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밀도를 고려한 창원시 단독주택지의 적정 개발밀도에 관한 연구

        양윤호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23

        The study aimed to come up with various approaches to analysing the urban-development density of detached dwelling district for Changwon City and to suggesting urban proper-development density criteria for it, focusing on comparing to the whole urban-density. Towards this end, the author first selected cities to compare, assessed the level of density of Changwon City against that of these cities, and proposed the level of their future density after considering the Urban Planning Code and other relevant laws. This study has identified problems related to the urban-development density of Changwon City, and has come up with approaches for house rebuilding and housing redevelopment.

      • 지방정부의 여성정책에 관한 연구 : 창원시를 중심으로

        김현숙 창원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3

        1995년 여성발전기본법 제정과 지방자치의 실시에 따라 중앙을 중심으로 일방적으로 시행되던 여성정책들이 지역특성에 맞게 수립될 수 있는 여지를 갖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 여성정책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창원시를 중심으로 여성정책의 추진실태를 분석하고 내․외적 영향요인 등에 의하여 향후 창원시 여성정책이 발전하고 성숙될 수 있는 추진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창원시가 추진하고 있는 여성정책의 실태를 여성정책 담당기구와 기능, 관련 조례, 예산 및 기금, 여성공무원 현황, 여성의원 비율, 여성단체현황 및 각종 위원회 현황, 중장기 계획, 성별영향평가 등의 현황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향후 창원시 여성정책의 발전방안으로 첫째, 실효성 있는 여성정책 기반체계 구축 측면에서 중앙정부의 여성정책 중 직접적 주민대상 업무와 예산은 지방정부에 이양, 여성정책부서의 기능강화, 중장기 여성발전계획 보완 수립 및 이행, 여성발전기본조례의 철저한 이행, 여성발전기금 확대 조성, 실효성 있는 여성발전위원회의 운영, 정책결정 책임을 지닌 5급 이상 여성공무원 비율 확대, 기초자치단체장의 여성정책에 대한 관심도 제고, 성인지적 예산의 확대, 성별영향평가의 개선 등을, 둘째로는 의회 여성의원 비율 확대와 각종 위원회의 여성위원 참여확대를, 셋째로는 공무원의 성인지력 향상 교육, 여성정책 네트워크 구축, 대중매체를 통한 여성정책 홍보 및 협조체계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 지구단위계획 제어요소 실효성에 관한 연구 : 창원시 상남동 일반상업지역을 중심으로

        주재석 창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3

        도시의 관리적 측면에서 중요한 도시계획의 한 부분인 지구단위계획은 효율적 도시 관리 수단으로써 도시의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의 미관 증진 및 기능을 활성화시켜 결국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계획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도시 관리의 효율적 수단으로서 지정 운영을 목표하여 온 지구단위계획은 여러 측면에서 목적 불일치의 문제가 지적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구단위계획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실제 적용상의 계획요소별 문제를 도출하여, 창원시 상남일반상업지역 내 실제 대지의 개발규모 및 현황 등을 비교분석하여 건축선, 높이제한, 공동건축, 부설주차장 설치 등의 계획요소별 실효성을 살펴보고, 이를 지구단위계획의 수립과정과 연계하여 향후, 지구단위계획에서의 계획요소별 계획목표를 수립할 수 있도록 실효성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례조사의 대상지인 창원 상남일발산업지역의 가로중 대표적인 가로 3개를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개별 가로의 특성 및 지구단위계획 요소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지구단위계획의 제어요소들을 기준으로 하여 실효성향상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구단위계획은 대지조성시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대지조성이후 개별건축이 시행되고 지구단위계획이 이루어 진다면 지침수립 이전의 건축물들은 개별성을 가지기 때문에 전체적인 가로의 환경과 단지내의 통일성을 떨어떠리기 때문이다. 둘째, 건폐율, 용적률 처럼 개별법에 의하여 규정지어 지는 요소들은 적용률이 100%에 가까운것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강제성 부여항목을 높여야 할 것이다. 권장용도가 아닌 지정용도로서의 지정요소들이 증가 한다면 단지내 개별건축물의 통일성이 증가 할 것이다. 셋째, 일방통행로, 시간제차량통행로, 쌈지형공지 등의 계획요소들 처럼 적용률이 미비하거나 실효성이 떨어지는 항목들은 지구단위계획수립시 지침에서 제외하여 너무 많은 규제요소로서의 혼란을 방지하여야 할 것이다. From the prospective of city control, district-unit planning is not only an effective measure but also the one by which the beauty of city could be improved and its function as a city could be activated, which lead to the quality of the peoples' who live in. However, even though it wants to be continuously used as an effective measure, the district-unit planning so far has presented problems.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istrict-unit planning, we decided to find out the problems with each element of the planning when it is actually applied, and for this purpos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developments within the general commercial district of Sangnam-dong, Changwon in terms of the line of construction, the limitations to height, joint construction, attached parking lots, and so forth, which could be used to help the purpose for each element built in the future during the district-unit planning. After 3 streets were selected for case study among the streets which are located in the general commercial district of Sangman-dong, Changwon, they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oblems with the district-unit planning. The results suggested as follows in relation to the improvement in efficiency. First, district-unit planning should be established while the construction site is developed. It is because the district-unit planning after site development is completed could cause the buildings which had built before the planning to hurt the unity of the site and the environment of streets. Second, the elements such as the building-to-land ratio and the floor space index should be forced as shown in an approximate 100% of application. If they are forced, not recommended, the unity of buildings within the complex could be improved. Third, The elements such as one-way passage, time-limited passage, and the vacant lot with pouch-like-formation, which lack application or effectiveness, could be eliminated from the construction instructions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because of excessive regulations

