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상보적 교수를 통한 자기점검전략 훈련이 특수학급 내 ADHD 초등학생의 읽기 이해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황은정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상보적 교수를 통한 자기점검전략 훈련이 특수학급 내 ADHD 초등학생의 읽기 이해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초등특수교육전공 황은정 지도교수 : 남경욱 ADHD 학생은 행동적 특성과 주의력 결핍으로 인하여 읽기에 어려움이 있어 학 업의 곤란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급 내 ADHD 초등학생에 대한 효과적인 읽기 지도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상보적 교수를 통한 자기점검전략 훈련 이 읽기 이해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3,5,6학년 ADHD 학생으로 NISE-B·ACT 읽기 검사 결 과 학년 규준 1년 이상의 지체를 나타내는 특수교육대상학생 3명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나누어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상보적 교수법과 자기점검전략을 연계하여 읽기 지도를 하였으며, 읽기 이해 검사는 국어과 교과서를 바탕으로 하여 연구자가 수정·제작하였다. 읽기 태도 검사에 활용된 도구는 노승림(2007)에서 사용한 초등학생용 읽기 태도 검사지 (Elementary Reading Attitude Survery)이며 읽기 태도는 기초선 단계 1회기에 1차 검사를 하고, 유지 단계 3회기에 2차 검사를 실시하여 사전-사후검사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 및 연구 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보적 교수를 통한 자기점검전략 훈련이 특수학급 내 ADHD 초등학생의 읽기 이해를 향 상 및 유지시키는 가를 알아본 결과, 대상 학생들은 중재 및 유지 기간에 기초선 기간보다 향상된 읽기 이해력을 나타내었다. 둘째, 상보적 교수를 통한 자기점검전 략 훈련이 특수학급 내 ADHD 초등학생의 읽기 태도에 영향을 알아본 결과 대상 학생 모두 1차 검사 결과보다 2차 검사 결과의 점수가 높게 나왔음을 알 수 있었 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상보적 교수를 통한 자기점검전략 훈련이 특수학급 내 ADHD 초등학생의 읽기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법이 될 수 있 고, 긍정적인 읽기 태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ADHD, 자기점검전략, 상보적 교수, 읽기 이해, 읽기 태도

      • 차량 통신환경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인증 방법론

        황은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With the growth of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technology and increase of users' needs for searching a speedy and safe route, various tools of providing information of transportation are used widely. In this ITS, many equipments are used for collecting information of transportation. Among these various equipments, the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has came into the spotlight recently. Using GPS has some merits. For example, GPS can save cost of investment and maintenance compared with the existing detectors laid under the ground and also can collect more detailed information automatically. In spite of those merits, there is a critical problem which is invasion of privacy. So actually GPS is used only for navigation for the normal vehicles. On the other hand, collecting information of transportation is only available for public vehicles such as taxies or buses. When the subject of collecting information of transportation is limited only public vehicles, there are some weak points. For example, the collected data are intermittent and driving patterns can not be representative of the normal vehicle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vehic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tect privacy in order to revitalize GPS through much more normal vehicles' participations. For the purpose of that, this study introduce the concept of RTID(Random Temporary ID). RTID is the one-time anonymous ID which is used for collecting vehicle's position and speed information instead of using the vehicle's real ID. And also this study proposes authentication scheme to guarantee the secure communication through the wireless networks. This can provide traceability just in case of accident as well. This proposed protocol can solve the problem of privacy and security for vehicular communicational environment. And this can revitalize GPS through providing information of normal vehicles so that cost can be saved and the information of transportation can be more useful.

      • 초현실주의의 프리다 칼로 작품을 응용한 아트메이크업 작품제작

