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조화된 크라우드소싱(Structured crowdsourcing)기반의 의료영상BCSS 데이터를 활용한 U-Net모델의 구현 및 성능 분석

        황석현 수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e implement the Semantic Segmentation model as known as U-Net, which is widely used in the medical system. It uses BCSS(Breast Cancer Semantic Segmentation) dataset created through Structured Crowdsourcing. And among the BCSS data, a U-Net model is created using Tumor, Stroma, and TIL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hat Tissue Types. Among the hyperparameters of the previously proposed U-Net model, modified the batch size to 16, Epoch to 100, Drop rate to 0, normalization to batch normalization, and weight decay to 1e-5 are used. After that, the model was analyzed using two evaluation indicators, Binary cross-entropy, and AuROC, and the analyzed values were used to prove how much performance the model had been improved. As a result, the loss of the Tumor model was 0.4101, AuROC was 0.9496, the Stroma model's loss was 0.4770, AuROC was 0.8843, the TIL's loss was 0.2103, and AuROC was 0.9601. The lower the value of Loss and the higher the value of AuROC, the model have shown the higher performance result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of AuROC, Tumor and TIL have excellent performance, and stroma was proven as a model with good performance. With the previous results, we have discussed the expected effects of using a semantic segmentation model in the medical systems in the future.

      • 도시 그린웨이 IPA 분석 : 강동그린웨이 중심으로

        황석현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7년 9월 제주도 올레길을 시작으로 사람들의 걷는 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 했고, 2008년 4월 지리산 둘레길이 개통 되면서 사람들 사이에 걷기 여행이라는 새로운 여행 문화가 나타나게 되었다. 주5일 근무가 정착 되면서 도시민들은 복잡한 도시를 떠나 한적한 곳으로 여행을 떠나는 것은 도시민들의 일상이 되었다. 특히 서울은 고도 경제성장을 위한 도시계획으로 건물과 도로 위주의 도시로 성장 하면서 경제적인 면에서는 성공적인 성장을 했지만 도시의 녹지 비율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었다. 이런 시점에 사람들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과 이에 따른 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 되면서 서울시에서는 환경개선과 단절되어 있는 녹지를 연결하기 위해 서울둘레길 조성을 2009년부터 하게 되었고, 2014년 11월15일 전 구간이 개통 되었다. 서울의 외곽을 연결하는 서울둘레길은 도심 둘레길을 통해 도시에서 자연으로부터 느낄 수 있는 도시 속의 다목적 그린웨이를 조성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둘레길 3코스에 위치하고 있는 강동그린웨이 중에서 강동그린웨이 걷기 대회 코스를 대상지로 정하여 도시민들이 강동그린웨이를 방문하기 전의 중요도와 방문 후의 만족도를 분석하여 보다 질 높은 커뮤니티 그린웨이 조성을 통해 강동그린웨이를 활성화 시키고 더 나가 타 지역의 그린웨이를 조성 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 예비조사, 설문조사, 통계분석, IPA 기법을 통한 자료 분 석으로 구성 되어 있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그린웨이의 개념과 변천 그리고 유형과 도시 내에서의 기능에 대해 논하였다. 둘째, 중요도-만족도 변수를 정의 하기 위해 선행연구고찰과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중요도-만족도를 알아 보기 위해 통계분석을 실시했다. 그 다음 통계결과를 IPA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현재 서비스에 대한 방문객들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차이와 개선 사항을 파악 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22개의 항목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분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주변 시설물과의 접근성, 주차공간, 편의시설, 편의시설과의 연결성, 교통접근성, 시설물의 교육적 효과, 휴식시설에 대한 결과의 중요도는 높은 반면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 로 조사 되었다. 또한 만족도의 요인분석을 통해 편리성, 체험성, 연결성, 안전성, 접근성 5가지 요인이 분석 되었다.

