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규조류의 active micro-locomotion을 이용한 의치 세정 효과에 관한 연구

        장혜린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375

        본 연구의 목적은 규조류 복합체의 active micro-locomotion을 이용한 의치 세척력 효력을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치∙치아교정기 세정제 효력평가법 가이드라인에 의거하여 평가하고, 기존 의치세정제들과 비교하여 세정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상용되는 의치 세정제를 제조하는 회사들은 의치를 세정액에 담근 후 기계적 칫솔질을 동반하여 세척할 것을 권고하는데, 거동이 불편한 고령의 환자들이 스스로 이를 시행하기는 어려우며 요양병원과 같은 집단거주시설에서 개별적인 의치의 기계적 세정을 기대하기는 힘든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self-motile이라는 독특한 특성을 가진 이산화망간(MnO2)을 코팅한 규조류 복합체를 의치 세정에 적용하여 기계적, 화학적 세정의 효과를 동시에 얻어보고자 하였다. 인공타액은 American National Standard/American Dental Association Specification No. 41 Recommended Standard – Practices for Biological Evaluation of Dental Materials에서 제시한 조건에 따라 조제한 후, 세포 배양용 96-well plate에 100 µL씩 분주하여 50 ± 2 ℃의 건조기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흡광도의 범위가 0.4 이상의 값이 되면 양성대조군(10~15% NaOCl), 음성대조군(증류수), 실험군들(규조류 복합체 A(Aulacoseira, MnO2-polydopamine (PDA)-A), 규조류 복합체 M (Melosira nummuloides, MnO2-chitosan(CS)-M), Polident (Polident 5minutes quick plus, GlaxoSmithKline, Dungarvan, Ireland), Dentfix-forte (Helago-Phama GmbH&Co., Parchim, Germany), 아리수(서울시 수돗물), 정수기물을 준비하였다. 규조류 복합체 A, M군들은 다시 규조류 함량과 과산화수소 농도에 따라 A1, M1(규조류 2mg/ml, 3% H2O2), A2, M2 (규조류 2mg/ml, 6% H2O2), A3, M3 (규조류 4mg/ml, 6% H2O2) 군으로 세분화하였다. 인공타액이 건조된 96-well plate에 실험액을 100 µL씩 분주하고 25 ± 2 ℃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검사액을 버리고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 후 microplate reader로 흡광도(OD 600)를 측정하였다. 세척률은 아래 방법에 따라 계산하였고,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세정제 효력평가법 가이드라인에 따라 70% 이상이면 ‘세척력 효력’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세척률은 양성대조군(10~15% NaOCl)에서 93.8±1.0%, 음성대조군(증류수)에서 79.1±1.5%로 나타났고, 규조류 복합체 군들에서는 A1 79.8±4.5%, A2 64.7±5.5%, A3 81.9±7.9%, M1 88.5±3.6%, M2 75.8±4.0%, M3 84.5±4.5%로 나타났다. 나머지 실험군들에서는 Polident 88.2±1.2%, Dentfix-forte 83.3±3.0%, 정수기물 81.0±3.4%, 아리수 77.9±2.1%로 나타났다. A2를 제외한 모든 군들에서 70% 이상의 세척률을 나타내어 세척력 효력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양성대조군을 제외한 군들 중 M1이 88.5 ± 3.5%로 세척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F=190.141). 세정 효과의 군간 비교를 위해 SPSS 29.0(SPSS, Chicago, IL, USA)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one-way ANOVA 와 Bonferroni correction으로 사후검정을 시행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p<0.05). 규조류 복합체의 active micro-locomotion을 이용한 세정 효과가 시판중인 의치 세정제에 상응하는 결과를 보이므로 세척력 효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보다 높은 세정 효과를 위한 최적의 적용 조건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denture cleaning effects of diatom complexes, which employ active micro-locomotion in the cleaning process. The study aimed to quantify and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diatom complexes as conventional denture cleaning agents using th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s Denture & Orthodontic Appliances Cleaning Agents Assessment Guidelines, ultimately attempting to produce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cleaning effects of diatom complexes versus conventional denture cleaning agents. Manufacturers of conventional denture cleaning agents recommend a two- step cleaning process of first immersing the denture in the chemical cleaning solution followed by rigorous manual brushing. However, such instructions that require repeated physical labor are inaccessible to denture users such as elderly patients who experience partial or complete loss of mobility, or residents of group care facilities like nursing homes, where detailed brushing by hand for each individual denture may not be an option. In seeking to reform existing denture cleaning methods by making denture cleaning accessible to everyone, this study aimed to merge the chemical and manual steps of existing denture cleaning methods into a one-step process by incorporating diatom complexes, as the complexes’ manganese