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V-type three level system using interlayer excitons of van der Waals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trilayer heterostructures

        Tak, Joon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47359

        2차원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TMDs) 물질은 우수한 광학적 전기적 특성으로 인해 차세대 반도체 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빛에 의해 여기 된 전자 및 정공은 쿨롱힘 (Coulomb Force)으로 강하게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중성인 전자-정공 쌍을 형성하며 이를 “엑시톤”이라고 한다. 양자 분야의 기본 단위 물질로서 준입자인 엑시톤에 관련된 수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지만, 나노초 수준의 아주 짧은 수명을 가지는 단점으로 인하여 반도체 소자로서 응용하기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상대적으로 긴 수명을 가지는 인터레이어 엑시톤이 주목받고 있다. 2차원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는 반 데르 발스 (van der Waals) 결합을 가지며, 이로 인해 여러 장을 겹겹이 쌓을 수 있다. 이 때, 이종 결합 물질의 밴드 구조 정렬에 따라 타입 I 또는 타입 II 이종결합구조가 형성된다. 타입 II 이종결합에서, 엇갈려 있는 에너지 밴드로 인하여 광 여기 된 전자와 정공이 반대층의 전도대역과 원자가대역으로 매우 짧은 시간동안 이동한다. 분리된 전자와 정공은 서로 상호작용하여 층간 쿨롱 상호작용에 의하여 층간 여기자(interlayer exciton)를 형성한다. 인터레이어 엑시톤은 기존 엑시톤 보다 수 천배 이상 긴 수명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응용 분야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TMD물질의 특징적인 육각 구조로 인하여 이종결합에서 0 °와 60 °에서 A-A와 A-B 스태킹으로 인해 강한 층간 결합을 이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리는 제 2 고조파 발생 분광법 (Second Harmonic Generation spectroscopy)을 사용하여 물질 격자의 각도를 확인했다. 광 발광 (Photoluminescence) 실험은 532nm의 파장을 가지는 연속파 다이오드 레이저 (continuous wave laser)를 사용하여 전자를 여기시켰으며 77K의 저온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두 장의 단일층 이황화몰리브덴 (MoS2) 사이에 이셀레늄화텅스텐 (WSe2)이 쌓인 삼중층 이종 결합 구조를 만들었다. 두개의 타입 II 구조를 가지는 삼중층 이종결합 소자는 동일한 그라운드를 가지는 두개의 인터레이어 엑시톤을 형성한다. "V형 시스템”이라 부를 수 있는 이러한 이종결합구조는 고체 물리의 양자 결맞음(quantum coherence)을 연구할 수 있는 또 다른 전자 자유도 (Degree of Freedom)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우리는 소자에 수직 전계를 가하여 두 인터레이어 엑시톤의 에너지를 제어할 수 있음을 보였다. The two-dimensional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TMDs) materials have been spotlighted as a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device due to its excellent photoelectric properties. Photo-excited electrons and holes form exciton due to Coulomb interaction. Tremendous studies related exciton have been conducted, but excitons have been difficult to utilize since electron-hole recombine after a very short lifetime. Furthermore, studies on the TMD heterostructure have been carried out. Type I or type II heterostructure formed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each material. In type II heterojunction, the staggered potential assists efficient separation of photo-excited electrons and holes in an opposite layer. Electrons and holes separated interact to form excitons, which are called “interlayer exciton”. Interlayer excitons have long lifetimes several thousand times larger than intralayer excitons.1 We implemented both tri-layer configuration using tri-layer hetero-stacks, in which the WS2(WSe2) layer is embedded between two MoS2(MoSe2) layers. This so-called “V-type” excitonic configuration is expected to provide another degree of freedom to investigate the solid-state version of atomic quantum coherence. We further show that the energy levels of the interlayer excitons can be controlled by applying the vertical electric field. The MoS2/WS2(MoSe2/WSe2) heterostructure1 is known to show a strong interlayer coupling with A-A and A-B stacking at 0º and 60º, respectively,2 where the commensurate stacking, exhibits strong interlayer photoluminescence (PL). We, therefore, confirmed the molecular orientation using second harmonic generation (SHG) spectroscopy. For the PL experiments, we used a 532nm continuous-wave diode with low temperature (77K). Consequently, we implemented tunable interlayer exciton in a tri-layer heterostructure.

