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문화의 재구성과 세계화 방향 : 전주한옥마을과 안동하회마을을 중심으로

        Shum, Chau Yee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743

        문화는 한 민족의 특성과 풍습을 상징할 뿐만 아니라 관광 자원이라는 경제적 가치와 사회단합이라는 사회적, 정치적 가치를 가진다. 그 중에서도 한국 전통문화는 한류의 흐름에 따라 세계에 전파되어 한류의 일부분으로 전환되며 문화관광의 근본이 된다. 이에 전통문화가 담긴 문화재들은 관광산업의 자원이라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의 발전 맥락을 정리하기 위하여 문화상업화의 배경에서 전통문화의 변화에 대한 검토는 중요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옥마을을 대상으로 한국 전통문화의 현대적 가치와 정체성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 서울 시외의 안동하회마을과 전주한옥마을을 대상으로 현장 답사를 진행하고 문화관리자들이 발표한 보고서와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같은 사회 맥락에서 두 한옥마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차이점이 생긴 원인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유사성과 차별성을 바탕으로 한옥마을의 보편적이고 공유적인 가치를 확정하며 한옥마을 정체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공통점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오늘날 한옥마을에 담긴 유교문화는 체험프로그램을 통하여 표현된다. 즉 한옥마을은 이제 역사의 전시장일 뿐만 아니라 전통문화의 체험 장소가 된다. 둘째, 문화상업화와 소비주의 시대에서 한옥마을은 불가피하게 문화기호를 소비하는 장소가 된다. 한옥마을을 찾아 맹목적으로 소비하는 사람들이 전통문화를 찾는 것이 아니라 ‘전통’, ‘문화’라는 문화기호를 즐긴다는 것이다. 셋째,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두 한옥마을은 세계화 발전 방침을 시행하고 있다. 안동하회마을의 경우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통하여 국제 교류를 강화한다면, 전주한옥마을의 경우 국제슬로시티연맹에 가입함으로써 국제의 인증을 받는다. 같은 사회 맥락에서 안동하회마을과 전주한옥마을은 공동의 가치를 발휘하고 있고 비슷한 발전 전락을 채택하지만 상이한 발전 모습이 나타난다. 우선 안동 하회마을은 상업구역과 거리를 두고 상업화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 반면에 전주한옥마을은 상업지구와 인접하고 상업화 수준이 높다. 또한 주민을 지키기 위하여 안동 하회마을은 관람시간을 규정한다면 전주한옥마을은 관광을 발전하기 위하여 허용 음식 품목 및 건물 층수를 완화하였다. 나아가, 안동 하회마을에서 판매되는 기념품은 주로 전통예술과 장인정신을 표현하는 수제품이며 음식점에도 안동 대표 요리만 판매한다. 반면, 전주한옥마을에서는 카카오프렌즈처럼 전통요소로 굿즈를 대량 생산하는 연쇄점도 있고 한국전통과 무관한 오락적인 소비 장소도 많다. 이러한 차이가 생기는 원인은 다음과 같이 주로 3가지로 분석된다. 첫째, 안동 하회마을의 폐쇄적인 지리 조건이다. 둘째, 안동 하회마을의 환경보호 방침과 전주한옥마을의 지역경제 발전 방침 사이의 차이다. 셋째, 소유자인 주민들이 설립된 안동하회보존회는 전주한옥마을보다 결정과 협상에서 역량을 가진다. 상업화 시대에서 전통문화가 어떻게 발전해야 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안동 하회마을의 발전 경로는 우리에게 완벽한 대응책을 제공한다. 그는 문화를 보존하는 동시에 고유의 하회별신굿탈놀이 중에서 새로운 방향을 찾아 상업을 발전하였다. 문화상업인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통하여 안동시는 경제 성장을 즐기면서 문화를 세계에 홍보한다. 하회탈춤문화가 전승되면서 현대문화, 외래문화와 교류되어 융합되고 세계화의 급속한 파도에서 안정한 자리를 잡는다.

      • 청년의 문화적 실천과 공생 : 한국과 타이완의 사례를 중심으로

        임상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743

        This study aims to find the coexistence among Korean and Taiwanese young generations. Through the narrative interview, two cases are applied in this study, one is a vintage shop called ‘cosmos wholesale’ for representing Korean, and the other is ‘Half-Way Café’ for Taiwan. In order to deeply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s, the related theses, books and internet texts are researched. First, six sub-categories are divided to see the general situation of young generation from 2008 to nowadays. After IMF crisis in 1997, the neo-liberation has an impact on everything in the Korean society. Individuals feel anxious about hunting a stable job. For reaching their expectation, the whole society has become competitive and intense. Individuals try to pursue the identical value so that they lose their personal wills. The situation goes worth and worth, the words such as ‘880,000 won generation’, ‘Hell-Chosun’ represents the difficulty of the individuals especially the young generation. In Taiwan, neo-liberation has influences since 2008 financial crisis. The payment is too low for young generation called ‘22K Generation’ to live in Taipei central city. Moreover, they cannot having savings or property by themselves. These youth lose their dreams, meanwhile the political and economic threat from China never stop. Ultimately, in 2014, the demonstration called ‘Sunflower movement’ happened. The Case of Korea ‘cosmos wholesale’ is not only a vintage shop, they also hold in-store events, music performances…etc., and they have attended exhibition as a work of art. There are 5 members running the store together without a leader. It could be seen an alternative of the strong social class culture in Korean society. The case of Taiwan ‘Half-Way Café’ is the place which offering an opportunity for those who are strangers but have something in common to acquaint with each other and form new communities. They will hold some events which are hardly to find in other places, and sometimes have a collaboration with other group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m is figure out how to make an interesting and peaceful community and have more and more practices in lifetime. According to these cases, this study aims to manifest new alternatives in current society. Besides, the problems nowadays are not only appointed to young generation, it could also happen to anyone of us. Last but not the least, even the ‘Hell-Chosun’ and ‘Ghost Island’ are not be used really often in Korea and Taiwan, but it doesn’t mean the problems have been solved. 본 논문은 한국과 타이완 청년들의 실천을 통해 그들의 공생지향적인 태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은 잡화점 ‘우주만물’, 타이완은 ‘반루카페’로 사례를 삼는다. 사례를 연구하기 위하여 먼저 한국과 타이완 2008년부터 현재까지 청년에 관한 유행어를 통해서 오늘날의 현상을 살펴볼 것이다. 