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IS기반의 묘지관리시스템

        임수봉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919

        The cemetery areas which are occupied more than 1.0 percent of whole land of Korea have widened gradually in spite of the rapid increase of cremation. To minimize the further cemetery increase, the Korean government declared the newly revised law for funeral process in 2000. The law provides the establishment of cemetery registration system for all of existing tombs, the reinforcement of declaration and approval system for new cemetery and the restoration for existing tombs expired. However, due to deficiencies for budget and manpower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even the reconnaissance is not being conducted for the cemetery investig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a method to establish the lower cost GIS-based cemetery management system using hand-held DGPS receiver and Mobile GIS software system for easy cemetery management.From the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Firstly, with the integration of hand-held DGPS receiver and Mobile GIS software, it can be obtained high accurate positioning data. This hand-held GIS surveying and mapping system is very compact and portable and it allows fast surveying for wide area with a minimized manpower.Secondly, as it is very easy to learn how to operate the hand-held DGPS system with little knowledge for surveying technology, government officers can obtain positioning data for new tombs and update them on the Cemetery Management System easily by themselves.Finally, this is an another advantage that the government always can provide the latest cemetery data newly updated without any of additional expenses.Since the cemetery management system shows every tomb's position on the high resolution satellite's image with a cadastral data, the map helps anybody to find his interesting places very easily. Therefore the system data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lanning for land development, dealing with real estate and visits to ancestor's graves as well as cemetery management. 우리나라 전체면적의 약 1%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묘지는 최근 급격한 화장률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묘지증가의 최소화를 위해 정부에서는 2000년 장사등에관한법률을 전면 개정하여 묘지의 일제 조사를 통해 묘적부를 작성하도록 하고, 신설 묘지는 설치 시에 신고와 허가절차를 강화하며, 기존 묘지는 일정기간 후 자연으로 복원하도록 하는 등의 정책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각 지자체의 예산 및 행정력 부족으로 묘지의 현황파악을 위한 현지답사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본 연구의 목적은 저가의 휴대용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g System)와 모바일GIS(Geospatial Information System)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GIS기반의 묘지관리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휴대용DGPS와 모바일GIS소프트웨어를 연계시키면 높은 정확도의 위치자료 취득과 현지에서의 실시간 GIS데이터구축이 가능하고, 산악지에서의 이동성과 휴대성이 뛰어나 소수의 인원으로 넓은 지역에 대한 묘지측량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DGPS시스템은 측량지식이 없는 일반인이라도 쉽게 작동법을 익힐 수 있으므로, 담당공무원에 의한 직접적인 DB갱신을 용이하게 하여 향후 별도의 비용없이도 데이터의 최신성을 항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본 연구에서 제시한 묘지관리시스템에서는 묘지위치도가 고해상도 위성영상에서 지적도와 중첩되어 표현되므로, 일반인에 의한 자료의 직관적 해석이 가능하여 담당 공무원의 묘지관리업무뿐만 아니라 각종 국토개발계획, 부동산거래, 조상묘 성묘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 20세기 묘지법제와 부산 공동묘지의 변화 양상

