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물리치료 전공 대학생의 직업 인식에 관한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고은아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35

        최근 노인의 재활 분야에 대한 사회복지 제도가 확대되면서 물리치료사의 수요 증가 및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정 직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직업 인식의 형성이 중요하다. 특히 향후 물리치료사로서 활동할 물리치료학과 대학생이 인식하는 직업적 이미지를 파악하는 것은 직업이 가진 서비스 질, 소명감, 업무수행능력, 등 직업의 발전을 위해서 정립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인간의 주관적 인식유형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Q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문헌고찰과 개별면담을 통해 얻은 152개의 Q 모집단에서 최종 33개의 Q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40명의 P 표본에게 Q 분류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총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유형 1은 ‘인정받는 전문가’형으로 물리치료사란 직업은 사회적 인지도가 좋으며, 환자를 치료하기에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신뢰를 받는 전문가라고 인식하는 학생들이라고 할 수 있다. 유형 2는 ‘고객 친화적 전문가’형으로 물리치료사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다는 점에 동의하며, 고객과의 소통, 유대감 같은 상호 간 신뢰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물리치료사 고유의 능력을 포함하는 유형이다. 유형 3은 ‘현실적인 업무수행자’형으로 이들은 ‘취업’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물리치료사란 봉사와 헌신이 아닌 치료라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이라는 인식을 가진 유형이다. 유형 4는 ‘끊임없이 연구하는 치료사’형으로 자기개발의 중요성에 대해 매우 강한 긍정을 보이며, 치료를 한다는 것에 있어 열정과 긍지가 매우 강하다. 본 연구는 물리치료학과를 전공으로 한 학생들의 물리치료사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을 알아보고, 물리치료사 양성과정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물리치료학과 대학생의 진로지도에 활용함은 물론 물리치료사의 직업 발전에 기여할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물리치료학과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임상실습 만족도가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현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35

        본 연구는 전국에 위치한 임상실습을 모두 마친 국내 물리치료(학)과 3, 4학년 대학생 176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진로태도 성숙도 총 111문항으로 구성된 구글 설문지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방법은 일반적 특성,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진로태도 성숙도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의 차이 검정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으로 분석 후 사후검증(Scheffe)을 하였고,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및 진로태도 성숙도 연구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고,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적, 물리치료(학)과 선택 동기,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 물리치료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 원하는 취업분야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는 물리치료(학)과 선택 동기,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 물리치료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도는 학업성적, 물리치료(학)과 선택 동기,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 물리치료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물리치료(학)과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 성숙도 그리고 임상실습 만족도와 진로태도 성숙도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물리치료(학)과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하위요인 모두 진로태도 성숙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임상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실습교과 만족도는 진로태도 성숙도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진로태도 성숙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대학교에서는 학생 개인의 진로 방향에 대한 자신감, 확고한 믿음, 적극적인 진로 탐색 등 진로태도 성숙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와 실습기관에서는 이론과 실습의 괴리를 줄이기 위해 임상실습 지침서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적용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나아가 학생들이 의료전문가로서 전문직관, 진로에 대한 확신, 직업 자아성찰을 할 수 있도록 실무 위주의 임상실습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물리치료 전문성을 강화하여 직업의 인식을 향상시킨다면 진로태도 성숙도가 향상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conducted a Google online survey consisting of a total of 111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maturity of career attitude, targeting 176 3rd and 4th year college students in physical therapy departments in Korea who completed all clinical practice located nationwide. As for the analysis metho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or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gener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maturity of career attitude. The difference test between self-efficac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an independent t-test and a one-way batch analysis (ANOVA), and post-test was used afte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research variables. The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cademic performance, physical therapy department selection motiv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physical therapy major satisfaction, and desired employment field. The satisfaction level of clinical practi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otivation for choosing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satisfaction with the major of physical therapy. Career attitude matur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cademic performance, physical therapy department selection motiv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physical therapy major satisfaction. Second,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career attitude maturit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physical therapy college students. Third, both self-efficacy and sub-factors of physical therapy college students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satisfaction of the practical course, which is a sub-factor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order to improve self-efficacy that can affect career attitude maturit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universities need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to enhance career attitude maturity, such as confidence in individual career directions, firm belief, and active career search. In addition, schools and practice institutions should try to actively apply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Furthermore, it is believed that career attitude maturity will be improved by strengthening physical therapy expertise by applying practical clinical practice programs so that students can have professional intuition, confidence in their careers, and self-reflection as medical experts.

