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간호전문직관이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현경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tendency,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ir patient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reby, arrange some educational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n the age of the information societ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242 undergraduate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who had ever experienced accessing to and collecting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during their clinical practice and were using 1 or more SN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 to Nov. 2020.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for real numbers, percentage, means, SD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zing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ir average age was 23.20±1.28, while the absolute majority of them were females. 93.8% of them had used the SNS for ‘two more years’, while 33.1% of them were using the SNS for 4 or more hours a day. 57.8% of them had ever been educated on the protec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and 93% of them perceiv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protect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2. Subjects’ SNS addiction tendency scored 59.36±10.42 on average. Breaking it into its sub-factors, ‘failure of control and hindrance to the ordinary life’ scored 14.20±3.20 on average, while ‘indulgence and tolerance’ scored 21.19±3.86 on average. Moreover, ‘negation and escapism’ scored’ 12.59±2.94 on average, and ‘orientation towards a virtual world and abstinence symptom’ scored 11.38±2.63 on average.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experience of the education on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education were significant; subjects’ SNS addiction tendency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gender (t=-2.03, p=.043), hours of use a day (t=-5.59, p<.001), and experience of education (t=2.11, p=.037). Subjects’ SNS addiction was higher in ‘females’ (59.85±10.12) than ‘males’ (55.69±11.98), in ‘the group using the SNS for 4 and more hours’ (64.39±9.10) than their counterparts using it for less than 4 hours (56.88±10.16), and in ‘the group having been educated on protec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60.61±9.11) than their counterparts’ (57.67±11.81). 3. Subjects’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scored 92.76±11.34 on average. Breaking it down, ‘their computer application skill’ scored 44.89±6.11 on average, while ‘their information application skill’ scored 19.61±2.58 on average, and their knowledge of informatics scored 28.29±4.46 on average.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ir education on protec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4. Subjects’ professionalism scored 105.28±12.86 on average. Breaking them down, ‘their self-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scored 34.29±4.66 on average, ‘their perceived social recognition’ scored 26.15±4.78 on average, ‘their perceived professionalism’ scored 19.30±2.78 on average, and ‘their perceived role as nursing practitioner’ scored 15.59±2.28 on average. Their perceived ‘identity’ as a nurse’ scored 9.95±2.36 on average. Subjects’ perceived professionalism with regard to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t=-2.65, p=.003), age (t=2.61, p=.010), hours spent using the SNS per day (t=-2.39, p=.018), experience of being educated (t=3.18, p=.002), and perceived need for education (F=3.36, p=.002). More specifically, subjects’ professionalism scored higher in ‘females’ (106.08±12.54) than ‘males’(99.41±13.90, ‘those aged 22~23’ than ’those older than 24’, those using the SNS for 4 or more hours a day (108.06±12.43) than those using it for less than 4 hours a day (103.91±12.89), ‘those educated on protec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107.50±11.81) than ‘those not educated’ (102.28±13.65), and ‘those who perceived the need for the education’ (106.09±12.44) than those saying ‘I have no idea’ (92.50±18.42). 5. Subjects’ perception of the protec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scored 99.16±9.39 on average. Breaking down, their ‘communication area’ scored 36.27±4.51 on average, and their ‘linked duty area’ scored 13.07±1.79 on average. Their patients’ information management area’ scored 49.82±5.34 on average. Subjects’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t=-3.55, p<.001), period of using the SNS (t=-5.79, p<.001), use of SNS per day (t=-2.27, p=.024), experience of education (t=8.13, p<.001), educational media deemed effective (F=5.80, p=.001), and need for education (F=6.72, p=.001). Namely, their professionalism scored higher in ‘females’ (99.93±9.39) than ‘males’ (93.48±7.32), ‘use of SNS for 2 years or longer’ (100.00±8.43) than ‘for less than 2 years’ (86.40±13.53), ‘use of SNS for 4 hours more longer a day’ (101.09±9.41) than ‘for less than 4 years’ (98.20±9.25), ‘experience of education’ (102.91±7.41) than ‘no experience of education’ (94.10±9.43), ‘group education’ (100.64±8.17) or ‘mixed one’ (100.30±8.10) than ‘on-line education’ (93.81±12.94), ‘perception of the need for education’ (99.82±8.89) than ‘no such perception’ (92.00±10.50) or ‘I have no idea’ (92.30±13.46).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depending on the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period of using the SN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xperience of education. (x²=6.19, p=.013). The group who had used the SNS for 2 or more years had more experience of education with regard to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6.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among subjects’ SNS addiction tendency,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professionalism and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t was found that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ir professionalism and their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r=.24, p<.001), their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ir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r=.31, p<.001), and their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r=.29, p<.001). 7.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subjects’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education was most influential (β=.32, p<.001), followed by 2 or more year use of SNS (β=.23, p<.001),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β=.20, p<.001) and nursing professionalism (β=.12, p=.038) in their order. These factors explained 36.0% of subjects’ perception of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the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would be most affected by their experience of education thereof.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repeatedly educate th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ot to let them reveal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and help them enhance their nursing informatics capacity and professionalism and thereby, help them cultivate a correct ethical sense of responsibility to protect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본 연구는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간호전문직관이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정보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여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향상을 위한 교육자료 기틀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임상실습 중 환자개인정보 접근, 수집 경험이 있으며 SNS를 최소 1개 이상 사용하는 간호대학생 3,4학년 2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에서 2020년 11월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은 평균 23.20±1.28세, 대부분 여성 응답자였으며, SNS 사용 기간이 ‘2년 이상’인 경우가 93.8%, 하루 SNS 사용 시간이 ‘4시간 이상’인 경우가 33.1%이었다.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관련 특성에서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는 57.4%였으며, 효과적으로 생각하는 교육매체로는 ‘집합교육’이 39.3%, ‘혼합(집합교육, 온라인, 유인물)’이 36.0%이었다. 교육이 필요성에서는 ‘필요하다’가 91.3%로 대다수의 학생들이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2.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은 평균 59.36±10.42점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별 점수는 ‘조절실패 및 일상생활 장애’ 평균 14.20±3.20점, ‘몰입과 내성’ 평균 21.19±3.86점, ‘부정회피 정서’ 평균 12.59±2.94점, ‘가상세계 지향성 및 금단’ 평균 11.38±2.63점이었다. 일반적 특성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은 성별(t=-2.03, p=.043), SNS 하루 사용시간(t=-5.59, p<.001), 교육경험(t=2.11, p=.037)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성’(59.85±10.12)이 ‘남성’(55.69±11.98)보다, 하루 SNS 사용시간이 ‘4시간 이상’(64.39±9.10)인 경우가 ‘4시간 미만’(56.88±10.16)보다, 교육 경험 ‘있음’(60.61±9.11)인 경우가 ‘없음’(57.67±11.81)인 경우보다 SNS 중독경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3.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역량은 평균 92.76±11.34점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별 점수는 ‘컴퓨터 활용기술’ 평균 44.89±6.11점, ‘정보 활용기술’ 평균 19.61±2.58점, ‘정보학 지식’ 평균 28.29±4.46점이었다. 일반적 특성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정보역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은 평균 105.28±12.86점이었다. 각 하위요인별 점수는 ‘전문직 자아개념’ 평균 34.29±4.66점, ‘사회적 인식’ 평균 26.15±4.78점, ‘간호의 전문성’ 평균 19.30±2.78점, ‘간호실무 역할’ 평균 15.59±2.28점, ‘간호의 독자성’ 평균 9.95±2.36점이었다. 일반적 특성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은 성별(t=-2.65, p=.003), 나이(t=2.61, p=.010), SNS 하루 사용시간(t=-2.39, p=.018), 교육경험(t=3.18, p=.002), 교육필요성(F=3.36, p=.00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성’(106.08±12.54)이 ‘남성’(99.41±13.90)보다, ‘22세-23세’(106.48±12.51)가 ‘24세 이상’(101.48±13.33)보다, 하루 SNS 사용시간이 ‘4시간 이상’(108.06±12.43)인 경우가 ‘4시간 미만’(103.91±12.89)보다, 교육 경험 ‘있음’(107.50±11.81)인 경우가 ‘없음’(102.28±13.65)인 경우보다,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이 ‘필요하다’(106.09±12.44) 생각한 경우가 ‘모르겠다’(92.50±18.42)보다 간호전문직관이 높게 나타났다. 5.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은 평균 99.16±9.39점이었다. 각 하위요인별 점수는 ‘의사소통 영역’ 평균 36.27±4.51점, ‘연계업무 영역’ 평균 13.07±1.79점, ‘환자 정보관리 영역’ 평균 49.82±5.34점이었다. 