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家族構造의 變化에 따른 老人扶養에 관한 硏究

        유승교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노인부양은 가족부양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러므로 노인부양의 문제가 사회문제로 된 일이 없었다. 그러나 도시화, 산업화, 여성의 사회참여가 활발해지면서 가족구조가 부부중심의 핵가족으로 변화되었다. 이로 인하여 노인부양의 문제가 심각하게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의 자료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자료 등 기존의 연구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가족구조와 노인부양 실태를 분석하여 노인부양의 문제점을 찾고 자기부양을 강화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통해서 나타난 본 연구에서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가구규모에서 가구 당 평균 가구원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가구원수별 가구분포를 보면 4인 이상의 가구는 감소하고, 3인 가구는 거의 변화가 없다. 그러나 2인 가구와 1인 가구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가구구조에서 1세대 가족은 큰 비율로 증가하고, 2세대 가족비율은 다소 감소하는 추세이고, 3세대 이상 확대가족은 크게 감소하고 있다. 그리고 편부모 가족, 여성가구주 가족, 노인단독가구, 비혈연가구 형태들이 상대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가족구조의 변화는 노인의 지위 약화, 권위와 역할 상실, 고독과 소외 등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둘째, 사적부양에서 가족부양은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현재까지 가장 중요한 부양 형태이다. 이는 노인의 정서적부양, 경제적부양, 신체적부양 등 모든 것을 해결하는 가장 이상적인 부양 형태이다. 그러나 현재의 부양 실태를 보면 경제적부양, 신체적부양, 정서적부양 등 노인부양의 모든 것을 담당하는 동거부양은 14.4%에 불과하다. 그리고 별거부양의 경우 경제적부양은 장남이, 신체적부양은 배우자와 장남이 정서적부양은 배우자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공적부양에서 소득보장은 국민생활보장, 경로연금, 경로우대제도, 퇴직금제도, 공적연금이 있다. 그러나 퇴직금제도와 공적연금은 자기부양의 수단으로 이용되므로 실질적인 공적부양은 극빈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민생활보장이 있을 뿐이다. 셋째, 우리나라에서는 노인인구 증가와 사회 환경의 변화가 짧은 기간에 동시에 나타나고 있어 노인문제 해결에 더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가족구조의 변화로 가족이 노인부양을 제한적으로 담당할 수밖에 없고, 공적부양제도가 생활보호자만을 대상으로 제한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02년도 조사 자료에서 노인의 64.5%가 노후 준비를 하고 있으며, 65~69세의 노인 82.3%가 취업의 의지를 가지고 있음을 볼 때 자기부양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자기부양 강화를 위해서는 사회적·경제적으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자녀 양육과 국가발전을 위해 살아온 노인이 안정된 경제생활과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공적부양 제도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즉 노후에 경제적으로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년연령제도를 폐지하여 고령자의 근로기간을 연장하고, 퇴직 후에 재취업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고령과 신체적 약화에서 초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적노인요양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본다. It was widely accepted family has been played a central in the aged support in our society. Therefore, the aged support issue has never been raised as a serious social concern. However,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coupled with urbanization and the participation of women brought a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population, and family nuclearization. Over the last year, the issue of the aged support has been featured and came to the fore in our society. Based on the issue raised over, this paper aimed to explore the problems of family structure and the aged support in this country from research literature 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substitutes for strengthening self- support. This study has three findings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number of a household member continuously has been decreased in terms of a household sire. The rate of families over four members has been decreased while the rate of families consisted of three members shows a slight changes. In terms of a household structure, the rate of one-generation families rapidly increased while two-generation families are more or less likely ta decrease. The rate of extended family consisted of over three generation shows a rapid decrease in population. Additionally, the substitution families form such as families with single parenthood, women householders, and the families consistent with only the aged and non-blood families have been increased. The changes of family structure brought on the weaken position, the loss of the authority and role, and the solitude and isolation of the aged in their families. Second, family support has been the most important type of the private support. The family support is the ideal type of support, which can solve every dimension of the problems in terms of spiritual, economic, and physical support. However, the current statue of the aged support shows that the family support of living together only falls on 14.4%. In case of the family living separately, the oldest son has the biggest responsibility in the economic support, and the oldest son and the spouse play a central role in the physical support. Additionally, the spou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emotional support. In terms of public support, there are national living security, a pension for the aged, and a system to respect the aged, a system of retirement pay and a public pension in a security of income. However, practical public support is limited to national living security for the destitute since a system of retirement pay and a public pension are likely to use for self-support. Third, the aged support problem has more considerable points we need to concern since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population and changes in a society occurred simultaneously during a short period of time in Korea. Also family has been supported the aged limitedly due to the dramatic family structure changes. The Public support system has been limited to the National Pension covered only those. The research data in 2002 show that 64.5% of the aged has been provided for their old age and 82.3% of the aged from 65 to 69 years old wish to work in their old age. The data address the need of self-support. For Korean families, the role of the grandparent has always been significant for their children rising and country development under social and economic turmoil and they should spend their declining years in peace. In this point of view, ta reinforce their self-support, the public support should be performed. Namely, the retirement system due to age-limit should be abolished and the period of working contract needs to be extended for the economic stabilization of the aged, Also we need to encourage the re-employment of the aged in terms of social policy. Additionally, the Public recuperation system for the aged should be introduced to cure their diseases caused by their old age and physical weakness so that they can take advantage of it.