한국과 타이완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신조어에 연결된 사회적, 문화적 요소에 대해 먼저 학술논문과 신문을 중심으로 그 의미와 활용 맥락에 대한 사회, 문화적 배경을 검토한다. 이어서 한국과 타이완에서 출간되거나 유통된 단행본, 인터넷 자료, SNS 등을 활용하여 청년 문화와 실천의 방향과 내용에 대해 분석한다. 한국에서 1997년 IMF 외환위기로부터 시작된 신자유주의는 이후에 사회 전반에서 노동 불안, 노동 경쟁에 따라 이른바 스펙을 추구하는 문화를 초래하여 개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정체성을 상실하면서까지 조직에 순응할 것을 요구하게 되었다. 타이완에서 본격적인 의미에서 신자유주의가 전면화된 것은 2008년의 국제 금융위기 이후이다. 타이완에서도 한국과 마찬가지의 맥락에서 노동불안 현상이 나타났으며, 특히 저임금으로 인해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는 인식을 공유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한국과 타이완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 맥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양국의 청년 세대가 당면한 문제를 문화적으로 돌파하고자 한 실천의 사례에 접근함으로써, 청년 세대의 문화적 실천의 지향 가치와 방향, 내용에 대해 분석하고자 했다. 우선 한국의 사례로서 선택한 대상은 잡화점 ‘우주만물’이다. 잡화점이라는 용어 만으로는 우주만물이 지향하는 가치를 충분히 담아낼 수 없다. 5명 멤버로 구성된 우주만물에서는 리더가 따로 없으며, 위계적인 조직 운영 방식을 거부한다. 이들은 ‘재미’를 추구하고 창출하는 것을 최고 목표로 삼고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들은 각자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이를 뒷받침하며 재미를 추구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인스토어 이벤트와 멤버 각자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다른 그룹과의 교류를 이루어졌고, 네트워크가 확장했다. 타이완의 사례는 ‘반루카페’이다. 오래 전부터 다양한 사회 운동과 활동을 통해 만난 사람들이 머무르는 공간이다. BDSM세마나, 소수성 영화와 다큐멘터리와 같은 다른 곳에서 찾기 어려운 대안적 이벤트를 개최하며, 다른 그룹이나 공간과 연대하여 공동의 목표로 문화적 실천 활동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들은 기존에 구축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이를 계속 확장해가면서, 더 많은 교류를 형성하고 있고, 더 많은 가능성을 추구하고 있다. 본 논문은 문헌분석과 사례를 통해서 하나의 가능성 혹은 다른 새로운 사고방식을 찾고자 했다. 또한 결국 이러한 문제점과 상황은 청년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록 ‘헬조선’, ‘궤이다오’와 같은 말이 사라져도 결국 문제는 해결되지 않지만, 청년의 문화적 실천은 이를 돌파하는 소집단, 네트워킹 차원의 문화적 실험으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 식민지기 경성 외식 문화의 연구

        Galina, Panteleeva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727

        이 연구는 식민지기 근대화와 도시화 속에서 이루어진 경성의 음식점들은 어떤 의미가 있었는지, 그 형태는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분석했다. 당시 어떤 식당이 있었는지, 언제 등장했는지, 어떤 모습이었는지, 어떤 메뉴를 제공했는지, 가격은 얼마였는지, 어떤 손님들이 방문했는지 등을 연구하고 외식문화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조선인의 식습관과 취향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봤다. 연구의 주요 관점은 음식 그 자체가 아니라 음식을 소비하는 곳, 즉 식당을 연구하는 것이다. 19세기 말 조선이 개항되면서 외국의 소비문화와 생활방식도 함께 조선에 유입되었다. 대규모 해외 디아스포라의 출현, 일식 음식점의 개업은 새로운 소비 패턴, 공공장소에서의 식사와 같은 새로운 문화적 기류를 창출했다. 근대화 초기에 조선의 외식문화는 외국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성에 있었던 일본, 중국, 서양 음식점을 살펴봤다. 중국식당과 일본식당은 개항된 항구에서부터 시작해 경성까지 확대되었다. 서양 음식점인 손탁호텔 식당과 고급 일본 음식점에서 주요 외교 회의나 사업적인 행사를 진행해서 행사의 참여자였던 상류층이 외국 문화를 자연스럽게 먼저 접하게 되었다. 상계층 아닌 조선인들 사이에서 중국 음식점은 인기가 많았지만, 일본음식점을 거의 방문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했다. 20세기 초부터 조선 고급 음식점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그 다음으로 제일 유명한 조선 고급 음식점, 즉 명월관, 태서관, 국일관, 식도원을 살펴봤다. 조선 고급 음식점은 근대 역사적 사건 속에서 중요한 장소였다. 고급 음식점은 조선인들의 대접 문화를 궁정 밖으로, 즉 공공 공간으로 옮기면서 상업적, 정치적, 개인적인 목적이 있는 손님을 위한 전문 접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었다. 음식 외에 오락적인 요소인 기생의 공연과 접대를 제공하면서 큰 인기를 얻었다. 정치적인 목적 외의 명월관이나 다른 고급 음식점에서 회식, 결혼식 등 여러 피로연을 진행했다. 또한, 조선의 고급 음식점도 조선의 궁중음식과 접대문화를 재현하여 일본의 통치 속에서 조선의 고급문화를 알리고 느낄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함으로서 그곳에 방문한 조선인에게는 민족적 동질감을, 외국인에게는 조선을 알릴 수 있게 해주었다. 한편 고급 음식점 외에 집을 떠나온 노동자들이 일터 근처에서 값싸고 배부르게 먹을 수 있는 음식들이 필요했고 이에 국밥집이 대중화되었다. 고급 음식점만큼 국밥집들은 마케팅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아 광고를 찾기 어렵지만, 고급 음식점처럼 전화로 주문을 받아서 배달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즉 대중적인 음식점에서도 근대적인 서비스를 발견할/볼 수 있다. 서비스보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일반인들도 공공 공간에서 식사를 하기 시작했고 수요가 증가해서 식당 수가 시간이 지날수록 많아지면서, 외식에 대한 인식도 변화했다는 점이다. 소비문화의 발전과 동시에 대중이 여가를 보낼 수 있는 외식업체가 등장했다. 1930년대 조선인끼리 많은 인기를 누린 백화점에서 식당이 생겨서 여가의 보내는 중요한 장소가 되었다. 백화점과 백화점 식당은 만날 장소이며 가족, 친구, 연애끼리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이었다. 대중적인 식사 장소인 백화점 식당의 인기 원인과 당시 인식, 분위기, 문화 등을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기차가 발전하면서 여행업도 함께 많이 발전했다. 주로 지방에서는 경성의 현대적 문물을 느끼기 위해, 경성에서는 경주 같은 역사 유적지가 많고 아름다운 곳으로 이동했다. 이때 이동하며 배고픔을 달래기 위해 각 기차역과 간이역, 이동하는 기차 안에서 외식업이 등장했다. 이 모든 외식업의 발전이 절정으로 치달았을 때가 바로 1920~30년대로, 가히 외식업의 첫 절정기라고 할 수 있다. 고급 요리점은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경제가 좋아지면서 더 많은 비즈니스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었고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며 다양한 컨셉의 요리집들이 지점까지 내며 사업이 번창했다. 백화점 식당은 백화점의 부흥과 함께 지방에서 상경하여 경성을 관광하는 사람들까지도 찾아오게 만드는 명소였고 방문하면 대부분 식당에서 식사를 한번쯤은 해볼 정도로 인기 있는 장소가 되었다. 여러 계급 조선인들이 백화점 식당에서 식사하는 빈도수가 늘어났고 그만큼 서양식문화와 일본, 중국의 식문화에 익숙해지고 있었다. 경성에 노동력이 지속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국밥집도 백화점 식당이나 요리집이 부럽지 않을 정도로 매출을 올리며 그 수가 늘어나고 지방까지 확대되었다. 외식업의 다양해진 유형 외에도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비약적인 발전을 보여주었다. 식당의 수가 급증함에 따라 그 유형별로 조합이 생겨났으며 같은 종류의 식당들이 모인 조합에서 식재료의 공동구매, 상호윤리규정, 정책제안을 하였고 여러 신문기사를 통해 각 업종별 경영 및 마케팅 기법의 논의와 토론회가 이루어지는 모습은 지금과 차이가 없을 정도로 선진적인 모습들을 보여주었다. 위에 서술한 것처럼 음식점의 운영 방법, 메뉴, 서비스, 내부 인테리어를 통해 근대화의 많은 형상을 볼 수 있다. 고급 음식점이나 국밥집은 전문화, 세분화되면서 20세기 전에 조선에 없었던 모습을 보여줬다. 본 연구를 통해 외식문화를 조사하면서, 조선의 일상에 대한 많은 것을 발견했다.

