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숲길 경관 정량평가에 의한 공간구획 관리 : 지리산국립공원 숲길을 대상으로

        김민선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걷기 문화의 확산, 제주올레길, 지리산둘레길 등 길에 대한 이용객의 관심과 수요는 각 정부 및 지자체에서 경쟁적으로 진행하는 길 조성사업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그 중 숲길은 우리나라 국토의 64%를 차지하는 산림경관의 일부로 경관가치의 잠재성이 매우 크다. 특히 숲길 경관관리 시 시각적 경관미 증대, 숲길 및 산림경관에 대한 지역민 의식 제고, 장소성 제고,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기대효과가 예상되므로 숲길 경관관리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숲길의 경관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를 개발하여 숲길 경관관리 시 공간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경관관리등급을 설정하여 등급별 경관관리방안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 중에서도 숲길 경관평가를 하기 위한 평가지표별 평가항목과 기준을 도출하여 평가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숲길 중 시범사업으로 조성 된 지리산국립공원 일대의 지리산 둘레길을 대상으로 정량적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The recent spread of walking culture represented by increasing public interest in Jeju are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of the road development projects which are competitively promoted by each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y. More than all, the forest pathways are a part of forestscape which covers about 64% of our national territory, having a very high potentiality of landscape value. Particularly, the landscape management of forest pathways, forest pathways gains more importance in terms of expected effects such as the increase in visual scenic beauty, improvement in local resident's consciousness of forest pathways and forest landscape, improvement in placeness, and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etc. This study aims to provide data basis to support spatial decisions by developing a quantitive assessment index for forest pathways and also respective landscape manage ment guide lines after assessment. Developing the assessment model by derivatiation of criterias and standards for each index is the main object. ‘Mt. Jiri Dulle Road’ in Mt. Jiri National Park which is a governmental pilot project was evaluated applying the quantitative assessment method.

      • 감성공학을 고려한 터널 내부경관 평가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왕이완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터널은 자연환경 보전과 공사비 저감 등을 이유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그 길이는 장대화 되고 있다. 그러나 터널은 한정된 공간의 특성을 갖고 이에 따라 운전자 감성적 요소 즉 안정성이나 쾌적성과 같은 요소가 중요하나, 기존 터널에 관한 대부분의 관점은 경제적 관점에서 판단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터널이 갖는 다양한 특성 가운데 운전자의 심리적 안정성과 쾌적성 등 경관을 구성하는 설계요인과 운전자의 감성적 요인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터널경관에 대한 평가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위하여 터널경관을 구성하는 물리적인 구성요소와 운전자의 감성인지 변화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경관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터널 내부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현재 공용중인 터널을 대상으로 터널내 시설물 설치유형을 분류하여 유형별 감성 인지를 조사하고, 운전자의 감성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적 요소의 영향정도를 파악하여 최종적으로 터널내부경관 구성요소의 변화에 대한 터널경관 평가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구축은 경관에 관한 정성적 판단이 가능한 SD법(Semantic Differential technique)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LISREL모형(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터널경과 평가모형을 구축하였다. 실험에서 제시된 터널경관 이미지의 경관만족도에 대한 개인 속성별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운전경력이 높을수록, 경관에 대한 관심정도가 높을수록 경관 만족도 점수는 높게 분석되었다. 감성인지조사 실험을 통하여 각 도로경관 이미지에 대한 감성측정을 위해 제시된 감성형용사를 터널 유형별 분석한 결과, 서로 다른 시설 구조의 조합이 비슷한 안전성과 쾌적성을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어 개별 시설물의 독립적 효과가 좋거나 혹은 나쁘다 하더라도, 그 독립적인 설치 형태만으로 종합적인 경관을 파악하는 것은 무리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터널의 감성요인은 “안전성”과 “변화성”으로 분석되었고, 두요인 모두 경관 만족도에는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각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터널의 구성요소의 성격을 살펴본바, “안전성”과 “변화성”은 서로 상반되는 성격을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운전자는 터널에 대하여 기본적으로는 쾌적하고, 안전하기를 바라면서도 다소 변칙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또 다른 의미로 운전자가 터널 내에서 느끼는 지루함과 식상함을 반증하는 것으로서, 향후 터널의 장대화시 이러한 운전자의 심리적 상태를 반영한 경관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을 시사하였다. 터널경관에 대한 감성인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LISREL 모형을 구축한 결과 터널경관 영향요인은 터널경관 구성요소 조화에 의한 감성 이미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감성이미지는 설계요인과 개인 속성에 의하여 설명되며, 설계요인의 영향이 개인속성의 영향보다 크게 나타났다. 개인속성과 설계요인 모두의 관계는(+)의 관계로 나타났고 “안전성”과 “변화성”간에는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때, “안전성” 요인이 “변화성” 요인보다 경관인지도에 좀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경관 평가시 운전자는 기본적으로 “안전성”을 중시하나 “변화성”에 대하여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터널은 개인의 다양한 판단기준과 가치관에 의하여 평가되므로, 동일한 척도와 판단기준으로 이를 명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경관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가 인간의 감성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러한 감성에 의하여 터널경관을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로서 정량적인 판단기준 제시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는바, 보다 심도 깊은 분석을 통해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설계기준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unnel construction has been on the rise for reasons of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cost reduction and the length tends to be extended more and more. However the tunnel provides a limited space and thus driver's emotional elements such as stability or comfortable feeling are crucial but the evaluation of existing tunnels are made mostly from economic standpoin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amo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tunne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factors comprising the driver's psychological stability, easiness and the sensitivity and then to suggest the mechanism for evaluating the tunnel view, and to that end, the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physical elements comprising the tunnel shape and the variation of driver's emotional recognition, thereby proposing the measures to create the scenic environment. Hence, in a bid to evaluate the elements determining the visual preference inside the tunnel, the investigation aimed to categorize the installations inside the tunnel in operation to check the sensible recognition by type of installation as well as to identify the detail elements that affects driver's emotional variation was carried out to finally structure the tunnel view evaluation model depending on variation of elements comprising the tunnel shape. Modeling was made using Semantic Differential Technique (SD method) which enables to do qualitative evaluation and based on result, the tunnel passage evaluation model using LISREL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stablished. In the wake of evaluating the difference by individual in satisfying the tunnel view suggested in the test, the female drivers were more satisfied than male drivers and those with more driving experience or those more interested in surrounding view