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硏究開發投資와 技術經營能力이 中小벤처企業의 經營成果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송옥원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의 관건이 되는 기술경영능력의 핵심요인과 연구개발투자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다각도로 밝혀보고 또한, 기술경영능력의 핵심요인과 경영성과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개발투자의 물적자원투자는 기술경영능력인 기술프로세스와 기술리더십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고, 연구개발투자의 인적자원투자는 기술경영능력인 기술인적자원관리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소벤처기업의 경영성과인 재무성과에는 기술경영능력인 기술프로세스와 기술리더십이 크게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소벤처기업의 경영성과인 제품경쟁력향상성과에는 기술경영능력인 기술인적자원관리가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벤처기업의 재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개발투자의 물적자원투자를 높이고 이에 따른 연구개발 전략을 단기, 중기, 장기로 구별하여 체계화된 기술표준화를 수립하고, 연구개발 진행 과정에서 중간평가와 더불어 평가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실시하는 기술프로세스를 정착해야 한다. 또한, 원활한 연구개발 추진을 위해서는 연구개발 책임자에게 명확한 책임과 권한을 부여하여 기술리더십이 발휘될 때 재무성과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중소벤처기업의 제품경쟁력향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개발투자의 인적자원투자를 하여 연구개발 성과에 따른 차등 인센티브 보상체계와 정기적인 기술교육훈련 실시, 유관 사업부문간에 상호 업무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술인적자원관리가 수반될 때 제품경쟁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개발투자를 높이면 반드시 경영성과가 개선될 것이라고 믿고 있는 대다수 중소벤처기업의 CEO 및 연구개발 책임자에게 보다 중요한 것은 연구개발투자 보다는 기술경영능력이며 기술경영능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연구개발투자를 높이는 것은 오히려 기업성장에 악 영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with various angle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OT(Management of Technology) capability and R&D Investment Key factors to technical innovation of SM (Small & Medium) venture enterprise, and also attempted to have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 between MOT capability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results of study are as below. First, the study showed that R&D capital and operating budget of R&D investment affected positive significance to technical process and technical leadership in MOT capability of enterprise, and the staffing budget of R&D investment as well affected positive significance to R&D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MOT capability of enterprise. Second, it being noticed very significance to technical process and technical leadership in MOT capability of financial performance in management performance of SM venture enterprise Third, it could be noticed R&D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MOT capability of enterprise affected major significance to enhancement of Product competitiveness in management performance of SM venture enterprise. The implications of this rescarch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SM venture enterprise, it requires increased R&D capital and operating investment and in the subsequent R&D strategy, to establish structured technical standard based on short-term, middle-term, long-term and in the course of R&D, for which a technical process of being interim appraisal as well as feed-back against appraisal result has to be settled down in this respect. Also, for the smooth R&D work, it being verified the financial performance improvement when the technical leadership could be exercised through clear delegation of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in favor of researcher. Second, the study showed that in order to improve product competitiveness of the SM venture enterprise, it requires to allocate enough staffing budget with establishing differential incentive compensation system and provide regular technical training together with accompanied R&D human resource management to realize management link between related managementes under the condition of which product competitiveness could be improved Accordingly, most of the CEO and head of R&D in SM venture enterprise who believes Increased R&D investment is to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but what is more important is MOT capability rather than R&D investment Therefore it has significance to have verified the fact that the increased R&D investment in the lack of MOT capability may provide adverse effect to the growth of the company,

      • 한국 반도체 소부장기업 CEO특성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동적역량의 매개효과 및 기술이전의 조절 효과

        이한기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75

        한국 반도체산업은 지난 40여 년간 눈부신 성장을 통해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반도체 생산국으로 성장하였고, 이러한 한국 반도체산업의 성공에는 대기업 반도체 제조기업과 소부장기업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 침체 영향과 자원산업의 SCM 붕괴 및 G2(미·중) 경제패권 경쟁 여파 등 악재의 가중 속에서 국내 반도체 제조업체와 소부장기업들은 다시금 생존 차원의 돌파구를 찾지 않으면 안되는 현실에 처해 있다. 이렇게 급변하는 산업환경의 변화 속에서 기업이 생존하고 또 성장해 가는 데는 기업의 최고경영자의 역량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기업의 내부역량의 강화도 역시 간과할 수 없는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도체 소부장기업을 대상으로 CEO의 특성이 기업의 동적역량의 매개효과와 기술이전의 조절효과를 통해 어떻게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CEO특성과 동적역량, 기술이전 효과 및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검증할 수 있는 요소를 도출하여 반도체 소부장기업의 CEO와 전문경영인 및 임원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를 2022년 7월 11일부터 8월 30일까지 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159부의 유효한 설문을 회수하였다. 