      • '같이 하는' 협동적 공공외교 : 조선통신사 재현과 가시화를 통한 한일 기억과 인식의 공유

        등택규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727

        The ultimate goal of public diplomacy is to affect the attitudes of the public by attracting and persuading them. Traditionally, the target of public diplomacy policies has been the public of foreign countries. However, as the management of information by states becomes increasingly difficult, it has become necessary to improv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domestic and foregin publics through the cross-national collaboration of public diplomacy, allowing for the cognition of the significance of bilateral relations by both domestic and foreign people. Consequently, these relations can help to build friendships and favorable diplomatic environments among the involved countries. Therefore, collaborative public diploma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 shared understanding of friendship among the people of collaborating countries; as both participants and witnesses. This is achieved through the visibility of intended information. This study explores these two unique features of collaborative public diplomacy: sharing and visibility. Using the aforementioned ideas as criteria, this study analyzes the joint projects between Japan and Korea that reenact and represent the Joseon Tongsinsa. One shared memory between the two countries regarding the Joseon Tongsinsa - or the memory of good neighborly relations - has been recently placed in the spotlight as a vision representing a future that enables the two countries to confirm bilateral friendship and promote collaboration in public diplomacy. Despite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public diplomacy,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discussions regarding this topic or studies that focus on its features, such as sharing and visibility, or which attempt to apply it to Japan-Korea relations. Furthermore, neither the memories of Japan and Korea surrounding the Joseon Tongsinsa nor the collaborative public diplomacy regarding it have been dealt with in an academic respect.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iginificance and location of collaborative public diplomacy within the overall discussion of public diplomacy, to examine the two features of sharing and visibility, and to observe how the shared memory and common understanding of the bilateral friendship between Japan and Korea have been formed through the representation and visibility of the Joseon Tongsinsa.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point out that among the various policies of public diplomacy, collaborative public diplomacy is mainly classified as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the form of cross-national joint ventures or projects that have easily identifiable and clear goals.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structural elements of public attitudes and understandings dealt with by public diplomacy and explains the understandings that are shared through public diplomacy. Among them, sharing understanding about past friendship can be realized by commemorating shareable past events between the countries involved. Additionally, memory, one of the factors that compose public attitudes and understandings can itself be influenced by these understandings and subsequently shared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This study proposes that there are two kinds of memories in Japan and Korea regarding the Joseon Tongsinsa: ‘self-centered memory’ and ‘exchange-based memory’; the latter of which had been buried in oblivion until it was ‘re-remembered’ and shared as a ‘collective memory’ through reproduction and reenactment in both countries beginning in the 1970s. Moreover, the study finds that two countries currently accept the memory as an ‘official memory’ and continue to reinforce it through collaborative public diplomacy. In addition, this study notes that public diplomacy promotes the sharing of memories and understandings among the public through visibility, consisting of ‘direct visibility’, ‘mediated visibility’ which relates to the secondary effect on an audience, and ‘experiential visibility’ which relates to the primary effect on participants. It also points out that each of these visibilities consists of two stages: ‘individual visibility’ which is formed through visualization and experience, and ‘social visibility’ which is formed through publiciz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Joseon Tongsinsa was a visible event for the Japanese public during the time that it took place, and one which allowed for the cognition of Joseon’s advanced culture, the significance of exchange with the delegates, and foreignness of the visitors through the experiential, direct, and mediated visibilities. Also, this study finds that collaborative public diplomacy regarding the Joseon Tongsinsa helps to make visible the shared memory, the bilateral collaboration as well as other themes such as sports and person-to-person exchanges between Japan and Korea. Although public diplomacy cannot replace traditional diplomacy but only complement it, this study provides many possibilities in terms of building favourable mutual understanding and friendship among the public in the long run under the current diplomatic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Joseon Tongsinsa is a valuable asset for both Japan and Korea, who are still struggling with past issues despite accumulated efforts toward mutual understanding by previous gener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two countries to pursue the establishment of stable and positive relations and better mutual understanding by promoting collaborative public diplomacy, while at the same time continuing to work toward fundamental resolutions of the various issues which contribute to the attitudes and understandings of the public. 전통적으로 공공외교는 타국민을 정책의 대상으로 삼아 왔지만, 현재 외교 환경에서는 장기적인 관점으로 국가 간 협동을 통해 자국민과 타국민 모두에게 양자 관계의 중요성을 인지시켜 우호적인 상호인식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논하는 ‘같이 하는’ 협동적 공공외교는 전달하고자 하는 특정한 정보를 자국과 상대국이 하나가 되는 모습을 통해 대중에게 가시화함으로써 인식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유’와 ‘가시화’라는 두 가지 특징을 모두 가진다. 본 연구는 구체적인 사례로 조선통신사 재현 사업을 분석했다. 최근 한일 양국에서는 통신사에 대한 ‘선린우호’라는 기억이 양국의 우호와 유대를 확인하고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비전으로 주목받아 이와 관련한 ‘같이 하는’ 협동적 공공외교가 실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공공외교의 협동에 대한 논의는 충분치 않았고, 그 두 가지 특징을 살펴보거나 한일관계와 통신사에 적용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외교 정책으로서 ‘같이 하는’ 협동적 공공외교의 의미와 위치를 확인하고 ‘공유’와 ‘가시화’라는 두 가지 특징을 밝히면서, 통신사의 재현과 가시화를 통해 한일 공동의 기억이 공유되고 양국 우호 관계에 대한 인식이 공유되는 양상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우선 ‘같이 하는’ 협동적 공공외교가 다양한 공공외교 정책 가운데 주로 국제문화교류 유형에 해당하는 복수 국가 간의 공동사업임을 확인했다. 