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都市 街路施設物의 改善에 관한 연구 : 光州市 금남로를 중심으로

        홍안희 全南大學校 1996 국내석사

        RANK : 248703

        街路施設物의 設計 및 管理는 屋外環境의 要素로서 미치는 영향이 큰 요인이며 도로의 美化, 건축의 外觀美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도시 전체의 이미지를 향상시키며 도시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주요 수단이 된다. 따라서 최근 도시경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가고 있고, 이를 위한 施設의 設計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게 일고 있다. 따라서 도시관리의 주체인 시당국은 도시경관 및 가로시설물에 대한 개선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며 가로시설물을 규제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과거의 차량중심의 도로에서 전환하여 보행자중심의 가로로 그 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도시공간을 인간적인 장소로 개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에 덧붙여 도시경관형성시책 중에서 타요소와의 조화를 도모하며 양호한 도시경관형성을 위해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옥외시설물 즉 간판광고물, 안내체계, 가로시설물 등에 있어서 거시안적이고 체계적 접근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을 수립하여 쾌적하고 개성적이고 매력적 도시환경창조를 위해 노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光州市 금남로를 사례로 가로시설물의 실태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이 무엇이며 가로시설물이 시가지 경관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앞으로 光州市가 가로시설물을 정비하고 개선해 나갈 때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事例 硏究地로 選定한 光州市 금남로에서는 인간의 실외생활 환경조건으로서의 안전성과 편리성 및 쾌적성을 저해하는 여러 문제점들이 공간의 각 요소들에 의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각종 가로시설물들에 의한 문제들은 첫째 도시공간의 디자인적 측면의 접근이 부족하고, 둘째 가로시설물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 및 지식이 결여되어 있으며, 셋째 가로시설물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종 가로시설물와 도로구조의 문제점으로 유효도로폭이 줄어들어 보행이동에 대한 서비스수준이 저하되고 있다. 보도를 과다점유하여 혼잡을 야기시키는 도로변 지하도입구는 보도측면을 Setback시키거나 아케이드式으로 할 필요가 있다. 2. 가로시설물이 거대하여 보행자의 시야를 가로막거나 또는 이용자를 압도하며 사용에 불편을 주어서는 안된다. 스케일, 형태상의 고려가 요구된다. 3. 안내판과 표식판은 외관의 통일로 전달내용의 간결한 표현을 하고, 標準色 등의 통일된 디자인으로 하며, 가능한 목적별로 함께 집합시켜 설치토록 한다. 배치의 집중화로 가로변의 질서와 여유를 찾게 한다. 4. 가로시설물 각각은 보행과 경관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배치하고, 형태상 상호간 통일성과 주변환경의 규모 및 인간척도와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5. 가로시설물에 대한 설치에서 관리에 이르기까지 즉 설치계획, 설치(디자인, 크기, 배치 등의 고려), 사후관리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관리부서가 필요하다. 이상의 사항들을 고려할 때에 街路旅設物計劃의 指標인 傳達性, 便宜性, 快適性, 安全性 등을 추구하게 되고 쾌적한 가로환경을 구성하게 될 것이다. The research in this paper Limits the contents of street furniture in public street space among all establishment in the external space for the sake of deep and concrete study. Firs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n street elements and the improvements of street environment by introducing the coordination of street furniture which is based on the analysis of human behavior. The second purpose is to apply the concept of internal environment and industrial design external environment. The scope of street furniture is not limited by the general meaning of furniture. As a solution which is final and direct to human activieses, examples for coordination based on generalization, interpratation, and systematic organizaton are presented. (이후원문누락)

      • 도시가로환경조성을 위한 가로시설물 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 디자인서울거리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정여란 서울산업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City streets are not only to provide simple passages but also to provide a role of design display by themselves. The street facilities of urban street environment have roles of safety, convenience, community, information-transformation, induction, limitation, control and pleasure to citizens. This dissertation shows that urban street policy will combinate several elements to the organic unity and effect them as the cultural production. To do thi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developed the standard type and general type of the street facilities on the designated three streets as "Designe Seoul Street", that is, history-culture, specified sightseeing area, Dae-hwak ro. The policy presents four strategies: making comfortable and margin space applied the design guideline, making vacant street of low density and high efficiency, making unity street of urban design system, and making a sustainable street formation. Is it sure to make a street design to fit the purpose of guide line that present to make vacant and unity design? This research has chosen three areas to seek for improvement of street design. Three areas are Dae-hwak ro which is the most attractive street, Guem-chun gu which is lack of diversity in commuting fluidity, and Gang-nam gu which has strong identity as a metropolitan borough. The street facilities are main tolls to create street environment and important elements to create whole identity. Among street facilities, items such as bus shelters, street boots, bollards, benches, bins, manhole covers, electricity boxes, and street lamps should apply the ideas of citizens, professional experts and the design manual of public facilit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reet facilities design. First, the unity of street facilities means to make visual unity of unit and form from different functions. The standardization and formation can guarantee mass production and economy in the management, salary and manufacturing. Also it can secure the easiness of maintenance from the organization and unification of the management. Second, the symbolization of the street facilities means the localization of street space. Thus it should be planned, designed and established as the area symbol to institute its own idea to consider functional and plastic matter. Third, the management of street facilities should intensify total management. It should be operated regular examination, clearance and renewal by the management system. It should be corresponded rapidely by arranging the report system through the connection enforcement between the street facility manager and the road manager. The street facilities are not only fundamental factors to reflect regional specification and to combine sustainable "Design Seoul Street" but also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competitiveness as culture icons of unique and attractive identity in urban environment. 도시의 가로는 단순히 통과를 위한 목적만 수행하는 것이 아닌 거리 자체가 디자인 전시장으로서의 역할이 필요하게 되고, 도시가로환경의 가로시설물들은 일반 시민들에게 안전과 편리의 기능뿐 아니라, 의사소통, 정보전달, 유도, 제한, 조절, 보로, 즐거움을 주는 추가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도시 거리들을 통해 거리사업이 단순한 기능 위주에 단일사업에서 거리의 요소들이 유기적 통합이 필요하고 거리의 정체성을 확보하여 문화상품으로서의 효과를 거두고자 함에 있다. 