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Effects of Education College Dean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Professors’ Self-Efficacy in Myanmar

        Htun, Nwe Nwe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406

        본 연구는 미얀마의 교육대학에서 학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수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학과 학생들의 성공은 대학 학장들이 학교를 얼마나 잘 경영하고 학생들을 지도하는가에 달려 있다. 대학 학장들이 변혁적 리더십을 활용할 때 교사들의 이상적인 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의 자기 효능감, 업무 만족도, 헌신, 그리고 웰빙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육대학에서 교수들이 인식하는 학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수들의 자기효능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반은 Bass(1985)의 변혁적 리더십 이론과 Bandura(1986)의 자기효능감 이론이다. 선행연구의 이론을 활용하여 학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수의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모형을 구성하였다. Bass의 변혁적 리더십 모델은 이상적 영향력, 영감을 주는 동기화, 지적 자극, 개인화된 배려에 관한 네 가지 요소를 포함한다. 이상적 영향력을 가진 리더는 좋은 성과와 행동, 강한 책임감과 헌신, 학교 관심사, 멘토링, 직업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요인이 된다. 영감을 주고 동기를 부여하는 리더십을 위해, 리더는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높은 기준을 세우고, 장기적인 목표를 향해 노력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변혁적 리더는 구성원들에게 학교 개선 활동에 참여하도록 장려하는 것에 대해 보상을 제공한다. 지적 자극을 가진 리더는 사람들의 가장 중요한 가정에 도전하고, 오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개발한다. 학교 교사들이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명감을 갖도록 하고, 학생들의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격려하며, 그들에게 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각 개인의 차이, 필요, 기술, 목표를 고려하는 리더는 이러한 방식으로 그들을 인도하고, 모든 사람과 소통하며, 그들이 그의 추종자들에게 팀워크와 팀워크 자기 계발을 가르치고 영감을 주는 데 필요한 도구를 줌으로써 그의 추종자들을 돕는다. "교수의 자기효능감"이라는 용어는 학생들이 학업적으로 성장하도록 격려하고 자격을 갖춘 교육자로서 진로를 추구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Bandura가 정의한 자기효능감은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데, 학생참여, 교육전략, 학급관리가 포함된다. 학생참여 효능감이란 학생들을 학습에 참여시키고, 학생들이 잘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능력에 대해 믿음을 갖는 것을 말한다. 교수의 수업전략 효능감은 학생들이 아무리 달라도 다른 교수법을 사용하여 얼마나 잘 가르칠 수 있다고 믿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수의 학급관리 효능감은 교사가 자신의 강의실을 운영하여 탁월한 학습환경이 되고 필요한 학습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Bandura(1997)가 교수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제시한 4가지 요소는 교과 전문성, 다양한 경험, 언어적 설득력, 개인의 생리적 상태이다. 학생들이 교육의 결과로 얼마나 성장하는지, 즉 실제 교육 성과는 효율성과 관련된 교육자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지식의 원천이다. 그것은 또한 이전의 누적된 교수 경험을 포함하기도 한다. 특정 분야나 활동에 대한 개인의 기술 수준에 대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증거를 제공한다. Bandura(1997)는 교수들이 롤모델 역할을 하고 그들을 가르치는 동료들의 성공과 실패로부터 배운다고 제시하였다. 또 다른 대리 경험은 한 사람의 성과를 같은 일을 하는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는 것이다(Bronstein, 2014). 그러므로, 교사들이 자기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들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경험으로부터 대리 학습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다른 사람들이 비슷한 행동을 하는 것을 본 후에 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그들의 임무를 완수할 수 있다. 언어적 설득은 다른 누군가가 학생들의 그룹이나 특정 주제에 대해 강의하는 것과 같은 원하는 행동을 수행할 때 발생한다. 직장 동료, 선배, 행정관 등 상당한 사람들이 교수들을 구두로 지원할 가능성이 높다. 의도된 결과를 얻기 위한 교수와 그들의 기술 간의 구두 접촉이다(Bandura, 1997). 심리적, 정서적 자극은 또한 그것이 수행에 대한 불안 또는 흥분으로 경험되는지에 따라 무언가에 대해 기분이 좋아지거나 충분히 좋지 않은 것을 느끼는 데 기여할 수 있다(Bandura, 1997). 이러한 정신적 자극은 정보를 찾는 생리적 감각과 유사하다. 사람들은 또한 그들의 신체적 혹은 감정적인 상태로부터 그들의 자기 효능감을 얻을 수 있다. 대학 학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수의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4가지 연구 문항을 사용하였다. 첫 두 문항은 대학 학장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과 자기효능감 수준에 대한 것이었다. 그리고 세 번째는 개인정보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과 자기효능감 수준이 다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마지막 질문은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변혁적 리더십이 교수의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대학 학장들의 변혁적 리더십 스타일이 교수들의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정량적 상관관계 방법을 이용하였다. 교수들이 자기효능감과 학장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교수들의 자기효능감과 대학 학장들의 변혁적 리더십이라는 두 가지 변수이다. 이화여대로부터 IRB 승인서와 미얀마 교원교육부의 허가를 받은 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데이터는 미얀마의 교육 대학에서 수집되었다. 현재 미얀마의 위기로 인해 사범대학의 교수 수가 평소보다 적었다. 따라서 8개 대학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대상 참가자를 선정하였다. 참가자들은 그 대학들의 교수들이었고, 참가자의 수는 273명이었다. 첫째, 서술적 통계를 이용하여 참여자들의 자기효능감과 변혁적 리더십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또한 t-test, 일원분산분석, MANOVA 분석을 실시하여 참가자들의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바탕으로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견해와 자기효능감 수준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계층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교수들이 대학 학장들이 사용하는 변혁적 리더십 관행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그들의 생각은 이상적인 영향력, 영감을 주는 동기, 지적 자극, 그리고 개인적인 보살핌의 네 부분을 포함한다. 그들은 그들의 대학의 학장들이 특히 변혁적인 지도자가 되는 것을 잘한다고 생각했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교수들의 교수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물론, 모든 교수들은 교실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에 매우 자신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결과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더 잘했다고 말하는 교수들이 학생들을 참여시키고, 수업을 계획하고, 교실을 운영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신에 대해 더 자신감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세 번째 연구문제는 대학 학장이 변혁적 리더십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과 자기효능감 수준이 성별, 연령, 직위, 교습연수, 자격, 대학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은 성별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변혁적 리더십의 측면에서 대학 학장들이 서로 다르다고 믿었다. 이 연구 결과는 아마도 다양한 연령대의 교수들이 그들의 대학 학장들이 변혁적 리더십을 어떻게 적용하는지에 대해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그들의 나이가 다를 때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그들의 시각은 다르다. 또한, 그들은 자신들의 입장을 바탕으로 각 대학 학장들의 변혁적 리더십 관행을 유사하게 인식하였다. 이들의 근무연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참가자들이 교수로 재직한 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대학 학장의 변혁적 리더십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와 상관없이 결과가 일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결과는 그들의 자격과 상관없이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그들의 관점은 변함이 없음을 보여준다. MANOVA 테스트는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그들의 견해가 그들이 다녔던 학교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국, 그들이 대학 학장들의 변혁적 리더십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는 그들의 나이, 성별, 그리고 대학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그들의 직위, 교육 기간, 자격에 따라 그들의 대학 학장들의 변혁적 리더십에서 어떠한 차이도 발견하지 못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모든 자기효능감 수준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는 연령에 따라 그룹 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모든 수준의 자기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령차를 보이지 않았다. 그 결과, 교수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은 나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게다가, 그들의 자기 효능감은 그들의 위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을 것이다. 교수들이 얼마나 오래 가르쳤는지에 상관없이 교수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은 통계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은 그들의 자격에 따라 크게 달랐다. 그들의 자격에 따라, 그들의 교육적 접근법의 효과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학생들의 참여와 교실 운영과 같은 다른 자기 효능감 요인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은 대학에 상관없이 동일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또한 세 가지 자기효능감 지표 중 크게 변화한 것은 하나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비록 그들의 대학은 다르지만, 그들의 자기 효능감의 정도는 통계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이 교수의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학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수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인적인 요소로서, 이상화된 영향력, 지적 자극, 그리고 영감을 주는 동기 부여는 교수들이 학생들의 흥미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들이다. 그러나 이상화된 영향력과 영감을 주는 동기부여 변수만이 그들이 수업을 얼마나 잘 관리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 행동과 학생참여, 교육전략, 교실운영의 관계와 이를 설명하는 매개기제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이상화된 영향력, 영감을 주는 동기 부여, 지적 자극, 그리고 개인화된 배려가 그러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이상화된 영향력은 영감 동기를 통한 학생 참여, 교육 전략 및 교실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영감 동기는 지적 자극을 통한 학생 참여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적 자극은 개별화된 고려를 통해 학생 참여, 교육 전략 및 교실 관리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교수들의 자기 효능감, 긍정적인 학습 환경, 그리고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이러한 변혁적 리더십 행동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적으로 세 가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사범대학 학장을 위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대학 교수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기관 내에서 지속적인 학습과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활동에 대학 총장과 교수들이 참여하도록 장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화를 수용하고 전문적인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대학 학장들은 그들의 변혁적 리더십 기술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학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이용한 정량적 연구로서 미얀마의 교육대학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의 가장 큰 한계는 미얀마의 8개 교육대학의 교수들의 인식을 조사했을 뿐 모든 교육대학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주제에 대한 향후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안이 있다. 향후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과 자기효능감 사이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매개 또는 조절 요인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학 학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수의 자기효능감 사이의 근본적인 과정과 초기 관계 조건을 매개 및 절제 분석을 통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유형의 연구를 수행하면 이러한 관계를 중재하거나 조정할 수 있는 교사의 자질을 더 쉽게 식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llege dean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professors’ self-efficacy in education colleges in Myanmar. The success of a college and its students depends on how well its college deans run the school and lead its students. College deans can guide professors toward ideal behavior when they emplo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in some education setting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y principals improves teachers’ self-efficacy, work satisfaction, commitment, and well-being. However, this study focuses on professors’ perceptions of college dean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ir self-efficacy in education college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odel of Bass (1985) and Bandura’s (1986) self-efficacy theory provide the basis for determining 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fluences professors' self-efficacy in this study. Bass’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odel includes four factors regarding idealized influence, inspirational motivation,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 leader with idealized influence sets an example of good performance and behavior, strong responsibility and commitment, school interests, mentoring, finding new ways to grow professionally, and showing gratitude. For the inspirational, motivational leadership style, a leader must motivate people, set high standards, and work toward long-term goals. Additionally, he rewards each follower for encouraging participation in school improvement activities. A leader with intellectual stimulation challenges people’s most important assumptions, develops new ways to solve long-standing problems, urges followers to have a sense of mission and use data to meet students’ needs, and gives them more than one way to do things. Lastly, a leader who considers each person’s differences, needs, skills, and goals helps his followers by guiding them in leading, communicating with everyone, and giving them the tools. Then, they must teach and inspire teamwork and self-improvement in their followers. The term “professor’s self-efficacy” relates to his ability to inspire students to excel academically and have confidence in their capacity to pursue a career as a qualified educator. This study utilized Bandura’s three self-efficacy factors: student engagement, instructional strategy, and classroom