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performance of economics graduate students, Korea University : who is a good human capital in graduate school?

        김경현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0 국내석사

        RANK : 232287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do determine a prediction model for selecting graduate students in economics area. Although economic graduate course in South Korea is similar to the one in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examine a student performance. Athey, Katz, Krueger, Levitt and Poterba(2007), who studied a research on economics graduate school of the United States, even said that economists devote considerable effort to graduate students education but have conducted relatively little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f student performance or placement in the job market. As the authors' opinion, a study on performance of graduate students should be an important and urgent problem. But this paper is not concerned here with the determinants of student performance in labor market, the study will be supplemented by previous studied in section Ⅱ.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 firstly, to do a study on human capital in economics, secondly, to do a study on a group of the highest education level, and thirdly, to do a prediction on graduate students performance using pre-admission data of applicants. By analyzing this paper, we examine the sequentiality between economics required subject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course. And the paper can be concerned with what factors have an effect on economic graduate performance. It is important for selection process of pre-admission to cultivate outstanding scholars in graduate school. Hence, th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screening graduate students in admissions committee.

      • Essays on the effects of early school enrollment and legal drinking age on risky behaviors and health outcomes

        신유식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2 국내박사

        RANK : 232271

        본 논문은 취학 시기의 효과에 대한 연구와 청소년 음주 규제의 효과에 대한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취학 시기가 학생들의 건강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2장에서는 자녀의 취학 시기가 어머니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전이 효과에 대해 분석한다. 3장에서는 한국의 청소년 음주 정책이 개인의 음주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세계의 여러 나라들은 아동이 태어난 이후 몇 개월이 되었는지에 따라 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한다. 새 학기가 시작하는 시점에 최소 입학 연령을 가까스로 넘긴 아동이 바로 입학하는 경우, 반에서 나이가 가장 어린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한 불이익을 피하고자, 일부 부모는 해당 아동의 입학 시기를 1년 연기하는 선택을 한다. 이 경우, 해당 아동은 반에서 나이가 가장 많은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입학 시기의 선택이 아동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파악하기 위해 현재까지 다수의 실증 연구들이 실시되어 왔다. 1장은 취학 시기가 학생들의 건강위험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최소 입학 연령을 넘긴 아동이 입학을 미루지 않고 바로 입학하는 선택이 음주, 흡연, 성관계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한다. 분석을 위해, 우리나라 12월 출생자들이 1월 출생자들에 비해 학교에 1년 빠르게 입학하는 점을 이용한다. 12월 출생자들은 1월 출생자들에 비해 1년 빠르게 입학하지만, 반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어린 상태가 된다. 반면에, 1월 출생자들은 반에서 나이가 가장 많은 상태가 된다. 두 집단은 비슷한 시기에 출생했음에도, 외생적인 상황으로 인해 입학 시기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위의 효과를 추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회귀불연속 방법론을 사용하여 추정한 결과, 학교를 1년 빠르게 입학하는 것은 음주, 흡연 시작 시기를 앞당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년 빠르게 입학하는 것은 최근 30일 동안 음주, 흡연했을 확률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나타났다. 2장은 최소 입학 연령을 넘긴 아동이 바로 입학하는 선택을 하는 것이 어머니의 정신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한다. 다수의 문헌에 따르면, 해당 아동은 정서적, 신체적 발달 상태에 이점이 있는 급우들과 경쟁하기 때문에, 학업 성취도와 학교 적응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은 아동에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 구성원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가정의 주양육자인 어머니의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를 분석하는 위해 호주의 학교 입학 규정에 따라 발생되는 외생적인 상황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자녀의 1년 빠른 입학은 어머니의 불안감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질성 분석 결과, 이러한 영향은 여학생의 어머니와 소득이 낮은 가구의 어머니에게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응답을 통해 분석한 결과, 여학생과 소득이 낮은 가구의 학생인 경우, 실제로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에 1년 빠르게 입학하는 것이 아동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정신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3장은 한국의 청소년 음주 규제의 효과성에 대해 분석한다. 한국의 청소년 보호법에 따르면, 만 19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을 맞이하기 전까지는 청소년으로 규정되며, 주류 구입과 주류 판매 업소 출입이 제한된다. 이 정책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소위 빠른 년생 제도가 시행되던 시기의 1, 2월 출생자를 이용한다. 3월~12월생과 이듬해 1, 2월생은 같은 해에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같은 해에 고등학교를 졸업한다. 3월~12월생은 대학교 1학년이 되는 해의 1월 1일부터 청소년 음주 규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반면에, 이듬해 1, 2월생은 해당 연도에 여전히 음주 규제를 적용 받게 된다. 따라서, 해당 연도의 3월~12월생과 1, 2월생의 음주 행위를 비교하여 청소년 보호법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2월생이 음주 규제의 적용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음주 참여 여부와 횟수에 대해서 3~12월생과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first chapter, I investigate the impacts of early school enrollment on students’ risky health behaviors. In South Korea, those born in December begin school almost one year earlier than those born in January. Using a fuzzy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which exploits the school entry rule in South Korea, I find that early school entry leads students to begin drinking and smoking earlier. In addition, it increases the likelihood of drinking and smoking participation over the previous 30 days. However, early school entry has little impact on lifetime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The results of subgroup analysis indicate that my main findings are driven by both girls and boys. The robustness of my results is supported by the use of data from earlier years and various specifications. The second chapter examines the spillover effects of a child’s early school enrollment on their mother’s nervousness. Research has shown that early schooling may have an adverse impact on child development in the short run. If there is such an impact, it may spill over onto mothers,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mother’s mental well-being. To investigate the spillover effects, we utilize the data from the Longitudinal Study of Australian Children. A fuzzy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is exploited to explore the spillover impacts of a child’s early schooling. We find that a child’s early enrollment increases the level of their mother’s nervousness in the year their child becomes seven. The impact is primarily detected among mothers of girls and mothers from low-income households. Using the responses of the children, we provide suggestive evidence that girls and children from low-income households were suffering from early schooling, and that the impacts might spill over into their mothers. In the last chapter, I analyze the effects of the legal drinking age laws in South Korea on alcohol consumption. In South Korea, an individual is legally allowed access to alcohol from January 1st of the year they turn 19.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gulation effectively restricts alcohol consumption, I compare those who were born around January, but who vary in terms of their status with regard to legal access to alcohol during one specific year. I find no impacts of the regulation on participation in and frequency of alcohol consump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strict enforcement and sanctions need to accompany the policy to prevent youth from accessing alcohol.

