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performance of economics graduate students, Korea University : who is a good human capital in graduate school?

        김경현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0 국내석사

        RANK : 232287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do determine a prediction model for selecting graduate students in economics area. Although economic graduate course in South Korea is similar to the one in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examine a student performance. Athey, Katz, Krueger, Levitt and Poterba(2007), who studied a research on economics graduate school of the United States, even said that economists devote considerable effort to graduate students education but have conducted relatively little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f student performance or placement in the job market. As the authors' opinion, a study on performance of graduate students should be an important and urgent problem. But this paper is not concerned here with the determinants of student performance in labor market, the study will be supplemented by previous studied in section Ⅱ.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 firstly, to do a study on human capital in economics, secondly, to do a study on a group of the highest education level, and thirdly, to do a prediction on graduate students performance using pre-admission data of applicants. By analyzing this paper, we examine the sequentiality between economics required subject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course. And the paper can be concerned with what factors have an effect on economic graduate performance. It is important for selection process of pre-admission to cultivate outstanding scholars in graduate school. Hence, th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screening graduate students in admissions committee.

      • Comparison of urban space cognitive images of middle schools' circumstance in Gangnam-gu and Nowon-gu

        정호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6 국내석사

        RANK : 23227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및 그 주변에 대한 학생들의 인지도 특성을 통한 공간인지 유형을 두 대상지로 나누어 분석하고, 비교 대상지간 학생들의 체험된 이미지의 차이를 도출하여 지역별 학교와 그 주변의 효과적인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본 논문에서는 강남구 대치동의 1개 중학교와 노원구 하계동의 1개 중학교를 그 대상으로 하여, Lynch(1960)의 인지도(cognitive map) 작성방법을 간략화하여 수행하였다.학생들의 공간인식은 학년의 고저에 따른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은 채 대체로 ‘집주위 → 통학로 주변의 가로 → 학교주변 시설’ 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학생 각자의 생활 패턴에 크게 좌우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강남구 대청중학교와 노원구 중평중학교 학생들의 응답내용과 Sketch map을 바탕으로 Kevin Lynch의 5요소(District, Landmark, Path, Node, Edge)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District의 경우 강남구 대청중학교 학생들은 대청중학교, 우성아파트, 선경아파트 순으로 인지했으며, 노원구 중평중학교 학생들은 중평중학교, 중평초등학교, 건영백화점 순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ndmark의 경우 강남구 대청중학교 학생들은 양재천, 타워팰리스 순으로 인지했으며, 노원구 중평중학교 학생들은 중평중학교, 중평중학교, 브라운스톤 순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th의 경우 강남구 대청중학교 학생들은 양재천길, 사이로길, 남부순환도로 순으로 인지했으며, 노원구 중평중학교 학생들은 중평로, 동재로, 동삼로 순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ode의 경우 강남구 대청중학교 학생들은 도곡사거리, 대치역사거리 순으로 인지했으며, 노원구 중평중학교 학생들은 동삼삼거리, 동재삼거리 순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dge의 경우 강남구 대청중학교 학생들은 양재천을 노원구 중평중학교 학생들은 월계로를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혐오장소에 대한 선택의 차이는, 강남구 학생들은 방과후 대부분이 학원 및 교육시설 주변에서 시간을 소모함으로 그 공간에 대한 부정적인 인지가 지배적인데 반해, 노원구 학생들은 비교적 자유로운 방과 후 활동으로 인해 학교 주변 시설인 공원이나 놀이터, 가로 등을 혐오장소로 선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향후 학교와 그 주변시설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실제 이용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에 대한 파악이 이루어져 개선점을 찾아 나아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ace-perception toward schools and their outskirts patterns by dividing the two target areas, and to draw up an efficient development plan for regional schools and its circumferences by deducing the differences of comparative target areas students' undergoing images.In this thesis, I chose one middle school in Gangnam-gu, Deachi-dong and one middle school in Nowon-gu, Hagye-dong for the targets, and briefly carried out cognitive map framing method.The students' space-cognitions have no definite changes in accordance with a school year, and generally show a tendency toward enlarged like this. 'neighborhood → street nearby school district → facilities close to school'. It shows that each student's can exert a major degree influence upon his/her life pattern.Be based on Daechung Mid. School in Gangnam-gu, and Jungpyong Mid. School in Nowon-gu students' answers to the queries and the Sketch map, analyzed results of Kevin Lynch's 5 elements (District, Landmark, Path, Node, Edge) are as follows. In case of district, the students of Daechung Mid. School in Gangnam-gu recognize district by this order: Daechung Mid. School, Woosung Apt. and Sungyung Apt, and the students of Jungpyong Mid. School in Nowon-gu recognize district by this order: JungPyong Mid. School, JungPyong Elem. School, Gunyung Dept. Store. In case of Landmark, the students of Daechung Mid. School in Gangnam-gu recognize landmark by this order: angje Stream, Tower Palace, and the students of Jungpyong Mid. School in Nowon-gu recognize landmark by this order: JungPyong Mid. School, JungPyong Park, and Brown Stone. In case of Path, the students of Daechung Mid. School in Gangnam-gu recognize path by this order: Yangjechun way, Sairo way, Nambu Beltway, and the students of Jungpyong Mid. School in Nowon-gu recognize path by this order: Jungpyong way, Donge way, and Dongsam way. In case of Node, the students of Daechung Mid. School in Gangnam-gu recognize node by this order: Dogok Crossroads, Daechi Station Crossroads, and the students of Jungpyong Mid. School in Nowon-gu recognize node by this order: Dongsam Three Corners, Donge Three Corners. In case of Edge, the students of Daechung Mid. School in Gangnam-gu recognize Yangje Stream as edge, and the students of Jungpyong Mid. School recognize Wolgye way as edge.The differences of selecting hatred spaces are like this. Students living in Gangnam-gu spend much time at the educational institutes and around the educational facilities. Contrary to Gangnam-gu's case, students living in Nowon-gu can spend after school hours comparatively freely, so I could estimate that's why they choose park, playground, and street nearby school as their hatred spaces.Hereafter, we must conduct schools and their outskirt satisfaction survey and do regression analysis to find betterment by grasping elements that can exert influences upon real user satisfaction.

