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공와우 착용자의 청각, 시각, 청시각 작업기억 능력

        이기성 한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6367

        목적: 양측성 고심도 이상의 청각장애인에게 인공와우는 정상에 가까운 말지각 및 말산출을 보상해 주기도 하지만 다양한 변인들로 인해 수행력에 개인차를 보일 수 있다. 최근 청각과 관련된 직접적인 문제들과 함께 작업기억(working memory) 등의 신경인지적 변인들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러한 변인들이 인공와우 말-언어 발달을 위한 재활에 반영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작업기억은 정보를 짧은 시간 저장하여 동시에 처리하고 조작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공와우 착용자의 작업기억 능력은 제한된 청각 경험으로 인해 건청인과 다를 수 있고, 청각적 또는 시각적인 자극에 따라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건청인과 인공와우 착용자를 대상으로 청각, 시각, 청시각 조건에서 숫자기억폭 검사(digit span test)를 사용하여 청각, 시각 양상에 따른 인공와우 착용자의 작업기억 능력의 특성을 확인하고 숫자기억폭 검사와 문장인지도 간 상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건청인 16명과 인공와우 착용자 16명을 대상으로 단일 및 복합 자극 양상에서 숫자기억폭 검사를 위하여 청각(Auditory Only, AO)과 시각(Visual Only, VO)의 단일양상 조건과 청시각(Auditory-Visual, AV) 복합양상 조건 각각에서 순방향(Forward)과 역방향(Backward) 반응방식으로 실시하였다. AV 조건의 경우, AV-Congruent와 AV-Incongruent 조건에서 각각 소리 자극에 집중하는 상황과 시각 자극에 집중하는 상황에서 실시하였다. 모든 숫자기억폭 검사는 1부터 9까지의 숫자를 3개에서 10개의 자릿수까지 2회 제시되도록 구성하였다. 청각 자극 조건의 경우 남성 성우가 녹음하여 숫자를 1초 간격으로 제시하였고, 시각 자극 조건의 경우 하얀색 바탕에 검은 글씨로 1초 간격으로 제시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청각 또는 시각으로 제시되는 조건 모두에서 구어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대상자가 해당 자릿수를 2회 모두 오반응한 지점의 전 단계를 역치로 산정하였고 인공와우 대상자의 경우 문장인지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검사 조건 간의 비교를 위하여 혼합분산분석과 t -test를 실시하였다. 더 나아가 인공와우 대상자의 숫자기억폭 검사의 수행력과 문장인지도 간 상관성을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단일양상 조건에서 건청 집단은 인공와우 집단에 비해 AO, VO의 Forward, Backward 조건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모든 집단은 AO, VO 조건에서 Forward는 Backward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나타내었다. 건청 집단의 경우 AO와 VO 조건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인공와우 집단의 경우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복합양상 조건에서 건청 집단은 AV-Congruent 조건이 AV-Incongruent 조건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단일 및 복합양상 조건에서 건청 집단의 경우 청각과 시각 양상에서 AV-Congruent 조건은 단일 조건과 AV-Incongruent 조건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인공와우 집단의 경우 청각 양상은 건청 집단과 같이 AV-Congreunt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시각 양상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숫자기억폭 조건과 문장인지도와의 상관성을 확인한 결과, AO 조건의 Forward 조건을 제외하고 모든 조건에서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일련의 청각 및 시각 숫자기억폭 검사에서 인공와우 착용자는 건청인에 비해 낮은 작업기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각과 시각 자극이 동시에 제공되었을 때 시각 우세성을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공와우 착용자의 작업기억이 문장인지도와 연관성을 파악하였고, 언어 능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ICT 기반 청각시간해상도 훈련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적용 연구

        허애지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6367

        Purpose: Auditory temporal resolution (ATR) is the ability to discriminate and perceive small temporal differences in sound, and is related to sound characteristics and neural stimulus processing speed, and affects speech perception. The decline in neural stimulus processing speed due to aging and hearing loss leads to a decrease in auditory temporal resolution, which in turn, leads to a decrease in speech perception in older adults. Fortunately, auditory temporal resolution training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for older adults with hearing loss. Despite the current trend of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raining tools for auditory temporal resolution training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TR training program as an application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imulus sound: frequency, length, and intensity,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clinical use of the training program by presenting the norms of Korean adults. Method: The ATR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through an android-based Unity program.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20 conditions according to five frequencies (500, 1000, 2000, 4000 Hz of narrow-band noise, broad-band noise), and four durations (50, 100, 250, and 500 ms), and a total of 13 (2-40 ms) gaps were included in each condition. The training method used a two-alternative forced choice (2AFC) method that allows the identification of one stimulus including a gap in two stimuli, and adaptive learning (Levitt, 1971) that is converted based on 70.7% forward response was applied. The average of the last 6 gap durations among 8 reversals, which is the termination criterion for each condition, was calculated as the final performance. In order to establish the parameters of the developed training program, the ATR threshold was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of stimulus frequency, duration, and level (35 dB HL and 50 dB HL) using a program developed for 26 normal hearing adults and 13 normal hearing and hearing-impaired elderly people. Test-retest reliability for ATR thresholds was measured, and Gap in Noise (GIN) and Random Gap Detection Test (RGDT) thresholds were measured and compared. Result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TR in normal hearing adults with the frequency, intensity, and length of the stimulus sound, all performance between intens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for 100 ms of 500 Hz and 50 ms of 4000 Hz, indicating that training by intensity was necessary. In terms of performance between frequencies, the difference between 500 and 2000 Hz was significant, and in the case of 4000 Hz and BBN, it was not. It was indicated that training by frequency was significant below 2000 Hz, but in the high frequency range above that, it should be individu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leng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lengths from 500 to 2000 Hz, and the shorter the length, the higher the threshold, but 4000 Hz and BBN showed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ngths, and the highest threshold at 100 ms. Therefore, training by length of low frequencies below 2000 Hz is possible, and training with a different length of 100 ms was significant in 4000 Hz and BBN. The reliability of the test-retest of ATR was confirmed, and no correlation was found as a result of the validity test, but in the case of GIN, it showed a close threshold within 1.5 ms, and in the case of RGDT, the ATR and the threshold were closer to each other within 2.4 ms as the frequency increas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elderly's temporal resolution performance by frequency under 500 ms length condition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requencies, and as the frequency increased, the threshold was significantly lower, and all of the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resholds than that of normal hearing adults. Individual thresholds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average adult performance. The subjects showing performance below 2 SD were 1000-4000 Hz for 500 Hz and 33-46% for BBN. Conclusions: The results of measuring temporal resolution using the ATR training program showed that performance varied with stimulus frequency, duration, and intensity, suggesting that training based on a difficulty hierarchy using parametric conditions could be applied. For future clinical use of ATR training program, validation studies of training feasibility should be followed up with normative studies of aging and hearing loss. Keywords: central auditory processing, temporal resolution, gap detection thresholds, auditory training application, elderly auditory rehabilitation ICT 기반 청각시간해상도 훈련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적용 연구 2023. 석사학위논문 허애지 언어병리청각학과 지도교수: 장현숙 목적: 청각시간해상도는 소리의 미세한 시간적 차이를 변별하고 인지하는 능력으로 소리의 특성 및 신경 자극 처리 속도와 관련이 있으며 말소리 인지에 영향을 미친다. 노화와 난청으로 인한 신경 자극 처리 속도의 저하는 청각시간해상도를 낮추어결과적으로 노인의 말소리 인지 능력 저하를 초래하지만 다행히도 훈련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현재 노인 인구 증가 추세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청각시간해상도 훈련을 위한 연구와 훈련 도구 개발이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청각시간해상도 훈련 프로그램을 자극음의 특성인 주파수, 길이, 강도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으로 개발하고, 둘째, 건청 성인을 기준으로 역치 규준을 제시하여 훈련 대상자의 수행 정도와 훈련 단계 선정의 기준을 마련하고, 셋째, 건청 성인의 수행력을 기반으로 노인 대상자를 위한 훈련 자극 조건을선별하고 적용하여 건청 노인과 난청 노인의 수행력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방법: 청각시간해상도(auditory temporal resolution, ATR) 훈련 프로그램은 안드로이드 기반의 Unity 프로그램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형식으로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5개의 자극 주파수(500, 1000, 2000, 4000 Hz의 협대역 소음과 광대역 소음)와 4개의 자극 길이(50, 100, 250, 500 ms)에 따라 총 20개의 조건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조건마다 총 13개(2~40 ms)의 간격(gap)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훈련 방식은 두개의 제시 자극음에서 gap이 포함된 음을 확인하도록 하는 2-interval alternative forced choice (2IAFC)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70.7% 정반응을 기준으로 전환되는 적응형 학습(adaptive learning) (Levitt, 1971)을 적용하였다. 각 조건의 종결 기준인 8개의 전환구간(reversal) 중 마지막 6개의 gap 길이 평균을 최종 수행력으로 산정되도록 하였다. 건청 성인 26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극 주파수, 자극 길이, 제시 강도(35 dB HL과 50 dB HL) 조건에서 ATR 역치를 측정하였다. ATR 역치에 대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측정하였으며, Gap in Noise (GIN)과 Random Gap Detection Test (RGDT) 역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건청 성인의 수행력을 기반으로 노인 대상자를 위한 훈련 자극 조건을 선별하고 적용하여 건청 노인과 난청 노인의 수행력을 확인하였다. 결과: 건청 성인을 대상으로 ATR 수행력을 자극음의 주파수, 제시 강도, 제시 길이로 측정한 결과, 강도 간 수행력에서는 500 Hz의 100 ms와 4000 Hz의 50 ms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여 강도별 훈련이 필요함을 나타내었다. 주파수 간 수행력에서는 500~2000 Hz까지는 차이가 유의하였고 4000 Hz, BBN의 경우, 유의하지 않았다. 2000 Hz 이하로는 주파수 별 훈련이 의의가 있으나 그 이상의 고주파수 영역에서는 길이에 따라 개별적으로 선별되어야 함을 나타내었다. 길이 간 수행력은 500~2000 Hz까지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길이가 짧을수록 높은 역치를 보였으나 4000 Hz와 BBN은 길이 간 유의한 차이가 적었고 100 ms에서 가장 높은 역치를 보였다. 따라서 2000 Hz 이하 저주파수의 길이별 훈련이 가능하고 4000 Hz와 BBN에서는 100 ms와 다른 길이로의 훈련이 의의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ATR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타당도 검사 결과,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GIN의 경우, 1.5ms 이내의 근접한 역치를 나타냈으며 RGDT의 경우, 고주파수로 갈수록 ATR과 역치가 2.4 ms 내로 서로 근접하였다. 노인의 ATR 수행력을 500 ms 길이 조건에서 주파수 별로 측정한 결과, 주파수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유의하게 낮은 역치를 보였으며, 건청 성인의 수행력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은 역치를 나타내었다. 노인 개별 역치를 성인 평균 수행력 기준 - 2 SD 미만의 수행력을 보이는 대상자는 500 Hz의 경우 1000~4000 Hz 및 BBN에서는 33~46%로 나타났다. 결론: 본 훈련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청각시간해상도 능력을 측정한 결과, 자극 주파수, 길이 및 강도에 따라 수행력이 차이를 보였으며 난이도의 위계를 제공하였으므로 파라미터 조건을 활용한 목록별 다양한 훈련이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난청 노인의 경우 모든 주파수 조건에서 –2 SD 미만의 낮은 수행력을 보이는 대상자수를 고려했을 때 훈련의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향후, 난청과 노인 인구 대상으로 본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연령별 난청별 규준을 확립하고 훈련의 타당성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중추청각처리, 청각시간해상도, 간격탐지역치, 청능훈련어플리케이션, 노인청능훈련

