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문화예술적 측면에서 본 공연관광 관객만족도에 관한 연구

        변선주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727

        본 연구는 전통문화예술 공연관광을 통하여 더 많은 문화관광객을 유치하고 지속하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는 반구조화 된 면담 형식에 따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현재 공연되어지고 있는 정동극장 ‘미소’와 한국의 집 ‘전통예술공연’, 두 가지를 다 접한 외국인관객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관객만족도는 요인별로 상품문항, 촉진문항, 장소문항, 가격문항, 재관람에 관한 문항으로 총 5요인 13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전통무용공연을 관람한 후 한국의 문화에 대한 관심이 생겼는지의 문항을 추가하여 재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면담을 통해 얻은 결과 중 요소측면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의 전개가 빠르고 공연시간이 짧아 작품의 내용을 이해하기에 어려움을 느꼈다. 둘째, 자막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자막의 위치와 빠르기, 내용설명부족 등으로 자막을 보는데 불편함을 느꼈다. 셋째, 자막뿐만 아니라 부가설명이 가능한 Brochure의 내용이 부족하여 공연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넷째, 평소 공연의 광고를 접하지 못 하였다. 다섯째, 공연이 끝난 후 출연진과 사진을 찍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서비스는 공연장 밖에서 이루어지므로 무대효과와 연출 등을 사진에 담아내지 못해 아쉬워하였다. 여섯째, ‘배비장전’이 공연 되고 있는 ‘정동극장’의 경우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좋았으나 공연장을 찾아가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일곱째, ‘전통예술공연’이 공연 되고 있는 ‘한국의 집’의 경우 좌석이 불편함이 있었다. 여덟째, 할인제도가 없는 ‘전통예술공연’의 경우 티켓 가격에 부담을 느꼈으며, 비용부담이 재관람 및 추천 의사에 영향을 미쳤다. 위의 문제점을 토대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풀어내 작품의 내용의 이해를 돕는다. 둘째, 작품의 내용 설명 추가 및 자막의 빠르기 조절과 위치 조정이 필요하다. 셋째, Brochure에 무용 설명뿐만 아니라 악기의 설명, 관련 역사 등을 추가하여 이해를 돕는다. 넷째, 실제로 한국의 전통문화는 TV 드라마를 통하여 접한 관람객이 많았다. 여행사 없이 한국에 온 자유 관광객과 외국인 유학생 등을 고려하여 SNS의 활용 등 더욱 다양하고 적극적인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 다섯째, 대학로 연극처럼 무대에서의 촬영이 어렵다면, 포토존을 무대처럼 꾸며 자유롭게 촬영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섯째, ‘정동극장’은 지하철역에서부터 안내 표지판 수를 늘린다. 일곱째, ‘전통예술공연’의 경우 공연을 보고 있는 관객이 공연에 몰입할 수 있도록 늦게 도착한 관객은 작품이 끝날 때마다 입장할 수 있게 입장을 제한한다. 여덟째, 공연관람이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여 티켓 가격의 부담을 줄인다. 본 논문에 제시된 방안들을 차후 구체적으로 적용해 본다면 더욱 만족도 높은 공연과 더불어 한국의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한국전통무용의 활성화 방안연구 : 국립국악원 화요상설 무용공연을 중심으로

        정태선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1727

        급격한 사회의 변화속에서 가장 영향을 받는 것은 문화일 것이다. 전통문화는 한 나라의 정서와 생활이 문화속으로 그대로 흡수되어 전승되어 온 것이므로 전통문화의 상실은 국민의 주체성 및 한 나라의 역사마저도 잃게 되는 비극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각 나라에서는 그 나라의 특색적인 전통문화를 내세워 전통문화를 활성화 하기 위해 보다 구체적이고 활동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전략을 세우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전통문화가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려는 취지아래 오늘날 한국전통무용을 순수예술 무용이라는 예술적 차원에서 뿐만이 아니라 대중과 함께 호흡하고 공유할 수 있는 예술로써 전통무용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된 석·박사 학위 논문 및 관련서적, 국립국악원 화요상설 무용공연을 통하여 그 내용과 성과들을 조사하는 내용 분석방법을 채택하여 이를 바탕으로 무용계의 상황에 따른 한국전통무용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통무용 활성화를 위한 문화기반 확충방안으로써 첫째, 다양한 교육기관의 전통무용 전문인 양성을 통한 잠재력있는 신인 유망주들의 발굴과 남성무용수들을 양성하여 이들이 공연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려야 한다. 둘째, 무형문화재 무대종목을 발표할 수 있는 화요상설과 같은 무대에서라도 특정한 몇몇 춤에 편중하지 않는 문화재 춤공연과 각 시도 지정 문화재 춤공연 또한 이루어져 모든 무형문화재 춤이 균등한 발전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우리민족 문화유산으로써 보존할 만한 가치가 있고 전통문화의 맥을 이을 수 있는 전통춤들을 폭넓게 발굴, 문화재 춤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넷째, 전통무용을 쉽게 접할 수 있고 공감대를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우리 전통춤판의 특성을 도입한 전통적 성향에 맞는 전통무용 전용극장을 설립하여야 한다. 다섯째,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보다 장기적이고 확고한 문화정책적 지원뿐만 아니라 한국 전통무용이 가진 상품의 특성을 제시하여 기업과 연계한 보다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한국의 전통무용을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자원화하는데 기업이 적극 참여하는 지원의 활성화를 유도해야 한다. 다음방안으로는 적극적 마케팅 활동을 통한 홍보 극대화 전략으로써 첫째, 무용예술을 바르게 감상하고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제공되고 있는 예술작품이 주는 즐거움을 보다 많은 사람이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대중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둘째, 홍보 마케팅 전략으로 스타 만들기와 함께 인터넷을 적극 활용하여 전통무용의 잠재고객을 지속적으로 확대시키고 고정고객을 확보하는 전통무용 관객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관객들의 전통무용예술에 대한 참여의식 고취와 올바른 감상태도를 위하여 계몽전략이 필요하다. 넷째, 국제화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한국전통무용도 국제적 경쟁력을 갖기 위해 현대적 해석과 함께 보편성을 띤 예술로 만드는 작업을 서두를 때가 되었다고 보며 이러한 우리의 전통무용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기획 추진하여 해외 공연을 통한 국제교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한국 전통무용의 활성화 방안은 전통무용 전공자나 무용예술인등 특정집단의 의식적 개혁이나 관심을 통해 단기간내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통무용예술인들의 자구적인 노력을 비롯한 사회적인 투자와 정책적 지원이 절실히 요구되며, 무엇보다 세계의 각종 훌륭한 문화유산들 속에서 우리의 문화가 빛나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우수한 전통문화를 보존·전승시켜야함은 물론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현대인들의 문화적 수준에 맞게 재창조하고 발굴해 내는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Culture is mostly influenced by the rapid variation of society.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passed down the extinction of whole nations emotion and life. So the loss of traditional culture yield to tragical results such as the loss of a nations identity and history. To solve this problem, each country looking for more specific and active plan for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The goal of this study with intent to prepare the environment of developing our traditional culture. And looking for the scheme of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dance that not only purity art but also popular art. To achieve this goal, analyze previous master and doctoral thesis and the results of Tuesday regular dance performance of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and which suggest followings: First of all, cultural background expansion plan for traditional dance revitalization. First, through various institute looking for a new face and cultivate a man of potential ability and give them more opportunity for participating performance. Second, give the unbiased chance to play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 dance through even the Tuesday regular performance. So it can equally developed. Third, search and reserved as a cultural asset some traditional dance which is worth for our nations cultural property and succeed the spirit of our traditional culture, Fourth, as a space for easily access and feel sympathy traditional dance, need to establish the traditional dance exclusive theater whic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our traditional dance field. Fifth, Not only long term and firmness support of government and local self-governing body and but introduce enterprises support through making korean traditional dance as a high additional value product. The next plan for maximizing public relation strategy through marketing activity, First, need to suitable utilization of mass-media for help ones pleasure given by a work of art through suggestion of right way of understanding dance art. Second, accompany to the public relation marketing strategy, need to use internet for continuous increase of potential customer and secure fixing customer of traditional dance. Third, need to enlightenment strategy for customers participation consciousness inspiration and right inspection attitude about to traditional dance. Fourth, an era of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to get global competitive, it is time to modern analyze and make universality art. Previously described revitalization pla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can not be completed within short time with consciousness reformation and concern of specific group such as traditional dance artist. More long term aspect, need to self-effort of traditional dance artist and social investment, support by policy. Above all, be prominent our nations culture among world great cultural property, not only surely need to preservation and succeed but need to continuous effort for re-creation and search out our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keep face with the change of times.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한국의 집 전통예술공연 활성화를 위한 SCM활용 방안

