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This study verifies (1) whether more reputation expenses are spent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adverse effects of tax avoidance; (2) whether businesses that show aggressive tax avoidance behavior spend reputation expenses differently; and (3) whether the economic effects of reputation results in an increased firm value when more reputation expenses are spent. The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ax avoidance and reputation expenses. This means that businesses spend more on reputation expenses in cases where the disclosure of the additional tax penalty and size of the tax evasion adversely affect their reputation. The act of aggressive tax avoida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putation expenses. This means that, when businesses aggressively avoid taxes, they spend more on reputation expenses in offsetting the negative effects incurred by the tax avoidance itself. Businesses with an increased risk of tax avoidance detection due to aggressive tax avoidance seem to lower their risk of tax audit by increasing reputation expenses to form and maintain a good reputation. A firm's value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to its reputation expenses. Since the act of increasing reputation expenses attracts more investors, and given that a price premium derived from a good reputation is reflected in the stock price, the firm's value is positively affecte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m's value and aggressive tax avoidance, but only when measured via the Cash ETR. Because aggressive tax avoidance increases the risk of detection, it increases uncertainty in reference to a firms' future cash flows. Thus, it seems that the market perceives aggressive tax avoidance as negative. Even though previous studies made use of questionnaires and reputation rankings to measure firms' reputation, this study used a new approach to measure the firm's reputation by measuring the reputation expenses per firm via their financial data. The academic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explains the importance of reputation in the context of tax avoidance detection and how it is used and explains the reasons for the reputation expenditure by analyzing the economic effects of reputa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been proven that corporate tax avoidance is likely to be reduced if the government strengthens the disclosure regulations of the tax penalty or discloses the tax penalty in various ways. 본 연구는 세무조사 추징세액 공시에 따른 부정적인 효과를 상쇄하고자 명성비용을 더 많이 지출하는지, 공격적으로 조세회피를 하는 기업의 명성비용 지출 행태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명성비용을 더 많이 지출함으로써 명성의 경제적 효과가 기업가치의 증가로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분석대상은 유가증권시장(KOSPI) 및 코스닥증권시장(KOSDAQ)에 등록된 기업으로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총 20년 기간의 자료 중 분석조건을 충족하는 표본을 활용하였으며, 세무조사 추징관련 자료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서 추출하였다. 명성비용은 황보영과 정규언(2019, 153)의 연구에서 사용한 명성비용 측정방법을 개선하여 광고선전비에 광고대행수수료와 판매촉진비를 가산하고 산업별·연도별로 표본을 구분하여 회귀함으로써 명성비용을 보다 정확하게 포착하고자 노력하였다. 기업가치는 Chung and Pruitt(1994)의 방법을 이용하여 주식의 시장가치와 부채의 장부가치의 합을 총자산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조세회피 측정치는 세무조사 추징세액 공시여부 또는 세무조사 추징세액을 조세회피 사실 또는 금액(신영효 등, 2017, 271)으로 활용하였다. 공격적 조세회피 변수는 GAAP ETR과 Cash ETR을 활용하였으며, 2년 연속 조세회피가 증가하면 1, 아니면 0인 더미변수로 측정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기업은 세무조사 추징세액이 공시하면 명성비용을 더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무조사 추징 사실이 대외로 알려지면 기업의 명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우려하여 이를 상쇄하고자 명성비용을 더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세무조사 추징세액이 클수록 명성비용을 더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업이 공격적으로 조세회피를 하는 경우 명성비용을 더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과세당국으로부터 세무조사 대상으로 선정되어 조세회피가 적발될 가능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업입장에서는 좋은 기업명성을 형성하고 유지함으로써 과세당국의 세무조사 가능성을 낮추고, 향후 명성훼손에 대비하고자 명성비용을 더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명성비용과 기업가치 간의 관계는 기업이 명성비용 지출을 늘리면 기업가치가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명성비용 지출을 늘리면 더 많은 투자자를 모을 수 있고 좋은 명성으로 인한 가격프리미엄이 주가에 반영되기 때문에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Cash ETR로 측정한 공격적 조세회피는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성비용이 양(+)인 표본만을 대상으로 강건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명성비용 지출은 GAAP ETR로 측정한 공격적 조세회피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이 조세회피에 따른 부정적인 효과를 상쇄하고자 명성비용을 더 많이 지출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기업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설문지, 명성순위 자료 등을 이용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재무자료를 활용하여 개별기업 단위로 측정함으로써 기업명성을 측정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명성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명성비용 지출의 이유를 설명하고, 기업이 조세회피 적발이라는 위기상황에서 명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어떻게 활용하는지 경영 전략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있다. 