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연구 :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중심으로

        채규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문헌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음악학도들에게 필요한 자료를 신속 정확하게 찾는데 느끼는 곤란함과 자료검색을 위한 2차 자료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음악교육 연구의 정보자료로서 음악교육 문헌관계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이를 장르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1993년부터 2002년 2월까지 제출된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333편의 논문 총람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333편의 장르별 연구경향은 14개의 장르 중에서 음악교육론 영역과 국악교육영역에 각각 67편(20.1%)으로 가장 많은 연구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 논문 작성자들 대부분이 초등교육에 몸담고 있는 교사로서 좀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음악교육을 하기 위한 노력의 표출로서 음악교육학적 측면에서 음악교육방법을 연구해 보려는 시도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서양식의 음악교육을 답습해온 이제까지의 교육에서 탈피해 우리의 것을 바로 알고자 하는 국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기조를 반영하여 국악교육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장르별-연도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기 전인 1998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음악교육론(28편), 성악교육(14편), 국악교육(14편), 작곡교육(11편), 교육과정(10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는 1999년에는 국악교육 9편, 성악교육 7편, 음악교육론 3편으로 국악교육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이후 2002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국악교육(49편), 음악교육론(39편), 성악교육(30편), 교육과정(23편), 감상교육(19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1999년 이후 국악교육의 연구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된 데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논문의 연구대상 시기인 6차 교육과정 때부터 국악교육에 많은 관심과 영역이 할애되었고 7차에 이르러 초등음악의 5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어 국악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1편도 제출되지 않았던 피아노 교육관련 논문과 불과 2편만이 제출되었던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999년 이후 피아노 교육이 총 7편,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1편으로 많이 증가되었다. 또한 어느 영역에도 소속되지 않는 새로운 영역의 논문들도 1999년 이후 10편이 발표되었다. 셋째, 장르별-학교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음악교육론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부산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였으며, 음악재능교육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진주교육대학교였다. 성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공주교육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였으며, 작곡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대구교육대학교였다. 국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광주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였다.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학교에 따라서 장르별로 비중을 두어 연구하는 영역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서울교육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의 경우는 14개 영역 중 종교음악교육, 유아교육, 특수교육의 특수한 영역을 제외하고는 고른 연구의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처음으로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연구 논문이 발표된 이래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초등음악교육전공이 개설되고 논문이 발표되면서 양적, 질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essay is to provide a general view of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as a valuable source of music research and to analyze it according to the music genre. It is helpful for music researchers to find necessary information easily in the plethora of music materials and to resolve the difficulty of information searching. This research investigated a total number of 333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which was published in Korea from 1993 to February 200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research trend by a genre showed that 14 categories among 333 thesi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music education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that were composed of 67 thesis(21.1 %). This revealed that most research was done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can be a good indication that teachers attempt to do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earch of music education. It can be interpreted as a trend of avoiding imitating Western style of music education and higher interests in traditional Korean music. Second, the general analysis according to the genre and annual publication showed that 28 thesis were about special areas of music education with 14 being about vocal music, 11 about writing music, and 10 about music curricula before theses of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were published in 1998. The theses relevant to music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at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tarted to be published in 1999. Nine theses were about traditional Korean music, seven on vocal music and three on music education. The trend of genre from 1999 to 2002 showed that 49 theses were made in the area of traditional Korean music, 39 about music education, 30 on vocal music, 23 about music education, and 19 concerning how to listen to music. It is believed that much interests in Korean music started at the 6th music curriculum contributed to the abundance of theses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music, which comprised of roughly 50 % of 7th music curriculum. There was no thesis at the area of piano education from 1992 to 1998 and only two thesis at the area of music evaluation. However, since 1999 seven theses of piano education were published and eleven on music evaluation. Third, general analysis of this research proved that Busan, Seoul, Inchon, and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of music education, and J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a lot of theses related to talented music education. Gongju and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associated with vocal music. T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most theses about writing music. Kwangju, Busan, Incheon, Chunche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order had more theses connected with traditional Korean music. This result illustrated the fact that different college explored different genre of music. Seoul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a tendency of studying a variety of spheres among fourteen areas except fields of religion, kindergarden, and speci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thesis demonstrated that the amount of research exploring elementary school music was increased in the aspect of quality and quality at the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i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their first master thesis.

