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무용 전공자의 자아개념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윤민숙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describe self-concept differences among college students attending traditional dance, (2) to compare self-concepts between this group and groups not attending traditional dance, and (3)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selected independent variables among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living in Tae-Jon City. The instrument, which evidenced acceptable internal consistency (.67 - .92), was formulated by adapting existing instruments. The instrument consisted of three parts (variables of self-concept, variables of attendance at dance activitie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surveys were conducted with 209 college students in Tae-J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self-concept as dependent variable, and dance duration, frequencies and intensity, stage experience and prize-winning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1. There were no self-concept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who majored in Dance and others, and among college students attending Dance. 2. The period, intensity, and frequency of attending dance class were the variables that were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physical self-concept. In other words, respondents who are attending traditional dance class for a long term period, at high intensity, or more frequently are more likely to have a high physical self-concept compared with respondents who are attending for a short term period, at low intensity, or less frequently. 3. There are self-concept differences in the general, social, and emotional parts concerning satisfaction with having a dance major among college students attending traditional dance. Specifically, respondents who a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in dance are more likely to have a high self-concept in general, social, or emotional parts compared with respondents who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major in dance. 4. There are self-concept differences in social and emotional parts concerning satisfaction with having a dance major. That is to say, respondents who have more experience with prize-winning and being on stage are more likely to have a high self-concept physically than respondents who have less. Finally, this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some understanding dealing with self-concept among college students who major in traditional Korean dance.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무용 전공자들과 비전공자의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 전통무용 전공자들이 갖는 자아인식과 관련된 변인들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었다. 연구의 대상은 대전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생으로 무용전공자(전통무용, 외국무용)와 비전공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층화무선추출법(Stratif ied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총 206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송인섭(1982)이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측정도구의 구성은 무용활동 참여특성에 관한 영역, 자아개념에 관한 영역, 그리고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영역등 3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측정도구는 사용하기에 충분한 신뢰도(.67 - .92)를 나타내었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기법은 대체적으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의존변인은 자아개념이며, 독립변인으로서는 무용활동 참여유무와 유형, 무용활동 참여기간, 빈도, 강도, 전공에 대한 만족도, 수상경력, 무대경험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간, 그리고 전통무용 전공자와 외국무용 전공자간의 자아개념은 차이가 없다. 둘째, 전통무용 전공자들의 참여기간, 참여강도, 참여빈도에 따른 신체적 자아개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전통무용 참여기간이 긴 그룹이 짧은 그룹보다, 참여강도가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참여빈도가 많은 그룹이 적은 그룹에 비해 신체적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통무용 전공자들의 전공만족에 따라 일반적, 사회적, 정서적 자아개념의 차이가 나타난다. 즉 전공에 대한 만족정도가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에 비해 일반적, 사회적, 정서적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통무용 전공자들의 무대경험 및 수상경력에 따라 정서적, 신체적자아개념의 차이가 나타난다. 즉 전통무용 전공자들의 무대경험이 많을수록 정서적 자아개념이 높았으며, 수상경력이 많을수록 신체적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료의 분석결과, 전통무용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아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요구된다고 사료된다.

      • 전통무용 조기교육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초·중등 학생과 전공자들의 인식도를 중심으로

        이은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807

        This study aims at letting known excellence of Korean art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traditional dance should be preserved and educated as national art, implanting national identity by making this accepted slowly through general school education, and suggesting early education for more organic education in cultivating talented people in traditional dance. To recognize the need of early education for traditional dance, I investigated theoretical background to see the concept of tradition, history of traditional dance,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ance as Korean own thing and mentioned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and the need of early education for traditional dance. I also investigated the actual state of traditional dance education and relevant problems, along with general students' awareness of traditional dance and opinions of general education and awareness of education for cultivating talented people among those majoring in Korean dance who are closest to traditional dance, in order to see the need and possibility of early education for traditional dance. And I presented a method to activate early education. A research was conducted in reference to books, articles, academic journals, and Internet data related to tradition, traditional dance, and education; a survey was implemented, followed by statistics, with 20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94 Korean dance majors at the college-graduate level or above to see recognition. The research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raditional dance now belongs to a school curriculum. However, it belongs to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with differences in being educated effectively by schools, teachers, and so on. Therefore, teacher education and an independent subject of traditional art are urgently needed so that it can practically be reflected in education, not existing just in a learning plan. Second, though vaguely, students were fou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radition; however, they were shown not to have good awareness of traditional dance through detailed questions. Priority should be given to an educational method and direct experiential education to arouse interest so that they can feel familiar with traditional dance. Third, from majors' awareness, a result was drawn that a condition is necessary for organic education through systematic education in order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To do this, a specific scheme of establishing an elementary school for traditional art was suggested. Fourth, many students answered that it is necessary to treat traditional dance education in a more important way in the present Korean dance education at secondary art schools and that traditional dance should be designated as an independent subject to uphold, maintain, and improve tradition. Fifth, national participation and support is essential to perform and systematize traditional dance education. To conduct early education for traditional dance effectively, it is now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condition and problems and awareness of students and experts and establish an educational method suitable to the present state and have teachers change their recognition, instead of the educational type centered on the cramming system. All of the state, artists, and schools should participate in doing so. 본 연구는 전통무용이 우리 민족예술로서 보존되고 교육되어야 한다는 것을 토대로 우리 예술의 우수성을 알게 하고 이것이 일반학교 교육을 통해 서서히 받아들이게 하여 민족의 정체성을 심어주는 한편 전통무용 인재 양성의 측면에서도 좀 더 유기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는데 조기적인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전통무용 조기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위해 먼저 이론적 배경을 통해 전통의 개념, 전통무용의 역사와 전통무용이 가지는 우리 것으로서의 특징들을 살펴보았고, 예술 교육의 중요성과 더 나아가 전통무용이 조기교육 되어야 하는 중요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현재 전통무용의 교육 현황과 그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았고 더불어 전통무용이 조기교육 되어야 하는 당위성과 현실가능 여부를 알기 위해 일반 학생들의 전통무용에 대한 인식과, 전통무용을 제일 가까이 하는 한국무용 전공자들의 일반 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생각과 인재양성에 따른 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기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제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전통, 전통무용, 교육 등과 관련된 서적, 논문, 학술지, 인터넷 자료들을 참고하여 연구하였고, 인식 조사는 서울지역 초등학생, 중학생 200명과, 대학졸업 이상 한국무용 전공자들 9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통계를 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전통무용은 학교교육과정에 속해 있다. 하지만 체육교과에 속해 있고 학교, 교사 등에 따라 효과적으로 교육되어지기도 하고 전혀 그렇지 않은 것에 차이를 보이며 학생들의 단계별 발달에 관계없이 비슷한 내용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학습계획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닌 실질적으로 교육에 반영 될 수 있도록 교사에 대한 교육, 전통예술의 독립교과 등이 절실히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의 인식에서 막연하게나마 전통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세부적인 질문들을 통해 본 결과 전통무용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잡혀 있지 않은 실정이다. 전통무용을 가까이 느낄 수 있도록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 방법과 직접적인 체험교육이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전공자들의 인식에서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유기적으로 교육될 수 있는 여건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방안으로 전통예술 초등학교 설립이라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현재 중·고등 예술학교 한국무용 교육에서 전통무용 교육이 좀 더 비중 있게 다루어져야 하며, 전통무용이 독립과로 지정되는 것은 전통의 계승과 유지,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는 다수의 응답을 얻을 수 있었다. 다섯째, 전통무용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체계화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참여와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상으로 전통무용 조기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학생들과 전문인의 인식을 잘 파악하고 주입식 위주의 교육 형태에서 벗어나 현재에 맞는 교육 방법과 교사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국가와 예술인, 학교 모두가 동참하여야 할 것이다.

