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중국 대학생 노인부양의식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최경호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compares the attitude toward supporting older adults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and investigates factors associated with attitude toward supporting older adults. 300 students at Hallym University in Korea and 300 students at JiLin Normal University in China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more responsible for supporting their parents than Korean students. Chinese students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financial support and physical care of their parents.. Second, whereas Korean students had higher values on familism and more communications with their parents than Chinese students, Chinese students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aging. Third, Familism was a significant factor associated with attitude toward supporting older adults of college students in both Korea and China. Gender, residential area, and attitude toward aging are significnat factors affecting Chines students' attitude toward supporting older adults. Fourth, Familism was a significant factor associated with financial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physical care of older adults in both Korea and China.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with parents w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emotional support for their parents in both Korea and China.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differences on attitude toward supporting older adults of college students between Korea and China should be emphasized in benchmarking welfare systems from both countries. 본 연구는 한림대학교와 길림사범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600명 (각 300명)을 대상으로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을 비교하고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부양의식과 하위영역인 경제적, 신체적 부양의식 모두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주의 가치관은 한국 대학생이 높았고, 부모와의 의사소통에서도 한국 대학생이 더 원할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인에 대한 태도는 중국 대학생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부양의식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 모두 가족주의 가치관으로 나타났으며, 성별、거주지역、노인에 대한 태도는 중국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부양의식의 하위영역인 경제적, 정서적, 신체적 부양의식에 미치는 요인은 한국과 중국 모두 가족주의 가치관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한국 중국 모두 부모와의 의사소통으로 나타났다. 학과의 경우 한국 대학생의 정서적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별과 노인에 대한 태도는 중국 대학생의 경제적, 정서적, 신체적 부양의식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거주지는 중국 대학생의 정서적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슷한 문화적 맥락을 지닌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의 비교분석결과를 통해 향후 노인복지와 관련된 정책제도와 시스템 도입 등 영역에서 두 나라의 유사성과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 만성 B형간염 환자의 간정맥 도플러 파형: 조직학적 등급, 단계와 비교 분석

        남궁 숙 한림대학교(한림대학) 1998 국내석사

        RANK : 248623

        PURPOS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veform of the right hepatic vein and the histological grade and stage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MATERIALS AND METHODS: Eighty-seve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were examined prospectively by one sonographer. In each patient, duplex doppler ultrasonography of the right hepatic vein was performed. In the same session, an ultrasound guided liver biopsy was performed and submitted to one pathologist for grading and staging. Duplex doppler ultrasonography of the right hepatic vein was also performed in 12 control subjects with no evidence of liver and heart disease. The doppler waveform was compared with the histologic severity and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In the control group, all cases had type 0 waveform. In the hepatitis group, there were type 0 waveform in 61 cases(70.1 %), type 1 waveform in 22 cases(25.3%) and type 2 waveform in 4 cases(4.6%). The rate of abnormal waveforms are significantly high in patients with grade 3-4 and stage 3-4(p<0.005). In the hepatitis group, the venous pulsatility index(VPI) is decreased in the highest and mean values as increasing the histologic scores. CONCLUSION: The rate of abnormal waveform is correlated with the histologic severity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And the highest and mean values of the VPI are also correlated. Doppler ultrasonography of the hepatic vein may be useful for diagnosis of chronic hepatitis patients who show normal finding on the gray scale ultrasonography, and the highest value of VPI may be used as an index for differentiation of non-cirrhotic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from cirrhotic patients.

      • 기억 지시 조건과 단어의 정서가가 노인과 대학생의 기억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억제적 통제능력과 정서의 긍정성 효과

        김상순 한림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노화에 따라서 저하되는 인지영역에는 개인차가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게 되는 영역은 기억력이다. 기억에는 신경해부학적으로 해마를 포함한 내측 측두엽 구조뿐만 아니라 전두엽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두엽은 인간의 두뇌 발달 과정에 있어서 가장 나중에 발달하고 노화에 따라서 가장 먼저 그 기능이 퇴화하는 영역으로 알려져 있다. 전두엽은 사고, 추론, 문제해결 및 규칙전환의 인지기능뿐만 아니라 보상과 동기, 의사결정 및 정서조절과 관련된 정서기능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Hasher와 Zacks(1997)는 전두엽 기능 중에서도 목표와 관련이 있는 정보는 활성화시키고 관련 없는 정보는 의식적으로 억제하는 억제적 통제능력이 노화에 따라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노화에 따라서 많은 인지적 능력이 저하되는 것과는 달리 노인의 정서조절 능력은 젊은이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거나 오히려 증진된다(Carstensen, 1995). 특히, 정서조절 능력과 관련하여 노인들은 부정적인 정보보다 긍정적인 정보를 더 잘 처리하는 긍정성 효과를 지닌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노년기의 전두엽 기능 변화에서 비롯된 억제적 통제능력의 저하와 정서의 긍정성 효과가 노인의 기억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학생 30명(남 15명, 여 15명)과 정상 노인 29명(남 15명, 여 1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억제적 통제능력과 정서의 긍정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지시에 따라서 긍정, 중립 및 부정단어를 기억하거나 망각해야 하는 망각 지시 과제(directed forgetting task)를 실시하였고, 즉각회상과 지연회상 단계에서의 수행을 평가하였다. 