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國際鐵道産業分析을 통한 通商協力모델에 관한 實證的 硏究

        선정호 培材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9775

        Recently, the railroad industry has been came into the spotlight as an environment-friendly green future industry by transforming into the new growth power through introducing a high-speed railway. Despite the number of constructing large scaled infrastructure related to domestic railroad has been increased, the total amount of the overseas orders in foreign railroad market of Korea was only $1.6 hundred millions. In other words, it was less than 1%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which was $47.6 billion in 2008. The railroad industry, which is consisted of a large-scale construction and a high-tech manufacturing, is very complex engineering field and it has advantage over improving the brand of nation since it acts as a barometer of the nation's advancement in the complex engineering, Furthermore, the railroad industry is valued as a very profitable industry because it is a comprehensive industry that blends electricity, electronics, machine, engineering work, construction, administration, operation, manag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mmercial cooperative model and establish strategies for domestic corporations to extend their business abroad In this research, the competitiveness and the attractiveness of Korean railroad-related corporations were measured and the SWOT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its results in order to derive the strategic alternatives to expand into foreign railroad markets. The procedures and the method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reports about overseas railroad markets were examined for the purpose of analysing the global competition power of Korean domestic corporations. Second, the statistical data and overseas expansion cases of the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ICAK(The International Contractors Association of Korea),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KORAIL(Korea Railroad), etc were examined and a survey, which contains 59 questions, was conducted over 183 middle executives related to foreign railroad markets. Third, the railroad business promotion policies of major countries competing with Korea were researched and compared each others, and the SWOT analysis was used to measure the competitiveness in foreign railroad businesses for the direction of overseas expansion policy. Last, the new cooperative commerce models was designed and verified using the quantitative SWOT method for expanding foreign railroad markets with the analyses of the railroad business export strategy of major rival countries, foreign order markets in the view of politics, and other various factors such as economics, technologies,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 In addition, the roadmap and the government policies were proposed for the entry into the foreign railroad markets. The cooperative commerce model of foreign railroad industries derived from this research is as follows : Seven business models are developed and proposed according to the railroad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level, the financial conditions and the amount of alternative resource holdings(e.g:underground resource) of target countries. By categorizing the developed model into two types (private and government-driven policy capital) and two groups(long and short term investigation), we proposed the optimized selection methods of the cooperative commerce models adapted to the entry-target countries. Besides, we proposed the governmental encourage policy for booming overseas expansion such as public funds, strengthen diplomatic negotiations ability, strategic support of high speed railroad in foreign business, foreign private investigation business opportunity, operating control organization for consortium composition and co-work at domestic industry advance foreign railroad busi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we can get mor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for Korean corporations' overseas expansion of railroad market and win the overseas contracts. Nationally, we also hope tha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railroad industry 최근 鐵道가 高速鐵의 導入 등으로 새로운 成長 動力으로 탈바꿈하면서 親環境 綠色 未來産業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 鐵道關聯 대규모 인프라구축사업이 급증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國際鐵道事業 受注實績은 2008년도 우리나라 기업의 海外建設市場 受注額 476억불에 비해 1%에도 못 미치는 1.6억불에 불과한 실정이다. 鐵道産業은 大規模建設 分野와 尖端製造 分野의 複合工學 産業으로 한 나라의 技術水準을 나타내는 尺度로서 국가브랜드 제고에 유리하고, 전기, 전자, 기계, 토목, 건축, 관리, 운영, 경영 등이 모두 어울어진 綜合産業으로서 收益率이 높은 産業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국내 기업의 國際鐵道市場 진출 확대를 위한 通商協力모델 개발과 戰略樹立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기업의 國際鐵道市場 進出 活性化를 위한 주요 戰略的 代案들을 導出하기 위해 우리나라 기업의 競爭力과 海外市場選好度를 측정하여 SWOT 分析方法으로 糾明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硏究節次와 方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기업의 國際 競爭力 分析을 위해 기존 國際鐵道事業 關聯 硏究 및 調査報告書를 검토하였다. 둘째, 海外市場 選好度 分析을 위해 海外建設協會, 國土海洋部, 鐵道公社 등 有關機關 統計資料와 실제 해외진출사례를 조사하고, 國際鐵道事業 進出企業과 有關기관 중견간부급 183명으로부터 59여개 항목에 걸쳐 設問調査를 실시하였다. 셋째, 우리나라와 경쟁관계인 주요 국가의 鐵道産業 振興政策을 조사·비교하고 SWOT 分析으로 국내 鐵道産業의 國際 競爭力水準을 측정하고 進出方向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海外 競爭國家의 鐵道産業 輸出振興 戰略과 海外發注市場을 정치적 요인, 경제적 요인, 기술적 요인, 사회적 요인, 법률구조적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分析하여 鐵道産業 海外進出 强化를 도모할 수 있는 通商協力모델을 設計하고 이를 定量化 SWOT 方式으로 檢證하였다. 國際鐵道市場 진출 시 최적의 競爭戰略을 선정할 수 있는 해외 진출로드맵을 제시하였고 國際鐵道事業 확대를 위한 政府政策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海外進出 對象國家의 鐵道建設 技術水準과 鐵道製造 技術水準 및 財政狀態와 代替財源(부존자원 등) 保有量에 따라 7개의 通商協力모델을 開發하여 提示하였다. 개발된 通商協力모델을 民間資本主導型과 政府政策資金主導型으로 나누고 이를 長期投資型과 短期投資型으로 分流하여 進出對象國家에 적합한 最適 모델 選定方法을 제시하였다. 또한, 海外鐵道市場 進出 活性化를 위해서는 公的資金의 확대, 정부의 外交交涉力 강화, 高速鐵道 海外事業에 대한 戰略的 支援, 民間投資事業에 公企業 參與 확대, 國際鐵道事業 진출 시 컨소시엄 구성과 협력을 위한 조절기구 운영 등 鐵道産業 輸出振興政策 수립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우리나라 기업의 國際鐵道市場 進出 活性化에 더 많은 효과성과 효율성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되며, 국가적으로 尖端工學技術 분야인 鐵道産業 競爭力 强化에서 더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韓·美 通商摩擦의 原因과 그 對應方案에 관한 硏究

