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삭힌풀이 지류문화재의 보존처리에 미치는 영향 : 유연성과 보존성을 중심으로

        송정원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75

        동양회화에서는 전통적으로 바탕재의 구조적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장황기술이 발달해 왔으며, 여기서 쓰이는 접착제로서 소맥전분 풀의 의미는 매우 중요하다. 지류문화재는 일반적인 풀의 수명인 100-200년 사이에 재장황이 필요하며, 이때 쓰이는 풀은 각종 해충?세균?곰팡이의 먹잇감이 되어서난 안되며, 가역성이 있어야 한다. 이처럼 지류문화재를 보존함에 있어 적합한 보존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문화재 수리에 적합한 풀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것도 이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때문에 동아시아 문화권(한국, 중국, 일본)에서는 풀을 다루는 기술을 중요시해왔으며, 이는 문헌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오래된 문화재의 경우 수년간 저장시킨 고풀을 사용해 왔으며, 괘불 등 다량의 풀이 필요한 경우 소맥전분을 적게는 2-3개월, 길게는 1년동안 수침시켜서 사용하며, 쑨 풀을 상온에서 숙성시켜서 사용한다. 최근 풀에 관한 연구가 보존과학과 접목되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숙성시킨 풀의 경우 별다른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고 전통이라는 명목 아래 경험적으로 쓰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삭힌풀이 지류문화재 보존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몇가지 실험을 기획했다. 정제되지 않은 밀가루로 만든 풀, 3개월간 수침시켜 단백질 및 불순물을 제거한 밀가루로 만든 풀, 수침시킨 밀가루를 호화시켜 상온에서 숙성시킨 풀 - 총 3종의 풀을 준비한 다음, 첫째 한지를 배접하여 그 물리적 특성(내절강도, 인장강도, 인열강도, 파열강도, pH, 백색도 등)을 측정하여 풀이 지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하였으며, 둘째 서적류에 발생하는 곰팡이 5종을 분양받아 3종의 풀에 접종시켜 그 번식 정도를 측정하여 풀이 지류의 곰팡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실험 결과, 물성실험과 보존성 실험에서 삭힌풀이 기타 풀보다 우수한 경향을 나타냈다. 물성실험의 경우 삭힌풀이 인열강도를 제외한 인장강도, 신장률, 파열강도, 내절강도에서 비슷하거나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족자 형태의 유물을 말고 펼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내절강도의 경우 일반풀이 가장 우수했으며, 수침풀의 경우 일반풀보다 그 강도가 절반 수준으로 떨어져 지질이 더 뻣뻣해짐을 알 수 있었다. 삭힌풀은 일반풀보다는 낮지만 수침풀에 비해 내절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보존성 실험의 경우 삭힌풀에서는 모든 균주가 생장하지 못했으며, 이는 풀이 숙성되는 과정을 통하면서 다른 곰팡이들의 생장에 필요한 양분을 소모했거나, 다른 곰팡이의 생장을 방해하는 효소나 기타 항생물질이 생성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즉 풀을 숙성시키는 과정을 통해 지류문화재에 유해한 곰팡이들이 생장하는 것을 어느정도 방지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상 결과를 종합하면 지류문화재의 보존처리에 가장 적합한 풀은 삭힌풀로, 풀을 숙성시킴으로써 문화재에 유연성과 보존성을 도모할 수 있겠다. 고풀의 경우 제작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그 양도 한정적이다. 그러나 삭힌풀의 경우 2개월간 숙성시킨 경우라도 그렇지 않은 풀보다 유연성과 보존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족자 형태의 문화재의 배접시, 특히 대량의 풀이 필요한 괘불의 배접과 보존처리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In oriental painting, traditionally Janghwang technic was developed to supplement structural weakness of primer, and wheat starch glue is very important as its glue. Paper cultural assets are needed for re-Janghwang within 100~200 years which is the life span of general glue, and the glue for this work shall not be eaten by insects, virus or fungus etc and reversible character is required. Forming proper preservation circumstance is mostly ideal but making right glue and using it is also important. Due to this, East asia countries (Korea, China, Japan) had given importance to the technic of Glue handling. For old relics, Gopul stored for many years were used and if large quantity is required such as Goebul etc wheat starch sanked in water for 2!3 months to 1 year is used and fermented at room temperature. Many studies for glue linked with preservation science has been performed. But fermented glue was not verified much and conventionally used as it used to. Some tests were planned to verify the effects of fermented glue on preservation of paper relics in this study. 3 kinds of Glues, glue made with untreated wheat, glue made with protein and impuriies removed wheat through water sinking for 3 months, glue made with fermented water sinking wheat, are prepared, then, measured data of effectiveness of each glue on the traditional paper for its physical features (cut proof, expansion strength, heat proof, breaking strength, pH, whiteness etc) and 5 kinds of molds found in the book were inoculated to the each of glue and observed its growth. As a result, fermented glue had shown superior than other glues. For physical test, expanding strength, elasticity, breaking strength, cut proof were similar or better except heat proof. Specially, cut proof which gives effects directly on hanging scroll type of relic, general glue was superior and water sank glue made it more stiff. Fermented glue is less than general glue, but cut proof was stronger than water sink glue. For the preservation test, all kinds of molds were not grown, and it is since the ingredient required for the growth of mold were consumed all during fermentation or antibiosis material o enzyme which obstruct the growth of mold has created. That is, it is thought that growth of harmful molds can be prevented from fermentation of glue, To finalize, the most proper glue for preservation of paper relics are fermented glue, and it can promote elasticity and preservation of relics through fermentation of the glue. In case of Gopul, it takes much time and the quantity is limited. But the fermented glue only with 2 months, better result in elasticity and preservation were found. It can be used for preservation of rollling paer type of relic and Goebul requiring large quantity of glue.

