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시내 일부 중학생의 학교급식 생선메뉴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 조사

        홍혜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일부지역에 위치한 중학교 1,2,3학년의 4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식생활 형태, 생선음식 섭취 교육 및 영양지식, 기호도 조사, 생선음식의 제공 및 섭취빈도 조사 등을 통해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수산물 중 생선음식의 영양적인 부분에 대한 교육의 기회를 늘리고 기호를 고려한 섭취기회를 증가시켜 실질적으로 학교급식에 적극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생선음식의 기호도 조사를 보면, 학교급식과 가정에서의 생선음식의 기호도 차이는 유의적인 차이(p<0.05)로 가정에서 기호도가 높았다. 생선음식을 좋아하는 이유로 학교급식과 가정에서의 차이도 유의적인 차이(p<0.05)로 맛과 부모님의 영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생선음식을 싫어하는 이유로 학교급식과 가정에서의 차이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학교급식과 가정에서의 생선음식의 다양성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p<0.05)로 학교급식이 더 다양하다고 응답하였다. 학교급식에서의 생선음식, 육류, 가공식품의 제공빈도 차이에 대해서 유의적인 차이(p<0.05)로 육류와 가공식품에 비해 생선음식의 제공횟수가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가정에서도 제공빈도의 유의적인 차이(p<0.05)로 육류와 가공식품에 비해 생선음식의 제공횟수가 적었다. 학교급식과 가정에서의 제공빈도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냈는데, 가정에서의 제공횟수가 더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생선음식의 제공량과 실제 섭취량을 비교하면, 학교급식에서는 생선음식 제공량에 비해 학생들의 실제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적은 데 반해(p<0.05), 가정에서는 제공량과 실질적인 섭취량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보다 학교에서의 생선음식의 제공은 더 많이 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실질적인 섭취는 가정에서 더 많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학교급식의 생선음식 단점을 알아내 보완해야 할 것이다. 희망 적정 제공빈도 조사에서는 생선음식, 육류, 가공식품 간의 유의한 차이(p<0.05)가 있는 것으로 육류와 가공식품에 비해 생선음식의 희망 적정 제공빈도를 적게 응답한 학생들이 많았다. 성별에 따른 기호도 점수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13가지 메뉴들 중에서 참치샐러드만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기호도가 높았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메뉴들에서 참치샐러드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남학생의 기호도가 높았으며, 그 중 장어로 조리된 장어양념구이와 장어튀김의 기호도 점수가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점수가 높았다. 생선섭취 교육여부에 따라 가장 기호도가 낮은 북어조림의 경우 생선음식 섭취 교육 여부에 따라 더 큰 점수 차이를 나타냈다. 임연수어튀김과 가자미튀김에서 생선음식 섭취 교육 받지 않은 학생들보다 교육을 받은 학생들에게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생선음식 섭취 교육을 한다면 학생들의 선호도가 낮은 음식의 섭취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생선관련 영양지식 점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 메뉴 중 고등어무조림, 꽁치구이는 기호도가 높지 않은 음식임에도 불구하고 영양지식 점수가 상위권인 학생들에게 유의적인 점수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편식 여부에 따른 모든 생선메뉴의 기호도 점수는 편식하는 학생보다 편식하지 않는 학생들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서울 일부 지역 중학생의 생선음식에 대한 기호도는 메뉴 별로 차이를 나타냈지만 다른 식재료에 비해 낮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학생들이 막연하게는 생선의 영양가가 좋다는 것을 알고 있고 섭취를 권유한다면 섭취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실질적으로 생선음식 섭취 교육을 받는다거나 영양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부분에서는 미비한 현실을 알 수 있었다. 가정에서보다 학교에서의 생선음식의 다양성과 제공횟수는 더 자주 이루어지고 있지만 학생들은 가정에서의 섭취가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학교급식에서의 생선음식의 조리법의 개발과 연구를 통해 섭취를 증진 시킬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영양교사를 통해 전문적인 지식 제공과 조리법 개선을 통해 생선 섭취를 독려한다면 학생들에게 생선음식의 기호도 증가로 영양적 효과는 더 증진될 것으로 사료된다.