        김소라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727

        Nowadays, Korea has entered the era of cultural wa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edia, especially the Internet, and the materialism and technological utopianism of the modern times are appearing as pathological phenomenon of our society and the commercial pop culture is confusing the identity of our teenagers. In this era in order to preserve our ow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in the field of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efforts should be made to inspire with the spirit that the competitiveness of our culture is not the western culture and arts but the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of Korean people and to further foster and spread the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In addition we should make efforts together to discover the identity and raci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nd to make a sacrifice of ourselves for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our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plan for utilizing SCM to activate the Koreahouse that is managed and operated by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that i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and preserving our cultural assets and creatively developing the traditional living culture and thereby spreading and utilizing this and widely conserving and enhancing our ethnic culture'.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grasping the perception and demands of general citizens about the plan for utilizing SCM for the activation of the folk performance of the Koreahouse of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and thereby groping the direction of activ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e study, the opinions of 230 general citizens were grasped about the perception of the Koreahouse, the utilization of SCM of the Koreahouse, the plan for the performance direction for drawing the plan for utilizing SCM of the Koreahouse (products), a plan for planning performances (sales network), a plan for conducting performances (market delivery) and so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study were analyz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crosstab analysis using SPSS 15.0.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perception about the Koreahouse and the perception about SCM were grasped. All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and the Koreahouse, and 99.6% has used the Koreahouse. The folk performance (85%) was the most experienced and some respondents have experienced the traditional culture experience (8.4%) and the traditional food (6.2%). Among the respondents 99% sai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se facilities and it was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and all respondents said that they were willing to use the Koreahouse later again and this is a very high will to reuse the Koreahouse. In addition 44% said that they knew well about the supply chain management (SCM) and 55% said that they had heard of it and it was a positive degree of awareness. Second, about the matters about utilizing SCM of the Koreahouse, 99% thinks that the utilization of SCM of the Koreahouse is needed, and the reasons are 'creation of profits (57%)' and 'activation of the Koreahouse (36%)'.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important parts of the utilization of SCM were 'performance planning (sales network)' and 'performance direction (product production)'. Among the respondents 99% were positive about the effects of the activ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due to the utilization of SCM and almost all the respondents were positive about the effect of globalization, the effect of enhancing the image of Korea and the effect of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ustry and they were expecting that the introduction of SCM would very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Koreahouse. Third, about the product production (performance direction) among SCM, the responses were 'a rapid development of a new performance (100%)', 'a rapid development of a new performance targeting overseas markets (97.8%)', 'the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that can represent the Koreahouse is needed (99.1%)', 'the adjustment and development of performance that suits the demands of overseas markets are needed (99.1%)', 'the development of an artwork with universality is needed (99.1%)', 'a systematical composition of organization of the art performing organization attached to the Koreahouse is needed (99.6%)' and 'more creative activities through traditional arts are needed (99.1%)'. Fourth, in the case of sales network (performance planning) among SCM, the responses were 'human power that compose the organization for a systematical performance planning (99.6%)', 'enhancing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by introducing the producer system (100%)', 'active publicity activities for foreign audience are needed (99.6%)', 'active publicity activities for overseas expansion are needed (99.6%)', 'a performance planning with popularity is needed (99.5%)', 'sponsors or partners are needed (100%)', 'a stage mechanism for successful performances is needed (100%)', 'harmony of the staff and the performers is important (99.1%)' and 'the management of facilities inside and outside of the theater is needed (99.1%)'. Fifth, about market delivery (performance operation) among SCM, the responses were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that can supply various performances is needed (99.5%)', 'a strategy to maximize sales through various media is needed (100%)', 'arrangement of a stable distribution network overseas (100%)', 'activities to form a relationship with overseas organizations are needed (99.6%)', 'a different distribution route is needed (99.5%)', 'more efficient and systematical performance direction, performance planning and performance operation (100%)' and 'diverse routes for sales of tickets are needed (100%)'. In addition the respondents with higher academic background, occupations as directors and professionals and higher income were more activel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SCM.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is study the strategy of SCM will be introduced and actively utilized for the operation of the Koreahouse that is a representative organization that preserves and spreads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nd thereby the image of the Koreahouse will be enhanced and activated and further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 with a high artistry will make inroads into foreign countries and will be globalized. 오늘날, 우리나라는 정보통신 매체, 특히 인터넷의 발달과 더불어 문화전쟁의 시대에 돌입하였으며, 현대의 물질 우선주의와 기술 우선주의가 우리 사회의 병리 현상으로 나타나고 상업적인 대중문화가 우리 청소년들의 정체의식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 속에서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예술을 지키기 위해 전통문화예술 분야에서 노력해야 할 점은 우리 문화의 경쟁력은 서구적 문화예술이 아니라 바로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문화예술이라는 정신을 고취시키고, 전통문화예술을 더욱더 육성시키고 확산시키고자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는 전통문화예술을 통해 정체성과 민족성을 발견하고 우리 사회의 변화와 발전에 커다란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다함께 노력해야 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우리의 문화재를 보호·보존하고 전통생활문화를 창조적으로 계발하여 이를 보급, 활용함으로써 우리의 민족문화를 널리 보전, 선양함’이라는 목적으로 설립된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이 관리·운영하는 한국의집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SCM의 활용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문화재 보호재단 한국의 집의 전통예술공연의 활성화를 위한 SCM 활용방안에 대해서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인식 및 요구를 파악하여, 활성화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일반 시민 230명을 대상으로 한국의 집에 대한 인식, 한국의 집의 SCM활용에 대한 의견, 한국의 집의 SCM활용방안 도출을 위한 공연연출 방안(제품), 공연기획방안(판매망), 공연실행방안(시장납품) 등의 영역에 대해 의견을 파악하였다. 연구과정을 통해서 얻은 데이터는 SPSS 1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그리고 교차분석 등을 통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집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SCM의 인식에 대해서 파악하였다. 한국문화재보호재단과 한국의 집에 대해서 모든 응답자가 알고 있었으며, 한국의 집을 이용한 경험은 99.6%이 경험하였다. 구체적인 시설 중에서 전통예술공연(85%)이 가장 많았고, 전통문화체험(8.4%)과 전통음식(6.2%)도 다소 있었다. 이러한 시설에 대한 이용만족은 99%가 만족한다고 하여 높은 만족수준을 보였으며, 향후 한국의 집 이용의향도 전원이 있다고 하여 매우 높은 재이용의향을 보였다. 다음 공급사슬관리(SCM)를 알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는 응답자가 44%, 들어는 보았다는 55%가량으로 인지정도가 긍정적인 편이었다. 둘째, 한국의 집의 SCM 활용에 대한 사항을 보면, 한국의 집의 SCM 활용 필요성에 대해서는 99%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었으며, 그 이유는 '이익창출'(57%)과 '한국의 집 활성화'(36%)이라고 보고 있었다. SCM 활용 시 중요한 부분은 '공연기획'(판매망)부분과 '공연연출'(제품생산)이라고 응답하였다. SCM 활용으로 인한 전통문화예술의 활성화 효과는 99%가량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으며 세계화 효과, 한국이미지 제고효과, 공연산업의 발전효과 모두 거의 전원이 긍정적인 응답을 하여 SCM 도입이 한국의 집 활성화에 큰 긍정적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셋째, SCM중 제품생산(공연연출)에 대해서는 '새로운 공연의 개발 신속'(100%), '해외시장을 타겟으로 한 새로운 공연의 개발 신속'(97.8%), '한국의 집을 대표할 수 있는 공연작품의 개발 필요'(99.1%), '해외시장요구에 맞는 공연의 수정 및 개발 필요'(99.1%), '보편성을 갖춘 작품개발 필요'(99.1%), '전속예술단의 체계적인 조직구성 필요'(99.6%), '더 많은 전통예술을 통한 창작활동 필요'(99.1%)의 응답을 보였다. 넷째, SCM중 판매망(공연기획)의 경우 '체계적인 공연기획을 위한 조직구성 인력'(99.6%), '프로듀서 시스템을 도입하여 경영의 효율성 제고'(100%), '국내 관람객을 위한 적극적인 홍보활동'(100%), '외국인 관람객들을 위한 적극적인 홍보활동 필요'(99.6%), '해외진출을 위한 적극적인 홍보활동 필요'(99.6%), '대중성 있는 공연기획 필요'(99.5%), '후원업체나 제휴업체의 필요'(100%), '성공적인 공연을 위한 무대메커니즘의 필요'(100%), '스텝들과 공연자들의 화합 중요'(99.1%), '공연장 내 외부의 시설관리 필요'(99.1%)의 응답을 보였다. 다섯째, SCM중 시장납품(공연실행)의 응답으로서는 '다양한 공연을 공급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구축의 필요'(99.5%), '다양한 매체롤 통한 판매 극대화 전략 필요'(100%), '해외에 안정적인 유통망 마련'(100%), '해외 단체와의 결연활동 필요'(99.6%), '다른 유통경로의 확보 필요'(99.5%),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공연연출, 공연기획, 공연실행'(100%), '티켓판매를 위한 다양한 경로의 확보 필요'(100%) 등의 응답을 보였다. 또한 이러한 필요성에 대해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직업은 회사임원/전문직일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SCM의 필요성을 더욱더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 전통문화예술을 보존·보급하는 대표적인 기관인 한국의집의 운영에 SCM의 전략을 도입하여 적극 활용함으로써 한국의집의 이미지 제고의 구축과 더불어 활성화를 불어넣어 주고 나아가 예술성 높은 우리 전통문화예술을 국내는 물론 해외로 진출하여 세계화하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해본다.