본 통계는 SPSS 28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SmartPLS 4.0(v.4.0.8.5) 구조방정식 모델링 프로그램으로 가설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모형은 CEO특성 및 동적역량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로 구성하였으며, 경영성과를 재무성과와 종업원만족도의 2가지 관점에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모형 1] CEO특성-동적역량-경영성과(재무성과) 첫째, 반도체 소부장기업 CEO의 기업가정신 중 위험감수성은 기업의 동적역량 중 적응역량과 혁신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흡수역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혁신성은 동적역량의 적응역량, 흡수역량과 혁신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반도체 소부장기업 CEO의 경영자역량 중 네트워크와 기술적능력 역량은 적응역량과 흡수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혁신역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창의성은 혁신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적응역량과 흡수역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반도체 소부장기업의 CEO특성인 기업가정신 중 위험감수성과 혁신성은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반도체 소부장기업의 CEO특성인 경영자역량 중 기술적능력, 네트워크 역량, 창의성은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반도체 소부장기업의 동적역량 중 흡수역량은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적응역량과 혁신역량은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반도체 소부장기업의 CEO특성인 기업가정신 중 위험감수성과 혁신성은 기업의 동적역량인 적응역량, 흡수역량, 혁신역량을 매개로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일곱째, 반도체 소부장기업의 CEO특성인 경영자역량 중 네트워크 역량은 기업의 동적역량인 흡수역량을 매개로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기술이전의 조절효과는 반도체 소부장기업 CEO의 경영자역량 중 기술적능력이 혁신역량을 매개로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데 기술이전을 받은 업체와 받지 않은 업체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 2] CEO특성-동적역량-경영성과(종업원만족도) 아홉째, CEO의 기업가정신 중 위험감수성은 기업의 동적역량 중 적응역량과 혁신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흡수역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혁신성은 동적역량의 적응역량, 흡수역량, 혁신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열째, CEO의 경영자역량 중 네트워크와 기술적능력은 기업의 동적역량인 적응역량과 흡수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혁신역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창의성은 혁신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적응역량과 흡수역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열한째, CEO의 기업가정신 중 위험감수성은 종업원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혁신성은 종업원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열두째, CEO의 경영자역량 중 기술적능력은 종업원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네트워크와 창의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열셋째, 기업의 동적역량 중 혁신역량은 종업원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적응역량과 흡수역량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열넷째, CEO의 기업가정신 중 위험감수성은 기업의 동적역량인 혁신역량을 매개로 종업원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열다섯째, CEO의 경영자역량 중 창의성은 기업의 동적역량인 혁신역량을 매개로 종업원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열여섯째, 기술이전의 조절효과는 CEO의 경영자역량 중 기술적능력이 혁신역량을 매개로 종업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기술이전을 받은 업체와 받지 않은 업체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가설검증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반도체 소부장기업 CEO의 특성인 기업가정신과 경영자역량이 기업의 동적역량의 매개효과와 기술이전의 조절효과를 통해 기업의 재무성과와 종업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제공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소·중견 규모의 반도체 소부장기업이 급변하는 반도체 생태계 내에서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 앞으로 전개해 나가야 할 전략의 방향성에 대해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었던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Korean semiconductor industry has grown to become the world's second-largest semiconductor producer after the United States through remarkable growth over the past 40 years. However, domestic semiconductor manufacturers and MPE companies are faced with a reality in which they have to find a breakthrough in order to survive again in the midst of increasing negative factors such as the impact of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the collapse of SCM in the resource industry, and the aftermath of the G2 (China-US) strategic competition for economic supremacy. The competency of the CEO of a compan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a company to survive and grow in the rapidly changing industrial environment,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company's internal competency is also a factor that cannot be overlook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verify how the CEO's characteristics affect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mpany's dynamic capabiliti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y transfer, targeting semiconductor MPE companies. Through previous research, factors that can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characteristics, dynamic capabilities, technology transfer effects, and management performance were deriv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CEOs and professional managers and executives of semiconductor MPE compsnies. For this surve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a total of 200 people from July 11th to Aug. 30th, 2022, and finally 159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thes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analyzed using SPSS 28, and hypotheses were verified with SmartPLS 4.0 (v.4.0.8.5),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rogram. In this study, the research model was compose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characteristics and dynamic capabilit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was verified from two perspectives: financial performance and employe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Research Model 1] CEO Characteristics - Dynamic CapabilitIies - Business Performance (Financial Performance) First, the risk-taking among the entrepreneurship of CEOs of