      • 모노스태틱/바이스태틱 HRRP를 이용한 편대비행 표적식별 연구

        황석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High resolution range profile (HRRP) is 1-dimensional RCS distributions that can be generated through radar reflection signals and provide very effective radar signature for target recognition using radar. Since HRRPs vary considerably depending on the aspect angle, single target classification is performed by training HRRP according to observation angles in the database. However, when there are many targets in the single radar beam, HRRPs are generated in real time by the type and the number of targets, real time projection position, and scale factor according to variance of radar beam. In addition, since it is impossible to predict the above parameters in advance, unlike the single target identification problem,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multiple targets identification using the previously trained database.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that can estimate the number of formation flight using monostatic and bistatic high resolution range profiles (HRRPs). Using the RELAX Algorithm, single and multiple targets are distinguished and HRRPs are reconstructed. In addition, the MUSIC Algorithm and CFAR detector are applied to obtain distinct scatterers of each target of the multiple target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monostatic radar vulnerable to targets flying in the line-of-sight direction, the data from the bistatic radar were fused so the number of targets were successfully estimated regardless of the signal-to-noise ratio variation. And HRRPs of a single target that have been trained previously are combined and then a real time database is constructed to perform multiple targets classification. The projection position and the scale factor are optimized and combined through particle swarm optimization (PSO), and the process is repea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number of targets to construct a real time database. Experimental results were obtained at SNR = 10, 15, 20, 25, 30dB. HRRPs of targets flying in formation were generated by randomly selecting each parameter within a specific range. In order to reduce measurement error caused by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 simulation was repeated 50 times in each SNR environment. In the environment with SNR of 10dB or more, 100% classification result was obtained.

      • 윤동주 시에 나타난 색채감각 연구

        황석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윤동주의 시에 나타난 주요 색채감각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 시대의 시인이 느낀 현실인식이 색채감각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시각이미지 중에서 특히 색채감각에 주목한 이유는 윤동주의 시에 유난히 색채이미지나 색채어가 빈번하게 등장하고, 이러한 시지각 경험이 시인의 현실인식과 시대에 대한 정동(情動)을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윤동주 시세계 근간의 원체험을 파악할 수 있는 전기적 사실을 검토하고, 윤동주 시인이 집중적으로 시를 창작한 시기인 1930~40년대 일제강점기의 지각경험과 정동의 양태를 살펴보았다. 보는 주체로서 근대적 주체에게 발생하는 정신적 피로와 식민지 조선의 처참한 상황에 대한 지각경험은 윤동주의 색채감각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윤동주의 시세계를 관통하는 주요한 특질이 내면과 깊게 관계하는 자기 성찰에 있으며, 그 성찰의 과정과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그의 시에 나타난 색채감각을 통해 해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시도는 식민지라는 시대적 특수성 속에서 섬세한 젊은 지식인의 내면적 자아가 겪는 갈등과 심리적 저항이 어떻게 이미지로 구현되는지를 규명하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우선적으로 윤동주 시에 나타난 색채감각을 색채이미지와 색채어로 분류했다. 윤동주 시에 나타난 색채이미지와 색채어의 출현 양상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시적 화자 혹은 시적 주체의 현실인식이 색채감각으로 드러나는 과정에서 관찰되는 특성을 양가성과 운동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윤동주의 시에 나타난 색채이미지와 색채어를 크게 붉은빛 이미지, 노란빛 이미지, 푸른빛 이미지, 검은빛·흰빛 이미지로 계열화하여 그 색채이미지에 담겨 있는 정신적 함의를 분석했다. 윤동주는 식민권력의 폭력으로부터 검은빛 어둠과 밤으로 표상되는 불안과 절망의 부정적 현실인식을 가지지만, 산문「별똥 떨어진 데」에서“또 하나 다른 밝음의 초점”에 대한 생각을 드러냈다. 윤동주 시「해비」는 그“밝음”의 시작점, 색채감각이 태동하는 시라고 볼 수 있다. 내면적 자아가 시대의 어둠 속에서 가까스로 발견한 색채감각, 즉 산문「별똥 떨어진 데」의“밝음의 초점”은 이상화(理想化)를 상정하며 보는 주체로서의 색채감각을 주관했다. 시적 주체는 이상화를 상정한 후에 내면적 자아가 주관하는 색채감각은 붉은빛 이미지, 노란빛 이미지, 푸른빛 이미지로 표상되는 각기 다른 상징적 의미로 분산되었다. 그 후에 시「쉽게 씌여진 시」의“시대처럼 다가올 아침”을 기다리는 검푸른빛 암흑에서 특별히 빛나고 있는 윤동주 시세계의 흰빛으로 귀결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먼저 붉은빛 이미지는 육체적 욕망, 혈액, 발열 등의 생리적이고 물리적인 생명이 갖는 비극성을 뛰어 넘어 감정적 영혼의 울림을 일으키는 과거와 현재의 시간 경계를 회상적으로 연결하는 색채로 활용되었다. 