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인천지역 교육시설의 건축환경과 실내공기질의 상관성 분석

        강승아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Students spend an average of 4 to 14 hours a day in Educational Facilities. Therefore, their health is greatly affected by the Indoor Air Quality of Educational Facilities. The quality of air in Educational Facilities has been deteriorated in recent years due to diversific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increased application of chemical substances, and the lack of ventilation systems incorporated in Educational Facilities. As a result, students who spend great deal of their time in newly constructed Educational Facilities suffer from "Sick School Syndrome", a phenomenon similar to the "Sick House Syndrome". This has a potential of becoming a serious health concern, especially among young students who have not fully developed strong immune systems. Currently, the rules and regulations on the Indoor Air Quality as enfor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less strict than tha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n top of this, there are only few studies conducted on the Air Quality of classrooms, not to mention the complete absence of study done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ducational Facilities air quality and the building construction condition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background, this study presents some primary data based on the survey of classroom construction conditions and the measurements taken on the Air Quality of Educational Facilities. Relationships between the year of construction, the designs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 density of pollutants are also analyzed and are included in this study. To summarize,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year of classroom construction and the density of harmful chemicals present in Educational Facilities. 2008년 현재 전국의 교육시설(유치원,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대학교)은 19441개로, 신도시건설과 교육시설 개선사업으로 교육시설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한편, 최근 건물에서는 건축자재의 화학물질 사용증대, 고기밀화 및 환기부족 등의 원인으로 실내공기질 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교육시설에 있어서도 학생들은 장시간(4h~14h/1day) 실내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교실의 실내공기질은 학생들의 건강 및 쾌적성 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신체적으로 미성숙하고 면역기능이 발달되지 않은 학생들은 실내공기오염으로 심각한 피해를 볼 수 있다. 한편, 교육시설은 면적당 재실자 수가 일반 사무실보다 4배 이상이고, 교실에서 다양한 교과목의 교육으로 인해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이 존재할 수 있는데 교육과학기술부의 「학교보건법」은 환경부의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에 비해서 내용이 다소 미비한 상황이며, 교육시설의 실내공기환경에 관련된 연구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교육시설의 실내공기질에 관한 기존의 연구로는, 학교 실내공기질 현장측정 및 성능평가, 친환경 자재, 환기시스템) 등에 관한 연구가 있으나 교육시설의 건축환경과 실내공기질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시설의 건축환경과 실내공기질의 상관성 분석을 목적으로 인천지역 교육시설을 대상으로 신개축년도와 실내마감재 및 가구 등의 건축조건에 대한 조사와 실내온열환경,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₂), 미세먼지(PM10), 포름알데히드(HCHO),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각종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에 대한 측정 및 결과를 바탕으로 그들의 상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 서울시 건축상 수상작의 외장재 사용 변화 분석