were found to be more satisfied than other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motional adjective presented to check the sensibility to the road image in emotional recognition test, a combination of different structures was analyzed to provide the similar stability and easiness, indicating that irrespective of independent effect of individual installation,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comprehensive view with an independent installation. The emotional factors in tunnel were identified as "safety" and "variability" and both of them were found to have had positive (+) effect on visual satisfaction but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s comprising the tunnel that affect each element, "safety" and "variability" were contradictional in terms of characteristics. It means the drivers, in principle, want the tunnel to be comfortable and safe, while desiring irregular variation to some extent on the other hand or it represents driver's boredom or desire for changes. Thus it is necessary to reflect such driver's psychological state in designing the long tunnel. As a result of LISREL modeling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recognition to tunnel view, the elements affecting tunnel view appeared to be emotional image created by the combination of elements comprising the tunnel view. Such emotional image can be explained by design element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of design element appeared to be greater tha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esign element appeared to be positive (+)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safety" and "variability" was significant. And the "safety" have had greater effect on view recognition than "variability", indicating that the drivers tend to give more importance to "safety", but also require the "variability"on the other hand. Tunnel shall be evaluated by individual's judgment and value and it is difficult to make judgment by a single standard. However the elements comprising the view have had effect on human's sensibility, which serves to evaluate the tunnel view. So it is expected to be possible to propose the quantitative standard. To that end, further in-depth study would be necessary to be able to present more specific design standard.

      • 근대개항도시 가로경관의 평가모형 구축 및 적용 연구 : 중국 산동성 엔타이시 개항역사문화거리를 사례로

        왕뢰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가로경관은 특정 기간 형성된 특정 지역적 특성을 구성하는 자연적, 인문학적 요인의 복합체로서 정신적, 물질적, 자연적, 문화적 측면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발달에 기초한 방법론이다. 근대개항도시는 중국의 중요한 도시 유형으로 1840년 아편전쟁 이후 서방 열강의 침입으로 중국에서 상업 항구와 조계지가 개척되었다. 근대개항도시의 정치, 경제, 문화와 사회 형태가 함께 융합된 산물로서 강렬한 시대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연구들은 도시의 상징적인 조형물에 대하여 열성적인 작용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의 촉진과 더불어 문화유산 보호 방면에서도 더욱더 중요해졌다. 옌타이는 중국의 중요한 근대 개항도시로 1861년 8월 22일에 개항을 선포하여 산둥성에서 처음으로 대외 개항한 통상항구가 되었다. 서구 자본주의의 영향을 받아, 서구 자본주의의 영향으로 도시가 빠르게 발전하고 많은 역사적 거리가 형성되어 풍부한 역사와 문화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대 도시의 중요한 가로경관이 되었다. 2013년에 국가역사문화 명성으로 지정되었으며 그중 3개의 개항역사문화거리는 ‘산둥성 최초의 역사문화거리’로 지정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대규모 급속한 도시화 발전의 사회적 이유와 사람들이 개항 문화의 가치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부족한 역사적 이유로 인해 많은 개항 가로경관이 심각하게 훼손되고 원래의 풍경이 점차 사라지고 진정성과 완전성 보존이 심각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국내외 실천에서 성공과 실패의 경험은 근대도시 가로경관의 현황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보호 갱신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중요한 전제조건임을 알려준다. 엔타이시 가로경관의 현황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지역적 특성에 맞는 근대도시 가로경관 보호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조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델파이(Delphi)법의 전문가들의 건의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단일 목표층을 포괄을 형성하였으며, 3개의 1급 지표, 6개의 2급 지표 그리고 37개의 3급 지표의 초보적인 평가모형을 형성하였다. 2. 의사결정 실험실 분석법(DEMATEL)을 도입하여 앞서 언급한 평가지표의 상호 논리적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지표 간에 상호 영향이 있음을 보여줬다. DEMATEL를 통해 획득한 종합적인 영향 매트릭스를 기초로 해석 구조 모델링 법(ISM)을 이용하여 평가체계의 계층적 모델을 구축하였다. 근원적인 영향 지표는 경관 보존이념의 혁신성(C14)으로 역사 문화 가로경관을 효과적으로 보호 여부를 나타내는 인위적 특성 지표의 중요성을 반영한다. 3. 해석 구조 모델링 법(ISM)으로 얻은 평가지표 계층 구조도를 참고하여 Super Decisions 소프트웨어를 통해 네트워크 계층 모델을 구축하였다. 1급 지표 가중치 계산 결과 ‘시제성(時態性)’은 0.417, ‘형태성’은 0.325, ‘상황성’은 0.256이었다. 그 중 시제성 가중치가 가장 크며, 경관 요인의 역사적 특성과 현재 개발의 동적 중첩이 평가 결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6개의 2급 지표의 가중치는 역사적 B1> 현재적 B2> 물질적 B3> 비물질적 B4> 참여적 B6> 인지적 B5로 배열되어 있다. 개항 역사문화에 대한 물질적, 무형적 경관 요소의 구현성과 표현성이 더욱 뚜렷함을 보여준다. 4. 네트워크 계층 분석법(ANP)을 통한 3급 평가지표의 가중치가 가장 큰 것은 경관 보존이념의 혁신성(C14)이며 가중치는 0.083으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보호 이념은 기타 평가지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가로경관을 보호하고 발전시키는 근원이다. 역사건축물의 활태성(C10)의 가중치는 0.000로 가장 낮으며 이것은 현재 개항 역사건축의 보호 수준이 높고 이용방식이 단일하기 때문이지만 역사건축물의 이용은 건축물의 완전성과 기능의 지속성을 결정하며, 장소성에 대한 사람들의 감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5. 모호 종합 평가법(FCE)을 통하여 옌타이의 3개의 역사 개항문화도시거리구의 가로경관에 대하여 평가와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옌타이 역사문화거리 가로경관의 보존과 경관 형성을 위한 건의를 도출하였다. 평가 결과 연태산(煙台山)-조양가(朝陽街)(81.765) > 광인로(廣仁路)-십자가(十字街)(73.186) > 홍구루(虹口路)(64.110) 순으로 나타났다. 3개의 역사문화구역의 경관품질에 큰 차이가 있음을 반영함과 동시에 각각의 경관특성과 장점이 있으며 그 중 연태산-조양가는 전반적인 가로경관 수준이 높고 경관인 정도가 높다. 광인로-십자가는 건축 환경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으나 가로경관 자원의 개발 및 활용에는 미흡한 편이다. 홍구루의 가로경관은 전반적으로 평범하지만, 전통적인 주민들의 생활 분위기가 여전히 남아 있으므로 이웃의 생태적 측면이 더 두드러진다. 6. IPA 사분면을 사용하여 옌타이의 3개 개항 역사 문화 거리의 가로경관 만족도와 중요성을 분석하고 개항 가로경관 만족도를 높이는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였다. 7. 한국 산터우와 중국 산터우 개항 가로경관 보호 및 개발의 우수한 경험과 결합하여 옌타이의 3개 개항 역사문화거리의 가로경관 보호에 상응하는 보호전략을 도출한 결과, 지역 실정에 부합하는 경관맥락의 창출과 보전, 계층적 정비를 통한 경관기능의 보완, 최적화한 조화를 통한 문화활력 찾기 그리고 대중 참여를 통한 인간중심의 개발 등이 엔타이시 개항역사가로경관의 지속적 보존 및 경관 형성을 위해 필요한 전략임이 구명되었다. Road Landscape is a complex of natural and humanistic factors constituting specific regional characteristics formed during a specific period, and is a methodology based on development that can consider all aspects of spiritual, material, natural and cultural aspects. The modern open port city is an important type of city in China. After the Opium War in 1840, Western powers invaded China to develop commercial ports and concessions. As a product of the convergence of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social forms of modern open port cities, it has strong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Accordingly, related studies not only have an enthusiastic effect on the symbolic sculptures of the city, but also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ity. With the promotion of cultural heritage, it has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field of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Yantai, an important modern open port city in China, declared its opening on August 22, 1861, becoming the first commercial port in Shandong Province to open to the outside world.