더불어 정부가 세무조사에 대한 공시규정을 강화하여 더 많은 기업이 조세회피 적발사실을 공시하도록 제도를 개선하거나 또는 더 다양한 방법으로 조세회피 적발사실을 공개한다면 기업들 스스로 조세회피를 감소시킬 유인이 있음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이 있다. 본 연구는 조세회피 전 각 기업의 조세부담액을 관찰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세무조사 추징세액 공시여부 및 세무조사 추징세액을 조세회피 사실 또는 금액으로 활용하여 조세회피와 명성비용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이 보완되어 기업의 조세부담액을 직접 관찰한 자료로 분석한다면 보다 유익한 연구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황보영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아연공기 전지는 음극으로 아연을 사용하고 양극으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산소를 사용하는 전지이다. 아연은 매장량이 풍부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높은 energy density를 보인다. 또한, 수계전해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기계 전해액을 사용하는 전지보다 안전성이 높고, 환경 유해성이 낮은 이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연공기 이차전지의 음극에서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특히 염기성 용액에서 음극인 아연의 부식으로 인한 셀의 자가 방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염기성 용액에서 아연의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해액의 농도를 관찰한 결과, 부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전기화학적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농도는 4.0 M KOH 용액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연의 환원 전압이 물 분해 전압과 겹치기 때문에 발생하는 셀의 성능 저하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H2 발생 전압과 아연의 환원 전압이 겹쳐 충전 과정에서 셀의 성능이 저하되므로, H2 발생 전압의 영향을 최대한 적게 받는 아연의 환원 전압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4.0 M KOH의 전해액에서 -1.54 V의 충전 cut-off potential로 충전과 방전을 진행하였을 경우 셀의 용량과 쿨롱 효율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주제어 : 아연공기 이차전지, 전해액, 음극 Zinc air secondary batteries use zinc as the anode and oxygen in the air as the cathode. Zinc is an inexpensive source because of its abundant reserves and has a high energy density. In addition, since zinc uses aqueous electrolytes, it is safer and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than the batteries using organic electrolytes. One of the advantages of using zinc is easy to use. In this paper, electrolytes of the zinc air secondary battery were studied. Firs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olve the self-discharge problem of the cell due to the corrosion of the zinc, which is the anode in the basic solution.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s was observed that could minimize the corrosion of the zinc in the basic solu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4.0 M KOH solution effectively inhibits corrosion and does not affect the rate of electrochemical reaction. Secondly, a study was made to solve the deterioration of the cell performance caused by the overlapping of the zinc reduction potential with the potential of alkaline water electrolysis. If the hydrogen generation voltage and the reduction voltage of zinc are overlapped, the performance of the cell deteriorates during the charging process. Therefore, we studied the reduction voltage of zinc which is not affected by the hydrogen generation voltage as much as possibl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ell capacity and coulombic efficiency were the best when the cell was charged and discharged at a charged cut-off potential of -1.54 V in an electrolyte solution of 4.0 M KOH. keywords : Zn-air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anode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활용의 기본개념을 인지시키고 국내외 어린이 사이트의 운영자 현황과 안전성을 중심으로 어린이 인터넷 환경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이트의 내용 구성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의 용이성, 교육성, 오락성, 디자인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국내외 어린이 사이트의 현황은 어떠한가? 1-1. 국내외 사이트의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1-2. 사이트 운영의 안전성과 책임성은 어떠한가? 2. 국내외 어린이용 사이트의 내용 구성은 어떠한가? 2-1. 어린이용 사이트의 사용의 용이성은 어떠한가? 2-2. 어린이용 사이트의 교육성은 어떠한가? 2-3. 어린이용 사이트의 오락성은 어떠한가? 2-4. 어린이용 사이트의 디자인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표적 검색 엔진중의 하나인 '야후'를 통해 어린이를 위한 사이트에 해당하는 국내 33개, 국외 57개, 총 90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내용 분석을 위하여 Buckleitner(1998)가 어린이 사이트 평가용으로 제시한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표집된 사이트 별로 각 항목을 조사한 후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운영현황에 있어서 국외 사이트는 어린이 인터넷 전문회사가 운영한 사이트가 가장 높은 비율(52.6%)을 차지하고 있었고, 국내 사이트는 개인 운영 사이트가 가장 높은 비율(24.2%)을 차지하고 있었다. 개인 정보 보호나 채팅룸의 관리 감독, 판매 상품에 대한 보증 등의 안전하고 책임 있는 운영은 국내 사이트(0)%가 국외 사이트(84.0%)에 비해 많이 뒤떨어졌다. 