일반적 특성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은 성별(t=-3.55, p<.001), SNS 사용 기간(t=-5.79, p<.001), SNS 하루 사용시간(t=-2.27, p=.024), 교육경험(t=8.13, p<.001), 효과적으로 생각하는 교육매체(F=5.80, p=.001), 교육필요성(F=6.72,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성’(99.93±9.39)이 ‘남성’(93.48±7.32)보다, SNS 사용기간이 ‘2년 이상’(100.00±8.43)인 경우가 ‘2년 미만’(86.40±13.53)보다, 하루 SNS 사용시간이 ‘4시간 이상’(101.09±9.41)인 경우가 ‘4시간 미만’(98.20±9.25)보다, 교육 경험 ‘있음’(102.91±7.41)인 경우가 ‘없음’(94.10±9.43)인 경우보다, 효과적으로 생각하는 교육매체가 ‘집합교육’(100.64±8.17), ‘혼합’(100.30±8.10)인 경우가 ‘온라인’(93.81±12.94)보다,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이 ‘필요하다’(99.82±8.89) 생각한 경우가 ‘필요없다’(92.00±10.50), ‘모르겠다’(92.30±13.46)보다 간호전문직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SNS 사용기간에 따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차이를 추가분석 한 결과 SNS 사용기간과 교육경험 간에 유의한 연관성이 확인되었으며(x²=6.19, p=.013), SNS를 2년 이상 사용한 그룹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경험이 더 많았다. 6.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간호전문직관,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정보역량(r=.24, p<.001),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과 간호정보역량(r=.31, p<.001),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과 간호전문직관(r=.29, p<.001)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7.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관련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β=.32, p<.001)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SNS 사용 기간이 2년 이상인 경우(β=.23, p<.001), 간호정보역량(β=.20, p<.001), 간호전문직관(β=.12, p=.038) 순이었다. 이들 요인은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을 36.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는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관련 교육 경험이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SNS 사용에 있어 환자개인정보를 유출하지 않도록 반복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간호정보역량을 통해 올바른 정보 파악 능력 함양과 간호전문직관을 바탕으로 윤리적 책임감을 함양하여 올바르고 확실한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의 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연예인의 인격권 보장에 관한 연구

        김마리아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헌법 제10조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와 행복추구권을 규정하여 인격의 주체인 인간이 스스로 자기결정권을 행사하고 창의적이고 독립된 주체임을 보장하고 있다. 인간이 존엄하고 가치가 있다는 것은 스스로 인격의 주체라는 것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규정하고 있는 헌법조항으로부터 인격권이 도출된다. 인격권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로부터 뿐만 아니라 행복추구권으로부터도 도출된다. 행복을 추구할 인간의 권리는 행동의 자유를 전제로 하는 일반적 행동권과 자유로운 인격의 발현을 추구하는 일반적 인격권 등을 내용으로 한다. 일반적 인격권은 명예, 초상, 성명 등을 그 내용으로 하며 인격적인 것뿐만 아니라 재산적인 것도 포함한다. 21세기에 오면서 우리나라는 한류를 통하여 대중음악과 드라마 및 영화 등이 세계화되면서 연예인들의 활동이 국내에서 외국까지 확대되고 있다. 연예인들의 활동이 두드러지고 많은 사람의 관심을 받게 되면서, 그들의 사생활이 노출되고 개인정보가 유출되면서 인격적 침해가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 일반 국민과 달리 언론의 조명을 받아야 하는 연예인에게는 개인정보의 보호가 오히려 그들의 활동가 장애로 작용할 수 있어서 어느 정도 개인정보의 노출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하여 발생하게 되는 인격권의 침해는 연예인에게는 심각한 기본권의 침해가 됨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어느 정도 용인되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그동안 지속적으로 괴롭힘과 인격을 침해받았던 여러 연예인이 스스로 생명을 끊는 불행한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특히 새로운 미디어의 출현으로 인한 SNS의 확산은 인격권 침해의 중요한 수단이 되어 연예인의 사생활을 침해하고 인격권을 침해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문제화되었고, 이로 인한 대책도 세워지기도 하였다. 미디어를 이용한 연예인의 인격권 침해 문제는 다른 한편에서 표현의 자유 보장 문제와 충돌하게 된다. 그런 이유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논의되기 어려운 구조에 있다. 그렇지만 연예인이라고 하여 기본권의 보장에서 차이를 둘 수는 없다. 연예인의 인격권도 일반 국민의 인격권과 마찬가지로 최대한 보장되어야 한다. 인격권은 자유로운 인격의 발현을 위하여 보장되는 기본권으로 사생활의 영역에서는 개별적 기본권인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주거의 자유, 통신의 비밀을 통하여 보호되어야 한다. 이런 개별적 기본권에 보장되는 개별적 인격권과 달리 인격권에 해당하는 포괄적 보호인 사회적 영역에서 보호되어야 할 인격권은 일반적 인격권의 영역에서 보호되어야 한다. 개인의 인격과 관련하여 보호되어야 할 영역은 사생활영역과 사회적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연예인의 경우 대중예술활동을 통하여 사회에 알려진 유명인이지만 공적 업무를 수행하는 공인은 아니다. 그렇지만 공인처럼 연예인도 사회적 활동의 영역에서 일반적 인격권을 보호받는 범위는 일반 국민보다 축소된다. 연예인은 직업의 특성상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사회적 영역에서 자유로운 인격의 발현을 보호하는 일반적 인격권에서는 상대적으로 보호의 범위가 축소된다. 그렇지만 연예인 역시 국민의 한 사람이며 개인으로 자신의 사생활영역에서 보호되어야 할 인격권은 헌법 제37조 제2항에 따른 사유가 없는 한 보호되어야 한다. 연예인은 공중에 많이 노출되어 있고, 상황에 따라서는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직업활동을 이어갈 수 있다는 점에서 개별적 인격권의 경우에도 사회활동과 연계되는 경우 일반 국민과 달리 그 보호의 범위가 축소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연예인의 인격권 보호에는 상황에 따라 범위가 제한되고 축소될 수 있다. 연예인이 직업활동을 하면서 개인정보가 노출되거나 사생활의 비밀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것도 문제이지만, 다른 한편에서 악의적인 댓글이나 악플로 인하여 인신공격을 받게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격권의 보호범위를 축소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연예인에 대한 허위사실 유포나 사생활에 관한 개인정보를 노출하여 공격적인 언행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관련 법제를 적용하여 법적 책임을 묻는 것이 필요하다. 연예인은 공인이 아니기 때문에 사회적 활동을 통하여 형성된 인격의 범위를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예인이 유명인이라 하여도 그들의 사적 영역에 대한 보호는 일반 국민과 다를 바가 없다. 특히 근거도 없는 인신공격적 언행으로 연예인의 인격권을 침해하는 것은 철저하게 법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e dignity and value of human beings and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ensuring that human beings, the subject of personality, exercise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are creative and independent subjects. Since human beings have dignity and value to say that they are the subject of one's personality, the right to personality is derived from the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that stipulate this. The right to personality is derived not only from human dignity and worth, but also from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The human right to pursue happiness consists of the general right to act, which presupposes freedom of action, and the general right to personality, which pursues the free expression of one's personality. General moral rights include honor, likeness, and name, and include personal as well as property. In the 21st century, Korean pop music, dramas, and movies have been globalized through Hallyu, and the activities of celebrities are expanding from Korea to foreign countries. As celebrities' activities become more prominent and attract attention from many people, their personal lives are exposed and personal information is leaked, resulting in frequent personal invasions. Unlike the general public, for celebrities who need to receive the attention of the media,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an act as an obstacle to their activists, so they have no choice but to accept the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to a certain extent. Although the violation of personal rights caused by this is a serious violation of basic rights for entertainers, there is a problem that is socially acceptable to some extent. In the meantime, there have been unfortunate incidents in which several entertainers who have been continuously harassed and infringed on have taken their own lives. In particular, the spread of SNS due to the emergence of new media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of infringing on personal rights, infringing on the privacy of celebrities and infringing on their personal rights, which has become a social problem, and countermeasures have been taken. On the other hand, the issue of infringement of personal rights of entertainers using the media collides with the issue of guaranteeing freedom of expression.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discuss a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it.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guarantee of basic rights just because they are celebrities. The personal rights of celebrities should be guaranteed as much as possible, just like the personal rights of the general public. The right to personality is a fundamental right guaranteed for the free expression of personality. In the realm of privacy, it must be protected through the individual basic rights of privacy and freedom, freedom of residence, and confidentiality of communication. Unlike the individual moral rights guaranteed by these individual basic rights, the personal rights that should be protected in the social domain, which are comprehensive protections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 rights, should be protected in the domain of general moral rights. The areas to be protected in relation to an individual's personality are the private life area and the social area. In this regard, in the case of entertainers, they are celebrities who are known to society through popular art activities, but are not public figures who perform public duties. However, like public figur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general personal rights in the field of social activities for celebrities is reduced compared to the general public. Celebrities have no choice but to be exposed to many people due to the nature of their jobs, so the scope of protection is relatively reduced in the general right to personality, which protects the expression of personality freely in the social realm. However, entertainers are also citizens of the country, and the personal right to be protected in their private life as an individual must be protected unless there is a reason under Article 37 (2) of the Constitution. Celebrities are exposed to the public a lot, and in some circumstances, personal information can be used to continue their professional activities, so even in the case of individual personality rights, if it is linked to social activities, the scope of protection will be reduced unlike the general public. can In this regar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ersonality rights of entertainers may be limited and reduce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While it is a problem that celebrities are exposed to personal information during their professional activities or that their privacy is not properly protected, on the other hand,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scope of protection of personal rights in that they may receive personal attacks due to malicious comments or malicious comments. has a problem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trictly apply the relevant laws and hold legally responsible for the spread of false information about celebrities or the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ir personal life. Since entertainers are not public figures,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scope of personality formed through social activities. Even if a celebrity is a celebrity, the protection of their private area is no different from that of the general public. In particular, the law must be thoroughly applied to infringing on the personality rights of entertainers through unfounded, offensive words and actions.