      •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 분야 보존·전승의 발전방안 연구

        한승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에서는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 분야의 보존·전승의 발전방안을 연구하였다. 그동안 우리의 전통문화는 다양한 대중매체를 통해 들어오는 외래문명의 영향을 많이 받아 왔고, 현재에도 새로운 문화가 빠른 속도로 전파되고 있으며 지금 세계는 문화전쟁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지나친 진보에 의해 우리의 전통문화가 외면당하고 소산의 위험에 놓이지 않기 위해 우리는 독창적인 문화 창조를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며 독창적인 문화는 민족적 정서가 내포된 전통문화이어야 한다. 이러한 전통문화는 문화재라고 하는 새로운 가치로서 탄생한다. 문화재 중에서도 우리나라의 무형문화재는 오랜 역사 속에 우리 민족이 공감대를 형성하며 전해 내려온 전통문화예술로서, 우리 민족의 정서와 삶이 고스란히 깃들어 있는 가치성이 매우 높은 문화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무형문화재는 형체가 있어 고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유형문화재와는 달리 형체가 없어 항상 가변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무형문화재를 보존·전승하지 않으면 영원히 사라져 커다란 문화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절실하게 보존·전승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갖게 된다. 또한 인간을 매개로 하는 전승으로 사회적 환경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항상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율적인 보존·전승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보존·전승의 현황과 실태에 대한 끊임없는 분석이 필요하며, 현대문명에 밀려 사라져가는 전통문화 중 보존 가치가 높은 무형문화재를 국가 또는 시·도에서 지정하여 보존·전승시키는 것은 민족문화의 맥을 잇는 새로운 문화 창조의 기반을 조성하고 국민의 문화적 향상을 도모하며 아울러 인류문화의 발전에 기여함에 본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무형문화재에 대한 참고문헌과 선행논문, 문화재보호법의 내용과 문화재청의 세부현황 등을 참고하여 분석·정리하였으며, 무용전공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를 통해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분야 보존·전승의 문제점이다. 첫째,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및 보유자 인정기준에 대한 문제점이다. 춤의 이론에서 논하는 춤의 유형 또는 춤의 기능상 분류와 무형문화재지정유형이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전통춤 분야 지정 기준에서 지정종목에 대한 구체적 한정기준이 없다. 둘째,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및 보유자 인정 절차에 대한 문제점이다. 무형문화재 지정이 다른 유형의 문화재에 비해 산발적이고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정조사의 허술한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심의과정 중에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가지고 심사하기 보다는 주관적인 기준으로 이루어져 심사의 공정성이 결여되고 있다. 셋째, 전통춤 분야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들의 평균연령이 72.5세의 고령으로, 전승활동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넷째, 이수증의 무분별한 발급과 이수자들의 향후활동이 관리의 미흡이다. 보유자의 고유 권한으로 인한 이수증 발급으로 인해 이수자의 수가 무분별하게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따른 이수자의 향후활동에 대한 관리는 전혀 되고 있지 않고 있다. 다섯째, 전통춤 분야의 지정종목 수가 빈약하다. 전통춤 분야의 지정종목 수는 총 7종목으로 1990년 10월 10일을 마지막으로 전통춤 분야의 종목지정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여섯째, 전수교육의 문제점이다. 교육의 목표나 이념이 없고, 전수교육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으며 전수교육생 정원의 제한이 없다. 무형문화재 전수교육을 보유자의 자율성에 맡기고 있다 보니 전수교육과정상에서 말할 수 없는 부작용과 폐단이 발생하고 있다. 일곱째,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 분야 종목이 입주된 전수교육관은 총 4개관으로 전통춤 분야 보존·전승을 위한 전수교육관이 부족하다. 다음은 문제점에 따른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 분야 보존·전승의 발전을 위한 대안과 제안이다. 첫째,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 분야의 종목지정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한정기준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보유자 지정에 있어서 전수교육 연수에 따라 점수화하여 보유자 인정에 있어서 공정성을 높이고 또한 공연횟수나 강습회등 전수교육횟수를 서류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하여 점수화하고 문화재위원들의 인정정도를 점수화하여 공정성과 객관성을 높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셋째, 보유자 전원이 사망하여 그 종목의 전수나 재현이 불가능할지라도 지정된 종목의 해제를 하지 말고 자료의 항구적 보존과 향후 보존된 자료에 근거하여 재현하거나 복원할 기회를 갖도록 하고 교육용 자료로 활용되도록 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보유자의 연령을 40세에서 60세로 지정하는 등의 연령제한을 두어서 고령화를 막는 것이다. 넷째, 이수자 인정 시 심의 기준 및 절차를 조금 더 강화하여 무분별한 이수자 인정을 제한하여야 하며 이수자 인정 이후 활동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다섯째, 전통춤 분야 보존·전승의 활성화를 위해 전통춤 분야의 중요무형문화재위원수를 늘려 종목의 적극적인 발굴노력과 무형문화재의 지정에 있어서 객관성을 확보할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여섯째, 전수교육이 전승자를 양성하기 위한 전문교육으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교육 이념과 목표를 명확하게 정하여 올바른 전수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교육생 정원제를 도입하거나 전수자로 되기 이전의 전수교육기간을 정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일곱째, 전통춤분야의 지정종목을 수용할 수 있는 전수교육관의 확충과 그에 따른 적절한 관리운영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여덟째, 지역적으로 문화 활동을 활성화시켜 대중들의 문화 활동이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막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홉째, 예능보유자들의 풍요로운 활동을 위한 전승활동에 따른 지원금을 확대하고 지급대상을 확대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열번째, 다양한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와 활발한 공연, 전통문화행사나 전통문화축제, 수련회 등의 강습회의 기회를 늘려 대중화에 힘써야 한다. 열한번째, 학교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교육체계 및 교육활동이 필요하다. 열두번째, 대중들이 전통춤의 영상물이나 책자 등 기록물 등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강구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무형문화재의 전승은 인간을 매개로 하는 전승으로 사회적 환경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항상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본 연구와 같은 무형문화재 보존·전승의 발전방안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is the study on preservation-transmission development plan for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Korean traditional dance field. Until now, our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influenced by foreign culture being introduced by various mass media, and even now new culture is rapidly spreading amid the world is entering into the age of cultural war. We need to keep trying for our tradition not to be disregarded and vanished by excessive progress, and the original culture has to possess ethnic emotion. Such traditional culture is reborn as a new value, cultural asset. Korean intangible cultural asset among cultural assets is a traditional cultural arts, in which our ethnic emotion and lives are lodged making it very valuable cultural assets. Besides,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variable since they have no forms unlike the tangible cultural asset with forms. Accordingly, when the intangible cultural asserts are not preserved .transmitted, they would vanish causing a great cultural loss and that's why the necessity and validity of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them are more desperate. Besides, they hold everlasting problems due to being sensitive to the change in social environment caused by its transmission by man. Therefore, a continual analysis on the statue and actual state of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to solve such problems and seek for an