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capitalism, the city developed rapidly, and many historical streets were formed, retaining rich historical and cultural information, and becoming an important Road Landscape of modern cities. In 2013, it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historical and cultural reputation, and among them, three open port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were designated as “the first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in Shandong Province”. In recent years, due to the social reasons of large-scale and rapid urbanization development and the historical reasons that people lack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open port culture, many open port Road Landscapes are seriously damaged, the original landscape gradually disappears, and the preservation of authenticity and integrity poses serious challenges. are facing Experiences of success and failure in practice at home and abroad indicate that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open port Road Landscape is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establishing a scientific and rational protection renewal strategy. Through an objective evalu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open port Road Landscape in Yantai, we would like to propose a strategy for protecting the open port Road Landscape suitabl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structure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rough the recommendations of experts in the Delphi method, a single target group was finally comprehensively formed, and a rudimentary evaluation model of 3 first-level indicators, 6 second-level indicators, and 37 third-level indicators was formed. 2. The decision making trial and evaluation laboratory (DEMATEL) was introduce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mutual logical relationship of the aforementioned evaluation indicators, and it was shown that there is mutual influence between the indicators. Based on the comprehensive impact matrix obtained by DEMATEL, a hierarchical model of the evaluation system was constructed using the interpretative structural modeling method (ISM). The fundamental impact index reflects the importance of the anthropogenic characteristic index, which indicates whether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capes can be effectively protected with the innovativeness of the Road Landscape protection ideology (C14). 3. A network layer model was built through Super Decisions software by referring to the evaluation index hierarchy diagram obtained by the interpretative structural modeling method (ISM).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weights of the first-class indicators, ‘tenseness’ was 0.417845, ‘formality’ was 0.325362, and ‘situationality’ was 0.256791. Among them, temporality has the largest weight, and it shows that the dynamic overlap between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factors and current development has a greater influence on the evaluation results. The weights of the six second-class indicators are arranged as historical B1 > present B2 > material B3 > immaterial B4 > participatory B6 > cognitive B5. It shows that the realization and expression of the material and intangible landscape elements for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opening port are more distinct. 4. The innovativeness of Road Landscape protection ideology (C14) has the highest weight of the third-level evaluation index analytic network process (ANP), and the rational and scientific protection ideology has a positive effect on other evaluation indicators with a weight of 0.0961. It is a source of protection and development of Road Landscapes. The weight of the activation usability (C10) of station buildings is the lowest at 0.000435. This is because the level of protection of the current open port station buildings is high and the method of use is single. It can also affect people's feelings about sex. 5.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Road Landscape of Yantai's three historical and open port cultural city streets were conducted through the FCE, and through data analysis, suggestions for the preservation and landscape formation of Yantai's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Road Landscape were derived. did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the following order was found: Mt. Reflecting the grea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the landscape of the thre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each has its own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Although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of Gwangin-ro-cross is relatively well preserved, it is insufficient for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Road Landscape resources. The overall Road Landscape of Honggu Lu is ordinary, but the ecological aspect of the neighborhood is more prominent because the traditional residents' living atmosphere still remains. 6. Using the IPA quadrant, the Road Landscape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the three port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of Yantai were analyzed, and the priorities for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the open port Road Landscape were clarified. Yantaisan-Joyangga has 10 indicators highly evaluated by experts and tourists, and the importance of the richnes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27) and participation in the living landscape (C35) is high, but the satisfaction level is low, so improvement is required. Gwangin-ro-cross was highly evaluated by experts and tourists for six indicators: innovativeness of Road Landscape conservation ideology (C14), open space sense of place (C21), abundan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27), and creation of a cultural atmosphere. The six indicators of sex (C30), dissemination of open port culture (C34), and participation in living scenery (C35) were highly important, but the satisfaction level was low, indicating the need for improvement. Seven indicators of Hongguro were highly evaluated by experts and tourists, innovativeness of Road Landscape protection ideology (C14), abundan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27), creation of cultural atmosphere (C30), spreadability of open port culture (C34). ), and place scene experientiality (C37), the importance of the five indicators is high, but the satisfaction level is low, so improvement is required. 7. By synthesiz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FCE and IPA, 'Creation and preservation of landscape context suitable for local conditions', 'Supplementation of landscape functions through hierarchical maintenance', 'Finding cultural vitality through optimized harmony', 'Public particip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people-centered development through the development', a protection strategy corresponding to the protection of the Road Landscape of Yantai's three port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was proposed.