dioxide (MnO2) coating enables them to be uniquely ‘self-motile’. To conduct the study, artificial saliva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suggested by the American National Standard/American Dental Association Specification No. 41 Recommended Standard – Practices for Biological Evaluation of Dental Materials and distributed into 96-well cell cultivation plates with 100 µL of prepared saliva in each plate. The specimens were then dried in a drying machine at 50 ± 2 ℃ for 12 hours. When the Optical Density(OD) range value came to 0.4 or higher, the following materials were prepared: a positive control group (10~15% NaOCl), a negative control group (distilled water), experimental groups of diatom complex A (Aulacoseira, MnO2-polydopamine(PDA)-A), diatom complex M (Melosira nummuloides, MnO2-chitosan(CS)-M), denture cleaning agent Polident (Polident 5minutes quick plus, GlaxoSmithKline, Dungarvan, Ireland), denture cleaning agent Dentfix-forte (Helago-Phama GmbH&Co., Parchim, Germany), Arisu (tap water in Seoul), and purified water. The experimental groups “diatom complex A” and “diatom complex M” were further split into a total of six subgroups based on diatom content and hydrogen peroxide concentration: test groups A1 and M1 (diatom 2mg/ml, H2O2 3%), test groups A2 and M2 (diatom 2mg/ml, H2O2 6%), and test groups A3 and M3 (diatom 4mg/ml, H2O2 6%). A 100 µL sample of each group was distributed into the 96-well plates containing dried artificial saliva, and the reactions were induced at 25 ± 2 ℃ for 10 minutes. After the reaction, the test solutions were disposed of and the plates were cleaned with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then measured for Optical Density (OD 600) with the microplate reader. The cleaning rates were calculated using the formula below. This study awarded the test group with having “potent cleaning power” when the group scored a cleaning rate of 70% or higher on th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s guidelines. A comparative comprehension of cleaning rates between groups was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s program SPSS 29.0(SPSS, Chicago, IL, USA), followed by a thorough review of the study’s statistical significance using one-way ANOVA and Bonferroni Correction (p<0.05).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average cleaning rate of the positive control group (10~15%, NaOC1) was 93.8±1.0%, while the negative control group (distilled water) had a cleaning rate of 79.1±1.5%. Among the diatom complex test groups, the cleaning rates measured at 79.8±4.5% for A1, 64.7±5.5% for A2, 81.9±7.9% for A3, 88.5±3.6% for M1, 75.8±4.0% for A2, and 84.5±4.5% for M3. The remaining test groups each displayed cleaning rates of 88.1±1.2% for denture cleaning agent “Polident”, 83.3±2.9% for denture cleaning agent “Dentfix-forte”, 77.9±2.1% for tap water “Arisu”, and 81.0±3.3% for purified water. All groups except diatom complex test group A2 (Aulacoseira, MnO2-polydopamine (PDA)-A, diatom content 2mg/ml, H2O2 concentration 6%), displayed cleaning rates of 70% or higher; therefore, all groups except test group A2 qualify for having "potent cleaning power” as previously defined within this study. Diatom complex test group M1 (Melosira nummuloides, MnO2-chitosan (CS)-M, diatom content 2mg/ml, H2O2 concentration 3%) had the most powerful cleaning rate of 88.5 ± 3.5% following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group (F=190.141).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diatom complexes that employ active micro-locomotion cleaning exhibit cleaning rates similar to if not higher than conventional denture cleaning agents, thus enabling the conclusion that diatom complexes possess potent cleaning power that can be harnessed to improve the denture cleaning process. Further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pin down the specific optimal conditions that diatom complexes require for peak performance as a cleaning agent and maximum cleaning effect.