        주우성 韓南大學校 經營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743

        지난 60년대 이후 “한강의 기적"을 이루면서 급성장하였던 한국의 경제는 '90년대 말의 IMF 위기와 통상장벽이라는 거대한 벽에 부딪치면서 주춤거리고 있다. 오늘날 세계의 경제질서는 경제의 장기적 침체와 산업구조조정의 실패로 신보호주의의 팽배, 공정무역과 상호주의의 확대, 지역주의의 대두로 인하여 매우 불안정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WTO 출범이후 세계무역의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기대했던 WTO의 기능이 급속히 약화됨에 따라 이러한 움직임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세계경제의 중요한 축을 구성하고있는 미국은 WTO를 통한 국제무역의 공정하고 자유로운 무역의 활성화 보다는 자국의 경제적 실익을 유지하기위해 슈퍼301조 등의 국내법에 의한 무역의 규제를 우선시 함으로서 세계경제의 기본적인 질서를 교란하고 있다. 경제구조가 취약하고 부존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이러한 미국의 일방적인 부당한 무역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함으로서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있으며, 앞으로도 점차 높아질 미국의 무역장벽 해소를 위한 해결방안의 모색은 국가의 번영과 기업의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해결하여야 할 절대절명의 과제이다. 경제활동에 의한 무역을 통해서만 생존할 수 있는 우리나라는 미래의 산업변화를 예측하는 과감한 산업구조의 혁신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갈수록 복잡해지고 높아지는 미국의 무역장벽 해결을 위한 국가와 기업이 힘을 합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산업구조의 혁신과 과감한 기술개발을 통해 미국의 무역장벽 및 규제를 뛰어넘을 수 있는 전략상품을 개발하고 복잡하고 까다로운 무역규제 법규 및 절차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자료의 수집과 전문가의 양성, 국제무역기구를 활성화하여 국제무역기구를 통한 이해협력 당사국과의 국제적 협력을 통한 공동대응, 새로이 대두될 밀레니엄 라운드에서의 한국의 위상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충분한 대비와 연구가 있어야 한다. International relations since World War II has long been dominated by security and political idea issues deriving from the Cold War between the two superpowers, the US and the former USSR. During the cold war, Korea could achieve a rapid economic growth and prosperity under the United States' political and economic supports. As the Cold War ended with the collapse of the former USSR in the 1990s, however, countries including the US began to put their priority in foreign policy on economic issues instead of security. That is, as concerns on security have been rapidly receded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ternational relations after the cold war are characterized by the idea of “economy first." We can say that as the economic power of the US has been relatively decreased due to the growth of EU and Japanese economies, international order became multipolar at least in terms of econom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barriers among nations have been remarkably lowered. Information technologies made geological advantages which has been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 location of corporations meaningless. Corporations now can go anyplace in the world in looking for market access and low cost of production. Due to the result of these changes, the Uruguay Round, which became new international rules regarding customs and trade, was complet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US in 1993 and WTO was newly born in 1995.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based on WTO opposes state intervention in economy by compelling off customs and noncustom barriers such as quarters and discrimination. However, the United States, the economic hegemony, often disregards these international economic rules and sometimes urges other countries antifree policies such as Super 301, which are based on domestic laws, in the direction of maximization of national interests. As Korea turned red ink into black in the late 1980s at the end of long history of chronic deficits in trade with the US, the US became one of the target countries of trade reprisal. Even if Korea's surplus ended in the 1990s, the US pressure on Korea continues. Korea, which is still developing and has poor natural resources, i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responding to the US pressure and urgently needs to solve this problem for economic prosperity and the survival of Korean corporations. At this stage of deepening trade frictions with the US, Korea needs to reevaluate current trade issues with the US from the broader perspective. The US is the largest single market in the world and the main source of new technologies. If Korea focuses exclusively on trade frictions with the US from a fair trade, it may lose the most valuable source of new technologies. There is a growing concern that Korea is losing its competitiveness in the US market in competition with China and other East Asian countries. Korea, which economic survival is dependent heavily on trade, requires to be sensitive to the future trend of industrial change and needs innovation in its industrial structure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to support the innovation. At the same time, Korea needs endeavors to solve the US trade barriers that become more complex and higher as time passed. More concretely, Korea needs following policies: (1) the development of strategic trade goods to overcome trade barriers throughout innovation in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2) the culmination of data to effectively respond to complex laws and procedures related to international trade and the secure of experts on international trade; (3) the effective use of international trade organizations and cooperation with other countries to respond unfair rules on trade; and, (4) enough preparation and research to secure national interests in the new ear of the Millenium Round.

