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 가톨릭 본당 노인복지 활동에 관한 연구 : 체계접근법에 의한 조직효과성을 중심으로

        이창준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의 목적은 가톨릭 노인복지활동의 현황을 서울대교구 지역의 본당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효과성(effectiveness)을 분석함으로써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본당 노인복지활동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본당을 중심으로 한 가톨릭 노인복지활동은 어떠한가? 1) 본당 노인복지활동의 투입(input)요소로서 사회복지 인식과 전문성, 자원 충당은 어떠한가? 2) 본당의 사회복지활동의 전환과정으로서 조직, 전달체계 및 실천과정(throughput)은 어떠한가? 3) 본당 노인복지활동의 산출(output)로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내용은 어떠한가? 2. 본당 노인복지활동의 문제점 및 발전방안은 무엇인가? : 효과성에 대한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1) 본당 노인복지활동 효과성의 각 요소(투입, 전환, 산출)들은 서로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2) 본당 노인복지활동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3) 본당 노인복지활동의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분석틀은 조직효과성 기준으로서 사회복지조직을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투입, 전환, 산출을 순환하는 유기적인 체계로 인식하는 체계론적 접근모형을 적용하여, Miringoff의 인간봉사조직의 조직 분석틀을 적용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는 문헌조사를 통해 수집하고 본당조사는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병행하였다. 조사대상기관은 현재 서울대교구의 약 220여개의 본당 가운데 준본당과 선교본당 그리고 신설된 지 1년 미만인 본당을 제외한 209개 본당으로 하였고, 이 중, 총 156개 본당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여 약75%의 본당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응답자는 각 본당에서 사회복지활동을 책임지고 있는 담당자와 노인분과장 또는 노인분과위원들로 하여 총 246명의 대상자가 본 조사에 응답하였다. 조사도구로는 본 연구에서 조사하고자 하는 본당 노인복지활동에 관한 투입, 전환, 산출에 해당하는 각 요소에 대해서 Likert 척도를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수집된 자료를 SPSS Win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한 후, 일반적 사항, 투입, 전환, 산출에 해당하는 각 요소들을 빈도(Frequency)와 백분율을 통해 집중경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현재 본당의 사회복지 조직체계와 투입, 전환 및 산출 요소들의 관련성은 체계를 갖추고 있는 본당과 갖추고 있지 못한 본당 두 집단으로 나누어 t-test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알아보았다. 그리고 산출에 해당되는 서비스 효과성의 정도와 투입, 전환의 요소들과의 관련성은 Pearson's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를 보면, 투입요소로 볼 수 있는 본당 구성원의 사회복지인식, 전문성 정도, 자원활용도, 외부기관과의 연계와, 전환과정에 해당하는 의사결정 과정, 조직변경의 융통성, 사회복지실천 목표에 대한 일치가 그리 높지 않았다. 따라서 산출요소이며 노인복지활동의 효과성을 나타내는 서비스 종류 및 내용, 대상자, 평가여부에 있어서도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복지활동이 활성화되지 못한 요인에 대한 조사결과는 예산부족과 구성원들의 인식부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출요소는 투입요소들과 모든 항목에서 관련성이 높고, 전환요소들 중에서는 의사결정 과정이 서비스 효과성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의 기본적인 요소로 볼 수 있는 투입요소들이 현재 본당에서는 노인복지 서비스를 수행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이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마찬가지로 사회복지의 기본적인 요소인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 중의 하나는 노인복지활동의 전담 조직을 구성하는 것이다. 셋째, 기존의 본당 구조와 여러 가지 본당 여건상 어려울 경우에 노인복지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제안하고자 하는 것은 본당 신자들의 자원봉사자로서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다. 넷째, 자원확보와 관련하여 예산이 부족한 본당에서 노력해야 할 부분중의 하나는 이미 소유하고 있는 본당의 시설을 지역사회에 적극적으로 개방하여 범종교적인 장소로 전환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다섯째, 요보호 노인들을 위한 소공동체나 일반 노인들, 노인들의 가족들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 작업도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당이라는 가톨릭교회 조직에서 이 모든 것들이 가능할 수 있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점으로 들 수 있는 것은 그 본당의 사목을 책임지고 있는 주임신부의 역할이다. 사회복지활동을 본당 사목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여 다양한 연구와 노력, 실천들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주임신부의 사회복지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선행되어야만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in Catholic Churches focusing on the parish in Seoul Archidiocese, analyze its effectiveness, and seek for a development plan of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in Catholic churche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Focusing on the parish How are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1) How are recognition of social welfare, specialization and appropriation of resources as input factors of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for a parish? 2) focused on a parish how are the organizational transmission system, throughout as a conversion process of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3) How are the contents of services provided as the output of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in a parish? 2. What are the problems and development plans of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in a parish? : Focused on the analyzed results to effectiveness. 1) What correlation does each factor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of the elderly in a parish(e.s..input, conversion, output) have between one another? 2) What are the difficulties of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in a parish? 3) What are the plan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in a parish? As the reference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General System Theory recognize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s an organic system cycling in input, conversion and output through interaction with environment, Miringoff's organizational analysis frame of human service organization will be applied. Basic data for this study was gathered through a survey of literature, and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was used in parallel. As a research subject institution, 209 parishes of about 220 parishes in Seoul Archidiocese except for quasi-parishes, evangelical parishes and those which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last year, and a questionnaire survey to a total of 156 parishes, accounting for about 75% was conducted, and total 246 of staff responsible for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in each parish, chairperson and its members of a sub-committee for the elderly responded to this research. As a research instrument, to each factor falling under input, conversion and output to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in a subject parish, 5 point Likert measure was composed. As an analysis method, collected data was stati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Win, each factor falling under general item, input, conversion and output were intensively explored through frequency and percentage. Also, as for the correlationship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al system, input, conversion and output sectors the t-test results were compared by dividing the parishes into those equipped with its system and those without it. And the correlation with factors of input and conversion and the extent of service effectiveness falling under output was analyzed using Pearson's r. As a result of research, parish members' awareness of social welfare extent of specialization, resource availability, link with outside institutions as an input factor, and decision making process, flexibility of an organizational change, the consistency of the practical object of social welfare falling under a conversion process, were not so high. Thus, it was indicated that service kinds, contents, subjects, assessment as output factors and show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welfare for the elderly were somewhat low. As a factor inactivating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it was indicated lack of budget and members' lack of awareness were the main reason, and output factors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input factors in all items, and decision making process of conversion factors, had high correlation with service effectivenes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ve suggestions are made. First, input factors as the basic factors of social welfare are lacking for the present parishes' performance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so it should be supplemented. Second, one to be preceded for securing resources, the basic factor of social welfare is to organize a dedicated entity of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Third, the suggestion this research would like to present to activate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when the existing parish structure and conditions are difficult is to enhance the availability of volunteers composed of the parish believers. Fourth, in relation with securing resources one of the parts in a parish lacking in budget has to make an effort for it to positively open the existing parish facilities to the community and exert itself to be transmitted to a pro-religious place. Fifth, a development plan to the programs for the small community for the elderly in need and the general elderly and their families should be established. Finally, the role of the Father in charge of the priestly duties of the parish is the most important point to make possible all these things in the Catholic churches called a parish. For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to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part and various researches, efforts and practices to be performed in parallel, the leading parish priest's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need of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should be preceded.