이에 서울시는 역사문화, 관광특구, 대학로 등의 특화거리나 3류 이상의 대로 등 사업파급효과가 큰 거리를 대상으로 “디자인서울거리”를 지정하여 가로시설물에 대한 디자인을 표준형, 일반형으로 개발하여 적용 하였으며,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디자인서울을 위한 가로환경조성에 있어 쾌적하고 여유 있는 공간, 저밀도 고효율의 비우는 거리, 통합된 도시디자인 체계의 통합하는 거리, 시민, 전문가, 행정 참여형의 더불어 하는 거리, 미래지향의 지속가능한 거리 형성의 4대 전략을 제시 하였다. 디자인서울거리 조성 사업에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비우고 통합하는 목적성에 부합하고, 디자인가이드라인에 알맞은 통합된 디자인이 되어있는가? 디자인서울거리 10개 거리 중 가로환경상태 및 가장 필요로 하는 사항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매력적 요소가 가장 큰 종로구 대학로, 다양성이 부족하여 유동인구를 흡입할 수 있는 매력요소가 부족한 금천구, 자치구만의 아이덴티티를 추구하는 강남구를 대표적인 사례로 선정하여 디자인에 대한 문제점 조사․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찾고자 함에 있다. 가로시설물은 가로환경을 창조하기 위한 중심도구로 개별 시설물의 차원을 달리하여 전체적이고 아이덴티티를 창출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가로시설물 중 디자인서울거리 조성을 위하여 공모전을 통한 시민과 전문가가 참여하고 공공시설물 디자인매뉴얼을 적용한 가로시설물 아이템(버스쉘터, 가로판매대, 볼라드, 벤치, 휴지통, 맨홀, 분전함, 가로등 등)을 적용하고 가로시설물의 디자인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가로시설물의 통합화는 가로공간에서 기능이 다른 각각의 시설물을 단위화, 규격화하여 시각적 일치성을 갖게 하는 통합화이다. 반복되는 요소가 표준화, 규격화함에 따라 양산체계 확보가 가능하여 관리, 보수, 제작상의 경제성이 보장되며, 관리의 주체가 체계화, 일원화되어 유지관리의 용이성까지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가로시설물의 지역 상징화는 가로공간 거리의 장소화를 의미하며, 가로시설물은 기능적인 측면과 조형적인 측면을 충분히 고려한 디자인으로 장소에 독자성을 심어주는 지역의 상징물로 계획, 디자인, 설치되어야 한다. 셋째, 가로시설물 관리에 있어 포괄적인 일괄관리를 강화하고, 관리시스템에 따라 정기적인 점검․청소․갱신을 계획적으로 시행하며, 시설물의 관리주체와 도로관리자의 연계성 강화로 오손․파손의 상태 발생 시 즉각적인 통보․보고체계를 갖춤으로서 신속히 대응하도록 해야 한다. 가로시설물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비우는, 통합하는, 더불어 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서울거리 조성을 위한 요소들로 기본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그 도시만의 독특하고 매력적인 아이덴티티를 구축하여 문화 아이콘으로 경쟁력 제고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 도시 가로에 있어서 정체성 표현을 위한 가로시설물의 디자인 선호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와 인접 도시의 관문을 중심으로

        장광집 대구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오늘날의 도시는 창조적이고 문화적인 고유의 가치를 만들어 내기 위하여 다양한 실천 프로그램과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대 내․외적으로 도시 이미지를 제고하고 도시 문화의 질적인 향상을 꾀하며, 이상적인 생활환경의 실현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가로 환경 개선 사업, 걷고 싶은 거리 만들기 등 지역 기반의 공공디자인 프로젝트를 통하여 안전하고 편안한 그리고 쾌적한 환경으로의 개선과 정착을 유도하고 동시에 도시 고유의 문화적 가치와 미래 비전을 느낄 수 있는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많은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이는 일반 가로 공간에서는 물론이고 도시 이미지의 인식이 집중되는 도시 경계 관문에서는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주요 간선도로에 위치하는 도시 가로 관문의 가로시설물들을 대상으로 향후 디자인을 적용하고 전개하는데 있어 유용한 지침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하고 있다. 이는 도시 이미지의 개선과 가로 환경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도시 경쟁력을 갖추는데 일조할 것이다.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이론의 최근 상황에 대하여 정확한 이해를 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과 사업 그리고 연구의 추이 등을 조사․분석하고, 도시의 골격으로서 주요 경관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는 도시 가로와 관문, 그리고 이들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가로시설물에 대한 역할과 기능 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도시 가로 관문은 두 도시를 이어주는 경계 영역임과 동시에 전이 공간으로서 상징적인 표상성을 가지고 있으며, 도시 고유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중요 대상으로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다양한 생활상을 반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공공공간이다. 가로시설물은 이용 시민의 다양한 행위에 직․간접적으로 대응하는 거리의‘가구’로서 고유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반영한 고유의 조형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기능과 조형은 가로시설물 특성상 하나의 단위로서 뿐만 아니라 체계화된 전체 단위에서 읽혀질 수 있는 통합된 개념의 상징화가 중요시되며, 도시 아이덴티티(City Identity)를 확립하는데 있어서 중요 요소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둘째, 서울특별시와 인접 도시의 관문 18개소를 대상으로 가로시설물에 대한 배치 실태와 디자인 적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준으로 조사․분석하였다. 도시 관문 환경의 공통된 기능과 성격에 따른 유사성이나 각 도시별 고유 여건과 상황에 따른 개별성, 그리고 입지 조건 등의 차이로 인한 제 특성 등을 확인하였다. 도시 가로 관문에 있어서 가로시설물은 보편적인 특정 전형으로 존재하지 않고, 다양한 제 조건과 상황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로 공간에서의 ‘일반적 현상’과 도시 관문으로서의 ‘특징적 현상’ 그리고 조사 대상지의 환경적 여건에 따른 ‘고유 현상’이 공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관련 계획을 수립하고 적용하는데 있어서 주어진 환경의 제 조건과 상황 뿐만 아니라 일반적 현상과 특징적 현상 등을 폭넓게 고려하는 다면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주요 가로시설물의 ‘디자인 특징’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다양한 조형을 통하여 도시 고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있으며, 동시에 공공시설물로서 일관성과 보편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상에 따라서는 독자적인 디자인을 적용하고 있는 일부 사례를 제외하고 많은 부분에서 기존의 일반적인 유형의 획일화 된 전형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열악한 상태에 있었다. 도시별로 나타나는 개별적인 특징과 함께, 경기도 혹은 서울특별시를 단위로 ‘일체화’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의 체계적인 확대․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셋째, 연구 대상 도시 관문의 주요 가로시설물에 대한 선호 정도와 이미지 평가 등을 실시하여 향후 관련 계획에 있어 유효한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향과 변수를 종합적으로 분석․도출하였다. 도시 가로 관문의 가로시설물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 평가’결과, 주요 시설물에 대한 이미지 개선이 전체 가로시설물보다 우선적으로 요구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시각표지시설물’이 가장 앞서고, 이어서 ‘상징시설물’, ‘조명시설물’ 순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전체적인 이미지’는 ‘정돈되고’, ‘뚜렷한’ 그러면서 ‘친밀한’것으로 평가되었다. 도시 관문의 이미지 개선을 위한 기준 내용으로서 ‘경관성’과 ‘정체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는 현재의 이미지 특성을 보완․발전시키고, 나아가 친밀감을 더욱 많이 느끼게 할 수 있는 요인의 개발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도시 가로 관문의 가로시설물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비중도는 ‘미관성’이 가장 높고, 이어서 ‘정연성’과 ‘정체성’, ‘정감성’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 가로시설물’의 ‘선호도’를 결정하는 주요 변수로는 ‘미관성(β=0.67; p<.001)’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정감성(β=0.38; p=0.030)’, ‘정연성(β=-0.13; p=0.297)’, ‘정체성(β=-0.01; p=0.941)’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요 가로시설물인 ‘상징조형물’에 있어서도 ‘미관성(β=0.72; p=0.015)’이 가장 높았고 ‘정감성(β=0.37; p=0.202)’과 ‘정체성(β=0.10; p=0.688)’ 그리고 ‘정연성(β=-0.08; p=0.742)’은 낮게 나타났으며, ‘조명시설물’ 도 ‘상징조형물’과 마찬가지로 ‘미관성(β=1.31; p=0.045)’이 가장 높고, ‘정체성(β=-0.72; p=0.194)’과 ‘정감성(β=-0.13; p=0.678)’ 그리고 ‘정연성(β=-0.49; p=0.084)’은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시 가로 관문에 있어서 모든 가로시설물은 공통적으로 ‘미관성’이 가장 우선시 하여야 하는 변수임을 알 수 있었고, 이어서 ‘정체성’에 전제하여 ‘정감성’과 ‘정연성’을 우선시 하면서 동시에 함께 고려해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가로시설물에 있어서 ‘도시 정체성의 표현’은 ‘정체성 요인’ 자체보다는 ‘미관성 요인’을 가장 우선시 하면서 동시에 ‘정연성’과 ‘정감성’요인을 함께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도시 가로 관문의 가로시설물에 있어서 ‘정체성 표현에 대한 필요성’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종류별 중요도는 주요 가로시설물 중에 하나인 ‘상징시설물’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서비스시설물’, ‘통행시설물’, ‘휴게시설물’, ‘위생시설물’, ‘시각표지시설물’, ‘녹지시설물’, ‘조명시설물’ 순으로 나타났다. 