded from the residential buildings. Size of the public square and the quality of equipments in the residential complexes affected the space usability. However, when the public square was far from the residential buildings or when there were appropriate equipments available close to residential buildings, the public square did not function as an active living space. Pedestrian only roads within the residential complexes enhanced the interactions among residents when they were closely interconnected with playgrounds, rest areas, or the front doors of residential buildings. 3. Based on above analyses,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idea of "private intermediate space" in designing multi-family residential complexes.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specific activities of residents and to devise a system that can maximize these activities, considering the fact that residential life can be highly dynamic and continuous. From the viewpoint of "interaction between life and space," the expansion of private living space that accommodates the physical needs of residents into the public living space means that the whole residential complex essentially becomes a large living space. The solution to the current problems in the multi-family housing areas can be narrowed down to the diversification of living styles based on residents' spatial identity and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 共同住宅團地 環境造形物 設置의 基本指針을 위한 硏究

        김일룡 啓明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9727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공동주택단지가 양적 증대를 이루었다. 이러한 양적 요구가 이루어지자 사용자들은 점차 질적 요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적인 공간에 대한 관심에서 외부공간 즉 공적공간으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 공동주택단지 내 환경조형물은 단지 내 외부공간에 대한 환경체험의 대상으로 사용자의 문화수준을 주도하고 심리적, 정신적 순화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주거단지 내에서 아름다운 환경을 자연적 요소를 확보하는 것에서 나아가 계획적인 조형공간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공동주택 및 환경조형물의 계획요소와 관련된 이론 및 법규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사례지의 현장조사 그리고 일반인과 전문가집단에 대한 설문을 통한 환경조형물에 대한 인식특성을 통하여 공동주택단지 내 환경조형물의 물리적 요소들을 파악하고 공동주택단지 내에서 환경조형물의 설치현황과 감상자들의 이용행태를 분석함으로써, 공동주택에서의 환경조형물 설치에 따른 기본지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조사결과 부적절한 설치위치로 인해 보행동선에 방해를 주는 사례가 많았으며 환경조형물의 설치위치가 주민들 접근하기 힘든 위치에 설치되어 조형물의 인지도가 매우 낮은 사례도 많았다. 또한 설문결과 환경조형물의 물리적 요소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에 대해서는 거주민(46%)과 전문가집단(39.8%)로써 모두 설치위치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경관을 해치는 저해요소로도 거주민(47.5%), 전문가집단(36%) 모두 환경조형물의 설치위치가 원인인 것으로써 응답하므로 공동주택단지 내 환경조형물의 설치위치가 가장 주요 계획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환경조형물은 조형물 제작 시 우선적으로 조형물의 설치위치가 선정되어 있어야 하며 작가는 그 지역의 주민들과 직접 대화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설치위치의 주변 환경과 환경조형물의 물리적 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계속적인 보완, 수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장조사에서 공동주택단지의 환경조형물은 단지입구 혹은 보행통로 측면에 위치하는 사례가 많았다. 그러나 단지입구와 보행통로는 감상시간이 짧으며 주변 조경식재와 기타 시설물과의 연계성도 떨어지며 기능적 요소를 부여하기도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설치위치에 대한 선호도 설문조사에서는 거주민(53.1%), 전문가집단 (56.8%)로 모두 휴식의 장이자 주민 커뮤니티의 장소인 휴게공간에 환경조형물이 설치되는 것을 선호하였다. 앞으로 단지의 특성과 주민들의 이용행태에 따른 다양한 설치위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환경조형물의 크기가 너무 크면 감상자에게 중압감을 주며 너무 왜소하면 빈약감을 준다. 현장조사 사례지의 크기별 설치현황을 보면 2m이하 4점, 2-3m 21점, 3-4m 20점, 4m이상이 15점으로, 2-4m의 크기 조형물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환경조형물의 크기에 관한 설문에서는 조형물의 크기가 2-4m인 조형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거주민 62.4%, 전문가집단 68.6% 선호) 환경조형물의 크기는 설치공간과 주변 건축물과의 관계에 의해 결정되므로 건축물의 크기, 조형물과 건축물과의 거리, 건축물과 open space의 시각적 질량 등에 의해 결정되어져야 한다. 넷째, 조명은 형태와 질감, 양감, 밀도 등의 조형물이 가지는 특질을 규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장조사 사례지의 경우 조명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사례지가 많았으며 설치되어 있더라도 크기가 작거나 관리가 소홀한 사례지가 다수 있었다. 환경조형물의 야간조명에 대한 필요성에서 거주민(91.9%), 전문가집단(94.9%)로 야간조명이 필요하다고 답변하므로 조명시설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야간조명은 환경조형물을 인지시킴은 물론 조명의 색, 조명위치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나 효과를 창출하여 조형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환경조형물 설치 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현장조사에서 환경조형물의 훼손정도가 심해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한 환경조형물이 있었다. 이것은 환경조형물의 유지관리에 대한 법적인 조항이 미비한 것과 주민들의 환경조형물에 대한 잘못된 인식에서 기인한 것으로 환경조형물에 관한 관련제도의 개선과 올바른 시행이 필요로 하며 환경조형물의 의미를 소극적 개념에서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개념으로 전환해야 할 것이다. 