      • (The) effects of school-related gender-based violence on students' absenteeism in primary schools in Southern and Eastern Africa

        이소라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Korea Un 2019 국내석사

        RANK : 232271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related gender-based violence (SRGBV) and students’ absenteeism in primary schools in 14 Southern and Eastern African countries. Gender-based violence (GBV) in school severely jeopardizes the student’s health and reduces educational outcomes. In sub-Saharan Africa, gender-based violence in school is more problematic due to the deeply ingrained gender inequalit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RGBV and absenteeism, this study employs multivariate regression and a large cross-country dataset, the third round of Southern and Eastern Africa Consortium for Monitoring Educational Quality (SACMEQ) data. Results indicate that school-related gender-based violence with teachers as perpetrators increases student absence rates in primary schools, especially for sexual harassment, while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pupils’ violence and students’ absenteeism. GBV adversely affects the whole school environment by inhibiting direct and indirect victims’ learning. Furthermore, GBV is rooted in power relation, which is more powerful for teacher-to-pupil relation than pupil-to-pupil relation, and punishment for the teacher’s perpetration in too light in sub-Saharan Africa. Although this research is not without limitations, it does imply that stronger law enforcement on perpetrators, protection of victims, and enhanced teacher training are needed in order to ensure safe school environments.

      • (The) impa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dropouts from primary school in Senegal

        Dame Diop Graduate School of Government, Business, and Entre 2021 국내석사

        RANK : 232271

        The study aimed at assessing the impa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dropouts from primary school in Senegal. The study sample comprised of 100 respon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50 parents and 50 students. Secondary data was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various statistical tools were applied. Descriptive statistics was used to describ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of the results, Chi-square test was us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associ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respondents were based on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education and income level. Marital status, farms need more people, financial support from parents, farm size, intended age of marriage, parent’s work, student’s other occupation and parents bring children to farms) and school related factors (school events attendance, class repetition, school distance and frequency of parents control at home). It was observed that farm size, parents bring children to farms, age of student, other occupation for student, intended age of marriage and parent’s work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chool dropout. The study recommends that the provision of education is necessary to clarify and educate people on the value of education for children to have a better future; the more people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e lower the number of school dropout rates as a result the environment and economy of the society is improved. Thus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to the communities as the key factor for socio-economic development. Besides, the government and education stakeholders should provide consultation to farmers, especially those who have small plots of lands knowing that they tend to send their children to the farm because they don’t have enough income to pay the school fees. So it requires supports for them instead of keeping their children out of school to support domestic chores or farming. Additionally, the government, NGOs and civil society’s organization should widen the employment opportunities to the local communities especially for the unemployed people because as the research shows people who don’t have work, their children tend to dropout school. Moreover, the awareness programs for the community such as the mindset change against negative traditional values that were reduced the pace of education to rural people should be eliminated henceforth.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outline the research agenda in view of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 access and success within the education sector, especially as regards to basic education. Research-based methods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the dropout rate, especially in high poverty and remote rural schools. The research agenda should include: -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and practices as well as determining policy gaps - Tracking cohorts of learners at risk of dropping out - Exploring best practices at schools and ensure their replication - Developing monitoring and evaluation instruments to assess progress and impact of policy and practice. 이 연구는 세네갈의 초등학교 중퇴자에 대한 사회경제적 요인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부모 50명과 학생 50명으로 나뉘어진 100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차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양한 통계 도구를 적용했다. 기술 통계량은 결과의 빈도와 백분율을 기술하는 데 사용되었고, 카이 제곱 검정은 연관성의 유의성을 검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로지스틱 회귀 분석은 연구의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사이의 관계를 찾는 데 사용되었다. 응답자에게 수집한 정보는 사회경제적 요인(성별, 연령, 교육과 소득 수준, 혼인 여부, 농장의 인원 보충 여부, 부모로부터의 경제적 지원, 농장 규모, 목표 혼인 연령, 부모의 직업, 학생의 다른 직업, 그리고 학생을 농장에 데리고 가는 부모 등)과 학교 관련 요인(교내 행사 참여, 수업의 반복, 학교까지의 거리, 그리고 부모의 통제 빈도 등)을 기반으로 하였다. 농장 규모, 학생을 농장에 데리고 가는 부모, 학생의 연령, 학생의 다른 직업, 목표 혼인 연령, 그리고 부모의 직업은 학교 중퇴에 중요한 관련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 연구는 아이들이 더 나은 미래를 향유할 수 있도록 교육의 가치를 명확히 하고 교육하기 위해 교육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권고한다. 많은 사람들이 교육의 중요성을 이해할수록, 사회의 환경과 경제가 개선되는 결과로서 학교 중퇴율이 낮아질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은 사회 경제적 발전의 핵심 요소로서 지역사회에 촉진되어야 한다. 게다가, 정부와 교육 이해당사자들은 농부들, 특히 그들의 자녀들을 농장으로 보내는 경향이 있고 소규모의 농지를 소유한 농부들에게 자문을 제공해야 하는데 학교 등록금을 지불할 충분한 소득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학교 외에 집안일 혹은 농장일을 거들도록 하는 대신 그들에 대한 지원을 요청한다. 추가적으로, 정부, NGO, 그리고 시민사회단체는 실업자들의 자녀가 학교를 중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 실업자들을 위해 지역 사회로 취업 기회를 넓혀야 한다. 게다가, 농촌에 대한 교육의 속도를 줄인 부정적인 전통적 가치에 대한 사고방식 변화와 같은 지역사회를 위한 인식 프로그램은 앞으로 사라져야 한다. 교육부는 특히 기초교육과 관련하여 교육 분야 내에서 접근성과 성공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개발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과제의 개요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빈곤과 외딴 시골학교에서 중퇴율을 줄일 수 있는 연구 기반의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연구 과제는 다음을 포함해야 한다. - 정책 및 실행의 효과 분석 및 정책 격차 파악 - 중퇴 위험이 있는 학습자의 집단 추적 – 학교에서의 모범 사례 탐색 및 복제 보장 - 정책 및 실행의 진행 상태와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평가 도구 개발

