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동주택단지내 문화시설의 이용실태분석 및 실효성 제고방안 연구 : 송도국제단지내 웰카운티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장명숙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4

        공동주택단지가 도시의 주도적인 생활의 보금자리로 정착 되어 감에 따라 공동주택단지 내 공간에 대한 활용 가치가 거주민의 삶의 질을 제고시킬 수 있는 중요한 대상이 되었다. 특히 공동주택 내 주거동을 제외한 부대복리시설과 옥외공간의 활용이 주거문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되어 지고 있으며 다양한 방법이 연구 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단지에서 주거동 외 공간 중 부대복리시설을 법정시설로 공동체시설, 친환경인증시설, 테마시설, 경관시설을 특화시설로 구분한 후 법정시설과 비법정시설인 특화시설을 문화시설로 정의하고 연구대상 공동주택의 문화시설에 대한 주민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와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가치를 문화시설 분석의 틀로 정하여 실효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문화시설에 대한 이용 실태 및 만족도와 문화시설의 경제적 가치, 환경적 가치, 사회적 가치가 모두 높은 점수로 조사되어, 공동주택단지 내 문화시설의 실효성은 매우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제언 사항으로 첫째, 법정시설인 부대복리시설과 비법정시설인 특화시설을 새로운 패러다임을 고려한 공동주택단지 내 문화시설로 통합하여 용어를 변경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법정시설인 부대복리시설을 관련 법령인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의거 일률적인 설치 기준에 적용되는 것을 배제하고 필요에 따라 융통성 있는 부대복리시설의 제공이 될 수 있게 되어야 한다. 셋째, 설문조사 결과 가장 선호하는 시설과 추가 요구 시설인 자연 친화적인 시설은 더욱더 확충 되고 고려 되어야 한다. 넷째, 연구 대상지인 웰카운티 아파트 문화시설의 디자인 품격 향상을 위한 인천도시개발공사의 공동주택 가이드라인 구축이 필요하다. 다섯째, 거주자의 연령별, 계층별 특성에 맞게 문화시설이 배치 및 확충이 되어야 한다 등으로 요약 하였다.

      • 도시기반시설물의 조명연출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중랑천 하천 기반시설물을 중심으로

        채선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9

        Seoul has a geographical feature that originates from the mountain to the water system. Since ancient times, rivers have built up levees to serve as sewers and flood control facilities, and the shape of rivers has gradually changed. As the population is concentrated due to urbanization, the functions and roles of rivers have been developed into spaces for relaxation, sports, and recreation, with the use of industrial water, traffic difficulties, and land use. Rivers in the city center are spaces where citizens can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within walking rights, but spaces such as green spaces and sports are formed into simple and uniform spaces. Despite these value of these rivers, they are managed for functional roles such as flood control and water utilization, and lighting facilities are restricted and planned as measures to prevent light pollution. In addition, the river revitalization project is carried out individually by local governments, and maintenance is managed by the management department divided into business establishments, electromotive teams, and water control departments. The individually promoted projects show the results of the river night scenery being unsystematic. In response,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lighting design plan according to various characteristics of infrastructure in order for ecological environment, which is a natural element, and urban infrastructure, which is an artificial element, to form a night view axis beyond the daytime. Jungnangcheon River is a national river, the first tributary of the Han River located in Seoul, and runs through seven administrative districts. In addition, urban infrastructure, which consists of relatively flat and wide waterfront,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research to investigate and analyze urban infrastructure with various urban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concept, role and value of urban river landscape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were derived. Through the environmental survey of Jungnangcheon River, urban infrastructure was identified and various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as space-centered and user-centere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facility is always operated and system operated, the flow line of the facility user is path type and radiation type, the view connection with the outside is open type and concentrated type, and the form of the facility user is dynamically and statically classifi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the purpose of directing and the composition of directing were derived as the direction of lighting directing plans in various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e design is interaction and safety, and the composition of the design is structure and shape. By applying this lighting design pla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infrastructure of the target site, the direction is proposed so as to form the axis of the connected landscape when individual business plans are carried out in various autonomous areas. 서울은 산과 더불어 수계가 발단된 지형을 지니고 있다. 예로부터 하천은 하수도와 치수시설 역할을 위해 둑이 쌓이며 하천의 형태가 점차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서울시는 도시화로 인구가 집중되며 공업용수의 활용, 교통난 해소, 토지이용 증대를 위한 하천의 복개 작업이 진행되는 등 하천의 기능과 역할이 휴식, 체육, 위락의 공간으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도심 내부의 하천은 보행권 안에서 시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공간이지만 홍수를 대응하는 공간으로 녹지, 체육 등 공간은 단순하고 획일적인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천의 가치에도 불구하고 치수와 이수 등 기능적인 역할을 목적 위주로 관리되고 조명시설은 빛공해 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제한과 계획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천의 지역 활성화 사업은 자치단체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며 설치 위치인 교량, 제방 위, 공원, 체육시설 등에 따라 관리부서가 사업소, 기전팀, 치수과 등으로 나뉘어 유지 보수가 관리되고 있다. 개별적으로 추진되는 사업으로 인해 체계적이지 못한 하천 야간경관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자연요소인 생태환경과 인공 요소인 도시기반시설물이 주간을 넘어 야간경관 축을 형성하기 위해 기반시설의 다양한 특성에 따른 조명연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대상지로 중랑천은 서울시 한강의 제1지류인 국가하천으로 가장 많은 수인 7개의 행정구역을 관통하는 도시하천이다. 또한, 비교적 평탄하며 넓은 둔치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특성의 도시기반시설물을 조사 분석하기 위해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적으로, 문헌연구를 통해 도시하천 경관의 개념과 역할과 가치를 고찰하여 필요성과 중요성을 도출하였다. 중랑천의 환경 조사를 통해 도시기반시설물을 파악하였고 다양한 특성을 공간 중심, 사용자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시설물 운영방식으로 상시 운영과 시스템 운영, 시설물 이용자 동선으로 경로형과 방사형, 외부와의 조망 연계로 개방형과 집중형, 시설물 이용자의 행태로 동적과 정적으로 분류하였다. 시설물의 특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특성에 조명연출 방안의 방향성으로 연출 목적과 연출 구성을 도출하였다. 연출 목적은 상호작용성과 안전성, 연출 구성은 구조성과 조형성으로 제시하였다. 이 조명연출 방안을 대상지의 도시기반시설물의 특성에 적용하여 여러 자치구에서 개별 사업 계획이 진행될 경우에 연결된 경관의 축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안한다.