즉 공동주택단지 내에서의 환경조형물이란 단순히 기념비적, 장식적 조형물이 아니라 공적 공간에 설치되는 공공의 자산이며 건축주의 사유재산이 아닌 공공의 소유물이라는 인식이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환경조형물에 대한 요소별 만족도 결과 거주민은 위치(Mean:3.262), 휴식장소(Mean:3.192), 야간조명(Mean:3.114)을 불만족 요소로 응답하였으나 전문가집단의 경우는 색채(Mean:3.31), 재료(Mean:3.19), 장소성(Mean:3.17) 순으로 우선순위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또한 경관저해 요소에서도 위치, 주차시설, 도로 등은 공통적으로 응답하였으나 거주민의 경우는 야간조명(5.9%)을, 전문가집단은 설치면적(8.1%)와 수목(7.6%)으로 서로 다른 경관저해 요소를 응답하였다. 이런 원인으로써는 일반인의 경우 조형물의 설계 및 제작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므로 환경조형물의 조형요소보다는 설치환경에 대한 감상자로써의 인식특성을 나타낸 것이라 하겠다. 전문가집단의 경우 설치환경보다는 환경조형물의 물리적 요소에 대한 조형물 설계 및 제작주체로써의 인식특성을 나타낸 것이라 하겠다. 이는 환경조형물을 감상하는 집단의 특성에 따라 조형물의 이해태도가 달라짐을 알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공동주택단지 내 환경조형물 설계 및 설치 시 감상자들의 성별, 연령, 소득수준, 주거지 등 다양한 계층별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사전 예비조사 결과 환경조형물의 접근성, 규모, 인지성, 유지관리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나타났으며 실제로 본 설문결과도 일반인과 전문가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의 기대효과는 공동주택단지 내 환경조형물 설치의 기본지침에 대한 올바른 개념이 정립되고, 수행해야 할 역할과 기능을 새롭게 인식함으로써 환경조형물이 주민을 위한 문화, 여가 활동의 장과 기회를 제공하고 예술과의 친화력을 높여 풍요로운 주거환경이 조성되는데 기본지침의 자료로 활용가능하다. 향후에는 타 지역의 사례와 외국의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시대에 맞는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Apartment complex has been increased domestically since 1990. After the quantitative increasement the qualitative improvement has gradually demanded, and interests have been turned from about the private space to about the public, outer space. The environmental artifacts inside the apartment complex are the object of environmental experience of the outer space inside the complex, leading the user's cultural level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psychological purification. Accordingly demanded inside the residential complex are securing beautiful environment and natural elements as well as intentional formative space. For tha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heory and laws relating to the planning element of apartment complex and environmental artifacts. The physical elements of environmental artifacts inside the apartment complex were investigated by finding out the perceptional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artifacts through survey of common people and professionals and the field study at the case location. A basic data for basic guid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environmental artifacts inside the apartment complex was presented by analyzing the reality of installation of artifacts inside the complex and the attitude of the appreciators' us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 First, the result of the field study showed that in lots of cases, the inappropriate location of installation interfered with the walking line and the location of environmental artifacts that is hard for residents to approach resulted in very low recognition. Also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ed that both the residents(46%) and the professionals(39.8%)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physical elements of the environmental artifacts is the location of installation. For the element of obstructing scene, both the residents(46%) and the professionals(39.8%) responded that the cause is the location of installation of environmental artifacts. Therefore the location of installation of environmental artifacts inside the apartment complex was found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planning. The location of installation of environmental artifacts should be selected preferentially. The writer should talk directly with the residents to collect the public opinion, consider synthetically the environment of the installed location and the physical element of the environmental artifact, and complement and revise continuously. Secondly, it was found out through the field study that the environmental artifacts inside the apartment complex located mostly in front of the complex or at the side of walking passage. The front of the complex or the side of walking passage, however, allowed short time of appreciation, less linked with the gardening planting or other facilities around it, and was hard to give functional element. As for the survey of preference of the installed location, both the residents(53.1%) and the professionals(56.8%) preferred to environmental artifacts installed at the resting place, the place for communication between residents. From now on, various installing location should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and residents' type of use. Third, too