semiconductor MPE compan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daptive and innovative capabiities among the dynamic capabilities of the company,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absorptive capabilities. Innovative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adaptive capabilities, absorptive capabilities, and innovative capabilities of dynamic capabilities. Second, network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of CEO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aptive and absorptive capabilitie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capabilities, and creativity of CEO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capabiliti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adaptive capabilities and absorptive capabilities. Third, risk-taking and innovative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Fourth, technological capabilities, network capabilities, and creativity of CEO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Fifth, the absorptive capabilities of CEO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while the adaptive and innovative capabiliti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Sixth, risk-taking and innovative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through adaptive capabilities, absorptive capabilities, and innovative capabilities. Seventh, the absorptive capabilities significant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financial performance. Eighth,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y transfer, it was found that technology transfer makes CEOs' technological capabil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ve capabilities and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mpanies that received technology transfer and those that did not. [Research Model 2] CEO Characteristics - Dynamic Capabilities - Business Performance (Employee Satisfaction) Ninth, risk-ta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aptive capabilities and innovative capabilities,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absorptive capabilities. Innovative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daptive capabilities, absorptive capabilities, and innovative capabilities. Tenth, CEO's network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aptive capabilities and absorptive capabilities,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capabilities, and crea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capabilities,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adaptive capabilities and absorptive capabilities. Eleventh, risk taking and innovative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satisfaction. Twelfth, CEOs' technological capab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satisfaction, while their network and creativ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satisfaction. Thirteenth, innovative capab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satisfaction, while adaptive capabilities and absorptive capabilitie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satisfaction. Fourteenth, it was found that innovative capabilities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taking and employee satisfaction. Fifteenth, it was found that innovative capabilities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employee satisfaction. Sixteenth,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y transfer, it was found that technology transfer makes CEOs' technological capabil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ve capabilities and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mpanies that received technology transfer and those that did not. As described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hypothesis verification provided empirically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CEOs of semiconductor MPE companies on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and employee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mpany's dynamic capabiliti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y transf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able to suggest a direction for small and medium-sized semiconductor MPE companies to develop for their survival and growth in the rapidly changing semiconductor ecosystem.

      • 공기업 R&D조직에서 서번트 리더십이 기술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구성원의 성숙도를 조절변수로

        하홍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그동안 일방적 지시‧통제를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 리더십이 보편적인 공기업에, 최근에 리더십 연구자로부터 관심을 끌고 있는 서번트 리더십이 공기업 부설 R&D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연구를 토대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하기 위하여 한국철도공사 철도연구원 및 연구원에 근무한 경력이 있는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에 대해 크게 두 가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Spears의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 행동특성 10가지는 회귀분석에서 기술경영성과 4가지, 즉 연구역량의 기반구축, 연구역량의 대외 신인도 향상, 핵심 운영기술의 확보, 지적자산의 증대 각각에 대해 정(+)의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서번트 리더십은 지적자산의 증대(β=.56), 연구역량의 기반구축(β=.51), 핵심 운영기술 의 확보(β=.46), 연구역량의 대외 신인도 향상(β=.44) 순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절변수로 설정한 구성원의 성숙도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에서 조절작용이 없거나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공공분야에 대한 정부의 R&D 투자규모가 절대적으로 증대하고 있는 시점에서 공기업의 부설 R&D조직에서 서번트 리더십과 기술경영성과와의 유효성을 직접적으로 연구한 데 그 의의가 있다.