      • Determinants of school dropout in the rural areas from Honduras : implications for government policies

        Thuman, Samir Guillermo Flore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Korea Un 2012 국내석사

        RANK : 232271

        The school dropout issue is present at all educational stages and in all countries, however the issue is more complex and significant in Less Developed Countries (LDCs) or Developing Countries where the economic conditions are not entirely favorable. In Honduras more than half of the population is located in the rural areas; setting on which most of the people are living under extreme poverty. The conditions of basic education in the rural areas are unstable; more than 70 per cent of schools are managed by one or two professors. In Honduras the educational systems share the following features: insufficient coverage of primary education, increased access to basic education, and little capacity to retain both the primary and secondary levels. Consequently, the school dropout phenomena is linked to low levels of learning the basic content taught by professors, limited access to schools, school material, qualified teachers, as well as issues like poverty and school distance; which slows the development of the skilled children´s at their early age. Its negative effects are gathered throughout the school year, affecting disproportionately the opportunities of improving their welfare and wellbeing, especially among the poorest sectors slowing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society and the country as a whole. School dropout have a direct impact on the society which suffer consequences when students drop out from school, the costs to society in terms of lost tax revenue and the expense of government assistance programs for employment, housing, medical care, and imprisonment represent a significant percentage of the countries budget. The document focal point is the analysis of the main causes of school dropout that take place in the rural areas of Honduras; the analysis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forced students to take the decision of dropping out from school. Identifying these causes will allow the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that will reduce school dropout, making children’s continue and finish school; give them higher levels of education, better employment generation which symbolize higher future earnings to keep their families out of poverty and improving their living standards. The most relevant findings based on the analysis done and the data collected were that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the causes of school dropout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children to dropout from school in the rural areas from Honduras is a complex but not an unfeasible assignment; mainly because many other areas of the education system in Honduras, school dropout is subjective to and affected by a variety of pers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However with the theoretical review made to identify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on school dropout gave some valuable approach to identify the starting point of the school dropout phenomenon in the rural areas from Honduras and at the same time it gave a possible explanation which determine what will be the best solution to reduce and control school dropout.

      • (An) analysis on student's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strategies for credit-based spaces : focusing on the high schools with the high-school-credit-system in Seoul