이어서 공공외교가 다루는 대중의 인식의 구성 요소와 기억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같이 하는’ 협동적 공공외교를 통해 공유하려는 인식을 설명했다. 또한, 통신사를 둘러싸고 양국에 존재해 온 ‘자국중심의 기억’과 ‘교류중심의 기억’ 가운데 후자는 1970 년대 이후 양국에서 ‘집단적 기억’으로 재기억 및 공유되었고, 현재 양국은 이러한 공동의 기억을 ‘같이 하는’ 공공외교를 통해 더욱 굳건히 공유하고 있음을 밝혔다. 나아가, ‘같이 하는’ 협동적 공공외교가 ‘가시화’를 통해 이러한 ‘공유’를 실현하는 것에 주목했고, 그 가시성에는 관중에 대한 ‘직접적 가시성’ 및 ‘매개된 가시성’과 참가자에 대한 ‘체험적 가시성’이 있으며 각각 ‘개별적 가시성’과 ‘사회적 가시성’을 가짐을 확인했다. 이러한 논의에 기초해, 당시 통신사는 조선 문화의 선전성과 교류의 중요성, 그리고 이국성을 인지하게 해주는 가시적인 이벤트였음을 설명했으며, 현재 ‘같이 하는’ 협동적 공공외교는 통신사에 대한 공동의 기억과 양국의 협동, 그리고 기타 주제를 가시화함으로써 공동의 기억과 한일 우호 관계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을 공유하고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외교 환경에서 장기적 관점으로 국민 간에 우호적인 관계와 상호인식을 구축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 특히 한일 양국은 국민들의 인식을 형성하는 다양한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모색하는 한편, 통신사와 같은 양국 공동의 재산을 잘 활용하면서 ‘같이 하는’ 협동적 공공외교를 적극 추진해 안정적이고 긍정적인 양국 관계 및 상호인식을 구축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の究極的な目標は、説得や魅了により大衆の認識に影響を与えることであり、その政策の対象は伝統的に他国民であった。しかし、情報の国家的な管理が困難となった現代において、長期的な観点から自国と他国の間に友好的な関係を構築し、円滑な外交環境を造成するためには、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の国家間の協働により自国民と他国民の双方に両国関係の重要性を認知させ、良好な相互認識を形成する必要がある。本研究が論じる「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は、自国と相手国が共に働く姿を通じて特定の情報を参加者や観衆といった大衆に対して可視化することにより、両国の友好関係に対する認識を共有するものであり、その意味で「共有」と「可視化」という二つの特徴を持つ。 このような観点に基づき、本研究は、日本と韓国の間で実施されている朝鮮通信使の再現事業を「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の事例として分析した。近年、日韓両国において朝鮮通信使に関する「善隣友好」という共同の記憶が両国の友好や絆を確認し、未来へと進むためのビジョンとして注目されており、朝鮮通信使に関する「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が実施されているためである。一方、「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のこうした重要性にもかかわらず、これまで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に関する研究において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の協働に関する議論は十分に行われず、また、それを「共有」や「可視化」といった観点から分析した研究や日韓関係への適用を試みた研究は見当たらなかった。さらに、朝鮮通信使を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の観点からアプローチした研究はもとより、朝鮮通信使を巡る日韓の記憶を扱った研究も実施されてこなかった。このような状況に対し、本研究は、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の一政策として「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の意味と位置を確認し、「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の「共有」及び「可視化」という二つの特徴を明らかにしつつ、朝鮮通信使の再現と可視化を通じて日韓の共同の記憶が共有され、両国の友好関係に対する認識が共有される様子を明らかにしようとしたものである。 その結果、本研究ではまず、「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が多様な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政策のうち複数の国家による共同の事業またはプロジェクトとして主に国際文化交流の類型に該当し、かつ容易に識別可能な明白な目標を持ったものであることを明らかにした。また、本研究は、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が扱う大衆の認識の構成要素を確認し、「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を通じて共有しようとする認識を説明した。その中でも「過去の友好関係に対する認識」の共有は協働する国家間で共有可能な過去の記憶を記念することにより行われ、記憶は認識を形成する一要素であると同時に認識から影響を受ける存在であり、社会化過程を通じて共有されることを指摘した。また、朝鮮通信使を巡り両国に存在する「自国中心の記憶」と「交流中心の記憶」のうち、1960年代まで忘却されていた後者は1970年代以降、記憶の再生産装置を通じて両国で「集団的記憶」として再記憶・共有され、現在、日韓両国はこのような共同の記憶を「公式記憶」として認定し、「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を通じて一層堅固に共有しながら両国の友好関係に対する認識を共有していることを明らかにした。 さらに、本研究は、「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が「可視化」を通じてこのような「共有」を実現していることに着目し、その可視性には観衆への二次的的効果に関する「直接的可視性」および「媒介的可視性」と参加者への一次的効果に関する「体験的可視性」が存在し、それぞれ視覚化や体験を通じて形成される「個別的可視性」と公論化を通じて形成される「社会的可視性」を持つことを確認した。このような議論に基づき、本研究は、日本の大衆にとって当時の朝鮮通信使は交流や直接的または媒介的な可視化を通じて朝鮮文化の先進性や交流の重要性、また異国性を認知させる可視的なイベントであったことを確認した。また、朝鮮通信使に関する「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は、日韓間の共同事業において朝鮮通信使に対する共同の記憶と両国の協働、またスポーツや人的交流といったその他のテーマを可視化することにより、共同の記憶を一層堅固に共有しつつ、日韓の友好関係に対する認識を共有していることを明らかにした。 結局、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は伝統的外交を代替するものではなく、それを補完するものに過ぎないが、本研究の結果は、現在の外交環境の中で長期的な観点から国民間で友好的な関係と相互認識を構築する上で多くの示唆点を有する。特に、先人たちの積み重なる努力にもかかわらず依然として過去に関する問題が障害となっている日韓関係において朝鮮通信使は両国の貴重な財産であり、両国は国民の認識を形成する多様な問題の根本的解決を模索しつつも、「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を積極的に推進し、安定的で前向きな両国関係および相互認識を構築していくべきである。

      •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통합교육과정의 방향성 연구 :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성명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5172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truct a world citizenship curriculum. To build a world citizenship curriculum, this research will identify the factors for an appropriate and comprehensive world citizenship curriculum. In other word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build a curriculum that provides a universal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world citizen. One must first define the concept of world citizenship. What is world citizenship, and how can we build this? Many researchers say that fostering world citizenship is done through the building of empathy, the understanding of others. In other words, the 21st century leader is taught by fostering his sense of world citizenship with empathy for those around the globe, not just those from his own country. This research analyzes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IB) curriculum that is used in international schools to look at how the world citizenship curriculum is implemented. Five curriculum coordinators and five teachers at schools with the IB curriculum were interviewed, with the interviews recorded and transcribed. Twenty students were also interviewed to analyze the academic effects of the curriculum and the notion of world citizenship as perceived by the students.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is made up of recent high school graduates who have finished the IB curriculum. Their interviews were used to research and analyze the positive effects as well as the shortcomings of the IB curriculum. The second group is made up of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IB curriculum in high school, and who can analyze the pros and cons of the curriculum by comparing it with their experience in college. They are adults who have the ability to understand what is required in a college and professional setting. Through detailed interviews with them, the research identified the diverse qualities that are required in the modern society and analyzed the curriculum that can best meet such needs. Classroom activities were recorded to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effects of fostering world citizenship through such activities. Finally, a new curriculum model was presented, to provide a directional guidance for building an integrated curriculum that fosters world citizenship. Martha C. Nussbaum(1996, 1997, 2010), Derek Heater(1984, 1990, 1996, 2007)’s world citizenship research was used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is research, and Susan Drake and Rebecca Burns’ (2004) integrated curriculum theory was applied to analyze the IB curriculum used at international schools around the world. Lynch’s (1987, 1989) six factors on world citizenship education was used as the standard. Chapter 2 analyzed the criteria of world citizenship education