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활성탄소섬유 흡착제 제조 연구

        황수현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Carbon dioxide is a substance that causes global warming as well as deterioration of indoor air quality. There are many efforts to collect the carbon dioxide from the industrial flue gases. However, it is not simple to control the carbon dioxide dispersed in public indoor spaces due to various limited factors such as low level distribution, installation space, health and safety. Dry capture processes including adsorption have potentially been known to be plausible. In particular, adsorption using solid adsorbents of zeolites or activated carbons operates with less running energy and simple handling. Amongst a number of conventional adsorbents, carbonaceous materials are quite beneficial owing to their large surface area with well developed pore channels. Activated carbon fiber is one of promising adsorbents for high quality air control. Especially it comprises of uniform pores, extremely large surface area and pore volume. Thus, it can be utilized in dry gas adsorption by itself or with surface modification. Activated carbon fiber is manufactured from phenol, rayon, pitch, and polyacrylonitrile(PAN) etc. Out of these starting precursors, PAN has a high nitrogen content than the others. The nitrogen species in PAN may be restructured into alkali functionalities favorable for acid CO2.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more active sites with nitrogen functionalities including amine compounds on the ACF surface. It could be accomplished through several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 after preparation of ACF in a lab-scale. The chemical activation process was fulfilled with potassium hydroxide, 1M~5M concentration at 30~80℃ in aqueous solution. Such a pretreament enhanced the following thermal activation up to 800℃. In addition, ammonia was supplied in oder to aminate the ACF surface in a high temperature furnace. Those reformation of ACF structure enabled to enlarge the specific surface area, pore volume and more formation of micropores as well as chemical affinity for CO2 molecules. X -ray photoelectron spectrometer showed the increase of nitrogen functionalities such as imine, pyrrole, pyridine and other basic nitrogen compounds. Specific surface area and pore volume varied depending on the treatment as : 267 ~ 1227 m2/g and 0.112 ~ 0.483 cm3/g. In particular, micro pores, which have been known to be favourable for CO2 capture, were increased from 0.101 cm3/g for fresh ACF to 0.459 cm3/g for the after-treatment. The adsorption capacity of ACF was 3.59 mmol/g for pure CO2 flow(100%), and showed 0.03 ~ 0.05 mmol/g for low concentration(3000 ppm) which was frequently found in public indoor spaces. The chemical active sites on the ACF surface enhanced the selective capture of CO2 indicating 0.4 mmol/g, and selectivity was improved from 1 to 4.66 for low CO2. concentration. 이산화탄소는 육불화황, 아산화질소와 더불어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물질 중에 하나로써, 지구온난화의 기여도가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배출원은 발전소, 시멘트, 철강 공장 등이 있으며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이산화탄소는 실내공기질의 지표물질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실내의 이산화탄소는 실외에 비해 최고 10배 이상의 농도를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이산화탄소를 저감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기술 중에서 에너지 소비가 적고 저감효율이 우수한 흡착공정은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일반적인 흡착 공정에 사용되는 흡착제는 제올라이트, 건식아민, 활성탄, 활성탄소섬유가 있다. 