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미술교육전공 경험이 초등교사의 미술교육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을 중심으로

        임경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39

        본 연구는 초등미술교육전공 대학원 경험이 초등교사의 미술교육 전문성에 미친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의 초등미술교육전공 석사과정에 특별전형으로 선발되어 2년 동안 파견된 초등교사 중에서 졸업한지 3년 이내의 8명으로 선정하였다. 심층면담은 사전면담을 통해 수정․보완된 면담지침서를 바탕으로 이루어졌고, 면담시간은 1~3시간 정도 소요되었으며, 면담내용은 연구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밴 매넌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그들의 경험을 기술․해석함으로써 체험의 본질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원에서의 경험을 살펴보면, 초등교사인 연구참여자들은 각자 다른 동기를 가지고 많은 교과 중에 미술교과를 대학원 전공으로 선택하였다. 대학원에 입학한 후에는 수업 및 과제를 통해 미술의 다양한 영역을 경험하고 자신의 적성에 맞는 영역을 탐색하였다. 평소에 관심 있던 분야로 논문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실현가능성에 대해 살피고 전문가의 조언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해 나갔다. 대학원에서 생활하는 동안에는 동기 및 교수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였고 그들과의 대화를 통해 생각의 깊이와 폭을 넓힐 수 있었다. 대학원 경험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은 초등교사로서 미술과 수업전문성 향상, 미술에 대한 애호, 연구자적 자세 함양의 세 가지 미술교육 전문성을 갖추게 되었다. 첫째, “미술과 수업전문성 향상”은 연구참여자들은 미술수업, 미술지도, 미술교육에 대한 고민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대학원을 졸업한 후 담임으로서 대학원에서 배웠던 것과 논문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미술수업에 적용해 보았으며,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의 문화적 소외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작은 실천을 하고 있다. 교과전담이거나 저학년을 가르칠 경우 정규 수업시간에는 미술수업을 할 기회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방과후 수업이나 토요미술수업, 다른 교과와 미술과의 통합수업, 자투리 시간 등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미술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미술수업과 미술지도를 통해 미술교육과 미술수업에 대한 교사의 자세와 경험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함과 동시에, 초등미술교육 전공자로서 미술 수업을 더 잘해야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기도 했다. 둘째, "미술에 대한 애호"는 마음의 여유, 미술의 향유, 변화와 성장의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대학원에서 생활하는 동안 심적으로 치유의 시간을 보내면서 좋아하는 책도 많이 읽었고, 지적․정서적으로 충전할 수 있었기 때문에 현장에서도 학생들이 예뻐 보이는 등 마음의 여유를 가지게 되었다. 여행과 작품 감상 등을 통해 그림을 보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미술로 자신의 삶이 풍부해진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삶에서 미술을 향유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도 했다. 어떤 연구참여자들에게 대학원은 하나의 통과의례이기도 했고 자신감을 잃게 되는 경험이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에게는 교육적 시야가 넓어지고 연구에 대한 재미를 알게 되는 등 인생의 전환점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연구자적 자세 함양”으로 연구참여자들은 박사과정에 진학하거나 유학에 대해 고려하거나, 개인적으로 연구를 지속하고 있었다. 박사과정에 진학한 연구참여자들은 근무와 학업 병행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연구에 대한 고민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다른 학문 분야에도 관심을 가지고 탐구한다. 다른 연구참여자들도 공부를 계속 하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박사과정에 진학하면 근무와 학업병행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유학을 고려하고 있지만 그 또한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또 다른 연구참여자들은 개인적으로 미술연수나 지역교육청의 미술교과연구회에 참여하여 활동함으로써 연구를 지속하기도 하며, 대학원의 졸업생들끼리 미술교과를 계속 연구할 수 있는 모임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원에서 초등미술교육을 전공한 경험이 초등교사의 미술교육 전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미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교사의 자세에 대해 고민해보았다. 미술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의 변화와 미술교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인프라의 구축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교사들 스스로가 자신을 초등미술교육의 전문가라고 인식하고 삶에서 미술을 즐길 수 있을 때 초등학교에서 미술교육의 질도 한 단계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과 중국의 초등영어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 연구