      • 종교적 설득 메시지의 수용과 처리 과정에 관한 연구 : 메시지 내용과 정보원 유형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두식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study begins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process of attitude changes toward religion may have different ways of acceptance and processing from the persuasive messages in the area of advertising marketing or political communication. This is because religious attitudes are different from the attitudes that are easily formed in a short period of time due to the characteristic that once established, religious beliefs and attitudes do not change for a long tim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ersuasion effect according to religion, assuming the type of message content (personal vs. social), the type of source (non-expert vs. expert), and the individual personality factors as important variables explaining the persuasive effects of the religion messages. First, the religious persuasion message was divided into personal message and social message by using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Then, it was expected that the group of religion with a high level of religious belief intensity and existing religious message processing tendency would process religious persuasion messages through the central route. It was assumed that there would be no difference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of religious messages.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ing was defined as the usual processing tendency of neutral religious messages. As for peripheral cues, the variables were composed of expertise among the source's credibility, openness of personality factors, and emotional instability.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urce's expertise, the effect was measured by dividing them into expert group and non-expert group. In this study, religious attitude refers to the degree of awareness of religion, and religious attitude was classified into attitude toward religion itself and attitude toward religious behavior. This is because attitudes toward religion itself are areas of belief, and religious acts are areas of likes and dislikes on specific issues with different dimension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suasion effect of religious messages according to the processing of the central route and the peripheral route? Research question 2. Is the persuasion effect of religious message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message (personal vs. social) and the type of source (non-expert vs. expert)? Research question 3. Does the persuasion effect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message and the type of source vary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openness and emotional instability? Research question 4.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involved in the persuasion effect of the message? A total of 78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purposive quota sampling method, divided into four groups: personal message vs. social message group and general informant vs. expert informant group. The result shows that attitude change in the peripheral route processing was greater than the central route. In the central route processing, nearly 60% of the respondents had more than 20 years of religiosity, resulting in a ceiling effect, so there was not much change in attitude. In the peripheral route processing with a relatively large change in attitude, openness was found to be the main variable in attitude change among the expert source and personality factors. With regards to the type of message content, attitude change by the personal message was greater than the social message as a whole. This seems to be related to the undulating faith, a distinct religious characteristic of Korean that prays for personal well-being and family happiness. In the type of source, messages from expert showed a greater change in attitude than non-expert.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studies that have verified the credibility of sources among studies using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However, unlike the expert source effect in the existing advertising marketing field, the religious persuasion message was found to produce a meaningful persuasion effect even for non-expert source. Such result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For personality factors, openness was found as a major variable in attitude change, but emotional instability appeared to have no correlations with attitude change. Also,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various factors together related with the persuasion effect of the message, in addition to the types of message content and source, the persuasion effects of the religious message were found to be affected by religious status, gender, age, and so on. This research differs from others, considering it expanded the academic realm of religious communication, tested the persuasion effect by dividing the contents of religious persuasion messages into personal and social types, and verified individual personality factors as persuasion effect variable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religious community in that it presented the direction of creating messages of evangelism (missio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non-religious people. Keywords: persuasive communication, religious communication, type of source, type of message content,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 personality factors, openness, evangelism (mission) 본 연구는 종교에 대한 태도 변화를 일으키는 과정이 광고마케팅이나 정치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의 설득 메시지와 다른 수용과 처리 방식을 갖고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종교적 태도는 한번 가지면 수십년씩 그 신념과 태도가 변화하지 않는다는 특성 때문에 단기간에 쉽게 형성되는 태도와는 다를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메시지 내용의 유형(개인적 vs. 사회적)과 정보원의 유형(일반인 vs. 전문가) 그리고 개인적 성격 요인을 메시지 설득 효과를 설명하는 중요 변수로 상정하고, 그에 따른 설득 효과의 차이를 검증해 보았다. 우선 정교화 가능성 모델의 연구 모형을 차용해 종교적 설득 메시지를 개인적 메시지와 사회적 메시지로 나누었다. 그리고 종교를 가지고 있고, 신앙심 강도, 기존 종교 메시지 처리 성향 등이 높은 집단이 종교적 설득 메시지를 중심 경로로 처리한다고 보았다. 종교적 메시지의 정보처리 능력은 차이가 없을 것으로 가정하였고, 인지처리 유형은 중립적 종교 메시지의 평소 처리 성향으로 정의하였다. 주변 단서로는 정보원의 공신력 가운데 전문성과 성격 요인의 개방성 및 정서적 불안정성으로 변인을 구성했다. 정보원의 전문성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으로 나누어 그 효과를 측정했다. 본 연구에서 종교 태도란 종교에 대한 인식 정도를 의미하며, 종교 태도를 종교 자체에 대한 태도와 종교적 행위에 관한 태도로 구분했다. 종교 자체에 대한 태도는 신념의 영역이고, 종교적 행위는 구체적 이슈에 대한 호불호(好不好)의 영역으로 서로 다른 차원이기 때문이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중심 경로와 주변 경로의 처리에 따라 종교적 메시지의 설득 효과의 차이가 발생하는가? 연구문제 2. 종교적 메시지의 설득 효과는 메시지 내용(개인적 vs. 사회적)과 정보원의 유형(일반인 vs. 전문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메시지의 내용과 정보원 유형에 따른 설득 효과는 개인의 개방성과 정서적 불안정성에 따라 달라지는가? 연구문제 4. 메시지의 설득 효과에 관여하는 다양한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개인적 메시지와 사회적 메시지 그룹, 일반인 정보원과 전문가 정보원 그룹 등 총 4개의 집단으로 구분해 의도적 비례할당 표본추출법을 통해 총 789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중심 경로보다는 주변 경로의 처리에 의한 태도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중심 경로의 경우 신앙심 강도가 20년 이상인 응답자가 전체의 60% 가까이 되어 천장 효과(ceiling effect)가 발생해 태도 변화가 크지 않았다. 상대적으로 태도 변화가 큰 주변 경로의 경우, 전문가 정보원과 성격 요인 가운데 개방성이 태도 변화의 주요 변인으로 밝혀졌다. 메시지 내용 유형의 경우, 전체적으로 사회적 메시지보다 개인적 메시지에 따른 태도 변화가 컸다. 이는 개인의 안녕과 가정의 행복을 기원하는 한국의 종교적 특성인 기복 신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보원 유형에서는 일반인보다는 전문가 정보원의 메시지가 더 큰 태도 변화를 나타냈다. 기존의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활용한 연구 가운데 정보원의 신뢰성을 검증한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다만 기존 광고마케팅 영역에서의 전문가 효과와 달리, 종교적 설득 메시지는 일반인 정보원도 의미 있는 설득 효과를 만드는 것으로 밝혀져 기존 연구와의 차별점이 발견되었다. 성격 요인의 경우, 개방성은 태도 변화에 주요한 변인으로 검증되었지만 정서적 불안정성은 태도 변화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외에 메시지의 설득 효과를 나타내는 다양한 요인들을 함께 검증한 결과, 종교적 메시지의 설득 효과는 메시지 내용의 유형과 정보원의 유형 이외에도 종교 유무, 성별, 연령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종교 커뮤니케이션의 학문적 영역을 확대하고, 종교적 설득 메시지의 내용을 개인적 유형과 사회적 유형으로 구분해 설득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 그리고 개인의 성격 요인을 설득 효과의 변수로 검증한 것에 다른 연구들과 차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무종교인의 특성을 활용해 전도(포교) 메시지 작성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종교계에 실용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 고교학점제 미용 교과 운영 방안 연구 : 2022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이상원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 흐름에 따라 고교교육 혁신을 위해 입시 위주 고교교육에서 탈피하고 학생의 성장과 진로 맞춤형 교육 중심의 교육 방향을 목표로 다가오는 2025년, 2022 개정 교육과정, 고교학점제가 시행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해당 제도 내에서 미용 교과 운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을 기반으로 학생, 교사, 교수 대상으로 다각도적(양적 연구, 질적 연구) 연구 방법을 설정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두었다. 첫째, 2022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후, 미용 교사, 교수를 대상으로 교육과정 인식, 적합성, 운영 계획 및 실태를 탐색하여 운영 방안 및 추후 방향성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둘째, 전문교과가 일반계고 고교학점제 내에서 개설될 수 있음에 따라 일반계고 학생을 대상으로 미용 교과 수강 희망 여부, 수강 선호 기관 및 유형, 개설 희망 과목을 조사하여 일반계고 내 미용 교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셋째, 직업계고 학점제 운영을 위해 미용 교사를 대상으로 고교학점제 인식, 직업계고 학점제 선호 모형, 타 학과 과목선택형, 타 학과 부전공 이수형 모형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세부전공 코스형을 운영 중인 학교를 선정하여 미용 교사, 학생 대상으로 선택 요인, 교육과정 만족도, 선호 직종, 교육과정 운영 수월성, 만족도를 조사하여 추후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넷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 내 전문교과를 바탕으로 실제적 융합 교육을 위해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미용 교과와 융합할 타 교과의 능력단위를 선정한 후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이후 미용 교사, 사진·영상 교사, 디자인 교사, 보건 교사, 화학 공업 교사에게 적합성을 검증한 후 고교학점제 내 융합 교육 수업의 설계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위의 연구 문제를 토대로 다각도적(양적 연구, 질적 연구) 연구를 진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은 이전 교육과정과 비교 시 총론과의 연계성이 높아졌으며, 교육과정 내 전문 공통 과목, 전공 일반 과목, 전공 실무 과목 변동 사항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교사의 세부전공에 따라 각 과목에 대한 지도 가능 여부의 차이점을 확인한 결과, 신설 능력단위 위주로 차이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전 교육과정과 비교 시 국가기술자격(기능사)과의 연계성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 교수 대상 심층 면담 결과, NCS 교육과정 도입 이후 교육과정 편성, 교수학습 방법 선정, 교육평가에 대한 업무가 가중되었으며, 능력단위 신설 시 교육 지침서 개발, 연수의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학생의 진로와 수요를 바탕으로 다양한 과목이 개설되는 것에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으나 지침에 의한 과목 수 제한 등 교육과정 편성의 어려움, 다과목 배정, 시수 증가, 교육환경 부재, 모형 적용에 대한 어려움 등을 언급하며 교육의 질이 보장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이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과목을 개설하고 운영하기 위해 교사들의 진로지도 역량, 디지털 역량 함양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하며 역량 함양을 위해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교육체계도 변화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일반계고 학점제 내 미용 교과 운영 시 실습실을 보유한 기관에서 수강을 희망하였으며, 전공 과목 수준보다는 진로 과목 수준, 융합 과목으로 수강하길 희망하였다. 