        장시영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4 국내석사

        RANK : 232271

        2025년부터 전국의 중고등학교에 본격적으로 새로운 교육 체제인 고교학점제가 도입될 예정이며 이는 현재 선도 학교 및 연구 학교에서 부분적으로 시행 중에 있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스스로 진로와 적성에 맞게 수강하고자 하는 과목을 선택하고 일정한 학점 이수 기준에 도달하면 졸업이 가능한 제도로 변화된 교육과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재구조화된 교내 공간을 학점제형 공간이라 일컬으며 학습 공간, 지원 공간, 공용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 고교학점제에 관한 연구는 2020년 이전인 고교학점제 도입 초기에 진행되었다는 시기적 한계점을 가지며, 고교학점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전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교 공간의 변화에 대한 관심은 높음에도 불구하고 고교학점제 시행으로 인한 학교 교내 공간 변화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논의된 연구는 부족하다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인하여 조성된 서울특별시 고등학교의 학점제형 공간에 대해 분석하고, 이 공간의 사용자인 학생을 대상으로 새롭게 조성된 학점제형 학교 공간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사항을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학생이 개선을 요구하는 교내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계획 요소에 대한 개선 방안을 파악하고 적용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추후 고교학점제가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적용되었을 때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디자인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학점제형 공간을 계획할 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중 연구 협조에 응해준 고교학점제를 시행하고 있는 3개의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해당 학교의 학점제형 공간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방법은 (1) 선행 연구 및 사례 조사를 진행한 후,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고교학점제 시행 고등학교의 교내 학점제형공간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2) 고교학점제 시행 고등학교의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현장 답사 사례 조사를 진행하여 온라인 사례 조사에서 조사 및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현장 답사 사례 조사를 진행하였다. (3) 기술형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교내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공간 사용자(학생)의 만족도 및 희망 개선 사항을 조사하였다. (4) Photovoice 연구 방법을 통하여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공간 사용자(학생)에 의하여 제안된 공간 개선 방안을 파악하였다. 위 네 가지 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도출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 학점제형 공간에서 학습 공간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공용 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도출되었다. 각 공간 마다 교과 교실, 다목적실, 홈베이스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일반 교실, 도서실, 휴게실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학습 공간 중 일반 교실의‘자연적 요소가 주는 효과’, ‘교실 표찰에 대한 정보성’, 교과 교실의 ‘학습 교구 부족’, ‘책상 배치’, ‘책상의 디자인’, 지원 공간 중 자기주도 학습 공간 및 스터디 카페의 ‘소음 및 방음 문제’, ‘학습 공간의 단일화’, 다목적실의 ‘책상의 배치와 디자인’, 도서실의 ‘작은 규모’, 회의실 및 상담실의 ‘규모’, 공용 공간 중 홈베이스의‘공간 사용 목적’, ‘사물함 크기 및 배치’, 휴게실의 ‘수면 공간’, ‘규모,’ ‘휴식 지원 수단’에 대하여 평균 이하의 만족도 결과가 도출되어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세 개의 고등학교에 대한 학점제형 공간의 만족도를 비교해보았을 때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학점제형 공간을 도입한 고등학교의 학생들의 교내 공간에 대한 만족도는 비슷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교내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희망 개선점과 공간 사용자(학생)가 직접 제안한 개선 방안을 조사한 결과, 학습 공간에서는 ‘협소한 책상’, ‘의자의 크기와 높이’, 지원 공간에서는 자기주도 학습 공간 및 스터디 카페의 ‘바퀴 부착 및 딱딱한 재질의 불편한 의자’, ‘소음 및 방음 문제’, ‘공간 유형의 단일화’에 대한 개선 사항과 도서실의 ‘비효율적인 좌석 배치’, ‘좌식 공간의 부족’과 같은 희망 개선 방안이 제시되었다. 공용 공간에서는 ‘협소한 규모’, ‘푹신한 좌석의 부재’, ‘수면 공간의 부재’, ‘놀거리나 먹을거리의 부재’가 희망 개선점으로 언급되었다. 이에 따라 제안된 개선 방안으로 학습 공간에서는 깔끔하고 산뜻한 색상으로의 벽 색상 교체, 커튼의 설치, 오랜 시간 착석해도 불편함이 없는 재질로의 의자 교체, 미끄럽지 않고 단조로운 패턴의 바닥재가 적용되어야 한다. 지원 공간에서는 좌석 간 간격의 확장 및 소음에 따른 공간 마련, 편안한 의자의 도입, 화분 비치, 개인 조명 마련이 사료되어야 한다. 공용 공간에서는 휴게실 개수 및 규모에 대한 확장이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누워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의 구획, 푹신한 좌석 증가, 화분 비치가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될 중, 고등학교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학점제형 공간 구성 방향을 제안할 수 있으며 고교학점제에 따른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구체적인 공간 요구 사항과 개선 방안을 살펴볼 수 있다. 더불어 학생 수 감소로 늘어나는 유휴 공간을 활용하거나 기존의 교내 공간을 공간 사용자의 개선 방안을 기반으로 학점제형 공간에서 학생의 웰빙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내 학점제형 공간의 적용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Starting in 2025, a new education system called the High-School-Credit-System is scheduled to be officially implement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roughout South Korea. Currently, this system has already been implemented in some leading schools and research schools. The High-School-Credit-System allows students to choose courses aligned with their career goals and aptitude and graduate once they meet specific credit completion criteria. To accommodate this new educational approach, internal school spaces have been restructured (referred to as credit-based spaces) and categorized into learning spaces, supporting spaces, and sharing spaces. Most of the research on the High-School-Credit-System was carried out before 2020,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its introduction. Despite a high level of interest in these changes to school spaces, there is a lack of detailed studies specifically discussing the transformations in school spaces resulting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School-Credit-System. Such a study is prudent prior to the system’s widespread adoption. This