        김정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807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초등영어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현황 및 효과를 분석하고 그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초등영어교사 양성 교육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영어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양국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한국과 중국의 초등영어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의 초등영어교사 양성기관 2곳을 각각 선정하여, 문헌조사를 통해 교육과정의 목표, 구성 및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초등영어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기 위해, 양국 초등영어교사 각각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각각 6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이 자료들을 빈도분석 및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초등영어교사 양성기관의 목표는 모두 우수한 역량을 갖춘 초등영어교사의 양성이다. 구성면에서는 중국 기관의 심화전공과정의 이수학점 및 시간이 한국 기관보다 많다. 한국은 심화전공과정에서 선택강좌가 대부분이고 초등영어교육 관련 강좌가 대부분인 반면, 중국은 거의 필수강좌로 구성되어 있고, 영어능력 향상을 위한 강좌가 많다. 교육실습에서 중국은 통상적으로 고학년부터 두 차례, 한국은 보통 저학년부터 다섯 차례 걸쳐 시행되고 있다. 둘째, 양국 교사는 초등영어교사로서의 자신의 역량 및 초등영어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전공심화과정 및 교육실습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특히 한국 교사는 심도 있는 전공 강좌 및 언어능력 증진을 위한 강좌가 부족하고, 중국 교사는 초등영어교육 관련 강좌 및 원어민 교수와의 교류가 충분치 않았다고 답했다. 셋째, 양국 교사는 학교 현장과의 연계성 강화를 위해 교육실습 기간을 연장하고 영어교수의 기회를 늘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특히 한국 교사는 심화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과 영어 능숙도 향상을 목표로 하는 강좌를 강화해야 한다고 하였고, 중국 교사는 초등학생을 이해하고 영어를 교수하는데 유용한 강좌가 보다 더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한국과 중국 초등영어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심화과정의 질적․양적 향상을 위해, 이수학점 및 강좌의 수를 상향조정하고 보다 심도 있는 내용으로 구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초등영어교사의 핵심역량이 고루 발전될 수 있도록 영어능력 및 초등영어교수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강좌가 균형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나아가 개개인의 역량 및 요구에 맞게 강좌를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유연성 있게 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실 현장과 학부 이론 교육의 연계를 위해 실습과정 기간을 연장하고, 실습협력학교와의 교류를 강화하는 등 실습교육을 개선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대내외 교류를 증진하여, 국내외 초등영어교사 양성기관의 우수한 교육과정을 논의하고, 상호 발전의 초석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초등영어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그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양국 및 영어를 외국어로 교수하는 맥락에서의 초등영어교육 및 초등영어 교사교육 현장 및 그에 대한 연구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alities and the effects of the curricula for pre-service primary English teachers in Korea and China. It also aims to mak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se curricula. For these end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proposed: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a for pre-service primary English teachers in Korea and China? 2. How do Korean and Chinese English teachers perceive the curricula that they experienced as pre-service primary English teachers? 3. What suggestions do Korean and Chinese English teachers make to improve the curricula for pre-service primary English teachers in Korea and China? Four prim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two in Korea and two in China, were selected, and the objectives, requirements, and content of their curricula were analyzed through document analysis. Twenty in-service primary English teachers from each country were surveyed, and six teachers from each country were interviewed with a focus on the effects of their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nd their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a.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a for pre-service primary English teachers in both Korea and China are designed to improve the competency of the teachers. The required credits for the specific major program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institutes in Korea. Whereas most courses offered in the Korean institutes are electives and concentrate on primary English language teaching, those in the Chinese institutes are mandatory and focus on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English ability. As for teaching practicums, Korean pre-service teachers take part in these five times, beginning in their lower-level years. However, two practicums are required in China, with the first taking place during pre-service teachers’ upper-level years. Second, the participants in both countries made overall positive evaluations of their competency as primary English teachers as well as of the curricula for pre-service primary English teachers. However, they assessed the specific major program and the teaching practicums relatively less positively. Korean teachers reported that there was a lack of in-depth major courses and courses to develop language competence. Chinese teachers responded that there were not a sufficient number of courses that centered on primary English teaching and on communications with native speakers. Third, the teachers from the two countries suggested that the practicum period should be extended in order to help them integrate their learning into their teaching. More specifically, Korean teachers claimed that there should be additional in-depth major courses and English skills courses. Chinese teachers stated that there should be more courses focusing on understan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ing English to them. The research findings offer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a for pre-service primary English teachers. In order to enhance the curricula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number of required credits and courses should be increased and their content should be developed further. For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s' competency, courses focusing on fostering their English ability and teaching skills should be developed in a balanced way. Also, the curricula should be flexible so that the individuals can select courses according to their needs and capabilities. In addition, the teaching practicum system should be reformed to integrate theoretical learning with teaching. These changes might include prolongation of the practicum period and more effective collaboration between practicum schools and the university. Finally, local and international partnerships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can exchange idea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ir teacher education systems and make mutual efforts for improvement. This study analyzed the curricula for the pre-service primary English teachers in Korea and China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a. In so doing, it provides insights into primary English education and primary English teacher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as well as in contexts where English is taught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 초등영어교과 담당현황과 적응실태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 임용교사들을 대상으로