평가 방법에서는 과정 중심 평가, 절대평가로 진행되길 희망하였으며, 개설 희망 과목으로 전공 일반 과목인 미용의 기초, 각 전공 실무 과목에서 실생활과 연계되고 흥미 위주의 헤어 컬러링, 안면 관리, 베이스 및 색조 메이크업, 네일 케어, 컬러링 관련 능력단위에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계고 학점제 내 미용 교과 운영 시 선호 모형으로 세부전공 코스형, 타 학과 부전공 이수형, 지역사회 연계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 학과 과목선택형 운영 시 미용의 기초, 헤어 미용, 메이크업이 적정하며 NCS 교육과정을 진로 과목 수준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타 학과 부전공 이수형의 경우 전공 관련 국가기술자격과 관련 능력단위 위주로 편성하고 NCS 교육과정을 전공 과목 수준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타 학과 부전공 적합 계열로 사진·영상, 디자인·문화콘텐츠, 보건복지, 섬유·의류, 연극영화, 관광·레저, 화학 공업으로 나타났다. 세부전공 코스형 전공 선택 시 사회적 요인보다는 개인적 요인의 작용이 컸으며 교육과정, 교육환경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 또한 전반적으로 만족도를 느꼈으나 재정 지원 부분에서 낮게 나타나며 모형 운영 시 재정적 지원에 대한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넷째, 미용 교과와 타 교과(사진·영상, 디자인·문화콘텐츠, 보건·복지, 화학 공업)와의 융합 교육을 위해 제시된 교수학습지도안에 대해 적합성이 검증되었으나, 타 교과 학습 내용에서 이해도가 낮게 나타남을 확인, 사전에 교사 역량 강화, 교육환경 구축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용 교과가 고교학점제 내에서 운영되기 위해서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이 구성되고 운영될 수 있도록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교육과정을 지도할 수 있도록 교원 역량을 강화하고 국가 차원에서 각 단위 학교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결과가 공유되도록 지침서, 운영서 개발 등 실증적 방안 제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일반계고 학점제 내 미용 교과 운영을 위해서 교과에 대한 설명서를 배포한 후 수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운영 인력을 확보한 후 교육과정 수준, 평가 방법을 선정하여 운영해야 한다. 운영 이후 미용 교과가 안착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도 필요하다. 현재 미용 교과의 경우 타 교과(군)에 비해 다양한 모형이 적용되지 못한 것을 참고하여 새로운 모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추후 적용하도록 하고 운영 중인 모형에 대해선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해야 한다. 융합 교육을 위해서는 운영 교사 선정 시 학제적 접근에 대한 중요성에 인식한 교사로 구성하고 교과 간 연계성을 추출해야 한다. 이후 타 교과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평가 준거 확보 후 수업을 진행하며 교사와 교사, 교사와 학생 간 지속적 모니터링으로 목표 달성을 하고 목표의 도달 여부와 개선 및 보완점 파악을 다각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현재 미용 교과 연구는 미비한 실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후 일반계고, 직업계고 내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실태를 지역별, 학교 규모별 등으로 차이가 있는지 차이점을 확인하고 원활히 운영될 수 있는 방안과 다양한 모형 적용 방안, 융합 교육 운영 효과 및 만족도 및 개선 사항 도출 등 실증적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 고교학점제 시행 전 기존 해당 연구 분야에서 진행되지 않았던 형태의 연구로 해당 분야의 다방면적 방안 모색을 통해 미용 교과 운영 방안에 지침이 될 수 있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rapidly changing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ed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upcoming 2025, which is for innovating high school education from the college-entrance-centered to the students’ growth-and-careers-centered. In response, this study tried to find effective ways to operate the beauty curriculum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considering the curriculum and reflecting each perspective of students, teachers, and professors. Therefore,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reviewing the 2022 revised beauty curriculum, we explored the insight, suitability, operation plan, and current curriculum status for beauty teachers and professors. Then, we suggested how to operate the curriculum and where it should be directed. Second, sinc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an take specialized course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e surveyed them on whether they want to take beauty courses or not, at which institution they want to take, and which courses they wish to take. Then, we present an operation plan for beauty courses in general high schools. Third, for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we explored targeting beauty teachers as follows: whether they underst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ow much they agree with this system; how they think about their ability to teach, workload, and expected effects; which model the vocational high schools prefer; how to operate the model. In addition, we selected two schools adopting the sub-major course and investigated selection factors, curriculum satisfaction, preferred jobs, curriculum operation ease, and satisfaction among beauty teachers and students to suggest future operation plans. Fourth, we developed five lesson plans, selecting competency units of other departments that can be integrated with beauty subjects for practical convergence education. Then, after verifying its suitability for teachers of beauty, photography·video, design, health, and chemical engineering, we presented a lesson design and operation method for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ased on the issues above,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2022 revised beauty curriculum is more highly connected to the general theory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 revised curriculum is suitable for changes in specialized common subjects, general major subjects, and major practical subjects. We checked whether teachers were able to teach specific subjects or not regarding what they majored in. As a result, the differences among teachers were high in the newly established competency units. Additionally, the linkage with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technician) h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professor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NCS curriculum, they responded that their workload has increased on curriculum organization, sel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evaluation. Therefore, they mention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guidelines and training courses when establishing new competency units. A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ill be introduced, they responded positively to the opening of various subjects that reflect students' careers and demands. However, they also mentioned some difficulties in organizing the curriculum such as the limit on the number of subjects to follow the guidelines, allocation of multiple subjects, increased number of classes, absence of a prope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difficulties in applying educational models. Under these difficulties, they are concerned with how to guarantee the quality of education. Moreover, they responded that the education system at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also change to develop teachers’ capabilities about career guidance or digital education. Second, in the general high school credit system, students responded that they’d like to take beauty courses at institutions equipped with labs. They preferred career and convergence course levels to major course levels. As for assessment, they favored process-oriented and criterion-based evaluation. They wanted to take the basics of beauty, which is a general major course; hair coloring, facial care, base, and color makeup, which are interest-oriented and linked to real life. Third,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students preferred to take the specialized major courses type, the completion of a minor in another department type, and the community connection type. For the type of elective courses in other departments, the appropriate subjects would be the basics of beauty, hairdressing, and makeup, and the NCS curriculum should be operated at the level of career courses. For the type of completing a minor in another department, the NCS curriculum should be run at the level of major subjects, as well as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related to major and relevant competency units should be considered when organizing classes, The suitable departments for minors included photography·video, design·cultural contents, health·welfare, textiles·clothing, theater·film, tourism·leisure, and chemical industry. For the type of specialized major courses, personal factors rather than social factors played a greater role as the reason for choosing this type, and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eachers also showed overall satisfaction, but they responded negatively to financial support, which means the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ut together before going on this model. Fourth, while the suitability of the lesson plan for convergence education of beauty subjects with other subjects (photography·video, design·cultural contents, health·welfare, and chemical industry) was verified, the level of understanding was low in the learning contents of other subjec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eachers’ capacity in advance and establish an educational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abov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is required to organize and operate the beauty courses’ curriculum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eachers should be trained to be able to deal with the rapidly changing curriculum.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guidelines and management manuals to monitor each unit of school and share the results. In the general high school credit system,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a manual explaining what a specific beauty subject is about and then conduct a demand surve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it is required to secure personnel and select evaluation methods as well as the level of curriculum.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urse, continuous monitoring is also necessary to encourage the beauty curriculum to settle down. Regarding that various models have not been applied to the current beauty subjects, it is necessary to not only fully understand new models first before applying them to classes, but also identify problems of a currently operating model. For converg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elect teachers who can thorough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extract connections between subjects. Afterward, evaluation criteria should be put together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other subjects, and while running classes, continuous monitoring of teachers-teachers and teachers-students is needed to achieve goals. It is required to check whether the goal has been reached or not and identify its improvements and supplements. As the current research on beauty subjects seems to be insufficient, whe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tart, it is expected to monitor differences among regions, school sizes, and so on i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in both general high school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and facilitate practical researches on methods to apply various models, effects, satisfaction, and improvements of convergence education, etc.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his type of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in our field before, thus it can serve as a guideline for operating beauty courses.

