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한 연구 : 메타평가를 중심으로

        황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에서 인구감소와 더불어 학령인구감소로 인해 대학수능 응시인원은 날로 감소하고 있다. 대학입학정원의 감소로 인해 대학은 대학 내외부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조정을 통해 대학운영의 안정화를 꾀하고 있다. 하지만 물리적 인원감소로 인한 대학의 물리적 감소는 피할 수 없는 사안으로 '대학은 대학교육의 질을 어떻게 유지하고 제고할 것인가?', '그리고 대학이 가져야할 미래발전방향은 무엇인가?'의 질문에 응답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대학의 대내외적 노력을 평가하는 한국 대학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해서 기존의 평가제도와 더불어 환경에 맞는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대학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한국과 중국이 가지고 있는 저출산·고령화, 학령인구 감소 등의 공통적인 문제에 대해 대학이 사회환경에 적응하고자 할 때, 대학을 평가하는 기관이 합리적인 대학기관평가인증을 시행하고 있는지 각 국 제도 비교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학은 사회 엘리트 인재양성이라는 사회적·교육적 책무성을 실현하기 위해, 대학생 수의 증가에만 주목하기보다는 대학생의 특성을 발전시키고, 성취할 수 있도록 더 많은 관심과 투자를 해야 한다. 대학기관평가인증제도는 바로 대학이 특성화 교육 개혁을 유도하는 수단이며 관련된 연구도 큰 의미를 갖는다. 현재까지 한국 학술계에서는 기관평가인증에 관한 연구, 대학교육에 관련된 메타평가모형 등 ’UFPA 모형‘, ’EIPOU 모형‘, ’PSPaVRU 모형‘ 각각의 연구에 대한 학술성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한 선행 연구 및 유사 연구는 부족했다. 중국에서는 대학교육에 대한 메타평가모형연구는 아직까지 UFPA 모형만이 전개되어 있으며 대다수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한 비교연구, 사례연구가 진행되었고 실증조사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연구평가모형으로 메타평가(meta-evaluation)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한국 '대학기관평가인증제도(1주기)'와 중국 '대학교육합격평가(本科教学合格评估)‘ 두 가지 대학평가제도에 대해 각각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이후 실증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대학기관평가인증제도의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즉, 각 제도 전반적인 평가시스템의 재평가를 통해 평가의 기능 및 활용성을 높이고, 일련의 재평가 과정을 통해 평가시스템의 발전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메타평가모형으로 EIPOU모형(평가환경, 평가투입, 평가수행, 평가결과, 평가활용)을 적용하였다.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한 메타평가를 통해, 첫째, 인증제도의 유용성의 정도를 확인하고 교육의 질을 제고시킬 수 있다; 둘째,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정책결정자에게 추가적인 평가인증의 판단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정책평가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정책평가집행의 오류를 발견하여 평가시행의 책무성을 유도할 수 있다; 다섯째, 실증연구 결과를 통해 유사한 정책·제도에도 메타평가 연구에 대한 선행연구로써 기여할 수 있다.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한 메타평가 설문조사는 대학교수, 대학행정직원, 연구원 그리고, 대학기관평가인증 기구 직원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총 231부(한국 111부, 중국 120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 하여, 한·중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한 메타평가 조사를 통해서 전문가와 실무자의 인식 차이에 따른 양국의 대학기관평가인증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사 대상은 두 개의 국가집단(한국, 중국)으로 구분하였고, 각 국가집단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검증(T-test)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세 개의 직업집단(대학교수, 대학기관평가인증 기구 직원/공무원. 대학행정직원)으로 구분하였다. 세 가지 직업집단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 보기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으며, 두 개의 역할집단(평가자, 피평가자)을 조사대상으로 구분하여, 각 역할집단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T검증(T-test)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적인 요인으로, 국가 간 차이분석 결과는 통계적으로 대부분 유의미하였다. 한국에서는 평가 자체에 대해 불신하는 경향이 있어 대부분 평가준거의 분석결과는 중국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중국의 대학기관평가인증제도가 중국 현황에 부합하게 구성되어 평가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한·중 각각의 직업평가집단 간 차이분석을 통해 본 권력 간 거리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권력 간 거리 요인으로 한국과 중국 모두 대학기관평가인증 기구직원과 대학교수가 대학행정직원보다 재평가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행정직원이 대학기관평가인증 기구 직원과 대학교수에 비해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한 만족감이 적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한국과 중국 각 국가별 역할평가집단 간 차이분석 결과는 관대화 요인으로 인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해서 한·중 평가자는 피평가자보다 재평가 인식이 높게 나타난 것이다. 즉, 평가자는 피평가자와의 입장의 차이와 향후 영향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피평가자보다 평가자 자신이 주도로 한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연구결과 및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에서는 대학기관평가인증의 평가기준 수정을 통해, 대학의 특성화를 강조하고, 대학의 경쟁력과 영향력을 제고시킬 수 있어야 한다. 동시에 평가자와 피평가자 간의 불일치한 만족도에 대해 양자 간에 서로 교류와 의사소통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갈등을 감소하고 순조로운 평가인증 작업을 촉진하여야 한다. 둘째, 중국에서는 대학기관평가인증의 인증유효기간을 수정해야 하여 '인증 후 다시 재인증 필요없음' 제도를 전환하고, 대학 교육의 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재인증 기한을 가져야 한다. 