      • 한 초임교사의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김은지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교사였던 연구자가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서술함으로써 교사 재교육기관의 교육을 통한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 및 결론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한 동기는 첫째, 교사 전문성의 신장과 학문적 욕구 해소라는 내재적 가치 실현 둘째, 자격증 취득 등을 위한 발령대기 상황의 대비책이라는 외재적 가치 실현을 위함이었다. 다음으로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에 미친 영향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교육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교육적 경험을 하고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교수 전문성을 발달시킬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교육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학교교육에 대한 가치 변화가 일어났고, 초등학교 초임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성찰을 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의미관점의 발달을 겪을 수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에게 교육대학원은 전문적 자본 발달의 장(場)이었다. 또한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에서 동료교사와 함께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이 “함께 수업을 듣는 사람”에서 “교육에 관하여 함께 고민하고 성장하는 사람”으로 전환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대학원의 구성원들은 현장교사들이 교육대학원에서 전문적 자본을 개발 및 확장할 수 있도록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대학원은 현장교사들의 학습경험이 그저 ‘학위 취득을 위한 시간 때우기’에 머물지 않도록 교사 재교육 목적과 기능에 충실한 교육과정과 수업을 전개해야 한다. 셋째, 교육대학원은 단위학교나 지역교육청의 인적 및 물적 자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공유하여 교육대학원 교육프로그램의 학문성과 현장전문성을 확대 및 심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연결함으로써 교육대학원의 교사 재교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교수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육대학원에 수학 중이거나 진학을 희망하는 현장교사들에게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이해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기여할 있을 것이다.

      •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의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권미경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각 학교별로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석사학위 논문의 경향을 학교별로 파악하여 음악교육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국내 초등음악교육계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의 2005년 8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석사학위논문 248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논문을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을 기준으로 각 학교별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영역의 분류기준은 음악교육역사, 음악교육철학, 음악미학, 음악심리, 음악교육과정, 음악교재, 음악교수?학습방법, 음악교육공학, 음악교육평가, 음악교사교육, 음악특기적성, 국악, 다문화음악, 기타의 14개 영역이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역사연구, 기술연구, 실험연구, 문헌연구의 4가지를 기준으로 하였다. 학교별 논문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학교는 53편의 논문을 발표한 경인교대였으며, 모든 영역을 연구한 학교는 없었으나 11개 영역을 연구한 학교로 경인교대가 해당되었다. 연구방법에서는 경인교대, 부산교대, 청주교대에서 네 가지 연구방법을 모두 사용하였고, 나머지 학교들은 2개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가장 많이 연구된 연구영역은 음악교수?학습방법이며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의 방법이다. 대다수의 논문들이 교육적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지도안을 구안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저조한 연구를 보이는 영역으로는 음악교육역사, 음악교육철학, 음악미학, 음악교육평가의 영역이다. 그리고 역사연구의 방법이 가장 적게 사용된 연구방법이었다. 따라서 초등교육음악계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저조한 연구를 보이는 영역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논문들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체계적인 분류기준의 정립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공개적으로 제시하는 각 교육대학교의 교육적 아량이 요구된다. This study makes pandect of master these in the field of the music education of the graduated school 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nalyzes th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understanding the tendency of theses in a master degree according to the national universities, showing useful data to the music education researchers and eventually contributing to internal elementary music education development. This thesis is based on 248 theses of the graduate schools in 11 national universities which were written from August, 2005 to January, 2008. It focuses on the theses trend in each university, using the criteria of the study scope and the study method. The study scopes use 14 areas: history of the music education,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music aesthetics, music psychology, processes of music education, music textbooks, music teaching methods, learning methods, engineering of music education, evaluation of music education, education of music teachers, the special ability of music, Korean classical music, multi-cultural music and other areas. The study method uses 4 kinds: history study, skill study, experiment study and documentary records study. Findings on analysis reveals that Kyengin Education University has published the highest amount of theses. It also shows that there is no university which has a thesis covering the 14 areas. However, Kyengin Education University has the theses which cover 11 areas. Some these of the Education University of Kyengin, Busan and Cheungju use 4 study methods and the others use at least 2 and more study methods. The most popular study scopes are music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highest used study method is the documentary records. Most of the these use the study method using educational ideas and making a guidance plan. The least study scopes are history of the music education, philosophy of the music education, music aesthetics and evaluation of the music education. The least study method is history study. All in all, the research of the least study scopes should be progressed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the elementary music. It is also essential to set the systematic classified criteria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theses. It is, moreover, required that each university shows broad mind to allow researchers to access useful materials openly.