      • 文化財 保存修復에서 傳統接着劑의 特性과 效果에 關한 硏究 : 민어부레풀을 중심으로

        임동식 원광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75

        문화재 전반에 걸쳐 보존과학, 재료학 등은 문화재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영구 보존을 지향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문화재를 보존수복하기 전에 문화재가 가지고 있는 사료적 가치와 함께 사용되는 재료에 대한 다각적인 정보를 이해하는 과정이 우선되어야 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문화재 보존수복에 활용되어야만 한다. 필자 역시 보존수복에 사용되어지는 전통안료와 접착제의 특성 및 사용방법을 구분하고, ‘민어부레풀’을 직접 제작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과 전후 보존수복에 올바른 접착제 사용을 제시하여 문화재의 전통적인 맥을 계승하는데 목표를 두고 본 논문을 진행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통접착제의 특성과 효과를 규명하고 그에 따른 문화재 및 예술품에 사용되어지는 접착제의 적절한 사용방법을 구분하여 실질적인 보존처리 활용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전통접착제중 ‘민어부레풀’에 대한 선행연구나 정확한 특성 및 사용사례에 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며 차후 과제로 남아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전통접착제의 특성과 효과를 파악하고 문화재 및 예술품의 보존수복의 재료로서 연구의 선행지표가 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문화재 밀폐 포장용 고차단성 필름의 보존환경 제어 특성 연구

        정재웅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purpose of preventive conservation lies in minimizing the damage to heritages and avoiding direct touch with materials, which is in accord with the ground rule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etting up a preservation environment, which falls into a category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means minimizing unavoidable deterioration caused by air exposure. As a means to build preservation environment, installing air conditioner is encouraged. However, due to high installation and upkeep costs of an air conditioner, alternative methods are used at some museums and excavation institutions keeping cultural collections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or packing each item with barrier films. Since airtight packaging with barrier films is efficient in accessi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it is used widely in long-term preservation of different heritages in a limited room, in temporary storage after excavation or during waiting time for reversion to state, and in short-term packaging for transportation. E film produced by Japanese company M has been used for past 10 years without comparison with similar products. Because of whole quantity import, the price range has increased. Meanwhile, the domestic market scale of barrier films has enlarged as they are widely used in the electronics industry producing goods such as semiconductors and LCD products, the agriculture industry, and the printing business. And our own technology has developed as well. Accordingly, E film, which is currently used for packing cultural heritages, is compared with L film and N film, which are generally used for packing electronic products, S film, which is similar to E film, and P film, which is used as collecting bags for cultural heritages. With those samples, we examined and compared the properties that control preservation environment along with their insulation property.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As a result of tensile strength measurement, S film was slightly stronger than E film on the other hand, the tensile strength of N film and L film was half the strength of S film. concerning P film, its elongation ratio was very high, but the strength was measured to be low. As a result of UV/VIS absorbance test, E film showed the highest absorbance in the UV-A range of 200 to 280nm, but in the UV-B range of 280 to 320nm, its absorbance fell sharply compared to S film, N film and L film. P film failed to absorb UV, letting it penetrate into the inside. As a result of color measurement after artificial deterioration, increasement of B* value, which is the yellow index, was commonly observed on every sample except P film. Oxygen/vapor permeability test showed that P film has the lowest permeability. While oxygen permeability of other 4 samples was under 0.001㏄/㎡·day showing few difference among them, vapor permeability difference among them was 0.1g/㎡·day. However, when put together with corrosion status of iron specimens and relative humidity penetration shown by oxygen/vapor permeability measurement, 4 films, which are within the margin of error, seem to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Thus, if it is used with consideration of daily relative humidity, proper maintenance of preservation environment is possible. 예방보존(Preventive conservation)은 문화재의 재료와 구조를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으면서 손상을 최소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는 인위적인 개입을 최소화하는 문화재 보존의 기본 원칙에 부합한다. 문화재 보존의 한 범주인 보존환경 조성은 대기에 노출되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열화의 최소화를 의미한다. 보존환경을 조성하는 수단으로 온·습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를 설치를 권장하고 있으나, 설치비용과 유지비용이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어 일부 공·사립 박물관과 발굴기관에서는 밀폐형 항온·항습장에 보관하거나 고차단성 필름으로 각 개체마다 밀폐 포장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고차단성 필름을 활용한 밀폐 포장은 다른 보존환경 제어 방법에 비해 접근성, 경제성에서 뛰어나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에서 적정 환경이 다른 문화재의 장기적 보존, 출토 직후나 국가귀속 대기 기간 동안의 임시 보관, 운반 및 이동을 위한 단기간 포장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현재 문화재 밀폐 포장에는 일본 M社의 E film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10여 년 동안 사용하면서 유사제품과의 비교 검토가 미진하였고 전량을 수입하기 때문에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 고차단성 필름은 전자제품(반도체, LCD등)산업, 농업, 인쇄업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며 기술적으로도 동반 성장을 이루었다. 따라서 현재 문화재 밀폐 포장용 고차단성 필름으로 사용하고 있는 E film과 국내에서 전자제품 포장용으로 판매하고 있는 L film, N film, 및 E film과 유사한 물성을 제조한 S film, 그리고 문화재 수습봉투로 사용하고 있는 P film을 샘플로 선정하여 보존환경을 제어하는 특성인 물성과 기체 차단력을 비교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장강도 측정 결과 강도는 S film이 E film보다 근소하게 높고 N film과 L film은 S, E film에 비해 절반 정도 낮았으며 P film은 연신률은 높으나 강도가 낮게 측정되었다. 자외·가시광 흡광도 측정 결과 E film은 UV-A(200∼280㎚)에서 가장 높은 흡광도를 보이나 UV-B(280∼ 320㎚) 영역에서는 S film, N film, L film에 비해 흡광도가 급격히 낮아지며 P film은 대부분의 자외선 파장을 흡수하지 못하고 내부로 투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공 열화 후 색도 측정 결과 P film을 제외한 4종의 샘플에서 Yellow index가 증가하였다. 산소 및 수증기 투과도 측정 결과 P film을 제외한 다른 4종의 film은 산소 투과도가 모두 0.001㏄/㎡·day이하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수증기 투과도에서는 최대 0.1g/㎡·day의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온·습도 재현 실험의 상대습도 투과량과 샘플 내부에 봉입한 철시편의 부식 상태 및 색도 변화를 연계하여 살펴보면 오차 범위 내로 유의차는 없었으며 측정된 일별 상대습도 상승량을 고려하여 활용한다면 적절한 보존환경 제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회화 문화재의 보존처리에 쓰이는 풀에 관한 연구 : 전분과 단백질의 함량에 따른 접착력과 보존성을 중심으로