또한 망각 지시 과제로 평가된 억제적 통제능력과 기존의 신경심리검사들에서 평가하는 억제적 통제능력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K-WAIS-IV의 숫자 소검사, Korean-Color Word Stroop Test, Flanker Test 및 Continuous Performance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즉각회상 단계에서 대학생이 노인집단보다 단어를 유의미하게 많이 기억하였다. 집단과 지시조건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대학생 집단이 노인 집단보다 “기억하시오” 조건의 단어를 더 많이 회상한 반면에 노인 집단은 대학생 집단보다 “기억하지 마시오” 조건의 단어를 더 많이 회상하였다. 또한 노인 집단은 긍정 단어를 부정과 중립 단어보다 더 많이 회상하였고, 대학생 집단은 중립 단어를 부정 단어보다 더 많이 기억하였으나 긍정과 중립, 긍정과 부정단어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즉각회상 단계와는 달리 두 기억조건에서 제시된 단어를 모두 회상하도록 한 지연회상 단계에서는 대학생 집단이 노인 집단보다 즉각회상단계에서 제시되었던 “기억하시오”(대학생: 49%, 노인: 22%)와 “기억하지 마시오”(대학생: 5%, 노인: 2%) 두 조건 모두에서 단어들을 더 많이 회상하였다. 지연회상 단계에서 노인 집단은 긍정과 부정, 부정과 중립 단어에 대한 회상률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긍정 단어를 중립 단어보다 유의미하게 더 많이 기억하였다. 대학생 집단에 있어서는 중립 단어를 부정과 긍정 단어보다 유의하게 많이 기억하였다. 대학생 집단은 즉각회상 단계의 “기억하시오” 조건으로 제시되었던 중립 단어를 부정과 긍정 단어보다 유의하게 더 많이 기억하였으나 “기억하지 마시오” 조건의 단어에 대한 정서가의 지연회상률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집단은 즉각회상 단계에서 대학생 집단보다 “기억하지 마시오” 조건의 단어를 더 많이 기억하였고, 부정과 중립단어보다 긍정 단어를 더 많이 기억하였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들에 있어서 억제적 통제능력의 저하와 정서의 긍정성 효과가 기억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증명한다. 또한 선행 연구들과는 달리 즉각회상과 지연회상 단계에서 대학생 집단이 정서의 부정편향을 나타내지 않은 것은 기억과제의 종류와 난이도에 따라서 젊은이들이 서로 다른 방식의 정저조절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코로나 팬더믹 시대에 응급실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동료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영란 한림대학교 특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ttempted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emergency room nurses' job stress and peer support on burnout in the era of COVID-19 pandemic.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emergency room nurses working at emergency medical centers of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do. Prior to data collec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consent of the developer and the adaptor via e-mail about the research approval of the IRB of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and the use of the research tool.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fter the researcher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PASW 21.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job stress, peer support, and burnout.,The burnou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job stress, and peer support was analyzed by t-test and one-way ANOVA, and the Scheffe test post-hoc test was conducted.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peer support, and burnout wa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peer support on burnout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mong the subjects, 81.9% were women, 67.6% were in their 20s, 27.1% were in their 30s, and 5.3% were in their 40s or older. As for marital status, 84.6% were unmarried, 75.8% had bachelor's degree, 45.8% had less than 3 years of working experience, and 52.6% had less than 3 years of working experience in the emergency room. Most of the nurses in the emergency room participated i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infectious disease education and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79.3% of emergency room nurses nursed COVID-19 patients for more than one year, and 73.4% of COVID-19 patients nursed were gastric and severe.Covid-19 confirmation and self-isolation experience of emergency room nurses accounted for more than 80%. 2) Job stress was 2.54 on average, peer support was 4.05 on average, and burnout was 3.23 on average. 3)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re as follows. gender (t=-2.274, p=.024),  age (F=6.823, p=.001), Total clinical experience (F=4.558, p=.004), Work experience in emergency room (F=4.243, p=.006), position (t=-2.148, p=.033), Detachment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t=-2.227, p=.027), COVID-19 Patient Care Period (F=4.463, p=.013), Severity of patients with COVID-19 who were nursed (F=11.027, p=.000),Self-isolation experience (t=-2.450, p=.018). The difference in peer suppor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otal clinical experience (F=3.194, p=.025). The difference in burnou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as found in the subject's gender (t=-3.085, p=.002), marital status (t=2.007, p=.046), and position (t=2.155, p=.032).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4)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job stress, peer support, and burnout, the job stress and burnout of emergency room nurses who cared for patients with COVID-19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214, p=.003), peer support and burnou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236, p=.001). 5) Looking at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variables that job stress and peer support affect burnout of the subject, female (β=.209, p=.002) in gender and unmarried (β=.145, p=. .037) And in position, general nurse (β=.149, p=.035), job stress (β=.228, p=.001), and peer support (β=-.251, p=.000) were exhausted. appeared as a factor influencing (F=9.000, p=.000). In other words, job stress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positive (+) variable for burnout, and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burnout. Peer support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negative (-) variable for burnout,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peer support, the lower the burnout. The explanatory power of Model 3 was 17.6%, which was 5.8% higher than that of Model 2 (11.8%).