on a theoretical basis, focusing on Lynch’s factors. On such theoretical basis, this research analyzed diverse world citizenship curricula in the fields of development, environment, human rights, multicultural, peace, and international education. For a more diverse analysis, the research also compared world citizenship with Hur Young-sik’s research on diversity. Chapter 3 analyzed the IB curriculum in detail. Chapter 4 laid out the research subject and the research method. Chapter 5 analyzed the IB curriculum of international schools in detail, and categorized curriculum to educator- or student-based through interviews. Based on the interviews, the curriculum’s effectiveness in cultivating world citizenship and its comprehensiveness was analyzed. In particular, the curriculum’s characteristics were dissected to determine which were particularly effective in fostering world citizenship. Interviews with the curriculum coordinator, educator, and students were analyzed. This analysis looked at how each coordinators’ individual history influenced their interpretation of the world citizenship curriculum. Through their experience and knowledge, the research looked at what kind of curriculum was optimal, and analyzed the attitudes of the educator and the student in responding to the curriculum and its results. Also, through interviews conducted with the students, the research looked at the students’ recognition of world citizenship and the integrated concepts of the curriculum. Also, through the recording of a class that exemplified the world citizenship curriculum, the research looked at how the curriculum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mentioned above. The research looked at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 and teachers and analyzed its effectiveness. The research built measures to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and laid out directional guidelines for the future. Chapter 6 laid out a model for an integrated curriculum that fosters world citizenship. While there have been researches on world citizenship or integrated curriculum, a study that connected the two together could not be found. It is the aim of the IB curriculum to integrate those two ideas.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to show a directional guideline to foster world citizenship and build an integrated curriculum. Its meaning is in using the methodology of other research on world citizenship curriculum to analyze how the curriculum used at international schools emphasized fostering world citizenship. Key words:World Citizenship, Curriulum Criteria, Integrated Curriculum, Building Narrative Analysis, IB Curriculum(International Baccalaureate Curriculum),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World Citizenship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교육과정 구축에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세계시민성 교육과정 방안을 통합적 교육과정의 구성요소와 함께 제시하는데 있다. 세계시민성을 함양하는 보편적이고 통합적인 학문을 위한 교육과정을 연구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를 위해 우선 세계시민성이 무엇인지 정의하고 세계시민성을 함양하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논의되어야 한다. 다수의 학자들은 자신의 이익만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타자를 이해하고 공감 능력을 기르는 교육이 세계시민성을 함양하는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자국만을 이해하는 독단적인 인간형이 아니라 전 지구적인 공감능력을 가진 세계시민성을 함양하는 것이 21세기 차세대 지도자를 기르는 방식이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 각지의 국제학교나 외국인학교에서 주로 활용하고 있는 교육과정인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교육과정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세계시민성 교육과정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IB 교육과정을 실시하고 있는 국제학교의 교육과정 설계자 5명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내용을 녹음·전사하여 구축한 구어 담화 자료를 통해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학습자 20명과의 심층면담도 실시하여 학습자들이 세계시민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심층면담은 학습자 군을 두 집단으로 나눈 뒤 실시하였다. 첫 번째 집단은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학습자 군으로 IB 교육과정을 마친 학습자들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IB 교육과정의 장점 및 보완점 등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두 번째 집단은 이미 고등학교에서 IB 교육과정을 체험하고 대학과정에서 자신의 경험을 통해 IB 교육과정의 장점과 단점을 판단할 수 있는 학습자들이었다. 이들은 이미 성인이 된 학습자 집단으로 대학교육과 전문 집단에서 필요로 하는 요구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었다. 이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현대사회에서의 다양한 요구와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또한, 교실수업 활동을 녹화한 자료를 바탕으로, 학습자와 교수자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세계시민성 함양의 효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새로운 교육과정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의 주제인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와 이를 위한 통합교육과정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artha C. Nussbaum(1996, 1997, 2010)과 Derek Heater(1984, 1990, 1996, 2007)의 세계시민성에 관한 연구를 이론적 토대로 삼았다. 이에 Susan Drake and Rebecca Burns(2004)의 통합교육과정 이론을 적용하여 세계시민성 교육과정을 통합교육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세계 각지의 국제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IB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특히 세계시민성 분석을 위해서는 James Lynch(1987, 1989)의 6가지 세계시민교육의 내용 항목을 준거 기준으로 삼았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세계시민성 교육과 이를 뒷받침하는 6가지 세계시민성 준거 기준을 중심으로 한 세계시민성 교육 항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전체 교육과정의 분석은 이러한 준거 기준을 중심으로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하고 보편적인 세계시민성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개발교육, 환경교육, 인권교육, 다문화교육, 평화교육, 국제이해교육 등의 측면에서 각 교육과정이 어떠한 항목을 활용하고 있는지 점검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석을 위해 허영식(2004, 2017)이 제시한 다양성과 세계시민성 교육 간의 연관성을 비교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외국인학교/국제학교의 교육과정인 IB 교육과정을 자세히 분석하였고, 4장에서는 연구 대상 및 방법을 기술하였다. 5장에서는 연구 대상인 외국인학교/국제학교 서울시 연희동에 소재한 ⌜서울외국인학교⌟의 교육과정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본 논문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학습자 면담, 교수자 면담, 그리고 교육과정의 분석 등은 2014년 8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수집된 것이다. 학교의 이름은 A 외국인학교로 통일하여 기록한다(본 논문 <부록 1>, p.185 참조). 의 IB 교육과정을 토대로 교육과정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와 동시에, 심층 면담을 통해 교수자 또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분류하였다. 이는 교육과정의 목표인 세계시민성 함양과 통합적인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IB 교육과정에서의 각 과목의 특성과 함께 교육과정의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특히 교육과정의 특성을 상세히 분석함으로써, 세계시민성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활용 요소를 살펴보았다. 또한, 교육과정 설계자, 교수자 및 학습자와의 인터뷰를 심층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 교육과정 설계자의 개인사가 세계시민성 교육과정의 해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들의 경험과 지식을 토대로 어떠한 교육과정 설계가 바람직한지, 교수자와 학습자가 어떠한 방식의 태도를 취하고 학습결과를 인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IB 교육과정의 특성에 따른 세계시민성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학습자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세계시민성의 인식 정도와 교육과정의 통합구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세계시민 교육과정이 잘 드러난 수업과정을 녹화하였다. 