management. The phrase “professor's efficacy in student engagement” refers to a professor’s belief in their capacity to engage students interested in their studies and motivate them to do well. The professor’s self-efficacy in terms of instructional strategy means how well they believe they can teach their students using different teaching methods, no matter how different they are. A professor’s self-efficacy in classroom management implies the extent to which a teacher can run their classroom so that it is an except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necessary learning objectives are achieved. Subject mastery, vicarious experiences, verbal persuasion, and individual physiological conditions are the four aspects that Badura (1997) outlined for improving professors’ sense of self-efficacy. Subject mastery or actual teaching accomplishments with students is the most effective sources of knowledge for educators relevant to efficacy. It also refers to previous teaching experiences. They provide the most reliable evidence of a person’s skill level for a particular sector or activity. Bandura (1997) said that professors learn from the successes and failures of their colleagues, who serve as role models and teach them. Another vicarious experience is comparing one’s performance to others doing the same job (Bronstein, 2014). Therefore, they can get operational expertise from their own and other people’s experiences to improve their self-efficacy. As a result, they can increase their self-efficacy and complete their duties after watching others perform similar behaviors. Verbal persuasion occurs when someone else performs the desired behavior, such as lecturing a group of students or on a specific subject. Likely, significant individuals such as coworkers, seniors, and administrators verbally support professors. It is an oral contact between professors and their skills to get the intended results (Bandura, 1997). Depending on whethe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imulation is interpreted as worry or enthusiasm about performance, it can also contribute to feeling good about something or not good enough (Bandura, 1997). These mental stimulations are similar to the physiological sensations of information seeking. People may also get their self-efficacy from their physical or emotional states. Five research questions are used to discover how college dean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fluences professors’ self-efficacy. The first two questions concern professors’ perceptions of college dean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ir self-efficacy levels. Then, the third was to determine whether their perception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ir self-efficacy levels differed depending on their personal information. The last question was the most important for this study, and it focused on 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s professors’ self-efficacy. This study employed a quantitative correlational approach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dean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s and professors’ levels of self-efficacy. Hence,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to determine what professors thought about their self-efficacy and their college dean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t includes two variables: professors’ self-efficacy and college dean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ata collection was started after receiving the IRB approval letter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Committee of Ewha and permission from the Teacher Education Department in Myanmar. Data for this study were gathered from Myanmar’s colleges of education. Due to the current crisis in Myanmar, the number of professors in education colleges was lower than usual. Therefore, data were collected in eight colleges to receive the target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were professors from those colleges,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273.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that explain participants’ perceptions were used to assess their self-efficacy and how much they knew abou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 t-test, a one-way ANOVA, and a MANOVA analysis were also done to examine the participants’ view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how their level of self-efficacy differed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information.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mediat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determine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influence on self-efficacy. The first research question describes how professors perceive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actices used by their college deans. Their ideas abou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clude four parts: idealized influence, inspirational motivation,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They thought that the deans of their colleges were especially good at being transformational leader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as to determine professors’ self-efficacy regarding their teaching. Of course, every professor is very confident in managing their classroom. However, the results showed that professors who said their students did better in school had more confidence in themselves when it came to getting students involved, planning lessons, and running the classroom. The third research question investigated whether professors’ perceptions of how their college deans emplo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ir levels of self-efficacy varied according to their gender, age, position, number of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qualifications, and college. It was discovered that their perception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varied significantly by gender. As a result, they believed that the college deans differed from each other in term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results most likely described those professors of different ages with varying perspectives on how their college deans appli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refore, their view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ffer when their ages are different. Additionally, based on their positions, they perceived their college dean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actices as similar. The analysis of variations in their service years also revealed that the results were consistent regardless of how long the participants had been professors and how they perceive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college deans. Also, the outcomes demonstrate that regardless of their qualifications, their perspective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emained the same. The MANOVA test revealed that their view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varied according to the colleges they worked at. In the end, how they perceive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ir college deans was influenced by their age, gender, and colleges. Nevertheless, they did not see any differences in their college dean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ased on their positions, years of teaching, and qualif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based differences in all self-efficacy levels. The results did not differ between the groups based on their ages. Furthermore, across all levels of self-efficacy, the data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ge differences. As a result, professors’ levels of self-efficacy were unaffected by their ages. In addition, their self-efficacy was likely unaffected by their position. Regardless of how long they have been teaching, professors have the same level of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variations in their teaching service years. Their levels of self-efficacy varied greatly depending on their qualifications. The effectiveness of their instructional approach varied greatly depending on their credentials. Other self-efficacy factors, such as student engagement and classroom management, were the same. Then, their level of self-efficacy was the same regardless of their colleges. The findings also showed that none of the three self-efficacy indicators had changed significantly. Therefore, even though their colleges are different, their degrees of self-efficacy are the same. In conclusion, even though their degrees of self-efficacy varied considerably depending on their gender and qualifications, they did not differ based on their age, positions, years of teaching, qualifications, or colleges.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mpacts professors’ self-efficac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college deans affects professors’ self-efficacy. As an individual factor, idealized influence,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inspiring motivation are ways professors might keep students interested. However, only those idealized influence and inspirational motivation variables impact how well they manage their classes. Additionally, the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s and student engagement, instructional strategy, and classroom management and the mediating mechanisms that explain this relationship. The findings showed that idealized influence, inspirational motivation,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re critical factors that impact those outcomes. Specifically, idealized influence affects student engagement, instructional strategy, and classroom management through inspirational motivation, while inspirational motivation affects only student engagement through intellectual stimulation. Intellectual stimulation also indirectly affects student engagement, instructional strategy, and classroom management through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s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s in promoting professors’ self-efficacy,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s, and improving student learning experiences. By summarizing and discussing the primary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ome policy implications can be comprehensively derived. Firstly, leadership training programs designed specifically for college deans in education colleges should be established. Secondly, a train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college professors’ self-efficacy levels. Lastly, college deans and professors should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o foster continuous learning and improvement within educational institutions. By embracing this culture and actively engaging in professional development, college deans can effectively enhance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kills and create a positive academic environment for their students. This study was a quantitative correlational study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and it focused on professors’ perceptions of education colleges in Myanmar. However, the research’s most significant limitation is that it only examined professors’ perceptions from eight education colleges in Myanmar and did not reflect the opinions of all education colleges. Therefore,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future research on this subject. First, future research should identify any potential mediating or moderating elements that affect the link between self-efficac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y performing a mediation and moderation analysis,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the underlying processes and initial relationship conditions between college dean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rofessors’ self-efficacy. Performing this type of research will make it easier to identify the qualities of the professors who might mediate or moderate this relationship.