study analyzed credit-based spaces in Seoul high schools that have introduced the High-School-Credit-System, seeking to understand the needs and opinions of students, the primary users of these newly created credit-based spaces. In addition, this research identifies student-recommended improvement strategies for aspects of school spaces and proposes practical applications for these enhancements. The outcome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for new credit-based spaces as the High-School-Credit-System is expanded nationwide. This study selected three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that have implemented the High-School-Credit-System and agreed to cooperate with an investigation into their credit-based space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the following steps: (1) a review of existing studies and case studies, followed by image analysis of credit-based spaces within high schools implementing the High-School-Credit-System online platforms; (2) on-site case studies of credit-based spaces within high schools implementing the High-School-Credit-System, based on the findings and analyses obtained from online case studies; (3) a questionnaire survey to assess the satisfaction levels of space users (students) with credit-based spaces and to explore their desired improvements; (4) a Photovoice survey to identify suggestions for credit-based space improvements proposed by space users (students). The primar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the three types of credit-based spaces, students were most satisfied with learning spaces and least satisfied with sharing spaces.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reported for subject-specific classrooms, multipurpose rooms, and home-bases, while regular classrooms, libraries, and common rooms garnered the lowest satisfaction levels. Specifically, within learning spaces, regular classrooms had lower satisfaction in categories such as the effectiveness of natural elements and informativeness of classroom tags. For subject-specific classrooms, students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a lack of learning materials, desk arrangement, and desk design. For supporting spaces, students identified issues like noise and soundproofing problems and homogenization of learning spaces in self-directed learning spaces and study cafes, desk arrangement and design in multipurpose rooms, the small scale of libraries and meeting rooms and counseling rooms. For sharing spaces, dissatisfaction was noted in the space utilization and the size and arrangement of lockers in home-bases, and sleeping spaces, scale, and relaxation support facilities in common rooms.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for these aspects was below average, indicating a need for improvement. Furthermore, when comparing student satisfaction with credit-based spaces among three high school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This suggests systemic challenges and successes among schools that have implemented the High-School-Credit-System. Second,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nto desired improvements and suggested enhancements directly proposed by space users (students) for credit-based spaces revealed the following: In learning spaces, improvement points included “cramped desks” and “size and height of chairs”. In supporting spaces, such as self-directed learning spaces and study café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encompassed issues like “uncomfortable chairs with attached wheels and rigid materials”, “noise and soundproofing problems”, and “homogenization of space types”. For libraries, desired improvements included “inefficient seat arrangement” and “lack of sitting spaces”. In sharing spaces, highlighted improvement points were “cramped size”, “absence of plush seating”, “lack of sleeping spaces”, and “absence of entertainment or food options”.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included replacing wall colors with clean and refreshing tones, installing curtains, replacing chairs with comfortable materials suitable for prolonged sitting, and applying non-slip and simple- patterned flooring in learning spaces. In supporting spaces, recommended enhancements included expanding seating distances and creating spaces to address noise issues, introducing comfortable chairs, placing potted plants, and providing personal lighting. For sharing spaces, prioritized improvements involve expanding the number and size of common rooms, creating zones for reclining, and introducing plush seating, and incorporating potted plants. This study can propose directions for the design of credit-based spac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will be officially implemented from 2025. It can also examine users’ responses to credit-based spaces and identify specific spatial requirements and improvement measures associ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School-Credit-System in middle and high schools. Additionally, the study can explore ways to utilize the increasing unused space due to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or reconfigure existing school spaces based on user suggestions to enhance student well-being in credit- based spaces.