        이현순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807

        초등교사양성과정에서 초등학교 아동에 대한 이해나 초등교육과정의 지도를 위한 사전 준비는 모든 교과목을 대상으로 필요하지만 영어교과에 대해서는 특히 학교현장의 지도상태에 대한 더 많은 이해와 준비가 필요하다. 1997년에 초등학교 정규교과로 도입된 이래 10년째를 맞이하고 있는 초등영어교과는 가장 최근에 정규교과목으로 도입된 교과로, 담당교사제도나 교수방법 등이 여전히 미확립된 상태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현장지도실태에 대한 정보가 일반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예비교사들 중에는 영어사용능력이 뛰어난 소수의 교사들이 교과전담교사로서 영어교과를 지도할 것이라고 여기는 경우가 많아 영어교과 지도에 대한 준비의 소홀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교육과정에서 초등영어교육을 위한 훈련과정을 거치고 배출된 2000년 이후 임용교사들의 초등영어 담당실태와 일선현장에서 영어교과지도에 적응하는 과정을 조사하여 초등영어교과 담당교사제도와 관련된 제반사항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돕고자 실시하게 되었다. 본 조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Ⅰ. 2000년 이후 2005년까지 발령받은 교사들이 학교현장에서 영어교육 심화전공자와 비영어교육 심화전공자 간의 영어지도 담당경험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Ⅱ. 2000년 이후 2005년까지 발령받은 교사들이 영어교과를 담당하게 된 원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Ⅲ. 2000년 이후 2005년까지 발령받은 교사들이 영어지도에 대해 갖는 두려움이나 기피정도는 영어지도 경험에 따라 변화하는지 여부와 변화원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Ⅳ. 영어지도에 대해 두려움이나 기피성향을 느끼는 예비교사들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에 대한 조사를 위해 제주시내 초등학교 27개교에 근무하는 2000년 이후 임용된 교사, 즉 교직경력 1년에서 6년차까지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초등영어교과 담당현황과 적응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00년은 제주교육대학교에서 초등영어교과 심화전공이 생긴 1996년 신입생들이 졸업한 해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현장에서 영어교육 심화전공자와 비영어교육 심화전공자간의 영어교과 담당경험에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각각 영어교과 담당경험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서 대학 재학시 심화전공에 관계없이 저경력 교사들이 영어교과를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사대상 중 영어교과 전담교사는 교직발령 첫해인 교사들을 주로 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의 교사들이 영어교과를 담당하게 된 원인으로는 담당학년 영어지도를 교과전담제가 아닌 학급담임제 또는 교환수업제로 운영하기로 결정하였거나 본인의 희망에 의해서, 그리고 근무경력이 짧은 교사에게 영어지도를 맡기는 추세 등이 주요원인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교사들이 영어교과지도에 대해 갖는 두려움이나 기피성향 조사결과, 첫해에는 두려움이나 기피성향을 가진 교사들이 많았으나 해를 거듭하며 영어교과 지도경험이 쌓이면서 영어수업기술이 향상되는 등의 원인으로 절반이상의 교사들이 두려움이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반면 기피성향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아동들의 수준이 높아지고 교과준비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등의 이유가 제시되었다. 넷째, 영어지도에 대해 두려움이나 기피성향을 느끼는 예비교사들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으로는 평소에 영어공부를 지속적으로 하고 영어관련 프로그램에 많이 참가해야 한다 등 영어교육에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준비할 것과 자신감과 도전의식을 갖고 적극적으로 가르친다 등 영어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자세를 갖춰야 하며, 영어실력과 영어지도능력은 다르므로 뛰어난 영어실력을 갖추지 못했다고 영어교과지도를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등 예비교사들이 갖고 있는 선입견을 없애는 것이 우선과제임을 지적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대상이었던 2000년 이후 임용된 교사들의 설문조사내용에 따르면, 극히 소수를 제외하고는 대학 재학시 심화전공에 관계없이 일선 학교현장에서 영어교과를 담당하게 되며 본인의 희망여부에 반하여 영어교과 전담을 담당하기도 한다. 특히, 교직발령 첫해에 영어교과전담을 담당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따라서 준비된 교사로 아동들 앞에서 당당하고 자신감있는 교사가 되기 위하여 예비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의 영어교과 담당제도의 운영실태를 바르게 인식하고 좀더 충실한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다른 교과목과 마찬가지로 영어교과 또한 지도경험이 쌓이면서 영어수업기술이 쌓이는 등 영어교과지도가 용이해지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은 영어교과지도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같은 부정적 선입견을 버리고 좀더 적극적인 자세로 초등영어교과 지도에 대한 준비를 충실히 하고 현장지도에 임할 필요가 있다. It needs to proceed with preliminary matters of understanding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or primary education course in a course of fostering elementary teachers, but in particular, it needs to understand and prepare for the school field of English lesson. At this time when we have seen for 10 years since English lesson introduced it as formal course at the elementary schools from 1997, the primary English lesson could be in a status of non-established teacher system in charge and teaching method, etc. as a course introduced to the formal course most recently, for the information of guidance status in the field was not generalized. Among the preliminary teachers, there were a lot of cases that a minority of teachers who had excellent skills in using English taught English lesson as teachers in charge of courses exclusively, so it could be followed as neglect of preparation for teaching English less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ployed teachers´ status in charge of primary English and process of adapting to the guidance of English lesson in the front-line field, and help the preliminary teachers to have righteous recognition of general state of affairs related to the teacher system in charge of primary English lesson after they finished the training course of primary English education in a course of training the preliminary teachers since 2000. The research question in this survey research is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Ⅰ. Which differences were in the teachers announced officially to 2005 since 2000´ experiences in charge of English guidance between the intensive majors of English education and the ones of non-English education in the front-line field? Research question Ⅱ. What was the cause that the teachers announced officially to 2005 since 2000 took charge of English lesson? Research question Ⅲ. As to the degree of fear or evasion which the teachers announced officially to 2005 since 2000 had for English guidance, what was the cause to be changed, or whether was it changed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of English guidance? Research question Ⅳ. What were you wanted to give the preliminary teachers who had a tendency of felt fear or evasion for English guidance advice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this study was to execute the questionnaire of adaptive conditions and status in charge of primary English lesson as an object of employed teachers since 2000 who worked at 27 elementary schools in Jeju city, that is the teachers who had teaching career from a year to six years. Because 2000 was a year the freshmen in 1996 when it began the intensive major, a primary English lesson came to be graduated.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re were rather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s in charge of English lesson between the intensive majors of English education and the ones of non-English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but each experience in charge of English lesson took over half of all the lessons. Accordingly,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teachers with the low career took charge of English lessons more regardless of intensive majors while students at their universities. In particular, it h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teachers among the research samples took charge of English lessons exclusively in the first year when they were ordered to do teaching posts. Second, as for the cause that the teachers above took charge of English lesso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ief causes like the determination of English guidance at the grade in charge as homeroom teacher system or shift school system, not exclusive course system, by their own desires, and taking exclusive charge of English guidance by the teachers with the low employment history, etc.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eachers´ tendency of fear or evasion for English course guidance, there were many teachers who had tendency of fear or evasion in the first year, but over hal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fear decreased due to the improvement of skills in English lesson while they filed the teaching experiences of English lesson as the time went b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ome cases that it increased the tendency of evasion. Also, this study was to suggest that it needed to take the substantial amount of time for the preparation of lesson and it raised the children´s level, etc. Fourth, as for the advices for the preliminary teachers who felt the tendency of fear or evasion for English guidance, this study was to emphasize the preparation of necessary items for English education in details like it needed to be trained like English study·English program·English training more as they usually were. In addition, it needed to have positive attitude of English education like the active teaching them with confidence and consciousness of challenge, etc. Also,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capacity of teaching English and skills in English differed, so the priority was to eliminate the preconceived ideas that the preliminary teachers had as there was no need to be afraid for English lesson guidance although they did not equip the excellent skills in English.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for the employed teachers after 2000 as an object of this research, they came to take charge of English lessons in the forefront of school regardless of intensive majors while students at their universities except for very few teachers. Also, they came to take charge of English lessons contrary to their own desires. In particular, there were not the least cases that the teachers took charge of English lessons in the first year when they were ordered to do teaching posts. Accordingly, to be teachers with the rough and tough attitude and confidence in front of the children as prepared teachers the preliminary teachers have to recognize the system in charge of English lesson and status of management in the front-line field of school and prepare for something more conscientiously. In addit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re were a lot of cases that English lesson guidance could be easy as they filed the skills in English lesson while they experienced English lesson more as well as the other courses of study. Therefore, the preliminary teachers have to discard the negative preconceived opinions like vague fear for English lesson guidance, and get themselves up for the guidance in the field while they have to prepare for the guidance of primary English lesson in more positive attitudes.