도시 가로 관문에서의 정체성 표현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보아 이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며, ‘시각표지시설물’과 ‘조명시설물’에서 지나치게 ‘정체성’을 강조하는 것 보다는 오히려 ‘미관성’과 ‘정연성’ 측면에서 보다 더 배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도시 가로 관문에 있어서 가로시설물의 디자인 전개와 적용을 하는데 있어 효율적인 개선을 이룰 수 있는 유효 지침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연구의 한계에 대하여 정리하고 향후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향후, 도시 가로 관문에 있어서 도시 정체성을 확립하고 동시에 총체적인 환경 개선을 이루어 궁극적으로 도시 경쟁력을 갖추는데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These days, cities have various programs and visions to create their unique cultural value, and attempt with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urban culture and to realize the ideal of living environments. Particularly, they have been focused to improve urban environments and induced to the citizens settle safe, comfortable and pleasant environments through region-based public design such as street environment reformation projects and easy-to-walk street projects. And at the same time, they pay a lot of attention to express their own identity which contains unique cultural value and vision of the future. These are considered important projects not only in general street landscape but also the gateway of city boundary which focused to recognize as the urban ima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useful guidelines to apply future design to street furniture that located in main road which connects city to city. This study will help to improve the urban image and the quality of street environments, and contribut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ities. The main research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o obtain a correct understanding of related theory, the study analyze various policies, projects, trend of study, and the road and gateways composing major landscape with its primary role, and the functions of street furniture. The urban gateway is a border which connects two cities and at the same time, it is representative public space that reflects its native city image such as politics, economic, social and its culture. the street furniture has basic functions as street 'facility' which correspond directly and indirectly to the users and reflects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Also, each of these functions and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s should have the symbolization of an integrated concept that could be read through the street furniture structured as a unit, as well as the entire units and are expected as important factors in the formation of city identity. Second, this study conducts various research and analysis of accurate realities of street furniture lay-out, and design application status of Seoul and 18 site of its adjacent cities. Thus the study finds that common functions of those gateway, the similarities of their style or unique conditions , the circumstances of each city and the condition of locations effect to their keynote of city. Also, the study finds that street furnitures on gateways do not exist only in a typical shape but also depending on a variety of different conditions. The 'General Phenomenon', the 'Characteristic Symptoms' as the gateways to the city and 'A Unique Phenomenon' as the destination of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coexist in street spaces. The 'Design Features' of main street furniture can be told that it express the identity of cities' nature represents through variously designed structures,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consistency and universality as public furniture. However, except some of structures that applied their own design, they could not be free from it their typicalness. While the street furnitures are found as individual features of each city, they are found as 'Integrating Phenomenon' in units of two cities such as Seoul or Gyeonggi Province and it is considered to need the development in systematic expansion. Third, through the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image and the preference of street furniture in borders which connect two cities, this study proposes the design tendency and variables for applying future design projects as a useful guidelines. As a result of 'Visual Image Evaluation' of street furniture in gateways of the city, the improvements of image of main furniture were required more preferentially then the image of furniture in general areas. Specifically the visual sign furniture leads most in the order of priority then 'Symbolic furniture' and 'Illuminator Furniture' follows after. And 'Overall Image' is evaluated as 'Organized' and 'Vivid' but 'Friendly'. To set the standard of gateway image improvement, it needs to develop current 'Identity' and 'Scenic Feature' to give more intimacy impression. 'Factor Analysis' of street furniture in the gateway city shows that the proportion of 'Appearance Factor' is the highest, and then 'Systematic Factor', 'Identical Factor' and 'Emotional Factor' follows after it. The main variable factors to influent 'Preference' for 'General Street Furniture' is 'Appearance Factor(β=0.67; p<.001)' that ranked highest, and 'Emotional Factor(β=0.38; p=0.030)', 'Systematic Factor(β=-0.13; p=0.297)', and 'Identity Factor(β=-0.01; p=0.941)' followed after it. Also, to 'Symbolic Sculpture', the main street furniture, 'Appearance Factor(β=0.72; p=0.15)' ranked highest, and other factors such as 'Motion(β=0.37; p=0.202)', 'Identity(β=0.10; p=0.688)', 'Systematic(β=-0.08; p=0.742)' and placed lower position. And then, same to 'Illuminator Furniture' as 'Symbolic Furniture' the 'Appearance Factor(β=1.31; p=0.045)' ranked highest and 'Identity(β=-0.72; p=0.194)', 'Motion(β=-0.13; p=0.678)' and 'Systematic(β=-0.049; p=0.084)' placed lower rank. This results is are telling us that 'Appearance' is the most priority factor for the urban gateways' street furniture, and, 'Identity' follows to the premises with 'Emotion' and 'Systematic' to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necessity of Representation of City Identity' of the street furniture should be reflect the 'Appearance Factor' priority then 'Identity Factor', and then 'Systematic' and 'Emotion' also need to be reflect as well. The 'necessity of Representation of City Identity' for the street furniture were highly needed. In the importance of different types, 'Symbolic Furnitures' was considered high as one of type for the main street furniture, and 'Service furnitures', 'Passage Furnitures', 'Rest Furnitures', 'Hygiene Furnitures', 'Visual Sign Furnitures', 'Green Furnitures' and ' Illuminator Furnitures' followed as in order. As it requires