big environmental artifacts gave oppressive feeling and too small, sense of poorness, to the appreciator. The field study of the reality of installation by size of artifacts showed that 4 items were below 2m, 21, 2~3m, 20, 3~4m, and 15, over 4m. Artifacts of the size between 2~4m were most prevalent. Survey of the size of environmental artifacts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was artifacts of the size between 2~4m(the residents 62.4% and professionals 68.6%). The size of environmental artifacts depe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alling space and nearby buildings, that is, the size of building, the distance from artifacts to building, and the visual mass of building and open space. Fourth, the illumin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that deter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rtifacts like form, the feel of material, massiveness and density. The field study of case location showed that many locations did not have any lighting facility and, if any, it was small or managed poorly. As for the necessity of night illumination over artifacts, the residents(91.9%) and the professionals(94.9%) replied positively about the necessity. The night illumination allows recognition of the environmental artifacts as well as can raise the formativeness by creating various atmosphere or effects according to the color or the location of the illumination. It must be considered in installing environmental artifacts. Fifth, field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n environmental artifact that needs a constant management due to the severe damage. It is because the legal provisions about management of environmental artifacts are unprepared and residents make a mistake in recognizing the artifacts. The system related to environmental artifacts should be improved and carried out correctly, and the meaning of them should be turned from the passive to positive and open concept. The recognition should be established that the environmental artifacts inside the apartment complex are not just monumental, decorative artifacts, but the public assets installed in the public place, and not the private property of the owner of the building, but public property. Sixth, the survey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environmental artifacts showed that residents replied that unsatisfactory elements are location(Mean:3.262), resting place(Mean:3.192) and night illumination(Mean:3.114), while professionals, color(Mean:3.31), material(Mean:3.19) and location(Mean:3.17). The two groups showed different priority order. For the element of obstructing scene, both groups replied in common about location, parking facility and road. But residents replied night illumination(5.9%) and professionals, installation area(8.1%) and plants(7.6%) as the element of obstructing scene. It is because the general people have the characteristics of recognition as appreciators of the environment of installation rather than the formative element itself since they are lacking the knowledge of design and manufacture of artifacts. In other words, professionals showed perceptional characteristics as artifacts designer and manufacturer about the physical element of environmental artifacts rather than the environment of installation. This fact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that appreciate environmental artifacts allows a different attitude of understanding artifacts. Accordingly various characteristics as the sexuality, age, income level and dwelling site of appreciators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and installing environmental artifacts inside the apartment complex. Lastly, preliminary survey showed that main problem was accessibility, size, recognition and management of environmental artifacts. In real survey, both general people and professionals also indicated those elements as important problems. The expecting effects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a correct concept of basic guide in installing environmental artifacts inside the apartment complex, to newly recognize the role and function to carry out, to be used as a basic guide and data in providing environmental artifacts as the field of cultural and leisure activity and in forming abundant residential environment by raising artistic attraction. It is suggestive that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ases of other region and foreign country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ndard fitted to the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