        전지연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59

        회화 문화재의 표장(表裝) 및 보존처리에 쓰이는 풀은 그 문화재의 수명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하기 때문에 옛날부터 풀의 제조법에 관한 연구가 있어 왔고, 이에 대한 기록이 남겨져 왔다. 기록들을 종합해 보면, 대부분 풀의 제조법에 있어 소맥의 단백질을 제거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단백질 제거는 단백질이 풀에 있어서 유익하지 못한 요소를 갖고 있다는 것이므로, 이번 논문에서는 실제로 단백질 함유량에 따른 풀의 접착력과 보존성의 변화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었던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밀가루의 성분 중 전분으로 제작한 풀은 글루텐으로 제작한 풀보다 경도가 높았다. 둘째, 단백질함량 0%인 순수전분풀의 접착력이 가장 뛰어났으며, 단백질이 첨가된 5%, 10%, 15%, 50% 순으로 접착력이 떨어졌다. 즉 풀의 접착력과 점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단백질보다는 전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순수전분은 수침하면 가수분해가 일어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가수분해한 정도가 증가되어 접착력이 떨어졌다. 그러므로 장기간의 수침방법으로 인한 단백질 제거방법은 전분의 가수분해로 인하여 소맥전분풀의 접착력에 역영향을 미친다. 셋째, 순수전분풀에서 단백질이 첨가될수록 보존성은 떨어졌다. 순수전분에서 단백질의 함량이 높을수록 미생물의 증식은 높았다. 세 가지 결과를 종합해 보면, 미생물의 영양원인 단백질의 함량이 적을수록 접착력과 보존성은 좋아지지만, 유연성은 떨어진다. 그러나 단백질의 함량이 적으면 적을수록 풀의 보존성은 좋아지기 때문에 회화 문화재 보존처리에 쓰여야 되는 풀은 최소한의 농도로 최대한의 접착력을 지닌 소맥전분풀인 것이다. 밀가루에서 단백질을 제거하여 사용된 소맥전분풀의 사용이 회화 문화재에 미치는 이로움을 선인들은 이미 알고 있었기 때문에, 옛부터 소맥에서 단백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계속 연구하며 풀을 제조하여 사용하여 왔다. 회화보존처리에는 보존성이 있고, 최소한의 풀로 최대한의 접착력을 얻을 수 있는, 또 가역성 있는 소맥전분 풀을 사용하여야 한다. 회화 문화재보존처리에 쓰여지는 재료와 기법은 이미 수백여년에 걸친 검증을 거쳐 우리 손에 전해져 왔다. 그러므로 보존과학에서는 이러한 재료와 기술을 과학의 힘을 빌어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이 논문 또한 회화 보존처리시 사용하는 풀을 만들기 위하여 밀가루에서 단백질을 제거하는 수백여년 전해온 기술을 여러 실험을 거쳐 검증하는 것일 뿐이다. 우리의 손에 현재 전해지고 있는 회화보존처리 기술들은 우리의 선인들이 많은 경험을 통해 만들어 낸 것임을 미루어 추측할 수 있었다. There have been much studies on the paste used for conserving and mounting because it has much to do with the life of cultural properties of paintings. Most of these studies dealt with elimination of protein from wheat flour as protein has been known to do harm to paste. Therefore, it was only natural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arch and protein content on adhesive strength and conservativeness. We present a set of experiments on the subject. Protein content was found to inversely affect adhesive strength while adhesive strength and viscosity of paste were proportionally related to starch concentration of the paste. However making of pure starch faces some serious challenge such as hydrolysis of the starch. Hydrolysis reaction severly weakened adhesive strength. Thus when the wheat starch was soaked for a considerable length of time to eliminate protein, the final adhesive formulated showed weakened adhesive strength due to hydrolysis of starch. Last, the adhesive with more protein showed less conservativeness. Types and number of microorganisms were found to increase as protein percentage increased. All these results points that the higher content of protein in adhesive formula support higher microbial growth with reduced adhesive strength, but higher flexibility. The optimized paste of conservation treatment is wheat starch paste with not only minimize viscosity but also maximized adhesive strength. The material and technique for treatment of the cultural asset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has been researched for hundreds years and conservation science also approaches them by scientific methodology.

      • <十長生圖>의 復原模寫와 顔料에 關한 硏究 : 國立古宮博物館 所臧 <十長生圖>를 중심으로

        김보경 원광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59

        십장생도는 우리 민족의 사상과 민간신앙 등 실생활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그림을 통해 소박한 염원과 미의식을 표현하고 일상생활의 즐거움과 행복이 표출되는 장생물이 지닌 상징성이 강조되는 작품이다. 십장생도의 상징성은 건강과 행복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다양한 표현 양식으로 장식적 효과와 상징적 효용성을 살려 실생활 공간장식에 애용되고 있다. 전통문화에 대한 지나친 관심이 문화재 모사복원에 전문성을 배재한 비전문가들에 의한 복원과 보수로 오히려 훼손되는 작품들도 많다. 이러한 시점에서 보호받아야 할 문화재를 안전하게 후손에게 물려줄 책임이 따르며 그 당시의 재료와 기법을 연구하여 우수한 우리의 문화재를 보존하고 계승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려는데 목표를 세워 문헌조사를 시작으로 십장생도의 선정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현재 국립 고궁박물관에 소장중인 궁중장식품인 십장생도를 중심으로 한국 민화의 조형적 특징과 원색적 색채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의미를 알아보고 십장생도에 그려진 화제나 도상의 사상적 배경과 상징적 특성을 연구해 봄으로서 조선후기 십장생도가 지닌 특성과 양식의 변천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십장생도의 보존 상태와 자료조사를 통해 복원모사를 하고자 한다. 복원 모사는 그려진 최초의 모습을 재현하는 모사인데 변색되었거나 퇴색된 부분, 오염되었거나, 찢어지거나 상처 난 곳 등 유실된 부분도 참고 자료 등을 이용하여 복원시키는 모사로 그려진 당시의 전통기법과 소재의 재현을 통하여 준비 과정, 채색과정, 병풍제작과정 등, 기법과 재료를 연구할 목적으로 복원 모사 제작의 전반적인 과정을 구체적으로 연구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회화작품은 완성된 시점에서 산화가 시작되므로 여름에는 고온다습하고 겨울에는 저온건조가 반복되는 우리나라 기후에서는 종이, 비단 등의 기자재로 그려진 회화문화재의 공개가 계속되면 언젠가는 산화되고 소멸되어 버린다. 따라서 작품을 보존하기 위해서 보존환경이 좋은 수장고 등의 보관 장소에 옮기고 대신 정밀한 모사작품을 전시하는 대책이 필요하다. 모사는 예로부터 전이모사라 하여 그림을 배우는 하나의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고, 현재에는 회화문화재 보존의 문제, 전통재료와 기법의 차원에서 그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21세기를 문화전쟁의 세기라고 부른다. 문화는 최고의 상품이며 세계가 공감할 수 있는 문화 상품은 엄청난 이익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전통사극드라마가 해외에서 한류의 열풍을 일으키는 것은 우리의 우수한 전통문화에는 보편적 정서를 사로잡는 요소가 담겨 있는 뜻으로 여겨진다. 일본에서는 일찍부터 문화재에 대해 현상모사를 시작했고, 모사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예술대학들이 있어 문화재청에서 추진하는 모사사업의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며, 중국 역시 북경고궁박물관에서 기술이 뛰어난 임모화가를 육성하여 원작보존을 위해 ‘제2의 문화재’들을 제작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모사를 통한 회화문화재를 보존할 수 있도록 인식의 변화와 모사의 전문 인력을 양성할 경제적, 행정적 뒷받침이 따라야 할 것이다. 전문 화가를 발굴, 육성하여 과학적 관찰과 분석을 통한 우수한 모사제작은 원화를 보존하고 문화재를 재창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각필문헌의 보존방안 연구