identity of city representation highly to the gateways, it is necessary to have new understanding about it, and instead of emphasis on 'Visual Sign Furniture', and 'Illuminator Furnitures' it is necessary to focus in its 'Appearance' and 'Systematic' As stated above, guidelines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were drawn to achieve effectively for the street furnitures of gateways to develop for the future. And finally, I show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future studies. This will expect to help the city to establish identity, improve the overall environment ultimately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 가로시설물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표준디자인 개발 연구 : - 전라북도 공공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김상현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전라북도 내 권역별 공공디자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권역별 표준디자인 가이드라인 부재를 밝히고, 권역별 공공디자인의 통합성과 정체성, 다양성을 반영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를 5대 권역별로 추출(컨셉, 컬러, 패턴)하여 권역별 특성을 반영한 통일되고 일관성있는 디자인을 강조한 가로시설물 표준디자인 개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권역별로 요구되는 규격화된 가로시설물 표준디자인의 방향성을 도출함으로써 통합성과 정체성, 다양성 등을 담을 수 있다는 점과 나아가 전라북도 공공디자인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통해 품격 있는 공공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도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각 장별 연구의 흐름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한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방법을 기술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선행연구 고찰 및 공공디자인의 일반적 특성 등을 통해 연구의 방향 및 변별성, 일반적인 특성 등을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지자체별 공공디자인의 진흥계획 및 사례분석 등을 살펴보고, 제4장에서는 권역별 표준디자인 요소를 5개의 권역별로 추출하여 이를 반영한 전라북도 가로시설물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표준디자인 개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5장은 본 연구의 결론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연구의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전라북도 내 가로시설물의 사례분석을 통해서 광역 단위의 통합적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써(형태, 크기, 구조, 재료, 색채 등)는 활용이 되고 있었으나, 권역별 다양성을 반영하기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디자인 스폿존의 부재)은 제시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라북도의 가로시설물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해 표준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디자인 요소(디자인모티브, 색채, 패턴)를 5개의 권역별로 나눠 분석해본 결과 중추도시권에서는 처마선과 용마루선, 기둥과 대들보 등 디자인 모티브로 직선, 세련됨, 품격 있는, 스마트함 등을 담은 패턴을 추출할 수 있었다. 동북권에서는 지리적 특성을 반영한 산등선을 모티브로 편안하고 온화하며 자연스러운 컬러를 담은 요소를 추출할 수 있었다. 동남권에서는 자연과 농경이 어우러진 곡선을 디자인모티브로 안전하고 생기가 있으며 평화로운 컬러를 적용 디자인 요소를 반영한 패턴을 추출하였다. 서남권에서는 다양한 문화재와 자연녹지를 모티브로 자연과 역사 문화가 돋보이는 디자인 패턴요소를 추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새만금권에서는 해양과 녹지의 흐름을 디자인모티브로 생동감 있는 맑고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를 권역별 디자인 스폿존에 반영하기 위해 요소화 할 수 있었다. 셋째, 전라북도 내 권역별 가로시설물의 표준디자인 개발을 위해 추출된 권역별 표준디자인 요소(디자인모티브, 색채, 패턴)를 기반으로 권역별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적용할 수 있는 통합존(형태, 구조, 재료, 색채, 기능적요소)을 배려하였으며 권역별 지역의 다양성과 정체성을 담을 수 있는 디자인 스폿존(시·군 단위의 패턴, 색채)을 지정하여 표준디자인 개발안 통합지주, 무단횡단방지울타리, 가로수 보호덮개, 가로화분대, 평벤치, 등벤치, 이용안내 시각매체, 개인형이동장치 주차존 등 7개의 표준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전라북도 공공디자인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권역별 도시의 정체성, 상징성이 반영되지 않는 점을 가로시설물 표준디자인 개발안을 통해 개선할 수 있었으며 권역별 도시의 특색을 반영한 조화로운 디자인 개발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내 가로시설물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표준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영역 중 가로시설물에 한정하여 선진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전라북도로 한정을 지어 현황조사 및 분석하였다. 이에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한정적일 수 밖에 없으나, 이를 통하여 전라북도 가로시설물이 발전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며, 공공디자인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출발점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공공디자인의 다양한 범위에서 연구가 이뤄줘야 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와 더불어 정책적인 검토와 제언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veals the absence of standard design guidelines by region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centered on public design cases by region in Jeollabuk-do and design elements that can reflect the integration, identity, and diversity of public design in each region by five regions. By extracting (concept, color, and pattern), we intend to present a standard design development plan for street facilities emphasizing a unified and consistent desig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hrough this, integration, identity, and diversity can be included by deriving the direction of the standard design of standardized street facilities required by the region. Furthermore, the public design of Jeollabuk-do is systematically established, and through this, a dignified public environment is created for the province's citizens.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primary data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According to this purpose, the flow and method of research for each chapter are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the scope, and the research method, and Chapter 2 describes previous research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public design. The research direction, distinctivenes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Chapter 3 examines the local government's promotion plan and case analysis of public design. In Chapter 4, standard design elements for each region are extracted for each of the five regions. Through this, A standard design development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street facilities in Jeollabuk-do is presented. Chapter 5 presen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tasks. The above research process Through thi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obtained. First,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street facilities in Jeollabuk-do, it was found that it is used as the integrated design guidelines (shape, size, structure, material, color, and the rest.) of the metropolitan unit. However, the design guidelines to reflect the diversity of each region ( Absence of design spot zone) were not present. Second, to improve the quality of street facilities in Jeollabuk-do, the design elements (design motif, color, pattern) applicable to the standard design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five regions. As a design motif, it was possible to extract patterns containing straight lines, sophistication, dignity, and smartness. In