      • APJava : 자바 기반 관심지향 병렬프로그래밍 모델

        홍혜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병렬처리 환경에 적용해야 할 응용 프로그램들이 점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환경으로의 진화는 대용량 데이터에 대한 고성능 처리가 요구되고 다양한 형태의 도구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프트웨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하려면 부가적인 프로그래밍 지식을 숙지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APJava(Aspect-Oriented Parallel Java)라고 불리는 관심지향 병렬 프로그래밍 모델을 설계 후 구현한 논문이다. 본 연구는 병렬환경에 익숙하지 않는 일반 사용자와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병렬 프로그래밍 모델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바언어로 구현한 APJava의 특징은 일반 사용자들이 자바코드를 최대한 활용하여 sequential 프로그래밍 방식대로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코드에 병렬로 동작하는 부분은 XML파일을 이용해 distribution rule을 지정해줌으로써 병렬환경을 쉽게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분산처리에 대한 개발자의 부담을 줄여서 개발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 자체에 집중하는 효율성을 가져다 줄 것이다. The paper introduces the APJava programming environment, called APJava. APJava is an aspect-oriented parallel dialect of Java that imports HPJava-like arrays - in particular the distributed arrays - as new data structures. The main purpose of APJava is to provide an easy-to-use aspect-oriented parallel programming environment to engineers and scientists unfamiliar with parallel programming. The paper discusses an overview of APJava and basic translation scheme adopted in a translator for the APJava language and the result of the APJava system. In parallel programs it is easy to find many crosscutting concerns, called aspect, since classical procedural programming and object-oriented programming are unable to modularize all concerns even though they are very useful. These aspects are very useful information for parallel programs but independent on compile-time and run-time information for parallel compilers.

      • 서비스교육훈련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서울소재 병원을 중심으로

        홍혜연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병원의 서비스교육훈련에 대해 분석함으로서 교육훈련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비스품질의 향상을 위해 요즘은 병원에서도 서비스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교육훈련을 통해 종사원 스스로가 만족을 얻음으로서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소재 병원에 근무하는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설문지 232부를 통계프로그램 AMOS 4.0을 이용하여 교육훈련이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육훈련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훈련은 직접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의 매개변수를 통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육훈련이 종사원들의 내적만족을 통한 자기발전에 영향을 주어 개인의 발전은 물론 병원 발전에도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educational training effects over self-respect and self-efficacy by analyzing service educational training of hospital. There are active service educations in hospital these days to improve service quality. As Employees achieve self-satisfaction through this kind of educational training, how it effect on self-respect and self-efficacy, which is what this study trying to looking into. To achieve this object of study, a investigation was done with questionnaire of employees who work in the hospital located in Seoul, and the effects of educational training on self-respect and self-efficacy were analyzed through AMOS 4.0 statistics program with collected 232 volumes of questionnaire. In analysis result, it is showed that educational training effects self-respect and self-efficacy, and self-respect and self-efficacy effect job-satisfaction. Also it is confirmed that educational training does not directly effect job-satisfaction though, it effects job-satisfaction through the parameter of self-respect and self-efficacy. Such study result presents that educational training effect self-development through employees' inner satisfaction, so that can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hospital as well as personal improvement.

      • Dry-Heating을 이용한 전분의 물리적 변성에 미치는 Pectin과 pH의 효과

        홍혜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Dry-heating with anionic gum has been introduced as a physical modification of starch. Effects of solution pH and pecti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y-heat treated starches were investigated. Waxy maize, potato and normal maize starches were dispersed in pH 6.0 and 8.0 aqueous solutions of pectin(low methoxyl pectin and high methoxyl pectin, 1% based on starch weight), dried, and heat-treated in dry state for 2hr and 4hr at 130℃. Paste viscosity, paste clarity, and gel texture in a pH 7.0 phosphate buffer were examined. Thermal properties of waxy maize starch were investigated by using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Rapidly digestible starch (RDS), slowly digestible starch (SDS), and resistant starch (RS) contents of the waxy maize starch were also measured by Englyst method. Dry-heating with pectin increased the paste viscosity of waxy maize starch but reduced that of potato starch. Low methoxyl pectin provided more substantial increase in paste viscosity than high methoxyl pectin. The pH of the starch-pectin mixtures affected the paste viscosity. The viscosity increase for waxy maize starch by dry-heating with pectin was slightly greater at pH 6.0 than at pH 8.0. The paste of waxy maize starch became opaque by the heat treatment, whereas potato starch and normal maize starch did not show any obvious changes in the paste clarity. Texture analysis revealed that gel formation ability for waxy maize starch was improved by dry heat treatment with pectin. In DSC analysis, melting temperature and melting enthalpy of waxy maize starch were decreased by dry-heating. Waxy maize starch became resistant to decrease of melting enthalpy when heat-treated with pectin. By the heat treatment,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resistant starch(RS) was observed with waxy maize starch, although slowly digestible starch(SDS) content decreased, and rapidly digestible starch(RDS) content increased by the dry-heating.