        조영원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59

        문화재 보존은 원형을 보존하고 손상 원인을 제거하여 문화재의 수명을 늘려 그 가치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실제 보존처리 과정에서는 서지학적인 것 외에도 유물의 다양한 정보가 사라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다양한 학문의 연구와 기술의 연마가 필요하다. 종이의 발명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인류의 지식과 정보는 筆寫, 印刷 등의 형태로 기록되고 전달되어왔다. 이는 다른 재질의 문화재와 마찬가지로 후대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손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손상이 일어난 전적 문화재는 해당 유물의 상태에 맞는 방법으로 보존처리가 이루어진다. 그중에서 산성화된 종이를 탈산하고, 약화된 문화재를 강화하며, 수용성 오염을 제거하는 작업인 습식 클리닝은 전적 문화재의 재질 특성상 매우 민감한 작업과정이므로 신중하게 진행해야 한다. 특히 정보를 기록하는 필기 재료에 따라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에 적합한 보존처리를 진행해야만 기록을 유지·보존 할 수 있다.과거에는 선조들이 한문으로 쓰여진 불전 등을 읽을 때 더 쉽게 읽기 위하여 그 옆에 吐를 달았다. 이를 口訣이라 하는데, 點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며, 線 또는 文字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구결은 기입하는 도구에 따라 墨書 口訣과 角筆 口訣로 구분된다. 각필 구결의 경우 紙面을 단단하고 뾰족한 도구로 눌러서 기입한 자료이므로 먹이나 주 등과같이 肉眼으로 보이는 자료가 아니기에 보존처리 과정에서 소실될 위험성이 높다.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존처리 과정에서 각필 자료가 소실되지 않는 처리 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구결 및 각필의 정의, 종류, 특성 등을 알아보았으며, 이를 기반으로 각필을 제작하여 자료를 기입해보고, 보존 처리 과정에 따른 자료의 변화를 살펴보았다.먼저 각필 문헌의 보존처리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각필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필은 나무나 상아 등의 단단하고 뾰족한 도구를 말한다. 각필은 육안만으로 쉽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휴대용 조명이나 전용 각필 스코프를 사용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인지하지 못하고 넘어갈 수 있으며, 이 자료는 消滅·減少될 수 있다. 이처럼 각필의 특성을 파악하고 있어야 서지학적 정보를 소멸·감소시키지 않고 보존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대나무 소재의 실험재료를 뾰족하게 다듬어 각필을 제작하였고, 각필 자료를 기입하여 실제 보존처리 과정에 따른 자료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첫째, 약화된 문화재의 강화뿐만 아니라 오염 제거 등의 목적을 위해 클리닝을 진행하게 되는데 각필 자료가 기입되어 있는 경우 자료의 특성상 수분에 노출이 되면 소멸도가 없는 경우는 없으므로 유물의 상태가 양호할 시 건식클리닝으로 오염은 제거하되 습식클리닝은 진 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 상태가 양호하지 못할 때, 즉 유물 자체가 소실될 정도로 상태가 심각한 경우에는 미세분사스프레이와 같이 최소한의 수분으로 최소한의 클리닝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둘째, 종이의 특성상 수분에 노출된 후 건조하는 과정에서 수축·팽창하게 되고 지면에 눌러서 기입한 각필 자료의 특성상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이에 대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 건조를 진행할 때는 자연 건조하거나 최대한 압력을 주지 않고 건조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셋째, 최근에는 원형 유지의 중요성의 이유에서 거의 진행하지 않고 있으나 과거에는 전적 문화재를 보존 처리할 때 배접이 보편적으로 진행되었다. 각필 자료가 기입되어 있는 문헌의 경우 배접을 할 시에 소멸도가 어떤지 실험한 결과 종이 재질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긴 했으나 모든 재질의 종이에서 해당 위치에 존재함을 모를 때엔 안 보일 정도 또는 모두 소멸되는 등의 높은 소멸도를 보였고, 각필 문헌의 경우 배접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위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각필 문헌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특성에 맞는 즉, 각필 자료라는 서지학적 정보를 소멸시키지 않고 보존 처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전적 문화재를 보존 처리함에 있어 각필 구결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존재할 시에 이에 맞는 계획을 수립하여 처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aims to maintain the original form, extend the lifespan, and preserve the value of cultural artifacts by eliminating causes of damage. However, in the actual conservation process, there are often instances where various information about artifacts, beyond their bibliographic details, disappears. Therefore, continuous research across diverse disciplines and refinement of technological approaches are essential in the ongoing preservation efforts.The invention of paper has been a key medium for recording and transmitting human knowledge and informatio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n forms such as handwriting and printing. Similar to artifacts made of other materials, the transmission of this knowledge to future generations has often led to damage due to various causes. Cultural heritage with such historical damage undergoes preservation processes tailored to the specific conditions of the artifacts. Among these processes, wet cleaning, which involves deoxidizing acidified paper, strengthening weakened cultural artifacts, and removing water-soluble contaminants, is a highly delicate operation due to the sensitive nature of the materials in historical artifacts. In particular, the writing materials used to record information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so appropriate preservation treatment is required to maintain and preserve records. In the past, when our ancestors read Buddhist text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ey would put annotations next to them to make it easier to read. This is called a gugeol, which can appear in the form of dots, lines, or characters. Depending on the tool you use to write, there are two types of paragraphs: ink-written gugeol and kakpil gugeol. In the case of kakpil gugeol is written by pressing the surface of the paper with a hard, pointed tool, so they are not visible to the naked eye, so there is a high risk of loss during the preservation process. Therefore, in this paper, we conducted research to explore measures preventing the loss of kakpil during the preservation process. To do so, we examined the definition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nnotations kakpil and gugeol. Based on this understanding, we created kakpil and observed changes in the materials throughout the conservation process. To investigate conservation methods for kakpil, we conducted a study on annotations kakpil. kakpil refer to solid and pointed tools made from materials such as wood or ivory. Due to the difficulty of discerning kakpil with the naked eye, the use of portable lighting or dedicated kakpil scopes is necessary. Otherwise, these details might go unnoticed, and the information could be subject to disappearance or reducti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akpil is crucial for conserving bibliographic information without diminishing or losing it during the conservation process. Based on this, we crafted kakpil using experiment materials made from bamboo, finely honing them to a pointed shape. We then inscribed the kakpil with information and observed the actual changes in the data during the conservation process. Firstly, when conducting cleaning for purposes such as reinforcing weakened cultural artifacts or removing contaminant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f kakpil is present, exposure to moisture can lead to irreparable damage. Therefore, in cases where the artifact is in good condition, dry cleaning is preferable for contaminant removal, avoiding wet cleaning. When the artifact is not in good condition, and there is a risk of loss, minimal cleaning with minimal moisture, such as fine spray mist, should be undertaken. Secondly, due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paper, exposure to moisture and subsequent drying can cause contraction and expansion. This process can inevitably affect annotations inscribed by pressing on the surface. Our experiments showed that it is advisable to opt for natural drying or drying with minimal pressure when undergoing the drying process. Thirdly, while the practice of "baejeop" is almost obsolete today due to the importance of conserving the original, it was prevalent in the past when conserving cultural artifacts. Our experiments on the effects of "bajeop" on kakpil documents revealed varying outcomes depending on the paper material. However, in many cases, kakpil was not visible or entirely disappeared, indicating a high risk of los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baejeop" should not be applied to documents with kakpil. As outlined in this study, we hav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kakpil documents and explored ways to preserve them without erasing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inherent in kakpil. Going forward, in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it is crucial to recognize the potential existence of annotated documents and develop specific plans for their treatment when they are identified. This awareness is essential for ensuring the appropriate preservation of artifacts with kakpil, and proactive planning will be necessary in the conservation processes involving such materials.