      • 가톨릭교회관점에서 본 기수련에 관한 고찰 : '단월드'를 사례로

        송찬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943

        국문초록 신흥영성 운동(뉴 에이지)은 많은 자료와 논문들을 통해 사회학적, 신학적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찰되고 위험성이 제시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은 서구의 뉴 에이지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신흥영성 운동성향을 가진 국내의 일부 기수련에 대해서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언급정도에 머물러 있는 수준이며, 기수련의 위험성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신학적으로 비판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이미 고찰된 신흥영성 운동의 전반적인 전개와 내용이 아닌 사목신학적 방법으로 일부 기수련운동으로 인해 교회로부터 멀어져가는 신자들의 발걸음을 다시 교회로 돌리고자 모색해 보았다. 먼저 제1장에서는 일부 기수련에 대한 교회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기수련 단체의 위험성을 인식하지 못해 겪게 되는 그리스도인들의 피해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현시대 여러 사조들의 흐름 속에 휩쓸리고 있는 하나의 현상으로 나타난 것 중 대표적인 것이 국내에 신흥영성 운동으로서의 기수련운동임을 확인하였다. 그에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일부 기수련의 위험성을 알리기 전 제2장에서는 국내 대표적인 기수련 단체인 단월드를 사례로 알아보았다. 격변하는 시대의 흐름 속에 단월드가 어떻게 성장해 나아가게 되었으며 수련과정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교회문헌들의 식별기준으로 단월드가 외관으로는 생활 체육을 표방하지만, 내부적으로는 반그리스도교 사상을 가진 명백한 신흥영성 운동의 기수련 단체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단월드를 비롯한 신흥영성 운동으로서의 일부 기수련 단체로 향하게 되는 신자들에게 경각심을 주고자 하는 토대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단순히 기수련 단체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며 머무는 것이 아닌 대안을 제시해보았다. 심신을 추구하는 신자들에 대한 대안으로서 생활 체육으로서의 방안과, 영적으로 목말라 있는 신자들에게 가톨릭교회안의 영성의 보화를 소개하면서 기수련에 대한 발걸음을 교회로 향하도록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가톨릭교회는 2000년의 역사 안에서 많은 도전들이 있어왔다. 그 도전들은 때론 이단으로, 때론 박해로, 때론 분열로 다가왔다. 현시대에는 신흥영성 운동으로, 특히 국내에서는 기수련운동이 큰 도전중의 하나로 다가왔다. 그러나 교회는 기수련운동이 단지 도전이고 위기가 아닌 쇄신을 요구하는 표징이 될 수 있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현대인들에게 교회가 간직해온 영성의 보화들을 알려주고 발전시키는 계기가 된다면 국내 신흥영성 운동으로서의 기수련운동은 위기나 도전이 아닌 하느님의 섭리에 속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가톨릭 십자가의 토착화 디자인 가능성 탐구

        신경철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943

        본 논문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토착화 정신을 토대로 가톨릭 십자가의 토착화 디자인 가능성을 탐색한 후, 그 활용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가르치는 토착화란 가톨릭 중심의 사상 안에서 외래 사상인 그리스도교를 한국의 문화적 상황에 파종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가톨릭 십자가는 가톨릭교회의 토착화 주제로써 그리스도의 역사와 함께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가톨릭 성물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십자가는 서양의 것을 그대로 모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가톨릭 십자가의 유형특성 및 문제점 분석을 위해 현재 국내․ 외 성물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십자가 가운데 각각 100개의 샘플을 선정하였다. 유형특성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고, 토착화 십자가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얻은 결론은 정신문화로 말할 수 있는 무형적 요소와 물질문화를 대변하는 유형적 요소가 합성되어야 토착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가톨릭 십자가에 반영된 효를 무형적․ 유형적 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토착화 가능성에 대한 활용가능성 탐구로써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무엇보다도 서구적 전통의 재현이 아닌 한국 가톨릭교회의 역사적 경험을 중심으로 재창조하려는 노력이며, 종전의 십자 문양 구조를 ‘효’라는 키워드로 재구성하여 한국 가톨릭교회만의 새로운 관점으로 토착화 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효를 중심으로 가톨릭 십자가의 토착화 가능성만을 제시했지만, 이는 서구 가톨릭교회와의 차별성을 지닌 한국 가톨릭 토착화 디자인 개발의 발판이 될 것이다. This thesis is to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inculturation design of the Catholic Cross based on spirit of the 2nd Vatican Council,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utilization of it. As today globalization has been spread, people are more and more interested in their own traditional culture and history. Along with this flow of the times, each country in the world is carrying out works of inculturation in the forms of cultural industry or cultural contents industry and religion is not an exception. The Korean Catholic Church is actively researching and discussing on how it can realize the inculturation spirit of the 2nd Vatican Council in this land in various ways. The inculturation the 2nd Vatican Council teaches may be interpreted as sowing of Christianity, a foreign idea in the cultural situation in Catholic-centered thought. In other words, as based on Korean cultural field, the identity of Catholic Church is established and the truth is established and rooted lives of Korean nation in full as if it looks like a religion which had been generated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since long ago. The subject of this thesis is Catholic the Cross. The Catholic the Cross can be said to be a history of inculturation. Since Christianity was formed, the Cross has been inculturated as a concrete symbol of God's mercy and salvation in a variety of forms depending on the time and region. In this point of view, the Cross has been developed to be a theme of inculturation of Catholic Church with Christian history in various shapes until now. However the Cross sold in the Korean Catholic sacred treasure market are that of the West. This thesis selected 100 samples out of the Cross currently sold in domestic and overseas market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Korean Catholic the Cross.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Korean Catholic the Cross in the analysis can be divided into three: First, while a number of shapes are designed with various styles combined into overseas Catholic the Cross, there is no variation in domestic one, following the basic style of the Crosses of each kind except for Latin the Cross. Second, the types of the Korean Catholic the Cross are mostly classical and decorative traditional one. the Crosses that have been incultured has Korea's unique shape however since they are manufactured by a few Catholic artists only, the design is uniform and they are made as work of art so it is difficult to draw believers' piety with them. Third, while overseas Catholic the Cross are designed in a variety of types with combination of different symbols, the symbols of the Korean Catholic the Cross are too character-centered and use traditional Catholic symbol intactly so there is no inculturation. This thesis takes examples of Ethiopian Lalibella the Cross and Prague St. Nepomuk the Cros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culturation of the Catholic the Cross. The implications of the exampl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ree: First, the inculturation of the Cross may be achieved by symbolicizing traditional culture and lifestyle. And as there is saying ‘The most Korean is global,’ being incultured implies the possibility of globalization. Second,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e implements of torture for martyrs that had been used for confession and prosecution also the most representative symbolic elements of the inculturation of the Korean Catholic the Cross. Third, the Cross has both the meaning of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ity. The Cross that contains history and culture reveals the spirit of the times along with the message of Salvation: e.g. we may express our situation as the only divided country in the world in the Cross. The conclusion from the above discussion is that inculturation can be achieved by synthesizing invisible elements that may be said to be spiritual culture and visible ones that represent material culture. So this thesis suggested the direction of utilization for the inculturation design of the Catholic Cross as follows: First, it suggested a possibility of inculturation design of the Catholic Cross through filial duty, the ough fiof the national culture of Korea and the filial piety(Hyo Sinang) in the late Joseon Catholic Church. This is becaof thhe filial piety that flows ataf lessly in the Korean Catholic believers is the nature the ancestors of the belief hav the Catholicly posse ancestin the same vein with God'anLove cestJe of'anSpirit of Self-sacrifice, the most important meanings of the symbol of the Cross. Second, filial duty acts as a ‘bridge’ between the Cross and our nation. The representative visible/invisible elements through which we can fine this aspect of filial duty is sacred place. Studies on sacred place suggest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setting of direction of design for the inculturation of the Catholic Cross. Having reinterpreted filial duty of Confucianism and sublimated into Christian belief became the empirical data of the inculturation history of the Korean Catholicism and the customs, punishment and martyrdom stories at the time became the unique inculturation element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ird,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at pays attention to inculturation attempts to talk to other religions with the will to interest in the national culture. In this sense, through the utilization of the talisman belief and fortune-seeking belief accepted to the Korean Catholic Church, it suggested a possibility of design of the inculturation of the Catholic Cross. This thesis examined the filial duty reflected on the Catholic Cross dividing into visible and invisible characteristics and inquired on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for inculturation, which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Most of all, it is an effort to recreate the Cross focusing on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not a representation of the Western tradition, and an example of inculturation from a new perspective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only by reconstructing the existing cross design structure with the keyword of ‘filial duty(Hyo).’ This thesi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inculturation of the Catholic Cross only centering around filial duty however this will be a footing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culturation design of the Korean Catholicism differentiated from the Western Catholic Church.