      • 인천광역시와 중국 자매도시 간 통상협력 강화 방안

        김재익 인하대학교 국제통상물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경쟁적으로 자매ㆍ우호도시를 확대하고 있으나 지역경제에 특별한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지역경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경제통상 교류를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인천광역시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날로 교류가 증가하고 있는 중국과의 관계를 감안하여 인천광역시와 중국의 자매ㆍ우호도시 간 경제 및 통상교류의 증대방안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각종 문헌연구를 통해 그 동안 추진한 인천광역시와 중국의 자매ㆍ우호도시 간의 교류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공무원 및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제도상의 문제점으로는 경제단체 및 민간단체 등의 참여유도 시스템 부족, 외부지원체제의 기능 부족이 나타났으며, 운영상의 문제점으로는 관련 공무원의 전문성 부족, 해외 지원조직의 소극적 설치 운영, 경제통상에 관한 관심 및 마인드 부족, 기타 문제점으로는 자매ㆍ우호도시 관련 자료제공 미흡, 부서(기관) 간 업무의 연계추진 부족, 평가 및 사후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관주도 추진방식을 민간주도 방식으로 추진 체계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인천광역시의 각종 지원시책에서 자매ㆍ우호도시와 관련된 경제통상 시책 추진자를 우선 선발하거나 우선 지원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민간 기업이 자매ㆍ우호도시와의 교류를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민간부문의 경제통상교류를 주도할 전담기구의 설치가 필요하고 중국과의 경제통상 교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한중교류센터의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인천차이나 클럽 및 지역대학 등의 전문 인력을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자매ㆍ우호도시와의 경제통상 교류를 담당하는 공무원들의 능력 함양을 위해서는 전문기관에 위탁교육을 확대해야 한다. 또한 인천광역시지방공무원교육원에 경제통상 관련 전문교육 강좌 개설과 국외 장기훈련의 확대, 우수 인력의 장기적인 확보를 위한 경제통상 업무담당자에 대한 인센티브 개발, 이외에 해외무역사무소 등의 적극적 개설과 자매ㆍ우호도시에 대한 공무원의 파견 및 교류대상의 확대도 필요하다. 넷째, 시민의 날 등 지역축제 시 경제통상 이벤트 및 기업체 방문 등 경제관련 행사를 병행하여 개최해야 한다. 또한 각 기관(부서)에서 추진하고 있는 시책을 자매ㆍ우호도시 사업과 연계하여 추진하는 것도 필요하다. 그리고 양 도시의 사회단체, 학교, 교회, 기업들 간 자율적으로 자매결연을 추진하여 우호관계를 형성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인천광역시 및 산하 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자매ㆍ우호도시 관련 정보가 충분하지 못하므로 홈페이지 및 각종 홍보물 등을 통한 정보 제공을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공공부문은 물론 민간부문의 교류까지 포함된 추진 상황을 정기적으로 분석ㆍ평가하고 사후관리를 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진행과 관련하여 관련 통계자료의 부족과 각 지방자치단체의 경제통상 관련 교류 사례 부족 등으로 효율적인 방안을 찾는데 다소 아쉬운 점이 있었으나 향후 인천광역시가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해서 중국의 자매ㆍ우호도시와 추진해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each local government in Korea is competitively increasing number of sisterhood and friendship agreements with other cities internationally, their efforts to cooperate with other cities have not made substantial contributions to the local econom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promoting trade cooperation closely relating to the local economy. This study, particularly, focused on promoting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with nearby Chinese cities, as Incheon Metropolitan City is geographically close to China and increasing exchanges with China. For this above purpose, we analyzed previous sisterhood and friendship exchanges betwee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China through the various advanced literatures and surveys by government officers and local residents to understand the existing problems and possible improvement measure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isting problems are due to the following lack: first, systems to motivate participation of economic and civil organizations, second, external support in the category of systems, third, of professional manpower, inactive global support organizations, forth, interests in economic and trade in the category of administration, fifth relevant resources, sixth, lack of interdepartmental projects, seventh, evaluation and post-management measures in all other categories.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we could use the following five measure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vert from government-oriented field of policies into civil-oriented policies. Incheon Metropolitan City has to select the specialists in the field of economic and trade policy to revitalize exchanges with sisterhood and friendship among Chinese cities. Secon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n organization that can lead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in the civil sector. Korea-China Cooperation Center will make an effect to reinforce to provide extensive information and resources and professional manpower from Incheon-China Club and local colleges will be invited to make substantial inputs. Third, local government officers who take charge of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with sisterhood and friendship cities should be educated at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es to improve their capacities. It's needed to offer professional courses in Incheon Officers Training Institute, to increase long-term training opportunities abroad, develop incentive programs for officers in economic and trade policy, to open the overseas trade offices, and to dispatch officers to the cities of sisterhood and friendship. Fourth, it is necessary to hold the events relating to economic and trade policy, along with local festivals. It is also required to connect local projects to sisterhood and friendship relationship. It should be considered to promote sisterhood agreements of local social organizations, schools, churches and businesses to extend friendship relations with other regions. Fifth, as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it's affiliated organizations are not providing the ample information on the cities of sisterhood and friendship, it will be necessary to post more resources on the homepage to distribute printed materials. It is also important to analyze and evaluate progress of cooperation with public and civil sectors for post-management purposes. This study is restrict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find statistical resources and case studies through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to derive out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ided Incheon Metropolitan City with some insights on promoting sisterhood and friendship cooperation with Chinese cities for the recover of Incheon economy.