둘째, 사이트의 내용 구성 면을 살펴본 항목 중 사용의 용이성에서는 국 내 사이트가 국외 사이트에 비해 어린이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있었다. 효율적인 홈페이지의 자료 배치, 찾기 기능, 앞/뒤 페이지로 넘어가기 기능 등에서 국내 사이트가 국외 사이트에 비해 소홀한 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위 메뉴의 제시 형태에서는 국내외 모두 글 위주의 진행 (국내: 84.9%, 국외: 61.4%)이 많아서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홈페이지로 돌아가기 기능 (국내: 77.7%, 국외: 89.5%), 일관된 활동 형태 제시 (국내: 72.7%, 국외 73.7%), 홈페이지에 불필요한 이미지의 배치 배제 (국내: 78.8%, 국외: 84.2%), 첫 화면에서 주활동으로 바로 들어갈 수 있도록 설계한 비율 (국내: 97.0%, 국외: 91.2%)은 국내외 모두 높게 나타났다. 교육성에 관한 것은 국내외 모두 인터넷 학습 자료가 가질 수 있는 여러 가지 교육적 요소들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적 요소는 국내외 사이트 모두 포함한 사이트의 비율이 낮지만 (국내: 12.1%, 국외: 35.1%) 특히 국내의 경우는 그 제시 형태가 매우 단순하였다. 내용의 출처, 시기, 제작자 등의 명시에서도 국내 사이트는 23.5%, 국외 사이트는 59.6%로 국내 사이트의 명시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멀티미디어 지원에서도 국내 사이트 현황은 매우 저조한 반면에 국외 사이트들은 사운드와 동영상을 복합적으로 지원하는 사이트가 많았다. 반면, 광고가 없는 사이트는 국내 사이트(81.8%)가 국외 사이트(36.8%)보다 많았다. 활동 대상의 연령을 구분한 사이트는 국내(12.1%), 국외(17.5%) 모두 낮았다. 오락성에서는 국내 사이트는 국외 사이트에 비해 활동 유형의 단순성, 글 위주의 활동으로 인해 흥미를 유발하는 요소가 적었다. 박물관, 책, 영화 등의 경험의 확장을 시도, 사이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기회 제공, 활동의 난이도 조정 가능 비율에서도 국내 사이트는 국외 사이트에 비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린이들이 직접 해볼 수 있는 온라인 활동의 제공 비율은 국내 30.4%, 국외 73.7%로 차이가 가장 심했다. 디자인에 대해서 국내는 글 위주의 진행이 압도적인(84.8%)데 비해 국외 사이트들은 그림과 동영상 위주의 진행(71.9%)이 많았다. 브라우저의 버전에 상관없이 잘 작동하는 비율은 국내 69.7% 국외 50.9%였다. 사이트의 그래픽은 국내 사이트의 그래픽이 크기, 색상, 흥미성 면에서 국외 사이트에 비해 미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Internal Link의 작동은 국내외 전반적(국내: 84.8%, 국외: 80.7%)으로 양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statistic of Internet sites for children and conetnt analysis of Internet site operations for children. Also it moves on to examine the ease of use, design features, educational point and entertaining effects of the sites in order to appreciate that the sites have proper contents for children. With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set two study questions as follow: 1. What is the present situation of domestic/foreign Internet sites for children ? 1-1. What is the operational situation of Internet sites like? 1-2. How are the operational safety and responsibility? 2. What are the contents of sites for children? 2-1. What is the ease of use for children? 2-2. What is the sites educational for children? 2-3. what is the sites entertaining for children? 2-4. How's the design of the sites? Thirty-three of domestic sites and 57 of foreign sites, 90 sites in total are analyz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by means of one of the representative search engines "Yahoo". For this study, the children's Internet site evaluation instrument suggested by Buckleitner and modified by researcher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alyzed every single item of collected sites, after that, indicated them by percentage. The result of this thesis is brought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At first, when it comes to operational situation, foreign sites run by Internet companies exclusive for children mark such a high percentage of 52.6%, on the other hand, domestic sites, normally run by individuals, 24.2%. When it comes to operational safety and responsibility such as privacy protection,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on-line chatting and guarantee of the products, domestic sites(0%) are way behind the foreign sites(84%) The second, domestic sites appear not to have taken the stage of growth of children into consideration in terms of ease of use, when it moves on to the contents of the sites. Domestic sites turned out not to have paid as much attention as foreign sites in terms of efficient arrangement of information, search function, forward/backward function. The researcher found out that there might be some difficulties for children to use the Internet sites with word-centered explanation (domestic: 84.9%, abroad: 61.4%). It is showed that, however, 'back' to home page function and consistent activity-suggesting form are similarly run by both sides. Educational effect-wise, both sides of Internet sites are short of educational facts that can be used as educational sources. Both of them show low percentage of interactive facts (domestic: 12.1%, abroad:35.1%), especially domestic sites provide very simple and clumsy form of suggestion.