      • 도시환경색채분석을 이용한 가로시설물 색채배색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강남구를 중심으로

        윤승로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319

        가로라 함은 역사적으로 포장 되어진 길을 의미하며 현대의 도시사회에서 도시의 생명선과도 같은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가로는 도시의 작은 일부이면 작은 도시로서의 물리적 공간적요소로 자연 발생적이든 계획적인 것이든 가로에 형성되는 가로의 경관은 크게는 도시의 경관을 이루는 요소들로서 한도시의 개성을 만드는 중요한 공간적 의미이다. 하지만 가로환경의 중요구성 요소인 가로시설물의 색채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한국적이고 우리의 정서와 환경에 어울리는 가로시설물색채 개발을 위해 한국의 대표적인 도시인 서울의 특정 구를 선별하여, 가로경관색채를 추출하고 분석한 후 색채계획에 필요한 기본색과 전통색채 배색안 사례를 제안하여 좀 더 쾌적하고, 획일화 되어가는 도시에 정체성 있는 가로 경관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먼저 지역의 특색 있는 장소를 선정하여 사진 촬영하였고, 이것을 디지털 이미지화 시켜, 이 이미지를 기본으로 색채분석 프로그램(Color Syntax)을 이용하여 가로의 주조색을 도출하고, 도출된 주조색에 전통색채배색코드를 적용하여 배색코드를 만들었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로의 경관을 이루는 요소인 가로시설물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가로시설물의 색채계획의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현재의 가로시설물 설치와 관리는 시설물마다 관리부서와 기관이 다르고 같은 시설물이라 할지라도 전담부서나, 공지된 지침서가 없는 관계로 설치업체마다의 기준으로 각각의 가로시설물의 형태와 색채가 적용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규정할 수 있는 지침서가 필요하다. 둘째, 가로경관 이미지를 분석하여 가로경관 색채를 분석한 결과 전체 이미지의 주요 색채 경향은 무채색과 한색계열의 하늘색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가로경관 상세이미지와 가로경관 이미지 두 방향으로 분석한 결과 가로경관을 이루는 5개의 주조색이 각각 33%, 58% 를 차지함을 알 수 있다. 셋째, 가로경관을 분석해 도출한 가로의 주조색을 기준으로 전통색채 배색관계성을 이용한 배색코드를 적용하여 가로시설물의 색채 배색을 제안하고 있다. 넷째, 본 연구의 배색코드로 현재의 가로시설물에 감성어휘별로 적용한 사례를 제안하고 있다. 기존의 가로시설물에 대한 선행 연구는 주로 조형적인 부분에 국한되어 왔고 도시경관색채에 대한 연구에서도 가로시설물에 대한 부분은 극히 미약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우리의 생활환경을 이루는 가로경관의 주요 요소인 가로시설물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도시환경의 질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삶의 질적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Street is the most important urban unit in social and cultural life of human being. It is more than infrastructure element or physical communication. A visual survey of any street reveals the extent to which many different elements are repeatedly required for providing essential services and amenities for the people as well as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s for pedestrian and vehicular movement. Such elements/objects are broadly referred to as 'Street Furniture' and along with other areas of man made environment, there is increasing awareness regarding the need to ensure their integrated development and harmony with the overall environment. Unfortunately this aspect of urban environment, especially the proper usage of color, has not received sufficient attention from planners as well as local authorities and such elements are, therefore provided in a fragmented and half-hearted manner This study sorted out a district of Seoul and took pictures of the specific street, and then transformed them to digital image to analyze the current main color schem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o determine the proper colors of the street furniture as well. The results of the proposal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multiplicity of authorities in big cities result in further chaos as each one acts independently in terms of design and location of their respective elements, and consequently integrated development and harmony of the overall environment are lost in the process. Therefore, the workable guidelines are needed to retain the character and environmental qualities of the area, the important aspect of urban environment relating to visual quality of street furniture. The second, the results that it examined an environment color to compose the street, and analyzed, the main color inclination of a total image appeared to of an achromatic color and a sky blue system, which consist 33% and 58% of the environment. The third, by using color analysis program (color syntax), the color guidelines of the street furniture based on the Korean traditional color scheme code were suggested. The fourth, proposed an urban-environmental color scheme case by a foundation with analysis contents of ideal Street furniture plays an important part in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city in the minds of visitors and residents alike. However, the street furniture is often unrelated to the urban form and color as well as sings and lights compete with each other for attention, often resulting in utter confusion in the total environment. If we want to develop respect for such a vital element, we need to upgrade the concept of the street and make it spatially more attractive so that people will come and spend time there. A systematic study of street furniture and its color scheme in streetscape, suitably related to the activities and functions of various urban spaces therefore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urban landscape.