        황은정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프리다 칼로(Frida Kahlo, 1907~1954)의 회화에 나타난 초현실주의의 프리다 칼로 작품을 응용한 작품 제작 연구이다. 프리다 칼로는 기존의 화가들과는 다른 독특한 작품세계와 평범하지 않은 삶으로 주목받은 여성 화가이다. 오늘날 프리다 칼로는 멕시코를 대표하는 여류 화가로서 국내외적으로 자서전과 작품집을 출간하였으며, 프리다 칼로의 삶과 예술을 다룬 전기 영화가 제작 될 정도로 대중적 인지력을 지니고 있다. 프리다 칼로의 작품은 초현실주의적 요소와 페미니즘적 요소를 동시에 지니면서 자신의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작품에 새롭게 반영해내는 독창성을 보여준다. 초현실주의적인 특성이 묻어남과 동시에 자기만의 독창성, 순수성, 자유성을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작품의 40% 이상이 자서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한한 상상력 표현과 초현실주의 사조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각과 사고의 전환을 통하여 프리다 칼로의 작품을 재해석하여 제작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방법은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초현실주의와 아트메이크업의 개념 및 특성을 고찰 하였으며, 프리다 칼로의 작품을 초현실주의의 미학적 특성을 토대로 6가지 작품을 선정하여 아트메이크업으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작품은 초현실주의적 특성의 우연성, 환상성, 상징성으로 분류 후 아트메이크업 작품으로 제작하였다. 작품 제작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진편집 프로그램인 어도비 포토샵을 활용하였고, 자동기술법, 오브제 기법, 데페이즈망, 꼴라쥬, 데칼코마니 기법을 활용하였다. 작품Ⅰ의 ‘’Chaos”는 초현실주의적 특성 중 ‘우연성’에 해당되는 작품으로 고통, 슬픔, 심적 상태를 대조적인 이미지와 우연의 효과로 나타내어 표현하였다. 작품Ⅱ의 “Phantasm”은 초현실주의적 특성 중 ‘우연성’에 해당되는 작품으로 꿈, 무의식의 세계를 형상화하여 몽환적으로 표현하였다. 작품Ⅲ의 “Fantastic”은 초현실주의적 특성 중 ‘환상성’에 해당되는 작품으로 회상, 성욕, 고통, 죽음의 이미지를 환상적인 즉, 비현실적인 이중성을 콜라쥬로 표현하였다. 작품Ⅳ의 “Double”은 초현실주의적 특성 중 ‘환상성’에 해당되는 작품으로심리적, 상징적 요소들을 외적으로 꺼내어 이중적 의미로 표현하였다. 작품Ⅴ의 “In desperation hope”는 초현실주의적 특성 중 ‘상징성’에 해당되는 작품으로 절망 속에서 희망을 상징화하여 표현하였다. 작품Ⅵ의 “Identity”는 초현실주의적 특성 중 ‘상징성’에 해당되는 작품으로 종교적 토착신앙으로 인한 해와 달의 이중적 이미지와 페미니즘적인 여성성을 상징화하여 표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현실주의의 미학적 특성과 프리다 칼로의 작품을 아트메이크업과 연결시켜 창의적인 기법과 조형요소들을 활용하여 완성하였다. 또한 초현실주의와 프리다 칼로의 조형적 특성과 기법을 메이크업에 응용하여 메이크업이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This study is on the production of artwork that applied a Surrealist painter, Frida Kahlo(1907~1954)’s paintings. Frida Kahlo is a female artist who is receiving attention with her unordinary life and unique world of artworks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painters. As a representative female artist of Mexico, Frida Kahlo has published autobiography and collection of works at home and abroad, and has public awareness enough for a film biography of her life and world of art to be published. There is unique characteristic in works by Frida Kahlo of containing surrealistic and feminism elements and her originality, purity, and freedom at the same time, and over 40% of her works are composed into autobiograph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and reproduce Frida Kahlo’s works through new perspective and change of thoughts based on infinite expression of imagination and trend of surrealis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and art makeup based on precedent studies and theoretical background, and selected 6 artworks of Frida Kahlo bas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surrealism to produce them into art makeup. The work was produced into art makeup by classifying into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as contingency, fantasy, and symbolism. Adobe Photoshop, a photo editing program, was used to increase the effect of work production, and used automatism, objet technique, depaysement, collage, and decalcomanie technique. “Chaos” of artwork I corresponds to ‘contingency’ among surrealism characteristics and expressed mental states as pain and sadness into contrasting images through accidental effect. “Phantasm” of artwork II corresponds to ‘contingency’ among surrealism characteristics that embodied and expressed unconscious world into dreamlike images. “Fantastic” of artwork III corresponds to ‘fantasy’ among surrealism characteristics that expressed images of remembrance, sexual desire, pain, and death into fantastical, meaning unrealistic duality through collage. “Double” of artwork IV corresponds to ‘fantasy’ among surrealism characteristics that pulled out psychological and symbolic elements and expressed them into dual meaning. “In desperation hope” of artwork V corresponds to ‘symbolism’ among surrealism characteristics that symbolized and expressed hope within despair. “Identity” of artwork VI corresponds to ‘symbolism’ among surrealism characteristics that symbolized and expressed dual image of sun and moon due to religious indigenous faith and feminine womanhood. This study used creative technique and design elements by connecting aesthetic characteristic of surrealism and Frida Kahlo’s works with art makeup. Also, active research on makeup is being conducted as a type of artwork by applying design characteristics and techniques of surrealism and Frida Kahlo on makeup.

