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측정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황재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오늘날 도서관은 새로운 정보서비스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높아진 고객의 기대수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서비스 품질 향상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서비스 품질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서비스 품질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도 함께 대두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서비스 품질 측정모형과 지표를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그리고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서비스 품질 기대효과 모형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측정에 관한 대표적인 문헌 5편을 대상으로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구성요인과 측정항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10개의 구성요인과 42개의 측정항목으로 구성되는 비교표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둘째, 문헌연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도서관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4개의 차원(정보시스템 품질, 디지털장서 품질, 고객서비스 품질, 고객커뮤니티 품질)과 7개의 구성요인(검색성, 인터페이스, 접근성, 디지털장서, 고객지원서비스, 개인화서비스, 고객커뮤니티), 30개의 측정항목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측정모형과 지표가 개발되었으며 이를 연구모형(DL-SQI 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셋째, DL-SQI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소의 3개 디지털도서관을 대상으로 고객이 지각하는 서비스 품질 성과를 직접 측정해 보았다. 측정에 앞서 디지털도서관 서비스 품질 측정방법에 관한 2가지 기본원칙과 디지털도서관 서비스 품질 지수 산출식을 개발하였다. 고객 설문조사 측정결과, 신뢰도 계수는 0.8 이상으로 응답자의 신뢰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에 의하면 최초 연구모형에서 제시한 4개의 차원(요인)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30개의 측정문항들이 4개의 요인으로 적절하게 적재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넷째, DL-SQI 모형에서 밝혀진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DL-SQI 기대효과 모형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디지털도서관의 전체 서비스 품질이 높아지면 고객만족이 증가하고, 고객만족이 증가하면 고객충성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DL-SQI 기대효과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표본으로 선정된 3개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측정결과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가중평균값을 적용한 3개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측정 결과, 3개 디지털도서관 모두 검색성 요인(1순위)과 디지털장서 요인(2순위)이 가장 높은 서비스 품질 순위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3개 디지털도서관내에서 구성요인별 서비스 품질을 비교 분석해 보면 검색성 요인과 개인화서비스 요인, 고객커뮤니티 요인은 A디지털도서관이 가장 우수하며, 인터페이스 요인, 접근성 요인, 디지털장서 요인, 고객지원서비스 요인은 B디지털도서관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별 디지털도서관의 전체 서비스 품질 지수(DL-SQI)는 A디지털도서관의 경우 74.55점, B디지털도서관의 경우 75.91점, C디지털도서관의 경우 70.20점으로 나타났으며 3개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지수 평균은 73.55로 나타났다.

      • 화물자동차 운수사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종사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황재영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기업들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지속가능경영은 전세계적 주제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분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고, 운수사업분야의 지속가능경영 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여 화물자동차 운수사업의 지속가능경영에서 종사자의 인식이 가지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운수사업분야 종업원 1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의 하위 범주로 경제적 지속가능활동, 사회적 지속가능활동, 환경적 지속가능활동을 설정하고 이 요소들에 대한 지각이 조직구성원의 직무관련태도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속가능경영 활동의 인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는 경제적 지속가능활동과 사회적 지속가능활동은 채택되었으나 환경적 지속가능활동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는 경제적 지속가능 활동만 채택이 되었고 사회적 지속가능 활동과 환경적 지속가능활동 모두 기각되었다. 경제적 지송가능활동에 대한 노력이 높지 않을 경우에 조직구성원들의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지속가능경영은 기업의 발전과 생존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의 긍정적인 직무태도를 확립하는 것에도 매우 중요한 변인이라는 점, 지속가능경영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을 증가시키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조직구성원들의 바람직한 직무관련태도를 확립하기 위해 경제적 측면에서는 창조적인 성장을 추구하여야 하고, 사회적 측면에서는 사회적인 책임활동과 선도적인 윤리경영을 통해 사회적 가치창출에 노력하여야 하며, 환경적 측면에서는 환경윤리를 바탕으로 한 통합된 환경경영의 핵심전략화를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 Interworking Models and Automated Conformance Testing for Internet of Things

