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절성 내사시 환아에서 원시 교정 후 발생한 자동속발외사시

        황정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f spontaneous consecutive exotropia. Methods: 9 Children with spontaneous consecutive exotropia were retrospectively included in the study. The factor studied were sex, age at the first visit, ocular aligment, refractive error and amblyopia. Change of the angle of deviation and amount of hyperopia during follow-up period were analyzed. Results: The mean age at onset of the refractive accommodative esotropia was 34.8±12.6 months, the mean degree of hyperopia was +5.0±1.2D and the mean amount of esodeviation was 27±12.5PD. patients showed orthophoria right after correction of hyperopia and the mean amount of exodeviation 19.9±8.3D occurred after the mean age of 37.7±1.5 months. 5 patients had orthophoria after reduction of the hyperopia and in 4 patients did not show any effect after reduction of the hyperopia,s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and showed orthophoria after surgical treatment. Conclusion: Reduction of the hyperopia by 50% and cessation of corrective glasses for causing accommodative convergence should be considered as primary therapy when spontaneous consecutive exotropia occured. if the result is not satisfying, then surgical treatment is an another consideration.

      • 우리나라 최초 논습지 보호지역인 공검지의 곤충상에 관한 연구

        황정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sect fauna of Gonggeom-ji, located in Sangju-si, Gyeongangbuk-do, the first designated wetland protected area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as a paddy in 2011. Data was collected in May, October, November of 2017 represented as seasons for spring, summer and autumn respectively. Three kinds of survey sites (reservoir, paddy, and forest) were selected in Gonggeom-ji.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llection methods were used. Quantitative methods were conducted along a transect line of 50m in each survey sites. Ten pitfall traps were constructed 5m away each other along a transect line. Whole sweeping times was 100 for 2 times per meter along a transect line. Bucket trap was constructed only in reservoir site lighted for 10 hours from 7:00pm to 5:00am of the next day. Qualitative methods were conducted for 7 hours in two days (1:30pm to 5:00pm) by Sweeping and Searching. Comparison was made with data resources from 2012 to 2017 conducted in Gonggeom-ji, as wetland ecosystem monitoring. Based on this study a total of 17,302 individuals of insect fauna were collected, representing 343 species in 97 families and 9 orders. 81.6% of individuals were collected using bucket trap. Based on quantitative method results, Diversity index of the reservoir site (3.86) i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paddy site (5.30) and the forest site (5.31). Also, Diversity index of August (3.74) is significantly less than May (4.83) and November (4.79). For collecting methods, Diversity index of Bucket trap (2.42) is significantly less than sweeping (3.63) and pitfall trap (3.91). Based on qualitative methods results, Diversity index of May (4.27) is significantly less than August (5.12) and November (5.21). This study is performed to offer the basic data about variation of insect community differences based on the sites, the seasons and the collecting methods.

      • 지상파TV의 올림픽 단독중계와 공동중계에 따른 프로그램 및 광고의 노출효과 : 2008년 베이징 올림픽과 2010년 밴쿠버 올림픽의 비교를 중심으로