        이근영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1919

        This research studied how Public Burial Ground which run by the modern law had been transformed in Busan in the twentieth century.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that alteration of the law and the system had on Public Burial Ground. This research also studied whether Busan citizen followed the modernized national laws and the municipal ordinance when they used Public Burial Ground.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gap between the law and Folklore by examining the process how the premodern custom collided, changed and adjusted under the modernized law and system. To explain the alteration of Public Burial Ground in Busan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whole period is divided into four periods. First period is when Public Burial Ground was emerged for the first tim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Second period is from after Korean liberation until the Public Burial Ground law was made in 1962, and the third period is from 1962 to 1995 when Busan municipal ordinance was changed. The last period is after 1995. After 1995, burial custom has been transformed to cremation custom. This research could confirm following results. First, the Public Burial Ground laws made by Chosun Government-General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as kept after Korean liberation to administrate Public Burial Ground systemically and for a hygienic reason. After the 1970s, a new purpose to use country efficiently was added. Second, Busan municipal ordinance which was legislated in 1928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as practically similar with the ordinance that was legislated in 1962. In 1966, Busan municipal Public Burial Ground ordinance and Public Burial Ground park ordinance were enforced separately. Until 1995 when the two ordinances were integrated, there were both Public Burial Ground and Public Burial Ground park. However, after Busan Public Burial Ground park were constructed in 1967, cemeteries started to be vanished. Cemeteries where could be used as a residential quarter or an unbar facilities disappeared. Third, cemeteries in Busan in the 1950s had diverse aspects regardless the law. Refugees and settlers who came to Busan constructed cemeteries illegally or built villages on the place where used to be cemeteries. Even in the 1970s, cemeteries used to be transformed into villages. Fourth, since mountainous area was large in Busan, every administration district had more than one Public Burial Ground. Unlike Seoul that built cemeteries outside of the city, cemeteries were constructed inside city of Busan. Some cemeteries which were built in high mountains still there until now. Hidden cemeteries started to be disclosed to citizens as trails when ‘well-being’ lifestyle became popular. Fifth, Koreans who lived in Busan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preferred private graveyard and family Public Burial Ground. On the other hand, Public Burial Ground which followed modern law was considered negative. However, many fatalities from Korean war needed place to be buried, therefore, negative image of Public Burial Ground had been vanished. UNMCK(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Korea)’s image of memorial space and tourist attraction affected a lot for emerging of Public Burial Ground park and its image in 1967. Unlike previous cemeteries which were disordered, new Public Burial Ground’s beautiful scenery, convenience to manage it and economic advantage made it to be accepted as positive place. Sixth, after new crematorium was built in 1995, cremation rate has been increased. After 2000, cremation rate outran burial rate, and cremation became universal way of handling death. In a society which demands cremation, individual can decide between cremation or burial. Most citizens accepted society’s demand and chose cremation. 본 논문은 식민지시기 근대적 법률과 제도를 통해 만들어진 공동묘지가 현재에 이르기까지 변화하는 양상을 부산지역의 공동묘지를 사례로 하여 연구한 논문이다. 특히 법률과 제도의 변화상이 공동묘지에 끼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민속학에서는 전근대적 관습이 현재까지 남아있는 현상을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전근대적 관습이 존속하거나 소멸, 혹은 변화하는 양상에 대한 여러 요인을 밝혔다. 그 중 법제적 요인은 국가의 강압적인 법제에 대한 민간의 대항 속에서 관습의 존속 혹은 소멸이라는 두가지 결과로만 도출되었다. 물론 근대적 법과 제도로 인해 소멸된 오래된 관습을 복원하는 작업은 중요하다. 하지만 근대적인 법제 아래에서 민(民) 이 오래된 관습을 어떻게 변용시켜서 적응하였는지에 대해 살피는 작업은 민속학에서 더욱 중요한 연구이다. 특히 법제와 민의 행동인 ‘속(俗)’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이 어떻게 좁혀지는지에 대한 면밀한 연구는 오늘날 사람들의 태도를 이해하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식민지시기 이전에도 공동묘지와 같은 집단묘지는 존재하였다. 무주공산, 북망산 등으로 불렸던 식민지시기 이전의 집단묘지에는 주로 비정상적인 죽음을 맞이한 시신을 매장하였다. 하지만 식민지시기 조선총독부의 「묘지 규칙」에 의해 등장한 공동묘지는 공중위생이라는 목적에 따라 비정상적인 죽음을 맞은 시신과 정상적인 죽음을 맞은 시신을 함께 매장하는 장소였 다. 조선인들은 공동묘지에 묘지를 조성하는 일을 매우 꺼려하였다. 이는 비정상적인 죽음과 정상적인 죽음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전근대적 관습과 시신을 공중위생상 한 곳에 처리해야 하는 근대적 법제가 상충하였기 때문이다. 해방 이후 정부는 공동묘지 대신 공원묘지라는 새로운 집단묘지를 등장시켜 공원묘지에 매장을 장려하고 불법 묘지를 단속하는데 집중하였다. 새롭게 등장한 공원묘지는 대도시 주변에서 급속도로 확장되었다. 주이용자는 도시민들이었으며, 공원같은 경관과 관리의 편의성, 경제성 등의 이점 으로 공원묘지를 이용하는 시민들은 빠르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국가가 공원묘지를 장려하는 과정에서 기존 공동묘지의 사용 및 관리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그동안 관심을 받지 못한 공동묘지에 관심을 가지고 식민지시기 근대적 법률로 등장한 공동묘지가 해방 이후 현재까지 어떤 모습으로 남아 있는지 확인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죽음을 구분하여 매장하였던 전근대적인 관습과 죽음도 평등화하고자 하는 근대적인 법제 사이의 간극이 좁혀지는 과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법제와 관습이 좁혀질 수 있게 만드는 수단을 법과 제도의 변화로 보았다. 연구 조사 지역은 부산 지역으로 한정하였다. 현재 부산지역은 식민지도 시로서 계획·발전한 부산부시가지와 지방행정구역인 동래군 지역을 모두 포괄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와 지방의 공동묘지 사용 및 형태를 비교할 수 있다는 이점을 기대하였다. 그리고 부산은 해방 이후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체제가 바뀌지 않은 몇 안 되는 지역이다. 동시에 부산은 전국 각지에서 피난민 및 이주민들이 대거 유입하여 서울 다음으로 대도시를 이루게 된 도시였다. 이러한 조건을 가진 부산에서 정부 및 부산 시에서 법률을 시행하는 과정과 그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기 쉬울 것으로 판단하였다. 국가법령 및 부산부 조례의 변화에 따라서 부산 공동묘지의 모습은 네차례 변화하였다. 이 네 차례의 변화 양상을 각 장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식민지시기 공동묘지가 등장한 시기를 다루었다. 조선총독부의 규칙과 부산부의 조례, 그리고 부산부 영선정 공동묘지의 묘적부를 분석하여 식민지시기 묘지법제와 실제를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해방 이후부터 1966년 부산시립공원묘지를 신설하기 위한 조례가 제정되기까지의 시기를 다루었다. 식민지시기 묘지법제가 해방 이후에도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고, 해방과 한국전쟁으로 혼란한 분위기 속에서 부산지역 공동묘지의 제양상을 알아보았다. Ⅳ장에서는 1966년 「부산시공원묘지설치조례」 제정 부터 1994년까지 다루었다. 1966년 공동묘지를 관장한 조례와 공원묘지를 관장한 조례로 나누어 시행하기 시작한 점에 주목하였다. 이를 부산시립공 원묘지의 신설과 공동묘지의 정리를 대비시켜 설명하고자 하였다. Ⅴ장에서는 1995년 이후 공동묘지와 공원묘지를 각각 구분하여 시행하였던 조례가 단일화하고 매장위주에서 화장위주로 변화하는 정책 속에서 부산지역 공동 묘지의 현재 모습을 그려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연구목적에 따라 묘지법제의 변천 과정, 부산시 공동묘지의 변화 양상, 법과 민속의 간격으로 나타내고자 한다. 우선 묘지법제의 변천 과정에 대한 결과로, 식민지시기 묘지의 집단화 및 일괄적 관리와 위생을 목적으로서 하여 만들어진 묘지법제는 해방이후에도 지속되었다. 1970년대 이후에는 국토의 효율화의 목적이 추가되었다. 식민 지시기 공동묘지를 통한 묘지의 집단화 정책은 1960년대 중반 공원묘지라는 새로운 공설집단묘지를 등장시키면서 기존 공동묘지와 함께 지속적으로 시행되었다. 1928년 제정된 부산부의 묘지사용조례 또한 해방 이후 에도 부산시 묘지사용조례의 근간이 되었다. 부산시의 묘지 조례는 1966년 공동묘지와 공원묘지의 사용에 관한 조례를 따로 제정하여 시행한 점은 다른 도시의 조례와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1995년 「부산광역시영락공원및공원묘지 사용조례」로 개정되면서 공동묘지와 공원묘지, 납골당을 각각 관리하던 조례는 하나의 조례로 통일되어 운영되었다. 1995년 이후로는 공동묘지 사용에 관한 조항은 모두 사라졌다. 그리고 매장 위주에서 화장 위주로의 묘지법제로 변화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부산시 공동묘지의 변화 양상에 대한 결과로는 다음과 같다. 식민지시기 산지 면적이 넓은 부산의 지형적인 특징으로 인해 부산부와 동래군 모두 마을 단위로 공동묘지를 설치할 수 있었다. 해방이후에도 부산시립공동묘지와 부산시립공원묘지 모두 시내의 산지에 설치되었다. 이는 시외 인접 행정구역에 시립공원묘지를 설치한 서울특별시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해방 이후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피난민과 이주민들에 의해 공동묘지가 만들어지거나 기존의 공동묘지가 허물어지고 판잣집이 만들어지면서 마을이 형성되기도 하였다. 부산의 공동묘지는 1960년대 말부터 본격적으로 정리되기 시작하였다. 주택지 확보와 도시계획사업으로 이용할 수 있는 부지의 공동묘지는 모두 정리되었고 이용이 불가능한 공동묘지는 자연 방치되었다. 정리되지 않고 남아있는 공동묘지는 현재 산림으로 변화하거나 산책로 및 등산로에 인접 하여 시민들에게 노출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법과 민속의 간격의 변화에 관한 결과로는 다음과 같다. 식민지시기 부산의 조선인들에게 공동묘지는 어린 아이나 행려사망자, 자살자 등 비정상적인 죽음을 맞은 시신을 매장하는 부정적인 장소였다. 하지만 한국전쟁 이후 많은 사망자를 매장해야 하는 상황을 경험하면서 공동묘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점차 희석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951년 UN묘지의 조성은 대한민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세계인에 대한 추모의 장소였다가 1960년 이후 에는 관광명소로서 친숙한 이미지로 부산시민에게 다가왔다. UN묘지를 모델로 조성된 부산시립공원묘지는 UN묘지의 친숙한 이미지의 도움과 함께 무질서한 기존 공동묘지와는 비교되는 세련된 경관, 묘지 관리의 편리성, 경제적 이점 등을 내세워 기존의 부정적인 인식을 벗어내려고 하였다. 부산 시립공원묘지를 비롯한 사설공원묘지의 증가 및 묘지의 부족현상은 공원묘지가 부산시민에게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보았다. 결과적으로 부산의 공동묘지를 통해서 본 묘지법제와 민속의 간격은 좁혀졌다고 볼 수 있다.