      • Topology Optimization of Truss Structures Considering Stress and Stability Constraints

        Nwe Nwe, May Thu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The Johns Hopkins 2019 해외박사(DDOD)

        RANK : 247375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Topology optimization is a free-form approach to designing efficient structural layouts. Although highlighted repeatedly in literature for its ability to identify creative, high performance designs, it is also well known that oversimplification of the underlying optimization formulation can lead to impractical structural solutions. A common truss optimization problem formulation is to minimize linear elastic strain energy for a given structural mass (or minimize mass subject to a linear elastic deformation constraint). The optimal solutions obtained from such a formulation often include members that may readily fail due to yielding or buckling, and/or colinear members with unbraced hinges that are unstable. Such solutions are, of course, impractical from structural engineering perspective. Incorporating stress and local (member) buckling into topology optimization formulation to satisfy strength and stability requirements involves significant mathematical challenges, primarily due to the possibility of vanishing members. This thesis reviews and discusses these challenges and explores a disaggregated formulation where design and state variables are treated as free optimization variables. This approach is then extended to include global (system) stability constraints. The impact of various constraints and objectives on the optimized solutions when applied independently as well as simultaneously is demonstrated for simple truss design problems. The presented results clearly show that the incorporation of stress, local and global stability metrics results in more realistic design solutions. Future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 Factors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Myanmar’s Cooperative Society : In Case of Khayan, Yangon Region