      • 가족배경이 아동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분석 : 부모 양육태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미애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배경이 아동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분석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첫째, 가족배경이 아동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둘째, 가족배경이 부모 양육태도를 통해 아동의 건강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셋째, 가족배경이 아동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발달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방법은 SPSS 18.0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초등학교 4학년은 한부모가족구조, 모학력, 부근로안함모근로함이 아동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중학교 1학년은 한부모가족구조만 아동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 초등학교 4학년의 한부모가족구조, 모학력, 부근로안함모근로함이 아동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때 부모감독, 애정이 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학교 1학년은 한부모가족구조가 아동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때 애정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 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초등학교 4학년은 부모감독이 한부모가족구조, 모학력, 부근로안함모근로함과 건강에 대한 인식 사이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애정은 모학력과 건강에 대한 인식 사이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1학년은 애정이 한부모가족구조와 건강에 대한 인식 사이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중학교 1학년보다 초등학교 4학년이 가족배경에 의한 아동의 건강에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다양한 가족배경 변수와 아동 발달 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들은 주로 아동의 인지 발달, 심리정서 발달을 다루었던 반면, 아동의 건강에 대한 논의와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아동의 건강에 대한 논의와 관심을 기울이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아동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변인을 사회복지학 분야의 기존 연구와 같이 빈곤으로만 한정짓지 않고 빈곤 뿐만 아니라 가족구조, 모학력, 부모 근로여부를 포함시켜 아동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독립 변인의 영향력을 확장시켰다는 점, 그리고 발달단계를 구분하여 아동의 건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아동의 건강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 시점 등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특히, 효과적인 개입 시점과 관련하여 중학교 1학년에 비해 초등학교 4학년이 가족배경의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었다. 이는 추후 학교와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취약한 가족환경에 놓인 초등학교 4학년을 주요 관심 대상으로 선정하여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사례관리의 실시와 더불어 의료서비스 영역을 확대한다면 성인기로의 이행 과정에서 아동의 건강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가 다소 감소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중학교 1학년은 청소년기 특성상 가족배경의 영향력보다 또래관계의 영향력이 더 클 수도 있기 때문에 가족배경의 영향을 낮게 받았을 여지도 있다. 추후 중학교의 건강을 연구할 때는 독립 변인의 설정을 또래관계 측면에서 분석해 봄으로써 아동의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해봐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활용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 1차년도 자료는 전국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대표성이 높기 때문에, 본 패널의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한 연구 결과는 전국의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아동들에게 일반화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in which family background affects children's health.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has analyzed; 1) whether family background affects children's health directly, 2) whether family background affects children's health indirectly through parents' childe-rearing attitude, 3)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effect of family background on children's health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stages. For the analysis, the data from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the first year) was analyzed, using analysis methods- SPSS 18.0 and Sobel test.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year 4, children's health is affected directly by single-parent family,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working father and non-working mother, and a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children's health is affected by single-parent family structure only. Second, when the health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year 4 is affected by single-parent family structure, affection mediates that. Third, a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year 1, when children's health is affected directly by single-parent family, affection affects that indirectly. The findings from Sobel test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year 4, parental monitoring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single-parent family structur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working father and non-working mother, and the consciousness of health, and affection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single-parent family structure and the consciousness of health. Taken together, the heal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year 4 are more affected by family background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year 1.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various family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development of children have dealt mainly with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yet have not dealt with children's health in the aspect of discussion and attention. Thus,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so the field relating to social welfare can deal with children's health in-depth in the aspect of discussion and attention. Second, this study distinguishes itself from the existing studies in that it expands the leverage of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children's health by including single-parent family,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employment of parents as well as poverty without limit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children's health to poverty as the existing studies did in the filed relating to social welfare studies; and it is able to identify the time for the effective intervention for the children's health because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hildren's health by classifying the development stages.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the time for the effective interventi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year 4 are more affected by family background than middle schol students in year 1, which implies the negative results on the health of children who are in transition to adulthood can be eased off to some extent if schools and the fields relating to social welfare pay more attention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year 4, continuing to monitor them, and perform case management, and extend the medical care service. Meantime, there is the likelihoo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in year 1 is less affected by family background because their peer-relationship can have a bigger effect than family background. Thus, it is worthwhile to study the effect of peer-relationship on children's health by setting the peer-relationship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the future study. Third, the data from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the first year) was conducted, targeting the entire nation, having representativeness. Thu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generaliz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year 4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year 1.