        황재영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오늘날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기술은 인공지능, 5G와 함께 다양한 사회적 문제점을 해결하고,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주요 기술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센서, 가전제품, 액추에이터, 자율주행차와 같이 다양한 사물들이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마트 그리드, 교통 관리, 홈오토메이션 및 의료 분야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사물인터넷은 커다란 성장 잠재력을 가진 유망한 기술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으며, 유럽연합을 비롯하여 많은 국가들이 정보통신기술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연구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확장가능하고 안정적인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지금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및 시스템들은 해당 사물인터넷 플랫폼 제조업체의 독자적인 표준에 따른 데이터 모델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Is) 등을 활용하여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다른 플랫폼과는 상호운용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상호운용성이 보장되지 않을 경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또는 플랫폼은 서로 다른 표준에 따라 개발된 시스템과의 연동 또는 데이터에 대한 교환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표준을 지원하기 위해 이미 구축된 시스템을 바꾸는 것은 상당한 비용을 수반하며, 대규모 사물인터넷 기술 도입 지연, 운영 비용 증가 등의 경제적 및 기술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물인터넷 표준 테스팅 측면에서, 동일한 또는 다른 표준에 기반한 독립적인 사물인터넷 시스템들이 상호운용 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적합성 및 상호운용성 테스트가 중요하다. 또한, 다양한 사물인터넷 표준 기반의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및 플랫폼들이 가정, 공장 및 도시에 배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바이스 및 플랫폼들은 사람의 편의성 및 생산성 측면에서 도움을 줌과 동시에 서비스의 오류는 직접적으로 사람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호운용성 및 안정적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디바이스나 플랫폼들은 실제 배치되기 전에 사물인터넷 표준에 대한 적합성 및 상호운용성 테스트 등을 통하여 상호운용성 및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그러나,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표준 적합성 테스팅 방법은 사람의 개입으로 인해 테스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증가 및 일부 테스팅 절차를 직접 수행해 주어야 하므로 테스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내용을 중심으로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상호운용성 및 oneM2M 사물인터넷 표준 적합성 테스팅 수행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기술하였다. 첫째, 상호운용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 가지 상호운용성 모델들을 (Interworking Models, IWMs) 제시하였으며, 각 모델마다의 특징뿐만 아니라 장단점을 기술하여 조건에 맞게 사물인터넷 플랫폼 연계 방안을 선택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질적인 예를 위하여, 현재 사물인터넷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 중인 스마트 시티 분야와 결합하여 해당 모델들의 주요 기술을 설명하였다. 사물인터넷 적합성 테스팅 관련하여 트리거링 (Triggering) 메시지 기반의 자동화된 사물인터넷 표준 테스팅 방법 및 절차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며, 개발된 방법 및 절차를 통해 사람의 개입을 최대한으로 줄여 테스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위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여 현재 사물인터넷 표준의 다양성으로 인한 상호운용성 문제를 해결하여 사물인터넷 시스템들 간의 연동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된 테스팅 절차를 통해 사물인터넷 표준화 기관의 테스팅 및 인증 프로세스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켜 사물인터넷 표준의 빠른 보급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At present,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is considered to be a major technology that will 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5G, and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various objects such as sensors, home appliances, actuators, and self-driving cars are connected that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Internet and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mart grid, home automation, and medical fields. Therefore, the IoT is regarded as one of the promising technologies with great growth potential, and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European Union (EU), are intensively investing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research. Howev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providing a scalable and stable IoT service that must be considered in providing the above services. Most IoT platforms and systems developed so far provide IoT services using the manufacturer's own data models and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PIs), so interoperability with other platforms is not possible. If interoperability is not guaranteed, IoT devices or platforms cannot interoperate or exchange data with systems developed according to different standards. Therefore, changing a system that has already been deployed is costly and also can lead to economic and technical problems such as delays in introducing large-scale IoT technologies and increasing operating costs. With regard to the IoT standard testing, for assuring the interoperability of IoT services, conformance and interoperability testing are highly important to ensure that independent implementation based on the same or different standard are interoperable. In addition, IoT devices or platforms based on various standards and protocols are currently deployed and operated in homes, factories, and cities. While these devices and platforms help in terms of human convenience and productivity, service errors can directly affect human safety. Therefore, in order to support interoperable and stable IoT services, devices or platforms must be tested through conformance and interoperability testing before they are actually deployed. However, the method of manually testing the IoT application standard has problems because some testing procedures must be directly performed by a human. To conclude, it leads to an increase in errors occurring in the testing process as well as total testing time. Focusing on the above problems, this dissertation describes how to solve the problems arising from IoT interoperability and conformance testing based on the oneM2M IoT standard. First, in order to solve the interoperability problem, three Interworking Models (IWMs) are presented, and a guide to select the appropriate IoT platform linking metho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is provided by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model. In addition, for practical examples, the main technologies of the IWMs are described in combination with the smart city field, where IoT technology is currently being actively researched. In addition, research on automated IoT standard testing methods and procedures based on triggering messages is conducted. Through the developed methods and procedures, human intervention can be minimized, which means it reduces errors that can occur in the testing process as well as total testing time. In conclusion, by conducting the above research, it is not only possible to effectively provide interworking between IoT systems by solving interoperability problems due to the diversity of current IoT standards but also realizable to contribute to the rapid propagation of IoT standards 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of the testing and certification process for the testing certification body.