      • 美國의 通商政策에 관한 韓國의 對應方案 硏究

        최승현 韓國外國語大學校 世界經營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현재의 세계는 냉전체제의 종식과 우루과이라운드협상 타결에 따른 세계무역기구(WTO : World Trade Organization 이하 ‘WTO’라고 한다)의 출범으로 교역장벽의 완화 및 철폐는 물론 교통 및 정보통신기술의 혁신 등으로 경제의 범세계화를 넘어 하나의 글로벌한 세계로 나아가고 있다. 한국이 미국의 주요한 교역상대국으로 부상한지는 벌써 오래전의 일이다. 미국은 한국의 전체 수출 상품의 상당량을 구매하는 교역상대국으로 한국 상품의 최대 수출시장이며, 다른 나라에 비해 비교적 자유무역을 지향하는 나라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한․미 양국은 안보․경제상으로 상호의존성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중요성에 못지않게 통상현안 문제를 중심으로 마찰 또는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기 때문에 마찰적 상황에 바람직한 해결방안의 모색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미국의 통상정책은 기본적으로 다자간자유무역화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으나 다자간 무역규범이 적용되지 않는 분야에 대해서는 보완적인 수단으로 지역주의와 쌍무주의․일방주의적 접근방식을 병행하고 있다. 그 동안 자유무역체제의 수호자로 자처해왔던 미국은 시간이 갈수록 성과가 확실치 않는 다자간 협상보다는 WTO의 기본정신에 위배되는 지역 내 이해당사자간 일방적 조치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미국은 1993년 3월 미무역대표부 USTR의 무역통상보고서에서 외교 혹은 안보적 고려에 경제적 이익을 자동적으로 귀속시키지 않는 다고 하는 통상정책의 기본원칙을 표명하였으며 경제성장과 고용증대라는 자국의 경제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본, 중국, EU, 동남아 등 전 세계를 향해 강력한 통상법을 활용한 통상대공세를 가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국내법인 통상법 301조, 슈퍼 301조, 스폐셜 301조 등을 활용하여 미국이 행사할 수 있는 최대의 압력과 보복의 일환으로 무차별 공세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무차별 통상대공세가 갖는 중요한 의의는 어디까지나 미국의 이익에 침해가 되는 경우, 불공정무역국으로 취급되어 미국법의 자의적 적용에 따라 보복조치를 당해야 한다는 것이며, 이에 대하여 우리나라도 예외일 수 없다. 이와 같이 보복의 위협을 배경으로 일방적 시장개방 압력을 강화하는 미국의 행위는 원칙적으로 자국의 통상정책 이념인 자유무역주의와 상호주의를 바탕으로 한 공정무역 구현과는 다소 거리가 먼 통상법 301조를 활용한 일종의 공격적인 일방주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미국의 공격적 일방주의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해 미국의 통상정책 방향과 각종 통상관련법 및 제도의 개혁, 미국시장의 환경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대미 통상협상에서의 적절한 대응과 더불어 우리의 최대 수출시장이며 교역상대국인 미국과 상호주의의 바탕 위에서 전반적인 경제관계, 즉 통상관계를 원만하게 관리해 나감은 물론 이를 한 차원 발전시켜 나가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최대 교역국인 미국의 통상정책에 대한 체계적 조망과 한국경제가 안고 있는 주요 대미 통상현안 및 마찰 가능성의 실상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미간 통상관계의 새로운 정립과 발전방안 제시에 일조가 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 2 절 연구범위 및 방법 본 논문에서는 한․미 통상마찰에 있어서 통상정책의 이론적 부문과 기본구조 부문을 비교․분석하여 고찰함은 물론이거니와, 한․미 양국간 통상관계의 실상을 분석하려고 한다. 이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우선 한국과 미국의 통상정책의 본질적인 규명과 함께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로 인해 한․미 양국간의 통상관계에서 마찰의 현안과 대응방안, 당면한 과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수출의존도가 높게 차지하고 그에 따른 통상압력이 크게 증가되고 있는 미국이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등을 고려하여 한․미 통상관계의 실상을 정확히 파악함을 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부분으로 본 연구에 대한 문제제기와 연구의 목적, 논문의 구성 및 연구방법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한․미 통상 마찰의 현황에 대하여 조사하여 우리나라와 미국의 통상정책의 기본구조를 비교하였다. 제3장은 한국과 미국의 통상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하려고 한다. 본 장에서는 우리나라의 통상정책의 변화추이와 통상정책의 기조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미국의 통상정책에 있어서는 미국의 통상정책이 추구하는 목표, 특징, 통상의 변화추이와 요인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통상의 제 수단들을 고찰하였다. 제4장은 이러한 통상마찰을 해소하기 위한 근본 원인과 구체적 대응방안에 대해 통상적․제도적․기업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에 해당하는 내용을 요약․정리 하였다.