활성탄은 세공이 잘 발달되어 있고 흡착공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활성탄소섬유는 기계적 및 열적 안정성, 균일한 세공분포, 높은 비표면적과 세공부피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활성탄에 비해 이산화탄소 흡착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활성탄소섬유는 phenol, rayon, pitch, polyacrylonitrile (PAN)으로 제조되며 전구물질에 따라 세공의 크기 및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PAN의 경우에는 다른전구물질보다 높은 질소함량을 가지고 있어 이산화탄소 포집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활성탄소섬유의 제조는 물리적 활성화와 화학적 활성화가 있으며, 화학적 활성화는 물리적 활성화보다 낮은 온도에서 수행되고 공정이 간단하며 높은 비표면적과 세공부피를 얻을 수 있다. 화학적 활성화에 사용되는 활성화제는 H3PO4, ZnCl2, KOH, NaOH 등이 있으며, KOH는 반응이 시작되는 온도가 낮아 비표면적과 세공을 잘 발달시킨다. 따라서 활성탄소섬유의 제조는 1 ~ 5M의 KOH 수용액에 PAN 섬유를 30 ~ 80 ℃의 온도에서 함침시킨 후, 700 ~ 900 ℃의 온도에서 활성화하였다. 활성화 후에는 뜨거운 증류수로 pH 7까지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제조한 활성탄소섬유는 비표면적측정기를 사용하여 비표면적 및 세공부피, 세공의 분포를 측정하였고, X선 광전자 분광분석기를 사용하여 표면관능기를 측정하여 관능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원소분석을 통하여 시료의 질소, 수소, 탄소의 함량변화를 관찰하고 화학적 구조를 고찰하였다. 열중량분석기를 사용하여 화학적 구조변화가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켰는지를 확인하였다. 이산화탄소 흡착량은 고농도의 순수 이산화탄소와 저농도의 3000 ppm 이산화탄소 농도에서 측정하여 산출하였다. 제조한 활성탄소섬유의 비표면적과 세공부피는 제조되는 조건에 따라 266 ~ 1227 m2/g, 0.112 ~ 0.483 cm3/g으로 측정되었으며, 질소관능기의 양은 3 ~ 6배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차이는 이산화탄소 흡착량의 차이로 이어졌으며 이산화탄소 흡착량은 고농도에서 1.75 ~ 3.59 mmol/g, 저농도에서 0.03 ~ 0.05 mmol/g 으로 측정되었다. 고농도 이산화탄소 흡착에는 함침온도 80 ℃, 활성화온도 800 ℃, 4M KOH로 제조한 활성탄소섬유가 흡착량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저농도 이산화탄소 흡착에는 함침온도 80℃, 활성화온도 700℃, 4M KOH로 제조한 활성탄소섬유가 흡착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함침온도가 높아질수록 섬유내부로의 함침이 잘 일어나며, 활성화온도가 올라갈수록 KOH와 섬유간의 반응이 촉진되었다. 또한 KOH의 농도의 증가는 KOH와 섬유 간의 반응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인자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조건에 따라 제조한 활성탄소섬유는 비표면적, 세공부피 그리고 표면에 존재하는 질소관능기의 차이가 발생하며, 온도의 상승은 비표면적과 세공부피를 증가시키지만 탈질화를 일으켜 질소관능기의 양은 줄어들었다. 다른 조건으로 제조한 활성탄소섬유로 이산화탄소 흡착 실험을 한 결과, 이산화탄소의 흡착은 고농도일 경우, 비표면적과 세공의 부피에 영향을 받았다. 이산화탄소 선택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조한 활성탄소섬유를 아민화하여 비교하였다. 아민화한 활성탄소섬유는 저농도 이산화탄소의 흡착량이 0.4 mmol/g으로 증가하였으며, 선택도의 경우에는 4.66으로 다른 시료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저농도 이산화탄소의 흡착은 활성탄소섬유 표면의 루이스 염인 질소관능기의 증가로 인해 흡착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Inhibition of the nitrosamines in-situ formation in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by nitrite scavenger during HS-GC-MS analysis

        황수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N-nitrosodimethylamine (NDMA)를 포함한 N-nitrosamines (NAs)는 인체 내에서 발암 유발 가능 물질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국제 암 연구기관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은 발암 위험성에 따라 1~4급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발암 유발성이 있는 NAs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지침은 각 NAs의 허용 섭취량 (ng/day)에 각 약물의 최대 1일 용량 (mg/day)를 나누어 준 값으로 계산하여 적용하고 있다. 관리 지침에 따르면 의약품에 존재하는 NAs의 허용 한도 값은 매우 극미량이기에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높은 감도의 분석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의약품에 존재하는 미량의 NAs의 관리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LC-MS/MS 및 GC-MS를 활용한 다양한 분석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 중 기존에 제시한 GC-MS를 적용하여 metformin, nizatidine을 분석할 경우 분석과정에서 가해지는 고온으로 NDMA가 in-situ 형성되어 기존에 존재하는 NDMA의 함량보다 과대평가되는 현상이 있었다. 