      • 화학 II 교과서에서 이온 결합에 대한 설명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황은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화학Ⅱ 교과서에 서술된 화학결합단원 중 이온결합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여 학생들이 이온결합을 학습하고자 할 때의 어려워 할 수 있는 원인을 정리하고 이온결합에 대한 새로운 설명적 대안을 찾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이 아동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황은정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프로그램 만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을 세분화하여 생활보호, 교육, 문화, 정서, 복지, 특기적성 등에 대한 만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이용자와 지역사회의 욕구에 맞는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 만족이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양천구와 강서구, 광명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현황은 조사대상자가 중ㆍ고등학생보다는 초등학생이 대부분이었으며, 지역아동센터 이용정도는 매일 그리고 하루에 3-4시간, 이용기간은 1-2년 이상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대상자들이 지속적으로 이용하기 보다는 중간에 이용을 중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에서 참여해 본 프로그램 중 좋아하는 프로그램 교육영역의 체육, 문화영역의 방학캠프, 체험학습, 교육영역의 미술 순으로 나타났으며, 싫어하는 프로그램은 교육영역의 숙제지도, 한자교실, 학습지도, 영어교실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대상자들은 일반적으로 지역아동센터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사대상자들이 주관적으로 기록한 희망 프로그램을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의 6가지 영역 즉 생활보호, 교육, 문화, 정서, 복지, 특기적성으로 구분해 보았을 때 특기적성 영역, 교육영역, 문화영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기적성 영역에서는 축구, 수영, 요리 순이었으며, 교육영역에서는 체육, 댄스, 수영 순이었으며, 문화영역에서는 영화관람, 캠프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말 프로그램 참여 여부는 학교 수업이 없는 경우 주말에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 이용 여부는 “아직 모르겠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거의 1/2이나 되었으며, “이용하지 않을 것이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이용할 것이다”보다 13.3%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 만족 수준은 5점 척도의 3.92였으며, 세부적으로 문화측면, 생활보호측면, 특기적성측면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조사대상자의 생활만족 수준은 5점 척도에 총평균이 3.45로 높게 나타났으며, 세부영역에서 친구관계, 부모자녀관계, 학업성취측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지역아동센터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 만족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는 학년, 일일 이용시간과 이용년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조사대상자의 일반특성에 따른 생활만족은 성별, 일주일 이용횟수, 일일 이용시간, 놀토이용여부와 이용년수에서는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년에서는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아홉째, 조사대상자의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프로그램 만족의 세부영역 중 정서측면과 복지측면의 프로그램 만족이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연구 결과에 의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지만 제공하는 프로그램중 참여하는 프로그램에서 좋아하는 프로그램과 싫어하는 프로그램 그리고 경험해 보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나타냄으로 앞으로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 편성과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였던 대상자들이 지속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이용을 중단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냄으로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 만족이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나타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조사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한 대상자가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원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아동센터의 6가지 프로그램 영역을 모두 실행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대상자를 중심으로 욕구조사를 하여 프로그램에 포함시키는 제도가 필요하다. 넷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5학년생들이 지역아동센터를 떠나 어떤 경로를 거처 중학교에 들어가게 되는지 이동 경로를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지역아동센터의 이용자들의 생활만족을 위해서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 중에서 정서측면과 복지측면의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 혜원과 기요나가의 풍속인물화 비교연구 : 작품 속 여인상을 중심으로

        황은정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풍속화 속에는 인간의 모든 생활에 관한 내용과 풍습이 담겨 있다. 때문에 풍속화는 그 당시의 분위기와 삶의 정서, 시대성을 나타내며 인간생활의 솔직한 표현으로 가장 인간적인 기본바탕, 즉 인간애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나라의 풍속화가 가장 성행했던 시기로는 단연 조선 후기를 들 수 있다. 이 시기에는 무역과 상업의 발달로 기존 신분질서가 동요되는 가운데 서민계층은 경제적 부를 쌓고 경제적 주체로 떠오르며 서민 문화와 민중 의식이 성장되었던 시기이다. 우리나라와 이웃한 일본에서도 비슷한 시기에 이러한 공통적 특성이 나타났으며 조선후기에는 풍속화가, 에도시대에는 우키요에가 각각 발전하게 된다. 이 두 장르는 회화와 목판화로 구별되는 차이점을 가졌으나 양국의 서민들과 당시의 사회성을 반영하는 풍속화로써 독특한 미의식을 발전시켰다는 데에서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시기에 활동하였던 뛰어난 작가들 중에는 사회적으로 남성에 비해 주목받지 못했던 여인을 주제로 많은 작품을 남긴 혜원 신윤복과 도리이 기요나가가 있었다. 이들은 여인을 작품의 주 소재로 다루었다는 공통점을 지니며 그 대상 또한 기녀와 유녀 등 화류계 여성이 대부분이었다. 결과적으로 혜원과 기요나가는 여인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 조선후기와 에도시대를 대표하는 여인상과 미의식을 나타내었다. 두 작가에 의해 나타난 작품의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혜원으로 대표되는 조선후기 풍속화는 자연스럽고 유려한 필선을 통하여 여인상의 한국 특유의 소박하고 단아한 미를 나타내주고 있으며, 부감법을 이용한 처리와 등장인물들의 자연스러운 배치를 통하여 인물이 화폭 내에서 조화를 이루는 방식을 구사하였다. 여기에, 배경표현에 있어서는 배경과 인물이 어우러지는 부드럽고 소박한 선을 사용하여 담백하고 은은한 색조를 표현하였고, 인물표현에 있어서는 인물 심리의 묘사로 인물들의 개성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적 서정성이 가미되어 원색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은은한 분위기를 풍기고 있다. 이에 반해, 기요나가로 대표되는 에도시대 우키요에의 특징은 대비적인 효과와 강하고 변화 있는 선묘, 뚜렷하게 구별되는 표현력 있는 선묘의 사용으로 세련미를 구사하였고, 대비 효과와 전면에 인물을 내세우는 구성을 통하여 최대한 인물을 강조하는 감각적인 구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인물을 제외한 배경의 표현에 있어서도 치밀하고 세심한 묘사를 통하여 화면 구성의 치밀함과 완성미를 높였으며, 마지막으로, 화려하고 다채로운 색채의 표현과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적인 면을 부각시켰다. 이처럼 혜원과 기요나가의 풍속화는 두 작가의 예술관과 시대성이 반영된 풍속화이다. 