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작소설 각색 드라마의 구성요소가 시청동기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드라마 〈사등〉을 중심으로

        이영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몇 년 동안 원작소설과 드라마의 관계는 날로 밀접해지고 있어 원작소설 각색 드라마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중국 인터넷 문학은 누적 이용자 수 5억200만 명으로 전체 누리꾼의 48.6%를 차지하으며 2017-2019년 309개 인기 드라마 중 각색 드라마는 65개로 약 21%를 차지했다. 특히 가장 인기가 높은 100개 드라마 중 원작소설 각색 드라마는 42개로 42%를 차지했다. 그러나 원작소설 각색 드라마가 추세가 되면서 원작소설 자체나 각색 창작자 등으로 인해 각색된 작품의 질이 불균질한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 그런 와중에 드라마 <사등>은 성공적인 원작 각색 사례로 평가되어 각색 드라마에 좋은 기틀을 제공하였다. 본 논문은 원작소설 각색 드라마의 구성요소가 시청동기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인 원작소설 각색 드라마의 구성요소로 주제, 스토리, 캐릭터, 배경, 세계관을 선정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시청동기, 만족도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425명의 설문을 통해 원작소설 각색 드라마의 구성요소가 시청동기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원작소설 각색 드라마의 구성요소가 시청동기와 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원작소설 독자의 감성을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인 주제, 스토리, 캐릭터, 배경, 세계관에 대한 정교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In recent years, the relationship between original novels and TV plays has become increasingly close, and the adaptation of original novels to TV play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China's online literature has a total of 520million users, accounting for 48.6% of the total number of Internet users. From 2017 to 2019, 309 popular TV dramas adapted 65 TV dramas, accounting for about 21%. Especially in the 100 most popular TV dramas, there are 42 TV dramas adapted from original novels, accounting for 42%. However, as the adaptation of the original novel to TV series has become a trend, the quality of the adapted works has been uneven due to the original novel itself or the adaptation creator. In this case, the TV drama shiteng was evaluated as a successful case of original adaptation, which provided a good foundation for the adaptation of TV drama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influence of the elements of the TV series adapted from the original novel on the audienc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herefore, the theme, story, role, background and world outlook are regard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are audienc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And through the questionnaire of 425 people, it verifies the influence of the elements of the original novel adapted TV series on the audienc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udienc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e should not only consider the sensibility of the readers of the original novel, but also finely cut into the theme, plot, role, background and world outlook of the elements.