      • 교육대학교 교육과정과 수업 참여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장지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글의 목적은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한 초등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참여경험을 질적으로 조명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비교사였던 연구자가 경험한 사랑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에 관련된 개인적인 기억자료, 자기회상 자료, 자기성찰 자료, 문화기물 자료, 문헌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이 글은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사랑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 편제에 따라 교양과정, 전공과정, 심화과정, 교육실습이라는 네 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영역분석(1차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주제 분석(2차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인 범주와 주제를 생성하였다. 최종적인 연구 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랑교육대학교의 교양과정과 그에 따른 수업 운영은 초등학교 교사로서 필요한 역량(‘사도핵심역량’) 기반의 학습내용을 포괄하는 데 제한적이었다. 둘째, 사랑교육대학교의 전공과정(교직이론, 교직소양, 교과교육, 교과전담, 특별·재량)과 그에 따른 수업 운영은 현장교사들이 요구하는 실천적 및 경험적 지식보다 학문적 및 이론적 지식에 치우쳐 있었다. 따라서 사랑교육대학교의 전공과정과 수업은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교육적 관심과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다. 셋째, 사랑교육대학교의 심화과정과 그에 따른 수업 운영은 초등교육의 고유성과 전문성을 반영 및 실현하는 데 제한적이었다. 넷째, 사랑교육대학교의 예비교사 교육실습 과정은 기존 교원양성 교육과정 및 수업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였고, 교육실습의 기회가 부족하여 현장전문성을 함양하는 데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과 수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원양성기관의 교양과정과 수업 운영은 ‘초등교육’이라는 특수목적대학으로서의 특수성과 차별성을 반영한 교육내용과 교수방식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초등교원양성기관의 전공과정과 수업은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이 결합된 현장친화적인 교육과정과 교수법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셋째, 초등교원양성기관의 심화과정과 수업은 초등학교 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역할을 형성하고, 세부 교과별 교수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초등예비교사교육에서의 현장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교육실습 기간을 보다 확대하고, 초등교원양성대학의 교사교육자들과 실습협력학교의 현장교사들이 상호 간에 협업할 수 있는 협력 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 도시관광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관계지속의도 연구

        반영해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세계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도시는 마케팅의 대상이 되었으며 관광의 대상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관광목적지가 되었고 도시관광은 지역발전을 위한 전략적인 수단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관광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관계지속의도에 대한 영향관계를 밝힘으로써 요인간 영향관계에 대한 학술적인 시사점을 도출함은 물론 관광지로서 전주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개선안과 관광객 유치에 필요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인 도출 등 실무적 시사점 제시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전라북도 전주시 관광지를 지역범위로 한정하였고 전주시 이외의 지역에 거주하며 전주시 관광지를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전주한옥마을에서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9년 9월 1일부터 9월 31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연구자 본인과 사전에 교육된 조사원에게 조사 목적 및 방법을 설명듣고 설문지를 바탕으로 자기기입식 조사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30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답변 등 분석에 부적합한 40부를 제외한 260부를 유의표본으로 하여 조사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적 처리는 데이터 코딩 작업을 거쳐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에 대한 분석방법은 통계패키지 SPSS-WIN 20.0을 이용한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광고, 구전 요인이 브랜드 인지도의 브랜드 인지에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 구별에는 광고, 홍보, 구전의 3가지 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고, 홍보, 구전이 인지적 수준에서 전주시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호소되어 전주를 관광지로 인지하고 다른 지역 관광지와 구별할 수 있는 등 브랜드 인지도를 형성하는데 관계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구전 마케팅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브랜드 인지도로 이에 대한 적극적, 효율적 활용이 필요하다. 둘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광고, 홍보, 구전의 3가지 요인 전부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브랜드 이미지를 호의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광고, 홍보, 구전을 이용하여 커뮤니케이션에 자원투자와 메시지 형태를 전략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해 준다. 셋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광고, 홍보, 구전의 3가지 요인 모두 관계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와 마찬가지로 관계지속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구전활동에 중점을 둘 필요성이 있다. 넷째, 브랜드 인지도의 브랜드 인지, 브랜드 구별 2가지 요인 전부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브랜드 인지도는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감안할 때, 꾸준한 관광지에 대한 광고, 홍보, 구전 관리를 통해 관광지에 대한 인지도 향상 및 이를 통한 긍정적인 브랜드를 형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브랜드 인지도의 브랜드 인지, 브랜드 구별 2가지 요인 모두 관계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를 관광지로 인지하는 것은 관광을 위해 재방문하거나 자신의 경험이 긍정적 구전으로 이어지는 인과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인지도 속성들에 초점을 맞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전주에 대한 효과적인 관광정보제공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여섯째, 브랜드 이미지가 관계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의 아름다운 경관, 관광인프라, 친절성, 즐길거리, 매력성, 쾌적성, 편안함, 즐거움의 이미지 구축과 홍보를 통해 관광객이 전주를 재방문하고 긍정적 구전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여러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고 있으나 연구대상의 한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인의 선별적 연구, 조사지역의 한정 등의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향후 연구대상 및 조사지역의 확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인의 다양화, 온라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구전 등에 대한 실증 연구를 통해 더욱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성이 있다. With the emergence of the globalization era, cities have become the subjects of marketing and tourist destinations that many people are visiting, with urban tourism being recognized as a strategic means of local development and growth.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presenting practical implications by not only deducing academic implications o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including marketing communication, level of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intention to sustain relationship of urban tourism by also deducing proposal for efficient and systematic improvements necessary for sustained growth of and marketing communication factors necessary for enticing tourists to Jeonju as a tourist destination by disclosing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among the aforementioned factors.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 research goals of this study, the tourist destinations in Jeonju City, Jeollabuk-do were limited to the regional areas, and an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on the tourists residing outside Jeonju-si visiting the tourist destinations in Jeonju-si at the Jeonju Hanok(traditional Korea houses) Villag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31, 2019 in the format of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on the basis of the instructive words indicated in the questionnaire after having provided explanations on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survey by the researcher and pre-trained survey administrators.