      • 탄성 교합 인기재의 유변학적 성질에 대한 온도의 영향 :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elastomeric interocclusal recording materials

        임수진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375

        이 논문의 목적은 섭씨 21도와 33도에서 탄성 교합 인기재 (7 polyvinylsiloxane and 1 polyether)의 유변학적 성질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 실험에 사용된7개의 polyvinylsiloxane재료는 Blu-Mousse (Parkell), O-Bite (DMG), Stonebite (Dreve), Exabite II (GC), Silagum (DMG), Imprint Bite (3M ESPE)과Registrado X-tra (VOCO)였으며, 1개의polyether는 Ramitec (3M ESPE)을 사용하였다. Universal dynamic spectrometer (Model MCR 301; Paar Physica, Stuttgart, Baden-Wüttemberg, Germany)를 사용하여 21도와 33도에서 재료 혼합 후 30초부터 300초까지storage modulus (G')와 loss factor (tanδ) 가 측정되었다. 모든 자료는 one-way ANOVA와 multiple comparison Scheffé test를 통해 분석되었으며, 유의수준은 P < 0.05였다. 본 연구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탄성 교합 인기재들은 온도에 민감한 점탄성을 보였다. 33도에서의 G′ 값은 21도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다. 2. Polyvinylsiloxane과 polyether의 storage modulus G'와 loss factor tanδ 값은 21도에서 유의성 있게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33도에서는 Stonebite (PVS)와Registrado X-tra (PVS)는 Ramitec (PE)에 비해 높은 G′ 값을 나타내었다. 3. 7개의polyvynylsiloxane 재료 중 Stonebite와 Registrado X-tra가 현저히 높은 G′ 값을 보였다. Blu-Mousse, O-Bite, Exabite II, Silagum와 Imprint Bite 는 유의할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탄성 교합 인기재는 서로 다른 유변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온도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또한 storage modulus G'와 loss factor tanδ 두 값을 이용해 재료의 강도, 점도와 경화 양상을 비교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compare rheological properties of 8 elastomeric interocclusal recording material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during setting. Material and methods. 7 polyvinylsiloxane material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re Blu-Mousse (Parkell), O-Bite (DMG), Stonebite (Dreve), Exabite II (GC), Silagum (DMG), Imprint Bite (3M ESPE) and Registrado X-tra (VOCO). 1 polyether was Ramitec (3M ESPE). The strorage modulus (G') and the loss factor (tanδ) were measured from 30s after mixing during setting, using the universal dynamic spectrometer (Model MCR 301; Paar Physica, Stuttgart, Baden-Wüttemberg, Germany). Viscoelastic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means of G' and tanδ from 5 repeats at 21°C and 33°C. Individual changes during setting were also evaluated.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multiple comparison Scheffé tes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Results. The mean of G′ (solid-like hardness) was checked at tset (the setting time provided from manufacturer) and t300 (the end of experimental time) and the mean of tanδ (liquid-like fluidity) was checked at t0 and tset. The G' at tset ranged from 0.01 (±0.01) MPa for Ramitec to 1.94 (±0.37) MPa for Silagum at 21°C, and 2.35 (±0.56) MPa for Blu-mousse to 15.40 (±2.81) MPa for Silagum at 33°C. The G' at t300 ranged from 0.72 (±0.23) MPa for Ramitec to 26.74 (±4.72) MPa for Stonebite at 21°C, and 5.42 (±1.86) MPa for Ramitec to 240.80 (±80.84) MPa for Stonebite at 33°C. Whereas the increase of the G' value showed linear changes at 21°C except Exabite and Silagum, the change of the G' value at 33°C displayed a sigmoidal curves during setting. The change of loss factor tanδ during setting varied.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elastomeric interocclusal recording materials had different viscoelastic properties and most of materials showed different fluidity at 21°C and 33°C.