      • 벤처기업 CEO의 기술역량 및 경영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업계획 타당성 및 제품차별화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노재욱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75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venture business CEO’s technology and management capabilities affect business performance; where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 majors account for 80% of all Korean venture CEOs, and how CEO’s capabilities interact and affect a company’s business plan and product differentiation; both crucial management activity for corporate growth. For verification purposes, first we analyzed the influence between venture CEO’s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the company’s business performance. Second, we analyzed the influence between venture CEO’s management capability and business performance. Third, we analyzed whether there is an effect of adjusting the validity of the business plan between the venture CEO’s management capability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And last, we analyzed whether there is an effect of adjusting the validity of product differentiation between the venture CEO’s management capability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firstly, the technology knowledge capacity of the CEO of the venture compan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verage sales amount, and not to be noted, the technology knowledge capacity of the CEO of the venture company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verage operating profit. And the technology experience capacity of venture company CEOs was verifi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average sales and average operating profit. Secondly, the ability of a venture company CEO to manage human resources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average sales and average operating profit, while the will of a venture CEO and the capacity to complete a project also have a positive impact on average sales and average operating profit. Third, there is a business plan validity adjustment effect between the technology knowledge capacity, technology experience capacity, manpower management capacity, management will and average sales volume of a venture company CEO, and it is not significant that the business plan is not feasible between the technology knowledge capacity, technology experience capacity, manpower management capacity, management capacity, and average operating profit of a venture company CEO. Fourth, there is an adjustment effect of product differentiation between the technology knowledge capacity of the CEO of a venture company, the manpower management capacity and average sales amount of the venture company, and it was verified that there is no adjustment effect of product differentiation between the technology experience capacity of the venture company CEO, the business will and the average amount of the business, and the technology experience, the manpower management capacity of the venture company CEO, and the value of the business was not significant. What this research suggests is that a CEO's technical skills and management skills are important factors in corporate performance, given that a CEO's ability to manage a venture company has a positive impact on his or her business performance. And since there is no effect of adjusting the validity of the business plan between the ability of the CEO of a venture company and the ability of management and the average operating profit, the Korean venture company is vulnerable to cost management and operation management. Finally, the part where the technical knowledge and manpower management capabilities of venture company CEOs and the two capabilities have been proven to be the adjustment of product differentiation between average sales is not consistent in research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본 연구는 공학과 자연과학을 전공한 벤처기업 CEO가 전체 CEO 중 80%를 차지하는 우리나라 벤처 생태계에서 벤처기업 CEO의 기술 역량과 경영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기업 성장을 위해 중요한 경영 활동인 사업계획과 기업 마케팅의 비교 우위 요소인 제품차별화가 CEO의 기술 역량과 경영역량과 상호작용하여 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해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검증을 위하여, 첫 번째로 벤처기업 CEO 기술 역량과 경영성과 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고, 두 번째로 벤처기업 CEO 경영역량과 경영성과 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세 번째로 벤처기업 CEO 기술 역량 및 경영역량과 경영성과 사이에서 사업계획 타당성의 조절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고, 네 번째로 벤처기업 CEO 기술 역량 및 경영역량과 경영성과 사이에서 제품차별화의 조절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검증결과를 보면, 첫 번째로 벤처기업 CEO의 기술지식역량은 평균매출액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유의하지 않아 벤처기업 CEO의 기술지식역량은 평균영업이익에 정(+)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벤처기업 CEO의 기술경험역량은 평균매출액과 평균영업이익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두 번째로 벤처기업 CEO의 인력관리역량은 평균매출액과 평균영업이익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벤처기업 CEO의 경영 의지 및 사업수완역량도 평균매출액과 평균영업이익에 정(+)의 영향을 준다. 세 번째로 벤처기업 CEO의 기술지식역량, 기술경험역량, 인력관리역량, 경영 의지 및 사업수완역량과 평균매출액 사이에서 사업계획 타당성의 조절 효과가 있으며, 유의하지 않아 벤처기업 CEO의 기술지식역량, 기술경험역량, 인력관리역량, 경영 의지 및 사업수완역량과 평균영업이익 사이에서 사업계획 타당성의 조절 효과가 없다. 네 번째로 벤처기업 CEO의 기술지식역량, 인력관리역량과 평균매출액 사이에서 제품차별화의 조절 효과가 있으며, 유의하지 않아 벤처기업 CEO의 기술경험역량, 경영 의지 및 사업수완역량과 평균매출액 사이에서 제품차별화의 조절 효과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유의하지 않아서 벤처기업 CEO의 기술지식역량, 기술경험역량, 인력관리역량, 경영 의지 및 사업수완역량과 평균영업이익 사이에서 제품차별화의 조절 효과도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것은 벤처기업 CEO 기술 역량이 좋으면 경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점, 벤처기업 CEO 경영역량이 좋으면 경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CEO의 기술 역량 및 경영역량을 기업성과에 중요한 요소임을 알려준다. 