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60 copies with the exclusion of 40 copies inappropriate for analysis due to reasons such as insincere answers were used as purposive samples and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survey analysis. Empirical analysis was executed on the data collected after having undergone data coding work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said data.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applied for the data collected includ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etc. by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WIN 20.0.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analysis. First, factors such as advertisement and word-of-mouth of marketing communication have effects on the brand recognition of the level of brand awareness, while all 3 factors, namely, advertisement, promotion and word-of-mouth, affect the brand distinction. This can be interpreted as advertisement, promotion and word-of-mouth are associated with establishment of brand awareness by appealing the tourists to Jeonju-si to recognize Jeonju as a tourist destination and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regional tourist destinations at cognitive level.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marketing through word-of-mouth has the greatest effect on the level of brand awareness, thereby needing efficient and assertive utilization thereof. Second, all 3 factors of marketing communication, namely, advertisement, promotion and word-of-mouth, were found to affect the brand image. This result imply that infusion of resources into and forms of message contents of communication utilizing advertisement, promotion and word-of-mouth must be considered strategically in order to establish favorable brand images. Third, all three factors of marketing communication, namely, advertisement, promotion and words of mouth, were found to affect the intention to sustain relationship. In particular, similar to the case of level of brand awareness and brand imag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activities for word-of-mouth that impart the greatest effect on the intention to sustain relationship. Fourth, two factors of the level of brand awareness, namely, brand recognition and brand distinction, were found to affect the brand image.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level of brand awareness is a factor that affects establishment of brand imag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strategy for improvement of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tourist destination through continuous management of advertisement, promotion and word-of-mouth for the tourist destination, and ensuing affirmative building up of brand. Firth, two factors of the level of brand awareness, namely, brand recognition and brand distinction, were found to affect the intention to sustain relationship. Since there i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Jeonju as a tourist destination and ensuing revisit for tourism or affirmative word-of-mouth on the visitor’s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execute marketing communication focused on the diversified attributes of the level of awareness to enhance it and to provide effective tourism information on Jeonju. Sixth, it was found that brand image affects the intention to sustain relationship. It appears that the establishment and promotion of the images of beautiful scenery, tourism infrastructure, kindness, things to enjoy, attractions, pleasantness, comfort and enjoyment of Jeonju will lead to revisiting of Jeonju and affirmative word-of-mouth by the tourists. Although this study deduced and presented diversified implications for the purpose of research, it has several limitations including the limitation in the study subjects, selective study of marketing communication factors and limitation of the survey area, etc.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duce more diversified implications through expansion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survey areas, diversification of marketing communication factors and empirical study on online word-of-mouth with online site users as the subjects, etc. in the future.

      • 한국어 초급 교재 문법 목록 비교 연구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 따른 교재를 중심으로

        고아라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grammar list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2017) esta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s reflected in the textbook for beginners of Korean universities. To this end, the grammar items presented in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at Kyunghee University, Korea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grammar list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2017), and the basic sentences of each textbook were analyzed through the basic sentence patterns presented by Hyeonkyung Yoo et al.(2018).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e realization of grammar item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ree universities before and after 2017, when 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was developed. It was confirmed what kind of changes it brought before and after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rammar rating list of 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is partially reflected through two versions in each textbook. First, grammar items that were not presented in previous textbooks were reflected in textbooks after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Second, the grammar items previously presented in different grade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grades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suggest two points of improvement for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for Korean Language. First, it is the unity of the curriculum and the evaluation institution. Because the curriculum and the evaluation institution are different,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no choice but to follow the evaluation standards. Even though the curriculum institution which is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presents an international-level curriculum and present grammar items with reasonable reasons. Therefore,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should be conducted on the same line. Second, providing sentences used in beginner’s textbooks should provided from simple sentences of basic Korean sentences, to complex sentences. It is desirable to recommend in the curriculum so that textbooks could reflect the procedure.