      • Issues in Korean consonautal phonology

        Tak, Jin-young Indiana Univ. 1997 해외박사

        RANK : 247359

        이 논문은 자질수형도 (featere geometry), 최대 명세이론 (radical underspecification), 모라 이론 (mora theory)과 조음간극이론 (aperture theory) 으로 현대 국어의 자음음운론 연구에 있어서 논란이 되어온 현상들을 일관성 있게 설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논문에서 논자는 종성자음 (coda consonant)의 무게, 음절 내에서의 상향위치 (on-glide), 자음동화, 말음법칙, 경음화, 기음화와 자음 단순화현상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겠다. 더 나아가 한국자음의 음운형태 실현을 서술하는데 필요한 논증 (arguments)도 심도있게다루게 된다. 먼저 음절구조와 연관된 두 가지 문제를 살펴보겠다. 논자는 한국어의 종 성자음은 모라(mora)가 아닌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이진성 (1992)과 이용성 (1993)의 주장과 상반된 이론으로서 한국어의 경과음은 음절초성 (onset) 이 아니라 핵음의 일부분이라고 본다. 특히 자질수형도와 관련해서 위치마디 (place node)밑에 외주마디 (peripheral node)의 필연성을 검증해 보겠다. 이 논쟁은 한국어에서 전두음이 후행 하는 순음과 후두음의 조음 위치에 동화되며, 순음이 후행하는 후두음에 동 화되지만 그 반대의 경우는 일어나지 않는다는 비대칭 자음동화에 바탕을 둔 다. 또, Steriade (1992, 1993)의 이론에 기초를 둔 조음간극이론 (aperture theory)을 받아들임으로써 말음현상에 대한 새로운 법칙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이론에 의하면 한국의 말음법칙은 개방 조음간극 (Af 나 Amax)의 삭제로 간단히 설명될 수 있다. 이 관점은 특정 자질을 기술하는데 있어 두 가지 내적가치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임으로써 다른 이론과 구별지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논문에서 논자는 [spread glottis]와 [constricted]의 자질을제공받는 기음과 경음은 일률적으로 쌍음이나 mora로 기술될 수 없다고 본다.경음화, 기음화, 말음법칙의 상호의존 관계에 역점을 두고 논자는 이 논문에 서 제시된 한국어 분석이 다른 언어와 연관성이 있을뿐만 아니라 현 음운이론연구에 깊이를 더 해줄 것이라 본다.

