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고층 건축물의 환경특성을 이용한 친환경계획 방법에 관한 연구 : 풍력발전 외피시스템을 중심으로

        오경환 弘益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50767

        지난 한 세기 동안 인류가 사용한 에너지량은 그 이전까지 사용했던 모든 에너지량보다 많다고 한다. 따라서 한정된 에너지 자원을 절약하고 지구환경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구가 가지고 있는 자원과 생태계의 유한성을 인식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해 가야한다. 1970년대, 오일쇼크로 인류는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나, 이는 에너지가 무한히 저렴한 것이 아니고 경제적으로 중요함을 알게 된 사건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강조되기 시작한 친환경화의 개념은 20세기 후반에 들어 환경오염과 자원의 남용이 인류의 생존자체를 위협할 수도 있다는 사실이 국제적으로 인식되면서, UN 환경개발위원회(UNCED)는 1992년 리우 정상회담을 통해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개념의 의제를 채택하였고, 그 실천방안으로 1997년 온실가스저감을 위한 일본 교토의 세계기후변화협약을 시작으로 현재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로서 WTO 등과 함께 환경과 무역을 연계하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온실가스와 폐기물 문제에 대한 UN, OECD, ISO, NGO 등 국제기구 및 선진국의 규제가 강화되어 가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에 동참을 강요받고 있다. 따라서 환경부하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건축분야에서 친환경화가 시급하다 할 수 있다. 이미 국제사회에서는 1970년대 말부터 생태건축(Okologisches Bauen), 생물건축(Bio Architecture), 그린빌딩(Green Building), 환경건축(Environmental Architecture), 환경공생건축 이라 칭하며 독일, 미국, 일본 등에서 현재까지 여러 건축분야에 적용을 시도하며 확실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 그린 빌딩에 대한 이해부족과 필요성, 경제적 타당성에 대한 논의가 존재하고 있어 그린 빌딩이라 말할 수 있는 건축물을 찾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례분석을 통해 친환경적 요소들을 살펴보고, 한정된 토지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도시의 수평적 팽창을 저지하며, 고밀도 개발로 인한 상대적인 녹지공간의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초고층 건축물에 지속가능성을 접목시켜 친환경성과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계획 방안들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said that the energy consumed by human being during the last one century is more than the whole amount consumed before that time. Therefore, it requires to seek sustainable development under perception of the finitude of resources and ecosystem on the earth to save the limited energy resources and to maintain the sustainability of global environment. In the 1970s, human being could perceive the importance of energy conservation by the oil crisis, which was an incident that people came to know the economic importance of energy not to be cheap infinitely. However, with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friendliness emphasized since the 1990s, the fact tha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buse of resources may threaten the survival itself of human being was perceived internationally by the late 20th century and after UNCED selected an agenda in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the Rio Earth Summit in 1992, the action plan was started from the world conference on climate change held in Kyoto, Japan in 1997 to cut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the movements are now in progress actively to link environment and trade together with WTO as sanctions by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environmental problems. As the result, regulations on greenhouse gas and wastes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UN, OECD, ISO, NGO and advanced countries are more and more strengthened and our country is also forced to participate in the regulations. Therefore, it believes that regeneration is very urgent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to have the most effect on environmental load. It has already been solidifying its position securely while attempting the application to various fields of architecture in Germany, the States, Japan as called Okologisches Bauen, Bio Architecture, Green Building, Environmental Architecture, and Symbiotic Housing so on since the late 1970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However, in case of our country, it is difficult to find out buildings to call green building since there exists still discussions about the necessity and economic feasibility together with insufficient understanding about green building. Thus, in this study, it examines eco-friendly elements through case study analysis and grafted the sustainability onto skyscrapers to make it possible of efficient utilization of limited land resources, checking horizontal expansion of cities, securing relative green space against high density development so to propose a blueprint for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higher energy efficiency.