      • 한국 가톨릭교회 사제들의 정의구현 활동에 대한 고찰 :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활동을 중심으로

        연규영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943

        무엇이 종교지도자들인 사제들로 하여금 사회의 한 복판에 서게 하는가? 그들은 무엇을 전망하는가? 본 논문의 출발점은 바로 이 문제 위에 있다. 특히 오늘날 신자유주의 정책 아래에서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 더욱더 고통을 당하는 사회, 그리고 심화되는 양극화 안에서 피폐해지는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사회적 모순을 보면서 이러한 사회와 사람들에게 구원을 선포하는 사제들의 삶은 어디를 향하고 있어야 하며 그 삶이 지향하는 종점은 어디인가? 이것이 본 논문의 출발점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사회의 불의한 현실을 비판하며, 그의 근원적 쇄신, 개혁을 요구하는 가톨릭교회의 사제들’의 정의구현 활동의 -대표적인 조직인 「사제단」- 이념적 논의를 밝히고, 구체적인 사건을 통해 그들이 이념을 실천으로 옮기는 방식을 기술하였으며, 이념과 실천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활동에 대한 제언을 구성하였다. 「사제단」의 정의구현 활동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를 전·후로 해서 촉진된 ‘새로운 신학’의 하나의 ‘실천적 구현’이다. 이 새로운 신학은 구체적인 삶의 자리에서의 실천을 강조하는 흐름이며, 이러한 신학적 바탕 위에서 사제들은 자신들의 사명 중 ‘예언자적 사명’을 보다 더 강조함으로써 그들의 정의구현 활동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사제단」의 정의구현 활동은 변화된 교회 내적 요인과 함께 지극히 억압적이고 폭력적인 통치구조, 그리고 역설적으로 그러한 통치구조가 결과한 군부통치의 본질에 대한 인식의 심화와 대중화, 합법적인 사회개혁 운동의 공간이 거의 확보되지 못하고 있던 사회 구조적 상황, 그리고 덧붙여 그러한 변화에 ‘불을 놓은’ 하나의 사건, 즉 군사독재정권에 의한 지학순 주교의 구속사건이 맞물리면서 시작된 것이었다. 이러한 「사제단」의 정의구현 활동은 80년대에 접어들면서 새로운 국면에 직면하게 된다. 80년대는 「사제단」의 지향이 민주화의 소박한 요구에서 보다 넓어지고 깊어지는 과정이었으며, 그것은 한국 사회의 민주화 과정과 맞물리면서 진행되어 왔다. 또한 「사제단」은 ‘교회 내적인 쇄신’없이 사회정의구현이 있을 수 없다고 판단하고 교회 쇄신 작업을 펼치는 한편, 자신들의 활동의 이념적 논의와 전망에 대한 고민을 심화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제단」의 관심은 ‘인권문제’에 기초한 ‘제도적 폭력과 구조적 압제에 대한 항거’로부터 그 근본에 깔려 있는 ‘분단’이라는 민족 모순의 문제로 옮겨지고, 나아가서 교회와 사회의 ‘근원적 쇄신과 구조적 개혁’에 대한 지향을 확고히 하게 된다. 「사제단」의 대안적 전망은 라틴아메리카 해방신학의 그것과 비교하여 고찰하였으며, 본 논문은 먼저 라틴아메리카 해방신학의 경우 그 논의의 초점이 ‘자본주의 극복’에 우선적으로 놓여져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것은 그들의 비판적 인식이 ‘종속적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의 억압과 착취에 대한 분노’로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의 논의는 자연스럽게 ‘反자본주의’에서 ‘사회주의적 대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옮아가게 된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서의 「사제단」의 정의구현 활동은 해방신학과 여러 가지 차이를 나타내며 진행되어 왔다. 「사제단」의 논리를 통해서 분명하게 보여지는 것 한 가지는 ‘자본주의의 근본적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사제단」의 사회의 근본적 변화에 대한 지향은 목적과 방법론에 있어 여타의 사회운동과는 차별성을 지닌다. 「사제단」은 ‘구조적 개혁’뿐만 아니라 ‘인간의 변화’를 동시에 주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결국 「사제단」은 근본적인 변화에 대한 요구를 그 지향으로 하지만 ‘체제 내 개혁’의 성격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결국 새로운 체제로서 분단에서 통일을 통한 가톨릭 사회주의를 그 지향점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90년대 이후 「사제단」의 정의구현 활동이 정체되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새로운 문제들이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는 오늘날 앞으로 더욱더 많은 활동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특히 신자유주의에 의해 심화되는 사회 양극화 안에서 고통당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하느님의 정의와 해방을 선포하면서 새로운 사회를 위한 활동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하느님의 기쁜 소식인 복음을 선포하고, 하느님 나라를 이 땅에 건설하도록 부름 받은 사제들이 부여받은 직무 안에서 끊임없는 자기 쇄신과 개혁을 통해 하느님의 정의가 구현될 수 있기를 이 논문에서 밝히고 있다. What makes priests, the religious leaders, stand in the center of society? What do they aim at? The study starts off with these two questions. Today, in particular, under the New Freedom's policy, the harder workers work, the worse their suffering is getting. They can't help but to live more impoverished lives under the social polarization. Considering these social contradictions, which direction should priests go who proclaim the Jesus' salvation to the world tend to? And where is the end of their life? On this ground, taking the example of the 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in Korea(CPAJ), the study is composed of four parts: First, it illuminates the ideological arguments of activities for realizing justice of the Catholic priests in Korea who criticize 'social unjust reality' and request the fundamental social reform. Second, it describes the practical ways of the association through certain activities. Third, it estimates its ideology and practices, and finally it suggests the CPAJ's prospects. The CPAJ's activity for realizing justice is 'the practical realization' of 'New Theology' promoted before and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is 'New Theology' is one of the flows emphasizing the practice on one's own position in life. On this theological ground, priests point up 'the prophetic mission' more than the others, which shows their will for activities of realizing justice.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the CPAJ's activities started: the changing factors within the Catholic church, the oppressing and violent ruling government, the deepening and popularization of recognition for the military regime paradoxically resulted from the ruling system, the social organizational situation in which the legal movement for social reform were rarely guaranteed, and the imprisonment of Bishop Daniel Tji Hak-soon by the military regime, which set fire to these changes. In the 1980's, the CPAJ's activities entered upon a new phase. During that time, its aim was being realized in the process of widening and deepening from simple democratization, which engaged with a pro-democracy movement in the Korean society. Moreover, judging that realizing social justice cannot be made without 'the internal reform of Catholic Church,' priests in the CPAJ started the reform works and discussed the ideological argument and prospects of their works. Therefore, the CPAJ's attention moved from the resistance against 'systematic violence and oppression ' for 'human right' to the root cause of 'the division of the Korea.' It made priests confirm their aim for 'the fundamental innovation and structural reform.' In this study, the CPAJ's alternative prospects are considered from the comparison of Latin America's Liberation Theology. It points out that the focus of Latin America's Liberation Theology is first set on 'overcoming the capitalism,' This is because Latin American's critical view started from 'the anger against oppression and exploitation under the subordinate capitalistic structure.' As a result, the CPAJ's priests discussion was naturally moved from 'anti-capitalism' to socialistic alternative.' However, the CPAJ's activities in Korean society have been progressed showing the several differences from Liberation Theology. The CPAJ's logic obviously shows its claims for 'a fundamental modification of capitalism.' Then, in the CPAJ's end and methodology, its aim for the fundamental changes of our society has some distinction from the others' social movements. The CPAJ insists on not only 'structural change' but also 'the change of human' at the same time. Ultimately, it puts the priority on 'reform within a system' though the CPAJ's intention is the request for the fundamental changes, which means that it aims at the Catholic socialism through reunification from the division of the Korea. Since the 1990's, it is the fact that the CPAJ's activities have been stagnated. However, more and more activities are demanded to solve them as the social problems are getting diverse. Priests should extend activities for the new society, proclaiming God's justice and liberation to people suffering heavily under the social polarization by New Freedom. This study confirms that priests who called to proclaim Good News and build the kingdom on earth should realize God's justice in the society through endless self-innovation and self-reform.