그리고 벤처기업 CEO 기술 역량 및 경영역량과 평균영업이익 사이에서 사업계획 타당성의 조절 효과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어 우리나라 벤처기업은 원가관리과 영업 관리가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벤처기업 CEO의 기술지식역량, 인력관리역량, 이 두 가지 역량만 평균매출액 사이에서 제품차별화의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된 부분은 연구의 일관성이 없어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 제약·바이오 기업의 경영전략 유형이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술혁신 활동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박세진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75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management strategi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in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on ESG evaluation ratings. ESG is widely used as an indicator of corporate sustainability.Previous research on management strategies,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nd ESG primarily focused on financial performance. There is limited research examining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non-financial performance. Accordingly, this study classified the management strategy types of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into Prospector strategy and defender strategy type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complex factors surrounding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and examined the impact on ESG evaluation ratings. Additionally, we examined whether companies’ innovation activities could be categorized as closed of open innovation for better control. We conducted an analysis on 90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that received an evaluation grade from the Korea ESG Standards Institute. The company’s management strategy score was derived from Fn Dataguid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patent information search servi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SG was analyzed us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The result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leading management strategy had a positive (+) effect on all grades of ESG integration (T), environmental (E), social (S), and governance (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open innovation activities have a negative (-) regulation effect in the impact of leading management strategies on integration (T) and social (S) ratings. Several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since leading management strategie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SG evaluation, companies should strive to improve their non-financial performance by establishing leading management strategies and reflecting ESG evaluation criteria well. Second, since open innovation activities have a negative control effect on ESG (T) and social (S) ratings, efforts should be made to minimize the impact of open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to prepare a response strategy according to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본 연구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지표로써 “ESG”가 활용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제약·바이오 기업의 경영전략 유형과 기술혁신 활동이 ESG 평가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영전략, 기술혁신 활동, ESG와 관련된 연구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의 연관성이나 ESG 성과지표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를 이루고 있으며, ESG 활동과 경영전략,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을 함께 고려하여 이 요인들이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제약·바이오 기업을 둘러싼 여러 복잡한 요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제약·바이오 기업의 경영전략 유형을 선도형과 방어형으로 구분하고, ESG 평가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기업의 혁신 활동을 폐쇄형 혁신과 개방형 혁신으로 세분화하여 조절작용을 할 수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한국 ESG 기준원의 평가등급을 받은 90개의 제약·바이오 기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Fn Data-Guide의 재무제표를 통 해 기업의 경영전략 점수를 도출하여 유형을 구분하고, 한국특허정보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술혁신 활동을 측정한 후 위계적 회귀모형을 통한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선도형 경영전략은 ESG 통합(T), 환경(E), 사회(S), 지 배구조(G) 모든 등급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도형 경영전략이 통합(T)과 사회(S)등급에 미 치는 영향에서 개방형 혁신 활동이 부(-)의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의 시사점을 제약·바이오 기업에게 제시할 수 있다. 선도형 경영전략은 ESG 평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기업은 선도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ESG 평가 기준을 잘 반영하여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개방형 혁신 활동이 ESG(T)등급과 사회(S)등급에 부정적인 조절작용을 보이고 있으므로 개방형 기술혁신 활동 추진함에 있어 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중소기업의 경영주역량, 기술혁신역량, 사업화역량 및 경영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동남권 제조, 건설 및 지식서비스 기업들을 중심으로