      • 경도인지장애 난청 노인의 음악기반 청능재활의 효과 : 가창, 악기연주, 청각적 주의력 구성을 기반으로

        박시훈 한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6367

        목적 : 난청과 인지기능 저하와의 연관성이 입증됨에 따라 노인의 청각관리가 더욱 중요해졌다. 일반적으로 청능훈련은 신경가소성의 변화로 인해 청각기능과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지만, 인지기능 저하 대상자에게 직접적으로 청능훈련을 적용하여 수행력을 확인한 문헌은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으로 구성된 음악기반 청능훈련이 청각 및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이를 확장하여 인지기능 저하 노인에게 음악기반 청능훈련의 필요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경도인지장애를 보이며 경도 ~ 중고도의 감각신경성난청을 갖는 노인 20명이 참여하였으며, 대상자는 음악기반 청능훈련을 받는 재활군(10명)과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10명)으로 분류되었다. 선별검사 후, 재활군에 포함된 대상자들은 10분의 노래부르기 훈련, 15분의 악기연주 훈련, 15분의 청각적 집중력 훈련으로 구성된 음악기반 청능훈련이 실시되었다. 재활은 한 주에 2번씩, 8주간 진행되어 총 16회기가 실시되었다. 모든 대상자는 3회(사전검사, 사후검사, 추적검사)에 걸쳐 수행력을 측정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청각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립특수교육원 말지각발달검사(자모음 확인, 문장인지, 문장기억 및 순서화, 이야기 이해), 한국어 Matrix 문장 검사(+6dB SNR)를 포함하였고, 인지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검사, 한국판 캘리포니아 언어학습검사(즉시회상, 지연회상), 숫자 폭 검사를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상자의 삶의 질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 척도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결과 : 종합적인 청각기능을 확인한 자음확인 및 모음확인, 문장 수 및 목표단어, 문장기억 및 문장 순서화, 이야기 이해, +6dB SNR 수준의 소음 하 문장인지 수행력은 집단 및 시점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사전검사와 비교하여 사후검사의 수행력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또한, 전반적인 인지능력을 확인한 단어의 즉시회상 및 지연회상, 숫자 바로 따라 말하기 및 숫자 거꾸로 따라 말하기 수행력은 집단 및 시점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사전검사와 비교하여 사후검사의 수행력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결과적으로 음악기반 청능훈련은 음소와 단어 수준의 확인 능력, 조용한 환경에서의 문장인지 능력, 소음 속 문장인지 능력 및 담화 수준의 이야기 이해 능력의 전반적인 청각기능과 숫자와 문장 수준의 작업기억력, 숫자와 단어 수준의 단기기억력, 단어 수준의 장기기억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집단 내 사후검사와 추적검사 수행력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면서 음악기반 청능훈련의 효과가 재활 후에도 유지되었다.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 척도 설문지로 확인한 대상자의 종합적인 삶의 질 점수는 그룹 및 시점 간 상호작용 효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전검사와 비교 시 재활군의 사후검사 점수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결론 : 경도인지장애 난청 노인 대상의 8주간의 체계적인 음악기반 청능훈련은 음소와 단어 수준의 확인 능력, 조용한 환경에서의 문장인지 능력, 소음 속 문장인지 능력 및 담화 수준의 이야기 이해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어, 청각기능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또한, 숫자와 문장 수준의 작업기억력, 숫자와 단어 수준의 단기기억, 단어 수준의 장기기억 향상에 효과가 있어 인지기능 향상에도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난청 노인뿐만 아니라 인지기능이 손상된 환자에게도 인지기능 저하의 가속화를 막기 위해 청능재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Purpose : Since a relation between hearing loss and cognitive decline is proved, the importance of early and appropriate auditory managements has been emphasized for the older adults. Among them, systematic auditory music training for the hearing-impaired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s suggested to keep their cognitive ability from worsening.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positive effect of music-based auditory training for the older patients with both hearing loss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 A total of twenty older adults who have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mild-to-moderately severe sensorineural hearing loss (SNHL) participated. Half of them was randomly assigned to the auditory training group (ATG), whereas the others were designated as the control group (CG). After completing screening tests, ATG participated in 40-min music training section for 8 weeks (twice per week, a total of 16 sections) while consisting of 10-min for singing a song, 15-min for playing an instrument, and 15-min for music perception games. ATG and CG were compared while being tested at pre-, post-, and follow-up by using a battery of hearing tests (i.e., CVs identification, sentence recognition(quiet, +6dB SNR), sentence memory and sequence, discourse) and several cognitive tests (e.g., MMSE-K, digit span, K-CVLT), and self-reported questionnaire (WHOQOL-BREF). Results : After conducting the 8-week training, ATG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scores of all hearing tests (i.e., CVs, sentence recognition (quiet, +6dB SNR), sentence memory and sequence, discourse) when compared to the scores of CG. ATG also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cognitive tests (MMSE-K, K-CVLT, digit span) with the training.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questionnaire scores. Although the interaction effect (group*time) was not significant in the questionnaire, ATG ha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ost-test scores when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s. Conclusion : The auditory music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in terms of improvement in auditory function as well as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with hearing loss. With systematic auditory training using pleasant music components, patients with age-related hearing loss can expect the use of cognitive functions as well as residual hearing. In addition, this results suggest that aural rehabilitation is necessary to prevent the acceleration of cognitive decline in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as well as the elderly with hearing loss.