      •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의 어려움과 보람

        남우초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직 교사들의 어려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또한,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며 느끼는 보람에 대한 것은 무엇이 있는지 이야기를 들어 봄으로써, 교사들이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교사들의 보람을 알아보며 직무에 대한 만족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을 경험해보지 못한 교사들과 유아교육과 학생들에게 가톨릭 유치원에 대해 간접적으로나마 도움이 되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2.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보람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한 연구 참여자는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10명으로 선정하였다.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어려움과 보람을 알기 위해 같은 지역이지만 다른 수도회에서 운영하는 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집단면담과 개별면담, 심층면담, 전화면담 등을 병행하였으며 면담은 1회당 60분에서 90분 정도 소요되었다. 면담의 내용은 녹음과정을 거쳐 추후 전사본으로 작성하였고, 이를 토대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의 어려움과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의 보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의 어려움은 첫째,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몬테소리 교육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몬테소리를 경험해보지 못한 교사나 초임 교사의 경우 아이들에게 방법을 제시해줄 수 없음에 대해 어려움을 겪었고, 영역이 나뉘어 있고, 또 교구가 다양하고 종류가 많은 점, 1년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몬테소리 교육을 부담스러워 하기도 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무엇이든 하나하나 꼼꼼히 돌보시려는 원장님, 수녀님에 대한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수녀님이 작은 것까지 하나하나 세심히 가르쳐주려고 하는 모습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은 종교적인 특성이 있는 기관으로 종교에 대한 부담스러움과 종교에 대한 행사로 인해 업무량이 많아지는 것에 대해서도 어려워하였다. 넷째, 잦은 연수로 인해 여가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았고 이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다섯째, 교사들은 원의 체계적이고 원의 방침 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모든 행정적인 서류나 유아에 관련된 서류 등 원에 있는 모든 것들은 완벽하게 관리 감독, 유지 보수하는 모습에서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여섯째, 가톨릭 유아 교육 기관의 교사들은 편안하고 예쁜 옷차림 보다는 단정하고, 조신한 옷차림을 하는 데서 오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있었다. 외부에서 보여지는 수녀님이 운영하시는 유치원의 교사들이라는 인식에 맞춰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은 에너지 절약을 생활화해야하는 점에 대해 주인의식을 갖고 절약을 생활화해야 하지만, 적응하기까지 습관화하기가 어려웠다고 이야기하였다.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의 보람을 살펴보면 첫째,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토대로 변화하는 유아들의 모습과 변화하는 유아들의 모습을 보고 긍정적인 언어로 감사를 표현하고 따뜻한 부모님의 격려가 교사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다고 보람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아이들에게 모든 것을 해주시려하고 모든 초점이 유아로 맞춰 있는 원과 수녀님의 모습에서 보람을 느끼고 있었고, 무엇이든 최상의 것으로 온전히 제공하려고 하는 모습에서 보람뿐만 아니라 자부심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원장님의 베푸는 모습에서 보람을 느끼고 있었는데, 유아뿐 아니라, 교사, 교직원, 학부모들에게도 아낌없이 베풀고 있다고 생각하였고, 마음으로 베풀어 주시는 모든 것에 대해 감동을 받았다고 이야기하기도 하였다. 겸손히 선행을 베푸시는 모습, 존중 받는 느낌 등을 보람으로 느끼며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생활에 만족하며 생활하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은 교사들의 연수에 많은 지원을 해주는 기관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다.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은 유치원 중심의 연수 기회뿐만 아니라 교사 개인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개인의 연수 기회까지 지원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사들은 따뜻한 유치원 분위기에서 생활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보람을 느끼며 만족하는 점에 대해 이야기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부모와 함께 만드는 유치원으로 교사들은 부모님들의 지원 및 봉사를 긍정적으로 생각하였고, 학부모님과 협력하여 좋은 유치원을 만들어 간다는 점에 대해 보람을 느끼며 생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and happiness of in-service teachers working in the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understand the degree of their job satisfaction. It is hop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teachers or students who have not experienced the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1. What are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working in the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2. What are the happiness of teachers working in the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elected as 10 teachers working in the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and happiness of teachers working in the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eachers in the same region but in different religious societies, were select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group interviews, individual interviews, in-depth interviews, and telephone interviews. Each interview was implemented for 60 to 90 minutes per session.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vided into two parts: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and happiness of teachers working in the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difficulties that the teachers felt in the Catholic institu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y felt difficult because of the Montessori education in the Catholic education system. Those who had not experienced the Montessori or novice teachers did not know well how to instruct children. Because the Montessori is divided into several areas with many and diverse teaching materials, and its program takes 1 year long, it was burdensome to them. Third, they felt difficult because of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s and increased workload by many religious ceremonies. Fourth, they felt lack of leisure time due to frequent teacher training programs. Fifth, they felt uneasy with systematic policies of the institutions. Every administrative document related to children was strictly kept and managed. Sixth, they felt difficult because of clothing. They had to wear modest clothes rather than comfortable and looking-good ones.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meeting the perception that they were teachers working in the kindergarten of the Catholic nuns. Finally, they felt difficult to adapt to thrifty living habit in the Catholic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saving energy with ownership. The happiness that the teachers felt in the Catholic institu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y felt that it was worthwhile to see the changes of children based on the curriculum and to receive warm and thankful expressions from parents. Second, they felt happy and proud because nun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put their focus on only children and tried to give best things to children. Third, they felt happy to see directors who gave generously to not only the children but also the teachers, the staff, and the parents. They were impressed by the directors who gave things with heart. They were satisfied with being teaches in the Catholic institutions because nuns did good things with humility and nuns respected the teachers. Fourth, the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e institutions that provided much support to the teachers' training. THE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not only provideD kindergarten-centered training opportunities but also individual training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growth of teachers. Fifth, the teachers talked positively about living in a warm kindergarten atmosphere and felt satisfaction. Finally, as the kindergarten with parents, the teachers felt positive about the support and service of the parents. They felt happy with a thought that they worked with parents to make a good kindergarten.