      • 공공시설물 야간경관 디자인 사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안수지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9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들은 경쟁력 제고의 일환으로 공공디자인을 핵심 요소로 선정하고 있다. 또한, 야간경관 디자인 조성으로 각 지자체는 도시이미지와 장소성을 형성하며 타 도시와의 차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시민들이 야간경관 디자인을 경험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공공시설물이다. 그러나 공공시설물은 주간이용에 제약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야간경관 디자인 새로운 제도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문화예술시설 공공시설물 야간경관 디자인 개선 방향을 도출하려 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론적 고찰에서는 야간경관 디자인과 공공디자인, 공공시설물, CPTED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 자료를 참고하였다. 야간경관의 개념과 특성, 공공디자인과 공공시설물의 개념과 기능 및 범위를 고찰하고 광주광역시 야간경관계획을 분석하였다. 선행논문을 근간으로 문항을 작성하여 광주광역시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리커트 5점 척도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설문지는 총 200부 중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171부가 표본에 사용되었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SPSS 1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야간경관 디자인 특성, 시민인식, CPTED 요소 기준으로 문화예술시설 대상지 세 곳을 분석하였으며, 각 대상지별 공공시설물 개선방안을 도출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환경성, 편리성, 심미성 변수에 대한 평가가 저조했다. 환경성 측면은 주변 경관과 조화를 고려한 공공시설물 개선이 필요하다. 편리성 측면은 60대가 가장 저조했으므로 유니버셜 디자인을 고려한 공공시설물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세 개 기준 중 심미성 측면에 대한 평가가 가장 저조했기 때문에 디자인 흥미 유발을 위한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선이 필요하다. 광주비엔날레는 편리성, 심미성, 환경성 변수 전부 40대가 가장 저조했기 때문에 유니버셜 디자인과 관리시설물 안내사인 설치가 필요하다. 공공시설물 흥미 유발을 위한 개선과 주변 환경과 조화를 고려한 디자인 개선이 필요하다. 국립광주박물관은 안전성, 심미성, 정보성 변수 전부 10대가 가장 저조했다. 안전성 측면은 야간가로공간 인지성을 위해 휴게시설물 위치 변경과 보호시설물 교체가 필요하다. 심미성 측면은 보호시설물 색채와 휴게시설물 및 조명시설물 디자인 흥미 유발을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정보성 측면은 10대와 40대가 가장 저조했기 때문에 시민들이 국립광주박물관 접근을 유도하는 방법을 도모하고 공공시설물들 디자인 개선이 필요하다. 두 번째, 공공시설물 야간경관 디자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각 대상지별 미비한 시설의 개선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문화예술시설 공공시설물 야간경관 디자인 개선을 할 수 있는 객관적 근거가 되어 긍정적 도시이미지 상승효과와 장소성 형성을 기대한다. Local governments(hereinafter referred to as local governments) have selected public design as a core element as part of improving their competitiveness. In addition, as a composition of nightscape design, each local government forms a city image and location, and is used as an important means to show discrimination from other cities. Public facilities are one way for citizens to experience night view design. However, there are restrictions on weekly use of public facilities. Therefore, a new institutional approach to night view design is needed. This study aims to find a direction for improving the nightscape design of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and public facilit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questionnaire surveys, and i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 referred to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materials on nightscape design and public design, public facilities, and CPT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nightscape, the concept, function and scope of public design and public facilities were considered, and the nightscape plan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was analyzed. A question was created based on the previous paper,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citizen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Ricart 5-point scale, and 171 of the total 200 questionnaires, excluding dishonest answer sheets, were used as specimen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18 program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ree target areas of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nightscape design, citizen recognition, and CPTED element criteria, and derived improvement plans for public facilities for each target area. The Asia Culture Center had a poor reputation for environmental, convenience and aesthetic variables. On the aspect of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public facilities in consideration of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In terms of convenience, the evaluation of people in their 60s and above was the lowest,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public facilities in consideration of universal design. In addition, since the evaluation of the aesthetic aspect was the lowest among the three criteria,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to arouse the interest of design. The Gwangju Biennale had the lowest rating in its 40s in terms of convenience, aesthetic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so it needs to be set up as a guide company for universal design and management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esign to arouse the interest of public facilities and to conside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harmony. The National Guangzhou Museum had the lowest rating for teens in terms of safety, aesthetics, and informational variables. The safety aspect requires relocation of rest facilities and replacement of shelters for nighttime space cognition. The aesthetic aspect needs improvement to arouse the color of the shelter and the design of rest and lighting facilities. In terms of information, teens and 40s had the lowest ratings,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by trying to guide citizens to access the National Guangzhou Museum. Secondly, we were able to derive an improvement plan for the nightscap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and discover points for improvement of inadequate facilities for each target area. This study is an objective basis for improving the nightscap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Cultural Arts Facility, and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f raising the urban image and to form a place.

      • 街路景觀의 外部環境施設物에 관한 硏究

        신광철 조선대학교 1997 국내박사

        RANK : 232319

        Outside environmental facilities should be reasonably arranged and administered in reation to not only social, cultural index but also concret, perceptional content, besides, they should be planned and designed the shape of use, with all the physical factors of cityscape, maintaining the close relation of the destination in the future of the city. As a result they contribute to the identity of streetscape, and providing functional, symbolic image. Outside environmental facilities should improve not only the imageability of space in the street, also quality of cityscape. In the research, I will consider outside environmental facilities which city dwellers frequently meet with as they are outdoor, and decide the quality of streetscape in the city. First, I will theoretically formulate the concept, classification, significance, plan, design for outside environmental facilities. Next, I will make a case study of Jeon Ju city in order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and administration system to the the environmental facilities of streetscape. Finally, I will present alternative for reform measures. On the basis of a few matters which was arranged as a basic matter, as I was researching, I would like to present a useful scheme for improvement of streetscape. 1. I will formulate the concept and the content of outside environmental facilities which form streetscape, with regard to local characteristic and identity of the street, a plan of a view which generalize a view of the city should be established form process of a plan of the city to a plan of a section, to put in good order systimatically. 2. In order to strive for improvement of streetscape, It is the most urgent business to establish standardized business, administration system which are bases for plan, arrangement,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with regard to characteristics of the street and image of places. 3. A standard of design integration with various element in unified concept should be prepared. 4. It is urgently required to introduce an esthetic regulation of element of composing streetscape and to establish policy plan of master plan sitimulating public conscience of citizen. Also, the problem not to be handled from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element of a view in private space field. A view of research for the building of public space composing element of the street should be progressed. Afterward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I hope that the building which compose the street and outside environmental facilities become more pleasant and humanistic view of the street by making constant efforts to be concrete and evidential access for human acitivity in space.

