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학과와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지각된 서비스 요구

        김숙희 우석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23

        Abstract Knowledge, Attitude, and Recognized Service Requirements for Dementia concerning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and Social Welfare Sookhee Kim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Okhee Ahn, Ph. D., RN This study polled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and social welfare to serve demented patients that are social issues in an aging society. Also, it is a descriptive research conducted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a production course and a program by identifying knowledge, attitude, and recognized service requirements for dementia concerning the students. Study subjects were 451 current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and social welfare in four-year university at J-do. As for study tools, dementia management center located in Seoul (2010) has been used for dementia knowledge, while a tool developed by Hyunoh Cho (1999) has been used for dementia attitude. In addition, a tool developed by Jin Ha (2003) and Maengje Cho (2008) has been used for demand for dementia service after screening duplicated parts. Datum have been collected from October 1st to 20th in 2012, and analyzed by using SPSS/WIN 20.0 program after being collected.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s subjects had 94.1% and 74.6% of women ratio in the department of both nursing science and social welfare, and the average ages of both group were 20.43±1.69, 22.34±6.77. As for the religion, two groups had 54.7% and 61.3% of people believing in Christianity. As for characteristics of dementia, a case of responding 'I know' on a degree of dementia knowledge was 82.4% and 69.2% on both groups, and a case of responding 'I have been educated' on an experience of education was 57.0% and 27.7% on both groups. In a question of asking whether they know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Act or not, a case of responding 'I do not know' was turned out to be 54.7% and 36.4% on both groups, and a case of responding 'family members or relatives' on a question of asking the relationship of supporter and care attendants was 42.0% and 43.4%. In addition, a place where they prefer to take their family members with dementia to the most was turned out to be 'general convalescent hospital for the aged' in 32.9% and 30.9% on both groups. 2. A degree of knowledge of study's subjects in dementi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than social welfare (p<.001), and knowledge in each grade from both group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and social welfare was not significantly high. 3. The attitude of study's subjects on the dementia was positive. In case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freshmen had the most positive attitud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sparity on each grade. As for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eniors had the most positive attitude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on each grade (p<.05). 4. As for recognized service requirements of dementia from test subjects,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showed the highest demand among seniors without significant disparity on each grade. In case of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eniors also had the highest demand with significant disparity on each grade (p<.01). 5.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of dementia from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and social welfare wa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r=-.260, p<.01), (r=-.344, p<.01), and the attitude of dementia seemed to be more positive as a degree of knowledge in dementia was higher.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r=-.366, p<.01), (r=-.404, p<.01) between attitude in dementia and entire service requirement, and a degree of service requirement seemed to be higher as they had more positive attitude in dementia. In conclusion, it showed that the attitude in dementia was more positive as a degree of knowledge in dementia was higher, and recognized service requirement for dementia was higher as the attitude in dementia was more positive. Since the attitude in dotards is more positive as a degree of knowledge in dementia is higher, it is an important issue to develop curriculum and courses of the education. Therefore, it requires to develop education contents and programs for students to build a positive attitude in dotards by strengthening the education in the fields of psychology, sociology, policy, and the system as well as physical and physiological aspects that can improve a degree of knowledge in preparation for curriculum and courses of education for dementia. In addition, a higher degree of demand on the service for dementia implies the necessity of diverse policies for health-care service is also high.