      •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에 따른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서 및 수업 만족도 관계

        고전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9807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체육지도교사가 체육교육에 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지닌 교사와 전문적 지식이 부족한 교사가 학생들을 지도했을 때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 정서,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밝혀 초등체육교육이 바람직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체육을 담당하는 교사와 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교사 유형을 체육전공학급담임, 체육비전공학급담임, 체육전공교과전담, 체육비전공교과전담으로 분류하였으며, 총 71명이 포함되었다. 학생들은 연구에 참여한 교사에게 6개월 간 체육수업을 받는 학생을 대상으로 총 987명의 자료를 전산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과 신체적 자기개념 차이 첫째, 교사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체육전공학급담임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집단이 가장 높았고, 체육비전공교과전담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집단이 가장 낮았다. 둘째, 학생의 성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2.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과 정서 차이 첫째, 교사 유형에 따른 긍정적 정서는 체육전공학급담임이 가장 높았으며, 부정적 정서는 체육전공교과전담, 체육비전공교과전담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이 체육비전공학급담임과 체육전공학급담임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보다 높았다. 둘째, 긍정적 정서는 남학생이 높고, 부정적 정서는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 유형과 성별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는 부정적 정서에서 체육비전공교과전담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의 성별에 대한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3.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과 수업 만족도 차이 첫째, 교사 유형에 따른 학생의 수업 만족도는 체육전공학급담임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이 가장 높았고, 체육비전공교과전담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이 가장 낮았다. 둘째, 수업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으며, 성별 내에서 교사 유형에 따른 수업 만족도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체육전공학급담임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이 가장 높았다. 셋째, 교사 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는 체육비전공교과전담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성별에 대한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4.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과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정서, 수업 만족도 간의 관계 첫째,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에 따른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수업 만족도 간의 관계는 체육전공학급담임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의 모형이 가장 잘 성립하였으며, 체육전공교과전담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의 모형은 성립되지 않았다. 둘째, 체육전공교과전담교사를 제외한 모든 교사유형에서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긍정적 정서에 정적인 관계가 있고, 부정적 정서에는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또한 체육전공학급담임, 체육비전공학급담임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 집단은 신체적 자기개념과 수업 만족도 간에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셋째, 모든 교사유형에서 부정적 정서는 긍정적 정서와 수업 만족도에 부적인 관계가 성립되었으며, 체육전공학급담임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의 모형에서 긍정적 정서는 수업 만족도에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 무용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도조사 및 요구분석