      • Challenges facing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public primary schools in Limuru sub-county, Kiambu county in Kenya

        Gitau Thomas Njoroge Graduate School of Government, Business, and Entre 2017 국내석사

        RANK : 232271

        케냐에서 장애가 있는 어린이는 초창기부터 특수 학교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반 학교와 분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사실을 깨닫고 정부와 핵심 교육 관계자들은 정규 학생과 함께 배울 주류 학교에 이러한 학습자를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정부와 이해 관계자들의 많은 노력이 현실화되었습니다. 그러나 특수 교육을 필요로 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과정이 국가의 모든 주류 초등학교에서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케냐의 키암부 주에 있는 장애 아동을 위한 포괄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실행에 직면 한 어려움을 발견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를 형성했습니다. 이 연구는 교육 기획자 및 기타 이해 관계자에게 제기된 문제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문제에 대한 가능한 조치와 권장 사항을 제안했습니다. 이 연구는 셔먼과 우드 (Sherman and Wood, 1982)에 의해 발전된 평등 기회의 고전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Limuru Sub 주의 공립 초등학교에서 장애 아동을 위한 포괄적인 교육의 실시 상태를 탐색하고, 장애 아동을 위한 포함 과정의 효과적인 시행을 방해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직면한 과제에 대한 그럴듯한 제안 및 응답을 수립합니다. 이 연구는 설명 된 목표와 연구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 할 때 서술적인 설문 조사 디자인을 채택했습니다. 이 연구는 교사 및학부모들 사이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대상 인구에는 그 지역에 있는 40 개의 공립 초등학교, 40 명의 선생님, 546 명의 초등 교사 및 약 5,000 명의 부모가 포함되었습니다. 이 연구 샘플에는 포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14 개의 모든 공립 초등학교가 포함되었습니다. 14 개 학교의 교사 중 14 명이 선발되었으며, 56 명의 교사, 각 4 명의 샘플링 학교에서 4 명, 각 학교의 56 명의 학부모 4 명이 포함되었습니다. 총 126 명의 응답자가 응답했습니다. 조사 도구에는 설문지, 관찰 체크리스트, 인터뷰 일정 및 문서 분석이 포함되었습니다. 분석에는 질적 및 양적 분석이 모두 포함되었습니다. 질적 분석은 기존 문헌의 결론을 고려한 반면 정량적 분석은 빈도수 및 평균 분포, 표, 합계 및 수집 된 데이터를 의미있는 그룹 및 추후 분석을 위한 표로 응축하기 위한 백분율 계산에 나타난 응답자의 의견에 대한 결론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수집 된 데이터는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를 사용하여 분석되었으며 빈도 테이블 및 비율의 형태로 제공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포괄적 인 교육의 실행 상태가 육체 및 보조 시설, 교사의 교육 및 교육 자원, 부모의 요인 및 아동의 참여 과정을 가로막는 장벽으로 작용한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 수많은 도전에 직면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 시설 및 커리큘럼의 수정을 보다 포괄적이고 조정 가능하게 만들고 포괄적인 교육을 처리하기 위해 더 많은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장애 문제에 대한 인식 창출과 포괄적인 교육의 필요성에 있어 주요 교육 이해 관계자 들간의 공동 노력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포괄적인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자금이 증가해야 합니다. 케냐의 주 정부는 또한 포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함에 있어 주요 이해 관계자로서 인정 받고 참여해야 합니다.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in Kenya have been enrolled in special schools since the early years of independence. This led to their segregation from the regular schools. On realizing this, the government and the key education stakeholders realized the importance of having these learners included in the mainstream schools where they would learn with the regular pupils. A great deal of effort from the government and the stakeholders have been made to make this a reality. However, this has not been successful since the inclusion process for children with special learning needs have not been successful in all the mainstream primary schools in the country. This formed the basis of the study in trying to find out the challenges faced in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inclusive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Limuru Sub County of Kiambu County in Kenya. The study sought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the challenges to educational planners and other stakeholders and suggest possible measures and recommendations to the problem. The study was based on the on the Classical Theory of Equal Opportunities advanced by Sherman and Wood (1982).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explore the status of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public primary schools in Limuru Sub County, to determine the factors hindering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inclusion proce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establish the plausible suggestions and responses to the challenges facing the implementation of an inclusive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udy adopted a descriptive survey design in collecting data in order to answer the outlined objectives and th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was carried out among teachers, head teachers and parents. The target population included 40 public primary schools in the area, 40 head teachers, 546 primary school teachers and about 5000 parents. The study sample included all the 14 public primary schools offering inclusive education program. From the 14 schools, all the 14 head teachers were selected, 56 teachers, four from each sampled school and 56 parents 4 from each school were also included. This gave a total of 126 respondents. The research instruments included questionnaires, observation checklists, interview schedules and document analysis. The analysis include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he qualitative analysis considered the conclusions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while Quantitative analysis involved the conclusions on the respondents' opinions presented in frequency counts and mean distributions, tabulation, totals and calculation of percentages aimed at condensing the data collected into meaningful groups and tables for further analysis.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SPSS) and presented in form of frequency tables and percentages. The study found out that the status of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was faced with numerous challenges in terms of physical and aiding facilities, teachers’ training and teaching resources, parental factors and social cultural factors which acted as barriers to the process of inclus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ddressing the challenges, more efforts need to be enhanced in the modification of school facilities and curriculum to become more inclusive and accommodative and to train more teachers to handle the inclusive education. There should be concerted efforts among the key educational stakeholders in awareness creation on the disability issues and the need for inclusive education. There should be increased funding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The County governments in Kenya should also be recognized and involved as major stakeholders in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programs in the country.