두 작가의 과감한 여인상의 표현은 당대를 고스란히 비추고 있는 또 하나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혜원과 기요나가의 여인표현 비교를 통해 지리적으로 가까이 위치한 두 나라의 사회적, 문화적 차이와 그에 비롯된 여인상의 차이를 이해함으로써 나아가 양국의 미의식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Genre paintings contain contents and customs of all aspects of people’s lives. Therefore,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Genre paintings reflect the atmosphere, emotions of a certain age, and are honest expressions of people’s lives that contain the most basic human background ? humanity. Korean Genre paintings were mostly prevalent in the late Chosun Dynasty. Trade and commercial developments made the existing class order unstable, and the common class accumulated economic wealth and rose as economic a major business class, and this was a time when awareness of common culture developed. Similar characteristics surfaced in our neighboring country, Japan, during this period, and Genre paintings develop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Ukiyo-e developed in the Edo Age. These two genres are different in that one is painting and the other is wood-block print, but they are similar in that they developed a unique sense of beauty as Genre painting that reflected the of common people of both countries at the time. Hyewon Shin Yoon-bok and Torii Kiyonaga, who left many works women subject, who did not receive as much attention as men, as main subjects, are among the great artists who were active at the time. These two artists both dealt with women as their main themes, and most of the women were women of the pleasure quarters, such as official dancing girls or prostitutes. Both Hyewon and Kiyonaga expressed an idea of a woman and aesthetic awareness representative of the late Chosun Dynasty and Edo Age, respec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Hyewon’s works are that a unique Korean beauty of modesty and elegance are expressed through fluent touches, and characters are naturally positioned to create harmony amongst the people in the picture. Hyewon expressed clean colors through soft and modest lines, and her works contain Korean emotions to express a subtle atmosphere. In contrast, the characteristics of Edo Age Ukiyo-e, represented by Kiyonaga, are contrasting effects and clear expressions using lines for sophisticated beauty, and characters are placed in the front part of the screen to stress the characters. Sensual compositions were used, a variety of elaborate colors were expressed, and various shapes stressed a decorative aspect. Hyewon and Kiyonaga’s Genre paintings are both works that reflect the artistic ideas and the age of the two artists. The bold expression of women by both artists can be seen as another reflection of the time.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and differences in concepts about women between two countries geographically close to one another through a comparison of the women expressed by Hyewon and Kiyonaga, and hopes to aid further studies on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aesthetic values of both countries.

      • 연구개발 조직에서의 멘토링 프로그램이 멘토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황은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연구개발 조직에서의 공식적 멘토링 프로그램이 멘토의 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여, 리더십 향상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규명하고 멘토링 효과 촉진을 위한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멘토링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멘토의 리더십에는 차이가 있는가''멘토의 역할별 유형에 따라 리더십 향상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멘토의 리더십 하위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멘토링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이다.이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멘토링 프로그램의 주요 기능 가운데 멘토링 효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심리사회적 지지, 경력개발 가이드, 역할모형 제시를 멘토링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독립변인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멘토의 리더십 측정을 위해 멘토 역량 및 연구개발 리더의 특성과 팀 리더십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연구개발(R&D) 멘토 리더십의 하위변인을 도출하였다. 리더십 하위변인으로는 의사소통 능력, 사고력, 대인관계, 지도력을 측정지표로 하였다. 셋째,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측정을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검증된 설문문항들을 일부 재구성하여 교육공학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은 후 조사도구를 확정하였다. 넷째, 설문은 2008년 5월 A사 멘토링 프로그램의 멘토 1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다섯째, 응답자 114명의 자료에 대해 사전, 사후 t검증 및 입력(enter)방식과 단계(stepwise)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위의 절차를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멘토링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멘토의 리더십 역량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의사소통(t=-4.972, df=113, p<.001), 대인관계(t=-4.531, df=113, p<.001), 사고력(t=-3.506, df=113, p<.001), 지도력(t=-4.315, df=113, p<.001)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멘토의 역할별 유형에 따른 리더십 결과는 현업의 수행업무를 가이드하고 선임자의 역할에 가까운 지도선배와 조직의 중간리더로서 팀을 관리하는 실무리더의 경우 4가지 영역 즉 의사소통, 대인관계, 사고력, 지도력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반면 팀원의 평가권을 갖는 상사의 경우 지도력과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고, 의사소통과 사고력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셋째, 멘토의 리더십 하위변인인 의사소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멘토링 프로그램 요소는 심리사회적 지지(β=.423)와 역할모형 제시(β=.280) 순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사고력에 영향을 미치는 멘토링 프로그램 요소는 심리사회적 지지만이 유효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멘토링 프로그램 요소는 심리사회적 지지(β=.344), 역할모형 제시(β=.276), 경력개발 가이드(β=.264) 순으로 나타나, 멘토링 프로그램의 3가지 요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리더십 하위변인인 지도력에 영향을 미치는 멘토링 프로그램 요소는 역할모형 제시(β=.429), 경력개발가이드(β=.375) 순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멘토링 프로그램은 멘토의 리더십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멘토의 리더십 차이분석은 멘토의 역할 유형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상사에 비해 지도선배, 실무리더 계층이 멘토링을 통해 리더십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멘토의 리더십의 하위변인인 4가지 영역별로 각각 멘토링 프로그램의 주요 요소의 영향력을 분석할 결과 멘토의 의사소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심리사회적 지지와 역할모형 제시로 파악되며, 사고력에 영향을 미치는 멘토링 프로그램 요소는 심리사회적 지지로 파악된다. 그리고 대인관계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멘토링 프로그램 요소는 심리사회적 지지, 경력개발 가이드, 역할모형 제시 모두가 유효한 변인으로 파악되며, 마지막으로 지도력에 영향을 미치는 멘토링 프로그램 요소는 역할모형 제시, 경력개발 가이드로 파악된다. 이를 통해 멘토링 프로그램은 멘토의 리더십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멘토의 역할별 유형에 따라 역량 향상 효과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멘토링 프로그램 요소 가운데 리더십의 하위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함으로써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이 변인들을 고려한 프로그램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다.