      • 한?중 애니메이션 각색비교 연구 : 한국애니메이션<날아라 슈퍼보드>와 중국애니메이션 <서유기> 중심으로

        한아평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고전은 전 세계에서 문화콘텐츠의 소재로 애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같은 고전이라도 각색 작업을 진행하는데에 있어서 각 문화 간에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문화적인 배경에 귀결시켜도 합리적이지만 원작에 대한 이해 정도의 차이 역시 일종의 원인이 된다. 고전 중에서 중국의 소설 《서유기》는 각 나라 문화콘텐츠 원천소스의 애용소재로 군림하고 있다. 국제화 배경 아래 문화콘텐츠도 그 추세에 맞춰 국가와 상관없이 고전, 신화 등 창작 원천을 사용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은 역사상으로는 물론이고 문화상에서도 일맥상성이라서 서로의 창작 원천소스를 활용하고 있다. 《서유기》를 각색한 한·중 문화콘텐츠 중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애니메이션이다. 이로 인해 본 논문은 한·중 《서유기》에서 각색한 애니메이션을 대비하면서 양국의 각색을 고찰을 하고자 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애니메이션 <날아라 슈퍼보드>는 1990년대에 창작되었으며 주요 관람객은 아동이다. 개방적인 사회 배경에 빙의해 원작을 더 현대적으로 각색하는 수법으로 변형한다. 특히 인물 디자인과 무기 다자인에 있어서 원작과 큰 차이를 가지고 있다. 스토리는 원작의 일부분만 채용하고 시대적인 의미를 가진 요소도 많이 채용한다. 원작과 같지만 관계는 원작과 큰 차이를 가지고 있다. 비록 원작의 스승과 제자로 볼 수도 있지만 같이 여행을 떠나는 친구로 간주해도 합리적이다. 시대 배경에 있어서 현대와 고대를 섞어서 서사를 전개한다.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건물, 인물 복식, 그리고 무기 등 요소들은 현명한 현대적인 특징을 갖추고 있다. 주제의식에 대해 말하자면 원작의 "불심에 일편단심" 주제를 채용하지 않고 수용층을 고려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팀원 간에 한 마음을 모여 모든 난관을 극복할 수 있다는 주제를 선정한다. 중국의 애니메이션 <서유기>도 1990년대에 창작하며 주요 수용층을 아동으로 설정한다. 한국과 달리 이 애니메이션은 중국국가의 지지를 받아 《서유기》 원산지로서의 우세를 보여줄 수 있는 작품을 만들자는 목표를 가지고 창작되었다. 이러한 배경아래에서 애니메이션 <서유기>는 원작과 큰 차이가 없고 원작의 복원이라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캐릭터 주조는 원작과 똑같으며 관계도 큰 차이가 없다. 비록 인물 간에 관계는 원작과 같이 엄격한 스승과 제자들의 말투는 아니지만 큰 차이는 없다. 주어진 배경은 원작과 일치하고 당나라로 설정하며 원작의 작은 스토리도 많이 복원한다. 인물의 복식, 건물 스타일, 무기 등 요소도 역시 원작과 일치한다. 주제에 있어서 원작의 기본 주제와 일치하지만 수용층을 고려해서 사법을 존경하고 한 마음으로 협력하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는 주제도 그의 주제로 채용한다. 비록 같은 시대에 창작되었지만 양국의 정치와 사회 배경에 있어서 큰 차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또한 중국은 원산지로서의 자존심을 가지고 있어서 《서유기》에서 각색한 양국의 애니메이션은 큰 차이를 가지고 있다. 문화콘텐츠를 국가와 상관없이 유통하고 있는 오늘에 양국은 서로의 고전을 각색한데에 있어서 각자가 더 선호하는 각색방향을 잡아 더 혁신적인 수법을 채용하게 된다면 원작의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오늘 양국의 시대적인 배경을 고려해 《서유기》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고찰해 더 많은 문화콘텐츠 유형에서 활용할 수 있다. 중국은 《서유기》를 각색한 방법을 더 현대적이고 혁신적인 수법을 채용하야 한다. 한국은 《서유기》를 각색할 때 영역을 더 넓혀 영화나 드라마에서 더 큰 성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모바일 문화콘텐츠 영역에서 양국 간 경쟁이 치열해서 《서유기》를 원천소스로 창작하는 데에 서로의 각색 수법을 참고하면서 더 빛나는 결과를 기대해도 될 것이다. Classical novels have always been an important source of inspiration for cultural creation. Under the background of internationalization, classical novels have been given more vitality and more cultural inspiration. But each country has its own cultural background, and the way to adaptation is also characteristic. In many classical novels, <Journey to the West> had been adapted many times in different country. South Korea and China are very similar in both history and culture, and they have also adapted < Journey to the West>. In the adaptation works, animation accounts for the majority. In this thesis, two works are compared and the conclusions are the same with bellowing. South Korea's animation <Flying Super Board>was created in 1990s, the mainly crowd were children. At that time, the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environment of South Korea is opened which made this animated film more adaptable to the original work. Although the charact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original, the relationship has changed a lot. They are no longer the strict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the original work, but team members that to travel together. The background of the story has also changed a lot, whether it is the clothing of the characters, the style of the building, the weapons used by the characters have changed a lot. Because the main audience is children, the animation has also adjusted the theme. The theme of the novel is the loyalty to Buddhism, but it has become a relatively simple theme in the animation which is as long as all of the people work together they can get to succeed. <Journey to the West> of China was also created in 1990s. Unlike South Korea, the animation was created under the support of the state. They asked the animation to restore the content of the original novel to the effect of educating children and let them know that China has such a great novel. Under the background , the novel is basically not ver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one. The story is also the original story. The structure and relationship of the characters are all restored to the original. Although not much difference, there are som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cause the main audience is children, the characters' lines have added a lot of interesting points. The background is also the same with original book which is the Tang Dynasty . The theme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original. But considering that the main audience is children, it not only shows the enthusiasm of the original to Buddhism, but also expresses the theme that if we work hard together we can overcome all the difficulties. In conclusion, the adaptation of South Korea is more innovative and China's adaptation is more conservatism. Today, with the increasingly frequent internationalization of cultural exchanges, the two countries will have more excellent works if they know more about their adaptation styles and apply them to future cultural creation. South Korea can apply the adaptation of <Journey to the West> in various fields. China uses more innovative ideas in the adaptation of <Journey to the West>which not only makes <Journey to the West> more luminous and colorful but also makes the communication between two countries get better understood.

      • 각색 영화와 원작 비교 분석 연구 : <신과함께: 저승편>과 <신과함께: 죄와벌>을 중심으로

        최선형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터넷과 기술의 발달은 새로운 콘텐츠의 등장을 만들었다. 웹툰은 단순히 인터넷 만화라는 장르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영역의 경계를 넘나들고 있다. 특히, 웹툰 <신과 함께>가 대표적인 성공작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각색은 매체를 전환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영화와는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각색은 항상 긍정적인 입장과 부정적인 입장이 공존해왔다. 각색자는 영화의 시나리오를 쓰는 사람이며 원작을 이해한 사람이다. 각색자는 원작을 보고 개인적, 사회적 상황에 따라 원작을 재해석하여 영화의 시나리오를 만든다. 이렇게 탄생된 시나리오는 대중들에게 전해진다. 원작이 다른 매체로 전환이 될 때 매체의 특성상 원작과의 차이점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러한 차이점은 각색자의 원작에 대한 이해도와 해석으로 메꿀 수 있다고 보았다. 매체의 특성과 함께 각색자의 해석으로 이루어진 각색이야 말로 대중들의 관심을 끌게 만드는 작품을 탄생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웹툰과 원작을 각색한 영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를 가지고 각색자의 각색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고 효율적인 각색방향으로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밝힌 연구는 영화<신과함께: 죄와벌>의 부족한 선행 연구의 보완이 될 수 있으며 각색에 주목하게 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다양한 각색 작품 분석 연구에 아이디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영화 <신과함께: 죄와벌>, 각색, 크로스미디어, 매체 전환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Internet have given us new contents. Furthermore, it makes contents to convert new media. Especially, Webtoon get attention from people. Using the Webtoon, we will make a variety of contents. It is a kind of big trend that Webtoon cross the bounderies seperating field. In this situation, Webtoon which called <Along With the Gods> has been deemed a major success story by the film industry. Then, which have differences between original work and film? The key is adaptation. Adaptation has been long relationship with film. Adaptation always has been positive and negative part. Their views are far apart on that issue. Some people say adaptation is imitation and others say adaption is new creations. An adapter is person who write the script for the film. A good script does not lead to a good film. When adapters write the script for the film, they read the original content to better understand the film. Also, they have used their imagination to create film. Adaptation requires constant change. In this process, imagination and the main theme are most important things. Adaptation study which focus on two different media concentrate on narrative. Converted contents derive from the original content, these are not easy work. This study compares the narrative that focusing on original work and film. Also, how they are changed and reflect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e process of how original narrative are converted to cross media platforms. This study inspects the characteristic of the original narrative, important events, based on narrative space, and types of the media conversion. This comparative study on adaptation is necessary for media conversion. We get some tip on adaptation that how to convert and focus on it. From the comparing two different types of contents, it shows us efficient adaptation. It would be essential study of the recreation process which shows the aspects of media conversion. Keyword : Along With the Gods, Adaptation, Cross media, Media conversion.