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various health-care services should be developed and expanded for dotards. 국문초록 간호학과와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지각된 서비스 요구 본 연구는 고령화 추세와 더불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치매환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돌보게 될 간호학과와 사회복지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지각된 서비스 요구를 파악하여 교육과정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J도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학과와 사회복지학과 학생 4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 치매 지식은 서울시 치매관리센터(2010), 치매 태도는 조현오(1999)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치매 서비스 요구는 하진(2003)과 조맹제 등(2008)의 도구 중 중복된 문항을 제외하고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10월 1일부터 10월 20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간호학과와 사회복지학과 모두 여자가 94.1%, 74.6%로 많았으며, 평균연령은 20.43±1.69, 22.34±6.77세 이었으며 종교는 두 학과 모두 기독교가 54.7%, 61.3%로 가장 많았다. 치매관련 특성으로 치매 지식수준은 ‘안다’로 응답한 경우가 82.4%, 69.2% 이었으며, 치매에 대한 교육경험에서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한 자가 57.0%, 27.7%로 나타났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하여 묻는 문항에서 ‘잘 모른다’가 54.7%, 36.4%로 나타났으며, 치매노인의 부양‧ 치료책임자로 ‘가족‧친지’라고 대답한 경우가 42.0%, 43.4%로 가장 높 았으며 가족이 치매에 걸릴 경우 모시고 싶은 장소는 ‘노인전문요양병 원’이 32.9%, 30.9%로 가장 많았다. 2. 연구 대상자의 치매에 대한 지식은 간호학과가 사회복지학과 보다 유 의하게 높았으며(p<.001), 간호학과와 사회복지학과 모두 학년별 지식 수준은 유의하지 않았다. 3. 연구 대상자의 치매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었으며, 간호학과의 경우 1학년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학년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 내지 않았고, 사회복지학과는 4학년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학 년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4. 연구 대상자의 치매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 요구는 간호학과는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사회 복지학과는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 타내었다(p<.01). 5. 간호학과와 사회복지학과의 치매 지식과 태도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r=-.260, p<.01), (r=-.344, p<.01), 치매 지식이 높을수록 치매 태도도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치매 태도와 총 서비스 요구 간에도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r=-.366, p<.01), (r=-.404, p<.01), 치매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치매에 대한 서비스 요구가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치매 지식이 높을수록 치매 태도가 긍정적이고, 치매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치매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 요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치매 지식이 높을수록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므로 교육과정과 교과목 개발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치매관련 교육과정과 교과목을 계획함에 있어, 교육내용에 지식수준을 높일 수 있는 신체적‧ 생리적 측면은 물론 심리적, 사회적, 정책‧제도적 영역의 교육을 강화하여 치매노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내용이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치매에 대한 서비스 요구가 높다는 것은 다양한 보건복지 서비스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치매 노인에게 필요한 다양한 보건복지 서비스의 개발과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간호대학생의 행복유형과 학과만족도

        권혁미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행복 유형에 대한 주관성을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행복유형에 따른 학과만족도와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시도된 탐색적 기술 연구이다. 간호대학생의 행복 주관성에 대한 Q 모집단은 행복에 관한 심층면담을 통해 구성하였으며, 심층면담에서 놓칠 수 있는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문헌을 고찰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행복을 대표한다고 생각되는 진술문을 추출한 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34개의 Q 표본을 선정하였다. P 표본은 일 지역 간호학과 3학년 학생 6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주관적으로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9점 척도 상에서 Q 분류를 시행하였으며, QUANL PC program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학과만족도 설문지는 김계현과 하혜숙(2000)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1.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행복유형에 따른 일반적 특성은 x²-test로 분석하였으며, 행복유형에 따른 학과만족도의 차이는 ANOVA로 분석하였다. 사후 다중비교는 Scheffe를 이용하였고, 학과만족도의 신뢰도 검정은 Cronbach’s α로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행복인식은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인 진취적 자기 실현형은 최선을 다하는 자신의 모습에서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끼는 유형으로 진취적 자세와 더불어 스스로 주위에 인정받고 있음을 자각하고 행복을 추구해 나가는 유형이다. 제2유형인 도피적 몰입형은 자기 부정적 요인을 내재하고 있음으로 현실부정의 성향이 강하여 타인의 자극에 현실 부정이나 새로운 것에 지속적으로 몰입하게 되는 유형이다. 제3유형인 낙관적 친화형은 자신을 스스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더불어 타인과의 관계를 포용적이고 원만하게 유지하면서 일상을 즐기는 유형이다. 제4유형인 자기중심적 관계 추구형은 주변을 의식하고 항상 비교하면서 자신을 가꾸어가면서도 행복교감에 소극적이고 비개방적 유형이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자들이 가장 많이 응답한 행복 유형은 제3유형 낙관적 친화형으로 22명(34.4%)이었다. 