      •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Cu2Se compounds

        Tak, Jangyeul Sungkyunkwan university 2020 국내박사

        RANK : 247359

        Recently, thermoelectric research for power generation from waste heat has been carried on due to increasing global interest for energy issues. Thermoelectric technology enables direct energy conversion between heat and electricity in a solid-state material and its efficiency is governed by the thermoelectric figure of merit, ZT (= S2σT κ-1, where S is the Seebeck coefficient, σ i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T is the absolute temperature, and κ is the thermal conductivity),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increasing the performance of the thermoelectric materials. Specially, substantial make an efforts have been devoted to the research of near-room-temperature(RT) thermoelectric materials for its various applications, however, most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Bi2Te3-base compounds. However, Bi2Te3 has the problem of relatively high cost and scarcity of starting materials. Meanwhile, β-Cu2Se, comprised of low-cost, abundant, and non-toxic elements, has gained much attention recently due to its high ZT at high temperatures. Cu2Se undergoes a phase transition from its low-temperature phase of monoclinic α-Cu2Se (C2/c) to the high-temperature phase of cubic β-Cu2Se (Fm-3m) when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above ~410 K. β-Cu2Se is a superionic conductor with kinetically disordered Cu ions within a face-centered cubic sub-lattice of Se. Liu et al. reported its liquid-like phonon behavior which can lead to extreme suppression of lattice thermal conductivity. On the other hand, α-Cu2Se is a non-superionic conductor in which Cu atom are localized in the lattice such that the instability issue can be disregarded in this phase. The ZT of α-Cu2Se is less than 0.3 at RT and its low ZT originates mostly from its high hole concentration (~1021 cm-3) due to the easily produced Cu vacancies in this phase. Frist, we report a new way to control the thermoelectric transport properties of α-Cu2+xSe through over-stoichiometric Cu addition, and we also suggest that Cu-excess α-Cu2Se is a very promising thermoelectric material to replace Bi2Te3 for near-RT applications. Second, the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Cu1.98Se compounds prepared by melt-spinning. Depending on the cooling rate, we could control the microstructure of the melt-spun Cu1.98Se ribbons successfully. The melt-spun ribbons were consolidated by using hot press, and the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the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Third, we prepared the bulk composites without Cu precipitates even in Cu-excess condition using spark plasma sintering. As well as the enhanced chemical stability, beneficial effects of the interface control on the thermoelectric transport properties of β-Cu2Se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ole of RGO network. Our results suggest a new direction for developing highly efficient and reliable thermoelectric materials through the interface control using graphene. 최근 에너지 문제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폐열을 이용한 발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의 중심에 있는 열전 기술은 고체상태에서 열과 전기를 직접적으로 변환을 가능하게 하고, 그 효율은 재료의 성능지수ZT (= S2 σ T κ-1, S는 Seebeck 계수, σ는 전기 전도도, T는 절대 온도, κ는 열전도도)에 의해 좌우됩니다. 한편, 상온 (RT) 부근 다양한 응용분야 대한 열전 재료의 연구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Bi2Te3-base 화합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Bi2Te3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과 출발 재료의 매장량 부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편, 저렴한 비용으로 풍부하고 독성이 없는 원소로 구성된 β-Cu2Se는 최근 고온에서의 높은 ZT로 인해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Cu2Se는 온도가 ~410 K 이상으로 증가하면 모노 클리닉 α-Cu2Se (C2 /c)의 저온 단계에서 Cubic β-Cu2Se (Fm-3m)의 고온 단계로 위상 전이가 있습니다. β-Cu2Se는 Se가 중심 입방 서브 격자 내에 위치하고, 동 역학적으로 무질서한 Cu 이온을 가진 초이온 전도체입니다. Liu et. 는 격자 열전도도를 극도로 억제할 수 있는 Cu의 액체형 포논 거동의 이론과 높은 성능지수 ZT를 보고 했습니다. 하지만, β-Cu2Se는 고온에서의 Se의 휘발과 Cu migration으로인한 화학적 불안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편, α-Cu2Se는 Cu 원자가 격자에 국한되어 있는 비 초 이온 전도체로서 이 단계에서 불안정성 문제를 무시할 수 있습니다. α-Cu2Se의 ZT는 RT에서 0.3 미만이며 이러한 낮은 ZT의 이유는 이 단계에서 쉽게 생성되는 Cu 공석으로 인해 높은 carrier concentration (~1021 cm-3)의 값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본인은 첫 번째로, 과잉의 Cu 추가를 통해 α-Cu2+xSe의 열전 수송 특성을 제어하는 새로운 방법을 보고하고, 또한 α-Cu2+xSe가 상온부근 (RT)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Bi2Te3을 대체하는 매우 유망한 열전 재료임을 제안 하였습니다. 두 번째로, 이제까지 Cu2Se계에 적용되지 않은 새로운 공정방법인 용융 방사 법을 도입하여, 냉각 속도에 따라 Cu1.98Se 리본의 미세 구조와 열전특성을 성공적으로 제어할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SPS)을 이용하여 Cu-과잉 조건에서도 Cu migration에 의해 발생되는 침전물 없이 벌크 복합체를 성공적으로 제조하였습니다. 향상된 화학적 안정성뿐만 아니라, β-Cu2Se의 열전 수송 특성에 대한 인터페이스 제어의 유익한 효과는 RGO 네트워크의 역할측면에서 논의 되었습니다. 본인의 결과는 그래 핀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 제어를 통해 매우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열전 재료를 개발하기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안하였습니다.