      • 한국가족의 구조변화와 대응방안

        이영주 한영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연구는 전통적인 한국의 가족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가족의 특성과 변화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가족구조의 형태를 파악하며 현실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한국가족구조를 변화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한국가족구조의 변화 형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한국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해 발생한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문헌적인 조사연구방법’을 중심으로 국내ㆍ외의 많은 학자들이나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연구소, 민간단체의 여러 가지 자료들을 활용했다. 변화하고 있는 가족구조에 대한 원인파악과 현황 및 사회변화에 관한 통계는 보건복지부, 통계청, 여성가족부, 한국청소년연구원 등의 통계자료와 각종 학술지, 인터넷 자료, 신문 등을 활용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가족구조를 변화시키는 요인으로는 사회적요인, 가치관적 요인, 인구학적 요인, 개인적 요인 및 가족요인을 들 수 있다. 둘째, 한국가족구조의 변화는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난다. 가족규모의 축소, 가족세대의 단순화, 비정형적인 가족형태의 출현으로 인한 구조적 변화를 들 수 있다. 셋째, 가족구조의 변화와 그에 따른 문제점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상담학적접근, 사회복지적 접근, 가족정책적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제는 가족의 기능이나 구조뿐만 아니라 가족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가치와 태도, 신념도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가족유형의 증가는 이들 가족의 적응문제로 이어지기도 하므로 다양한 가족을 포괄하고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미래적인 예측과 해결방안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했다.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 variables of the Korean family syste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family system,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varied forms of family and to come up with practical countermeasures to deal with problems arising out of the family system. The concrete subjects are as follows: Subject 1: What are the factors that cause the changes in the Korean family system? Subject 2: What are the forms of the family system changes? Subject 3: What are some possible measures to address the issues that arise out of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family system? This study used the approach of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took advantage of various materials and data that come from scholars domestic and abroad,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research institutes and civic organizations. The causes of familial changes and the statistics about social changes stem from the statistical data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Statistical Office, Female and Family Ministry and Korean Adolescent Institute, and from journals, the Internet and newspapers. Research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points: First, societal factors, value-related factors, demographic factors, individual factors and familial factors were found to have caused familial changes in Korea. Second, there were three kinds of familial forms: reduction of family size, simplification of households and emergence of abnormal family forms. Third, in response to those changes, counselling approach and social welfare approach were suggested to counter the changes in the family system. Now, the changing trend comprises not only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the family system but also the values, attitude and belief people have regarding the family. In addition, the increase of the forms of the family system leads to the problems of adaptation to the new forms. In this connection, it is suggested that some posit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hat we may find some ways to comprehensively cope with the various forms of the family structure and to have a futuristic perspective with a view to solving the problems.

