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윤민숙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0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describe self-concept differences among college students attending traditional dance, (2) to compare self-concepts between this group and groups not attending traditional dance, and (3)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selected independent variables among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living in Tae-Jon City. The instrument, which evidenced acceptable internal consistency (.67 - .92), was formulated by adapting existing instruments. The instrument consisted of three parts (variables of self-concept, variables of attendance at dance activitie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surveys were conducted with 209 college students in Tae-J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self-concept as dependent variable, and dance duration, frequencies and intensity, stage experience and prize-winning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1. There were no self-concept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who majored in Dance and others, and among college students attending Dance. 2. The period, intensity, and frequency of attending dance class were the variables that were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physical self-concept. In other words, respondents who are attending traditional dance class for a long term period, at high intensity, or more frequently are more likely to have a high physical self-concept compared with respondents who are attending for a short term period, at low intensity, or less frequently. 3. There are self-concept differences in the general, social, and emotional parts concerning satisfaction with having a dance major among college students attending traditional dance. Specifically, respondents who a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in dance are more likely to have a high self-concept in general, social, or emotional parts compared with respondents who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major in dance. 4. There are self-concept differences in social and emotional parts concerning satisfaction with having a dance major. That is to say, respondents who have more experience with prize-winning and being on stage are more likely to have a high self-concept physically than respondents who have less. Finally, this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some understanding dealing with self-concept among college students who major in traditional Korean dance.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무용 전공자들과 비전공자의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 전통무용 전공자들이 갖는 자아인식과 관련된 변인들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었다. 연구의 대상은 대전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생으로 무용전공자(전통무용, 외국무용)와 비전공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층화무선추출법(Stratif ied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총 206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송인섭(1982)이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측정도구의 구성은 무용활동 참여특성에 관한 영역, 자아개념에 관한 영역, 그리고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영역등 3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측정도구는 사용하기에 충분한 신뢰도(.67 - .92)를 나타내었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기법은 대체적으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의존변인은 자아개념이며, 독립변인으로서는 무용활동 참여유무와 유형, 무용활동 참여기간, 빈도, 강도, 전공에 대한 만족도, 수상경력, 무대경험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간, 그리고 전통무용 전공자와 외국무용 전공자간의 자아개념은 차이가 없다. 둘째, 전통무용 전공자들의 참여기간, 참여강도, 참여빈도에 따른 신체적 자아개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전통무용 참여기간이 긴 그룹이 짧은 그룹보다, 참여강도가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참여빈도가 많은 그룹이 적은 그룹에 비해 신체적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통무용 전공자들의 전공만족에 따라 일반적, 사회적, 정서적 자아개념의 차이가 나타난다. 즉 전공에 대한 만족정도가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에 비해 일반적, 사회적, 정서적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통무용 전공자들의 무대경험 및 수상경력에 따라 정서적, 신체적자아개념의 차이가 나타난다. 즉 전통무용 전공자들의 무대경험이 많을수록 정서적 자아개념이 높았으며, 수상경력이 많을수록 신체적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료의 분석결과, 전통무용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아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요구된다고 사료된다.
전통무용 조기교육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초·중등 학생과 전공자들의 인식도를 중심으로
이은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This study aims at letting known excellence of Korean art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traditional dance should be preserved and educated as national art, implanting national identity by making this accepted slowly through general school education, and suggesting early education for more organic education in cultivating talented people in traditional dance. To recognize the need of early education for traditional dance, I investigated theoretical background to see the concept of tradition, history of traditional dance,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ance as Korean own thing and mentioned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and the need of early education for traditional dance. I also investigated the actual state of traditional dance education and relevant problems, along with general students' awareness of traditional dance and opinions of general education and awareness of education for cultivating talented people among those majoring in Korean dance who are closest to traditional dance, in order to see the need and possibility of early education for traditional dance. And I presented a method to activate early education. A research was conducted in reference to books, articles, academic journals, and Internet data related to tradition, traditional dance, and education; a survey was implemented, followed by statistics, with 20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94 Korean dance majors at the college-graduate level or above to see recognition. The research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raditional dance now belongs to a school curriculum. However, it belongs to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with differences in being educated effectively by schools, teachers, and so on. Therefore, teacher education and an independent subject of traditional art are urgently needed so that it can practically be reflected in education, not existing just in a learning plan. Second, though vaguely, students were fou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radition; however, they were shown not to have good awareness of traditional dance through detailed questions. Priority should be given to an educational method and direct