      • 公園墓地造成事業의 妥當性 分析에 관한 硏究 : 事例敷地를 中心으로

        하동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1919

        In this study, I investigate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graveyard in Korea. The problems concerning the graveyard has a tendency to increase in a disorder way as the demand of graveyard increase, so that I try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the graveyard development project by selecting the practial site which can be adequate to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national territory, and supply the graveyard adequate to the demand of graveyard in the future. A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 try to present the practical basic data, which is the purpose in this study, about the graveyard development project. Accordingly,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the collective graveyard development project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common facilities, I investigate the real estate development, real estate investment and the process of real estate development business in a theoretical consideration. I consider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graveyard in Korea as a development index comparing the foreign precedents. And to induce the practical data, I try to select the pratical site, which can satisfy the demand of the graveyard in the capital region, make the park cemetery development plan and analyze the marketability and profitabilit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aveyard development project has characteristics of common welfare. So to utilize the national territory effectively, the graveyard has to be developed not as the private one but community cemetery. The development direction has to be transferred from the negative consciousness as a disgusting facilities to the favorable consciousness to the neighborhood, so that the development concept of the park cemetery district as neighboring urban area has to be induced to utilize the cemetery actively. Seco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national territory, these measures of reduction of the graveyard area, prevention of disordered development of the cemetery, utilization of the existing graveyard and increasing of cremation rate are needed. But almost the existing cemeteries, which are considered as disgusting facilities, cannot function well owing to shortage of facilities investment. When considering totally people's preference of traditional burial way, and as the results of these preference, the poverty situation of graveyard, it is essential time to develope park cemeteries to cope with the demand of graveyard in the capital region in a short time. Third, to improve the success of the cemetery development, the development method has to be not a public development but a private development or joint development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so that induction of the private investment capital and the private management skill can be utilized effectively. For this purpose, the consideration of the profitability of the magnetic investment fund has to be made simultaneously. Forth,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feasibility analysis of park cemetery development which followed selection of pratical site and fundamental planning of the park cemetery, the profitability is analyzed to exceed the required profit so that the local self-controlled government can operate this project as a beneficiary business in a joint method between the private and the public. Fift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l estate development, it takes long time and all kinds of factors can give effects in processing the project. So sufficient pre-estimate and analysis to these considerations are needed. The enough prevention to exterior factors are essential ,for example many changes, the government policy, the economic situation, the interest rate, changes of neighboring region, civil appeals of neighborhood, and appearance of competitive corporations. And after the park cemetery development, the long-term and continuous planing is needed throughout the continuous and efficient management so that the park cemetery can be considered as the necessary space for regional society.

      • 한국의 국립묘지 형성 과정 연구 : 국가와 사회의 협상을 중심으로

        신동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919

        왜 한국의 국립묘지는 계속해서 변형되며 확장되는 것일까? 한국의 국립묘지 형성 과정에는 공적영역으로의 진입을 두고 국가와 사회의 거듭되는 협상에 의한 국가-사회의 경계가 점철되어 나타난다. 본 논문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한국 의 국립묘지가 형성되는 전 과정을 안장대상자의 변화에 따른 관련 법령의 개정으로 가시화된 국가와 사회의 협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시대적 상황이나 지도자의 신념에 따라 국립묘지가 표상하는 이념이 달라진다고 보는 관점과 달리 본 논문은 국립묘지가 공적영역을 두고 국가와 사회의 투쟁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의례 자체라고 주장한다. 이 관점에서 본 논문은 국립묘지와 관련된 법이 제정 및 개정되는 계기가 되는 주요 사례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치적 갈등과 타협에 직면하고 있는 국가-사회의 경계를 보여주고자 한다. 국립묘지를 중심으로 한 국가와 사회의 협상은 ‘의례의 과정’에 따라 진행된다. 사건이 발생하여 위기가 고조되고 마무리되는 의례의 과정은 상징과 기억의 역동성으로 분석하였다. 국립묘지를 형성하는 기본적인 패턴은 국가의 상징과 사회적 상징 간의 경합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각 장을 상징 간의 경합, 사회적 상징의 국가화, 그리고 사회적 상징의 계속성으로 분석하였다. 1950년대 당시 국군묘지와 그 이전에 존재하던 효창공원 간의 경합으로 인해 순국선열이 국군묘지 안장대상자로 추가되는 것이 협상의 시작이다. 망월동 묘지가 국립민주묘지로 승격되는 사례는 사회적 상징의 국가화를 보여주며, 노무현 전 대통령의 봉하마을 묘역은 사회적 상징의 계속성을 보여준다. 상징은 기억을 형성할 뿐 아니라 기억에 의해 강화된다. 민주유공자가 국가유공자로 인정되면서 국가폭력에 의한 죽음으로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피학살자들에 대한 진상규명이 재조명되었다. 그 동안 한국 정치는 국립묘지를 향해 “어떤 죽음을 기억할 것인가?”를 물으며 왔다. 전국에 열두 개에 이르는 국립묘지와 효창공원과 수유리 묘지가 국가관리묘역으로 승격되는 오늘 날, 한국 정치는 다시 질문한다. “어떻게 죽음을 기억할 것인가?”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국립묘지가 변하고 확장되는 모든 순간이 국가와 사회의 역동적인 협상에 의한 것이며, 그 순간들이 국가-사회의 경계를 이룬다는 것을 주장한다. 권력을 행사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그 권력을 가시화하는 근대국가는 사회로부터 계속해서 도전 받는다. 그 역동성 가운데 있는 국립묘지는 국가-사회관계의 현재를 보여주는 의례 자체이다.