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elucidation of the source of materials, the period and producers, the domestic sites mark low percentage of 23.5 compared by foreign ones, 59.6%. It seems like domestic sites don't play significant role in supporting multimedia (36.4%), while foreign sites are very supportive in various ways(82.5%). When it is confined to sites without advertisement, domestic sites(81.8%) outnumber the foreign sites(36.8%). Sites that are targeted by the age of Internet users don't suffice, with the rate of 12.1%(domestic), 17.5%(abroad) respectively. Domestic sites are less entertaining than foreign ones due to the simplicity of sites and word-centered activity. They are trying to extend the children's horizon of experience by providing them with sites on museums, books and movie and the rates are 36.4% (domestic), 47.4% (abroad) respectively, but it appears foreign sites have the numerous forms of suggestion. Domestic sites provide children with do-it-yourself activity only 30.4%, while foreign sites provide 73.7%, showing great gap between both sides. Speaking of design, domestic sites are overwhelmingly centered by word but foreign ones are by pictures and moving pictures. The rates of sites that can be used without downloading a specific web-browser mark 69.7% (domestic), 50.9%(abroad). Graphics in domestic sites are one step behind those in foreign sites, in size, color and facts that arouse the children's interest. Operation of Internet link is generally satisfactory in each side.
황보영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anticancer drug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for anticancer drug-handling nurses an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anticancer drug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urses handling anticancer drugs at two general hospitals in D area, and 208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2020 to October 2020, and was conducted through a self-report survey. Research tools include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perceived benefit, perceived disability, evidence-based practical self-efficacy, behavior-related feelings, evidence-based practical beliefs,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and anticancer drug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version for reliability analysis of each tool, an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imultaneous inp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behavior-related feelings, and evidence-based practice self-efficacy of nurses, the higher the compliance with anticancer drug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implementation of the anticancer drug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was shown to be 100.09±11.12 out of 130. Out of 5 points for each sub-area, the anticancer drug discard was the highest with 4.03±0.40 out of 5, followed by dosing (IV) with 3.94±0.47 points, anti-cancer drug exposure with 3.80±1.37, preparation for administration with 3.76±0.45 points, and administration (oral) with 3.55±0.75 points. 2) As for the score for each variable, out of 5 points, perceived benefit 4.40±0.56 points, perceived disability 2.01±0.71 points, behavior-related emotions 3.91±0.61 points, evidence-based practical belief 3.53±0.50 points,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scored 3.69±0.57 points and evidence-based practice self-efficacy was 5.78±1.50 points out of 10. 3) The implementation of anticancer drug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statistically depends on the working period (F= 3.03, p=.030), the working department (F= 5.05, p=.007), and the handling period (F= 5.66,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4) Perceived benefit (r=.193, p<0.01), evidence-based practice self-efficacy (r=.298, p<0.01), evidence-based practical beliefs (r=.265, p<0.01) and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r=.419, p<0.01)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perceived disability (r=-.233, p<0.01)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value. There was a correlation. 5) Factor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anticancer drug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were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β=.33, p<0.01), work department internal medicine ward (β=-.26, p=.006), behavior-related emotions (β=.24, p=.003), evidence-based practical self-efficacy (β=.20, p=.017), 23% explanatory po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behavior-related emotions, and evidence-based practical self-efficiency of nurses, the higher the implementation of anti-cancer drug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This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safe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anti-cancer drugs by nurses in the future.