      • 웹툰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급 학습자 대상 플립러닝의 적용을 중심으로

        당영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韩国语教育主要是由听、说、读、写4个领域组成,其中写作是韩语学习者们感 到学习困难并想避开的领域。而且从韩国语写作教育的现状来看,目前还存在很多问题。比如说,写作不能像口语一样得到重视,写作练习的单一化。以韩语教材为例,韩语写作主要是给定主题,然后学生以围绕着这一主题进行写作。这样的写作是否能提高学生的学习积极性以及学习效果这件事上持怀疑的态度。如果不解决这样的问题,学生很难感到写作的乐趣,容易陷入恶循环。 尤其到了21世纪,学习韩语的学生越来越年轻化。对这些学生更容易对传统教育方式不满。随着时代的改变,教育也要改变。 网络漫画可以说是包括了韩国人生活方式、思考方式和价值观等内容语言文化集合体,超越时间和空间,是不论是谁都可以轻易接触到的文化。韩国语学习者不应该单纯地学习语言,也需要一起学习韩国的文化。因此,为了已经一定程度熟悉 了韩国语的中级学习者,使用网络漫画开发的课程不仅可以学习到韩语知识,还可以学习到韩国的日常文化。 因此,本论文利用了年轻的韩语学习者更容易接受的网络漫画,引进了“flipped learning”的教学模型,试图为中级韩语学习者开发更有趣、有效的写作教育方案。第一章主要包括研究目的、研究背景,以及本研究有关的先行研究。写作 是很多韩国语学者感到吃力的领域,但是写作同时又是表达人的感情和想法的重要手段。因此为了解决这个问题,本研究将利用有趣的网络漫画开发更能引起学习者兴趣的写作课程方案。 第二章主要是了解韩国语写作教育的特点和韩国语写作教育的现状,再找出问题点。以此再引发出网络漫画的教育价值和投入flipped learing的必要性。 第三章主要是以西江大学、首尔大学、延世大学、中央大学、东国大学使用的教材为中心,分析利用网络漫画进行的韩语教育的现状和问题点, 同时也分析了韩语写作教育的现况和问题点。 第四章利用“flipped learing”的教育模型开发了利用网络漫画的韩语教育方案。首先探讨了适合韩语教育的网络漫画的基准、如何利用媒体等问题,以此为基础设计出了一套高效的写作教育方案。 第五章以上述研究为基础,展示了具体可以在课上实行的教案。第六章是结论,整理了本研究的核心内容后,表明研究了界限。 本研究虽然有着一定的界限,但是在利用网络漫画和flipped learning开发韩语写作方案这一点来看,存在着很大的创新性,是有价值的研究。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있는 중급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영상 매체는 웹툰, 멀티미디어 매체는 플립러닝을 선택해서 논의를 전개하겠다. 본 연구는 ‘쓰기’에 주목하는데, 유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영역은 쓰기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나 대학원에서는 쓰기가 중요하기 때문에 중급 학습자가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를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인기가 높아지는 웹툰에 주목하여 쓰기 교육 방안을 만들기 때문에 유학생의 유학 생활 적응과 한국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고취시키고,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할 때 학업 적응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분산신원증명(DID)에 대한 연구 : UTAUT 모형을 중심으로

        이경수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환경으로 각국이 디지털 공간에서 개인정보 활용 방안을 논의 중인 가운데, 2021년 11월 전자서명법 개정으로 공인인증서의 법적 효력 폐지 유예기간이 종료됐습니다. 이후 "정부는 생체인증, 블록체인 등을 활용한 다양한 전자서명 수단 활용 촉진에 힘써야 한다"며 공인인증서의 단독 지위 대신 패스 등 다양한 민간 인증방식으로 경쟁하며 시장 다양성을 독려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식별기술 중 하나인 DID(Decentralized Identifier)가 주목받고 있는데, DID는 개인이 직접 필요한 정보만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개인정보에 대한 자기통제력이 강화될 기술입니다. 기존의 본인확인 환경은 서비스 제공자가 중앙 시스템의 통제를 받아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관리하였다. 이는 특정 기업에서만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여러 기업에 해당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직접 기억하기 어렵고, 흩어져 있는 본인확인 정보로 인해 관리 및 보안에 취약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본인정보에 대한 권리를 상실한 사실을 모르는 것처럼 "구글은 나보다 나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알고 있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닙니다. 반면, DID는 분산형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특정 기업에 종속될 우려가 없고, 사용자가 직접 개인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는 UTAUT 모형을 중심으로 성과 기대, 노력 기대, 촉진 조건, 사회적 영향, 데이터 주권, 편의성이 DID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검증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UTAUT의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 모형을 설계하고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DID 수용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 변수 요인은 성과 기대, 노력 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 조건, 편의성이었으며, 데이터 주권 확보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째, 본 연구는 일반 개인의 DID 수용 의도에 대한 선행 요인을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들은 DID 기술에 대한 개념 정의나 사례 연구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DID 기반의 식별 서비스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미미한 상황에서 본 기술 기반의 식별 서비스 이용 경험과 이용자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또한, DID 기반의 식별 서비스는 신기술 혁신의 한 분야로, 혁신적인 기술의 도입과 수용을 표현하기 위해 신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수용 의도를 합리적으로 측정하는 것도 의미가 있습니다. 이에, 본 연구는 신기술 서비스에 대한 기술 수용 분석에 최적화된 통합 기술 수용 이론을 적용한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수용 의도 형성 과정에 대한 다차원적인 접근을 바탕으로 하위 요인으로 구분하여 DID 특성의 역할을 살펴보는 것도 학문적 시사점이 있습니다. 둘째, DID 기반 식별 서비스 시장에 진입하려는 신규 및 기존 기업은 DID 특성 및 블록체인 이해를 포함한 인구통계학적 측면에서 사용자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반영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이것이 잘 해결된다면 DID가 성공적으로 정착되어 새로운 인증 시스템 패러다임을 만드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While countries are discussing ways to utilize personal information in the digital space due to the non-face-to-face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the revision of the Electronic Signature Act in November 2021 ended the grace period for the abolition of the legal effect of public certificates. Since then, "The government should strive to promote the use of various electronic signature means using biometric authentication and blockchain," and is encouraging market diversity by competing with various private authentication methods such as passes instead of the sole status of public certificates. DID (Decentralized Identifier), one of the identification technolog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drawing attention, and DID is a technology that will strengthen self-control of personal information because individuals can provide only the information they need directly to service providers. In the existing identification environment,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was managed by the service provider by being controlled by the central system. Since this is used only by specific companies,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directly remember IDs and passwords corresponding to multiple companies, and it is vulnerable to management and security due to scattered identity information. It is not wrong to say that "Google knows more information about me than I do," as most people do not know that they have lost their right to self-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since DID uses a distributed system, there is no fear of being subordinated to a specific company, and it can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users can directly manage personal information. This study aims to study and verify the effects of performance expectations, effort expectations, promotion conditions, social impact, data sovereignty, and convenience on DID acceptance intentions, focusing on the UTAUT model. To this end,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by UTAUT,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intention to accept DID were performance expectations, effort expectations, social impacts, promotion conditions, and convenience, and securing data sovereignty had no significant impact.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preceding factors for the general individual's intention to accept DID. Existing studies look at the concept definition or case studies of DID technology. In a situation where empirical research on DID-based identification services is insignificant, it will be meaningful to be able to measure the experience of using this technology-based identification service and use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DID-based identification service is a field of new technology innovation, and it is also meaningful to reasonably measure the intention to continue accepting new technologies to express the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innovative technologie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a research model that applied the theory of acceptance of integrated technology optimized for the analysis of technology acceptance for new technology services. It also has academic implications to examine the role of DID characteristics by dividing them into sub-factors based 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acceptance intention formation process. Second, new and existing businesses looking to enter the DID-based identification service market will need to work to understand and reflect user requirements in demographic terms, including DID characteristics and blockchain understanding. If this is resolved well, I think DID will be successfully established and greatly help create a new authentication system paradigm.

      • 중국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 연구 : 인터넷 신문기사를 활용한 문화 수업 설계를 중심으로