      • 영화의 TV드라마화 각색 비교 연구 : 영화 〈뷰티 인사이드〉와 동명 TV드라마를 중심으로

        강수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각색은 문예물을 한 매체에서 다른 매체로 변환 하는 작업을 말한다. 주로 소설, 웹툰에서 영상물로 각색한 경우가 많다. 각색은 원작에 대한 충실도로 충실한 각색, 다원적 각색, 변형적 각색 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존의 각색 작품들이 주로 충실한 각색 방법을 사용함으로 각색은 예술로서의 독창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근래에 영화의 드라마화가 각광 받으면서 다시 창의적인 변형적 각색 방법에 주목하게 되었다. 그러나 활발한 개발과 제작에 비해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영화와 TV드라마의 각색 양상을 자세히 고찰하고 영화 <뷰티 인사이드>와 드라마 <뷰티 인사이드>의 비교 연구를 통해 서사구조, 인물, 변신 모티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분석하며 매체 전환과 시대 변화의 두 요인으로 효율적인 변형적 각색 방법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영화는 단선적 서사구조와 개방적 결말을 가지고 있고 드라마는 복수적 서사구조와 완료형 결말을 지님으로 각 매체의 특성에 맞게 각색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인물에 있어서 드라마는 영화의 변신 판타지 설정만 따랐을 뿐 인물의 성격과 인물 관계는 모두 새롭게 창작되었다. 영화에서는 현실성과 일관성 있는 인물을 주로 다루었다면 드라마 속 인물은 환상성과 입체성 특징이 더 두드러졌다. 영화와 드라마의 수용자 차이로 드라마에서는 여자주인공에게 변신 설정을 부여했고 변신 규칙도 바뀌었다. 시대의 변화로 두 작품의 담론도 많은 차이점이 보인다. 영화는 개인의 불안과 사회의 무질서 등 다소 심오한 문제를 다루었다면 드라마는 자아 성장과 지금 사회에서 이슈가 된 페미니즘, 갑을관계 등 문제를 다루었다. 드라마 <뷰티 인사이드>는 영화와 전혀 상관없는 내용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원작과 많이 다르다. 이는 원작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변신 모티프만 가져와서 새롭게 다시 쓰는 방향으로 시대의 요구에 응하고 매체의 특성을 살려 캐릭터와 스토리를 다시 창작하였다. 필자는 이렇게 동일한 내용을 서로 다른 매체에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원천 콘텐츠의 핵심 아이디어만 보류하고 사회 변화와 매체 특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콘텐츠로 창작하는 것이 바람직한 각색 방향이라고 본다. 본고를 통해 창의성 있는 변형적 각색 방법이 매체전환에 더 활성화되기를 바라며 드라마를 포함한 각 분야 콘텐츠의 교류와 발전을 기대해본다. Adaptation is the transfer of works from one medium to another. In many cases, it is adapted from novels and webtoons to video. Adaptation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aithful Adaptation from the original pieces, plural Adaptation, and transformative Adaptation. As existing Adaptation mainly uses faithful Adaptation methods, Adaptation is not recognized for its originality as a technique. Recently, the Adaptation of the film has become popular and one learnt to take a notice again of the creative transformational Adaptation method. However, research on the creative transformational Adaptation has been insufficient compared to active development and produc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this problem, this paper looks into the various aspects of movies and TV dramas in detail. Through comparative studies between the movie <Beauty Inside> and the same-titled TV drama <Beauty Inside>, the paper also analyzes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between narrative structure, characters, and transformation motifs. Furthermore, it studied the transformational Adaptation method which is considered effective as two factors of media conversion and change of tim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paper found that film has a one-line narrative structure and an open-ended conclusion, and that drama has a plural narrative structure and a closed- ended conclusion. Regarding characters, drama only followed the transformational fantasy setting of the movi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personality and the character itself was all newly created. Because of difference in the audiences of movies and dramas, in the drama, the transformation settings were given to the female lead and the transformation rules were changed. Whereas in the movie it mainly focused on reality and consistency, in the drama the characters were more prominent in fantasy and third dimension. As the times change, discourse of the two works shows a lot of difference. If movie dealt with serious issues, such as personal anxiety and social disorder, drama dealt with current social issues such as self-growth, feminism, and power issues. The drama <Beauty Inside> is quit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almost irrelevant plot to the movie. This is because the dram did not follow the original, but it only took the transformation motif and then rewrote the original. It eventually responded to the needs of the times, util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nd re-created the character personality and story. The author of this paper sees the desirable way of Adaptation is not only the duplication of the same content on different media, but also holding on to the core idea of the original content and the creation of new content in consideration of social change and media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paper, the author hopes that the creative transformational Adaptation method will be used more in the process of media conversion and expects exchange and development of contents in each field including drama.