제1유형 진취적 자기 실현형이 21명(32.8%), 제2유형 도피적 몰입형이 11명(17.2%), 제4유형 자기중심적 관계 추구형이 10명(15.6%)이었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행복 유형과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용돈만족(x²=17.20, p=.001)와 주관적 건강상태(x²=18.32, p=.017), 친구관계(x²=15.74, p=.008), 성격(x²=15.16, p=.02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제2유형 도피적 몰입형이 다른 유형들에 비해 자신의 용돈에 대해 불만족(81.8%)하게 느끼고, 자신이 건강하지 않다고 인지하고 있으며(45.5%), 친구와의 관계를 보통이거나 나쁘다고 생각하는 편이며(63.6%), 성격은 내성적이라고 인식하는 것(54.5%)으로 나타났다. 넷째, 간호대학생의 행복 유형별 학과만족도는 점수 가능 범위 5점 만점에 제1유형 진취적 자기 실현형이 4.06±0.48점으로 가장 높고 제2유형 도피적 몰입형이 3.44점±0.33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 유형에 따른 학과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F=4.53, p=.006).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제2유형 도피적 몰입형의 간호대학생으로 하여금 긍정적으로 학교와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을 키워 학과만족도를 고취시키고 나아가 전인간호의 실천 핵심인 간호전문직관을 고양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소통하는 지지적이고 관계적인 학습환경 속에서 학과에 흥미를 갖도록 개인이 지니고 있는 잠재가능성을 인식·탐색하고 개발시켜 나갈 수 있도록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주요어 : 간호대학생, 행복, 학과만족도, Q 방법론

      • 능력 본위 교육 이론에 근거한 간호학부 교과과정 개발 연구 : -중국 동인대학교를 중심으로-

        모굉 세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는 변화하는 중국 사회의 요구에 맞는 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해 CBE(Competency Based Education) 이론에 기초하여 동인대학교 간호학부 교과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20년 3월부터 2021년 1월까지 CBE에 근거하여 국ㆍ내외 간호학부 핵심 역량, 간호학부 교과과정 등을 문헌 분석한 후 설문지 조사법(델파이법), 면담법 등의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문헌, 설문지 분석을 위한 통계적 분석과 면담 분석을 위한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SPSS 22.0를 사용하여 문헌 분석을 통해 얻어진 간호 핵심역량 중요도를 가중평균법(weighted average method)으로, 회수한 설문지를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만점율, 변이계수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면담 내용을 요약 정리한 후 최종 요약 정리를 주제별 약호화(Coding)하고 분류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면담 자료는 중화간호지 더펠의 간호연구 활용방법(Dai, Jiang, & Sun, 2012)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개발된 간호학부 교과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론 과목의 수업 학기는 1학기에 편성하며, 이론 과목의 총 수업 시간은 280∼520 시간이다. 이론 과목은 필수과목 16과목과 선택과목 12과목으로 총 28과목이다. 필수 과목 16과목은 간호학 기초, 생리학, 병리학, 인체 해부학, 내과 간호학, 외과 간호학, 산부인과 간호학, 아동 간호학, 재활 간호학, 사상도덕수양과 법률기초, 중국 근현대사, 마오쩌둥 사상과 중국특색 사회주의 이론체계 개론, 마르크스주의 기본원리, 컴퓨터 이론과 응용, 대학생 영어,컴퓨터 이론과 응용,대학 영어,증빙의학. 선택 과목 12과목은 의료 윤리학, 응급 간호학, 정신 간호학, 지역사회 간호학, 간호 관리학, 간호 예절, 의료 통계, 간호 교육학, 대학생 진로 계획, 대인 의사소통, 대학생 심리 건강, 공통 영어 등으로 설정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인문 소양 능력을 포함하여 임상 간호 종합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간호학부 교과과정을 개발하였다는 점이다.

      •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 만족도 및 간호전문직 자아개념과의 관계

        지은미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 만족도 및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을 파악하고, 이들 세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간호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간호학과 두 개교와 J도에 소재한 3년제 간호학과 1개교, G도에 소재한 3년제 간호학과 1개교, 모두 4개교에서 4주 이상의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2학년과 3학년 학생 436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12년 09월 05일부터 2012년 09월 14일까지 이루어 졌다. 연구도구는 임상실습 스트레스 측정은 황성자(2002)가 개발한 도구로, 임상실습 만족도 측정은 조결자와 강현숙(1984)이 개발한 도구와 이성은(2001)이 개발한 도구를 이순희 등(2004)이 수정 보완한 도구로,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측정은 Arthur(1990)가 개발한 도구를 송경애와 노춘희(1996)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3.50점, 임상실습 만족도는 5점 만점에 3.04점,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4점 만점에 2.73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연령, 성별, 학년, 전공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는 전공만족도, 자신의 성격, 대인관계, 실습 동료와의 관계, 간호직에 대한 의미, 간호학생이 인지하는 간호학생에 대한 환자의 인식과 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학년, 간호학과 진학동기, 전공만족도, 자신의 건강상태, 자신의 성격, 대인관계, 실습동료와의 관계, 간호직에 대한 의미, 간호학생이 인지하는 간호학생에 대한 환자의 인식과 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고, 임상실습 만족도와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96,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을수록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고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 전환이론을 이용한 중국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약자 괴롭힘과 심리적 안녕