        진봉재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75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play a crucial role as follows as a core component of our nation's economy. Firstly, in many countries, SMEs act as a major source of employment and hold a significant portion of jobs in specific industrial sectors. Secondly, SMEs play an essential role in introducing new ideas and technologies to the market, thereby promoting innovation, enhancing productivity, and vitalizing the national and local economies. Thirdly, SMEs expand the range of choices for consumers by offering a variety of products and services. Finally, SMEs maintain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local communities, fostering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nd investments in these communities. However, SMEs face considerable constraints in resources, infrastructure, and establishing competitiveness compared to large corporations. In such an environment, they must possess unique and robust core competencies for continuous growth and sustaining competitiveness. Numerous studies have activel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MEs' core competencies, as management cap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business capability—on their performance. Existing research on the core competencies of SMEs primarily focuses on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or spirit on technological outcomes. However, such studies are limited in explaining a company's ultimate goal of sustainable growth. Consequently, this study, focusing on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knowledge service enterprises in the southeastern region, analyzed the impact of management cap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business capability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utilized corporate data from the Korea Credit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first half of 2023.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were employed for hypothesis testing.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anagement capability of SMEs has a positive impact on business capabilit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positively affects business capability,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dditionally, business capability positively influences financial performance, and a mediating effect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cap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manage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s essential for SMEs to achieve business success, with firms possessing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likely to gain a competitive edge in the market. Moreover, SMEs should focus on strengthening a combina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business capabilities for both short-term profits and long-term growth. Secondly,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cross different industrial sectors revealed that the key factors determining business performance vary by industry. In manufacturing,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s a crucial factor, while i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afe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capabilities are more important. For knowledge service companies, brand recognition and service quality are seen as essential for sustainable growth. Thirdly, an analysis based on the age of the enterprise showed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s vital for start-ups, whereas manage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are crucial for more established companies. This implies that for continuous growth, SMEs need to identify key competencies appropriate for their business tenure and growth stage, and develop strategies and implementation plans accordingly. Therefor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MEs shoul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in their industry sector and business performance. They should also accurately assess their position in their growth stage to establish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Additionally, governments and related agencies should take the lead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detailed policy support measure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SME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중소기업은 우리나라 경제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다음과 같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첫째, 중소기업은 많은 국가에서 중요한 고용 원천으로 작용하며, 특히, 제조업 산업 분야에서 고용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중소기업은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술을 시장에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혁신과 생산성 증대를 촉진하는 등 국가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셋째, 중소기업은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은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사회적 책임과 지역사회에 대한 투자를 통해 사회적 통합을 촉진시키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비교하면 자원, 인프라 및 경쟁력 확보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있으며, 이러한 환경에서 중소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들만의 독특하고 강력한 핵심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중소기업의 핵심역량 중 경영주역량, 기술혁신역량 및 사업화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들은 현재까지 활발히 수행되어 왔다. 