      • 日本語の比喩表現における犬と猫のイメ-ジ硏究

        洪惠連 동덕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言語라는 것은 人間에 의해 만들어지고, 人間의 意思博達 手段으로써 중요한 役割을 해오고 있다. 그 가운데 比喩라는 것은 東西古今을 막론하고, 가장 넓게 使用되어 왔다. 또한 比喩는 表現主體의 立場을 나타내는 表現技法에 중요한 役割을 해왔다. 그러나, 相對的으로 理解主體가 比喩表現에서 알 수 있는 意味에 대해서는 關心이 적었다. 그래서 本稿에서는, 從來 硏究된 比喩意味를 整理한 후에 日本現代小說과 俗談에서의 《개》와 《고양이》를 中心으로 理解主體가 받아들이는 意味를 敍述해 보았다. 日本現代小說 속에서 개의 이미지는 「悲慘」이 제일 많이 나왔다. 또한 「좋은 녀석」 「힘이 없다」 「무섭다」 「싫다」 「憂鬱」 「悽慘」 「불쌍하다」 「지치다」 「거칠다」 「시끄럽다」 「野性」 「귀엽다」 「順從」 「責任感」 「忠實」 「健康」 「親近」 등이 나타났다. 日本現代小說 속에서 고양이의 이미지는 「차갑다」 「귀엽다」 「점잖다」가 나타났다. 「괴롭다」 「재빠르다」 「조용하다」 「더럽다」 「힘이 없다」 「불쌍하다」 「변덕」 「민감」 「장난꾸러기」 「싫다」 「어둡다」 「바보」 「무섭다」 「강하다」 「조심하다」 등이 나타났다. 慣用語句 속의 개의 이미지는 은혜에 보답하는 「義理있는 사람」이 제일 많다. 「하찮다」 「겁장이」 「귀하다」 「어리석음」 「危險」 「배반자」 「實利主義者」 「욕심」 「쓸데없음」도 나타났다. 慣用語句에서의 고양이의 이미지는 「불길하다」가 제일 많다. 「危險」 「도움이 안되다」 「하찮다」 「힘이 있다」 「모른다」 「차갑다」 「愼重」 「욕심」 「魔性」 「숨기다」 「警戒」 「참견하다」 「점잖다」 「바쁘다」도 나타났다. 小說과 慣用語句의 공통된 개의 이미지는 「불쌍함」이다. 개가 强忍하다든가 勤勉 誠實의 이미지보다 「비참함, 불쌍함」의 이미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小說과 慣用語句의 고양이의 공통된 이미지는 「점잖다, 변화, 魔性, 힘이 있다」 등이다. 이상으로 比喩에 의한 表現은 文字 그대로의 意味가 아니라, 文脈이나 文脈外의 社會的, 時代的, 文化的, 風土的인 意味에 의해 理解되는 것이다. 따라서 讀者(聽者)쪽에서도 주의해서 들어야 하는 表現인 것이다. 이런 比喩表現의 意味를 빠르고 확실하고 정확하게 把握하는 것이야말로 讀者쪽에 주어진 課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從來의 硏究는 比喩의 表現技術에만 重點을 두고 다루어 왔다. 比喩表現의 效果는 表現하는 사람만이 아니라, 讀者쪽에서도 충분히 硏究되지 않으면 안 되는 분야인 것이다. 比喩表現의 硏究는 日本뿐만아니라 韓國의 文學, 文化의 理解는 물론, 兩國의 交流關係 및 兩國語의 보다 바른 理解表現을 위해 많이 연구되어야 하는 분야이다 Language is made by human and important for the method of communication. Figures of speech, one of the function of language have been widely used across the ages and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These are one of the essential element which has been used in literature and proverb, much better daily life. Moreover figures of speech play an important role in defining speaker's position. But these have less concerned about meaning that the main body of understanding knows through expression of figures of speech. Recently studies using experimental way have been maid progress with the expansion of psycholinguistics and recognition linguistics. Therefore in this treatise, I have arranged the meaning of figures of speech that had been studied already, and described the image that the main body of understanding grasps the meaning of 《Dogs》 and 《Cats》 in japanese modern novel and proverb. I base the way of verification o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associational meaning and try the analysis of meaning with the individual introspectio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meaning is figures, attribute, estimation and adjacent vocabulary. The image of 《the Dog》 in modern novels is most commonly used in the meaning of 「misery」. The image of 《the Cat》 is most commonly used in the meaning of 「coldhearted」 「pretty」 「decent」. The image of 《the Dog》 in the proverb is 「faithful person」 「trifling」 「coward」 「noble」 「ill-omened」 「foolish」 etc. The image of 《the Cat》 is 「ominous」 「danger」 「be a no help to」 「trivial」 etc. In this point the common image of the dog is 「pitiful」and the common meaning of the cat is「decent」 「a change」 「devilishness」 etc. As mentioned above, the expressions used by figures of speech are not understood by literal meaning but by the context of a passage or out of context, social, periodic, cultural and endemic meaning. Accordingly readers(audiences) should listen to this expressions carefully. The grasp of the meaning of figures of speech rapidly, certainly and accurately is one of the subject which is imposed on the readers side. However traditional studies have been treating preponderantly expressional skill of figures of speech. The effect of figures of speech is a field that should be sufficiently studied not only by who expresses but by who reads.