        김수현 광주교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ffective activation plan of dance education within curriculum while expressing danc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 in this study were 304 teachers from 13 elementary schools of Gwangju in 2009 using convenience sampling to find out the activ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AS program. Dependance of the question study were employed Cronbach's alpha. Also, analyzed frequency about general item of whole questionnaire for data analysis, and curriculum, professor studying, facilities and a teaching material tool and activation plan of effective dancing education used frequency analysis and χ²test crossing analysis.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p<.05.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dancing course of study operation actual conditions,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between group as statistical according to major availability, charge grade in school about expression activity satisfaction of the seventh physical education course of study was, and spoke that is usual on the whole. There was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between group according to distinction of sex about essential area map of dancing of the seventh physical education course of study, and spoke that is usual without distinction of sex. Satisfaction about dancing unit quantity was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between group according to age and spoke that is suitable regardless of age. Appropriateness degree of dancing unit's school year level was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between group according to distinction of sex and spoke that is Semi-Extreme without distinction of sex. Area should like to add between subject contents said and is that is entertainment dancing 20, 30, more than 50 according to age there was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between group according to age, teaching profession career, and spoke that is folk dance in 40. Teaching profession career said as area that entertainment dancing should like to be added 1 - 5 year, 6 - 10 year, more than 20 years, and ethnic customs outing appeared highest in 11 - 15 year, 16 - 20 year. Second, Dancing class jugum there was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between group according to charge school year and refered to on the whole 'Do from time to time whenever need' in professor studying actual conditions. There were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between group according to major availability with self-assured map substance in dancing class and answered that is doing basic move regardless of major availability. There were distinction of sex, age, variance that keep in mind between group according to teaching profession career with hard substance to guide in dancing class, and spoke that is production expression activity distinction of sex and age, and 6 - 10 year, 16 - 20 year, more than 20 years refered to production expression activity that is hard in teaching profession career, and spoke that our country and other country folk dance are hard to guide most 1 - 5 year and 11 - 15 year. When teach dancing, setting an example was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between group according to major availability and research study experience and teacher who major physical education in major availability speaks 'Show setting an example in action' and teacher who do not major physical education spoke 'A student who do well to do setting an example'. Those who had ever taken training course gave a demonstration for each motion or difficult motions, and the others who hadn't made good student give a demonstration. There were distinction of sex, major availability, variance that keep in mind between group according to charge school year with map contents of dancing class, and did that enforce in training courses on the whole.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between group according to distinction of sex about study of teaching material for dancing class was, and refered to on the whole 'Study at need'. Teacher who dancing class progress city indocile reason there was distinction of sex, major availability, variance that keep in mind between group according to charge school year and refered to without distinction of sex 'Because dancing map ability is insufficient' and majors physical education according to major 'Because data of practical skill map is lacking', teacher who do not major physical education spoke 'Because dancing map ability is insufficient'. 1 - 2 school years, 5 - 6 school year refered to 'Because dancing map ability is insufficient' in charge school year and 3 - 4 school year refered to 'Because data of practical skill map is lacking'. Dancing practical skill map ability was variance between group according to major availability and spoke that is usual on the whole. Dancing practical skill research study experience was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between group according to age, teaching profession career, charge grade in school and it was no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between group according to distinction of sex and major availability. That refered to on the whole 'There is no research study experience' and attend dancing research study while instigate most that allot expense with school or other engine's policy assistance do . Third, regarding facilities and teaching aids, a lot of the schools weren't furnished with separate dance rooms, at which dance class was conducted in the assembly hall. Dancing room spoke that is possessing recorder when is. The martial study operation most big problem point with the fact the map ability of the teacher is insufficient and the school facility teaching aid to be deficient. Fourth, when teach dancing by activation plan for effective dancing education, necessary equipment and parish preferred dancing class practical skill data, and studying substance that must handle area learner fare development and dancing education did 'Basic motion' by mail boat. Quality that schoolhouse must equip is comprehension about dancing course of study, a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무용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여 교육과정 내에서 무용교육의 효과적인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편의 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2009년도 현재 광주광역시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남·여교사 13개교 304명을 대상으로 무용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해 설문조사하였다. 회수된 자료의 처리는 SA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의 신뢰도를 검사하기 위해 Cronbach's alpha를 사용하였다. 또한, 자료 분석을 위하여 전체 설문지의 일반적 사항에 대해서는 빈도분석을 하였고, 교육과정, 교수학습, 시설 및 교재도구와 효과적인 무용교육의 활성화 방안은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사용하였다. 유의수준 p<.05인 변인에 대하여 통계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용교육과정 운영 실태에서는 제7차 체육교육과정의 표현활동 만족도에 대해 전공여부(p<.05), 담당학년(p<.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전체적으로 보통이라고 하였다. 제7차 체육교육과정 중 무용의 필수영역 지도에 대해 성별(p<.01)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보통이라고 하였다. 무용단원 분량에 관한 만족도는 연령(p<.01)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적당하다고 하였다. 무용단원의 학년별 수준의 적당도는 성별(p<.05)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관계없이 중간이라고 하였다. 교과 내용 중 추가되면 좋은 영역은 연령(p<.01), 교직경력(p<.05)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에서는 20대, 30대, 50대 이상에서는 오락무용을, 40대에서는 민속무용이라고 하였다. 교직경력에서는 1-5년, 6-10년, 20년 이상에서 오락무용을 11-15년, 16-20년에서는 민속놀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습 실태에서 무용수업 시수는 담당학년(p<.05)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한다고 하였다. 무용수업에서 자신 있는 지도내용은 전공여부(p<.01)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공여부에 상관없이 기본움직임이라고 대답했다. 무용수업에서 지도하기 힘든 내용은 성별(p<.05), 연령(p<.01), 교직경력(p<.01)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과 연령에서는 창작표현활동이라고 하였고 교직경력에서는 6-10년, 16-20년, 20년 이상에서는 창작표현활동을, 1-5년과 11-15년에서는 우리나라 및 다른 나라 민속춤이 가장 지도하기 힘들다고 하였다. 무용수업 시 시범은 전공여부(p<.05)와 연수경험(p<.01)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공여부에서는 체육을 전공한 교사는 동작마다 시범을 보인다, 체육을 전공하지 않은 교사는 잘하는 학생을 시범 보이도록 한다라고 하였다. 연수경험에서는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는 동작마다 시범을 보이거나 어려운 동작마다 시범을 보이고, 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는 잘하는 학생을 시범을 보인다라고 하였다. 무용수업의 지도내용는 성별(p<.01), 전공여부(p<.05), 담당학년(p<.01)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교육과정대로 실시한다고 하였다. 무용수업을 위한 교재연구의 정도는 성별(p<.05)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필요시에만 연구한다고 하였다. 무용수업 진행 시 가르치기 힘든 이유는 성별(p<.01), 전공여부(p<.05), 담당학년(p<.05)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관계없이 무용 지도능력이 부족해서라고 하였고 전공에 따라서는 체육을 전공한 교사는 실기 지도의 자료가 부족해서, 체육을 전공하지 않은 교사는 무용 지도능력이 부족해서라고 하였다. 담당학년에서는 저학년, 고학년에서는 무용 지도능력이 부족해서라고 하였고 중학년에서는 실기지도의 자료가 부족해서라고 하였다. 무용실기 지도 능력은 전공여부(p<.01)에 따라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보통이라고 하였다. 무용실기 연수 경험은 연령(p<.01), 교직경력(p<.05), 담당학년(p<.05)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과 전공여부에 따라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연수 경험이 없다고 하였으며 무용 연수를 참가한 교사 중 대부분은 학교나 기타기관의 정책보조로 경비를 충당한다고 하였다. 셋째, 시설 및 교재도구 실태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무용실이 없었으며 대신 강당에서 수업을 하고 있으며, 무용실이 있는 경우, 녹음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하였다. 무용수업 운영상 문제점은 교사의 지도 능력 부족과 학교 시설 교구가 부족하다 하였다. 넷째, 효과적인 무용교육을 위한 활성화 방안으로 무용수업 시 필요한 시설 및 교구는 무용수업 실기 자료를 선호하였고, 영역별 학습자료 개발 및 무용교육에서 다루어야할 학습내용은 기본움직임을 우선으로 하였다. 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은 무용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이며, 교육대학 무용수업에서 이루어져야 할 학습내용은 표현활동을 위한 기본움직임이라