이는, 분석과정에서 가해지는 고온으로 의약품에 존재하는 아질산염이 dimethylamine (DMA)과 반응하여 인공적으로 NDMA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NDMA의 정량분석 결과가 과대평가되거나 재현성을 낮출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PI에 nitrite scavenger를 추가하여 GC-MS 분석 과정에서 in-situ 형성되는 NDMA를 억제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Nitrite scavenger로는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 caffeic acid, cysteine의 3가지 nitration inhibitors를 선택하여 의약품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Headspace GC-MS 기기 조건은 incubation 온도, incubation 시간, 시료 양을 비교하여 9 NAs를 동시 분석하기에 가장 적합한 최적의 조건으로 확립하였다. 분석법의 타당성은 ICH Q2 (R1)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 (직선성, 정확성, 정밀성, 매트릭스 효과, 완건성, 시스템 적합성)에 따라 검증되었다. 이후 NAs가 검출되는 의약품에 선정한 3가지의 scavenger를 각각 스파이크하여 artificial formation NAs의 억제효율을 비교하여 최적의 억제효율을 보이는 scavenger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개발된 분석법은 다양한 API 및 의약품에서 NAs의 스크리닝과 HS-GC/MS 분석 시 in-situ formation nitrosation의 억제로 NDMA의 정확한 정량 분석을 하는데 유용한 분석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N-nitrosamines (NAs) are classified as 1 to 4 by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and A to E by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according to their degree of risk. Not all NAs are known to be carcinogenic, but most of them are managed as probably carcinogenic to humans. The management guidance for individual NAs is calculated by applying each NA's acceptable intake (ng/day)/each drug's maximum daily dose (mg/day). Based on these control guidance, acceptable limits of NAs present in pharmaceuticals are very small amount, requiring high sensitivity. Recently, various analysis methods using LC-MS/MS and GC-MS analysi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manage trace amounts of N-nitrosamine present in pharmaceuticals. However, we observed the artefactual formation of a huge amount of NDMA in situ reaction with high temperature applied during HS-GC-MS analysis for metformin, nizatidine, and ranitidine. The nitrite-derived species present in pharmaceuticals react with dimethylamine (DMA) to potentially form artificial NDMA. This can lead to overestimation NDMA quantification results and low reproducibility. To prevent the artificial formation of NDMA during high-temperature GC-MS analysis, we developed a method by adding a nitrite scavenger capable of removing nitrites and nitrates to the API or drug products. Ascorbic acid, caffeic acid, and cysteine, which are representative antioxidants, were applied as three nitration inhibitors to prevent artificial formation of NAs. Headspace GC-MS conditions were optimized by testing incubation temperature, incubation time, sample volume to establish the most suitable optimal conditions for simultaneous analysis of 9 NAs. The method validation was verified according to the ICH Q2 (R1) validation guidelines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matrix effect, robustness, system suitability). The three selected scavengers were spiked into drug to compare the control efficiency of artificial formation NAs and selected the scavenger which the highest inhibition effici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established HS-GC-MS method will help screening of NAs in various APIs and pharmaceuticals. It also expected to be useful analytical method for accurate quantification of NDMA by reducing in-situ formation nitrosation during HS-GC/MS analysis.