experiential education to arouse interest so that they can feel familiar with traditional dance. Third, from majors' awareness, a result was drawn that a condition is necessary for organic education through systematic education in order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To do this, a specific scheme of establishing an elementary school for traditional art was suggested. Fourth, many students answered that it is necessary to treat traditional dance education in a more important way in the present Korean dance education at secondary art schools and that traditional dance should be designated as an independent subject to uphold, maintain, and improve tradition. Fifth, national participation and support is essential to perform and systematize traditional dance education. To conduct early education for traditional dance effectively, it is now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condition and problems and awareness of students and experts and establish an educational method suitable to the present state and have teachers change their recognition, instead of the educational type centered on the cramming system. All of the state, artists, and schools should participate in doing so. 본 연구는 전통무용이 우리 민족예술로서 보존되고 교육되어야 한다는 것을 토대로 우리 예술의 우수성을 알게 하고 이것이 일반학교 교육을 통해 서서히 받아들이게 하여 민족의 정체성을 심어주는 한편 전통무용 인재 양성의 측면에서도 좀 더 유기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는데 조기적인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전통무용 조기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위해 먼저 이론적 배경을 통해 전통의 개념, 전통무용의 역사와 전통무용이 가지는 우리 것으로서의 특징들을 살펴보았고, 예술 교육의 중요성과 더 나아가 전통무용이 조기교육 되어야 하는 중요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현재 전통무용의 교육 현황과 그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았고 더불어 전통무용이 조기교육 되어야 하는 당위성과 현실가능 여부를 알기 위해 일반 학생들의 전통무용에 대한 인식과, 전통무용을 제일 가까이 하는 한국무용 전공자들의 일반 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생각과 인재양성에 따른 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기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제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전통, 전통무용, 교육 등과 관련된 서적, 논문, 학술지, 인터넷 자료들을 참고하여 연구하였고, 인식 조사는 서울지역 초등학생, 중학생 200명과, 대학졸업 이상 한국무용 전공자들 9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통계를 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전통무용은 학교교육과정에 속해 있다. 하지만 체육교과에 속해 있고 학교, 교사 등에 따라 효과적으로 교육되어지기도 하고 전혀 그렇지 않은 것에 차이를 보이며 학생들의 단계별 발달에 관계없이 비슷한 내용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학습계획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닌 실질적으로 교육에 반영 될 수 있도록 교사에 대한 교육, 전통예술의 독립교과 등이 절실히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의 인식에서 막연하게나마 전통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세부적인 질문들을 통해 본 결과 전통무용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잡혀 있지 않은 실정이다. 전통무용을 가까이 느낄 수 있도록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 방법과 직접적인 체험교육이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전공자들의 인식에서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유기적으로 교육될 수 있는 여건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방안으로 전통예술 초등학교 설립이라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현재 중·고등 예술학교 한국무용 교육에서 전통무용 교육이 좀 더 비중 있게 다루어져야 하며, 전통무용이 독립과로 지정되는 것은 전통의 계승과 유지,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는 다수의 응답을 얻을 수 있었다. 다섯째, 전통무용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체계화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참여와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상으로 전통무용 조기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학생들과 전문인의 인식을 잘 파악하고 주입식 위주의 교육 형태에서 벗어나 현재에 맞는 교육 방법과 교사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국가와 예술인, 학교 모두가 동참하여야 할 것이다.
한국무용전공자의 직업병 현황에 따른 보험대책 방향 연구
김지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In Korea, the idea of occupational diseases is predominantly applied only to the manufacturing industry with its disasters and diseases. Thus others vocational activities and their resulting diseases have not received serious considerations. In particular, the interest level in occupational diseases suffered by the professionals in art including dance is very low with no plans set up for them. Most common among dancers with their dancing activities are musculoskeletal diseases. Among them back pain and the shoulder-arm-neck syndrome, which are caused by excessive strain on the body, have increased every year and are expected to continue the pace in future. Thus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causes and current state of occupational diseases among Korean dance majors much exposed to the risk, suggest directions in insurance plans according to the findings, and help them prolong their life in artistic activities and improve their expressive abilities. After excluding the questionnaires whose answers were not sincere or lacked reliability, the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a group of Korean dance major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and the computer. First, the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nd then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overall response distribution of the items. And finally χ²-test was carried out to see if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in the responses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Those methodologie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re were total 200 valid questionnaires to be analyzed. The respondents were in their twenties(56.0%), thirties(39.5%), forties(4.0%), and fifties or older(0.5%). The male respondents were 12.0%, the female ones 87.0%, and no response 1.0%. The female respondents claimed a much higher percentage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As for career, 2.0% of them had a career of 5 years or less, 18.0% 5~10 years, 45.5% 10~15 years, and 34.5% 15 years or longer.