      • 국제물품매매계약위반에 따른 계약당사자의 구제에 관한 연구 : CISG를 중심으로

        마굉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11

        세계는 單一한 規範하에서 貿易障碍要素를 제거하여 世界的 去 來를 촉진하려 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서 國際貿易은 계속 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렇게 증가된 國際貿易에서는 契約當事 者間 契約違反이 발생되고 있다. 무역계약은 諾成契約•不要式契約으로 당사자의 請約과 承諾에 의 해 성립하고 具體的인 契約書 作成을 요하지 않는다. 그러나 대부 분의 국제계약은 請約과 承諾이라는 방법을 거쳐 當事者間의 意思 의 合致에 의한 契約書를 作成한다. 契約違反시 이렇게 하여 作成된 契約書의 明示條項이 最優先 適 用되고 계약서상에서는 表現되지는 않았으나 相互 알고 있으리라 고 파악되는 默示條件이 그 다음으로 適用되고 最終的으로 準據法 을 적용하여 解釋하게 된다. 그러나, 모든 조건을 무역계약서에 明 示하기는 現實的으로 不可能하므로 當事者間의 意思의 合致에 의 해 準據法을 妥協하게 된다. 기존의 國際私法體系하에서는 國際物品賣買의 準據法으로서 特 定國家의 國內法이 적용되는 결과 法適用의 豫測 可能性과 法的 安定性이 충분히 보장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 해서 국제물품매매에 관한 세계적으로 統一化된 法體系가 필요하 였다. CISG의 제정목적은 국제매매계약에 적용될 수 있는 통일법의 제 정염원에 따라 상이한 법률제도로부터 이루어지고 있는 국제거래 가운데 거래의 성격과 물품의 성격에 근거한 특수한 거래를 제외 한 국제물품매매에 따른 국제매매계약에 관한 제원칙들의 조화를 기하기 위하여 제정되었다. 특히 CISG은 대륙법과 영미법을 조화 롭게 절충한 것으로서 당시 국제사회에 遍滿하였던 정치적•이념적 대립과 갈등에도 불구하고 각국이 서로 수용할 수 있는 공통분모 를 찾아 입법화한 것이다. 그리고 CISG은 세부 규정이 상세하고 법률관계의 해석이 명확하게 이루어짐으로 국제물품매매계약의 예 측 가능성과 법적안정성의 측면에서 높게 평가되고 있다. 이에 따 라 앞으로 여러 국가도 CISG을 정식으로 채택하는 경우에는 CISG 은 국제물품 매매계약의 준거법으로 널리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United Nation Convention on Contract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hereafter called CIS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tracts for interna- tional sale of goods laws supported by legal communities worldwide.. The International commodity trade is more and more increasing nowadays. The more international commodity trade, the more both parties’ problems happen. Somehow this kinds of inevitable accident is happen international commodity trade. This kinds of problems arise from each party’s different law and commercial practice. Also, each different law system makes each party’s other understandings. Many company is confused from the domestic law and International law difference. At first, chapter two is analyzing the CISG’s Seller and Buyer’s remedy from the other party’s contract breach. And CISG agreement all through concept is dontrine of contract maintain. It is different from domestic law. This doctrine’s representative example is right of defect law. It is not exist in our civil law. It is special remedy method of international commodity trade. All of the paragraph contains subtitle CISG and our civil and commercial law’s common and difference points. The chapter four is indemnity of damage and exemptions of contract. Also indemnity of damages accounting method is divide in general principle and market price basis and current price basis and the exemtion of party’s liability. Exemption regulation is compared UNIDROIT principle’s hardship doctrine and CISG’s force majure dontrine. The exemption of liability regulation is presented CISG article 79-80. It is compared UNIDROIT principle’s hardship principle and CISG’s force majeure doctrine. As result of this study, I found that provisions on the both parties’ remedies for breach of contract under the CISG were various and concrete.