윤동주는 ‘촛불’, ‘불’, ‘전등’, ‘매운 고추장’, ‘장미’, ‘고추’, ‘헌 와사등’, ‘황혼’, ‘붉은 사과’등의 붉은빛을 통해 회상을 연결하고 타자와의 상상적 조우를 표현하며 타자에 대한 사랑을 드러내고자 했다. 둘째, 노란빛 이미지는 시대의 검은빛 어둠에서 갈구하는 화해적 세계와 평화를 상징한다. 식민지라는 시대적 상황에서 초기에 드러나는 노란빛 이미지는 이루어질 수 없는“금잔디밭”과 같은 광물적 몽상으로 그려지기도 했다. “금잔디”는 꽃과 꽃대가 연한 황색빛을 띄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어두워져 가는 시대 상황 속에서 시적 화자가 바라는 평화적 세계의“봄 타령 하던 금잔디밭”은 이루어질 수 없는 광물적 몽상의 평화적 세계와 같은 것이었다. 하지만 후기로 갈수록 노란빛은 유년기의 원형적이고 몽상적인 세계를 회상하면서 화해와 평화를 지향하는 마음으로 변용되었다. 윤동주는 노란빛 이미지를‘병아리’, ‘오줌’, ‘민들레’, ‘해바라기 얼굴’, ‘개나리’, ‘노란 배추꽃’등을 통해 형상화했다. 셋째, 푸른빛 이미지는 정신적 상실감을 치유하고 회복과 재생을 염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윤동주는‘절대적 배경’으로서의 무한성을 지닌 푸른 하늘과 같은 정신적 성장을 추구하고자 했다. 푸른빛 이미지 중에서 시적 화자의 하강적이고 상승적인 시선의 이동을 통해서 ‘파란 잔디’, ‘풀잎’, ‘나무’, ‘숲’, ‘산’으로 이어지는 초록빛의 정신적 치유와 재생의 확고함과 견고함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어서‘바다’와‘하늘’로 향하는 수평적이고 상승적인 시선의 이동으로 검푸른빛 바다의 성숙한 치유와 푸른 하늘과 같은 성숙한 정신의 시적 합일을 이루었다. 넷째, 흰빛 이미지는 검은빛으로 대변되는 시대적 광기와 대비를 이루며 신체적·정신적 폭력에 희생당한 타자에 대한 슬픔의 윤리와 생명적 의지를 담고 있다. 이러한 성숙한 슬픔은 인류사적 비극 속에서 숭고하게 희생당한 타자를 잊지 않겠다는 윤리로 작용했다. 시적 화자의 상승적인 시선은 ‘초 한 대’, ‘갈비뼈’, ‘흰 수건’, ‘흰 고무신’, ‘흰 저고리 치마’, ‘흰 띠’, ‘흰 옷’, ‘흰 그릇’, ‘흰 그림자’, ‘함박눈’, ‘달밤’, ‘별’ 등의 표상으로 나아갔다. 특히‘별’은 모든 생명과 무생명의 우주적인 탄생과 생명적 영속성을 내포한 상징으로서, 시대적 집단 광기와 절망을 극복하고 사랑과 자유의 보편적 윤리를 지향했음을 잘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부터 본 연구자는 윤동주가 인류사적 광기와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병폐 속에서 내면적 자아의 갈등을 극복하고 미래지향적 비전을 발견하면서 화해와 평화, 정신적 치유와 성장, 생명과 의지 등을 추구하였음을 확인했다. 이처럼 윤동주의 시세계는 1930~1940년대 일제강점기라는 현실에 대한 인식과 내면적 자아의 인식이 긴밀하게 맞물려 있으며, 그 관계에서 파생한 시적 사유와 정신적 지향이 색채감각과 섬세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has study focused on the main sensation of color in Yun Dong-ju's poems, and wanted to analyze how the perception of reality felt by the poe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related to the sensation of color. Among visual images, the reason why this study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ensation of color is that Yun Dong-ju's poems frequently feature color images and color words, and this experience of visual perception shows the poet's perception of reality and affects perception of the times. It has reviewed legendary facts that could identify the original experience of Yun Dong-ju's poetic world, and looked at the form of affects and the perception experie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1930s and 1940s, when poet Yun Dong-ju intensively wrote poems. Yun Dong-ju's in the sensation of color clearly revealed the mental fatigue that occurs to modern subjects as a seeing subjects and the perceptual experience of the horrendous situation of Japanese colonial era the Joseon Dynasty. The main characteristic of Yun Dong-ju's poetic world is self-reflection, which is deeply related to the inner world, and tried to explain the process and direction of reflection through the sensation of color in his poems. Such an attempt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find out how the conflicts and psychological resistance experienced by the inner self of sensitive young intellectual are embodied in images in the peculiarities of the colonial era. First of all, the sensation of color that in Yun Dong-ju's poems were classified into color images and color words. It was intended to systematically classify of color images and color words in Yun Dong-ju's poems an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bserved in the process of real recognition of poetic narrator or poetic subject by the sensation of color, focusing on ambivalence and motility. Based on this, the color images and color words in Yun Dong-ju's poems were grouped into red, yellow, blue, and black and white images to analyze the mental implications of the color images. Yun Dong-ju has a negative perception as anxiety and despair represented by black darkness and night from the violence of colonial power, but in the prose 「Where Stars Falling」, he revealed his thought of“another focus of brightness”. Yun Dong-ju's poems「Haebi」(a sun shower) is a poems in which the "brightness" begins and the