        황정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based on a premise that the mankind festival of Olympic games will affect the audience rating of TV programs and advertisements. It aims to examine how much it increases the rating of TV programs/advertisements and also how the rating of programs/advertisements differs according to the situations of a TV’s exclusive broadcasting and co-broadcasting. The broadcastings of Olympic games used for this research were Vancouver Olympic games(exclusive broadcasting) and Beijing Olympic games(co-broadcasting). The ratings data of those were provided from TNmS, and positive analysis result is suggested in here. The study result shows that exclusive broadcasting of Olympic games had positive effects on program/advertisement effectivenes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ypotheses set up. Also,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of exclusive broadcasting were even greater than in co-broadcasting. And in exclusive broadcasting, the audience rating for advertisements was even higher than that of co-broadcasting. This difference differed by gender and age. Also, concerning advertising efficiency, it was found that the merits of broadcasting Olympic games were considerable. Keywords: Olympic games, exclusive broadcasting, advertising effects, TV rating, advertising efficiency 본 연구는 올림픽이라는 인류의 축제가 TV 광고 시청률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것을 전제로, 과연 얼마나 TV 프로그램 및 광고 시청률을 상승시키는지 그리고 지상파TV에서 단독 또는 공동으로 중계하는 상황에 따라 프로그램 및 광고시청률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올림픽 중계는 각각 밴쿠버(단독중계)와 베이징(공동중계) 올림픽이었으며, 당시 시청률 자료를 TNmS에서 제공받아 실증적인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올림픽 단독중계는 프로그램 및 광고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설정된 가설들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단독중계의 효과는 공동으로 중계했을 때보다 더욱 크다는 결과도 발견되었다. 단독중계의 경우 공동중계보다 프로그램 및 광고 시청률이 더욱 높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광고 시청률에서 성별과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광고의 효율성에 있어서도 올림픽 중계의 이점이 크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 저가형 산업용 센서 기반 기계 부품 정밀 측정기의 설계 및 평가에 관한 연구

        황정호 國民大學校 自動車工學專門大學院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산업용 부품 측정이 과거에는 마이크로미터, 버니어 캘리퍼스, 다이얼 인디게이터 등에 의한 기계적 방식이었으나 최근에는 통신이 가능한 산업용 측정 센서를 이용한 in-Line 측정으로 변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종 측정 센서를 이용한 베어링과 피스톤의 진원도 측정기, 실링캡 높이 외경 측정기, 모터 성능 측정기를 설계․제작하고 측정 프로그램을 제작하였으며 특성실험을 통하여 측정기 설계 및 제어 방법을 연구하였다. 베어링, 피스톤은 고속 회전 또는 왕복 운동하는 부품으로 진원도와 형상 치수 정밀 측정이 매우 중요하다. 저가형 베어링을 이용하고 in-line 측정에 유리한 스핀들 장치를 개발하여 180° 위상차를 가진 2개의 LVDT 센서를 이용하여 특성실험을 통하여 진원도를 측정한 결과 고가의 진원도 측정기와 비교하여도 성능이 뒤지지 않고 가공현장에서도 측정할 수 있는 수준의 진원도 측정기를 제시하였다. 체계적인 진원도 측정기 설계와 제어를 위하여 진원도 최소 제곱법 이론 분석과 가시화 방법 그리고 반전법에 의한 측정값의 보정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측정기 설계에서 중요한 LVDT 센서의 접촉자 형상과 측정물의 표면거칠기와의 상호 관계 고찰과 측정 센서의 기구부 설계 방법을 제시하여 접촉되는 측정물 형상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메커니즘 기본 설계(concept drawing) 방법을 제시하였다. 산업용 측정 센서의 저속과 고속에서의 제어기 설계를 위하여 rotary encoder의 펄스 카운터는 고속카운터와 DAQ를 이용한 2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여 성능 검증하였다. 전압을 이용하는 LVDT 센서, 토크 센서, 펄스 미터, 파우더 브레이크의 신호처리 방법을 분석하여 측정기에서의 제어기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측정 센서를 이용하면 측정 정밀도가 향상되며 컴퓨터에 의한 기록으로 측정 및 분석이 가능하여 측정기의 신뢰성이 높아지고 비숙련자도 측정이 가능하게 되어 원가절감, 품질향상에 기여한다. 이에 산업용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값을 취득하는 진원도, 실링캡, 모터 성능 측정기 프로그램을 RS232C, DAQ에 의한 측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측정기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측정 대상물인 베어링, 피스톤, 실링캡, 모터는 다품종이므로 측정기 설계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측정기 1대로 다품종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절감에 기여하였으며, 정밀 측정이 가능한 측정기를 설계, 제작, 특성실험, 평가를 수행하여 산업 현장에서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미항목포가꾸기 事業의 展開過程에 關한 硏究