      • 예술고등학교 사진교육 발전방안 연구 : 안양예술고등학교 사진영상과를 중심으로

        황수현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Photography Education Development Plan of Arts High School - Focusing on Anyang Arts High School Photographic Image Major - Hwang Su Hyun Major in Commercial Imaging Department of Digital Image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Art SangMyung University Art has an important function to develop the standard of living by forming a modern society.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has been promoted because promotion of cultural exchange and the high expectation of art became a global trend. Therefor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arts high schools have been increased naturally. However, unlike the educational goals of art high schools that are to train professionals and artists at an early stage through professional education, art high schools now became training centers for the education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Under the category of art, Photography education has the same educational goals as other arts and its importance has been increased since photography became a form of communication. Moreover, photography is used as the basis of visual media, so art high schools that contains Photography curriculum must be present and grow further. Not limited to college curriculum, Photography education has been enlarged to high school curriculum. Therefore, Photography education has to reset a goal from the career center to the artist training course through professionally specialized education. This research paper is focusing on the art high schools that need to carry out professional photography education from various education facilities such as vocational high schools, academic high schools and art high schools. Photography education in high school in Korea is started from Anyang Arts High School on October 6th,1990andstilltheonlyhighschoolinKorea.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and career path of the current students and alumni are analyzed by questionnaires, and talent production rate, the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course and the field training analysis of college preparers and alumni are arranged. In conclusio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we introduced abou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strategy of the Anyang Arts High School Photographic Image Major. This research paper presents the extended development program of photographic image and photography education for the Photographic Image major alumni of Anyang Arts High School and the photography education in general. 예술은 현대사회를 형성하고 생활 수준을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문화교류가 활발해졌고 예술에 대한 관심과 높은 수준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예술 교육의 중요성과 변화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술고등학교의 가치와 중요성이 강조되었지만 조기에 특성화 교육을 통해 예술가와 전문가를 육성한다는 교육 목표와는 다르게 대학 입시 중심의 교육에 서 있다. 사진교육 또한 예술의 울타리 안에서 같은 교육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각종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진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고 이 때문에 사진교육의 필요성은 현 예술교육에 깊숙이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영상의 기초로써 사진과 뿐만 아니라 기타계열 기타전공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기에 사진교육이 이뤄지고 있는 예술고등학교는 당연히 존재하여야 하며 더욱이 발전되어야 한다. 대학교육은 물론이거니와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사진교육이 확대된 지금 진로중심 사진교육이 아닌 특성화 교육을 통한 예술가 양성이라는 목표를 표출할 때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계, 일반계, 예술계 다양한 분야의 사진교육 중 예술로써 사진교육이 전문적으로 시행 되어야 할 예술고등학교 사진교육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국내 예술고등학교 사진교육은 1990년 10월 6일 안양예술고등학교에 사진과가 개설되면서 시작되었고 현재까지도 유일하다. 분석내용은 재학생, 졸업생의 진로방향,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지 통계 분석하였으며,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과 졸업생의 취업현황 등 사진전공 학생들의 인력배출 정도와 교육과정 및 교과내용, 현장실습 현황 등의 자료를 정리,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안양예술고등학교 사진영상과의 발전방안의 방향에 대해 다루었다. 사진영상과 사진교육에 대한 확장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안양예술고등학교 사진영상 과에서 예술적, 전문적 사진교육을 받은 많은 학생과 기타계열 기타전공과의 사진교육에 원활하고 빠른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게 연구하였다.

      •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부금 및 법인세에 미치는 영향

        황수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이 기업의 기부금 및 법인세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한다. 본 연구의 표본으로서 우리나라의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한 2011년에서 2016년 기간에 걸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대용치인 경실련의 경제정의지수(KEJI Index)를 이용하였다. 경실련 좋은기업상에 정량평가 상위 200개 기업에 포함되지 않은 기업은 분석에서 제외하였으며 449개의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기업의 기부금 및 법인세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정의지수(KEJI Index) 순위에 따라 10개의 그룹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일부 그룹에서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부금 및 법인세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정의지수(KEJI Index)의 6개의 평가 항목 중 기부금과 조세납부가 포함된 사회공헌도 항목을 제거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기업의 기부금 및 법인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부금 및 조세납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경제정의지수가 높은 기업이라 할지라도 상대적으로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기부금 및 조세납부 수준이 높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ctivities on corporate donations and corporate tax. The sample of this study is Korea Economic Justice Institute(KEJI) Index of CCEJ(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as a proxy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from 2011 to 2016 for listed companies in Korean stock market. Companie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top 200 companies by CCEJ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and 449 sampl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do not affect corporate donations and corporation tax. Second, after 10 groups were analyzed according to KEJI Index rankings, it found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corporation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donations and corporate tax only in a few groups. Third,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did not affect corporate donations and corporation tax as a result of eliminating the social contribution items including donations and tax payments among 6 evaluation items of KEJI Index.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do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donations and tax payments, and the levels of donations and tax payments in companies with relatively higher KEJI Index may not be higher than those in companies with lower KEJI Index.