      • (An) analysis on student's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strategies for credit-based spaces : focusing on the high schools with the high-school-credit-system in Seoul

        장시영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4 국내석사

        RANK : 232271

        2025년부터 전국의 중고등학교에 본격적으로 새로운 교육 체제인 고교학점제가 도입될 예정이며 이는 현재 선도 학교 및 연구 학교에서 부분적으로 시행 중에 있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스스로 진로와 적성에 맞게 수강하고자 하는 과목을 선택하고 일정한 학점 이수 기준에 도달하면 졸업이 가능한 제도로 변화된 교육과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재구조화된 교내 공간을 학점제형 공간이라 일컬으며 학습 공간, 지원 공간, 공용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 고교학점제에 관한 연구는 2020년 이전인 고교학점제 도입 초기에 진행되었다는 시기적 한계점을 가지며, 고교학점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전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교 공간의 변화에 대한 관심은 높음에도 불구하고 고교학점제 시행으로 인한 학교 교내 공간 변화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논의된 연구는 부족하다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인하여 조성된 서울특별시 고등학교의 학점제형 공간에 대해 분석하고, 이 공간의 사용자인 학생을 대상으로 새롭게 조성된 학점제형 학교 공간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사항을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학생이 개선을 요구하는 교내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계획 요소에 대한 개선 방안을 파악하고 적용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추후 고교학점제가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적용되었을 때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디자인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학점제형 공간을 계획할 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중 연구 협조에 응해준 고교학점제를 시행하고 있는 3개의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해당 학교의 학점제형 공간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방법은 (1) 선행 연구 및 사례 조사를 진행한 후,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고교학점제 시행 고등학교의 교내 학점제형공간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2) 고교학점제 시행 고등학교의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현장 답사 사례 조사를 진행하여 온라인 사례 조사에서 조사 및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현장 답사 사례 조사를 진행하였다. (3) 기술형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교내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공간 사용자(학생)의 만족도 및 희망 개선 사항을 조사하였다. (4) Photovoice 연구 방법을 통하여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공간 사용자(학생)에 의하여 제안된 공간 개선 방안을 파악하였다. 위 네 가지 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도출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 학점제형 공간에서 학습 공간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공용 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도출되었다. 각 공간 마다 교과 교실, 다목적실, 홈베이스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일반 교실, 도서실, 휴게실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학습 공간 중 일반 교실의‘자연적 요소가 주는 효과’, ‘교실 표찰에 대한 정보성’, 교과 교실의 ‘학습 교구 부족’, ‘책상 배치’, ‘책상의 디자인’, 지원 공간 중 자기주도 학습 공간 및 스터디 카페의 ‘소음 및 방음 문제’, ‘학습 공간의 단일화’, 다목적실의 ‘책상의 배치와 디자인’, 도서실의 ‘작은 규모’, 회의실 및 상담실의 ‘규모’, 공용 공간 중 홈베이스의‘공간 사용 목적’, ‘사물함 크기 및 배치’, 휴게실의 ‘수면 공간’, ‘규모,’ ‘휴식 지원 수단’에 대하여 평균 이하의 만족도 결과가 도출되어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세 개의 고등학교에 대한 학점제형 공간의 만족도를 비교해보았을 때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학점제형 공간을 도입한 고등학교의 학생들의 교내 공간에 대한 만족도는 비슷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교내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희망 개선점과 공간 사용자(학생)가 직접 제안한 개선 방안을 조사한 결과, 학습 공간에서는 ‘협소한 책상’, ‘의자의 크기와 높이’, 지원 공간에서는 자기주도 학습 공간 및 스터디 카페의 ‘바퀴 부착 및 딱딱한 재질의 불편한 의자’, ‘소음 및 방음 문제’, ‘공간 유형의 단일화’에 대한 개선 사항과 도서실의 ‘비효율적인 좌석 배치’, ‘좌식 공간의 부족’과 같은 희망 개선 방안이 제시되었다. 공용 공간에서는 ‘협소한 규모’, ‘푹신한 좌석의 부재’, ‘수면 공간의 부재’, ‘놀거리나 먹을거리의 부재’가 희망 개선점으로 언급되었다. 이에 따라 제안된 개선 방안으로 학습 공간에서는 깔끔하고 산뜻한 색상으로의 벽 색상 교체, 커튼의 설치, 오랜 시간 착석해도 불편함이 없는 재질로의 의자 교체, 미끄럽지 않고 단조로운 패턴의 바닥재가 적용되어야 한다. 지원 공간에서는 좌석 간 간격의 확장 및 소음에 따른 공간 마련, 편안한 의자의 도입, 화분 비치, 개인 조명 마련이 사료되어야 한다. 공용 공간에서는 휴게실 개수 및 규모에 대한 확장이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누워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의 구획, 푹신한 좌석 증가, 화분 비치가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될 중, 고등학교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학점제형 공간 구성 방향을 제안할 수 있으며 고교학점제에 따른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구체적인 공간 요구 사항과 개선 방안을 살펴볼 수 있다. 더불어 학생 수 감소로 늘어나는 유휴 공간을 활용하거나 기존의 교내 공간을 공간 사용자의 개선 방안을 기반으로 학점제형 공간에서 학생의 웰빙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내 학점제형 공간의 적용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Starting in 2025, a new education system called the High-School-Credit-System is scheduled to be officially implement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roughout South Korea. Currently, this system has already been implemented in some leading schools and research schools. The High-School-Credit-System allows students to choose courses aligned with their career goals and aptitude and graduate once they meet specific credit completion criteria. To accommodate this new educational approach, internal school spaces have been restructured (referred to as credit-based spaces) and categorized into learning spaces, supporting spaces, and sharing spaces. Most of the research on the High-School-Credit-System was carried out before 2020,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its introduction. Despite a high level of interest in these changes to school spaces, there is a lack of detailed studies specifically discussing the transformations in school spaces resulting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School-Credit-System. Such