이 담화구축 자료를 통해 교육과정이 어떠한 방식으로 위에서 언급된 특성을 잘 활용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와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으로 교육과정의 특성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안과 함께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하여 바람직한 통합교육과정의 방안을 모색하는 교육과정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세계시민성이나 통합교육과정을 다룬 선행연구들은 있었지만, 이 두 가지 영역을 연관 지어 살펴본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민성을 활용하면서 때로는 과목 간, 학년 간 그리고 두 가지를 통합한 교육과정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즉, 세계시민성과 통합교육의 측면 두 가지 개념을 통합하여야 한다는 것이 바로 IB 교육과정의 목표라 할 수 있다. 세계시민성을 함양하고 통합적인 교육과정을 구축하는 방향성 제시가 본 연구의 핵심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세계시민성 요소를 분류하였다. 또한, 국제학교의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내용 중 중요 요소를 분석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이들 교육과정의 통합을 통해 세계시민성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구축하고자 노력한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한중 드라마에 재현된 전문직 여성의 딜레마 : <미스티>(한국)와 <逆流而上的你>(중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GAO YUAN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727

        이 논문은 한국 드라마 <미스티>(2018.2.2.~2018.3.14.방영)와 중국 드라마 <逆流而上的你(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당신)>(2019.2.12.~2019.3.10.방영)을 대상으로 드라마에 재현된 21세기 여성의 딜레마에 대해서 고찰하고 한중 여성이 당면한 문제적 현실에 대한 드라마적 재현 양상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적으로 한국과 중국 등 아시아국가에는 유가 사상이 문화적 배경으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남존여비라는 의식이 성 역할에도 지배적인 영향을 미쳤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여성상은 바뀌었지만 여전히 기층문화에서는 이러한 인식의 잔재가 남아있다. 드라마는 실생활의 현실적 양상에 기반하고 있는 동시에 당대의 문제적 사회현상과 핵심 문제를 다룸으로써 문화적 공존에 대한 토의 구조를 제안하기도 한다. 한국 드라마 <미스티>와 중국 드라마 <逆流而上的你(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당신)> 는 현대 한국과 중국의 여성들이 직장 생활을 하면서 직면하고 있는 일련의 문제들과 어려움들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한편, 여성인물이 직장생활에서 부딪치는 정체성의 충돌과 직업, 재현된 사회의 문제를 재현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취지에 부합한다. 이 논문에서는 전문직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한국과 중국의 드라마 두 편을 택하여, 여주인공이 안고 있는 직장 딜레마, 생활가정 딜레마, 인간관계의 딜레마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해당 문제에 대해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때 한국과 중국 드라마의 서사와 여주인공의 인물 분석에 주목함으로써, 전문직 여성이 당면하는 딜레마의 양상, 해결과 극복 과정, 그에 제한 사회의 대응의 차이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제2장에서 한국 드라마 <미스티>와 중국 드라마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당신> 두 드라마의 주요내용을 먼저 설명하고 두 드라마의 여주인공(한국 드라마 <미스티>의 여주인공 고혜란과 중국 드라마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당신>의 여주인공 유애)의 이미지를 분석했다. 드라마에 재현된 인물형상, 인물관계, 성장배경, 가정생활 그리고 사업 활동에 대해서 정리 비교하고 그 속에서 전문직 여성의 딜레마를 반영하는 모순점을 찾아냈다. 제3장에서는 주로 전문직 여성에 대해서 드라마 속에 반영된 직장과 생활의 딜레마를 고찰하고 분석했다. 드라마에서 재현된 전문직 여성의 “젠더”의 딜레마, “성공”의 딜레마 그리고 “관계”의 딜레마 세 가지를 통해 드라마 속 여주인공이 전문직 여성으로서 겪는 딜레마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드라마에 반영된 실제 사회현상을 고찰하고 분석한다. 첫째, “젠더”의 딜레마를 통해 전문직 여성의 외모, 고학력 그리고 가정과 전문직의 양립 등 문제를 반영한다. 둘째, “성공”의 딜레마를 통해 성공여성이 당면한 어려움, 성공여성의 표준, 성공한 여성에 대한 사회적 시각과 편견 그리고 "성공"이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분석하고 설명한다. 셋째, “관계”의 딜레마를 통해 동료관계, 부부 관계에 대해서 전문직 여성의 선택과 당면한 문제점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양 국가의 드라마 속 인물을 통해서 한국과 중국의 전문직 여성의 딜레마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되, 그러한 드라마적 상상력을 공감 가능한 것으로 만드는 사회, 문화적, 전통적 배경을 아울러 탐색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직 여성을 다룬 보다 다양한 드라마 텍스트를 분석하고, 사회적 변화 요소를 역동적으로 고려한다면, 한국과 중국의 여성의 사회적 성취에 대한 사회적 상상력의 추이를 보다 정밀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based on the characters in Korean TV series “Misty” (2018.2.2~2018.3.14) and Chinese TV series “Unbeatable You” (2019.2.12~2019.3.10), explores the situation that women are in a dilemma in the 21st Century and discusses the issues both Korean and Chinese women are facing with in daily life. Traditionally in Asian countries like South Korea and China, the incorrect idea of female inferiority is still affecting people's minds since Confucianism is in the leading position in their literature.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the position of women in the society has been changed, but there are still remnants of this understanding in the grassroots culture. Based on the realistic form of real life, The TV series puts forward the discussion structure of cultural coexistence by combining social phenomena and core issues of contemporary issues. The Korean TV series “Misty” and the Chinese TV series “Unbeatable You” reflect a series of problems and difficulties faced by modern Korean and Chinese women in their workplace. In this paper, two TV series with professional women as the protagonists from South Korea and China are selected to consider relevant issue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heroine's workplace dilemma, life and family dilemma,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lemma and so on. In the meantime, We might as well focus on the narrative and character analysis of Korean and Chinese TV dramas to examine the dilemmas faced by professional women, the process of solving and overcoming them, and the differences in limiting social responses. In the 2nd chapter, the main contents of the Korean TV series “Misty” and the Chinese TV series “Unbeatable You” are introduced firstly, as well as the analysis of heroines in two TV series. Sorts out and compares the characters' personalities, relationships, growth background, family life and career activities in the TV series, and finds out the contradictory points reflecting the dilemma of professional women. The 3rd chapter mainl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dilemma of career and life of professional women reflected in TV series. Through the “gender” dilemma, “success” dilemma and “relationship” dilemma of professional women presented in the TV series, analyzes the dilemma experienced by the heroine of the TV series as a professional woman, and the actual social phenomenon reflected in the TV series. First, through the “gender” dilemma,reflects the professional women's appearance, high education and family career coexistence issues. Second, through the dilemma of “success”, analyzes and indicates the difficulties faced by successful women, the standards of successful women, the social perception and prejudice against successful women and the negative impact of “success”. Thirdly, through the dilemma of "relationship", professional women's choices and problems can be refle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agues and couples.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lemma of Korean and Chinese professional women through the characters in TV series of the two countries, which is of great significance.