      • 각색영화시청이 중학생 독자의 독자반응과 이해에 미치는 영향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중심으로

        이임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watching dramatized movies different from fidelity in the original novel on the middle school student reader’s text understanding watcher's recognition of multi-media experi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below research contents. First, the notion and characteristics of dramatized movies are arranged and the cases of the dramatized movies are analyzed. Second, the course of text understanding and the notion of the intertextuality theory were arranged t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reader's watching of dramatized movies and the text understanding course of the original novel. Third, it verified through an experiment how the experience of dramatized movie watching influences the middle school student readers' recollec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novel text and the recognition of multi-media experience. Through the researcher performed with the above methods and procedures, below findings could be gained. First, it could confirm that there were appearance changes in the courses of remediation from both the dramatized movies with high fidelity and those with low fidelity. The movie with high fidelity showed appearance changes due to media change but because it reemerges characters, events and space, which compose of the story of the original movie, it has no change in subject. The movie with low fidelity had appearance changes in characters, events and space according to director's intention and these appearance changes were confirmed to influence the subject of the story. Second, as a result of the arrangement of the text understanding course and the intertextuality theory, it was found that the dramatized movie works as a mechanism of intertextuality to the reader's text understanding to influence the reader's text understanding. Third, it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the fidelity of each dramatized movie becomes the factor to influence the reader's recollectio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original no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idelity of the dramatized movie should be considered to select texts according to its purpose in the media educ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using the dramatized movie. 이 논문은 원작소설에의 충실도가 다른 각색영화 시청이 중학생 독자의 텍스트 이해와 다매체 경험에 대한 독자의 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설정 하였다. 첫째, 각색영화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하고 각색영화의 사례를 분석한다. 둘째, 텍스트 이해의 과정과 상호텍스트성 이론의 개념을 정리하여 독자의 각색영화의 시청과 원작소설에 대한 텍스트 이해과정이 갖는 의의를 논의한다. 셋째, 각색영화 시청 경험이 중학생 독자의 소설 텍스트 회상과 이해, 그리고 다매체 경험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이상의 방법과 절차로 실시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원작에의 충실도가 높은 각색영화와 충실도가 낮은 각색영화 두 작품 모두 영화로 재매개 되는 과정에서 변용이 일어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충실도가 높은 영화는 매체 변환으로 인한 변용이 일어났지만 이야기를 구성하는 인물, 사건, 공간은 원작소설을 그대로 재현하였기 때문에 주제 변용은 일어나지 않았다. 충실도가 낮은 영화는 감독의 의도에 따라 인물, 사건, 공간의 변용이 일어났으며 이러한 변용은 이야기의 주제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텍스트 이해의 과정과 상호텍스트성 이론을 정리한 결과 각색영화는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 상호텍스트성의 기제로 작용하여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 결과를 통해 각색영화의 충실도에 따라 독자가 원작소설을 회상하고, 이해하고, 적용시키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각색영화를 이용한 매체교육과 문학교육의 장에서 그 목적에 따라 텍스트를 선정함에 있어 각색영화의 충실도는 고려해야할 사항임을 시사한다.

      • 고전 희곡의 각색 방법 연구 : 셰익스피어 <줄리어스 시저>를 중심으로

        서영학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연극에서의 정확한 각색 개념과 방법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통상적으로 희곡을 공연화하는 과정에서, 연출가의 필요에 의하여 각색이라는 과정을 거친다. 하지만 각색의 개념은 희곡을 수정하는 방식에 따라 그 차이가 나타나며 명칭 또한 달라진다. 고전 희곡은 현재에도 많이 재현되며, 지금까지도 좋은 작품으로써 평가된다. 기존의 작품성 또한 뛰어나지만, 새롭게 재구성할 여지가 많다는 점이 그 이유일 것이다. 그렇기에, 고전 희곡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셰익스피어의 작품 중, 그의 비극 작품들의 토대가 되었다고 할 수 있는 <줄리어스 시저>를 소재로 하여 각색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새롭게 정리한 각색의 개념을 토대로 하여 고전 작품의 각색을 실행해 보는 것으로 그 과정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각색의 개념을 세부적으로 정리하고, 고전 작품인 <줄리어스 시저>를 분석하였으며, 정리한 각색의 개념과 <줄리어스 시저>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하여 각색을 진행하였다. 정리한 개념을 통하여 분석 과정에서 확실한 목표를 설정할 수 있었으며, 그 목표를 통해 극 전체를 관통하는 각색의 과정을 거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각색의 정확한 개념을 정리할 수 있었으며, 그 개념을 적용하여 고전작품을 분석하고 각색하는 것으로, 각색의 과정을 새롭게 적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This paper began with the question of the exact concept and method of adaptation in the play. Typically, in the process of making a play into a performance, it goes through the process of adapting i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director. However, the concept of adapta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way the play is modified, and the name also changes. Classical plays are being reproduced a lot even today and are still evaluated as good works. The reason is that the existing literary value is excellent and there is a lot of room for new re-creation. Therefore, among Shakespeare's plays that can be said to represent classical plays, <Julius Caesar>, which can be said to be the basis of his tragedies, was used as a material for adaptation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apt the classic works based on the newly organized concept of adaptation. The concept of adaptation was organized in detail and the classic work <Julius Caesar> was analyzed. In addition, the adapta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concept of adaptation and the analysis of <Julius Caesar>. Through the organized concept, it was possible to set a clear goal in the analysis process, and through that goal, it was possible to go through the adaptation process throughout the play.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organize the exact concept of adaptation, and by applying the concept to analyze and adapt classical plays, it became an opportunity to newly accumulate the process of adaptation.