        Nwe, Yin Yin Park Chung Hee School of Policy and Saemaul, Yeung 2021 국내석사

        RANK : 247359

        The movement of a cooperative society is a voluntary institution of human who free select to work together as their like. Cooperative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world for reducing the poverty of alleviation, and also Myanmar is performing the Microfinance wave nationwide which is the main function of Myanmar cooperative society. The government of Myanmar is leading to involve right away in rural and urban residents by the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The dissertation analyses the factors affecting of the improvement of Myanmar’s cooperative societies. The main objectives of the dissertation are to find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e society and to provide the policy implication on the movement of cooperative societies in Khayan, Yangon Region. The research conducted both primary and secondary data sources to find the most effective factors for the improvement of cooperative society. The population is big or small; the author will gather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from the members of the cooperative, participants from the cooperative sector and the staff who work in the department of cooperative in Khayan Township. To get a sound understanding of participants, the questionnaires will translate the English language into the Myanmar language. Based on constructed analytical framework and literature review of the study, the author focused on the quantitative method which will be determined the outcomes of the study and the success of the research. Intending to get solicit responses, the questionnaires created with closed-ended questions by using the five points Likert-type scale. The gathering data analyzed import to SPSS and the results prove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study. Predominantly, the author applied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furthermore descriptiv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variance inflation factor testing applied. The outcomes will discover the growth of cooperative society in Khayan and the findings will imply as a sample model of cooperative industry change in Myanmar. The suggestions will benefit member livelihoods and profit in the symmetrical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society by discovering the affecting factors of Myanmar's cooperative improvement and the weak factors will review to modify to reach the growth of cooperative society in Myanmar. Keywords: Cooperative Society, Factor affecting, Society Improvement, Quantitative Analysis 요약 미얀마 협동 조합의 주요 기능은 소상공인 및 저소득층의 소액 금융 기능을 수행하고, 지역 사회 개발 프로그램 연계를 통하여 농촌 및 도시 거주자들의 사회적 편익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또한, 협동 조합에서는 사회발전을 위하여 시민들의 적극적 참여를 독려하는 사회적 제도 중에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얀마 협동 조합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양곤 지역 카얀의 협동 조합 사례를 기반으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협동 조합 발전에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1차 및 2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협동 조합 구성원, 협동 조합 부문 참가자 및 Khayan Township의 협동 조합 부서에서 일하는 직원으로부터 총 250 개의 설문응답을 수집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협동 조합 발전은 조합원의 생계와 편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제도적 개선방안이 지속적으로 강구되어야 하며, 협동 조합 발전과 더불어 미얀마 사회 전체적인 편익이 극대화되는 방향성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키워드: 협동 조합, 영향 요인, 사회 개선, 정량 분석

      • Magnetically enhanced bioleaching of spent lithium-ion batteries

        Hsu Hsu Nwe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357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y (LIB) production has increased gradually over the years, primarily to meet the demand for portable power sources for tiny electronic gadgets, but the recent spike in LIB production is being driven by the EV market's explosive expansion. Governments all over the globe are requiring the production and sale of EVs to lower CO2 emissions and be eco-friendly. However, the environment may get contaminated by the disposal of spent lithium-ion batteries because of their poisonous nature when metals leach out. To avoid pollution in land disposal and recover the metal present, spent lithium-ion batteries are treated to metal extraction using traditional methods. The use of bioleaching for the treatment of spent lithium-ion batteries may provide a more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lternative to conventional technologies in the recovery of metals. Bioleaching was carried out on different types of spent lithium batteries such as Li[NixCoyMn1-x-y]O2 and Li[NixCoyAl1-x-y]O2 at constant pulp density. Spent lithium-ion batteries contain metals like lithium, cobalt, nickel, manganese, and aluminum. To recover lithium, nickel, and cobalt during the bioleaching of spent Li-ion batteries, Acidithiobacillus ferrooxidans (A. ferrooxidans) is used. A weak magnetic field was applied while cultivating the bacteria and bioleaching. The ideal field strength is determined to be 3 mT, which permits the leaching efficiency of Li to reach 100% after only two days of leaching at a pulp density of 3 w/v%, whereas without the external magnetic field, the leaching efficiency is limited to 57% even after four days. After four days of leaching, the leaching efficiency of Ni and Co improved nearly thrice to more than 80%. The suggested magnetic field-assisted bioleaching of wasted LIBs employing A. ferrooxidans is a cost-effectiv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technique for recovering precious metals from discarded LIBs.

      • 대미얀마 외국인직접투자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Yu, Yu Nwe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357