      • 우리나라 무역기업의 국제무역협상 상황 및 과정요인이 협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상수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중국 및 미국에 수출, 인수합병 및 기타 무역관련 협상경험이 있는 우리나라 무역기업의 협상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국제무역협상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요인(situational factors)과 협상유형(types of negotiation)을 분석하고 이들 요인들이 협상성과(outcomes)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상황요인에 해당되는 문화적요인, 조직적요인 및 개인특성요인을 구별하고 이들 요인들에 대한 개별 변수들을 정의한 다음 이들 요인들이 협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고, 협상유형에 해당되는 경쟁식 협상(competitive negotiation)과 협조식 협상(cooperative negotiation)에 해당되는 요인을 분류한 다음 이들 요인들에 해당되는 변수들을 규명하여 이들 요인들이 협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우리나라 무역기업들을 대상으로 중국기업들과 미국기업들과 협상하는 기업으로 분류하고 설정된 가설을 중심으로 중국 및 미국기업들이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우리나라 무역기업들이 효율적인 무역협상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지방자치단체의 국제화 전략에 관한 연구 : 강릉시를 중심으로

        김주란 강릉원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방자치단체의 전반적인 국제교류 실태를 평가하고 국내외 지방자치단체의 국제화 우수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한편, 2018 동계올림픽 이후 국제관광도시를 지향하는 강릉시의 국제화정책 추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국내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교류를 분석해본 결과, 광역지방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간 연계성이 부족하고 교류대상 국가가 중국, 미국, 일본 3개국이 전체 대상국가의 64%로 편중되었으며, 국제교류 추진을 위한 전담행정조직과 공무원의 전문성이 미흡하고,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교류 중심으로 이루어져 민간부문 참여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자치단체 국제화 우수사례로는 유사한 기후풍토를 보유한 도시 간 국제적네트워크인 일본 삿포로의 겨울도시시장회, 세계적 청소년 문화축제인 덴마크의 오르후스 축제, 인천광역시의 196개 회원국인 녹색기후기금 사무국 유치, 국내거주 외국인 편의지원을 위한 경기도 안산시의 다문화마을 특구를 분석하였다. 결론으로, 2018 평창동계올림픽 빙상경기 개최도시이며 올림픽 이후 세계적인 국제관광도시를 지향하는 강릉시의 국제화 추진전략으로 제시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이 방문하거나 거주할 때 국제적 관광도시로서 손색없는 외국인 친화형 인프라 구축, 둘째, 웰니스 건강치유도시의 이미지와 올림픽 인프라인 KTX와 신설 숙박리조트 등을 활용한 국제회의 도시로의 육성, 셋째,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 관광객, 국제통상교류, 내향적 국제화, 마이스 산업 등 국제화 업무를 통합 관리할 전담부서 설치 및 공무원의 전문성 확보, 넷째, 삿포로시의 겨울도시시장회와 강릉시가 사무국을 맡은 국제무형문화유산도시연합의 활성화 등과 같은 지역적 특성을 살린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국제기구 가입으로 올림픽 개최도시와 세계적 문화도시라는 국제적 도시브랜드 가치제고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ntire international exchange of local governments in our country and analyze the excellent cases of globalization in the world and finally pursue an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for Gangneung City, following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national exchanges of domestic local governments, the linkages between provincial and municipal local governments are not sufficient and focused on only three countries including China, the USA, and Japan which totals 64%. The lack of expertise of the organization and civil servants for promoting international exchange has led to the weak participation of the private sector. Successful examples of the internationalization of local governments include the WWCAM(World Winter Cities Association for Mayors) of Sapporo, a network between foreign cities with the same climate, the Aarhus Festival in Denmark, an international youth culture festival, the Green Climate Fund Secretariat, which is a member of 196 countries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the multicultural special village of Ansan City for supporting foreigners living in Korea. In conclusion, regarding the internationalization promotion strategy of Gangneung City after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firstly it should create a foreign-friendly infrastructure in the preparation for an international tourist city. Secondly, it should foster an International Conference City that utilizes the image of a wellness and health healing city, the Olympic infrastructure including the KTX and the newly constructed resorts for the Olympics, and thirdly, Gangneung should establish an integrated department for global affairs and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a public who will deal with foreign tourists, international trade exchanges, inward internationalization and MICE affairs. Lastly, Gangneung should use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WWCAM of Sapporo, and the activation of the ICCN(Inter-city Intangible Cultural Cooperation Network) to enhance its own brand value as an international cultural city.