      • 역사 발생적 원리를 적용한 교수·학습이 미분계수의 이해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황수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적분에서 많은 학생들이 수학적 오류 및 오개념을 지니고 있는 단원 중의 하나가 미분계수이다. 선행연구들을 통해 이러한 수학적 오류 및 오개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역사 발생적 원리가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 발생적 원리를 적용한 교수·학습이 미분계수의 이해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서가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미분계수에 대한 이해 내용 요소를 7가지로 분류하였다. 내용 요소를 반영한 문항으로 사전 검사지와 사후 검사지를 구성하고, 사전 검사 결과에서 세 학생 모두 이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3개의 내용 요소를 선정하여 역사 발생적 원리를 적용한 교수·학습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교수·학습 후 사후 검사를 통해 학생들의 미분계수의 이해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수업에 반영하였던 요소인 미분계수의 개념과 대수 표현의 이해, 미분계수의 응용과 기하 표현의 이해, 미분계수의 응용과 대수 표현의 이해가 모두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미분계수의 이해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실험 구성을 마련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귀납적 성경연구가 청소년들의 학습동기 및 교육만족도와 영적성장에 미치는 영향

        황수현 총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귀납적 성경연구가 청소년들의 학습동기 및 교육만족도와 영적성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귀납적 성경 연구’가 청소년들의 학습동기 및 교육만족도와 영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자기 정체성을 알지 못해 방황하는 청소년들의 다양한 필요를 채우는 문화 사역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으로 하나님의 분명한 말씀을 알려주는 것이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싶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귀납적 성경 연구 방법으로 ‘소그룹 성경 연구 모임’을 하는 청소년과 일반적인 공과 교육을 받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습 동기 및 교육만족도, 영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귀납적 성경 연구가 청소년들의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귀납적 성경 연구가 청소년들의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귀납적 성경 연구가 청소년들의 영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한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4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귀납적 성경연구로 모임을 갖는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와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두 집단간의 학습동기와 교육만족도 및 영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척도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및 일원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영적성장과 신앙 연수, 부모종교, 성경읽기, 가족과 성경 나눔 등의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내적신앙동기와 종교적 만족감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생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인터뷰를 통한 면대면 설문조사방식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귀납적 성경연구는 청소년들의 학습 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귀납적 성경연구는 청소년의 교육만족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귀납적 성경연구는 청소년의 영적 성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하위 요소인 ‘내적 신앙 동기’와 ‘종교적 만족도’의 두 영역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귀납적 성경연구 방법으로 소그룹 성경연구 모임을 가짐으로 청소년들이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비록 이 성경연구 모임이 연구를 검증하기 위해 시작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사전검사를 하지 못해 연구에 제한점이 있기는 하였으나 청소년들의 학습 동기와 교육 만족도 및 영적 성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분명히 살펴볼 수 있었다. 이 논문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찾지 못하고 방황하는 청소년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가까이하고 연구함으로 무너진 개인과 교회 공동체를 다시 회복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청소년이 아닌 청장년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계속되어지기를 기도한다.