      • 휴먼인터랙션 개념의 공간적 특성을 적용한 복합커뮤니티 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이규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51

        현대 사회는 분명한 목적과 프로그램을 가진 건축 공간 계획에서 변화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간의 교류와 사용자들의 요구 사항에 맞춰 여러 기능들이 복합화되고 다양한 형태로의 가변성을 지닌 공간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도심지 내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고밀화 현상과 오래된 건축 공간의 공동화(空洞化) 현상으로 인해 최근 새로운 공간의 계획보다 기존의 공간을 재구성하여 앞으로 필요한 기능을 고려하여 수용한 지속가능 한 공간 계획이 늘어나고 있다. 공간 사용 목적과 사용자들의 다양성을 충족하고 포화 상태로 가는 건축공간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휴먼인터랙션(Human Interaction)개념의 특성을 통해 공간구성요소를 찾았다. 이것을 다중심, 연속적 공간에서 나타나는 개방성, 중첩성, 유기성으로 분류하였고 공동화(空洞化)된 시설 공간의 재구성을 통해 상호작용을 유발하며 나아가 버려진 시설이라는 인식을 잊고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앞서 살펴본 휴먼인터랙션과 건축은 인간과 환경사이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며 사용자(인간)가 건축 공간(환경)속에서 자신이 무엇인지, 어떠한 행위를 하게 되는지 인지 할 수 있다. 이는 큰 틀 속에서 재구성된 공동화 공간이 과거에 어떤 환경이었는지 보여주는 사용자와 시간적 환경의 상호작용을, 공간 속으로 들어가면 대공간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보는 행위를 통해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과 다른 프로그램을 위해 이동하려는 위치를 함께 인식함으로써 공간을 사용하는 동안 끊임없이 자유로운 동선의 유기성을 형성하게 된다. 휴먼인터랙션 개념의 공간적 특성을 도출하여 복합커뮤니티 시설을 계획한 본 논문의 연구는 현대사회에서의 휴먼인터랙션의 개념과 성향을 알아보고 그 특성이 잘 나타나 있는 건축공간의 사례를 선별하여 객관적인 분석틀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간 계획적 요소의 특성과 함께 설계에 접목시킬 수 있는 건축적 요소를 도출하여 계획안에 적용하였다. 이제까지 인터랙션이라 하면 디지털과 연계되어 인터페이스와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연구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기능적 프로그램을 갖는 공간과 사용자 상호간에 물리적인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복합문화시설의 공간에 나타난 휴먼인터랙션 개념의 공간적 특성을 이끌어내는 과정을 거치면서 그 특징을 공동화된 시설의 재구성을 통해 복합커뮤니티 시설 계획 측면에서 새롭게 정리해 본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었다. 앞으로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 건축 시설의 계획에 있어 공간적 특성을 통한 가능성을 제안한다고 할 수 있겠다. Modern society, space with a variability of in a variety of forms change from the plan of the architectural space of the program and a clear purpose, various functions are composite to meet the needs of the user and exchange programs between the various it is appeared. Further, cavitation phenomena old architectural space densification current state at issue city within due, than in New space, reconfigure the existing space,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functions required future Recent sustainable spatial planning. In order to meet the diversity of users and the intended use of the spac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architectural spaces towards saturation, visited spatial components via the attributes of the concept of human interaction. Classifying open is displayed in a region multicenter, consecutive this redundancy, organically, and induced interact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a space cavitation property. In addition, I was able to be activated to forget the recognition that the facility was abandoned. Architecture and human interaction that is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nvironment and human in architectural space, their what may be recognized that it is made to what actions the user. Once in space, the interaction time environment show what kind was the environment in the past cavity space is reconstructed within the overall framework, which, as it can be seen in the large space each that through the act of looking at the program, to be recognized along with the space that the current user is, where to move for other programs, while using the space, of the always free flow line it will form the organic. Check the trend and concept of human interaction in the modern society, the study of the present paper to deriv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human interaction, to plan a complex community facilities, architectural space appearing well the characteristics by sorting the cases, and analyzed with a framework of objective analysis. Deriving architectural elements that can be integrated into or designed together with the attributes of the spatial plan element based on this. Until now, Interaction has been studied from the point of view of network and interface in conjunction with the digital. However, in the present study, we studied about the physical interaction with each other and user space with functional programs. In the reconstruction of facilities while through a process to draw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human interaction that is displayed in the space of complex cultural facilities, has been hollowed out its features, together anew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plex community facilities plan In terms of seeing, there is its significance. It can be said that it offers the possibility through the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plan of building equipment that require interaction.