      • 음악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연구 :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중심으로

        채규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807

        본 연구는 문헌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음악학도들에게 필요한 자료를 신속 정확하게 찾는데 느끼는 곤란함과 자료검색을 위한 2차 자료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음악교육 연구의 정보자료로서 음악교육 문헌관계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이를 장르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1993년부터 2002년 2월까지 제출된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333편의 논문 총람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333편의 장르별 연구경향은 14개의 장르 중에서 음악교육론 영역과 국악교육영역에 각각 67편(20.1%)으로 가장 많은 연구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 논문 작성자들 대부분이 초등교육에 몸담고 있는 교사로서 좀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음악교육을 하기 위한 노력의 표출로서 음악교육학적 측면에서 음악교육방법을 연구해 보려는 시도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서양식의 음악교육을 답습해온 이제까지의 교육에서 탈피해 우리의 것을 바로 알고자 하는 국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기조를 반영하여 국악교육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장르별-연도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기 전인 1998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음악교육론(28편), 성악교육(14편), 국악교육(14편), 작곡교육(11편), 교육과정(10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는 1999년에는 국악교육 9편, 성악교육 7편, 음악교육론 3편으로 국악교육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이후 2002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국악교육(49편), 음악교육론(39편), 성악교육(30편), 교육과정(23편), 감상교육(19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1999년 이후 국악교육의 연구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된 데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논문의 연구대상 시기인 6차 교육과정 때부터 국악교육에 많은 관심과 영역이 할애되었고 7차에 이르러 초등음악의 5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어 국악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1편도 제출되지 않았던 피아노 교육관련 논문과 불과 2편만이 제출되었던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999년 이후 피아노 교육이 총 7편,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1편으로 많이 증가되었다. 또한 어느 영역에도 소속되지 않는 새로운 영역의 논문들도 1999년 이후 10편이 발표되었다. 셋째, 장르별-학교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음악교육론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부산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였으며, 음악재능교육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진주교육대학교였다. 성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공주교육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였으며, 작곡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대구교육대학교였다. 국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광주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였다.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학교에 따라서 장르별로 비중을 두어 연구하는 영역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서울교육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의 경우는 14개 영역 중 종교음악교육, 유아교육, 특수교육의 특수한 영역을 제외하고는 고른 연구의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처음으로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연구 논문이 발표된 이래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초등음악교육전공이 개설되고 논문이 발표되면서 양적, 질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essay is to provide a general view of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as a valuable source of music research and to analyze it according to the music genre. It is helpful for music researchers to find necessary information easily in the plethora of music materials and to resolve the difficulty of information searching. This research investigated a total number of 333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which was published in Korea from 1993 to February 200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research trend by a genre showed that 14 categories among 333 thesi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music education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that were composed of 67 thesis(21.1 %). This revealed that most research was done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can be a good indication that teachers attempt to do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earch of music education. It can be interpreted as a trend of avoiding imitating Western style of music education and higher interests in traditional Korean music. Second, the general analysis according to the genre and annual publication showed that 28 thesis were about special areas of music education with 14 being about vocal music, 11 about writing music, and 10 about music curricula before theses of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were published in 1998. The theses relevant to music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at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tarted to be published in 1999. Nine theses were about traditional Korean music, seven on vocal music and three on music education. The trend of genre from 1999 to 2002 showed that 49 theses were made in the area of traditional Korean music, 39 about music education, 30 on vocal music, 23 about music education, and 19 concerning how to listen to music. It is believed that much interests in Korean music started at the 6th music curriculum contributed to the abundance of theses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music, which comprised of roughly 50 % of 7th music curriculum. There was no thesis at the area of piano education from 1992 to 1998 and only two thesis at the area of music evaluation. However, since 1999 seven theses of piano education were published and eleven on music evaluation. Third, general analysis of this research proved that Busan, Seoul, Inchon, and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of music education, and J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a lot of theses related to talented music education. Gongju and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associated with vocal music. T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most theses about writing music. Kwangju, Busan, Incheon, Chunche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order had more theses connected with traditional Korean music. This result illustrated the fact that different college explored different genre of music. Seoul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a tendency of studying a variety of spheres among fourteen areas except fields of religion, kindergarden, and speci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thesis demonstrated that the amount of research exploring elementary school music was increased in the aspect of quality and quality at the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i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their first master thesis.