동시에 평가결과에 대한 이의가 발생한 경우를 대비한 이의신청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고, 평가인증 관련한 일정·배정과 각 부문이 담당하는 임무를 명확하게 구분해야 한다. 셋째, 한중 양국이 모두 메타평가의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에 대해 평가인증 진행 시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정식으로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한 메타평가를 실시하고, 그의 결과에 따라 시의적절하게 인증제도의 각 평가지표를 수정하여야 한다. In South Korea, the population pyramid has an inverted triangle as the total population decreases. Due to the mainstream trend of decreasing participation rates of students taking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Korea’s university entrance exam), a number of Korean universities have taken steps to a steady correction phase. To maintain and to steadily improve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objectives has become a new research area within the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 of universities. Meanwhile, China is also experiencing decreasing birthrate and the issue of a growing elderly population, both of which have led to a sharp decline of the student population. In contrast to the trend in Korea, the number of Chinese universities has grown continuously over recent years. It remains to be verified whether they have been assessed thoroughly under an impeccable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 Since they are the cradle of society elites and have social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s, universities should focus more on the investment in programs promoting students’ personal development and self-achievement instead of dealing only with the number of students. The university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 plays a vital role in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reforms. Meanwhile, related research also shows great significance. Up to date, South Korean academia has relatively mature achievements among the meta-evaluation model in the relevant research field (e.g., UFPA model, EIPOU model and PSPaVRU model, etc.). However, a sufficient field study of university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has yet to be conducted. Coincidentally, Chinese meta-evaluation research on universities has remained with the UFPA model, mainly on the literature research but on massive practice investigation. To consummate above deficiency, this article conducts a ‘re-assessment’ on both the Korean University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 (1stcycle) and Chinese Undergraduate Education Qualification System while seeking improvement of the program through comparison. To enhance the performance and applicability of systems, it combines the re-assessment along with a feasibility study of further development which has applied EIPOU model, which is one type of meta-evaluation model that combines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 input, process, output and utilization. Based on the following research objectives, it reveals the significance of implementing the captioned meta-evaluation model among university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s. Firstly, it may improve education quality as well as system capability. Secondly, it may identify deficiencies and provide decision-makers with isolate judgments. Thirdly, it may figure out the gap between practice with objectives which indicates the efficiency of the systems. Fourthly, it may trace out the mistakes of executives and improve the responsibility of participants. Lastly, it may contribute to related systems in the meta-evaluation area. Based on the questionnaires of the meta-evaluations on university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 this study uses university professors, administrators, researchers and staff of university accreditation and evaluation organizations as respondents. A total of 117 South Korean questionnaires and 130 Chines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Except for 16 invalid questionnaires, a total of 231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differences between experts and practitioners, which are likely to result in problems and issues of the university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y groups (South Korea and China), a T-test