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job stress and peer support were the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emergency room nurses in the corona pandemic era. Based on these results,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to find job stress intervention programs to reduce the burnout of emergency room nurses, to prepare countermeasures, and to establish consensus programs to increase peer support for the preparation of new infectious diseases.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더믹 시대에 응급실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동료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경기, 강원도 소재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에 근무하는 응급실간호사 2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 전에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IRB의 연구 승인과 연구 도구 사용에 대해 이메일을 통하여 개발자와 번안자의 동의를 받아 연구를 시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10월 17일부터 11월 4일까지이었다. 시행 전 해당 병원 간호부와 응급의료센터 부서장에게 연구 목적과 방법 및 대상자의 권리 등을 설명하고 협조를 얻어, 연구자가 대상자에게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를 얻은 후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 시 비밀보장을 위하여 상자 수거함으로 밀폐 회수하였다. 연구 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3문항, 직무스트레스 32문항, 동료지지 20문항, 소진 16문항의 총 8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PASW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직무스트레스, 소진, 동료지지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 편차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은 t-test, one-way ANOVA로 분석 후 Scheffe test 사후검정을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동료지지, 소진 간 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직무스트레스, 동료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연구대상자 중 여성이 81.9%였고, 연령은 20대 67.6%, 30대 27.1%, 40대 이상이 5.3%였다. 결혼 상태는 미혼이 84.6%이며, 최종 학력은 학사 75.8%였으며 총 근무 경력은 3년 이하가 45.8%였으며, 응급실 근무 경력은 3년 미만이 52.6%였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96.8%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대부분의 대상자가 감염병 교육 참여 경험과 착탈의 교육 참여 경험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COVID-19 환자 간호 기간은 1년 이상이 79.3%였으며, 주로 경험한 COVID-19 환자의 중증 정도는 위. 중증이 73.4%였다. 대상자의 80% 이상이 COVID-19 확진 경험과 자가 격리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2.54(±0.45)점, 동료지지의 정도는 4.05(±0.54)점, 소진 정도는 3.23(±0.56)점 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는 대상자의 성별(t=-2.274, p=.024), 연령(F=6.823, p=.001), 총 임상경력(F=4.558, p=.004), 응급실 근무 경력(F=4.243, p=.006), 직위(t=-2.148, p=.033), 착탈의 교육 참여 경험(t=-2.227, p=.027), COVID-19 환자 간호 기간(F=4.463, p=.013), 주로 경험한 COVID-19 환자의 중증도(F=11.027, p=.000), 자가 격리 경험(t=-2.450, p=.018)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동료지지의 차이는 총 임상 경력(F=3.194, p=.02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의 차이는 대상자의 성별(t=-3.085, p=.002), 결혼상태(t=2.007, p=.046), 직위(t=2.155, p=.03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동료지지, 소진의 상관관계를 보면 COVID-19 환자를 간호한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r=.214, p=.003)를 나타냈고, 동료지지와 소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r=-.236, p=.001)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동료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성별에서 여성(β=.209, p=.002)과 결혼 상태에서는 미혼(β=.145, p=.037) 그리고 직위에서는 일반간호사(β=.149, p=.035), 직무스트레스(β=.228, p=.001), 동료지지(β=-.251, p=.000)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F=9.000, p=.000). 즉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유의한 정(+)의 영향으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소진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동료지지는 소진에 유의한 부(-)의 영향으로 나타나 동료지지가 높을수록 소진은 감소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모형3의 설명력은 17.6%로 모형2 11.8%보다 5.8%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응급실 간호사가 신종감염병 유행 시 환자를 간호하면서 직무스트레스, 동료지지는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은 정의 상관관계를 이루었고, 동료지지와 소진은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응급실간호사의 소진 감소를 위하여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업무 분담과 체계적인 감염 지침 수렴 및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구축이 필요하며, 동료지지를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정책적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더믹 상황에서 응급실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동료지지 및 소진의 관계 규명을 통해 효과적인 업무 개선 및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Diagnostic value of antinuclear antibodies : results from korean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s

        강성훈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배경: 전세계적으로 일부 불필요하게 또는 과하게 시행되는 혈액 진단 검사는 의료 보험 지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핵항체 검사를 받은 대상자와 항핵항체 검사 양성 대상자 중 실제로 항핵항체 관련 류마티스 질환(AARD) 까지 진단으로 이어진 비율과 항핵항체 역가 및 여러가지 분류 기준으로 구분한 환자집단에서 항핵항체 검사 양성이 AARD 진단으로 이어지는 양성 예측값(PPV)을 계산함으로써 항핵항체 검사의 진단적 가치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림대학교와 연계된 의료원 산하 5개 병원의 자료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방법: 한림대학교 의료원의 data warehouse 를 통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항핵항체 검사를 받은 모든 대상자로부터 데이터를 회고적으로 추출하였다. 류마티스 질환에 대해 처음 평가하거나 타과를 통해 의뢰를 받은 사람들은 항핵항체 역가와 최종적인 진단을 포함하여 추가로 분석하였다. 항핵항체 검사의 PPV는 환자 연령(65세 미만 vs. 65세 이상), 성별, 의뢰 부서 등 임상적으로 중요한 몇 가지 인자에 따라 계층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2010년에서 2019년까지, 총 94,153명의 환자가 항핵항체 검사를 받았고, 이 중 13,600명(전체의 14.4%)이 양성이었다. 모든 항핵항체 검사 대상자 중 0.69%에서, 항핵항체 양성 대상자 중에서는 4.74%에서만 AARD가 진단되었다. 항핵항체 양성 환자의 AARD 진단 비율은 의뢰한 부서에 따라 0.1%에서 8.7%로 크게 달랐다. 1:320 이상의 역가를 임계값으로 적용하면 모든 AARD와 전신홍반 루푸스에 대한 PPV는 각각 15.6%와 7.8%였다. PPV는 65세 미만의 젊은 연령에서, 여성에서, 그리고 내과에서 검사를 진행하였을 때 다른 부서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의료원 산하 5개병원에서 시행된 모든 ANA 검사 중 단지 1% 미만에서만 AARD가 진단되었다. 