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캠퍼스 안내사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충남대학교를 중심으로

        위원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the society gradually goes into pluralism, cultural exchange between countries happens much more frequently, and foreign students have increased in Chungnam University. Therefore, the campus sign system is newly designed for foreign students. The sign system should reveal guidance, warning, direction, classification and the other functions. The campus shows not only overall education of the university and the visualization of physical and spiritual shape of the universit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ign system reveals the strategy of the university brand. The campus in university needs the different sign system from the commercial and other environmental sign system. The university could show its own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planning and designing of the buildings. The sign system in campus has played a important role as a way of expressing the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of its campus. The important value of sign system is the transportation of information. In the sign system of the university campus, their own historical and contents and their contemporary culture should be involved. And their tradition, spiritual phase and even their culture should be expressed. Furthermore, the sign system should keep the concept that it is a space of exchanging the university's various unique culture. Above points would be distinguishable points from the sign system used in enterprise, medical hospital and the other managing places. The campus system should be directed not only to the future but also based on the convention because UI itself affected to the behavior pattern of university's members. The campus sign could be the expression that the university want to show its pursuit in condense to the people who visits the campus first time. The all signs installed in campus is all things of designs that directly transports the guide, signs, and regulation of the university. But most of university's campus signs are largely directed only to the design-form effects and it seems not to effectively transport its original purpos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it could be a problem. In this study,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ign system of nine universities in Korea, China and United States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literatures and spot survey. In order to get the correct and exact information,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in and the data was got from the students, staffs, foreign students and visitors to Chungnam University. The result of the survey are follows. First the location of the integrate sign system would be moved into the enterance of campus and the visitors easily find their destination. Second, the realistic pictogram and english title should be included and the foreigners could go beyond language barrier. Third, the color of the pictogram and the logo should be much more match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llege. Fourth, the compass should be included in sign system. Finally, the number of the lighting system should be increased and sign system is much more readable at night. After analyzing the data, the new effective sign system would be suggested with the result of showing the applying metho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more scientific, effective, and artistic sign system. The improved sign system is more humanized and it enhances the functionality of the signs. Therefore, the obstacles of communication and culture difference could be reduced and the atmosphere of campus would expect to become more active