        국문 요약 대미얀마 외국인직접투자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본 논문은 미얀마가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하는데 있어 어떠한 요인들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 분석을 통해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지금까지 OECD DAC 공여국들이 미얀마에 지원한 공적개발원조를 비롯한 효과가 실제로 대미얀마 외국인직접투자액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경제적 측면에서 이러한 해외 국가로부터 미얀마에 유입되는 송금과 같은 외국자본 흐름의 역할은 대미얀마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에도 중심적으로 여겨지는지, 또한 미얀마와 공여국 간 투자협정 체결 관계가 공여국들의 미얀마에 대한 투자 결정에 중요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더불어 제3국 효과라고 해서 대미얀마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이 주변국으로 인해 어떠한 영향을 받고 있는지 등 다양한 관점에서 고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미얀마에 투자와 ODA 지원을 진행하고 있는 23개 OECD DAC 공여국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들의 2009년부터 2019년까지 기간 동안의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로는 공여국으로 부터 유입되는 대미얀마 외국인직접투자액과 독립변수로서 사회·경제학적 관점에서 보는 대미얀마 공적개발원조 규모, 경제적 관점의 설명 변수로서 대미얀마 송금 유입액, 제도적 관점에서 국가 간 투자협정 체결 현황과 마지막으로 주변국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의 제3국 효과 요인을 주요변수로 설정하여 패널데이터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한 결과, OECD 공여국들의 미얀마에 대한 ODA 지원이 대미얀마 외국인직접투자액 증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국자본으로서의 대미얀마 송금 유입과 투자국과 미얀마 간 양자간/ 다자간 투자협정 체결은 대미얀마 FDI 유입에 통계적인 유의성과 함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제3국 효과 요인의 경우 대미얀마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오지 않았다. 또한 미얀마 정부 변동에 따라 2009년부터 2019년까지의 자료를 시기별로 나누어 추가 분석을 진행한 결과, 각 정부 기간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시기별 분석 결과에서도 송금의 역할이 가장 크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미얀마에 지원되는 ODA를 부문별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한 결과 공여국들의 미얀마에 대한 ODA 지원은 경제적인 부문에서 이루어질 때 대미얀마 외국인직접투자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미얀마가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하는데 있어 송금의 역할과 BIT 체결 관계에 대한 영향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미얀마 정부가 앞으로 해외 송금 경로를 확장시켜야 하며, 또한 거버넌스 차원에서 많은 국가들과의 협력 혹은 외교적으로 긴밀한 우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국제정책으로서 많은 국가들과 투자 관련 조약이나 양자간 투자협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국내외적으로 시도되지 않았던 대미얀마 외국인직접투자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을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필요로 강조하였던 ODA, 송금의 흐름과 주변국으로 인한 제3국 효과를 포함해서 그 영향과 효과를 파악하였다는 점, 특히 단순한 경제적 차원에서의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경제학적, 제도적, 정치적 등 다양한 차원에서의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분석 결과를 통해 필요한 정치적 조치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에 대한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Myanmar especially which kind of factors significantly affect on Myanmar’s foreign direct investment.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ODA or foreign aid of OECD donor countries promote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Myanmar, and whether foreign capital flows such as remittances and investment agreement between host and home countries as well as third-country effect by neighbour countries have great significant effect on Myanmar’s FDI and economic growth. In this context, this study employs panel regression analysis utilizing panel data that covered 23 OECD DAC countries which are currently contribut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providing ODA to Myanmar over the period of 2009 to 2019.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yearly amoun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that has proved by Myanmar government. The yearly amount of ODA that has provided by OECD DAC countries, remittance flows, bilateral investment treaties between home countries and host country(Myanmar) and lastly, third-country effects by neighbourhood countries of Myanmar a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economic and institutional point. As a result, the empirical analysis presents the following explanation. Firstly, ODA does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yanmar’s FDI.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flow of remittances from OECD countries and bilateral or multilateral investment agreements between Myanmar and OECD countri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Myanmar’s FDI. In the case of third country effec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DI in Myanmar. In addition, as a result of further analysis by dividing data over the period of 2009-2019 according to changes in the administration of Myanmar government, the results were different for each government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 of remittance was the most important in Myanmar’s FDI. Furthermore, as a result of analyzing ODA by sector, it was found that donor countries’ ODA support for Myanmar has an important significant effect on the decision of Myanmar FDI especially when it was supported in economic sectors. Despite several limitation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for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Myanmar which have not been conducted in Myanmar as well as internationally so far. In addition, this study will be meaning in that comprehensively examined factors at various point of views such as ODA, remittances and third-country effect which were emphasized by previous studies. The empirical results provides meaningful polic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 for the promo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Myanmar.

      • Nation building and development in the era of transition in Myanmar : efforts and challentes of the new government

        Saw Yu Nwe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357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nature and implications of the political reforms taking place in Myanmar since the establishment of a newly elected government in 2011. It has done so in the context of nation building. Although it is only a little over a year since the reforms were introduced, the impact on the country and its people had been tremendous. The political situation has greatly changed, and there is an air of optimism among the people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study examines the political changes and their impacts on the nation. Myanmar also faces many challenges. Since the nation has been afflicted by issue of armed insurrections from the time of the gaining of independence in 1948, and since Myanmar is a multi-ethnic nation, the issue of national unity is of utmost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An underlying argument of the study is that there cannot be developmental state without peace; that there cannot be peace in the country without national reconciliation. Even as the nation strives for national reconciliation, the government is trying to ensure a smooth transition to democracy after over two decades of direct military rule. This, in itself, is a major task for the country. This study also looks at what the government has done towards this end and shows as well that the movement towards democracy is being accompanied by similar advancements in the economic and social fields. Thus, the themes of transition to democracy and national reconciliation form the core of the research. The study analyzes the aims and objectives of the government, its endeavours towards the goal of a peaceful, democratic and developed state, its reforms programmes, its achievements as well as the issues and obstacles facing the government. As there are still people who still harbour doubts about the ongoing reforms, the study will argue that the reform process is irreversible in Myanmar. But, an endeavour has been made to highlight the major policies and endeavours of the government as well as their implications.

      • Factors influencing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Myanmar

        Thet Htar Nwe Graduate School of Government, Business, and Entre 2021 국내석사

        RANK : 247357

        여성의 노동참여는 성불평등을 줄이고, 가족 복지를 향상시키며, 아동복지증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여성노동 참여율은 경제 활동에 대한 대표적인 지표로서 경제에서 여성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는 가장 편리하 고 유용한 통계량이다. 지난10년 간 미얀마는 여성 교육 성취도 및 여성 경제활동 참여를 꾸준히 확대해왔다. 그러나 여성 노동 참여율은 남성에 비해 여전히 낮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성 특성 및 가구별 사회-인구학적 경제적 특성을 포함하여 여성 노동력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대한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인적자본론, 일-여가선택론, 가사생산론의 이론적 기초하에 여성의 노동 참여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 모형을 적용했다.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특정 교육 수준(초등, 대학), 실업 남성 가구주, 빈곤 상태, 임금, 1인당 가계 지출 등의 요인이 여성 노동시장 참여를 증진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반대로 여성의 연령, 특정 교육 수준(중고등), 결혼 여부, 5세 미만 자녀가 있는 여성 등 다른 요인은 여성이 노동시장의 적극적인 주체가 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정부가 여성 노동력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제반 정책을 기획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나아가 여성복지에 관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is closely related to reduction in gender inequality, family welfare and even children’s wellbeing improvement.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is the most frequently used indicator of economic function and also the most convenient and informative single statistics summarizing the role of female in economic activities. In Myanmar, improved female educational attainment, the expansion of the market economy and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has increased over the past decade. However,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s are still low as comparing to male counterpar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that influencing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including female characteristics and household socio-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re potential explanatory variables for this study. This research intends to study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based on Human Capital Theory, Work- Leisure Choice Theory, and Household Production Theory.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s. Based on empirical findings, education level (below primary and primary, and university), unemployed male household head, poverty status (poor), wage rate, and household expenditure per capita push the female to participate in the labor market. Contrarily, other factors such as age of female, education level (middle and high school), marital status (married), and female with children under five years have negative influence on female to become an active player of labor market.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support to policy implication regarding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Government should consider for planning interventions which may provide the support to female to join labor market. Additionally, it will directly and indirectly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with respect to female wellbeing.