        임려평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박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중국간호학생들이 임상실습 동안 경험하는 약자 괴롭힘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심리적 임파워먼트, 갈등관리유형과 지지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중국간호학생들의 약 자 괴롭힘, 심리적 임파워먼트, 갈등관리유형과 심리적 안녕의 수준을 조사한다. 두 번째 목적은 Schlossberg의 전환이론, 선행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결과를 토대로 중국간호학생의 약자 괴롭힘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이 연구의 세 번째 목적은 가설적 모형과 실제 자료 간의 부합도를 검증하여 심리적 안녕을 설명하는 가설모형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임파워먼트, 갈등관리유형과 지지가 약자 괴롭힘과 심리적 안녕 사이에서 미치는 매개효과를 점증한다. 자료 수집은 2013년 1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중국의 Y 도시와 J 도시에 소재한 5개 병원에서 6개월이상의 임상실습을 받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약자 괴롭힘, 심리적 임파워먼트, 갈등관리유형, 우울, 자존감과 전공만족감을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법으로 사정하였다. 질문지는 우편을 통해 배부되었으며, 질문지 450부 중 407(90.4%)부가 회수되었으며, 결측자료 및 이상치 점검 후 총 366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해 연구대상자 특성과 연구변수의 서술 통계, 도구의 신뢰도, 측정변인의 상관관계 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검증 및 가설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352명(96.14%)의 중국간호학생이 임상실습에서 약자 괴롭힘을 경험했고, 간호학생들이 낮은 수준의 심리적 안녕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간호학생들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수준은 31.01 (SD=6.89)으로 나타나고, 갈등관리유형은 Lose-Lose방식으로 선택하였다.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는 Χ2= 289.524(df=128, p=.028), χ2/df =2.262, GFI=.921, AGFI=.895, SRMR=.031, RMSEA =.059, NFI=.819, TLI=.865, CFI=.887, PNFI=.684로 모든 적합도 지수에서 기준을 만족하였으며, 가설적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설적 모형의 검정결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설명력은 21.0%, 갈등관리유형의 설명력은 42.7%, 지지의 설명력은 32.2%, 심리적 안녕의 설명력은 93.7%였으며, 7개의 가설 중에서 6개의 가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1)심리적 임파워먼트(psychological empowerment)를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1. 약자 괴롭힘(bullying)은 심리적 임파워먼트(psychological empowerment)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직접효과(γ=-.458, p< .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2) 갈등관리유형(conflict management styles)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2. 약자 괴롭힘(bullying)은 갈등관리유형(conflict management styles)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직접효과(γ= .654, p< .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3) 지지(support)를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3. 약자 괴롭힘(bullying)은 지지(support)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직접효과(γ=-.567, p< .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4) 심리적 안녕(psychological well-being)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4. 약자 괴롭힘(bullying)은 심리적 안녕(psychological well-being)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간접효과(효과계수=-.750, p< .001)와 총효과(효과계수=-.677, p< .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쳤다. 가설 5. 심리적 임파워먼트(psychological empowerment)는 매개변수로 심리적 안녕(psychological well-being)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매개효과(z=-3.562, p< .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6. 갈등관리유형(conflict management styles)은 매개변수로 심리적 안녕(psychological well-being)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매개효과(z=-2.921, p= .003)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7. 지지(support)는 매개변수로 심리적 안녕(psychological well-being)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매개효과(z=-1.207, p= .226)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중국간호학생들의 심리적 안녕에 심리적 임파워먼트, 갈등관리유형과 지지는 매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약자 괴롭힘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에서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갈등관리유형을 매개변수로서 기능하였으며,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갈등관리유형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매개효과는 중국간호학생들의 약자 괴롭힘이 많을수록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낮아지며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자 괴롭힘이 많을수록 갈등관리유형 중에서 경쟁과 협력은 낮아지며,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협, 회피, 수용은 높아지고,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모형은 중국간호학생들의 심리적 안녕을 위한 약자 괴롭힘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간결하고 포괄적인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간호학생들의 약자 괴롭힘은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며, 간호학생들이 약자 괴롭힘의 환경에 처하게 될 경우, 빠른 대처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가장 큰 예측 요인이었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갈등관리유형을 높이기 위한 중재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변인들의 중재를 통해서, 결과적으로 중국간호학생들의 약자 괴롭힘을 예방하기 위한 약자 괴롭힘 관리수업과 임상실습지도 선생님과 현장에서 지도하는 간호사들이 간호학생들에게 적극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덕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75

        ABSTRACT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on Department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 Kim, Duck Jin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ee, Jeong Seop, RN. PhD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analysi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on department satisfaction. It will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nursing programs that will improve nursing students' department satisfaction. The subjects were 275 nursing students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3 to December 20, 201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enter method using the SPSS 21.0 Program for Window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for