      • 기업메세나 지원을 통한 전통무용 활성화 방안연구

        김경현 숙명여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75

        한국전통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은 다양하게 논의할 수 있다. 우선 활성화를 위해서는 재정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아직까지 한국무용은 정부 또는 공공기관 지원에 의존하고 있으며, 기업의 지원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상대적으로 한국전통무용에 대한 지원은 적은편이다. 따라서 한국전통무용 발전에 큰 장애요인인 재정기반의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전통무용 지원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며 기업이 한국전통무용 지원을 활성화 할 수 있도록 기업의 입장을 파악하고 한국전통무용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그러므로 무용예술 발전에 중요한 일부분이 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통무용의 개념과 전통무용공연현황을 파악하고 한국전통무용에 대한 기업의 메세나 활동 현황을 살펴보기로 한다. 한국전통무용이 기업과 상호 win-win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메세나의 개념과 전통무용과 메세나의 현황을 연구하기로 한다. There are a lot of assistance of enterprises for cultural art butassistance for dance art is till small. This paper tried to suggestimportance and necessity of assistance for dance art to overcome the weakness of financial foundation and find activation method of assistance of enterprise for dance art.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study basis becoming important part for development of dance art management. This paper selected literature study method through collecting previous study, periodical, every kind of newspaper, book and material of Korean Enterprise mecenet Association, Korea Culture and Art Promotion Center concerned to mecenet activity for surveying enterprise mecenet activity and dance art and analyzing assistance of present dance association in Korea. This paper surveyed the concept of enterprise mecenet activity and activity background of enterprise through classifying it into assistance pattern, activity pattern and its purpose. This paper analyzed the present state of enterprise mecenet activity through analyzing strategical enterprise mecenet activity and enterprise mecenet activity by year and field and suggested activation method of enterprise mecenet activity through dividing it into enlargement of artistic value and use of active marketing From the result of surveying concept and necessity of mecenet and assistance of enterprise for cultural art activity and studying enterprise mecenet activity for cultural art and dance art, dance artists' recognition of enterprise mecenet activity is very small and more universal dance art is required. The follows are the parts of dance art requiring general handle. First, the most difficult point that the dance art association gains the support from the enterprises because enterprises or foundations rarely have systematic supporting program for the dance art association. Due to this reason, in case a dance art approach depending on the private acquaintanceship in an uncertain circumstance. It means that it should assume the attitude of request itself, before urging the activation of the assistance for the dance art. In order to solve this,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 system of dance art association should have priority over all other things.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al system can be said as the must stage in order to grow from the newly-established organization in the unstable status to the mature organization of the stable status. Second, assistance of enterprise for culture and art relationship giving benefit to each other. So culture and art association that want to get assistance from enterprise have to prepare benefit that enterprise or something wants. They can give and assistance method of enterprise. And assistance of enterprise have to prepare suggestion sheet or project Third, After getting assistance of enterprise if creativity, uniqueness and artistic aspect of dance art association and marketing of enterprise are mixed, better effect can be expected. Private assistance for dance art has to develop toward.

      • 노인의 전통무용 참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효숙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is an important issue to address in our asing society. we ne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and to improve the quality oh their liv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effects oh the elderly's dance participation on their psychological health and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rough investigating relationships among tradition dance activities. psychological health, and a lev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total number of 220 participants of this survey, 112 individuals not attending dance activities and 108 individuals attending dance activities in traditional dance classes and institutes of March 2007 in seoul were selected by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comprised of 63 items validated in the previous research of ko(1995),Lee(2001), Lee(1992),etc.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12.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the following. Frist of all, the participants replied that they joined in traditional dance activities for physical health(25%) and psychological health(21%). the elderly reported that the advantages of traditional dance are health improvement and good use of spare time. The most people in this survey, on the other hand, pointed out the lack of dance activity opportunities (31%). Secondly, the difference on Anxiety, Obsess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Antagonism, and Psychosis between the elderly with traditional dance activities and those without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psychosis. that is, the elderly with traditional dance activities had better mental health than those without them in most aspects investigated, respectively. Thirdly, the elderly with traditional activities had statistically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without them, according to participation variables. Fourthly, among the elderly with traditional dance activities, those who were at a middle economic level, had better physical health, and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more frequently and intensively for a longer period of time. Lastly, traditional dance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health and a level of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economic level, health status, and ages of the elderly and frequency, a period of time, and intensity of their activities. that is, the elderly with traditional dance activities had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when they were well off, had better health, and danced more frequently and intensively for a longer period of time. In conclusion,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raditional dance activities had better mental health and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e elderly should have mor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raditional dance activities. 급속하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노인의 정신건강의 중요성 인식하고 유지, 증진 시키는 것이 고령화 사회에서 해결해야할 사회문제로 대두 되었고,노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고 노인복지의 혜택과 질이 균형 있는 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전통무용 참가, 정신건강, 그리고 생활만족도 간의 상관 및 인과 관계를 파악하여 노인들의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무용참가 방안 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2007년 3월 현재 서울시 소재 전통무용 강좌 단체및 해당지역에 대해서 군집표본추출법(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전통무용 참가자 112명, 비참가자 108명, 등 총 220으로부터 유효한 응답을 확보 하였다. 또한 고은하 (1995), 이은경(2001), 이종길 (1992) 등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 중 타당성이 확보된 설문을 총 63개로 구성 하였으며 수집한 자료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확보된 데이터는 SPSS 12.0(ve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T- test 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 희귀분석 등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에 대한 노인들의 활동실태 분석 결과 전통무용을 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신체적 건강(25%),정신적 건강(스트레스해소, 21%)을 위해서 전통무용을 접하고 있었으며 전통무용을 배우면서 가장 좋은 점은 건강과 여가활용을 위해서 라는 답을 얻게 되었다. 전통무용을 배우면서 아쉬운 점은 기회의 확대 (31%)를 가장 많이 언급 하였다. 둘째, 전통무용 활동 참여유무에 따른 정신건강 차이분석 결과 불안, 강박증, 대인 예민성, 적대감, 정신증등 5개요인 중에서 정신증을 제외한 4개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모두 무용에 참여하는 노인의 정신건강 수준이 비참여 노인에 비해서 더욱 의미 있게 나타났다. 셋째, 전통무용 참여 노인들의 무용참여변인에 따른 차이 분석에서도 전통무용 참여노인이 비참여 노인에 비하여 생활만족도가 의미 있게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전통무용 참여 노인들의 일반적 특성 및 무용참여변인에 따른 정 신건강 차이분석 결과, 노인들의 경제수준, 건강상태, 그리고 전통무용 참여빈도. 기간, 강도에 따라서 정신건강에 유의한 차이가 파악 되었으 며, 경제수준은 보통, 건강상태는 양호할수록, 그리고 무용참여 빈도는 잦 고, 기간은 길며, 강도는 높을 수록 무용에 참여하는 노인의 정신건강 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통무용 참여 노인들의 일반적 특성 및 무용참여변인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차이 분석 결과, 노인들의 경제수준, 건강상태, 파악 되었으며 무용참여 빈도, 기간, 강도에 따라서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파악 되었으며, 경제수준은 여유롭고 건강상태는 양호 할수록, 그리고 무용참여빈도는 잦고, 기간은 길며, 강도는 높을수록 노인들의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전통무용 활동 참여 노인들의 배경 및 무용참여변인이 정신건강 및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 무용관련 변인으로서 참여기간, 참여 빈도, 일반적 특성으로서 연령, 건강, 및 생활수준 등이 노인의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에 따라 종합적으로 결론을 내리면, 전통무용을 참여하는 노인은 비 참여 노인들 보다 정신건강과 생활의 만족도가 의미있고 긍정적으로 파악되었고 정신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전통무용 참여의 기회를 노인에게 많이 제공해야 해야 한다.