      • 풍수지리사상으로 본 한옥의 패시브 건축 요소에 관한 연구

        신경승 弘益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50735

        산업혁명 이후 인류의 무분별한 자원 및 에너지 사용에 따라 이제는 자원의 고갈과 지구 온난화라는 환경문제가 대두되었다. 서양에서는 기존 철학 및 정치학 측면의 이론을 바탕으로 환경문제의 해결방법을 찾기 시작하였다. 기술적 차원에서 해결 할 수 있다는 기술중심주의 관점으로 친환경 건축물 계획시 액티브 건축요소들만을 중시하며 공학적 사고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인 관점에서 선조들의 지혜를 바탕으로 풍수지리 사상에 따라 배치 및 평면이 계획된 한옥들을 대상으로 한다. 과거의 친환경 계획요소를 고찰하여 현대적 passive 건축요소들의 비교 및 분석을 통해 계획적 사고에 의한 건축 계획 및 디자인 방법을 개발하고 보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environmental crisis and global warming have came to the fore with man's indiscriminate uses of natural resource. Western countries have started to seek the solutions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global warming issues based on the theories of existing philosophies and politics. Therefore, only active architectural elements, which are technical based perspective, are emphasized green building planning. In this study, the objects are Korean traditional houses which were designed from feng shui ideas based on the wisdom of Korean ancestors. The overall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for architectural planning and strategies of design ideas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modern passive architectural elements and past green building elements.

      • 일사조절 외피에서 나타나는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전경림 弘益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50719