      • 문화상호주의 관점에서 본 <로미오와 줄리엣>의 각색 공연 연구 : 오태석, 양정웅, 티엔친신의 연출을 중심으로

        진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셰익스피어의 고전 비극 <로미오와 줄리엣>이 한국과 중국에서 현대극으로 각색되는 과정과 현지화 효과를 다룬다. 희곡 텍스트는 오랫동안 전통적 연극 영역에서 주도적 위치에 있는 존재였다. 따라서 과거에 각색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원작 텍스트에 대한 충실도였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각색이라는 작업은 원작을 그대로 복제하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문화상호주의적으로 작품을 각색하는 경우에는, 한 작품을 원천 문화 배경에서 목표 문화 배경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목표 문화와 시대 변화에 맞추기 위하여 작품의 주제, 인물 설정, 플롯 구조 등의 요소가 어쩔 수 없이 따라서 바뀐다. 그래서 문화상호주의 공연의 각색은 원천 텍스트와 목표 문화가 융합되는 과정이자 목표 관객들의 공감과 인정을 받기 위한 작업이다. 각색은 단순한 원작을 반복하는 작업이 아닌 재해석하고 재창조하는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전 서구 문화 배경에서 비롯된 <로미오와 줄리엣>이 어떤 방식으로 한국과 중국의 문화적 맥락에서 재창조되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각색 과정에서 각색자들이 수용 환경의 특수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다른 문화 배경에서 유래된 요소를 어떻게 현지화하는지 주목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고찰하기 위해 본 논문은 한중 양국이 현대 연극 형식으로 연출한 <로미오와 줄리엣> 공연 중 오태석 감독의 2008년 연출, 양정웅 감독의 2014년 연출, 티엔친신 감독의 2014년 연출 작품을 구체적 공연 사례로 분석할 것이다. 문화상호주의적 연극은 1980년대 이후 연극학계로부터 관심을 많이 받아 왔다. 지금은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글로벌화가 심화되고 있는 시기이기에 한 무대 위에 다른 문화들이 서로 만나고 교류하는 문화상호주의 공연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문화상호주의적 공연의 이론이나 실천의 태도는 여전히 서구중심주의에 기초한 오리엔탈리즘의 성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비서구 국가의 문화상호주의 공연이 자민족 문화의 주체성을 유지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연구대상인 세 편의 공연은 텍스트 각색의 측면에서 배경 설정, 인물 성격, 주제 등을 현지화하였다. 각 공연은 자국의 전통 예술을 차용하고 특정한 시대적 분위기를 담는 도구를 활용하며 현대의 다매체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등 독특한 연출력으로 기존의 텍스트를 새롭게 무대화하였다. 각 연출가들은 수용의 주체성을 충분히 중시하여 한국과 중국의 문화적, 사회적, 시대적 특수성을 관객들에게 잘 보여주는 각색을 하였다. 본 논문은 제1장 서론에서 연구의 목적과 의미를 토론한 뒤 연구의 방법을 제시한다. 제2장에서 각색의 개념을 먼저 규명하여 각색 방법의 하나로서 현지화를 논의하고, 각색 대상인 <로미오와 줄리엣> 텍스트의 특성을 제시한다. 이어 제3장에서는 구체적 공연 사례로 오태석 감독의 2008년 연출, 양정웅 감독의 2014년 연출, 티엔친신 감독의 2014년 연출 작품의 각색 과정과 현지화 효과를 분석한다. This thesis deals with the adaptation process and indigenization effect of Shakespeare's classic tragedy Romeo and Juliet as Korean and Chinese contemporary theatre. For a long time, text has been regarded as the dominant part of traditional theater. Therefore, for adaptation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past, but not in the present, was the fidelity to the original text. It is true that the work of adaptation does not duplicate the original work.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intercultural theatre, it is inevitable that elements such as the subject, character setting, and plot structure of the work change in the process of moving one text from the source culture to the target culture, in order to match the change of the target culture and the times. Therefore, the adaptation of intercultural theatre is a process in which the source text and the target culture are fused, and is a work to receive the sympathy and recognition from the target audience. Also, the adaptation is a process of reinterpreting and recreating rather than repeating the original work. In this thesis, how Romeo and Juliet, originating from the background of classical Western culture, is recreated in the cultural context of Korea and China.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attention will be paid to how adaptors indigenize elements derived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the specificity of the acceptance context. To consider these issues, this thesis is based on the study of the three visions of Romeo and Juliet,which is directed by Oh Taeseok(2008), Yang Jungwoong(2014), and Tian Qinxin(2014). Intercultural theater has been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since the 1980s. As globalization is intensifying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intercultural performances where different cultures meet and exchange. However, the theory or practice of intercultural theatre still has a clear tendency of orientalism based on Western-centrism. I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identity of non-Western culture in non-Western intercultural theatre. For the three performances that are the subject of this thesis, the background setting, character setting, and theme were indigenized in terms of text adaptation. Romeo and Juliet was recreated in special ways, such as using traditional Korean arts, using tools that contain the character of certain times in China, or actively introducing multi-media. Each director placed an emphasis on the subjectivity of acceptance and showed the cultural and social specificities of Korea and China to spectators.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is thesis will be discussed, and the research method will be presented. In Chapter 2, the concept of adaptation will be identified to discuss indigenization as one of adaptation metho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 of Romeo and Juliet will be presented. In Chapter 3, for better understanding, performances of Oh Taeseok (2008), Yang Jungwoong (2014), and Tian Qinxin (2014) will be presented as examples to analyze the adaptation process and indigenization effect of adaptation works.