      • 지역박물관과 연계한 중학교 향토사 학습방안 : 창원지역을 중심으로

        이승언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역사교육은 단순히 역사적 사실을 나열하고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바람직한 역사의식을 길러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역사적 사고력과 태도를 기르는데 있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역사학습 방법의 하나가 지역박물관과 연계한 향토사 학습이다. 박물관은 현재와 과거의 문화유산을 미래에 전승하고 사회와 문화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기관으로 박물관과 학교는 교육적인 측면에서 볼 때 매우 상호보완적이라 할 수 있다. 박물관 교육은 직접 박물관에 가서 실제의 표본, 유물, 작품들을 눈으로 확인하고 깊이 이해함으로써 그동안 교실에서만 수업해야 했던 학교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특히 지역의 박물관은 지역 문화의 상징의 결합을 통해 지역 정체성을 확보함으로써 향토사를 파악하기에 유리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역사 연구의 한 분야로써 향토사와 박물관의 개념과 유형별 특징을 살펴보고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고, 다음으로 박물관과 연계한 중학교 향토사 교육의 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대다수의 학생들이 박물관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었으나 형식적 수업으로 인해 우리 고장의 문화재에 대한 관심도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박물관 학습의 방향이 관람뿐 아니라 실제로 체험하여 활동할 수 있는 적극적 수업을 원했다. 이러한 설문을 바탕으로 지역박물관과 연계한 향토사 학습이 역사교육에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창원지역 내 창원대학교 박물관과 성산유적을 중심으로 학습내용을 선정하여 구체적으로 중학교 국사교과서와 연계될 수 있도록 서술부분을 찾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적절한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학습자료 제시하고 학습방안을 재구성해 보았다. 현장학습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역사에 대한 접근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적절한 지도안을 작성하여 그 동안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던 수동적 수업을 개선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학습은 학습자들의 지적 호기심을 채워 줄 수 있고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내어 학습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고,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시켜 계속해서 강조되어 왔던 향토사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박물관의 소장품을 전시하고 유물, 유적의 발굴 보고에만 치우쳐 있던 기능을 교육을 위한 학습 공간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교육현장으로서의 역할도 증대 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e goal of history education is growing desirabl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grasping the historical truth, and establish the power of though to history, not just cram the historical truth. And one of way that met these important matters is local history connected local museum. A museum is nonprofit organization established to hand down property of ancestors and contribute of society and culture of mordern times. And the museum and school can help each other when we review in the side of education. The education in museum overcome the problem of the education in school to see the exhibition by theirselves in museum. Specially the local museum is better to know local history as secure local identity through connection the symbol of local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show the general idea and characteristic of local history and museum as a part of history study, then, investigate and analysis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ocal history education connected museum in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most of students know the importance of museum, but they have little interest of our local cultural assets due to formal class. Moreover they want not only viewing the museum but also experience. Therefore this paper selected the contacts of study laying stress on the museum of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SungSan relics and suggest description part so that the local history study connected local museum is accomplished in history education and these can be connected to the meddle school course as well. And through this, for suitable study, showed the data of the study and reconstructed pertinent way. Additionally, this paper tried to improve formal and passive class as pertinent teaching plan so that the students can pick up the way to history by themselves. The study like this can fill up their mental curious, increase study effect as activity taking part, and reach the goal of local history education that put emphasis at every moment. And the ability of museum that just keeping exhibition and finding, reporting historic relics is expected to be a part enlargement to use as study space for education.