      •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mental health intervention in poor area of Peru : focused on suicide attempt

        김하윤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국내박사

        RANK : 232271

        Kore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and Yonsei Global Health Center was carried out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with the main goal of preventing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using the effect of a school-based mental health intervention in a poor urban area in Peru, as part of an ODA project by the KOICA.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peration and factors affecting on suicide attempt. Utilizing mixed methods and based on the PRECEDE-PROCEED model, the current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through KOICA’s ODA program in impoverished areas of Peru. In order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adolescent mental health in the target area, social factors, epidemiological factors, behavioral & environmental factors, educational & ecological factors, and administrative & policy factors were assessed. Then, the operation effect of the 2015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analyzed by several areas, including process, impact, and outcome evaluation. In order to do this, the results of the pre-intervention survey conducted with a stratified random sample of 768 individuals and the post-intervention survey conducted with a stratified random sample of 738 individuals, were analyz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64 individuals, including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psychologis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ch provided a complementary explanation of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e effectiveness evaluation. First, in order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adolescent mental health, social factor, epidemiological factor, behavioral factor, environmental factor, educational factor, ecological factor, and administrative factor, policy factor were assessed.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were compared with Global School-based Student Health Survey by WHO, which showed that more higher of repeated suicide attempt, suicide ideation, drug use, sexual intercourse, involvement in fights more than 4 times and a lower level of parental understanding. Second, the operation effect of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analyzed by process evaluation.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average health knowledge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among all of the 15 topics, including mental health education, smoking・alcohol consumption・drug prevention education, and sex education. Qualitative analysis showed a positive change in the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health knowledge and learning attitude. The qualitative analysis confirmed that participa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content, in particular the health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the family workshop program. Third, the operation effect of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analyzed by impact evaluation. Analysis of the predisposing factors showed confirmed positive change in the stage of behavior change regarding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Analysis of reinforcing factors confirmed the program’s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s with peers. Analysis of enabling factors confirmed the effect of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on the experience of acquiring information regarding health risk behaviors such as smoking, alcohol consumption, drug use, and sexual intercourse. Fourth, the operation effect of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analyzed by outcome evaluation. This confirmed the effect of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program on the decrease of adolescent suicide attempt. Fifth,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psychological factor, environmental factors, health risk behaviors, reinforcing factors, and enabling factors on the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 was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at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e attempt when the reinforcing factor variable regarding parental affection was included in the model. Consequentially, Peru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of KOICA improved the adolescents’ health knowledge, intention of behavior change, ability to acquire health information, bond within the family through the improvement of parental affe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Furthermore, the program was validat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diminishing the adolescent experience of smoking, drug use, sexual intercourse, feeling insulted, depression and suicide attempt. In particular, the variable of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e attempt when the variable regarding parental affection was included in the model. Also, in the pre-intervention model, the degree of parental affection that influence suicide attempts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suicide attempts in pre and post intervention models. In conclusion, in order to the activities made success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s to be successful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must be include in the school’s annual agenda and school regulations through agreement between the recipient country’s Ministry of Health, Ministry of Education, and local governments. Furthermore utilizing local school teachers as sources of health education can elevate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gram, considering the lack of manpower in health education among developing countries. Teachers capacity could be improve by providing training about the health education. And also a school health education manual for teachers as well as an education material for students will be necessary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gram. 일반적으로 청소년기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건강한 집단으로 분류되지만, 현재 전 세계 약 20%에 달하는 청소년들이 정신건강과 관련된 문제를 겪고 있다. 오늘날 청소년들은 개인적 수준과 사회적 수준에서 신체적, 정신적으로 큰 변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페루와 같은 개발도상국가에서는 그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페루 도시빈곤지역은 페루국립정신건강연구소 역학조사 결과(2013) 및 WHO에서 페루 전역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Global School-based Student Health Survey(2010) 결과와 비교하여 연간 자살생각 경험과 자살시도 경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KOCIA에서 2014년도부터 시행중인 페루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의 운영효과를 평가하고, 특히 자살시도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PRECEDE-PROCEED 모형을 바탕으로 혼합연구방법을 통해 KOICA에서 페루 도시빈곤지역의 ODA 사업으로 시행한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 청소년 정신건강 실태 파악을 위한 사회적 요인, 역학적 요인, 행위적・환경적 요인, 교육학적・생태학적 요인, 행정적・정책적 요인을 사정하였다. 이후 양적 연구에서 2015년도 실시된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효과를 과정, 영향, 결과 평가영역 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무작위 층화표본 추출된 사전조사 768명과 사후조사 73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학부모, 교사, 심리상담사 총 6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양적인 효과 평가 결과를 보완적으로 설명하였다. 첫째, 학교 청소년 정신건강 실태 파악을 위한 사회적 요인, 역학적 요인, 행위적・환경적 요인, 교육학적・생태학적 요인, 행정적・정책적 요인을 사정하였다. 그 결과 WHO의 Global School-based Student Health Survey 결과와 비교하여 최근 12개월 동안 2회 이상 반복된 자살시도 경험, 자살생각 경험, 마약 경험, 성경험, 4회 이상 폭력사용 빈도가 더 높았고, 부모의 이해정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효과를 과정 평가 영역에서 분석한 결과, 건강지식의 경우 정신건강교육, 흡연・음주・마약예방교육, 성교육 총 15개 주제 모두에서 건강지식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습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나, 건강지식 향상과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확인하였다. 프로그램 만족도의 경우, 양적 연구에서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 평균 만족도가 4점 이상으로 대체로 만족한 것을 확인하였고, 질적 연구에서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 보건교육 및 심리상담, 가족 워크샵 프로그램에 대체로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효과를 영향 평가 영역에서 분석한 결과, 소인요인에서 청소년 흡연, 음주에 대한 행동변화단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을 확인하였다. 강화요인에서는 또래 친구 관계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부모와의 유대감 및 의사소통 향상과 함께 부모의 이해 정도, 부모의 애정표현 정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촉진요인에서는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이 흡연, 음주, 마약, 성관계 등 건강위해행위에 대한 정보습득 경험 향상에 효과가 있었고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에게도 정보습득의 기회를 제공한 것을 확인하였다. 건강위해행위에 대하여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 흡연과 마약 행동, 성경험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환경요인에서는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이 모욕경험 감소에 효과가 있었으나 가정 내 신체적 학대나 부모간의 폭력 감소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신건강상태에서 청소년의 우울감 감소, 주관적 건강상태 및 주관적 행복도 향상에 효과가 나타났으나, 자살생각의 감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넷째,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효과를 결과 평가 영역에서 분석한 결과,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자살시도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그램 참여 여부와 정신건강상태, 환경요인, 건강위해행위, 강화요인, 촉진요인이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살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 실시 여부, 우울감 경험, 주관적 행복도, 흡연 경험, 성경험, 폭력사용 경험, 부모의 애정표현 정도, 성별(남자)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 실시 여부가 강화요인인 부모의 애정표현 변수가 포함되었을 때 자살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KOICA의 페루 학교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건강지식 향상, 행동변화 의지 향상, 건강정보습득 능력을 향상시키고, 부모의 이해와 부모의 애정표현 향상을 통한 유대감을 향상시키며, 흡연, 음주, 마약, 성경험, 모욕당한경험, 우울감, 자살시도 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개입 프로그램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프로그램의 실시 여부는 도시빈곤지역 청소년의 자살시도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회귀모형에서 부모의 애정표현 변수가 포함되었을 때 자살시도에 대한 프로그램 실시 여부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청소년 자살행동이 주요한 사회적지지원인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의미하며, 청소년기 부모와의 의견 불일치, 부모와의 감정적 차이, 부모의 태도, 개방적 의사소통의 결여 등이 자살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개입프로그램에는 부모와 자녀가 함께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좀 더 효과적인 개입 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학교 중심의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KOICA 사업 종료 후에도 지속가능한 사업이 되도록 수원국의 보건부, 교육부 및 지방정부와의 협의를 통하여 학교 연간 계획 및 학칙에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명문화가 필요하다. 또한 개발도상국가의 여건 상 보건교육을 전담하여 실시할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현지 학교 교사를 보건교육 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교사를 위한 학교 보건교육 매뉴얼 및 학생 대상 교재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향후에는 지역사회의 사각지역에서 마약, 흡연, 음주, 성폭력, 학대, 자살시도의 더 큰 위험성이 있는 학교 밖 청소년들을 포괄할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Comparison of urban space cognitive images of middle schools' circumstance in Gangnam-gu and Nowon-gu