      •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and testosterone deficiency in middle aged Korean men : a cross-sectional study

        Tak, Young Jin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359

        연구배경: 중년 남성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남성호르몬 결핍과 관련된 연구들이 있어 왔지만 비타민 D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한국 중년 남성의 비타민 D 수준과 남성호르몬 결핍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수진자 중 남성호르몬과 비타민 D 검사를 같은 날 시행 받은 총 652 명의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성호르몬 수준은 Total testosterone (TT)과 Free testosterone (FT)으로, 비타민 D는 25-hydroxyvitamin D [25(OH)D]로 판단하였다. 남성호르몬 결핍은 TT < 2.30 ng/ml 또는 FT < 6.50 pg/ml 으로 정의하여 혼란변수를 보정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비타민 D 결핍과 남성호르몬 결핍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자들의 평균나이는 56.7 ± 7.9세 였고, 평균 25(OH)D와 TT, FT는 각각 21.23 ± 7.9 ng/ml, 4.70 ± 1.6 ng/ml, 8.12 ± 3.3 pg/ml 였다. 다중 선형 회귀분석 결과 25(OH)D는 TT (β = 0.137, P < 0.001) 및 FT (β = 0.103, P = 0.008)과 연관성을 보였다.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25(OH)D와 FT는 비슷하게 봄, 겨울에서 가장 낮고, 여름, 가을에 높은 계절적 변이를 보였다. 비타민 D 결핍 [25(OH)D < 20 ng/ml]은 TT의 결핍 [odds ratio (OR), 2.65; 95% confidence interval (CI), 1.21 - 5.78) 및 FT의 결핍 (OR, 1.44; 95% CI, 1.01 – 2.06)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비타민 D 결핍과 남성호르몬 결핍 간의 연관성을 보여 줌으로써 향후 비타민 D 보충을 통한 남성 갱년기 관리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 Electrochemical and surface topographic studies of oxide film passivation of aluminum

        Tak, Yongsug Iowa State Univ. 1990 해외박사

        RANK : 247359

        산용액안에서 알루미늄을 에칭시 그 표면의 보호산화막이 국부적으로 파괴되면서핏트 또는 터 널모양의 에치형태가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에치핏트 및 터널안에서의알루미늄의 재부동태화오奐銹�隙�현상규명과 표면형상의 변화관찰을 목적으로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일정한 값으로 인걀∞だ晥廈�음전류를 중첩시키거나 또는계단식으로 인가전류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르는 표면구좨��SEM및 AFM으로 관찰하고,이에 수반되는 전위의 변화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였다. 부동태화윱丙瓦【�퓸腔濚甄�표면은 부식이 일어나는 부분과 산회피막이 생성된 부분이 공존하고 있음을� 이때 부식이 일어나는 부분은 팻치의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전위가Epzc와 재부동태 포의 영역에서 발견되며 전위가 Epzc에서 재부동태 포텐셜로상승시 그 면적이 0 에서 1 (부식면적 면적)으로 증가함을 보인다. 위와같은부동태화의 진전에 대한 수학적인 모델을 세우고 실험결과옳臼눼� 수학적 모델에따르는 계산은 팻치형태의 부동태화는 100㎲이내의 짧은 시간안에 발생하걋缺耉爭ご�부분은 재부동태화 전위아래에서 전위의 함수로 표시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팻치가에 존재하는 염소이온이 흡착되어있는 영역이며, 따라서 부동태화는 염소이온의탈착에 의하여 조.