      • 문장 유형과 문장수에 따른 문장회상능력

        이유리 한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6351

        Purpose: Deficiencies in temporary processing and information storing abilities that are related to working memory can make it difficult to solve cognitive tasks such as learning, understanding and reasoning. In particular, in individuals with hearing impairment, the working memory ability to process information is degraded due to the lack of auditory information. Additionally, tasks that are related to working memory are included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auditory rehabilitation. Recently, a Repeat and Recall Test (Slugocki et al., 2018) has been developed to measure working memory capabilities along with sentence recognition tests in clinical trials, which assesses the hearing and working memory abilities of hearing-impaired people, provides customized intervention programs, and is used in clinical trial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entence recall performance in normal hearing adults by using Korean Standard-Sentence Lists for Adults (KS-SL-A) (Jang et al., 2008) and Matrix Sentence Test (Kim & Lee, 2018)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linical application of a working memory task to the hearing-impaired individuals. Methods: In order to use the sentence recall test tool to examine working memory ability, three, four, and five sentences we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ntences from the 10 sentences lists provided by the KS-SL-A, where the number of target words were 10, 15, and 20, respectively. The Matrix Sentence Test sentences were divided into two, three, four, and five sentences, and the target words in these sentences were 10, 15, 20, and 25, respectively. The sentence recall test was conducted in a format in which the subject listened to each sentence from the speaker and repeated it, and then recalled the sentence heard after 15 seconds in any order. The correct response rate for each sentence was counted as a number of successful recalls of the target words in percentages. In addition, the KS-SL-A list equivalence and error types were analyzed, and the matrix test results were measured in terms of sequence position effect and error rate of the speech parts.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entence recall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ading span task and the digit span task was compar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KS-SL-A sentence recall test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ntences showed that as the number of sentences increased, th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lower at 88.8~64.5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sentences. As the number of sentences increased from three, to four, and to five sentences, the number of target words increased to 10, 15, and 20, respectively; however, the number of positive responses averaged at 8, 11, 12 for the three, four, and five sentences, respectively. By checking the equivalency of the difficulty level of lis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ists, except for list 1 and list 3 in the three-sentences. The results of the Matrix sentence recall test showed a performance of 73.33±16.90% in two-sentence condition, 49.25±14.94% in the three-sentence condition, 35±13.47% in the four-sentence condition, and 39.89±12.15% in the five-sentence condition. And, as the number of sentences increased from 2 to 4 sentences or more, the performance ability was significantly low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performance by presentation order within the sentences, the last sentence in every number of sentences’ condition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sentences. In both sentence recall tests, the correlation with the digit span task was not significant, but the reading span task, KS-SL-A three-sentences, and Matrix two-sentenc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performance according to sentence types. In both sentence types, the number of sentences increased and the capacity of working memory decreased. Using the three-sentences from the Korean standard sentence test and the two-sentences from the matrix test showed correlation with the reading span task, suggesting that they could be applied clinically to measure working memory. 목적: 정보에 대한 일시적 처리 및 저장과 관련된 작업기억의 결손은 학습, 이해 및 추론 등의 인지 과제를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청각장애인들은 청각정보의 결여로 인해 정보를 처리하는 작업기억 능력이 저하를 보인다고 보고되고있으며, 청각장애인의 작업기억 능력과 언어 능력과의 관련성으로 인해 작업기억 관련 과제가 청능재활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포함되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임상에서 문장인지와 문장회상능력을 함께 측정할 수 있는 Repeat and Recall Test (Slugocki et al., 2018) 문장표가 개발되어 청각장애인의 듣기 능력과 작업기억 능력을 함께 평가하고 그에 따라 대상자 맞춤 중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력이 임상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RRT 기반 문장회상검사의 개발에 선행하여 국내 문장인지검사로 사용되는 한국표준 문장표(Korean Standard-Sentence Lists-Adults) (Jang et al., 2008)와 Matrix 문장검사표(Matrix Sentence Test Lists) (Kim & Lee, 2018)를 문장수에 따라 재구성하여 문장회상능력을 측정하므로 문장 유형과 문장수에 따른 작업기억 수행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청각장애인의 작업기억 과제로서의 임상적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문장수에 따른 문장회상검사 도구로 사용하기 위해 한국표준 문장표의 각 목록에서 10개의 문장 중 4~5어절 문장을 3, 4, 5개의 문장수로 재구성하였으며, 목표 단어는 각각 10, 15, 20개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Matrix 문장검사표는 문장수를 2, 3, 4, 5개로 나누었으며, 목표단어는 각각 10, 15, 20, 25개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문장회상검사 방법은 피검자가 스피커에서 나오는 각 문장을 듣고 따라말하기를 한 후, 15초 뒤에 들은 일련의 문장을 순서에 상관없이 회상하는 형식으로 실시하였으며 각 문장수에 따른 목표단어 중 정반응한 수를 백분율로 점수화하였다. 두 개의 문장표에서 문장수에 따른 문장회상능력을 비교하였으며, 더하여 한국표준 문장표는 문장의 동등성과 오류 유형을 분석하였고, Matrix 검사는 계열위치효과와 품사의 오류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문장회상검사와 다른 언어성 작업기억 과제인 숫자 폭과 읽기 폭 과제와의 상관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한국표준 문장표를 사용하여 문장수(3, 4, 5)를 증가에 시키면서 회상능력을 살펴본 결과, 문장수가 증가될수록 수행력은 88.8~64.58%로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력을 나타내었다. 문장수에 따른 목표 단어 정반응수를 살펴본 결과, 문장수가 3, 4, 5 문장으로 증가할수록 목표단어 수가 10, 15, 20개로 증가하였으나 정반응수가 각각 평균 8, 11, 12개로 4, 5 문장의 경우 유사한 정반응수를 나타내었다. 문장 목록 간 난이도의 동등성을 검증하기 위해 목록 별 수행력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3문장에서 목록1과 목록 3을 제외한 나머지 목록 간 차이는 없었고 모든 문장 목록에서 동일하게 문장수가 증가할수록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문장수에 따른 Matrix 문장검사표를 사용한 회상검사 결과 2문장 조건에서 73.33±16.90%, 3문장 조건에서 49.25±14.94%, 4문장 조건에서 35±13.47%, 5문장 조건에서 39.89±12.15%로 나타났으며, 문장수가 2~4문장 이상까지 증가할수록 수행력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문장 내 제시순서별 수행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문장수에서 마지막 문장이 다른 문장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수행력을 나타내었으며 각 문장 성분별 평균 수행력은 주어, 명사, 형용사, 수사, 동사 순으로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문장회상검사 모두 숫자 폭 과제와의 상관성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읽기 폭 과제와 한국표준 문장표를 사용한 회상검사 3문장, Matrix 문장검사표를 사용한 회상검사 2문장에서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한국표준 문장표와 Matrix 문장검사표를 사용하여 문장회상검사를 실시한 본 연구 결과는 동일한 검사 방식을 적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문장 유형에 따라 작업기억 수행력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문장 유형 모두 문장수의 증가와 함께 작업기억의 용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언어성 작업기억 과제에서 비교적 단순 작업기억 과제인 숫자 폭 검사와의 상관성보다는 저장, 유지, 처리 과정을 모두 요구하는 좀 더 복잡한 읽기 폭 과제와 상관성을 보여 두 문장표를 사용하는 문장회상검사가 복잡한 작업기억을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국표준 문장표에서는 3문장이, Matrix 문장검사표에서는 2문장에서도 읽기 폭 과제와의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적으로 작업기억을 측정하는데 적용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 청각적, 시각적 자극제시 방법과 음절 위치에 따른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음운인식 능력