      • 물리치료사의 근무환경과 사회심리적 요인이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

        이민수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치료사의 근무환경(직장유형, 근무영역)과 사회심리적 요인(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이 물리치료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물리치료사들의 근무환경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종합병원, 대학병원, 병원, 의원, 복지관, 공공기관, 스포츠구단, 운동센터 등에 근무하는 물리치료사 315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이 중 236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sion 20.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토대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물리치료사의 성별과 운동여부에 따른 감정노동에 차이가 있었다(p<.05). 둘째, 물리치료사의 직장유형, 임상경력, 급여수준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었다(p<.05). 셋째,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간의 상관분석에서는 감정노동이 증가함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가 증가하였다(p<.05). 넷째, 근무환경(직장유형, 근무영역)에 따라 근골격계 자각증상 부위에 차이가 있었다(p<.05). 다섯째, 물리치료사의 12개월 이내 허리부위의 근골격계 자각증상을 유발하는 요인은 직무 스트레스의 하위 영역 중 물리적 환경요인(p<.01)과 직무 불안정성(p<.05)이다. 여섯째, 물리치료사의 허리부위의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의한 일상생활 지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정노동 하위영역 중 감정노동 빈도이다(p<.05). 일곱째, 물리치료사의 지난 7일 동안 허리부위의 근골격계 자각증상을 유발하는 요인은 직무 스트레스의 하위 영역 중 물리적 환경요인(p<.01)과 조직체계(p<.05)이다. 이와 같이 설문조사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근무환경(직장유형, 근무영역), 감정노동의 하위영역인 감정노동 빈도와 직무 스트레스의 하위영역인 물리적 환경요인과 직무 불안정성, 조직체계가 물리치료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물리치료사가 겪는 근골격계 자각증상의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특히 근골격계 자각증상이나 질환과 관련된 이전 연구에서 미흡하였던 근무 환경과 사회심리적인 요인을 모두 포함한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본 연구 수행에 의의가 있다.

      • 제1기 재활의료기관 지정병원에서의 물리치료 현황

        유성연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보건복지부 지정 제1기 재활의료기관에서의 물리치료 현황과 가정 및 지역사회로의 복귀 저해요인 등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1기 재활의료기관 45개소 병원에서 지정 사업과 관련된 성인 신경계 물리치료 환자를 치료하는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제1기 재활의료기관 설문조사 결과로 물리치료 목적과 중재유형을 근력 강화, 보행 패턴 등 환자가 자립적으로 움직일 때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회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심호흡 물리치료실, 수중 운동치료실의 부재로 인한 특수물리치료실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물리치료 평가현황에서는 평가하는 평가지가 환자의 회복 정도를 충분히 평가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가정 및 지역사회복귀를 위한 물리치료 현황에서는 지역사회 연계프로그램이 있고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하였으나 실제로 실시하는 곳은 적었다. 전문재활팀은 환자의 컨디션 변화가 있을 때만 소통한다는 응답이 많아 의사소통의 부족함을 나타내었다. 가정과 지역사회 복귀 현황 및 개선사항에서는 제도 시행 후에 사회복귀율이 높아졌다는 긍정적인 응답이 높았다. 마지막 항목으로 물리치료사 근무환경에서 만족도 조사결과 만족 이유로 동료 간의 좋은 팀워크가 나왔으며 불만족 이유는 강도 높은 업무에 비해 적은 급여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심·호흡기계 물리치료실과 수중운동치료실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환자의 조기사회복귀를 물리치료사의 의견을 수렴하여 병원 내에 치료실의 방향성 확립이 필요하다. 물리치료평가지 수의 부족함과 환자회복정도에 맞지 않는 부적절함을 확인하여 이에 신경계환자의 질환 및 증상에 따른 적절한 평가를 진행해야 한다. 또한 지역사회 연계프로그램의 시행 부진으로 환자의 조기 지역사회 복귀를 위한 병원 밖에서의 훈련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매우 높았다. 지역사회복귀뿐만 아니라 가정으로 복귀하는 환자가 신체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립적으로 할 수 있는 운동을 제시하여야 한다는 의견이다.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physical therapy at the first rehabilitation medical institution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factors that hinder the return to home and community. A survey was conducted on physical therapists treating adult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patients related to the designated project at 45 hospitals in the first rehabilitation medical institution.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sample size using the Gpower3.1 program, a total of 191 people were calculated, and 201 copie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Physical therapy purpose and intervention type aim to restore the minimum function necessary for patients, such as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and walking pattern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bsence of the deep respiratory physical therapy room and the underwater exercise therapy room and the insufficient evaluation site was insufficient. They responded that there was a community-linked program and there was a high need, but few places actually implemented it. As a result of the physical therapist satisfaction survey, good teamwork between colleagues had a positive effect on work as a reason for satisfaction, and the reason for dissatisfaction was less salary than intensive work. The direction of the treatment room should be established by collecting opinions from physical therapists in the hospital for the patient's early return to society. In addition, due to the lack of implementation of community-linked programs, training outside the hospital is necessary for patients to return to the community ear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appropriat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disease and symptoms of neurological patients.