effectiv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plan, an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laiming that the nation or cities, provinces to designate the intangible cultural asserts which are deserved to be so among the traditional culture that are vanishing by modern culture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the base for new culture creation to carry on the legacy of ethnic culture, promoting cultural improvement by nation along with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human culture. The bibliography and previous thesis for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the substance of the cultural protection act and detailed state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ere referred for analysis. adjustment as the ways of the study, and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to know the recognition of the dance major students. The study results are as below. Firstly, there exists problems of preservation-transmission of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traditional dance field. First, it's the problem of designating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rts & accrediting skill possessors criteria. The pattern and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dance explained by the theory of dance and the designation pattern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don't coincide. Besides, there is no concrete limit criteria what item to designate in traditional dance field. Second, it's the problem of designating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rts & he procedure of accrediting the skill possessors. A loose system of investing designation causes sporadical and separate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unlike tangible cultural assets, and the deliberation on designation is carried out by subjective assessment criteria rather than objective criteria. causing the lack of fairness. Third, the average age of the person possessing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rts is 72.5 years old, the age unable to do transmission activity easily. Fourth, indiscreet issue of certificate of achievement and incomplete management of the graduates after their completion. The number of graduates is indiscreetly increasing due to the certificate being issued by possessors' own rights.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management of the graduates' hereafter activities. Fifth, there is so little items designated as traditional dances. The total items of traditional dances are 7, and it was October 10, 1990 that the last item of it designated. Sixth, it's the problem of the education to transmit. The term of transmission education is not settled without the goal and idea of the education and no limit to the fixed number of the students. As the transmission education is up to the autonomy of the skill possessors, terrible side effect and negative effect take place. Seventh, there are 4 transmission education centers in wher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rts are occupying which are not enough for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traditional dances. Next is an alternative plan and proposal for preservation, transmission ,development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rts to the problems. First, it's necessary to hold out clearly the criteria of designating the items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rts traditional dance and embody the limitation criteria. Second, it's required to designate the possessors due to scoring by the years of transmission education. to raise the fairness, and also scoring the frequency of submitting the documents of performance number, short course , and transmission education frequency and the accreditation level by the committees of cultural assets for the purpose of raising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Third, in case, the whole of the possessors died and so the transmission and revive the item is impossible, it's better not to cancel the designated item keeping the related data forever to have the chance to revive or restore the item based on the preserved data, and to use as a data for education purpose. In addition, prevent aging with age limit setting the possessors age from 40 to 60. Fourth, it's necessary to strengthen deliberation criteria & procedure a little more at the time of accrediting the graduates to limit indiscreet graduates production along with a keen management for their activities after being accredited is also required. Fifth, It's required to increase the number of committee members of traditional dance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rts far an active finding of the item for preservation, transmission activation of the item. Sixth, it's necessary to set accurate education idea and goal for the transmission education for a desirable transmission education to improve as a professional education to produce transmitters, along with introduction of quota system or fixing of concrete term of transmission training. Seventh, the enlargement of transmission training centers to accommodate the items designated in traditional dance field and proper management and operation should be followed. Eighth, activation of local cultural activities is necessary to prevent the public cultural activities from being concentrated on metropolitan area. Ninth, the support fund for transmission activities of the arts possessors for their fertile activities needs to be enlarged and the subject for the benefit also should be extended. Tenth, Increasing the PR and active performance through various mass media and workshops for traditional cultural events, traditional cultural festivals, retreats are required for popularization. Eleventh, various education system including school education & educational activities are necessary. Twelfth, It's necessary to seek for the ways for the public to approach easily to the photographs , books, and documentaries of traditional dance.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is sensitive to the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 that it always holds problems due to its mediator, the human being. Accordingly, the discussion over a developmental plan for preservation,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should be continued to solve such problems.

      • 전통무용 조기교육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초·중등 학생과 전공자들의 인식도를 중심으로