      • 해방 이후 재일조선인 사회의 '조국'관 형성 : 제주4.3사건이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강전우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71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orm factor of the 'Perspective of Mother Country' of Korean Japanese society. Perspective of Korean Peninsula refers to the views and feelings the Korean Japanese look at Korean Peninsula on the premise that North and South Korea's national ideologies had an impact on the formation of national ego of them. First, Chapter 2 has described the state of a period of Korean peninsula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right and left conflict to the establishment of Korean government. Chapter 3 has stressed that Jochongnyeon was firmly situated in the center of the power of the Korean Japanese society that accomplished its organizing earlier than Mindan along with thorough clearing of the proJapanese groups. Jochongnyeon and Mindan are two Korean Japanese organizations formed after the Liberation. In addition, it was examined how GHQ and Japan consider the Korean Japanese society focusing on the immigration control systems, Omura POW Camp, and the restriction of national education. Chapter 4 described the main point of this study: Perspective of Korean Japanese society on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of the exclusion policy of Japan where the colonialism remained deeply rooted due to the fail of the past liquidation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nation-state after the war, Korean Japanese reject the assimilation to the country of Japan and strengthened the belongingness to their motherland. Jeju 4.3 Incident shocked the Korean Japanese society that had many people from Jeju Island. The impact has switched the Korean Japanese society to 'pro-North consciousness' that gave legitimacy as a nation to North Korea due to their fear, disappointment and repulsion against the Korean government. The Korean government carried out a thorough deception policy in terms of anti-communist to the Korean Japanese who showed pro-North incl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North Korean government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 the Korean Japanese society, by such as sending a huge education funding, so such contrasting Korean Japanese policies between North and South governments had locked the anti-South and pro-North tendencies of the Korean Japanese society. The repatriating business that started in 1959, however, made the Korean Japanese doubt North Korea and made them leave the Jochongnyeon organization in considerable numbers. Afterwards they strengthened the unity orientation that claimed that only the unified motherland that overcomes the division would be their motherland. The Korean Japanese who has the above-mentioned perspective on the Mother Country can be called the beings filled with many problems to get rid of in the future, including the history of persecution perpetra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anti-communist nation in South Korea, North Korea's dictatorship, still ongoing Cold War ideology, and Japan's colonialism and history awareness. Their presence will give implications in the thought of the overcoming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nature of the past liquid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n countries and Japan. 본 논문은 해방 이후 재일조선인 사회의‘조국’관의 형성 요인을 논증하였다. 여기에서 언급한 조국관이란 재일조선인이‘남북한의 경계가 없는 한반도’를 ‘자신이 귀속하는 곳’으로 인식하는 관념이다. 이와 같은 관념은 해방 이후 남북 국가의 냉전이데올로기가 그들의 민족적 자아 형성에 영향을 주면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는 자연 발생적인 민족정체성과는 달리 지극히 수동적적이며 유동적인 성질을 갖고 있다. 또한, 조국관으로 표현되는 '조국'은 냉전 분단 체제가 계속되는 현재 한반도와는 일치하지 않다는 것을 정의할 수 있다. 일본에서 해방을 맞이한 재일조선인은 해방 민족으로서의 자립 및 그 사회의 질서 안정을 목적으로 각종 민족 단체를 결성해 나갔다. 그중에서도 재빨리 조직 구성에 성공한 좌파의 조련은 철저한 친일파 청산과 민족학교 설립을 실현하여 재일조선인 사회의 중심 세력의 위치를 확고히 하였다. 그러나 식민주의가 뿌리 깊게 남은 일본과 반공이데올로기를 내세운 미국은 재일조선인을 국민국가 형성 과 전후 세계 질서 구상의 걸림돌로 인식하여 배제 정책을 실행해 나갔다. 이처럼 일본 사회에서 내적 경계가 획정되는 가운데 재일조선인은 일본으로의 동화를 거부하여 조국에 대한 귀속의식을 강화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들의 조국인 한반도는 해방과 동시에 좌우 대립 혼란에 빠져 1948년 8월에는 재일조선인의 고향인 이남 지역에서 이승만 정권에 의해 한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승만 정권은 친일파를 청산하지 않았고, 조국 분단을 결정지은 단독 정부 수립을 자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민중의 반발은 컸다. 이와 같은 반발을 국가 권력으로 억압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 제주4.3사건이었다. 이 학살을 피하여 5,000명이 넘는 제주도민이 일본으로 밀항하여 제주도 출신자가 다수 차지하였던 재일조선인 사회는 충격을 받았다. 이 충격은 재일조선인 사회의 한국 정부에 대한 공포, 실망, 반발을 높임과 동시에 국가로서의 정당성을 북한에 두는 '친북의식'으로 전환되었다. 친북적인 성향을 보인 재일조선인을 한국 정부는 반공의 측면에서 철저한 기민 정책을 수행하였다. 한편 북한 정부는 재일조선인 사회에 막대한 교육비를 지원하는 등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남북 정부의 대조적인 재일조선인 인식은 재일조선인 사회의 반한, 친북 경향을 고정하였다. 1959년에는 재일조선인 북송사업이 시작되어 당시 재일조선인 전체 수의 10%에 해당하는 약 9만 명이 북한으로 귀국하였다. 90% 이상이 한반도 남부지역 출신자인 재일조선인이 북부지역에 수립된 북한으로 귀국하였다는 것은 한국 정부가 재일조선인에게 준 실망감이 얼마나 컸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귀국사업을 주도한 조총련은 조련의 후계 조직으로 북한에 대한 절대적 충성을 보이는 국가 내셔널리즘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귀국자들을 통해 전해져오는 북한 내부의 실상은 주체사상에 대한 의심을 품게 하여 재일 조선인의 친북 의식을 점차 약화시켰다. 결과 한국과 북한의 두 국가 체제 어느 곳에도 귀속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한재일조선인은 통일된 조국을 강하게 지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조국관은 현재 '조선적'이라는 국적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일본에 귀화하지 않은 약 36 만 명의 재일조선인 중 약 10 %가 이 조선적 소지자이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조선적 재일조선인을 재외동포로 인정하지 않고, 여권의 발급은커녕 한국으로의 입국 자체를 제한하고 있다. 이는 재일조선인의 조국관이 형성 요인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이해하는 것은 제주4.3사건을 비롯한 한국 정부 수립 과정에서 자행된 역사의 진정한 청산이다. 또한, 일본 정부도 조선적 재일조선인을 무국적자로 간주하는 행정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그들은 법적으로 불리한 지위에 있다. 이러한 일본의 자세는 재일조선인이라는 소수자집단의 발생 요인이 일제 식민지 지배와 전후 일본의 재일조선인 배제 정책에 있다는 역사 인식 부족을 보이는 것이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가 집약된 재일조선인의 조국관에서 찾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은 일본과 한국이 과거 역사를 직시하여 이해와 신뢰라는 상호 관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메타버스 안에서/통해서 관계 맺기 : <제페토> 플랫폼 이용자 분석을 중심으로