a study is prudent prior to the system’s widespread adoption. This study analyzed credit-based spaces in Seoul high schools that have introduced the High-School-Credit-System, seeking to understand the needs and opinions of students, the primary users of these newly created credit-based spaces. In addition, this research identifies student-recommended improvement strategies for aspects of school spaces and proposes practical applications for these enhancements. The outcome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for new credit-based spaces as the High-School-Credit-System is expanded nationwide. This study selected three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that have implemented the High-School-Credit-System and agreed to cooperate with an investigation into their credit-based space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the following steps: (1) a review of existing studies and case studies, followed by image analysis of credit-based spaces within high schools implementing the High-School-Credit-System online platforms; (2) on-site case studies of credit-based spaces within high schools implementing the High-School-Credit-System, based on the findings and analyses obtained from online case studies; (3) a questionnaire survey to assess the satisfaction levels of space users (students) with credit-based spaces and to explore their desired improvements; (4) a Photovoice survey to identify suggestions for credit-based space improvements proposed by space users (students). The primar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the three types of credit-based spaces, students were most satisfied with learning spaces and least satisfied with sharing spaces.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reported for subject-specific classrooms, multipurpose rooms, and home-bases, while regular classrooms, libraries, and common rooms garnered the lowest satisfaction levels. Specifically, within learning spaces, regular classrooms had lower satisfaction in categories such as the effectiveness of natural elements and informativeness of classroom tags. For subject-specific classrooms, students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a lack of learning materials, desk arrangement, and desk design. For supporting spaces, students identified issues like noise and soundproofing problems and homogenization of learning spaces in self-directed learning spaces and study cafes, desk arrangement and design in multipurpose rooms, the small scale of libraries and meeting rooms and counseling rooms. For sharing spaces, dissatisfaction was noted in the space utilization and the size and arrangement of lockers in home-bases, and sleeping spaces, scale, and relaxation support facilities in common rooms.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for these aspects was below average, indicating a need for improvement. Furthermore, when comparing student satisfaction with credit-based spaces among three high school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This suggests systemic challenges and successes among schools that have implemented the High-School-Credit-System. Second,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nto desired improvements and suggested enhancements directly proposed by space users (students) for credit-based spaces revealed the following: In learning spaces, improvement points included “cramped desks” and “size and height of chairs”. In supporting spaces, such as self-directed learning spaces and study café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encompassed issues like “uncomfortable chairs with attached wheels and rigid materials”, “noise and soundproofing problems”, and “homogenization of space types”. For libraries, desired improvements included “inefficient seat arrangement” and “lack of sitting spaces”. In sharing spaces, highlighted improvement points were “cramped size”, “absence of plush seating”, “lack of sleeping spaces”, and “absence of entertainment or food options”.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included replacing wall colors with clean and refreshing tones, installing curtains, replacing chairs with comfortable materials suitable for prolonged sitting, and applying non-slip and simple- patterned flooring in learning spaces. In supporting spaces, recommended enhancements included expanding seating distances and creating spaces to address noise issues, introducing comfortable chairs, placing potted plants, and providing personal lighting. For sharing spaces, prioritized improvements involve expanding the number and size of common rooms, creating zones for reclining, and introducing plush seating, and incorporating potted plants. This study can propose directions for the design of credit-based spac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will be officially implemented from 2025. It can also examine users’ responses to credit-based spaces and identify specific spatial requirements and improvement measures associ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School-Credit-System in middle and high schools. Additionally, the study can explore ways to utilize the increasing unused space due to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or reconfigure existing school spaces based on user suggestions to enhance student well-being in credit- based spaces.