      • 가로경관의 유·무형요소에 대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연구 : AHP 기법을 적용한 평가를 중심으로

        박재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몰입형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가로경관을 시뮬레이션하고 가로경관의 유·무형요소가 보행자의 심리적으로 인식하는 가로경관의 쾌적성에 있어서 미치는 영향의 중요도를 AHP 방법을 활용하여 평가하는 연구이다. 가로경관은 도시 속 사람들의 일상적으로 반복 접하는 경관으로서 도시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보행자는 가로공간의 유형요소 뿐만 아닌 무형요소와 함께 가로경관을 인지한다. 더욱 좋은 가로경관 및 쾌적한 가로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보행자가 심리적으로 느끼는 쾌적성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필요하다. 가로경관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가로경관 시뮬레이션 기법이 개발되어왔다. 하지만 다수의 일반적인 시뮬레이션 기법은 가로경관의 유형요소 위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평가하고 있고 가로경관의 무형요소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평가방법은 미비한 상황이다. 가상현실 기술은 4차산업 핵심기술 중 하나로서 다양한 분야와의 융복합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공간설계 분야에서는 가상현실의 상호작용성, 몰입감, 실재감, 행위주체성 등 특성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기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게임엔진인 언리얼엔진을 사용하여 제작된 몰입형 가상현실에서는 높은 몰입감과 실재감을 구현할 수 있고 다양한 상호작용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몰입된 가상현실 공간에서 사용자는 보행자 행위주체성을 발휘하여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서 가로경관을 체험하고 심리적으로 느끼는 경관에 대한 인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기술을 가로경관 시뮬레이션에 접목함으로서 기존에 불가능하거나 어려웠던 유·무형요소를 함께 시뮬레이션하고 쾌적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길음역과 인접한 새롭게 변화할 복합용도 가로구간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첫 번째, 선행연구 및 가로경관 가이드라인을 검토하여 가로경관의 구성요소 및 가로경관 시뮬레이션의 평가항목을 도출한다. 두 번째, 대상지 현황분석 및 Rhino, Unreal Engine 4 등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3D 모델링 기반의 몰입형 VR 가로경관 시뮬레이션을 제작한다. 세 번째, 공간설계 전공의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HMD 기기를 사용하여 몰입형 VR 시뮬레이션 실험을 진행하고 AHP 설문평가와 가상현실 특성 설문평가를 진행한다. 네 번째, 설문결과를 통하여 유·무형요소가 가로경관의 쾌적성에 미치는 중요도를 평가하고 시뮬레이션 속 가상현실 특성들의 발휘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상현실을 활용하여 가로경관 시뮬레이션의 새로운 방법으로 제시하고 AHP 방법을 활용하여 가로경관의 유형요소와 무형요소의 중요도를 측정하여 정량화하기 어려운 가로경관의 쾌적성에 대한 요소들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가상현실을 활용한 가로경관 유·무형요소의 통합적 시뮬레이션 및 정량적 평가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유·무형요소를 함께 고려한 통합적인 가로경관 가이드라인의 제시를 통하여 질적으로 더욱 쾌적한 가로경관의 조성을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simulates streetscape using immersive VR simulation and evaluates the importance of the influence of the street's tangible and intangible factors on the pedestrian's psychological perception of comfort by the AHP method. The streetscape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forms the image of the city as a daily repeated view of people in the city. Pedestrians recognize streetscape scenery with intangible elements as well as tangible elements of streetspace. To create a better streetscape,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pedestrian's psychological comfort is necessary. Various streetscape simula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evaluation. However, general simulation methods are conducted by only evaluating the tangible elements of the streetscape, and the simulation and evaluation methods for the intangible elements of the streetscape are insufficient.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nvergence research with various fields is being conducted. In the space design field, it is used as an efficient simulation technique by utilizing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activity, immersion, realism, and subjectivity of virtual reality. The immersive VR simulation created using Unreal Engine, a game engine, can realize high immersion and realism and build various interaction systems. In the immersive virtual reality space, the user can experience the maximize the perception of the streetscape and feels psychologically at any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bine VR technology with streetscape simulation to simulate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that were previously impossible or difficult an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importance of affecting comfort.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s a newly-changing street adjacent to Gil-eum station in Seoul. As the method of research, firstly, the preceding studies and the streetscape guidelines are reviewed to derive the components of the streetscape and the evaluation items of the simulation. Secondly, I create an immersive VR streetscape simulation based on 3D modeling using Rhino, Unreal Engine 4. Thirdly, an immersive VR simulation experiment is conducted using HMD devices for graduate students in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majors, and the AHP survey and VR characteristic survey are conducted. Fourth, through the questionnaire results, the importance of tangible and intangible factors on the comfort of the streetscape was evaluated, and the performance of VR characteristics in the simulation was evaluated. In this study, I propose a new method of streetscape simulation using virtual reality and quantitatively evaluate factors of the comfort of streetscape that are difficult to quantify by measuring the importance of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of streetscape using the AHP metho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 could confirm the possibility of simulation and quantitative evaluation of streetscape using virtual reality. This can be expected to create a more pleasant streetscape through the suggestion of an integrated streetscape design guideline considering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 景觀의 形式과 構造를 反映한 陵廟景觀의 保存評價 模型 : 中國 桂林의 靖江王陵을 中心으로