      • 노인만성질환자의 가족구조에 관한 일연구 : 뇌졸중 환자의 가족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한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830

        1960년 이후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로 인하여 우리 나라의 가족구조에는 핵가족화, 가족인원의 소규모화, 자녀별거 노인가구의 증가현상이 두드러지게 되었다. 또한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개인주의 가치관의 확산, 부양의식의 변화는 노인부양인력의 절대적 감소로 직결되어 오늘날의 노인 고령인구 증가현상은 한국사회에 노인부양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부양의 문제 그 중에서도 특히 노인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 때 가족의 부양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뇌졸중 노인환자의 가족구조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노인환자의 가족구조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뇌졸중 노인환자의 현재 가족구조 및 가족관계를 살펴보고 둘째, 노인의 뇌졸중 발병이 가족구조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뇌졸중 노인환자의 현재 가족구성 형태를 보면 노인의 건강상태에 관계없이 모든 노인들을 상대로 조사한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여 기혼자녀와의 동거율이 높지 않았고 가족구성 유형별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노인의 건강이 약화되면 자녀와 동거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선행연구에 부합하지 않았다. 기혼자녀와의 동거는 노인부양이 전통적으로 장남에게 전적으로 전담되었던 것과는 달리 기타 아들가족이나 딸가족, 그리고 아들, 딸 구별 없이 모든 자녀들이 교대로 부양하는 순환형태 등 다양한 모습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동거희망가족의 형태와 일치여부에 대해 살펴보면, 뇌졸중 노인환자의 85.5%는 현재 자신이 원하는 동거가족의 형태로 살고 있었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14.5%였다. 생활만족도는 자녀와 별거하고 있는 노인환자의 경우, 특히 자녀가 가까운 거리에 살면서 자주 찾아와 환자의 생활을 보살피는 긍정적인 관계가 형성될때 더욱 만족스럽게 나타났다. 자녀와 동거하고 있는 환자의 경우, 정서적 부양에 대한 만족도는 신체적 부양에 대한 만족도 보다 낮았고 자녀와의 관계보다 배우자와의 관계에 더 만족하였다. 주간호자의 유형을 살펴보면, 배우자가 자녀와의 동거여부에 관계없이 가장 많았다. 자녀동거 가구에서는 배우자 다음으로 며느리와 딸이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였고, 자녀 별거가구에서는 배우자 다음으로 간병인이나 가정도우미 등이 가장 많았다. 뇌졸중 발병으로 인한 가족구조의 변화를 살펴보면 발병 후 동거가족에 변화가 있었던 가족은 28.2%이었고, 변화가 없었던 가족은 71.8%이었다. 동거가족의 변화를 경험한 경우 변화횟수는 1회부터 4회까지 다양하였으나 1회가 일반적이었고, 변화형태는 자녀와 별거상태에서 기혼자녀와 동거하는 형태로 변화되는 경우가 73.0%로 가장 많았다. 기혼자녀와의 동거하게 되는 경우 장남가족과의 동거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딸가족, 순환형태, 기타 아들가족 순이었다. 뇌졸중 발병 후 자녀와의 동거와 같은 가족구조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경우는 70대 이상의, 여자환자 일수록, 경제적 수준이 '중'이하인 경우, 경제적으로 의존할수록, 배우자 없이 혼자사는 노인일수록 많이 발생하였다. 반면에 뇌졸중 발병에도 불구하고 가족구조의 변화 없이 자녀와의 별거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는, 특히 노부부 가구일 때 배우자가 환자를 돌 볼 수 있고, 환자의 경제적 수준에 관계없이 경제적 자립이 가능할 때 자녀와의 동거보다는 별거를 적극적으로 선택하였다. 그러나, 발병으로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의존적이지만 자녀와의 동거변화 없이 노인 혼자 살고 있는 경우는 생활보호대상자와 같은 저소득층의 노인들 가운데 자녀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않거나 관계가 좋다고 하여도 '워낙 형편이 어려워' 혼자 살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부양 의식이나 효 의식, 전통적 가치관에 대한 연구와 비교하여 실제 노인이 발병하였을 때 가족과의 동거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또 가족구조의 변화가 어떠한 양상으로 이루어지는지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뇌졸중 노인환자의 가족구조를 살펴봄으로써 만성질환 노인의 가족구성 형태별 특성에 따른 다양한 복지정책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 한다. Since 1960’s, the family structure of Korea has been transformed vastly such as nuclear family, the minimize of the family unit, and the increase of elders who living apart from their children. It caused by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addition, the increase of working females, the spread of individualism, and changes of children’s responsibility for their parents have directly lead to decrease the people who caring for old people. So, the growth of the older population becomes one of most important social problem.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blem that caring for the old people, more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family structure that have aged family member who suffering from the stroke. The analysis of the family structure is largely in two ways. First, the current family struc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members. Second, the effect of the stroke on the family structure. The result are as follows. Compare with the studies that the family structure of the older without their health condition, it shows that co-residence rate with married children was not particularly higher for families and the aged patients and the rate for other forms of residence were similar. This was different from the prior studies which showed that co-residence rate with children increased when the health of the aged parents deteriorated. In cases where the old parents co-resides with married children, the children were not always the eldest son, like the traditional way, but younger sons and daughters could be seen living with the parents, with some parents choosing to freely move from one family to another. When aged stroke patients were asked about their most desired form of co-residence and whether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living structure, 85.5% of them answered they were living in a family structure of their choice and 14.5% said they were not. With regard to satisfaction rate with their life, for those