ego-resilience,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the nursing students were 3.38(±0.52), 3.33(±0.50) and 3.64(±0.56)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between ego-resilience and department satisfac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2) The ego-resilience of the nursing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ir age(F=5.49, p<.001), school system(t=-5.57, p<.001), choice motivation(F=2.71, p=.031)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t=-3.05, p=.003). The self-efficacy of the nursing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ir age(F=4.51, p=.002), school system(t=-4.49, p<.001), academic performance(F=4.95, p=.002) and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t=-3.14, p=.002). The department satisfaction of the nursing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ir age(F=3.24, p=.013), school system(t=4.22, p<.001) and choice motivation(F=4.74, p=.001),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ir sex, religion, academic performance and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3) The factors which affected department satisfaction are, in the order of significance, as follows. Optimistic attitude among the ego-resilience (β=.56, p<.001), associate course(β=.38, p<.001), suitability for personality among the choice motivations(β=.17, p<.001), social self-efficacy(β=.14, p=.039), high employment guarantee among the choice motivations(β=.12, p=.033). All the variables mentioned above explained 36% of department satisfaction of the nursing students. By the results and the discussions, this study’s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study with an expanded number and scope of subjects in order to increase nursing students' interest in department satisfaction and to generalize the results. 2)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asurement tools for department satisfaction, which are suitable for Korean nursing students. 3) A follow-up study is necessary to discover and verify the effects of variables other than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which affect nursing students’ department satisfaction. 4)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for enhancing nursing students' optimistic attitude and ego-resilience, which will result in their higher department satisfaction. Key words : Nursing, Students, Resilience, Self Efficacy, Personal Satisfaction 국문요약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학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상관관계분석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3년제와 4년제 각 1개 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7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은 2012년 12월 3일부터 12월 20일에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SPSS 21.0 for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차이검증, 상관분석 및 진입 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은 평균 3.38점(±0.52), 자기효능감은 평균 3.33점(±0.50) 그리고 학과만족도는 평균 3.64점(±0.56)이었고, 이들 변수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2)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은 연령(F=5.49, p<.001), 학제(t=-5.57, p<.001), 선택동기(F=2.71, p=.031), 교우관계(t=-3.05, p=.00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연령(F=4.51, p=.002), 학제(t=-4.49, p<.001), 학업성적(F=4.95, p=.002), 교우관계(t=-3.14,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과만족도는 연령(F=3.24, p=.013), 학제(t=4.22, p<.001), 선택동기(F=4.7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성별, 종교, 학업성적, 교우관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간호대학생의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탄력성 중 낙관적 태도(β=.56, p<.001), 3년제(β=.38, p<.001), 선택동기 중 적성과 취미가 맞아서(β=.17, p<.001), 사회적 자기효능감(β=.14, p=.039), 선택동기 중 졸업 후 취업률이 높아서(β=.12, p=.033) 순으로 영향력이 있었고, 이들 변수로 구성된 모델의 설명력은 36%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학과만족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 대상자의 수와 범위를 확대하여 반복 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현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학과만족도 측정도구가 없는 실정이므로 추후 우리나라 간호대학생의 실정에 맞는 학과만족도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외에 다른 변수들을 찾아내어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제언한다. 넷째, 간호대학생의 학과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낙관적 태도와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과과정에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주요개념어 : 간호대학생,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 간호의 중심개념 교육 프로그램의 학습효과에 관한 일연구