the Northeast region, it is comfortable with the motif of the mountain ridge reflecting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it can be extracted elements that contain warm and natural colors. In the southeastern region, patterns that reflect design elements were extracted by applying safe, lively, and peaceful colors with the design motif of curves that blend nature and agriculture. In the southwestern region, design pattern elements that highlight nature, history, and culture were extracted with various cultural assets and natural greenery as motifs. Lastly, in the Saemangeum region, the ocean flow and greenery could be used as a design motif to reflect a positive, clear, future-oriented image in the design spot zones by region. Third, based on the standard design elements (design motive, color, pattern) by region extracted for the standard design development of street facilities in each region in Jeollabuk-do, an integrated zone(Form, structure, material, color, functional element) to which regional design guidelines can be applied. Third, an integrated zone (form, structure, material, color, functional elements) was composed. In addition, design spot zones (patterns and colors in city and county units) that can contain the diversity and identity of each region were designated. By designating design spot zones (patterns and colors in city and county units) that can contain the diversity and identity of each region, standard design development plans (integrated pillars, jaywalking prevention fences, roundabouts (urban type, rural type), street trees) Eight standard designs, including protective covers, street planters, flat benches, light benches, visual media for user guidance, and parking zones for personal mobile devices) were presente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improve the problem of not reflecting the identity and symbolism of cities in each region, which was pointed out as a problem in Jeollabuk-do's public design, through the standard design development plan for street facilities.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present a harmonious design development pla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ities in each region. This study aims to present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to develop a standard design to improve the quality of street facilities in Jeollabuk-do. However, this study investigated advanced cases limited to street facilities in the public design area and conducted a survey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limited to Jeollabuk-do. Although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are inevitably limited, this will be an opportunity to develop street facilities in Jeollabuk-do. It is considered a starting point for presenting a direction for public design. It is hoped that standard design development research in public design will be actively developed.

      • 도시가로시설물의 정비와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중앙로를 중심으로

        송호진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가로공간은 사람과 사람, 사람과 도시, 사람과 자연을 연결하는 커뮤니케이션의 장으로써 매우 중요한 기능을 지니며, 도시공간에 문화적 가치를 부여하고 도시민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을 위한 도시공간의 성격을 지닌다. 가로공간의 옥외환경을 결정하는 중요요소인 가로시설물은 도시공간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공공성을 내포하며 도시가로의 구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가로시설물은 단순한 도시의 부품 또는 요소에 그쳐서는 안되며 도시만의 독특하고 매력적인 분위기를 연출 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최근 들어 시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의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도시의 가로시설물에 대한 요구는 한층 더 높아지고 있으나, 가로시설물의 설치 및 관리수준은 이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의 중앙로를 대상으로 하여 현재 설치되어 있는 가로시설물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정비를 통한 개선방안을 배치, 디자인 그리고 관리측면에서 고찰해 봄으로써 중앙로 가로시설물의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도입, 이론연구, 사례연구, 연구종결 등 크게 4개 부문으로 진행되며 최종적으로 도시 가로시설물에 대한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는 바,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로의 가로시설물은 불규칙한 시설간격, 부적합하고 편중된 위치 등이 배치상의 대표적인 문제로 지적되었다. 디자인측면에서는 기성품의 사용으로 획일성과 집적된 가로시설물의 개별디자인, 동일 가로시설물의 다양한 디자인, 원색의 사용과 세련미의 부족 등이 시설물의 기능과 가로경관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관리측면에서는 종합적인 관리시스템과 전문인력의 부족 그리고 합리적인 관리기준의 미비 등이 중요한 문제점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관리체계가 미비 할 경우 종류 및 수량의 계속적인 증가가 예상되며 관리관청에서도 인지는 하지만 통제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개별시설에 대한 관리지침 이외에 “공공가로시설물에 대한 운영 및 관리 조례(가칭)”의 제정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가로시설물은 보행자의 시야를 차단하거나 사용에 불편을 주어서는 안되며 설치목적을 간결하게 표현하고, 가능한 관련시설별로 집합시켜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시설물의 계획시에는 협소한 현재의 보행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배치, 디자인, 관리업무의 상호연관성을 고려한 통합적 설치가 전제되어야 한다. 넷째, 가로시설물에 관한 시민의식을 조사 분석한 결과 현재의 배치, 디자인 및 관리상태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특히 가로시설물이 대규모 이거나 정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그리고 일상생활과 보다 밀접한 시설에 대한 개선요구가 강하였으므로 향후 이에 대한 계획적 고려가 수반되어야 한다. 다섯째, 효과적인 도시가로시설물의 설치와 관리를 위해서는 관련업무의 전담조직이 필요하며, 전문적인 계획의 수립 이외에 시민의 적극적인 관심과 가로시설을 공동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따라서 가로 시설물에 대한 향후의 발전방안을 수립하여 시민들에게 홍보하고 시정에 동참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노력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The avenue space has many critical roles among person and person, person and city, and person and nature to have a connection with them as a center of communication. It can also be endowed with cultural value and give citizens safety and a pleasant life in the urban space. Street furniture affects a big part composed in the avenue space and includes public service which is pretty main elements. Therefore it must be designed to have it's own unique atmosphere not just for parts of the city. We recently have a high standard of living and perception which demands a lot of proper street furniture and exterior surroundings. But installing street furniture and managing it's level haven't improved at all. With these reasons in min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urr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street furniture and at the same time suggest how to arrange, design, and manage them at the proper manners at Jungang-lo in Daejeon. This study consists of 4 sections ; Introduction ,a theoretical review, a case study, and result. At the introduction part the study looked at this thesis's background, goal, extent, method, and preceeding study. At the research of the theory part it investigated related literatures