        황정호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포는 아름다운 해변공간을 보유하고 있는 도시이다. 또한 산, 바다, 섬, 강이 아기자기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 항구 도시이며, 한반도 서남권의 중심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대불공단, 삼호공단 등을 중심으로 신산업 지대가 점차적으로 조성되고 있고, 무안공항, 목포 신외항 등 국제교통 시설이 건설되도 있어 산업, 관광, 교통 및 교역의 중심입지로서의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목포를 세계적인 미항으로 만들기 위해 목포시에서는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1단계에는 시민관심과 공감대 형성, 2단계에는 『미항목포개발마스터플랜』수립에, 3단계에는 지구별 개발실행을 통한 국제적 미항 개발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국제적 미항을 만들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목포 발전에 대한 기본 청사진도 없이 비조직적이고, 비계획적인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항 가꾸기 사업을 추진하면서 『미항목포개발마스터플랜』 수립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 사업의 추진과정이 달라진 부분이 있는지 검토하고 문제점을 고찰한 후,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미항 목포 가꾸기 사업의 향후 전개 방향을 올바르게 제시하고자 한다. Mokpo is the city which possesses a beautiful water-front. Also the mountain, the Ocean and the island, the river is charming and composed a port city which it is, rising rapidly the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Southwest volume. The new industrial zone is continued Dae-Bul industrial complexes and Sam-Ho industrial complexes in the center and it is created. The Mu-an international airport, Mokpo new harbor back international traffic facility being constructed, the center of industry, sightseeing, traffic and trade it does not put on as it equips the condition of optimum. Like this Mokpo world-wide it is famous and it is endeavoring constantly from hazard Mokpo city which it makes in the beautiful harbor. To 1 phase to citizen interests and sympathy formations and 2 phases in 『Beautiful Harbor Mokpo Development Mastering Plan.』 establishment, to 3 phases it finishes utmost efforts hazard it develops the beautiful harbor the international which leads an endurance sector development execution. But makes an international beautiful harbor and in spite of the basic master-plan against Mokpo development without non-systematize and it is the actual condition where the non-plan enterprises are propelled even in the effort. This study is beautiful harbor it propelled the enterprise which it makes from the dissertation which it sees and before and after 『Beautiful Harbor Mokpo Development Mastering Plan』 establishing it divided and there probably is a portion where the propulsion process of the enterprise changes it investigated, after trying to observe a problem point, it proposes an improvement direction with beautiful harbor Mokpo properly the hereafter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enterprise.

      • 한국인 집단의 Y 염색체 STR 일배체형에 관한 집단 유전학적인 연구 : Population genetic studies on Y-chromosomal STR haplotypes in a Korean population