이 결과는 검사 전에 신중한 환자 진찰이 필요함을 보여주며, 이는 검사의 효용성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검사 처방 감소와 이로 인한 의료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Background: Unnecessary and inappropriate laboratory testing accounts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waste in healthcare utiliza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agnostic value of the antinuclear antibody (ANA) test by examining the rate of ANA-associated rheumatic disease (AARD) diagnosis among ANA-tested and ANA-positive subjects, and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of the ANA test leading to AARD diagnosis in different ANA titers and different subsets of patients in five hospitals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Methods: We retrospectively extracted data from all subjects who were tested for ANA between 2010 and 2019. Those who were first evaluated at or referred to the rheumatology department were further evaluated by extraction of data, including ANA titer and ultimate diagnosis. PPVs for the ANA test were evaluated after stratification according to clinically relevant key parameters such as patient age ( < 65 years vs. older), sex, and requesting department. Results: From 2010 and 2019, 94,153 patients were tested for ANA, of whom 13,600 (14.4%) tested positive. AARD was diagnosed in only 0.69% of all ANA-tested patients and in 4.74% of ANA-positive patients. The AARD diagnosis rate in ANA-positive patients varied widely, from 0.1% to 8.7% by requesting department. Using cutoff values above 1:320 yielded PPVs of 15.6 and 7.8% for all AARD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respectively. The PPV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younger than 65 years and in women, and when requested from internal medicine compared to other departments. Conclusion: AARD was diagnosed in less than 1% of all ANA-tested patients in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s. This result shows that careful consideration before ordering the screening ANA is needed to improve the test's utility for healthcare providers and patients and to reduce healthcare costs caused by unnecessary testing and its consequences.

      • 정서조절곤란과 수용처치가 대학생들의 불안증상에 미치는 영향

        서우정 한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3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서조절곤란과 수용처치가 불안증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두 가지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들의 일반화된 불안장애 증상에서 정서조절의 역할을 검토하고, 대학생들이 주로 하는 걱정 주제를 분류하며, 일반화된 불안장애의 진단기준을 충족시키는 학생들의 비율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30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정서조절곤란은 인구학적 변인들, 부적 정서, 걱정에 대한 부정적 신념의 영향을 넘어서서 일반화된 불안장애 증상에 유의미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대학생들이 호소하는 걱정의 주제는 학업, 일ㆍ미래ㆍ취업, 대인관계, 재정 순으로 빈도가 높았으며, 전체의 5.3%가 일반화된 불안장애의 진단기준을 잠정적으로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 2는 불안증상에서 정서조절곤란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연구 1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서조절곤란의 수준이 높은 대학생들에게 현재 자신이 경험하는 정서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증진시키는 치료적 개입을 제공함으로써 수용처치가 예상된 평가 상황에서 유도된 불안반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처치 효과가 주의분산처치보다 더 큰 지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2에서 검증하고자 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집단에서 처치 전-후로 불안반응 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될 것이다. 둘째, 수용집단은 주의분산집단에 비해 불안반응 수준이 더욱 많이 감소될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cale)의 점수에 기초하여 정서조절곤란의 수준이 높은 대학생 30명(상위 25%)이 선발되었으며, 수용처치 집단과 주의분산처치 집단에 동일한 수의 참가자들이 무선할당 되었다. 실험 참가자들은 불안이 유발되는 실험과제를 지시받은 후, 수용 또는 주의분산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받았으며, 각 처치조건에 해당되는 실습단계를 거쳤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측정치들에서 수용처치의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두 번째 가설과는 달리, 불안에 대한 종속 측정치들에서는 처치조건에 따른 불안반응 감소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일반화된 불안장애증상에 대한 정서조절곤란의 고유한 역할을 처음으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정서조절곤란 수준이 높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평가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유도된 불안반응에 대한 수용처치와 주의분산처치의 효과를 입증한 경험적 증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문제에 관해 논의하였다.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acceptance-based treatment would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nxiety symptoms. Study 1 examined the roles of emotional regulation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ymptoms among college students, classified the themes of worry in undergraduates, and investigated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met the diagnostic criteria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analysis of data collected from 300 college students showed that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ymptoms above and beyond demographical variables, negative affects, and negative beliefs about worry. The most frequent theme of worry reported by college students was academics, followed by work/future/employ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inances. Approximately 5.3% of the students surveyed tentatively met the diagnostic criteria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1, which showed that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ediction of anxiety symptoms, Study 2 provided therapeutic intervention to promote awareness and acceptance of the emotions they were presently experiencing to college students with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acceptance-based treatment would effectively decrease the anxiety reactions induced by the anticipation of an evaluation situation and whether such treatment would exert greater effects on anxiety symptoms than distraction-based treatment. Study 2 sought to examine the following hypotheses: (1) that the acceptance group would show a reduction in anxiety level following treatment and (2) that the acceptance group would show a greater reduction in anxiety level than the distraction group. To examine these hypotheses, 30 college students with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upper-ranking 25%)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ir scores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cale and equal numbers