      • Potential uses of exotic germplasm for enhancing agronomic and value- added traits of corn in Myanmar and Korea : 미얀마와 한국 옥수수의 농업적 특성 및 부가 가치 특성 향상을 위한 외래 유전자원의 이용 가능성 연구

        Win Win Nwe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357

        미얀마에서 옥수수 (Zea mays L.)는 두 번째로 가장 많이 생산되는 곡물로써 농민들의 소득 증대와 외화 획득을 위한 중요한 작물이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지역에 적응하는 교잡종 옥수수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옥수수 교잡종들의 이용 기간은 제한적이며, 변화되는 시장의 요구를 반영한 더 나은 특성을 갖춘 신품종에 의해 교체되기 일쑤이다. 선호되는 유전인자들은 특정 지역마다 최우수 교잡종에 가장 많이 집적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교잡종에서 찾기 어려운 양적 형질과 관련된 유전인자들을 확인하는 일은 육종가가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바람직한 유전인자들을 다양한 자원으로부터 하나로 모으는 일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유전자원 공여 복합체가 필요하다. 유전적 다양성은 식물 육종 프로그램의 가장 기초적인 요소이다. 외래의 유전자원을 이용하는 이유로는 수량과 연관된 유전인자들 제공, 유용한 유전적 변이의 증대, 잡종강세의 강화, 병•해충과 스트레스 저항성을 갖는 특정 유전인자 제공, 생물적•환경적 재해를 대응할 수 있는 안전장치 차원의 유전적 다양성의 증진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일반 옥수수의 수량과 병저항성 향상을 위한 외래유전자원 (열대형, 아열대형, 온대형)의 잠재 능력 평가, 미얀마에서 이용될 식량으로써 일반 옥수수와 사탕옥수수를 결합한 새로운 옥수수의 가치의 평가, 그리고 한국 유전자원의 바이오에탄올 생산능력 향상을 위하여 bm3 유전자 및 미얀마의 열대형 유전자원을 도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일반 옥수수, 옥사탕(일반×사탕옥수수), 그리고 바이오에탄올이라는 세가지 주제하에 미얀마에서의 7가지 실험과 한국에서의 5가지 실험이 2007년 동계부터 2010년까지 수행되었다. 본 실험을 위해 검정교배조합과 시험용 교배조합들이 미얀마와 캄보디아, 그리고 한국에서 만들어졌으며, 하와이, 네팔, 중국, 한국, 국제열대농업연구소 (IITA),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태국, 그리고 미얀마의 유전자원이 사용되었다. 미얀마에서의 실험은Tatkone, Aung Ban, 그리고 Nyung Mon에 위치한 DAR의 지방 시험장과 Yezin의 DAR 본부에서 수행하였다. 한국에서는 안성, 제주, 그리고 군위 (경북대학교 실험실습장)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시험마다 12가지 특성, 농업적 및 수량 관련 특성들, 상품성, 그리고 병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난괴법과 불완전 방격법으로 배치되었으며, 조합능력검정 시험은 행렬교배(NC Design II)시험구 배치법을 사용하였다. 불완전 방격 배치 설계를 제외한 모든 통계 분석은 SAS 프로그램의 일반선형모형분석(PROC GLM)을 사용하였다. 특정 형질에 가장 우수한 유전자형을 밝히기 위하여 GGE biplot 프로그램으로 다중형질을 고려한 유전자형 행렬도 분석을 하였다. 본 실험에서 가장 주목할 결과는 태국에서 도입한 외래 교잡품종 (DK-959)이 모든 형질에 대하여, 미얀마의 모든 시험장에서 동일하게 가장 높은 조합능력을 보였다는 점으로, 이는 DK-959가 교잡종 옥수수 육종 프로그램에서 검정친(tester)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얀마 S3계통들에 대하여 한국의 온대형 계통인 69B는 수량, 이삭길이, 이삭두께, 낱알의 열수, 출수와 출사에 관한 일반조합능력이 가장 우수하였고, 51B는 간장과 낱알의 줄수, P45는 착수고, 착립장, 그리고 천립중에 관하여 우수한 조합능력을 보였다. 미얀마 남부의 중고도 지역에서 P45 × Tzi-18, M-5 × N11, M13 × N15 그리고M14 × DK17의 다섯 교배조합이 선발되었고, 북부의 중고도 지역에서는 RML-5 × 03P-30, 03P-42 × Rl-14, NML-1 × 03P-9, 04P -27 × 69B-6 그리고P45 × 04P-16이 적합한 교배조합으로 선발되었다. 낮은 지대인 Yezin에서는 04P-42 × RL-14, Hawaii normal-9 × 04-P16, Line-18 × RML-4, P45 × Tzi-18, M-6 × N-16, M-13 × N-11 그리고10002(China) × Tzi-25 의 7개 교배조합이 우수하였다. 또한, 열대의 낮은 지대에 위치한Tatkone에서는 03P-22 × Tzi 35, RML-5 × 03P-30, Hawaii normal-9 × 04P-24, Line-18 × RL-105, P45 × Tzi-35, 10002(China) × Tzi-25 그리고 10002 (China) × Tzi-35의 7개 교배조합이 선발되었다. 위와 같이 선발된 교잡종들은 기존에 태국에서 도입된 가장 우수한 교잡종인 CP888보다 수량이 50 ~ 100% 증수되었으며, Tatkone에서는 옥수수 입집무늬마름병을, Aung Ban 에서는 매문병이, Nang Mon에서는 매문병과 조명나방에 대한 견딤성을 갖고 있다. 13개 옥사탕(일반x 초당) 교배조합들을 통합분석한 결과 교배조합간, 환경간, 교배조합과 환경의 상호작용이 고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13개 옥사탕 교배조합들 중에서 MYN-9701 × Hawaii sh-6 과 RL-84 × Hawaii sh-1이 가장 좋은 성적을 보였고, 미얀마 전역에서 안정성을 보였다. 온대형 sh 계통인 sh-4는 온대형인 sh-8과의 조합보다 열대형 미얀마 S3계통들과의 조합이 조사된 모든 이삭 특성 항목에서 보다 나은 조합능력을 보였다. 당함량에 있어서MYN-24(Thai919-S3 12-8-5), MYN-1 (PP-1008 S3 8-22-3) 그리고 MYN-20(CP888-S3 7-14-1) 이 각각 18.8, 17.2 그리고15.8%(˚Brix)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한국에서의 바이오에탄올 생산과 관련하여 이들 고당함량 계통과 bm3 유전자를 한국의 유전자원에 도입하는 육종프로그램이 본 연구를 통하여 시작되었다. 바이오에탄올 수율을 위한 바이오매스 평가연구에서는 열대형 교배조합인 국제열대농업연구소(IITA) 시험종과 미얀마와 네팔계통들의 교배조합 시험종들이 한국의 교잡종보다 나은 성적을 보였다. 열대형 교배조합 중에서 03P-22 × Tzi 35의 바이오매스량은 22.5 t/ha로 가장 높았던 반면, 미국의 온대형 상품종인 P3394는 4 ~ 6 t/ha로 가장 낮았다. 경대사일리지1호와 2호의 바이오매스량은 군위시험장에서 8~10 t/ha이었고, 안성과 제주 시험장에서는 18 ~ 20 t/ha를 보였다. 따라서 경대사일리지1호와 2호는 종실뿐만 아니라 바이오매스 생산이라는 두 가지 목적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orn (Zea mays L.) is the second leading cereal in Myanmar and an important commodity in earning farmers’ income and foreign currencies. To increase productivity, development of locally adapted better hybrid is strongly needed. The utilization period of corn hybrids is limited and they are usually replaced with newer hybrids with better agronomic traits and properties required on the market. The largest number of favorable alleles is accumulated in the best hybrid, grown in a certain area. The identification of additional favorable alleles for quantitative traits not present in that hybri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facing a breeder.