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임상미술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자아존중감 및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

        김은희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임상미술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자아존중감 및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 나아가 뇌졸중 재활치료의 현장에 새로운 치료기법을 모색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U재활의학과 의원의 낮 병원을 이용하는 뇌졸중 환자 14명으로서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구성하였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적용 하여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07년 6월 1일부터 9월 14일까지 주 1회 60분씩 총 14회기에 걸쳐 임상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아존중감척도와 재활동기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측정된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에서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개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질적 방법으로서 K-HTP 그림진단 검사의 임상미술치료 전과 후의 변화를 분석하고, 임상미술치료의 과정을 회기별ㆍ개인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미술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임상미술치료 실시 후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임상미술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임상미술치료 실시 후 실험집단의 재활동기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실험집단의 K-HTP 그림진단 검사와 임상미술치료 활동은 의미 있고 긍정적인 질적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임상미술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자아존중감 및 재활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뇌졸중 환자에게 재활치료로서 임상미술치료가 효과적으로 적용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verifying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on self-esteem and th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of stroke after recovery, and providing foundation data to find a new treatment method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stroke patients.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 stroke patients in the day hospital of 'U'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with 7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7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The before and after plan for comparing inequalities was adapted an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linical art therapy for 60 minutes, once a day, for a total of 14 session from June 1, 2007, to September 14, 2007. The self-esteem index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fter treatment index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nd the measured data was analyzed with a t-test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In addition, a K-HTP picture analysis inspection and changes in before and after clinical art therapy were also carried out to qualitatively analyze effects of intervention, and the clinical art therapy process was analyzed according to sessions and individu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tudying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self-esteem of stroke patients, the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linical art therapy. Second, as a result of studying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fter recovery of stroke patients, th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fter recovery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linical art therapy. Third, the K-HTP picture analysis inspection and clinical art therapy activit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and positive qualitative changes. Therefor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clinical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th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fter recovery of stroke patients. This indicates that clinical art therapy can effectively be adapted as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stroke patients.

      • 플라톤의 「유티데모스」편에 나타난 쟁론술과 권고술 비교

        박성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thesis aims at the close analysis of Plato's Euthydemus to reac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ialogue. Plato skillfully employs dramatic details and comparison to illustrate the different methods of discourse. The dramatic structure of the dialogue is inseparable from its philosophical message. This thesis reveals the nature of socratic discourse by portraying Socrates' method in contrast with a method called eristic. Thus, we can distinguish Euthydemus into eristic sections(chap. 3, 5, 7) and Socratic discourse sections(chap. 4, 6). This approach considers the problem of education, virtue and dialectic from several different points of view. In the prologue of Euthydemus(chap. 1, 2) Socrates narrates to Crito a remarkable scene in which he has himself taken part, and in which the two brothers, Dionysodorus and Euthydemus, are the major performers. They have accomplished a remarkable skill, that skill of "eristic"or argument with words. They declare that they can also teach virtue in a very short time and in the best manner. Socrates is desirous that the youth, Kleinias should have the benefit of their instruction. They decide to teach on the condition that the young man should be willing to answer their questions. Ⅱ. chap. 3. The instruction or the exhortation to virtue begins: "Are those who learn, the wise or the ignorant?" The reply is "the wise." But in the process of the dialogue, Kleinias comes to agree that before one learns, one does not know and is not wise(275d3-276b7). Next, Dionysodorus' attack begins: "Who are they who learn the dictation of the grammar-master; the learned boys or the unlearned boys?" The reply is "The learned," "Then your last answer to Euthydemus was wrong," says Dionysodorus. They simply seem to use ambiguity of the word 'learn'(276c). Ⅱ. chap. 4. Socrates, perceiving that the brothers are not serious, is desirous of showing the way in which the exhortation to virtue should be carried on. He argues that all men desire good; that knowledge and wisdom are the only good, and ignorance and folly the only evil and that wealth, health, beauty, etc, being in themselves neither good nor evil, become good only through knowledge and wisdom(278e3-281e5). The conclusion is that one must seek after 'wisdom', and become a philosopher, or a lover of wisdom(282c8-d3). "Certainly I will do my best," says Kleinias(282d4). Ⅱ. chap. 5. The brothers recommend their own exhortation, which is of quite another sort. They ask Socrates: "Do you want Kleinias to be wise?" "Yes." "Is he now wise?" "No." "Then you want him to be what he is not, that is, to perish!"(283c3-d10) Here, Ktesippus, the lover of Kleinias, interposes in great excitement(283e1). Quickly entangled in the methods of their sophistry, he finds that for them there are no contradictions, no errors, no ignorance, no falsehoods(286d1-287a4). Ktesippus breaks out. However, pacifying him, Socrates renews the conversation with K1einias. Ⅱ. chap. 6. Their conversation begins at the point they left off. The point is, as described above, that Kleinias must become a philosopher(288d7-9). Philosophy is to possess knowledge, which must do us good and makes us happy. What knowledge is there which has such a nature(288d9-e1)? Kleinias and Socrates are described as wandering about in a wilderness, vainly searching for the art of life and happiness. At last, they meet with the kingly art(290b). However, it only asks them the hardest question. So in despair Kleinias and Socrates request the two heroes' aid. Ⅱ. chap. 7. Euthydemus argues as follows: someone cannot know and not know; so, Socrates who knows something, cannot know some things and not know others, and so be at once knowing and unknowing; therefore, Socrates knows all since he knows anything(293c1-d10). A similar play on words follows. At last, ironically, Socrates and Kleinias confess that the two heroes are invincible. In the eristic sections(chap. 3, 5, 7), Socrates portrays a false conception of education. In their method a teacher and a student have a hostile and competitive relationship. The aim of their discourse is to refute any claim that their opponent puts forward, regardless of its truth or falsehood. The brothers put forward a series of claims which undermine the ordinary conception of education: learners are neither wise nor ignorant; false speech is impossible; and if a person knows anything, he knows everything. Socratic elenchus(chap. 4, 6) differs from eristic in its conception of education, its purpose, the relation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and in the modesty of the claims which Socrates puts forward in its favor. Socrates does not claim to hand over virtue, but to turn the student toward virtue, which seems to have an independent existence. Socrates aims at finding out "how things stand"(278b5), not at simply refuting his opponent. The relationship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is like one between a lover and a beloved, based on a genuine desire on Socrates' part to effect his student's improvement. Socrates succeeds in turning Kleinias toward the practice of philosophy, but he does not call himself a teacher or accept responsibility for Kleinias' progress. In Euthydemus, knowledge is valuable for it enables a person to use other gifts and possessions properly. Such knowledge cannot be imposed from the outside or be transmitted from one person to another. The conclusion is negative, but two suggestions offer alternative solutions. Also, this study of Euthydemus presents that Plato's deprecation of the study of language in Euthydemus is merely a denial of an argument that the knowledge of words alone is a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knowledge of things.