        황정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Y 염색체상에서 다형성을 보이는 12개의 유전자 좌위- DYS391, DYS389I, DYS439, DYS389II, DYS438, DYS437, DYS19, DYS392, DYS393, DYS390, DYS385a/b-를 대상으로 각 좌위별로, 그리고 일배체형을 분석하여 이들을 이용하여 중부지역 한국인 집단의 유전학적인 집단 구조의 특성 및 법의학적 적용을 조사하였다. 표본으로 무작위로 추출된 569명의 중부지역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이 고유하게 나타내는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5개의 집단과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인 집단으로는 259명의 남부 한국인 집단과 301명의 한국인 집단을, 중국인 집단으로는 136명의 한족 집단, 100명의 윤안 지역의 Yi 집단을, 그리고 369명의 일본인 집단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집단 간의 비교 분석 시에는 공통적이지 않은 DYS437 좌위를 뺀 11개의 좌위를 이용하였다. 혈연관계가 없는 중부 한국인 569명 가운데 모두 473 종류의 일배체형이 나타났으며, 이들 중 426 종류 (90.06%)는 단지 한번만 관찰되었다. 12개의 Y-STR 좌위에서, DYS385a/b좌위는 가장 높은 다형성 (gene diversity: 0.9559)을 보였으며, 반면에 DYS391 좌위가 가장 낮은 다형성 (gene diversity: 0.2586)을 나타냈다. 가장 높은 다형성을 보이는 DYS385a/b좌위에서는 모두 66 종류의 대립유전자가 관찰되었으며, 10/18 과 10/19의 대립유전자가 각각 0.1160, 0.1107의 값으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중부 한국인 집단의 전체 haplotype diversity는 0.9985, 그리고 discrimination capacity는 0.8313의 값을 나타냈다. 분석된 3개의 한국인 집단에서, haplotype diversity가 모두 0.995 이상으로 높은 정보력을 갖는 수치를 나타냈으며, 이들의 총 1129개의 일배체형의 discrimination capacity는 0.8529 (85%)였다. 중부 한국인 집단에서 가장 공통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일배체형은 (DYS19, DYS389I, DYS389II, DYS390, DYS391, DYS392, DYS393, DYS385a/b, DYS438, DYS439) 16-14-29-23-10-13-13-10/19-13-12 그리고 16-14-29-23-10-13-13-10/18-13-12 로 각각 11명의 남성에게서 관찰되었다. 이 두 개의 일배체형은 중부 한국인 집단을 포함한 3개의 한국인 집단 1129개의 일배체형에서 전자는 26개, 후자는 20개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Y-STR Haplotype Reference Database (YHRD) 검색 결과, 13개의 아시안 집단의 2,204 종류의 일배체형에서 전자는 3개가 관찰되었고, 후자는 단 한개도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두 종류의 일배체형은 아마 한국인 집단에서 공통 조상형의 유전자형일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allele frequency를 통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3개의 한국인 집단은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아주 동질성이 높은 집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분석된 1129개의 일배체형이 한국인 남성들의 Y-STR 일배체형 빈도 측정에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리라 기대된다. 569명의 중부 한국인 중에서 mutant allele가 3명에게서 관찰되었다. DYS439 좌위에서 sequencing 분석을 통해서 “U3Ains”로 명명되어지는 intermediate allele가 발견되었으며, DYS19 좌위에서 duplicate allele, DYS385a/b 좌위에서 triplicate allele가 발견되었다. 재조합이 일어나지 않고 부계로만 유전적 정보가 전해지는 Y 염색체의 특성상 이러한 돌연변이 현상은 유전학적으로 흥미 있는 발견이라 생각된다. 또 이러한 돌연변이 현상은 현재까지 한국인 집단을 대상으로 한 Y-STR 연구들에서는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법의학 분야에서의 적용 시, 즉, 친자확인 및 혼합반의 증거물 DNA typing시, 이러한 mutant allele에 대해 세심한 주의를 요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한국인 집단과 일본인 집단 사이에 공유하는 일배체형은 29종류였으며, 가장 많이 공유된 것은 (DYS391, DYS389I, DYS439, DYS389II, DYS438, DYS437, DYS19, DYS392, DYS393, DYS390, DYS385a/b) - 10, 14, 12, 29, 13, 16, 13, 13, 23, 10/18 으로 22명의 남성이 공유하였다. 한국인 집단과 중국인 집단 사이에 공유하는 일배체형은 7종류였으며, 가장 많이 공유된 것은 (DYS391, DYS389I, DYS439, DYS389II, DYS438, DYS437, DYS19, DYS392, DYS393, DYS390, DYS385a/b) - 10, 12, 12, 28, 10, 15, 12, 12, 23, 12/16 으로 3명의 남성이 공유하였다. 한국인과 일배체형을 공유하는 비율은 일본인은 55명 (18%), 중국인은 7명 (3%)으로 큰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 일본인과 한국인 사이에서 관찰된 공유 일배체형의 종류도 중국인과 한국인사이에서보다 4배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6개의 집단 간 유전적 거리는 Fst의 값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앞서 언급된 것처럼 3개의 한국인 집단은 유전적 거리의 차이가 없는 같은 동질의 집단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인 한족 집단, 일본인 집단, 중국인 윤안 지역의 Yi 집단 순서로 유전적 거리가 멀어짐을 알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5개 집단 간의 유전적 거리가 분석되었다. 몽골 집단, 티벳 집단, 싱가폴 집단, 덴마크 집단, Basque 집단의 순서로 한국인 집단과 유전적으로 멀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인 집단과 조사된 모든 아시아 집단 간의 Fst의 값을 기준으로 유전적 거리를 비교해 보았을 때, 동북아시아인 집단으로 분류되는 중국 한족 집단이 한국인 집단과 가장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남아시아인 집단으로 분류되는 윤안인, 티벳인, 싱가폴인과 한국인간의 유전적 거리와 동북아시아인 집단으로 분류되는 몽골인, 일본인, 한족인과 한국인간의 유전적 거리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최근의 mtDNA와 Y 염색체의 일련의 연구 결과들, 즉 한국인과 일본인은 동북아시아 그룹과 동남아시아 그룹이 혼합된 유전적 구조를 갖고 있다는 결과들과 유사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 다형성을 지닌 Y 염색체 12개의 STR 마커들을 이용하여 분석된 본 연구의 유전적 결과들은 한국인의 집단 유전학 연구뿐만 아니라 법의학 분야의 적용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리라 기대된다.