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were the biggest in percentage. As for annual income, 36.0% earned 10 million won or less, 61.5% 10~20 million won, and 2.5% 20~30 million won per year. And 12.0% belonged to a school, 40.5% to a dance company, 17.5% to a dance teaching institution, 29.0 were freelancers, and 1.0% fell into the miscellaneous category. Second, the areas they ever felt pain were examined. As a result, 76.6% felt pain in the lower back, 67.0% in the knees, 44.7% in the hips(hip joints), 27.1% in the ankles, and 8.5% in others. Third, they were asked if their symptoms seemed to be related to their occupations. Most of the respondents believed their symptoms were clearly related to their occupations. Fourth, they were then asked if they needed insurance for certain. As a result, 77.0% said they did, 19.9% said they were not sure, and 3.1% they didn't need it. Among them 70.7% were ever insured, and 56.8% were insured for the purpose of compensation for injury(disease, wound, or death). Fifth, they were also asked if they would be compensated by the insurance company for a dance activity-related disease. As a result, 42.6% said they would not, 40.5% they would, and 16.9 they didn't know. The respondents didn't usually think they would be compensated for a dance activity-related disease by the insurance company. When they were asked if they would be willing to buy an insurance that covered dance activity-related diseases among Korean dance majors, 53.3% said they would. And 62.2% placed the first significance on compensation for dance-related diseases among the contents of an insurance product for Korean dance majors. And sixth, they were asked which of the following insurance products they would purchase in case of a dance activity-related injury or disease. As a result, 44.2% chose the insurance developed solely for Korean dance majors by a private insurance company, 42.7% the mutual aid of culture and art professionals, and 13.1% the group insurance of their organizations such as a dance company. Thus it's clear they would purchase an insurance product developed solely for Korean dance majors by a private insurance company if there were one to give them insurance money in case of injury, disease or accident.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many Korean dance majors were suffering from pain from their occupational diseases with no plans to practically manage the risk. Since the need for and interest in insurance and mutual aid for Korean dance majors have been increasing, the association or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The private insurance companies should be encouraged to develop insurance products for Korean dance majors. In addition, it's also the most important to implement various plans as soon as possible such as introducing a mutual aid for the professionals in culture and art early and invite their registration and initiating a mutual aid project by the association. Those measures will guarantee Korean dance majors stable artistic activities and help them prolong their artistic life.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직업병이 제조업의 재해 및 질환에만 해당된다는 인식이 많아 그 외의 직업활동으로 인한 질환은 그동안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무용과 같은 예술직에서의 직업성 질환은 더더욱 관심도가 낮은 편이며 그에 따른 대책 또한 전무한 실정이다. 무용활동으로 인해 많이 발생하는 질환은 대표적으로 근골격계질환을 들 수 있는데 반복적 움직임, 부적합하고 어려운 자세 등에 의하여 신체에 무리한 부담을 주었을 때 나타나는 요통, 경견완장해 등은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계속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업성 질환의 위험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한국무용전공자들의 직업성 질환 원인 및 현황을 분석해 보고 그에 따른 보험대책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무용전공자들의 예술활동 수명 연장과 표현능력 향상의 계기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무용전공자들이 작성한 설문지를 확보하여 응답내용이 부실하고 신뢰성이 없는 자료는 제외하고 분석 가능한 자료만을 SPSS 프로그램을 이용, 컴퓨터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먼저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각 문항에 대한 전반적인 응답분포를 파악하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적용하였다. 또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 각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교차분석(χ²-test)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200명으로부터 유효한 응답을 확보하였으며, 연령별로는 20대 56.0%, 30대 39.5%, 40대 4.0%, 50대 이상 0.5%로 각각 나타났으며 성별로 보면 남자가 12.0%, 여자가 87.0%, 무응답 1.0%로 여성의 비율이 남성의 비율보다 매우 높았다. 경력별로는 5년 미만 2.0%, 5~10년 18.0%, 10~15년 45.5%, 15년 이상 34.5%로 나타났고 학력수준은 대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간소득은 1,000만원 미만 36.0%, 1,000~2,000만원 61.5%, 2,000~3,000만원 2.5%로 나타났으며 소속단체는 학교 12.0%, 무용단 40.5%, 무용학원 17.5%, 프리랜서 29.0%, 기타 1.0%로 각각 나타났다. 둘째, 통증을 느껴본 적이 있는 부위를 파악한 결과, 허리 76.6%, 무릎 67.0%, 엉덩이(고관절) 44.7%, 발목 27.1%, 기타 8.5% 순으로 나타났다. 즉 응답자들은 허리에 통증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증상이 직업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파악한 결과,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증상이 직업과 확실히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인이 생각할 때 보험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파악한 결과, 필요하다 77.0%, 모르겠다. 19.9%, 필요 없다 3.1% 순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보험에 가입한 적이 있는 응답자가 전체의 70.7% 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주로 사고(질병, 상해, 사망 등) 보장 (전체의 56.8%)을 목적으로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무용활동과 관련 질환으로 보험사에서 보상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파악한 결과, 보상 받을 수 없다 42.6%, 보상 받을 수 있다 40.5%, 모르겠다 16.9% 순으로 나타났다. 즉 응답자들은 무용활동과 관련 질환으로 보험사에서 보상 받을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무용전공자의 예술활동으로 인한 질환을 보장하는 보험이 개발된다면 가입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한 응답자가 전체의 53.3%로 나타났다. 한국무용전공자 전문보험의 보장내용으로는 무용질환보장 62.2%을 가장 우선적으로 꼽았다. 여섯째, 무용활동으로 인한 상해 또는 질병 등의 사고 발생 시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험제도가 다음과 같이 있다면 어디에 가입하겠는지를 파악한 결과, 민간보험사의 한국무용전공자 전용 보험 가입 44.2%, 문화예술인 공제 가입 42.7%, 무용단 등 소속단체의 단체보험 가입 13.1% 순으로 나타났다. 즉 응답자들은 무용활동으로 인한 상해 또는 질병 등의 사고 발생 시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험제도가 있다면 민간보험사의 한국무용 전공자 전용 보험에 가입하겠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실제로 많은 한국무용전공자들이 직업성 질환으로 인한 통증에 시달리고 있으나 이에 대한 실질적인 위험관리 대책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용전공자를 위한 보험 및 공제 대책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고 관심도도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른 협회나 정부차원의 제도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따라서 민간보험사의 한국무용전공자 전문보험 개발 유도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인공제사업 시행의 조기도입 및 가입, 무용단과 같은 특정단체차원에서의 단체보험 가입 등의 다양한 대책을 하루빨리 현실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통해 한국무용전공자들의 안정적인 예술활동 보장과 수명 연장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1990~2021년 미디어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전통무용 이슈연구 : 사회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이한별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이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미디어에 보도된 한국전통무용 이슈를 규명하고 사회연결망 분석인 활동 중앙성, 매개 중앙성, 하위집단 분석을 통한 한국전통무용 키워드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향후 한국전통무용계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0년부터 2021년까지의 약 30년간 미디어에 보도된 한국전통무용에 관한 전국종합일간신문기사를 대상으로 설정하고 11개의 중앙지(국민일보, 경향신문, 내일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세계일보, 서울신문,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례, 한국일보), 8개의 경제지(머니투데이, 서울경제, 매일경제, 아시아경제, 아주경제, 파이낸뉴스, 한국경제, 헤드럴경제), 28개의 지역종합지(강원일보, 강원도민일보, 경기일보, 경남도민일보, 경남신문, 경상일보, 경인일보, 광주매일신문, 광주일보, 국제신문, 대전일보, 대구일보, 매일신문, 무등일보, 부산일보, 울산매일, 전남일보, 영남일보, 전북도민일보, 전북일보, 제민일보, 중도일보, 중부매일, 중부일보, 충북일보, 충청투데이, 충청일보, 한라일보), 2개의 방송사(KBS,MBC) 등 신문 및 방송사에서 총 495건의 기사를 추출하였다. 