이 연구는 신규 입사자를 대상으로 한 기업내 공식적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멘토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멘토링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가운데 심리사회적 지지,경력개발 가이드, 역할모형 제시의 기능이 멘토의 리더십 하위변인인 의사소통 능력, 사고력, 대인관계 기술, 지도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으로 신규 입사자를 대상으로 한 멘토링 프로그램 외 리더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적용과 연구개발 조직이 아닌 다양한 직군의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세분화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entoring program influences mentors' leadership in R&D organization as well as to provide a focal point in establishing an apt strategy that can stimulate the effect of the mentoring program through defining leadership improvement factors.Thesis of this study includes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adership qualities before and after the mentoring program?', 'How does leadership improvement vary by different types of mentors' role', 'What are the elements of the mentoring program that influence subordinate factors of the mentors' leadership?'To seek answers for the above questions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process. First, by borrowing ideas from previously conducted study cases, socio-psychological support, career development guide, and provision of role-model were selected as the independent factors of mentoring program as they are the major functions of the mentoring program that are considered to be most influential to leadership improvement. Second, to assess the mentor's leadership, subordinate factors were defined through reviewing previously conducted research on the mentors' competence, nature of R&D mentors and team leadership in an R&D organization. The subordinate factors defined as the assessment index include communication skill, cognition and reasoning, interpersonal skill, and coaching ability. Third, to assess the independent factors and subordinate factors, assessment tools were selected within the questionnaires already validated through previously conducted research, and some rephrased questionnaires were additionally validated by the experts of educational technology for their aptitude. Fourth, survey was conducted by 137 mentors from 'Company-A' on May 2008. Fifth, t-test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in entering and stepwise method were conducted on the data of 114 survey feedbacks before/after the mentoring program.The research outcome via above process was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between leadership quality of before and after the mentoring program showed statistical relevance in communication skill(t=-4.972, p<.001), interpersonal skill(t=-4.531, p<.001), cognition and reasoning(t=-3.506, p<.001), and coaching ability(t=-4.315, p<.001). Second, as for the variance in leaderships by different types of mentors' role, practical on-site mentors in mid-management level who directly guide tasks and have experience in performing the task showed relevance in all 4 areas of communication skill, interpersonal skill, cognition and reasoning, and coaching ability. On the other side, the mentors in high management level who are entitled to employee evaluation showed relevance in coaching ability and interpersonal skill, but not in communication skill, and cognition and reasoning.Third, the elements of the mentoring program that influence mentors' communication skill showed relevance in socio-psychological support(β=.423) and role model(β=.280), and the element that has influence on cognition and reasoning was socio-psychological support only. Also, the mentoring program elements that can influence interpersonal skill showed relevance in socio-psychological support(β=.344), provision of role-model(β=.276), and career development guide(β=.264) indicating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ose 3 areas. Finally, the elements influencing coaching ability which is one of the subordinate factors of leadership are, in the order of relevance, provision and role-model(β=.429), career development guide(β=.375).Based of this research outcom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mentoring program has positive impact on mentors' leadership development. Second, leaderships may vary depending on the mentors' position and role.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positive effect of the mentoring program tends to be greater in practical on-site leader in mid-management level than the leaders in high-management level. Third, as for the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the major elements of the mentoring program in 4 areas, indicates the following. Communication skill has relevance in socio-psychological support and provision of role-model, cognition and reasoning in socio-psychological support of the mentoring program. Also, interpersonal skill has socio-psychological support, career development guide, and provision of role-model as the influential elements, and finally, the study defined provision of role-model and career development guide as the influential elements of the mentoring program that enhance the coaching ability. Although, the level of influence and outcome of mentoring program may vary by the types of leader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mentoring program has overall positive influences in developing leadership of mentors' . The study also implicate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mentoring program, factors that define subordinate factors of leadership must be considered when the mentoring program is designed.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on the individuals enrolled in a company mentoring program designed to foster mentors for the new employees, and includes the analysis on how the 4 elements of the mentoring program - socio-psychological support, career development guide and provision of role-model - influence the subordinate factors of leadership such as communication skill, cognition and reasoning, interpersonal skill, and coaching ability. However, the study shall not be limited to the areas of the mentoring program targeting new employees in R & D organization, but rather extended to various different job categories with more detailed scope.