황보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chang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efforts put in to fulfill the election pledges and the formation of advocacy coalition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issues during the tenure of directly elected Superintendents of Seoul Education,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s and implementation of the successor Superintendent of Seoul Educatio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current sit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uring the tenures of the directly elected Superintendents of Seoul Education? 2. What is the policy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each directly elected Superintendent of Seoul Education? 2-1. What are the election pledges and fulfillments concern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each directly elected Superintendent of Seoul Education? 2-2. What is the advocacy coal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issues by each directly elected Superintendent of Seoul Education? The analysis subject and method are as follows.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and trends of changes in kindergarten institutions, teachers, and infants, the statistical data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as used. To look into the fulfillments of election pledges, contents concern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books of election pledges were compared to the published policy resources, administrative guidelines and budget drawn up after being elected. And to select the debatable policy issues by each directly elected Superintendent of Seoul Education, articles were searched among the entire searchable media outlets, then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and interviews with the stakeholder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advocacy coalitions at issu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kindergarten institutions, teachers, and infants in Seoul is increasing in public kindergartens and decreasing in private kindergartens. The status of kindergarten, infant, teacher, and finances by the directly elected Superintendent of Seoul Education is more influenced by the succession of the predecessor's policy and the policy direc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rather than the policy of each Superintendent. Second, the propor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lection pledges suggested by the directly elected Superintendent of Seoul Education is less than 5 ~ 10% of the total commitments. In the case of progressive Superintendents, the main commitment was to expand public kindergartens and strengthen the publicity of private kindergartens. Meanwhile, the conservative Superintendents mainly focused on the succession of the former Superintendent's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the tenacy of the central government’s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In the early days of direct election, the election pledges focused on strengthening care functions, expanding public kindergartens, and strengthening financial support for parents. Recently, strengthening the publicity of kindergartens and improving the curriculum have been added to the commitments. The directly elected Superintendents tried to fulfill their commitments by providing administrative guidelines and allocating budgets, but did not provide a numerical indication of whether the goal was achieved or a legal system.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disputed by the directly elected Superintendent of Seoul Education are diverse, such as reflecting the internal needs with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establish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 Promotion Center), Superintendent's commitment to fulfill his election pledge (one public kindergarten per district), unmodified delivery of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mandatory 5 hours class operation of kindergartens), confusion arising from the implementation of policies planned by the former Superintendent (restricting applying for multiple kindergartens), etc. In the policy at issue, advocacy coalition supporting the policy was weak, but the advocacy coalition opposing the policy actively expressed their dissent. Policies that require budget and personnel adjustment formed an opposition advocacy coalition within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cluding the relevant departments and some primary education officials. In the cases of policies that clearly showed the inconvenience and disadvantages on certain groups, opposition advocacy coalition was formed around the stakeholders lik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or parents. Most private kindergarten officials formed opposition advocacy coalition on the policies at issue. There was little opportunity to learn policy in the formation of