sensation of color is about to start. The sensation of color that the inner self managed to find in the darkness of the times, In other words “Focus of Brightness” in the prose 「Where Stars Falling」 presupposes idealization and organizes the sensation of color as the seeing subject. After presenting the idealization, the sensation of color organized by the inner self was dispersed in different symbolic meanings represented by red, yellow, and blue images. It then showed that it was coming down to the white light of Yun Dong-ju's poetic world, which is specially shining in the dark blue darkness, waiting for the “morning that will come like the times” of the poem「an easily written poem」. First of all, the red images was used as a reminder of the time boundaries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that caused the echo of the emotional soul beyond the tragedy of physiological and physical life such as physical desire, blood and fever. Yun Dong-ju tried to show his love and imaginary meeting for the others by connecting memories through red images such as ‘Candlelight’, ‘Fire’, ‘Light’, ‘Spicy Gochujang(red pepper sauce) ’, ‘Rose’, ‘Hot pepper’, ‘Old Wasa-lantern’, ‘Sunset’, ‘Red Apple’. Second, the yellow images symbolizes the reconciliation world and peace yearning for in the black darkness of the times. The yellow images early on in the colonial period were expressed in mineral dreams such as“gold grass fields”that could not be achieved. The“gold grass field singing spring”of the peaceful world desired by the poetic narrator in the darkening times was like a peaceful world of mineral dreams that could not be achieved. However, as the latter period, the yellow images were transformed into a spirit of reconciliation and peace, recalling the original form and dreamy world of childhood. Yun Dong-ju embodied the yellow images through‘Chick’, ‘ Pee’, ‘Dandelion’, ‘SunflowerFace’, ‘Forsythia’ and ‘Yellow Cabbage Flower’. Third, the blue images have the meaning of healing of a mental scar and praying for recovery and regeneration. Yun Dong-ju sought to pursue spiritual growth like the blue sky with infinity as an‘absolute background’. Among the blue images, the poet's down and upward movement of his gaze was intended to reveal the firmness and robustness of green spiritual healing and regeneration leading to ‘Blue grass’, ‘Grass leaves’, ‘Wood’, ‘Forest’and‘Mountain’. Subsequently, the horizontal and upward movement of his gaze towards‘the sea’and‘the sky’achieved the mature healing of the dark blue sea and the poetic unity of the mature spirit, such as the blue sky. Fourth, the white images contrasts with the insanity of the times represented by black light, and contains the ethics and life will of grief for the others who was victimized by physical and mental violence. This mature sadness served as an ethics that did not forget the others who was noblely sacrificed in the tragedy of human history. The poetic narrator's rising gaze moved on the signs of ‘a candle’, ‘a rib bone’, ‘a white towel’, ‘a white rubber shoes’, ‘a white Jeogori skirt’, ‘a white band’, ‘a white clothes’, ‘a white bowl’, ‘a white shadow’, ‘Large snowflakes’, ‘moonlit night’and‘a star’. In particular, ‘a star’ is a symbolize of the cosmic birth and life permanence of all life and inanimate, well demonstrated that it was aimed at universal ethics of love and freedom, overcoming the collective madness and despair of the times. From this analysis, the researcher confirmed that Yun Dong-ju pursued reconciliation, peace, mental healing and growth, life and will, and others while overcoming conflicts within his inner self and discovering a future-oriented vision in the midst of human history madness and the ills of Japanese colonial era. As such, Yun Dong-ju's poetic world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he reality of Japanese colonial era in the 1930s and 1940s and the perception of the inner self, It can be said that poetic reasons and spiritual orientation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are delicately related to the sensation of color. Key words: Yun Dong-ju, the sensation of color, colonial power, violence, affects , reality awareness, inner self, ambivalence, motility, recall, meeting, reconciling world, peace, healing, growth, ethics of grief, life, black, white, blue, red, yellow images