기존 중소기업의 핵심역량에 관련한 선행연구는 경영자의 특성 혹은 기업가정신과 기술적 성과에 관한 영향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기업의 존재 목적인 지속가능한 성장과 수익 창출을 설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동남권 소재 제조, 건설 및 지식서비스 기업들을 중심으로 경영주역량, 기술혁신역량 및 사업화역량이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신용정보원의 2023년 상반기 기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1,786개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 다변량 통계분석 방법인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분석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의 경영주역량은 사업화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혁신역량은 사업화역량,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업화역량은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영주역량과 기술혁신역량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소기업의 사업적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경영주역량과 기술혁신역량 강화가 필요하고, 기술혁신역량을 갖춘 기업은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소기업은 단기적인 이익 추구와 함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기술혁신역량과 사업화역량을 결합하여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산업 분야별 구조적 영향 관계를 비교·분석한 결과, 각 산업 분야별로 경영성과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술혁신역량이 경영성과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제조기업과는 다르게 건설기업은 프로젝트 관리, 안전성 및 환경경영역량 등이 중요한 요인이며, 지식서비스기업은 브랜드 인지도나 서비스 품질이 지속가능한 성장의 핵심 요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업력별 구조적 영향 관계를 비교·분석한 결과, 창업기업은 기술혁신역량이 중요한 요인이고, 일반기업은 경영주역량과 기술혁신역량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중소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업경력과 성장단계에 맞는 핵심역량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전략과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들은 그들이 속한 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핵심역량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자신들의 성장단계에서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효율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나 관련 기관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분화된 정책적 지원방안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 정보통신기업의 신사업 추진 역량 강화를 위한 기술경영교육

        염현덕 高麗大學校 技術經營專門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9775

        국내 IT 서비스 기업들은 내수시장의 성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종 산업과의 융합과 다양한 신사업 발굴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신사업 및 신제품, 신서비스 개발과 관련된 직무 교육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신사업 추진에 필요한 역량 조사를 통해 기업의 신사업 개발 역량 육성을 위해 기술경영(MOT : Management of Technology)도입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사업, 신제품 개발, 신서비스 개발에 대한 이론적 정의, 프로세스(process), 활동(activities) , 성공요인(Success Factor) 그리고 기술 경영에 대한 이론적 정의, 연구영역, 역량에 대한 선행 연구를 조사하였고, A사의 사내 직무 교육 현황 분석과 신사업, 신제품 개발 담당자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신사업, 신제품, 신서비스 개발과 관련된 사내 직무 교육은 매우 미흡하였고, 신사업 개발과 신제품 개발에 필요한 역량으로 아이디어 발굴 및 평가, 시장(기술)조사, 사업 타당성 분석, 사업계획서 작성 역량이 공통적으로 도출되었다. 기술 경영 역량을 旣 확보한 ‘기술 역량’과 ‘업종별 기술 사업화 경험’을 바탕으로 필요 시 외부의 ‘사업 및 기술 역량’을 확보하여 적시에 목표 시장에 경쟁력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제공하는 역량’볼 때, 기존의 사내 직무 교육 상의 기술 교육은 분야별로 더욱 강화하되, 사업 기획 역량과 기술사업화 역량은 육성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각 사업의 추진 단계와 업종에 따라 맞춤형 기술 경영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 내 기술경영 교육을 개발함에 있어서 신사업의 추진 단계와 필요 역량을 진단하고 이에 맞는 기술경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특정 IT 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고 다양한 신규 사업의 진행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점, 필요 역량과 기술경영 교과목간의 상관 관계 분석으로 확장하지 못한 점에서 연구의 한계성을 갖는다. 향후 신사업 추진 단계에 따른 세부적인 기술경영 교육 체계와 커리큘럼에 관한 연구로 확장하면 기술 경영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더 나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친환경 건축자재 산업에서의 기술혁신을 위한 기술경영방법 적용에 관한 연구

        심현숙 한양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775

        세계 각 나라들은 기후변화와 에너지 문제에 대한 대응을 국정의 우선과제로 설정하고, 친환경 기술과 그린에너지 산업을 중점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건강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위한 친환경 건축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새집증후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축 마감재의 오염물질 방출량을 저감할 수 있는 성능등급 및 기준을 만들어 친환경 주거환경을 구축하는 데 노력해 왔다. 그 일환으로 친환경 건축자재에서 소량 방출되는 HCHO와 VOCs 까지도 저감하려는 노력과 기후변화로 인해 다습해지는 실내 공기환경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더해지면서 기능성 건축자재의 사용을 권장하는 신규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새로운 제도 시행과 같은 거시환경 변화는 산업구조상의 포지셔닝을 바꾸는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국내 친환경 건축자재 생산업체는 대부분 중소기업으로, 급격한 사회제도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기술혁신 능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기술력을 보유하고도 기술개발과 사업화에 성공하지 못하는 중소기업이 많아지고 있어 친환경 건축자재 산업에 적합한 기술경영의 도입과 활용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 건축자재 산업에 적합한 기술경영 적용방안을 제안하고, 기술사업화의 성공을 위한 기술로드맵을 구축함으로써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하여 적용 가능한 기술경영방법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있다. 나아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기술경영을 도입하여 신제품을 개발하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을 적용하여 사업화에 성공한 중소기업의 구체적인 기술경영 활동 성공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우선 친환경 건축자재 산업의 시장현황과 기술패러다임의 변화를 알아보고, 혁신공간지도(Innovation Space Map)를 통해 기술혁신 방향을 설정한다. 이러한 기술혁신 포지셔닝을 기반으로 해당 산업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기술경영 적용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사례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하여 적용 가능한 기술경영방법의 활용 가치를 살펴본다. 이후 해당 산업 환경에 적합한 기술예측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실제 기술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로드맵을 구축하고, 마지막으로 제안된 기술경영방법과 기술로드맵에 따라 기술혁신을 구현한 핵심 기술개발 성과사례를 제시한다. 본 논문은 기술혁신 부문에 있어서 비교적 연구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친환경 건축자재 산업에 기술경영을 도입한 첫번째 연구이며, 경영 전반에 걸친 총체적 기술경영 방안을 연구한 통합연구라는 점에서 연구의 차별성을 갖는다. 이로 인한 성과물로 친환경 건축자재 산업의 중소기업에게 효율적인 기술개발을 위한 기술경영 적용방법을 제시했으며, 미래기술 예측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로드맵 구축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정부주도 기술 리드 대표 산업인 환경산업 중에서 신규 제도가 시행되면서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기 시작한 친환경 건축자재 산업을 대상으로 기술경영을 구현하여 핵심 기술을 획득한 실증사례연구라는 것에 연구의 의미가 있다.