        이경혜 梨花女子大學校 1985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 educational program concerning the core concept of nursing on nursing students who had not been exposed to any nursing education courses at Nursing College. An attempt was made to infer how much of the nurs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ursing concept had improved as a result of their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program and to determine the duration of such a learning effect. The data for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60 freshmen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from August 1983 to December 1983. The experimental tool and teaching syllabus for the study were organized by investigator and their reliability was tested by SAS (Cronbach’s a = .93).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 under the direction of the investigator at the beginning of the second semester. Four tests were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one pre-test and three post-tests. The first post-test was administered immediately after the treatment, the second post-test was administered one month after the treatment, and the final test was administered at the end of the second semester. The results were as fillows: 1) The results of the test administered immediately after treatment were higher than the results of the pre-test(p = .00). 2) The results of the test administered one month after treatment were higher than the results of the pre-test(p = .00). 3) The results of the test administered at the end of the second semester were higher than the results of the pre-test (p = .00). 4)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three post-tests(F = .38, P = .68).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concerning the core concept of nursing helped to improve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ursing concept and that this learning effect was consistent throughout the investigation. 전문직 간호교육의 목적은 학생을 간호에 필요한 행동능력을 소유한 전문직 간호원으로 육성, 배출하는데 있으며, 교육의 특징은 간호업무의 근거가 되는 전문직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그 지식과 기술을 구체적인 간호상황에 적용하는 방법의 터득과 간호학생을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격을 소유한 인간으로 육성함을 강조한다. 따라서 앞으로 전문적 간호활동을 수행할 간호학생은 간호학의 전문적 지식과 기술이 구조적으로 어떻게 상호연관되어 있는지, 간호학이 무엇을 위한 학문이며 왜 필요한지에 대한 분명한 방향과 입장을 견지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학생들이 간호학에 대한 뚜렷한 동기나 적성에 상관없이 그리고 간호학에 대한 올바른 정보부족으로 잘못된 사전개념을 가지고 입학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간호학생은 기초 간호교육과정에서 간호학을 올바로 이해하고 포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간호학의 개념적 구조 혹은 틀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간호의 중심개념을 파악하고 그 개념들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간호학의 개념적 구조를 이해한다는 것은 한가지 간호현상을 여러가지 현상과 관련해서 이해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므로 전문직 간호원으로서 임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개념적 지침이 된다. 따라서 간호교육과정을 통해 학생에게 간호학의 기본이 되는 간호의 중심개념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간호학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게 함으로서 구체적인 간호상황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가능하게 하고 앞으로의 학습을 용이하도록 돕는 것은 의의있는 일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의 중심개념을 교육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학생에게 교육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므로서 간호학의 중심 개념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학생이 간호개념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는데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간호학 전공과목을 이수한바 없는 4년제 간호학과 1학년 학생 60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간호학의 중심개념의 구성요소를 기초로 개념검사 도구와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연구도구에 대한 신뢰도는 예비검사에서 Cronbach’s a = .93이었으며 타당도는 간호학교수와 임상간호원 5명의 전원 합의에 의해 검정되었다. 간호학의 중심개념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은 1회에 한하여 실시하였으며 개념검사는 학생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기전인 학기초와 교육프로그램 참여직후, 참여 1개월후, 그리고 학기말에 각각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1983년 8월에서 12월말사이에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비교하고 t ? 검정과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으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간호학의 중심개념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참여전(174.30점)에 비해 참여직후(229.31점) 간호개념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가 현저히 향상되었다(p = .00). 2. 간호의 중심개념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1개월후(232.00점)와 학기말의 검사(219.90점)에서도 참여전 검사결과보다 현저히 높은 점수를 나타ㅐ어 간호의 중심개념교육프로그램의 학습효과를 더욱 뚜렷이 하였다 (참여 1개월후 : p = .00, 참여후 학기말 ; p = .00). 3. 간호의 중심개념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의 간호개념에 대한 이해는 참여직후, 참여 1개월 후, 그리고 참여후 학기말 검사기간에 유의한 점수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학기초에 실시한 간호의 중심개념교육프로그램 학습의 효과가 학기말에도 계속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의 중심개념을 교육하는 것이 학생들이 간호개념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그 효과가 오래 지속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규 간호교육과정에서 간호개념에 대한 교과목을 설정하여 체계적으로 교육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또한 입학당시 학생이 가지고 있던 간호에 대한 막연한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신입생의 간호학에 대한 사전 개념을 사정하는 것은 앞으로 교수가 간호교육과정을 계획하고 학습자료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것으로 사려된다.