      • 도시재생 뉴딜사업 거점시설의 유형별 경관요소 및 중요도 - 충북 도시재생 거점시설을 중심으로 -

        강성용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18

        This study is directed for visual landscape elements and importance by the type of anchor facilities in urban regeneration. The visaul landscape of base facilities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at they physically improve the environment and create local revitalization and identity beyo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image of the region. In areas whe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underway, more than one base facility is actually operating from the planning stage, and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design level of anchor facilities, evaluation of the architectural landscape of the base facility or mention of detailed landscape factors are insufficient. Among the anchor facilities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this study targeted anchor facilities that are in operation after completion. In addition, the types of anchor facilities were classified, and landscape elements were derived through local government landscape plans,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plans, and prior research. The landscape of the anchor facilities was analyzed with the derived landscape factors, and the priorities of the landscape factors were determined through a survey. The landscape plan of the anchor facilities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gion and the type of residential facilities in consideration of geographical, phys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landscape plan of the anchor facilities has limitations due to physical and legal restrictions. Therefore, practical application plan is needed when creating anchor facilities. keywords : visual landscape elements, anchor facilities, regeneration, importance analysis. * A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in February 2024.

      • 산지형 근린공원 시설지 생태경관적 식재 개선방안 연구 : 서울시 초안산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이형욱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317