      • 대학교 교양과목으로 개설된 음악 관련 교과 분석 : 대전지역 대학교를 중심으로

        변서연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7

        This study examines liberal arts and music education, based on which it comparativel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urriculums in 8 four-year universities in Daeje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include theoretical background of liberal arts and music education, legitimacy of music education as liberal arts based on the above, and cases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urriculums in universities overseas. This study then investigates the objectives of education, liberal arts curriculums and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of 8 universities in Daejeon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each university are comparatively analyzed by categorizing them into four items: current state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composition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whether there is a music department, and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ie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and analyzing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each university. First, the biggest number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university was in KAIST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llowed by Mokwon University, Korea Baptist Theological University/Seminary, Pai Chai University, Daejeon University, Hannam University, Hanbat National University an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AIST an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ad the highest ratio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compared to the number of students, showing about 35 times difference in terms of ratio. Second, a classification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each university by field, genre and connectivity shows that there are more courses on theory than practice, with 5.5 times more courses in Western music than Korean music. In addition, convergence courses were all in private universities. Third, a classification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regarding whether there is a music department shows that universities with a music department had 9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on average, and those without a music department had 6 courses. Universities with a music department had 1.48 times more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than those without, indicating that the existence of a music department has an effect on the number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Fourth, a classification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according to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ies shows that there are about 3 times more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private universities than national universities in general. However, there were a few exceptions in which a national university has many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or a private university has only a few, depending on its goal of liberal arts education or educational policy.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makes a few suggestions for more effective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Students will be able to more frequently receive music-related liberal arts education if such courses are included 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s the basic liberal arts courses for freshmen or a program that must be completed before graduation. Second, there must be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terms of practice and training. The portion of practice must be increased within the regular liberal arts curriculum in universities so that students can have more direct experiences with music and increase the level of interest and focus. Third, there is a need to increase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the genre of Korean music. Courses that provide simple interpretation of gugak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practical training of gugak for actual experience must be increased in order to perceive the need for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Korean music. Fourth, it is necessary to increase convergence courses with connectivity to other fields. By constantly studying convergence courses and linking them with other fields, it will be possible to lead to liberal arts education that creates values meeting the goal of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교양교육과 음악교육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전지역 8개 4년제 대학교의 음악 관련 교양교육과정의 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은 교양교육과 음악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양교육으로써의 음악교육의 당위성과 외국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 관련 교양과정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선정된 대전지역 8개 대학의 교육목적, 교양과정, 음악 관련 교양과목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대학별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음악 관련 교양과목 개설 현황, 음악 관련 교양과목 구성, 음악과 유무, 국립대학과 사립대학의 네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각 대학별로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학생 수에 비례한 음악 관련 교양과목 개설 현황은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목원대학교-침례신학대학교-배재대학교-대전대학교-한남대학교-한밭대학교-충남대학교 순으로 많았으며 학생 수에 비해 음악 교양과목 비율이 가장 높은 카이스트와 충남대학교는 비율 수치가 약 35배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학별 음악 관련 교양과목이 구성된 분야, 장르, 연계성의 항목에 따라 분류해보았을 때 실기보다는 이론 목적의 교양수업이 많으며 한국 음악보다 서양 음악 과목이 5.5배 더 많이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융·복합 수업이 이루어지는 과목은 모두 사립대학에 개설되어 있었다. 셋째, 음악과가 존재하는가의 여부에 따른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분류해보았을 때 음악과가 있는 학교는 음악 관련 교양과목이 평균적으로 9과목 개설되어 있었고, 음악과가 없는 학교는 6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음악학가 있는 학교가 없는 학교보다 음악 관련 교양과목이 1.48배 정도 더 많이 개설되어 있어 음악과 존재 여부가 음악 관련 교양과목 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립대학과 사립대학에 따른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분류해보았을 때 대체적으로 사립대학에 개설된 음악 관련 교양과목 수가 국립대학보다 약 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대학마다 교양교육의 목표나 교육 정책에 따라 국립대학임에도 음악 관련 교양과목 개설 수가 많거나, 사립대학임에도 음악 관련 교양과목 개설 수가 적은 예외의 경우도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인 음악 관련 교양교육이 되기 위한 몇 가지 방안들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음악 관련 교양과목 수의 증설이 필요하다.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교양 과정의 커리큘럼에 편성하여 학부의 신입생을 위한 기초 교양과목이나 졸업 전까지 이수하는 한 과정으로 선정하면 학생들이 음악 관련 교양교육을 받을 수 있는 빈도수가 많아질 것이다. 둘째, 실기 분야의 음악 관련 교양과목의 중요성을 더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대학교의 정규 교양교육과정 안에서도 실기의 비중을 늘려 학생들로 하여금 음악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 기회와 관심도의 집중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 음악 장르의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늘려야 한다. 국악에 대한 쉬운 해설과 실제 체험해 볼 수 있는 국악 실기 과목을 늘려 한국 음악 장르의 음악 관련 교양과목의 필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넷째, 타 영역과 연계성을 가진 융·복합 교양과목을 증설할 필요가 있다. 타 영역과 융·복합된 과목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여러 분야와 연계시킨다면 교양기초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가치 창출적인 교양교육으로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 간질의 임상연구에서 데이타 뱅크의 유용성에 관하여 : 충남대학교병원 간질 데이타뱅크 1991-1994