of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acceptance-based treatment or distraction-based treatment group. The participants were given an explanation of the tasks involved in the experiment that would cause them anxiety, provided with a rationale for acceptance or distraction, and then subjected to the stage of appropriate practice for each treatment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cceptance-based treatment manifes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nxiety reactions on most of the outcome measures. Inconsistent with the second hypothesi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conditions in terms of reduction in anxiety reac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e importance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ymptoms. They also offered empirical evidence that acceptance-based treatment and distraction-based treatment decrease the anxiety reaction induced by an evaluation-expected situation among college students with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인과관계 연결어미 한국어 교욱 방안 연구 : -'-(으)니까'와 '-아서/어서'의 단계별 교육 방안

        박진현 한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research aimed at suggesting phased education method of '-(eu)nika', '-aseo/eoseo' in Korean grammar education as the foreign language by analyzing syntactic, semantic·pragmatic characteristics of causal relations conjunctive endings, '-(eu)nika' and '-aseo/eoseo'. As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first, there's no restriction in connection between pre-final ending '-eot-' with '-(eu) ika', however there's restriction in connection with '-aseo/eoseo'. Pre-final ending '-get-' has no restriction with connection with '-(eu)nika', however in many cases it is vague whether the meaning indicates the future or supposition, also, in respect of connection with '-aseo/eoseo', there's a limitation when '-get-' has the meaning of future, however partial connection is possible when it has the meaning of supposition. Second, movement of antecedent clause of the composition made of '-aseo/eoseo' is more natural, rather than the composition made of '-(eu)nika'. Third, formation of cleft sentence is available with '-aseo/eoseo', which has relatively less independence. Fourth, there's a restriction in '-aseo/eoseo' when imperative sentence or suggesting sentence comes in the following sentence. As the semantic·practical characteristics, first, generally it is natural when subjective determination of speaker comes in the antecedent clause of '-(eu)nika', and objective content that everybody acknowledges in the antecedent clause of '-aseo/eoseo'. Second, in the conversation situation where asking and answering the reason, it is more natural to answer by using '-aseo/eoseo' rather than answering with ‘-(eu)nika’. Third, the composition of ‘-(eu)nika’ has focus of information in the following sentence, while the composition of '-aseo/eoseo' in the antecedent clause. '-(eu)nika' and '-aseo/eoseo' as the goal sentence structure in Korean language textbook suggested the point of possibility of connection with pre-final ending among the syntactic characteristic and the types of following sentence in common,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in degree. In respect of error analysis, error rate of the beginner appeared highest in the sentence that connected two sentences of the vocabulary of beginner's level with '-(eu)nika' and '-aseo/eoseo', however, among them the error rate related to the pre-final ending and following sentence, the syntactic cause appeared higher in the error rate of medium·high learners. Error rate by semantic·practical cause appeared highest in the beginners, however the error rate of medium·high learners appeared similar, around 36%.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ause of error by dividing into the error related to objectivity, subjectivity, and focus of information, and the error related to politeness. Based on the above content,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ontent of phased education method suggestion of '-(eu)nika' and '-aseo/eoseo' as follows. As this research investigated in the text analysis as the goal sentence structure, the beginner's level showed difference per textbook without distinct standard, however each text showed difference, this research suggested the activity plan that could be utilized as the teacher's guide and task in grammar education that could be the standard. In respect of the restriction of pre-final ending, this research suggested only the restriction of connection between ‘-aseo/eoseo’ and ‘-eot-’. Second, suggested that there's restriction in the sentence that has the speaker's intension in the following sentence of the sentence that used '-aseo/eoseo', along with imperative sentence, suggesting sentence, and promissory sentence. Lastly, there's a case that divided the greeting words as 'Nice to meet you' separately from the beginner's textbook, this also could be educated by naturally being connected with politeness of '-aseo/eoseo', when teaching this by connecting with causal relations conjunctive endings '-aseo/eoseo'. In medium·high level, this research selected spiral curriculum and suggested to teacher's guide for the medium·high level learners, with the cause of higher result in error rate of learned content from the beginner's level. Firstly, this research made the learners search the rules by themselves in respect that there's a restriction when there are the meanings of command, advice, permission, and appointment in the following sentence of '-aseo/eoseo', then suggested to explain there's a focus in the information in the following sentence of the sentence that used '-(eu)nika'. After progressing the explanation enough, this research suggested to explain that the antecedent sentence of ‘-(eu)nika’ is followed by the cause of speaker's subjective determination, while the antecedent sentence of '-aseo/eoseo' is mainly followed by the objective cause. Lastly, this research intended to suggest that '-aseo/eoseo' express politeness, based on the point that '-aseo/eoseo' are mainly used in the greeting expression as 'Nice to meet you'. 