        김하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711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문화의 일상화와 함께 인터넷과 모바일을 대체하는 미래 미디어 산업의 핵심어로 부상하면서 주목받은 메타버스가 앞으로의 모습을 변화시킬 것이지만 결코 새롭거나 갑작스럽게 등장한 개념이 아니라는 것은 최근 진행된 수많은 연구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제 단순하게 ‘메타버스란 무엇인가’, ‘메타버스의 특성은 무엇이며 이를 통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등 특정 주제나 내용보다는 삶의 일부이자 실체로서 현실에 개입되는 형식에 주목해야 할 때이다. 이때 근본적으로 결국 누가 그곳에서 어떠한 행위를 하는가라는 ‘사람’의 문제로 귀결되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에 주목하였다. 메타버스라는 개념에서 핵심 요소로 언급되고 있는 아바타를 통해 이용자가 맺고 있는 다양한 관계를 살펴보면서 기존의 인터넷과 SNS 등 다양한 사이버공간에서의 정체성 형성 과정과 사회적 관계 양상을 적용·비교함으로써 메타버스에서 이용자가 가지는 ‘나’의 의미를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AI, 빅데이터, 메타버스 등의 용어로 대변되는 동시대의 디지털 환경 속에서 아바타를 매개한 인간 간의 상호작용이나 아바타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드러나는 새로운 방식의 복합적인 인간-아바타-미디어환경의 양상을 그려본다. 메타버스를 미디어의 발전과정으로 이해하고자 한 본 연구에서는 SNS를 포함하는 기존의 사이버공간과 메타버스의 모습이 동시에 존재하는 국내 대표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그 안에서의 관계 대상을 ‘나’, ‘아바타’, ‘환경’ 3가지로 나누어 이들이 맺는 각각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자 디지털 에스노그라피와 13명의 심층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제페토> 내에서 이루어지는 관계를 나-아바타, 아바타-아바타, 아바타-환경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관계를 정체성, 상호작용성, 가상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제페토>에서 시각화된 이미지의 폭넓은 선택과 함께 현실과 이어지는 아이템의 구매, 그리고 보다 자유로운 행위가 가능해지면서 이용자들이 능동적이고 창조적으로 자신과 마주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3차원 공간은 물론, 다양한 채널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면서 타인과 커뮤니케이션하고, SNS에 일상적인 모습을 게시하는 등의 모습에서 대면과 비대면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 양상이 이용자들의 선택에 의해 혼합적으로 나타났다. 이때 이용자들은 상황에 맞춰 적절한 반응을 보이고 지속적인 상호작용으로 친밀도가 높아지면서 자신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을지라도 점차 타인과의 관계는 강화되었다. 한편 <제페토>에서 기존의 사이버공간과 유사하게 전개되는 양상과 기술은 메타버스가 단순히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만 치부할 수는 없음을 의미한다. 이용자들은 <제페토>가 만들어 놓은 매개 방식에 의해 통제를 받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을 통해 입체적으로 정체성을 형성하고 사회적 관계를 맺어가면서 메타버스라는 하나의 새로운 세계에서 의미를 형성·부여하고 일상을 영위해나가고 있었다. 이때 상호수동적 현상이 발생하였는데 이용자들은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즐거움을 위해 다시금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주체가 된다. 이를 통해 아바타와 메타버스를 통해서 관계를 맺는 동시에 메타버스라는 하나의 세계 또는 세상 안에서 상호작용하며 살아가는 이용자들의 모습은 다층적이고 중첩적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는 탈현실화의 추구와 함께 자본주의 사회에서 수동적·소비적 주체로 머물고 싶지 않다는 욕구, 가상적인 것에 대한 적극적 수용 양상을 포괄적으로 띠게 되면서 현대인이 추구하고자 하는 바와 문화적 현상으로 연결되고 있었다. Since non-face-to-face culture has been a norm due to COVID-19 crisis, the metaverse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keyword in the future media industry that replaces the Internet and mobile. Through numerous recent studies, we can see that the metaverse will change its future trajectory, but this is not a new or sudden concept. Now is the time to pay attention to the form of intervening in reality as a part of life and a substance rather than as specific topics or contents such as "what is a metaverse" and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a metaverse and what can be done through it?" This study focused on the user because it essentially results from the question of the 'people' who does what there. Through avatars, which are mentioned as key elements in the concept of the metaverse, this study looked at the various relationships that users have. Also, tried to find the meaning of "I" of user on the metaverse by applying and comparing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es and social relationship patterns in various cyberspace such as the Internet and SNS. In the contemporary digital environment represented by terms such as AI, big data, and metaverse, this study depicts a new type of complex human-avatar-media environment revealed through human-to-human interaction or avatar interaction.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metaverse as a media development process, the most representative metaverse platform in Korea "ZEPETO", which has both the existing cyberspace such as SNS and the appearance of metaverse,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Digital ethnography and in-depth interviews of 13 people were conducted to analyze each relationship by dividing the subject of the relationship into three categories: 'I', 'Avatar', and 'Environment'. The relationship within <ZEPETO> was classified into I-avatar, avatar-avatar, and avatar-environment, and each relationship was analyzed focusing on identity, interactivity, and virtuality. Through research, users had an opportunity to face themselves actively and creatively as they were able to purchase items and act more freely, along with the wide selection of visualized images in "ZEPETO". In addition, the interaction patterns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ommunication were mixed by the choice of users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as well as various channels, communicating with others, and posting daily appearances on SNS. At this time, users responded appropriately to the situation and increased intimacy through continuous interaction, gradually strengthening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s even if they did not directly reveal themselves. It could be seen that the metaverse cannot be simply dismissed as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with the patterns and technologies that are developed similar to the existing cyberspace in <ZEPETO>. Users were controlled by the mediation method created by ZEPETO, but nevertheless, they were forming meaning, giving meaning, and running their daily lives in a new world of the metaverse by forming identities and forming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various forms of interaction. At this time, a mutual passive phenomenon occurred, and users turn into active subjects for the pleasure that they have experienced. Through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users who have a relationship through avatar and the metaverse while interacting in a single world are developing multi-layered and overlapping. Along with the pursuit of de-realiz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esire not to remain a passive and consumptive subject in the capitalist society and the active acceptance of virtual things were comprehensively taken, leading to what modern people wanted to pursue as cultural phenome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