      • 우리나라 墓地의 實態와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정광훈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1919

        사람은 누구나 다 죽는다. 그리고 그 주검은 어떤 방법으로든지 처리된다. 죽은 者에 대한 산 者의 예우는 그가 욕되지 않게 정중히 모시려 하고 죽은 者의 뜻에 따라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특정사회와 민족이 가지고 있는 사회·문화적 관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풍수지리설이나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명당이라 하는 자리에 묘소를 잡아 봉분을 만들고 그를 통하여 죽은 자와 접하는 유택관념이 있다. 그러나 일제치하에서 공동묘지를 설치하여 묘지를 집중시키고 가족묘지를 제한함으로써 우리의 전통이 훼손되기 시작하였다. 해방후 혼란기를 거치면서 무분별한 매장과 이장의 성행으로 묘제에 대한 법률이 제정되었으나, 그 집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정부는 대규모 집단적 묘지조성을 최상의 정책으로 하고 있다. 묘지정책에 대하여 묘지가 산 자의 생활공간을 무분별하게 잠식하는 것을 합리적으로 막아보자는 개발론자들의 주장은 첫째, 묘지의 무질서한 배치로 토지공간이 잠식되고 국토이용계획에 저해 요인이 되고 있다. 둘째, 묘지가 도시내로 역접근되고 있어 지역개발이 지연되거나 포기되는 등의 사례가 늘고 있다. 셋째, 무연분묘가 방치되면서 산 자의 죽은 자에 대한 불경의 정도가 심하다. 넷째, 국민소득이 향상되면서 호화사치의 개인분묘가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국민적 위화감을 조성시키므로 대규모 집단적 일률적 묘역을 조성관리 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그러나 민족성에 의한 전통 중시계층의 의견은 첫째, 죽은 자의 혼백이 그와 생전에 인연있는 터전에 영원할 수 있도록 배려하여 산 자와 죽은 자가 하나되는 인본주의적 묘제를 개발해야 한다. 둘째, 수구초심의 극히 인간적 귀소본능을 이해하는 묘제마련에 국가적 배려가 있어야 한다. 셋째, 인간이 죽은 후에도 생전의 인연을 수호한다는 영혼존재적 의식을 묘제에 심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묘지의 유형을 가족묘지, 고향묘지, 종중묘지, 종교묘지, 일반공원묘지등으로 다양화 소규모화 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우라나라의 묘지정책이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민족전통에 대한 이해부족, 제도의 미비, 국민의 비합리적 사고가 혼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민족전통과 국민감정을 존중하면서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 할 수 있는 한국형 묘지개발로 효와 인본주의 그리고 나라사랑 정신이 현실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지를 연구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바른 묘제정립을 위한 기초는 묘지의 유형별, 면적별 통계와 수요에 대한 정확한 예측으로 합리적인 배치를 계획해야 한다. 묘제에 대한 국민의 여론을 충분하고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현행 법령을 고치고 그 실효성을 확보할수 있는 정책의 강한 집행력이 필요하다. 좋은 풍치, 깨끗한 환경, 접근성이 용이한 지역 그리고 다양한 묘지는 매장지로서의 조건이다. 존엄하게 처리되고 경건하게 참배할 수 있는 납골당은 화장 선호계층의 폭을 넓힐 수 있다. 광주광역시의 묘지대책도 우선 충분한 묘역을 확보하되 그 규모는 집단화 개념에서 지역화·다양화하고 기존의 공동묘지를 정비하여 합리적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연구해야 한다. 일단 설치된 묘지는 변경하거나 원상회복하기란 용이한 일이 아니다. 때문에 묘지에 대한 정책이 보다 효율적이고 장기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관련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의 소신과 국민의 합의적 이해가 절실히 요구된다. Man is mortal. And the dead body is handled in some way. Generally, honorable treatment of the dead by the living is establish in order to treat the dead courteously lest it should be a disgrace to the deceased and to take care of the body following the deceased's will. Moreover, such manner appears in a different way depending on the social and cultural customs of each society and race. From the olden times, Koreans have built a mound over a grave in a propitious site for a grave according to a theory of division based on topography or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 of the Sun and the Moon. People believed that a tomb was the house of the dead through which they could contact the dead. However, our tradition became defied under the Japanese rule establishing public cemeteries and restricting family burial grounds. When the country was plunged in confusion after the Liberation of August 15, 1945,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law for Ancestral Rites held before the Grave due to indiscreet burials and increasing exhumings and burials elsewhere. However, the enforcement of the Law was unsuccessful and the government gives first priority to the policy of establishing large-scale collective burial grounds. As for a graveyard policy, developmentalists' arguments to reasonably prevent indiscreet encroaching of tombs on the space of the living are as follows. First, inconsistent allocation of tombs encroaches the territory and works as an obstructing factor of the National Land Planning. Second, burial grounds are counter-accessing to the city, which makes the local development delayed or abandoned. Third, as unknown person's graves are neglected, disrespect of the dead by the living became serious. Fourth, as the national income increases, luxurious private graveyards are on the increases and constitute a mood of incompatibility in the na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large-scale collective burial grounds are established and managed. On the other hand, opinions from those who attach importance to the tradition based on rational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at the soul of the dead are sleeping in peace in the place where they used to live. Ancestral Rites held before the Grave based on humanism should be devised so that the dead and the living may both be satisfied. Second, it is necessary for the nation to establish Ancestral Rites held before the Grave accepting the natural desire to return home of human beings. Third, Ancestral Rites held before the Grave reflects the ritual of 'Immorality of the Soul' that man keeps relations during his life time, even after his death. Therefore, they insist on verifying tomb styles to a family tomb, hometown tomb, religious tomb and cemetery park and make the tomb size smaller. The reason why the graveyard policy of Korea has not settled down in because of a lack of understanding on our national tradition, institutional inertia and unreasonable thoughts of the people. This paper examined if the filial piety, humanism and patriotic spirit can be realized by developing a Korean-style graveyard which can preserve a national tradition and national emotion. As a foundation to establish Ancestral Rites held before the Grave in Korea, it is necessary to plan a reasonable arrangement of tombs by carefully examining statistics and predicting demands on the type and area of the tomb. It is necessary to establiish a policy with strong enforcement power which can lead to revision of the present Law and secure its effectiveness, by collecting and reflecting public opinions on ancestral Rites held before the Grave thoroughly and positively. Areas of scenic beauty, clean environment, easy access, and various tombs are conditions for burial grounds. Charnel houses, where the dead body is handled solemnly and people pay worship to the deceased, can broaden the class of those who prefer cremation. As a graveyard policy of Kwangju metropolitan City, it is necessary to secure sufficient graveyards first, localize and verify its size in terms of collectivization concept, arrange existing public cemeteries and examine a device to reasonably utilize the graveyard. Tombs, once established are not easy to change or recover to the original shape.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graveyard policy efficiently as a long-term plan, conviction of the related departments and complete understanding of people are ungently required.