was carried out. Furthermore, the respondents have been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ir occupations: university professors, university administrators, and staff of university accreditation and evaluation institutions. Then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Finally, the T-test was also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different role groups: evaluators and evaluate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es are shown below. First, the analysis of variance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chieved significant results. Since people distrust evaluations in South Korea, most of the evaluation rates ​​in Korea are lower than those in China. It indicates that compared with South Korea, the Chinese evaluation system is more applicable to national conditions. Second, the analysis of variance of differences between occupational groups is verified to be sufficient both in South Korea and China. Commonly, the rates ​​of university professors and staff of university accreditation and evaluation institutions are higher than those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This indicates that university administrators are less satisfied with the current system. Thirdly, the analysis of variance of different role groups is verified to be meaningful statistics. In both countries, the rates of evaluators are higher than those of evaluatees. This indicates that evaluators over-assess the systems with respect to their positions. The findings and policy recommendations are presented below. First,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and influence of universities, South Korea should revise the benchmarks of the university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 and promote the construction of featured universities. Targeting the gap between evaluators and evaluates, bilateral communication should be improved. This may reduce clashes as well, which can finally lead to a smooth evaluation progress. Second, China should review and revise the expiration policy of university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from the permanent effective once validated to re-validation period that will definitely enhance the education quality, guarantee the steadily improvement of universities under crisis awareness. Meanwhile, an appeal system should be ready in case any objection occurs during the evaluation. Also, the schedule and tasks of a variety of departments should be clarified clearly. Third, both South Korea and China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eta-evalu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they need to re-assess the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ystem by conducting periodically meta-evaluations and revising the system accordingly besides evaluating universities themselves. 在韩国,随着全国总人口减少,人口年龄结构金字塔出现倒三角缩减型状态,大学修业能力考试(韩国高考)应试人数减少趋势明显等客观因素,大学逐步走向调整阶段,即大学的数量呈现减小的态势。大学如何保持并提高大学教育水平质量,大学自身的未来发展方向等等,这些都成为韩国大学机构评估认证制度研究的新课题。 反观中国同样面临人口出生率低及高龄化、适龄受教育人数减少等问题。与韩国稳定的大学不同的是,中国大学数量历年来呈现不断增长的态势。日渐增加的大学是否通过合理的大学评估认证,中国的大学评估认证制度是否较为完善,这些课题有待深入地研究。 大学作为培养社会精英人才的摇篮,为了实现这一社会责任及义务,大学不仅应关注学生数量,更应注重学生的特色发展及成就。大学评估认证制度就是引导大学进行特色化教育改革的有效手段,与其相关的研究也具有极大的意义。 到目前为止,韩国学术界对于机构评估认证的相关研究,大学教育相关联的元评价模型(UFPA模型, EIPOU模型, PSPaVRU模型等)研究,有一定学术成果,但缺乏完善的大学评估认证的实践研究。而中国对于大学教育的元评价模型研究目前停滞在UFPA模型,多数为文献研究,鲜少进行大规模实践调查。 为了弥补这种模型及实践的缺失,本文将通过‘元评价(meta-evaluation)’,对韩国‘大学机构评估认证制度(第一周期)及中国‘本科教学合格评估’这两种的大学评价制度分别进行‘再评价’,并通过比较来寻找改善方案。即通过对各制度整体的评估系统进行再评价从而提高评估机能和应用的有效性,同时通过一系列的评估过程对评估系统整体的发展可能性进行更深入的分析。本研究使用的元评价模型是EIPOU模型(评价环境,投入评估,评估实施,评估结果,评估活用)。 以下的研究目标,揭示了实施有关大学机构评估认证的元评价的必要性。第一,通过大学评估认证的元评价的调查,可以提高教育的质量以及制度本身的有效性;第二,发现问题并提供给政策制定者独立的判断资料;第三,确定达成提高教育质量的目标与否并提高政策有效性;第四,发现政策执行者的错误及强化参与者的责任感;第五,对相似的政策制度的元评价研究作出贡献。 本研究是以大学教授、大学行政人员、研究员以及大学认证评估机构职员为研究对象,进行了有关大学机构评估认证之元评价的相关问卷调查,总共回收了117份韩国问卷和130份中国问卷。其中不可用问卷16份,可使用问卷231份,并对可使用问卷进行数据分析。通过此有关大学机构评估认证之元评价问卷调查,揭示专家和实务者间的认识差异,从而引出两国大学机构评估认证制度的问题及其改善点。 鉴于上述目的,本研究的调查对象分为两个国家,即韩国和中国,为了揭示两个国家的认识差异,分别进行了T检验(T-test)。本研究又将调查对象区分为三种职业——大学教授、大学行政职员、大学认证评估机构职员,为了揭示各种职业的认识差异,分别进行了单因素方差分析(One-way analysis of variance)。最后将调查对象分为两种角色,即评价者和被评价者,为了揭示两种角色的认识差异,分别进行了T检验(T-test)。 实证分析结果如下所示。 第一,韩中两国间的大部分差异分析结果证明为有意义的统计。由于在韩国对于评价本身有不信任的现象存在,所以韩国大部分评价数值比中国低。这表明,相对于韩国而言,中国的大学评估认证制度更符合中国的国家现状。 第二,韩中两国各自对于职业间的差异分析结果都证明为有意义的统计。两国大学教授及大学认证评估机构职员的评价数值高于大学行政职员。这表示大学行政职员对现行制度并不完全满意。 第三,韩中两国各自对于角色间的差异分析结果都证明为有意义的统计。韩中两国的评价者的评价数值都高于被评价者。这表明,评价者,相对于被评价者,会根据立场的差异和未来可能受到的影响进行评估之后,对于自身主导的制度给予过高的评价。 研究结果及政策性建议如下所示。 第一,韩国需要通过修改大学机构评估认证的基准,促进特色化大学的建设,从而提高大学自身的竞争力与影响力。同时鉴于评估者和被评估者不一致的满意度,需要努力加强两者间的双向交流沟通,减少矛盾和纠纷,促使评估认证工作的顺利进行。 第二,中国需要修改大学机构评估认证的认证有效期限,从‘认证后无需再认证’转为‘认证后需要有效认证’,增强大学提高教育质量之认识的迫切感。同时增加对评估结果产生异议时需要具备的异议申请系统,确定评估认证一系列的日程安排时间及各部门的责任。 第三,韩中两国都需要认识到元评价的重要性,为了提高教育的质量,在对大学进行评估认证的同时,应对有关大学评估认证之元评价付诸行动。根据元评价的结果适时修改认证制度的各个评估指标。