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favorable alleles from different sources. As a result of this, different donors germplasm complex are needed. Genetic diversity is a basic element necessary for effective plant breeding program. The reasons for the use of exotic germplasm are: as a source of favorable alleles for yield, increase useful genetic variation, enhance heterosis, source of specific traits such as disease and pest resistance and stress tolerance, and the need to increase genetic diversity as a safe guard against unpredictable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hazards.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potential uses of exotic germplasm (tropical, sub-tropical and temperate) for yield and disease resistance in normal corn, normal field corn with super-sweet (NSS) as value added new food chain in Myanmar and integration of bm3 gene and use of tropical Myanmar germplasm to improve biomass and stalk sugar content for improvement of Korea germplasm in bioethanol production. Totally, 7 experiments in Myanmar, 5 experiments in Korea under three main categories as normal field corn, normal supersweet corn and bioethanol corn were conducted during 2007 winter season to 2010. The producing of testcrosses and experimental crosses were done in Myanmar, Cambodia and Korea. Germplasm from Hawaii, Nepal, China, Korea, IITA, Cambodia, Indonesia, Thailand and Myanmar were used as building blocks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sites are Tatkone, Aung Ban, Nyaung Mon (Satellite Farms of Department of Agricultural Research, DAR) and Yezin (Main Station of DAR). The experimental sites in Korea are Ansong, Jeju and Gunwi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Farm). Twelve characters, agronomic and yield characters and commercial value score and disease resistant score were recorded in every experiment. The experiments were laid out in RCB design and alpha lattice design. For combining ability testing, factorially mated NC Design II was used.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PROC GLM of SAS (9.1) except alpha lattice design. GGE biplot program of genotype for multiple trait biplot was used to distinguish the best genotype for certain characteristics. The highlights from this study are: exotic commercial hybrid (DK-959) from Thailand gave best combining effects in all characters in all locations tested in Myanmar and can be used as a tester for hybrid breeding program. Temperate Korea line 69B was the best general combiner line for yield, ear length, ear diameter, rows per ear, tasseling and silking, 51B was the best combiner lines for plant height and kernels per row and P45 showed the best combiner for ear height, row length and thousand seed weight on S3lines of Myanmar. Five experimental crosses (P45 × Tzi-18, M-5 × N11, M13 × N15 and M14 × DK17) were selected as best crosses for mid-altitude southern region of Myanmar, RML-5 × 03P-30, 03P-42 × Rl-14, NML-1 × 03P-9, 04P -27 × 69B-6 and P45 × 04P-16 were the best crosses in mid-altitude northern region of Myanmar, seven crosses, namely; 04P-42 × RL-14, Hawaii normal-9 × 04-P16, Line-18 × RML-4, P45 × Tzi-18, M-6 × N-16, M-13 × N-11 and 10002(China) × Tzi-25 were selected for Yezin (lowland region) and 03P-22 × Tzi 35, RML-5 × 03P-30, Hawaii normal-9 × 04P-24, Line-18 × RL-105, P45 × Tzi-35, 10002(China) × Tzi-25 and 10002 (China) × Tzi-35 were selected as promising crosses for lowland tropics region of Tatkone. These selected hybrids yielded 50-100% more than the best commercial hybrid, CP888 imported from Thailand and are tolerant to Rhizoctonia blight in the Tatkone, Exserohilum turcicum blight in Aung Ban, and E. turcicum and stem borers in the Nyaung Mon. Combined analysis for 13 Normal-supersweet (NSS) crosses showed that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iced within crosses, environments, and interaction of crosses and environment. Among 13 NSS crosses, MYN-9701 × Hawaii sh-6 and RL-84 × Hawaii sh-1 were selected as best and stable NSS in across locations of Myanmar. Temperate sh line, sh-4 had better combining ability on tropical S3 lines of Myanmar compare to temperate sh line, sh-8, in all ear characters evaluated. MYN-24(Thai 919-S3 12-8-5), MYN-1 (PP-1008 S3 8-22-3) and MYN-20(CP888-S3 7-14-1) had the highest sugar content in stalk with brix % of 18.8, 17.2 and 15.8 respectively. The breeding program for integration of bm3 gene and these high sugar lines into present Korea germplasm was initiated in this study for bioethanol production of Korea. Biomass evaluation study for bioethanol showed that tropical crosses (IITA trials, Myanmar and Nepal line crosses trial) possessed better biomass than Korea commercial hybrids. Among tropical crosses, 03P-22 × Tzi 35 had the highest biomass potential of 22.5 t/ha while US commercial hybrid (P3394) had 4 to 6 t/ha of biomass yield. KNU Silage 1 and 2 showed acceptable biomass yield of 8-10 t/ha in Gunwi and 18 to 20 t/ha in Ansong and Jeju. This higher biomass potential of KNU Silage 1 and 2 can be lunched as commercial for dual purpose of grain yield and biomass.