      • 금속 문화재 복원제에 사용되는 필러의 적용성 연구

        이현지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43

        Scientific treatment for preserving damaged cultural properties is used to prevent further damage and recover deteriorated parts. Specifically, aynthetic resin with good durability primarily epoxy resin has been used in restoring metallic cultural properties. Filler is used when metallic cultural properties are restored for reason of easy work, convenient processing, improved unevenness on the surface with luster and securing safety in the process of coloring. Filler which is used most in restoring metallic cultural properties at present is micro-balloon and talc and kaolin are also used as filler when treating earthen or stony cultural properties. Brown micro-balloon which is filler is used with it mixed with adhesive. Brown micro-balloon is used most when preserving metallic cultural properties which have same color after restoration. White micro-balloon is used for various metallic materials such as iron, copper alloy and silver due to convenient treatment but has weakness that it is worse than brown micro-balloon in yellowing. When talc is used with it mixed with a small amount of adhesive, sedimentation of talc occurs over time due to its large grading though it is natural material which makes adhesive and talc separated. When talc is used with it mixed with a certain amount of adhesive, it can danger stability of cultural properties with weight of part to be restored placed to one side. Despite such weakness of fillers, lots of studies on fillers which are used in preserving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conducted but application of synthetic resin to restor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is study is to propose materials which allows weakness of three types of filler which are used at present to be supplemented and stability of cultural properties to be secured. Fillers to be compared in this study are two types of glass bubble and micro shell which are silica material to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fillers in terms of materials through optical study and experiment on property of such fillers. This study is to propose filler which can replace existing filler and to check applicability as material that can be used when preserving metallic cultural properties. The experiment conducted in this study is to check property of materials by measuring compressive strength, tensile strength, surface hardness, bonding strength, wear rate and specific gravity based on optical study, grading analysis and experiment on ultraviolet ray degradation. Grading analysis that is optical study revealed that the size of Micro Shell filler is about two times brown micro-balloon and is six times smaller than talc which allows this study to check easy mixture which is suitable for ratio of adhesive to filler. Experiment on ultraviolet ray degradation revealed that yellowing value of micro shell filler is 0.3 ∼ 2.5 times lower than white Micro-balloon, existing material which implies that Micro Shell filler is stable against ultraviolet ray. Experiment on properties revealed that selected three types of materials are better than white micro-balloon in terms of properties among three types of materials, Micro Shell filler showed the greatest effect. Compared with white micro-balloon, Micro Shell filler is better than white micro-balloon in compressive strength, bonding strength and wear rate when it is mixed with three types of adhesive and specific gravity of Micro Shell filler is higher than white micro-balloon but lower than 1.0 which is lighter than water which is easy in adjusting weight. Micro Shell filler among three types of fillers proposed in this study and produced based on natural material is light gray in color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materials with it mixed with adhesives and is easy for coloring after restoration. In addition, Micro Shell filler is easy in adjusting weight as medium grading of brown micro-balloon and talc which are existing materials and excellent in cutting force which can secure stability in forming and minimize secondary damage to surface of cultural properties. Experiment on ultraviolet ray degradation revealed that the level of Micro Shell filler is lower than white micro-balloon which implies that Micro Shell filler is suitable to lower fatigue degree because it allows reprocessing of cultural properties to be extended. When such results are considered in a comprehensive way, it was revealed that Micro Shell filler is better than fillers which are used currently in preserving metallic cultural properties in terms of properties and stability and it can replace existing materials. 손상된 문화재는 과학적인 보존처리를 통하여 추가적인 훼손을 방지하고, 취약한 부분을 복원, 손상된 문화재를 유지한다. 그 중 금속 문화재 보존처리 시 복원 과정에서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를 사용하며, 주로 에폭시 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원액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작업의 용이성과 편리한 가공성, 광택에 의한 표면 이질감 개선, 고색처리 과정에서의 안정성 확보 등의 이유로 필러를 첨가한다. 현재 금속 문화재 보존처리 시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필러는 Micro-balloon이며, 이 외의 도토기 및 석재 문화재 보존처리 시 탈크, 카오린 등의 필러가 사용되고 있다. Micro-balloon 갈색은 현재 주로 접착제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필러로서, 복원 후 색상이 유사한 철제 유물의 보존처리 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백색은 고색 처리의 편리성으로 철제, 동합금제, 은제 등 다양한 금속 재질에 적용되어지고 있지만 갈색에 비해 황변 현상이 가속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탈크는 천연 재료이지만 입도가 크기 때문에 적은 양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서 탈크의 침강 현상이 발생되어 접착제와 탈크의 분리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일정량 이상의 접착제와 함께 사용될 경우 복원 부위의 무게가 한쪽으로 치중되어 유물의 안정성에 위험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필러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문화재 보존처리 시 사용되고 있는 필러에 대한 연구는 현재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접합 · 복원제인 합성수지에 대한 연구에 비해 적용성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3 종의 필러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고 유물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비교 필러는 실리카계 소재인 Glass bubble 2 종, Micro Shell 1 종을 선정하여 광학적 조사와 물성 실험을 통해 필러의 재료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금속 문화재 보존처리 시 복원 재료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기존 필러를 대체할 수 있는 필러를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은 입도분석과 자외선 열화 실험을 통해 광학적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압축 강도, 인장 강도, 표면 경도, 접착 강도, 마모율, 비중 측정을 하여 재료의 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광학적 조사인 입도 분석 결과 Micro Shell 필러의 입도 크기는 Brown Micro-balloon 보다 약 2 배 정도 높고, 탈크 보다 크기가 6 배 이상 작게 나타났기에 복원제와 필러의 비율에 알맞은 혼합의 용이함을 확인하였으며, 자외선 열화 실험 결과 기존 재료인 White Micro-balloon의 높은 황변도 값을 Micro Shell 필러가 최소 약 0.3 ∼ 최대 2.5 배 황변 현상이 낮은 수치로 나타나 자외선에 대한 재료적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물성 실험 결과 선정한 재료 3 종은 기존 재료인 White Micro-balloon 보다 우수한 물성을 나타냈는데 그 중 가장 좋은 효과가 나타난 것은 Micro Shell 필러이다. White Micro-balloon과 비교하여 Micro Shell 필러는 복원제 3 종에 혼합하였을 때 마모율, 압축 강도, 접착 강도에서 수치가 높게 측정되었으며, 비중 값은 3 종의 접착제에서 모두 Micro Shell 필러가 White Micro-balloon 보다 높은 수치로 나타났지만 1.0 보다 낮아 물보다 가벼운 것으로 중량 조절에 용이한 것이 확인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3 종의 필러 중 천연 재료를 기반으로 제조된 Micro Shell 필러는 색상이 연회색으로 접착제와 혼합하여 다양한 재질에 적용이 가능하고, 복원 후 고색 처리가 용이하였다. 또한 기존 재료인 Brown Micro-balloon과 탈크의 중간 입도로서 중량 조절이 간편하고, 절삭력이 우수해 성형과정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유물 표면에 2 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외선 열화 실험에서도 기존의 White Micro-balloon보다 낮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였을 때 Micro Shell 필러는 현재 금속 문화재 보존처리 시 사용되고 있는 필러보다 우수한 물성과 안정성을 확보한 재료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기존의 재료를 대체할 수 있는 금속 문화재 접합 · 복원용 필러로 판단된다.