        徐茂劍 우석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Background and purpose: Jingjiang Kings Mausoleum(靖江王陵) is the tomb and clan tombs built by King Pan and Jingjiang Kings of the Ming Dynasty in China, which is located at the southwest foot of Yao Mountain in the east of Guilin, China. It is currently the largest and best-preserved Ming Dynasty king Tombs and a national key cultural relics protection unit. It was included in the National Heritage Park's construction scope and officially approved to become a typical large heritage park in southern China in 2010. However, the protection and construction of the Jingjiang Kings Tomb Relic Park have been slow. There are many reasons, including the public's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Jingjiang Kings Tomb's connotation value and the lack of specific protection strategies. Due to the long-term lack of concrete and effective protection measures, many Jingjiang Tombs' landscapes have been damaged by humanity and nature. In recent year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countries have relatively mature ideas and policies to protect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In 2010, the State Admin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 approved 23 national archaeological park projects, including the King’s Mausoleum's tombs in Jingjiang, Guilin. So far, many national archaeological site parks with national demonstration significance have been preliminarily built, providing a reference for the landscape protection of the Jingjiang Tomb.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tect and preserve the Jingjiang King Tomb landscape to explore the connotation and value of the landscape so that the public can better understand its value.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Jingjiang King Tomb landscape preservation evaluation model and the establishment of a scientific, reasonable, and quantifiable evaluation model, it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protection of the Jingjiang King Tomb landscape, as well as a strategy for the preservation of the same type of heritage park. And basis to enrich the relevant theories about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in the world.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adopts a field survey method and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o collect and sort out the protection objectives, factors, connotation value, current protection strategy of Jingjiang King Tomb landscape preservation, and propose a preliminary evaluation model. Then use the expert consultation method (Delphi) to modify and evaluate the preliminary evaluation model for 3 rounds, and finally determine a relatively complete evaluation model. Finally, use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combined with the analysis results of the expert consultation method to establish the evaluation model of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and then use the calculation software of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to obtain the final evaluation weight value of each factor. Result: The Jingjiang King’s Tomb is rich in connotation, including 11 King Tombs, 3 Kings Second Concubine Tombs, 5 General Tombs, and 19 tombs in total. It contains 14 Shinto, 50 square stone steles, and 334 stone carvings.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landscape elements, there are 24 mountains, 17 water bodies, 19 villages, and 19 enterprises and institutions. However, these landscapes are suffering the destruction of humanity and nature; through the three rounds of expert investigation method (Delphi) to modify, propose and confirm the landscape evaluation model, and the author finally determine the evaluation model for the preservation of the Jingjiang King’s Tombs, including 3 first-level indicators and 7 second-level indicators and 21 third-level indicators. After the calculation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various indicators are known. Among them, the weight of "landscape connotation” is worth 0.65, the score of “landscape protection” is 0.23, and the score of "landscape function" is only 0.12; among the 7 secondary indicators, the score of “historical” is the highest with 0.41, followed by “management” which value is 0.19. Among the three-level indicators, the highest weight value of “construction age” is 0.26, and the second-ranked weight value of “system implementation,” “management standardization,” “duration,” and “landscape effect” are all 0.08, others relatively low. conclusion and suggestion: According to the existing landscape elements of the Jingjiang King’s Tomb, a protection model for landscape preservation was proposed, and the Delphi analysis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evaluation model for the Jingjiang King’s Tomb landscape preservation, including 3 first-level indicators, 7 second-level indicators, and 21 three-level indicators. Combined wit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weight of the Jingjiang King Tomb landscape elements’ connotation index is calculated, and the weight value of each evaluation index is obtained. Among the first-level indicators, the "landscape connotation" hit the highest weight value of 0.65, indicating that experts value the landscape connotation most. Among the seven second-level indicators, the “historical” score is the highest at 0.41, indicating that experts have emphasized historical value. The second is the “management” value of 0.19, which reflects the importance of experts on the Jingjiang King Tomb site's landscape management. Among the 21 three-level indicators, the highest weight value is “Date of construction” of 0.26, indicating that experts pay more attention to the historical age of the site, which is also the most important core value of the landscape of the Royal Mausoleum site, and it needs strong protection and display of landscape significance and historical suggestions. 