      • 각색을 통한 배려적 사고력 신장 교육 방안 연구

        김성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각색을 하는 과정에서 텍스트와 학습자의 의사소통, 학습자와 학습자의 의사소통을 통해 배려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대사회에서 인성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의 모습을 살피고, 배려적 사고력의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신장시키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신에 대한 배려와 공동체에 대한 배려의 필요성을 깨닫고, 실천하며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유지해 나가는 문화를 이룰 수 있다. 본고의 논의 내용을 장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각색을 통한 배려적 사고력의 신장에 대한 문제제기와 바탕이 되는 주요 연구들을 살피고, 그에 대한 방법과 본고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배려적 사고력의 개념과 형태에 대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각색의 개념과 각색과 배려적 사고력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Ⅳ장에서는 각색을 통한 배려적 사고력 신장 교육 방안으로, 교수 학습 목표와 내용, 방법, 평가를 제시하였다. Ⅴ장은 각색을 통한 배려적 사고력 신장 교육 방안의 실제로 <눈길>을 각색하는 수업 활동의 모습을 제시하였다. 배려적 사고력은 ‘자기 자신과 타인에 관심을 가지고 주의를 기울이며 공통적인 이익을 추구하려는 생각에 대한 기능과 태도’이다. 이 연구는 <눈길> 등장인물의 의사소통을 분석하고 대사를 각색하며 자기 자신과 타인에 대해 배려하는 필요성을 깨닫고,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고를 통해 경쟁이 만연된 사회에서 자기 자신보다 자신 앞의 있는 사람을 생각하는 배려의 습관을 익히고, 이를 통해 배려적 사고력을 신장하여 학습자들이 좀 더 배려하는 삶을 이뤄나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caring thinking through the process of dramatization dur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text and the leaner or between two leaners. This process will allow for the analyzing of Korean studies as a part of modern societies character development program, and will also throughly define and suggest ways to extend caring thinking. This in turn, will fundamentally make the leaner realize the importance of caring for oneself as well as for the community, which will allow for a better culture where the leaner is able to practice a more healthy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will examine some of the main preceding researches both on extending caring thinking through dramatization and the problems of extending caring thinking through dramatization and offer solutions as well as raise some questions. The second chapter will throughly define caring thinking and examine its various forms. The third chapter will examine the definition of dramatization and the relationship dramatization has with caring thinking. The fourth chapter will present methods in enhancing caring thinking through dramatization in the classroom, suggesting teachers's objectives and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s. The fifth chapter presents an actual example of caring thinking through dramatization by examining the process of dramatizing <Nungil> in the classroom and by showing student activities. Caring thinking is the "function and attitude of the mind that takes interest in oneself and the other person in order to pursue the best interest of both parties."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dialogues of characters and dramatizes them with the purpose of making one realize the need and importance of caring for oneself and the other person, and in the end, helping one carry out the vital lessons learned. In a society where competition is taken for granted, this study hopes to create a more caring lifestyle for the leaner's where the leaner's develops a habit of caring more for the other person that oneself and extends one's caring thinking.