      • 자가 혈소판 농축 섬유소의 생체 기질로써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황석현 高麗大學校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Effectiveness of Autogenous Platelet Rich Fibrin as Internal Matrix Introduction: Lateral ridge augmentation has become a standard treatment option to enhance the bone volume of deficient recipient sites prior to implant placement. For successful lateral ridge augmentation, appropriate bone grafting filler materials and barrier membranes are essential. Platelet-Rich Fibrin (PRF) belongs to a new generation of platelet concentrates, with simplified processing. PRF accelerates tissue cicatriz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neovascularization, accelerated wound closing with fast cicatricial tissue remodelling, and nearly total absence of infectious ev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RF membrane application on lateral ridge augmentation in the canine mandible. Materials and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in eight dogs. P1 to P4 premolars were removed and six lateral ridge defects (length 10 mm, height 8 mm, depth 8 mm) were made for each dog. After 4 weeks, re-entry surgery has been performed. On the experimental site augmentation of lateral ridge defects were changed to chronic bone defects in the mandibular alveolar ridge. Experimental sites received tricalcium phosphate (CERASORB) granules or Xenograft (Bio-oss) particles. Three Barrier membranes (resorbable membrane Bio-guide, non-resorbable membrane Cytoplast membrane TXT-200, and PRF) were placed for graft protection. These approaches were compared to ridge augmentation using different bone materials and membranes. After a healing period of 8 weeks, the sites were analyzed histologically and with multi image analysis. Results : PRF showed better new bone formation and bone density than Bio-guide and Cytoplast membrane TXT-200. Bio-oss sites with PRF membrane protection showed excellent healing results with a well-preserved ridge profile, whereas CERASORB grafts with Cytoplast TXT-200 membrane clearly limiting the treatment outcome. Conclusion : Autogenous Platelet Rich Fibrin is a effective internal matrix material as a barrier membrane when it comes to using on chronic lateral ridge augmentation. Key words: lateral ridge augmentation, bone grafting materials, barrier membrane, guided bone regeneration, Platelet Rich Fibrin (PRF) histology, image analysis. Micro-CT, CBCT, Fractal analyis, experimental animal study

      • 학사경고 대학생들을 위한 학업증진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 및 학업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황석현 부산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K대학에서 기획하여 진행한 학사경고 대학생들을 위한 학업증진프로그램의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특히 인지적 영역(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학업탄력성)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2017.1학기부터 2018.1학기까지, 3개학기의 학업증진프로그램에 참여 및 수료한 16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와 학업탄력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학업증진프로그램 참여 전·후 학업성취도는 전반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 계열별 학업성취도는 이공계열을 제외한 인문·상경·예술계열의 학업성취도가 전반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성별과 학년별(저학년·고학년) 학업성취도는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다. 학업탄력성은 사전·사후결과에서 전체와 하위요인별 모두 전반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계열별 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학업증진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다수의 학생들이 시간관리, 시험관리, 과제관리 등에서 학업성취도와 학업탄력성의 도움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기반으로 학사경고 대학생들을 위한 학업증진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개선사항을 논하였으며 한계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 Construction of integrative causal model of insight and its validation and applica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황석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term ‘insight’ in mental illness has evolved in its definition