that were living apart from their children, they were most happy in situations where the children maintained a healthy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by living near by and visit frequently to look after the parents. In situations where the aged stroke patient lived with children, the level of emotional satisfaction was lower than that of physical comfort and had a better relationship with the spouse than the children. Spouses ranked the highest for the person who responsible for the caring patient and then the daughter and the daughter-in-law showed similar figures. The level of patient satisfaction was higher when the carer was the spouse or the daughter, compared with paid nurse or the daughter-in-law. However, the correlation has shown that ‘who is the carer’, and also, the patient satisfaction was not particularly significant. With regard to whether there was a change in the family structure because of the patient, 28.2% went through some change, whereas 71.8% did not. Where there was change, the change occurred over 1~4 times, with 1 time begin the most prevalent. The most common form of change, which made up 73% of the answers, consisted of the sick parent, who used to live apart, moving in with a married child. Most parents lived with the eldest son’s family, next, the daughter’s family, and then the form of moving from one family to another was prevalent. Then came the younger son’s family. Aged stroke patients who had to experience some change in family structure such as moving in with children were mostly over 70 years of age, female, whose family’s financial status was below average, financially dependent, and those who were alone without a spouse. On the other hand, those who maintained a separate household despite the sickness had a spouse who was able to take care of the patient and were financially independent, not meaning that they were financially well-off. Such couples insisted on living by themselves. Some patients lived alone even when they required full assistance in carrying on their daily lives. These people were extremely poor, mostly recipients of government aid, and that they had trouble on family relationships. They did not choose to live alone, but had to because of their poor circumstances. The above data, in comparison with other studies on the general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 caring for the old, sense of filial duty based on Confucian teachings, and traditional values, show the process of how the aged, sick parent come to co-reside with a child’s family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the family structure. By showing the diversity and the particularity of family structure with a sick and aged family member, I hope that the data provided here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e social programs for the aged suffering from chronic ailments.

      •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가족구조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최연경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구조에 대한 다문화적인 인식과 편견과 고정관념 없이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기르는 데 목적을 있으며, 이를 기초로 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가족구조에 대한 인식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가족구조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1.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한부모 가족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2.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재혼 가족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3.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국제결혼 가족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가족구조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질적 변화를 보이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문제의 검증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의 진행 과정을 거쳤다. 첫째,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정순영(2003)의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가족구조 및 이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황은숙(2001)의 ‘한부모가정에 대한 반편견 유아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효과’, 임기연(2008)의 어린이책을 활용한 초등 다문화 교육의 효과‘를 수정·보완하거나 교육과학기술부(2008)의 ‘유아를 위한 세계 이해 및 다문화교육 활동자료’에서 발췌한 것이다. 둘째, 가족구조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도구로 한부모 가족에 대한 유아의 인식을 조사한 황은숙(2002)의 검사도구와 가족구조 및 이혼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정순영(2003)의 검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연구자가 직접 작성한 질문 2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실험집단 유아 중 가족구조에 대한 인식검사에서 낮은 점수를 얻은 유아 4명을 선정하여 한부모 가족, 재혼 가족, 국제결혼 가족에 대한 인식 변화를 관찰·분석하였다. 