about the avenue space and street furniture. Subsequently at the case study part to find out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street furniture and suggest how to arrange, design, and manage them at the proper manners at Jungang-lo in Daejeon. The study examined related institutions and regulations and researched citizens needs and the way of their thinking as well. Lastly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first, citizens indicated that the representative problem of the street furniture is an irregular interval, unfitly and clusteringly situated, etc. And at the design part the street is filled with uniformed staff, the clustered street furniture's shortage of unique design, the same street furniture's lack of various design, a primary color, and unmodernized design. The second, at the management part there is no such a total management system and specialist for the street furniture section and lack of rational management regulations. Even though the public officers know there are some demands they can't control supply and demand properly without proper regulations, and make sure to solve the problem it is better to have some laws such as "A municipal ordinance for arrangement and management of public street furnitures". The third, street furniture have to use a concise expression and set up closely among related stuffs. And it must not shut off pedestrian's view. Street furniture have to install with relation of an arrangement, design, and management which can protect pedestrian's environment. The forth, citizens think negatively at present street furniture's conditions such as arrangement, design, and management part in the research. Especially what they want to change is that too big street furniture which block their view and street furniture which locates close distance of their house. Therefore there must be plans to change this surroundings. The fifth, street furniture is not for just one person so after this there must be a nice motivation to join citizens to make proper regulations in management of street furniture. Also there needs a relevant special organization to mange and arrange street furniture. Lastly, this study was reviewed based on the urban center which needs revitalization so there must be limits to apply this result at the general avenue. And under present situation it is difficult to expand the avenue space in a short time so there need a continuation to set up street furniture in a human centered view and proper function.

      • 도시 가로경관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동탄 신도시 가로시설물 사례

        강유추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가로경관은 사람과 사람, 사람과 도시, 사람과 자연을 연결하는 커뮤니케이션의 장으로써 매우 중요한 기능을 지니며, 도시공간에 문화적 가치를 부여하고 도시민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을 위한 도시공간의 성격을 지닌다. 가로경관를 문화와 함께 생각하고 가꾸어 보려는 시도는 비교적 근래의 일이었다. 1990년대 초부터 문화 관련부서가 주도가 되어 도시의 환경을 문화적으로 이해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이 있었고 그 결실의 하나로 이른바‘문화의 거리’를 조성하는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가로경관의 옥외환경을 결정하는 중요요소인 가로시설물은 모든 도시민에게 개방되어 있는 공공공간이고 일상생활의 다양한 체험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도시공간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공공성을 내포하고 도시가로경관의 구성요소 중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로시설물은 단순한 도시의 부품 또는 요소에 그쳐서는 안 되며 도시만의 독특하고 매력적인 분위기를 연출 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최근 들어 시민들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의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도시의 가로시설물에 대한 요구는 한층 더 높아지고 있으나. 가로시설물의 설치 및 관리수준은 이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대상지 동탄신도시 중심도로인 동탄중앙로와 노작로 및 반석로를 중심으로 하여 현재 설치되어 있는 가로시설물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정비를 통한 개선방안을 배치, 디자인 그리고 관리측면에서 고찰해 봄으로써 동탄신도시의 가로시설물의 향후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의 구성은 크게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그리고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정의 한 후, 제2장에서 도시 가로경관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제3장에서 동탄신도시 가로시설물의 사례연구 및 문제점을 분석하기로 한다. 제4장에서는 동탄신도시 가로시설물의 개선방안 대하여 살펴보고 마지막장인 제5장 결론에서는 연구 분석의 종합을 통해 동탄 신도시 가로시설물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다시 한번 정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자료가 가로시설물의 계획, 디자인, 배치 및 관리에 필요한 참고자료로 이용 될 뿐만 아니라, 기능성과 실용성을 살린 도시경관의 질을 향상시키고, 이미지(Image) 제고에 그 목적이 있으며 2기신도시 중 가장먼저 건설했던 동탄신도시를 분석연구하면서 1기신도시에서 기능성과 실용성이 없는 단순한 형태의 위주의 시설물과 특성이 결여된 무미건조한 이미지의 가로시설물 단점을 보완하고 향후 새로운 신도시의 도시가로경관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Streetscape have significant function as a communication spot that connects humans and humans, humans and city, and humans and nature. It also grant cultural value in city space so that the city residents can enjoy in safe and comfortable city life. The attempt to change streetscape along with a culture started recently. From the beginning of 1990, culture related department tried to lead attempts to improve and understand the environment of city as culturally and drived an operation to build 'street of culture' as one of the result. Moreover, street furnitures are main factors that decide streetscape of outdoor environment, public space for every city residents, and area for various experience in daily life and thus street furnitures contain publicness and work as main element of city streetscape. Therefor, street furnitures should not be considered as just part or element of city but be designed to express unique and charming atmosphere of the city. The current foundation and management status of street furniture are not sufficient for the city residents even though demand for the city street furniture has been increased as the consciousness and quality of life of city residents increas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direction of future improvement of street furniture by understanding the status and problems of street furnitures placed in No-Jack Street, Ban-Suk Street, and Dong-Tan central street, which is a central highway of Dong-Tan new city, and by considering improvement plan in arrangement, design and manage perspectives. The study is to help the promotion of image and the quality of streetscape by improving its functionality and practicality.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assist building of streetscape of new cities by analyze and research Dong-Tan new city, which was built first among the second term new cities, and by complement defects of first term new cities, facilities concentrated with simple structure that lacks practicality and functionality and banal image that lacks characteristics.