      • 무인항공기의 자율 비행을 위한 EKF-SLAM Simulation 연구

        황재영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무인 쿼드콥터의 비행을 자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EKF-SLAM 알고리즘을 쿼드콥터의 비행 제어에 적용하여 그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그 효용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검증한다. 무인 쿼드콥터의 자율비행을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필요하며 다양한 접근 방법이 있지만 국내에서 쿼드콥터에 적용된 사례가 드문 SLAM을 적용하여 쿼드콥터의 주행 궤적을 추정하는 시스템을 시뮬레이션 했다. SLAM은 칼만 필터, 파티클 필터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 칼만 필터를 기반으로 한 EKF-SLAM을 소개하며 이를 시뮬레이션한다. 시뮬레이션에 앞서 쿼드콥터에 관한 동역학 모델을 소개하고 추력에 따라서 쿼드콥터의 자세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시뮬레이션 한다. 그리고 PD 제어기를 통하여 수평제어와 자세제어를 시뮬레이션하며 자세제어를 통한 쿼드콥터의 비행궤적을 분석한다. 제작된 쿼드콥터 시뮬레이터를 기반으로 EKF-SLAM을 적용하기위한 가상의 랜드마크를 설정하고 이를 관측하기 위한 관측모델과 쿼드콥터의 주행궤적을 예측하기 위한 상태방정식과 자코비안 행렬을 제시한다. 최종적으로 쿼드콥터EKF-SLAM을 시뮬레이션 하며 성능을 검증함으로써 SLAM을 이용한 쿼드콥터의 위치추정기술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한다. In this paper, a method for estimating the location of a quadcopter is proposed by applying an EKF-SLAM algorithm to its flight control, to autonomously control the flight of an unmanned quadcopter. The usefulness of this method is validated through simulations. For autonomously flying the unmanned quadcopter, an algorithm is required to estimate its accurate location, and various approaches exist for this. Among them, SLAM, which has seldom been applied to the quadcopter in domestic researches, was applied in this study to simulate a system that estimates flight trajectories of the quadcopter. SLAM can be implemented by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the Kalman filter and particle filter. In this paper, an extended Kalman filter-based EKF-SLAM is introduced and . Prior to simulation, a dynamic model for the quadcopter is introduced, and simulations a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manner in which the of the quadcopter changes with respect to the thrust. Moreover, the leveling control and posture control are simulated through a PD controller, and the flight trajectories of the quadcopter are analyzed through the posture control. Furthermore, a virtual landmark is established for applying the EKF-SLAM based on a fabricated quadcopter simulator. Moreover, an observation model for observing the landmark is proposed for estimating the flight trajectories of the quadcopter, along with a state equation and a Jacobian matrix. Finally, by simulating the quadcopter EKF-SLAM and validating its performance, potential advancement in the simultaneous location estimation and mapping technology of the quadcopter is presented.