        티류치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本研究以中國大學韓國語專業的3,4年級學生中,畢業後計劃前往韓國繼續升學的學問目的學習者為研究對象。為了使這部分學習者今後前往韓國留學時能夠盡快適應學業以及生活,需要拓寬他們對於近期與韓國相關的背景知識,並對韓國大學中必須練習的講義理解,報告書寫作,討論與發表等學業課題中所需要的整體語言能力進行提高。為此目的,本研究選擇運用社會·文化領域的網絡新聞報道,以文化課程為前提,以閱讀·寫作综合教育为中心,開發了能夠同時使學習者們拓寬近期韓國相關的背景知識與提高整體語言能力的韓國語綜合課程。 本研究首先整理了到最近為止中國大學韓國語專業的教育現狀和學習者現狀,發現現在中國大學韓國語專業中有關背景知識形成的文化課程開設不足,而已經開設的語言能力課程對於提高學問目的學習者的整體語言能力來說比較困難。並且學習者們對於韓國文化學習的滿意度較低。學習者們認為文化學習的時間不足,而且在學校裡學到的韓國文化與自己實際接觸到的韓國文化感到有些差距。學習者們希望能夠將韓國文化的學習與語言學習結合起來。因此本研究為了提高學習者的整體語言能力,選定語言能力綜合類型中的“閱讀後-寫作”列出了閱讀·寫作綜合模型。並為拓寬學習者的背景知識,參考了先行研究設計了文化課程的步驟。為使學習者們輕鬆的閱讀並學習最近的韓國文化,本研究選擇了網絡新聞報道作為閱讀文本。為了能夠在韓國語課程中運用,本研究還設定了三方面選定基準,同時會根據學習者的要求,並參考符合高級階段學習者的文化教育內容選出相應的社會·文化領域的網絡新聞報道。接著本研究以實際中國大學韓國語專業的學習者為對象進行了問卷調查,並對現在中國大學韓國語專業正在使用的三本教材進行了教材分析。通過問卷調查確認了學習者們願意參與運用網絡新聞報道的閱讀·寫作綜合課程,並得知了學習者們對於文化學習的重要性有著深刻認知,還把握了學習者們感興趣的新聞報道領域與文化主題。通過教材分析得出了現在中國大學韓國語專業正在使用的教材中新聞報道的運用情況和於此相應的教育學習活動,並把握了教材中體現的語言能力綜合現狀和文化主題,從而導出了問題點。 接著本研究以分析出的理論為基礎列出了文化課程為前提的閱讀·寫作綜合教育的原理,並根據原理設計了教育模型,教育內容,課程指導案,以及列舉了可供參考的課程資料。教育模型共分為4階段,是將前面列出的閱讀·寫作綜合模型與文化課程步驟相結合設計出的。教育內容則以“國際通用韓國語教育標準模型”4階段中適用於高年級學習者的文化內容和學習者要求結果與教材分析結果為基礎,設置了16周的課程主題。通過課程指導案,學習者們將經過4階段的課程步驟,先閱讀可以反映出相應文化主題的網絡新聞報道,再將自己的見解寫成報告書,之後進行發表與質疑應答,然后再閱讀一邊新聞報道後修改報告書。最後教師對學習者們的報告書進行評價。經過這樣的過程,學習者可以同時拓寬背景知識與提高整體語言能力。 本研究的研究意義有以下幾點:第一,本研究在重視畢業後計劃繼續前往韓國留學的中國大學韓國語專業的學問目的學習者要求這方面很有意義。這部分學習者們今後前往韓國留學時,為了快速適應學業與生活,提前在中國大學裡將所需要的整體語言能力和近期韓國相關的背景知識進行形成並提高是非常重要的,但目前中國大學韓國語專業中所開設的教學科目和正在使用的教材都無法滿足這部分學習者的要求。但是通過本研究所設計的以文化課程為前提的閱讀·寫作綜合教育,學習者們通過能夠體現多樣文化主題的網絡新聞報道,不僅可以學習到新聞報道中所體現的文化內容,還可以通過閱讀新聞報道,進行報告書寫作,發表和質疑應答的過程,自然地以文字語言——閱讀·寫作為中心提高整體語言能力。第二,本研究新穎的將重點放在網絡新聞報道上,將其運用為閱讀文本是很有意義的。網絡新聞報道在網站上是實時更新的,這比教材和紙質報紙等能夠更快速的找到豐富的資料並閱讀。而且比起其他閱讀文本也能更輕鬆地獲取新鮮的情報。這對學習者們認識最近的韓國社會與文化提供了很大的幫助。並且學習者們運用網站來搜索網絡新聞報道,這個過程裡還能夠流暢地把握韓國人們經常使用的網站。這也對學問目的學習者們今後前往韓國留學時快速適應學業與生活有所幫助。 本研究開發的教育模型由於沒有在實際韓國語教學現場中進行實踐,所以研究中的教育模型與教育內容,課程指導案,還有課程資料在實際韓國語教室中可能會有較難適用的部分。而且在課程中使用的網絡新聞報道由於要考慮到篇幅和學習者能力等各種因素,教師為了尋找到合適的網絡新聞報道需要提前投入很多時間和努力,在這方面也有一些不足。希望今後能夠有更多多種多樣的為了有韓國留學計劃的中國高級階段學問目的學習者的研究出現。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를 졸업한 후 한국 유학 계획이 있는 3, 4학년 학문 목적 고급 학습자를 위한 인터넷 신문기사를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문화 수업을 전제로 학습자의 총체적 언어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중국 대학교에서 졸업한 후 한국으로 유학 오면 한국 대학교의 학업에 원활하게 적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현재의 한국 사회와 한국문화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 대학교에서 강의 이해하기, 보고서 쓰기, 토론과 발표하기 등과 같은 학업 수행 시 필수적인 학문적 기술을 양성할 수 있는 교육을 중국에서 미리 받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유학 계획이 있는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효율적인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을 설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할 것이다.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본 결과, 현재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아직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교과목 설정은 드물고, 읽기·쓰기 통합 수업의 개설은 매우 부족하다. 그러나 이러한 현황을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는 많이 없고 취직 목적 학습자를 위해 해결책을 제시하는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개설된 문화 수업은 학습자의 문화 학습에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지 못한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는 2장에서는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과 고급 학습자의 특징을 파악할 것이다. 또한 최근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 수업의 특징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읽기·쓰기 통합 교육을 통한 문화 수업의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그다음 3장에서는 학습자가 문화 교육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4장에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에 적합한 문화 수업을 전제로 한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을 개발할 것이다. 읽기·쓰기 중심 수업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본 결과, 사실 이 연구들에서 설계한 교육 방안은 읽기와 쓰기를 통합하여 교수하면 더욱 훌륭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진행된 연구는 없었다. 또한 읽기·쓰기 통합 수업 관련 연구에서는 읽기와 쓰기를 통합하여 교육하는 방안을 설계하였지만 텍스트의 어휘 및 표현을 파악하고 간단한 글쓰기 훈련에 그치거나 읽기·쓰기 통합 교육으로 학습자의 총체적 언어능력 신장이라는 목표를 제시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 수업을 전제로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을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읽기와 쓰기 활동에 비해 더욱 심화한 읽기·쓰기 교수 학습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총체적 언어능력을 신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언어 기능 통합의 유형을 살펴보고 읽기·쓰기 통합의 개념과 특징을 파악하여 본 연구의 읽기·쓰기 통합 모형을 설계하겠다. 또한 3장에서는 학습자의 읽기·쓰기 통합 교육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4장에서는 설계한 읽기·쓰기 통합 모형에 따라 학습자 요구에 맞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문기사를 활용한 수업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본 결과, 인터넷 신문기사를 활용해서 한국어 읽기 교육 혹은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을 개발하는 연구가 많았으나 인터넷 신문기사를 활용하는 읽기·쓰기 통합 교육 관련 연구는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적절한 인터넷 신문기사를 선정하기 위해 2장에서는 인터넷 신문기사의 특징을 파악하고 선정기준을 설계하겠다. 3장에서 학습자가 인터넷 신문기사에 대한 요구와 최근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사용한 교재에 실은 신문기사의 상황을 파악하고 4장에서는 적절한 인터넷 신문기사를 활용한 교육 방안을 설계하도록 하겠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2장에서 중국 대학교 한국어 학과와 고급 학문 목적 학습자의 특징, 읽기·쓰기 통합의 개념과 특징을 파악하고, 본 연구의 연구 목적에 적합한 읽기·쓰기 통합 모형을 설계하겠다. 또한 인터넷 신문기사의 특징을 파악한 후 선정기준을 설계하고 본 연구에서 설계한 읽기·쓰기 통합 모형을 활용한 문화 수업의 의의를 제시하겠다. 3장에서는 학습자 요구와 최근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사용한 교재에서 활용하는 신문기사를 살펴보겠다. 마지막 4장은 교육 모형과 교육 내용을 설계한 다음에 학습자 요구에 적합한 문화 수업을 전제로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을 개발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현재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잘 진행하지 않는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교육적 의의를 밝히고, 학문 목적 학습자가 인터넷 신문기사를 통해 최근의 한국에 대해 배경지식을 확장하여 학습자가 앞으로 학업을 수행할 때 사용해야 하는 총체적 언어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몽골불교 승가교육에 끼친 『Lam rim』의 영향 연구

        Demberel, Duinkharjav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Шагжамүни Буддагийн сургаал нь Судар, Виная, Абхидхарма зэрэг гурван сав аймгийн номын цогц бөгөөд Буддын шашны сургаал номлолын охь дээж мөн. Бурхан багшийн сургаал нь хүмүүний түүхэнд олон соёл иргэншил дамжин шүтэгдэж, судлагдаж ирсэн зонхилох шашин суртгаал юм. Бурхан Буддагийн номлосон гэгээрэлд хүрэх зам, сургаалыг хэрэгжүүлэх түүхэн үйл явцад бусад урсгал чиглэл, ялгамжтай номлолууд их хөлгөний уламжлалд бий болж, олон нарийн тайлбар бүтээлээр баяжин хөгжиж иржээ. Бурханы ном Монголд дэлгэрсэн түүхэн гурван цаг үе байдаг гэж үздэг бөгөөд Монголын Бурханы шашны сургаал номлол, ялангуяа Буддын гүн ухааны үндэс нь Бурхан Буддагийн айлдсан судрын аймаг, Наландарын их мэргэдийн сонгодог бүтээлүүд, хожмын үеийн Төвөд, Монголын эрдэмтэн хуврагуудын зохиосон үнэт тайлбар зохиолууд мөн болно. Эртний Энэтхэгийн Буддын шашны төв болох Наландарын их сургууль нь IV зуунд анх суурь нь тавигдсан бөгөөд тухайн үеийн Энэтхэгийн буддизмын хөгжилд ихээхэн чухал хувь нэмэр оруулсан байдаг. Харамсалтай нь XII зуунд бусад шашны түрэмгий нөлөөллийн улмаас Энэтхэг орноос даажихад хүрсэн юм. Наландарын эрдэмтэн Атиша (982-1054) нь Гаадамбын урсгалыг үндэслэгч бөгөөд Төвөдөд Бурханы шашныг шинэчлэн дэлгэрүүлэхэд ихээхэн нөлөөлсөн хувраг байжээ. Атиша гэгээн нь Бурхан багшийн сургаал номлолыг үндэс болгон Их хөлгөний бодьсадвын явдлыг чухалчлан "Бодь мөрийн зул" хэмээх номоо айлдсан нь Төвөд, Монголын Бурханы шашин, ялангуяа Гэлүгбийн ёсны дэлгэрлэлтэд чухал үүрэг гүйцэтгэжээ. Эзэн Чингис хаан Их Монголын эзэнт гүрнийг байгуулснаас хойш уламжлалт бөө мөргөл ба Бурханы шашныг тэнцвэрийг хадгалж, эв найрамдалтай зэрэгцэн орших нөхцлийг бий болгосон бөгөөд Христ, Исламын болон Азийн бусад улсуудын шашныг хүлээн зөвшөөрсөн бодлого барьж байжээ. Монголд Төвөдийн Бурханы шашин анх орж ирэх үед нүүдэлчдийн дунд бөө мөргөлийн нөлөө давамгай хэвээр байсан бөгөөд Бурханы шашин нь тухайн үеийн язгууртнуудын шашин шүтлэг болж байжээ. XIII-XIV зуунд Төвөдийн Бурханы шашны Сажаба, Гаржүдбын урсгал Юань гүрний Монгол хаад, ноёдын дунд шашин шүтлэгийн зонхилох үүрэгтэй байв. XIV зуунд Монгол эцэг, Төвөд эхийн гэр бүлд төрсөн Богд Зонхов нь Төвөдийн Бурханы шашинд томоохон өөрчлөлт, шинэчлэл хийж, 18 боть бүхий сургаал номлолыг айлдан дэлгэрүүлсэн нь Гэлүгба ёсны суурь болжээ. Зонховын Бодь мөрийн зэрэг нь Атишагийн Бодь мөрийн зул номд суурилан, түүнийг дэлгэрүүлэн айлдсан Гэлүг ёсны суурь сургаал номлолын дээж хэмээн үздэг. Богд Зонховын бүтээлүүд нь Бурхан багш, Наландарын их мэргэдийн сонгодог бүтээлүүдийг нарийвчлан судалж, дэлгэрүүлэн тайлбарласан зохиолууд байдаг. XIV зууны хоёрдугаар хагаст Зонховын үүсгэн байгуулсан Гэлүгба урсгал нь Төвөд болон Монголын бурханы шашинд томоохон өөрчлөлт