      • 근대도시계획과정에서 나타난 공동묘지의 탄생과 소멸 : 서울 사례를 중심으로

        이의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919

        죽음은 개인과 사회 성립의 뿌리이고, 죽음의 공간은 산 자와 죽은 자가 대면하는 장소로 망자에 대한 기억을 조직한다. 이 공간은 문명과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인간의 생활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따라서 죽음의 공간은 당대의 사회문화적 태도를 읽어낼 수 있는 키워드가 된다. 전근대사회에서 묘지는 종교권력과 결합하여 도시의 구심적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즉, 전근대도시에서 산 자와 죽은 자가 조화롭게 공존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19세기 산업화에 따른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되고 인구가 급증하면서 도시는 주택난, 삶의 질 악화 등 문제의 온상지가 되었다. 특히 집단묘지가 전염병의 근원지로 지적되면서 근대도시는 묘지와 새로운 관계를 필요로 하였다. 이에 따라 종교권력과 결합한 교회묘지 다수가 폐지되었고, 근대적 죽음의 공간인 공동묘지가 발명되었다. 공동묘지의 출현은 죽음의 공간이 국가의 통제를 받는 공간으로 전환됨을 의미하였다. 근대화 초기 공동묘지의 위치는 주로 도시 외곽지역에 위치하며 전근대도시와 다른 관계를 형성하였다. 하지만 근대화가 진행되며 도시가 확장되었고, 도시 외곽에 위치하던 공동묘지는 도시 내로 편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여러 근대도시는 공동묘지를 도시 외곽으로 이전하는 대신에 각자의 방식으로 도시와 묘지 관계를 형성하였다. 파리의 묘지는 정원묘지로 역사 ‧ 예술의 보고로 자리 잡으며 문화공간을 형성하였고, 보스턴의 묘지는 공원묘지로 신설되며 도시인들의 공공공간으로 자리 잡았고, 동경의 묘지는 도시 구조 내에 편입되며 생활가로 및 도시정원 역할을 담당하였다. 하지만 서울의 경우 망우리묘지를 제외한 나머지 공동묘지가 모두 폐지되었고, 산 자와 죽은 자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그 결과 지금까지 서울은 죽음의 공간이 부재한 도시로 유지되고 있다. 직관적으로 공동묘지의 폐지는 도시화 과정에서 사람은 밀집하고 공간은 부족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해외 근대도시는 다수의 묘지가 폐지되었고, 일부 공동묘지만 도시 내에 유지되며 전근대사회와 다른 산 자와 죽은 자의 관계를 형성한 것이다. 하지만 서울의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가장 큰 변화는 망우리묘지를 제외하고 도시 내 공동묘지가 모두 폐지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여러 근대도시에서 나타난 일반적인 현상으로 서울 공동묘지 부재 현상을 모두 설명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서울 공동묘지는 어떠한 과정을 겪으며 사라지게 되었나?”라는 질문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근대도시계획과정에서 서울 공동묘지의 탄생 및 소멸 과정을 분석하여 공동묘지 폐지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즉, 공동묘지의 명멸(明滅)을 분석하여 여러 근대도시와 다른 서울 근대화 과정의 특이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묘지규칙이 공포된 1912년부터 마지막으로 폐지된 공동묘지인 신사리묘지가 사라진 1970년까지로 한정하였다. 도시계획의 변화에 따라 공동묘지가 사라지고 조성된 공간도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여 시기별로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23개의 공동묘지가 위치한 경성부와 관할 주변지역인 경성오부로 한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4장에서는 공동묘지 계획 및 제도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고, 5장에서 23개의 공동묘지 중 10개의 공동묘지 공간 변화를 분석하였다. 10개 공동묘지 선정은 각 시기별로 면적이 크고 분묘수가 많은 공동묘지 두 개를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6장에서 그 결과를 분석하였는데, 근대도시의 일반적 경황과 더불어 서울의 특수성을 고찰하였다. 먼저 일반적 경향은 첫 번째, 도시계획에 의하여 공동묘지가 폐지되었다. 공간 생산의 과정에서 공동묘지의 존폐가 도시계획에 의해 수동적으로 결정된 것이다. 다시 말해 경성과 서울의 도시계획구역에 포함된 공동묘지가 차례로 폐지되었던 것이다. 구체적으로 1920년대 한양도성을 중심으로 동서지역, 1930-1940년대 경성시가지계획구역인 서남부지역, 1950년대에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은 지역, 1960년대 서부개발로 인한 북부지역의 공동묘지가 폐지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시 내 공동묘지는 폐지되었고, 공동묘지가 항상 도시 외곽지역에 위치한 결과로 이어졌다. 두 번째, 공동묘지 탄생과 소멸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권역별 배치가 시행되었다. 공동묘지 폐지는 도시계획에 의해 결정되었지만, 묘지계획을 통해 총 면적과 권역별 배치를 유지하는 새로운 공동묘지가 도시 외곽지역에 신설되었다. 현대 도시계획 과정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도시계획시설의 권역별 배치기조가 유지된 것이다. 세 번째, 1940년대 ‧ 1960년대에 폐지된 공동묘지는 토지구획정리사업 또는 택지조성사업을 통해 일반주택지가 형성되었다. 도시화로 인해 나타난 인구밀집을 해소하기 위해 공동묘지가 폐지되고 중산층을 대상으로 한 일반주택지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결과는 근대도시에서 묘지가 폐지되어 나타나는 일반적인 경향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서울의 특수성을 발견하였다. 첫 번째, 혼란기에 묘지계획의 부재로 공동묘지의 권역별 배치 기조가 해체되기 시작하였다. 광복, 한국전쟁, 4·19혁명과 5·16군사정변을 거치며 서울 행정은 마비되었고 묘지계획을 세울 여력이 없었다. 게다가 한국전쟁의 영향으로 다수의 공동묘지가 폐지되면서 서울 공동묘지의 권역별 배치 기조가 해체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두 번째, 1930년대 ‧ 1950년대에 폐지된 공동묘지 공간은 고급주택지와 빈민주택지가 형성되었다. 이는 도시화로 인해 생산된 일반주택지과 다른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고급주택지는 일제시기에 일본인을 위한 도시계획을 통해 형성되었는데, 권력집단을 위한 정치적 공간으로 공동묘지가 활용된 것이다. 또한 빈민주택지도 한국전쟁을 통해 도시빈민으로 나타난 전재민, 피난민들이 공동묘지 위에 판잣집을 지으며 형성되었다. 이후 서울시는 토지를 불하하는 방식으로 이들을 수용하였고, 공동묘지는 빈민주택지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공동묘지 폐지는 여러 근대도시에서 일반적 경향과 달리 일제시기와 한국전쟁을 겪은 서울의 독특한 도시사로 이해되어야 한다. 서울 공동묘지 폐지의 일반적 경향과 특수성은 도시 형태라는 유산으로 지금까지 남아있다. 중산층을 대상으로 한 일반주택지는 계획도시로 격자형 도시 형태를 형성하였다. 하지만 당시 낮은 소득수준으로 인해 좁은 필지와 도로 폭으로 도시가 계획되었다. 그 결과 2000년대 들어 신사리묘지를 제외한 세 지역이 뉴타운지구로 선정되며 대규모 아파트단지로 전환되었다. 고급주택지가 위치한 한남동과 신당동 ‧ 청구동은 넓은 필지와 격자형 도시 형태를 형성하여 그 모습이 유지되고 있고, 지금까지 서울의 부촌으로 자리잡고 있다. 또한 빈민주택지는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도시로서 유기적인 도시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저층 고밀의 주거단지를 형성하고 있다. 이처럼 근대화 및 도시화 과정에서 공동묘지 공간은 다양한 방식으로 주택지로 전환되면서 도시 형태라는 유산으로 남아있고, 그 영향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서울 공동묘지의 부재 현상은 독특한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이자 서울 도시사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즉 근대화 ‧ 도시화 과정에서 일반적 경향에 따라 공동묘지의 폐지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측면과 함께, 식민지와 한국전쟁이라는 서울의 특수성이 현재 공동묘지 부재현상의 원인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반복적인 공동묘지 폐지로 인하여 서울은 산 자와 죽은 자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지금까지 죽음의 공간이 혐오시설로 자리 잡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 서울 근대화 과정을 보여주는 매체로 공동묘지를 설정하고, 공동묘지의 폐지과정과 공간의 변화를 추적하여 공동묘지가 서울의 도시화에 어떠한 구성력을 갖게 되었는지 분석하였다. 근대적 공간인 공동묘지라는 렌즈를 통해 서울의 독특한 근대화 과정을 탐색하는 새로운 시각을 검토하고, 공동묘지의 폐지가 도시화에 의한 일방적 결과라는 결정론적 해석에서 벗어나, 우리나라의 독특한 근대사의 특징을 반영한 결과라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도시계획과 묘지계획이 공동묘지의 명멸에 끼친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미래 서울의 도시계획 과정에서 묘지계획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즉, 죽음의 공간 가치를 재조명하고, 산 자와 죽은 자가 공존하는 도시의 가치를 역설한 것이다. 이를 통해 도시계획을 새롭게 조명하는 시각을 정립하고, 새로운 도시계획으로 나가는데 기틀을 형성함에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 Death is the root of individual and social establishment, and the place of death organizes memories of the dead as a place where the living and the dead face each other. The place of death has been closely related to human living conditions as civilization and times change. Therefore, understanding the place of death becomes a keyword that can read out the social and cultural attitudes of the time. In the pre-modern society, the cemetery has become a central place for the city in combination with religious power. In other words, the living and the dead coexisted harmoniously in the pre-modern city. However, as rapid urbanization and population proliferated due to industrialization in the 19th century, the city became a hotbed of problems such as housing shortage, and deterioration of life quality. In particular, the pre-modern history society’s collective cemetery was pointed out as the source of the epidemic, and it demanded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city and the cemetery. As a result, many church cemeteries, combined with religious power, were abolished, and some cemeteries were converted into state-controlled cemeteries. In other words, cemetery, a modern death space, was invented. The location of public cemeteries is mainly located on the outskirts of the city, creating a different relationship with the pre-modern city. However, as modernization progressed, the city expanded, and the cemeteries located on the outskirts of the city were incorporated into the city. In this process, several modern cities formed relationship with cemetery in their own ways, instead of relocating cemetery to the outskirts of the city. The cemetery in Paris was established as a repository of history and art, and the cemetery in Boston was established as a park cemetery and a public space for urban people. The cemetery in Tokyo was incorporated into the urban structure and served as a living and urban garden. However, in Seoul, all but Manguri Cemetery were abolished, and no new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As a result, Seoul so far has been maintained as a city with no death