본고는 인과관계의 연결어미 ‘-(으)니까’와 ‘-아서/어서’의 통사적, 의미·화용적 특징을 분석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으)니까’와 ‘-아서/어서’의 단계별 교육 방안을 제시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사적 특징에서는 첫째, 선어말어 ‘-었-’은 ‘-(으)니까’와의 결합에서는 제약이 없지만 ‘-아서/어서’와의 결합에 제약이 있다. 선어말어미 ‘-겠-’은 ‘-(으)니까’와의 결합에서는 제약이 없지만 그 의미가 미래를 나타내는지 추측을 나타내는지 모호한 경우가 많고, ‘-아서/어서’와의 결합에서는 ‘-겠-’이 미래의 의미를 가질 때에는 제약이 있지만, 추측의 의미를 가질 때에는 부분적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둘째, ‘-(으)니까’로 이루어진 구성보다 ‘-아서/어서’로 이루어진 구성의 선행절이 이동이 더 자연스럽다. 셋째, 분열문 형성은 비교적 독립성이 낮은 ‘-아서/어서’가 가능하다. 넷째, ‘-아서/어서’는 후행절에 명령문, 청유문이 오는 것에 제약이 있다. 의미·화용적 특징에서는 첫째, 일반적으로 ‘-(으)니까’의 선행절은 화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아서/어서’의 선행절은 누구나 다 인정하는 객관적인 내용이 오는 것이 자연스럽다. 둘째, 이유를 묻고 답하는 대화 상황에서는 ‘-(으)니까’를 사용하여 대답하는 것보다 ‘-아서/어서’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셋째, ‘-(으)니까’로 이루어진 구성은 후행절에, ‘-아서/어서’로 이루어진 구성은 선행절에 정보의 초점이 있다.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목표 문형으로서의 ‘-(으)니까’와 ‘-아서/어서’는 통사적 특징 중에 선어 말어미와의 결합 가능성, 후행절의 문장의 종류에 대한 부분은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었지만 정도의 차이는 있었다. 오류 분석에서는 초급 수준의 어휘를 사용한 두 문장을 ‘-(으)니까’와 ‘-아서/어서’로 연결하는 문장에서 오류율은 초급 학습자의 오류율이 가장 높았으나 그 중 통사적인 원인인 선어말어미와 후행절과 관련한 오류는 중·고급 학습자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미·화용적 원인에 의한 오류율은 초급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중·고급 학습자의 오류율은 36% 정도로 비슷하게 나왔다. 오류의 원인은 객관성과 주관성, 정보의 초점과 관련된 오류와 공손성과 관련한 오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으)니까’와 ‘-아서/어서’의 단계별 교육 방안 제시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급 단계에서는 목표문형으로서의 교재 분석에서 살펴보았듯이 뚜렷한 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고 교재 마다 차이를 보였는데, 표준이 될 수 있는 문법 교육의 교사용 지침서와 과제로 이용 할 수 있는 활동지를 제시하였다. 선어말어미 제약에 관해서는 ‘-아서/어서’와 ‘-었-’의 결합의 제약만을 제시하였다. 둘째, ‘-아서/어서’가 사용된 문장의 후행절에는 명령문, 청유문, 약속문과 함께 화자의 의도가 들어간 문장까지 제약이 있다고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만나서 반갑습니다’와 같은 인사말을 초급 교재에서 따로 분리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 또한 인과관계 연결어미 ‘-아서/어서’ 관련하여 학습을 시킨다면 ‘-아서/어서’가 가지는 공손성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교육할 수 있을 것이다. 중·고급 단계에서는 중·고급 학습자에게 초급 단계에서 학습한 내용의 오류율이 더 높은 결과를 나온 것을 원인으로 하여 나선형 교육 방식을 선택하여 교사용 지침서에 제시하였다. 먼저 ‘-아서/어서’의 후행절에 명령, 권유, 허락, 약속의 의미가 온다면 제약이 있다는 것에 대하여 학습자 스스로 규칙을 찾게 한 다음에 ‘-(으)니까’가 사용된 문장에서는 후행절에 정보의 초점이 있다는 것을 설명할 것을 제시하였다. 설명이 충분히 진행된 후에는 ‘-(으)니까’의 선행절은 화자의 주관적인 판단인 이유가, ‘-아서/어서’의 선행절은 일반적이고 객관적인 원인이 주로 온다는 것을 설명할 것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만나서 반갑습니다’와 같은 인사 표현에서는 주로 ‘-아서/어서’가 사용된다는 것을 바탕으로 ‘-아서/어서’는 공손성을 드러낸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노인과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 비교 연구

        고영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들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와 의식을 조사함으로써,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노인들과 대학생들로부터 노인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질문을 통하여 노인과 젊은이들에 대한 의식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연령에 따른 노인집단과 대학생집단간의 긍정적, 중간적, 부정적인 태도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이전 연구결과와 비교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세대간의 차이와 갈등의 원인을 검토함으로써, 상호 견해차를 극복하는데 필요한 바람직한 이해와 표현의 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서 60세 이상 남?여 노인 99명을 대상으로 서울시 3개구에 위치한 노인종합복지관, 경로당, 공원, 노인학교에서 조사하였다. 또한, 18세 이상 남?여 대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서울시에 위치한 10개 대학교에서 조사하였다. 노인에 대한 태도는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이 때 신뢰도 계수는 Cronbach's alpha=.72였다.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조사대상자집단의 노인에 대한 태도 차이를 평균점수에 따라서 문항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집단인 경우 M=2.35, 대학생집단인 경우 M=2.14로 나타났다.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집단인 경우 최고 M=2.84, 최저 M=1.36, 대학생집단인 경우 최고 M=2.82, 최저 M=1.64로 나타났다. 평균점수가 가장 높은 문항은 13번으로 ‘당신은 노인들이 일종의 장애인 같은 취급을 받는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문항에서 M=2.84로 나타났으며, 평균점수가 가장 낮은 문항은 17번으로 ‘당신은 노인들이 비슷한 나이의 노인들과 어울리는 것을 더 좋아한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문항에서 M=1.36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노인집단이 대학생집단보다 노인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노인집단과 대학생집단 모두 노인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2.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노인인 경우에는 노인에 대한 태도가 배우자의 건강상태여부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배우자가 건강하지 않은 경우가 M=2.41로 건강한 경우인 M=2.29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배우자가 건강하지 않은 노인들이 배우자가 건강한 노인들보다 노인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대학생인 경우에는 노인에 대한 태도가 성별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남자 대학생들이 M=2.17로 여자 대학생들 M=2.12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 대학생들이 여자 대학생들보다 노인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3.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노인에 대한 태도에서 노인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노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대학생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은 성별로 나타났다. 