      • BIM모델의 시공단계 활용을 위한 정점데이터 기반 모델분할 방안 연구

        황재영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술은 건설공사 전 생애주기에 활용할 수 있으며 설계 오류 및 간섭 검토, 물량산출 등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초기 설계단계에서 생성된 BIM모델은 후속 단계에서도 활용성을 가지며 일정 정보와 연계 시 시각화를 통한 효율적인 공정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구조물의 개념적인 모델링을 실시하는 설계단계 BIM모델은 작성자에 따라 표현방식 및 객체의 구분 정도에 차이가 있으며 일부 객체의 구분 없이 단일 모델로 생성된다면 시공성을 고려하여 수행되는 시공단계 BIM 기능의 즉시 활용에 제약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시공단계 BIM 기능 적용 시 새로운 BIM모델을 작성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그 과정에서 추가적인 시간과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건설공사 전 단계에 활용도를 갖는 설계단계 BIM모델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이 요구되며 특히, 공정 단위별 객체 구분은 더욱 필요성이 요구된다. 현재 일부 상용 소프트웨어에는 BIM모델의 분할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며 공간의 구분, 물량산출, 단면 검토 등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일정한 간격 또는 개수의 분할로 특정 지점의 분할을 통한 객체별 구분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단계에서 객체별 구분 없이 단일 모델로 작성된 BIM모델의 분할을 위하여 정점 데이터 기반의 객체 분할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BIM모델을 구성하는 기본요소인 정점을 추출하고 군집화 알고리즘 적용 및 분할 면 생성을 통해 객체의 분할을 수행한다. 방법론 적용 시 공정별 분할이 이루어진 3D모델과 분할 객체별로 객체 명이 자동 입력되어 나타나므로, 일정 정보와 연계를 통한 4D 시뮬레이션의 적용이 가능하다. 연구에서는 3가지 사례에 방법론을 적용하여 객체의 분할 후 4D 시스템과 연동하여 활용성을 검증한다. 이로써 설계단계 BIM모델의 시공단계 재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기존 방법을 보완한 효율적인 BIM 기반 공정관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맥을 이미지화한 생명성에 대한 염색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황재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맥을 이미지화한 생명성에 대한 염색표현 연구 A Study of Dyeing Expression about Vitality which Imaging of a Vein 조형디자인학과 황 재 영 지 도 교 수 한 은 혜 생명성은 생명적 욕구에서 비롯되어 생동하는 유기적 움직임의 근원이며 생존 유지를 위한 에너지로, 세상 만물에 존재하여 우주를 움직이며 그 조화 속에 모든 존재는 유기적 관계를 맺고, 모든 자연적 존재 활동은 생명성에 의존하며 생명성은 생명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연구자는 보이지 않지만 엄청난 힘을 가진 생명성과 생명에너지의 가치를 중요하게 여겨 그 생명성을 연구자만의 표현방식으로 나타내고자 하였으며, 비가시적인 생명성의 형을 나타내기 위해 ‘맥’이라는 상징적 대상으로 자연에 내재되어 있던 생명성을 외부로 표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생명의 아름다움과 생명현상을 염색표현으로 제작하여 투명한 중첩의 공간의 장소성을 강조하여 생명을 표현하는 새로운 작업방법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 방법에 있어 대상의 모방이나 재현이 아닌, 연구자의 시각과 촉각, 청각에 중심을 둔 경험을 통해 대상을 변형하고 창조하여 자연의 생명성을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맥’은 생명력을 나타내는 통로이자 생명성을 상징하며 이러한 생명성을 나타내기 위해 하나하나의 평면이 겹침에 의해 발생하는 반복성을 공간에서 확장시켰고, 생명력의 운동성과 증식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새로운 공간의 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설치라는 방식을 선택하여 관객과 작품이 소통하도록 가능성을 열어주었으며, 입체적 공간을 제시하여 작가가 작품을 일방적으로 관람자에게 제시하는 것이 아닌 작품과 관객이 소통하도록 가능성을 열어주고자 하였다. 또한 맥이라는 구체적 대상을 재현이 아닌 연구자만의 추상적 형식으로 나타내고자 알코올 기법에 의한 점묘를 이용해 맥이라는 대상의 해체와 평면화를 의도하였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맥을 이미지화한 생명성에 대한 염색 표현을 본인의 작품세계를 바탕으로 이론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생명성의 실체에 접근하고 탐구해 봄으로써 생명의 가치를 이해하고 작품을 통해 생명성이 지닌 내면의 표현을 조형표현으로 형태를 재구성하고 추상화하여, 자연의 생명성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고자하였으며 이 연구가 생명성을 표현하는 새로운 작업방법의 방향을 제시하기를 바란다. 주요어 : 생명성, 유기체, 맥, 통로, 중첩, 설치