      • 니체의 예술철학과 현대미술 : 니체의 <비극의 탄생>을 중심으로

        이인희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33359

        20세기 미술을 관통하는 니체의 예술 철학은 ‘신은 죽었다’라는 하나의 문장으로부터 시작 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십 세기 이어져 온 소크라테스의 이성중심주의에 종언을 고하고 디오니소스적 인간을 통한 니체의 예술과 삶의 구원은 20세기 미술뿐 아니라 예술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니체의 사유는 특히 모더니즘과 결별하고 포스트모더니즘적 사유를 잉태하는데 가장 큰 밑거름이 되었다. 그가 『비극의 탄생』을 통해 예술가-형이상학에서 보여주고 있는 삶의 미적 정당화를 위한 논리는 20세기의 현대미술의 포문을 여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그의 후기 미학적 성찰로 여겨지는 예술 생리학은 삶과 예술을 연결 지으려는 시도로 포스트모더니즘적 성찰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19세기 말까지 유럽 사회를 지배해 왔던 이성중심의 계몽주의에 대한 불신은 시대적 고찰의 불씨가 되었다. 니체는 이러한 시기에 새로운 시대적 대안을 제시하고『비극의 탄생』에서 삶의 예술적 정당화를 주장한다. 그는 아폴론과 디오니소스적 예술의 충동과 대립을 통해 소크라테스적 전통 미학에 반기를 들고 그리스 비극에 대한 재해석을 보여주었다. 여기에서 니체는 예술이 아폴론과 디오니소스의 대립적 이중성에 결부하여 그리스 예술을 통해 발전되어 왔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즉 그는 아폴론적인 것으로 이성, 균형, 절도, 아름다운 가상, 꿈, 표상 등을 언급하고 디오니소스적인 것으로 감성, 혼돈, 무질서, 변화하는 생명력, 도취, 의지 등을 제시하며 이들의 충동과 대립을 통해 그리스 비극이 탄생되었음을 주장했다. 그리고 그는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아폴론적 충동의 가장 완벽한 결합은 ‘아티카의 비극’이며 가장 높은 예술의 경지에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그리스 문화의 건강성을 그대로 드러내던 ‘비극’은 6세기경 에우리피데스에 의해 쇠퇴의 징후가 드러나기 시작한다. 결국 “모든 것은 아름답기 위해 의식적이어야 한다”는 논리에 따르고 있는 에우리피데스에 대하여 니체는 “미학적 소크라테스주의”라고 비판하기에 이른다. 니체는 ‘소크라테스주의’ 혹은 ‘인식욕’을 문제 삼으며 이론적 낙관주의가 그리스 비극을 멸망에 이르게 했고 전 유럽을 규정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니체의 비극적 예술관에 밑거름이 되었던 것은 쇼펜하우어의 철학적 세계관과 바그너, 그리고 고대 그리스의 문화와 독일철학이었다. 이것들은 니체가『비극의 탄생』에서 주장하고 있는 예술가-형이상학의 단초가 되었다. 쇼펜하우어의 개체화의 원리, 바그너의 극음악, 그리스 예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은 예술가-형이상학의 전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를 통해 니체는 아폴론과 디오니소스의 대립과 투쟁, 화해의 과정을 보여주고 현존재의 미적 정당화를 부여한다. 그래서 니체는 “삶과 세계는 미학적 현상으로서만 영원히 정당화된다”라는 주장을 여러 번 강조하며 삶의 비극성을 견딜 수 있는 것은 예술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또한 그에게서 진정한 예술은 ‘아름다운 가상’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닌 디오니소스적 긍정의 눈으로 현재의 삶을 인정하고 극복해 나가는 데 있었다. 예술이 삶과 분리될 수 없다는 주장은 니체의 ‘예술 생리학’에 잘 드러나 있다. 또한 예술적 체험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도취’의 개념은 예술 생리학의 필요충분조건과도 같다. 이제 ‘아름다운 가상’의 자리는 삶 자체에 대한 인정과 긍정으로 대체되어야 하고 자기극복과 자기창조의 힘으로 드러나야 한다. 