      • 문예진흥기금사업의 집행에 관한 연구 : 전통무용을 중심으로

        홍승욱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75

        In the first year of new Millennium,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The ministry has raised its share up to 1% of total budget. 1% budget in cultural and tourism is acknowledged as substantially high, compared with even advanced countries like U.S.A, England, and France. However, 1% share does not automatically improve quality of cultural welfare. It is more important how to assign and execute 1% budget rather than share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appropriate ways to allocate public funds, specially the Korea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KCAPF) in the filed of culture and arts. The Korea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 should be allocated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critiria. First, the fund should be given higher priority on the area which there are much externalities. Second, the fund also should be given higher priority on the area which lacks sufficient support from the outside organization and individuals such as business Mecenat.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and 2000 national survey on cultural and tourism, suitable and needed area of public support is traditional arts. Although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re considered to receive public funds, however, they have not received appropriate share of public budget. Even traditional dance has received the lowest level of public support among several genre of culture and arts. Thus more public money should be given on the traditional dance in the coming budget years. This paper also recommend to decrease share of budget in Movie and cultural industries. The area has received more than 50% of The Korea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 even though the area looks like market oriented. In addition, KCAPF Fund program should be focused on software rather than hardware. This paper believes the arts and th humanities should be part of the education of every child in America. The disciplines of the humanities and the arts are as essential to a complete education as mathematics and science. To encourage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and to instill a love of learning as well as impart basic skills all are goals of an Korean education. 올해 문화관광부는 주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즉 전체예산 중 문화 예산 1%를 확보한 것이다. 이것은 다른 문화선진국에 비해서도 중요한 성 과로 보여진다. 그러나 문화예산 1% 자체가 바로 문화복지를 보장하는 것 은 아니다. 확보된 예산이 어떤 분야에 어떻게 배분되고 집행되는가가 중 요하기 때문이다. 예산과 문화복지 수준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사업의 결정 과 집행의 적절성 여부에 따라서 문화복지 수준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연구들은 이러한 관계에 대한 관심을 상대적으 로 소홀히 하여왔고 이 부분은 그래서 Hargrove(1975)가 이야기하는 '잃 어버린 고리(missing link)' 또는 '암흑상자(black box)'로 인식되면서 무관 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따라서 문화예술예산이 어떤 사업에 어떻게 배분 되고, 또 설정된 사업은 적절히 집행되고 있는지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전통무용을 중심으로 문예진흥기금의 지원 집행실태를 분 석하고 문제점을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예진흥기금 사업은 전통적으로 문화예술 창작활동 중심으로 지원이 이루어져 왔으며 여전히 그 비중이 높기는 하지만 근래 들어 문화 복지 예산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방향은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 진다. 다만 집행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시설 확충 등이 아닌 문 화향수 기회 확대가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문화예술진흥사업은 시설 등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에 치중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현재 영상·문화산업에 대한 지원이 너무 높기 때문에 이의 시정이 요구된다. 셋째, 예술의 여러 장르 중에서 무용은 상대적으로 지원이 적은 것으 로 나타났다. 미술은 기업메세나 지원은 물론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지 원에 있어서 가장 많은 지원을 받고 있는데 반해서 무용은 기업메세나 지 원도 적고 정부의 예산 지원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통무용은 국가의 정체성 제고 및 관광산업 측면에서, 그리고 문화예술의 핵심적 과제로 활성화되어야 할 분야로 조사되고 있지만 실제 로 지원되는 예산을 보면 열악하기 그지없다. 공연예술 사업에서도 그리고 전통예술 사업에서도 전통무용은 거의 예산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이러한 전통무용에 대한 지원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것은 전통 무용 지원을 심의하는 위원회에 이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지 않는데 그 이유가 있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전통무용가들이 무용분야 뿐만 아니라 전 통예술 분야의 심의위원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무형문화재 등의 지정을 받고 있지는 않지만, 전통무용을 토 대로 계승발전 명무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전통무용의 활성화는 정부의 지원만으로 달성될 수는 없기 때 문에 기업메세나 활동에서 전통무용에 관심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 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 될 수 있음을 기업들이 스스로 인 식하게 하고 그래서 전통무용의 필요성을 절감시킬 필요가 있다. 주요어 : 무용, 전통무용, 문예진흥기금