      • 자율실습 지도방법에 따른 간호학생의 기본간호학 실습성적, 자신감, 만족도

        홍승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 practice scores in Fundamentals of Nursing,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eaching method in self-directed practice.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 test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 March, 2009 to 18, April, 2009 from 102 nursing students in sophemore at one nursing school in Daegu. There were 53 in experimental group and 49 in control group. The treatments which were done in two tim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ctive participation of instructor and for the control group were passive participation of instructor in self-directed practice. Data were analyzed with -test, independent t-test, ANCOVA, Pearson's correlation through SPS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 1. The first hypothesis “The practice scores in Fundamental Nurs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was not verified(t=1.14, p=.258). 2. The second hypothesis “The confidence in practice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was not verified(t=.89, p=.374). 3. The third hypothesis “Satisfaction in the practice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t the control group's.” was not verified(t=.74, p=.46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dditional analysis, the more the students thought for themselves that their attitude toward practice participation was active, the higher their practice scores were, the longer they participated in practice, the higher their confidence was and the more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practice participation was active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From the above results, to make practices of the Fundamentals of Nursing more effective, instructor must participate in practice as a facilitator to change students' attitude toward practice more active. 본 연구는 자율실습 지도방법에 따른 간호학생의 기본간호학 실습성적, 자신감,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로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3월 3일부터 4월 18일까지이며, 연구대상자는 일개대학 4년제 간호학과 2학년 학생으로 실험군 53명, 대조군 49명 총 102명이었다. 실험처치로 실험군에게는 자율실습시 실습교육자가 능동적으로 개입하여 지도하고 대조군에게는 수동적으로 개입하여 지도하는 방법으로 2회 처치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4.0프로그램의 -test, independent t-test, ANCOVA, Pearson's correlat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기본간호학 자율실습시 실습교육자가 능동적으로 개입하여 지도한 실험군은 수동적으로 개입하여 지도한 대조군보다 기본간호학 실습성적이 높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t=1.14, p=.258). 2. 제 2 가설 “기본간호학 자율실습시 실습교육자가 능동적으로 개입하여 지도한 실험군은 수동적으로 개입하여 지도한 대조군보다 기본간호술 수행에 대한 자신감이 높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t=.89, p=.374). 3. 제 3 가설 “기본간호학 자율실습시 실습교육자가 능동적으로 개입하여 지도한 실험군은 수동적으로 개입하여 지도한 대조군보다 자율실습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t=.74, p=.461). 추가분석 결과 학생 스스로 본인의 자율실습에 대한 참여태도가 적극적이었다고 생각할수록 실습성적이 유의하게 높았고, 자율실습에 참여한 시간이 길수록 자신감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실습수업에 대한 참여태도가 적극적일수록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시 자율실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습교육자가 학생의 참여태도를 적극적으로 변화시키는 촉진자의 역할로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계획된 기본간호학실습 자율실습 프로토콜 개발

        이지선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75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is a prerequisite course where a nursing undergraduate student first learns fundamental nursing skills that are basic but essential in nursing practice. In nursing schools, self-directed study program is conducted to provide sufficient time and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s to practice fundamental nursing skills while supplementing insufficient instructors and practice hours. However, attendance to the self-directed practice is not high and most of the students are passive in attending the practice, making it difficult to acquire full effectiveness of education. To promot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various interventions have been attempted, but there has not yet been a study that has designed and structured a self-directed practice learning based on a theoretical framework. In this study, a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has been developed to promote learning while maintaining autonomy as a nursing student, and provided to nursing students for preliminary assessment of possible implementation and its effectiveness. This study acknowledges self-directed practice as a type of experiential learning and has selected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that allows repetitive experience and contemplation of fundamental nursing skill,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protocol. Methodological research design has been implemented to develop a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and a single group pre-post design has been used to verify effectiveness after its implementation. 