      • 기업의 연구개발투자 결정요인분석 : 시장구조 및 재무적 요인을 중심으로

        황은정 숙명여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산업별 기업을 바탕으로 시장구조와 기술혁신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독점기업이 경쟁기업보다 기술혁신을 더욱 촉진한다는 슘폐터의 가설이 처음 제기된 후 시장구조와 기술혁신의 관계는 많은 논란이 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kis-value의 2000-2005년의 6개년의 자료를 통해 시장구조와 기술혁신간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증분석의 결과를 통해 다음의 몇 가지 시사점을 얻었다. 재무적 요인들의 영향은 다음과 같다. 연구개발비와 기업 규모는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나타내고 있고, 또한 부채비율과 현금흐름(고정효과모형), 유보율(확률효과모형)이 유의적인 정의 영향이 나타난다. 작은 기업일수록 기술혁신이 중요한 요소이며 연구개발투자가 증가할수록 기업의 내부 자금뿐만 아니라 외부 자금인 부채까지 높아진다는 결과는 지금 시장에서 기업에게 기술혁신이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시장구조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2000-2005년의 연구개발 투자와 시장 집중률, Herfindahl - Hershmann Index (HHI)간의 통한 분석에서는 시장구조가 독점화 될수록 기술혁신이 촉진된다는 단순한 슘폐터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시장이 독점화 될수록 또한 산업의 특징으로 인해, 첨단산업은 비첨단산업보다 연구개발투자가 활발히 일어난다. 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업의 내부 사정뿐만 아니라 시장구조와 산업의 특성의 영향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structure, measured by Herfindahl - Hershmann Index (HHI), and financial factors, and innovation in Korean industry panel datasets for 2000 - 2006. Results show that debt ratio and scale of the firm has a consistent positive effect on the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As more scale of the firm is getting bigger, the investment in R&D decrease. Also, as more debt ratio of firm rise, the investment for innovation increase. Concentration ratio, the HHI and the classification factor of High-tech industry and Low-tech industry has a consistent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Factors affecting the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include market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industry as well as the internal affairs of the firm.

      • 창의성 신장을 위한 현대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

        황은정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창의성 신장을 위한 현대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창의성의 개념을 규명하고 현대시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과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기존에 이루어진 국어교육에서의 창의성 연구 중에서 본고에서 검토할 만한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일반적인 창의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국어과에서의 창의성 개념, 창의성 교육의 구성요소를 제시하고 창의성과 시 교육의 관계를 밝혔다. 이를 통하여 창의성 신장에 기여하는 시 교육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창의성의 신장을 돕는 국어과 교수·학습의 특성을 살펴보고, 기존의 의미 있는 시 교수·학습 모형과 창의성 관련 교수·학습 모형을 검토하여 창의성 신장을 위한 현대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는 원리를 구체화하였다. Ⅳ장에서는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각 단계는 ‘ 계획→도입→전개→정리 단계→평가’의 5단계로 구성하였다. 특히 ‘전개 단계’는 창의적인 활동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문제 발견하기→ 아이디어 준비하기→ 아이디어 생성하기→ 아이디어 나누기’로 나누었다. 다음으로 구안한 모형을 중학교 1학년 교과서 수록 작품인 <처음 안 일>시 수업에 적용하여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Ⅰ장부터 Ⅳ장까지의 연구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하면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다루었다. 나아가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시 수업이 학습자의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매우 유의미한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재확인한 점, 또한 창의성 신장을 위한 현대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가 기반이 되어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다양한 시 수업 연구들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Modern Poetry for Enhancing Crea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s of creativity in the Korean Language and to develop the Teaching-Learning Model and how it can increase student creativity using modern poetry. In Chapter I, I discussed the research purpose and background, and reviewed valuable arguments among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creativity in the Korean Language. In Chapter II, based on the concept of general creativity, I suggested a definition of creativity and components in creativity education. I also found a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teaching poetry. Through this, I confirmed the usefulness of poetry education in contributing to creativity improvement. In Chapter III, I reviewed the Teaching-Learning attributes in the Korean Language enhancing creativity. Specifically, the principle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in enhancing creativity through examining existing valuable research. In Chapter IV, I made the Teaching-Learning model for enhancing creativity. Each phase consists of Plan ? Introduction ? Development ? Wrap up ? Assessment. The Development phase is divided into Problem seeking - idea preparing ? idea generating ? idea sharing. I applied this model to a poetry class of freshman middle school dealing with <처음 안 일>. Through this I suggest a specific Teaching-Learning method for enhancing creativity. Chapter V discusses academic meaning and limitations by summarizing the research from I to IV. I also suggested directions for meaningful research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and provide developments for future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everal ways. This study reconfirmed that poetry class could be an important method for enhancing student creativity. Furthermore, this study created a modern poetry Teaching-Learning model and suggested an application method. Based on this study, I expect to continue a lot of study related to poetry class enhancing creativity.