      • '성령쇄신'을 통한 본당 활성화 방안 : '성령쇄신'에 대한 사목적 이해

        김현우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던 이유는 통계자료를 통해 드러난 한국 가톨릭교회의 모습 때문이었다. 통계 안에서 일반적인 한국 가톨릭교회 신자들은 수동적이고, 침체되어 있고, 내적 확신이 없었으며, 교회 내부적으로 만족을 못 느끼고 있었다. 더구나 이렇게 표면화 된 것 이상으로 그 심각성이 더할 것이라고 생각하니 강한 ‘위기의식’ 내면에서 솟아 올라왔다. 그런 상황 속에서 ‘성령쇄신’에 참여하는 신자들의 ‘신앙생활 통계’는 필자를 놀라게 하기에 충분했다. 그들은 성령의 현존을 확신하고 있었고, 주어진 은사들을 최대한 활용하려고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모든 면에서 앞의 통계를 현격한 차이로 따돌리고 있었다. ‘성령’은 창조이전부터 불완전함을 완전함에로 이끌어오셨고, 구약을 통해 신약을 예표 하셨고, 예수 그리스도의 약속대로 ‘협조자’로서 가시적 교회의 시작에 함께 하셨으며, 지금까지 교회의 역사와 함께 계셨고, 앞으로도 궁극적 완성을 향해 이끌어 주실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성령강림 사건 이후의 역사는 성령의 역사이며, 이 성령의 역사는 교회의 역사를 통해 가시화되는 것이다. 특히 영적인 것을 갈망하는 현대에 이르러 그 가치와 요청이 쇄도함은 그만큼 현대인들의 영적 갈증은 다른 데에서 해결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특징적인 것이 ‘신흥영성운동(뉴에이지)’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대적 요청에도 부합하고, 교회의 원천에도 부합하는 ‘성령’을 그 대안 키워드로 제시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성령’을 어떻게 실천적 대안으로 제시할 것인가? 이 문제에 대해 필자는 ‘성령쇄신’을 말하고자 한다. 그것은 통계 자료에서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과거의 성과들로 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사안으로 ‘성령쇄신’이 ‘성령의 은사’들을 체험하게 해 줄 것이고, 그 은사들이 본당 공동체 활성화에 커다란 유익으로 다가올 것임을 제시한다. 이처럼 한국 가톨릭교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회의 기초인 각 본당을 ‘성령쇄신’에 참여하게 하여 ‘성령의 은사’들을 최대한 발휘하게 하고 나아가 ‘교회 성장’에 까지 기인하게 하자는 것이 본 논문의 핵심이다. 본 논문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한국 가톨릭교회의 현상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려 하였다. 포스트모던 시대에서의 시대적 도전과 한국 갤럽의 통계 자료를 분석하여 현재의 한국 가톨릭교회의 실정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시대적 도전에 대해서는 현대 사조가 한국 가톨릭교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고, 한국 갤럽에서 2004년에 실시한 통계 ‘한국인의 종교와 종교의식’을 토대로 주로 내적 움직임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럼으로써 내․외적 상황들에 근거한 한국 가톨릭교회의 ‘위기’를 화두(話頭)로 던졌다. 제2장에서는 그런 시대적 도전 속에서도 개인 및 공동체 신앙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성령쇄신’에 모든 관심을 집중하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그 신심의 정도가 현저하게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조사 방법과 대상이 다르지만 유사한 질문에서의 현저한 통계적 차이는 분명 ‘무언가’가 그들을 변화시켰다는 것을 증명하기 때문에 이는 간과하고 지나칠 수가 없으며 충분히 개연성이 있음을 증명하였고, 그에 앞서 ‘성령쇄신’에 대한 교의적이고 신학적인 성찰을 전제하였고, 제1장에서 말한 위기상황에의 극복 방안으로서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성령쇄신’을 통해 받을 수 있는 은사들에 대해 설명하였고 이어서 본격적으로 ‘본당 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 또, 신자 개개인이 ‘성령의 은사’로 무장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견진교육으로서의 성령세미나와 정기적인 전국・교구・지구・본당 단위의 세미나, 그리고 지속적인 후속 기도회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당면해 있는 현실로서 ‘성령의 은사를 활용한 본당 활성화’가 가지는 한계성과 그럼에도 충분히 비전이 있는 가능성에 대한 ‘희망의 성령쇄신’에 대해 말하고자 하였다. ‘성령쇄신’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지상에서 약속하셨고, 협조자로서 계속 교회 역사와 함께 하시는 하느님이시다. 따라서 가톨릭교회가 ‘성령’으로 쇄신해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 다만 과거 발전 과정에서 부정적인 유인들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개선해야 하는 것이지, 부분으로 전체를 판단하는 것은 부당한 처사라는 것이다. 오히려 하느님께서 주신 ‘좋은 것’을 개선해 ‘더 좋은 것’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하는 것이 ‘양떼들의 목자’인 사목자들의 몫인 것이다. 한계성은 인지한 순간 가능성이 된다. 인간의 역사는 본래 불완전함을 전제하기 때문에 시행착오는 있게 마련이다. 성령의 이끄심을 믿고 가능성에로 시선을 옮겨야 하는 것이다. 그렇게 할 때 ‘성령쇄신’은 시대적 불황을 딛고 다시금 일어서는 ‘한국 가톨릭교회’의 희망이 될 것이다. The reason that I started this study was the particular tendency of the Catholic Church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data. The statistic shows that Catholics in South Korea have been identified as passive and stagnant. In addition, they neither have self-confident nor satisfied with the church community. Furthermore, when I realized that the problems are more serious than it had been diagnosed, a strong sense of crisis came up to my mind. However, the life of faith statistics of Catholics who take part in The Holy Spirit Renewals made me surprised enough. They have firm belief that the existence of the Holy Spirit and persevere in their efforts to apply the divine grace. In every aspect, the statistic remarkably precedes the other data. The Holy Spirit has guided us from the incompleteness to the completeness since before the Creation of the world, and she typified for the New Testament through the Old Testament. As Jesus Christ promised, she has been