      • 한 초등학교 교사의 미술 수업 전문성 탐구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박지희 한국교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9807

        나는 초등학교 교사로서 미술 수업 전문성을 갖고 싶다는 생각으로 현장에서 다양한 미술연수를 경험하였다. 그러나 미술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는 데 부족함을 느꼈고, 대학원 파견제도에 지원하여 초등미술교육 전공 파견교사가 되었다. 파견교사로 살아가며 스스로 변화함을 느끼기도 했고, 초등학교 교사와 미술교육전공자 사이에서 혼란스러움을 느끼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들은 나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는 것일지 궁금했다. 과연 나의 미술 수업 전문성이 발달하고 있는 것일까? 그렇다면 초등학교 교사에게 있어 미술 수업 전문성이란 무엇일까? 이러한 의문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초등 미술 수업 전문성이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초등 미술 수업 전문성이란 미술에 대한 지식과 초등교과 전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사의 철학이 담긴 미술 수업을 할 수 있는 능력이다. 하지만 내가 인식하던 초등 미술 수업 전문성과는 괴리감이 있었다. 이에 초등교사인 ‘나’는 초등 미술 수업 전문성을 어떻게 인식하였는지, 그리고 이러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 지 탐구하고자 하였다. 교사 개인의 경험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들여다보는 것은 초등학교에서의 미술 수업과 관련된 문화를 간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미술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어떠한 정책적,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자문화기술지를 사용하였다. 이는 연구자 본인의 경험을 분석한 과정적 연구이자 자전적 연구이므로, 시간에 따른 연구자의 삶의 맥락을 상세히 기술해 연구에 대한 이해와 신뢰성을 높이려고 하였다. 또한 연구 내용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문화적 인공물, 노트, 분석적 메모(자기회상자료, 자기성찰자료 등), 면담자료 등의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 절차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초등학교 교사의 미술 수업 전문성 탐구 과정은 ‘초등학교 교사인 나의 미술교과와 관련된 경험’, ‘미술교육 전공 파견교사로 살아가기’, ‘초등미술교육자로 나아가기 위한 노력’으로 범주화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나의 미술 수업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점차 변화하였다. 첫째, 실기 능력이 미술 수업 전문성의 필수 요소라고 생각하던 기존의 인식을 벗어나 미술교육에 대한 이해와 관심임을 깨달았고, 둘째, 미술교육에 대한 방향성과 목표를 갖게 되었다. 그리고 초등미술교육에 대한 나의 철학을 세우게 되었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된 초등 미술 수업 전문성은 교사의 교과에 대한 철학과 교과 내용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학생 맞춤형 수업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었다. 마찬가지로 나는 본 연구를 통해 미술 전공자에 대한 열등감을 해소하였고, 미술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갖게 되었으며, ‘미술문화를 전수하고, 미술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삶에서 미술을 향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미술교육’이라는 나만의 교육철학을 세우게 되었다. 즉, 나는 초등 미술 수업 전문성의 의미를 이해하고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미술 수업 전문성을 향해 한 걸음 더 나아가게 되었다. 아직도 많은 초등학교의 미술교육은 시대적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교사들이 미술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원 연수가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초등학교 교사가 미술교과에 흥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는 정책적 접근과 초등학교 교사가 스스로의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도록 돕는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는 바이다.

      •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황나영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807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how the application of the job search-bas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affects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rs’ career develop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improvement. Based on the above study goal, it has established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1. Does the job search-bas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2. Does the job search-bas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improvement? The study subjects selected to solve the above study questions are 56 fourth graders (28 boys, 28 girls) residing in Daejeon-si. Among them, 28 students (15 boys, 13 girls) in the researcher’s class are chosen to be in an experimental group while 28 students (13 boys, 15 girls) in another class was assigned to a control group. The selected study subjects were allotted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job search-orient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0 weeks between pre- and post-tests. The program used in this article referred to the job search-orient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Jo Bung-hwan (2006). It also referred to and applied the program developed in a paper titled as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Reading Therapy Program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Improvement’ by Lee Sang-hae (2006). In this article, the execution of the job search-orient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i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career develop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a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ly. In order to check i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re identical, t-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on the pre-test scores of career develop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survey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ith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The results gained through the process stated above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performed to examine if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it is proved that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sub-areas of career development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nd learning, the use and application of career information,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elf, and social relations, and academic and job search.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group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all the areas of career development such as career and learning, the use and application of career information,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elf, and social relations, and academic and job search.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performed to examine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of achievement motivation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sub-areas except for the independence spirit: confidence, future-orientedness, a sense of responsibility, an adventurous spirit, and task-orientedness. Therefore, the job search-orient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can be sai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onfidence, future-orientedness, a sense of responsibility, an adventurous spirit, and task-orientedness among the sub-areas of achievement motivation. Accordingly, the job search-oriented reading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all the sub-areas of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rs’ career development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nd learning, the use and application of career information,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elf, and social relations, and academic and job search. Moreover, it was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onfidence, future-orientedness, a sense of responsibility, an adventurous spirit, and task-orientedness but an independence spirit among the sub-areas of achievement motivation. 본 연구는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의 적용은 초등학생 4학년 학생의 진로발달 및 성취동기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 목적을 기초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나.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성취동기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대상은 4학년 학생 56명(남: 28명, 여:28명) 중 연구자의 담당 학급 학생 28명(남: 15명, 여: 13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 학생 28명(남: 13명, 여: 15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연구대상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10주간의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조붕환(2006)이 개발한 ‘초등학생을 위한 직업탐색중심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참고하였으며 이상해(2006)의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의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투입하였으며 여기서 독립변인은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의 투입이며, 그에 따른 종속변인은 진로발달과 성취동기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진로발달검사와 성취동기 검사의 사전검사 점수에 대한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 후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한 결과 진로발달 하위영역 중 진로와 학습과의 관계, 진로정보 이용·활용, 일과 자신 · 사회관계 인식, 학업·직업 탐색 영역 등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집단 프로그램은 진로발달은 진로와 학습과의 관계, 진로정보 이용·활용, 일과 자신·사회관계 인식, 학업·직업 탐색영역 등 모든 영역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 후의 성취동기의 사전·사후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에 관한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 분석결과 독립심을 제외한하위 영역인 자신감과 미래지향성, 책임감, 모험심, 미래지향성, 과업지향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은 성취동기 중 자신감, 미래지향성, 책임감, 모험심, 과업지향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직업탐색중심 초등학교 독서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진로발달 중 진로와 학습과의 관계, 진로정보 이용·활용, 일과 자신·사회관계 인식, 학업·직업 탐색영역 등 모든 영역에 효과가 있었으며 성취동기 중 독립심을 제외한 자심감과 미래지향성, 책임감, 모험심, 과업지향성 영역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 페어 프로그래밍 기법을 적용한 초등 소프트웨어 융합 수업이 정보처리역량과 학습흥미에 미치는 영향