      • 出土 紙類유물의 인문·자연과학적 분석과 보존처리방법에 관한 연구 : 사적 259호 禪源寺址 출토 紙類유물을 통하여

        임주희 용인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43

        매장문화재는 일반적으로 발굴을 통해서 출토된 문화재를 뜻하는 것으로 그 당시의 역사는 물론 문화 및 미술사상사적인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자료이다. 그러므로, 출토된 문화재의 과학적인 보존처리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는 사적 259호 선원사지 4차 발굴에서 출토된 지류유물들을 통해서 인문과학·자연과학적 분석을 하고 이를 통해 보존상황에 맞는 보존처리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번 발굴은 중세사 연구를 위한 학술발굴의 성격을 띠고 있는데, 이 유물을 통하여 연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류유물이 펼쳐볼 수 없는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보존처리 과정은 유물의 분리이고, 보존처리는 지류유물의 상태에 따라 분리방법을 달리하여 연구하였다. 건조한 상태의 지류유물중에서 경화정도가 약한 것은 Gore-Tex vichamber를 제작하여 분리하고 경화정도가 강한 것은 여과수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젖은 상태의 지류유물은 진공동결건조방법을 통해서 분리하였다. 이 방법들은 온·습도에 민감한 지류유물을 분리가 가능한 최적의 상태인 상대습도인 60-80%로 맞추면서 유물에 급작스런 변화를 주지 않고, 원형을 유지시키는 방법들이다. 특히 지류유물에는 많이 사용하지 않는 진공동결건조방법을 사용하였을 때, 마르면서 원형이 바뀌지 않았고 분리가 용이하였다. 따라서 지류유물의 분리에는 유물에 무리를 주지 않는 방법을 사용하여 적절한 온·습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였다. 출토 유물의 분류는 과학적인 분석과 보존처리과정을 통해서 가능하였다. 유물의 분류는 원형을 상실한 유물들의 원형보존을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문화재 보존은 인문과학과 자연과학이 공유된 학문이고, 그래서 보존처리는 보존처리자와 인문과학자 자연과학자간의 많은 정보를 서로 교환하는 협동 연구가 필요하다. 선원사지의 논란은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이번 유물의 탄소연대측정으로 시대를 추정 할 수 있었고, 인문과학적 분석을 통해 서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논란에 대해서는 이 논문에서 끝날 것이 아니라 각각의 분야에서 더욱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보존처리방법의 실제적 적용에 있어서도 절대적인 방법보다는 최선의 방법을 찾기 위해 더 많은 유물을 통해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In general, the buried cultural properties mean an excavated cultural properties. The history opens limitless possibilities in studies of the culture and of the aesthetics during certain phrase of the time. Therefore, science of conservation treatment possess great importance for excavated cultural properties. This study is on the cultural scientific and natural scientific analysis and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paper relics which are excavated in the 4th excavation of the historical spot No.259 Seonwon temple area. Particular excavated property extends correlations to studies of medieval period, and through this relics, the proposal for unlocking some of the problems in research was attempted. Due to the fixed condition of which one could not unfold the paper relics, it was decided that the optimal method of conservation treatment would be by means of separations. The separation process was conducted by sorting out the current state of the properties and applying the appropriate separation tools. Dry state relics were separated using Gore-Tex chamber and ones in more expirated and critical conditions were separated through the filtrated water. Wet state relics were separated through vacuum Freeze Drying method. This methods allows for the paper works to be separated at 60 - 80% RH and to be able to separated without sudden change due to the sensitivity of paper relics to sudden change in temperature and in humidity. Especially, the vacuum Freeze Drying method allowed for the materials to achieve its purpose without harming the state of the documents thus making the separation process easy. Furthermore, it was critical for ones to achieve appropriate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in separating relics in wet state. The relics were able to be separated through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The separation method allowed for damaged relics to recover its original form without further altering current state.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s a study that is linked between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Therefore, conservation process requires for co-reaserch and information-sharing between the scientists from both studies. The debate on Seonwon temple continues even today. The presumption of the time period was possible though C14 dating of these relics and social analysis of a style of writing form and callygraphy. The debate on the proposed thesis does not provide conclusive result but opens more possibilities and emphasis on the need for in-depth research in related fields. The application of conservation treatment should not only concentrate on achieving absolute method but needs continued insertion of need for optimal method through in depth studies in other relics.