        최유미 한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635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자극제시 방법과 (청각적, 시각적)과 음절 위치(첫음절, 끝음절)에 따른 음운인식 과제 수행력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방법: 만 4-6세의 말소리장애 아동 16명과 일반아동 16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3음절 의미 단어의 첫음절과 끝음절 확인 과제를 청각적, 시각적 자극으로 각각 제시하였다. 청각적 자극제시 방법은 연구자가 검사어를 말소리로만 제시하였다. 시각적 자극제시 방법은 검사어를 그림으로 제시하고, 아동이 과제에 적절한 그림을 고르도록 요구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인식 수행력이 일반아동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과제를 청각적 자극으로 제시하는 것 보다 시각적 자극으로 제시하였을 때 음운인식 수행력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모두 끝음절 확인 과제 보다 첫음절 확인 과제의 수행력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극제시 방법과 음절 위치 간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음운인식 과제를 청각적 자극으로 제시한다면, 말산출 과정의 모든 단계를 거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과제를 청각적 자극으로 제시한다면, 말산출 과정에서 다른 단계의 취약성으로 인해 음운인식 과제 수행력이 낮게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과제를 시각적 그림자극으로 제시한다면, 청각 처리, 음운 재인, 운동 프로그래밍 등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음운 표상 단계에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음운인식 능력이 자극 제시 방법과 음절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한다. 청각적, 시각적 자극에 따른 과제 수행력을 비교하는 것은 아동이 말산출 과정에서 어느 부분에 취약성을 보이는지 객관적으로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말소리장애 아동 평가 및 중재 시 음운인식 능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phonological awareness task according to stimuli presentation methods (auditory, visual stimuli) and syllable position (first syllable, last syllable) with speech sound disorder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Sixteen speech sound disorder children and sixt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 4-6)participated in the study. Three-syllable words were used to identify the first syllable and the final syllable in each word with auditory and visual stimuli. For the auditory stimuli presentation,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test word only with oral speech. For the visual stimuli presentation, the test words were presented as a picture, and asked each child to choose appropriate pictures for the task.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speech sound disorder children’s performanc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when tasks were presented visually, two group’s performances of phonological awaren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resenting with auditory stimuli. Also, two group’s performances of the first syllable identific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last syllable identification.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imuli presentation method and syllable position. Conclusion: When phonological awareness task are presented by auditory stimuli,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all the steps of the speech production process. Therefore, the phonological awareness performance by auditory stimuli may be low due to the weakness of the other stages in the speech production process. When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are presented using visual picture stimuli, it can be performed directly at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stage without going through the peripheral auditory processing, phonological recognition, and motor programming. This study suggest that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thods of stimulus presentation and syllable position of the tasks. The comparison of performances between visual and auditory stimulus tasks will help identify where children may show weakness and vulnerability in speech production process. Also, whe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speech sound disorder children we have to consideration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Keywords: Speech sound disorder, Phonological awareness, Auditory , Visual picture stimuli, Syllable position

      • (A) study of emotional, age, and gender effects of Cortical Auditory Evoked Potentials(CAEPs) stimulated by vowels /u/, /a/, /i/