space. Intuitively, the abolition of public cemeteries can be understood as a phenomenon caused by the concentration of people and lack of space in the urbanization process. Similarly, many cemeteries were abolished in overseas cities, but some cemeteries were maintained in the city, creating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with the former modern society. However, the biggest change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Seoul is that all the cemeteries in the city have been closed except for Manguri Cemetery. This is a common phenomenon in many cities, indicating that the absence of Seoul cemetery cannot be explained. Therefore, this study, which began with the question, "How did the cemetery disappear?" aims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abolition, by analyzing the rise and fall of the cemetery in the process of modern urban planning. That is to say, the main intent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destruction of the cemetery, to examine the peculiarity of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Seoul, which is different from many modern cities. The time rang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1912 when the cemetery rules were promulgated, and 1970 when the Sinsari Cemetery was last abolishe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time perio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urban planning, as the cemeteries were expected to disappear and the space created were different in time.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Gyeongseong-bu, where 23 cemeteries are located, and Gyeongseong-Obu, the surrounding area of the jurisdiction. Chapter 4 examined changes in cemetery planning and system, and Chapter 5 analyzed changes in cemetery space in 10 out of 23 cemeteries. The selection of 10 cemeteries was carried out by selecting two cemeteries with large area and large number of graves for each time perio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cess of abolishing the cemetery, we were able to find the particularity of Seoul along with the general situation of modern cities. First of all, the general trend was to abolish the cemetery under urban planning. Unlike the pre-modern city, the modern city was determined to passively survive and close the cemetery, which was a death space,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of space. In other words, the cemeteries included in the urban planning zones of Gyeongseong and Seoul were abolished one after another. Specifically, cemeteries in the East-West region in the 1920s, the Gyeongseong City Planning Zone in the 1930s and 1940s, the areas severely damaged by the Korean War in the 1950s, and the northern areas due to western development in the 19160s were abolished. This led to the abolition of cemeteries contained within the city, which always resulted in the location of cemeteries in the outer areas of the city. Second, 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rise and fall of the cemetery, the regional layout was maintain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abolition of the cemetery was decided by urban planning, but a new cemetery was established in the outer-skirts of the city to maintain the total area and regional layout through the cemetery plan. The regional layout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which are also important in the modern urban planning process, was implemented. Third, the cemeteries, which were abolished in the 1940s and 1960s, were formed through land compartmentalization and readjustment projects or housing area development projects. In order to solve the population congestion caused by urbanization, the cemetery was abolished and housing areas for the middle class were formed. These three results can be seen as the general trend of the abolition of cemeteries in modern cities. But at the same time, we discovered the distinctiveness of Seoul. First, during the period of chaos due to the Korean War, the April 19 Revolution, and the May 16 coup, the absence of a cemetery plan occurred. In the process, many cemeteries were abolished, but no alternative cemeteries were established to compensate for the shortage of cemeteries. This marked the beginning of the dismantlement of the regional layout of the cemetery in Seoul. Second, the cemeteries, which were abolished in the 1930s and 1950s, were developed into high-end housing and poor housing areas. This shows a different trend from ordinary residential areas produced due to urbanization. The high-end residential area was formed as a city plan for the Japane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cemetery became a political space which was used to create demand for the power groups. In addition, the poor housing map was formed by the war victims and refugees, who appeared as urban poor through the Korean War, building shacks on the cemetery. Afterward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ccepted the land in a way that allowed them to live, and the cemetery was converted into a residential area. This should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Seoul's unique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The general trend and specialty of abolishing the cemetery in Seoul remain a heritage of the city's form. General residential areas for the middle class formed a grid-type urban form as planned cities. However, due to the low-income level at the time, the city was planned with a narrow land size and road width, and as a result, three areas, excluding Sinsari Cemetery, were selected as New Town districts in the 2000s and converted into large apartment complexes. Hannam-dong, Sindang-dong, and Cheonggu-dong, where high-end residential areas are located, have been maintained by forming large-scale land and grid-type cities, and have been established as rich villages in Seoul until now. In addition, slum residential areas are naturally formed cities, showing organic urban forms and forming low-rise, dense residential complexe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the cemetery has been transformed into a residential area in various ways, and its impact has continued to this day. The absence of a cemetery in Seoul should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unique modernization process and a compressed demonstration of the city's history. That is to say,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the abolition of cemeteries was naturally achieved according to the general trend, and the particularity of Seoul as a colony and the Korean War contributed to the absence of cemeteries. The repeated abolition of the cemetery has prevented the living and the dead from forming a new relationship in Seoul, and has so far established the death space as an abomination facility. In this paper, the cemetery was incorporated as a medium to show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Seoul, and the process of abolishing the cemetery and the changes in space were tracked to analyze how the cemetery became an urbanization in Seoul. It is meaningful in that it reviewed the new perspective of exploring the unique modernization process of Seoul through the lens of the modern space, and revealed that the abolition of cemeteries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unique modern history, away from the deterministic interpretation that it is a one-sided by urbanization. It was also intended to emphasize the value of death space in the future Seoul city planning process by looking at the impact of urban planning and cemetery planning on the destruction of the cemetery. Through this, there is an implication of research that establishes a new perspective on urban planning and forms the foundation for moving forward with new urban planning.