        김재문 충남대학교 1994 국내박사

        RANK : 248687

        Various kinds of data bank systems have been employed in clinical medicine to verify the diverse features of human illnesses and have revealed risk factors, causes and prognoses of many disabling disorders. But the data bank has not been popularly used in epilepsy as yet.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a data bank system in clinical epilepsy research, the author has established the Epilepsy Data Bank of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NUH-EDB) since 1991. It was composed of 47 items which described background information, seizure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data. By February 1994, 1,004 epileptic patients were registered. The epileptic patients in CNUH-EDB had unique demographic features in that they had older age of onset (24.8 years), male preponderance (64.7%), and higher proportion of unemployment (20.2%) compared with other reports. Generalized tonic clonic seizure (32.5%) was the most common single type of epilepsy although partial seizures were more frequent than generlized seizures (48.7% vs. 42.5%). Almost a half of the patients (49.4%) had etiological disorders, with the stroke being the most common disorder (25.8%). Incidence of malformed baby was low in epileptic mother (2.86%) and also the family history of epilepsy was not so high. A large number of patients (385 patients) had identifiable precipitating factors of their seizures. Easily avoidable seizure-prone conditions provoked seizures in 218 patients. Polytherapy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incidence (46.0%) of adevrse effects of antiepileptic drugs (AEDs) but careful observation could prevent chronic adverse effects. Epileptic discharges were found on EEGs more frequently in partial seizures than in generalized seizures (26.6% vs. 38.1%). Some special conditions of the epileptic patients were noted while establishing the CNUH-EDB. The author discussed the relationship of migraine and epilepsy, underlying conditions of the geriatric epileptic pati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st-infarction epilepsy. In addition, etiological and prognostic features of first-ever seizures that presented as a status epilepticus were reviewed. Long-term adverse effects of diphenylhydantoin (DPH) on the cerebellar function and unwanted effects of conventional anti-tuberculosis medication on seizure management were also analyzed. While working with the CNUH-EDB, the author encountered some problems of the current data bank system that should be improved. Firstly, the current system was not individualized. Secondly, the current system included too many fields of long sentences that made data-handling difficult. And thirdly, there were insufficient follow-up data recordings. An improved EDB system that can be employed in general hospitals is proposed. Three-year experience of CNUH-EDB has taught the author some practical advantages of a data bank in clinical epilepsy research, as follows: 1) An EDB describes easily the overall features of the epileptic patients in a hospital: 2) An EDB enables an unbiased, individualized as well as systematic case-based study that may be extended into a longitudinal, cohort study: and 3) An EDB allows a ready access to groups of patients with similar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rough this way, some complex but practical issues in management of epileptic patients can be easily identified and resolved.

      • 대학도서관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연구 : 충남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선정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87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of 21st century, university libraries face intense competitive environment. So they need to do 'library marketing' aimed at the organizations which they belong to and customers whom they serve for their survival and success. This study suggests the concept of 'library marketing', the cases of 'library marketing' in Korea, and concrete marketing management strategies for university libraries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consists of literature research, present status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and case studies. The literature research includes the university library marketing's definition, its features and the necessity of its marketing. First, in an attempt to build the marketing strategy for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Library, this study collects the data from conducting homepage analysis and interviews to three librarian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eses interviews are conducted during form April 2 to 20 in 2009, three times.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research for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Library's marketing, this study classifies the research standard elements as 4P(product, place, price, promotion) mix.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interviews, this study elicits the problems from the library and thus built the foundation of the marketing strategy. The case studies are conducted by targeting 5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and analyzed their present status of marketing. To analyze the market information,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is occupied a survey for 200 students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uring May in 2009.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regarded as users needs and can be used for fundamental data of marketing strateg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users want to improve the place, product, promotion elements in order. This paper tries to find solution by utilizing the analysis of STP(market 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 Market segmentation strategy was used for segmenting the market(professors, school personnels and students) and Targeting strategy is used for targeting the student's market. Finally, this paper shows the stages for user analysis, positioning and process of operational marketing for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also suggests the marketing mix - place strategy, product strategy and promotion strategy - that can be applied to university libraries.