      • Decoding Gut Microbial Metabolites through G-Protein Coupled Receptor (GPCR) Activation

        Nwe, Phu Khat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Yale University 2021 해외박사(DDOD)

        RANK : 247343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 A Comparative Study of Machine Learning Models for Safety Vest and Helmet Wearing Recognition

        Wai Nwe Tun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342

        스마트시티 기술의 출현에서 드론은 다른 차량보다 가성비가높고 환경 친화적이며 휴대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교통 관제, 화물 배송에서 구급 드론과 같은 응급 대응까지 시민들의 삶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드론 사용으로 혜택을 받는 분야 중 건설업은 특성상 가장 위험한 분야 중 하나로, 노동자의 부상과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는 고위험성 사고의 발생률이 높습니다. 사고의 원인은 현장의 안전하지 못한 상태와작업자에 의한 안전하지 못한 행동입니다. 많은 연구자들은 보호 장비를 사용하면 건설 현장의 사고율이 현저히 감소한다는 것을 증명해냈습니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 중 항상 보호 장비를 착용하도록 권장하는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현장에 필수적입니다. 본 논문은 드론을 적용하여 작업자들이 안전조끼와 헬멧을 착용하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제안합니다. 공사 현장은 천성적으로 역동적이고 어수선하기 때문에 안전조끼와 헬멧 착용을 인식하는 것은 다른 인식 문제와 달리 지루하고 도전적인 작업입니다. 또한 이 문제에 대한 포괄적인 데이터 셋이 없습니다. 이 논문은 두 가지 접근 방식을 조사했습니다: 딥 러닝을 전통적인 탐지 기술과 통합한 하이브리드 학습과 퓨샷 학습 기술입니다. 첫 번째 접근 방식에서 인간 탐지는 훈련된 YOLO 모델에 의해 먼저 수행되고 작업자가 안전 장비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분류하기 위해, 초 미세 화소의 HOG 알고리즘이 특징 기술자로 적용되고 다양한 기계 학습 알고리즘으로 훈련됩니다. 두 번째 접근 방식에서 퓨샷 학습 모델은 작업자의 분류에만 초점을 맞추고 관계 추론 신경망에 의해 구현됩니다. 주요 작업은 기능(지원 및 쿼리) 간의 관계 점수를 학습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기능 표현을 학습하기 위한 임베딩 모듈, 기능(지원 및 쿼리)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 모듈, 실제 점수를 학습하기 위한 관계 모듈의 세 가지 모듈이 있습니다. 에피소드 기반 교육 전략은 네트워크를 교육하는 데 활용됩니다. 그런 다음, 테스트 조건을 더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관계 추론 신경망 앞에 이미지 선택 모듈을 구현하여 슈퍼카테고리 스킴 도입합니다. 교육 및 평가를 위해 작업자를 위한 두 가지 유형의 데이터 셋을 생성했습니다. ResNet 모델을 재교육하고 이에 대해 하이브리드 모델을 평가했습니다. 그런 다음 퓨샷 학습 모델에 4-way 5-shot 그리고 4-way 20-shot 설정을 적용했습니다. 모델을 비교하기 위한 평가 매트릭스로 정확도 매트릭스가 선택됩니다. 평가 결과, SVM을 사용한 60세그먼트 슈퍼픽셀 기반 HOG 기능은 84.72%로 원래의 HOG 기능을 포함한 다른 모든 모델을 제치고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습니다. In the emergence of smart city technology, drones play a vital role in enhancing citizens’ life from traffic monitoring, package delivery to emergency response such as ambulance drones since drones are more cost-effective, environmental-friendly, and portable than other vehicles. Among the disciplines which receive benefits from using drones, construction industry is one of the most dangerous ones due to its nature, which accounts for high risks of many accidents that may cause workers injuries and even fatalities. Sources of the accidents are unsafe conditions in the sites and unsafe acts by the workers. Many researchers prove that uses of protective gear significantly reduce the accident rate in construction sites. Thus, it is essential for the sites to install an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which encourages workers to wear the protective gear all the time during working. This thesis applies drones to help constant monitoring the workers whether they are wearing safety vests and helmets. Since the construction sites are dynamic and cluttered by nature, recognition of safety vests and helmets wearing is a tedious and challenging task unlike other recognition problems. Besides, there are no comprehensive datasets for this problem. This thesis investigated two approaches: hybrid learning by integrating deep learning with traditional detection technique and few-shot technique. In the first approach, human detection is performed first by a trained YOLO model, and to classify whether the workers are wearing safety equipment, superpixel-wise 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are introduced as feature descriptors and are trained with variou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 the second approach, the few-shot learning model focuses only classification of workers and is implemented by the relation network. Its main task is to learn the relation scores between features (support and query). It has three modules: embedding module to learn feature representation, concatenation module to combine features (support and query) and relation module to learn the actual scores. The episode-based training strategy is utilized to train the network. Then, to simulate the test conditions more, supercategory scheme is introduced by implementing an image selection module in front of the relation network. For training and evaluation, two types of datasets for workers were created. ResNet models were retrained and used for evaluations. Then, 4-way 5-shot and 4-way 20-shot settings were applied for the few-shot learning models. Accuracy is selected as evaluation metric to compare the models. From evaluation, the 60-segment superpixel based HOG features with SVM performed the best with 84.72% which beat all other models including the original HOG fe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