      • 원격물리치료가 무릎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근력,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메타분석

        정인선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study meta-analyzes the effects of telephysical therapy on pain, quadriceps muscle strength, and quality of life, range of motion, gait ability, and balance ability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knee arthroplasty patients to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on the effects of telephysical therapy on knee arthroplasty. This study was a randomized experimental study that tested the intervention effect of pain, quadriceps muscle strength, quality of life, range of motion, gait ability, and balance ability among the effects of telephysical therapy applied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knee arthroplasty patients. For literature search, databases of PubMed, Springlink, Medline complete, ScienceDirect, Sage e-Journals, Cochrane, and Clinical Key were used as foreign literature search engines, and databases of DBpia, Kyobo Bookstore Scala, KISS, RISS,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ScienceON were used as domestic literature search engines. "Telerehabitation," "Telephysical therapy," "Total Knee displacement," and "Total Knee arthroplasty" were used as foreign search words, and "원격물리치료," "원격재활," and "무릎관절 전치환술" were used as domestic search words. The study selection criteria were for patients who underwent knee joint total surgery, which presented variables related to treatment intervention and measured at least one patient-centered study result (pain, quadriceps muscle strength, and quality of life). There were 0 domestic and 15 foreign studies that met the selection criteria, and a total of 15 studies were selected for the selection criteria. Review Manager 5.4 was used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and the chi-square test and Higgin's I^2 statistics were checked for statistical heterogeneity tests. In addition, funnel viscosity notation was used to analyze the sensitivity of each study and to test publication bi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studies in this study were 15 overseas journals, and the type of study design was a randomized comparative clinical experimental study. The total number of study participants was 1,825, with 829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996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15 studies (100%) on the effect on pain, 6 (40%) on the muscle strength of the quadriceps muscle, and 11 (73.3%) on the effect on quality of quality of life. Second, as a result of the quality evaluation of the studies selected in this study, nine studies (60%) showed "uncertain," while six studies (40%) showed "uncertain" and six studies (40%) showed "high risk of distortion." The "creation of random assignment order," "concealing the assignment order," and "the evaluator's blinding" were evaluated as "low risk of distortion." Third, the effect size of telephysical therapy on the pain of knee arthroplasty patients was -0.23,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 was -0.60 to 0.14,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luding 0. The effect size of face-to-face physical therapy on pain was 0.30,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 was -0.31 to 0.90,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luding 0. Fourth, the effect size of telephysical therapy on the muscle strength of the quadriceps muscle in patients with total knee joint replacement was 0.59,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 was 0.11 to 1.07,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cause it did not include zero. The effect size of face-to-face physical therapy on muscle strength in the broad four-pronged muscle was -0.52,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 