      • 대전지역 대학 청소용역 노동자의 조직화 : 충남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안민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Korean labor movements have declined since the economic crisis in 1997 which generated the rapid changes in the labor market structure. The labor unions with major standard workers who played important roles in Korean labor movements came to need to mobilize unorganized non-standard workers. This thesis focuses on the cause for organizing the janitorial workers’ union, considering some changes in the labor movements, by looking at the case of the janitorial workers’ union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fter analyzing the process of organizing janitorial workers’ unions, various activities produced by this union were also examined in terms of “Framing Process”. The method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nalyzing documents, such as data, propaganda handbills, proclamations, interviews, journals, and media reports related to union activities, were used for this research. Second, observations of overall working conditions and working modes were also used to examine the environment for organizing unions. Finally, this research includ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workers and students who played important roles in organizing the union. This thesis is significant in that first, it focused on the conditions for organizing workers in the janitorial service company, and for forming identities as union members. Although the media paid attention to human rights of the janitorial workers, it is difficult to find the academic works about this issue. However, the study of the janitorial workers’ union is meaningful because these workers are characterized as non-standard, female workers who are located in the lowest level of the labor market. Second, it concentrated upon analyzing strategies and tactics for unionization and examining how to reinforce union members’ identities through the union activities. Through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labor union should not only raise an issue about workers’ own problems, but also bring workers’ problems and social problems together through various strategies to extend the labor movements. Also, workers’ interactions should be based on the union activities including the aggressive actions produced by the consciousness as workers and the identity as union members. However, this dissertation has its limitations in that it did not clearly show the workers’ active roles in the process of unionization because the leadership of the local branch in Yuseong of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 played a major role in mobilizing the janitorial workers and organizing this union. This study examined the framing process and strategic choices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unions, such as the formation and reinforcement of union members’ identities, by looking at the labor union activities, specifically, of a particular local labor union in Daejeon. In order to analyze the diverse styles of labor organizations and the various activities of the labor union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study more on the new methods and the actions of the labor movements, but also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ocality and umbrella unions.

      • 중규모 대학교 도서관의 라키비움 구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장미경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들어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 등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되도록 한 장소에서 얻고자 하는데, 2000년대 이후를 기점으로 세계 곳곳에서 정책적으로나 조직적인 방법으로 기관간 기능과 공간의 경계를 허물고 융합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본 연구는 중규모 대학교 도서관에 라키비움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기존에 설치된 도서관에 박물관, 기록관의 기능을 융합하여 도서관이 하나의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질적으로 중규모 대학교 도서관에 박물관 및 기록관의 기능을 융합하고, 도서관 공간을 기능별로 재구성 할 수 있는 라키비움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중규모 대학교가 처한 예산 및 인력 수급 등 실질적인 내부 문제를 해결하고 법적 제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라키비움의 모델을 제안하며 위 기관의 모든 기능을 확장·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연구 진행을 위해 문헌조사와 사례연구, 중규모 대학교의 현황 조사 및 설문조사, 인터뷰 방법을 병행하였다. 우선, 중규모 대학교의 현황을 제시하기 위해 관련 법규 및 지침을 살펴봄으로써 문제점을 제기하였으며, 문헌조사는 현재까지 진행된 라키비움 및 협업에 관한 국·내외 다양한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관련 연구들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었는지 분석하고 그들 연구의 특징 및 한계점을 파악해 보았다. 다음으로 5개의 중규모 대학교를 선정하여 각 대학교의 홈페이지를 통해 먼저 기본적인 조사를 수행하였고 사전조사를 통해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각 기관 담당자와의 전화 인터뷰를 통해 추가적으로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현재 중규모 대학교 도서관의 라키비움 개념 도입에 대한 타당성 및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기관의 업무 기능 및 공간 기능에 대한 요구도 조사를 위해서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국내 대학교 도서관 10곳을 선정하여 해당 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사서를 대상으로 라키비움에 관한 인식 및 이용자 만족도, 라키비움 구축 시 요구도 및 기대효과를 조사하여 라키비움 모형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시된 모형은 해당 분야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실현 가능성에 대해 검증 받음으로써 인터뷰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수정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규모 대학교 도서관에 박물관, 기록관의 기능을 융합하여 라키비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라키비움 구축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이를 활용하여 중규모 대학교들이 대학 내 여건에 맞추어 모형을 수정·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선행연구들이 기관 간 협력 방안 및 협력 모형을 제시하고 라키비움 구축을 위한 넓은 공간을 전제로 하며 기록관을 중심으로 기록관, 박물관, 도서관의 기능 및 공간 분석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면, 본 연구는 이미 구축되어 있는 중규모 대학교 도서관에 라키비움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라키비움 구축 모형을 제시 하였다. 이를 위해 각 기관의 업무 및 공간 기능을 분석하고 대학교 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의 의견을 설문을 통해 수집하여 모형에 적용함으로써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최종적으로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라키비움 구축을 위한 수정 모형을 제시한 것이 선행 연구와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전문가와의 심층 면담 결과 제시된 의견 중, 수정 모형에 적용하지 못한 의견들도 있었는데, 좀 더 충분한 기간을 두고 다양한 모형들을 제시해 보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이 있으며 이는 후속 연구를 통해 더 발전된 연구를 진행해 보고자 한다.