      • Essays on the effects of early school enrollment and legal drinking age on risky behaviors and health outcomes

        신유식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2 국내박사

        RANK : 232271

        본 논문은 취학 시기의 효과에 대한 연구와 청소년 음주 규제의 효과에 대한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취학 시기가 학생들의 건강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2장에서는 자녀의 취학 시기가 어머니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전이 효과에 대해 분석한다. 3장에서는 한국의 청소년 음주 정책이 개인의 음주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세계의 여러 나라들은 아동이 태어난 이후 몇 개월이 되었는지에 따라 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한다. 새 학기가 시작하는 시점에 최소 입학 연령을 가까스로 넘긴 아동이 바로 입학하는 경우, 반에서 나이가 가장 어린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한 불이익을 피하고자, 일부 부모는 해당 아동의 입학 시기를 1년 연기하는 선택을 한다. 이 경우, 해당 아동은 반에서 나이가 가장 많은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입학 시기의 선택이 아동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파악하기 위해 현재까지 다수의 실증 연구들이 실시되어 왔다. 1장은 취학 시기가 학생들의 건강위험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최소 입학 연령을 넘긴 아동이 입학을 미루지 않고 바로 입학하는 선택이 음주, 흡연, 성관계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한다. 분석을 위해, 우리나라 12월 출생자들이 1월 출생자들에 비해 학교에 1년 빠르게 입학하는 점을 이용한다. 12월 출생자들은 1월 출생자들에 비해 1년 빠르게 입학하지만, 반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어린 상태가 된다. 반면에, 1월 출생자들은 반에서 나이가 가장 많은 상태가 된다. 두 집단은 비슷한 시기에 출생했음에도, 외생적인 상황으로 인해 입학 시기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위의 효과를 추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회귀불연속 방법론을 사용하여 추정한 결과, 학교를 1년 빠르게 입학하는 것은 음주, 흡연 시작 시기를 앞당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년 빠르게 입학하는 것은 최근 30일 동안 음주, 흡연했을 확률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나타났다. 2장은 최소 입학 연령을 넘긴 아동이 바로 입학하는 선택을 하는 것이 어머니의 정신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한다. 다수의 문헌에 따르면, 해당 아동은 정서적, 신체적 발달 상태에 이점이 있는 급우들과 경쟁하기 때문에, 학업 성취도와 학교 적응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은 아동에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 구성원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가정의 주양육자인 어머니의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를 분석하는 위해 호주의 학교 입학 규정에 따라 발생되는 외생적인 상황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자녀의 1년 빠른 입학은 어머니의 불안감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질성 분석 결과, 이러한 영향은 여학생의 어머니와 소득이 낮은 가구의 어머니에게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응답을 통해 분석한 결과, 여학생과 소득이 낮은 가구의 학생인 경우, 실제로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에 1년 빠르게 입학하는 것이 아동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정신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3장은 한국의 청소년 음주 규제의 효과성에 대해 분석한다. 한국의 청소년 보호법에 따르면, 만 19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을 맞이하기 전까지는 청소년으로 규정되며, 주류 구입과 주류 판매 업소 출입이 제한된다. 이 정책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소위 빠른 년생 제도가 시행되던 시기의 1, 2월 출생자를 이용한다. 3월~12월생과 이듬해 1, 2월생은 같은 해에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같은 해에 고등학교를 졸업한다. 3월~12월생은 대학교 1학년이 되는 해의 1월 1일부터 청소년 음주 규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반면에, 이듬해 1, 2월생은 해당 연도에 여전히 음주 규제를 적용 받게 된다. 따라서, 해당 연도의 3월~12월생과 1, 2월생의 음주 행위를 비교하여 청소년 보호법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2월생이 음주 규제의 적용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음주 참여 여부와 횟수에 대해서 3~12월생과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first chapter, I investigate the impacts of early school enrollment on students’ risky health behaviors. In South Korea, those born in December begin school almost one year earlier than those born in January. Using a fuzzy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which exploits the school entry rule in South Korea, I find that early school entry leads students to begin drinking and smoking earlier. In addition, it increases the likelihood of drinking and smoking participation over the previous 30 days. However, early school entry has little impact on lifetime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The results of subgroup analysis indicate that my main findings are driven by both girls and boys. The robustness of my results is supported by the use of data from earlier years and various specifications. The second chapter examines the spillover effects of a child’s early school enrollment on their mother’s nervousness. Research has shown that early schooling may have an adverse impact on child development in the short run. If there is such an impact, it may spill over onto mothers,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mother’s mental well-being. To investigate the spillover effects, we utilize the data from the Longitudinal Study of Australian Children. A fuzzy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is exploited to explore the spillover impacts of a child’s early schooling. We find that a child’s early enrollment increases the level of their mother’s nervousness in the year their child becomes seven. The impact is primarily detected among mothers of girls and mothers from low-income households. Using the responses of the children, we provide suggestive evidence that girls and children from low-income households were suffering from early schooling, and that the impacts might spill over into their mothers. In the last chapter, I analyze the effects of the legal drinking age laws in South Korea on alcohol consumption. In South Korea, an individual is legally allowed access to alcohol from January 1st of the year they turn 19.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gulation effectively restricts alcohol consumption, I compare those who were born around January, but who vary in terms of their status with regard to legal access to alcohol during one specific year. I find no impacts of the regulation on participation in and frequency of alcohol consump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strict enforcement and sanctions need to accompany the policy to prevent youth from accessing alcohol.

      • Confucianism and its cultural impacts : a comparative study on middle school bullying between China and Japan

        Yunbo Bai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1 국내석사

        RANK : 232271

        School bullying has become a social problem all over the world. In recent years, the problem of bullying in middle schools in China has become more and more serious, and the severity of its consequences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Chinese government. In the 21st century, Japan is also one of the countries with serious school bullying problems. According to the theory of social ecological system, we can infer that the participants of school bullying are affected by various surrounding environmental factors. As a macro environmental factor, the culture in society has a subtle influence on students' cognition. As we all know, China and Japan are very close geographically and have conducted many cultural exchanges since ancient times. There are cultural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especially, the Confucian culture. So does this mean that the reason for the similar behavior of middle school’s bullying in China and Japan is that they are influenced by the similar Confucian culture? Therefore, this paper will take the participants of bullying on middle schools in China and Japan as the research objects, and mainly analyze the cultural reasons of middle school’s bullying in both countries. Comparative research methods, case analysis methods,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the main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article. The second chapter of the thesis first introduces the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Confucian cultures, especially in four aspects: shame culture, harmonious culture, collectivism and family culture. At the same time, it introduces the new development of these four cultures in the two countries and the impacts on the current Chinese and Japanese society. The third chapter of the thesis lists cases of bullying in middle schools in China and Japan, and carefully analyzes the psychology of the participants. It is found that although the behaviors of bullying participants in Chinese and Japanese schools are similar, they have different starting points. Therefore, the fourth chapter further analyzes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three roles in the phenomenon of school bullying in China and Japan, as well as the social and cultural reasons that affect the psychological factors.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methods, it is found that the different Confucian cultures in Chinese and Japanese societies have different impacts on the psychology. Although these factors are derived from traditional Confucian culture, they already have had special new developments in China and Japan. Therefore, this article concludes that although the phenomenon of school bullying in China and Japan seems to be the same, the Confucian culture of China and Japan has had impacts on school bullying in China and Japan respectively. Exploring the cultural background of school bullying in China and Japan can enable us to better understand the causes of school bullying and provide some ideas for the future countermeasures of school bullying in the two countries. It has important reference value for the further prevention of school bullying. At the same time, although Confucian culture has its meaning as a traditional culture, it still requires us that in the future China and Japan should constantly reflect on traditional culture, adjusting the traditional culture to new social needs, and better guide people's lives at the level of consciousness.