      • 한국전통무용의 활성화 방안연구 : 국립국악원 화요상설 무용공연을 중심으로

        정태선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75

        급격한 사회의 변화속에서 가장 영향을 받는 것은 문화일 것이다. 전통문화는 한 나라의 정서와 생활이 문화속으로 그대로 흡수되어 전승되어 온 것이므로 전통문화의 상실은 국민의 주체성 및 한 나라의 역사마저도 잃게 되는 비극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각 나라에서는 그 나라의 특색적인 전통문화를 내세워 전통문화를 활성화 하기 위해 보다 구체적이고 활동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전략을 세우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전통문화가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려는 취지아래 오늘날 한국전통무용을 순수예술 무용이라는 예술적 차원에서 뿐만이 아니라 대중과 함께 호흡하고 공유할 수 있는 예술로써 전통무용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된 석·박사 학위 논문 및 관련서적, 국립국악원 화요상설 무용공연을 통하여 그 내용과 성과들을 조사하는 내용 분석방법을 채택하여 이를 바탕으로 무용계의 상황에 따른 한국전통무용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통무용 활성화를 위한 문화기반 확충방안으로써 첫째, 다양한 교육기관의 전통무용 전문인 양성을 통한 잠재력있는 신인 유망주들의 발굴과 남성무용수들을 양성하여 이들이 공연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려야 한다. 둘째, 무형문화재 무대종목을 발표할 수 있는 화요상설과 같은 무대에서라도 특정한 몇몇 춤에 편중하지 않는 문화재 춤공연과 각 시도 지정 문화재 춤공연 또한 이루어져 모든 무형문화재 춤이 균등한 발전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우리민족 문화유산으로써 보존할 만한 가치가 있고 전통문화의 맥을 이을 수 있는 전통춤들을 폭넓게 발굴, 문화재 춤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넷째, 전통무용을 쉽게 접할 수 있고 공감대를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우리 전통춤판의 특성을 도입한 전통적 성향에 맞는 전통무용 전용극장을 설립하여야 한다. 다섯째,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보다 장기적이고 확고한 문화정책적 지원뿐만 아니라 한국 전통무용이 가진 상품의 특성을 제시하여 기업과 연계한 보다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한국의 전통무용을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자원화하는데 기업이 적극 참여하는 지원의 활성화를 유도해야 한다. 다음방안으로는 적극적 마케팅 활동을 통한 홍보 극대화 전략으로써 첫째, 무용예술을 바르게 감상하고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제공되고 있는 예술작품이 주는 즐거움을 보다 많은 사람이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대중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둘째, 홍보 마케팅 전략으로 스타 만들기와 함께 인터넷을 적극 활용하여 전통무용의 잠재고객을 지속적으로 확대시키고 고정고객을 확보하는 전통무용 관객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관객들의 전통무용예술에 대한 참여의식 고취와 올바른 감상태도를 위하여 계몽전략이 필요하다. 넷째, 국제화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한국전통무용도 국제적 경쟁력을 갖기 위해 현대적 해석과 함께 보편성을 띤 예술로 만드는 작업을 서두를 때가 되었다고 보며 이러한 우리의 전통무용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기획 추진하여 해외 공연을 통한 국제교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한국 전통무용의 활성화 방안은 전통무용 전공자나 무용예술인등 특정집단의 의식적 개혁이나 관심을 통해 단기간내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통무용예술인들의 자구적인 노력을 비롯한 사회적인 투자와 정책적 지원이 절실히 요구되며, 무엇보다 세계의 각종 훌륭한 문화유산들 속에서 우리의 문화가 빛나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우수한 전통문화를 보존·전승시켜야함은 물론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현대인들의 문화적 수준에 맞게 재창조하고 발굴해 내는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Culture is mostly influenced by the rapid variation of society.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passed down the extinction of whole nations emotion and life. So the loss of traditional culture yield to tragical results such as the loss of a nations identity and history. To solve this problem, each country looking for more specific and active plan for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The goal of this study with intent to prepare the environment of developing our traditional culture. And looking for the scheme of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dance that not only purity art but also popular art. To achieve this goal, analyze previous master and doctoral thesis and the results of Tuesday regular dance performance of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and which suggest followings: First of all, cultural background expansion plan for traditional dance revitalization. First, through various institute looking for a new face and cultivate a man of potential ability and give them more opportunity for participating performance. Second, give the unbiased chance to play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 dance through even the Tuesday regular performance. So it can equally developed. Third, search and reserved as a cultural asset some traditional dance which is worth for our nations cultural property and succeed the spirit of our traditional culture, Fourth, as a space for easily access and feel sympathy traditional dance, need to establish the traditional dance exclusive theater whic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our traditional dance field. Fifth, Not only long term and firmness support of government and local self-governing body and but introduce enterprises support through making korean traditional dance as a high additional value product. The next plan for maximizing public relation strategy through marketing activity, First, need to suitable utilization of mass-media for help ones pleasure given by a work of art through suggestion of right way of understanding dance art. Second, accompany to the public relation marketing strategy, need to use internet for continuous increase of potential customer and secure fixing customer of traditional dance. Third, need to enlightenment strategy for customers participation consciousness inspiration and right inspection attitude about to traditional dance. Fourth, an era of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to get global competitive, it is time to modern analyze and make universality art. Previously described revitalization pla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can not be completed within short time with consciousness reformation and concern of specific group such as traditional dance artist. More long term aspect, need to self-effort of traditional dance artist and social investment, support by policy. Above all, be prominent our nations culture among world great cultural property, not only surely need to preservation and succeed but need to continuous effort for re-creation and search out our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keep face with the change of times.

      • 정재만류 태평무를 통한 한국전통무용 계승발전의 가치성 연구