хийж, энэхүү шинэ урсгалыг дагах, шүтэх, судлах зэрэг шашин номын үйл ажиллагаа идэвхтэй өрнөжээ. Монголын хаад, ноёд Бурханы шашны Гэлүгба ёсыг дэлгэрүүлэх зорилгоор Гуравдугаар Далай лам Содномжамцыг урин залж, ном сургаал айлдуулж, Далай хэмээх алдрыг хайрлажээ. Тэр цагаас хойш Монголын Бурханы шашинд Гэлүг уламжлалын сүм хийд, боловсролын тогтолцоо дэлгэрч, Буддын шашны үнэт зүйлд суурилсан урлаг, соёл, ёс суртахуун бий болж, Монголын ард түмний эв нэгдлийг бэхжүүлэхэд ихээхэн чухал үүрэг гүйцэтгэсээр байна. Анхдугаар Богд Өндөр гэгээн Занабазар бээр энэхүү Гэлүг урсгал Монгол оронд дэлгэрэхэд түүхэн хувь нэмэр оруулсан бөгөөд түүний зохиосон ном зохиол, дэглэсэн зан үйл, ая дан, хувцас хэрэгсэл зэрэг нь хуврагийн чуулганы дахин давтагдахгүй өв соёл болон өвлөгдөн иржээ. Тухайлбал Лхасын их ерөөлийг Монгол оронд хурдаг болгож өөрийн ерөөл, магтаал, маань татах зэргээр баяжуулсан төдийгүй энгийн ард иргэдийн дунд дэлгэрсэн зан үйлийг бий болгожээ. Мөн Өндөр гэгээний үе буюу 1686 онд Халх, Ойрадын хаад, хутагт хувилгаад нэгдэн чуулсны дараа Майдар эргэх ёслолыг анх тэмдэглэжээ. Хоёрдугаар Богдын үед буюу 1736 онд анхны гүн ухааны сургууль болох Дашчойнпэл дацанг байгуулсан. Их хүрээнд 1844 онд Ламрим дацан байгуулснаар шашны боловсролд чухал үүрэгтэй байсан төдийгүй бодь мөрийн зэргийн номыг гүнзгийрүүлэн судлах, гүн ухааны хэлцэл мэтгэлцээн хийх зэрэг сургалтын үйл ажиллагаа явуулж байсан зэргийг дурдаж болно. Монгол орноо дээдийн номын гурвантаа дэлгэрүүлэх эхэн үесд Төвөд багш нарыг залж байсан бол улмаар эрдэмтэй Монгол лам нар олноор төрөн гарсан XVII-XX зууны эхэн үеийг Бурхан шашин ихээр дэлгэрсэн үе гэж үздэг. Энэхүү их дэлгэрэлтийн үеийн боловсрол, эрдэм судлалын цөм нь Богд Зонховын сургаал номлол, тэдгээрийн дундаас “Ламрим” буюу Бодь мөрийн зэргийн зохиол бүтээлүүд байжээ хэмээн дүгнэхээр байна. 본 연구의 목적은 몽골불교의 성립에 끼친 티벳불교 겔룩빠의 영향을 고찰하고, 인도 날란다 마하비하라를 계승한 몽골불교 승가교육의 학제와 사자상승(師資相承)의 전통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이 과정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인도의 날란다의 학제와 티벳 겔룩빠가 몽골의 불교교육과 몽골 사회문화에 끼친 영향을 조명하였다. 몽골불교 승가교육에 끼친 『Lam rim』의 영향을 논의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티벳불교와 『Lam rim』의 성립 배경’에서는 티벳불교가 인도불교를 계승하게 된 역사와 인도불교의 성격을 살피고, 이후 몽골과의 교섭을 통해 티벳불교의 겔룩빠가 몽골불교의 형성에 기여한 문헌과 쫑카빠, 달라이라마 제도와의 관계들을 역사적 상황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날란다대학은 4세기 전후 그 원형이 갖추어진 이래로 인도불교의 모든 문헌과 연구, 불교문화와 의례의 중심지였다. 몽골불교가 인도불교와 만난 때는 12세기 불교가 인도에서 사라진 이후 날란다대학의 전통을 계승한 티벳불교를 만나게 되면서부터였다. 몽골은 칭기스칸에 의해 건국된 이래 전통신앙과 불교를 조화롭게 유지하면서 아시아의 문화를 골고루 받아들이고, 몽골의 독창적인 불교문화를 발전시켰다. 둘째, 『Lam rim』의 교육과정과 사상’에서는 몽골불교와 교섭한 티벳불교 겔룩빠의 본질을 인도 날란다 마하비하라(Nalanda Mahavihara)이라 규정하고 이를 계승한 몽골불교에 대해서도 근본적으로 불교의 본향인 인도불교의 계승자가 되는 이유를 조명하였다. 티벳불교 겔룩빠는 인도에서 활동하였던 아띠샤의 『보리도등론』과 이를 계승한 쫑카빠에 의해 인도불교 날란다 마하비하라의 계승자라는 선언을 다수 발견할 수 있다. 14세기 전후 몽골인 아버지와 티벳인 어머니사이에서 태어난 쫑카빠는 아띠샤의 교학과 수행체계를 계승하고, 많은 저술을 남겼다. 쫑카빠는 인도 날란다대학의 17논사의 교학을 중심으로 『Lam rim』과 『비밀도차제론』 양 저술을 통해 인도불교의 모든 사상과 수행체계를 요약하였다. 『Lam rim』에 나타난 사상은 날란다대학에서 까말라실라의 『수습차제』와 아띠샤의 『보리도등론』에서 보이듯 방대한 문헌을 정리하고, 혜학을 인명학으로, 정학을 밀교를 방편으로 수습하는 전통을 계승하였다. 셋째, ‘몽골 겔룩빠의 승가교육과 『Lam rim』’에서는 겔룩빠의 영향에 의해 『Lam rim』 다창과 조르하인 다창에서 현교교육과 밀교교육을 전담한 몽골승가의 독특한 양상에 주목하여 논의하였다. 몽골 승가교육의 중심이었던 ‘다창’에서 티벳불교 승원의 과정과 거의 동일하게 계율, 『구사론』, 『현관장엄론』, 『입중론』, 논리학의 오명학으로써 현교의 중심으로 삼았다. 또한 밀교의 수행은 마지막 단계에서 자격있는 제자에게 수행의 기회를 부여하였다. 아울러 티벳불교 승원과는 차별화된 몽골 다창의 특징으로, 불상조성, 사찰건립, 범패문화, 불교미술, 의례음악, 불교무용 등에 대한 교육을 현교교육 못지않게 중시하며 몽골의 문화 전체를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한 점을 논의하였다. 넷째, ‘Ⅵ 몽골 승가교육과 『Lam rim』의 불교사적 의의’에서는 먼저 몽골불교를기존의 샤머니즘과 밀교 중심의 시각에서 벗어나 인도불교의 정통인 날란다 마하비하라나 위끄라마실라 마하비하라의 전통을 계승한 역사적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몽골불교는 13세기 쿠빌라이칸에 의해 초기에는 사꺄빠와 깊은 관계를 가졌으나 점차 겔룩빠의 영향을 많이 받아 날란다대학과 쫑카빠의 교학을 중시하게 되었음을 고찰하였다. 특히 『보리도차제론』에 나타난 계율관과 윤리관, 대승보살의 자비사상과 논리학의 언어와 논리를 받아들여 몽골불교뿐만 아니라 몽골사회와 문화를 크게 향상시켜 오늘에 이르게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As the core teachings of the Sakyamuni Buddha, the Tripitika collections containing the Sutras, Vinaya and Abhidharma texts or the original teachings of Buddhism have been thoroughly studied and practiced throughout different civilizations and at different historical eras. The system of practicing the path to enlightenment preached by the historical Buddha has consequently le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s and practices depending on the sects of Buddhism, especially Mahayana Buddhism. Similarly, Mongolians have attempted to introduce Buddhism three times at three different historical times in its history.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Mongolian Buddhism is based on the sutras of the historical Buddha, the classic works of the Nalanda Buddhist masters, and valuable texts composed by Tibetan and Mongolian scholar monks of the later periods. Nalanda University was established in the 4th century in its original form, and it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Indian Buddhism at that time. Unfortunately, Buddhism disappeared from India in the 12th century due to the oppressive activities of other religions. It was Atisha (982-1054) who largely caused the reformation of Buddhism in Tibet as the founder of Kadampa school. Atisha wrote, "The Lamp of the Bodhisattva Practice", emphasizing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the Buddha Sakyamuni. Since the Mongolian Empire was founded by Genghis Khan, it has harmoniously maintained an effective balance of coexistence between traditional Shamanism and Buddhism while embracing other faiths of Christianity, Islam and Asian origins. When encountering Tibetan Buddhism, the influence of shamanism was still dominant among the nomads and Buddhism was attractive to the aristocrats of the society only.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the Sakya and Kagyu sects of Tibetan Buddhism were introduced to the Mongol rulers of the Yuan Dynasty. Born to a Mongolian father and a Tibetan mother in the 14th century, Tsongkapa not only inherited the teachings and practices of Atisha but he wrote a large number of works resulting in 18 volumes of highly valued works. The ideas that appeared in "Lam rim" texts were originated in the classic works of the Nalanda masters such as in Kamalasila's "Stage of Path" and Atisha's "The Lamp of the Bodhisattva Practice". Following the of Gelug-pa school founded by Je Tsongkha-pa in the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there was a tremendous shift among Tibetan and Mongolian Buddhists from the traditional schools to a new sect called Gelug-pa in the following centuries. It is believed that the Tsongkha-pa’s teachings, especially the Lamrim texts, were based on the original teachings of the Buddha and the classic works and commentaries of the Indian Buddhist masters. In order for the Mongolian rulers to reintroduce Buddhism via Tibet that time, the Mongol khans invited the Third Dalai lama in the late 16th century. Ever since, in Mongolian Buddhism, the monastic educational system of Gelug-pa tradition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educating and training monks, creating art and culture based on Buddhist values, promoting ethical principles in the society, and strengthening unity among the Mongolian people. The First Bogd Jetsundamba Zanabazar had made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dissemination of Gelug-pa sect of Buddhism in Mongolia through his writings, works on rituals and rites that served as the foundation of monastic culture and heritage of Mongolian Buddhism. He successfully modified the Lhasa Monlam prayer as the key monastic ritual for a new year, Maitreya Circling ritual and enabled the followers to perform laypeople rituals harmonized with Mongolian traditional ways. The Second Jetsundamba established the first school of Buddhist Philosophy and Dialectics in 1736. Lamrim college was founded in 1844 further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monastic education, practice and debating in Mongolia. In the beginning of the third Dharma spread period in Mongolia, Mongolians invited Tibetan scholar monks for higher monastic education and training. However, from the 17th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had been a large number well educated Mongolian scholar monks, who had produced valuable scholarly works, many of which were based on the works of Je Tsongkha-pa, especially Lamrim teachings.