      • Oxygen electrocatalysis in single-atom Pt-based nanocatalyst on non-conventional supports

        Tak, Young-joo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8 국내박사

        RANK : 247359

        백금은 많은 종류의 중요한 화학 반응, 특히 산소 환원 반응에 대해 탁월한 반응성을 갖는 촉매로 널리 알려져 있다. 순 백금 촉매의 고비용을 줄이 기 위해,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백금 이종촉매는 산업용 연료 전지 응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Pt/C 시스템은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갖는다. TiN 지지체에 대한 Pt 단일 원자 촉매는 비용 측면에 서 효율적이고 보다 내구성이 뛰어나, Pt/C 촉매의 대안으로 최근에 제안되었으며, 최근의 제일원리 연구를 통하여 질소가 적은 환경 하에서 TiN 표면상의 질소 공극 위치에 담지 된 단일 원자 촉매가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Pt 단일 원자 촉매가 TiN(100) 표면의 질소 결원 위치에서 높은 안정성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Pt/TiN 촉매 시스템의 관점을 더 연구하기 위해 TiN(100) 표면에서 다양한 Pt 나노 구조의 안정성과 형태에 대한 연구를 제1 원리 전산모사 범밀도함수 이론 접근법과 원자 수준 열역학법을 함께 진행하였다. 그 결과, 2 차원 Pt 나노 필름의 형성이 TiN 기판상의 3 차원 Pt 나노 클러스터의 형성보다 에너지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단일 원자 촉매와 유사하게, Pt의 나노 필름은 질소가 희박한 조건 하에서 표면 질소 공극에 의해 TiN(100) 표면에서 안정화 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Pt 나노층과 표면 결함을 갖는 TiN 표면 사이의 전자교환을 통한 금속-지지체 상호 작용(EMSI)을 분석함으로써, 주변 Ti와 Pt 원자 사이의 강한 EMSI가 TiN에서 촉매 나노 필름을 안정화 시키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였고, N 공석에 의한 Pt-Ti 상호 작용의 강화 또한 입증하였다. 목표 반응을 위한 새로운 촉매 시스템을 설계 할 때, 해당 반응의 명확한 반응 경로를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산소 환원 반응(ORR)을 통한 H2O 형성을 위한 위한 Pt 기반 전기화학 촉매의 비용 절감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시도로, 밀도 함수 이론 (DFT) 계산이 수행되어 Pt/TiN(100) 및 Pt/TiC(100) 촉매 상에서 발생하는 ORR의 기본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Pt/TiN(100)에서의 O2 및 OOH 해리 과정은 활성화 단계에 서 에너지 장벽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Pt/TiC(100)에서는 이러한 해리 과정에 대해 각각 0.19 및 0.51eV의 에너지장벽이 발견된다. 더욱이, Pt/TiC(100) 에서 안정한 OOH분자 중간체를 특징으로하는 2전자 경로는 4전자 경로보다 더 유리할 것으로 예측된다. 전자 구조 분석을 통하여 단일 원자 Pt 촉매의 ORR반응 하에서 이러한 비산화물 지지체(TiN 및 TiC)에 의한 강한 시너지 효과가 EMSI 협동 작용을 지원하며 이들 단일원자 백금 지지체의 기초 ORR 단계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Platinum is known as a catalyst with exceptional reactivity for many important reactions, e.g.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To reduce the high cost of pure platinum catalysts, platinum on a carbon support is widely used in industrial fuel cell applications. However, these Pt/C systems suffer from poor stability. As a cost-efficient and more durable alternative, Pt single-atom catalysts on a TiN support have recently been suggested, a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single-atom catalysts are stable when anchored at a nitrogen vacancy site on the TiN surface in a nitrogen-lean environment through theoretical study with binding energy of −0.42 eV. Although Pt single-atom catalysts show high stability on TiN(100) surface at a nitrogen vacancy site, to further explore the perspective of Pt/TiN catalytic systems, insights into the stability and morphology of Pt nanostructures at the TiN(100) surface, using a density-functional theory (DFT) approach in combination with ab initio atomistic thermodynamics are provided in this the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formation of two-dimensional Pt nano-layers is preferred over the formation of three-dimensional Pt nano-clusters on the TiN substrate. Similar to the single-atom catalysts, nano-layers of Pt can be stabilized on the TiN(100) surface by surface nitrogen vacancies under nitrogen-lean conditions. By analyzing the electronic metalsupport interaction (EMSI) between the Pt nano-layer and the TiN surface with surface defects, we demonstrate that a strong EMSI between the surrounding Ti and Pt atoms is important for stabilizing the catalyst nano-layer at the TiN surface, and that N vacancies lead to stronger PtTi interaction. In designing of new catalysis system for targeted reaction, understanding explicit reaction pathway on targeted catalysis system is important. In the attempt to reduce