배경 및 목적: 정강왕릉은 중국 명나라 시기 번왕(藩王)과 정강왕(靖江王)이 건축된 묘지와 종묘로 중국 계림성(桂林省) 요산(堯山) 서남쪽 기슭에 위치해 있다. 중국에서 발견된 현존하는 가장 크고 가장 잘 보존해 온 명나라 번왕 묘군(墓群)으로써 국가 핵심문화유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2010년에는 정강왕릉은 국가 유적공원 건설 범위에 편입되었으며 정식적으로 중국 남부의 대표적인 대유적(大遺跡)공원으로 조성되었지만 지금까지 정강왕릉 유적공원의 보존과 건설 공정이 더디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여기에는 정강왕릉의 의미 가치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부족과 보호전략의 미비함에 기인한다. 장기적으로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보호가 부족하기 때문에 정강왕릉 경관은 인위적 피해와 자연적 피해를 모두 겪고 있다. 근년 국제사회와 국가는 역사유산에 대한 보호사상과 정책의 완성도를 추구하고 있다. 국가문물국은 2010년에 계림 정강왕릉 능묘군이 포함된 23곳 국가 고대유적지 공원 프로젝트를 허락했으며 지금까지 전국 전범적인 국가 고고(考古)유적지공원을 건립하게 되었고 정강왕릉의 경관보호에 위한 중요한 참고가치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강왕릉 경관을 보호하고 보존하고 경관의 의미와 가치를 탐구하여 대중이 그 가치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정강왕릉의 경관에 대한 가치평가, 평가모형의 수립을 통해 과학적으로 데이터가 있는 평가모형을 만들어 정강왕릉의 경관보호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며 같은 유형의 유적지 공원 보존을 위한 전략과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동시에 같은 유형의 유적지 공원의 보존을 위한 전략과 근거를 마련하여 세계적으로 문화유산의 보호에 관한 이론을 풍부하게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정강왕릉 경관 보호의 현재 문제점과 배경 이야기를 조사하기 위해 현장조사 방법과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여 정강왕릉 경관 보존과 관련된 보호 목표, 요인, 함축 가치 및 현재 보호 전략을 수집하고 분류하였다. 본 연구 조사 절차와 결합하여 초보적으로 평가모형을 제시하고 전문가상담법(Delphi)을 채택했으며 처음 제안한 평가모형은 3차에 걸친 전문가의 수정과 평가를 거쳐 최종적으로 비교적 완전한 평가모형을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AHP분석 방법과 델파이 분석법을 결합함을 통해 계층분석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에 의한 평가모형이 건립된 후 AHP의 계산 소프트웨어 yaahp은 계산을 수행하고 각 요소의 최종 평가에 대한 가중치를 얻는다. 결과: 정강왕릉 경관은 풍성한 함축성과 높은 경관 가치를 지니고 있다. 능묘 11기, 정강왕 차비묘 3기, 장군묘 5기 모두 19기의 능묘를 갖추고 있다. 이 중에는 신도 14개, 비석 50개, 석조 334점이 포함되어 있다. 주변 경관요소에 대한 조사를 통해 산 24개소, 수체 17개소, 마을 19개소, 기업사업소 19개소가 포함되었다. 그러나 경관이 인위와 자연 이중으로 피해를 겪고 있다. 3차의 Delphi 평가, 확인 및 수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정강왕릉 경관평가 모형의 구성 시스템을 획득했으며 그중 1급 지표가 경관의미, 경관 기능 및 경관 보호 3가지가 있고 2급 지표 7가지 및 3급 지표 21가지가 있다. 계층분석법(AHP)의 계산으로 각종 지표를 알 수 있다. 이 중 `경관 내포'의 가중치는 0.65점, `경관 보호' 가중치는 0.23점, `경관 기능'은 0.12점에 불과하며 7가지의 2급 지표 중 `역사성' 점수가 0.41 점으로 가장 높았고, `관리' 수치가 0.19로 뒤를 이었다. 3급 지표 중 `건조연대'의 가중치는 0.26으로 가장 높고 2위를 위치한 `제도 이행도', `관리 규범성', `지속 기간', '경관 효과'는 모두 0.08이며, 다른 지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결론 및 건의: 정강왕릉에 현존하는 경관요소에 따라서 경관보호 평가모형을 제출하여 델파이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정강왕릉 경관에 대한 평가모형을 결정했다. 1급 지표 3개, 2급 지표 7개, 3 단계 지표 21개를 포함한다. 계층분석법을 적용하여 정강왕릉의 경관요소에 대한 의미지표의 가중치를 계산하여 각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1급 지표에서 `경관의미'의 가중치는 가장 높은 0.65로 전문가들이 경관의미를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등급 지표 7개 중 `역사성'이 0.41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을 정도로 전문가들은 정강왕릉의 왕릉유적지의 역사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는 0.19로 전문가들이 정강왕릉 유적지경관 관리를 중요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1 개의 3급 지표 중 5개 가중치는 `건조연대'가 0.26으로 전문가들이 왕릉 부지 경관의 가장 중요한 핵심 가치이기도 한 부지의 역사적 시대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 하천경관 및 친수공간 특성평가

        이신국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도시자연형하천 친수공간⋅친수시설 조성 시 생태적이고 이용자가 만족하는 도시자연형하천 조성을 위해 자연환경 측면에서의 경관평가와 이용자 측면에서의 친수공간특성평가를 통해 일정한 기준을 갖고 도입하기를 제안한다. 경관평가는 생태경관요소검토와 시각경관평가로 나누며 생태경관요소검토를 통해 식생, 동물, 하천코리도의 생태적 가치를 검토하여 생물서식공간을 확보하며, 시각경관평가를 통해 심미적가치가 높은 장소를 조망공간으로 확보하여 각 구간의 유형을 설정하도록 한다. 경관평가를 통하여 생태적, 시각적 가치 평가를 선행하여 올바른 장소에 친수공간이 도입되도록 한다. 친수공간 특성평가는 통행 및 친수공간 이용자 특성평가와 만족도 특성평가로 나누며 통행 및 친수공간 이용자 특성평가를 통해 도입된 친수공간의 이용자와 자전거 및 도보/조깅/산책 통행자를 파악하여 친수공간⋅시설의 이용실태를 파악하며 만족도 특성평가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접근성, 시설만족도, 자연성 만족도를 조사하여 만족요인을 도출하고 향후 만족도의 예측변수를 추출한다. 만족도특성평가의 만족요인 및 예측변수, 하천경관평가를 통해 도출된 생태적, 시각적 경관 가치, 통행 및 친수공간 이용자 특성평가를 친수시설 도입방향의 각 평가별 연관성을 검토하며 설계방향을 제시하였다. 경관평가와 친수공간 특성평가를 통해 생태계획이 우선시 되는 친수공간⋅친수시설의 도입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생태성을 높이며 이용자가 원하는 방향의 하천을 조성하여 만족도를 높여 향후 도시자연형하천이 공원형하천과 같은 친수공간 위주의 조성이 아닌 자연과 사람이 함께하는 생태하천(Eco-river)으로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 생태경관 및 시각경관의 GIS중첩평가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 전북 부안댐유역을 사례로

        장래익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While the biological diversity is severely threatened by development activities with fragmenting green spaces, there have been critical defects in the balanced regulations to cope with development pressures and to protect natural landscap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tudy performs to introduce an assessment method to prevent the indiscreet development activities causing damages on natural landscapes. Practically, visual aspects regarding development plans are only issued and fail to catch the ecological landscape assessment for aspects of landscapes in South Korea. In order to assess more comprehensive aspects of landscapes, this study considers both the concept of visual landscape sensitivity and that of ecological landscape diversity. This study, according to the intrinsic meaningful purpose of landscape assessment, applies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based on the Ian Mcharg's Overlay Method for deciding actual preservation areas and establishing regarding plans. The scenic view points chosen in the site and their visibility areas are analyzed and assessed with the overlay method in the assessment of visual landscape sensitivity. Vegetation factors and animal factors are overlayed and assessed to find preservation areas in the assessment of the ecological landscape diversity. Overlaying assessment of visual landscape sensitivity and ecological landscape diversity would suggest a significantly high value of 'preservation areas'. 