      • Novel implant position index (IPI) to evaluate the peri-implant bone changes adjacent to the natural teeth

        이지은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375

        Marginal bone loss of dental implant is an important factor for assessing the success of an implant operati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orizontal or vertical position of the dental implant and peri-implant bone loss has been reported, but no study has considere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s of the implant simultaneous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propose a new implant position index (IPI) that simultaneously considere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implant position, to radiographically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plant position adjacent to a natural tooth and peri-implant bone loss using IPI, and then establish an ideal location of the implant adjacent to the natural tooth. Ninety-four internal type implants installed adjacent to the natural teeth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were examined. Periapical radiographs taken immediately after the prosthesis connection and 1- or 3-year follow-up were assessed. Vertical and horizontal distance (VD, HD, respectively), and the angle (A) between adjacent teeth and fixture top, peri-implant bone height (PIBH) and intercrestal bone height (IBH) at baseline, and vertical bone loss (VBL), horizontal bone loss (HBL), and intercrestal bone loss (IBL) were measured during the follow-up visits. A new parameter, IPI, which considere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implant position simultaneously was devised. The IPI is the index of the position of the implant and wa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ratio of distance to angle (IPI = D /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plant position and peri-implant bone changes,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ritical cut-off value of independent variables representing implant position (P<0.05). At baseline of the 1-year follow-up group, the mean VD was 4.81 ± 1.71 mm, mean HD was 3.47 ± 1.08 mm, mean A was 36.42 ± 13.67 degrees and mean IBH was 1.49 ± 1.07 mm. After the 1-year follow-up, the mean VBL was 0.58 ± 0.59 mm, mean HBL was 0.30 ± 0.60 mm and mean IBL was 0.47 ± 0.59 mm. At baseline of the 3-year follow-up group, the mean VD was 5.03 ± 1.73 mm, mean HD was 3.50 ± 1.10 mm, mean A was 37.35 ±13.85 degrees and mean IBH was 1.64 ± 1.10 mm. At the 3-year follow up following loading, mean VBL was 0.94 ± 0.78 mm, mean HBL was 0.67 ± 0.87 mm, and mean IBL was 0.63 ± 0.62 mm. In the 1-year follow-up group,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tained between VD and IBL, A and IBL, IPI and VBL or IBL (P<0.05). Additionally, in the 3-year follow up group,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tained between VD and IBL, and IPI and IBL (P<0.05). Post hoc analysis, which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ritical cut off value of each correlated variable revealed that when the VD was 7 mm, the angle was 30 degrees, or the IPI was 15, VB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when the VD was 3 mm, the angle was 30 degrees or 60 degrees, or the IPI was 5, IB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loss of marginal bone around the implant was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implant, and the effect of the vertical position of implant was larger than that of the horizontal position of implant. Therefore, to maintain the marginal bone around the implant, the implant adjacent to the natural teeth should not be 3 mm deeper than the cementoenamel junction of the adjacent natural teeth. Additionally, the angle between the adjacent teeth and the implant should be 30 degrees or more and the IPI should not exceed 5. In conclusion, the IPI spacing suggested in this study will assist clinicians to predict future peri-implant bone loss and suggest guidelines for implant placement. Therefore, for deep implants, it is recommended that the horizontal distance be increased to lower the IPI. This will reduce the risk of peri-implant bone loss that can be caused by a deep vertical position of implant. 