        For three facility areas early built in Choansan Neighborhood Park in Seoul, this study aimed to survey and analyze topography of facility areas and basin zone, geographical conditions such as water system and existing vegetation, spacial function and concept of planting, and planting design with a view to finding spacially discordant locations and places where trees poorly grow. For inappropriate spaces, this study set planting structure models by solution, concept of planting, and geographical type, and suggested improvement of landscape to be in harmony with neighboring forests and ecological planting solutions which are ecologically status. The east facility area of Dobong Culture & Information Center (subject I) is made in 13,060㎡ on the ridge zone. It had 0-20 degrees flatland, its gentle slope land accounted for 86.7% and facing north and facing west subject to shade accounted for 62.0%, which resulted in lack of sunshine. Existing vegetation in the basin zone included 46.7% of Robinia pseudoacacia while dominant species included Cornus kousa, Quercus acutissima Carruth,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Ginkgo biloba and Pinus densiflora. Accordingly, existing vegetation and dominant species in the basin zone were mostly not equal. A place where trees poorly grew due to affection of water system, sunshine and topography accounted for 39.5%. Nine places went through a scrutiny and the results showed mean green coverage accounted for 50.60% and mean index of plant crown volume was 1.21m³/m². Subject I was mostly composed of landscape space (47.9%), but planting of trees consisted of a single storey based on tree layer (74.7%) without a theme. In addition, the areas of spacial function, concept of planting and structure of plant design in discordance was 3,595㎡: accounts for 35.9% in planting area. The east facility area of Chang-dong Jugong apartment building 4 (subject II) is made in the area of 8,468㎡ in valley zone and slope zone. It had 0-20 degrees flatland, its gentle slope land accounted for 97.3%, and facing north and facing west subject to shade accounted for 54.2%, which resulted in lack of sunshine. Existing vegetation in the basin zone included 46.7% of Robinia pseudoacacia, 11.3% of Quercus acutissima Carruth and 1.0% of Quercus mongolica while dominant species included Pinus strobus, Prunus armeniaca, Acer palmatum and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Accordingly, existing vegetation and dominant species in the basin zone were not equal. A place where trees poorly grew due to affection of water system and topography accounted for 64.7%. Seven places went through a scrutiny and the results revealed mean green coverage accounted for 38.90% and mean index of plant crown volume was 0.7m³/m². Subject II needed landscaped space (51.2%) and buffer space (21.8%) more than forest space (10.0%). However, planting of trees consisted of a single storey based on tree layer (80.6%) without a theme. In addition, the areas of spacial function, concept of planting and structure of plant design in discordance was 3,876㎡: accounts for 55.1% in planting area. The facility area of Changgol Children's Park (subject III) is made in the area of 5,917㎡ in valley zone and slope zone. It had 0-20 degrees flatland, its gentle slope land accounted for 83.7%, and facing north and facing west subject to shade accounted for 85% and the flatland accounted for 14.2%, which resulted in lack of sunshine. Existing vegetation in the basin zone included 53% of Robinia pseudoacacia while dominant species included Pinus koraiensis, Robinia pseudoacacia, Zelkova serrata and Ginkgo biloba. Accordingly, existing vegetation and dominant species in the subject zone were not equal. A place where trees poorly grew due to lack of water system and sunshine accounted for 25.1%. Nine places went through a scrutiny. According to the result, green coverage accounted for 123.88% and mean index of plant crown volume was 3.53m³/m². Subject III's adjacent feature to forest surroundings allowed for highlighting of buffer function (38.1%) and landscape function (29.0%), but most of planting of trees consisted of a single storey based on tree layer (99.8%). In addition, the areas of spacial function, concept of planting and structure of plant design in discordance was 2,973㎡: accounts for 64.2% in planting area. For planting plans, a reasonable concept of planting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improvement and spacial functions. Also planting structure models by geographical types-ridge zone, valley zone, and slope zone- similar to subjects were applied. For landscape spac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each tree were considered to create a variety of landscapes by composing a multi-storey structure planting. What was suggested for buffer space in consideration of interior landscape of the space was a multi-storey structure planting of deciduous broadleaf trees with clear length and fine leaves. For buffer zone adjacent to the main forest zone, indigenes were selected to be planted in four layers of herbaceous layer, shrub layer, Subtree layer and tree layer in order. This order of planting design is to prevent the area from disconnecting the main forest zone. For facility areas in a mountainous park, Choansan Neighborhood Park located in Dobong-gu, Seoul, this study analyzed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 basin zone and the subjects and surveyed spacial function, concept of planting, and planting design with a view to finding spacially discordant locations and places where trees poorly grew. For those inappropriate spaces, this study set planting structure models by geographical type and suggested improvement of landscape to be in harmony with neighboring forests and ecological planting solutions which are ecologically status. Key word: basin zone, existing vegetation, spacial function, concept of planting, dominant species 본 연구는 서울시 초안산근린공원에 기조성된 시설지 3개소에 대하여 시설지와 유역권의 지형, 수계, 현존식생 등 입지조건,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를 조사분석하여 공간별로 불일치하는 지역과 수목 생육상태가 불량한 지역을 파악하였다. 부적합한 공간을 대상으로 개선방향, 식재개념, 입지유형별 식재구조 모델을 설정하여 주변 산림과 조화로운 경관향상과 생태적으로 안정된 생태경관적 식재방안을 제안하였다. 도봉문화정보센터 동측 시설지(대상지 Ⅰ)는 능선부에 조성된 13,060㎡의 시설지로 0°~20°의 평지 및 완경사지가 86.7%이었으며 음지에 해당하는 북, 서향이 62.0%로 일조량이 부족하였다. 유역권 내 현존식생은 아까시나무가 46.7%이었으며 우점식재종은 산딸나무, 상수리나무, 벚나무, 은행나무, 소나무로 유역권 내 현존식생과 우점식재종이 대부분 불일치하였다. 수계 영향, 일조량, 지형 등의 영향으로 생육이 불량한 식재지역은 39.5%이었다. 정밀조사구는 9개소를 설정하였으며, 조사결과 평균녹피율은 50.60%, 평균녹지용적계수는 1.21m³/m²이었다. 대상지 Ⅰ은 대부분 경관공간(47.9%)임에도 특별한 주제 없이 교목층 단층구조(74.7%)로 식재되어 있었고,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가 불일치하는 지역은 3,595㎡(식재면적의 35.9%)이었다. 창동 주공4단지 동측 시설지(대상지 Ⅱ)는 계곡부와 사면부에 조성된 8,468㎡ 면적의 시설지로 0°~20°의 평지 및 완경사지가 97.3%이었으며, 음지에 해당하는 북, 서향이 54.2%로 일조량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유역권 내 현존식생은 아까시나무림은 40%, 상수리나무림은 11.3%, 신갈나무림은 1.0%이었으며, 우점식재종은 스트로브잣나무, 살구나무, 단풍나무, 벚나무로 유역권 내 현존식생과 대상지 내 우점식재종이 불일치하였다. 수계, 지형 등의 영향으로 수목생육이 불량한 지역이 64.7%이었으며 정밀조사구 7개소 조사결과, 평균녹피율은 38.90%, 평균녹지용적계수는 0.7m³/m²이었다. 대상지 Ⅱ는 녹음공간(10.0%)보다는 경관공간(51.2%)과 완충공간(21.8%)이 필요한 지역이었으나 특별한 주제 없이 교목층 위주의 단층구조(80.6%)로 식재되어 있었고,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가 불일치하는 지역은 3,876m²(식재면적의 55.1%)이었다. 창골어린이공원 시설지(대상지 Ⅲ)는 계곡부와 사면부에 조성된 5,917㎡ 면적의 시설지로 0°~20°의 평지 및 완경사지가 83.7%이었으며, 음지에 해당하는 북, 서향이 85%, 평지 14.2%로 일조량이 매우 부족한 지역이었다. 유역권 내 현존식생은 아까시나무림이 53%이었으며, 우점식재종은 잣나무, 아까시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로 현존식생과 대상지 내 우점식재종이 불일치 하였다. 수계, 일조량 부족 등으로 인하여 생육이 불량한 지역이 25.1%이었다. 정밀조사구는 9개소를 설정하였으며, 조사결과 평균녹피율은 123.88%, 평균녹지용적계수는 3.53m³/m²이었다. 대상지 Ⅲ은 산림주연부와 인접하여 완충기능(38.1%)과 경관기능(29.0%)이 중요한 지역이었으나 대부분 교목층 위주의 단층구조(99.8%)로 식재되어 있었고,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가 불일치하는 지역은 2,973m²(식재면적의 64.2%)이었다. 시설지 식재계획은 개선방향과 공간기능에 따라 적정 식재개념을 설정하였고, 대상지와 유사한 입지조건을 가진 능선부, 계곡부, 사면부 등 입지 유형별 식재구조 모델을 도입하였다. 경관공간은 각 수목의 경관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층구조 식재로 다양한 경관을 연출하도록 하였고, 완충공간을 공간 내부측 경관을 고려하여 지하고가 낮고 지엽이 치밀한 낙엽활엽수의 다층구조 식재를 제안하였다. 산림주연부 인접 완충지역은 자생종을 선정하여 공원 내부에서부터 초본층-관목층-아교목층-교목층 순으로 배식하여 산림주연부가 단절되지 않도록 계획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도봉구에 위치한 산지형 공원인 초안산 근린공원 시설지를 대상으로 유역권과 대상지의 입지조건을 분석하였고,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를 조사하여 공간별 불일치하는 지역과 수목 생육상태가 불량한 지역을 입지유형별 식재구조 모델을 설정하여 주변 산림과 조화롭고 생태적으로 안정된 식재방안을 제안하였다. 주요어 : 유역권, 현존식생, 공간기능, 식재개념, 우점식재종