      • Individual Learners' Attitude, Motivation and Listening Proficiency in Secondary EFL Classroom in Korea

        최갑균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gang University 2002 국내석사

        RANK : 232271

        본 연구는 한국 중·고등학생들의 영어학습에 대한 태도와 동기와 듣기 능력 사이에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규명되어야 할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1. 한국 중·고등학교 영어학습자들의 영어학습동기는 어떤 요인들이 있는가 2. 중·고등학교에서 성별과 학년들 사이에 미국인에 대한 태도와 영어학습태도에는 각각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가 3. 태도와 동기 수준과 듣기 능력 점수사이에 각각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가 4. 태도와 동기 요인 과 듣기 능력 점수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에 있는 중·고등학생 7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사용된 도구는 설문지와 영어듣기 평가였다. 설문지는 Gardner, R.C.와 Lambert, W.E. (1972)의 “Attitude and Motivation Test Battery"에서 인용하여 Lee (1996a)와 Do¨rnyei (1990)가 발전시킨 설문지이고, 듣기 능력 평가는 전국 15개 시·도 교육청이 연합으로 실시하는 듣기 평가 문제를 활용하였다. 표집 된 자료는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t 검증, 상관분석, 요인분석을 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 1. 이 특수한 상황에서 6개의 동기 동인이 추출되었고 그들은 내적 동기, 중요성, 통합적 동기, 외적동기, 의사소통 그리고 실용성이었다. 2. 한국 중·고등학교 학생들은 영어가 좋은 직업을 얻는 데 필수적이며, 영어가 세계공통어이고, 영어가 어느 분야에서나 중요하고, 영어가 필수 과목이라는 것을 믿고 있으며, 이것은 한국 중·고등학생들은 영어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 동기성향 가운데 중·고등학교에게 듣기 능력 점수와 높은 상관이 있는 공통된 항목은 ‘영어를 좋아한다’는 항목이고, 중학교 1·2학년 학생들은 ‘영어의 중요성’이, 고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은 ‘친구를 사귀기 위해서’와 ‘영어를 좋아하기 때문’이라는 항목이 듣기 능력과 높은 상관이 있었다. 4. 대체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은 내적 동기와 중요성과 관련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은 내적 동기, 중요성, 외적동기, 의사소통 과 실용성과 관련하여 영어 공부를 한다. 반면에,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은 의사소통과 관련하여,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은 중요성과 실용성과 관련하여 영어공부를 한다. 5. 미국인에 대한 태도와 영어학습에 대한 태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6. 학년사이에 미국인과 영어학습에 대한 태도에 큰 차이를 나타내었고 특히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은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미국인과 영어학습에 대하여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7. 영어 듣기능력의 상·하 집단에 따른 영어학습에 대한 태도는 상·하 집단사이에 커다란 차이가 있었다. 8. 동기와 태도 변인들은 듣기능력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으며 영어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학생들이 또한 동시에 영어학습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9. 듣기 능력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변인은 영어학습태도이고 그 다음으로는 영어학습 동기이고 미국인에 대한 태도는 거의 상관관계가 없었다. 다시 말하면, 영어학습에 대한 태도가 가장 중요하였다. 10. 중학교 학생들이 고등학생들보다 동기요인과 듣기 능력 사이에 더 높은 상관이 있다.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동기요인과 듣기능력사이에 더 높은 상관이 있다. 동기요인과 듣기능력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순서는 내적 동기요인, 중요성요인, 실용성요인, 의사소통요인, 통합적요인 순서이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of individual Learners' Attitude, Motivation and Listening Proficiency in Secondary EFL Classroom in Korea. The research question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factors affect in learning English motivation of learners in secondary school?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American and learning English between gender, and among grades in secondary school? 3.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attitude/motivation and the score of a listening proficiency test? 4.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motivation factors and the score of a listening proficiency test?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17 students of secondary school in Kyonggi Province area.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 questionnaire and an English listening proficiency test. The former was one adapted from “Attitude and Motivation Test Battery" (Lambert, W.E. and Gardner, R.C. 1972) and developed by Lee (1996a) and D?rnyei (1990). The latter was an English listening proficiency test supervised by National 15 municipal and provincial Board of Education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WIN program. The statistical tests used for the analysis were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rom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1. The study shows that six motivational orientation factors were retained in this particular context and they were intrinsic motivation, importance, integrative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communication, and practicality. 2.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believe that English is essential to get a good job, English is the world common language, English is important in any field, and English is a required subject. This means that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are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English. 3. Among motivational orientations, the common items that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listening proficiency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are liking English; for the first and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is the importance of English; for the first and second high school students are making friends and liking English. 4. Wholly the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study English related with intrinsic motivation and importance and the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study English related with intrinsic motivation, importance, extrinsic motivation, communication, and practicality. On the other hand, the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study English related with communication and the second year high school students study English related with importance and practicality. 5. The female students have more a positive attitude than the male counterparts toward American and learning English. 6.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 especially the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show a striking difference. The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have a favorable attitude toward American and learning English. 7. There was the greatest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learning English between the high and low level group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level of score of listening proficiency test. 8. Motivational and attitudinal variables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score of listening proficiency, and the students who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learning English also have a negative attitude toward learning English at the same time. 9. The variable that has the closest relationship with listening proficiency is the attitude toward learning English, and the next variable is the learning English motivation, and the attitude toward American have few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listening proficiency. That is to say, it shows that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learning is very important. 10. The middle school students have higher levels of correlation between motivation factors and listening proficiency than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female students have higher levels of correlation between motivation factors and listening proficiency than the male students. The order of the correlation levels between motivation factors and listening proficiency showed intrinsic motivation factor is the highest correlation level and follows importance factor, practicality factor, communication factor, and integrative factor.