이 연구의 타당도를 위해 3차례의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자료처리는 넷 마이너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을 통하여 규명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연결망 분석의 활동중앙성, 매개중앙성 키워드에서‘공연’,‘무용’,‘전통’등 최상위 키워드들은 모두 같은 키워드들로 나타났으며 이는 빅데이터 분석결과와 중심성 분석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도별 분석을 통하여 해당 연도의 상징적 이슈들이 한국전통무용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전통무용계의 이슈 분석은 데이터 수집, 데이터 분석, 결론 도출의 순으로 방대한 양의 데이터 자료를 객관적으로 분석을 하는데 비해 아직까지 한국전통무용계에서는 자료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시대와 환경에 따라 변화된 한국전통무용 및 사회의 흐름을 파악하고 한국전통무용계의 발전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 traditional dance issues reported in the media using big data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traditional dance keyword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activity centrality, and subgroup analysis, and to present basic data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 the future. To this end, it was set as a national newspaper article on Korean traditional dance reported in the media for about 30 years from 1990 to 2021 11 central newspapers (Kookmin Ilbo, Kyunghyang Ilbo, Naeil Ilbo, Dong-A Ilbo, Munhwa Ilbo, World Daily, Seoul Newspaper, Chosun Ilbo, JoongAng Ilbo, Hankyoreh, Hankyoreh, Hankook Ilbo), and 8 economic journals (Money Today, Seoul Economic Daily, Asia Economic, Finance News, Korea Economic, Headal Economy), 28 regional newspapers (Gangwon Ilbo, Gangwon Min Ilbo, Gyeonggi Daily, Gyeongnam Provincial Daily, Gyeongsangnam-do Daily, Gyeongsangnam-do Daily, Gyeongsangnam-do Daily, Gwangju Daily, International Newspaper, Daejeon Daily, Daegu Daily, Maeil, Mudeung Daily, Busan Daily, Yeongnam Daily, Jeonbuk Provincial Daily, Jemin Daily, Joongbu Daily, Chungbuk Daily, Chungcheong Daily), A total of 495 articles were extracted from newspapers and broadcasters, including two broadcasters (KBS and MBC). For the validity of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rough three expert meetings, and the data processing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The conclusions identifi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method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ctivity centrality and mediation centrality keywords of social network analysis, the top keywords such as 'performance', 'dance', and 'tradition' were all the same keywords, and the results of big data analysis and centrality analysis were similar. Second, through annu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ymbolic issues of the year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system. In this way, the issue analysis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system using big data is objectively analyzed in the order of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and conclusion drawing, whereas the data are still insufficient i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system. Through this study period and the environment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raditional Korean dance and social understanding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muyonggye.
우리나라의 문화는 세계 어느 나라의 문화에 견주어도 뒤지지 않을 만큼 우수한 문화를 보유하고 있다. 오늘날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 성장과 더불어 산업화에 따른 근로소득의 증대와 여가시간의 확대로 우리의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기업 간의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서비스 경영관리 기법인 CRM(고객관계관리)을 활용한 마케팅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전통무용공연 활성화를 위한 CRM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로 전통무용 공연장의 서비스 향상 및 관객의 욕구 충족을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그를 통해 전통무용공연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전통무용공연 활성화를 위한 CRM 활용 방안으로는 첫 번째, 유료회원 서비스와 무료회원 서비스를 통하여 지속적인 관계형성을 거쳐 우량관객을 만들고 그들을 통한 구전 광고 효과 등으로 잠재된 신규관객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두 번째, 공연에 대한 정기적인 DM 발송을 제공하고 공연자와 관객이 함께할 수 있는 이벤트 등 관객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소셜미디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관객들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소셜커뮤니케니션을 통해 전통무용 공연에 대한 정보를 쉽고 편안하게 접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네 번째, 관객 한 사람 한 사람의 취향이나 공연에 대한 선택은 다른 사람들과의 정보 공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공연에 대한 관객의 평가를 꼼꼼히 모니터링 하여 피드백을 듣고 그것을 바탕으로 공연장은 수준 높은 전통무용 공연을 관객에게 제공해야할 것이다. 다섯 번째, 공연장의 부족한 시설을 확충하고 끊임없이 보완하여 관객들이 좀 더 안정적이고 편안한 환경 속에서 전통무용공연을 관람 할 수 있도록 관람 만족도를 높여야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전통무용공연을 관람하는 관객들의 특징을 분석하여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CRM 마케팅을 활용한 효과적인 극장 운영을 통하여 전통무용공연 활성화에 지속적인 발전이 있기를 바란다. Korea culture is so excellent that it could be compared with other outstanding cultures of all over the world. These days Korea has developed rapidly by industrialization so that because earned income and spare time are expanded, it is current tendency the interest on the traditional culture art has been increased. Moreover because competition among companies are intensified, the marketing by using the service business management technique,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becomes more important. This study is about the methods using CRM for vitalizations of the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which promotes the service in performance hall, satisfy audience desire and aims to find the methods vitalizing traditional art by this. These method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ly, by paid and non-paid member service, it is possible to form the relationship with members continuously and make new potential member through their words of mouth. Secondly, it is required to provide regular DM on the performance and various participation service such as the event of fellowship between performer and audience, and so on. Thirdly, as using social media effectively, audience could gain the information on the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easily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Fourthly, because the choice or the taste of each audience could be connected with sharing information of other people, it is required to monitor the evaluation of audience on the performance and provide better performance on the basis of the feedback of this evaluation. Fifthly, as expanding few facilities of performance hall and complementing it repeatedly, it is required to make the audience watch the performance in stable and comfortable environment. Likewise, as analyzing the features of audience watching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it is required to satisfy their desire and as operating performance hall by using CRM marketing effectively, it is hoped to develop the vitalizing the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continuously.