      • 국제물품매매계약에서의 위험이전에 관한 연구 : -CISG와 IncotermsⓇ 2020을 중심으로-

        이원준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11

        국제물품매매계약에서의 위험이전에 관한 연구 이 원 준 지도교수 이 신 규 배재대학교 대학원 국제통상학과 국제물품매매계약에서 물품의 인도 및 위험이전시기를 명확하게 정의하여 결정하는 것은 물품의 국제운송과정에서 멸실 및 손상이 발생할 경우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지의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국제물품매매에서 위험의 이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규정하고 있는 것이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 CISG)’에서 규정하고 있는 제66조에서 제67조의 내용과 국제상업회의소(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 ICC)에서 제정한 ‘국내 및 국제무역거래의 사용에 관한 ICC규칙(ICC Rules for the Us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ade Terms)’인 Incoterms® 2020 규칙이다. CISG상에서 운송을 포함하는 물품매매의 경우 매도인이 특정한 장소에서 물품을 인도하여야 할 의무가 없을 때에는 위험은 물품이 매매계약에 따라 매수인에게 송부하도록 최초의 운송인에게 교부한 때에 매수인에게 이전되며, 매도인이 특정장소에서 운송인에게 물품을 교부하여할 의무가 있는 경우 물품이 그 장소에서 운송인에게 교부될 때 위험이 이전된다. 운송 중 물품매매의 경우 운송 중에 매각된 물품에 관한 위험은 매매계약이 체결된 시점이 위험의 분기점이 되고, 운송보험계약 체결과 같은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운송계약을 담보하고 있는 선화증권 등의 운송서류를 발행한 운송인에게 물품을 인도한 시점이 위험의 분기점이 된다. 매수인이 물품을 수령하는 경우에는 수령시점이 위험이전의 시점이 되고, 매수인이 수령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품이 매수인의 임의처분 하에 놓여진 상태에서 수령하지 않아서 계약위반을 초래한 시점에 위험이 매수인에게 이전된다. 운송을 포함하지 않는 물품매매의 경우 인도장소가 매도인의 영업소가 아닌 다른 장소라면 물품에 대한 인도기일이 도래하고 매도인이 물품을 그 장소에서 매수인이 임의의 처분하에 놓아둔 사실을 매수인이 인지하고 있는 때가 위험의 분기점이 된다. 또한 매도인이 계약의 본질적인 위반을 범한 경우에는 비록 물품이 매수인에게 이전되었다고 하더라도 매도인이 여전히 위험을 부담하여야 한다. 한편, Incoterms® 2020에서는 매도인의 의무를 규정하고 있는 규칙 중 A2조(인도)와 A3(위험)의 규정에서 위험을 이전시기를 제시하고 있다. EXW규칙의 경우 매도인이 지정인조장소 또는 합의지점에서 물품을 수취용 차량에 적재하지 않은 상태로 매수인의 임의처분하에 놓아둠으로써 위험이 이전되고, 된다. FCA규칙의 경우 지정인도장소가 매도인의 구내인 경우에는 물품이 매수인이 수배한 운송수단상에 적재된 때, 운송인의 구내와 같은 그 밖의 장소인 경우에는 물품이 매도인의 도착된 운송수단상에서 매수인의 임의처분 하에 놓여질 때 위험이 이전된다. CPT규칙과 CIP규칙의 경우 매도인은 지정인도장소 또는 지점에서 운송계약을 체결한 운송인에게 교부하거나 또는 그렇게 인도된 물품을 조달함으로써 위험이 이전되며, DAP규칙과 DDP규칙의 경우 지정목적지 또는 지점에서 도착운송수단상에서 양륙을 위해 준비된 상태로 매수인의 처분하에 두거나 또는 그렇게 인도된 물품을 조달한 때 위험이 이전된다. DPU규칙의 경우 지정목적지 또는 지점에서 도착운송수단상에서 일단 양륙하여 매수인의 임의처분하에 두거나 또는 그렇게 인도된 물품을 조달한 때 위험이 매수인에게 이전된다. FAS규칙의 경우 매도인이 물품을 지정선적항에서 매수인이 지명하는 본선의 선측에 두거나 또는 그렇게 인도된 물품을 조달한 때 위험이 이전되며, FOB규칙, CFR규칙 및 CIF규칙의 경우 매도인이 물품을 지정선적항에서 매도인이 지정하는 본선상에 적재하거나 또는 그렇게 인도된 물품을 조달한 때 위험이 이전된다. 위험이전과 관련하여 CISG와 Incoterms® 2020은 유사한 점도 있지만 상이한 점이 있다. Incoterms® 2020은 국내 및 국제무역거래조건의 사용에 관한 ICC규칙으로 국내무역거래와 국제무역거래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CISG보다 더 포괄적이고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이에 따라 국제물품매매계약에서 위험이전과 관련하여 Incoterms® 2020의 규칙들을 우선적으로 합의하되 필요시 CISG의 관련 규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합의하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중국 기업 브랜드 국제화 마케팅 분석 연구

        오자모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1

        In early 2013, China surpassed the United States to become the world's largest trader in goods. In stark contrast, at that time, China's export enterprises were relatively weak in their own brand building, and their own brand exports accounted for a relatively low proportion of the country's total exports, and there were very few brands with world-renowned brands. In recent years, the global economic development has slowed down. China is committed to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a new type of international relations, building a community with a shared future for mankind, actively promoting economic globalization, and pioneering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t the same time, Chinese export enterprises have also carried out innovation and upgrading, and strived to build their own brands, following the country's keynote of improving quality and efficiency. As the capital of China, Beijing is one of the most active regions in foreign trade. Howeve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orporate brands is only roughly similar to the overall level of the country. "Beijing's 12th Five-Year Plan for Foreign Economic and Trade Development Plan" clearly states that: in order to promote the transformation and upgrading of foreign trade, the brand strategy will be implemented,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ill be enhanced, the products of independent brands will be cultivated, and a group of products with independen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independent brands, inter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company. Based on the above background, this research takes the brand internationalization marketing of Chinese listed companies as the starting point. By combing and analyzing the existing research at home and abroad, and comprehensively using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this research proposes a research model related to brand internationalization, in order to clarify the brand internationalization of Chinese listed companies. (including the growth mode and strategic choice of brand internationalization), and choose Xiaomi Technology Co., Ltd. (hereinafter referred to as "Xiaomi Company") and Beiqi Foton Motor Co., Ltd.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ton Motor") as In-depth analysis and research of the case are carried out to further explore the development practice of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orporate brands in my country, and finally put forward optimization countermeasures and policy suggestions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orporate brands.