      • 우리나라 國立墓地 制度 및 運營에 관한 硏究

        길현섭 東國大學校 行政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1919

        This study consists of 4 contents ; ①raising questions on the national cemetery's present funeral system in the discrimination by the rank or social level, holding capacity and reconsideration of function. ②comparing with foreign funeral system. ③analyzing the result of poll about the burial-qualifiers' thoughts acted by MND. ④suggesting reasonable development measures in the funeral system. First, the national cemetery's present funeral system doesn't comply with the spirit of democracy and equality that our constitution pursues. Because its funeral rite is discriminative in the different burial method according to the rank or social level, covering area and the size or pattern of the establishing set like tomb stone. Especially such discriminations are going against the great will of the buried persons who devoted to protecting the democracy. I can search no examples such as discriminations in the foreign countries that apply the national cemetery system. This kind of discrimination must be abolished somehow in the national cemetery system. That means every person must be buried in the form of cremated bones in principle and the covering area should be contract to 1 pyung which is the criterion for G.I. and also other establishing set has got to be simplified with the same criterion. Exceptionally as for the president, it needs to maintain the present regulation regarding the accomplishment to the nation and peoples. But it also needs to give the right of choice to the bereaved family. Second, I presume that the national cemetery is going to be full and no more burial will be possible around 2017. So a long term and synthetic scheme coping with such problem should be established. To solve this problem I suggest an idea of appling the burial-period-limitation system which is now being applied in the civilian cemetery and the charnel house system to supplement the burial-period-limitation system at the same time. Under the burial-period-limitation system, the period can be 15 years by the funeral law but in case of the national cemetery that is burying cremated bones in principle it can be 30 years by the period of one generation. Permit body-burial during some period but even before the period is finished it needs to admit to enshrine in the charnel house And we should give some incentive to the persons who accept this in addition to the active publicity to encourage this. And also we should clear the unknown persons' grave and lay them in the charnel house and utilize the valid space for the grave again or charnel house site. Third, we should activate the function of the national cemetery. National cemetery has to be laid open into the people's life and for this, the approach to the national cemetery should be easy. I suggest a good way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ose are as such;transferring nation cemetery to park,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establishing convenience facility and developing & operating diverse program etc. Also to reinforce the service for the people there should be a computerized operating system, auto-answer phone system, cyber national cemetery and one touch service about the civil petitions relevant to the funeral. Forth, we should improve and extend the convenience facility. It is very inconvenient to use to the bereaved family under present funeral system. So we need to prepare each site for funeral and burial ceremony to enable to achieve the funeral→cremation→burial process inside the national cemetery at a time. Especially, through establishing the cremation spot we should follow the nation's policy and open the national cemetery to the local residents besides the qualifiers to be buried. Lastly, authority concerned should have the attitude to improve the law and system positively. By this endeavor, national cemetery can be a great sacred area of Korean peoples and play a role of the center of people spirit. In the end, national cemetery must be born again through transforming to the eople-amicable facility.

      • 墓地制度의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장동훈 동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1919

        Since long ago, Korea has put the highest priority on the filial piety among home and social ethics, and the strong sense of ancestor worship has urged offsprings to console the deceased ancestors' souls by preparing their tombs at the most propitious places and maintaining them to be clean and beautiful. In addition, we believe that the tomb at a propitious site would ensure offsprings' prosperity and wealth. Thus, such a Fung Shi idea has been the ground for our burial culture, and hearty devotion to ancestors' tombs has been regarded as a great virtue. But such a virtue has been distorted into the mal-practices of illegal or luxurious tomb constructions. On the other hand, such traditional burials have served to encroach upon the limited national land, damage the nature, increase luxurious and illegal tombs and deserted tombs, all of which are detrimental to our society. Since the 'tomb' problem has been regarded as a cultural custom and as personal or family problem, it has seldom been regulated by the public interests. In order to solve such a difficult 'tomb' problem, the government has recommended each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 to build cremation facility and charnel house, but such a recommendation has still to be effective, because the burial culture has been rooted too firmly on this soil. In a nutshell, a fundamental solution should be found in the cremation system. To be so, people should be reawakened of cremation, because cremation increases only slightly.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ollect precise data about the tombs throughout the nation by giving a tomb identity to each of the tombs dispersed irregularly, and thereby, arrange a reasonable system of maintaining the tombs, while rearranging luxurious, illegal and deserted tombs, and thus, find the ways to use the national land more effectively. W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s the need that people should be reawakened of cremation. People are more conscious and resonable and the majority of them are too busy for their living to take care of or attend their ancestors' tombs, and deserted tombs seem to account for the majority of the public cemetery tombs. Given such a reality, we can no longer insist on the burial system. Since people feel it essential to reform our funeral and tomb cultu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it to be more realistic. To this end, people should be reawakened of it, while cremation and charnel facilities be modernized. In order to encourage people to decide on cremation, it is essential to change people's mentality in favor of cremation, and to do so, the social leadership is obliged to demonstrate their examples. Besides, it is urgently required to transform the area surrounding the cremation facilities into parks so that the bereaved can hold a funeral solemnly and piously. In addition, it is deemed necessary to improve and increase the charnel facilities, while diversifying the ways to treat the ashes. In this context, it is deemed desirable to keep the ash in a charnel house until when his or her direct offsprings are dead to replace it. Then, the former ash may well be disposed in a mountain. All in all, it is essential to give an identity to each of the tombs dispersed throughout th nation to manage them systematically, while raising the ratio of cremation by modernizing its facilities. In addition, the limited burial period system should be operated throughout the nation, and any future new town is planned to accommodate cemetery, cremation and charnel facilities. In order to solve the 'tomb' problem effectively, it is required to improve it gradually, while maintaining our traditional virtue or filial piety. Anyway, since the land for our offsprings' survival is not reversible, we should not misuse it to be unavailable for our offsprings. 우리나라는 예로 부터 효 사상을 가장과 사회윤리중 가장 으뜸으로 삼고 있으며 조상숭배사상이 강하여 망자의 혼을 위로 하고 묘지를 가장 좋은 장소에 자리잡아 청결하고 아름답게 가꾸는 것이 자손으로서 도리를 다한다고 생각 하고 있다. 또한 조상의 묘소가 명당에 자리잡는 것이 후손의 번창과 영화를 누리는 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여 풍수 지리사상에 입각하여 매장문화가 뿌리 내리고 있으며 조상의 분묘조성에 정성을 다하는 것이 미덕으로 생각하여 불법분묘 및 호화분묘 조성이 사회적 관행으로 자리 잡아 왔다 전통적 매장위주의 분묘조성으로 국토잠식및 자연회손, 호화불법묘지, 무연고묘지의 증가 등으로 사회적 피해를 주고 있다. 묘지문제는 한 사회의 문화적 관습으로서 개인 또는 가족의 문제로 간주하여 왔기 때문에 그동안 공공에 의한 제도적 규지를 크게 받지 않았다. 이처럼 어려운 실정을 해소 하기 위하여 정부는 각 지빙자치단체별로 화장장, 남골당의 건립을 권고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도 매장문화의 고착화 때문이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화장제도에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사람들의 의식 이 바뀌어야 한다. 화장이 늘고 있지만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전국적으로 무질서 하게 흩어져 있는 묘지에 묘적을 부여하고 묘지실테를 정확히 파악하여 묘지의 합리적 운영체계를 마련하고 호화, 불법묘지, 무연고묘지를 정리하여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함과 화장에 대한 사 회적 인식을 전환하여야 한다. 국민들의 의식 수준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있으며 현대의 바쁜 생활로 인하여 조상의 산소를 돌보거나 잦은 성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공동묘지에도 상당한 무연고 묘지가 있음을 미루어 볼때 장묘의 형태를 굳이 매장만을 고집할구 없게 만든다. 장묘문화의 사회적 과제는 우리사회에서 국민들로 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를 바탕으로 현실에 맞게 개선, 발전 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국민의식의 개혁과 화장, 납골관련 시설의 현대화가 필요하다 일반국민들이 화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화장제도의 올바른 인식을 할 수 있도록 시회지도층 부터 솔선수범해야 하며 화장장 주변을 공원화 하여 엄숙하고 경건하게 장례를 치루도록 해야 한다 또한 납골시설의 개선 및 증가하여 유골의 처리방법을 다양화 하여 죽은 사람과 같이 지내던 사람들이 살아 있는 동안 납골시설에 안치하고 직계자손이 사망하면 산골하는 방법도 하나이다. 묘지문제의 해결책으로는 전국에 산재해 있는 묘지에 묘적부를 부여하여 체계적으로 관리 해야 하며, 화장시설의 현대화로 화장율을 높여야 한다. 또한 시한부 매장제도를 전국적으로 확대하여야 하며 신도시 건설단계부터 묘지및 화장장 납공시설의 검토가 필요하다 묘지문제의 해결은 우리의 전통적인 효의 참된 개념이 정신적으로 유지되는 가운데 장기적인 안목으로 우선 시행가능한 분야부터 점진적으로 개선시켜 가는 가운데 제도의 원칙에 따라 우리와 우리자손들이 생존해야하는 국토가 토지의 비가역성이 말해주듯이 토지가 잘못 이용됨으로서 효율성을 상실하는 사레는 없어야 한다.