      • 持續可能한 都市再生 推進方案에 關한 硏究 : 全州市를 中心으로

        李容直 전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지속적으로 경제가 성장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집중하기 시작하였다. 2013년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적인 도시화율은 91.04%로 나타났다. 도시화는 단순히 도시인구 증가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주민의 의식구조, 생활양태와 아울러 지역의 경제사회구조, 문화, 기반시설 등 다양한 측면에 걸친 복합적이고 다양한 변화 현상을 포괄하고 있다. 지속적인 도시화로 인하여 도시환경 악화와 도시기능의 상실과 같은 부정적인 문제에 직면하게 됨으로서 도시재생과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주시 구도심 지역에 쇠퇴가 심각한 상황임을 인지하고 구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도심재생을 위한 가로환경정비 및 주거환경정비사업, 전통시장 활성화사업 등의 실태분석과 지금까지 전주시가 추진했던 도시재생사업의 내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의 추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실현 가능한 도시재생 정책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전주시에서 추진했던 도시재생사업과 2011년 4월부터 실시된 전주도시재생테스트베드 연구 사업의 내용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전문가, 대학교수, 전주 도시재생테스트베드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방안 모델 제시를 위한 설문조사 및 AHP분석을 실시하여 분석결과에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 방안의 중요도에 있어서 대분류 항목들 간 상대적 중요도에서 도시재생 재원확보가 0.32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부항목 별로는 도시재생 추진체계 항목에서 산․학․관 협력 네트워크가 0.3583으로, 도시재생 개발 주체 항목에서는 마을기업 및 사회적 기업이 0.3319로, 도시재생 선도 사업 항목에서는 한옥마을이 0.3544로, 도시재생 인력확보 항목에서는 코디네이터 육성이 0.5184로, 도시재생 재원확보 항목에서는 국․도비 확보 0.3969로 높게 나타났다.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 방안 모델의 19개 세부항복별 중요도 순위를 나타내는 복합가중치를 살펴보면 국․도비 확보가 0.0164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코디네이터 육성이 0.00710, 민간자본 유치가 0.00592, 도시재생채권이 0.00524, 산․학․관 협력 네트워크가 0.00404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을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재원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차원의 도시재생기금 신규 조성 및 도시재생 채권 발행을 위한 TIF제도 도입 방안 모색, 정부차원에서 우선적으로 국비를 투자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한 후 민간자본유치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 매칭펀드 제도 도입 방안 모색 등이 필요하다. 둘째, 전문가 AHP분석 결과, 많은 전문가들은 아직까지 지역주민들의 역량부족으로 자력재생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중간지원조직 육성이 필요하다. 도시재생지원센터를 조직하여 센터 중심으로 주민들과 함께 사업을 추진하고, 추진과정에서 행정기관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여 원활하게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도시재생사업 추진에 있어서 지역의 전문가들과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이 도시재생사업의 추체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 등의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을 위해서는 행정기관에 도시재생 전담부서 설치가 필요하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인 도시재생사업이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실시될 것이며 국토교통부에서는 도시재생 선도지역을 선정하고 본격적인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안을 전문가 AHP분석을 결과를 토대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초등교원 임용고사에 대한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인식

        오영식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analysis students' attitude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oward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refore thes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set up. First, attitude toward application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cond, attitude toward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competition rate Third, attitude toward first test and second test Fourth, attitude toward university grade and current incentive points Fifth, attitude toward separate recruiting by region and separate recruiting by gender Based on previous research, a 28 questions survey has been made with advises from guiding professor to solve those problem up there. 600 students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Jeollanamdo, Jeollabukdo, Chungchungnamdo have taken the survey,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by the question have been set up. First, attitude toward application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as follows : Students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nk primary factor such as employment stabilization, persuasion, working better than mission of education, showing their talent. Second, attitude toward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competition rate were as follows :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competition rate is below 1.2:1. This is below another career competition rate, but the group is same quality. for this reason 1.2:1 competition is not low competition rate.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competition rate is imposed a burden on many stud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must have conversation with students. Because reasonable competition rate is necessary for the negotiation. Third, attitude toward first test and second test were as follows : At the first test, important subject is curriculum of education.