      •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에 따른 아파트단지 옥외공간의 가로시설물 디자인 적용 경향에 관한 연구

        김은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1962년에서 1981년까지 20여 년간의 경제개발 계획으로 인하여 급속도로 인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도시의 주택 부족 현상이 생겨나면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우리나라는 주택건설 200만 호 사업을 실시하였다. 매년 60여 만 호의 주택이 건설됨에 따라서 전국의 주택 보급률이 80%를 상회하였고, 각종 주택 투기 규제를 위한 제도가 시행됨으로써 주택건설시장에 새로운 변화가 생겼다. 90년대에 시작된 경기 침체와 더불어 주택의 과잉공급으로 인한 미분양 주택의 수가 크게 늘어나게 되면서 주택건설업체는 큰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주택건설업체는 미분양 사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고안하기 위하여 아파트의 품질 차별화를 제시하게 되었다. 자사 아파트의 좋은 이미지를 소비자들에게 인식시키고자 새로운 마케팅을 구상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주택환경변화는 내부공간에서 외부공간으로까지 소비자의 질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사람들의 소득증가로 인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는 소비자들의 삶의 수준을 높여 아파트 외부공간까지도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현재의 아파트 외부공간은 이전의 아파트를 짓고 남은 공간이 아닌 아파트 브랜드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하나의 중요요소로서 자리매김하게 된 것이다. 아파트의 옥외공간은 내부공간에서 충족되어 질 수 없는 외부공간의 쾌적함과, 주민들과의 커뮤니티의 교류, 안락함을 제공하여 준다. 옥외공간을 구성하는 가로시설물은 사람들과의 직접적인 접촉과 경험을 하면서 그 장소의 이미지를 인식하게 된다.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가 반영된 가로시설물은 사용자들에게 아파트 주거공간의 귀속감과 애착감과 친근감을 갖게 한다. 이러한 한 공간에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사용자들에게 책임감과 동질감 그리고 결속감을 형성시켜준다. 현재 우리나라의 주택의 대부분은 아파트이며, 시대가 변화하면서 아파트의 브랜드가 다양해지고 고급화 되고 있다. 아파트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옥외공간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지만 아파트별 브랜드에 따른 가로시설물 분석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옥외공간을 구성하는 가로시설물의 중요성을 알고, 각 다른 브랜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아파트의 가로시설물 디자인을 살펴보면서, 전반적인 옥외공간 가로시설물의 경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가로공공시설물 디자인 재료의 친환경성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

        이곤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자원결핍, 에너지 고갈, 환경악화는 이미 전세계적으로 중대한 문제가 되어, 인류사회의 지속적인 발전가능성을 심각하게 저지하고 있다. 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자 하는 길은 이미 국제사회의 미래에 대한 장기적인 공통발전 전략이 되었다. 이에 따라 디자인영역에서도 변화를 도모하기 위해 환경문제를 우선 연구과제로 간주하고 친환경디자인 이념을 제시하였다. 도시의 요소 중 하나인 가로공공시설은 도시의 끊임없는 확대와 함께 빠른 발전을 하게 되면서, 점점더 정부와 시민에게 관심을 받게 되었다. 가로공공시설물은 사람과 환경 사이에 있기 때문에 특수한 위치로서, 친환경도시에서 특별하게 사람들의 관심을 받게 된다. 가로공공시설물은 도시의 일부분이므로. 그 친환경성에 대한 연구는 되도록 빠른 시간 안에 제거되어야 한다. 친환경 가로공공시설물의 연구를 분석할 때, 재료의 선택과 사용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실하게 드러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친환경이념을 가로공공시설물 디자인에 도입하고, 아울러 가로 공공 시설물을 구성하는 재료의 친환경성 평가를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가로공공시설물 및 그 재료에 대한 선행연구와 친환경이론과 방법에 대한 고찰을 하여, 이를 통해 가로시설물 디자인 응용재료의 친환경성 평가방법, 즉 “퍼지계층평가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배경 및 목적을 밝히고 연구방법 및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연구구성과 징행과정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연구동향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제2장의 주요 내용은 가로공공시설물에 대한 기초조사를 통해 후속연구의 전개를 위한 구체적인 도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재료연구를 중심으로 가로공공시설물의 조사연구를 전개하여, 재료분류를 근거로한 가로 공공 시설물 분류표를 작성하였다. 제3장의 내용은 먼저 친환경성이론과 가로공공시설물에 관련 있는 친환경 생산품 및 그 전생명주기 평가 방법에 대해 문헌조사를 통하여 고찰하여, 가로공공시설물의 친환경재료 평가 방법 연구에 참고가 되도록 하였다. 제4장은 친환경재료에 대한 조사연구이다. 친환경재료의 개념, 친환경재료 평가의 중요성, 친환경재료의 판단기준 및 분류를 상세히 서술하였다. 그 중에서 재료의 전체생명주기 평가방법(MLCA)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제5장은 앞서 진행한 조사 연구를 기반으로 가로 시설물 디자인 재료에 대한 친환경성 평가를 할 수 있는 지표 체계와 평가계산방법인 “퍼지계층평가방법”을 구축하였다. 이것은 사용성능, 기술성능, 경제성능 등과 같은 종합적인 성격을 가진 평가방법으로, 친환경성능을 고려하였을 뿐만 아니라, 가로시설물 디자인의 기타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지표를 양으로 나타낸 평가방법으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평가방법이다, 따라서 평소 디자이너의 주관적 감각에 의지하여 조성을 결정하는 그릇된 판단을 피할 수 있다. 관련분야 디자이너 뿐만 아니라, 다른 디자이너 또는 관련 관리자를 위하여 이 평가방법을 더욱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5장에서는 이 평가방법의 순서와 절차를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동시에 이 평가방법의 지표체계와 평가방법의 실제로 사용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3개의 가로공공시설물에 재료에 대해 각각 별도로 계산 평가를 하여, 데이터를 얻있다. 이 평가를 통해 나온 결과는 친환경 재료를 선택한 할 때 이정표의 역할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의 연구에서 알아본, 가로공공시설물 재료의 친환경성에 적용한 퍼지계층평가방법은 과학적이며, 사용가능하고, 중국 도시의 친환경 가로공공시설물 디자인있어서 재료 선택 평가에 충분히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도시환경색채분석을 이용한 가로시설물 색채배색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강남구를 중심으로