성별의 회귀계수인 β=.256(t=2.113, p<.05)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노인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는 노인인 경우 배우자의 건강상태여부로 나타났으며, 대학생인 경우 성별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인 경우 노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은 없었지만, 대학생인 경우 성별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집단과 대학생집단 모두 노인에 대한 태도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생집단보다 노인집단이 노인에 대하여 더 긍정적이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subjects' attitude toward the aged socio-demographical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to fine factors that influence peoples' attitude to the aged, by studying old people's and University students' attitude toward and thinking of the aged. Second, it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thinking between the old and University students through questions related to an attitude toward the aged. Third, it is to compare with the earlier result of studies by analyzing the positive, neutral, negative attitudes between the old group and University students group by age. Finally, it is to provide a good chance to understand and express, which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difference in mutual opinion, by examining a reason of the generation gap and troubles. For the study, the survey was done at senior welfare centers, senior community centers, parks, & senior schools in the areas of 3 gus, Seoul, with 99 old people(men & women) over sixty as subjects. Besides, it was conducted with 199 University students(men &women) over eighteen at the 10 universities in Seoul. An attitude toward the aged is Cronbach's alpha= .72.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1. The below is a result that it looks at the difference of attityde toward the aged between the two group by field and by item depending on the mean. For an attitude toward the aged, it is found that M=2.35 for the old and M=2.14 for minimum of M=1.36, while University students group has M=2.82 as the maximum and M=1.64 as the minimym, It is found item No. 13, do you think that the old are treated as the handicapped? To be highest mean, M=2.84, while the lowest, M=1.36, comes from the item No. 17, do you think that old people prefer to keep company with peer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 the ole group shows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ged than University students group, although both groups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ged. 2. Next is a result from analyzing an attitude toward the aged socio-demographically. For old peopl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the aged, depending on the health condition of a spouse. In turn, the case of having unhealthy spouse, M=2.41, i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case of healthy spouse, M=2.29. So, the old with an unhealthy spouse show more positive attitude than those with a healthy one. For University student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by sex. It is found that male students take higher values, M=2.17, than female students, M=2.12, showing male students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old than female students. 3. Following is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e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 the aged. Whereas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old people has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 the aged, that of University students is found to bo sex. It turns out to be significant, with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sex, β=.256(t=2.113, p<.05). Based on the above result, as a socio-demographic variable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 the aged significantly, it is found that it depends on the health condition of a spouse for the old, and sex for University students. Also, as a socio-demographic variable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 the aged significantly, it is found that old people have no such a variable, while students differ depending on sex. In addition, both groups show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ged, suggesting that the old group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ged than University students group.

      • 청력 기반 노인 맞춤형 일음절어인지오류 진단 시스템 개발

        김여주 한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need for precise objective speech recognition ability and errors was emphasized. However, the current speech recognition test use in clinic focuses only on the average correct percent (%) of the patient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he/she is wrong due to confusion or novel words to them. The study aimed to conduct a speech recognition test and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incorrect response according to error rate, error type, error pattern, speech detection similarity and distance. The study results were intended to be implemented in an algorithm for the development of 'A hearing-based personalized monosyllable words error diagnosis system' that classifies and diagnoses recognition factors that are difficult for patient with hearing loss. Methods: Speech recognition test was conducted to a total 72 elderly by using total 363 words which consisted of a combination of CVC, CV, V, and VC referring to the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dictionary from initial 3,192 words. The words were selected based on 90% correct score of eight adultd with normal hearing. All stimuli were recorded by two trained announcers (male and female), and any inaccurate or over-tuned stimuli were re-recorded to control the reliability of stimuli.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normal hearing, mild, moderate, and severe hearing loss groups according to the BSA hearing threshold criteria. Stimulus were presented randomly at the MCL of each participant were asked to repeat what they heard. All responses were recorded and directly transcripted. Further, the subject’s incorrect response error rates and patterns were categorized into error rate, error type, error pattern, speech perception similarity and distance. Results: As the hearing threshold elevated, the error rate also increased. Out of three phonemes position, initial consonant shows highest error rate and can be seen in various frequency ranges. In all hearing groups, the error rate of diphthong was about 20 to 40% higher than monophthong. In the case of final consonant, highest errors were found to be different for each group. In fact, the words with high error rate can be seen mainly influenced by the initial consonant and this influence