      • 우리나라 국제선박등록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육성호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11

        16∼17세기 에 영국선주들이 무역 또는 어로제한을 회피하기 위해 스페인이나 프랑스에 치적한 사례가 있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1920년대 이전의 편의치적은 유사 편의치적제도로서 오늘날의 편의치적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할 수 있다. 20세기 전의 편의치적제도는 단순히 외국선으로서 비경제적인 이유에서 발생한 것 이다. 이에 비해 20세기 편의치적선은 노동문제와 금융상의 이유, 또는 조세를 도피할 목적과 같이 주로 경제적인 이유에서 발달하였다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안전 및 환경에 관한 규제로부터 도피하기 위하여 상당수 선박이 편의치적으로 이적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경제적 이유에서 발달하기 시작한 편의치적선은 1939년 당시 총80만톤정도로 추정되며 세계선대의 1.2%를 차지하였다. 이후 1950년대부터 증가세가 두드러지면서 1970년대 후반에는 그 비율이 30%를 넘어섰고 지금은 세계선대의 과반수 이상이 편의치적선이라 할 수 있다. 결국 20세기의 세계 해운산업은 편의치적제도에 의해 지탱되어지고 있다고 결론 지을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의치적선제도를 세계 주요기관 및 국가들은 불법치적으로 간주하고 있는 추세이다. 모든 산업이 그렇듯 안전과 환경은 무엇보다 중요시 되어야 한다. 이러한 안전 및 환경규제의 강화로 더 많은 선주들이 편의치적제도를 악 이용하는 것에 대한 문제는 하루빨리 시정되어야 할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세계 주요 해운국들은 자국에 맞는 해운정책을 재정하여 제2선박제도 같은 국제선박등록제도를 시행 운영하면서 자국의 해운경쟁력을 과시하고 있다. 영국을 비롯 노르웨이, 독일 등 선진해운국가들은 자국상선대의 해외유출 방지와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선박등록제도를 도입한데 이어, 최근에는 해운수입에 대한 법인소득과세를 대신하는 새로운 톤세제도를 도입하는 등 자국해운산업에 대해 적극적인 지원시책을 펼치고 있어 주목된다. 한국선주협회가 최근 조사분석한 “주요 선진국가의 해운지원정책 추진현황”에 따르면, 이들 국가들은 종전의 소극적인 해운지원정책에서 벗어나 직접적인 해운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자국의 해운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Flags of Convenience" or "Open Registry" have developed in recent years as an economic necessisy costs to be cut in response to an over-tonnaged marketplace where low to non-existent profit margines were the nirm under the registers of the traditonal maritime nation. As such, it has been used to characterize national maritime sectors, however, there is still not complete agreement as to its proper definition and objectives. According to the ITF, the most important of these criteria in classifying a register as an FOC is whether the majority of vessels on the register are foreign owned or controlled. Second Registers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Offshore" or "International Registers"and generally perceived as a response by the TMNs to the steady decline of tonnage registered under the flags of such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TF, a second register emulates an FOC in nearly all its criteria except that tonnage mostly consist of nationally-owned ships and the register usually has conditions in place which are acceptable to the unions of the flag state. Most of the Second Registers were specially created during the 1980s with the specific purpose of stemming the tide of flaggong-out. In addition to the definitive lists, where a vessel operates under flag of a second register but ownership lies outside the flag state, ITF will categorize and treat it as an FOC ship. Conversely, where owners of vessels are genuinely located within a designated FOC state, then the ITF advocates that their ships should not be treated as FOC. The NIS was established by the Norwegian government in 1987 as a means to halt this reduction of the Norwegian fleet and thereby maintain Norway's traditional maritime infrastruture. Foreigners owned 54 percent of the total NIS tinnage in 2004. This is an increase of 21 percentage points since 1998. The Norwegian-owned NIS tonnage was below 10 million gross tonnes in both 2003 and 2004. This is the first time has happened since the NIS was established in 1987. The Singapore Registry of Ship(SRS) was established in 1966 and efforts to promote it continue. The Singapore merchant fleet has been growing at a rate of about 10 percent in recent years. The autonomous Hong Kong Shipping Register was set up on 3 December 1990 under the Hong Kong Merchant Shipping. Upon the reunification with the People's Republic of Chana(PRC),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HKSAR) is authorized by the Government of the PRC to maintain a separate register and issue certificates using the name "Hong Kong, China" This article analyses the growth of the Norwegian International Ship Register(NIS), Singapore Registry(SRS), Hong Kong Shipping Register and the basis for this growth. By way of introduc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NIS, SRS, Hong Kong Shipping Register and the motivation for the changes in main country shipping policy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