      • 성별영향평가제도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서울시 자치구 내 성 주류화와 성 평등 의식 수준을 중심으로

        황은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began with the awareness that the level of acceptance among government employees is important for a successful establishment of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its effective enhancement since how accepting the target group is of the system determines whether Gender Impact Assessment will succeed or no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in factors that impact the acceptance level and to draw out tasks to work toward policies to correct or enhance the said factors.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delves into two major research tasks. The first task, based on theoretical discourse, is to contemplate on the concept of Gender Impact Assessment’s acceptance rate and on what the influential factors are. The second is to conduct a positive verification of the extent to which the impacting factors identified in the first task actually influence the acceptance rate of Gender Impact Assessment. As methodology, I made use of an integrated research method that included review of literature and conducting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First, I expanded the research scope to include not only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but also policies, acceptance rates of other systems, and their impact factors in order to add to the discourse on acceptance rates and made sure to broadly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acceptance rates of systems. In this process, I interviewed 19 government employees who had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analyzed the results to excavate the impact factors of the acceptance rate of Gender Impact Assessment. In addition, I was able to comprehend the system’s problems that the government employees were able to perceive from an insider’s point of view. Then, I conducted a survey with government employee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between 2006 and 2017.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when I measured the acceptance rate of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with a five point standard and the results showed an average of 3.48, it revealed that they had a comparatively positiv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Gender Impact Assessment. When I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results based on the respondents’ background, women’s acceptance rate was higher than that of men’s and this seems to be because women have sensed socio-cultural discrimin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women had a comparatively more negative perception with regards to issues highly related to the actual operation of Gender Impact Assessment such as the rationality behind the operation of the system, the level of gender mainstreaming within the organization, leadership, and executive capacity. This can be interpreted as women being more sympathetic of the purpose and need for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more ready to accept the system. However, they feel that the system does not live up to their expectation of support or attention in operating the system, forming a consensus, and reducing gender based discrimin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with regards to those who have experience working at women’s division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ystem, of the level of gender mainstreaming within an organization, consciousness of gender egalitarianism, gender sensitivity than those who have no work experience in these divisions. However, when it came to not only the rationality behind the actual operation of the system, leadership, the adequacy of the use of results but also the acceptance rate of the system, people with experience perceived it with a more negative view than did those without experience. With these results in mind, it is possible to expect that work experience at women related divisions, which are responsible for operating Gender Impact Assessment within the local government, can help improve government employees’ consciousness of gender egalitarianism and gender sensitivity.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system, professionalism of the labor, attention and support form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cooperation between divisions, etc, the results show that the reality that government employees at divisions responsible for operating the system face is not very hospitable.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government employees who have worked as both the administrator or the task manager regardless of the division ha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ystem, gender egalitarianism, and gender sensitivity than those who fulfilled only one role. But when it came to the acceptance of the system, rationality behind the operation of the system, leadership, executive capacity, and other variables, government employees that have only been task managers had a more positive perception than those of the other two groups. Fourth, when I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system in government employees by age group, the older they were, the higher up the hierarchy they were, the longer the hours they worked, the more positively they tended to view the factor of system∙organization. However, when it came to personal factors like gender equality and gender sensitivity, they revealed to have the comparatively the lowest level of awareness.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ese results as representation of the older generation as part of the patriarchal society and culture. It is also possible to read this age group as those who have felt the strongest the changes of gender mainstreaming within organizations such as women’s advancement to high-ranking posts and maternity leave. Next, when I verified the results of the impact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had on the acceptance through a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I found there to be four kinds of variables: validity of the assessment index, gender egalitarianism, system related roles, and experience working with gender sensitivity policies. Of these, the variable that had the greatest impact on acceptance was validity of the assessment index. Then, it was system-related roles, gender egalitarianism, and the rationality behind the operation of the system, in this order.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what the main factors are that we need to focus our efforts on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operating it. This result was already made evident through Gender -mpact-Assessment-related research and the in-depth interviews I conducted with government employees. But from this I was able to determine that using evaluation indices that serves as the standard for evaluation and is validly set up so that most government employees can agree with is the first step to operating the system. And now, in accordance to the results that showed that the higher an individual’s awareness of gender egalitarianism, the higher his or her acceptance of Gender Impact Assessment, I was able to note that it is important for government officials, the subjects for evaluation, actively supported gender egalitarianism in order to rais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This result matches the way various other previous Gender-Impact-Assessment-related researches highlighted the absence of gender sensitivity in government employees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it. The third research