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need a necessary conditions that are talent, specialty. Current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is necessary for suitability, justice, objectivity at the evaluation At the first test, pedagogy and curriculum of education are preserved the present state of allotted points, problem amounts, test styles. Because transformation has confusion. Curriculum of education is necessary for test style, problem amounts. At the second test, essay writing examination, interview, practical examination are preserved the present state of evaluative field. Allotted points, test styles are standardized because regional different test styles and regional different allotted points are caused confusion at the second test. The second test must have justice and objectivity. Fourth, attitude toward university grade and current incentive points were as follows : University grade is preserved the present state. Incentive points are standardized at all region. Regional incentive point is necessary for reduction and standardization. Fifth, attitude toward separate recruiting by region and separate recruiting by gender were as follows : Regional recruiting opinion is negative response. The Ministry of Education are necessary for project and system avoid regional partial examinee. As situation of disproportional female teachers, female students want the present state but male students want expansion of male teachers. regional and gender separate recruiting is produced different response. 본 연구는 초등교원 임용고사에 대한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인식 실태를 조사·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대학교 지원 동기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교원 임용고사의 적정 경쟁률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셋째, 1차 시험과 2차 시험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넷째, 대학성적반영과 현행 가산점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다섯째, 소재지별 모집과 성별 분할 모집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지도교수의 조언을 얻어 28문항의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이를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에 소재한 교육대학교 재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연구문제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교 지원 동기에 대한 의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대학교에 진학하는 학생들은 교직에 대한 사명감, 재능의 발휘 등과 같은 교육이 가지고 있는 내재적 요인보다는 직업의 안정성, 주위의 권유, 취업이 잘 되어서 등과 같은 교육이 가지고 있는 외재적 요인에 의해 지원 동기가 결정되었다. 둘째, 초등교원 임용고사의 적정 경쟁률에 대한 의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른 직업에 응시하는 경쟁률에 비하면 낮은 경쟁률이지만, 교육대학교에 진학하는 학생은 동질 집단 학생이라는 것을 감안할 때 상당히 높은 경쟁률이다. 따라서 많은 학생들이 경쟁률을 의식하며 부담을 갖고 응답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초등교원 임용고사의 경쟁률은 1.2:1 이하를 원하는 응답이 50% 이상을 이루었다. 셋째, 1차 시험과 2차 시험에 대한 의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시험에서 중요한 과목은 배점이 많은 교육과정으로 나타났으며, 임용고사가 평가하는 영역에서 교원의 자질, 전문성, 재능을 중시하고 있지만, 평가의 적합성, 공정성, 객관성을 마련해야 하고, 현재 이루어지는 임용고사의 평가는 적정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1차 시험의 교육학과 교육과정은 시험 유형에 대하여 배점, 문항수, 출제 방식은 현재 상태를 유지하자는 의견이 많았다. 교육과정의 경우는 출제방식을 객관식을 포함하는 형태로 원하고 있었다. 2차 시험에서 실시하는 논술, 면접, 실기의 경우 평가해야할 영역에서 현행 유지에 많은 응답을 하였다. 2차 시험의 경우에는 지역마다 시험 유형은 동일화 할 필요가 있으며, 가능하다면 배점도 동일화해야 하는 응답이 많았다. 1차 시험과 2차 시험 중에 1차 시험이 공정성과 객관성을 많이 확보한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대학성적반영과 현행 가산점에 대한 의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용고사에 반영하는 대학성적반영은 현행유지의 응답이 많았지만, 가산점의 경우에는 가산점의 기준을 전국적으로 동일화 하자는 응답이 많았다. 임용시험에 반영하고 있는 지역 가산점의 경우에도 축소하자는 의견을 포함해서 동일화 하자는 응답이 많았다. 다섯째, 소재지별 모집과 성별 분할 모집에 대한 의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교원 임용고사에서 지역별, 성별 수급 계획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모집 방식으로 소재지별 모집에 대한 의견에 대하여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여교사의 편중현상에 대하여 여학생은 현행 유지에 남학생은 남교사 확충에 많이 응답하였고, 교육대학 입학의 과정에서도 남녀 분할 모집에 관해 남녀가 서로 다른 입장의 응답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원을 양성하는 과정인 교육대학교 재학 기간에 학생들의 지원동기를 생각하는 교육과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초등교원 임용고사의 실시에 있어서 학생들의 의견이 반영되는 과정을 거쳐 적정한 경쟁률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임용고사의 실시 기관은 평가 결과를 수험자가 수긍할 수 있도록 적합성, 공정성, 객관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의 경우는 출제방식을 객관식을 포함하는 형태로 해야 할 것이다. 2차 시험의 경우에는 지역마다 유형과 배점이 달라서 준비하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시험 유형과 배점을 동일화 할 것이다. 현행 2차 시험을 실시함에 있어서 시험결과 평가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셋째, 초등교원 임용고사에서 활용하고 있는 현행 가산점은 전국적으로 동일화하여 혼동을 축소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교육 당국은 적정한 제도로서 지역별로 편중되는 응시인원을 고려하여 왜곡 되지 않은 초등교원 수급계획을 세워야 하며, 교사 선발 및 교대 신입생 선발에 대해서도 남녀 분할 모집에 관해 남녀가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어 서로의 이해관계를 해결할 수 있는 장기적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 글로컬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 : 슬로시티 전주를 중심으로