      • 차세대 차량 제어 시스템을 위한 조향 시뮬레이터 개발

        황정호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차량동역학 모델을 가지고 있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과 조향휠을 포함한 하드웨어를 연결하여 HILS (Hardware-In-the-Loop System)를 구성하였다. 이 조향 시뮬레이터에서는 실제 운전자의 조향입력을 포텐쇼미터(potenti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운전자에게 실제와 같은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 운전자가 조 향시 느낄수 있는 복원 토오크(Self-Aligning Torque)를 BLDC motor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그러므로 연속적인 운전자의 조향 입력에 따른 차량의 운동이 에니메이션 화면으로 보여지게 되어, 운전자는 실제 도로에서 운전하는 것과 비슷한 환경에서 운전동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구성된 HILS를 이용하여 실제 운전자가 조향입력을 주면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고, 운전자의 분류에 따른 조향성을 검토해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 이 구성된 조향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해 볼 수 있는 조향제어 알고리즘중의 하나인 브레이크 스티어 콘트롤(Brake Steer Control)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a PC-based steering simulator is developed such that the steering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dynamics program are constructed into the HILS(Hardware-In-theLoop System). This steering simulator is composed of Hardware(steering wheel, potentiometer, self-aligning BLDC motor, D/A board, Macintosh etc.) and Software(CAPC : Crewman's Associates for Path Control). According to the steering angle input, the vehicle motion is calculated from the software and its animated motion in the roadway scene is displayed on the computer screen. In order to give the realistic feeling to the subject driver, the self-aligning torque is generated through the BLDC motor. The proposed low-cost steering simulator can be very useful for the feasibility study of new steering control algorithms, the driver's steering behavior research and road-departure accident simulations.

      • Design of High-Speed Power-Efficient Optical Transmitter With Push-Pull Driving Technique