      • AHP 기법을 활용한 중국 보세물류원구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천진항과 청도항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황판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글로벌화가 끊임없이 추진되고 국제무역이 깊이있게 발전함에 따라 보세물류는 이미 국가간 물류고리의 강력한 경쟁조건의 하나로 되였다.보세물류의 출현과 발전은 우리 나라의 물류운영원가를 낮추고 물류기업의 대외경쟁력을 증강하며 항구도시경제의 진일보적인 발전을 촉진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본 연구는 계층분석법 (AHP)을 통해 청진항과 청도항을 비교하어 중국의 보세물류원구들이 차별화된 전력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요인에 대해 중요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프라적 요인,정책적 요인, 부가가치서비스요인, 비용적 요인등 4가지 측면에서 청진항 보세물류원구와 청도항 보세물류원구의 발전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이며,천진항과 경쟁력에 있는 청도항을 비교했을 때 세부 요인 중에서 어떤 부분들을 더 개발하고 연구하여 발전시키 나갈수 있을지에 대한 관점을 제공하였다. 그 결과, 인프라적 요인,정책적 요인, 부가가치서비스요인, 비용적 요인 4가지 대분류에서는 비용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15가지 세부요인 중에서는 인프라적 요인의 보세물류원구 입지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With the development of economic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 trade, bonded logistics has become one of the powerful competitive conditions in national logistics.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bonded logistic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reducing China's logistics operation cost, enhancing the external competitiveness of logistics enterprises, and promoting the furth -er development of port city economy. This study compares Tianjin port and Qingdao port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zes various factors of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China bonded logistics park, and puts forward questions. Therefore, this study from infrastructure factors, policy factors, value-added services, from four aspects, such as cos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ianjin port and Qingdao port bonded logistics park is the most important factors, and port of Tianjin compared with the sweeping port competitiveness strong, specific factors which aspects can be further development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point of view. The results, infrastructure factors, policy factors, value-added service factors, cost factors four categories, the cost factor is the primary factor. Among the 15 detailed factors, infrastructur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 Power saving and secure MQTT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황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ower management and security of hundreds of smart devices is one of the challenging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Internet of Things (IoT) applications. Frequent real-time communication requires optional implementation of appropriate technologies. The Message Queue Telemetry Transport (MQTT) protocol, which is designed as an extremely lightweight messaging transport protocol, is widely used in Internet of Things (IoT). However, the simplicity of MQTT also causes various problems. In this paper, we focus on MQTT power consumption and MQTT security. First, we proposed a power-saving and secure MQTT system for IoT, which has a prolonged life time and transmits in a more secure way. An advanced alphabet-based Arithmetic Coding is designed to process IoT data. Moreover,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AES) encryption and inner security mechanism are combined in the proposed system to provide data security. Final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curity is improved. Meanwhil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ecause the proposed Arithmetic Coding has a better performance than traditional Arithmetic Coding in our system. While the mean end-to-end delay increases by 2ms, but it is accept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