      • 창원경제 발전을 위한 지역기업 활성화에 관한 연구

        김병주 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23

        With the importance of metropolitan economy, it would not be an overstatement to say success regional communities is dependent upon development of the metropolitan economy. In local autonomy, successful development of urban economy depends on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with proper analysis of regional economic structure and its conditions. Success or fail of the stimulation of regional economy depends on the actual administration of local communities. In other words, stability of regional economy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granted but is something that needs to be created and developed, which is the only true means by which regional economy may be improved. The key players in development of regional economy are its administrative body, its businesses, and the members of its community. With this in mind, the role of the local government, which is a main body of local economy, is to develop local economic policies, conduct studies on regional economy, develop human resources, conduct administrations of the local government with efficiency, and provide suitable conditions for settlement of businesses in the community. Economic circles have stated in order for a business to put down its roots in the regional economy, positive perception and devotion of the members of the regional community is of an important prerequisite? The foundation of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is relentless business activity, and through increased production, regional economy may be stimulated. For a sound development of urban communities, the most fundamental task is for the nation, local government, businesses and members of the community must join in unity in collaboration for building a foundation for its success. With this foundation, not only is improvement in livelihood of the local citizens made possible, but also, it will contribute to the overall improvement in the domestic economy.

      • 신노사 조직문화에 관한 연구 : 창원특수강(주) 사례를 중심으로

        정현동 창원대학교 노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3

        21세기의 기업경쟁력은 바로 사람이다. 고전에도 나를 알고 적을 알면 백전백승이다라는 명언이 있다. 반대로 그 뜻을 음미하면 나를 모르고 적도 모르면 백전백패다라는 의미이다. 이 말은 사람의 이해가 그 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뜻한다. 지금과 같은 글로벌시장경쟁체제하에서는 과거의 로컬 방식으로는 기업의 생존뿐만 아니라 경쟁력도 확보할 수 없을 것이므로 글로벌 스탠더드에 따른 인간존중의 경영혁신 전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특히 21세기 미래 노사 조직문화를 참여와 협력적 노사관계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근로자의 다양한 욕구와 가치관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즉, 최고경영자는 어떤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신의 자녀를 올바로 키우기 위해 깊은 애정을 가지고 인격체로 존중하여 대하듯이 우리나라 노조 및 근로자의 의식, 사고, 그리고 행동양식에 있어 문제가 있더라도 근로자들을 인격체로 존중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기업들 중 근로자 태도조사를 통해 유리처럼 투명하게 근로자의 욕구와 가치관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기업들은 노사갈등, 노사분규 등 대립적 노사관계의 현상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향후 기업들이 우수한 인재를 유인 및 확보하기 위해서는 근로자의 욕구 및 가치관을 파악하여 미래기업의 가치관을 명확하게 정립해야할 것이다(노동부, 2000:92). 