셋째, 2008년 3월·5월에 걸쳐 만 5세 유아 60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주 2회 씩 총 16회에 걸쳐 실험집단(30명)에게는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30명)에게는 기존의 유치원 연간교육계획에 따른 ‘가족과 이웃’ 단원의 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 가족구조에 대한 인식 측정도구를 통하여 두 집단이 동질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가족구조에 대한 인식 검사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 30명이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가족구조에 대한 인식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실시는 유아들의 다양한 가족구조에 대한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연구의 결과에 관한 논의와 제언을 덧붙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on fostering multicultural cognition and positive attitudes about various forms of family structure, and finding out what kinds of effects a muliticultural education program can have, based on this, on children's cognition change about family structure. The research themes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below. 1. What kind of effect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have on children's cognition about family structure? 1-1. What kind of effect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have on children's cognition about a single-parent family? 1-2. What kind of effect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have on children's cognition about remarried family? 1-3. What kind of effect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have on children's cognition about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2. What kind of qualitative changes in children's cognition on family stricture doe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show? To testify these study themes, procedures as below has been proceeded in this study. Firstly,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s created by correcting, supplementing "Influences of Educational Activities Utilizing Mulitcultural Picture Books on children's Attitudes toward Family Structure and Divorce" by Jun Soonyoung(2003), "Development of children Anti-prejudice Education Program about Single-parent Family and its Practical Effects" by Hwang Unsook(2001), "and "the Effects of Elementary Multicultural Education Utilizing Children's Books" by Yim Keeyoun(2008), or excerpting from "World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y Materials for children" by Education-Science-Technology Deparment(2008). Secondly, the instrument to measure cognition about family structure was composed of question 28 items directly created by the researcher, correcting, supplementing Hwang Unsuk's inspection instrument(2002) used to investigate children's cognition on single-parent family and Jung Soonyoung's inspection instrument(2003) used to investigate children's attitudes toward family structure and divorce. Furthermore, we selected 4 from children in experiment group with lowest scores in the cognition test about family structure, and observed, analyzed their cognition changes about single-parent, remarriage,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Thirdly, the research object was 60 children, international age 5, 2 times per week for 8 weeks(total 16 times) from Mar through May of 2008,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 group(30), and education activities of "Family and Neighbor" following to the original kindergarten yearly educational plan were conducted for the comparison group. We verified that two groups share the same quality through the cognition measurement instrument in this process. Fourthly,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sult of the cognition inspection about family structure afte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 In other words, 30 children in experiment group that conducte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showed higher cognition scores about family structure than before. Therefore, it turned out that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cognition change about various family structure. Discussion and proposal about the study results will be added.

      • 역기능적 가족구조가 자기효능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박준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는 역기능적 가족구조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해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피험자는 남학생 170명, 여학생 158명으로 전체 32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연구를 했다. 측정도구는 역기능적 가족구조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우울 척도를 사용했고 분석방법은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사용했다. 연구 결과 첫째, 남학생 집단에서는 역기능적 가족구조의 요인 중 부부갈등, 분리 불안, 부모- 자녀 역할 전도 순으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학생 집단에서는 역기능적인 가족구조의 요인 중 부부갈등만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 집단에서 부부갈등은 우울에 대한 직접적인 경로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경로가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리 불안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경로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 집단에서는 역기능적인 가족구조 요인 중 부부갈등만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해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역기능적 가족구조 요인 중 자기효능감과 우울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부갈등이며, 역기능적인 가족구조의 영향은 여학생 집단보다는 남학생 집단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자기효능감과 우울에 취약하게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그리고 이후의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ysfunctional family structure on depression using self efficacy as a mediating variable with an emphasis on potential gender differences. Data from 328 university students, 170 males and 158 females, were analysed. Instruments were Family Structure Survey(FSS; Lopez, 1986), Self Efficacy Scale(SES; Sherer et al, 1982)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Beck).