was -1.05 to 0.02,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luding 0. Fifth, the effect size of telephysical therapy on the range of joint motion of knee joint replacement patients was 0.54,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 was -0.06 to 1.14,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luding 0. The effect size of face-to-face physical therapy on the quality of life was -0.54,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 was -1.28 to 0.20,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luding 0. Sixth, the effect size of telephysical therapy on the gait ability of knee arthroplasty patients was -0.04,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 was -0.83 to 0.75,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luding 0. The effect size of face-to-face physical therapy on gait ability was 0.03,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 was -1.30 to 1.37,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luding 0. Seventh, the effect size of telephysical therapy on the balance ability of knee arthroplasty patients was -0.41,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 was -1.07~0.24,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luding 0. The effect size of face-to-face physical therapy on balance ability was -0.72,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 was -0.21 to 1.64,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luding 0. Eighth, the effect size of telephysical therapy on the quality of life of knee arthroplasty patients was 0.52,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 was -0.07 to 1.10,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luding 0. The effect size of face-to-face physical therapy on the quality of life was -0.35,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 was -0.96 to 0.26,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luding 0.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elephysical therapy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quadriceps muscle strength of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The effect of telephysical therapy on pain, range of motion, gait ability, balance 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was not significant. However, clinical application is insufficient, and research in Korea has not yet been actively conducted. In future studies, telephysical therapy should be applied to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in Korea and various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devise a single physical therapy method. 본 연구는 원격물리치료가 국내외 무릎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통증, 근력, 삶의 질, 관절가동범위, 보행 능력,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메타분석하여 원격물리치료가 무릎관절 전치환술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해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내외 무릎관절 전치환술 환자에게 적용된 원격물리치료의 효과 중 통증, 넙다리네갈래근 근력, 삶의 질, 관절가동범위, 보행 능력, 균형 능력을 결과 변수로 중재효과를 검정한 무작위 실험연구로 2000년 1월부터 2023년 8월까지 출판된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검색에 국외 문헌검색 엔진으로 PubMed, Springlink, Medline complete, ScienceDirect, Sage e-Journals, Cochrane, ClinicalKey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고, 국내 문헌검색 엔진으로 DBpia, 교보문고 스칼라, KISS, RISS, 국립중앙도서관, ScienceON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다. 국외 검색어로 “Telerehabilitation”, “Telephysical therapy”, “Total knee replacement”, “Total knee arthroplasty”를 사용하였고, 국내 검색어로 “원격물리치료”, “원격재활”, “무릎관절 전치환술”을 사용하였다. 연구 선정기준은 무릎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치료중재 관련변인이 제시되고 최소 한 개 이상의 환자 중심의 연구 결과(통증, 넙다리네갈래근 근력, 삶의 질)을 측정한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선정기준을 만족하는 연구는 국내 0편, 국외 15편으로 총 15편으로 최종 분석 대상을 선정하였다. 효과크기 산출은 Review Manager 5.4를 활용하였으며, 통계적 이질성 검정을 위해 카이제곱 검정과 Higgin’s I^2 통계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연구의 민감도 분석과 출판편향을 검정하기 위해 깔대기 점도표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선정된 연구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해외 학술지 15편이고, 연구 설계 유형은 국외 모두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실험연구였다. 총 연구 참여자 수는 1,825명으로 실험군 829명, 대조군 996명이었다. 통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15편(100%), 넙다리네갈래근 근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6편(40%),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11편(73.3%)이었다. 