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ㅇ/의 발음 실현 양상 연구

        황설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thesis takes advanced Chinese learners of Korean as research objects and aims to master their pronunciation of the final constant /ŋ/ in Korean, by studying the restraint on the combination of phonemes of Korean and Chinese and the pronunciation position, method & type of the consonants in Korean. Besides, the thesis investigates the independent pronunciation of /ŋ/ in single word and the continuous pronunciation in articles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in the correct pronunciation ratio of /ŋ/. This is another aim of the thesis. The fact that the final consonant /ŋ/ in Korean is, as observed, a difficult point for Chinese learners, serves as the motivation behind the thesis. As well known to all, whether learners can pronounce in a correct manner during foreign language learning, directly affects whether they can obtain a smooth communication. For this reason, it is curious that under what influence Chinese learners have a wrong pronunciation of /ŋ/. Given there is only one thesis during previous study that discusses how Chinese learners pronounce /ŋ/ a final consonants in Korea, this thesis becomes extremely necessary. Different from other thesis studying the final consonants in Korean, this thesis adopts a brand-new method, i.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fference in the constraint of the combination of phonemes between Chinese and Korea and the pronunciation position, method & type of the consonant of Korean, to discuss their influence upon the pronunciation of /ŋ/.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both the independent pronunciation and continuous pronunciation of /ŋ/ on the correct pronunciation ratio of /ŋ/ is discussed. The introduction of the thesis, first of all, defines the research aim, object and scope. Next, the previous study on the pronunciation of /ŋ/ is summarized and arranged from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ly, the overall pronunciation situation of those learning Korean as second language is investigated; secondly,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the constraint of the combination of phonem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upon the pronunciation of /ŋ/ is explored; thirdly,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the consonant classification of Korean and Chinese is summarized.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r difficulty of advanced Chinese learner in pronouncing /ŋ/, two pronunciation experiments, which correlate, are performed for 40 advanced Chinese learners in chapter II.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s is to judg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constraint of the combination of phonemes and consonant classific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 actual pronunciation situation of Chinese learners in case of both independent pronunciation and continuous pronunciation. Chapter III analyze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s in chapter II. By calculating correct pronunciation ratio, the factors affecting Chinese learner’s correct pronunciation (adifficultpointforChineselearner) of /ŋ/ are analyzed. On such a basis, chapter IV carries out an overall analysis of the controlling factors in the pronunciation of /ŋ/. The thesis analyzes the pronunciation of /ŋ/ by advanced Chinese learner from a brand-new perspective. It is hoped this thesis can fill, to a certain degree, the void in the previous study on the pronunciation of /ŋ/ and provide some help for th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권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소결합제약 차이, 그리고 한국어 자음의 조음위치, 조음방법, 발성유형의 3가지 방향으로 한국어 첫 음절에 오는 종성 /ㅇ/에 대한 발음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또한 종성 /ㅇ/이 단어로 단독 발음할 때와 문장에서 연속 발음할 때 발음의 정확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는 데 또 하나의 목적을 두었다. 어느 날 저는 택시를 타고 “기사님, 저는 중앙대에 가요.”라고 말했는데 기사님은 지명을 알아듣지 못하신 모양이다. 내가 “중앙”이란 발음을 잘못해서 기사님과 커뮤니케이션이 잘 안된 이유를 나중에서야 알게 되었다. 그 후에 중국어권 학습자들과 소통했을 때에도 한국어 종성, 특히 종성 /ㅇ/에 관한 발음이 어렵다는 점을 느꼈다. 그러나 발음이 정확해야 화자와 청자 간에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한국어 종성 /ㅇ/ 발음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호기심에서 나온 생각이 바로 종성 /ㅇ/에 관한 발음오류는 어떤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하게 발음하기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여기에 초점을 맞추어 본고의 연구범위를 정하였다. 또한 전 연구들을 살펴보았는데 한국어 종성의 발음 문제점을 언급하는 연구들은 많지만 중국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어 종성 /ㅇ/의 발음 양상으로 쓴 논문은 거의 없었다. 이러한 원인으로 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본고는 새로운 시각으로 즉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소결합제약 차이와 한국어 자음의 조음위치, 조음방법, 발성유형 3가지 분류에서 출발하여, 이들이 종성 /ㅇ/ 발음에 대하여 어떤 영항을 미치는지를 밝히고, 단독 발음을 할 때와 문장에서 연속 발음을 할 때, 이 두 가지 상황에서 종성 /ㅇ/ 발음을 할 때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국어권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발음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되었는데, 먼저 VN음절구조의 환경에서 결합된 모음은 종성 /ㅇ/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다음은 CVN음절구조의 환경에서 종성 /ㅇ/과 결합된 자음을 조음위치, 조음방법, 발성유형 3가지 방향으로 발음 실현 양상을 고찰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 단계에서 단어 형식과 문장 형식 두 부분을 하여 모두 발음하는 형식으로 진행하여 단독 발음 또는 문장에서 연속 발음 간의 정확률 차이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 순서대로 진행하였다. 제1장에서는 먼저 본고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여 연구 대상과 연구 범위를 한정하였다. 그 다음은 이에 대해서 선행 연구를 검토한 후에 문제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 종성, 특히 종성 /ㅇ/에 대한 발음 연구를 파악할 수 있었다. 제2장에서는 연구 목적에 따라서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종성 /ㅇ/ 발음 실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물론 뒤에 연구 방법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간단하게 소개하자면 본고의 실험은 모두 두 개로 나뉜다. 실험1은 중국어권 고급 학습자 4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이 실험 내용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하나는 단어 형식으로 단독 발음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문장 안에서 연속 발음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방법으로 실험한 이유는 한국어 종성 /ㅇ/은 단어로 발음할 때와 문장에서 연속 발음할 때 발음의 정확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실험2도 중국어권 고급 학습자 40명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이 실험 내용도 실험1과 같이 단어와 문장 형식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또한 이 두 실험을 나누는 기준은 종성 /ㅇ/발음이 VN음절구조 아니면 CVN음절구조에 따른 환경에서 어떻게 발음하게 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제3장에서는 전 단계에서 진행했던 실험의 결과를 분석하는 내용이다. 연구 방법에 따라서 각 집단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한국어 종성 /ㅇ/의 발음 정확률을 계산한 후 비교를 하고자 한다. 분석을 통해 종성 /ㅇ/ 발음이 어떤 변수 때문에 정확하게 발음하기 어려워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3장의 바탕으로 한국어 종성 /ㅇ/ 발음 실현 양상에 대해서 발음에 영향이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밝히는 것과 교육적 제안에 대해 논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중국어의 VN음절구조의 영향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게 VN음절구조의 환경에서 한국어 종성 /ㅇ/에 대해 모음의 영향이 미치는 것을 알아본다. 둘째, CVN음절구조의 환경에서 한국어 자음의 조음위치, 조음방법, 발성유형 3가지 분류는 종성 /ㅇ/발음에 어떻게 영향이 미치는지 알아본다. 셋째, 단어 또는 문장의 발화 환경에서 종성 /ㅇ/의 발음 실현 양상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 넷째, 교육적 제안에 관한 논의를 서술하였다. 제5장은 본고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미와 한계점을 다루었고, 더 나아가 한국어 종성 /ㅇ/에 관한 향후 연구 분야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