12 sophomore nursing students were included as subject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18.0 program. General characteristic and satisfaction in self-directed practice were calculated of numerals,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Difference in knowledge, fundamental nursing skill proficiency,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the subjects after the practice was analyzed with Wilcoxon signed rank test. The outcome of current study comprises of the following: development of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protocol. For development of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a survey of needs was given to 93 sophomore,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in September, 2020, and based on analysis of its result, a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plan was designed by conceptually conjoining each stage of Kolb’s experiential learning model with self-directed practice. The plan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of its content after 1 st and 2 nd professional validity assessment, and a 4-stage planned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was established. In the first stage of concrete experience, the student repeats fundamental nursing skill and records his/her performance into a video and watches the video to reflect oneself in 2 nd stage of reflective observation. In abstract conceptualization, one writes own feedback for his/her performance, and in the last stage of active experimentation, the student practices repetitively while improving his/her performance based on own self-reflection and feedback. To verify effectiveness of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Sept. 28th, 2020 to Oct. 21. 2020 to undergo the protocol. After preliminary inquiry, the students were given 4 sessions of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that lasted 50 to 70 minutes per each session, and a follow-up survey was conducted.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was evaluated using assessment tool devised by current author, and fundamental nursing skill proficiency was analyzed with practice checklist by S university. Satisfaction of self-directed practice was only measured in follow-up survey using learning satisfaction test tool. After implementing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knowledge of the subjects (Z=-2.831, p=.005)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Furtherm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roficiency and performance confid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4 sessions implemented with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Satisfaction of self-directed practice was also high (4.83/5). Current study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self-directed learning is systematically established into a protocol based on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preliminary assessment showed that self-directed practice protocol i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which may improve knowledge, fundamental nursing skill proficiency, performance confidence, and self-directed practice satisfaction in a nursing student. As epidemic of COVID-19 allowed only a few intervention for the single group, a full-scale evaluation with more intervention sessions is proposed to assess its effectiveness by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기본간호학실습은 간호대학생이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실무 능력인 기본간호술을 처음으로 학습하는 필수 교과목이다. 간호교육기관에서는 교수요원의 부족, 적은 실습 시수 등을 보완하고 간호대학생에게 기본간호술을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기회를 제공하고자 자율실습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자율실습 참여도가 높지 않으며 대다수의 학생들이 수동적 태도로 실습에 임하여 실습 교육의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자율실습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그동안 다양한 중재가 시도되었으나 자율실습의 학습방법을 하나의 이론적 기틀에 따라 설계하고 구조화하여 제시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자율성을 유지하며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기본간호학실습 자율실습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이를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하여 적용 가능성과 효과를 예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자율실습을 하나의 경험학습으로 인식하고, 기본간호술 수행에 대한 반복적 경험과 성찰이 가능한 Kolb의 경험학습이론 모형을 프로토콜의 이론적 기틀로 선정하였으며 자율실습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 설계와 프로토콜 적용 후 효과 검증을 위한 단일군 사전-사후설계를 사용하였다.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대상자는 2학년 간호대학생 12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자율실습만족도는 실수와 백분 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지식, 기본간호 실기 숙련도, 수행자신감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는 비모수 검정방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율실습 프로토콜의 개발과 효과 검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자율실습 프로토콜 개발을 위하여 먼저 2020년 9월에 2, 3, 4학년 간호대학생 93명을 대상으로 요구도 조사를 하였고, 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Kolb의 경험학 습이론 모형의 각 단계와 자율실습을 개념적으로 연결하여 자율실습 프로토콜 구성안을 작성하였다. 구성안은 1, 2차 전문가 타당도 평가를 통해 내용을 수정·보 완하여 4단계의 계획된 기본간호학실습 자율실습 프로토콜을 확정하였다. 먼저 구체적 경험의 단계에서 기본간호술을 반복 연습하며 자신의 수행을 동영상으로 남긴다. 반성적 관찰 단계에서 동영상을 관찰하며 자아성찰하고 추상적 개념화 단계 에서 자신에 수행에 대하여 자가 피드백을 적는다. 마지막으로 능동적 실행의 단계에서는 자아성찰과 피드백을 바탕으로 수행을 개선하여 반복 연습한다. 자율실습 프로토콜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여 2020년 9월 28일부터 10월 21일까지 자율실습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사전 조사 후 1회당 최소 50분 최대 70분 소요된 자율실습 프로토콜을 4회 적용한 뒤 사후 조사를 진행 하였다. 지식과 수행자신감은 연구자가 개발한 평가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기본간호 실기 숙련도는 S대학교에서 사용 중인 실습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율실습만족도는 학습만족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사후 조사에서만 측정하였다. 자율실습 프로토콜의 적용 후 연구대상자의 지식(Z=-2.831, p=.005)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자율실습 프로토콜을 적용한 4개의 실습 주제에서 모두 기본간호 실기 숙련도와 수행자신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자율실습 만족도(4.83점/5점)는 높은 점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율실습 학습방법을 이론적 기틀에 따라 체계적인 프로토콜로 구축 하였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으며 예비평가를 통하여 자율실습 프로토콜이 간호대 학생의 지식, 기본간호 실기 숙련도, 수행자신감, 자율실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있는 효과적인 학습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유행으로 단일군에게 적은 횟수의 중재를 적용할 수밖에 없었으며, 추후 중재 횟수를 늘리고 대조군과의 비교로 효과를 평가하는 본 평가를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