        김미나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which has been developed by Han Sung-Jun, has been variously composited at crossroad between tradition preservation and tradition creation since 1945(liberated from Japan). Tradition creatio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dance, has developed in less conventional and more progressive way. In the other hand, the handing down of traditional dance had to suffer the huge pang between preservation of heritage and reconstruction by historical flow. Especially, Taepyungmu, had formed by Han Sungjun in 1930 and been through the time of Han Youngsuk, has been handing down to Jung Jaeman for now. . However, Jung Jaeman’s Taepyungmu faces to a wall that it is more passive to admit the value of Teapyungmu, compared to Han Youngsuk’s Teapyungmu. Just receiving the original form without any modern acceptance of culture art won’t be the role of the dancer who lives in these modern days. When the form and philosophy which is based on the form were maintained, and when it was accepted by responding to society, culture, policy of nowadays like Jung Jaeman’s Taepyungmu, the artistic value will be new tradition which will get loved by public with socio reputation. That is why this study progressed discussion, how we should receive the value of dance in this era and what is the right direction of success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o hand down. To progress the discussion, this study conduct the research of Jung Jaeman’s Taepyungmu of which creative succession has been handing down actively. This study analyzed feature of the key factor of Han Youngsuk’s and Jung Jaeman’s headwaters. As a result, Jung Jaeman has developed Taepyungmu with three big parts in succession and developing of Han Sungjun’s and Hahn Youngsuk’s. The first part is to keep the peculiarity of Han Youngsuk’s Taepyungmu, another part is to recur to Han Sungjun’s Taepyungmu, and the other part is newly created part in Jung Jaeman’s Taepyungmu. What we can reach into a result is that Jung Jaeman’s taepyungmu has included all three unique characters of Taepyungmu and developed into its own direction through his own philosophy. Taepyungmu has had bid and small changes through the Han Youngsuk and Jung Jaeman from Han Sungjun, however, the changes have been a positive succession and development according to change of era. It is the result of mental agony that to see the value of tradition as a sprit, not just an external from, also to consider it as a breath of spirit, not just a typical form. When we see the point of view of success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Jung Jaeman’s Taepyungmu, we should recognize the key factor of traditional art and think carefully of the side of socio culture and Zeigeist. Finally, I conduct the questionnaire survey by phone (193 people of sampling survey) to research in preserv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necessity of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Based on that, most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dance and most of graduated students commented out that Han Youngsuk’s Taepyungmu is needed to designate as a cultural property, success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rt is needed, and for that, National policy and support are needed, too. In addition, at the Methodology of Traditional culture art succession, Jung Jaeman’s re-interpreting of Taepyungmu has gotten a positive evaluation, also the artistic value of Jung Jaeman’s Teapyungmu developed through the way of re-interpreting has recognized. The result of this survey shows that many dancers have had timely homework which is appropriate necessity of succession of creative Korean traditional dance. Through this study, to endow the value of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we should sincerely have a discussion about what to keep between the form of traditional dance and the spirit of traditional dance. 한성준으로부터 활발하게 전개되어온 한국전통무용은 1945년 해방 이후, 전통보존과 전통창작의 갈림길에서 다양하게 구성되어 왔다. 하지만 한국전통무용을 기반으로 보다 파격적이고 자유롭게 전개되어온 전통창작과 달리 역설적이게도 전통무용의 전승은 주어진 유산을 보존하는 것과 시대적 흐름에 따라 재구성하는 것 사이에서 적잖은 진통을 겪어야했다. 특히 태평무는 1930년대 한성준으로부터 형성되어 한영숙의 시대를 거쳐 현재 정재만을 통하여 이 시대에 전승되고 있다. 하지만 한영숙의 태평무와 달리 정재만의 태평무는 그 예술적 가치를 인정하는데 있어 유달리 소극적이라는 장벽 앞에 있다. 문화예술의 현대적 수용 없이 옛 원형을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 현대를 살아가는 무용인의 역할은 아닐 것이다. 정재만류 태평무처럼 그 형태와 형식의 기저에 깔려있는 철학은 유지하되 오늘날의 사회·문화·정치상에 반응하여 이 시대에 맞게 수용되었을 때 그 예술적 가치는 사회적인 인정과 더불어 대중들에게도 사랑을 받는 새로운 전통이 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통무용의 올바른 전승방향이 무엇이며 이 시대 춤의 가치성을 어떻게 받아들여야하는지에 대해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논의를 진행하기 위하여 현재 창조적인 전승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정재만류 태평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한영숙, 정재만류 태평무 계승원류의 핵심 요소별 특징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정재만은 한성준과 한영숙으로 이어지는 태평무를 계승 발전함에 있어서 크게 세 가지의 기준을 중심으로 전개해왔다. 한영숙류 태평무의 고유성을 유지하는 부분, 한성준류 태평무로 회귀하는 부분, 마지막으로 정재만류 태평무에서 새롭게 창조된 부분이다. 결과적으로 정재만류 태평무는 삼대 태평무의 개성을 모두 포함하면서도 정재만 본인만의 철학을 통해 독자적인 방향으로 전승해왔음을 알 수 있다. 태평무는 한성준으로부터 시작해서 한영숙, 정재만을 거치는 동안 크고 작은 변화가 있어왔다. 하지만 그 변화는 시대의 변화에 따른 긍정적인 계승·발전이다. 더욱이 전통의 가치를 외형적인 것이 아닌 정신적인 것, 그리고 전통예술의 형식적인 부분이 아니라 그 안에 흘러내려오는 맥으로 보고 고민한 결과물이라 하겠다. 정재만류 태평무의 계승발전 과정을 무용학적 관점에서 바라볼 때, 전통예술의 올바른 계승발전에 있어서 우선 전통예술의 핵심적인 요소가 무엇인지 인지해야하며, 사회문화적인 측면, 그리고 시대상에 대한 면밀한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전통무용 보존의 의미와 계승발전의 필요성에 대해서 본 연구자는 전화 설문법을 사용하여 193명의 표본 조사를 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무용학과의 학사, 대학원생과 관련 업종 종사자들은 한영숙류 태평무의 문화재 지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였고, 한국전통문화예술의 계승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국가적 정책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또한, 전통문화예술 계승의 방법론에 대해서는 정재만의 태평무 재해석 조명방식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이미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승 발전된 정재만류 태평무의 예술적 가치에 대해서도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많은 무용가들이 시대상에 걸맞은 창조적인 한국전통무용의 계승의 필요성을 과제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전통무용의 계승발전에 가치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지켜야하는 것이 춤의 외형인지, 아니면 내면적인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토론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한국무용전공자의 직업병 현황에 따른 보험대책 방향 연구