'Retention areas' with less preserving value need to be selected and decided in development use and scope by the result of the assessment of visual landscape sensitivity and ecological landscape diversity. In addition, various 'Impact Factors on Landscape' need to be searched and included into the overlay assessment process. And particular management plans should be prepared for the areas where human intervention will be more vigorous, even in a same preservation area. By evaluating various aspects of landscapes, this approach of landscape assessment could give us a more comprehensive method than the contemporary landscape assessment methodology adapting visual factors only in South Korea. Meanwhile, systematic devices are needed to be prepared for compensating the low reliability of applied data as assessment factors. In addition, the long term research for collecting data will be required. In conclusion, the existing assessment system of the landscape regulation by evaluating with visual factors only should be improved by including the ecological landscape factors.

      • 지역성을 고려한 도시건축물의 경관평가 개선방안 연구 : 광주광역시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기성간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Since the creation of the 「Landscape Act」 in 2007, the history, culture, environment, social persistence, placeness, and regionality of urban space have been evaluated as important factors in managing the local landscape, and the Landscape Act of 2015 has been revised. Although urban areas and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of the country have changed positively over the past 10 years since the revision of the Landscape Act, the standards and guidelines are still insufficient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landscapes. The local landscape is the combination of nature and human life, and despite the long-term formation of the result, the planning and evaluation of the landscape projects that are actually being executed in the municipality are different by field, scale, and business entity. The more diverse the business is, the higher the risk that the value of the existing long-established regional landscape and even the existing advantages will diminish. In this regard, the biggest problem in the formation of the urban landscape is the landscape of the apartment housing complex, which has been pointed out for a long time. The uniformity of the apartment housing landscape has been pointed out as a cause of social problems such as the uniformity of life and the loss of local identity beyond the aesthetic problems of the urban landscap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landscape evaluation for planning, consideration, and management of local identity in developing the architectural landscape of the region. In particular, the current status of the planning and consideration of the apartment housing landscape evaluation case of the landscape project construction part in Gwangju will be examined. In order to create a sustainable and attractive local landscape, the city of Gwangju will be examined for regionality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landscape creation. In addition, by applying regionality to the checkli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valuation plan that administrative experts can accept and utilize. The method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In Chapters 2 and 3,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a method of improving the architectural landscape evaluation of apartment housing considering the regionality of Gwangju City is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the urban landscape and apartment housing landscape. In Chapter 4, for case analysis of the study, 10 apartment houses were investigated for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apartment housing architectural landscape in Gwangju City. Chapter 5 contains expert surveys for research evaluation. Chapter 6 presents suggestions and results of the study. In Chapter 2,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urban landscape elements and the apartment house landscape elements, 'apartment housing architectural landscape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were humanistic landscape, physical complex external landscape, and physical complex internal landscape. A total of 15 item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based on the factors derived earlier, the status of the apartment housing landscape checklist of six municipalities, along with domestic and foreign apartment housing landscape issues were analyzed. In Chapter 3,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regiona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apartment housing has been identified and the four types of regionality, such as nature, history, culture, life, and the method of expression of regionality were examined. As a natural expression of regionality, continuity with surrounding natural elements was important, and as a historical expression, the preservation of historical assets, the pattern and design expression of symbolism were important. In addition, cultural elements required the construction of a space to enjoy cultural content, along with the connection of living elements to the surrounding SOC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community. In Chapter 4, the planning consideration and consideration evaluation contents of a total of 10 apartment housing landscape consideration