        김혜원 全州大學校 大學院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세계는 글로컬(glocal)이라는 조건 속에서 변화하고 있다. 세계성과 지역성은 서로 유기적인 연관성을 가지며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국가의 역할보다는 지역 도시의 역할이 중요해졌고, 빠른 정보와 이동성은 세계화를 진행시켜 지역 문화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문화도시는 지역 차별적인 문화적 콘텐츠를 갖추어 도시의 정체성을 선명하게 드러내는 도시이다. 글로컬라이제이션이 구현되는 지역 문화 컨텐츠의 활성화는 한국형 문화도시를 어떻게 구축하는가에 달려 있다. 전주가 택한 방법 중 하나는 국제슬로시티 가입이었다. 슬로시티는 지역의 정체성, 전통성의 회복을 통해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고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고자 하는 대안적 도시이다. 지역 자연과 문화 정체성을 통해 지역과 교류하며 성장하고자 하는 마을공동체 운동으로 슬로시티가 활성화되었고, 인간 사회의 진정한 발전과 소멸되지 않는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준비하려고 한다. COVID-19 사태로 전 세계가 팬데믹 상태에 빠지고 난 뒤 기후변화와 환경문제에 관심이 더욱 급증한 가운데 전주가 일찍이 행한 슬로시티 정책은 생태와 환경에 중심을 둔 정책이라는 데서 그 가치가 빛을 발하고 있다. 전주한옥마을이 국내에서 7번째로 국제슬로시티로 지정받았고, 5년 후 도시 전체가 국제슬로시티로 재인증 되는데 인구 60만 이상의 대도시가 국제슬로시티로 지정된 것은 전주가 첫 사례였다. 슬로시티 전주의 확대 재인증에 따라 공간적 한계를 담은 마을 단위의 슬로시티 정책에서 도시 전역으로 확대된 슬로시티 유형과 도시정책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글로벌 도시정책 브랜드인 ‘Cittaslow’를 적용한 전주시 도시 브랜딩 현황을 도입과정과 단계별 사업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이를 연계한 지역의 문화 특수성과 정체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글로컬 지역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 슬로시티 전주 로컬에서 하는 글로컬 지역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을 연구했다. 전북 문인들의 활동공간 장소 마케팅 방법으로 4개의 활용방안을 제안했다. 인문학 슬로투어리즘 방안으로 첫째, 전주도서관 투어와 연계한 문학 여행과 둘째, 문인들의 활동공간 명소화 작업 셋째, 시비로 읽는 문학 여행이다. 넷째, 전주와 완주가 함께 만드는 슬로투어 <시골여행>을 제안했다. 인문학의 도시 전주의 특색에 맞게 도서관 투어, 정원 문화도시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스토리텔링 기법을 사용해 차별화된 지역만의 문화콘텐츠로 재탄생하는 방법을 모색했다. 책의 도시, 인문학의 도시 전주 슬로시티 품격에 맞는 따뜻한 인문학 슬로관광이 현대인에게 위로가 되는 매력력인 지역 문화콘텐츠로 활성화되어 슬로시티 전주 지역관광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world is changing under the condition of glocal. Globality and locality have organic connections, affect each other, and cause change. The role of local cities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the role of the state, and rapid information and mobility progresses globalization,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local culture. A cultural city is a city that clearly reveals the identity of the city by having regional differentiated cultural contents.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 which glocalization is implemented depends on how to build a Korean-style cultural city. One of Jeonju's methods was to join the international slow city. Slow City is an alternative city that seeks to revitalize the region through the restoration of local identity and tradi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Slow City has been revitalized as a village community movement that seeks to grow by interacting with the region through local nature and cultural identity, and it seeks to prepare for the true development of human society and the sustainability of an indestructible city. Amid a surge in interest in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issues after the COVID-19 crisis plunged the world into a pandemic, Jeonju's early slow city policy is shining in that it is a policy focused on ecology and environment. Jeonju Hanok Village was designated as the seventh international slow city in Korea, and five years later, the entire city was recertified as an international slow city, and Jeonju was the first case where a large city with a population of more than 600,000 was designated as an international slow city. It is time for research on slow city types and urban policies that have been expanded throughout the city from village-level slow city policies that contain spati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current status of Jeonju city branding applying "Cittaslow," a global urban policy brand,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process and step-by-step business cases, and to suggest a plan to revitalize differentiated glocal cultural contents considering the cultural specificity and identity of the region linked to it.al limitations according to the expanded recertification of slow city pole. This paper studied ways to revitalize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glocal area in Jeonju, Slow City. Four applications were proposed as marketing methods for Jeonbuk writers' activity spaces. As a way to slow tourism in the humanities, first, a literary trip in connection with a tour of the Jeonju library, and second, a literary trip read as a poem. Fourth, he proposed a slow tour <country trip> created by Jeonju and Wanju together. In connection with library tours and garden cultural city programs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Jeonju, a city of humanities, we sought a way to recreate it as a differentiated cultural content unique to the region using storytelling techniques. It is hoped that the warm humanities slow tourism that fits the dignity of Jeonju Slow City, the city of books and the city of humanities, will be activated as a local cultural content that is a comforting attraction for modern people, thereby promoting the qualitative growth of local tourism in Jeonju.