        김지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75

        In Korea, the idea of occupational diseases is predominantly applied only to the manufacturing industry with its disasters and diseases. Thus others vocational activities and their resulting diseases have not received serious considerations. In particular, the interest level in occupational diseases suffered by the professionals in art including dance is very low with no plans set up for them. Most common among dancers with their dancing activities are musculoskeletal diseases. Among them back pain and the shoulder-arm-neck syndrome, which are caused by excessive strain on the body, have increased every year and are expected to continue the pace in future. Thus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causes and current state of occupational diseases among Korean dance majors much exposed to the risk, suggest directions in insurance plans according to the findings, and help them prolong their life in artistic activities and improve their expressive abilities. After excluding the questionnaires whose answers were not sincere or lacked reliability, the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a group of Korean dance major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and the computer. First, the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nd then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overall response distribution of the items. And finally χ²-test was carried out to see if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in the responses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Those methodologie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re were total 200 valid questionnaires to be analyzed. The respondents were in their twenties(56.0%), thirties(39.5%), forties(4.0%), and fifties or older(0.5%). The male respondents were 12.0%, the female ones 87.0%, and no response 1.0%. The female respondents claimed a much higher percentage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As for career, 2.0% of them had a career of 5 years or less, 18.0% 5~10 years, 45.5% 10~15 years, and 34.5% 15 years or longer.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were the biggest in percentage. As for annual income, 36.0% earned 10 million won or less, 61.5% 10~20 million won, and 2.5% 20~30 million won per year. And 12.0% belonged to a school, 40.5% to a dance company, 17.5% to a dance teaching institution, 29.0 were freelancers, and 1.0% fell into the miscellaneous category. Second, the areas they ever felt pain were examined. As a result, 76.6% felt pain in the lower back, 67.0% in the knees, 44.7% in the hips(hip joints), 27.1% in the ankles, and 8.5% in others. Third, they were asked if their symptoms seemed to be related to their occupations. Most of the respondents believed their symptoms were clearly related to their occupations. Fourth, they were then asked if they needed insurance for certain. As a result, 77.0% said they did, 19.9% said they were not sure, and 3.1% they didn't need it. Among them 70.7% were ever insured, and 56.8% were insured for the purpose of compensation for injury(disease, wound, or death). Fifth, they were also asked if they would be compensated by the insurance company for a dance activity-related disease. As a result, 42.6% said they would not, 40.5% they would, and 16.9 they didn't know. The respondents didn't usually think they would be compensated for a dance activity-related disease by the insurance company. When they were asked if they would be willing to buy an insurance that covered dance activity-related diseases among Korean dance majors, 53.3% said they would. And 62.2% placed the first significance on compensation for dance-related diseases among the contents of an insurance product for Korean dance majors. And sixth, they were asked which of the following insurance products they would purchase in case of a dance activity-related injury or disease. As a result, 44.2% chose the insurance developed solely for Korean dance majors by a private insurance company, 42.7% the mutual aid of culture and art professionals, and 13.1% the group insurance of their organizations such as a dance company. Thus it's clear they would purchase an insurance product developed solely for Korean dance majors by a private insurance company if there were one to give them insurance money in case of injury, disease or accident.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many Korean dance majors were suffering from pain from their occupational diseases with no plans to practically manage the risk. Since the need for and interest in insurance and mutual aid for Korean dance majors have been increasing, the association or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The private insurance companies should be encouraged to develop insurance products for Korean dance majors. In addition, it's also the most important to implement various plans as soon as possible such as introducing a mutual aid for the professionals in culture and art early and invite their registration and initiating a mutual aid project by the association. Those measures will guarantee Korean dance majors stable artistic activities and help them prolong their artistic life.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직업병이 제조업의 재해 및 질환에만 해당된다는 인식이 많아 그 외의 직업활동으로 인한 질환은 그동안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무용과 같은 예술직에서의 직업성 질환은 더더욱 관심도가 낮은 편이며 그에 따른 대책 또한 전무한 실정이다. 무용활동으로 인해 많이 발생하는 질환은 대표적으로 근골격계질환을 들 수 있는데 반복적 움직임, 부적합하고 어려운 자세 등에 의하여 신체에 무리한 부담을 주었을 때 나타나는 요통, 경견완장해 등은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계속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업성 질환의 위험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한국무용전공자들의 직업성 질환 원인 및 현황을 분석해 보고 그에 따른 보험대책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무용전공자들의 예술활동 수명 연장과 표현능력 향상의 계기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무용전공자들이 작성한 설문지를 확보하여 응답내용이 부실하고 신뢰성이 없는 자료는 제외하고 분석 가능한 자료만을 SPSS 프로그램을 이용, 컴퓨터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먼저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각 문항에 대한 전반적인 응답분포를 파악하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적용하였다. 또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 각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교차분석(χ²-test)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200명으로부터 유효한 응답을 확보하였으며, 연령별로는 20대 56.0%, 30대 39.5%, 40대 4.0%, 50대 이상 0.5%로 각각 나타났으며 성별로 보면 남자가 12.0%, 여자가 87.0%, 무응답 1.0%로 여성의 비율이 남성의 비율보다 매우 높았다. 경력별로는 5년 미만 2.0%, 5~10년 18.0%, 10~15년 45.5%, 15년 이상 34.5%로 나타났고 학력수준은 대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간소득은 1,000만원 미만 36.0%, 1,000~2,000만원 61.5%, 2,000~3,000만원 2.5%로 나타났으며 소속단체는 학교 12.0%, 무용단 40.5%, 무용학원 17.5%, 프리랜서 29.0%, 기타 1.0%로 각각 나타났다. 둘째, 통증을 느껴본 적이 있는 부위를 파악한 결과, 허리 76.6%, 무릎 67.0%, 엉덩이(고관절) 44.7%, 발목 27.1%, 기타 8.5% 순으로 나타났다. 즉 응답자들은 허리에 통증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증상이 직업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파악한 결과,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증상이 직업과 확실히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인이 생각할 때 보험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파악한 결과, 필요하다 77.0%, 모르겠다. 19.9%, 필요 없다 3.1% 순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보험에 가입한 적이 있는 응답자가 전체의 70.7% 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주로 사고(질병, 상해, 사망 등) 보장 (전체의 56.8%)을 목적으로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무용활동과 관련 질환으로 보험사에서 보상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파악한 결과, 보상 받을 수 없다 42.6%, 보상 받을 수 있다 40.5%, 모르겠다 16.9% 순으로 나타났다. 즉 응답자들은 무용활동과 관련 질환으로 보험사에서 보상 받을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무용전공자의 예술활동으로 인한 질환을 보장하는 보험이 개발된다면 가입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한 응답자가 전체의 53.3%로 나타났다. 한국무용전공자 전문보험의 보장내용으로는 무용질환보장 62.2%을 가장 우선적으로 꼽았다. 여섯째, 무용활동으로 인한 상해 또는 질병 등의 사고 발생 시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험제도가 다음과 같이 있다면 어디에 가입하겠는지를 파악한 결과, 민간보험사의 한국무용전공자 전용 보험 가입 44.2%, 문화예술인 공제 가입 42.7%, 무용단 등 소속단체의 단체보험 가입 13.1% 순으로 나타났다. 즉 응답자들은 무용활동으로 인한 상해 또는 질병 등의 사고 발생 시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험제도가 있다면 민간보험사의 한국무용 전공자 전용 보험에 가입하겠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실제로 많은 한국무용전공자들이 직업성 질환으로 인한 통증에 시달리고 있으나 이에 대한 실질적인 위험관리 대책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용전공자를 위한 보험 및 공제 대책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고 관심도도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른 협회나 정부차원의 제도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따라서 민간보험사의 한국무용전공자 전문보험 개발 유도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인공제사업 시행의 조기도입 및 가입, 무용단과 같은 특정단체차원에서의 단체보험 가입 등의 다양한 대책을 하루빨리 현실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통해 한국무용전공자들의 안정적인 예술활동 보장과 수명 연장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 근대전통무용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박지현 淑明女子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9775