the high-cost and improve the overall durability of Pt-based electrocatalysts for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ORR) for H2O formation, DFT calculations have been performed to study the energetics of the elementary steps that occur during ORR on TiN(100)- and TiC(100)-supported single Pt atoms. The O2 and OOH∗ (∗ indicates an adsorbed species) dissociation processes on Pt/TiN(100) are determined to be nonactivated (i.e. “barrier-less” dissociation) while an activation energy barrier of 0.19 and 0.51 eV is found for these dissociation processes on Pt/TiC(100), respectively. Moreover, the series pathway (O2+2H++2e− → H2O2,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stable OOH∗ molecular intermediate) on Pt/TiC(100) is predicted to be more favorable than the direct pathway (O2+4H+ → 2H2O). Electronic structure analysis supports a strong synergistic co-operative effect by these non-oxide supports (TiN and TiC) on the reduced state of the single-atom Pt catalyst, and directly influences the rudimentary ORR steps on these single-atom platinized supports. H2O2 is also one of the product comes from ORR and getting big attention due to additional economic value in these days. Single-atom catalysts exhibit unusual catalytic properties due to the absence of a metal surface. The role of the support ma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atalytic properties, similar to that of the ligand molecules in homogeneous catalysts. Here, the support effect was demonstrated by preparing a single-atom platinum catalyst on two different supports: titanium carbide (Pt/TiC(100)) and titanium nitride (Pt/TiN(100)). Pt/TiC(100) showed higher activity, selectivity, and stability for electrochemical H2O2 production than Pt/TiN(100). DFT calculations presented that oxygen species have strong affinity into Pt/TiN(100), possibly acting as surface poisoning species, and Pt/TiC(100) preserves oxygen-oxygen bonds more with higher selectivity toward H2O2 production. This work clearly shows that the support in single-atom catalysts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surface reaction and does not just act as anchoring sites for single atoms. Different support materials can affect on catalytic properties of single-atom catalysis system, but at the same time, the single-metal atom can also affect on the electronic structure of support material through EMSI, vice versa. Focusing on O2 dissociation reaction which has already briefly discussed, effect of both support Ti-based material and single Pt atom on reaction pathway will be discussed. Here, three different types of TiN and TiC based catalysis systems (TiX(100), TiX(100) + VX and Pt/TiX(100) when X = N, C) were tested in different point of view and thermodynamic and electronic properties of each catalytic systems were studied. Especially, an in-depth study of electronic properties of Pt/TiN(100), which shows no O2 dissociation barrier, were performed. When modeling catalysis system for targeted reaction, more in situ environmental consideration makes more close result to real experimental results. Lastly, focusing on the fact that Cl-contained precursor is usually used for the synthesis of Pt singleatom, the effect of Cl adsorption on Pt/TiN(100) and Pt/TiC(100) system were discovered. Starting with PtCl4, which is the most well-known and stable Pt-Cl compound, Pt single-atom adsorption through degradation of PtCl4 cluster were studied first. After that, the effect of Cl adsorption on Pt/TiN(100) and Pt/TiC(100) system were discussed through change thermodynamic and electronic properties. In overall, Pt-based non-conventional catalysis system is studied from synthesis to chemical reaction through DFT in this thesis. Both stability of catalysis system and reactivity of ORR were covered and moreover, in-depth study of electronic structure of catalysis systems to understand origin of stability and reactivity of catalysis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