advocacy coalitions, and the policy intermediary did not play a prominent role. The controversial policies were revised, reduced and abandoned. The implications obtained from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the policy succession of the former Superintendent in the setting stage of early childhood policies. The succession of the predecessor's policy creates favorable conditions for policy implementation such as securing budgets or setting guidelines, and has the effect of elaborating the policy. Second, in order to increase the proportion and content fidelity of the directly elected Superintendent's early childhood education election pledges, it is necessary to make a strategic input from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 group. The expert group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should support the Superintendent systematically from setting the pledges before the election to carrying out the pledges as polices, and manage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ird, the early education policies of the directly elected Superintendent of Seoul Education and the poli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influence each other, and tend to be mutually strengthened. The expansion of caring functions, strengthening the publicity of kindergartens, and applying the online system for kindergarten entrance have been expanded nationwide adopted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fter being presented as election pledges or issues in Seoul. Therefore,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come up with reasonable evaluation, support measures, and effective linkage plans of the lea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of the Superintendent of Seoul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주민직선 교육감별로 재임기 동안 유아교육정책의 변화와 공약 이행을 위한 노력, 쟁점이 된 유아교육정책의 옹호연합형성을 알아보는 것으로 향후 주민직선 교육감의 유아교육 정책 설정과 실행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서울 주민직선 교육감 재임기의 유아교육 현황은 어떠한가? 2. 서울 주민직선 교육감별 유아교육 정책의 집행은 어떠한가? 2-1. 서울 주민직선 교육감별 유아교육 공약과 이행 결과는 어떠한가? 2-2. 서울 주민직선 교육감별 쟁점 유아교육 정책의 옹호연합은 어떠한가? 분석대상과 분석방법은 서울시교육청의 통계자료로 유치원 기관, 교원, 유아의 현황과 변동 추이를 파악하였다. 서울 주민직선 교육감들의 공약서에서 제시된 유아교육 내용과 당선 후 발간된 정책자료, 시행된 행정지침, 편성된 예산 등을 비교하여 공약 이행 조치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검색 가능한 전체 언론매체를 대상으로 기사를 검색하여 교육감별로 쟁점이 된 정책을 선정하고 기사 내용과 관련자 면담을 통해 쟁점이 된 정책의 옹호연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의 유치원 기관 수, 교원 수, 유아 수는 공립유치원에서는 증가하고 있고 사립유치원에서는 감소하고 있다. 주민직선 교육감별로 나타난 유치원, 유아, 교원, 재정 등의 현황은 각 교육감의 정책 영향보다는 전임 교육감 정책 승계 여부와 중앙정부 정책 방향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둘째, 서울 주민직선 교육감이 제시한 유아교육 공약은 전체 공약의 5~10% 이하이다. 진보 성향의 교육감들은 공립유치원 확대와 사립유치원 공공성 강화가 주요 공약이었고 보수 성향의 교육감은 전임 교육감의 유아교육 정책 승계, 중앙정부의 유아교육정책 차용이 주된 내용이었다. 주민직선 초기 교육감들의 공약은 돌봄기능 강화, 공립유치원 확대, 학부모 대상 재정 지원 강화가 주된 내용이었고 최근 들어 유치원 공공성 강화, 교육과정 내실화가 공약 사항에 추가되고 있다. 주민직선 교육감들은 공약 이행을 위해 행정지침 마련, 예산 뒷받침 등의 노력을 하였으나 목표 달성 수치를 제시하거나 법적 제도는 마련하지 못하였다. 셋째, 서울 주민직선 교육감별로 쟁점화되었던 유아교육정책의 배경은 유아교육계 내부의 요구 반영(유아교육진흥원 설립), 공약 실행을 위한 교육감 추진 의지(1洞 1공립유치원 설립), 중앙정부 정책의 수정 없는 전달(유치원 5시간 의무 운영), 전임 교육감이 계획한 정책의 실행과정에서 혼란 발생(유치원 중복지원 제한) 등으로 다양하다. 쟁점이 된 유아교육정책에서 찬성옹호연합의 움직임은 약했으나 반대옹호연합은 적극적으로 반대의사를 표명하였다. 예산과 인력 조정이 필요한 정책은 관련 부서 및 일부 초등교육 관계자 등 서울시교육청 내부에서 반대옹호연합이 형성되었다. 불편이나 불이익이 예상되는 정책에 대해서는 공립유치원 교원이나 학부모를 중심으로 반대옹호연합이 형성하였다. 사립유치원 관련자들은 대부분 쟁점이 된 정책에 대해서 반대옹호연합을 형성하였다. 옹호연합 형성과정에서 정책학습 기회는 거의 없었고 정책중개자의 역할은 두드러지지 않았다. 쟁점이 된 정책들은 산출 결과 변경, 축소, 폐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 정책 설정 단계에서 전임 교육감의 정책 승계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전임 교육감 정책을 승계한 경우 예산 확보와 지침 마련 등 정책 실행의 유리한 제반 여건이 형성되고 정책이 정교화되는 효과를 낳는다. 둘째, 주민직선 교육감의 유아교육 공약 비중과 내용 충실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교육 전문가 집단의 전략적 투입이 필요하다. 공약이 설정되는 교육감 당선 이전부터 공약이 정책으로 실행되는 당선 이후까지 유아교육정책 전문가 집단의 체계적인 교육감 지원과 정책집행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서울 주민직선 교육감의 유아교육정책은 중앙정부 정책과 영향을 주고 받으며 상호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돌봄기능 확대, 유치원 공공성 강화, 유아모집 온라인 시스템 적용은 서울에서 공약사항으로 제시되거나 쟁점이 된 후 중앙정부의 유아교육 정책으로 채택되어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따라서 서울 교육감의 선도적 유아교육 정책에 대한 중앙정부의 타당한 평가와 지원책, 효율적 연계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저도 이형성 선종, 고도 이형성 선종 및 위선암에서 혈청 pepsinogen I/II ratio의 임상적의의