and conceptualization to favor multi-dimensional approach, but research on insight and its relationship with psychopathology has yielded inconsistent results. Some findings support the direct causal link between the severity of psychopathology and insight, but others have failed to replicate such findings and instead have posited that insight should be considered as a separate domain of psychopathology. However, these studies mostly have not considered the complex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symptom complexes and how they may affect insight through different stages of illness. The overall aim of this thesis is therefore to present a series of studies to advance the conceptualization of insight as a symptom in schizophrenia that is 1) divisible from the traditionally defined domains of psychopathological symptoms and neurocognitive deficits, 2) a non-continuous phenomena, in which the relationships between insight and psychopathological and neurocognitive domains characteristically differ according to different stages of illness, and 3) reflected by the accuracy of the patient’s judgment of not only his/her symptoms but also other clinically related variables, such as subjective well-being and side effects, in relation to the evaluation of the clinicians. Chapter 1 presents a brief overview of historical conceptualization and definition of insight, etiological models of lack of awareness of illness, and present status of insight research in schizophrenia. In Chapter 2, it is hypothesized that different symptom domains interacted among each other in relation to insight and that there is a need to better refine such domains in order to construct conceptual model of insight. Hence, in Study 1, five symptom domains derived from factor analytic approach were applied to construct the causal model of insight and psychopathology, along with other feasible alternative models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SEM). Such refinement was deemed necessary to clearly determine the independence between insight and psychopathology. As a result, the hypothesized causal model of insight, in which positive, negative, and autistic preoccupation (cognitive) symptoms were positioned as the primary predictors of insight with the activation factor mediating between positive and autistic preoccupation symptoms and insight, was found to satisfy all indices of goodness-of-fit. Hence, the activation symptoms played not only a mediating role for positive symptoms but also a moderating role for autistic preoccupation symptoms in predicting insight. In Study 2, a subgroup of same patients was followed longitudinally for longitudinal validation of the causal model of insight. Despite the temporal changes in the magnitude of associations among symptoms and their respective predictive strength, our causal model of insight was proven to reliably capture the dynamics between psychopathology and insight in schizophrenia patients at both stabilized (8-week) and chronic (1-year) stages. Also, the post hoc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sight supported the notion that insight causes depression, rather than the opposite, partially discounting the psychological defense model of insight. In Study 3,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bove studies were replicated with another group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using self-reports rather than clinician-assessments of psychopathology. Hence, the causal model of insight constructed with this group also satisfied all indices of goodness-of-fit and self-reported symptoms. The clinician-rated psychopathology significantly correlated only among the patients with insight, and self-reported psychoticism and lack of insight were moderated by self-reported paranoid ideation and hostility. Lastly, in Study 4, differences between the uni-dimensional and multi-dimensional measure of insight in terms of their association with the psychopathology and validity of the model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el constructed with the multi-dimensional measure of insight has relatively more percentage of