      • 경로기반 가시영역 이론을 활용한 안도 다다오 미술관 시지각적 분석 : 베네세하우스 미술관, 지추 미술관, 이우환 미술관을 중심으로

        황재영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안도 다다오의 미술관 건축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특성들에 대하여 관람자의 시지각적 관점에서 그 물리적·체험적 실체를 확인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나오시마 섬 소재의 베네세하우스 미술관, 지추 미술관, 이우환 미술관을 대상으로 하고, 관람자 관점의 시지각적 공간분석을 위해 경로기반 가시영역 분석기법을 활용하였다. 안도 다다오의 미술관 건축이 공통적으로 지니는 특성들 중 '강제하는 우회', '미로적인 동선', '개방과 폐쇄'를 선정하고, 분석대상 미술관 내에서의 실제 관람객 이동 경로에 대한 경로기반 가시영역 분석을 수행하여, 그 분석결과들이 '강제하는 우회', '미로적인 동선', '개방과 폐쇄'를 각각 설명 가능한지 검토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들을 정성적 연구들과 비교하여 관람자의 시각에서 바라본 미술관 설계를 해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hysical and heuristic substance of the characteristics common to the art museums by Ando Tadao from the perspective of visitors' visual perception.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s the Benesse House Art Museum, Chichu Art Museum, and Lee Ufan Art Museum in Naoshima Island, Japan, and the spatial analysis technique of 'Isovist along path' was used for visual perceptional analysis from visitors' viewpoint. The characteristics of 'Forced detour', 'Mazeous circulation' and 'Open/Closed' were selected among the characteristics common to the art museums by Tadao Ando, ​​and the analyses of 'Isovist along path' were conducted for ​​actual visitors' movement paths within the three museums. The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examined to see if they could explain 'Forced detour', 'Mazeous circulation', and 'Open/Closed' respectively.

      • Characterization and Oxidative Stability of Whey Protein Concentrate Multiple Nanoemulsion as a Delivery System for Fish Oil

        황재영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제조공정요인(초음파처리 공정, 유화제 첨가, CaCl2 농도)이 농축유청단백질(whey protein concentrate, WPC) 다중나노에멀젼(Multiple nanoemulsions, MNEs)의 형성, 물리화학적 특성, 모델 유식품 내 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WPC 농도와 항산화제 첨가가 WPC MNEs 내에 포집된 어유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WPC MNEs의 형성 및 형태학적 특성은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으로 평가하였고, 물리화학적 특성 및 저장 안정성 평가는 입도분석기(particle size analyzer)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WPC MNEs 내 포집된 어유의 산화 안정성은 1차 산화물과 2차 산화물을 각각 peroxide value(PV)와 p-anisidine value(AV) 측정을 통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TEM 측정을 통해 170-200 nm 크기를 가진 구형모양의 WPC MNEs가 성공적으로 제조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WPC MNEs의 제조공정 요인 중 두 단계의 초음파 처리와, 유화제 첨가 및 CaCl2농도 증가에 따라 MNEs의 크기와 다분산지수 값이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또한 제조된 WPC MNEs를 모델 유식품(우유, 요거트, 치즈)에 적용한 결과 14일간의 저장기간 동안 다분산 지수 0.3 이하의 값을 가져 안정성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WPC MNEs 내에 산화안정성이 낮은 어유를 포집 시 WPC 농도가 0에서 2%로 증가함에 따라 WPC MNEs의 크기는 유의적으로(p<0.05) 감소한 반면 항산화제 첨가에 다른 크기는 유의적인(p<0.05)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제조된 WPC MNEs는 다분산 지수 0.3 이하로, 균일한 크기 분포를 지닌 에멀젼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포집되지 않은 어유에 비해 MNEs 내에 포집된 어유는 15일간의 저장 기간 동안 유의적으로(p<0.0001) 낮은 PV와 AV 값을 지녔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PV와 AV가 유의적으로(p<0.0001) 증가하였다. 또한 WPC 농도가 0에서 2%로 증가함에 따라 PV와 AV가 유의적으로(p<0.0001) 감소되었으며, Vit. C와 Vit. E를 동시에 첨가할 경우 유의적으로(p<0.0001) 낮은 PV와 AV 값을 나타내어 WPC농도와 항산화제 첨가가 MNEs내에 포집된 어유의 산화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WPC를 이용하여 MNEs를 성공적으로 제조하였고 제조공정요인인 초음파 처리, 유화제 첨가, CaCl2 농도가 MNEs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제조된 MNEs는 모델 유식품 적용 시 저장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MNEs 내 어유를 포집 시 WPC농도와 항산화제가 포집된 어유의 산화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WPC MNEs는 어유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의 전달체로 이용함으로써 유식품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