      • 한국,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의 예술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홍혜연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과학기술부와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예술교육 활성화를 기하려는 정책적 의지 표명으로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초?중등 예술교육활성화 기본방안?을 발표하였다. 예술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이러한 정부의 노력이 진행됨에 따라 예술 교육이 나날이 강조되고 있어 예술계 중?고등학교에서의 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고안하는 것이 현 시대의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예술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은 새로운 변화 없이 정체되어 있어 개혁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외국과 우리나라 예술고등학교의 교육과정 비교를 통하여 국내 예술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선에 도움이 될 새로운 시사점을 도출해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의 예술고등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예술고등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 개혁에 기여하는 것이다. 한국을 포함하여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의 각 나라에서 2개교씩 선정하여 총 10개교의 예술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목표에서 한국의 예술고등학교에서는 예술인 육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외국의 예술고등학교에서는 전인적 발달, 환경 강조, 최고의 교육 제공, 평등한 교육, 잠재력 발현 등의 다양한 관점으로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둘째, 개설 전공을 분석한 결과, 보편적으로 클래식, 오케스트라 악기의 전공을 강조하였지만, 외국 예술고등학교에서는 재즈, 음악 공학, 전자 음악의 전공 또한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 입학 절차에서는 기본적으로 원서 접수, 실기고사, 합격자 발표라는 3단계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외국 예술고등학교에서는 인터뷰, 음악 시험 혹은 입학시험, 2번의 실기고사를 보는 경향이 나타났다. 실기 곡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지정곡으로 보거나 1곡의 자유곡으로 심사하는 반면, 외국 예술고등학교에서는 대부분 2곡 이상의 대조적인 스타일의 자유곡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외국 예술고등학교에서는 모든 전공에서 학생의 곡 선택권을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일반과목과 전공과목의 비중에서는 각 나라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호주는 일반 과목을 더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섯째, 음악과 개설 전공 교과목을 살펴보면 한국에 비해 외국 예술고등학교에서는 전반적으로 다양한 교과목을 제공하고 있으며, 다채로운 음악적 경험을 위한 과목과 세분화된 이론 과목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었다. 여섯째, 졸업요건을 분석한 결과, 대체로 수학을 강조하지 않은 한국의 예술고등학교에 비해, 미국과 캐나다의 예술고등학교에서는 수학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졸업을 위해서 시험과 독주회, Planning, Graduation Transi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요구하는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해낸 시사점과 제언은 ‘교육을 전수한다.’는 느낌의 교육목표보다는 ‘교육을 제공한다.’는 의미로의 교육목표, 다양한 전공 개설, 입학 절차에서의 인터뷰 추가, 실기고사에서 학생들이 곡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곡을 추가, 다양한 음악과 전공 교과목을 신설, 일반과목에서 체험, 경험, 활동할 수 있는 교과목을 제공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자료들을 통해 국내 예술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선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