니체의 예술 생리학은 이러한 점에서 전통적인 예술개념을 전복시켰다. 그에 의하면 인간이 가진 힘에의 의지로 자기극복과 자기창조를 해나가는 모든 인간은 근본적으로 예술가이다. 또한 예술의 예술, 아름다운 예술에 관한 논의가 아닌 우리의 삶을 변형시키는 예술이야말로 진정한 예술인 것이다. “영원히 파괴하고 창조하는 디오니소스적 놀이”, “세계 자체가 예술작품”, “세계를 스스로 분만하는 예술작품”이라는 니체의 예술관은 20세기 철학과 예술의 흐름에 많은 파장을 불러왔다. 앞장에서 고찰했듯이, 니체가『비극의 탄생』에서 주장했던 디오니소스의 철학과 그 이후의 예술생리학 개념은 20세기 현대미술의 흐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세기 말의 우울과 제1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등장했던 20세기 초의 미술은 추상성과 더불어 혼돈과 회의적 시대정신을 작품에 담아내고 있었다. 이 시기에 야수주의, 표현주의, 입체주의, 미래주의, 구성주의, 다다와 초현실주의 등 수많은 유파들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그들은 전통의 미학적 과제를 이어받아 재구성하였고, 반미학적이고 파괴적인 성격의 아방가르드 미술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이러한 시대적 소용돌이 안에서 새로운 미학적 기반을 마련해 주었던 것이 니체의 예술철학이었고 특히 표현주의, 미래주의, 다다와 초현실주의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신의 죽음으로부터 기인한 허무주의는 인간의 내재적 삶을 더욱 중요한 가치로 설정하게 했다. 허무주의는 삶에 있어서 이성과 논리의 정교함에서 힘에의 의지나 인간 본능의 힘으로 눈을 돌리게 했다. 아폴론적 속성과 디오니소스적 속성의 이원적 대립과 화해의 개념은 이후 독일 표현주의의 전개에 기틀을 마련해 주었다. 인간 개인이 느끼는 감정의 역동적인 붓질은 디오니소스적 인간의 형상화였고 대상의 주관화는 ‘근원적 일자’의 연장선이었다. 이러한 표현주의의 중심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뭉크와 놀데가 있었는데 이들의 작품은 니체의 근원적 일자(Ur-eine) 사상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미래주의는 20세기 초의 시대상황과 맞물려 기계문명과 속도감을 예찬하고 전통을 부정했던 아방가르드 미술이었다. 기계주의의 이상과 역동성, 동시성을 강조했던 그들은 작품 안에서 속도감을 구현하고자 하는 열망에 사로잡혀 있었다. 미래주의의 창시자 마리네티는 니체의 역동적인 삶의 의지를 속도감, 역동성, 그리고 동적인 기계와 연결 짓는다. 미래주의자들에게 니체의 위버멘쉬라는 위대한 인간의 출현은 미래적 영웅상으로 해석되고 보치오니의 입체작품으로 카라의 평면작품으로 형상화되기에 이른다. 그리고 디오니소스적 혼돈과 광기는 미래주의자들의 역동주의로 대변된다. 20세기 초 전쟁으로 인해 피폐해진 유럽은 무정부주의 속에서 자신들을 구해줄 새로운 사상적 사유를 갈망한다. 이들은 이성중심주의에 회의를 느끼고 반문명, 반합리, 반미학, 반형식주의를 부르짖었다. 다다와 초현실주의는 이러한 시대의 한가운데서 탄생된 미술이다. 비합리, 우연성, 무의식 등을 중시했던 다다와 초현실주의의 정신은 니체의 디오니소스적 사유와 직결된다. 전통적 가치의 전복과 디오니소스가 제시하는 파괴, 변화, 생성에 대한 요구는 다다이즘의 미학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취와 우연성, 은유에 대한 개념들은 초현실주의의 여러 기법들과 키리코, 뒤샹, 마그리트, 에른스트의 작품들을 통해 드러난다. 니체의 사상은 20세기 중후반의 현대미술에도 사상적 기반으로 작용했다. 제2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변화했던 유럽과 미국의 현대미술,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적 미학의 전개에는 특히 많은 영향을 끼쳤다. 예술을 위한 예술을 기본정신으로 하는 순수성과 자율성의 모더니즘적 미학은 빛을 상실해 갔고, 삶과 예술을 연결 지으려고 하는 20세기 중후반의 흐름은 니체의 예술 생리학과 방향을 함께 한다. 