variance,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contribution from the negative symptoms. The common finding from the above line of studies wa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sight and psychopathology qualitatively shifted according to the stage of illness and that the level of association between insight and psychopathology was at most moderate. In short, the notion that insight should be considered as a distinct primary symptom has been supported. Included in Chapter 3 are studies that 1) expanded the present model to include neurocognitive functions by examining both the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insight and neurocognitive variables, and 2) formulated how insight and other clinical variables predict subjective well-being in chronic patients of schizophrenia. Specifically, in Study 1, various domains of neurocognitive functioning, such as general intelligence, executive functioning, verbal and spatial memory, attention, and psychomotor speed,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insight. As a result, COWAT perseverative response, an executive function measure, was found to be the only neurocognitive functioning measure that predicts both cross-sectional level of and short-term longitudinal changes in insight. The cross-sectional model that included this variable as an intermediary variable between psychopathology and insight showed superior goodness-of-fit for both baseline and 8-week assessment. In Study 2,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model of insight in chronic patients of schizophrenia was examined by including primary predictors such as psychopathology and executive functioning, and intermediary variables such as insight and subjective side effects in predicting the quality of lif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nsight and executive functions mediate between psychopathology and side effects, and between psychopathology and QOL to determine the cumulative dysfunction in daily life for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Chapter 4 presents two studies that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broadening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insight and its conceptual paradigm. In other words, they deal with the conceptualization of insight that is based not only on the awareness and labeling of symptoms but also on the understanding of the one’s overall level of functioning and physical discomfort, including side effects of medication. Hence, in Study 1, the patients were strat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correspondence between self-reported QOL and clinician-rated functioning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ose with good insight would show higher levels of correspondence. As a result, those with higher levels of correspondence showed associations between patient- and clinician-rated psychopathology and with other measures that were stronger and more consistent than those of other discordant groups. In Study 2, drug-free patients mostly without insight were followed for 6-weeks after the patie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insight, measured for their heart rate variability, and assessed by the clinician for side effects. They also provided self-reports of side effects. As a result, those with insight showed higher and more consistent associations not only between the measures of side effects but also between self-reported side effects and HRV parameters. Such results confirmed our hypothesis that the conceptualization of insight should not be confined to the awareness of illness, but expanded to include the understanding of a broader range of consequences of illness. Lastly, this thesis concludes with a brief overview of the findings, overall limitations of the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정신장애에서의 ‘병식’의 정의와 개념화에 대한 연구는 다차원적인 접근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왔다. 하지만 병식과 정신병리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그 중 일부는 정신병리의 심각도와 병식 간의 직접적인 인과론적인 연결성을 지지하는 반면, 기타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재연하는 데에 실패하여 병식이 정신병리와는 구별될 수 있는 영역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런 일련의 연구들은 대부분 증상 영역간의 복잡한 상호관계와 그들이 상이한 질병의 단계에서 병식에 미치는 영향의 변화를 고려하지 못했다. 