        In this thesis, by researching historic transition of modernized traditional dance it first defined the meaning of trad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ance. The reason for this is because the traditional dance holds it firm place in our traditional culture. This thesis concentrates its research on historical transition at modern period. The summarization of the content is as follows. The origin of Korean dance is after Old-Chosun, when people used dance as a means to overcome the fear of nature, which eventually evolved into a form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everyday life. Korean dance, which started from the ceremony from prehistoric age reflects the changes that has been caused by the history. Especially,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s : ⓐ the traditional dance and new-dance started to co-exist, ⓑ although it was a dark age for Korea politically and socially due to the oppression from Japan, it was the time when Korean dance was introduced to other countries by efforts such as inducing western dance, staging traditional dance and performing in other countries. In the same period many pieces were created. The notable dancer in this period are Seunghee Choi and Taekwon Cho who pioneered in the new field and Seongjoon Han who made many impressive creations. The performance in this period can be characterized as creation on the basis of tradition. By staging 'story based' traditional dance, the performances in this period made its contribution in that it completed the formality of traditional dance. On a broad point of view, our modernized traditional dance has its two major turning points for its change and development. One came in 1910 when 'dances within palace' came open to public through the compulsory annexation. Other came in 1926 when the new form of western dance was introduced by a Japanese dancer, Ishie Baku. The former has it meaning in that the dances for certain class was opened to the public. The introduction of new dance by Baku in Korea was the signal of the western dance landing in Korea. As Seunghee Choi and Taekwon Cho became the pupil of Baku, the integration of new dance with Korean dance came even faster. Due to the circumstances of early 20th century and lively efforts from Choi & Cho, 'new dance' was regarded as the modernized form of Korean dance. In general, the characteristics of 'new dance' as a form of 'modernized dance' are as follows : ⓐ effected from western dance, ⓑ has its own formality and sense of beauty, ⓒ is composite art which used the creative movements of a body, and ⓓ uses the westernized stage for its performance. However, on the major premise that 'modernized dance' is the evolved form of dance of Korea, regarding 'new dance' as 'modernized dance' is not right at all. Because, before 'new dance' beginning in 1900 there were performances by kisaeng in westernized stages such as Wonkak-sa, Kwangmudae, Yeonheung-sa. If we can say that the modernization of Korean dance is staging on western stage, we cannot disregard the efforts of traditional artists such as kisaeng, changwoo, kwangdae. Although above traditional artists made great contributions under very restricted circumstances, many previous researches have neglected the contributions. The main reason for this was due to the mis-concept that 'new dance' is just a new form to the old and to the wrong viewpoint that the traditional culture is not important at all.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zed dance' are as follow : ⓐ has a goal to make convert traditional dance into creative art and performing art, ⓑ appearance of full-time dance producer and improvement in the status of dancers, ⓒ collapse of division of palace art and other public art which resulted integration of performances in one place, ⓓ formation of four schools from staging of traditional dance by Seongjoon Han, 'new dance' performed by Seunghee Choi and Taekwon cho, spirited dance of Gooja Bae, and dances of kisaeng, ⓔ new concept of dance established as a result of import of foreign dances. However, what must be noted here is that the form of traditional dance that we see was not completed in above period. Those traditional dances that could not be integrated to the changing wave in early 20th century wa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policy in 1960s to save and to develop traditional art which resulted in the completion to its present form. Our traditional dance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nd every individual traditional dancer had his/her individuality. Also, diverse formation and movements were made by masters of dancing. However, there seemed to be no concept of 'creative dance' and 'choreography'. 'Creative dance' is a question of what ego is and how that ego is expressed by movements. The 'ego' here is the consciousness of history and the dancer pursues this not by routine method but by dance. Therefore the traditional dance enables a 'creative dancer' to find his/her ego and to reflect the abyss of history in doing so. However, most of the dances soon disappeared after their appearance until now which might be because each dancer tried to express his/her individual character without painstaking discipline. In all, for cultural dancing assets embedded in tradition to be continuously shown and exist as lively performing culture, there needs to be considerable efforts in preservation, in specialization and in development of unique genre of traditional dance. 본 논문에서는 근대전통무용의 역사적 변천을 연구함에 있어 전통의 의미와 전통문화가 갖는 특징과 전통무용의 특징을 선행적으로 다루었다. 이는 전통무용이 우리고유의 문화전통 속에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시대의 문화는 과거의 삶과 함께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계승 발전되어 온 문화와 또 다른 새 문화를 받아들이고 그것을 우리의 것으로 자리 매김 한 문화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이란 전자의 경우로 과거의 역사와 함께 그 정신과 얼이 문화 속에 담겨 현재로 이어지는 고유 유산이라 하겠다.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져온 무용(舞踊)은 인간의 움직임을 본질로 하는 가장 오래된 예술형식(藝術形式) 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무용의 역사적 변천을 연구함에 있어 근대를 중심으로 고찰하여 보았다. 본 연구내용을 정리하여 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 한국무용의 뿌리는 고조선이후, 인간이 집단취락 생활을 시작하면서 자연에 대한 외경(畏敬)과 공포 속에서 이에 대처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삶과 직결된 정신적 현실적 위안의 형태로 변화 발전되었다. 기원전 제천의식(祭天儀式)에서부터 비롯된 한국무용은 사적(史的)흐름에 따라 보전과 소멸의 과정을 거쳐 오늘날에 이른 것이다. 특히 20세기 초는 우리 무용역사(舞踊史)에 있어서 전통무용(傳統舞踊)과 신무용(新舞踊)이 함께 공존하기 시작했던 과도기로서, 정치적·사회적인 암흑기 속에서도 서양무용의 도입과 전통무용의 무대화(舞臺化) 작업 및 해외공연을 통하여 우리 춤의 다변화(多變化)된 양상을 세계에 알리는 시기였다. 이 시대에 많은 작품들이 창작되었으며, 대표적인 무용가로는 신무용의 개척자인 최승희와 조택원 등이 있으며, 전통무용을 바탕으로 한 창작무용의 선구자(先驅者)인 한성준을 들 수 있다. 이 시대의 전통무용의 공연은 전통적(傳統的)이고도 민중적(民衆的)인 바탕 위에 독창적(獨創的)인 춤사위를 새로이 재창작하여 전승(傳承)한 것들이다. 또한 전통무용에 스토리를 만들어 무대화함으로써 오늘날 무대 위에서 행해지는 무용공연의 형식적 틀을 갖추는데 공헌하기도 하였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살필 때, 우리 근대무용역사는 적어도 두 차례의 분기점을 통해 변화와 발전을 모색한 것으로 보인다. 그 중 하나는 1910년 한일합방으로 인한 궁중여악의 해체로 말미암은 변화 양상이고 또 다른 하나는 1926년 일본인 이시이 바꾸(석정막, 石井莫)의 `신무용 공연'으로 인한 이른바 서양식 춤 양식의 유입을 들 수 있다. 궁중여악의 해체는 궁중에서 일부 계층만을 위해 존재했던 궁중무용이 일반에 널리 공개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지만 조선 오백년 왕궁문화의 꽃으로 자리했던 궁중정재의 절제된 양식과 숭고미가 일부 속화되거나 퇴락 되어가는 결정적인 동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이중적 평가가 엇갈린다. 일본인 이시이 바꾸에 의한 신무용 공연은 우리나라에 외래무용의 본격 상륙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고, 최승희·조택원이 이시이 바꾸의 문화생이 됨으로써 신무용의 한국 토착화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시대환경과 맞물려 최승희, 조택원의 활발한 활동으로 신무용은 곧 한국근대무용의 전형으로 간주되게 되었다. 흔히 근대무용으로서의 신무용의 성격에 대해 서양식의 양춤이면서 신식의 춤이라는 점, 독자적인 춤양식과 미의식을 전제로 한다는 점, 창조적 신체 움직임으로서의 종합예술적 성격을 갖는다는 점, 그리고 서구식 극장무대무용이라는 점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한국 근대무용이 `한국에서 진행된 무용역사'라는 대전제하에서 본다면 신무용이 곧 근대무용이라는 등식은 바로 기형적인 논의에 불과 한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왜냐하면 신무용 이전 이미 1900년대부터 원각사를 비롯하여 광무대, 연흥사 등 서구식 극장무대에 우리 전통무용이 기생들에 의해 이미 공연되었다는 사실이다. 만약 무용의 근대화가 서구식 극장 무대화 과정이라면 우리 전통무용을 제일 먼저 무대 위에 올려놓는데 공헌한 기생과 창우, 광대 등 전통예인들의 역할을 빼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봉건 전통사회에서 근대로의 이행이 일제 식민지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전개될 수밖에 없었던 척박한 환경에서도 전통예술의 혼과 맥을 이어준 전통예인들의 공적에 대해 소홀하게 다룬 감이 있다. 신무용을 `낡은 것에 대한 새것'으로 규정했던 관점, 즉 전통문화는 낡고 하찮은 것이라 멸시하고 편협시한 시대착오적 관점이 그대로 적용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근대무용이 갖는 몇 가지 특징들을 정리해 보면 (1) 전통무용의 창작무용화 내지 현대화와 극장 무대화를 통한 예술로서의 춤을 추구한 점 (2) 전업적인 춤작가의 출현과 춤꾼의 지위가 향상된 점 (3) 궁중정재와 전통무용의 고유의 판(공연장소)이 와해되고 한자리에 공연된 점 (4) 한성준의 전통무용의 무대화, 최승희, 조택원의 신무용, 배구자의 기예적인 춤, 기녀들의 권번무용 등 네 갈래로 무용의 유파가 형성된 점 (5) 외래무용의 유입으로 인한 무용의 새로운 개념이 대두된 점등으로 요약된다. 그러나 염두에 둘 것은 오늘날 우리가 접하게 되는 전통무용의 춤 형식이 이때 완전한 모습을 갖춘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20세기 초 1910년 궁중여악의 해체와 더불어 변화의 물결에 동참할 수 없었던 전통무용은 60~70년대에 다시금 국가적 차원에서 전통예술을 보호 육성한다는 제도적 장치에 힘입어 춤의 형식창조 작업에 몰두하게 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춤의 부분적인 수정보완작업이 이루어진 것이다. 문화재 춤의 제1대 기능 보유자들 대부분 전근대적 교육체계 속에서 춤을 학습했다면 그들의 제자들은 대학이라는 제도화된 현대적인 교육체계에서 춤을 학습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이들은 전통무용에 대한 이해의 폭이나 인식하는 방식이 달랐고 예술로서의 춤을 갈구하거나 예술적 승화를 위해 나름의 노력을 기울이며 전통무용의 무대양식화를 재차 주도하게 된다. 전통무용의 무대양식화와도 연계된 전통무용의 원형에 관한 문제는 어쩌면 춤이 지닌 본질적 속성과 같이 영원히 현재 진행일 수밖에 없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의 춤이 변화 발전되어 왔고 추는 사람마다 개성이 있었으며 명인들에 의한 새로운 구성과 춤사위가 만들어지기도 했지만 현대적 의미의 창작이나 안무의 개념은 없었던 것이다. 창작무용은 자아란 무엇이며 그것을 어떻게 춤으로 실현하느냐의 문제일 것이다. 여기서 자아란 자신의 역사의식이며 무용가는 이를 일상적이며 사변적인 방법이 아니라 춤으로 추구하게 된다. 그러므로 창작무용가에게 있어서 전통무용은 자아를 발견하고 역사의 심연을 굽어보도록 해준다. 그러나 개화기 이후 지금까지 수많은 춤이 창작되어지고 대부분이 사라지고 마는 것은 전통에 의한 각고의 수련이 없이 각자의 얕은 개성을 쉽게 나타내려 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이에 전통 속에 내재되어 있는 춤 문화적 자산이 단지 박물관의 진열장에 놓여진 박제화 된 문화자산으로서가 아니라 끊임없이 보여짐으로써 반응하는 생명 있는 공연문화로서 존재하도록 전통무용에 대한 보호와 전문화, 그리고 독특한 `장르화'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 감성마케팅을 통한 초등학교 무용교육 활성화 방안