유럽 중심의 미술이 미국으로 옮겨가면서 등장했던 추상표현주의는 예술의 행위 자체, 과정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이전의 미술과는 구별된다. 잭슨 폴록의 액션페인팅은 미국의 추상표현주의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양식으로, 초현실주의의 자동기술법으로부터 형식을 물려받았다. 제작과정에서 드러나는 우연성과 도취의 태도는 니체의 디오니소스의 정신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또한 색면 회화의 대표작가 마크 로드코는 니체의 비극정신을 전면균질적 회화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였다. 고대 그리스 신화, 비극,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사상에 심취했던 로드코는 자신의 작품이 ‘형이상학적 위로의 예술’, 또는 ‘차안의 위로의 예술’이기를 바랐다. 이는 치료제로서의 예술을 주장했던 니체의 사상과 일치한다. 로드코는 시간이 지날수록 니체의 디오니소스적 충동에 이끌려갔다. 이는 ‘드라마로서의 회화’로 나타나 관람자들로 하여금 도취의 감정을 경험하게 한다. 미국의 추상표현주의에 상응하는 유럽의 동시대 미술인 앵포르멜은 제2차 세계대전의 파괴적 참상을 미술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기하학적 추상에 반발하여 부정형의 미술을 추구하는 이들은 어떤 것에도 구애받지 않으려는 욕구가 내재되어 있다. 앵포르멜은 가치 전도를 위해 반휴머니즘의 극한까지 밀고 나갔던 니체와 다다만을 유산으로 규정하였고 미학적인 권위를 파괴하고자 하였다. 특히 뒤뷔페는 ‘아르브뤼’라는 원생미술을 주장하고 니체의 말처럼 ‘머릿속에서 미친 듯이 춤추는 예술’을 갈망했다. 예술에 있어서 도취의 개념을 충실히 이행했던 뒤뷔페는 날것 그대로의 거친 예술과 “순수하고 기본적이며, 창작자 자신의 충동에만 이끌리는 예술”을 지향했다. “모든 것은 예술이고 모든 사람은 예술가다”라고 주장했던 요셉 보이스의 이 발언은 니체의 예술생리학의 개념과 일치한다. 또한 이것은 플럭서스의 정신과도 일치한다. 실제로 니체의 사상을 추구했던 니체주의자 요셉보이스는 삶과 예술의 경계를 없애고 예술이 지닌 사회적 역할을 강조했던 예술가였다. 그의 입체작품과 퍼포먼스, 사회적 조각의 개념은 삶과 예술의 일치를 위한 노력이었다. 그리고 니체가 강조한 삶의 치료제로서의 예술을 실현한 것이었다. 삶과 분리되는 예술을 거부하고 긍정의 미학을 담고 있는 플럭서스, 그리고 주요 멤버이기도 했던 요셉보이스, 그의 외침은 이제 니체의 메아리가 되어 현대미술로 돌아왔다. 그는 “더 이상 예술가가 아니며, 예술 작품 자체가 되었다.” 주지하듯이, 니체가 주장했던 디오니소스의 철학과 예술생리학 개념은 20세기 현대미술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히 자기파괴와 자기창조의 개념을 내포한 의지의 철학은 아방가르드 미술 정신에 주춧돌이 되었다. 니체의 미학은 예술작품은 아름다워야 한다는 전통적인 예술 개념을 파괴하고 예술가에 의한 예술작품이라는 공식마저 붕괴시킨다. 즉 그의 미학은 예술이 매 순간 일상세계나 삶의 과정 속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삶과 세계 자체가 하나의 예술적 생성과정이고 예술 작품이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적 사유로 연결된다. 절대주의에서 상대주의로의 이행 그리고 예술과 삶을 연결 짓고자 하는 움직임은 20세기 후반 현대미술의 전개에 있어서 핵심적 요소였다. 이러한 현상은 21세기 현대미술의 다양한 양식으로 전개되어 가고 있다. 이는 대지미술, 설치미술, 환경미술을 비롯하여 미디어아트, 인터렉티브 아트로 이어졌다. 여기에서 예술과 삶의 경계는 사라지고 관람객이 작품의 창조자가 된다. 20세기 현대미술의 역사에 있어 파괴와 창조의 개념이 아름다움에 앞서 예술의 자리를 선점했다면 그 역사의 시작에 니체가 있었다. 이와 같이 니체가『비극의 탄생』에서 주장했던 삶의 미적 정당화와 이후 예술생리학과 힘에의 의지를 통한 전위적 예술철학은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향후 21세기 현대미술의 새로운 전개에 있어 화수분과 같은 역할을 할 것이다.