        이승완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6351

        청각피질유발전위은 청각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대뇌피질반응으로 각 요소들인 P1, N1, P2, N2의 유무를 통해 중추청각시스템에 청각적 자극이 적절히 인코딩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검사로써 최근에는 여러 가지 임상적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청각피질유발전위는 어음의 변화를 반영하는 외인성과 다양한 대상자 그룹에서의 인지적 요소를 반영한 내인성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 보고되고 있으나 노화와 관련된 연령효과를 조사한 연구는 현재 국외에서도 드물고 국내에는 전무하다. 더 나이가 정확한 정보를 이해하고 인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감정적 요소는 시각적 자극에 따른 여러 사건관련전위)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청각적 자극에 따른 청각피질유발전위연구는 국내외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과 노인 그룹에서 저, 중, 고주파수를 대표하는 모음인 /u/, /a/, /i/를 통해 해당 모음에 감정이 없는 자극과 화남, 행복함, 슬픔 등 세 가지 감정을 이입한 자극을 통해 나타나는 청각피질유발전위반응에 대한 내인성과 외인성의 특성을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연령효과를 통한 중추청각시스템의 노화와 관련된 청각피질유발전위 요소들의 반응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대 건청 성인 20명(남 : 10, 여 : 10)과 65세 이상 노인 20명(남 : 10, 여 :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극음은 Ling 6 sounds의 저, 중, 고주파수를 대표하는 모음, /우/, /아/, /이/에 감정이 없는 상황과 화남, 행복함, 슬픔 등 세 가지 감정을 이입한 상황의 총 12개 자극음을 사용하였다. 청각피질유발전위를 측정하기 위해 두 개의 채널을 사용하였고 채널 A에서는 청각피질유발전위를, 채널 B에서는 눈의 움직임과 눈 깜박임을 모니터링하였다. 검사 대역필터는 1에서 30 Hz로 설정하였고, 채널 A와 B에 amplification gain은 50,000과 10,000으로 각각 설정하였다. 자극음의 강도는 70 dB nHL에서 실시하였으며 자극조건은 rarefaction polarity를 사용하여 rate는 1.1 Hz의 rate를 이용하여 200개의 자극음을 반복적으로 제시하였다. 피검자는 청각피질유발전위를 측정하는 동안 조용한 방에서 침대에서 벽에 기댄 자세로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감정, 모음, 성별, 연령에 따른 효과를 CAEP의 P1, N1, P2, N2 요소별 잠복기와 진폭으로 분석하였다. 감정에 따른 청각피질유발전위 잠복기는 N, A, H, S에서 P1은 53.98, 53.85, 54.60, 58.37 ms였고 N1은105.87, 101.39, 99.73, 108.90 ms, P2는 166.86, 158.89, 157.98, 170.44 ms, N2는 243.89, 239.51, 227.54, 242.30 ms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p<.05), 진폭은 P1이 1.18, 1.27, 1.36, 1.13 μV, N2가 -1.53, -1.67, -1.68, - 1.35 μV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대부분의 요소들은 행복함과 화남의 감정에서 잠복기가 감소하였고 진폭이 증가하였다. 모음에 따른 청각피질유발전위 잠복기는 /우/, /아/, /이에서 102.27, 106.13, 103.51 ms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성별과 연령은 P2 잠복기와 N2 진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성인과 노인의 P2 잠복기는 159.14와167.95 ms였고 남성과 여성은 167.92와 159.12 ms였으며 N2 진폭은 성인과 노인에서 - 2.31과 - 0.80 μV였고 남성과 여성에서는 - 1.26과 - 1.85 μV였다., 노인 그룹은 성인 그룹보다 지연된 P2 잠복기와 낮은 N2 진폭을 보였고 남성은 여성보다 지연된 P2 잠복기와 낮은 N2 진폭을 보였다. 본 연구는 CAEP의 각 요소들의 모음, 감정, 나이, 성별효과를 분석하여, 모음의 음향적 특성이 인코딩하는 외인성 측면보다 감정과 같은 인지를 반영하는 내인성의 측면에 의해 더욱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간단한 변수에 따른 특정한 CAEP 요소를 조사하였으나 본 연구는 여러 가지 변수를 이용하여 청각피질유발전위의 두 가지 카테고리인 외인성과 내인성의 측면을 분석하여 청각피질유발전위 요소에 따른 종합적 분석을 시행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연령 및 성별효과를 보인 P2 잠복기와 N2 진폭은 CAEP의 연령효과를 조사한 이전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연령에 따른 CAEP의 변화는 노인에서 신경동조와 신경활성이 감소되고 노화로 인한 불응기의 기간이 길어져 관련된 신경 발생원에 신경전달의 효율성이 감소되는 현상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성별에 따른 CAEP의 변화는 본 연구의 활성전극의 위치가 Cz인 것을 고려할 시, 여성이 언어적 처리에 있어 양측 반구간 활성이 동일하게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청각피질유발전위의 각 요소들이 가진 내인성과 외인성의 요소를 조사하여 모든 요소들이 감정, 성별, 연령과 같은 내인적 요소에 잠복기와 진폭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차후 다채널을 이용한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결과를 더 확인하고 증명하기를 바란다. 핵심어 : 청각피질유발전위, 모음, 감정, 연령, 성별 The Cortical Auditory Evoked Potentials(CAEPs) are the responses that could confirm whether auditory stimuli is adequately encoded in the central auditory system through the presence components, P1, N1, P2, and N2. Recently, the possible clinical application was emerged. Although, there were a few reports about the exogenous characteristic depending on the difference of speech stimuli and endogenous characteristic depending on cognitive factors, it was not easy to find studies reporting age effects of CAEP around the world. Especially none were found domestically. Also, the emotional factor which was known to be important to understand and recognize the precise information had been performed in several ERP studies using the visual stimuli. But it has been scarcely investigated about the emotional effect using auditory stimuli. Therefor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ogenous and endogenous aspects of CAEPs by comparing the younger and older adults according to vowels, /u/, /a/, and /i/ representing low, middle, and high frequencies with emotional statuses, neutral(N), anger(A), happiness(H), and sadness(S). Specifically,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ging effect of the central auditory system using CAEP components. 20 younger adults and 20 older adults with normal hearing participated 10 females and 10 males per each adult group were composed. The stimuli were three vowels /u/, /a/, and /i/ out of Ling 6 sounds representing low, middle and high frequencies of vowels with emotional salience of N, A, H, and S. Total of 12 stimuli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For recording CAEPs, bipolar channels were applied with channel A for recording CAEPs and channel B for monitoring of eye blinks. The test settings were 200 sweeps with a rate of 1.1, insert delay at 0.8, gain at 50K for channel A and 10K for channel B, alternative polarity, and bandpass filter at 1 to 30 Hz. The intensity of stimuli was 70 dB. The experimental process was performed in a quiet room and the participants were comfortably seated in beds for recording CAEPs. Vowel, emotion, age, and gender effects were analyzed with latency and amplitude of CAEP components, P1, N1, P2, and N2. The latencies of N, A, H, and S were 53.98, 53.85, 54.60, and 58.37 ms for P1, 105.87, 101.39, 99.73, and 108.90 ms for N1, 66.86, 158.89, 157.98, and 170.44 ms for P2, and 243.89, 239.51, 227.54, and 242.30 ms for N2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Also P1 and N2 amplitudes, N, A, H, and S were 1.18, 1.27, 1.36, and 1.13 μV for P1, and -1.53, -1.67, -1.68, and - 1.35 μV for N2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N1 latencies of /u/, /a/, and /i/ were 102.27, 106.13, and 103.51 ms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P2 latencies of younger and older adults were 159.14 and 167.95 ms, male and female were 167.92 and 159.12 ms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N2 amplitudes of younger and older were 2.31 and - 0.80 μV, male and female were - 1.26 and - 1.85 μV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t. Older adults showed longer P2 latency and weaker N2 amplitude compared to younger adults significantly. Also, the males showed longer P2 latency and weaker N2 amplitude compare to females significantl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vowel, emotion, age, and gender for CAEP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been investigated specific CAEPs according to the simple variable, but the present study analyzed compositive components of CAEP depending on several variables which could distinct two characteristics, exogenous and endogenous aspects, of CAEP. We could confirm that CAEPs were more affected by endogenous aspects reflected the cognition such as emotion rather than exogenous aspects encoding acoustic features of vowel. In addition, P2 latency and N2 amplitude with age and gender effects we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The age-related differences may reflect decreased activity in synchronous firing and decreased efficiency in the neural generator by aging. The gender effect might be interpreted that females utilize both hemispheres more equally during linguistic processing than males. Conclusively, all the latency and amplitude of CAEP components were differed by endogenous factors such as emotion, gender, and age. However, the CAEP investigations using multichannel should be performed in the future to identify and pr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 보청기 센터의 상담 템플릿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변유선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6351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ounseling powerpoint template that can be selected and