        이정은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75

        In the 21st century, the informatization era, the society is driven by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refore, intellectual technology plays a critical role in developing and creat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Since school is field for intellectual activities, its role is all the more important. Especially, elementary students have to be taught to find creative movements a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problem solving. Korea's education is moving toward open education that nurtures creativity and emotion, from its conventional education that forces students into memorizing textbooks. Currently,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s are providing after school programs. Dance education helps primary students whose egos are not fully established to develop their egos, decent characteristics, confidence and sociality through creation and activities letting students to express their emotion. Korean elementary education has been advancing and transforming continuously. The 7th education curriculum's primary direction is "focus on the basic education that nurtures healthy characteristic and creativity" and it pursues nurturing of "human resources who can create the new value on the basis of sufficient understanding of our culture." This shows the significant importance of traditional & cultur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as Korea becomes a advanced nation. To understand our origin and foster creativity, traditional and cultural education is vital. I chose traditional dance as a means to teach Korean culture to elementary schoolers. This paper researched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after school programs being promoted in schools nationwide aiming at reducing private education, while seeking measures to emotionally approach students and parents by taking emotion marketing method that fits for the psychological traits and development phase of primary school students to boost elementary schools' traditional dance education. Existing researches showed that the current traditional da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re not popular among students due to the lack of proper management and marketing, and with the shortfall of students enrolling in such dance classes, the number of schools providing traditional dance education is dropping. To resolve these issues, I closely studied students' zone of development, various values that dance education gives to students and emotion marketing. As a result, it became clear that dance education that helps students'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is highly important since children achieve meaningful growth in every zone of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s, and that emotion marketing is an appropriate approach considering elementary students' psychological traits and development phase. This paper researched the background and the trend of the kids industry seeking to identify elementary students' —the consumer of classical education— consumption pattern and its changes. The result revealed that even if the parent's economic dancecondition beame difficult, they didn't cut the investment in their kids' education. The researches mentioned above showed that activity education is crucial in vitalizing elementary schools' traditional dance education through emotion marketing. This paper researched activity marketing to introduce activity education, and it provides measures to help students to learn and take traditional dance more comfortably by stimulating their emotion with programs letting them to experience dance education and dance performances. The most important part in vitalizing traditional dance education is to have the clear goal. When providing certain art activities to students, its motives and goals should be clear. In other words, we must avoid one-sided education and pursue the education through which students can think and understand the reason behind certain movements or expression and the meaning of art. Taking all of these into consideration, I suggest that active attitude and strong responsibility of teachers are required to invigorate traditional dance education, and in order to reverse students' perception of traditional dance —that it's boring— activity programs should be aggressively utilized. 21세기는 정보화 시대로 정보와 지식이 사회를 움직이는 원동력이 되므로 정보와 지식을 개발하고, 창조하기 위하여 지적기술이 중심이 될 것이다. 학교는 많은 시간 지적활동을 하는 곳이므로 그 어떤 기관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하며 특히 초등학생들은 여러 가지 경험과 다양한 탐구과정을 통해서 창의적인 움직임을 발견할 수 있도록 지도되어야 하며 적극적인 태도로 과제해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교육방식도 주입식, 암기식 교육에서 학생들의 창의력과 감수성을 길러주는 열린 교육방식으로 변해가고 있고, 현재 전국 대부분의 각 초등학교는 방과 후 특기적성 수업을 시행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무용 교육은 다른 학과 과목과는 달리 신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창작활동을 통해 자아 형성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초등학생들에게 올바른 자아와 원만한 성격형성, 자신감과 사회성을 기르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된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광복이후 끊임없는 연구와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되고 변천하고 있다. 현재 7차 교육과정의 목표는 ‘건전한 인성과 창의성을 함양하는 기초·기본 교육의 충실’ 을 기본방향으로 고시하고 추구하는 인간상 중에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 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 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선진국으로 가면서 초등학교 교육 과정에서 우리의 전통과 문화에 대한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단적으로 말해주고 있으며, 우리의 뿌리를 이해하고 그 뿌리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사람을 만들기 위해 전통과 문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초등학생들에게 우리 문화를 알리기 위한 방법으로 전통춤을 선택하였고, 전통춤 교육의 특성과 학생 개개인의 소질이나 특기신장과 지나치게 증가하고 있는 사교육비 절감을 위해 전국적으로 활발하게 실시되고 있는 방과후 교육활동 중 전통 춤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에 관하여 알아보고, 줄어드는 초등학교 전통춤 교육 활성화를 위해 완벽하게 성장하지 않은 초등학생들의 심리적 특성과 발달단계에 잘 맞아 떨어지는 감성마케팅 기법을 도입하여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감성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전통춤 특기적성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을 살펴 본 결과 현재 초등학교 전통춤 교육의 현실은 관리 소홀과 마케팅의 부진으로 학생들에게 인기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전통춤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들마저도 수강 학생 수의 미달로 점점 줄어들고 있는 현실이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연구자는 먼저 학생들의 발달영역을 살펴보고, 무용교육이 초등학생들에게 미치는 여러 측면의 가치들을 알아보고, 감성마케팅에 관해 자세히 알아본 결과 초등 교육을 받는 동안 모든 발달영역에서 왕성한 성장을 이루는 초등학생들에게 아동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지적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무용교육이 절실히 필요하고, 감성이 이성을 지배할 정도로 중요한 컨텐츠가 된 21세기에 모든 면에서 완벽하게 성장하지 않은 초등학생들의 심리적 특성과 발달단계에 감성마케팅의 특성이 잘 맞아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통춤 교육 소비자인 초등학생들의 소비 성향과 변화를 알기 위해 키즈 산업의 배경과 흐름에 관해서도 알아 본 결과 부모의 경제 상황이 어려워도 자식 교육에 대한 투자는 줄어들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감성마케팅을 통한 초등학교 전통춤 교육 활성화를 위해서 체험교육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체험 교육을 도입하기 위하여 체험마케팅에 관해 알아보았으며, 무용교육체험 프로그램과 무용공연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감성을 자극하여 기존의 지루하다고 생각했던 전통춤을 좀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통춤 교육 활성화를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전통 춤 교육에 있어서 분명한 목표의식을 갖는 일이다. 예를 들어, 어떤 예술 활동을 학생들에게 부여하는 목적과 그 예술 활동을 하는 이유가 분명해야 한다. 즉, 무조건적인 표현수업에서 벗어나 어린이들이 표현을 하면서 그 예술표현을 왜 하고 예술은 어떤 것인지 등에 대해 이해하고 생각하며 감상할 수 있는 활동을 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줄어드는 전통춤 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가장 먼저 교사들의 사명감과 적극적인 지도 자세가 필요하고, 기존의 전통춤은 지루하기만 하다는 학생들의 생각을 뒤바꾸기 위하여 학생들의 오감을 자극할 수 있는 체험교육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는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