      • 송탄관광특구의 문화경관에 관한 연구 : 외국인 시설을 중심으로

        이용두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302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경기도 평택시의 송탄지역은 정치·군사적 상황 변화에 따라 군부대가 주둔하게 됨으로서 군부대 주변에 독특한 성격을 지닌 촌락을 형성하였고, 1997년에는 송탄관광특구로 지정되면서 특수한 문화적 기반을 구축하고 국제 관광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을 위한 편익시설이 증가하면서 경관이 많이 변화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중점을 두고 송탄지역의 문화경관을 이해하고 이미지를 연구해 볼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송탄 관광특구에서 나타나는 문화경관의 전체적인 이미지와 송탄관광특구내에 있는 독창적인 특수경관에 대해서 살피고자 하였다, 도시 경관은 주로 지역 생활의 특성과 병행하여 발달하고 이미지를 바꾸어 나간다고 볼 수 있다. 송탄지역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그 동안 두드러진 경관의 변화를 볼 수가 없었다, 그런데 1997년 5월 27일 관광특구 지정을 전후로 도시 경관이 큰 변화를 보였다. 즉 주변의 도로가 개설되고 생활 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주민들의 생활과 문화공간이 바뀌었다. 특히 서정리 지역의 신시가지와 미군부대를 중심으로 한 쇼핑몰 거리, 송탄 공원을 중심으로 한 주거 지역이 두드러진 변화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곳을 근간으로 하여 송탄관광특구의 문화경관을 조명하는 데 목적을 갖고자 한다. 2. 연구의 방법 관광지에서의 경관의 이미지는 많은 관광객을 불러들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며, 도시 환경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관광지 이미지와 경관의 연구는 관광지 개선측면에서 절실히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외국인이 선호하는 곳을 관찰하여 주변 경관이나 시설 등의 변화 모습을 사진이나 그림으로 담아 조명하였다. 본 경관 연구를 위한 대상과 범위는 송탄관광특구에서의 지구별 문화경관과 기능체별 문화경관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외국인을 위한 편익시설에 집중하였다. 3.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송탄관광특구의 문화경관을 이해함에 있어서는 신문화지리학의 측면에서 해석되고 설명된다. 신문화지리학의 주된 관심은 인간에 의하여 형성되는, 관찰 가능한 모든 경관현상의 특성·기원·분포에 집중되며, 경관 속에는 인간 자신도 포함된다. 신문화지리학은 인간집단의 생활양식과 그들의 창조물이 지역적으로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신문화지리학에서는 경관연구는 도시공간에 대한 대중주체들이 해석과 의미부여, 그리고 그 과정의 권력관계와 문화 정치적 의미를 가장 깊이 있게 연구하는 분야라고 하였다. 송탄관광특구의 문화경관의 연구는 신문화지리학에 근거한 도시경관을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관찰자에 의한 시각적 분석방법이며, 송탄관광특구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최근의 지역구도와 현재 시각적 모습과 변모를 주축으로 하였다. Ⅱ. 송탄관광특구의 지정과정과 현황 1. 송탄관광특구의 지정과정 송탄은 미군부대를 중심으로 외국인들이 밀집되어 있고, 주한미군과 외국관광객을 위한 쇼핑점 및 위락업소가 밀집된 지역이다. 이와 같이 연간 20만 명의 내·외국인 관광객이 쇄도하는 국제 도시의 특성 때문에 관광사업을 목적으로 1997년 5월 30일 관광특구로 지정되었다. 송탄 지역의 관광특구 지정은 당시의 침체된 지역경제의 활성화 방안과 관광사업 개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바탕 위에서 시작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송탄 관광특구 지역은 국제 관광도시로서의 매력과 이미지 창출을 위한 문화의 거리 조성과 쇼핑과 문화, 휴식을 함께 즐길 수 있는 편의 시설의 확충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송탄 지역이 관광특구로 지정됨에 따라 K-55 미군부대를 중심으로 신장동 쇼핑몰 조성사업을 시작하였으며, 도시환경 개선, 도로 확충, 공원 조성, 경관 개발, 안내표시판 설치, 인터넷 홍보사이트 개설 등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아직도 보다 더 많은 외래 관광객을 끌어 모으기 위한 미래 적 관광특구에 필요한 개선 사업이 요구되고 있다. 2. 송탄관광특구의 현황 송탄관광특구는 지정범위가 신장1동·신장2동·지산동·송북동·서정동 일대로서 지정면적이 491,316(148,623평)㎡에 해당한다. 송탄관광특구 지역에는 많은 관광사업체와 부대시설을 가지고 있다. 지역특성은 수많은 내·외국인 관광객이 드나들고, 미군 부대를 중심으로 외국인들이 밀집되어 있으며, 외국관광객을 위한 쇼핑 및 위락업소가 밀집되어 있는 지리적 요충지이다. 볼거리로는 신장쇼핑몰이 1998년 완공되고, 미군부대 정문에서 부대의 철로 변까지 275m의 차 없는 보행자전용도로가 개발되어 쇼핑과 휴식 공간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도시공원이 조성되었다. Ⅲ. 송탄관광특구 문화경관의 특성 1. 지구별 문화경관의 특성 (1) 신장지구 이 지역은 주한 미군 주둔지인 미군부대를 거점으로 성장해왔으며, 국제적 도시의 면모를 갖추고 있으면서 많은 내·외국인 관광객이 드나드는 곳이다. 1997년 관광특구로 지정된 이후 외국인들이 밀집되어 있는 이 지역에 외국관광객을 위한 쇼핑과 위락 업소를 확대·개선하여 다양한 볼거리와 쇼핑거리를 구성하였다. 이 지역은 우리 나라의 소도시 상가와는 달리 상호가 한글·영문 혼용으로 되어 있다. 다른 기지촌의 공통된 상가 구조인 미군전용클럽, 기념품점, 레코드점 또는 전자제품 상점이 탁월하다. (2) 서정지구 본래 이 지역은 구릉성 산지였으나 대규모 도시개발 사업이 시작되고 이곳을 관통하는 1번 국도가 신설됨으로써 교통이 편리해지고, 송탄출장소 등을 비롯하여 새로운 건물들이 많이 들어서면서 신시가지를 구성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미군주둔지역에 형성된 촌락은 종래의 전통적 순수 농업중심의 촌락을 인구 구성이 다양한 서비스 중심 기능의 촌락으로 변형시킨다. 서정동 신시가지 지역도 송탄지역의 인구증가에 따라 도시개발의 필요성을 갖고 개발된 곳이며 다양한 서비스 중심 기능을 갖고 있는 도심이 되었다. (3) 송탄근린공원 주거지구 이 지역은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으로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건설됨으로써 인구가 본격적으로 증가한 곳이다. 특히, 입주를 시작한 1990년부터 높은 인구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이 지역에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기 전에는 숲 속으로 들어가는 공간은 미군들이 휴식과 여가를 즐기는 장소로서 제공받아서 ‘파라다이스 공원’ 이라고 불리웠다. 2. 기능체별 문화경관의 특성 (1) 외국인 교회 송탄관광특구 지역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교회를 많이 볼 수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교회가 Mission Baptist Church이다. 이 교회는 1980년 엘리슨 마셜에 의해서 창설되었으며, 처음에는 Lighthouse Baptist Church로 불리었다. (2) 외국인 학교 송탄관광특구의 남쪽으로 한적한 평야지대에 2002년에 새로 건립한 외국인 학교는 국제교육의 면모를 지니고 있다. 주변의 넓고 시원한 경관은 평택평야의 분위기를 나타내주고 있으며 건물의 경관도 외국인들이 드나들며 한국학교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3) 블루오페라 관광특구 쇼핑 중심부에 자리잡은 '블루오페라'는 외국인 전용 레스토랑으로서 넓은 공간과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특히 건물의 외관 부는 독특한 유럽식 구성과 장식으로 진취적이고 괴장한 이미지를 선보이고 있다. 이 건물은 송탄 지역이 관광특구로 지정된 후 새롭게 건축되었으며, 관광명소의 일 점으로서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우리 문화를 소개하며 외국인과 대화할 수 있는 편안한 장소로 각광을 받고 있다. (4) Hospitality House 송탄관광특구의 외곽지역은 주택가이며 송탄의 전형적인 일반시민이 살고 있다. 이곳의 전원지역에 자리잡은 Hospitality House (외국인 환대의 집)은 외부의 돋보이는 홍보안내판과 미국인이 직접 설계한 내부구조시설이 특이할 만하다. 