한국전통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은 다양하게 논의할 수 있다. 우선 활성화를 위해서는 재정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아직까지 한국무용은 정부 또는 공공기관 지원에 의존하고 있으며, 기업의 지원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상대적으로 한국전통무용에 대한 지원은 적은편이다. 따라서 한국전통무용 발전에 큰 장애요인인 재정기반의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전통무용 지원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며 기업이 한국전통무용 지원을 활성화 할 수 있도록 기업의 입장을 파악하고 한국전통무용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그러므로 무용예술 발전에 중요한 일부분이 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통무용의 개념과 전통무용공연현황을 파악하고 한국전통무용에 대한 기업의 메세나 활동 현황을 살펴보기로 한다. 한국전통무용이 기업과 상호 win-win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메세나의 개념과 전통무용과 메세나의 현황을 연구하기로 한다. There are a lot of assistance of enterprises for cultural art butassistance for dance art is till small. This paper tried to suggestimportance and necessity of assistance for dance art to overcome the weakness of financial foundation and find activation method of assistance of enterprise for dance art.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study basis becoming important part for development of dance art management. This paper selected literature study method through collecting previous study, periodical, every kind of newspaper, book and material of Korean Enterprise mecenet Association, Korea Culture and Art Promotion Center concerned to mecenet activity for surveying enterprise mecenet activity and dance art and analyzing assistance of present dance association in Korea. This paper surveyed the concept of enterprise mecenet activity and activity background of enterprise through classifying it into assistance pattern, activity pattern and its purpose. This paper analyzed the present state of enterprise mecenet activity through analyzing strategical enterprise mecenet activity and enterprise mecenet activity by year and field and suggested activation method of enterprise mecenet activity through dividing it into enlargement of artistic value and use of active marketing From the result of surveying concept and necessity of mecenet and assistance of enterprise for cultural art activity and studying enterprise mecenet activity for cultural art and dance art, dance artists' recognition of enterprise mecenet activity is very small and more universal dance art is required. The follows are the parts of dance art requiring general handle. First, the most difficult point that the dance art association gains the support from the enterprises because enterprises or foundations rarely have systematic supporting program for the dance art association. Due to this reason, in case a dance art approach depending on the private acquaintanceship in an uncertain circumstance. It means that it should assume the attitude of request itself, before urging the activation of the assistance for the dance art. In order to solve this,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 system of dance art association should have priority over all other things.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al system can be said as the must stage in order to grow from the newly-established organization in the unstable status to the mature organization of the stable status. Second, assistance of enterprise for culture and art relationship giving benefit to each other. So culture and art association that want to get assistance from enterprise have to prepare benefit that enterprise or something wants. They can give and assistance method of enterprise. And assistance of enterprise have to prepare suggestion sheet or project Third, After getting assistance of enterprise if creativity, uniqueness and artistic aspect of dance art association and marketing of enterprise are mixed, better effect can be expected. Private assistance for dance art has to develop toward.
무대 공간연출 활성화 방안 연구 : 전통무용을 중심으로
박혜연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6 국내석사
이 연구는 현재 전통무용 공연에 있어서 무대 공간 연출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연출의 기능을 활용하여 보다 전문적인 무용 연출 인을 육성하고 무용 공연이 종합예술로서의 예술적 가치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무용관련서적, 전문잡지, 선행연구가 이루어진 학위논문 및 연출과 관련된 타 분야의 논문과 서적을 통한 문헌적 자료를 통하여 전통무용 공연을 창작하는 작업의 과정을 연출의 입장에서 살펴보았으며, 전통무용 전공자 및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12.0을 이용한 통계분석을 통해 전통무용의 관람 형태, 전통무용 연출에 대한 인식, 전통무용 무대 공간 연출에 대한 인식, 그리고 전통무용 전문무용연출가 양성 및 공간연출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 조사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전통무용 공연에 있어서의 무대 공간 연출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 고찰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전통무용 공연에 있어서 작품의 완성도나 짜임새가 떨어진 공연을 많이 볼 수 있는데, 그 원인으로는 전통무용 공연에 있어서 연출에 대한 인식의 부족을 들 수 있고, 안무자가 연출을 겸하는 경우 전문적인 연출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문제점을 지적해, 무용 전문 연출가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전통무용 공연에 있어서 무대공간연출 활성화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만큼 무대공간연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습득이 강조된다. 셋째, 위에서 제기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무엇보다도 무용인들 스스로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전문 교육기관을 통한 무용연출가의 교육과 양성이 필요하다. 전통무용 공연에 있어서의 연출은 연출자가 작품을 객관적 입장에서 파악하고 포괄적인 시각으로 창작하여 그 능력이 최대한 발휘 될 때 작품의 완성도와 예술적 가치를 이룰 수 있다. 이 연구를 토대로 연출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다면 전통무용은 현제의 단순한 공연예술로서가 아닌 수준 높은 공연으로 자리 매김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shows how space directing of stage is applying in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and the main purpose is letting artistic merit of traditional dance elevate even higher and also upbringing more directors in traditional dance area. Therefore, many of related articles, stories, magazines, and thesis were look into for this study. And related questionnaires were made and handed out to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related fields, then SPSS 12.0 was used to get statistical analysis on spectating traditional dance, directing traditional dance, space directing of stage of traditional dance, and understanding traditional dance director as a profession.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for revitalization on space directing of stage. Firstly, many of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have problems due to lack of directing in and out of stage. Moreover, many of choreographers do the directing so they do not have enough knowledge on directing. Therefore, traditional dance directors are needed than ever to have an affirmative performance in traditional dance. Secondly, in performance of traditional dance recognize necessity of space directing of stage so they need to emphasis that acquirement of knowledge in space directing of stage are needed. Thirdly, the main solution to these problems are traditional dancers themselves must understand necessity of space directing of stage are needed and must receive training. Also, cultivating some people in dance directors are needed. In performance of traditional dance, if director has objective validity and grasp the problem wholly then the work of art will be in-depth and the value itself will go up. Hopefully from this study, if people realize how important directing is then traditional dance would not be a just performing art, it would be become more intellectual in performing art.