배경/목적: 고도 이형성 선종은 전암성 병변으로 내시경적 절제술이 일반적인 치료원칙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저도 이형성 선종은 아직까지 치료 지침이 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PG는 위 위축 정도를 평가하거나, 위암의 선별검사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만성 위축성위염, 저도 이형성 선종, 고도 이형성 선종, 조기 위암, 그리고 진행성 위암에서 혈청 PG I/II ratio를 측정하여, 전암성 단계에서 암성 변화 단계까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고, 둘째 이를 토대로 저도 이형성 선종이 적극적인 내시경적 치료의 대상에 포함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방법: 위축성위염 98예, 저도 이형성 선종 49예, 고도 이형성 선종 17예, 조기위암 61예, 진행성위암 101예로 총 3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만성 위축성위염을 제외한 모든 전암성 병변의 조직학적 진단은 단순 겸자 생검이 아니라 내시경적점막절제술이나 내시경적점막하박리술, 또는 수술을 통한 조직 검사로 진단하였다. 헬리코박터 감염여부는 조직학적 검사, 신속요소분해효소검사, 요소호기검사에서 양성을 보일 때 감염 양성으로 진단하였다. 혈청 PG농도는 방사선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평균 혈청 PG I/II ratio는 만성위축성위염 군에서3.5 ± 1.7 로 정상범위였다 (>3.0). 저도 이형성 선종 군에서는 2.8 ± 1.6, 고도 이형성 선종 군에서는 2.3 ± 0.7로 3이하로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나, 조기위암 군 (2.9 ± 1.4) 이나, 진행성위암 군 (2.7 ± 1.4)에서 더 이상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저도 이형성 선종, 고도 이형성 선종, 조기위암, 진행성위암 환자 군에서 PG I/II ratio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각의 군에서 헬리코박터 감염에 따른 혈청 PG I/II ratio에 차이는 없었다. 나이, 성별, 음주력, 흡연력, 염분 섭취 정도, 위암 가족력 등은 혈청 PG I/II ratio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결론: 혈청 PG I/II ratio가 3.0 이하를 보이는 저도 이형성 선종은 경과 관찰만 하는 위축성위염과는 다르고, 치료가 필요한 고도 이형성 선종군에 더 가까운 병변이며, 악성변화의 시작 시점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저도 이형성 선종 또한 적극적인 내시경적 치료를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troduction: Gastric adenoma with high grade dysplasia is a highly premalignant lesion and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has been accepted as a definitive treatment.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in the treatment of adenoma with low grade dysplasia. Serum PG levels have been used as a marker of gastric atrophy and one of the screening serologic tests for gastric cancer. Aims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serum PG I/II ratio in patients with chronic atrophic gastritis (CAG), low grade dysplasia (LGD), high grade dysplasia (HGD), early gastric cancer (EGC), or advanced gastric cancer (AGC),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G I/II ratio and cancerous transformation from precancerous lesions. Methods: Histologic examination of dysplasia was performed by EMR o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but not by forcep biopsy.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was considered to be present if the results of at least two of three tests (histologic results, rapid urease test, and [13C]-urea breath test) were positive. Serum PG levels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Results: Mean serum PG I/II ratio in CAG was 3.5 ± 1.7 that was within normal range (> 3.0). Though PG I/II ratio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o < 3.0 in LGD (2.8 ± 1.6) and in HGD (2.3 ± 0.7), no further decrease in either EGC (2.9 ± 1.4) or in AGC (2.7 ± 1.4) were observed.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PG I/II ratio among LGD, HGD, EGC, and AGC. In each group, H. pylori infection did not resulted in lower PG I/II ratio significantly. Age, sex, alcohol drinking, smoking habits, high salt intake, and gastric cancer family history did not affect PG I/II ratio. Conclusions: Low serum PG I/II ratio less than 3.0 is related to premalignant lesion in the multiple steps of gastric carcinogenesis.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might occur in early stage when CAG progresses to LGD. Therefore, LGD as well as HGD can be one of the good indications for EMR or ESD treatment in prevention of developing gastric cancer.
신기능에 따른 histamine H2 receptor antagorist의 용량 용법 및 투여경로에 대한 약사의 자문역할의 효과
황보영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Pharmacist intervention program designed to identify and correct incorrectly adjusted dosage in renally impaired patients for H2-receptor antagonist and promote timely conversion of IV to PO therapy is described.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patients who received H2-receptor antagonist therapy, from April 9 to May 8, 2001 at HLMC. Each morning the staff pharmacist uses laboratory data to identify patients with serum creatinine concentrations greater than 1.2 mg/dl or age greater than 65 years. The pharmacist screens the pharmacy profiles of identified patients and calculates creatinine clearance for patients receiving H2-receptor antagonist using Cockroft & Gault equation. After reviewing the patient's medical record, pharmacist determined the proper dosage interval based on the creatinine clearance and the oral dosage that would be appropriate whom IV therapy was no longer indicated. A total of 149 cases (101 patients) were monitor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dosage interval was inappropriate in 61 of 149 cases (41%), and pharmacist made recommendations for those 58 cases that were inappropriately used and 33 cases (57%) were accepted. The administration route was inappropriate in 22 of 53 cases (42%), and pharmacist made recommendations for those 22 cases that were inappropriately used and 15 cases (68%) were accepted. Based on this study, we suggest that dosing modification should be evaluated by pharmacist in renally impaired patients. H2- receptor antagonist가 처방된 환자를 대상으로 신기능에 따라 용량, 용법을 조정하였으며 주사제형을 사용한 경우 적절한 시기에 경구제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권장하는 프로그램을 운영,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은 2001년 4월 9일부터 5월 8일까지 HLMC에 입원한 환자 중에서 H2-receptor antagonist가 투여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혈중 크레아티닌이 1.2 mg/dl이상이거나 65세 이상인 환자를 매일 아침 신기능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별하였다. 