      • Effects of parent involvement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in Fiji

        Vuniani Nakatabula Vasu Graduate School of Government, Business, and Entre 2021 국내석사

        RANK : 232271

        연구는 피지의 Vanuabalavu에 있는 Adi Maopa 중학교에서 중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부모의 개임이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 연령, 형제 자매 수, 학력, 가계 소득, 부모의 취업 상태와 같은 부모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학생의 학업 성취도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또한 성별 및 영어 능력과 같은 학생 요소에 중점을 두었다. 이와 함께 부모의 관여(양육, 학교와의 소통, 가정에서의 학습, 지역사회와의 협업)의 일부 측면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도 초점을 맞췄다. 연구 샘플은 Adi Maopa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0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학생들을 관찰하기 위해 학생과 학부모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학생과 학부모 모두에게 두 세트의 서로 다른 설문지가 제공되었으며, 데이터는 빈도, 카이-제곱, 상관 관계 및 로지스틱 회귀를 통해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부모 연령, 교육 수준, 고용 상태와 같은 요인이 부모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보였더라도 모든 부모의 사회학적 요소와 학생 요소가 더 나은 학업 성취도를 예측한다는 것을 밝혀내지 못했다. 하지만, 이 연구는 부모들의 참여와 학생들의 학업 성취 사이의 강한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정부가 정책 개혁을 통해 부모들의 참여를 강화하고 부모들의 개입을 개선하기 위한 워크숍을 구성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학부모들에게, 야간 통행금지를 설정하고, 밖에서 노는 아이들의 시간, TV 시청 시간, 휴대전화 사용 시간, 컴퓨터 사용 시간을 감시하고, 출석률을 감시하고, 취침시간을 통제하고, 학교 규율과 규칙을 지원하는 것이 적극 권장된다. 이와 함께 학교 행정부는 학부모 참여를 막는 장벽(근무 시간에 학부모-교사 회의를 조직하고, 학부모에게 충분한 신뢰를 주지 않는 등)을 제거하고 투명하게 학교 자금을 관리하고 교내 문제에 대해 우려를 표하는 학부모를 따뜻하게 환영해야 한다. 이것은 부모들이 그들의 자녀 교육에 관여할 모든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할 것이다. 다른 하나는 학교장이 학교 프로그램과 진도에 대해 학교-가정 간, 가정-학교 간 의사소통 방법의 질적이고 효과적 활용을 보장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지방정부는 학교, 학부모, 지역사회가 긍정적인 소통의 기회를 더 많이 만들어야 한다. 대부분의 권고안은 학부모와의 워크숍 실시를 요구하기 때문에, 중앙정부는 각 학년 내에 학교장이 학부모에게 제공해야 하는 학부모 참여 형식에 대한 커리큘럼을 설계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다. 이를 통해 학부모 대다수가 자녀 학업성취도에서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This research explored the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t Adi Maopa Secondary School in Vanuabalavu, Fiji.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age, number of siblings,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and parent’s employment statu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has been studied. Also it focused on student factors such as gender, English proficiency, attitude and term 1 exam result. Together with this, the study also concentr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me aspects of parental involvement (parenting, communicating with the school, learning at home, collaborating with the community) and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00 students attending Adi Maopa Secondary school and to observe these students, the survey was carried out to the 100 students themselves and their parents. Two sets of different questionnaire were given to both students and parents for the collection of data which were then analyzed through frequencies, chi-square, correlations and Logistic regression. This study did not reveal that all parents’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student factors predict better academic achievement even if a factor like parent’s age,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student’s attitude and student’s early exam result seemed to have an impact on them. However, the study revealed a strong connection between parental involvement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y recommends that the government strengthens parents’ involvement through policy reforms and organizes workshops to improve parental involvement. For parents, it is highly suggested to set curfews, monitor the children time of playing outside, TV watching hours, phones, computer; monitor attendance; control children bedtime and support the school discipline plan and rules. Together with this, schools’ administrations must try to eliminate barriers that prevent parental involvement, (organizing parents-teachers’ meetings at working hours, not giving enough credit or consideration to parents…), manage transparently the schools’ funds and warmly welcome parents who show concerns about the school matters. This will let parents know that they have all the rights to be involved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The other one is that school heads must ensure to utilise quality and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s from school-to-home and from home-to-school about school programs and progress.Also the local government, must create more opportunities for positive communication among the school, parents, and community. Since most recommendations requires workshops to parents, therefore it is highly suggested that the central government must design a curriculum on parent involvement types that needs to be addressed by school heads to parents within each academic year. This will allow majority of the parents to understand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their children academic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