기업은 살아있는 생명체와 같다. 급변하는 기업환경의 변화속에서 유지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체하지 않고 매일 한걸음씩 전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창원특수강은 창립후 어려움이 닥칠 때마다 선진기업 으로부터 벤치마킹을 통해 그 충격을 완화해 왔으며, 훌륭하게 자신들의 것으로 소화해 냈다. 위기를 기회로 만들고 역경을 극복해 낸 저력을 가짐으로써 조기 경영정상화가 가능했으며, 신뢰와 화합으로 달성한 새로운 노사조직문화와 전임직원의 변하고자 하는 의지가 건전한 조직 문화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창원특수강은 기업경쟁력의 원천이 사람과 기술력이라고 믿고 있었다. 그러기에 인적자원과 기술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경영위기를 극복 함으로써 영속기업으로 존속하고 발전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목표달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서로간의 협력을 통하여 외환위기를 극복 해 왔으며, 품질향상, 원가절감, 자주관리 활동, 설비관리 등 모든 분야에 걸친 미세관리를 통해 흑자부상의 기반을 만들어 왔던 것이다. 창원특수강 직원들은 회사의 장기비전을 설정하고 중기 경영정상화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부문별로 업무 프로세스를 효율화하고, 수익성을 고려한 최적 세일즈-믹스 달성, 인간존중과 상호 신뢰의 생산적 노사 노직문화 정착, 판매.생산 및 전 부문에 걸쳐 총 603개 항목의 수익성개선 시책을 달성하여 자립경영을 이루고자 한 셀프(SELF)-20, 또 셀프(SELF)-20 을 구체화한 6대 프로젝트 수립 시행으로 마침내 창립 20개월 만에 꿈같은 흑자를 달성하였다. 이러한 흑자기반 조성에 힘입어 2000년 도에는 수출 2억불탑 수상, 산업자원부 부품소재 기술대상과 창원상공 회의소 노사 화합상 수상 등으로 수출 향상과 기술개발, 노사화합에 노력 하고 있다는 사실을 대외적으로 인정받기도 했다. 대내외 경영여건이 급변하고 있는 무한경쟁시대인 현실에서도 창원특수강 직원들은 뼈아픈 과거를 겪은 경험과 외환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한 저력을 되새기며, 노사간의 굳은 신뢰와 하고자 하는 의지를 바탕으로 안정적이고 영속적인 삶의 터전을 보존하고자 실패를 성공의 교훈으로 삼고 있다. 적자경영을 탈피하고 튼튼한 회사를 만들기 위해 전 부문에 걸쳐 수익성 개선 활동을 해 왔다. 직원들은 시키는 일만 하는 단순근로자가 아니라 머리로 생각하며 일하는 지식근로자가 되고자 노력했고, 상호 신뢰와 화합을 위해 작은 소리에도 귀 기울이는 열린경영을 실천해 왔다. 이렇게 노력한 결과 1998년 12월 들어 만 20개월도 되지 않은 짧은 기간에 처음 으로 흑자를 실현하였고,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창원특수강 직원 모두가 절실하게 느낀 것은 아무리 좋은 제도나 방법이 있더라도 구체적인 실천 방안에 의한 실천력이 없으면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는 것이다. 인간존중문화, 투명경영 실천, 신노사 조직문화 구현, 지식근로자 육성, 참여와 협력 증대 등 미래의 생존전략으로서 가치를 창출하는 노사조직문화 정착을 위해 필수적인 지식들을 누구나 알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이것을 정착시키기 위해 어떻게 행동으로 옮길 것인가가 향후 과제가 될 것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은 너무나 방대하고 많은데 비하여 그것을 행동으로 옮기는 예는 그리 흔치 않다는 것이다. 즉, 무엇을 할 것 인가를 아는 것 만으로 충분하지 않고 왜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가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해야 한다(박우순, 2002:7)는 것이다. 지난 5년동안 급박한 변화속에서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여 이를 적용하고 꽃 피우기 위해 수많은 실천 방법을 강구하고, 행동으로 옮겨왔다. 앞으로도 알고 있는 지식(Knowing)을 더욱 더 체계적인 행동(Doing)으로 옮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현재의 수준에서 한단계 성숙된 21세기를 선도하는 신노사 조직문화 구현에 매진해야 할 것이다.