visible as the Paraclete since the beginning of the church history. She is the history of the church, and she may guide us to the ultimate completion in the future. Therefore, the history after the descent of the Holy Spirit is the history of the Holy Spirit, and it is visualized by the history of the church. Moreover, modern people have a strong thirst for spiritual things because they seek their spiritual desire from somewhere else. The most distinctive situation is the Newly Rising Spiritual Movement (The New Age Movement).Therefore The Holy Spirit is the only alternative to be presented to meet both needs of the time and a source of the Church. Then, how The Holy Spirit can be proposed as a practical alternative? Firstly, the objectivity can be confirmed by the statistical data and the possibility also can be proved from the past result. For such a specific case, The Holy Spirit Renewal shall help to experience ‘The Holy Hermit’. In consequence, ‘The Holy Hermit’ may bring advantages to vitalize the Parish Church community. In this way, the crisis of Korean Catholic Church can be overcome by letting the Parish Church, the foundation of the Church itself, to participate in The Holy Spirit Renewal. Thus ‘The Holy Hermit’ will show its utmost ability and contribute to the growth of Church which is the whole point of the thesis. There are four chapters in this thesis. In the first chapter, I tried to objectively analyze the current trend of the Catholic Church in South Korea. I also used the data produced by Korean Gallop to objectively grasp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Catholic Church and the trend of the postmodernism period in the past. The influence of Contemporary though over Korean Catholic Church is used to identify the challenge that time has brought. In addition, based on the statistic, “Religion and religious awareness of Korean” collected by Korean Gallopin 2004, analyzed the internal trend of the church. Asaresult, the crisis of Korean Catholic Church caused by its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is put as a main topic. In the second chapter, I focused on The Holy Spirit Renewals, which positively influence to both personal and community faith. The reason is that the level of faith showed the distinctive differences. Though the target group and them ethod of research were different, such distinctive differences mean ‘something’ has changed Christians. Thus this cannot be ignored and has been proved to have high probability on the assumption that the doctrinal and theological speculation of The Holy Spirit Renewals. Then this has been proposed to overcome the crisis mentioned in the first chapter. In the third chapter, I wrote about the divine grace by The Holy Spirit Renewals. Followed by presenting the way of revitalize the Parish community and how each Christian can be turned to a ‘Holy Hermit’. In other words, as confirmation, ‘the Holy Spirit seminar’, ‘the regular seminar held in the National Parish region’ and ‘a continuous prayer meeting’ have been proposed. In the last chapter, as the present matter that the Church is faced, the limits of revitalizing the Parish Church by using the Holy Hermit are discussed. Also, the prospect of The Holy Spirit Renewals is mentioned at the same time. Jesus Christ promised of The Holy Spirit Renewals when he was on the earth. He is also God who is with the history of the church. Therefore, it is certain that the church reforms by the Holy Spirit. Though, in the past course of development some setbacks had been found but it is not right to judge the whole Church. This can be improved and ‘Good things’ given by the God shall develop to ‘Better things’. And it is the burden of the priest, the Shepherd. Once we recognize the limitation, it turns to the possibility. The human history is imperfect so there was always trial and error involved. We have to believe The Holy Spirit and move to the possibility. As a consequence, The Holy Spirit Renewals will become the hope of Korean Catholic Church, trying to overcome the depression days.

      • 가톨릭 사회복지사업에 종사하는 수도자의 정체성 확립과 영성의 구현에 대한 연구 : '예수의 꽃동네 형제자매회'의 창설자 카리스마, 영성과 사도직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신용문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943