customized according to the targeted counseling populations of adults and the elderly, by which it can be utilized for effective information counseling for audiologists working in hearing aid centers in Korea. A counseling template consisting of 70 slides and 4 videos was developed, comprising 29 items in 5 areas (auditory systems, hearing loss, hearing evaluation, hearing aids, hearing rehabilitation, and information related to hearing loss). Ten audiologists working at hearing aid centers consulted 47 adults and elderly with hearing loss (3 to 5 each) using the developed consultation template. The template was evaluated by audiologists and hearing-impaired people consulted by an audiologist. In addition, the hearing impaired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counseling to see the effect of using the counseling template. Finally, a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6 audiologists on the counseling template. First, as a result of the counseling template evaluation by audiologists, the average score was 4.37ᄆ0.17 points, with content (adequacy of content, appropriateness of quantity) scoring 4.4ᄆ0.49 points,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delivery (understanding of counseling, memorization of counseling content) scoring 4.1ᄆ0.70 points, design (tool image and color, tool design configuration) scoring 4.4ᄆ0.49 points, convenience (ease of tool operation, user-customized use convenience) scoring 4.3ᄆ0.64 points, and interest and motivation (customer interest and concentration level, customer of motivation) scoring 4.4ᄆ0.80 poi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actors or items, so audiologists evaluated all factors highly. Second, the evaluation of the counseling template for the hearing impaired showed a score for content of 4.40ᄆ0.54 points, information delivery usefulness of 4.28ᄆ0.62 points, design of 4.04ᄆ0.83 points, interest and motivation of 4.17ᄆ0.64 points, and expected effects of 4.21ᄆ0.45 points. The mean and score range was 4.22ᄆ0.13 points (4.04 to 4.47 points), indicating a positive evaluation of 4 points or higher for all factor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ontent and design factors, raising the need for future design improvement efforts. The average score of the six items of the expected effect factor was 4.21ᄆ0.45 points, with 'understanding of hearing aid management' at 4.47ᄆ0.55 points,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wearing hearing aids' at 4.36ᄆ0.57 points, and 'understanding of hearing impairment' degree' 4.30ᄆ0.59 points, 'understanding of the degree of hearing loss and communication difficulties' 4.19ᄆ0.54 points,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strategies (methods)' 4.04ᄆ0.75 points, 'understanding of ideal conversation style' degree' 3.91 ᄆ 0.75 points, from the highest score to hearing aid, hearing impairment, and rehabilitation-related items, in ord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provement in the efficiency of rehabilitation-related information transmission should be considere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unseling effect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ounseling template for the hearing impaired, the overall average score in the evaluation before counseling was 26.68%, but the average score after counseling improved to 77.21%, indicating that the effect of using the counseling template was significant.   Fourth, the semantic units for each category of the counseling templat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audiologists were as follows. Differentiation from existing tools (systematic counseling process, visual information provision, and auditory rehabilitation area provision), content (real-life picture, rechargeable battery added, central auditory nervous system image included, audiogram fill-in method complemented, table of contents added, real-life assistive devices and functions added, and follow-up management importance, etc.), design (need to adjust font design and color, overcome difficulties in animation playback), induce interest and motivation (improvement in concentration, improvement in understanding, recognition of professional services, high satisfaction with communication style and partner training), convenience (convenience of structured order, convenient for customer-customized use), and satisfaction (possible explanation without omission in systematic order, partial excerpt, including rehabilitation part, suitable for initial counseling, etc.). In the upgrade stage of counseling templates, these semantic units will need to be actively ref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evaluation of audiologists and hearing-impaired people on the customized counseling template of the hearing aid center received positive evaluations evenly in all areas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assessment before and after counseling for the hearing impaired, proving its clinical usefulness. However, efforts to improve clinical efficiency by reflecting on various opinions presen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should be continued.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보청기센터에 종사하는 청각전문가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정보 상담을 위해 성인과 노인의 대상에 따라 상담 내용을 선택하여 제공 가능하며, 템플릿에 필요한 내용을 추가 또는 보완할 수 있는 PPT 상담 템플릿을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상담 템플릿(총 5개 영역: 청각기관청각장애, 청력평가, 보청기, 청각재활, 청각장애 관련 정보)을 개발하고, 개발된 상담 템플릿을 활용하여 보청기 센터에 근무하는 청각전문가 10명이 난청 성인과 노인 총 47명(각각 3~5명)을 대상으로 상담을 진행하였다. 상담 템플릿 활용 효과를 보기 위해 청각전문가와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상담 전·후 설문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6명의 청각전문가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청각전문가의 상담 템플릿 평가 결과 평균 4.37±0.17점, 내용(내용의 적절성, 분량의 적절성) 4.4±0.49점, 정보전달의 유용성(상담 이해도, 상담 내용 기억) 4.1±0.70점으로 나타났다. 디자인(도구의 이미지 및 색상, 도구의 디자인 구성) 4.4±0.49점, 편리성(도구 조작의 용이성, 고객 맞춤형 사용 편리성) 4.3±0.64점, 흥미 및 동기(고객의 흥미 및 집중 정도, 고객의 동기유발)은 4.4±0.80점으로 나타났다. 요인별, 항목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청각전문가들은 모든 요인에서 동일하게 높은 평가를 보였다. 요인이나 항목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청각전문가는 모든 요인을 동등하게 높게 평가했다. 청각전문가 심층 인터뷰 결과, 본 상담 템플릿의 각 범주별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둘째, 청각장애인을 위한 상담 템플릿을 평가한 결과 내용 4.40±0.54점, 정보전달유용성 4.28±0.62점, 디자인 4.04±0.83점, 흥미 및 동기 4.17±0.64점, 기대효과 4.21±0.45점으로 나타났다. 평균과 점수 범위는 4.22±0.13점(4.04~4.47점)으로 모든 요인에서 4점 이상의 긍정적인 평가를 나타냈다. 내용요소와 디자인 요소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어 향후 디자인 개선 노력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기대효과 요인의 6개 항목 평균점수 평균은 4.21±0.45점으로, ‘보청기 관리에 대한 이해도’ 4.47±0.55점으로 ‘보청기 착용성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도’ 4.30±0.59점, ‘청각장애에 대한 이해도’ 4.30±0.59점, ‘청력손실 정도와 의사소통 어려움에 대한 이해도’ 4.19±0.54점, ‘의사소통 전략(방법)에 대한 이해도’ 4.04±0.75점, ‘이상적인 대화 스타일에 대한 이해도’ 3.91±0.75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부터 보청기, 청각장애, 재활관련 항목 순으로 나타나 재활관련 정보 제공의 향상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각장애인을 위한 상담 템플릿 사용에 따른 상담 효과를 살펴본 결과, 상담 전 평가에서 전체 평균 점수는 26.68%였으나, 상담 후 평균 점수는 77.21%로 향상되어 상담 템플릿 사용의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각전문가 심층면담 결과에서 도출된 상담주제의 범주별 의미단위는 다음과 같다. 기존 도구와의 차별화 범주(체계적인 상담 절차, 시각적인 정보 제공, 의사소통 스타일, 의사소통전략훈련), 내용 범주(상담 관련 정보 구성, 시간 제약, 보청기 소개, 청력도 기입 방식 변경, 상담 템플릿 목차 추가), 디자인 범주(실물 사진 추가, 폰트 크기와 색상, 애니메이션 조작 숙련도, 애니메이션 제거), 흥미 및 동기 범주(보청기 관리, 청능재활. 보호자 교육, 시간할애, 집중도 향상, 보청기와 청각 정보에 대한 높은 이해도, 알고 있던 정보의 확인), 편의성 범주(구조화된 순서의 편리성, 고객 맞춤형 사용에 편리성), 만족도 범주(양이착용, 청능재활, 초기 상담용 상담 도구, 상담 템플릿의 상용화, 축약본 제공, 어플화)의 6가지 범주로 질문하였으며, 각 범주별 의미단위는 다음과 같았다. 상담 템플릿의 수정 및 보완 단계에서는 이러한 의미단위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론: 본 연구 결과 보청기 센터의 맞춤형 상담 템플릿에 대한 청각전문가와 청각장애인의 평가는 모든 영역에서 4점 이상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난청인의 상담 전·후 평가에서도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받아 임상적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다만, 심층 인터뷰를 통해 제시된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임상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담 템플릿의 수정 및 보완과 상담 도구 개발의 지속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제어: 상담, 상담도구, 보청기센터, 상담 템플릿