      • Carbon and Nutrient Cycling by Litterfall and Litter Decomposition at Three Different Forests in South Korea

        Afroja, Rahman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지구의 육상자원은 약 40%가 산림으로써, 산림 내 낙엽낙지는 임상으로 유입되는 양분의 주요 공급원이며 순일차생산량(NPP)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낙엽낙지량과 낙엽분해 속도는 기후 인자와 낙엽낙지의 양분 구성 성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는 임상 내 양분 공급에 주요한 인자로써 기능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 다른 3가지 임상의 낙엽낙지 생산량과 분해 속도를 규명하고자 한다. 대전 충남대학교의 낙엽활엽수림(상수리나무 우점), 제주 청수 지역의 상록활엽수림(종가시나무 우점), 제주 선흘 지역의 혼효림(종가시나무, 곰솔 우점)과 상록활엽수림(종가시나무 우점)에서 낙엽낙지량을 측정하였다. 4가지 지역의 낙엽낙지량을 측정하기 위해 각 지역에 20 ⅹ 20 m 크기의 조사구를 4개씩 설치 후, 각 조사구마다 4개의 낙엽낙지망을 10 m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낙엽낙지는 2015년도에는 1개월, 2016년 2월부터 2017년 8월까지는 3개월 간격으로 수거하였고 수거한 샘플을 우점종 낙엽, 기타 낙엽, 가지, 열매, 수피, 기타로 구분하였다. 낙엽분해 속도를 추정하기 위해 대전 지역의 우점종 상수리나무와 제주 지역의 우점종 종가시나무를 대상으로 낙엽을 채취하여 낙엽분해망을 제작하였다. 낙엽분해망은 그물눈 1mm 크기의 나일론 망사를 사용하여 16 cm × 16 cm 크기로 제작 후 채취한 상수리나무와 종가시나무 낙엽을 수종별, 낙엽망별6 g씩 삽입하였다. 준비된 낙엽분해망은 충남대학교 낙엽활엽수림과 제주 선흘 지역의 상록활엽수림에 설치 후 3개월마다 수거하였고, 수거한 낙엽분해망 내 분해된 낙엽의 무게를 기록한 후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선흘 지역 혼효림보다 선흘 지역 상록활엽수림과 청수 지역 상록활엽수림이 종가시나무 낙엽량이 높았다(p<0.01). 그러나, 선흘 지역 혼효림에서는 선흘 지역 상록활엽수림보다 곰솔 낙엽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수집 시기는 총낙엽낙지량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p<0.01), 종가시나무 낙엽량은 5월에 가장 높았지만 9월에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흘 지역 상록활엽수림과 대전 지역 낙엽활엽수림의 평균 낙엽낙지량은 각각 903, 698 g m-2 y-1으로 나타났다. 상록활엽수림은 봄의 낙엽낙지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낙엽활엽수림은 가을의 낙엽낙지량이 다른 계절보다 높았다. 낙엽 생산의 연간 변이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었다. 2015년에서 2016년동안 청수 지역 상록활엽수림은 744.0 g m-2 에서 1,102.5 g m-2 으로, 선흘 지역 상록활엽수림은 715.0 g m-2 에서 951.7 g m-2 으로, 선흘 지역 혼효림은 841.7 g m-2에서 914.7 g m-2 으로 증가하였다. 낙엽 분해율은 상수리나무, 종가시나무 두 종의 낙엽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선흘 지역의 경우 다른 지역보다 낙엽 분해 속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 지역 충남대학교에서는 종가시나무 낙엽보다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 속도가 더 높았다. 상수리나무의 분해율 상수(k)는 0.51 ~ 0.57의 범위를 보였고, 종가시나무는 0.50 ~ 0.53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는 수종별 낙엽의 구조적 특성이 분해 과정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3가지의 다른 임상에서 낙엽낙지 생산량과 낙엽 분해율을 조사하여 임상 내 탄소 와 양분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기온, 강수량 등 기후 인자 등이 낙엽낙지 생산량과 낙엽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복잡하며, 이는 낙엽낙지 생산과 낙엽 분해에 대한 추가적인 데이터 수집이 필요함을 보이고 있다.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낙엽낙지 생산의 연간 변이량을 산정할 수 있을 것이며, 낙엽 분해의 경우 다양한 낙엽 내 양분별 변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대학교 교양체육수업참여자의 사회적 지지가 스포츠 가치관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남궁윤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on the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it compared the difference of social support,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in order to gi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For this research, total 350 students composed of 200 students of A University and 150 students of B University in D-city in May 2014 among the participants in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were selected. The contents of investigation are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the social support, the sports values and the class satisfaction. For the collected data, it used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WIN-18.0. As for the analysis method, to find the difference of social support,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performed. And to find the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on the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Lastly, to find the effect of the sports values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on the class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participants. And