홍정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This study aims at re-evaluating the value of Han Sung Juns art world by re-analyzing the impact of Han Sung Jun on contemporary dance history.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is as follows. After evaluating Han Sung Juns traditional dances as a part of the overall Korean dance history of the modern dance category, the impact of his artistic activities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dance history reviewed in three parts; the modern Korean dance period, the transitional period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contemporary dance peri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made regarding the dance historic value of Han Sung Juns art world. First, he tried modernizing the dance by founding the -Chosun Music and dance Research Center-. In a period of modern history marked by the Japanese empirical rule and cataclysm, by establishing the -Chosun Music and dance Research Center-, not only did he systematically teach dance to raise legitimate juniors, creating a systematic manual of traditional dances, but through diverse public performances he established Korean dance as an independent genre of art. Second, by passing down traditional dances to modern dancers, he firmly established the concept of Korean modern dance. Serving modern dancers Choi Seung hee and Cho Taek Won as mentors, he was able to incorporate the spirit of the people and artistic spirit into traditional dance. He contributed in creating and establishing the Korean modern dance concept as a genre of its own apart from the imported Japanese ism based techniques. Third, the status of Han Sung Juns traditional dance was and still remains indisputably elevated as his disciples became official human cultural assets recogniz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disciples of Han Sung Jun that were taught in the Chosun Music and dance Research Center have become cultural assets recogniz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is contributed considerably to the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dance as a cultural asset in itself. Fourth, as Han Sung Juns disciples became professors at various universities, the Han Sung Juns style of traditional dance continues to spread even today. In the modern era, the genre of dance has departmentalized when Universities developed dance as a separate subject. As a result dance was separated into two genres of Korean Creative dance and Traditional dance. This established traditional dance as a separate genre of its own where Han Sung Juns disciples continue the spread of Han Sung Juns line of traditional dance in universities. Fifth, reportorial nature of Han Sung Juns traditional dance allowed not only for an easy handing down of traditional dance through the generations but also for lively public performances. The repertories also expanded the dance language for Korean Creative Dancer by providing the necessary framework for re-interpretation and re-creation. Today, as Korean dance is trending toward deviations from the original genres, this type of Han Sung Juns traditional d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 clear Korean traditional dance identity. Thus, Han Sung Juns dance has had a great influence in modern Korean dance; it not only conventionalized traditional dance as a resonating art for the general public, but also remains to impact Korean dance even today, unlike other fossilized arts. The following study has left open for further possible re-interpretations and re-creations by evaluating Han Sung Juns traditional dance as a part of the overall Korean dance history of the modern dance genre and by reviewing the impact of his artistic activities in Korean dance in three parts; the modernization period during Japanese occupation, the transitional period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impact it has on today. 본 연구는 한성준의 예술세계가 한국무용사에 미치고 있는 영향력을 통해 한성준의 예술세계의 가치를 재조명하였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는 한국무용사의 전체적인 흐름가운데 근대무용이라는 범주 안에서 한성준의 전통무용을 살펴보았고 한성준 예술활동의 무용사적 업적을 근대 한국무용과 해방이후 과도기적 한국무용, 현대 한국무용시기로 구분하여 그 각각이 근·현대 한국무용사에 미치고 있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성준 예술세계의 무용사적 가치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조선음악무용연구소’ 설립으로 무용의 근대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일제강점기이자 역사적 격변기였던 근대시기에 우리나라 최초의 무용사설 강습소인 ‘조선무용연구소’와 ‘조선음악무용연구소’를 설립하여 무용을 체계적으로 지도하고 후진들을 양성함으로 전통무용의 전수체계를 확립하였고, 전통무용을 무대 양식화하여 활발한 공연활동을 펼침으로 근대시기 전통무용을 독자적인 예술로 인식하게 하였다. 둘째, 신무용가들에게 전통무용을 전수하여 한국적인 소재를 바탕으로 창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근대시기 신무용가 ‘최승희’와 ‘조택원’에게 민족혼과 예술혼이 담겨져 있는 전통무용을 사사함으로 일본에서 수입된 표현주의 기법을 그대로 차용한 신무용이 아닌, 한국의 민속적 소재를 바탕으로 창작한 한국적인 신무용의 개념을 확립하는 데 일조하였다. 셋째, ‘조선음악무용연구소’에서 무용을 배우던 한성준의 제자들이 현시대에 문화재반열에 오르게 됨으로써 그의 전통무용이 문화재중심으로 전승되고 발전되며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넷째, 제자들이 각 대학에 포진되어 한성준류 전통무용이 확산되고 있다. 현대에 들어 대학에 무용학과가 개설되면서 무용의 장르가 세분화되었고, 한국무용 역시 한국창작무용과 전통무용으로 양분화 되면서 발전하게 되었는데 이때 전통무용이 하나의 무용장르로 자리매김하는데 한성준류 전통무용은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그의 제자들이 각 대학에 포진되어 대학집단을 통해 한성준의 전통무용이 뚜렷한 계보를 형성시키며 확산되고 있다. 다섯째, 한성준류 전통무용은 레퍼토리화로 정립되었다. 한성준 전통무용의 주요작품이 레퍼토리화됨으로써 활발한 전통무용공연활동을 가능하게 하였고 한국창작무용가들이 전통무용의 원형을 기반으로 재해석, 재창조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함으로 한국창작무용의 표현 언어의 영역을 확장시켜 주었다. 또한 탈장르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는 현시대에 한국무용의 정체성 확립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렇게 근대시기에 한성준이 대중들과 공감하기 위한 예술로서 무대 양식화작업을 통해 이루어낸 업적들은, 비단 과거에 머무는 화석화된 예술로서의 의미를 뛰어넘어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무용의 전형으로 간주되며, 근·현대 한국무용계에 미치는 영향력 또한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무용사의 전체적인 흐름 속에서 한성준의 예술세계를 살펴보고, 근대로의 이행 과정과 일제강점이라는 사회, 문화적 특수성 안에서 그의 ‘민족혼’과 ‘예술혼’이 바탕이 된 무용세계가 근·현대 한국무용사에 끼친 영향력을 연구하여 한국무용사 발전에 공헌한 한성준 예술세계의 무용사적 가치를 살펴봄으로써, 미래에 더욱 다양하게 재해석, 재창조될 수 있는 그의 무용세계의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문예진흥기금사업의 집행에 관한 연구 : 전통무용을 중심으로