      • 한국어 아동 청각구화수행도 부모평가(PEACH-K)의 신뢰도 및 타당도

        이윤선 한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6351

        목적: 보청기 및 인공와우 등 보장구이 기술적인 발전과 청력손실의 조기 발견과 중재와 관련된 제도적 도입 등으로 조기에 청각장애 아동의 청각 행동 관찰을 기반으로하는 부모용 설문지 평가의 중요성은 더욱 대두되고 있는 추세이다. 청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개발된 설문지 중 청각구화수행도 부모평가(Parent’s Evaluation Aural/Oral Performance of Children, PEACH)는 조용한 상황(In Quiet)과 소음 상황(In Noise)에서의 청각/구어 의사소통, 청각 기술, 사회성과 관련된 청각장애 아동의 일상생활 청각 구화 수행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로 그 신뢰성과 타당성이 입증되었으며, 그 유용성으로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임상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PEACH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건청 아동과 인공와우 착용 아동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건청 아동의 청각구화 수행력의 발달과 이를 기준으로 듣기연령에 따른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발달 특성을 확인하므로 임상적 활용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방법: PEACH 설문지 원문의 의도를 최대한 반영하여 한국어로 번역하였고, 이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한국어 아동 청각구화수행도 부모평가(Parent’s Evaluation Aural/Oral Performance of Children in Korean; PEACH-K)의 번역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0~4세의 건청 아동 120명과 0~7세의 인공와우 착용 아동 42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PEACH-K 설문지 검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PEACH-K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항의 내적 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한국어 버전 일상생활 청각행동 설문지(Korean Version of the Auditory Behaviour in Everyday Life; ABEL-K)와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각 그룹별로 연령대(생활연령, 듣기연령), 평가 영역(조용한 상황, 소음 상황), 문항 간 점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모수검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건청 아동의 연령에 따른 청각구화 수행력의 로지스틱 회귀곡선을 산출하고 ±2 SD를 기준으로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듣기연령에 따른 발달 특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PEACH-K는 문항의 내적일치도(α = 0.950)와 검사-재검사 상관성(rs = 0.920)으로 신뢰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ABEL-K의 전체 점수와도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rs = 0.731). PEACH-K는 건청 아동 그룹에서 연령에 따른 점수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0세부터 2세에서 연령에 따른 청각구화 수행력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반면, 인공와우 착용 아동 그룹에서는 듣기연령 그룹에 따라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 점수 간에는 두 그룹 모두 조용한 상황이 소음 상황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PEACH 점수와 연령과의 상관성을 확인한 결과, 건청 아동의 생활연령(rs = 0.451)과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듣기연령(rs = 0.348)에서 모두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다. 건청 아동의 개별 수행도를 확인한 결과, 31개월에 총 점수의 85%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경우 건청 아동의 로지스틱 회귀곡선을 기준으로 개별 수행도를 확인한 결과, 14.2%가 +2 SD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61.9%가 평균과 2 SD이내의 점수를 나타내었고, 23.8%가 –2 SD 보다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PEACH-K 검사가 아동의 청각 수행 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도구로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EACH-K는 아동의 청각 구화 및 청각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듣기 능력에 대해 평가하는 문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ABEL 설문지와의 상관성을 통해 사회성 및 대화 기술 능력의 평가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PEACH-K는 임상에서 사용될 경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설문지 검사 도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초등 저학년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의 이야기 회상 산출 능력 : 이야기구성, 결속표지, 구문표현

        권유진 翰林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36351

        많은 연구자들은 아동의 언어능력을 평가할 때 특정어휘나 문장의 패턴을 이해하고 산출하는 것 뿐 만 아니라 담화상황에서의 평가를 강조하면서 이야기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Strong, 1998, 재인용).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의 경우 단어나 일정 수준 이상의 구의 사용이 가능하여 일상적인 대화를 주고받는 것에 큰 어려움이 없다. 또한 아스퍼거증후군을 진단함에 있어서도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려움이 있고 자폐증과 비슷한 행동 특성을 보이나 언어발달 상에서는 주목할만한 지체가 보이지 않아야 하는 것이 진단의 조건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임상에서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은 언어 사용에 이상하고 부적절한 모습을 보이며 많은 학자들에의해서도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의 언어 지체 가능성이 언급되어왔다(Wing,1981; Gillberg, 1989; Tantam, 1991).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은 타인이 어떤 행동을 하고자 할 때또는 어떤 특정한 상황에서 그의 마음 상태가 어떠할 지 추론하는 능력이 부족하고, 단편적이고 지엽적인 정보의 처리 능력은 우수한 편이나 부분적인 정보를 전체로 모아서 논리적으로 통합하는 능력이 부족한데, 이러한 문제들이 결국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의 자연스러운 언어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들이 제기되고 있다(Frith & Happe, 1994; Teunisse, 2001). 따라서 청자의 입장을 고려하면서, 하나의 주제에 대해 그 주제를 유지하면서 전체를 응집력 있게 표현해야하고 또한 언어적으로도 적절한 구문으로 길게 표현하는것이 중요한 이야기 과제에서는 어떠한 능력을 보이는지 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야기 다시말하기 (story-retelling) 과제를 통하여 아스퍼거증후군아동과 다른 두 일반 아동 집단의 수행력을 살펴보고 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일반 아동 집단은 언어이해력이 일치하는 일반 아동들이고 두 번째일반 아동 집단은 본 연구의 이야기 회상율이 일치하는 일반 아동들이었다. 이 두 집단을 통해 언어이해력이 유사한 경우와 이야기를 회상해 내는 능력이 유사한 경우, 아스퍼거증후군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문법 표현 능력, 결속표지 사용능력, 종속절 표현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 1학년에서 3학년까지의 저학년 아스퍼거증후군 아동 16명, 언어 이해력이 유사하고 학년이 일치하는 일반아동 16명, 본 과제의 이야기 회상율이 일치하는 일반아동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글자 없는 그림책 Frog,where are you? (Mayer, 1969)의 그림 장면과 그 내용을 음성으로 녹음한 컴퓨터파일을 아동에게 제시하고 잠시 후 그림 장면만 제시하면서 아동이 다시 말하도록 유도하였다. 그림 장면에 해당하는 내용은 Stein & Glenn(1979)의 이야기 문법 범주를 일부 수정하여 '배경, 계기사건, 시도, 결과, 내적반응' 의 5가지 범주로구성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이야기 문법 표현 능력, 결속표지 사용능력, 구문 표현능력의 3가지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이야기 문법표현에서는 전체 회상율과 이야기 문법 범주별 회상율, 완전한 일화 수, 들려준 이야기 문법과 관련 없는 부적절한 C-unit 수를 살펴보았다. 결속표지 사용능력에서는 결속표지 사용 정확율과 결속표지 하위 유형별로 적절한 사용수와 부적절한 사용수를 살펴보았다. 또한 종속절 표현 능력에서는 전체 C-unit의 수, 전체 종속절의 수, 종속절 하위 유형별 사용수, C-unit당 평균 절의 수를 살펴보았다. 통계처리는 SPSS 12.0을 이용하여이원분산분석, 일원분산분석, scheffe 사후 검정,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언어병리 전공 대학원생의 이야기 전사와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발화 전사 신뢰도는 전사자간 음절 일치도가 96%로 나타났고 분석자간 분석 신뢰도는 모든 변수에서 89%이상 일치하였다. 결론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은 언어이해 일치아동 비해 전체 회상율, 이야기 문법 별 회상율과 완전한 일화 수의 사용이 적었고 부적절한 C-unit 수의 사용이 많았다. 이야기 회상율 일치 아동과 비교했을 때는 이야기 문법 하위 범주에서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완전한 일화 수와 부적절한 C-unit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이 언어 이해 능력이 유사한 일반아동보다 이야기 문법 표현능력이 부족함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야기 회상율이 일치하는 아동들과의 비교에서는 이야기 문법 표현력은 유사하였으나, 완전한 일화 수의 구성 능력이 낮고 부적절한 C-unit 수 사용이 않아서 이야기를 부분적으로 회상해 낼수는 있으나 전체적인 이야기 구성능력이 부족했다. 둘째,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은 언어 이해 일치 아동보다는 결속표지 정확율이 낮았는데 그것은 적절한 사용수가 적으면서 부적절한 사용수는 많았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회상율일치 아동보다도 결속표지 정확율이 낮았는데 이는 전체 사용 수에서는 유사했지만, 부적절한 사용 수가 많았기 때문이었다. 즉, 아스퍼거증후군아동은 회상율이 일치하는 아동과 비교했을 때 결속표지의 사용 빈도는 유사한 편이지만, 이를 부적절하게 사용하는경우가 많았다는 것이다. 부적절한 결속표지의 사용은 전체적인 이야기의 흐름을 깨고 이야기를 응집력 있게 구성하는데 방해가 된다. 이처럼, 완전한 일화수 구성의 낮은 능력,부적절한 C-unit의 높은 빈도와 더불어 낮은결속표지 사용 능력은 이야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어려워하는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의 특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은 두 일반아동 집단과 이야기 전체 길이는 유사하나 종속절은 표현해야하는 복잡한 구문의 표현능력이 낮았다. 즉,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은 구문 이해력이 일반아동과 유사하더라도 종속절 표현 능력은 부족하고 비슷한 수준의 이야기 회상력을 가진 일반아동에 비해서도 구문을 단순하게 사용함을 나타냈다.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은 일반적으로 언어발달 과정에서 구문 표현능력이 지체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속절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구문 표현 능력이 일반아동에비해 부족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초등저학년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의 경우 긴 이야기를발화할 때 종속절의 사용과 같은 구문 표현 능력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Losh & Capps (2003)은 복잡한 구문을 사용하는 빈도와 구문의 다양한 정도를 이야기 과제와 담화 표현에서 살펴본 결과 이야기 과제에서는 연령과 지능을 통제한 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담화 표현에서는 두 가지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고 했다. 본 연구와 차이가 나는 것은 선행 연구의 대상자가 영어권 화자였기 때문에 언어에 따른차이일 수도 있으나 본 연구와 연구 대상의 연령과 분석 변수에서 다소 차이가 있었으므로 이 부분을 통제한 연구를 통해서 그 원인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은 일상적 언어표현이 가능하여 일반적으로 심각한 언어문제가 발견되지 않고 공식검사에서도 정상범주로 나타날 수 있으나 이야기와 같은 담화 과제에서는 이야기 문법 표현 능력, 결속표지 사용 능력, 구문표현 능력이 또래아동에 비해 낮음을 밝혔다. 따라서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의 언어능력을 알아보고자 할 때에는 언어 공식검사와 더불어 이야기 과제를 통해 통합적인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다. 또한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이 이야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어려워하고 결속표지를 사용하여 이야기를 표현하는 것이 부족하므로 교육 시에 이야기의 전체 맥락을 고려하면서 이해하고 표현할 수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이야기 발화시결속표지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며 종속절을 사용한 복잡한 구문 표현 능력의 향상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종단연구를 통한 언어이전 시기의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이 이후 24 개월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오승아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6351