      • 방과후학교 오케스트라 활동이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및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황수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후학교 오케스트라 활동이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방과후학교 오케스트라 교육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중학교 두 곳에서 방과후학교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학생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지와 개별 면담을 통해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정체감 수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일반적 특성, 학교생활만족도, 자아정체감의 세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58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배포한 설문지 가운데 응답이 불성실한 18부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는 254부를 사용하였다. 개별 면담은 서울 A학교와 경기 B학교 각 5명씩, 총 1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면담 질문은 음악에 대한 태도, 생활의 변화, 음악적 향상, 활동 지속 여부와 동기의 네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학생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을 비교한 결과,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학생이 학교생활만족도 전체(t=5.335,p<.01) 및 모든 하위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방과후학교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학생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의 자아정체감 수준을 비교한 결과,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학생이 자아정체감 전체(t=4.808,p<.01)와 주체성, 자기수용성, 목표지향성, 친밀성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학교생활 만족도와 자아정체감은 하위요소들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방과후학교 참여 학생 10명을 개별 면담한 결과 ‘음악에 대한 태도 변화’에 대해 음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는 응답과 전공을 희망하게 되었다는 응답을 보였으며, ‘생활의 변화’에 대해 스트레스 해소, 교우 관계의 긍정적 변화, 생활 태도의 긍정적 변화가 생겼다는 응답을 보였다. ‘음악적 향상’에 대해서는 박자감과 리듬감, 독보 능력과 초견 능력, 청음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답했으며, ‘활동 지속 여부와 동기’에 대한 물음에는 면담 참여 학생 모두 앞으로도 계속 참여할 것이라고 응답하였고, 그 이유로 취미생활 지속, 악기에 대한 즐거움, 전공 희망, 합주의 즐거움 등을 들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방과후학교 오케스트라 활동은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정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활동으로서 적극 권장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 2009 개정 교육과정 기반 영어 교과서 역할놀이 분석 및 활용 실태와 교사인식 조사

        황수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제작된 3, 4학년 영어 교과서 5종의 역할놀이 활동을 분석하고 활용 실태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역할놀이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종 교과서의 역할놀이 활동을 교과서 구성, 의사소통기능 및 대본 장르, 어휘 수와 단일 문장 길이, 교수․평가방법의 4가지 기준에 의해 분석하고, 3, 4학년 영어전담교사 경험이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역할놀이 활용실태, 역할놀이에 대한 교사인식으로 범주화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과서 역할놀이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구성과 관련하여 5종 교과서는 차시내 역할놀이 시간 및 연간 총 지도시간에 있어 서로 차이가 많고, 그런 만큼 충분한 활동 시간을 확보하지 못한 교과서들이 있었다. 내용 소개와 관련하여서는 연속그림을 활용한 경우가 주를 이루지만 통그림과 연속그림을 함께 제시한 경우도 있었다. 그림 이외에 문자로 대본을 제시한 교과서는 없었다. 둘째, 의사소통기능과 관련하여 5종의 교과서는 2009 개정교육과정의 <별표 2>에 제시된 11가지 의사소통기능유형 중 7-9가지 기능을 고루 제시하였다. 대본 장르로는 외국 동화 이외에 전래동화, 각색한 외국동화 등을 추가적으로 활용한 교과서가 있기는 하나 대부분의 교과서가 외국동화를 역할놀이 대본 장르로 활용하였다. 셋째, 역할놀이에 사용된 어휘 수와 단일 문장 길이는 선행연구에 비추어 볼 때 학생들 수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학년 역할놀이의 경우 단원별 평균 어휘 수는 17개, 평균 단일 문장 길이는 2.6 낱말이고, 4학년 역할놀이의 경우 단원별 평균 어휘 수는 21개, 평균 단일 문장 길이는 3.2 낱말이다. 넷째, 역할놀이 지도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대부분의 교과서가 그림보고 추측하기, 듣고 내용 확인하기, 듣고 따라 말하기, 모둠별 역할극 발표하기를 공통적으로 활용하고, 그 밖에 노래, 찬트, 창의적 생각 나누기 등을 특징적으로 추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활동들은 학생들에게 창의성 요소와 인성 요소를 길러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준별 활동에 대해서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평가와 관련하여서도 평가 방법 및 평가 자료의 지원이 부족하다. 역할놀이 활용 실태의 설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에 응한 다수의 교사들이 수업 시간에 역할놀이를 활용하고 있었다. 지도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교과서와 CD를 수업 자료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수준별 역할놀이를 실시하는 교사는 응답자의 절반정도였다. 평가와 관련하여서는 상당수의 교사들이 학기 당 한 번 이상 역할놀이 평가를 실시하고 있었다. 교사관찰평가와 상호평가의 방법으로 인지, 정의, 협력의 3요소를 고루 평가하였고 평가 후 필요할 때는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둘째, 역할놀이 필요성에 대해서도 배운 표현을 자연스런 의사소통상황에서 복습할 수 있고, 친구들과 협력하면서 영어를 배울 수 있다는 이유로 거의 모든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답하였다. 상당수의 교사는 내용을 소개할 때 대본과 연속그림을 함께 제시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분석 및 조사 결과로부터 도출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차시 내 역할놀이 활동 시간 및 연간 총 지도 시간을 충분히 할애하지 않은 교과서들이 있었다. 역할놀이 활동에 필요한 적정 시간을 정하고, 낮은 수준의 학생들도 표현을 충분히 익혀 불안감 없이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역할놀이 활동 시간을 충분히 할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역할놀이 대본으로 외국동화를 주로 사용하다 보니 실제 사용되는 표현을 반영하지 못한 경우가 많이 발견된다. 