      •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의 기록화에 관한 연구

        김세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919

        묘지 기록화는 묘지의 정체성을 분석하는 작업이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는 사람들의 죽음(사회적 죽음이라고 지칭)과 관련된 묘지는 죽은 자들이 묻힌 장소적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메모리얼이라는 기념 공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국내 대표적인 메모리얼로서의 묘지 공간은 정부에서 운영ㆍ관리하는 국립묘지를 들 수 있다. 민간에서 운영하는 메모리얼 묘지의 경우, 묘지 안장자에 대한 정보를 찾기도 어렵고 메모리얼 묘지에 대한 존재 여부도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묘지 기록은 묘지의 업무 활동의 증거이자 묘지 안장자에 대한 증거이다. 동시에 묘지에서 생산, 수집된 기록은 안장자를 기억하는 추모자에 의해 새로운 기록이 될 수 있다. 묘지는 죽은 자의 안식처인 동시에, 산 자가 죽은 자를 회고하고 추모한다는 의미에서 산 자들을 위한 장소다. 묘지는 과거와 현재가 생과 사를 초월하여 소통하는 경계지대가 될 수 있다. 이 논문은 메모리얼 묘지와 관련된 기록화의 중요성을 분석하고 적절한 기록화 방법 및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국내 대표적인 메모리얼 묘지로 민간에서 운영하고 있는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을 선정하였다.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은 묘지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근대의 역사적인 유적지이며 메모리얼이다.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의 묘지 업무 활동과 안장자 기록수집 활동을 분석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안장자와 추모자가 중심이 되는 묘지 기록화의 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Cemetery archiving is an analysis of the identity of the cemetery. In particular, death many people remember has its own memorial character as well as the place characteristics of the tomb of the dead. The cemetery space as a representative memorial in Korea is the National Cemetery operated by the government. In the case of the Memorial Cemetery managed by the private organization, it is difficult to find information about the people buried, and the existence of the cemetery is also not well known.    The cemetery records are evidence of the cemetery work and the people buried. At the same time, the records produced and collected at the cemetery can be a new record by the mourner memorizing the people buried. The cemetery is a refuge for the dead, and a place for the live in the sense that the live recall and remember the dead. The cemetery can be a boundary that communicates past and present beyond life and death.    This essay deals with the system of the memorial cemetery documentation, analyzing the importance of the cemetery archiving, and suggesting proper archiving method and service plan. ‘Yanghwajin foreign missionary cemetery’ managed is a representative private memorial cemetery in Korea. ‘Yanghwajin Foreign Missionary Cemetery’ is not only a cemetery but also a modern historical site. And the cemetery itself is a memorial. I analyzed the work activities of the cemetery of the Yanghwajin Foreign Missionary Cemetery and the collection of the people buried. And I wanted to establish a system of cemetery documentation, centered on visitor to a memorials.

      • 墓地公園 開發政策에 對한 硏究

        설동진 朝鮮大學校 産業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1919

        As unbanization and population have been increasing, cemeterys have caused a lot of social problems. In order to improve these, a cemetery park with various functions like cemetery and park should be made. A cemetery park can provide neighboring people as well as cemetery users with spaces for relaxation and grav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basic directions for efficient policy which can change people's way of thinking about a propitious grave site and form new land culture. The conclusions are : First, in the aspect of system, laws related to burial and cemetery-grave size, and structures-should be changed in pace with people's consciousness and the rationalization of land. Second, in the aspect of administration, roads to cemetery parks, landscape and facilities should be prepared. And the plan should be made which neglected or unknown graves can be checked to be put in charnel. Besides by analyzing good and bad points of old cemetery, better ones should be made. It should take the department concerned and experts to manage the efficient policy for cemetery. Third, in the aspect of people's consciousness constant publicity activities about the efficient use of land will help to solve a sense of incompatibility caused by using excessive use of cemetery. Fourth, as this research shows, enough greenbelt and parking areas must be prepared with landscape, facilities and management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