따라서 이 논문의 전체적인 목표는 조현병 환자의 병식을 다음과 같이 개념화하고 그것을 지지하는 일련의 연구를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1) 병식은 조현병에서 전통적으로 정의된 정신병리 영역 및 인지 손상과 구분될 수 있는 증상이며, 2) 병식과 정신병리 및 신경인지 영역간의 관계는 질병의 단계에 따라 특징적으로 다른 비연속적인 현상이고, 3) 병식은 자신의 증상뿐만 아니라 주관적 안녕과 부작용과 같은 임상적 변인들에 대한 환자의 자기보고와 임상가의 평가가 일관되는 것에 의해 반영될 수 있다. 제 1장은 병식의 역사적 개념과 정의, 병에 대한 인식의 결여에 대한 원인론적 모델, 그리고 조현병에서 병식 연구의 현주소 등에 대한 간략한 개관을 제시하였다. 제 2장에서는 병식과 관계되는 상이한 증상 영역들 간에 서로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기 때문에 병식에 대한 개념적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증상영역을 기존보다 더 정교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는 가정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일련의 연구를 제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요인분석 기법을 통해 5가지 증상 영역을 추출했고, 구조방정식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이를 병식과 정신병리의 인과적 모델 및 대안적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정교화 작업은 병식이 정신병리 영역들과 심각도와 구분될 수 있는지를 명확하게 판단하기 위한 목적 하에 진행되었다. 그 결과, 우리가 제시한 병식의 가설적 모델이 (즉, 양성증상, 음성증상, 그리고 자폐적 몰입(인지) 증상영역이 병식의 일차적 예측변인이고 활성화증상이 양성증상 및 자폐적 몰입증상 영역들과 병식 사이에서 이차 예측변인으로 작용하는 모델) 모델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모든 기준치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동일한 환자군의 일부를 1년간 추적하여 병식의 인과적 모델의 종단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간에 따른 증상들 간의 상관성의 강도 및 병식에 대한 각 증상의 예언력 등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병식의 인과론적 모델은 안정적인 단계 (연구 시작 후 8주) 및 만성적인 단계 (연구 시작 후 1년) 모두에서 조현병 환자의 병식과 정신병리간의 역동을 높은 신뢰도로 기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후 분석을 통해 우울증상이 병식에 영향을 주는 것보다는 병식이 우울증을 유발한다는 단서를 얻어 병식의 심리적 방어 모델을 부분적으로 반박하는 증거를 얻었다. 연구 3에서는 위의 연구들에서 얻어진 결과를 또 다른 조현병 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정신병리에 대한 임상가의 평가가 아닌 환자의 자기보고형 척도를 사용하여 재검증하였다. 그 결과, 이 집단의 자료를 사용하여 구축한 병식의 인과적 모델 또한 모든 적합도 측정치 기준에 부합하였고, 병식이 있는 환자들만 정신병리에 대해 자기보고와 임상가의 평가간에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고, 자신이 보고한 정신병적 증상과 병식의 결여 사이를 자신이 보고한 편집증적 사고와 공격성이 중재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4에서는 병식의 일차원적인 측정치와 다차원적인 측정치간에 정신병리와의 관련성 및 모델의 타당도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다차원적인 병식 척도를 적용하여 구축한 모델이 병식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변량을 설명하였는데, 이것은 대부분 음성증상들이 더 많은 예측력을 보였기 때문이었다. 이런 일련의 연구들에서 얻어진 공통된 결과는 병식과 정신병리간의 관계가 질병의 단계에 따라 질적인 변화를 보였고 병식과 정신병리간의 상관이 높지 않아서 병식이 여타 증상들과 구별될 수 있는 일차적 증상이라는 가설을 지지했다.제 3장에는 위의 모델을 확장시켜서 신경인지기능을 모델에 포함시킨 횡•종단적 연구를 실시하였고 병식 및 다른 임상적 변인들을 토대로 만성 조현병 환자들의 주관적 안녕을 예측하는 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 일반 지능, 집행기능, 언어 및 공간 기억, 주의력, 그리고 심리운동(정신운동?) 속도와 같은 신경인지 기능의 다양한 영역이 병식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단지 집행기능을 측정하는 통제된 단어 연상 검사의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보속 반응이 병식의 횡단적 수준 및 단기적 종단적 변화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밝혀졌고, 이 변인을 정신병리와 병식 사이의 중간 변인으로 지정한 기저 및 8주의 횡단적 모델은 모두 뛰어난 수준의 적합도를 보였다. 연구 2에서는, 현 모델을 만성 조현병 환자들의 주관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모델에 적용하여 확장시키는 시도를 하였는데, 일차적 예측 변인들로 정신병리와 집행기능, 그리고 이차적 중간 변인들로는 병식과 부작용에 대한 자기보고를 포함시켰다. 그 결과로, 병식과 집행기능이 정신병리와 부작용 사이와 정신병리와 주관적 안녕 사이를 매개하여 만성 조현병 환자들의 일상 생활에서의 역기능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 4장에서는 병식의 조작적 정의와 개념적 파라다임을 확장시키는 것에 대한 가능성을 검증하는 두 개의 연구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연구 1에서는 병식이 있는 환자는 자신이 보고한 삶의 질과 임상가가 평가한 기능이 높은 수준의 합치(일치?)를 보일 것이라는 전제하에 합치도(일치도?)에 따라 환자군을 나누어서 두 군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높은 합치도를 보이는 환자집단이 환자와 임상가가 평가한 정시병리 척도 간에도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고, 이 척도들은 다른 측정치들과 더 강하고 일관된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구 2에서는 약물을 먹지 않은 병식이 없는 환자들만을 대상으로6주간 치료 추적하였을 때 환자의 병식 여부에 따라 환자군을 구분하였다. 각 환자군에서 심장 박동 변화를 측정하고, 임상가에 의한 부작용 평가와 환자들에 의한 부작용 자기보고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병식이 있는 환자들은 부작용 측정치들 간에 더 높고 일관적인 상관을 보였을 뿐 아니라, 자신이 보고한 부작용과 특정한 심장 박동 변화 측정치들과도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병식의 개념을 질병에 대한 인식에만 국한하지 말고 질병의 결과에 따르는 다양한 영역에 대한 인식을 수반하는 개념으로 확장시켜야 한다는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