임플란트 주변 변연골 소실은 임플란트의 성공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많은 연구에서 임플란트의 수평적 또는 수직적 식립 위치와 임플란트 주변 골소실의 연관성에 대해 보고하고 있지만 임플란트의 수평적 위치 및 수직적 위치를 동시에 고려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후향적 연구에서는 임플란트의 수직적 위치 및 수평적 위치를 동시에 고려한 새로운 임플란트 위치 측정 지수 (Implant position index, IPI)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연치에 인접하여 식립된 임플란트의 위치와 임플란트 주변 골 변화 간의 연관성을 평가 분석하여 자연치에 인접한 임플란트의 이상적인 위치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목동병원 치주과에서 임플란트 식립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총 94개의 internal connection 유형의 bone level 임플란트를 조사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를 위해 최종보철물 연결시와 1년 경과 관찰시 또는 3년 경과 관찰시의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수집하였다. 최종보철물 연결시의 치근단 방사선 사진에서는 임플란트의 수직적 위치 (VD) 및 수평적 위치 (HD), 인접치와 식립된 임플란트가 이루는 각도 (A), 임플란트 주변 골높이 (PIBH), 임플란트-치간골 높이 (IBH)를 측정하였으며, 추후 관찰 시에는 수직골 소실 (VBL), 수평골 소실 (HBL) 그리고 임플란트-치간골 소실 (IBL)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임플란트의 수직적 위치 및 수평적 위치를 동시에 고려하는 임플란트 위치 측정 지수 (Implant position index, IPI)를 제시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IPI=D/A 통계학적인 분석으로는 각 측정 변수들이 임플란트 주변 골소실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임플란트 위치를 나타내는 각 변수들의 골소실에 대한 임계치를 찾기 위해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P<0.05). 1년 경과관찰군의 평균 VD와 HD, A, IBH는 각각 4.81 ± 1.71 mm, 3.47 ± 1.08 mm, 36.42 ± 13.67도, 1.49 ± 1.07 mm였으며 1년 후 수직골 소실 및 수평골 소실, 임플란트-치간골 소실은 각각 0.58 ± 0.59 mm, 0.30 ± 0.60 mm, 0.47 ± 0.59 mm였다. 3년 경과관찰군의 평균 VD와 HD, A, IBH는 각각 5.03 ± 1.73 mm, 3.50 ± 1.10 mm, 37.35 ± 13.85도, 1.64 ± 1.10 mm였으며 3년 후 수직골 소실 및 수평골 소실, 임플란트-치간골 소실은 0.94±0.78 mm, 0.67±0.87 mm, 0.63±0.62 mm였다. 1년 경과관찰군에서 VD와 IBL, A과 IBL, IPI과 VBL 또는 IBL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관찰되었고(P<0.05), 3년 경과관찰군에서는 VD와 IBL, IPI와 IBL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관찰되었다(P<0.05). 각 변수들에 대한 사후분석을 시행한 결과 1년 경과관찰군에서 VD가 7 mm이거나 A가 30도이거나 IPI가 15일 때, VBL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VD가 3 mm이거나 A가 30도 또는 60도이거나 IPI가 5일 때 임플란트-치간골 소실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본 연구 결과 자연치에 인접한 임플란트의 위치는 임플란트 주변 변연골 소실에 영향을 미치며 수평적 위치보다 수직적 위치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플란트 주변 변연골 유지를 위해 자연치에 인접한 임플란트는 인접 자연치의 백악법랑경계보다 3 mm이상 깊지 않고 인접치와 식립된 임플란트가 이루는 각도가 30도 이상이 되야 하며, IPI가 5를 넘지 않도록 식립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IPI는 임상가들에게 향후 발생 가능한 임플란트 주변 골소실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이상적인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이다. 그러므로 만약 임플란트를 깊게 식립해야 하는 경우, IPI를 낮추기 위해 수평적인 거리를 넓혀주는 것이 임플란트의 깊은 수직적 위치로 인한 골소실의 위험 요소를 줄여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Effect of Number and Angulation of Implants on Accuracy of Digital Impression in Completely Edentulous Arch

        김유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3263

        Effect of Number and Angulation of Implants on Accuracy of Digital Impression in Completely Edentulous Arch Kim Yuyeon Department of Dentistry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Purpos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impression taking method using an intraoral scanner and the conventional impression taking method on the basis of the implant number and implant placement angulation after placing multiple implants in the model. Materials and Methods: Six implants were placed in the maxillary edentulous typodont at #16, 14, 12, 22, 24, and 26 positions using a 3D modeling software. Eight implants were placed in the maxillary edentulous typodont at #17, 15, 13, 11, 21, 23, 25, and 27 positions using a 3D modeling software. The implant placement angulation for each model was different. After 3D designing, 3D printing is performed to produce reference models. After connecting the scan body, these models were scanned using a lab scanner to obtain reference scan