        황정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Data usage dramatically increases by year due to Internet of Things (IoT) and 5G networks. Even though required data keeps going up, backbone network of wireline such as data center ha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out or less errors. However, electrical wireline interface is difficult to process data for the data surge due to skin effects and dielectric loss in the copper channel at high frequency.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high-speed and power-efficient optical links utilizing optical fibers keeps increasing owing to its low loss even delivering data for the long distance. Following this trends, this thesis is focused on transmitter side of optical links. Push-pull driving technique, which is suitable for high-speed and power-efficient network, is proposed and utilized. Based on this technique, 32Gb/s NRZ driver with large output swing, which drives Mach-Zehnder modulator (MZM) or electro-absorption modulator (EAM), has been implemented with the power efficiency of 6.28pJ/b in 65nm CMOS process. It achieves an active area of 0.086mm2. Also, 4-channel HDMI active optical cable (AOC) transmitter chips achieving 12Gb/s per channel is fabricated in 180nm CMOS process using push-pull driving scheme with the total area of 1.62mm2. In the subsequent section, optical transmitters with clocking architecture have been proposed. 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VCSEL), which has low cost for fabrication and high ability for integration, are utilized for clocked optical transmitters. Both forwarded and embedded clocking architectures have been employed for the future optical interface betwee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d optical links. As a result, 56Gb/s VCSEL PAM-4 transmitter with forwarded clocking and 64Gb/s VCSEL PAM-4 transmitter with embedded clocking have been implemented in 65nm CMOS process. Figure of merits for power efficiency are 2.12pJ/b and 2.69pJ/b, respectively. Both chips occupy the area of 0.133mm2 and 0.278mm2, respectively. 다가오는 IoT와 5G 무선망으로 인해 해마다 데이터의 사용량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요구되는 데이터의 양이 계속 증가되는 가운데, 유선 망에서는 한정된 자원으로 에러 없이 혹은 적은 에러로 전송을 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로는 고속 주파수에서의 표피효과와 유전체의 손실로 인해 구리 선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장거리를 손실 없이 고속의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광섬유를 활용의 중요함은 커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따르며, 본 논문에서는 광통신의 송신부에 초점을 맞추었다. 고속 저전력에 적합한 푸쉬-풀 구동 기술이 제안되고 사용되었다.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큰 스윙을 가지며 6.28pJ/b의 효율성을 가진 32Gb/s 마크-젠더 광 변조기/전계-흡수 광 변조기가 65나노 CMOS 공정으로 설계되었다. 해당 칩은 0.086mm2의 작용면적을 지니고 있다. 또한, 채널당 12Gb/s의 속도를 지닌 4-채널 HDMI AOC 드라이버 역시 180나노 공정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마찬가지로 푸쉬-풀 구동 기술을 사용했으며 총 면적은 1.62mm2였다. 후속 섹션에서는 클락을 가진 광 송신기가 제안되었다. 값싸고 집적도가 높은 면발광 레이져가 본 섹션에서 이용되었다. 클락 전송형, 클락 내장형 송신기가 차세대 광통신을 위해 적용되었다. 그 결과 56Gb/s 4-레벨 진폭변조가 가능한 면발광 레이저를 구동하는 클락 전송형 광 송신기와 64Gb/s 4-레벨 진폭변조가 가능한 면발광 레이저를 구동하는 클락 내장형 광 송신기가 설계되었다. 전력효율성은 각각 2.12pJ/b와 2.69pJ/b 이며 0.133mm2와 0.278mm2의 작용면적을 갖고 있다. 다가오는 IoT와 5G 무선망으로 인해 해마다 데이터의 사용량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요구되는 데이터의 양이 계속 증가되는 가운데, 유선 망에서는 한정된 자원으로 에러 없이 혹은 적은 에러로 전송을 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로는 고속 주파수에서의 표피효과와 유전체의 손실로 인해 구리 선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장거리를 손실 없이 고속의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광섬유를 활용의 중요함은 커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따르며, 본 논문에서는 광통신의 송신부에 초점을 맞추었다. 고속 저전력에 적합한 푸쉬-풀 구동 기술이 제안되고 사용되었다.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큰 스윙을 가지며 6.28pJ/b의 효율성을 가진 32Gb/s 마크-젠더 광 변조기/전계-흡수 광 변조기가 65나노 CMOS 공정으로 설계되었다. 해당 칩은 0.086mm2의 작용면적을 지니고 있다. 또한, 채널당 12Gb/s의 속도를 지닌 4-채널 HDMI AOC 드라이버 역시 180나노 공정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마찬가지로 푸쉬-풀 구동 기술을 사용했으며 총 면적은 1.62mm2였다. 후속 섹션에서는 클락을 가진 광 송신기가 제안되었다. 값싸고 집적도가 높은 면발광 레이져가 본 섹션에서 이용되었다. 클락 전송형, 클락 내장형 송신기가 차세대 광통신을 위해 적용되었다. 그 결과 56Gb/s 4-레벨 진폭변조가 가능한 면발광 레이저를 구동하는 클락 전송형 광 송신기와 64Gb/s 4-레벨 진폭변조가 가능한 면발광 레이저를 구동하는 클락 내장형 광 송신기가 설계되었다. 전력효율성은 각각 2.12pJ/b와 2.69pJ/b 이며 0.133mm2와 0.278mm2의 작용면적을 갖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