      • 가죽 문화재 표면 처리제 특성 연구

        유수정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43

        Considering the aging and deterioration of leather objects, the typical form that occurs is hardening due to a decrease in flexibility, making it hard or brittle. If this condition continues cracks, splits, peeling, strength decreases and tearing or cuttingoccurs. This condition is because collagen bonds are broken and flexibility is reduced due to loss of moisture and fat. This conditionmanily comes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with factors such as humidity, temperature, light, oxygen, pH and air pollution. In order to treat the decrease in flexibility, which is deterioration phenomenon, a stabilization process is required using surface treatments, softeners, conditioner, consolidants, surface coating. However there is a lack of prior cases or research using surfacetreatments in the conservation of leather obje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treatments used in the conservation treatment process of eather objects and to find applicable surface treatments. It also aims to propose a method tha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by using two surface treatments mixed or separately. Natural cowhide specimens were made, and applied by selecting four types of surface treatments from oils and waxes (NYPL leather dressing, Polymerized oil, SC6000, Ester wax), one type of oil and wax mixture, and two types of synthetic resins (klucel G, Cellugel).It was applied after 96 hours of artificial aging of heat. After application, deterioration was observed for 48, 96, 144, 192, and 240 hours, and two types of surface treatments (Klucel G+NYPL leather dressing, Kucel G+polymerized oil, Klucel G+SC6000) were mixed and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So, six more methods were selected and tested in the same wa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treatments were studied using the results through visual observation, microscopic observation, chromatic measurement, flexibility measurement, and contact angle measur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Klucel G of synthetic resin showed the best results in dimensional change, color difference, and flexibility, and showed improved flexibility immediately after application. Cellugel showed similar results, but the change in flexibility was significant after 192 hours of artificial aging. Oil-based polymerized oil has shown results in maintaining flexibility over a long period of time. In the case of NYPL dressing, it showed the highest results in the color difference, but as shown in the contact angle measurement, it had high hydrophobic property, showing a high waterproofing effects. In the case of SC6000, its role as a coating agent was clearly shown in microscopic observations and contact angle measurements, and when mixed with Klucel G, improved results in color difference and flexibility were obtained. In the case of ester wax, although there is a large change in size and color, it shows results in maintaining flexibility stably after deterioration, so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color of leather artifac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oil and wax mixed treatment, a thin film was observed in the beginning and a change in flexibility was observed like a wax-based treatment agent, but as deterioration progressed, flexibility was maintained stably like an oil-based treatment agent. Experiments with mixed application of surface treatments showed positive results with mixed use. It reduced the colour difference compared to the sole use. In terms of application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wo surface treatments were more effective in terms of flexibility when applied separately and at different times than when mixed. Finally, the flexibility-enhancing surface treatment did not show the properties of a coating to protect the surf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using a coating after using a surface treatment to enhance flexibility. 가죽 문화재의 대표적인 열화 현상은 유연성 저하로 인한 경화 현상이 나타나면서 단단해지거나 부서지기 쉬운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박락이 발생하며 강도 저하로 이어져 찢어지거나 절단 현상이 일어난다. 그 원인은 콜라겐 단백질 결합이 끊어지고, 수분과 유지의 손실로 유연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주로 환경적인 영향에서 오는데 습도, 온도, 빛, 산소 pH, 대기오염 등이 요인이 된다. 대표적인 열화 현상인 유연성 저하를 저지하고 저하된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유연제, 윤활유, 강화제, 표면코팅제와 같은 표면 처리제를 사용하는 보존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가죽 문화재의 보존에서 표면 처리제를 사용한 선행 사례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가죽 문화재 보존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의 물리적인 특징을 연구하여 적용 가능한 표면 처리제를 찾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두 가지 표면 처리제의 혼합 방식을 통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데 있다. 표면 처리제를 유지와 왁스류에서 4종(NYPL leather dressing, Polymerized oil, SC6000, Ester wax), 오일과 왁스 혼합제 1종, 합성수지에서 2종(Klucel G, Cellugel)를 선정하였다. 천연 소가죽 시편을 제작하여 96시간 열화 후에 도포하고 다시 48, 96, 144, 192, 240시간 열화를 시킨 후 관찰하였고, 이후 결과에 따라 2가지 표면 처리제(KlucelG+NYPL leather dressing, Klucel G+polymerized oil, KlucelG+SC6000)를 혼합하여 사용하여 6가지 다른 방법을 더 선정해 같은 방식으로 실험 후, 육안 관찰, 현미경 조사, 색도, 유연성, 접촉각 측정 을 통해 처리제의 특성을 연구하였다.실험 결과, 합성수지의 Klucel G가 치수의 변화, 색차, 유연성 평가에서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도포 후에 유연성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Cellugel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지만, 192시간 이후에는 유연성의 변화 구간이 크게 나타났다. 오일 계열의 Polymerized oil은안정적으로 유연성을 유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NYPL dressing의 경우, 색차 부분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지만, 접촉각 측정에서 보이듯 소수성이 높아 방수 효과가 높은 특성을 나타냈다. SC6000의 경우 현미경 조사나 접촉각 결과에서 코팅제의 역할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Klucel G와의 혼합 사용에서 색차, 유연성에서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에스테르 왁스(Ester wax)의 경우, 치수의 변화와 색의 변화가 크지만, 열화 후에 유연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결과를 보여, 가죽유물의 색에 따른 적용을 검토해야 한다. 오일과 왁스 혼합 처리제에서 초반에는 왁스 계열의 처리제와 같이 얇은 막이 관찰되고 유연성의변화를 보였지만,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오일 계열의 처리제와 같이유연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였다.표면 처리제의 혼합 적용 실험에서 혼합 사용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색차를 감소시켰다. 유연성에서 변화 구간이 없어지고 유연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또한, 적용 방법에 있어서 혼합 사용 시 두 가지의 처리제를 섞어서 사용하는 것보다 2개의 표면 처리제를 시간차를 두고 따로 도포하였을때 유연성 부분에서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보여줬다.마지막으로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표면 처리제에서는 표면을 보호할수 있는 코팅제의 특성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유연성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표면 처리제 사용 후에 코팅제를 사용하는 것을 검토해 볼필요가 있다.