        윤승로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가로라 함은 역사적으로 포장 되어진 길을 의미하며 현대의 도시사회에서 도시의 생명선과도 같은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가로는 도시의 작은 일부이면 작은 도시로서의 물리적 공간적요소로 자연 발생적이든 계획적인 것이든 가로에 형성되는 가로의 경관은 크게는 도시의 경관을 이루는 요소들로서 한도시의 개성을 만드는 중요한 공간적 의미이다. 하지만 가로환경의 중요구성 요소인 가로시설물의 색채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한국적이고 우리의 정서와 환경에 어울리는 가로시설물색채 개발을 위해 한국의 대표적인 도시인 서울의 특정 구를 선별하여, 가로경관색채를 추출하고 분석한 후 색채계획에 필요한 기본색과 전통색채 배색안 사례를 제안하여 좀 더 쾌적하고, 획일화 되어가는 도시에 정체성 있는 가로 경관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먼저 지역의 특색 있는 장소를 선정하여 사진 촬영하였고, 이것을 디지털 이미지화 시켜, 이 이미지를 기본으로 색채분석 프로그램(Color Syntax)을 이용하여 가로의 주조색을 도출하고, 도출된 주조색에 전통색채배색코드를 적용하여 배색코드를 만들었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로의 경관을 이루는 요소인 가로시설물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가로시설물의 색채계획의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현재의 가로시설물 설치와 관리는 시설물마다 관리부서와 기관이 다르고 같은 시설물이라 할지라도 전담부서나, 공지된 지침서가 없는 관계로 설치업체마다의 기준으로 각각의 가로시설물의 형태와 색채가 적용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규정할 수 있는 지침서가 필요하다. 둘째, 가로경관 이미지를 분석하여 가로경관 색채를 분석한 결과 전체 이미지의 주요 색채 경향은 무채색과 한색계열의 하늘색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가로경관 상세이미지와 가로경관 이미지 두 방향으로 분석한 결과 가로경관을 이루는 5개의 주조색이 각각 33%, 58% 를 차지함을 알 수 있다. 셋째, 가로경관을 분석해 도출한 가로의 주조색을 기준으로 전통색채 배색관계성을 이용한 배색코드를 적용하여 가로시설물의 색채 배색을 제안하고 있다. 넷째, 본 연구의 배색코드로 현재의 가로시설물에 감성어휘별로 적용한 사례를 제안하고 있다. 기존의 가로시설물에 대한 선행 연구는 주로 조형적인 부분에 국한되어 왔고 도시경관색채에 대한 연구에서도 가로시설물에 대한 부분은 극히 미약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우리의 생활환경을 이루는 가로경관의 주요 요소인 가로시설물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도시환경의 질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삶의 질적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Street is the most important urban unit in social and cultural life of human being. It is more than infrastructure element or physical communication. A visual survey of any street reveals the extent to which many different elements are repeatedly required for providing essential services and amenities for the people as well as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s for pedestrian and vehicular movement. Such elements/objects are broadly referred to as 'Street Furniture' and along with other areas of man made environment, there is increasing awareness regarding the need to ensure their integrated development and harmony with the overall environment. Unfortunately this aspect of urban environment, especially the proper usage of color, has not received sufficient attention from planners as well as local authorities and such elements are, therefore provided in a fragmented and half-hearted manner This study sorted out a district of Seoul and took pictures of the specific street, and then transformed them to digital image to analyze the current main color schem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o determine the proper colors of the street furniture as well. The results of the proposal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multiplicity of authorities in big cities result in further chaos as each one acts independently in terms of design and location of their respective elements, and consequently integrated development and harmony of the overall environment are lost in the process. Therefore, the workable guidelines are needed to retain the character and environmental qualities of the area, the important aspect of urban environment relating to visual quality of street furniture. The second, the results that it examined an environment color to compose the street, and analyzed, the main color inclination of a total image appeared to of an achromatic color and a sky blue system, which consist 33% and 58% of the environment. The third, by using color analysis program (color syntax), the color guidelines of the street furniture based on the Korean traditional color scheme code were suggested. The fourth, proposed an urban-environmental color scheme case by a foundation with analysis contents of ideal Street furniture plays an important part in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city in the minds of visitors and residents alike. However, the street furniture is often unrelated to the urban form and color as well as sings and lights compete with each other for attention, often resulting in utter confusion in the total environment. If we want to develop respect for such a vital element, we need to upgrade the concept of the street and make it spatially more attractive so that people will come and spend time there. A systematic study of street furniture and its color scheme in streetscape, suitably related to the activities and functions of various urban spaces therefore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urban landsca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