이곳은 미국에서 온 선교사에 의해서 운영되고 있으며, 외국인, 군인가족, 내국인들이 서로의 만남과 봉사를 하는 선교의 장소로서 친절을 바탕으로 각종 안내와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5) 영천관광호텔 송탄관광특구에는 많은 관광호텔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영천관광호텔은 전통적이며 경관시설의 면에서 다른 호텔과 상이하며 특수한 입지를 가지고 있다. 이 호텔이 위치한 곳은 1953년 미군부대 건립 당시에 지골용수터로 불리던 자리로서 지역 주민의 식수로 이용되는 샘터였다. (6) 외국인 상인 송탄 신장동 쇼핑몰 거리는 미국인을 비롯한 인도네시아인, 필리핀인, 일본인, 중국인, 이란인, 러시아인 등이 거주하면서 생활의 공간을 점유하며 갈등 없이 지내고 있다. 이곳은 외국인에게 친밀한 쇼핑장소로서 각종 가죽제품, 캐주얼웨어, 운동화, 액세서리, 기념품, 가방 등의 상품 등을 팔고 있으며, 본국의 향수를 느낄 수 있는 음식점과 카페가 몰려있고, 정보와 정서를 공유할 수 있는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쇼핑몰 거리는 타국생활을 하는 외국인들에게 더할 수 없는 소중한 장소를 제공한다. (7) 한국관광고등학교 송탄관광특구의 부흥에 발맞춰서 국제사회 시대에 관광 한국의 이미지를 높이고 외국 관광객을 수용에 대비한 한국관광고등학교가 국내에서는 최초로 관광특구지역 내에 설립되었다. 이는 미래관광 사회의 선도적 역할을 할 전문인을 육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우리 나라 관광산업의 전망을 밝게 하는 밑바탕으로 작용을 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 지리적 요소는 미래에도 한층 더 송탄관광특구를 발전시킬 수 있는 작용을 할 것으로 본다. Ⅳ. 결론 본 연구는 문화지리적 측면에서 송탄 관광특구가 갖추고 있는 문화 경관의 모습과 기능을 살피고자 하였다. 문화경관을 이해함에 있어서는 문화지리학의 측면에서 해석되고 설명되어야 한다고 본다. 문화 지리학은 인간집단의 생활양식과 그들의 창조물이 지역적으로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근래에 들어와서 문화경관의 연구는 신문화지리학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도시·문화경관을 이해하는 데는 관찰자에 의한 시각적 분석방법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본연구도 송탄문화경관을 신문화지리학과 관련하여 경관의 특성과 기능을 찾고자 하였다. 신문화지리학 개념에서 보면 경관에 대한 주된 관심은 인간에 의하여 형성되는 관찰 가능한 모든 경관현상의 특성·기원·분포에 기인한다고 하였는데 송탄관광특구의 문화경관연구도 이에 상응하는 요인들을 찾아 관찰하였다. 이에 따라서 송탄관광특구의 문화경관을 관찰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송탄관광특구의 문화경관은 지역생활의 특성과 병행하여 발달하였으며 그에 따른 특수한 이미지를 갖고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둘째, 송탄관광특구의 문화경관은 외국인의 편익생활을 위한 경관이 많이 발달하여 있다. 셋째, 송탄관광특구의 문화경관은 국제관광도시의 시각적 특성과 기능으로서 즐거운 도시경관, 자연의 도시경관, 국제 문화의 도시경관, 다원적 도시경관을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송탄 지역의 전체적인 면모는 우리 나라의 전형적인 중소도시의 발달형태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송탄 지역이 앞으로 더욱 도시적인 형태를 갖추고 도심과 주변을 쾌적한 환경으로 만들어 나가기 위해서는 성장과 발전이라는 명제아래 도외시되었던 환경친화적 도시경관의 구축과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세계화 시대의 관광적 도시경관은 세계화가 가지는 다원성과 다양성이 경쟁력 강화 전략의 기저에 놓여 있어야한다. 송탄관광특구가 지니는 잠재력을 살리고 물리적 차원의 쾌적성과 문화적 차원의 쾌적성을 도시의 매력으로 개발한다면 한층 송탄관광특구의 문화 경관은 한층 독특해지고 돋보일 것이다. The Songtan region is been known as the hill of sutgogae from a long time ago. There are a lot of historical relics and cultural sites around Songtan. In geographical position, Songtan is included in Pyongtaek city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ern area of Gyeonggi Province and borders Osan city to the north and Yongin city to the east. The Korean government and Pyongtaek city is making an effort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of Songtan. They set up a tourism policy to make it active. The city-like development of Songtan started in 1952 when US military forces (K55) built facilities in the area. At that time most of the facilities were for Western military personnel. It was a kind of "campside town" centralized around the base for selling their products. More recently the Songtan region, for purposes of internationalization, was appointed as the "Songtan Special Tourism Zone" in 1997. In the wake of this special appointment, the view of culture and living Jumped for developing once again. When we look at the change in the Songtan region, there was the development of mountain areas around SerJeung-dong that was changed to the New city space. Also, there was a big improvement in the appearance of the SinJang shopping mall which has made it a resting place for foreigners. Songtan people made green parks, built international hotels and lodging facilities, had the consolidation of tour guide signs, reopened hiking trails, and adorned cultural tourist streets. In the following changes this research looked at the image of the cultural view around the background of facilities for foreigners. According to this issue, we need to observe the places foreigners like. We have shown the changes by taking photos and making drawings in this research. This Songtan special Tourism Zone has a lot of attractions Surrounding itself in the view of cultural geography. This special zone has been vigorously expanding for the development of a local culture. The Songtan Tourism zone has an exotic and conspicuous figure we can't find it in other cities. There are many foreigners living in the Songtan special Tourism zone with a cultural ground for tourism. And now this zone is developing as an international city. Every year the increase of facilities for foreigners can prove this fact. The Songtan cultural view is esspecially related to foreigners. This has an important value as the image of view. The facilities for tourism can be enjoyed by both foreigners and Songtan citizens. The Songtan Special Tourism will be more developed to make it comfortable for foreigners. Then we will be able to see the cultural street for foreigners. When we carry forward the improvement of the SinJang shopping mall, This will cause a new tourism view for the tourist. We expect Songtan to get a New aspect from setting up the international English town as an educational culture view.