      • 중학생의 정서적 학대 경험과 우울과의 관계 :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순원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emotional awareness clarity exhibit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dep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paper is a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feel depressed due to their experiences of emotional abuse by their parent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oretical framework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chool counseling, youth counseling, and family counseling so that middle school students' daily lives, school sites, and communities can cooperate to improve the clarity of emotional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complain of depression due to emotional abuse experiences. In this study, four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ele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middle school students attending. 340 out of a total of 403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283 copi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excluding 57 answers that were unfaithful or did not respond. In addition,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are 'emotional abuse scale', 'depression (CES-D) scale', and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scale'. IBM SPSS 28.0 was used as a data analysis metho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depression, and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dep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emotional awareness cla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more experiences of emotional abuse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 depression, and the lower the clarity of emotional perception. Second, emotional awareness clarity acts 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dep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ow emotional awareness clarity showed a high level of depression when they experienced high emotional abuse experiences,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high emotional awareness did not increase depression even if they had a lot of emotional abuse experiences. In conclusion, the emotional abuse exper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s related to the dep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as a mitigation role, the clarity of emotional perception lowers the level of depre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abuse experi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motional awareness clar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aged 13 to 15 who experience emotional abuse the most. As a result, schools, communities, and youth counseling sites need to cooperate to prevent and check whethe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high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are experiencing emotion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or high depression at home.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to help teenagers who are depressed by the emotional abuse exper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live healthier and more adaptably in their daily lives as well as in school.

      • 음식중독 중재를 위한 마음챙김 먹기(Mindful Eating)와 염식상(厭食想)의 활용

        손상민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9631

        음식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자 동시에 쾌락의 대상이다.그러나 일부 자극적인 음식은 체중 증가, 심혈관 질환, 심지어 강박증 및 의존증과 같은 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음식은 일반적으로 초콜릿, 햄버거와 같은 에너지밀도가 높은 가공 식품이며 지방, 설탕 및 정제 탄수화물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바쁜 현대인에게 간편식으로 인기가 많기 때문에 소비량이 높고 이에 따른 음식 중독 증상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음식은 배고픔을 위해 소비되지만 자극적인 음식에 자주 노출되면 배고픔이 아닌 보상(쾌락)을 위해 먹는 기능 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것은 다시 음식 섭취를 더욱 증가시킨다. 그리고 우울증,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은 이러한 보상을 위한 섭식을 강화할 가능성이 높고 감정적 섭식, 폭식과 같은 섭식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건강한 음식을 선택하는 것 뿐만 아니라 습관화된 부정적 식습관을 교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폭식 장애 및 음식 중독과 관련된 감정적 섭식에 대한 섭식 개입으로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또한 마음챙김이 음식과 관련된 자기 조절을 개선하는 등 통제력을 증가시키고, 특정 섭식 문제를 해결한다는 연구도 있다. 그렇다면 마음챙김은 어떻게 중재하는가? 결론적으로 마음챙김은 불교 수행에서 영감을 얻은 카밧진 박사의 'MBSR' 프로그램으로 널리 알려졌다. 마음챙김의 메커니즘은 '현재 알아차림', '수용', '탈중심화' 세 가지로 구성된다. 즉, 현재 식사와 관련된 배고픔과 음식 신호들(색깔, 냄새, 맛 등)에 대한 알아차림은 음식 갈망을 수용하게 하고, 알아차림과 수용은 탈중심화로 이어진다. 마음챙김 식사는 이 마음챙김을 활용한 식사 중재다. 마음챙김과 마음챙김 식사는 실제로 동일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지만, 마음챙김 식사는 식사와 관련된 신호에 더 집중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마음챙김 식사는 앞서 소개한 식사 문제뿐만 아니라 비만을 유발하는 식습관과 감정(우울증, 불안)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마음챙김의 개념은 불교 문헌에서 유래하여 널리 알려졌지만, 실제 음식과 관련된 별도의 불교 수행이 있었는데 그것은 ‘염식상(厭食想)’이라고 불리는 음식에 대한 혐오 수행이다. 염식상은 ‘혐오(nibbidā)’와 ‘이미지(saññā)’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혐오는 사회적, 문화적으로 형성되지만 생존에 대한 본능적 반응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사람은 본능적으로 상한 고기, 피, 침과 같은 물질에 혐오감을 느끼는데, 이유는 병원균이 있을지 모르며 그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염식상’은 혐오라는 본능적 인간의 반응을 활용한 수행법으로 볼 수 있다. 염식상의 구체적인 방법은 음식을 구하러 가는 과정부터 음식이 입에 들어가 소화되고 배설물로 배출되는 과정 등 모든 과정을 혐오감이라는 이미지로 보는 것이다. 물론 염식상 수행은 승려들이 사용하는 수행법이지만 문헌에서 그 효과가 음식에 대한 갈망을 없애는 것으로 설명한다. 마음챙김과 마음챙김 식사가 이전에 알아차림과 수용을 통한 탈중심화를 통해 발생했다면, 염식상은 혐오감과 이미지를 통한 탈중심화로 볼 수 있다. 물론, 염식상이 아직 음식 중독에 대한 중재로서 연구된 적은 없으나, 향후 마음챙김과 함께 통합적 개입 모델로서 음식 중독을 포함한 다양한 섭식 문제를 해결할 잠재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ood is an essential element for sustaining life and at the same time an object of pleasure. However, some stimulating foods can cause weight gain, cardiovascular disease, and even addiction symptoms such as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dependence. These foods are usually processed foods with high energy density such as chocolate and hamburgers, and are characterized by high fat, sugar, and refined carbohydrates. However, since they are popular as convenience foods for busy modern people, their consumption is high and food addiction symptoms are also increasing. Generally, food is consumed for hunger, but frequent exposure to stimulating foods can cause dysfunction in eating for reward (pleasure) rather than hunger. This in turn increases food intake. In addition,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d stress are likely to reinforce this type of eating for reward and can lead to eating disorders such as emotional eating and binge eat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rrect habitual negative eating habits as well as choose healthy foods. Recent studies based on mindfulness have shown that it is effective as an eating intervention for emotional eating related to binge eating disorder and food addiction. There are also studies that show that mindfulness increases control, such as improving self-regulation related to food, and solves certain eating problems. So how does mindfulness mediate? In conclusion, mindfulness is widely known as Dr. Kabat-Zinn's 'MBSR' program, which was inspired by Buddhist practice. The mechanism of mindfulness consists of three: 'present awareness', 'acceptance', and 'decentering'. In other words, noticing hunger and food cues (color, smell, taste, etc.) related to the current meal allows you to accept food cravings, and awareness and acceptance lead to decentering. Mindful eating is a meal intervention that utilizes this mindfulness. Mindfulness and mindful eating actually have the same mechanism, but mindful eating is designed to focus more on cues related to eating. This mindful eating is known to be effective not only for the eating problems introduced above, but also for eating habits and emotions (depression, anxiety) that cause obesity.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mindfulness originated from Buddhist literature and was widely known, but there was a separate Buddhist practice related to actual food, which was the practice of aversion to food called ‘Perception of Repulsiveness in Nutrimentas’. 'PRN' consists of ‘disgust (nibbidā)’ and ‘image (saññā)’. Disgust is generally formed socially and culturally, but it is also an instinctive response to survival. For example, people instinctively feel disgust towards substances such as spoiled meat, blood, and saliva because they may contain pathogens and want to prevent diseases caused by them. In other words, PRN can be seen as a practice that utilizes the instinctive human response of disgust. The specific method of PRN is to view the entire process, from the process of going to get food to the process of food entering the mouth, being digested, and being excreted as excrement, as an image of disgust. Of course, PRN practice is a practice used by monks, but the literature explains that its effect is to eliminate cravings for food. If mindfulness and mindful eating were previously achieved through decentering through awareness and acceptance, PRN can be seen as decentering through disgust and imagery. Of course, PRN has not yet been studied as an intervention for food addiction, but it is expected to have the potential to solve various eating problems, including food addiction, as an integrated intervention model with mindfulnes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