둘째, 본 연구에 선정된 연구들의 질 평가 결과, ‘참여자∙연구자의 눈가림’은 9편의 연구(60%)가 ‘불확실’로 나타났으며, ‘불완전한 결과자료’는 6편의 연구(40%)가 ‘불확실’, 6편의 연구(40%)가 ‘높음’으로 나타나 ‘비뚤림 위험 높음’으로 평가되었다. ‘무작위 배정 순서 생성’, ‘배정순서 은폐’, ‘평가자의 눈가림’은 ‘비뚤림 위험 낮음’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원격물리치료가 무릎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0.23였으며 95% 신뢰구간은 -0.60~0.14로 0을 포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대면물리치료가 통증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0.30이었으며 95% 신뢰구간은 -0.31~0.90로 0을 포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원격물리치료가 무릎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넙다리네갈래근 근력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0.59였으며 95% 신뢰구간은 0.11~1.07로 0을 포함하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대면물리치료가 넙다리네갈래근 근력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0.52였으며 95% 신뢰구간은 -1.05~0.02로 0을 포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섯째, 원격물리치료가 무릎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0.54였고 95% 신뢰구간은 -0.06~1.14로 0을 포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대면물리치료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0.54였으며 95% 신뢰구간은 -1.28~0.20으로 0을 포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여섯째, 원격물리치료가 무릎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0.04였고 95% 신뢰구간은 -0.83~0.75로 0을 포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대면물리치료가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0.03으로 95% 신뢰구간은 -1.30~1.37로 0을 포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일곱째, 원격물리치료가 무릎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0.41로 95% 신뢰구간은 -1.07~0.24로 0을 포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대면물리치료가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0.72로 95% 신뢰구간은 -0.21~1.64로 0을 포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여덟째, 원격물리치료가 무릎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0.52였으며 95% 신뢰구간은 -0.07~1.10으로 0을 포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대면물리치료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0.35였고 95% 신뢰구간은 -0.96~0.26으로 0을 포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원격물리치료가 무릎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넙다리네갈래근 근력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물리치료가 무릎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통증, 관절가동범위, 보행능력, 균형능력,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임상에서의 적용은 미비하며, 국내에서의 연구가 아직 활발히 진행되지 않고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원격물리치료를 국내 무릎관절 전치환술 환자에게 적용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여 하나의 물리치료 방안으로 고안되어야 할 것이다.

      • 점진적 관찰감소의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

        노현정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점진적 관찰감소의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보다 효과적인 동작관찰훈련방법을 확인하여 이를 뇌졸중 재활에 활용하기 위한 중재방법으로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뇌졸중 환자 24명이었으며, 무작위로 실험군 Ⅰ에 8명, 실험군 Ⅱ에 8명, 대조군에 8명을 각각 배정하였다. 대조군은 신경계물리치료를 적용하였으며, 실험군 Ⅰ은 점진적 관찰감소의 동작관찰훈련, 실험군 Ⅱ는 기존의 동작관찰훈련을 적용하였다. 총 4주간, 주 5회, 회당 30분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균형능력 평가로 일어나 걷기검사, 사각 보행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보행능력 평가를 위해 10 m 걷기검사, 동적보행지수를 측정하였다. 보행의 시공간적 변수 측정을 위하여 OptoGait 보행분석기를 이용하여 보행변수들을 측정하였다. 공간적 변수로는 마비측 보장, 보폭을 측정하였으며, 시간적 변수로는 분속수, 보행속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윈도우용 SPSS version 18.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세 군의 중재 전·후 측정변수의 변화양상 분석을 위하여 반복측정 이요인 분산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을 실시하였다. 세 군의 중재 전·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고, 세 군의 중재 전·후 각 집단 간 변화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정으로는 Duncan 검정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검증을 위한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균형 및 보행의 기능적 수행능력이 중재 후 모든 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중재 전후 변화량 차이에서는 점진적 관찰감소의 동작관찰훈련군이 동작관찰훈련군과 신경계물리치료군보다, 동작관찰훈련군이 신경계물리치료군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보행의 시공간적 변수에서도 중재 후 모든 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마비측 보장, 분속수에서 점진적 관찰감소의 동작관찰훈련군이 신경계물리치료군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보폭, 보행속도에서는 점진적 관찰감소의 동작관찰훈련군이 동작관찰훈련군과 신경계물리치료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 점진적 관찰감소의 동작관찰훈련군이 균형 및 보행의 기능적 수행능력과 보행의 시공간적 변수에서 가장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어, 대상자의 수행능력 증진에 따른 변화된 중재 제공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점진적 관찰감소의 동작관찰훈련방법은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능력 증진을 위한 신경계물리치료의 효과적 중재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물리치료사 윤리역량 자가평가 도구 개발