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four dysfunctional family structure subscales, marital conflict, fear of separation and parent-child role reversal had effects on men's self efficacy. For women, only marital conflict had an effect on self efficacy. Regression analyses also revealed that self efficacy mediated the influence of marital conflict on men's depression. In addition, marital conflict had a direct effect on men's depression. And the influence of fear of separation on men's depression was mediated by self efficacy without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In case of women, only marital conflict had an effect on depression mediated by self efficacy. These results implicate that the most influencial factor of dyfunctional family structure on self efficacy and depression is marital conflict, and men are more negatively influenced by dyfunctional family structure on their self efficacy and depression than women.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生活保護對象者의 貧困에 대한 家族構造的 要因에 관한 硏究 : 麗水市 長年期 夫婦世代를 中心으로

        朱鉦沃 광주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8829

        본 연구는 생활보호대상자중 가족구조상 단기간의 보호로 자활이 가능한 장년기 부부세대를 중심으로 그들의 빈곤에 대한 가족구조적 요인을 분석하여 효율적 관리 및 상담으로 자활을 도모코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여수시 생활보호대상중 장년기자활보호부부세대 160세대를 대상으로 하였다. 빈곤에 대한 가족구조요인의 조사 결과 생활보호대상자들은 일반적으로 학력이 낮고, 건강상태가 별로 좋지 않으며, 무직이거나 일용직 노동, 파출부 등의 직업이어서 소득이 낮은 상태였다. 부인보다 남편의 학력이 높았으나 남편의 학력 역시 높지 않고, 아내의 건강보다 남편들의 건강이 더 나쁘고 실직이거나 무직이었다. 생활보호 대상자들의 사회적 특성으로 남편의 건강상태가 나쁘고 월수입이 낮을수록 경제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으며, 대부분 가족 때문에 빈곤해졌다고 생각하고 있다. 조사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라 부인의 학력이 낮고 남편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그리고 일용직이나 파출부를 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구주의 질병이 빈곤의 중요한 원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수입이 비교적 많은 경우에는 유산이 없는 것이 빈곤의 중요한 원인이었다. 부부체계는 부부의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미래에 대한 긍정적이며, 부부간 합의나 남편의 결정에 따라 의사결정을 내리며, 가사활동및 육아에 대해서도 남편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주로 부인이 남편에게 의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간 합의나 남편의 결정에 따라 의사결정을 내리며, 가사활동 및 육아에 대해서도 남편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주로 부인이 남편에게 의지한다. 의사결정시 부인이 주로 결정을 내린경우에는 빈곤을 심하게 느끼며 주로 가족 때문에 빈곤해졌으며 개인적으로 무능력하고 빈곤해졌다. 남편이 폭력을 행사한 경우에는 빈곤으로부터 탈피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고 있으며, 미래에 대해서도 긍정적이지 않았고 생계비 지원 및 주택공급, 취업알선등을 희망하였다. 부모자녀관계에 있어서 자녀와 부부 같이 친밀하며, 1시간이상 자녀와 함께 있는 경우가 많고, 자녀들은 대체적으로 집안일에 협력을 잘 하는 편이며, 자녀들은 자신들의 일을 각자 잘 하려고 하며, 부모와 약간씩 자신이 문제를 의논하고 부모가 자녀를 설득하여 갈등을 해결하고있으며 어느정도 자립할 때 까지만 교육시키려는 욕구가 강했다. 그리고 부모는 일반 부모와 마찬가지로 자녀들을 중요시 하고 대체적으로 경제적 여유가 있으면 교육비는 아끼지 않는다고 생각하나 빈곤으로 인하여 아동들에게 지속적인 지원을 하기는 어렵다고 조사 되었다. 자녀관에 따른 빈곤에 대한 인식을 보면 자녀의 교육관이 자율적이고 자녀의 교육에 관심이 없는 경우보다는 자립할 때까지 교육시키려는 경우는 빈곤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미래에 대해서도 긍정적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사회복지전문요원은 생활보호대상자들의 상담시 자활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가구특성으로인해 경제적 능력을 상실하여 빈곤화되고 빈곤 때문에 취약한 경제적 능력을 가질 수밖에 없는 형편을 벗어나도록 도와야 하겠다. 또한 의료사회사업 실현으로 질환으로 인하여 탈빈곤이 어려운 세대를 완치후 노력여하에 언제든지 자활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소득을 증대시키는 각종 기회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기 위하여 요보호자를 상담하고 있는 사회복지 전문요원들의 적절한 개입과 지도가 요망된다. 가출, 유기, 별거로 인한 결손가정의 문제와 가족의 낮은 안정성, 폭력 및 가족 스트레스에 대한 낮은 대처수준 등으로 가족이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저소득층의 가족관계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회복지전문요원의 지속적 상담이 필요하며 내용별 복지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다. 빈곤으로 인하여 자녀들이 학교생활 부적응을 초래하고 있으며 중도에 포기하거나 적성을 찾지 못하여 교육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학교교육을 충실히 마쳐 안정된 직업을 가질수 있도록 학교 사회사업 실현이 절실히 요구된다.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첫째, 기존이 생활보호대상자 연구는 가족구조실태 및 물질적 지원 실태파악에만 집중되어 왔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빈곤에 대한 가족구조적 요인을 분석하여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둘째, 빈곤이 주원인인 질환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질환이 빈곤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의료사회 사업의 필요성과 셋째, 저학력으로 안정된 직장을 가질수 없어 빈곤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학교사회사업 실현으로 생활보호대상 아동이 충실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가족관계에서 일탈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사회복지 전문요원들의 가족상단시 빈곤의 실체를 알고 그 연결고리를 끊는데 제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