실생활 모습이 담긴 에피소드, 학생들의 최근 관심사를 다룬 논픽션 자료 등 다양한 대본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표현을 익히게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역할놀이 내용을 그림으로만 제시하는 것은 대본과 그림을 함께 제시할 것을 원하는 설문 조사 결과와 부합하지 않는다. CD-ROM에 대본을 제시하고 있는 만큼 교과서에도 대본을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역할놀이 활동을 수준별로 하도록 원론적인 권장만 할 뿐 구체적인 지원이 없고 평가와 관련하여서도 실제적인 평가 방법이나 자료의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교수 및 평가와 관련하여 교사들이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와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충분한 역할놀이 시간을 할애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흥미를 느끼면서 참여할 수 있는 창의적인 활동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학년별로 학습자의 발달 특성에 맞는 다양한 역할놀이를 구안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나온다면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참고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외국동화 외에 다양한 장르를 활용한 대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연구를 실시해야 한다.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고 초등학생들이 선호하는 소재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을 위한 역할놀이 대본 장르 목록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 내현적자기애와 외로움의 관계: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황수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내현적자기애, 거부민감성, 정서인식 명확성, 외로움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인의 내현적자기애와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외로움이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00명의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활용에 동의한 300부의 설문지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2.0와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자기애, 거부민감성, 정서인식 명확성, 외로움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모든 변인들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자기애, 거부민감성, 외로움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확이되었으며, 이 변인들과 정서인식 명확성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성인의 내현적자기애와 외로움의 관계를 거부민감성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의 내현적자기애와 외로움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의 내현적자기애와 외로움의 관계를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 명확성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내현적자기애와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 명확성이 매개함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성인의 내현적자기애가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 명확성을 거쳐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낸다. 즉, 내현적자기애가 높을수록 거부민감성이 높아지고, 이는 정서인식 명확성을 낮추게 되어 외로움을 더 많이 느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외로움을 느끼는 성인 내담자를 상담할 때 구체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내현적자기애로 인해 외로움을 느끼는 내담자를 상담하는 과정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 명확성을 다룸으로써 외로움을 경감시키고 보다 친밀한 대인관계를 맺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rejection sensitivity, emotional clarity, and loneliness in adul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lonel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loneliness in adults. To this end, we conducted a self-reported survey of 300 adults in their 20s and 30s, and used the results of 300 completed questionnaires from those who consented to be included in the study.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were used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test. Here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rejection sensitivity, emotional clarity, and loneliness, and foun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variable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overt narcissism, rejection sensitivity, and loneliness,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se variables and emotional clarity. Second, we found that rejection sensitiv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loneliness in adults. Third, we found that emotional clar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loneliness in adults.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loneliness in adults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clarity. This study validated the mediation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apersonal self-esteem and loneliness. This suggests that adult covert narcissism influences loneliness via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clarity. This means that higher levels of covert narcissism a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rejection sensitivity, which can lead to lower levels of emotional clarity, which can lead to greater feelings of lonel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a basis for specific interventions when counseling adult clients who are experiencing loneliness. In the process of counseling clients who feel lonely due to covert narcissism, it is expected that addressing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clarity can help alleviate loneliness and create more intimat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