      • 서화문화재 보존처리에 이용하는 풀가사리의 기능성 연구

        임인경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서화문화재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뿐 아니라 제작에 사용된 재료, 양식 등 다양한 자료를 포함하고 있는 귀중한 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현재 전래된 서화문화재는 유기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제작된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수축과 팽창, 수분의 영향에 의한 곰팡이 및 유해생물에 의해 소멸되어 박리, 박락, 균열 등의 상태로 훼손되어져 있다. 훼손된 서화문화재의 보존처리작업에는 화면보호조치 작업이 우선적으로 행하여지며 작업에 사용된 접착제는 가역성의 문제이외에도 문제점이 발생되면 원형 복원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선택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접착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예로부터 접착제나 식용 및 한약제 등 실생활에 다방면으로 사용된 풀가사리의 활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기존에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소맥전분 풀의 제작기법과 접착제로서 활용법 등과 풀가사리를 이용한 접착제의 가공방법을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소맥전분 풀과 풀가사리 접착제를 상호 비교분석하여 장, 단점을 제시하였다. 우선 풀가사리와 소맥전분의 pH와 염도 측정 결과 풀가사리는 염도 0∼0.2%, pH6.29∼6.61, 소맥전분은 염도 0%, pH5.15∼6.05가 측정 되었다. 풀가사리는 염도가 측정되는 반면, 중성을 띄고 있었고, 소맥전분의 경우 약산성을 띄나 염도는 측정되지 않았다. 풀가사리와 소맥전분과의 접착력 비교실험결과 풀가사리(냉수가공)의 측정값(N/25mm)이 0.82∼2.55, 풀가사리(온수가공) 1.17∼2.79, 소맥전분은 2.10∼3.85이 나타나 결과적으로 풀가사리(냉수가공) < 풀가사리(온수가공) < 소맥전분의 순으로 접착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풀가사리로 제작된 접착제는 같은 농도의 소맥전분 풀보다 접착력이 약하며, 온수가공으로 제작된 풀가사리 접착제가 접착력이 강함을 알 수 있었다. 풀가사리와 소맥전분과의 가역성 비교를 위한 세척 후 접착력 변화 측정값(N/25mm)은 풀가사리(냉수가공) 0.12∼0.66, 풀가사리(온수가공) 0.70∼2.51, 소맥전분 2.03∼3.38이 나타나 소맥전분 < 풀가사리(온수가공) < 풀가사리(냉수가공)의 순으로 변화의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맥전분과 온수가공한 풀가사리 접착제의 경우 세척 후에도 접착력이 남아있는 반면 냉수가공한 풀가사리의 경우 물에 쉽게 씻겨나가 서화문화재보존처리에 완전한 제거를 전제로 한 임시적인 접착에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연도 측정결과 동일 농도의 조건에서 저장탄성율(MPa)이 풀가사리(냉수가공) 5127∼6674, 풀가사리(온수가공) 5436∼7138, 소맥전분 6685∼8011이 나타나 결과적으로 풀가사리(냉수가공) < 풀가사리(온수가공) < 소맥전분의 순으로 측정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측정값은 유연도와 반비례함으로 비슷한 농도에서는 소맥전분보다 풀가사리가 유연도가 좋으며, 냉수가공한 풀가사리가 가장 유연도가 낫다고 할 수 있었다. 미생물 열화실험 결과 풀가사리(온수가공) < 풀가사리(냉수가공) < 소맥전분의 순으로 변화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소맥전분의 경우 곰팡이의 생육이 활발하였으나 풀가사리의 경우 곰팡이의 생육이 나타나지 않았고, 온수가공으로 제작한 풀가사리 접착제는 가장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백색도 측정결과 소맥전분 < 풀가사리(냉수가공) < 풀가사리(온수가공)의 순으로 측정값의 변화가 나타났다. 소맥전분풀이 원래의 색에 비해 적은 변화 값이 도출되었고, 풀가사리는 냉수가공한 풀가사리보다 온수가공한 풀가사리의 경우 더 진한 색을 띄고 있음이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풀가사리 중 시판되는 한 가지만을 선택하여 전체를 대신한 부족함과 검출된 물성에 대한 보다 세분된 분석을 진행하지 못한 실험의 한계가 있었다. 또한 서화문화재 보존처리에 사용한 재료는 가역성이 있다 할지라도 잔류되는 물질이 주변 환경과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진행하지 못하였다. 풀가사리 접착제가 서화문화재 보존처리재료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보다 세부적인 열화관련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s valuable legacy including versatile materials, not only age circumstances but also used materials and patterns. Currently inherited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s composed of organic substances when influenced by surrounding environment contract and expand as long time passes by. It is in deteriorating condition showing desquamation, exfoliation and cracks, becoming extinct by noxious organisms and fungus influenced by moisture. For damaged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conservation handling works, screen protection measure is conducted preferentially and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election since glue used in operation can not be restored to original figure when problems other than reversibility issue arise. This paper recognizes significance of such glues and we centered our research on applicability review of Gloiopeltis tenax used as glue, food and medicinal herbs in various practical lives of people.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we compared and organized glue manufacture process utilizing Gloiopeltis tenax against conventionally used wheat starch glue manufacture technique and utilization of this as glue. Also we came up with good and bad sides of wheat starch glue and Gloiopeltis tenax glue after mutual comparison analysis. According to pH salinity measurement results of Gloiopeltis tenax and wheat starch, salinity of Gloiopeltis tenax was 0~0.2%, pH 6.29~6.61, and salinity of wheat starch was 0%, pH 5.15~6.05. while salinity of Gloiopeltis tenax was measurable, it was neutral and for wheat starch salinity level was unmeasurable though it showed slight acidity. For the comparative experiment of adhesion strength of Gloiopeltis tenax and wheat starch, the measured value for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N/25mm) was 0.82~2.55, 1.17~2.79 for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and 2.10~3.85 for wheat starch. Consequently adhesion strength was in the following order :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 Gloiopeltis tenax( warm water process) < wheat starch. Through this experiment, we came to know Gloiopeltis tenax adhesives have less adhesion strength than wheat starch of same concentration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warm water showed higher adhesive quality. Adhesive strength variation measurement after cleaning for reversibility comparison between Gloiopeltis tenax and wheat starch was 0.12~0.66 for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0.70~2.51 for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and 2.03~3.38 for wheat starch, indicating higher variation gap in the following order: whear starch <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Some adhesive strength could be found after cleaning in the case of wheat starch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warm water. However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cold water proved to be applicable for temporary adhesion , being able to be easily washed to provide complete removal of the adhesion as pre-requisite for preservation process of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For flexibility measurement, under same concentration condition, storage modulus (MPa) for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was 5127~6674, 5436~7138 for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and 6685~8011 for wheat starch. Consequently the measurement result was in the following order: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 wheat starch. Measurements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flexibility. So under similar concentration condition, Gloiopeltis tenax is more flexible than wheat starch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cold water ranked highest in flexibility. Micro organism degradation experiment results was in the following order with the latter showing more variation: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 wheat starch. In case of wheat starch, fungus growth and development was brisk. However In Gloiopeltis tenax case, no fungus was detected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cold water maintained most balanced. For whiteness index measurement, the result was in the following order: wheat starch <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Compared with the original color, wheat starch showed less variation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warm water showed darker colors in comparison with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cold water. This paper had experimental limitations, being unable to conduct more departmentalized analysis on the detected property of the matter and selecting only one Gloiopeltis tenax out of various Gloiopeltis tenax currently in use to represent all Gloiopeltis tenax adhesives. Also even if the materials used for preservation process of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shows reversibility, we failed to conduct stability issue of surrounding environment and residues. For utilization of Gloiopeltis tenax as preservation process materials for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more detailed heat-relate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supplement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