홍승욱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0 국내석사
In the first year of new Millennium,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The ministry has raised its share up to 1% of total budget. 1% budget in cultural and tourism is acknowledged as substantially high, compared with even advanced countries like U.S.A, England, and France. However, 1% share does not automatically improve quality of cultural welfare. It is more important how to assign and execute 1% budget rather than share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appropriate ways to allocate public funds, specially the Korea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KCAPF) in the filed of culture and arts. The Korea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 should be allocated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critiria. First, the fund should be given higher priority on the area which there are much externalities. Second, the fund also should be given higher priority on the area which lacks sufficient support from the outside organization and individuals such as business Mecenat.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and 2000 national survey on cultural and tourism, suitable and needed area of public support is traditional arts. Although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re considered to receive public funds, however, they have not received appropriate share of public budget. Even traditional dance has received the lowest level of public support among several genre of culture and arts. Thus more public money should be given on the traditional dance in the coming budget years. This paper also recommend to decrease share of budget in Movie and cultural industries. The area has received more than 50% of The Korea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 even though the area looks like market oriented. In addition, KCAPF Fund program should be focused on software rather than hardware. This paper believes the arts and th humanities should be part of the education of every child in America. The disciplines of the humanities and the arts are as essential to a complete education as mathematics and science. To encourage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and to instill a love of learning as well as impart basic skills all are goals of an Korean education. 올해 문화관광부는 주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즉 전체예산 중 문화 예산 1%를 확보한 것이다. 이것은 다른 문화선진국에 비해서도 중요한 성 과로 보여진다. 그러나 문화예산 1% 자체가 바로 문화복지를 보장하는 것 은 아니다. 확보된 예산이 어떤 분야에 어떻게 배분되고 집행되는가가 중 요하기 때문이다. 예산과 문화복지 수준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사업의 결정 과 집행의 적절성 여부에 따라서 문화복지 수준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연구들은 이러한 관계에 대한 관심을 상대적으 로 소홀히 하여왔고 이 부분은 그래서 Hargrove(1975)가 이야기하는 '잃 어버린 고리(missing link)' 또는 '암흑상자(black box)'로 인식되면서 무관 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따라서 문화예술예산이 어떤 사업에 어떻게 배분 되고, 또 설정된 사업은 적절히 집행되고 있는지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전통무용을 중심으로 문예진흥기금의 지원 집행실태를 분 석하고 문제점을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예진흥기금 사업은 전통적으로 문화예술 창작활동 중심으로 지원이 이루어져 왔으며 여전히 그 비중이 높기는 하지만 근래 들어 문화 복지 예산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방향은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 진다. 다만 집행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시설 확충 등이 아닌 문 화향수 기회 확대가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문화예술진흥사업은 시설 등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에 치중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현재 영상·문화산업에 대한 지원이 너무 높기 때문에 이의 시정이 요구된다. 셋째, 예술의 여러 장르 중에서 무용은 상대적으로 지원이 적은 것으 로 나타났다. 미술은 기업메세나 지원은 물론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지 원에 있어서 가장 많은 지원을 받고 있는데 반해서 무용은 기업메세나 지 원도 적고 정부의 예산 지원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통무용은 국가의 정체성 제고 및 관광산업 측면에서, 그리고 문화예술의 핵심적 과제로 활성화되어야 할 분야로 조사되고 있지만 실제 로 지원되는 예산을 보면 열악하기 그지없다. 공연예술 사업에서도 그리고 전통예술 사업에서도 전통무용은 거의 예산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이러한 전통무용에 대한 지원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것은 전통 무용 지원을 심의하는 위원회에 이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지 않는데 그 이유가 있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전통무용가들이 무용분야 뿐만 아니라 전 통예술 분야의 심의위원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무형문화재 등의 지정을 받고 있지는 않지만, 전통무용을 토 대로 계승발전 명무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전통무용의 활성화는 정부의 지원만으로 달성될 수는 없기 때 문에 기업메세나 활동에서 전통무용에 관심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 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 될 수 있음을 기업들이 스스로 인 식하게 하고 그래서 전통무용의 필요성을 절감시킬 필요가 있다. 주요어 : 무용, 전통무용, 문예진흥기금