        This is a study of how the religious who work in Catholic Social Welfare Work, can establish their unique identity and realize the spirituality of their convent. The dimensions of their identity and spirituality are explored through three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Ⅰ deal with the broad meanings(dimensions) of Catholic Social Welfare, which includes its difference from general Social Work as well as the significance that Social Welfare Work occupies in the life of the religious. In the second chapter, Ⅰ explain the spirituality of The Congregation of Kkottongne Brothers and Sisters of Jesus in detail. This is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sider as I am a member. I then go on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apostolate' in order to help build an understanding of the unique direction that Catholic welfare work can take as apostolate. In the final chapter, Ⅰ commence by suggesting a guiding principle that will enable us to analyze the specific problems that arise in performing this apostolate, as well as guide our search for the best way to approach those problems in the practice of clarify for the poorest. Secondly, according to the principle mentioned previously, I have analyzed the opinions of the religious in the community concerning their identity and their apostolate through the use of some statistical methods. Finally, I propose various ways to firmly establish identity and to realize spirituality through apostolate from three perspectives : 1) the primacy of establishing identity and spirituality; 2) clarifying the significance of Catholic Social Welfare Work as an apostolate; 3) ensuring that there is a good stock of expert knowledge available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Catholic Social Welfare Work has some specific traits that differentiate it from general Social Work. More than anything else, the works of the Catholic Church are based on the love, the mercy and justice of God. It follows that in its many expressions, the Christian practice of charity is always based on the model of Christ. As a matter of fact, throughout the ages the most important duty of the church has been to look for the poor, the sick and all the people in pain in order to help them. In Korea, many Catholics have participated in Social Welfare Work. It is also a matter of fact that, in the majority of welfare works for the poorest in Korean society, religious brothers and sisters have played very important roles. Their activities have their origins in a specific understanding of religious identity and deep passion for charisma. However, in addition to compassion and spiritual longing, there is a need for the religious to learn new skills and build up their capabilities that are needed to provide a proper service to the poor in a contemporary context. In brief, Charisma is the gift that is granted from the Holy Spirit to a convent, or community, in order to empower them for the building of the Heavenly Kingdom of God on earth. Each religious congregation has been organized through the Charisma especially granted to the founder of each other by the Holy Spirit. This charisma forms the foundation for the daily existence and the monastic life of the religious. The spirituality of the Congregation of Kkottongne Brothers and Sisters of Jesus had its origins in a meeting between the founder, Fr. Oh, Woong-Jin and a poor grand-father by the name of Choi, Gui-Dong in 1976. Since then, the congregation's spirituality has been continuously centered in the practice of charity and sacrifice with warm hearts and love, towards the poor, that is those people who don't have the resources to be independent. The life of the religious is based on the words of the Lord, "As you did this to one of the least of these brothers of mine, you did it to me."(Mt 25,40) Above all, the realization of the spirituality of the Kkottongne convent is found in 'the poverty of spirit' that brothers and sisters have happily chosen to live. The religious carry out several kinds of apostolate that are closely interrelated with one another in the context of this spirituality. By performing these various roles as servants of Christ, they achieve those ultimate aims - the glory of God, the construction of the Church and salvation of the World. We can categorize the apostolate practice of the Kkottongne congregation into four main areas. - 1) The Synthetic or Practical social welfare and medical facilities whose purposes are for healing the results of the wounds arising from a lack of love. 2) The Kkottongne Training Institute of Love whose purposes are to provide education and experiences for preventing the causes of the wounds that arise from a lack of love. 3) Kkottongne Hyundo Social Welfare University whose purpose is to foster the creation of a professional faith based workforce in social welfare. 4) The House of Spirituality (a tentative name) whose purpose is to provide spiritual energy and nourishment to the religious and all Christians. To successfully realize the above missions will require an effort from all the religious both in prayer and practice in terms of their own spirituality. Granting this premise, I put forth some opinions as to what should take precedence over the others. First, the religious must respond by undertaking continual and through research of the theological, spiritual and substantive meanings of the charisma of the founder and of the spirituality that sustains the convent. Furthermore they need to consider the meaning of Social Welfare Work as apostolate from a uniquely Christian standpoint. That is, Social Welfare is not simply work or enterprise, but it is a 'Work for Salvation' based on love of Christ.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two different purposes, I propose several courses of education suitable to each stage of monastic life. Secondly, I argue that it is essential that the religious change the view of their identity in relationship to those who serve in the community as employees. My suggestion is that the religious regard themselves as 'cooperators or companions' rather than as administrators (or controllers). Finally, the religious need to become more professionally specialized in the various areas of Social Welfare, as well as in other fields related with apostolate. In addition they will need to develop an overall vision of Social Welfare by means of sharing information and developing systems of cooperation with the other areas involved in Catholic Social Welfare activities. These substantive responses are demanded because of the need for the work of the Church to keep in step with the levels and procedures of general Social Work. In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I would like to put on record my appreciation to the founder, Father Oh, Woong-Jin and the president of the Congregation of Kkottongne Brothers of Jesus, who have taught me, as a member of the order, the meaning of love of God and the way to live it as a servant of the poor, with all my heart. I would also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Prof. Father Jang, In-San, who has helped and encouraged me throughout my study and work. Most of all my heart felt gratitude goes to those Kkottongne Families who have implanted in me the real joys of life as well as supported me through an abundance of love and prayer. My only regret is my feeling that, despite all this love and help, my work still leaves a lot to be desired.

      • 현대의 성 이해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입장 : 젠더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조인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943

        현대 사회에서 인간의 성(性)은 사회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도 인간의 성에 대한 이해는 명확한 기준 없이 받아들이는 사람과 집단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된다. 이러한 해석에 대한 것을 나누어보면 크게 두 가지이다. 먼저 인간의 성별을 타고난 본래의 것으로 이해하는 생물학적 관점(sex)과 언제든지 자신의 감정과 느낌에 따라 성별을 결정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하는 젠더(gender)의 관점이 그것이다. 많은 대중매체와 미디어가 인간의 성에 대해서 남성과 여성 그리고 젠더로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으므로 성에 대한 정의나 용어의 사용에 있어 혼란함이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현대 사회에서 가톨릭교회는 인간의 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분명히 짚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성이라는 용어가 지닌 다양한 정의를 살펴보고 성경과 가톨릭교회 교리서에서의 성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중반부에서는 전통적인 성 개념이 해체된 다양한 이유와 현시대에 나타나는 현상들을 살펴보았다. 후반부에서는 가톨릭교회가 어떻게 인간의 성을 정의하는지 다양한 교회 문헌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를 종합 정리하였다. 현대 사회에서 인간의 성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이해가 있을지라도 그리스도인들은 이러한 풍파에 흔들리지 않고 가톨릭교회가 믿고 선포하는 인간의 성에 대한 올바른 진리를 명확히 이해하기를 바란다. In Modern society, human sexuality has taken a major part in the society. Nevertheless, according to humans and groups who accept without specific standards the understanding of human sexuality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meanings. These interpretations can be divided into two different ways. First, the so called biological perspective which understands human gender by nature. Second, the gender perspective which has a understanding that gender can be decided depending on the emotion and feeling of a person. Due to the fact that in many mass media, human gender is used interchangeably for male, female and gender, it is clear that there has been a confusion on the definition and the use of the terminology of sex. Therefore, in modern society there is a need for the Catholic Church to clarify how to understand human sexuality. To do this, the first half of this dissertation will illustrate the various definitions of the term sex and also will elucidate the terminology of sex stated in the bible and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Furthermore the mid point of this dissertation will state the reason why the traditional concept of sex has been broken up and also the phenomenon in the present era. Based on the ecclesiastical documents, the rest of the dissertation will concentrate on how human sexuality has been defined in the Catholic Church. Although, there are various interpretations and understandings of human sexuality in modern society, there is a need for Christians to realize the truth of human sexuality that the Catholic Church proclaims and never falter on these disturbances.