data (RSD). In the conventional impression taking method, reference models were used to make an impression using individual trays, and then a gypsum model was produced. After connecting the scan body to the gypsum model, scan data was obtained by the lab scanner (Group CI). Models were scanned 10 times using an intraoral scanner (TRIOS 4) by the same procedure and obtained the scan data (Group IS). The distance and angulation deviation of the RSD and Group CI, as well as those of the RSD and Group IS were compared. One sample t-test, and general linear mixed model were performed to compare scan data errors using SAS9.4. Results: In models with six implants, except for the distance deviation in Model 6-20, the mean values of all distance and angulation deviations were lesser in Group CI than Group I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for Models 6-0 and 6-10 (P < 0.05). In models with eight implants, except for the distance deviation in Model 8-20, the mean values of all distance and angulation deviations were lesser in Group CI than in Group I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for Models 8-0, 8-10, and 8-20 (P < 0.05). The number of implant placement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intraoral scanning and conventional impression taking. Conclusion: The conventional impression method is more accurate than the intraoral scanner scanning method in cases where multiple implants are placed in the completely edentulous arch in vitro. However, in the case of the lack of implant parallelism, intraoral scans can be used as a replacement for conventional impressions. Nevertheless, digital impressions cannot fully replace conventional impressions used for the completely edentulous arch. 완전 무치악에서 다수 임플란트 식립시 임플란트 식립 개수와 각도에 따른 디지털 스캔의 정확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치과보철학 전공 ( 지도교수 배 아 란 ) 김 유 연 목적: 본 연구는 모델에 다수 임플란트 식립 후 임플란트 개수 및 임플란트 식립 각도에 따라 구내 스캐너를 이용한 인상채득 방식과 전통적인 인상채득 방법의 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3D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악 무치악 덴티폼 상에 #16, 14, 12, 22, 24, 26 부위에 여섯 개 임플란트를 위치시켰으며, 세 가지의 경우로 각도를 달리하여 디자인하여 세 가지 모델을 디자인하였다. 다른 하나의 상악 무치악 덴티폼에는 #17, 15, 13, 11, 21, 23, 25, 27 부위에 여덟 개 임플란트를 위치시켰으며, 세 가지의 경우로 각도를 달리하여 세 가지의 모델을 디자인하였다. 디자인 후, 3D 프린팅하여 레퍼런스 모델을 제작하였다. 여섯 개의 레퍼런스 모델은 Model 6-0, Model 6-10, Model 6-20으로 명칭하였다. 여덟 개의 레퍼런스 모델은 Model 8-0, Model 8-10, Model 8-20으로 명칭하였다. 레퍼런스 모델에 스캔 바디를 연결한 후, 이 모델을 랩 스캐너로 스캔하여 레퍼런스 스캔 데이터 (RSD)를 얻었다. 기존 인상채득 방식에서는 개인 트레이를 이용해 레퍼런스 모델을 인상채득 한 후 석고 모델을 제작하였다. 스캔 바디를 석고 모델에 연결한 후, 랩 스캐너로 스캔 데이터를 얻었다 (Group CI). 구내 스캔시에는 레퍼런스 모델에 스캔 바디를 체결한 후 구내 스캐너 (TRIOS 4)로 모델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얻었다 (Group IS). RSD와 Group CI, RSD와 Group IS 간의 거리 및 각도 편차를 비교하였다. 스캔 데이터 오차를 비교하기 위해 SAS 9.4를 이용하여 one sample t-test, general linear mixed model을 수행하였다. 결과: 여섯 개 임플란트가 식립된 모델에서 Model 6-20의 거리 편차를 제외한 모든 거리 편차와 각도 편차의 평균값은 Group CI에서 더 작았으며, Model 6-0과 6-10에서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P < 0.05). Model 8-20의 거리 편차를 제외한 여덟 개의 임플란트 모델에서 모든 거리 편차와 각도 편차의 평균값은 Group CI에서 더 작았으며, Model 8-0, 8-10, 8-20에서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P < 0.05). Model 6-0, 6-10, 6-20 과 Model 8-0, 8-10, 8-20 사이에는 각도 편차와 거리 편차에서 Group CI와 Group IS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P > 0.05). 임플란트 식립 개수는 구내 스캔 및 기존 인상 채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여러 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된 완전 무치악에서 전통적인 인상 방식이 구내 스캔 방식보다 더 정확하다. 다만, 식립된 임플란트의 평행성이 부족한 경우 전통적인 인상 방식보다 구내 스캔 방식이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다양한 임상상황에서 상황에 맞게 적절한 인상 채득 방식을 채택하고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 육안과 분광 측정기를 이용한 자연 치아의 색조비교분석

        김범석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33263