      •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가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자아탄력성과 라이프 스킬 비교 연구

        왕영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for improving the life skill of University Students by exploring the difference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with their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in four ways. First, the differences i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s are analyzed based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in China and Korea. With the variables of gender, age, grade,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are analyzed respectively.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are analyzed.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is explored. So,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egree of participatio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ranking effect of life skill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300 University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Jeollabuk-do,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elected for Korean subjects, while 450 University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Jiangsu Province, Yangju University, and Nanjing University were selected as Chinese subjects. For data processing, this study use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analysis,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Scheffé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equation structure models as spss26.0 programs to test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Among them, 642 cases (231 cases in Korea and 411 cases in China) are used excluding invalid answer data.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go-resili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e level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mong them,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nd optimism, cause analysis, relationship, empathy, communication, and emotional control, which are sub-factors.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are classified, explained, and analyzed by country. As a result of the variance analysis of gender, age, grade,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of them,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differ significantly in physical self-concept, but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gender differences only in physical self-concept. Second, after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background variables (gender, age, grade, nationality), regression analysis shows a positive predictive effect o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Third,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life skill, and this mediating effect includes three paths. There is one parallel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respectively, and one sequenc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However, in the sequence mediating effect, the effect of ego-resilience is more significant than physical self-concept. It was found that the mor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 in the physical self-concept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course, the better their awareness of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ego-resilience will be increased. A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egree of participatio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ranking effect of life skill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between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and life skill is evident. In other words, the ego-resilience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life skill. This study observes the collective differences i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of the two groups who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collective characteristics of life skill master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in the impa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on life skill are proved and the importance of ego-resilience to acquire life skill is verified. It is important because it can give implications for training practitioners. In addition,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ares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s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rovides data support for students' mental health.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자아탄력성과 라이프 스킬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과의 상관관계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및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매개 효과를 갖고 있는지를 검증함으로써, 대학생의 삶의 라이프 스킬 수준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지도 전략을 제공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문제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국과 한국 대학생들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차이를 분석했다. 성별, 연령, 학년, 교양 참여 정도에 따라 중국과 한국 대학생은 교양체육 참가 정도,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에서 각각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했다. 둘째, 교양체육 참가정도와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셋째,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탐구했다. 또한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탐구했다. 이를 위한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소재 전주대학교와 전북대학교 그리고 전주교육대학교 총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 30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중국에서는 장쑤성 소재의 태주대학교와 양주대학교 그리고 난징공과대학교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 45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데이터 처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SPSS26.0 프로그램으로 빈도 분석, 탐색 분석, t검정, 일원 분산 분석, Scheffé 검증, 상관 분석, 다중 회귀 분석 및 방정식 구조 모델을 사용하여 매개 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했다. 이 중 불성실 답변 자료를 제외한 642면(한국 231면, 중국 411면)의 분석 자료를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에서는 차이 있었는데,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중 하위요인인 생활만족도와 낙관성, 원인분석력,관계성,공감능력,커뮤니케이션능력,감정통제력에서 통계학적 차이가 있었다.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을 분리하여 국가별로 설명하고 분석을 전개했다.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성별, 연령, 학년, 교양수업 참여도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수업 참여 수량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 모두 차이를 보였는데, 중국 대학생은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에서 성별과 학년의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신체적 자기개념에서는 연령의 차이를 보였으나, 한국 대학생은 신체적 자기개념에서만 성별 차이를 보였다. 둘째, 배경 변수(성별, 연령, 학년, 국적)의 영향을 통제한 후 회귀분석 결과 교양체육 참가정 도는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에 대해 긍정적인 예측 효과를 보였다. 셋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은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 사이의 매개 효과를 가지며, 이 매개 효과는 3개의 경로를 포함한다.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병렬 매개 효과 각각 1개와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서열 매개효과 또는 시퀀스 매개 효과 1개이다. 그러나 서열매개 효과에서는 신체적 자기개념보다 자아탄력성의 효과가 더 중요하다. 대학생이 교양체육과정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에 참여할수록 교양체육 참가정도에 대한 인식이 좋아지고 자아탄력성이 풍부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서열 매개 효과를 각각 검증한 결과,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경우 교양체육 참가정도와 라이프 스킬 사이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즉, 중국 대학생과 한국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은 교양체육 참가정도와 라이프 스킬의 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매개 효과를 갖는다. 본 연구는 교양체육 교육과정에 참여한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집단적 차이를 관찰하였다. 라이프 스킬 숙달의 집단 특성을 밝히고, 교양체육의 교육 과정 참여가 라이프 스킬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라이프 스킬 습득을 위한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발견했다. 이것은 교육 실무자에게 참조 값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논문은 교양체육에 참여하는 중국 대학생과 한국 대학생의 심리적 관점을 비교하고,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자료 지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