        정호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6 국내석사

        RANK : 23227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및 그 주변에 대한 학생들의 인지도 특성을 통한 공간인지 유형을 두 대상지로 나누어 분석하고, 비교 대상지간 학생들의 체험된 이미지의 차이를 도출하여 지역별 학교와 그 주변의 효과적인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본 논문에서는 강남구 대치동의 1개 중학교와 노원구 하계동의 1개 중학교를 그 대상으로 하여, Lynch(1960)의 인지도(cognitive map) 작성방법을 간략화하여 수행하였다.학생들의 공간인식은 학년의 고저에 따른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은 채 대체로 ‘집주위 → 통학로 주변의 가로 → 학교주변 시설’ 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학생 각자의 생활 패턴에 크게 좌우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강남구 대청중학교와 노원구 중평중학교 학생들의 응답내용과 Sketch map을 바탕으로 Kevin Lynch의 5요소(District, Landmark, Path, Node, Edge)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District의 경우 강남구 대청중학교 학생들은 대청중학교, 우성아파트, 선경아파트 순으로 인지했으며, 노원구 중평중학교 학생들은 중평중학교, 중평초등학교, 건영백화점 순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ndmark의 경우 강남구 대청중학교 학생들은 양재천, 타워팰리스 순으로 인지했으며, 노원구 중평중학교 학생들은 중평중학교, 중평중학교, 브라운스톤 순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th의 경우 강남구 대청중학교 학생들은 양재천길, 사이로길, 남부순환도로 순으로 인지했으며, 노원구 중평중학교 학생들은 중평로, 동재로, 동삼로 순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ode의 경우 강남구 대청중학교 학생들은 도곡사거리, 대치역사거리 순으로 인지했으며, 노원구 중평중학교 학생들은 동삼삼거리, 동재삼거리 순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dge의 경우 강남구 대청중학교 학생들은 양재천을 노원구 중평중학교 학생들은 월계로를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혐오장소에 대한 선택의 차이는, 강남구 학생들은 방과후 대부분이 학원 및 교육시설 주변에서 시간을 소모함으로 그 공간에 대한 부정적인 인지가 지배적인데 반해, 노원구 학생들은 비교적 자유로운 방과 후 활동으로 인해 학교 주변 시설인 공원이나 놀이터, 가로 등을 혐오장소로 선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향후 학교와 그 주변시설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실제 이용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에 대한 파악이 이루어져 개선점을 찾아 나아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ace-perception toward schools and their outskirts patterns by dividing the two target areas, and to draw up an efficient development plan for regional schools and its circumferences by deducing the differences of comparative target areas students' undergoing images.In this thesis, I chose one middle school in Gangnam-gu, Deachi-dong and one middle school in Nowon-gu, Hagye-dong for the targets, and briefly carried out cognitive map framing method.The students' space-cognitions have no definite changes in accordance with a school year, and generally show a tendency toward enlarged like this. 'neighborhood → street nearby school district → facilities close to school'. It shows that each student's can exert a major degree influence upon his/her life pattern.Be based on Daechung Mid. School in Gangnam-gu, and Jungpyong Mid. School in Nowon-gu students' answers to the queries and the Sketch map, analyzed results of Kevin Lynch's 5 elements (District, Landmark, Path, Node, Edge) are as follows. In case of district, the students of Daechung Mid. School in Gangnam-gu recognize district by this order: Daechung Mid. School, Woosung Apt. and Sungyung Apt, and the students of Jungpyong Mid. School in Nowon-gu recognize district by this order: JungPyong Mid. School, JungPyong Elem. School, Gunyung Dept. Store. In case of Landmark, the students of Daechung Mid. School in Gangnam-gu recognize landmark by this order: angje Stream, Tower Palace, and the students of Jungpyong Mid. School in Nowon-gu recognize landmark by this order: JungPyong Mid. School, JungPyong Park, and Brown Stone. In case of Path, the students of Daechung Mid. School in Gangnam-gu recognize path by this order: Yangjechun way, Sairo way, Nambu Beltway, and the students of Jungpyong Mid. School in Nowon-gu recognize path by this order: Jungpyong way, Donge way, and Dongsam way. In case of Node, the students of Daechung Mid. School in Gangnam-gu recognize node by this order: Dogok Crossroads, Daechi Station Crossroads, and the students of Jungpyong Mid. School in Nowon-gu recognize node by this order: Dongsam Three Corners, Donge Three Corners. In case of Edge, the students of Daechung Mid. School in Gangnam-gu recognize Yangje Stream as edge, and the students of Jungpyong Mid. School recognize Wolgye way as edge.The differences of selecting hatred spaces are like this. Students living in Gangnam-gu spend much time at the educational institutes and around the educational facilities. Contrary to Gangnam-gu's case, students living in Nowon-gu can spend after school hours comparatively freely, so I could estimate that's why they choose park, playground, and street nearby school as their hatred spaces.Hereafter, we must conduct schools and their outskirt satisfaction survey and do regression analysis to find betterment by grasping elements that can exert influences upon real user satisfaction.