      • 기술 경영 역량과 기술 흡수 역량이 기업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기술 흡수 역량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이우영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기술 경영 역량’, ‘기술 흡수 역량’이 ‘기업 경영 성과’에 미치는 효과와 영향 관계를 실증·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김연경, 2016). 본 연구는 이론적, 문헌적 고찰을 통해 독립 변수인 ‘기술 경영 역량’, ‘기술 흡수 역량’과 종속 변수인 ‘기업 경영 성과’의 개념과 의미, 특성 및 각각의 하위 요인들을 고찰하였고 고찰 내용을 토대로 각 변수들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연구 모형과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김연경, 2016). 본 연구는 가설 검증을 위한 실증 조사 작업으로서 2020년 11월 5일부터 11월 13일까지 중소기업 경영자 및 대기업의 다양한 직급의 인사들로 구성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240부의 자료들을 수집하였으며, SPSS Statistics 25.0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빈도 분석, 측정 항목들에 대한 기술 통계량 분석, 변수·요인 간의 타당성·신뢰성 검증, 상관 관계 분석,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간의 다중 회귀 분석, 매개 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검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 경영 역량은 기업 경영 성과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김연경, 2016). 기술 경영 역량의 5종 하위 요인 중 기술 전략 역량(β=0.316, p=0.000), 기술 기획 역량(β=A1-1-20.262, p=0.000), 연구 개발 관리 역량(β=0.177, p=0.000), 내부 협력 역량(β=A1-1-40.255, p=0.000)의 순서로 4종 하위 요인이 기업 경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외부 협력 역량(β=0.074, p=0.108)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서 나타났다. 둘째, 기술 흡수 역량은 기업 경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김연경, 2016). 기술 흡수 역량의 2종 하위 요인은 잠재 흡수 역량(β=A2-1-10.238, p=0.000), 실현 흡수 역량(β=A2-1-20.640, p=0.000)의 순서로 기업 경영 성과에 모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송지준, 2015). 셋째, 기술 경영 역량은 기술 흡수 역량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김연경, 2016). 기술 경영 역량의 5종 하위 요인 중 기술 전략 역량(β=0.394, p=0.000), 기술 기획 역량(β=0.215, p=0.001), 외부 협력 역량(β=0.144, p=0.027)의 순서로 3종 요인만이 잠재 흡수 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내부 협력 역량(β=0.424, p=0.000), 연구 개발 관리 역량(β=0.334, p=0.000), 기술 기획 역량(β=0.220, p=0.000), 기술 전략 역량(β=0.216, p=0.000)의 순서로 4종 요인이 실현 흡수 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문수백, 2017). 넷째, 매개 변수인 기술 흡수 역량은 독립 변수인 기술 경영 역량과 종속 변수인 기업 경영 성과 간의 영향 관계에 대해 부분적으로 매개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선 기술 흡수 역량의 첫 번째 하위 요인인 잠재 흡수 역량은 매개 효과를 지니지 않고, 두 번째 하위 요인인 실현 흡수 역량은 기술 경영 역량과 기업 경영 성과 간의 영향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상과 같은 다각도의 분석·검증 과정을 토대로 본 연구는 기술 경영 역량, 기술 흡수 역량의 효율적, 적극적 활용을 통해 기업 경영 성과를 향상시키고 시장의 불확실성과 경쟁이 심화되는 속에서도 기업이 중장기적으로 성장하여 영속할 수 있는 본질적 역량과 자원을 구축·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이 기업의 미래 지향적 성장과 발달에 도움이 되는 유효한 이론적, 실무적 지침과 기초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인공지능 기술혁신활동 집중도와 기술수준이 기업의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가희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75

        4차 산업혁명이 시작되면서 많은 기술의 진보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인공지능의 발전은 우리 사회를 크게 변화시킬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인공지능의 시장 규모는 점차 증가할 전망이며 인공지능 기술 혁신을 통해 산업 구조, 사회, 제도의 변화까지 유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국내외 많은 기업들은 인공지능 기술에 투자하거나 기술 도입 및 적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추세이다. 인공지능의 도입 및 적용은 기업의 생산성을 비롯한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다양한 선행연구가 존재하지만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한 실증 분석은 대부분 인공지능 기술 개발과 투자가 활발한 해외 거대 ICT 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 기업 대상으로는 아직 활발한 실증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들이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하고 적용하는 초기 단계에 있어서 이와 같은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과 적용이 실제 기업의 최근 5년간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인공지능 기술혁신활동 집중도 및 기술 수준이 국내 기업의 최근 5년간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도출하여 국내 기업이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 및 적용하는데 있어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인공지능 기술혁신활동 집중도 및 기술수준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촉진하며 인공지능 기술을 통한 기업의 경영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기술혁신활동, 경영성과에 대해 이론적으로 각각 고찰하고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허지표로서 기술혁신활동 집중도를 나타내는 현시특허우위 지수(RPA)를, 기술수준을 나타내는 패밀리 규모(FS)를 독립변수로 활용하였고 기업의 경영성과를 노동생산성, 수익성, 성장성으로 구분하여 노동생산성 지표로 종업원 1인당 매출액 영업이익률을, 수익성 지표로 총자산 순이익률을, 성장성 지표로 총자산 증가율을 각각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인공지능 기술혁신활동 집중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현시특허우위 지수(RPA)와 기술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인 패밀리 규모(FS)는 기업의 노동생산성 지표인 종업원 1인당 매출액 영업이익률과 기업의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 순이익률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인공지능 기술혁신활동 집중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현시특허우위 지수(RPA)와 기술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인 패밀리 규모(FS)는 기업의 성장성 지표인 총자산 증가율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혁신활동 집중도와 기술수준이 높은 기업일수록 성장성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실증하였으며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기업의 노동생산성 및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 내 워크플로우를 디지털화하고 기존 프로세스에 인공지능을 적용하고 효과를 이끌어 내기 위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