      • 니체에게 있어 철학과 역사의 관계에 대하여

        조현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43

        니체는 철학자이기 전에 문헌학자였다. 니체에게 있어 문헌학은 역사학이기도 했다. 그렇기에 니체가 자신의 철학적 저작들이 “역사의 교훈”을 보여준다고 주장한 것은 우연이 아닌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니체에게 있어 철학과 역사의 관계는 철학적으로 주목 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충분히 주목 받지 못한 니체의 철학과 역사의 관계를 해명하고, 니체 철학에서 역사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니체 철학에서 역사가 차지하는 중요성은 다음과 같이 주장된다. 니체에게 있어 인간은 역사적 존재로서 규정된다. 철학적 실천 또한 역사적 존재로서의 인간 활동이다. 철학이 역사적 존재로서의 인간 활동이기에 그 유의미성은 역사 투쟁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니체 철학의 유의미성은 역사 투쟁으로서의 유의미성에 근거한다. 본 연구는 니체 철학의 역사 투쟁적 성격에 주목함으로써 니체 철학에서 역사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주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은 도구적인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니체 철학은 그 자체로는 역사적이지 않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모순적이라고 여겨지는 니체 철학의 일관성을 “역사”를 통해 해명함으로써 니체 철학과 역사가 분리될 수 없음을 주장한다. 니체에게 있어 역사는 철학의 수단이 아니라 철학과 분리될 수 없는 철학의 조건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위해 본 연구는 초기 저작인 『반시대적 고찰』에서부터 후기 저작인 『도덕의 계보학』에 이르기까지 니체가 일관적으로 철학을 역사 투쟁으로서 수행하며 발전시켰음을 보일 것이다. Before being a philosopher, Nietzsche was a philologist. For Nietzsche, philology was also history. It is no coincidence, therefore, that Nietzsche insisted that his philosophical writings reveal "the lessons of history". Nevertheless, for Nietzsche,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and history has not received philosophical atten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goal of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ietzsche's philosophy and history, which has not received enough attention, an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history in Nietzsche's philosophy. The significance of history in Nietzsche's philosophy is asserted as follows. For Nietzsche, human beings are defined as historical beings. Philosophical practice is also a human activity as a historical being. As philosophy is a human activity as a historical being, its significance is bound to be a historical struggle.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Nietzsche's philosophy is based on its significance as a historical struggle. This study asserts the importance of history in Nietzsche's philosophy by paying attention to the nature of historical struggle in Nietzsche's philosophy. However, this importance can be instrumental. In this case, Nietzsche's philosophy may not be historical in itself. This study argues that Nietzsche's philosophy and history cannot be separated by elucidating the consistency of Nietzsche's philosophy, which is considered contradictory, through "history". For Nietzsche, history is not a means of philosophy, but a condition of philosophy that cannot be separated from philosophy. For this claim, this study will show that Nietzsche consistently developed philosophy as a historical struggle, from his early work Untimely Meditations to his later work On Genealogy of Mor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