      • Creating and applying process writing activity using multimedia and digital device for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정해나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32271

        세계화, 국제화 같은 현상을 거점으로 입시와 취업에서 영어점수를 빼놓을 수 없기에 한국교육에서 영어교육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영어영역은 대학입시에서 등급의 반영 비율이 높은 과목으로 수험생들의 부담이 크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학생들 사이의 경쟁심을 초래하였으며,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을 넘는 과잉학습을 유발시키고, 나아가 학생들간의 영어실력의 격차를 더 별러 놓는 문제점들을 야기시켰다. 초등학교에서부터 영어실력의 격차가 벌어짐으로써 각각의 학생들의 영어실력과 영어학습에 대한 동기와 흥미를 향상 시키기에 적합한 정규영어수업을 운영하기가 어려워졌다. 이러한 문제는 학생들이 더욱더 영어사교육에 의존하게 만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에서 지정한 영어교과과정보다 영어실력이 월등한 초등학교 학습과진아들을 위한 영어쓰기 활동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이러한 영어쓰기활동이 학습과진아들의 학습동기,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쓰기 활동에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의 활용하여 정규영어수업 안에서도 개인별 학습이 가능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서울의 한 사립초등학교에 재학 중이었던 45명의 4학년 학생들이었으며, 이들은 학교에서 실행된 영어시험에서 교육부에서 지정한 영어교과과정보다 영어실력이 월등하다고 평가된 학생들이었다. 정규 영어교과서에 있는 내용을 토대로 태블릿 컴퓨터, 구글문서, 에드모도, 그리고 인터넷을 사용한 과정중심쓰기 활동을 만들고 이를 정규 영어수업시간에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로서는 쓰기활동 사전, 사후 설문지, 학생들과의 인터뷰, 교사활동일지, 그리고 학생들의 쓰기활동내용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첫 번째, 학생들에게 익숙한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쓰기활동이 학습과진아들의 영어학습동기를 향상 시켰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과정중심쓰기활동과 긍정적인 동료평가로 인해 학생들의 영어 자기효능감이 향상됨을 볼 수 있었다. 세 번째로, 학생들이 직접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쓰기활동이 학생들의 수업참여도를 높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번째로,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의 활용은 평소 교과서에서는 접할 수 없는 다양한 방법들로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자료와 정보를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즉각적으로 원하는 답을 직접 찾아낼 수 있게 하였다. 나아가 학생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속도로 쓰기 활동을 진행할 수 있게 해주는 점등이 정규수업 활동 안에서도 개별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섯번째로,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수업에서 기계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학생들의 학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수업 전 기계들을 확인하고, 문제가 일어날 시에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교육부에서 지정한 영어교과과정보다 영어실력이 월등한 초등학교 학습과진아들을 위해 정규영어수업을 통해 보다 더 영어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기 효능감을 높여주고, 학생들의 영어실력의 격차가 큰 학급 안에서 조금 더 개별적인 영어학습의 기회를 높여주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친숙하고 흥미로운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학생들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정규 영어교과서의 내용과 연결 된 영어쓰기 활동을 만들어 수업에 적용시켜 볼 가치가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디지털 기기 그리고 과정중심쓰기활동은 개개인의 학생이 본인에게 적합한 속도로 활동을 진행하여 정규영어수업 안에서도 개별학습을 유발시킴으로 영어실력의 차이가 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진행할 경우, 이러한 지도 방법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create and apply process writing activity using multimedia and digital device for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which can be used in regular English classes in schools. Forty-five fourth grade overachievers from a private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regular English classes. Many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 proved to be more advanced tha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standard which is set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This is namely caused by the prerequisite English education that students receive before starting official English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his caused proble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design and conduct English lessons for overachievers whose English proficiency level is higher tha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standard. Thus,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and parents feel that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 is not sufficient, and feel more needs for private English education to improve English skills and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Moreov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researchers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English writing skills and argued that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nd textbooks lack writing practice in comparison to other areas of English. Thus,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create and apply the process writing activity based on the national English textbook which can be conducted in regular English class in elementary schools for overachievers. Furthermore, as many studies showed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ized learning and a rise in motivation when multimedia and digital devices are used in education, the tablet computers, Google Docs, Edmodo and internet were integrated into the process writing activity so the students could complete the activity according to their own learning pace. The study employed pre-writing activity and post-writing activity surveys, student interviews, teacher’s log, and students’ in-class work to observe the result of the writing activity. The researcher focused especially on affective domain such as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tudents’ individualized learning experience. The study’s result showed positive outcomes of the rise i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nd participation among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students’ work displayed the individualized learning experience due to the use of tablet computers, Google Docs and internet.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a process writing activity using the tablet computers, Google Docs, Edmodo and internet should be recommended for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whose English abilities are superior to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nd find regular English class not motivating. Moreover, the study can be served as a practical guideline for designing and applying English lessons that can be more suitable for overachievers in a regular school class wher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 all varies.