      • 매체 전환에 따른 텍스트 변형 연구 : 카이신마화(開心麻花) 극단 작품의 영화화를 중심으로

        마옌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6

        There are countless films adapted from plays in the history of Chinese cinema. Drama and film belong to multimedia art, but their text media and media are different. Drama is human-oriented and has real-time two-way media. Film is a one-way communication art.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rise of consumer culture and mass culture, the barrier between art is gradually broken.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 large number of theatrical adaptations of the film into the audience at almost the same time, the group "Mahua FunAge" in 2015 to bring its New Year's laughter stage drama "Goodbye Mr. Loser" to the screen.In just four years, the group's "Mahua FunAge" set up its own brand characteristics in comedy films with the results of three original drama adaptations, and made the group's "Mahua FunAge" a vantage point.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 analysis of drama and film works is often different, or that there is little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transformation. Therefore, it is especially necessary to discuss the transformation of the adaptation of the play. How to transform a play into a movie and how to keep the artistic transform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modern art research.This paper studies the conversion from drama to film by taking the work of "Mahua FunAge" as an example.From the perspective of film narration, combining with the theories of film aesthetics and sociology, this paper analyzes the creative techniques and strategies of the film adaptation from four aspects. To promote the group's "Mahua FunAge" follow-up film production mechanism of benign development, so that the adaptation of the film from the artistic and technical perspective to form a long-term development. To this end, the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ly, the motivation and goal of this study are put forward by explaining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The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evant prior research, this paper summarizes the current research situation of cross-media transformation, especially the media transformation from drama to film.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the cross-media transformation of drama and film, analyzes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and discusses their intermingling and aesthetic value. The main point of this chapter is to reveal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lay and the film and how the film endows the play with new life and aesthetic value. The third chapter studies the narrative transformation of "Mahua FunAge" from drama to film, including the change of narrative structure, the adjustment of plot and the reflection of post-modern narrative features. The purpose of this chapter is to reveal how films reinterpret original plays to suit the needs of different media and audiences. The fourth chapter focuses on the re-creation of characters from drama to film, which covers the changes of characters' image, language and performance style. This chapter analyzes how the film reconstructs and develops the characters in the play to meet the performance needs of the film media. Chapter 5 focuses on the audio-visual transformation from drama to film, including space-time, visual and sound changes. This chapter reveals how the film can bring a richer audio-visual experience to the audience through the adjustment and re-expression of various media elements. The sixth chapter discusses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adaptation of "Mahua FunAge" plays and puts forward the 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future to deal with the challenges faced by the adaptation. This chapter also looks forward to the future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theatrical adaptations. Finally, Chapter 7 summarizes the findings and significance of the whole study, and also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media conversion on text, and to provide new perspectives and insights for cross-media conversion between drama and film. 중국의 영화 역사에서 연극을 바탕으로 각색한 영화가 매우 많다. 연극과 영화는 모두 멀티미디어 예술에 속하지만 텍스트 매체와 커뮤니케이션 매체에 차이가 있으며, 연극은 실제 사람에 의해 연출되고 실시간 쌍방향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예술인 반면, 영화는 이미지를 위주로 하는 단방향의 커뮤니케이션 예술이다. 과학기술과 소비문화 및 대중문화의 발전에 따라 예술 간 장벽이 점차 해소되고 있으며, 최근 중국에서 연극을 바탕으로 각색한 영화들이 거의 동시에 관객 앞에 나타났다. 2015년 카이신마화(開心麻花) 회사는 새해 기간에 공연한 코미디 연극 <굿바이 미스터 루저(夏洛特煩惱)>를 영화로 각색하여 영화계에 진출했으며, 이 영화는 Douban 평점 7.6점, 박스오피스 14.4억 위안의 성과를 거두어 영화계의 다크호스로 급부상 하였다. 불과 4년이라는 짧은 시간에 카이신마화는 3개의 원작 연극을 바탕으로 각색한 영화로 코미디 영화에서 자신만의 브랜드를 구축하였고, 또한 카이신마화는 영화 관람의 풍향계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시리즈 영화는 대중의 주목을 받는 문화 현상을 형성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현재 연극과 영화 작품에 대한 분석은 항상 개별적으로 진행되거나 다른 예술 유형을 가볍게 언급했으며, 미디어 전환의 관점에 따라 양자의 관계를 고찰한 문헌이 매우 적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연극에서 영화로 각색하는 전환 연구가 매우 필요하게 되었다. 어떻게 연극을 영화로 전환하고, 어떻게 예술성을 유지하면서 전환할 것인가는 현대 예술 연구의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따라서 영화 서사학의 시각에 따라 영화 미학과 사회학 등 이론을 결합하여 카이신마화가 이미 공연한 4개 연극을 바탕으로 각색된 영화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연극과 영화의 미디어 간 전환, 서사 각색, 인물 구축, 시청 표현 등 4가지 측면에서 연극을 영화로 각색하는 창작 기법과 전략을 분석하였다. 또한 카이신마화의 연극을 바탕으로 영화로 각색하는 창작 기법과 예술 가치를 요약하고, 그 과정에서 창작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며, 이러한 매체 간 각색이 중국 영화 창작에 끼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카이신마화 후속 영화 제작 메커니즘의 질적 발전뿐만 아니라 연극을 바탕으로 각색한 영화가 예술과 기술 측면에서 계속 발전할 수 있도록 일정한 도움을 제공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한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 연구 배경과 연구 목적에 대한 서술을 통해 본 연구의 동기와 목표를 제시하였다. 이어서 관련 선행 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매체 간 전환 연구 현황을 요약했으며, 특히 연극에서 영화로 전환하는 연구와 카이신마화의 관련 작품 연구에 주목하였다. 제2장에서 연극과 영화의 매체 간 전환에 초점을 맞추어 각각의 특징과 차이를 분석하고, 양자의 융합과 연극 영화화의 미학 가치를 탐구하였다. 이 장의 중점은 연극과 영화 간 상호작용 관계와 영화가 어떻게 연극에 새로운 생명과 심미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지를 제시하는 것이다. 제3장에서 구체적으로 카이신마화의 연극에서 영화로의 서사 전환을 연구하였고 서사 구조의 변화, 플롯의 조절과 포스트모더니즘 서사 특징의 구현 등이 포함되었다. 이 장에서 영화가 어떻게 원작 연극 작품을 재해석하여 다른 미디어와 수용자의 수요에 맞출 것인지를 고찰하였다. 제4장에서 카이신마화의 연극을 영화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인물 재구축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인물 이미지, 인물 언어와 연출 방식의 변화 등이 포함되었다. 이 장에서 영화가 어떻게 연극의 캐릭터를 재구축하고 발굴하여 영화 미디어의 표현 수요에 적응할 것인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 연극에서 영화로의 시청 전환에 주목하였고, 이는 시공간, 시각과 소리의 변화를 포함하였다. 이 장에서 영화가 어떻게 각종 미디어 요소의 조절과 재현을 통해 관객에서 더욱 풍부한 시청각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6장은 카이신마화의 연극을 영화로 각색하는 과정에 존재하는 문제를 토론하고, 미래 발전 전략을 제시했으며, 이를 통해 각색 과정에서 직면하는 도전에 대응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이 장은 연극을 영화로 각색하는 분야의 미래 발전을 전망하였다. 제7장에서 전체 연구의 발견과 의미를 요약하는 동시에 연구의 한계와 미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미디어 전환이 텍스트에 끼치는 영향을 깊이 연구했으며, 이를 통해 연극과 영화 간 매체 전환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견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셰익스피어 문학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 『로미오와 줄리엣』과 각색 작품 <웨스트사이드 스토리>를 중심으로