약사는 선별된 환자 중에서 H2-receptor antagonist가 처방된 환자에 대해서는 Cockroft & Gault equation를 이용하여 creatinine clearance를 계산하였다. 환자의 의무기록지를 검토한 후 약사는 신기능에 적절한 용량, 용법을 결정하고 IV 치료를 하고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투여경로의 적절성도 평가, 자문하였다. 연구기간동안 전체 149건(101명)을 monitoring 하였다. 149건 중 61건(41%)에서 용량, 용법이 부적절하였으며 자료부족 등의 이유로 실시하지 못한 3건을 제외한 58건에 대하여 자문을 실시하여 33건(57%)에서 약사의 자문을 수용하였다. IV-to-PO conversion에 있어서는 53건 중 22건(42%)에서 부적절하였으며, 부적절한 22건에 대하여 자문한 결과 15건(68%)에서 수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신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서 약물투여계획이 약사에 의해 적극적으로 중재되어짐으로써 치료의 질 향상과 의료비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황보영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가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형성에 있어서 아버지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는 어떠한가? 2.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도는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하는 유치원 4곳의 만 5세 유아 136명과 그들의 아버지 136명이다.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 측정도구는 일상생활에서 아버지가 자녀의 양육에 얼마나 참여하는 지를 조사하는 도구로, 최경순(1992년)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아존중감 검사도구는 송인섭(1993)이 제작한 자아개념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량분석을 하였으며,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자녀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비교 t-검증 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변량분석 결과 유의미한 것에 대해서는 Scheffe를 통해 사후검증하였다.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의 하위요인 중 ‘여가활동’에 제일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보아, 아버지역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으로 체계적인 아버지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사회 경제적인 지위가 높은 아버지일 경우 유아의 양육에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사회 경제적인 지위가 높을수록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많아질 때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어머니의 역할 못지않게 아버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importance of the father's role in building up a child's self-esteem by reviewing the effect of a father's child rearing attitude and involvement on their child's self-esteem. To achieve this aim, the following questions are asked: 1. How much does the father take part in rearing the child?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a father's child rearing participation and child's self-esteem due to a change in social demographics? 3. How does the amount of time the father spends with a child affect their self-esteem?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136 children and their 136 fathers from 4 kindergartens in Seoul. As the tool to measure the father's time spending with a child, Kyung-Sook Choi's classification(1992), which is used for measuring how often the father takes part in rearing a child in their daily life, was used in this study. As the test tool to measure their children's self-esteem, the list of self-esteem by In-Sub Song(1993) was us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processed by SPSS and was analyzed by percentage, mean, standard, t-test, F-test and Pearson's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systematic education for the father's role is needed, because leisure activity was the biggest part of a father's child rearing time spent. Secondly, the fathers who are in the high class of social economic status participate in their children's rearing frequently. Thirdly, the children who have the father in the high status of social-economic class have high self-esteem. Fourthly, children have high self-esteem when fathers participate their children's rearing frequently. This means that father's role take place as important as mother's.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영유아의 애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영유아의 애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유아의 기질과 공감능력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을 통해 영유아의 애착안정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론적,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마련함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