        이은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1711

        This study aims at letting known excellence of Korean art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traditional dance should be preserved and educated as national art, implanting national identity by making this accepted slowly through general school education, and suggesting early education for more organic education in cultivating talented people in traditional dance. To recognize the need of early education for traditional dance, I investigated theoretical background to see the concept of tradition, history of traditional dance,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ance as Korean own thing and mentioned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and the need of early education for traditional dance. I also investigated the actual state of traditional dance education and relevant problems, along with general students' awareness of traditional dance and opinions of general education and awareness of education for cultivating talented people among those majoring in Korean dance who are closest to traditional dance, in order to see the need and possibility of early education for traditional dance. And I presented a method to activate early education. A research was conducted in reference to books, articles, academic journals, and Internet data related to tradition, traditional dance, and education; a survey was implemented, followed by statistics, with 20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94 Korean dance majors at the college-graduate level or above to see recognition. The research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raditional dance now belongs to a school curriculum. However, it belongs to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with differences in being educated effectively by schools, teachers, and so on. Therefore, teacher education and an independent subject of traditional art are urgently needed so that it can practically be reflected in education, not existing just in a learning plan. Second, though vaguely, students were fou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radition; however, they were shown not to have good awareness of traditional dance through detailed questions. Priority should be given to an educational method and direct experiential education to arouse interest so that they can feel familiar with traditional dance. Third, from majors' awareness, a result was drawn that a condition is necessary for organic education through systematic education in order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To do this, a specific scheme of establishing an elementary school for traditional art was suggested. Fourth, many students answered that it is necessary to treat traditional dance education in a more important way in the present Korean dance education at secondary art schools and that traditional dance should be designated as an independent subject to uphold, maintain, and improve tradition. Fifth, national participation and support is essential to perform and systematize traditional dance education. To conduct early education for traditional dance effectively, it is now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condition and problems and awareness of students and experts and establish an educational method suitable to the present state and have teachers change their recognition, instead of the educational type centered on the cramming system. All of the state, artists, and schools should participate in doing so. 본 연구는 전통무용이 우리 민족예술로서 보존되고 교육되어야 한다는 것을 토대로 우리 예술의 우수성을 알게 하고 이것이 일반학교 교육을 통해 서서히 받아들이게 하여 민족의 정체성을 심어주는 한편 전통무용 인재 양성의 측면에서도 좀 더 유기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는데 조기적인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전통무용 조기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위해 먼저 이론적 배경을 통해 전통의 개념, 전통무용의 역사와 전통무용이 가지는 우리 것으로서의 특징들을 살펴보았고, 예술 교육의 중요성과 더 나아가 전통무용이 조기교육 되어야 하는 중요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현재 전통무용의 교육 현황과 그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았고 더불어 전통무용이 조기교육 되어야 하는 당위성과 현실가능 여부를 알기 위해 일반 학생들의 전통무용에 대한 인식과, 전통무용을 제일 가까이 하는 한국무용 전공자들의 일반 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생각과 인재양성에 따른 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기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제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전통, 전통무용, 교육 등과 관련된 서적, 논문, 학술지, 인터넷 자료들을 참고하여 연구하였고, 인식 조사는 서울지역 초등학생, 중학생 200명과, 대학졸업 이상 한국무용 전공자들 9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통계를 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전통무용은 학교교육과정에 속해 있다. 하지만 체육교과에 속해 있고 학교, 교사 등에 따라 효과적으로 교육되어지기도 하고 전혀 그렇지 않은 것에 차이를 보이며 학생들의 단계별 발달에 관계없이 비슷한 내용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학습계획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닌 실질적으로 교육에 반영 될 수 있도록 교사에 대한 교육, 전통예술의 독립교과 등이 절실히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의 인식에서 막연하게나마 전통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세부적인 질문들을 통해 본 결과 전통무용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잡혀 있지 않은 실정이다. 전통무용을 가까이 느낄 수 있도록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 방법과 직접적인 체험교육이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전공자들의 인식에서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유기적으로 교육될 수 있는 여건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방안으로 전통예술 초등학교 설립이라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현재 중·고등 예술학교 한국무용 교육에서 전통무용 교육이 좀 더 비중 있게 다루어져야 하며, 전통무용이 독립과로 지정되는 것은 전통의 계승과 유지,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는 다수의 응답을 얻을 수 있었다. 다섯째, 전통무용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체계화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참여와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상으로 전통무용 조기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학생들과 전문인의 인식을 잘 파악하고 주입식 위주의 교육 형태에서 벗어나 현재에 맞는 교육 방법과 교사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국가와 예술인, 학교 모두가 동참하여야 할 것이다.

      • 밀양 백중놀이 오북춤의 무대 공간연출 분석 연구

        김영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11

        최근, 선진국들이 자국의 문화를 기반으로 기술 및 산업 성장에 못지않게 문화 강국을 표방하는 경향은 무엇 때문일까? 오늘날 사회적 여건은 다문화 시대를 접하면서 경제적 기반과 다양한 외부 환경 변화 속도에 떠밀려, 그동안 제도권의 관심에서 소홀한 점이 없지 않았던 문화 보존 문제에 무엇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에 심각한 과제를 안고 있다. 그런 가운데, 최근 경제 선진국이 앞서서 민속놀이의 재발굴에 두드러진 지원 움직임의 경향을 보면, 한 국가의 문화유산이 주는 효과가 경제 성장의 근원적 교류에 독보적인 경쟁력 기반 조성이 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전통 문화 보존의 가치는 결국 국가의 생산성과 신뢰감으로 이어져 중요한 역할임에 틀림없다. 특히, 각 지방 자치 단체들이 전통 연희(演戱) 공연 형태를 그저 물려받은 유물로만 보지 않고, 과감하게 현실로 받아들여 변화를 인정하려는 움직임을 볼 때 이는 가장 합리적인 처방의 자세로 보아진다. 그동안 급격한 외래문화의 유입 변동으로 농·어촌 공동체는 와해되고, 자연적으로 민속 문화의 전승 환경이 바뀌게 되어 민속 문화가 본래대로 전승될 수 없게 된 부문, 또한 인정해야 한다. 즉 시대의 변화는 명백히 전통의 원형(原型)을 훼손시키게 되며 필연적으로 변해 가는 과정이다. 어떠한 전통적 가치 있는 민속춤과 놀이의 문화도 절대적인 규격화에 표준화되거나 고정화되는 것은 아니며 계속 변모하므로 진정한 문화 보존은 정지 상태에 머물지 않는 것이다. 다시 말해 과거의 눈으로만 보았던 전통적 보존 대상물에 현재의 시각으로 재구성 시도에 인식 전환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또 다른 내부적 측면에서 보면, 문화의 조화로운 재구성 시도는 무대 공간 부문에서 특히 끊임없는 시각차가 있긴 하지만, 일찍이 무대 연출 전문가들의 연구를 통해 알려진 바, 전통 연희공간은 연희자(演戱者)와 관객이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는 장(場)으로 모든 놀이를 통틀어 수용할 수 있는 열린 공간, 인간의 삶과 관련된 물리적이고 자연적인 참여와 만남의 장(場)이 되어야 한다. 이는 곧 가능한 놀이꾼들이 놀기에 적합하고 관람객이 관람하기에 편리한 조건이어야 하며, 마당놀이가 가지는 무대 공간의 원형적 개방성을 통해 관객들의 응어리진 감정과 억눌린 신명을 거리낌 없이 마음껏 발산하고 푸는데 기여하는 곳이어야 한다. 이와 같이 연희마당은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공간으로 우리 전통만이 갖는 독특한 공연장이므로, 가장 현실적인 공간으로 생산적이고 창조적인 집단 연대의식을 성숙시키는 문화의 장(場)이다. 따라서 기층문화(基層文化)를 보급하고 전파시키는 연희마당 공간이 가지는 허구성이 없는지 반성의 지적 및 재발견 시도에 깊은 관심과 한국 전통 민속연희 공간을 통해서 그 문화적 보존 가치에 대해 다각적인 재평가·재인식이 필요하다. 즉, 전통 문화의 보존 및 무대 공간연출의 창조적 계승 발전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조화로움의 극대화를 새롭게 고찰해야 한다. Recently, developed countries claim that a country's reputation is based not only on industrial advancement but also a rich culture. What is the reason? Since social environment, facing with multi cultural era, has been alienated due to changing speed of various economic base and external environment, it has been stuck with serious problems on what and how issues for cultural preservation can be solved. In the mean time, now that recently economically advanced countries significantly have shown supports for folk plays, it seems that effects originated from a country's cultural assets are likely to become distinctive bases of competitiveness for economic growth. Therefore, values of preserving traditional cultures has no doubt for playing important roles as they have connections with productivity and reliability of a country. Especially from the fact that each local government is willing to accommodate changes in traditional playing performances without hesitation as a trend not just inherit them as they were, it seems to be most desirable trend. In the past several tens of years, community of farm and sea villages have been demolished from influx of external cultures and consequently it changed environment for inheritances of folk culture, which prohibited folk cultures from being succeeded as they were. This should be also admitted. In other words, change of era definitely damages original type of traditions and it is an indispensible process. Folk dance and culture of plays with certain traditional values are not standardized or fixed as unchanging specification but continuously being changed. Therefore, actual preservation of cultures is changing. In other words, it is desperately required to change of thinking in a way that attempts to restructure targeted objects for traditional preservation based on current point of view. From another internal point of view, although attempts to reorganize harmonious cultures have been continuously argued especially for stage space, they have been recognized by researches of professional producer for stage, traditional playing space needs to be physical and natural attendance and meeting place related human life as a opened place where performer and audience naturally meet each other and place for accommodating all plays. This place is required to be as much convenient as possible for player to perform their job and audience to watch them and to be a place for contribute to audiences who want to dissipate and dissolve their suppressed emotions freely. Like this, since festival playground is a place with complexity as distinctive performing place, it is most realistic and a cultural place where solidarity conscience becomes matured as creative group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find problems related to emptiness at performing space which distribute foundation of culture, and to pay much attention to attempts to re-discover cultures.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reevaluate and re-recognize values for preserving culture in every aspect through Korean traditional folk performing space. Namely, we should investigate the preservation and harmony of traditional cultures. Furthermore, we should create and develop a succession based from its traditional culture. We should promote more opportunities to show our culture through media and other forms of exposure.