        천지연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elf-assessment tool for ethical competency of physical therapists that reflects the role and scope of work of physical therapists to evaluate their ethical competency and provide basic data for related resear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eight-step process of tool development proposed by DeVellis(2021), and the ethical concept proposed by Lechasseur et al.(2018) was set as the basis. Kang Bo-ra(2020) sub-factor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scope of work of physical therapists, 14 sub-factors of ethical competency for physical therapists were form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physical therapists, and 70 initial questions were form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related books. The scale type was selected as a Likert 4-point scal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it can induce sincere responses to select positive and negative when removing the midpoint.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for seven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and 48 questions were derived for the main survey through facial validity verification for 20 physical therapists. A survey of 219 physical therapist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Cronbach's α value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Through this study, we developed a self-assessment tool for ethical competency of physical therapists consisting of a four-point Likert scale of 18 questions with five factors reflecting the role and scope of work of physical therapists. The evaluation tool consists of 5 questions of ethical reflection, 4 questions of ethical action and behavior, 2 questions of ethical sensitivity, 3 questions of ethical knowledge, and 4 questions of ethical decision-making, meaning that the higher the score, the higher the ethical competency.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lf-assessment tool for ethical competency of physical therapists suitable for the scope of work of physical therapists in Korea, and because of the analysis,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secured.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this tool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programs that can identify and strengthen the ethical competence of physical therapists and research related to ethics of physical therapists.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의 역할 및 업무범위를 반영한 물리치료사 윤리역량 자가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물리치료사의 윤리역량을 평가하고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DeVellis(2021)가 제시한 도구 개발 8단계 절차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Lechasseur 등(2018)이 제시한 윤리적 개념을 기틀로 설정하였다. 강보라(2020)의 하위요인을 물리치료사의 업무범위에 맞게 수정 보완하고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14개의 물리치료사 윤리역량 하위요인을 구성하였으며, 선행연구 및 관련 서적을 통하여 70개의 초기 문항을 도출하였다. 척도 유형은 중간점 제거 시 긍정 및 부정에 대한 선택을 위하여 성실한 응답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Likert 4점 척도로 선정하였다. 물리치료학과 교수 7인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물리치료사 20명을 대상으로 안면타당도 검증을 통해 본조사를 위한 48개의 문항을 도출하였다.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물리치료사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진행하고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다. 도구 개발 과정을 통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물리치료사 윤리역량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평가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물리치료사의 역할 및 업무범위를 반영한 5요인 18문항의 4점 Likert척도로 구성된 물리치료사 윤리역량 자가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평가 도구는 윤리적 성찰 5문항, 윤리적 행동 및 태도 4문항, 윤리적 민감성 2문항, 윤리적 지식 3문항, 윤리적 의사결정 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72점 만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윤리역량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물리치료사 업무범위에 맞는 물리치료사 윤리역량 자가평가 도구(ECSAT-PT)를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결과 높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추후 본 도구를 통하여 물리치료사의 윤리역량을 파악하고 이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물리치료사 윤리 관련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교과서에 나타난 물리용어로 정의된 물리지식 네트워크 분석

        Xue Mei, Cui 충북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19