      • (The) effects of school-related gender-based violence on students' absenteeism in primary schools in Southern and Eastern Africa

        이소라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Korea Un 2019 국내석사

        RANK : 232271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related gender-based violence (SRGBV) and students’ absenteeism in primary schools in 14 Southern and Eastern African countries. Gender-based violence (GBV) in school severely jeopardizes the student’s health and reduces educational outcomes. In sub-Saharan Africa, gender-based violence in school is more problematic due to the deeply ingrained gender inequalit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RGBV and absenteeism, this study employs multivariate regression and a large cross-country dataset, the third round of Southern and Eastern Africa Consortium for Monitoring Educational Quality (SACMEQ) data. Results indicate that school-related gender-based violence with teachers as perpetrators increases student absence rates in primary schools, especially for sexual harassment, while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pupils’ violence and students’ absenteeism. GBV adversely affects the whole school environment by inhibiting direct and indirect victims’ learning. Furthermore, GBV is rooted in power relation, which is more powerful for teacher-to-pupil relation than pupil-to-pupil relation, and punishment for the teacher’s perpetration in too light in sub-Saharan Africa. Although this research is not without limitations, it does imply that stronger law enforcement on perpetrators, protection of victims, and enhanced teacher training are needed in order to ensure safe school environments.

      • (A) qualitative study on the schooling experiences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graduates

        최연수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32271

        본 연구는 외국어고등학교 졸업생들의 학교경험과 외국어고등학교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적 담론들이 학생들의 정체성 형성과 미래 전망에 끼친 영향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에서는 엘리트 정체성 형성과 학교선택(school choice)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외국어고등학교의 역사와 관련 담론들의 역사적 추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어떠한 이유와 배경에서 외국어고등학교 진학을 선택하였는가? 둘째, 학생들이 외국어고등학교 재학 당시 수업, 교우관계, 학교 문화를 어떻게 경험하였는가? 셋째, 외국어고등학교 졸업생들에게 재학 당시 교육경험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외국어고등학교에 관한 사회적 담론이 학생들의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들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고등학교를 졸업한 일곱 명의 ‘명문대’생과의 심층면담을 주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내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외국어고등학교 학생들의 외국어고 진학 결정에는 중산층 부모의 적극적인 교육적 관여와 엘리트 고등학교로서 외국어고등학교의 사회적 위상이 작용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참여자들은 외국어고등학교에서의 경험이 ‘명문대학교’ 진학에 큰 영향력을 끼쳤다고 보고, 외국어고등학교에서의 학교 경험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한편, 수집된 면담 자료에 따르면 학생들은 경쟁적이고 가시적인 결과를 중시하는 외국어고등학교에서 수업, 교우관계 등 여러 측면에서 갈등과 모순적인 상황을 경험한 것으로 드러났다. 예컨대, 학생들은 외국어고 내의 학업경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동시에, 지나친 교육경쟁에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외고를 둘러싼 여러 사회적 담론과 논란을 인식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엘리트 학생으로서 자아정체성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담론들을 적극적으로 재해석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연구 참여자들은 외국어고등학교를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수월성 교육기관으로 설명하였으며, 도구주의적 관점에서 외국어고의 의의를 주장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외국어고 입학을 공정한 경쟁을 바탕으로 한 능력주의적 성취라 이해하고, 외국어고등학교가 교육격차의 심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박하기도 하였다. 더 나아가 연구 참여자들은 개인의 학업성취도를 개개인의 노력과 능력의 산물이라 보았으며, 사회구조적 요인에 대해서는 비교적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어고등학교를 둘러싼 사회적 담론을 재검토하고자 하였으며, 교육 정책과 정책담론이 학생들의 학교경험과 정체성 형성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학생들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schooling experiences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graduates and how their schooling experiences shape their self-identities and future outlooks. To this aim, this study first investigates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FLHSs as elite high schools and various discourses underpinning the emergence of FLHSs through examining the history of FLHSs and related policies, employing the theoretical lenses of elite identity formation and school choice. By making use of the in-depth interview data, this study then explores how and why the students chose to attend FLHSs, how the students experienced teaching, peer relations and school culture at FLHSs, how the students make sense of their high school experiences and social discourses on FLHSs, and how their interpretations have affected their sense of identity. Major findings reveal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decision to apply to FLHSs were underpinned by discourses of symbolic distinction and public imaginaries of FLHS as academically elite schools. It also turns out that while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general identified positively with their schooling experiences, the students also experienced constant tensions in peer relations, mainly arising from the competitive and outcome-oriented school culture. Furthermore, the data analysis reveals that the students are not only cognizant of various social discourses surrounding FLHSs but also actively negotiate these discourses as they construct their self-identities as elite students. The students perceived FLHSs to be meritocratic institutions which foster educational excellence and, in effect, contribute to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country. The interview data further illustrate that the students view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s the outcome of individual efforts and abilities, with scant attention paid to the systemic inequalities or broader social forces structuring the education system.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ttempts to revisit the current dominant social discourses on FLHSs and provide a more nuanced picture of how education policy and policy discourses shape students’ schooling experiences and ident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