        As solar control skin of a functional device has been gradually considered up to a level of aesthetics a solution to a problem arising from a curtain wall,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solar control skin design, identify what elements apply to modern architecture much through a case study so a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applied to the solar control skin. As for the methodology of study, this study establishes the concept of solar control skin through theoretical study and understands the characteristics of that solar control appearing on the skin of modern buildings since Le Corbusier’s creation of Brise Soleil. It selected representative cases of various techniques and aesthetics as architectural elements from modern architecture to recent modern structures chronologically, and through the framework of analysis of design characteristics drawn from the theoretical review, it looked into the potential of solar control skin as an element to produce aesthetics in the buildings more than environmental contro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kin was given characteristics through active experiments in modern architecture and apart from the concept of passive decoration, new features and aesthetics were expressed in the skin. In particular, in solar control skin with a clear function of solar control, various characteristics are gradually expressed in terms of design as well. First, solar control skin forms continuity, in other words, repeating patterned skin by the arrangement of elements such as the form, color and texture of a solar control device system, and the monotony that may occur due to the repetition of the same shape becomes diverse with colors and added decorations. If colors are used, rather than the continuation of a single color, a combination of various colors in the same system is attempted by imperfect repetition, so changes and emphases are considered. Second, solar control skin shows regional considerations in that it reflects natural elements in the location of a building, and this characteristic appears in design as well in various ways: e.g. in the installation of solar equipment considering the form of the site, the reflection of the colors of an adjacent building and the use of a pattern showing a locality. This includes the harmony of architectur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in a large range, local cultural elements, which expresses a harmonious context. Third, dynamic skin is formed with the segment of line and side formed through solar equipment, movement appearing in aesthetics by repetitive arrangement of colors and flexible solar equipment responding to environmental change to have the formative beauty of movement. In addition, dynamics shown through the solar equipment is considered as a design in which the skin itself can function as solar control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 From fixed solar equipment like Le Corbusier’s Brise Soleil in the past, with the development of lightweight materials and technologies, the diversification of expressiveness and moving solar equipment forms become noticeable, which allow solar control to be functionally efficient and its role is extending to the skin that allows people to recognize and remember a building by forming a dynamic skin in terms of design.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cases by year, solar control device has been gradually added to the skin and also, the skin itself tends to become unified and have solar control functions. Fourth, in solar control skin forming the image on a building, for an emphasis to draw attention to the building and promote its functions, in other words, the symbolism, the combination of form and color, the texture of the material and decorative elements are attempted. Abstract forms like spires in church architecture in the past have become clear images by using various colors, representing the texture of the material to express its identity, and inscribing a signature. In conclusion, with advances in technology and developments of materials for environmental control,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is expected according to the form and function of the solar control. It is judged that the characteristics drawn in the study will be a reference material for the planning domestic solar control skin design in the future to some degree though there are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본 연구의 목적은 커튼월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의 대안으로 기능적인 장치의 일사조절외피가 점차 조형성까지 고려되고 있는 현상이 나타남에 따라 일사조절외피디자인에 특성을 고찰하고 어떠한 요소들이 현대건축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는지를 사례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일사조절외피에 적용된 디자인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일사조절외피의 이론고찰을 통하여 개념을 정립하고 르꼬르뷔제의 브리즈솔레이 발생부터 근대 건축물에 외피에서 나타나는 일사조절의 특징을 파악한다. 근대건축 이후부터 최근 현대 건축물에서 다양한 기술 및 조형성이 건축적 요소로써 나타나는 대표적인 사례를 연도순으로 선정하고 이론고찰로 도출된 디자인특성의 분석틀을 통해 일사조절 외피가 환경조절이상으로 건물에 조형성을 형성하는 요소로써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외피에 대한 적극적인 실험들을 통해 외피의 성격을 부여하고 소극적인 장식의 개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기능과 조형성이 외피에 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일사조절이라는 기능적 측면이 뚜렷한 일사조절외피는 점차 디자인적 측면에서도 여러 가지의 특성이 표현되고 있다. 첫째, 일사조절외피는 일사조절장치의 형태, 색채, 질감과 같은 요소들의 배열로 연속성 즉, 반복으로 패턴화 된 외피를 구성하며 동일한 형태의 반복으로 생길 수 있는 단조로움은 색채와 덧붙여지는 장식으로 다양해진다. 색채가 사용될 경우 단일한 색채가 연속되기 보다는 같은 계열에 다양한 색채의 조합이 불완전한 반복으로 시도되어 변화와 강조가 고려되고 있다. 둘째, 일사조절외피는 건축물이 위치한 장소에 자연적 요소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적 고려가 나타나며 이러한 특성은 대지의 형태를 고려한 일사장치의 설치와 인접건물의 색채반영, 지역성이 나타나는 패턴의 사용으로 디자인 측면에서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는 건축과 주변 환경과의 조화, 큰 범위로는 지역의 문화적 요소를 포함하여 조화를 이루는 맥락성이 표현된다. 셋째, 일사장치를 통해 구성되는 선과 면의 분절, 색채의 반복적인 배열로 조형성에서 나타나는 운동과 환경변화에 반응하는 유동적인 일사장치로 역동적인 외피를 형성하여 움직이는 조형미를 갖는다. 또한 일사장치를 통해 나타나는 역동성은 기술에 발전으로 외피 자체가 일사조절의 기능이 가능한 디자인으로 고려되고 있다. 과거 르꼬르뷔제의 브리즈솔레이와 같이 고정된 일사장치에서 경량화 된 재료와 기술에 발전으로 표현성의 다양화와 움직이는 일사장치의 형태가 두드러지며 이는 기능적으로도 효율적인 일사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 측면에서도 역동적인 외피를 형성하여 건물을 인지하고 기억되게 하는 외피로써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연도별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외피에 덧대어진 일사조절 장치가 움직이는 것뿐만 아니라 디자인 계획 전에 시뮬레이션을 통한 기후분석으로 외피 자체가 일사조절의 기능을 갖으며 일체화되고 있는 경향이 나타난다. 넷째, 건축물에 이미지를 형성하는 일사조절외피에서 건축물에 주목과 기능을 알리기 위한 강조 즉, 상징성을 위해 형태와 색채의 조합, 재료의 질감, 장식의 요소들이 시도된다. 과거에 교회건축에서 나타났던 첨탑과 같은 추상적인 형태는 다양한 색채의 사용, 재료의 질감표현으로 아이덴티티를 표현하고 시그니처를 새김으로 보다 뚜렷하게 이미지화 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환경조절을 위한 기술의 발전과 재료의 개발로 인해 일사조절의 형태와 기능에 따른 디자인의 발전이 기대된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특성은 국내와 국외의 지형적, 환경적 차이는 있으나 향후 국내의 일사조절외피 디자인 계획 시 일정부분 참고할 만한 자료라고 판단된다.