increased as hearing severity increased. In terms of error type, substitution was the most common error followed by combination of substitution and substitution for all hearing group. However, rapid increase in types of failure errors was seen in severe hearing group. The highest error frequency was found different for each phoneme positions. In initial consonant, normal hearing and mild hearing loss group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bstruent and sonorant way of articulation in the middle consonant group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ngue and final consonant according to the obstruent and sonorant way of articulation. With increase in hearing severity, frequency, and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phonemes increased, making it harder to be identifi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each phoneme. The result of error pattern analysis was in line with speech perception distance analysis that revealed closer distance between the grouped phoneme from error pattern result and this pattern became clearer as the hearing severity increas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we implemented an algorithm on identifying target hearing, setting, and presenting test questions considering the degree of hearing loss, analyzing error patterns, and reporting comprehensive results.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o focus on errors and analyze factors in order to accurately identify difficulties in recognition. From study results, initial consonant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speech recognition. As highest errors were found to be different for each hearing group, individual speech recogni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syllables suggesting that combinations should be used to improve accuracy of the results. The error patter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degree of hearing elderly was confirmed and implemented in the algorithm presented in this study. With further clinical trails focusing on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lgorithm, we can expect a fast and more accurate test of speech recognition and discrimination of hearing-impaired elderly. 목적: 노인성 난청 환자의 보장구 적합 및 청능재활 효과를 높이기 위해 보다 객관화된 어음인지 능력 및 인지 오류 측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현재 임상에서 보편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어음인지검사는 대상자의 평균 정답률(%)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실질적으로 환자가 틀린 단어를 몰라서 틀린 것인지 헷갈려서 틀린 것인지 조차 결정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72명의 노인들을 청력 역치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어음인지검사를 실시하고, 대상자가 오류를 보인 단어들을 오반응률, 오류유형, 오류패턴, 말지각 유사성 및 거리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난청 환자 개개인별로 어려움을 갖는 어음인지 요소들을 분류하고 진단하는 ‘청력 기반 개인 맞춤형 일음절어음인지오류 진단 시스템’ 개발을 위한 알고리즘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방법: 총 72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일음절어인지검사를 실시하고, 청력 정도에 따른 오류패턴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일음절어 검사 자극음은 「한국어표준발음사전」을 참고하여 CVC, CV, V, VC 조합으로 구성된 3192개의 유의미 및 무의미 음절을 초기 단어로 선정하였다. 자극음은 아나운서 전문 교육을 받은 남여 성우 2명이 각각 녹음하였으며, 부정확하거나 과조음 경향이 있는 자극음의 재녹음 과정을 통해 자극음의 신뢰성을 높였다. 건청 성인 남여 8명을 대상으로 전체 자극음의 선별을 진행하여 정반응률이 90% 이상인 단어를 선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선별된 363개 단어를 검사 단어로 선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인지선별검사, 청각선별검사, 일음절어인지검사 순으로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대상자의 청각 선별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BSA 청력 역치 기준에 따라 정상, 경도, 중도, 고도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일음절어인지검사는 청력이 더 좋은 쪽 귀에서 monaural로 TDH-39 헤드폰을 통해 MCL에서 제시되는 자극음을 듣고 따라 말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모든 대상자의 응답은 녹음하여 검사가 끝난 후 실시간으로 전사하였으며, 대상자의 응답 자료는 정오반응에 따른 결과 채점 후 오반응한 단어를 오반응률, 오류유형, 오류패턴, 말지각 유사성 및 거리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청력 정도에 따른 그룹 별 오반응률 분석 결과 청력 역치가 상승함에 따라 오반응률도 높아졌으며, 특히 모든 그룹에서 초성 위치의 오반응률이 45%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 그룹에서 높은 오류를 보인 초성은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 분포하였으며, 중도 난청 그룹부터 고주파수 대역 초성의 오반응률이 확연히 높아졌다. 중성은 모든 그룹에서 단모음 보다 이중 모음의 오반응률이 약 20~40% 이상 높았으며, 종성의 경우 각 그룹마다 높은 오류를 보인 음소가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소 간 결합 유형에 따른 오반응률 분석을 통해 실질적으로 오반응률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음소는 모든 그룹에서 공통적으로 초성임을 확인하였다. 모든 그룹에서 가장 많은 오류를 보인 유형은 대치 유형이었으며, 대치 유형 다음으로 높은 오류를 보인 유형은 대치와 대치 유형으로 나타났다. 초성의 경우 모든 청력 그룹에서 장애음과 공명음 내에서 지각에 어려움을 보였으며, 중성은 모든 그룹에서 혀의 전후 위치에 따라 종성은 초성과 마찬가지로 모든 그룹에서 장애음과 공명음 내에서 지각하는데 가장 어려움을 보였다. 난청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음소 간 유사성 빈도와 정도가 증가하였으며, 각 음소 위치에 따라 동일한 음소의 분별 또는 인지에 대한 어려움도 증가하였다. 말지각 거리 분석을 통해 오류패턴 분석 결과와 같은 분류에 따른 항목 간에 말지각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청력 손실정도가 커짐에 따라 거리가 더욱 가까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분석한 오류 패턴 분석 결과들을 종합하여 대상자 청력 파악, 청력 정도를 고려한 검사 문항 설정 및 제시, 오반응 패턴 분석, 종합적인 결과 보고의 과정으로 구성된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결론: 어음인지 어려움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오류에 초점을 맞추고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청력 역치가 상승함에 따라 초성이 오반응률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난청 정도가 중도 이상일 경우 초성이 어음인지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음소 간 결합에 따라 높은 오류를 보인 음소가 서로 상이하게 나타난 결과는 어음인지 오류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음절 조합을 자극음으로 사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오류패턴 분석 결과와 말지각 유사성 및 거리 분석 결과에서는 공통적으로 초성의 경우 모든 청력 그룹에서 장애음과 공명음 내에서 지각에 어려움을 보였다. 중성은 모든 그룹에서 혀의 전후 위치에 따라 종성은 초성과 마찬가지로 모든 그룹에서 장애음과 공명음 내에서 지각하는데 가장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성 난청 환자들의 청력 정도에 따른 특징적인 오류 패턴을 확인하였다. 후속 연구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향후 임상에 적용한다면 노인성 난청 환자의 어음 인지 및 분별 어려움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평가를 기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