        안재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의 목적은 페어 프로그래밍 기법을 적용한 초등 소프트웨어 융합 교육이 정보 처리 능력 및 학습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페어 프로그래밍을 적용한 초등 소프트웨어 융합 수업을 실시한 실험 집단과 일반 수업을 실시한 비교 집단은 정보처리역량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일 것이다. 둘째, 페어 프로그래밍을 적용한 초등 소프트웨어 융합 수업을 실시한 실험 집단과 일반 수업을 실시한 비교 집단은 학생 흥미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일 것이다. 이러한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20년 8월부터 9월까지 경기도 J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51명을 실험집단(25명)과 비교집단(26명)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보처리역량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한 2017 KEDI 학생 역량 조사 연구에서 개발하고 길혜지 외(2017) 연구에서 사용한 학생역량 검사지 중 정보처리역량에 해당되는 검사지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학습 흥미는 류성현(2012) 연구에서 사용한 Keller의 코스 흥미 검사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검사도구를 사용했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및 사후 정보처리역량과 학습 흥미도 점수를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페어 프로그래밍 기법을 적용한 초등 소프트웨어 융합 수업이 정보처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결과, 사전에 동질 집단이었던 두 집단이 실험처치 후 정보처리역량 전체 평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보처리역량의 하위요소 중 지식정보수집 및 분석능력 요소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 요소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집단 내 사전-사후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한 결과 실험집단은 정보처리역량의 전체 평균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 투입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 비교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페어 프로그래밍 기법을 적용한 초등 소프트웨어 융합 수업이 학습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결과, 사전에 동질 집단이었던 두 집단이 실험처치 후 학습흥미 전체 평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 흥미의 하위요소 중 관련성(R), 만족감(S)요소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 주의집중(A), 자신감(C)요소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집단 내 사전-사후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한 결과 실험집단은 학습 흥미의 전체 평균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 투입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 비교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페어 프로그래밍 기법을 적용한 초등 소프트웨어 융합 교육 프로그램은 2015 개정교육과정의 정보처리역량과 정의적 측면의 학습흥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초등학교 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실행 수준 분석

        윤미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9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To achieve the goal, the researcher established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what differences were made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teacher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s? Second, what differences were made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actices about teacher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s?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about teacher'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In order to resolve the subjects, the researcher researched present studies on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as a preceeding research, and used questionnaire, which the researcher made and developed with assistance of expert, as an assessment instrument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about teacher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gifted education in Daejeon, Gwangju, Yeoju-Gun. Total of 103 questionnaires out of 250 distributed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statistics(average, standard deviation), paired t-test, one-way ANOVA through the SPSSWIN 12.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researcher got the issues as following. Firs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importantly perceived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subject knowledge, the understanding gifted student, the collaboration with others in or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y sex,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experience of study and training on gifted education. Seco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carried out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subject knowledge, the understanding gifted student, the collaboration with others in or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y career for gifted education , experience of study and training on gifted education. Third, in whole area of teacher's level in perceptions and practices, teacher's level of perception on teacher' professionalism was high while their implementation in the real field was relatively low. Through the result of this, the researcher could make conclusion as following. Firs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needs to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subject knowledge a lot. And the teachers who wants to teach elementary school gifted students will reinforce the teacher' professionalism on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subject knowledge. Second, the experience of study and training on gifted education influences in teacher's level of perception and practice on teacher' professionalism. Third, the teachers themselves try to take the positive attitude to perform teacher' professionalism on the understanding gifted student. Fourth, teacher's level of perception on teacher' professionalism was high while their implementation in the real field was relatively low. So environment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properly provided for full implementation teacher professionalism.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실행 수준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로 첫째, 교사 개인적 배경변인에 따라 초등학교 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 개인적 배경변인에 따라 초등학교 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전문성 실행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실행의 관계는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선행 연구와 고찰을 통하여 초등 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과 실행 수준 측정을 위한 설문지를 전문가의 지도하에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초등학교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여 103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선정하였으며SPSSWIN(version 1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 t검증, 일원변량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은 교수전략, 교과지식, 영재아 이해, 상호 협력 영역 순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개인적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성별, 최종학력, 영재교육 연수 경험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초등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은 교수전략, 교과지식, 상호 협력, 영재아 이해 영역 순으로 현장에서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실행은 지도경력, 영재교육 연수경험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초등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인식 및 실행에서 전문성 인식 수준은 높았으나, 실제 현장에서의 실행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이 수업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수 전략, 교과 지식 영역에 대한 필요성을 많이 느끼고 있으므로 영재교육을 담당할 교사들은 교수전략 영역과 교과 지식 영역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데 더욱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둘째, 영재교육 연수 경험이 초등 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실행 수준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에서 초등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영재아 이해 영역에 대한 실행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초등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높았으나 현장에서의 실행 수준이 낮으므로 초등 영재교육 담당 교사들이 자신의 전문적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교육 풍토 및 교육 여건, 행정적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