      • 創意都市 指數評價模型 開發에 관한 硏究

        손영석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박사

        RANK : 250687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valuation model to analyze the conditions of a city through an index by examining a creative city that is in the process of being established with theoretical and experiential examinations to understand it as a city and its changing process, and to adapt this to the city for evaluation and verification. For the study method, the idea of a creative city was established, material was gathered to adapt to the index evaluation model, a creative city index evaluation model was presented, and the model was adapted to the city for evaluation. A city is an important competitive factor in the global age of infinite competition. The importance of the competitiveness of a city is increasing as an index that defines growth and development of a country. A city is an organic body that consists of many different complex parts, and there is a need to examine a city from many different dimensions and establish a city policy, city environment, city plan and construction plan that fits the city.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a creative economic system, growth motivation, a social system with a wide capacity to create a creative environment, and a need to measure the unique cultural activities and value of the city. There is also a need to evaluate the natural environment, which is a creative environment, and the amenities of the city. This study set the creativity of a city as 8 categories of evaluation and used a specific index that divides into fields of economy, society, culture and environment and used a stratified comprehensive process an index process for a practical study that can express the evaluation of a creative city with an index that is changed to a city version. Thus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the creative city index that is used in existing studies in the human science, economy and environment fields. Balanced development of all structural factors of a city, or excavation of the potential assets of a city, or attraction of new latest industries create value through a creative industry or creative human resources, which recreate a city and increase city competitiveness. Such cities are cities that have been constructed after setting a development plan and direction and planning the future of the city. However,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ity evaluation system that can be continued throughout the lifetime of the city from growth to deterioration. The traditional economy, society and environment indexes of a city used by the government do not explain the dynamics of a city well and are not easily changed to a city dimension. In addition, they do not help monitor the creative capacity or study capacity of a city at all. Studies are carried out on development of a creative city but an evaluation and verification system from the point of view of a creative city is not being presented. Therefore even if plans, policies, technology and programs have been persuade to create a creative city, there is a need for an evaluation system that evaluates the effects and provides evidence for efficient decision-making. In order to solve this the need is stressed for a creative city index that can be the standard for evaluating a creative c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aims to provide a frame that can present a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city and construction space amenities for a creative city lifestyle. Second, it aims to provide a frame for an index system that uses gathering and analysis to evaluate a creative city. Third, it aims to present an index evaluation model that can quantitatively measure a creative city. The creative city index consists of 8 field indexes and each field index consists of 4 sub-indexes. The 4 sub-indexes are stratified and combined into 91 specific item index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cumentary research was used to select 12 categories and a survey of experts was used to reach 8 field indexes to structure a decision-making model to establish a creative city index system. Second, each field index consisted of sub-indexes of economy, society, culture and environment. The AHP analysis method with the first set of experts was used to conclude the importance of field indexes and sub-indexes, which are level 1 and level 2 respectively. Third, The DSPNR model that is the metaphor index system of a creative city based on a creative cycle was used to extract the specific items of the creative city index, level 3. Fourth, based on the specific items indexes extracted, 3 cities with a population of 500,000 or more were selected and statistical data was gathered to combine or eliminate indexes with a high correlation between specific item indexes, or adjust using material. Fifth, the indexes including the specific items extracted using the DSPNR model were used to reconstruct a second decision-making model and a second AHP analysis using a survey of experts was used to find out the importance of the specific items, level 3. Sixth,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selected creative cities using the developed creative city index evaluation model, Suwon City was the highest in 2005 and 2006, and Sungnam City did better than Suwon City in 2007. Bucheon City