      • 컨조인트 분석에 의한 터널 내 조명시설 설치조합별 경관 선호도 분석

        이혜령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300

        There are 1,382 tunnels in Korea as of late 2010 and it is dramatically increasing. Moreover, the generalization of very long tunnels increase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in tunnel. Especially, detailed consideration is necessary for components of inner-tunnel scenery as it has direct influence on the passage of tunnel, driving environment, and oth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relation between detailed installation combination of lighting facilities and preference of drivers and grasp the importance for each installation components in order to propose adequate installation combination of lighting facilities for tunnel. Components of installation combination for lighting facilities of tunnel have been classified into 3 placements, 2 numbers of rows, 2 arrangement types accordingly and 8 types of installation combination for light facilities have been extracted through fractional factorial design. Then, the preference test was executed and analyzed targeting general drivers after composing them as a simulation. SD method was applied in order to extract sentimental factor that has influence on the preference for installation combination of lighting facilities and installation combination of tunnel lighting facilities was evaluated and relative importance and utility value of the property was proposed through conjoint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he preference for individual property was significant and the combination in 2 row solid line arrangement type was revealed to be most satisfactory in regards to the satisfaction for each type of installation combination. Also, as sentimental factors for the preference in installation combination of tunnel lighting facilities, safety, openness, and comfortablenes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relative importance, it has influence on the preference of drivers in order of number of rows for lighting, arrangement type, and placement. Looking into detailed utility value, it was analyzed that 2 rows regarding the number of rows, solid line arrangement regarding the arrangement type and center placement regarding the placement have high utility value Such result acquired by grasping the priority for each property in installation combination of tunnel lighting facilities and extracting the utility value would be of great help in proposing quantitative standard for the improvement in tunnel lighting facilities in the future. 2010년 말 국내터널은 1,382개소로 급증하는 추세에 있으며, 장대터널의 보편화는 터널 내 환경의 중요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특히, 터널 내부경관 구성요소는 터널의 통행과 주행환경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세부적 고려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명의 세부 설치조합과 운전자 선호도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설치요소별 중요도를 파악하여 터널에 적합한 조명시설 설치조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터널조명시설 설치조합의 구성요소는 배치 3가지, 배열 수 2가지, 배열 형태 2가지로 분류하고, 부분요인설계를 통해 조명시설 설치조합 8가지 유형을 추출한 뒤, 이를 시뮬레이션으로 구성하여 일반 운전자에게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은 터널조명시설 설치조합의 선호도에 미치는 감성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SD법을 적용하였으며,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터널조명시설 설치조합을 평가하고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 및 효용 값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설문조사 개인속성별 선호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치조합의 유형별 만족도는 측부 배치, 2열 실선 배열 형태의 조합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터널조명시설 설치조합의 선호도 감성요인으로는 안전성, 개방성, 쾌적성이 도출되었으며,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 조명의 배열 수, 배열형태, 배치 순으로 운전자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구체적 효용가치를 살펴보면 배열 수 2열, 배열 형태 실선, 배치 중간부의 효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터널조명시설 설치조합의 각 속성별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효용을 도출한 결과는 향후 터널조명시설 개선에 정량적 판단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