inserted variables that were expected to influence the acceptance of the system as the control variable in addition to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midst of these experi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ole that government employees played when they participated in Gender Impact Assessment. In other words, those who have only experienced working as either administrator or task manager have a higher acceptance rate than those who have experience working as both. Fourt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re experience an individual had with policies related to gender sensitivity, the higher the acceptance of the system. What I mean by experience with gender sensitivity related policies is that there is an understanding of what gender sensitivity policies are and that there is an individual’s voluntary will to a certain extent. Thus, while there are some government employees that voluntarily take part in the training for personal needs, the reality is that most government employees are forced to take the training as a part of other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each organization. So, there is a need to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to get exposure to gender sensitivity related knowledges and to widen the scope of experience through means other than passive, mandatory training.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ceptance of the system was altered in accordance to the gender egalitarian mind that the individual government employee has and the experience evaluating the system the employee has such as writing analytic evaluation on gender sensitivity. These results mean that if the government employee participating in the system has a high sense of gender egalitarianism and gender sensitivity and even has an abundance of experience in writing analytic evaluations, then the two factors create a synergy effect and have a more positive impact on the acceptance of the system. However, if an individual merely continues to write analytic evaluations as a formality with a low sense of gender egalitarianism or if he of she lacks gender sensitivity in relation to the policy, this may lead to a repulsion toward accepting the system and a negative perception of it. 본 연구는 성별영향평가제도의 성공여부는 대상 집단이 얼마나 정책이나 제도를 받아들이는가가 중요하므로 성별영향평가제도의 성공적인 정착 및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그 대상 집단인 공무원들의 제도 수용도가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어떤 요인들이 수용도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그에 따른 정책적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설정한 연구문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이론적 논의를 통하여 성별영향평가제도에 대한 수용도에 대한 개념과 성별영향평가제도 운영과정에서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고찰한다. 둘째, 이론적으로 파악된 영향요인들이 실제로 성별영향평가 제도 수용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설문조사, 그리고 심층면접 등을 병행한 통합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먼저 성별영향평가뿐만 아니라 정책 및 여타 제도의 수용도 및 영향요인 연구까지 범위를 확대하여 수용도에 대한 논의를 풍부하게 하는 것은 물론, 제도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폭넓게 탐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성별영향평가에 직접 참여한 경험이 있는 공무원 1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그 결과분석을 통해 성별영향평가제도 수용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발굴하였다. 또한 제도에 직접 참여했던 공무원들이 내부자적 관점에서 인식하고 있는 제도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2006년부터 2017년 사이에 성별영향평가 사업에 참여한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성별영향평가제도 수용도에 대한 서울시 자치구 공무원들의 인식을 5점 척도를 측정한 결과 평균 3.48로 나와 성별영향평가제도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배경에 따른 수용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의 수용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는데 이러한 현상은 여성이 남성보다 조직 내에서 그리고 사회문화적으로 차별을 느껴왔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실제 성별영향평가제도 운영과 관련성이 높은 제도운영의 합리성, 조직 내 성 주류화 수준, 리더십, 집행능력에 대해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여성들의 경우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별영향평가제도의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제도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지만, 실제 제도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기관의 지원이나 관심, 제도에 대한 공감대 형성, 조직 내 여성 차별문제의 해소 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여성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로 여성부서 근무 경험자의 경우 제도에 대한 이해, 조직 내 성 주류화 수준, 성 평등 의식, 성인지력에 대해서는 근무 경험이 없는 사람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제도 운영과 관련된 제도운영의 합리성, 리더십, 결과활용의 적절성뿐만 아니라 제도 수용도에 대해서는 근무경험이 없는 사람보다 근무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들로 미루어볼 때 지자체에서 성별영향평가를 운영하는 전담부서인 여성 관련부서 근무경험은 제도에 대한 이해 및 공무원의 성 평등 의식과 성인지력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제도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인력의 전문성 및 충분성, 기관장의 관심과 지원, 부서 간 협조 등 전담부서 공무원이 경험하게 되는 현실은 그리 녹록치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로 부서에 상관없이 관리자와 과제담당자 역할을 모두 수행해 본 공무원의 경우 제도에 대한 이해, 성 평등 의식, 성인지력이 관리자 혹은 과제담당자와 같이 어느 한 가지 역할만 수행해 본 공무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도 수용도, 제도운영의 합리성, 결과활용의 적절성, 리더십, 집행능력 등의 나머지 변수에 대해서는 과제담당자 역할만 수행해본 공무원이 나머지 두 집단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로 연령별로 공무원들의 제도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제도·조직 요인의 경우 연령이 많을수록, 직급이 높을수록, 근무기간이 길수록 긍정적인 인식도를 나타내었으나, 개인 요인인 성평등 의식과 성인지력에서는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인식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가부장적인 사회문화에 길들여진 기성세대의 모습을 대변하는 것이라고 해석해볼 수 있으며, 실제로 여성의 고위직 진출, 육아휴직의 증가 등 조직 내 성 주류화 확산과 같은 변화를 가장 크게 체감하고 있는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독립변수들이 제도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검증한 결과,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평가지표의 타당성’,‘성 평등 의식’,‘제도 관련 역할’,‘성인지 정책 관련 경험’의 4가지로 조사되었다. 이중 수용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평가지표의 타당성’이며, 그 다음은 ‘제도 관련 역할’, ‘성 평등 의식’, ‘제도 운영의 합리성’, ‘성인지 정책 관련 경험’등의 순이었다. 이를 통하여 성별영향평가제도를 도입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에 이루어진 성별영향평가 관련 연구와 공무원과의 심층면접에서 이미 밝혀진 바 있는데, 제도운영에 있어 평가의 기준으로 작용하는 평가지표를 대다수 공무원들이 수긍할 수 있도록 타당성 있게 설정하고 활용하는 것이 제도운영의 출발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개인의 성 평등 의식이 높을수록 성별영향평가제도 수용도가 높게 나타나,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 평가주체인 공무원들이 성 평등 가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태도인 성 평등 의식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그동안 성별영향평가와 관련한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공무원의 성인지 관점 부재와 이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 것과 일치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셋째로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 외에 제도 수용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수들을 통제변수로 투입하였는데, 그중에 성별영향평가 참여시 어떠한 역할을 수행했는가에 따라 제도 수용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리자와 과제담당자 경험이 모두 있는 공무원에 비해 관리자와 과제담당자 중 한 가지 역할만 수행해본 공무원의 제도 수용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지 정책 관련 경험이 많으면 많을수록 제도 수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기서 성인지 정책 관련 경험이란 성인지 정책에 대한 이해 및 개인의 자발적 의지가 어느 정도 포함된 개념이다. 즉, 교육 참여의 경우 개인의 필요에 따라 자발적으로 교육에 참여하는 공무원도 있지만, 대부분의 공무원들은 기관별로 여러 교육기회를 통해 관련 교육에 의무적으로 참여할 것을 요구받는 현실이기 때문에 수동적이고 의무적인 교육 참여 외에 성인지 정책 관련 지식에 대한 노출이나 경험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다양한 기회들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공무원 개인이 가지고 있는 성 평등의식이나 성인지력이 평가보고서 작성횟수와 같은 평가 수행경험에 따라 제도 수용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제도에 참여하는 공무원의 성 평등 의식과 성인지력이 높고 여기에 분석평가서 작성 경험까지 풍부해지면, 두 요인 간의 시너지효과로 제도 수용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성 평등 의식이 낮거나 정책에 대해 성인지 관점을 가지지 못한 상태에서 형식적으로 분석평가서 작성만 반복하게 될 경우 이는 오히려 성별영향평가제도에 대한 거부감이나 제도 수용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가지게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