        책은 수많은 단어들로 구성된 복잡계(complex system)이다. 책의 한 종류로서의 물리교과서는 물리용어들로 구성된 복잡계이다. 물리교과서는 물리지식을 가르치고 배우는 주요한 자료이므로 물리교과서가 이루고 있는 복잡계의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 교과서에서 사용된 개개 물리 용어들의 통계적 특성과 동적 특성을 분석하고, 또한 이러한 특성이 물리 용어 집단 전체의 네트워크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물리교과서와 물리용어 사전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개개 물리용어에 대한 통계적 특성 분석으로 빈도수 분포와 쌍 빈도수(co-occurrence) 분포를 조사하였다. 물리 교과서와 물리용어 사전에서 나타나는 물리용어들의 빈도수 분포와 쌍 빈도수 분포는 모두 멱함수 법칙을 따르지만, 물리용어 사전에서 빈도수와 쌍 빈도수 분포도는 물리 교과서에 비해 작은 빈도 쪽으로 편중된다. 물리 교과서에서 물리용어가 나타나는 동적 패턴을 보면 특정 시점에서 용어가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버스트(burst) 특성이 있다. 이로 인해 물리용어가 나타나는 시간간격(interval)도 멱함수 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것은 물리용어가 집중되어 나타나는 구간에서는 짧은 시간간격이 많이 생기고, 그렇지 않은 구간에서는 긴 시간간격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반면, 물리용어 사전에서는 물리용어가 나타나는 시간간격의 분포가 지수함수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물리용어 사전의 물리용어의 버스트 특성이 물리 교과서보다 약함을 의미한다. 물리용어가 집중되어 나타나는 정도-버스트 정도(burstiness)-를 정량화하는 불균일성(non-uniformity) 척도(measure)를 정의하여 물리용어 사전의 물리용어의 버스트 정도가 물리 교과서보다 낮음을 정량적으로 보여주었다. 물리 교과서와 물리용어 사전이 이루고 있는 네트워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물리용어 간의 연관성(association)을 나타내는 W값으로 가중치 네트워크(weighted network)를 구축하였고, W값을 규격화하여 얻은 Z값으로 부호 있는 가중치 네트워크(signed weighted network)를 구축하였다. 두 가지 네트워크에서 물리 교과서 네트워크는 모듈성(modularity)이 강하지만 물리용어 사전 네트워크의 모듈성은 아주 약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즉 물리 교과서에서는 서로 연관된 물리지식들이 집단을 이루고 있지만, 물리용어 사전에서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버스트 정도와 네트워크 모듈성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계(system)의 버스트 정도가 클수록 계의 네트워크의 모듈성도 강하다는 결론을 정량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계의 동적 특성인 버스트 정도와 네트워크의 특성인 모듈성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고 제안한다. 물리 교과서에서 나타나는 물리용어는 버스트 정도가 높고, 물리 교과서의 물리지식 네트워크의 모듈성은 강하다. 이는 물리 교과서가 물리용어 사전과 비교되는 특성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물리 교과서는 주요 학습자료로, 물리용어 사전은 보조 학습자료로 쓰인다고 할 수 있다. The book is a complex system composed of many words. The physics textbook is a complex system comprised of the physical terms. The physics textbook is the main material of teaching and learning physics knowledge. We need to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the physics textbooks as a complex system. In this study, we analyzed statistical and dynamical properties of physics terms in the physics textbooks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of a dictionary of physics terms. First, we constructed the frequency distribution and co-occurrence distribution. The frequency distribution and co-occurrence distribution of the physics textbooks and a dictionary of physics all follow the power law. But, the frequency distribution and co-occurrence distribution of the dictionary of physics are biased toward small frequency compared to the physics textbooks. The dynamic pattern of physics term appeared in the physics textbooks has burst property. Therefore, the physics term occurrence interval will follow power law. In the range of frequent appearance of a particular physics term we have a lot of short intervals, while in other ranges we have long intervals. The interval distribution of the dictionary of physics follows exponential function. This means that the burstiness of dictionary of physics is weaker than that of the physics textbooks. We defined non-uniformity to quantify burstiness of physics terms. We quantitatively demonstrated that the burstiness of dictionary of physics is weaker than the physics textbooks. We constructed weighted network with the value W of association between two physics terms. The signed weighted network can also be characterized by the value Z which is obtained from W by normalization. The modularity of the physics textbooks is stronger than the dictionary of physics in weighted network and signed weighted network. In other words, the physics textbooks consist of communities of interrelated physics terms. We quantitatively demonstrated that the stronger burstiness leads to stronger network modularity. Based on these results, we could propose the dynamic burstiness and network modularity are interconnected. The burstiness of physics terms and the modularity of physical knowledge are stronger in the physics textbooks than in the dictionary of physics.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we suppose, the physics textbooks are used as a major learning materials and the dictionaries of physics are used as subsidiary learning materials.