        황연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6

        This study examines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traditional adaptation theory, noting the fact that media changes and the influence of users play a clear role in the direction of story development in the modern era where story content is commercialized, and uses Transmedia as an approach methodology with a commercial perspective. Roger F. Fidler states that language diversifies with the common evolution of humanity, and that digital language, in particular, acts as a mainstream communication code; in addition, Henry Jenkins claims that the notion of text consumption by people, who have changed to enjoy sovereignty rather than simply being readers or audiences, has become the subjectivity of fandom. This means that a new approach is needed that encompasses the changed mode of adaptation and the form of participatory culture while demonstrating the limitations of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adaptation theory in the analysis of current adaptations. Transmedia theory, which complements this, examines the existing literary works from a wider perspective by analyzing the fluidity of the original text, the culture of participation, the network structure between the adapted works, and the movement patterns of the storyworld that is built and expanded. The subject of study, William Shakespeare's Romeo and Juliet(1597) has built a significant amount of adaptation data for more than 400 years,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fandom, including fandoms of Shakespeare, texts, directors, and actors of the adaptations, has influenced the direction of the storyline in the production of adaptations. Fandom in each direction has gone through a process of secondary creation, or participatory adaptation, that consumes Shakespeare's text and redefines the worldview of the work in various ways, which means that the storyworld of Romeo and Juliet, and also the story world of West Side Story(1957-2021), which is derived from Romeo and Juliet and has an independent original status, have been constantly transformed and expanded based on shared “worldness”. This paper analyzes Shakespeare's original and adapted works of Romeo and Juliet through four transmedia elements: the role of mono-narrative, participatory culture, network structure between adapted works, and the expansion of the storyworld. It is a process that proves that the storyworld of classical literature is still constantly expanding and transforming. It will be an experimental attempt to view the humanities as a transmedia phenomenon tha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adaptation theory; at the same time, it will serve to expand the base of transmedia research while remaining wary of the current practice of embracing the canon due to complacency in considering the transmedia phenomena as exclusive to the 21st century. This analysis indicates that Shakespearean literature, once limited to the concept of adaptation, is unfolding in the form of 21st century transmedia storytelling. 본 연구는 이야기 콘텐츠가 산업화되는 현시대에 텍스트 자체뿐만 아니라 미디어 변화와 향유자의 영향력이 이야기의 전개 방향에 분명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따라서 기존 텍스트 친화적인 전통적 각색 이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보다 확장된 접근 방법론으로 트랜스미디어(Transmedia)를 제시한다. 로저 피들러(Roger F. Fidler)는 인류의 공동 진화와 함께 언어가 다양화 되고 디지털 언어가 주류 커뮤니케이션 코드로 작용한다고 언급했고, 헨리 젠킨스(Henry Jenkins)는 독자나 관객이 아닌 주권을 가진 향유자로 변화한 팬덤이 주체성으로 자리 잡았다고 주장했다. 이는 현재 제작되고 있는 각색 작품들에 대한 분석이 텍스트 중심적 관점에서 진행되어 원작과 각색 작품 사이의 위계질서를 강화하는데 편향되고, 텍스트 외부의 향유자 참여를 분석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전통적 각색 이론의 한계를 방증한다. 따라서 변화한 각색 양태와 참여문화의 형태를 아우르는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며, 이를 보완하는 트랜스미디어 이론은 기존에 창작된 문학 작품을 원작 텍스트의 유동성과 향유자의 참여문화, 그리고 각색 작품 사이의 네트워크 구조와 변형 및 확장되는 스토리월드의 운동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방법론이 될 것이다. 연구 대상인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의 『로미오와 줄리엣』(Romeo and Juliet, 1597)은 4백 년이 넘는 시간 동안 상당수의 각색 작품 데이터를 구축했으며, 이 과정에 셰익스피어라는 작가와 작품 텍스트, 각색 작품의 감독과 배우를 포함한 팬덤의 적극적인 참여가 각색 작품 제작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각 방면의 팬덤은 셰익스피어의 텍스트를 향유하는 동시에 해당 작품의 세계관을 다양하게 해석하고 재정의하는 2차 창작, 즉 참여형 각색의 과정을 거쳐 왔으며 이는 공유된 세계성을 기반으로 『로미오와 줄리엣』의 스토리월드, 나아가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파생되어 독립적인 원작의 지위를 갖춘 <웨스트사이드 스토리>(West Side Story, 1957-2021)의 스토리월드가 끊임없이 변형되고 확장되었음을 의미한다. 논문에서 원형서사의 역할, 향유자 참여, 각색 작품 네트워크, 그리고 스토리월드의 확장이라는 네 가지 요소를 통해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 원작과 각색 작품들을 트랜스미디어로 분석하는 것은 고전 문학의 스토리월드가 여전히 꾸준하게 확장되고 변형된다는 점을 증명하는 과정이다. 이는 기존의 각색 이론의 한계를 보완하는 트랜스미디어로 인문학을 바라보는 실험적 시도가 될 것이며, 동시에 트랜스미디어 현상을 21세기의 전유물로만 간주하는데 안주하여 과거의 정전을 묵과하는 현황을 경계하면서 트랜스미디어 연구의 저변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색 이론으로만 접근했던 셰익스피어 문학을 트랜스미디어로 분석하여 산업화되는 미디어 시대의 셰익스피어 각색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실행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