cas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apartment housing landscape elements'. In the external landscape of the physical complex, consideration of elevation patterns, materials, and colors accounted for the biggest part of the content. In addition, in the internal landscape of the physical complex, the landscaping and pedestrian/parking areas of the open space took a big part of the consideration. Based on the content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levance between the apartment housing landscape evalua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centering on Dong-gu, Gwangju Metropolitan City, it was found that the consideration and evaluation related to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Mudeungsan, ACC, and Gwangju 5.18 cultural contents were conducted. In Chapter 5, the study evaluation, an expert survey examined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each element of the apartment housing landscape elements derived from this study in order to verify the contents of Chapter 4 of the case analysis consideration.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artment housing landscap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experts concluded that in assessing the apartment housing landscape, the skyline and views of the external landscape of the physical complex, the overall axis, the pattern, material, and color of the surface are important, and the public notice is important in the internal landscape of the physical complex.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the overall contents of the study were synthesized i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As a plan to improve the architectural landscape evaluation of apartment housing considering the regionality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a plan to improve the architectural landscape review checklist considering regionality and a plan to improve the architectural landscape guideline for apartment housing were presented. The architectural landscape of apartment houses not only enhances the architectural form of the complex, the aesthetics, and the quality of the living space but also utilizes and connects various scenic resources of the region along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complex. Therefore, it was found important to form a relationship between the overall landscape image of the region and the apartment house landscape. 경관법은 2007년 「경관법」 제정 이후 도시공간의 역사, 문화, 환경, 사회적 지속성과 장소성, 지역성 또한 지역경관을 관리하는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어지면서 2015년에 개정되었다. 경관법의 재개정 이후 지난 10년 동안 국토의 시가지와 역사문화 경관이 긍정적으로 변해가고 있으나, 지역경관의 특성을 담아내기에는 여전히 그 기준과 지침이 미흡한 실정이다. 지역의 경관은 자연과 인간생활영역의 총체이며, 장기간 형성되는 결과임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으로 지자체에서 실행되고 있는 경관사업의 계획 및 평가는 분야별, 규모별, 사업주체별로 상이하게 진행되다보니 사업이 다양하게 진행될수록 기존에 장기간 형성된 지역경관의 가치 및 기존에 가지고 있던 장점마저도 퇴색될 우려가 높다. 이러한 점에서 공동주택 단지 경관은 도시경관의 형성에 있어 가장 큰 문제로 오랜 시간 지적되어온 부분이다. 공동주택 경관의 획일화는 도시경관의 심미적인 문제를 넘어 생활의 획일화, 지역의 정체성 상실 등의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건축경관을 구축함에 있어 지역의 정체성을 고려한 계획과 심의, 관리를 위한 경관평가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광주광역시의 경관사업 중 건축 부분의 공동주택 경관평가 사례의 계획과 심의 내용의 현황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광주광역시가 지속가능하고 매력 있는 지역경관 창출을 위해 고려해야하는 지역성을 고찰하여 이를 체크리스트에 적용 활용함으로써 행정과 다양한 전문가들이 공감하고 활용 할 수 있는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광주광역시의 지역성을 고려한 공동주택의 건축 경관평가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의 방법은 크게 2장과 3장의 이론적 고찰을 위한 도시경관 및 공동주택 경관에 대한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와 4장의 광주광역시 공동주택 건축 경관 현황조사를 위한 공동주택 10곳의 사례분석, 5장의 연구평가를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 6장의 연구제언 및 결과 도출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로써 2장 도시건축물의 경관평가에서는 도시경관 요소 및 공동주택 경관요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동주택 건축 경관 요소’로써, 인문학적 경관, 물리적 단지 외부경관, 물리적 단지 내부경관으로 3개 부분 15개 항목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또한, 앞서 도출한 요소들을 토대로 6개 지자체별 공동주택 경관 체크리스트의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외 공동주택 경관 이슈를 살펴보았다. 3장 지역성과 공동주택 경관에서는 지역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동주택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지역성의 유형을 자연, 역사, 문화, 생활 4가지로 구분하여 지역성의 표현방법을 고찰하였다. 지역성의 자연적 표현으로는 주변 자연요소와의 연속성이 중요하며, 역사적 표현으로는 역사적 자산의 보존 및 상징성의 패턴적, 디자인적 표현이 중요했다. 또한, 문화적 요소로는 문화적 콘텐츠를 향유할 수 있는 공간 구성이 필요했으며, 생활적 요소로는 커뮤니티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주변 생활 SOC와의 연계가 필요했다. 4장 광주광역시 공동주택 경관평가 현황에서는 총 10개의 공동주택 경관심의 사례의 계획심의도서와 심의평가 내용을 ‘공동주택 경관 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인문학적 경관에서는 경관유형별 특성에 대한 심의평가 내용이 많았으며, 물리적 단지 외부경관에서는 입면 패턴·재료·색채에 대한 심의가 가장 많은 내용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물리적 단지 내부경관에서는 공개공지의 조경 및 보행·주차부분에 대한 심의 내용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심의내용을 토대로 광주광역시 동구를 중심으로 공동주택 경관 평가와 지역성과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무등산과 ACC, 광주 5.18 문화콘텐츠 등 지역성과 관련된 심의평가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5장의 연구 평가에서는 4장의 사례분석 심의내용을 검증하기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공동주택 건축 경관 요소별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조사하였으며, 공동주택 경관과 지역성과의 관계에 대한 설문을 진행함으로써, 전문가들은 공동주택 경관 평가에 있어 물리적 단지 외부경관의 스카이라인과 조망·통경축, 입면의 패턴, 재료, 색채를 중요시하며, 물리적 단지 내부경관에서는 공개공지를 중요하게 평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연구 결론에서는 연구의 전체적인 내용을 종합하여 광주광역시의 지역성을 고려한 공동주택 건축 경관평가 개선방안으로 지역성을 고려한 건축 경관심의 체크리스트 개선방안, 공동주택 건축경관 가이드라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공동주택 건축 경관은 단지의 건축적인 형태와 생활공간의 미관적, 질적 향상뿐만 아니라 단지 주변환경과 더불어 지역의 다양한 경관적 자원을 활용 및 연계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의 전체적인 경관 이미지와 공동주택 경관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