      • 요가명상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박미진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유아들을 위한 요가명상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만 5세 유아들에게 적용하여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그 효과가 8회기 집단과 16회기 집단의 적용기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그리고 사후검사 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요가명상놀이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는지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경험 분석

        진기준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07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대표적 증상인 부주의, 충동성, 과잉행동은 교실 내에서의 학업에 어려움을 초래하며, 교사는 이런 증상을 부모보다 먼저 접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초등학교 통합교육이 일반화된 현실에서 교사들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며, 지도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 어려움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선행연구가 양적연구에 치우쳐 있어 질적연구를 통한 심도있는 파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의 현실 속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경험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교육 프로그램,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 부모 교육 프로그램, 교원 연수 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교사의 경험을 교육환경, 학교환경, 가정환경으로 나누어 각각의 개방형 질문을 통해 교사들의 경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개방형 질문의 내용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관련 선행연구를 심도 있게 분석하였으며, 관련 전공자와의 협의를 거쳐 완성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총 7명으로 2차에 걸쳐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추가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초기코딩에서 53개의 코드가 도출되었고, 2차에서 12개의 범주로 분류되었으며, 이것은 다시 3가지 주제로 나누어 졌다.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지식의 부족으로, 처음에는 훈계를 주로 하지만, 경험이 쌓이면서 아동을 이해하게 되고, 애정과 사랑으로 꾸준히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별 과제 및 보충지도를 겸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무엇보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에 대한 사회적인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둘째, 학교 환경으로는 부모가 자녀에 대한 특수교육대상자 신청을 꺼려 학교가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련 예산이 턱없이 부족하며 전문인력이 필요하나 현실적으로 제한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 인력의 경우도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으나 현실적으로 특수교육대상자가 아니기 때문에 제한이 따를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와 가정의 공감대 형성 및 상담체계 조정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환경으로는 교우관계에서 갈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3, 4학년에 대한 이해교육이 필요하며 개별 및 전체 이해교육이 적절하게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행동치료와 더불어 약의 복용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는 자녀의 상태를 인정하지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에는 소극적이어서 중재에 애로점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통합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지도하며 초등학교 교사는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교사 및 교우간의 이해교육, 인적?물적 지원, 학부모의 이해교육이 절실하다. 즉, 교사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을 애정과 사랑으로 지도할 수 있는 학교 및 가정환경의 지원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과잉행동-충동성우세형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못지않게 부주의우세형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관리에도 유의해야 한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지도하다 보면 일반 아동이 방치될 수 있는데 보조 인력의 투입이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일반아동에게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에 대한 보다 세심한 장애이해교육이 필요하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중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동의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학부모 이해교육과 학교 차원의 별도 예산을 편성하여 특수교육대상자가 되지 않더라도 전문가에 의한 다양한 치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여건을 구축해야 한다. 약의 경우, 복용은 최소화하면서 다양한 행동치료와 상담을 병행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차크라 얀트라 명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최은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주기적인 명상을 통해 집중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마음을 통제할 수 있게 훈련하는 차크라 얀트라 명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차크라 얀트라 명상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들째, 차크라 얀트라 명상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하위 요인인 주의집중력 선택능력, 주의집중력 통제능력, 주의집중력 지속성능력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 D초등학교 4학년(만10세) 아동 실험집단 23명과 통제집단 2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에는 5주에 걸쳐 20회기의 차크라 얀트라 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집단 2(실험, 통제) × 검사 시기2(사전, 사후)의 이요인 혼합설계이며 프로그램 효과를 양적 분석하기 위해 실험․통제집단에 대해 FAIR주의집중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주의집중력 검사지의 사전․사후 득점으로 SPSS(ver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반복측정식 변량분석을 하였고, 주효과 분석을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주의집중력 전체 척도 및 3개 하위요인의 변화에 대한 집단별 평균득점 비교에서 실험집단의 변과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평균차이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통제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간 상호작용 효과 분석, 두 집단의 사후 검사,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주효과 분석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실험처치 효과를 입증해 주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차크라 얀트라 명상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주의 집중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차크라 얀트라 명상 프로그램은 주의집중력의 하위요인인 주의집중력 선택능력, 주의집중력 통제능력, 주의집중력 지속성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므로 차크라 얀트라 명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 본 연구의 목적을 충족시켰으며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식품유래 병원성세균의 생육을 저해하는, Staphylococcus warneri AW25 유래 Bacteriocin의 특성 조사