      • 전통춤 관객개발을 위한 예술경영 전략 연구

        박지애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1711

        21세기 문화마케팅 시대에 접어들면서 사람들은 예술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으로서 삶의 질을 높인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문화예술이 하나의 상품적인 가치를 갖게 되었지만 전통춤 공연에서는 다소 예외라 할 수 있다. 문화예술상품이 많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에서부터 지금까지 큰 의미를 갖고 맥을 이어오고 있는 전통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부각된다. 현재 주 5일 근무제의 도입으로 인해 여가시간은 늘어나게 되었고, 하루 24시간이라는 시간제약은 누구에게나 해당된다. 사람들은 이러한 여가시간에 하고 싶은 일은 점차적으로 많아지게 되는데 다양한 문화예술상품들은 저마다 마케팅을 도입하여 경쟁하고 있다. 마케팅은 경쟁시장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목적은 이윤창출이라 할 수 있는데 전통춤 공연에서의 마케팅 전략은 관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동반한 이윤창출이라 할 수 있다. 전통춤 공연의 관객개발을 위해서는 마케팅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 제시될 전략들을 종합하여 살펴본다면 관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야 하는 전통춤 공연에서 지금과 같이 일반 관객을 제외한 예술인이나 예술단체의 중점을 두었던 것에서 벗어나야 한다. 전통춤 공연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관객개발을 중심으로 두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도입한 예술경영이 필요한데 전통춤 공연은 음악이나 미술 같은 예술상품과는 달리 몸의 움직임을 표현하여 의미를 전달하는 예술상품이므로 어느 정도 사전지식이 갖추어져 있어야 관객에게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연구의 목적인 전통춤 관객개발을 위한 예술경영 전략 연구로서 감성마케팅을 도입한 예술경영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전통춤 공연에 있어 마케팅이 도입된 예술경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효과적인 예술경영을 활용함으로써 관객에게 전통춤에 대한 낯선 인식을 없애야 할 것이다. 둘째, 기존에 알려진 마케팅 믹스 4P 상품/제품(Product), 가격(Price), 장소/유통(Place), 홍보/판매촉진(Promotion)외에 감성마케팅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감성마케팅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것이 오감(시각, 청각, 미각, 촉각, 후각)인데 오감을 자극하여 일반 관객의 감성· 느낌을 이끌어 내어 전통춤 관객개발을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전통춤 공연 외에 공연예술시장에서 가장 필요한 것이 바로 예술경영인인데 이런 예술경영인의 양성을 위한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전략들을 살펴보면 전통춤 공연의 관객개발을 위해 일반 관객들에게 전통춤 공연을 좀 더 알려야 할 것이다. 이 연구를 토대로 마케팅이 도입된 예술경영으로 인해 전통춤 공연의 특성과 현실을 파악한 후 개선점을 찾아 전통춤 공연의 관객개발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Many people think that having interests in art can improve their qualities of life. So, cultural art has gotten a worth as a product. However, in the case of traditional dance, this side is rather exceptional. In spite of the fact that Cultural art products have developed in many ways, traditional dance have not developed well comparing to other fields. It is more serious problem for the traditional dance because it is our own tradition which have a long history. Nowadays, people have got more leisure time than ever owing to the five day week work emperor and each people have twenty-four equally. So, they want to spend their time in a valuable way. Because of this, many cultural art producers introduce their own marketing strategies and compete with each other. Marketing is a basic part in a compete market place and its purpose is to make profits. In traditional dance performing field, this profit making should be related to a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In the view of developing the audience in traditional dance, the proportion of marketing is very large. I suggest some strategies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study. First of all, we should focus on the audience more. We should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Until now, we have focused on the dancers or dance association only in the traditional dance area. To activate the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we need to focus on the developing audience and introduc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In the traditional dance field, audience need to have some knowledge in advance because dance is a art product which deliver its meaning by expressing dancers movement. It is different from other art field like music or drawing. In this study, I suggest some art management strategies that is related to emotional marketing as following. First of all, we should recognize the necessity of art management that is introduced with marketing in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area and apply this. By doing this, the strangeness in traditional dance can be reduced. Second, we should introduce the emotional marketing in traditional dance area in addition to the marketing mix 4P-Product, Price, Place, and Promotion. Third, we should stimulate audience's five senses to draw their feelings. In emotional marketing, five senses-eyesight, hearing, tasting, touching, and smelling- are most important factors. We should apply these senses to the traditional dance marketing. Fourth, we need professional art manager in the performing art market place. So, there should be a professional education to raise them.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 found that we should let the audience know about the traditional dance more. By managing traditional art using some marketing strategies discussed in this study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reality of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the activation of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will be increased.