박효숙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is an important issue to address in our asing society. we ne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and to improve the quality oh their liv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effects oh the elderly's dance participation on their psychological health and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rough investigating relationships among tradition dance activities. psychological health, and a lev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total number of 220 participants of this survey, 112 individuals not attending dance activities and 108 individuals attending dance activities in traditional dance classes and institutes of March 2007 in seoul were selected by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comprised of 63 items validated in the previous research of ko(1995),Lee(2001), Lee(1992),etc.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12.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the following. Frist of all, the participants replied that they joined in traditional dance activities for physical health(25%) and psychological health(21%). the elderly reported that the advantages of traditional dance are health improvement and good use of spare time. The most people in this survey, on the other hand, pointed out the lack of dance activity opportunities (31%). Secondly, the difference on Anxiety, Obsess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Antagonism, and Psychosis between the elderly with traditional dance activities and those without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psychosis. that is, the elderly with traditional dance activities had better mental health than those without them in most aspects investigated, respectively. Thirdly, the elderly with traditional activities had statistically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without them, according to participation variables. Fourthly, among the elderly with traditional dance activities, those who were at a middle economic level, had better physical health, and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more frequently and intensively for a longer period of time. Lastly, traditional dance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health and a level of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economic level, health status, and ages of the elderly and frequency, a period of time, and intensity of their activities. that is, the elderly with traditional dance activities had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when they were well off, had better health, and danced more frequently and intensively for a longer period of time. In conclusion,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raditional dance activities had better mental health and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e elderly should have mor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raditional dance activities. 급속하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노인의 정신건강의 중요성 인식하고 유지, 증진 시키는 것이 고령화 사회에서 해결해야할 사회문제로 대두 되었고,노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고 노인복지의 혜택과 질이 균형 있는 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전통무용 참가, 정신건강, 그리고 생활만족도 간의 상관 및 인과 관계를 파악하여 노인들의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무용참가 방안 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2007년 3월 현재 서울시 소재 전통무용 강좌 단체및 해당지역에 대해서 군집표본추출법(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전통무용 참가자 112명, 비참가자 108명, 등 총 220으로부터 유효한 응답을 확보 하였다. 또한 고은하 (1995), 이은경(2001), 이종길 (1992) 등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 중 타당성이 확보된 설문을 총 63개로 구성 하였으며 수집한 자료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확보된 데이터는 SPSS 12.0(ve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T- test 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 희귀분석 등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에 대한 노인들의 활동실태 분석 결과 전통무용을 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신체적 건강(25%),정신적 건강(스트레스해소, 21%)을 위해서 전통무용을 접하고 있었으며 전통무용을 배우면서 가장 좋은 점은 건강과 여가활용을 위해서 라는 답을 얻게 되었다. 전통무용을 배우면서 아쉬운 점은 기회의 확대 (31%)를 가장 많이 언급 하였다. 둘째, 전통무용 활동 참여유무에 따른 정신건강 차이분석 결과 불안, 강박증, 대인 예민성, 적대감, 정신증등 5개요인 중에서 정신증을 제외한 4개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모두 무용에 참여하는 노인의 정신건강 수준이 비참여 노인에 비해서 더욱 의미 있게 나타났다. 셋째, 전통무용 참여 노인들의 무용참여변인에 따른 차이 분석에서도 전통무용 참여노인이 비참여 노인에 비하여 생활만족도가 의미 있게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전통무용 참여 노인들의 일반적 특성 및 무용참여변인에 따른 정 신건강 차이분석 결과, 노인들의 경제수준, 건강상태, 그리고 전통무용 참여빈도. 기간, 강도에 따라서 정신건강에 유의한 차이가 파악 되었으 며, 경제수준은 보통, 건강상태는 양호할수록, 그리고 무용참여 빈도는 잦 고, 기간은 길며, 강도는 높을 수록 무용에 참여하는 노인의 정신건강 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통무용 참여 노인들의 일반적 특성 및 무용참여변인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차이 분석 결과, 노인들의 경제수준, 건강상태, 파악 되었으며 무용참여 빈도, 기간, 강도에 따라서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파악 되었으며, 경제수준은 여유롭고 건강상태는 양호 할수록, 그리고 무용참여빈도는 잦고, 기간은 길며, 강도는 높을수록 노인들의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전통무용 활동 참여 노인들의 배경 및 무용참여변인이 정신건강 및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 무용관련 변인으로서 참여기간, 참여 빈도, 일반적 특성으로서 연령, 건강, 및 생활수준 등이 노인의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에 따라 종합적으로 결론을 내리면, 전통무용을 참여하는 노인은 비 참여 노인들 보다 정신건강과 생활의 만족도가 의미있고 긍정적으로 파악되었고 정신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전통무용 참여의 기회를 노인에게 많이 제공해야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