        오수빈 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07

        김치로부터 박테리오신 생산균주를 분리하여 16S rRNA sequencing 결과 S. warneri AW25로 동정되었다.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세포의 모양을 관찰한 결과 구균으로 확인되었으며 M. luteus IAM 1056, L. monocytogenes KCCM 40307, E. faecium KCCM 12118, B. cereus KCCM 11204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S. warneri AW25가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장독소 유전자를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PCR을 수행한 후 전기영동을 실시한 결과 sea, seh 유전자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박테리오신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학적 조건은 maltose와 malt extract를 첨가한 BHI 액체배지에 37℃, 24-42시간 및 pH 7-8로 맞춘 후 배양하였을 때 박테리오신 활성이 320 ㍳/㎖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박테리오신에 가수분해효소를 처리하였을 때 trypsin, subtilisin A, α-chymotrypsin, proteinase K에서 활성이 소실되어 S. warneri AW25가 생산하는 항균물질이 펩타이드성임을 확인하였다. 이 박테리오신은 강산과 약염기성에서 안정하였으며 강염기성에서는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0℃까지 안정하였으며 유기용매에 대한 내성을 확인한 결과 시료가 녹지 않는 100% 농도를 제외한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acetone 80%까지 안정하였으며 acetonitrile은 60% 까지 안정하고 80%에서는 활성이 절반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기염류나 계면활성제를 1% 농도 처리했을 때 tween-20, tween-80 및 CuSO4를 제외한 0.5 M EDTA, triton X-100, triton X-114, urea, SDS, N-lauroyl sarcosin, MgCl2, NiSO4 및 NaCl에 내성을 보였다. Isopropanol로 농축한 박테리오신 용액을 사용하여 각 지시균에 대한 MIC50를 구한 결과 L. monocytogenes KCCM 40307 1.31 ㎎/㎖, M. luteus IAM 1056 1.35 ㎎/㎖, B. cereus KCCM 11204 1.82 ㎎/㎖, E. faecium KCCM 12118 1.95 ㎎/㎖으로 이 중에서 감수성이 가장 높은 균주는 L. monocytogenes KCCM 40307으로 나타났다. 또한 박테리오신의 작용기작은 M. luteus IAM 1056 및 L. monocytogenes KCCM 40307에 대하여 흡광도와 생균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bacteriostatic으로 판단되었다. Isopropanol 농축액을 이용하여 –20℃와 4℃에서 박테리오신의 저장성을 실험하였다. 저장을 시작한 후 –20℃는 25일, 4℃는 20일 까지 온전한 활성을 유지하였으나 이후로 활성이 절반으로 줄어들었으며 35일부터 잔여활성은 160 ㍳/㎖로 나타났다. 박테리오신의 식품 중 Listeria균 억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L. monocytogenes KCCM 40307을 포함한 소시지에 박테리오신을 첨가한 후 초기 CFU/㎖이 감소하여 유지됨을 확인한 결과로부터 박테리오신을 이용하여 육가공품의 품질과 저장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 warneri AW25를 대량 배양한 후 isopropanol 농축, Sep-Pak C18, RP-HPLC를 통하여 정제 하였으며 최종 specific activity는 3282.05 ㍳/㎎으로 기존 배양액에 비해 5.75배 증가하였으며 총 0.4%의 회수율을 보였다. 정제한 박테리오신의 tricine SDS-PAGE 분석을 통해 분자량이 2.5~3.0 kDa로 추정하였다. 정확한 분자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MALDI-TOF MS를 의뢰하여 분석한 결과 S. warneri AW25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분자량은 2549.594 Da로 확인되었다. 정제된 박테리오신의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을 확인하기 위해 edman sequencing을 의뢰하여 분석한 결과 M-Q-F-I-T-D-L-I-K-K-A-V-D-F-F로 확인되었으며 15잔기를 NCBI에서 protein BLAST를 수행한 결과 epsilon family phenol-soluble modulin과 100% 일치하였다. Various bacteria were isolated from fermented foods and tested for antibacterial activity using agar well diffusion metho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acteriocin produced by the isolated strain of Staphylococcus warneri AW25, were examined. The bacteriocin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such as Micrococcus luteus IAM 1056, Bacillus cereus KCCM 11204, Listeria monocytogenes KCCM 40307 and Enterococcus faecium KCCM 12118. Enterotoxin A and H were detected in S. warneri AW25 by PCR analysis. The bacteriocin was stable at up to 100℃ for 120 min and at pH value from 2.0 to 8.0. Bacteriocin activity was not affected at up to 80% of organic solvents like methanol, ethanol, acetone, and isopropanol. Bacteriocin was resistant to 1.0% concentration of 0.5 M EDTA, Triton X-100, Triton X-114, urea, SDS, N-lauryl sarcosine, MgCl2, NiSO4 and NaCl. In addition, the bacteriocin activity was removed by treatment with trypsin, subtilisinA, α-chymotrypsin and proteinase K. The approximate half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50) of crude concentrate against M. luteus IAM 1056, L. monocytogenes KCCM 40307, B. cereus KCCM 11204 and E. faecium KCCM 12118 was 1.35 ㎎/㎖, 1.31 ㎎/㎖, 1.82 ㎎/㎖ and 1.95 ㎎/㎖ respectively. The bacteriocin exhibited its antibacterial activity through bacteriostatic action against M. luteus IAM 1056 and L. monocytogenes KCCM 40307. The crude bacteriocin was stable at –20℃ and 4℃ for 25 day and 20 day respectively. The number of viable cells of L. monocytogenes KCCM 40307 started to decrease after addition of bacteriocin to the sausage. The purification of bacteriocin was performed by isopropanol concentration, Sep-Pak C18 cartridges and RP-HPLC. The purification resulted in a final yield of 0.4% and a 5.75-fold increase in the specific activity. Tricine SDS‐PAGE analysis showed its molecular weight was about 2500 Da. The exact molecular weight was determined to be 2550 Da by MALDI-TOF MS analysis. The partial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s of bacteriocin were determined to be M-Q-F-I-T-D-L-I-K-K-A-V-D-F-F, the same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s as epsilon family phenol-soluble modulin of staphylococc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