      • 정재만류 태평무를 통한 한국전통무용 계승발전의 가치성 연구

        김미나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711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which has been developed by Han Sung-Jun, has been variously composited at crossroad between tradition preservation and tradition creation since 1945(liberated from Japan). Tradition creatio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dance, has developed in less conventional and more progressive way. In the other hand, the handing down of traditional dance had to suffer the huge pang between preservation of heritage and reconstruction by historical flow. Especially, Taepyungmu, had formed by Han Sungjun in 1930 and been through the time of Han Youngsuk, has been handing down to Jung Jaeman for now. . However, Jung Jaeman’s Taepyungmu faces to a wall that it is more passive to admit the value of Teapyungmu, compared to Han Youngsuk’s Teapyungmu. Just receiving the original form without any modern acceptance of culture art won’t be the role of the dancer who lives in these modern days. When the form and philosophy which is based on the form were maintained, and when it was accepted by responding to society, culture, policy of nowadays like Jung Jaeman’s Taepyungmu, the artistic value will be new tradition which will get loved by public with socio reputation. That is why this study progressed discussion, how we should receive the value of dance in this era and what is the right direction of success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o hand down. To progress the discussion, this study conduct the research of Jung Jaeman’s Taepyungmu of which creative succession has been handing down actively. This study analyzed feature of the key factor of Han Youngsuk’s and Jung Jaeman’s headwaters. As a result, Jung Jaeman has developed Taepyungmu with three big parts in succession and developing of Han Sungjun’s and Hahn Youngsuk’s. The first part is to keep the peculiarity of Han Youngsuk’s Taepyungmu, another part is to recur to Han Sungjun’s Taepyungmu, and the other part is newly created part in Jung Jaeman’s Taepyungmu. What we can reach into a result is that Jung Jaeman’s taepyungmu has included all three unique characters of Taepyungmu and developed into its own direction through his own philosophy. Taepyungmu has had bid and small changes through the Han Youngsuk and Jung Jaeman from Han Sungjun, however, the changes have been a positive succession and development according to change of era. It is the result of mental agony that to see the value of tradition as a sprit, not just an external from, also to consider it as a breath of spirit, not just a typical form. When we see the point of view of success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Jung Jaeman’s Taepyungmu, we should recognize the key factor of traditional art and think carefully of the side of socio culture and Zeigeist. Finally, I conduct the questionnaire survey by phone (193 people of sampling survey) to research in preserv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necessity of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Based on that, most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dance and most of graduated students commented out that Han Youngsuk’s Taepyungmu is needed to designate as a cultural property, success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rt is needed, and for that, National policy and support are needed, too. In addition, at the Methodology of Traditional culture art succession, Jung Jaeman’s re-interpreting of Taepyungmu has gotten a positive evaluation, also the artistic value of Jung Jaeman’s Teapyungmu developed through the way of re-interpreting has recognized. The result of this survey shows that many dancers have had timely homework which is appropriate necessity of succession of creative Korean traditional dance. Through this study, to endow the value of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we should sincerely have a discussion about what to keep between the form of traditional dance and the spirit of traditional dance. 한성준으로부터 활발하게 전개되어온 한국전통무용은 1945년 해방 이후, 전통보존과 전통창작의 갈림길에서 다양하게 구성되어 왔다. 하지만 한국전통무용을 기반으로 보다 파격적이고 자유롭게 전개되어온 전통창작과 달리 역설적이게도 전통무용의 전승은 주어진 유산을 보존하는 것과 시대적 흐름에 따라 재구성하는 것 사이에서 적잖은 진통을 겪어야했다. 특히 태평무는 1930년대 한성준으로부터 형성되어 한영숙의 시대를 거쳐 현재 정재만을 통하여 이 시대에 전승되고 있다. 하지만 한영숙의 태평무와 달리 정재만의 태평무는 그 예술적 가치를 인정하는데 있어 유달리 소극적이라는 장벽 앞에 있다. 문화예술의 현대적 수용 없이 옛 원형을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 현대를 살아가는 무용인의 역할은 아닐 것이다. 정재만류 태평무처럼 그 형태와 형식의 기저에 깔려있는 철학은 유지하되 오늘날의 사회·문화·정치상에 반응하여 이 시대에 맞게 수용되었을 때 그 예술적 가치는 사회적인 인정과 더불어 대중들에게도 사랑을 받는 새로운 전통이 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통무용의 올바른 전승방향이 무엇이며 이 시대 춤의 가치성을 어떻게 받아들여야하는지에 대해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논의를 진행하기 위하여 현재 창조적인 전승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정재만류 태평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한영숙, 정재만류 태평무 계승원류의 핵심 요소별 특징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정재만은 한성준과 한영숙으로 이어지는 태평무를 계승 발전함에 있어서 크게 세 가지의 기준을 중심으로 전개해왔다. 한영숙류 태평무의 고유성을 유지하는 부분, 한성준류 태평무로 회귀하는 부분, 마지막으로 정재만류 태평무에서 새롭게 창조된 부분이다. 결과적으로 정재만류 태평무는 삼대 태평무의 개성을 모두 포함하면서도 정재만 본인만의 철학을 통해 독자적인 방향으로 전승해왔음을 알 수 있다. 태평무는 한성준으로부터 시작해서 한영숙, 정재만을 거치는 동안 크고 작은 변화가 있어왔다. 하지만 그 변화는 시대의 변화에 따른 긍정적인 계승·발전이다. 더욱이 전통의 가치를 외형적인 것이 아닌 정신적인 것, 그리고 전통예술의 형식적인 부분이 아니라 그 안에 흘러내려오는 맥으로 보고 고민한 결과물이라 하겠다. 정재만류 태평무의 계승발전 과정을 무용학적 관점에서 바라볼 때, 전통예술의 올바른 계승발전에 있어서 우선 전통예술의 핵심적인 요소가 무엇인지 인지해야하며, 사회문화적인 측면, 그리고 시대상에 대한 면밀한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전통무용 보존의 의미와 계승발전의 필요성에 대해서 본 연구자는 전화 설문법을 사용하여 193명의 표본 조사를 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무용학과의 학사, 대학원생과 관련 업종 종사자들은 한영숙류 태평무의 문화재 지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였고, 한국전통문화예술의 계승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국가적 정책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또한, 전통문화예술 계승의 방법론에 대해서는 정재만의 태평무 재해석 조명방식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이미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승 발전된 정재만류 태평무의 예술적 가치에 대해서도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많은 무용가들이 시대상에 걸맞은 창조적인 한국전통무용의 계승의 필요성을 과제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전통무용의 계승발전에 가치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지켜야하는 것이 춤의 외형인지, 아니면 내면적인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토론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한 · 일 중요무형문화재 보존 및 전승에 관한 비교연구