in all factors of emotional support, physic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which have the significant difference, the male group had the higher values than female group in average. Mean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ormational support of social support. But generally speaking, the male group had the higher values in the informational support. And according to the grade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the emotional support of social support and the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factors of class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ports values. As a result, the higher the grade of the group was, the higher the average of values was. Second, the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ports valu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also the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on class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rts values and the class satisfaction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factors general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racteristic value. Through this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has a positive effect on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Thus, the various and systematic social supports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are needed, and the positive change of students by the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the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is expected. For this purpose, the subsequent studies should be tried with the qualitative researches. 본 연구는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사회적지지가 스포츠가치관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사회적지지와 스포츠가치관 그리고 수업만족도의 차이가 어떠한지 비교 분석하였으며,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사회적지지가 스포츠가치관과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여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스포츠가치관과 수업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조사 대상은 2014년 4월 D광역시에 소재된 A대학교 200명, B대학교 150명으로 대학교 교양체육수업을 참여하는 학생으로 표집된 250명이다. 조사 내용은 인구사회학적 배경, 사회적지지, 스포츠가치관, 수업만족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사회적지지, 스포츠가치관, 그리고 수업만족도의 차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 하였다. 또한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사회적지지가 스포츠가치관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스포츠가치관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교 교양체육수업참여자의 성별에 따라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 스포츠 가치관 그리고 수업만족도에 대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와 스포츠 가치관 및 수업만족도의 모든 요인에서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집단이 평균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지지의 정보적 지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대체적으로 정보적 지지에서도 남학생 집단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 교양체육수업참여자의 학년에 따라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 스포츠 가치관 그리고 수업만족도에서는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수업만족도에서의 심리적 요인과 교육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스포츠 가치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대체적으로 학년이 높은 집단일수록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가 스포츠 가치관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는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스포츠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역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스포츠 가치관이 수업만족도에 관계를 살펴 본 바, 모든 요인에 대체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품성적 가치에서는 유의한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교 교양체육수업참여자의 사회적지지가 스포츠가치관 및 수업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다양하고 체계적인 대학교 교양수업참여자의 사회적지지가 필요하며,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로 인한 스포츠가치관 및 수업만족으로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하며 이에 따른 질적 연구를 병행한 후속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