      • 상징성 회복을 위한 도심 속 성당(본당) 계획안

        박예지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943

        우리 현대 사회를 이야기 할 때 거론되지 않을 수 없는 많은 단어 중 한 가지는 도시이다. 현대 사회는 도심 속에 많은 사람들이 밀집되어 살고 있다. 도시 안에서 문화, 여가, 생활, 종교 등 모든 것을 충족시키며 살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도시에 몰리다보니 한정된 땅에 많은 공간이 필요했고 이러한 상황이 빌딩 숲이라는 단어까지 나오도록 했다. 이러한 도심 속 변화와 이러한 빠른 성장이 가지고 오는 변화가 여러 가지 현상을 불러온다. 가톨릭교회는 중국을 통해 우리나라로 들어 왔고 많은 박해를 받으며 꿋꿋하게 자리를 잡았다. 우리나라의 근대부터 현대까지의 역사 속에 함께 숨 시며 같이 공존했다. 명동성당이 그러하고 고 김수경 추기경님이 그러하다. 도시가 밀집되어 있는 만큼 가톨릭교회에 파견된 본당도 각각의 동마다 하나씩 있을 만큼 많이 존재하게 되었다. 가톨릭교회는 ‘보편성적이며 그리스도를 믿는 공동체’를 위한 공간만을 마련해야 하고 지역주민들을 위한 공간이기도 하며 성전의 원천적인 기능인 기도하는 곳,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곳 이여야 한다. 옛 가톨릭교회의 모습을 보면 마을의 높은 곳에 교회의 장소성을 주었고 높은 종탑을 세워 상징성을 가졌다. 이 두 가지 요인이 가톨릭교회의 상징성이 되었다. 또한 서양의 중세시대 때는 마을의 중심이 교회였으며 교회를 중심으로 광장과 마을이 형성되었다. 골목골목을 지나 광장이 나오고 광장의 중심에는 교회가 높은 종탑를 달고 서 있었다. 하지만 가톨릭교회는 빠르게 성장하고 변화하는 사회의 현상과 도심 속 거대한 빌딩 숲 사이에서 높은 종탑을 가진 언덕위의 교회의 모습이나 서양의 중세시대 때의 광장 중심에 교회가 있는 모습은 명동성당처럼 장소성이 있는 교회나 그 도시의 대표 가톨릭교회가 아닌 이상 찾기 어렵다. 도심 속 성당은 도심 속 작은 대지를 활용해야 했고 성전과 신자들을 위한 공간만을 두어 높은 빌딩들에게 상징성은 물론이고 교회의 존재도 찾기 어렵게 되었고 성전을 향한 깊이 있는 방향성마저 존재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교회는 또한 개방성 보다는 보호하는 쪽을 택했다. 제대는 예수님의 몸이고 제대 위에는 예수님의 몸인 성체를 담아두는 감실이 24시간 불을 밝히고 있다. 사제는 성전이 침범 당했을 때 감실에 있는 성체를 제일 먼저 보호해야 할 의무를 지닐 만큼 중요한 곳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톨릭교회는 24시간 성전을 개방하여 누구든지 성전에 들어와 기도하는 공간으로 두기에는 안정상의 문제와 관리의 문제가 크게 작용 되어 관리인을 두어 관리하도록 방침 했다. 이러한 모든 현상이 가톨릭교회의 장소성은 물론 상징성조차 도시에서 찾기 어렵게 되었다. 이번 논문은 가톨릭교회의 본당이 도심 속에서 어떻게 장소성을 가지며 상징성을 회복시킬 수 있는 설계 계획안을 제시한다.

      • 가톨릭 평생교육의 실태 및 요구분석 : 천주교 서울대교구 교육현황을 중심으로

        최용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3

        There are four purposes of this study: First, to identify the lessons of the Catholic church and characteristics of Catholic lifelong education; Second,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atholic church's lifelong education; Third, to understand the expectation for the Catholic church's education through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needs analysis per the Catholic; Lastly, to suggest an activation plan for the lifelong education in the Catholic church. Based on the purposes of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 is defined as the lesson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atholic Church,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Catholic in regard of the Catholic lifelong education, and is verified.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y analysis of the literature, data of the current education, and survey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demand for the Catholic lifelong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Catholic church has continuously reformed as the society changes, instead of staying in the past. 2. The Catholic churches in Korea provide the constant education in lifetime while it is limited to the educator-centered education. 3. The re-education for the Catholic has not fully evangelized due to it is limited to a supplementary doctrinal teaching. 4.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program by the Catholic has been decreased due to the educator-centered teaching without any modification based on survey needs and evaluation of the education for the education. 5. Th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re running at Myeongdong rather than each of the local Catholic churches. 6. The educational programs have a lack of variety and integration. 7. The Catholic has demand for education in faith in various form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8. The Catholic is in demand for the learner-participated education with specialists rather than the lecture-style education by priests.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the education of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is in time to develop the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평생교육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과 가톨릭 평생교육의 특징을 규명하고 둘째, 가톨릭 교회의 평생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셋째, 가톨릭 신자들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분석을 통해 교회의 교육에 대한 기대를 밝힘과 동시에 넷째, 가톨릭 교회의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위의 목적에 따라 평생교육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과 가톨릭 교회의 교육 현황, 그리고 이에 대한 신자들의 만족도에 대해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 분석, 교육 현황 자료 분석, 설문지를 통한 만족도 및 요구 조사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가톨릭 교회는 과거에 머물러 있지않고 시대 변화에 맞춰 끊임없는 변화를 시도하였다. 둘째, 한국 교회에서 하는 교육은 평생동안의 지속적인 교육이지만 교육자 중심의 교육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셋째, 신자 재교육은 교리교육의 보충이라는 한계때문에 새로운 복음화를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였고, 시대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였다. 넷째, 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교육 평가, 수정‧보완이 없는 교육자 중심의 교회 교육으로 인해 신자의 교육 참여율이 점차 하락하고 있다. 다섯째, 다양한 교육들이 본당보다는 명동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여섯째,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이 아직 부족하고, 교육 프로그램들에 대한 통합성이 취약하다. 일곱째, 신자들은 무엇보다 신앙관련 교육을 다양한 방식으로 듣기를 원하고 있다. 여덟째, 신자들은 이제 신부가 하는 강의식 교육보다는 전문가가 하는 학습자 참여 방식으로 하는 교육을 원하고 있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한국 교회의 교육은 이제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통해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통합관리기 필요하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