        최근 치과 영역에서 환자들의 심미적인 욕구가 증가하면서 자연 치아의 정확한 색조 분석을 통한 도재 수복물의 제작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도재 수복물 제작을 위해 자연치아의 색조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색견본(shade guide)을 이용하는 시각적인 방법과 기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 중 통상적인 육안 관찰을 통해 색조를 선택하는 것은 임상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기는 하나 주관적이며 일관되지 않은 결과로 신뢰성의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자연치의 색조는 매우 다양하여 같은 치아라 할지라도 부위별로 다양한 색조를 가지기 때문에 단순히 shade tab을 이용한 색조 비교만으로는 정확한 치아의 색조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지속적인 기술발달로 computer color matching system, 치과용 비색계, 분광 측정기 등의 기계를 이용한 치아 색조 측정 방법이 이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기계를 이용한 방법은 색조 선택에 있어 객관적이며, 재현성이 있는 정확한 정보를 술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원, 개인, 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육안과 기계를 통한 관찰 시 치아 색조 선택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시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치과대학 전공의인 1명의 검사자가 10명의 피검자를 오전, 정오, 오후 각 3번의 측정을 통해 시간대별 자연광하에 육안, 기계 측정의 색조 선택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5명의 치과대학 전공의와 5명의 치과대학생, 총 10명의 검사자가 10명의 피검자를 정오에 육안, 기계 관찰을 통해 개인차에 따른 정확성을 실험하였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두 번째 실험의 결과를 5명의 치과대학 전공의, 5명의 치과대학생 군으로 나누어 숙련도에 따른 육안, 기계 색조 선택의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첫 번째 실험에서는 기계 측정 결과가 육안 측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p<0.05) 색조 선택의 정확성을 나타내었고, 두 번째 실험에서 역시 기계 측정 시 개개인의 육안 측정에 의한 색조 선택 값에 비해 재현성 및 정확성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세 번째 실험에서 이전 실험의 결과를 숙련자, 비숙련자 군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군 내 기계 측정값이 육안 관찰 값보다 숙련도에 상관없이 정확도가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하지만 군 간 육안, 기계 측정값을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치아 색조를 육안, 기계 측정할 때 술자의 숙련도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계를 이용하는 치아 색조 측정 방법이 색견본을 이용하는 시각적인 방법에 비해 더 정확하기는 하지만 어느 정도의 측색 오류를 고려해야하며 수복물 제작 시 정확한 재현과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시각적인 방법과의 병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tatement of problem: A clinically successful color match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 to get an esthetic dental restoration. Dental shade guides are commonly used to evaluate tooth color in restorative procedure. But numerous reports have indicated that common shade guides do not provide sufficient spectral coverage of the natural tooth colors. To address issues associated with the shade guide, distinct avenues have been pursued objective spectrophotometric / colorimetric assessment.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accuracy of tooth color selection of spectrophotometer with that of human visual determination. Three main factors were investigated, namely, the effect of light, the individual variation and the experience of the observer. Material and methods: At the first experiment, on ten patients, one operator independently selected the best matching shade to the unrestored maxillary central incisor, using a Vita Classical Shade Guide in the morning, at noon and in the afternoon. The same teeth were measured by means of a reflectance spectrophotometer. At the second experiment, on ten patients, ten operators (5 experts, 5 novices) selected and measured by the same method above at noon. At the third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second experimen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t and novice, and analyzed. Result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isual and spectrophotometric assessment (mean ΔE values) in experiment 1, 2, 3 (p<0.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ts and novices group, when comparing with each visual and spectrophotometric assessment (mean ΔE values). Conclusions: Spectrophotometer could be used to analyze the shade of natural tooth objectively. Thereby, this method offers the potential to minimize considerably the need for corrections or even remakes after intraoral try-in of restoration. Furthermore, to achieve its advantage, both the shade-matching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between dentist and technician should be optimized with use of visual and instrumental shade-matching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