        영유아는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사회적인 의사소통자로 성장해 나간다. 언어이전 시기의 의도가 담긴 의사소통은 언어의 습득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상대방에게 자신의 의도와 목적을 전달하기 위해서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이 사용된다(Hoff, 2017).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은 언어발달의 토대가 되며 이후 언어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준비과정으로 여겨져 다양한 연구에서 신뢰할 수 있는 변인으로 사용되고 있다(Watt, Wetherby, & Shumway, 2006). 언어이전 시기의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과 초기 언어능력 간의 관계에 대한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왔으며 다양한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왔다.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과 언어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본 선행연구는 주로 장애 영유아를 대상으로 살펴보거나, 어휘 능력발달에 대한 관계를 살펴보거나, 한 시점에서 의사소통 행동이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이처럼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과 언어능력의 관계에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았으나 일반 영유아를 대상으로 언어이전 시기의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이 이후 전반적인 언어능력에 가지는 설명력에 대해 종단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형적으로 발달하는 우리나라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언어이전 시기의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이 이후 언어능력과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한국판 영유아 의사소통 및 상징행동 평가척도(K CSBS-DP) 표준화 연구에 참여한 12~18개월의 영유아 중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수단을 주로 사용하며, 이후 24개월의 언어능력을 추적하는 연구에 동의한 영유아 42명이다. 1차 자료는 K CSBS-DP 표준화 연구에서 얻어진 행동샘플을 이용하였고, 2차 자료는 SELSI와 K M-B CDI를 사용하여 언어점수를 측정하였다. 1차 자료에서는 4가지의 유도절차와 자유놀이상황에서 얻어진 행동표본을 통하여 전체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수, 의사소통 기능범주별 빈도를 측정하였다. 2차 자료에서는 24개월의 언어점수인 수용 언어연령, 표현 언어연령, 표현 어휘 수를 측정하였다. 자료의 통계 분석은 Pearson 상관 분석과 단순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이전 시기의 전체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가 24개월의 수용언어연령, 표현언어연령, 표현 어휘 수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수는 언어능력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한 상관을 보인 전체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를 단순 회귀분석에 투입시켰을 때, 전체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빈도가 수용언어연령을 13.3%, 표현언어연령을 13.8%, 표현 어휘 수를 9.3%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을 많이 사용하는 영유아일수록 이후 긍정적인 언어발달을 보인다고 예측해 볼 수 있다. 둘째, 언어이전 시기의 의사소통 행동 기능범주에서 동시주의 빈도가 24개월의 수용언어연령, 표현언어연령, 표현 어휘 수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행동통제와 사회적 상호작용은 언어능력과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동시주의 빈도를 단순 회귀분석에 투입시켰을 때, 동시주의의 빈도가 수용언어연령을 18.9%, 표현언어연령을 14.7%, 표현 어휘 수를 22.8%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의사소통 기능범주인 행동통제와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보다 동시주의 기능이 이후 언어발달과 밀접한 관련을 보이며 나아가 동시주의 기능의 빈도는 언어발달을 평가할 때 매우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는 요인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언어이전 시기의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은 이후 24개월의 언어능력과 깊은 관련을 보이며 이후의 언어능력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을 통하여 언어발달과정을 살펴볼 수 있으며 이후 언어발달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이들을 조기에 선별하고 언어능력을 촉진해주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임상적 의의를 갖는다. 나아가 언어의 자극 뿐 아니라 다양한 상호작용 환경속에서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을 확장 시켜주는 것은 이후 언어발달의 긍정적인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임을 시사하고자 하였다. Backgroud: Infants and toddlers begin to develop into social agents as they begin to use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 The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s in the prelinguistic stage serve to facilitate language learning and fulfill a variety of communication functions in order to communicate one's intention and purpose to others. (Hoff, 2017).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 is related to later language development, so it can be variable and predictive of future language and communication ability (Watt, Wetherby, & Shumway, 2006).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s during the prelinguistic stage and early language development has been consistently emphasized and examined in multiple studies. Prior studies of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 and language abilities have focused primarily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amined at vocabulary capabilities, or focused on one particular point in language development. As such, many studies have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al communication behavior and later language ability. However, for typically developing Korean infants, longitudinal studies into the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s during the prelinguistic stage in relation to general language ability are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ngitudin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 at prelinguistic stage and later language development at 24 months of ag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 infants who participated in K CSBS-DP between 12 and 18 months old, primarily used non-verbal communication means, and whose parents agreed to participate in a study that tracks their language ability over the following 24 months. The primary data included behavioral samples obtained from K CSBS-DP standardized studies. For the secondary data, language scores were obtained using SELSI and K-M-B CDI. In the primary data, the total frequency of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 the type number of intentional communication behaviors, and the frequency of categories of communicative functions(behavior regulatory, social interactional, joint attentional functions) were measured by the four procedures and free play context obtained in the behavioral samples. The secondary data measured the age of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the age of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number of expressive words at 24 month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vi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frequency of intentional communication behaviors in the prelinguistic stage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RLA, ELA, and EV at 24 months. However, the type number of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s was found to have no correlation with language skills. When the total frequency of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 of significant correlation was put into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total frequency of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 explained 13.3% of RLA, 13.8% of ELA, and 9.3% of EV.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ildren who use a lot of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s later show positive language development. Secondly, the frequency of joint attentional function in the prelinguistic stage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RLA, ELA, and EV at 24 months. However, frequency of behavior regulatory function and frequency of social interactional function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with language ability. When the joint attentional function was put into simple regression analysis, frequency of joint attentional function predicted 18.9% of RLA, 14.7% of ELA, and 22.8% of EV. These results show that of the functional categories of communicative behavior, joint attentional function i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future language development than behavior regulatory and social interactional functions.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joint attentional function is a factor that can be considered very important when assessing language developme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s in the prelinguistic stage are closely related to language and were predictive factors of language ability at 24 months. Therefore, the language development process can be viewed through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s, which has a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it can facilitate early identification of children who may have difficulty developing language later on. Furthermore, extending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s in the context of different interaction environments, in addition to language stimulation, can predict positive outcomes in language development in the future. Keywords: Toddler,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 Joint attentional functions, Language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