had a comparatively low creative city index. Suwon and Bucheon need to execute uniform policies and Sungnam increases every year and so it was confirmed that its policies are actually effective. This study practically studied and adapted the index evaluation model on 3 cities in Gyeonggi Province to make a creative city index, and was significant in that it established a method to measure the activation level of each city. It is evaluated to have greatly contributed to creating a basis to quantitatively measure and evaluate creative citie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e studies are case studies of adaptation of the index and are not absolute evaluation standards. There may be many different opinions and viewpoints on the development of a creative city, but this study does not mention other opinions. This study has a model that can possible be expanded to other cities other than the actual developed creative city index evaluation model.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statistical data collection system to create a creative city index according to the space grades of a city. This study was planned to provide a basic frame that can be reflected in city plans and designs by city policy developers. 무한경쟁의 글로벌한 세계에서 도시는 중요한 경쟁 요소이다. 도시의 경쟁력이 그 나라의 성장과 발전을 가름하는 척도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도시는 여러분야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유기체로서 도시의 상태를 다양한 측면에서 진단하여 그 도시에 맞는 도시정책 및 도시환경, 도시계획 및 건축계획 수립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도시의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위한 창의적인 경제 시스템과 성장동력과 창의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다양하고 포용력 있는 사회적인 시스템 그리고 그 도시만의 고유한 문화적 활동과 가치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창의적인 환경인 자연환경과 도시의 어메니티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의 창의성을 8가지의 평가항목을 선정하여 경제, 사회, 문화, 환경 분야로 구분 해당되는 세부지표를 통하여 계층적인 통합과정을 거쳐 정량적으로 지수화 과정을 거쳐 창의도시 평가를 도시버전 변환된 지표로 나타낸 실증적인 연구로 기존의 인문사회학, 경제, 환경분야에서 연구하고 있는 창조도시지수와는 차별화 된다. 도시의 모든 구성요소 간의 균형적인 발전과 도시의 잠재적인 자산을 발굴하거나 새로운 첨단산업을 유치하여 창조산업과 창의적인 인력이 창출한 가치가 도시를 재창조하고 도시의 경쟁력을 증진시킨다. 이러한 도시들은 개발의도와 방향, 향후의 모습을 예측하여 건설된 도시들 이다. 그러나 도시의 성장에서 쇠퇴하는 도시 생애동안 지속적인 도시평가시스템이 필요하다. 도시의 경제·사회·환경에 관한 국가의 전통적인 총량지표들은 도시의 역동성을 잘 설명하지 못하고 더욱이 도시차원으로 쉽게 전환되지도 않는다. 또한 도시의 창의역량과 학습역량을 모니터하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창의도시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지만 정착 창의도시 관점에서 평가 검증시스템이 제시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창의도시개념의 도시조성을 위한 계획 및 정책과 기술, 프로그램 등이 추진되었다 하더라도 그것이 얼마나 효과를 거두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환류 시키며 의사결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평가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의도시를 평가할 수 있는 척도인 창의도시지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의도시에 대한 이론 및 경험적인 고찰을 통해 정립 되어 가는 과정의 창의도시를 도시적 해석 및 변환과정을 통해 도시의 상태를 지수를 통하여 분석하기위한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도시에 적용하여 평가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창의도시의 개념을 설정하고 지수평가모형의 적용을 위한 자료구축과 창의도시 지수평가모형을 제시하고 도시에 적용하여 평가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인 도시 라이프스타일을 위하여 도시 및 건축공간에서의 어메니티 향상과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 둘째는 창의도시를 평가하기위한 수집, 분석활용을 위한 지표쳬계의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는 창의도시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수평가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지수체계인 창의도시지수는 8개의 부문지표로 구성되며 각 부문지표는 4개 분야의 하위부문지표로 구성된다. 4개 분야의 하위부문지표는 총 91개의 세부항목지표로 구성 계층화되고 통합화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도시지수체계를 구축하기위한 의사결정모델을 구성하기 위한 부문지표는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를 통하여 12개 항목을 선정하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8개의 부문지표를 도출하였다. 둘째는 각 부문지표는 경제, 사회, 문화, 환경 분야의 하위부문으로 구성하였다. 부문지표(레벨1) 와 하위부문지표(레벨2)의 중요도를 도출하기위한 1차 전문가를 활용한 AHP분석기법을 활용 부문지표들과 하위부문지표들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셋째는 창의도시지수의 새부항목(레벨3)을 도출하기위한 창의성 사이클을 기반으로 한 창의도시 메타포 지표체계인 DSPNR모델을 구성하여 세부항목을 도출하였다. 넷째 도출된 세부항목지표를 기준으로 경기도의 인구 50만이상의 3개 도시를 선정하여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세부항목지표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 상관관계가 높은 지표들에 대하여 통합하거나 제거 또는 자료를 활용하여 조정한다. 다섯째는 DSPNR모델을 통하여 도출된 세부항목을 포함한 지표를 포함하여 2차 의사결정모형을 재설계하여 전문가 설문조사를 활용한 2차 AHP분석을 하여 세부항목지표(레벨3)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여섯째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창의도시 지수평가모형을 활용하여 선정도시의 창의도시 평가한 결과 2005년, 2006년도에 수원시가 높게 나타났으며 2007년도는 성남시가 수원시를 추월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부천시는 상대적으로 창의도시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수원시와 부천시는 년도 별로 일관성 있는 정책집행이 필요하고 성남시는 매년 증가추세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정책의 실효성을 거두는 것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 본 연구는 경기도의 3개 도시를 대상으로 실증적 조사와 지수평가모형을 적용하여 창의도시지수를 만들었고 도시의 활성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구축하는데 그 연구 의의가 있다. 앞으로 창의도시를 정량적으로 측정 평가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큰 기여를 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적용사례이며 절대적 평가기준이 아님을 밝힌다. 창의도시를 개발과 관련하여 여러 의견과 관점이 있을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다른 의견을 언급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창의도시 지수평가모형은 타 도시에도 적용 가능한 확장가능성을 가진 모델이다. 앞으로는 도시의 공간위계에 따른 창의도시지수를 만들 수 있도록 통계데이터 수집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정책개발자와 도시계획 및 설계에 반영할 기본 틀을 제공할 수 있게 개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