        김양혜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1711

        In Korea, there are rich natural environment and unique traditional culture formed with history of 5 thousand years and their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are our du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ransmission policy of traditional culture of art such as Noh, Kabuki and Nihonbuyo in Japan, which has the same cultural foundation as ours, with Korean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policy of traditional culture. Consequentially by grasping problems of Korean policy, solutions to efficient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are suggested. Both Korea and Japan have their own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s" and their contents are similar. Through researching them, the researcher drew the conclusions as below: Korea classifies cultural properties into four categories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ubstantial reminders and folklore data, while Japan classifies them into five categories by dividing folklore data into folk cultural properties and traditional constructions. In Japan there is one policy to selec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the other is about protecting preservation techniques. A person who has abilities or skills about specific fields is called "a possessor of skill or art" (commonly called a human cultural asset) in Korea and "a holder of skill or art" (commonly called a living national treasure) in Japan. Korean transmission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from possessor to transmission assistant for education to completionor to initiator (student on scholarship). There is also a policy of a possessor of an honor, but Japan has different transmission system in every field and doesn't have this kind of policy. Transmission education in Korea i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while Japan takes apprenticeship and autonomously has a transmission education by the top authority of certain field. Even though there are 84 transmission halls all over the country in Korea, we can hardly find ones equipped with functions as traditional art theaters such as Kabukiza and Nohgakudo in Japan. Both Korea and Japan spend less money for supporting transmissi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re summarized as "prototype preservationalism," "priority protectionism," "government initiative educational system for transmission," and "utilizationism." "Iemoto Policy," "Myojeki Shumei," "Natory Policy," and "Kata" are all distinctive features in transmission policy of traditional culture in Japan. In order to settle the problems above, additional authorization of the possessors, requisite for standard authorization, abolition of policy for honorary possessors, transmission hall management by professionals, program development, liberalization of transmission education, diversification of completion certification, rise or increase of financial aid for transmission, reconsideration of prototype preservationalism and connection with people from various circles were all suggested as alternatives. Even though these alternatives can't be perfect, they will be able to help us preserve our traditional culture if we aren't so much bound by the past with Japan. In 21st century, a country that transmits and preserves its own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s and create its new ethnic cultures will have its potential energy. It's not enough with one person's efforts to maintain and make over our culture, which has ancestors' wisdom of life and spirit. When every effort comes to fruition, our culture will be placed in the center of the world. 한국에는 풍부한 자연환경과 과거 오천년의 역사 속에서 형성된 독특한 전통문화가 있으며 이를 보존하여 후손에게 물려주는 일은 우리의 의무이자 도리이다. 본 연구는 동양이라는 공통적인 문화기반을 가진 일본의 전통문화 보존정책 및 전통예능(노, 가부키, 니혼부요)과 한국의 전통문화 보존 전승 정책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현재 한국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서는 전통문화를 효율적으로 발전 육성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현재 한국과 일본에는 문화재보호를 위하여 비슷한 내용을 가진 동명의「문화재보호법」이 있는데, 이를 수집된 각종 자료를 통해서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한국은 문화재를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자료의 4가지로 구분하고 일본은 한국의 민속자료 대신에 민속문화재를 두고 여기에 전통건조물을 더해서 5가지로 구분한다. 일본에는 기록․작성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할 무형문화재를 선정하는 제도와 문화재 보존기술을 보호하는 분야가 있다. 지정종목에 대한 기능이나 예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한국에서는「기/예능 보유자(技/藝能保有者)/속칭 인간문화재」라고 하고 일본에서는「기/예능 보지자(技/藝能保持者)/속칭 인간국보」라고 한다. 한국의 전승체계는 보유자 - 전수교육조교 - 이수자 - 전수자(전수장학생)의 4단계로 이루어져 있고 그 밖에 명예보유자제도가 있으나 일본은 분야마다 각기 다른 전승체계를 가지고 있고 명예보유자제도도 없다. 한국이 국가주도의 전수교육을 실시하는 반면 일본은 철저한 도제제도(徒弟制度)를 취하고 각 분야와 유파의 최고 권위자가 자율적으로 전수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한국에는 전수회관(전수교육관)이 전국에 84군데가 있으나 일본의 가부키자(歌舞伎座)나 노가쿠도(能樂堂)처럼 전수회관과 전통예능 전용극장으로서의 기능을 갖춘 곳이 거의 없다. 한․일 모두 국가나 지방공공단체 등으로부터 받는 전승지원금은 극히 미약하다. 한국의 문화재보호법의 특징은「원형보존주의」,「중점 보호주의」,「국가주도의 전수교육제도」,「활용주의」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이에모토(家元)제도」,「묘제키 슈메(名跡 襲名)」,「나토리(名取り)제도」,「가타(型)」를 통한 보존 전승은 일본의 전통문화 전승정책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사례이다. 이상과 같은 현황과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보유자의 추가인정, 보유자 인정기준의 요건화, 명예보유자제도의 폐지, 전문가에 의한 전수회관의 관리와 전통예능 전용극장 설립 및 프로그램 개발, 전수교육의 자율화, 이수증 교부제도의 다양화, 전승지원금의 인상 및 확대, 원형보존주의에 대한 재고(再考), 전통문화 보존 전승을 위한 각계 사람들과의 연계 등을 제도 및 정책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일본문화와의 비교 및 대안 제시가 우리 전통문화를 지켜나가는 데에 완벽한 보완정책이 될 수는 없지만 일본과의 과거사에 얽매이지 말고 적절하게 받아들인다면 어느 정도는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21세기에 저력 있는 나라는 그 나라의 전통문화유산을 잘 전승하고 보호하며 새로운 민족 문화를 창조할 줄 아는 나라이다. 선조들의 삶의 지혜와 숨결이 담긴 우리 문화를 지키고 후손에 물려주는 일은 누구 한 사람의 힘으로 되는 것이 아니며 모두의 부단한 노력이 결실을 맺을 때 우리문화가 세계문화의 중심에 자리 잡게 될 것이다.

      • 전통음식관련 무형문화재의 개념 및 육성방안

        강명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논문은 음식분야를 중심으로 한 무형문화재에 관한 연구로서, 무형문화재 제도속에서의 음식분야에 대한 지원과 전승실태를 파악하여 그 문제점을 알아보고 개선책을 제언함으로서 우리 전통음식의 위치를 재조명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문화재 보호법 상의 무형문화재 제도의 예·기능 분야의 관계법령과 문화재 관리국이 제공하는 다양한 학술자료와 문헌자료를 토대로 실태를 조사했으며, 그리고 외국의 무형문화재 제도를 검토, 비교하였다. 현재 중요 무형문화재 총 113종 중, 음식분야는 ‘조선왕조 궁중음식’ 과 ‘향토 술 빚기’ 단 2종으로 지난 30년간 변동이 없으며, 시. 도 지정 건수까지 포함하면 총 32종목이다. 전승자로는 4명의 보유자와 하나의 보유단체가 있으며, 전수교육조교와 이수자도 각각 1명과 17명뿐이다. 한식의 다양성과 우수성이 세계적으로도 인정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여타의 예. 기능 분야와 비교해서 무형문화재로서 음식분야의 지정건수가 눈에 띄게 미진한 것을 이 논문에서는 크게 전통음식에 대한 연구부족과 전승교육에 문제가 있다고 분석해 보았다. 전통음식 연구의 부족함을 나타내는 근거로는 지정종목의 분류체계의 난점에서 비롯되는 지정기준의 모호성을 들 수 있으며, 또한 문화재적 가치를 지닌 다양한 전통음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30년간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음식 분야는 단 2건으로 변동이 없다는 것에 있다고 하겠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본 글에서는 전통음식의 다각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음식 분류체계 확립과 무형문화재 전문위원회 설립의 필요성 그리고 무형문화재 음식분야의 계승과 원형보전을 위한 철저하게 기록하여 관리하는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전승교육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전승교육자의 수가 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원인으로 크게 제도적이 측면과 사회구조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보았다. 제도적인 측면에서는 전승회관의 부족과 보유자의 계승활동의 부진함, 사회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현대교육과 전통음식의 연관성 부족 등을 지적할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문화재 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전통 식문화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심어주는 한편 보유자들의 공개강연 및 체험교육을 통한 전수교육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우리나라는 전통음식을 무형문화재 제도 하에서 보호하고 있는 세계적으로 유일한 나라로서, 이는 전통음식을 소중히 지켜나가기 위한 노력의 일환일 것이다. 이 같은 노력은 무형문화재 제도가 실질적으로 변화하는 사회상을 적극 고려할 때, 현대문명과 더불어 변화하는 식생활 속에서 전통음식을 지켜 갈 수 있으며, 동시에 무형문화재의 근본목적에 부합될l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is thesis, basis on the food field in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ims to reconfigure the position of the traditional foods by taking look at the problems and describing the better changes after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upports and transmission system in the instituted protection system. For this study, we have examined clauses related to an art- skilled category in the cultural properties of protection law and actual conditions based on the vary scientific data and documentary records data offered by the cultural property committee. Plus, we have examined the foreign policies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we have compared with ours. Currently, There are only two items -`Royal culinary art of Joseon Dynasty' and `Making local liquor'- in the food field out of 113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re have not been changes at all over the past 30years. And there are total 32 items including assets designated by city and province. There are 4 skill holders, one union and one teaching assistants for transmission and 17 certificate holders. Although diversity and superiority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 have been recognizing internationally, the number of designated items are just a few comparing with the rest of the others. In order to find the reasons, we analyzed two aspects regarding the lack of study on the traditional foods and education system for the transmission. Insufficiency of traditional fare study comes from the ambiguities of assignment criteria that originated the crux of classification system for a designated item, also comes from that the only two intangible cultural relics appointed cases for the last 30 years though we have various traditional foods that bear incalculable cultural value. In order to improve this aspect, this study has described an establishment fare classification system, a indispensability to set up the committee of intangible cultural relic, a requisite for record management system to succeed the original form of traditional fare that have incalculable value. My study has confirmed that the deficiency of traditional fare educator for handling down based on the transmission educator research, and this deficiency can be divided by institutional aspect and social structural aspect. In institutional aspect, we can point out stagnancy of accession activity and lack of transmission centre. In social structural aspect, we can point out modern education system and a lack of correlation. To end those hurdles, it is much accounted of enhancing education activity to pass down through an open & experimental lecture to understand traditional fare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