        박시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87

        As exterior materials have become aesthetic elements in the role of decorative materials, it has become important for architects to choose exterior materials. To analyze changes in the use of exterior materials, this study analyzed the exterior materials of the Seoul Architecture Award by year, material, purpose, and size and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most commonly used exterior materials in the Seoul architectural award-winning works were analyzed for brick, plastic, stone, metal, glass(curtain wall), cement/concrete, and brick depending on the year. Brick and plastic materials were used the most by the mid-1980s, and a stone was used the most before 2000. After 2000, various exterior materials such as metal, glass(curtain wall), cement/concrete, and bricks, as well as stone materials, tended to make up a high proportion. Second, the exterior materials used in award-winning works were found to have increased or decreased the tendency to use the same material. Cement/concrete, wood, and synthetic resins (plastics) among exterior materials tended to increase their frequency of use, while plastic materials tended to decrease. Metal, Stone, Glass(curtain wall), paint showed an irregular tendency to increase and decrease. Also, metal, stone, cement/concrete, wood, paint, plastic, composite resin (plastic) has emerged as a variety of exterior materials, including exposed metal, basalt,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terra-cotta plates, and glass(curtain wall) and brick have changed since 2010. Third, the exterior materials used in the award-winning works showed different trends of use, such as glass(curtain wall), stone, metal, brick, paint, cement/concrete, etc., depending on their application. Business facilities have a high rate of use of glass (curtain wall), stone, and metal, while cultural and assembly facilities and educational research facilities mainly use metal, stone, and glass(curtain wall). Residential facilities such as stone, brick, paint, and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were analyzed to have a high frequency of use of cement/concrete, metal, and stone. In addition to the existing frequently used exterior materials, the winners of cultural and assembly facilities and educational research facilities tend to change their exterior materials to cement/concrete, brick, and paint starting in 2000, and the winners of business facilities, residential facilities, and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have used cement/concrete, wood, brick, etc. Fourth, the award-winning exterior materials tended to vary depending on their size, including cement/concrete, metal, brick, stone, and glass(curtain wall). In small award-winning works, frequently used cement/concrete, metal, brick and tend to be similar to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and in medium-sized awards, metal, stone, glass(curtain wall) consistent with cultural and assembly facilities and educational research facilities. Large-scale award-winning works were made of glass(curtain wall), stone, and metal materials, similar to business facilities. Small award-winning works have been used for wood and paint since 2010. medium and large award-winning works have emerged cement/concrete and bricks since 2010. exterior materials have been changed and diversified b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ocial and political factors, bu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usage trends and preferences and contributes to the study of exterior materials by analyzing changes in the Exterior Material Use of the Seoul architectural award-winning Works 외장재는 건축물의 첫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과거에는 단일 재료가 구조재, 치장재, 기능재의 역할을 동시에 담당했으나, 오늘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역할은 분리되었다. 그로 인해 외장재가 치장재의 역할만 담당하고, 심미적인 요소가 됨에 따라 외장재를 선택하는 것은 건축가에게 중요해졌다. 국내의 건축물들을 대상으로 건축 특성, 경향, 규모, 공간을 다루고 있는 서적과 연구는 많으나 서울에 위치한 건축물의 외장재에 대한 사용 경향과 선호도를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연구는 많이 없다. 본 연구는 외장재의 사용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서울시 건축상 수상작의 외장재를 대상으로 연도별, 재료별, 용도별, 규모별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서울시 건축상 수상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외장재는 연도에 따라 벽돌, 소성재, 석재, 금속재, 유리(커튼월), 시멘트/콘크리트 등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수상작에 사용되는 외장재들은 같은 재료일지라도 사용 경향이 증가하거나 감소했으며, 익스펜디드 메탈, 현무암, 유글라스,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 전벽돌, 테라코타 판,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C) 등 다양한 외장재들이 2000년과 2010년을 기점으로 등장하였다. 셋째, 수상작에 사용된 외장재는 용도에 따라 유리(커튼월), 석재, 금속재, 벽돌, 페인트, 시멘트/콘크리트 등 다양한 사용 경향이 나타났다. 넷째, 수상작에서 건축물의 규모에 따라 시멘트/콘크리트, 금속재, 벽돌, 석재, 유리(커튼월) 등 사용되는 외장재들은 다양한 경향을 보였다. 외장재는 기술의 발달과 사회적, 정치적인 요소들에 의해 변화되고 다양해졌으나,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건축상 수상작의 외장재 사용 변화 분석을 통해 사용 경향과 선호도를 파악하고 외장재 연구에 이바지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3D 측량기술을 이용한 도심지 굴착공사 인접구조물 거동 연구

        황사경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221

        도시의 인구집중 및 고도화에 의하여 지하공간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심지 중심에서 건설되는 굴착공사는 공사 현장과 주변 건축물이 인접하고 있어 굴착공사에 따른 지반변위로 구조물에 영향이 발생하게 된다. 도심지 굴착작업 중 발생하는 문제점 및 주변 건물을 영향 발생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현장 계측관리는 필수적이며 신뢰도 있는 계측값을 취득하여야 사고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구간의 대표적인 굴착공사인 지하철건설 현장에 인접한 기둥형 구조물에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대상 지역을 예상 변위량 및 대상구조물을 안정성을 검토하였으며 기존의 연도변 건물 계측방식과 병행하여 Total Station과 지상 LiDAR를 사용한 3D 측량 기술을 이용하여 변위측량을 실시하였다.현재의 구조물 계측 방식은 기울기 변화에 따른 변위량을 산출하며 변위량은 구조물 높이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직선형의 변위량을 보인 반면에 Total Station측량의 경우 측정 위치별 측량으로 구조물 하단에 비하여 구조물 상단 변위량 큰 비선형을 결과를 보였다.구조물 변위 측정 및 수평변위 측정에 Total Station과 지상LiDAR를 비교한 결과 지상LiDAR도 모니터링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건설공사 착공전 지상LiDAR자료를 구축하고 공사기간 및 준공측량에 Total Station 과 지상LiDAR를 병행한 모니터링 기법이 도입하여 구조물 모니터링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인접구조물 거동확인 방안을 제시 하였다.핵심용어 : 계측관리, 지반변위, 연도변 건축물, 3D 측량, Total Station, 지상 LiD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