      •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저측굴곡근 강지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황명하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이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키네서오 테이핑을 적용하여 기존의 신경계 물리치료를 실시하였을 때 강직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보존적 신경계 물리치료군 15명과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신경계 물리치료 15명을 배정하였다. 신경계 물리치료는 NDT 신경계 치료방법을 포함하여 관절가동운동, 신장운동, 근력강화운동을 일 1회 각 30분씩 주 5회, 8주간 두 군 모두 실시하였다. 실험 전, 후 발목관절 가동범위는 고니어미터와 MAS로 측정하였고, 균형능력은 APII53 Biorescue를 사용하여 환측 체중 부하율, Romberg eye open/close test 신체중심 이동길이, 안정성 한계를 측정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 전, 후 수동적 발목 관절 가동 범위와 수정된 Ashworth 척도의 변화에서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신경계 물리치료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보존적 신경계 물리치료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있었다(p<.05). 실험 전, 후 체중부하율 변화, Romberg eye open/close test 신체중심 이동길이, 안정성 한계에서의 변화에서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신경계 물리치료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보존적 신경계 물리치료군에서는 안정성한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Romberg eye close test 신체중심 이동길이와 안정성 한계에서 있었다(p<.05). 본 연구의 두 군간 전, 후 변화 비교에서 결과를 종합해 보면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신경계 물리치료군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발목 관절 가동 범위와 균형능력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발목관절 가동범위와 강직정도, Romberg eye close test 신체중심 이동길이, 안정성 한계에서 더욱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신경계 물리치료가 환자의 정상적인 체중부하와 균형능력에 더 큰 영향을 주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적극적인 재활프로그램 참여를 유도하고 기능적인 움직임의 회복에 대해 하나의 방안으로 생각된다. 나아가 키네시오 테이핑을 다른 부위에 적용하여 훈련한 후 균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결과를 비교해 보는 연구를 진행한다면 다양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ying kinesio taping with existing neuro-physical therapy on the spasticity and balance abilities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irty hemiplegic strok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 (n=15) and a kinesio taping with neuro-physical therapy group (n=15). The neuro-physical therapy included NDT, ROM exercise, stretching exercise, and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Both groups received physical therapy for 30minutes per session, 5 times a week for 8 week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kle range of motion was measured by a goniometer and MAS, balance ability was measured by APII53 Biorescue, and weight bearing on the affected side, center of gravity length of transfer, Romberg eye open/close test, and the limit of stability were measured.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kinesio taping with neuro-physical therapy group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passive ankle range of motion and modified Ashworth scale (p<.05), but no significant change was found in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5).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significant changes in weight bearing, center of gravity length of transfer, Romberg eye open/close test, and the limit of stability were found in the kinesio taping with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 (p<.05), and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 had a significant change only in the limit of stability (p<.05).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 was found in Romberg eye close test, center of gravity length of transfer, and limit of stability (p<.05). Wh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mparing within-group and between-group differences are integrated, the kinesio taping with NDT group showed to have good effects on the ankle range of motion and balance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It especially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ankle range of motion and spasticity, Romberg eye close test, center of gravity length of transfer, and limit of stability. This is considered that the kinesio taping-applied NDT can influence on the normal weight bearing and balance ability for the patients, induce hemiplegic patient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rehabilitative program, and be used as a method for functional movement recovery. When kinesio taping is applied on other areas for training, and the effects on balance ability is compared, various evidence can be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